[go: up one dir, main page]

KR102121097B1 - 반도체 기판 및 반도체 소자 - Google Patents

반도체 기판 및 반도체 소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21097B1
KR102121097B1 KR1020167028953A KR20167028953A KR102121097B1 KR 102121097 B1 KR102121097 B1 KR 102121097B1 KR 1020167028953 A KR1020167028953 A KR 1020167028953A KR 20167028953 A KR20167028953 A KR 20167028953A KR 102121097 B1 KR102121097 B1 KR 10212109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region
carbon
semiconductor substrate
semiconducto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670289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141756A (ko
Inventor
겐 사또
히로시 시까우찌
히로까즈 고또
마사루 시노미야
가즈노리 하기모또
게이따로 쯔찌야
Original Assignee
산켄덴키 가부시키가이샤
신에쯔 한도타이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산켄덴키 가부시키가이샤, 신에쯔 한도타이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산켄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601417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4175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210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21097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DINORGANIC ELECTRIC SEMICONDUCTOR DEVICES
    • H10D30/00Field-effect transistors [FET]
    • H10D30/40FETs having zero-dimensional [0D], one-dimensional [1D] or two-dimensional [2D] charge carrier gas channels
    • H10D30/47FETs having zero-dimensional [0D], one-dimensional [1D] or two-dimensional [2D] charge carrier gas channels having 2D charge carrier gas channels, e.g. nanoribbon FETs or high electron mobility transistors [HEMT]
    • H10D30/471High electron mobility transistors [HEMT] or high hole mobility transistors [HHMT]
    • H10D30/475High electron mobility transistors [HEMT] or high hole mobility transistors [HHMT] having wider bandgap layer formed on top of lower bandgap active layer, e.g. undoped barrier HEMTs such as i-AlGaN/GaN HEMTs
    • H01L29/7786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104Forming layers
    • H01L21/02365Forming inorganic semiconducting materials on a substrate
    • H01L21/02367Substrates
    • H01L21/0237Materials
    • H01L21/02373Group 14 semiconducting materials
    • H01L21/02378Silicon carbid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104Forming layers
    • H01L21/02365Forming inorganic semiconducting materials on a substrate
    • H01L21/02367Substrates
    • H01L21/0237Materials
    • H01L21/0242Crystalline insulating materia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104Forming layers
    • H01L21/02365Forming inorganic semiconducting materials on a substrate
    • H01L21/02436Intermediate layers between substrates and deposited layers
    • H01L21/02439Materials
    • H01L21/02455Group 13/15 materials
    • H01L21/02458Nitrid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104Forming layers
    • H01L21/02365Forming inorganic semiconducting materials on a substrate
    • H01L21/02518Deposited layers
    • H01L21/02521Materials
    • H01L21/02538Group 13/15 materials
    • H01L21/0254Nitrid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104Forming layers
    • H01L21/02365Forming inorganic semiconducting materials on a substrate
    • H01L21/02518Deposited layers
    • H01L21/0257Doping during depositing
    • H01L21/02573Conductivity type
    • H01L21/02579P-typ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104Forming layers
    • H01L21/02365Forming inorganic semiconducting materials on a substrate
    • H01L21/02612Formation types
    • H01L21/02617Deposition types
    • H01L21/0262Reduction or decomposition of gaseous compounds, e.g. CV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4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the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 H01L21/18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the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the devices having semiconductor bodies comprising elements of Group IV of the Periodic Table or AIIIBV compounds with or without impurities, e.g. doping materials
    • H01L21/20Deposition of semiconductor materials on a substrate, e.g. epitaxial growth solid phase epitaxy
    • H01L21/2003Deposition of semiconductor materials on a substrate, e.g. epitaxial growth solid phase epitaxy characterised by the substrate
    • H01L29/207
    • H01L29/66462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DINORGANIC ELECTRIC SEMICONDUCTOR DEVICES
    • H10D30/00Field-effect transistors [FET]
    • H10D30/01Manufacture or treatment
    • H10D30/015Manufacture or treatment of FETs having heterojunction interface channels or heterojunction gate electrodes, e.g. HEMT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DINORGANIC ELECTRIC SEMICONDUCTOR DEVICES
    • H10D62/00Semiconductor bodies, or regions thereof, of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 H10D62/80Semiconductor bodies, or regions thereof, of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s
    • H10D62/85Semiconductor bodies, or regions thereof, of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s being Group III-V materials, e.g. GaAs
    • H10D62/8503Nitride Group III-V materials, e.g. AlN or GaN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DINORGANIC ELECTRIC SEMICONDUCTOR DEVICES
    • H10D62/00Semiconductor bodies, or regions thereof, of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 H10D62/80Semiconductor bodies, or regions thereof, of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s
    • H10D62/85Semiconductor bodies, or regions thereof, of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s being Group III-V materials, e.g. GaAs
    • H10D62/854Semiconductor bodies, or regions thereof, of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s being Group III-V materials, e.g. GaAs further characterised by the dopa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Junction Field-Effect Transistors (AREA)
  • Insulated Gate Type Field-Effect Transisto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기판과, 상기 기판 상의 탄소 함유의 질화물계 반도체로 이루어지는 버퍼층과, 상기 버퍼층 상의 탄소 함유의 질화물계 반도체로 이루어지는 고저항층과, 상기 고저항층 상의 질화물계 반도체로 이루어지는 채널층을 갖는 반도체 기판으로서, 상기 고저항층은, 상기 버퍼층보다도 탄소 농도가 낮은 제1 영역과, 상기 제1 영역과 상기 채널층 사이에 형성되고, 상기 제1 영역보다도 탄소 농도가 높은 제2 영역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기판이다. 이에 의해, 고저항층의 고저항을 유지하면서 결정성을 높게 함으로써 누설 전류를 저감시킴과 함께, 그 위에 형성되는 채널층의 결정성도 높게 함으로써 채널층에 있어서의 전자 이동도의 저하나 전류 붕괴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는 반도체 기판이 제공된다.

