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107637B1 - 컨테이너용 이너백장치 - Google Patents

컨테이너용 이너백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07637B1
KR102107637B1 KR1020180158798A KR20180158798A KR102107637B1 KR 102107637 B1 KR102107637 B1 KR 102107637B1 KR 1020180158798 A KR1020180158798 A KR 1020180158798A KR 20180158798 A KR20180158798 A KR 20180158798A KR 102107637 B1 KR102107637 B1 KR 1021076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inner liner
contents
outlet
fixing mea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587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용덕
박경성민
Original Assignee
최용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용덕 filed Critical 최용덕
Priority to KR10201801587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0763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076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0763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90/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for large containers
    • B65D90/02Wall construction
    • B65D90/04Linings
    • B65D90/046Flexible liners, e.g. loosely positioned in the contain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7/00Securing or covering of load on vehicles
    • B60P7/06Securing of load
    • B60P7/13Securing freight containers or forwarding containers on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Packages (AREA)
  • Bag Frames (AREA)

Abstract

내용물이 용이하게 수납 또는 배출되면서도 제품의 내구성이 개선되도록, 본 발명은 컨테이너의 내측에 설치되며 내용물이 수납되는 수납공간을 갖는 컨테이너용 이너백장치에 있어서, 선택적으로 개방되는 투입구 및 배출구와, 공기가 외부로 유동되는 에어벤트구가 전면부측에 구비된 이너라이너; 상기 이너라이너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컨테이너의 내측에 고정되는 제1고정수단; 및 상기 컨테이너에 수용되는 상기 이너라이너의 하중이 지지되도록, 상기 이너라이너의 전면부