Description

반도체 기판 및 반도체 소자 {SEMICONDUCTOR SUBSTRATE AND SEMICONDUCTOR ELEMENT}
본 발명은, 반도체 기판 및 이 반도체 기판을 사용하여 제작된 반도체 소자에 관한 것이다.
질화물 반도체를 사용한 반도체 기판은, 고주파 또한 고출력에서 동작하는 파워 소자 등에 사용되고 있다. 특히, 마이크로파, 준밀리미터파, 밀리미터파 등의 고주파 대역에 있어서 증폭을 행하는 데 적합한 것으로서, 예를 들어 고 전자 이동도 트랜지스터(High Electron Mobility Transistor: HEMT) 등이 알려져 있다.
질화물 반도체를 사용한 반도체 기판으로서, Si 기판 상에, 버퍼층, GaN층, AlGaN으로 이루어지는 배리어층이 순차 적층된 반도체 기판이 알려져 있다.
GaN층 중 하부의 층(고저항층)은, 세로 방향 및 가로 방향의 전기 저항을 높임으로써, 트랜지스터의 오프 특성 향상, 세로 방향 누설의 억제에 의해 고내압화가 가능해진다. 그로 인해 GaN층에 탄소를 도핑하고, GaN 결정 중에 깊은 준위를 형성하여, n형의 전도를 억제시킨다.
한편, GaN층 중 상부의 층은, 채널층으로서 기능하고, 캐리어를 트랩시키는 준위가 형성되면 전류 붕괴(출력 전류 특성의 재현성이 열화되는 현상)의 요인이 될 수 있으므로, 탄소 등의 농도를 충분히 저하시킬 필요가 있다(특허문헌 1-3 참조).
또한, 특허문헌 4에는, GaN층에 Fe를 첨가함으로써 고저항화를 도모하는 것이 개시되고, Fe의 에너지 준위를 안정화시키기 위해 탄소를 더 첨가하는 것도 개시되어 있다.
또한, 특허문헌 5에는, 기생 용량을 저감시킴과 함께 고내압화시키기 위해, GaN층에 Fe를 첨가하는 것이 개시되어 있다.
일본 특허 제5064824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제2006-332367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제2013-070053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제2012-033646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제2010-123725호 공보
상술한 바와 같이, 고저항층은 탄소 농도를 높게 함으로써, 디바이스의 세로 방향(두께 방향) 누설 전류를 억제하고, 트랜지스터의 오프 특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사용하고 있지만, 탄소 농도가 높은 고저항층의 결정성에 대해 본 발명자들은 조사하였다.
도 9에 고저항층의 결정성의 성장 온도 의존성을 나타내고, 도 10에 고저항층의 탄소 농도의 성장 온도 의존성을 나타낸다.
도 9-10으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성장 온도를 낮추면 고저항층의 탄소 농도를 증가시킬 수 있지만, 반대로 고저항층의 결정성이 낮아져 있다.
고저항층의 결정성이 낮아지면, 누설 전류가 증가함과 함께, 그 위에 형성되는 채널층의 결정성도 낮아짐으로써, 채널층에 있어서의 전자 이동도의 저하나 전류 붕괴를 야기시킨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에 비추어 이루어진 것으로서, 고저항층의 고저항을 유지하면서 결정성을 높게 함으로써 누설 전류를 저감시킴과 함께, 그 위에 형성되는 채널층의 결정성도 높게 함으로써 채널층에 있어서의 전자 이동도의 저하나 전류 붕괴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는 반도체 기판 및 반도체 소자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기판과, 상기 기판 상의 탄소 함유의 질화물계 반도체로 이루어지는 버퍼층과, 상기 버퍼층 상의 탄소 함유의 질화물계 반도체로 이루어지는 고저항층과, 상기 고저항층 상의 질화물계 반도체로 이루어지는 채널층을 갖는 반도체 기판으로서, 상기 고저항층은, 상기 버퍼층보다도 탄소 농도가 낮은 제1 영역과, 상기 제1 영역과 상기 채널층 사이에 형성되고, 상기 제1 영역보다도 탄소 농도가 높은 제2 영역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기판을 제공한다.
이와 같이, 고저항층이, 버퍼층보다도 탄소 농도가 낮은 제1 영역과, 제1 영역과 채널층의 사이에 있고, 제1 영역보다도 탄소 농도가 높은 제2 영역을 가짐으로써, 고저항층의 고저항을 유지하면서 결정성을 높게 할 수 있고, 그것에 의해 누설 전류를 저감시킴과 함께, 그 위에 형성되는 채널층의 결정성도 높게 함으로써 채널층에 있어서의 전자 이동도의 저하나 전류 붕괴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 영역이 전이 금속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영역의 전이 금속 농도가 상기 제2 영역의 전이 금속 농도보다 높은 것이 바람직하다.
제1 영역이 제2 영역의 전이 금속 농도보다 높은 농도로 전이 금속을 포함함으로써, 탄소 농도가 낮은 제1 영역에 있어서 세로 방향 누설 전류의 증가를 억제할 수 있음과 함께, 제1 영역의 결정성을 더욱 높게 할 수 있고, 이에 의해 제1 영역보다 위에 형성되는 질화물계 반도체의 결정성을 더욱 개선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 영역의 전이 금속 농도가, 1×1017atoms/㎤ 이상, 1×1020atoms/㎤ 이하, 특히 1×1018atoms/㎤ 이상, 1×1019atoms/㎤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제1 영역의 전이 금속 농도가 이와 같은 농도 범위이면, 제1 영역에 있어서의 세로 방향 누설 전류의 증가를 확실하게 억제할 수 있어, 제1 영역보다 위에 형성되는 질화물계 반도체의 결정성을 확실하게 개선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 영역이 전이 금속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영역의 두께가 3㎚ 이상, 300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제1 영역이 전이 금속을 포함하는 경우에, 제1 영역의 두께가 이와 같은 범위이면, 제1 영역의 고저항을 유지하면서, 제1 영역보다 위에 형성되는 질화물계 반도체의 결정성을 개선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 영역이 전이 금속을 포함하지 않고, 상기 제1 영역의 두께가 3㎚ 이상, 50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제1 영역이 전이 금속을 포함하지 않는 경우에, 제1 영역의 두께가 이와 같은 범위이면, 세로 방향 누설 전류의 억제를 유지하면서, 제1 영역보다 위에 형성되는 질화물계 반도체의 결정성을 개선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 영역은, 상기 버퍼층과 접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결정성이 높은 제1 영역을 보다 버퍼층측에(즉, 보다 기판측에) 형성함으로써, 제1 영역보다 위에 형성되는 질화물계 반도체의 결정성을 보다 효과적으로 개선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 영역의 탄소 농도가 1×1018atoms/㎤ 미만이고, 상기 제2 영역의 탄소 농도가 1×1018atoms/㎤ 이상, 1×1019atoms/㎤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제1 영역 및 제2 영역의 탄소 농도로서, 이와 같은 농도 범위를 적합하게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한 반도체 기판을 사용하여 제작된 반도체 소자로서, 상기 채널층 상에 전극이 설치되어 있는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소자를 제공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반도체 기판을 사용하여 제작된 반도체 소자이면, 고저항층의 고저항을 유지하면서 결정성을 높게 할 수 있고, 그것에 의해 누설 전류를 저감시킴과 함께, 그 위에 형성되는 채널층의 결정성도 높게 함으로써 채널층에 있어서의 전자 이동도의 저하나 전류 붕괴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고저항층의 고저항을 유지하면서 결정성을 높게 할 수 있고, 그것에 의해 누설 전류를 저감시킴과 함께, 그 위에 형성되는 채널층의 결정성도 높게 함으로써 채널층에 있어서의 전자 이동도의 저하나 전류 붕괴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의 일례를 나타내는 반도체 기판의 깊이 방향의 농도 분포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의 일례를 나타내는 반도체 기판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의 일례를 나타내는 반도체 소자의 단면도이다.
도 4는 실시예 2의 반도체 기판의 깊이 방향의 불순물 농도 분포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실시예 5의 반도체 기판의 깊이 방향의 불순물 농도 분포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실시예 5의 반도체 기판의 단면도이다.
도 7은 실시예 5의 반도체 소자의 단면도이다.
도 8은 저탄소층 상의 GaN층의 결정성의 저탄소층의 막 두께 의존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고저항층의 결정성의 성장 온도 의존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은 고저항층의 탄소 농도의 성장 온도 의존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고저항층은 탄소 농도를 높게 함으로써, 디바이스의 세로 방향 누설 전류를 억제하고, 트랜지스터의 오프 특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사용하고 있지만, 탄소 농도를 높게 하면 고저항층의 결정성이 낮아진다. 고저항층의 결정성이 낮아지면, 누설 전류가 증가함과 함께, 그 위에 형성되는 채널층의 결정성도 낮아짐으로써, 채널층에 있어서의 전자 이동도의 저하나 전류 붕괴를 야기시킨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자들은, 고저항층의 고저항을 유지하면서 결정성을 높게 함으로써 누설 전류를 저감시킴과 함께, 그 위에 형성되는 채널층의 결정성도 높게 함으로써 채널층에 있어서의 전자 이동도의 저하나 전류 붕괴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는 반도체 기판에 대해 예의 검토를 거듭하였다. 그 결과, 고저항층 중에, 버퍼층보다도 탄소 농도가 낮은 제1 영역과, 제1 영역과 채널층 사이에 형성되고 제1 영역보다도 탄소 농도가 높은 제2 영역을 형성함으로써, 고저항층의 고저항을 유지하면서 결정성을 높게 할 수 있고, 그것에 의해 누설 전류를 저감시킴과 함께, 그 위에 형성되는 채널층의 결정성도 높게 함으로써 채널층에 있어서의 전자 이동도의 저하나 전류 붕괴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는 것을 발견하고, 본 발명을 이루는 것에 이르렀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해, 실시 형태의 일례로서,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먼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의 일례를 나타내는 반도체 기판에 대해, 도 1-2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의 일례를 나타내는 반도체 기판의 깊이 방향의 농도 분포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반도체 기판의 단면도이다.
도 2에 나타내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의 일례를 나타내는 반도체 기판(10)은, 기판(12)과, 기판(12) 상에 형성된 버퍼층(14)과, 버퍼층(14) 상에 설치된 질화물계 반도체(예를 들어, GaN)로 이루어지고, 전이 금속 및 탄소를 불순물로서 포함하는 고저항층(15)과, 고저항층(15) 상에 형성된 능동층(22)을 갖고 있다.
여기서, 기판(12)은, 예를 들어 Si 또는 SiC로 이루어지는 기판이다. 또한, 버퍼층(14)은, 예를 들어 질화물계 반도체로 이루어지는 제1층과, 제1층과 조성이 상이한 질화물계 반도체로 이루어지는 제2층이 반복하여 적층된 적층체로 구성되는 버퍼층이다.
제1층은 예를 들어, AlyGa1 - yN으로 이루어지고, 제2층은 예를 들어, AlxGa1 -xN(0≤x<y≤1)으로 이루어진다.
구체적으로는, 제1층은 AlN으로 할 수 있고, 제2층은 GaN으로 할 수 있다.
능동층(22)은, 질화물계 반도체로 이루어지는 채널층(18)과, 채널층(18) 상에 형성된 질화물계 반도체로 이루어지는 배리어층(20)을 갖고 있다. 채널층(18)은 예를 들어, GaN으로 이루어지고, 배리어층(20)은 예를 들어, AlGaN으로 이루어진다.
고저항층(15)은, 탄소 농도가 버퍼층(14)보다 낮고 전이 금속의 농도가 일정한 저탄소층(제1 영역)(16)과, 저탄소층(16)과 채널층(18) 사이에 형성되고 탄소 농도가 저탄소층(16)보다 높고 전이 금속이 저탄소층(16)측으로부터 채널층(18)측을 향해 감소하고 있는 고탄소층(제2 영역)(17)을 포함하고 있다.
또한, 도 1에 있어서, 고저항층(15)이 전이 금속을 포함하고 있는 경우를 나타내고 있지만, 고저항층(15)은 전이 금속을 포함하고 있지 않아도 된다.
고저항층(15)이, 버퍼층(14)보다도 탄소 농도가 낮은 저탄소층(16)과, 저탄소층(16)과 채널층(18) 사이에 형성되고 저탄소층(16)보다도 탄소 농도가 높은 고탄소층(17)을 가짐으로써, 고저항층(15)의 고저항을 유지하면서 결정성을 높게 할 수 있고, 그것에 의해 누설 전류를 저감시킴과 함께, 그 위에 형성되는 채널층(18)의 결정성도 높게 함으로써 채널층에 있어서의 전자 이동도의 저하나 전류 붕괴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반도체 기판(10)에 있어서, 전이 금속을 Fe로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전이 금속으로서 Fe를 적합하게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전이 금속으로서 Sc, Ti, V, Cr, Mn, Co, Ni, Cu, Zn 등을 사용할 수도 있다.
탄소의 첨가는, 질화물계 반도체층을 MOVPE(유기 금속 기상 성장)법에 의해 성장시킬 때, 원료 가스(TMG(트리메틸갈륨) 등)에 포함되는 탄소가 막 중에 도입됨으로써 행해지는 것이지만, 프로판 등의 도핑 가스에 의해 행할 수도 있다.
반도체 기판(10)에 있어서, 저탄소층(16)이 전이 금속을 포함하는 경우, 저탄소층(16)의 전이 금속 농도가 고탄소층(17)의 전이 금속 농도보다 높은 것이 바람직하다.
저탄소층(16)이 고탄소층(17)보다 높은 농도로 전이 금속을 포함함으로써, 탄소 농도가 낮은 저탄소층(16)에 있어서 세로 방향 누설 전류의 증가를 억제할 수 있음과 함께, 저탄소층(16)의 결정성을 더욱 높게 할 수 있고, 이에 의해 제1 영역보다 위에 형성되는 질화물계 반도체의 결정성을 더욱 개선할 수 있다.
저탄소층(16)의 전이 금속 농도가, 1×1017atoms/㎤ 이상, 1×1020atoms/㎤ 이하, 특히 1×1018atoms/㎤ 이상, 1×1019atoms/㎤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저탄소층(16)의 전이 금속 농도가 이와 같은 농도 범위이면, 저탄소층(16)에 있어서의 세로 방향 누설 전류의 증가를 확실하게 억제할 수 있어, 저탄소층(16)보다 위에 형성되는 질화물계 반도체의 결정성을 확실하게 개선할 수 있다.
반도체 기판(10)에 있어서, 저탄소층(16)이 전이 금속을 포함하는 경우, 저탄소층(16)의 두께가 3㎚ 이상, 300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5㎚ 이상, 2000㎚ 이하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저탄소층(16)이 전이 금속을 포함하는 경우에, 저탄소층(16)의 두께가 이와 같은 범위이면, 저탄소층(16)의 고저항을 유지하면서, 저탄소층(16)보다 위에 형성되는 질화물계 반도체의 결정성을 개선할 수 있다.
반도체 기판(10)에 있어서, 저탄소층(16)이 전이 금속을 포함하지 않는 경우, 저탄소층(16)의 두께가 3㎚ 이상, 50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5㎚ 이상, 200㎚ 이하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저탄소층(16)이 전이 금속을 포함하지 않는 경우에, 저탄소층(16)의 두께가 이와 같은 얇은 범위이면, 세로 방향 누설 전류의 억제를 유지하면서, 저탄소층(16)보다 위에 형성되는 질화물계 반도체의 결정성을 개선할 수 있다.
반도체 기판(10)에 있어서, 저탄소층(16)은, 버퍼층(14)과 접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결정성이 높은 저탄소층(16)을 보다 버퍼층(14)측(즉, 보다 기판(12)측에) 형성함으로써, 저탄소층(16)보다 위에 형성되는 질화물계 반도체의 결정성을 보다 효과적으로 개선할 수 있다.
여기서, 저탄소층(16)의 탄소 농도가 1×1018atoms/㎤ 미만이고, 상기 제2 영역의 탄소 농도가 1×1018atoms/㎤ 이상, 1×1019atoms/㎤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제1 영역 및 제2 영역의 탄소 농도로서, 이와 같은 농도 범위를 적합하게 사용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실시 형태의 일례를 나타내는 반도체 소자에 대해, 도 3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의 일례를 나타내는 반도체 소자의 단면도이다.
반도체 소자(11)는, 본 발명의 반도체 기판(10)을 사용하여 제작된 것이며, 능동층(22) 상에 설치된 제1 전극(26), 제2 전극(28), 제어 전극(30)을 갖고 있다.
반도체 소자(11)에 있어서, 제1 전극(26) 및 제2 전극(28)은, 제1 전극(26)으로부터, 채널층(18) 내에 형성된 2차원 전자 가스층(24)을 개재하여, 제2 전극(28)으로 전류가 흐르도록 배치되어 있다.
제1 전극(26)과 제2 전극(28) 사이에 흐르는 전류는, 제어 전극(30)에 인가되는 전위에 의해 컨트롤할 수 있다.
반도체 소자(11)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의 일례를 나타내는 반도체 기판(10)을 사용하여 제작된 것이며, 고저항층의 고저항을 유지하면서 결정성을 높게 할 수 있고, 그것에 의해 누설 전류를 저감시킴과 함께, 그 위에 형성되는 채널층의 결정성도 높게 함으로써 채널층에 있어서의 전자 이동도의 저하나 전류 붕괴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실시예
이하, 실시예 및 비교예를 나타내어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도 1에 나타내는 깊이 방향의 농도 분포를 갖는,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반도체 기판을 제작하였다. 단, 전이 금속으로서 Fe를 사용하고, 저탄소층(16)에 있어서의 탄소 농도는, 5×1017atoms/㎤로 하고, 고탄소층(17)에 있어서의 탄소 농도는 2×1018atoms/㎤로 하고, 저탄소층(16)에 있어서의 Fe의 농도는, 3×1018atoms/㎤로 하였다. 또한, 저탄소층(16)의 두께는 500㎚로 하고, 고탄소층(17)의 두께는 1600㎚로 하였다.
제작된 반도체 기판을 사용하여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반도체 소자를 제작하였다.
(실시예 2)
도 4에 나타내는 깊이 방향의 농도 분포를 갖는,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반도체 기판을 제작하였다. 단, 고저항층(15)에는 전이 금속을 첨가하지 않고, 저탄소층(16)에 있어서의 탄소 농도는, 3×1017atoms/㎤로 하고, 고탄소층(17)에 있어서의 탄소 농도는 2×1018atoms/㎤로 하였다. 또한, 저탄소층(16)의 두께는 100㎚로 하고, 고탄소층(17)의 두께는 1600㎚로 하였다.
제작된 반도체 기판을 사용하여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반도체 소자를 제작하였다.
(실시예 3)
실시예 2와 마찬가지로 하여 반도체 기판을 제작하였다. 단, 저탄소층(16)의 두께는 200㎚로 하고, 고탄소층(17)의 두께는 1500㎚로 하였다.
제작한 반도체 기판에 있어서, 저탄소층(16) 상의 0002 방향의 GaN층(고탄소층(17)을 포함함)의 결정성을 X선 회절을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그 결과를 도 8에 나타낸다.
제작된 반도체 기판을 사용하여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반도체 소자를 제작하였다.
(실시예 4)
실시예 2와 마찬가지로 하여 반도체 기판을 제작하였다. 단, 저탄소층(16)의 두께는 400㎚로 하고, 고탄소층(17)의 두께는 1300㎚로 하였다.
제작한 반도체 기판에 있어서, 저탄소층(16) 상의 0002 방향의 GaN층(고탄소층(17)을 포함함)의 결정성을 X선 회절을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그 결과를 도 8에 나타낸다.
제작된 반도체 기판을 사용하여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반도체 소자를 제작하였다.
(비교예)
실시예 2와 마찬가지로 하여 반도체 기판을 제작하였다. 단, 저탄소층(16)은 형성하지 않고, 고탄소층(17)의 두께는 1700㎚로 하였다.
제작한 반도체 기판에 있어서, 고탄소층(17)을 포함하는 0002 방향의 GaN층의 결정성을 X선 회절을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그 결과를 도 8에 나타낸다.
제작된 반도체 기판을 사용하여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반도체 소자(단, 저탄소층(16)은 형성되어 있지 않음)를 제작하였다.
(실시예 5)
도 5의 (a)에 나타내는 깊이 방향의 농도 분포를 갖는,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반도체 기판을 제작하였다.
도 5-6에 나타내는 반도체 기판(10')은, 고저항층(15)이 또한, 탄소 농도가 저탄소층(16)보다 높은 고탄소층(제3 영역)(19)을 버퍼층(14)과 저탄소층(16) 사이에 포함하고 있는 것을 제외하고, 도 4, 도 2에 나타내는 반도체 기판(10)과 마찬가지의 구성으로 되어 있다. 단, 고저항층(15)에는 전이 금속을 첨가하지 않고, 저탄소층(16)에 있어서의 탄소 농도는, 3×1017atoms/㎤로 하고, 고탄소층(17)에 있어서의 탄소 농도는 2×1018atoms/㎤로 하고, 고탄소층(19)에 있어서의 탄소 농도는 2×1018atoms/㎤로 하였다. 또한, 저탄소층(16)의 두께는 100㎚로 하고, 고탄소층(17)의 두께는 800㎚로 하고, 고탄소층(19)의 두께는 800㎚로 하였다.
또한, 도 5의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저탄소층(16)과 고탄소층(17) 사이에 탄소 농도가 서서히 증가하는 천이 영역(21)을 형성해도 된다.
제작된 반도체 기판을 사용하여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반도체 소자를 제작하였다.
도 7에 나타내는 반도체 소자(11')는, 고저항층(15)이 또한, 탄소 농도가 저탄소층(16)보다 높은 고탄소층(제3 영역)(19)을 버퍼층(14)과 저탄소층(16) 사이에 포함하고 있는 것을 제외하고, 도 3의 반도체 소자(11)와 마찬가지의 구성으로 되어 있다.
도 8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저탄소층(16)의 막 두께가 증가함과 함께, 저탄소층(16) 상의 GaN층의 결정성이 높아지고 있다. 즉, 저탄소층(16)을 형성하지 않는 비교예와 비교하여, 저탄소층(16)을 형성한 실시예 3-4의 반도체 기판의 저탄소층(16) 상의 GaN층(고탄소층(17)을 포함함)의 결정성은 높아져 있고, 저탄소층(16)의 막 두께가 두꺼운 실시예 4에서는 저탄소층(16)의 막 두께가 얇은 실시예 3과 비교하여 결정성이 보다 높아져 있다.
또한, 실시예 1-5의 반도체 소자에 있어서, 비교예의 반도체 소자와 비교하여 세로 방향 누설 전류가 감소하여, 채널층에 있어서 전자 이동도의 저하나 전류 붕괴의 발생이 억제되어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실시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실시 형태는 예시이며, 본 발명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기술적 사상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을 갖고, 마찬가지의 작용 효과를 발휘하는 것은, 어떠한 것이라도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에 포함된다.
예를 들어, 각 실시 형태에 있어서, 저탄소층(16), 고탄소층(17, 19)의 각 층 중 어느 하나가 기판(12)측으로부터 채널(18)측을 향해 탄소 농도가 서서히 증가하고 있어도 된다.

Claims (16)

  1. 기판과,
    상기 기판 상의 탄소 함유의 질화물계 반도체로 이루어지는 버퍼층과,
    상기 버퍼층 상의 탄소 함유의 질화물계 반도체로 이루어지는 고저항층과,
    상기 고저항층 상의 질화물계 반도체로 이루어지는 채널층
    을 갖는 반도체 기판으로서,
    상기 고저항층은,
    상기 버퍼층보다도 탄소 농도가 낮은 제1 영역과,
    상기 제1 영역과 상기 채널층 사이에 형성되고, 상기 제1 영역보다도 탄소 농도가 높은 제2 영역
    을 갖고,
    상기 제1 영역이 전이 금속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영역의 전이 금속 농도가 상기 제2 영역의 전이 금속 농도보다 높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기판.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영역의 전이 금속 농도가, 1×1017atoms/㎤ 이상, 1×1020atoms/㎤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기판.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영역의 전이 금속 농도가, 1×1018atoms/㎤ 이상, 1×1019atoms/㎤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기판.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영역이 전이 금속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영역의 두께가 3㎚ 이상, 3000㎚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기판.
  6. 삭제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영역이 전이 금속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영역의 두께가 3㎚ 이상, 3000㎚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기판.
  8.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영역이 전이 금속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영역의 두께가 3㎚ 이상, 3000㎚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기판.
  9. 삭제
  10. 제1항, 제3항 내지 제5항, 제7항,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영역은, 상기 버퍼층과 접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기판.
  11. 제1항, 제3항 내지 제5항, 제7항,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영역의 탄소 농도가 1×1018atoms/㎤ 미만이고, 상기 제2 영역의 탄소 농도가 1×1018atoms/㎤ 이상, 1×1019atoms/㎤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기판.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영역의 탄소 농도가 1×1018atoms/㎤ 미만이고, 상기 제2 영역의 탄소 농도가 1×1018atoms/㎤ 이상, 1×1019atoms/㎤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기판.
  13. 제1항, 제3항 내지 제5항, 제7항,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반도체 기판을 사용하여 제작된 반도체 소자로서, 상기 채널층 상에 전극이 설치되어 있는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소자.
  14. 제10항에 기재된 반도체 기판을 사용하여 제작된 반도체 소자로서, 상기 채널층 상에 전극이 설치되어 있는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소자.
  15. 제11항에 기재된 반도체 기판을 사용하여 제작된 반도체 소자로서, 상기 채널층 상에 전극이 설치되어 있는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소자.
  16. 제12항에 기재된 반도체 기판을 사용하여 제작된 반도체 소자로서, 상기 채널층 상에 전극이 설치되어 있는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소자.
KR1020167028953A 2014-04-18 2015-03-12 반도체 기판 및 반도체 소자 Active KR10212109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4086397A JP6249868B2 (ja) 2014-04-18 2014-04-18 半導体基板及び半導体素子
JPJP-P-2014-086397 2014-04-18
PCT/JP2015/001371 WO2015159481A1 (ja) 2014-04-18 2015-03-12 半導体基板及び半導体素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41756A KR20160141756A (ko) 2016-12-09
KR102121097B1 true KR102121097B1 (ko) 2020-06-09

Family

ID=543237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28953A Active KR102121097B1 (ko) 2014-04-18 2015-03-12 반도체 기판 및 반도체 소자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9876101B2 (ko)
JP (1) JP6249868B2 (ko)
KR (1) KR102121097B1 (ko)
CN (1) CN106233440B (ko)
TW (1) TWI596765B (ko)
WO (1) WO201515948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654957B2 (ja) * 2015-04-23 2020-02-26 ローム株式会社 窒化物半導体デバイス
CN107546260A (zh) * 2016-06-29 2018-01-05 江西省昌大光电科技有限公司 一种半绝缘GaN薄膜及其制备方法
JP6759886B2 (ja) * 2016-09-06 2020-09-23 富士通株式会社 半導体結晶基板、半導体装置、半導体結晶基板の製造方法及び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JP6615075B2 (ja) * 2016-09-15 2019-12-04 サンケン電気株式会社 半導体デバイス用基板、半導体デバイス、及び、半導体デバイス用基板の製造方法
EP3486939B1 (en) 2017-11-20 2020-04-01 IMEC vzw Method for forming a semiconductor structure for a gallium nitride channel device
WO2020155095A1 (zh) * 2019-02-01 2020-08-06 苏州晶湛半导体有限公司 一种半导体结构及其制造方法
JP7393138B2 (ja) * 2019-06-24 2023-12-06 住友化学株式会社 Iii族窒化物積層体
JP7269190B2 (ja) * 2020-02-27 2023-05-08 株式会社東芝 窒化物結晶、光学装置、半導体装置、窒化物結晶の製造方法
CN111952365A (zh) * 2020-08-14 2020-11-17 中国科学院半导体研究所 碳掺杂调控的GaN基HEMT外延结构及其制作方法
JP7388422B2 (ja) * 2021-12-23 2023-11-29 信越半導体株式会社 窒化物半導体基板の製造方法
WO2023127520A1 (ja) * 2021-12-27 2023-07-06 ローム株式会社 窒化物半導体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CN119013443A (zh) * 2022-03-14 2024-11-22 三菱化学株式会社 GaN外延基板
JP7682391B2 (ja) * 2022-06-28 2025-05-23 三菱電機株式会社 半導体装置
KR102773898B1 (ko) * 2023-08-16 2025-02-27 웨이브로드 주식회사 반도체 소자 성장용 복합기판 및 그 제조 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205146A (ja) * 2007-02-20 2008-09-04 Fujitsu Ltd 化合物半導体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JP2011082494A (ja) * 2009-09-14 2011-04-21 Covalent Materials Corp 化合物半導体基板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589043B2 (ja) 2004-07-14 2010-12-01 株式会社日立国際電気 データ伝送装置
JP4653671B2 (ja) * 2005-03-14 2011-03-16 株式会社東芝 発光装置
JP4792814B2 (ja) 2005-05-26 2011-10-12 住友電気工業株式会社 高電子移動度トランジスタ、電界効果トランジスタ、エピタキシャル基板、エピタキシャル基板を作製する方法およびiii族窒化物系トランジスタを作製する方法
US9331192B2 (en) * 2005-06-29 2016-05-03 Cree, Inc. Low dislocation density group III nitride layers on silicon carbide substrates and methods of making the same
JP5064824B2 (ja) 2006-02-20 2012-10-31 古河電気工業株式会社 半導体素子
JP4234180B2 (ja) * 2007-07-02 2009-03-04 三菱電機株式会社 窒化物系半導体積層構造の製造方法および半導体光素子の製造方法
JP4462330B2 (ja) * 2007-11-02 2010-05-12 住友電気工業株式会社 Iii族窒化物電子デバイス
JP2010123725A (ja) 2008-11-19 2010-06-03 Sanken Electric Co Ltd 化合物半導体基板及び該化合物半導体基板を用いた半導体装置
JP5696392B2 (ja) * 2010-07-29 2015-04-08 住友電気工業株式会社 半導体装置
JP6024075B2 (ja) * 2010-07-30 2016-11-09 住友電気工業株式会社 半導体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WO2012066701A1 (ja) * 2010-11-19 2012-05-24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窒化物半導体装置
JP2013033930A (ja) * 2011-06-29 2013-02-14 Sumitomo Electric Ind Ltd Iii族窒化物半導体素子、及び、iii族窒化物半導体素子の製造方法
US8796738B2 (en) 2011-09-21 2014-08-05 International Rectifier Corporation Group III-V device structure having a selectively reduced impurity concentration
KR101262726B1 (ko) * 2011-12-30 2013-05-09 일진엘이디(주) 탄소 도핑된 p형 질화물층을 포함하는 질화물계 발광소자 제조 방법
JP6002508B2 (ja) 2012-09-03 2016-10-05 住友化学株式会社 窒化物半導体ウェハ
CN105264651B (zh) * 2013-07-19 2017-10-03 夏普株式会社 场效应晶体管
JP2015053328A (ja) * 2013-09-05 2015-03-19 富士通株式会社 半導体装置
JP6283250B2 (ja) * 2014-04-09 2018-02-21 サンケン電気株式会社 半導体基板及び半導体素子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205146A (ja) * 2007-02-20 2008-09-04 Fujitsu Ltd 化合物半導体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JP2011082494A (ja) * 2009-09-14 2011-04-21 Covalent Materials Corp 化合物半導体基板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6233440A (zh) 2016-12-14
CN106233440B (zh) 2019-09-27
US9876101B2 (en) 2018-01-23
KR20160141756A (ko) 2016-12-09
JP6249868B2 (ja) 2017-12-20
TW201541635A (zh) 2015-11-01
WO2015159481A1 (ja) 2015-10-22
TWI596765B (zh) 2017-08-21
JP2015207624A (ja) 2015-11-19
US20170033209A1 (en) 2017-02-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21097B1 (ko) 반도체 기판 및 반도체 소자
TWI614895B (zh) 半導體基板及半導體元件
KR102174546B1 (ko) 반도체 디바이스 및 반도체 디바이스를 설계하는 방법
JP6371986B2 (ja) 窒化物半導体構造物
JP5064824B2 (ja) 半導体素子
JP5696392B2 (ja) 半導体装置
US9793363B1 (en) GaN semiconductor device comprising carbon and iron
JP6539128B2 (ja) 半導体デバイス用基板、半導体デバイス、並びに半導体デバイスの製造方法
WO2015008430A1 (ja) 半導体装置
US20160211357A1 (en) Semiconductor device
JP5810521B2 (ja) 高電子移動度トランジスタ
CN105990419A (zh) 半导体装置及其制造方法
JP2015201575A (ja) 半導体基板の製造方法、半導体素子の製造方法、半導体基板、並びに半導体素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5 International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61018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81210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0012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00420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00603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00603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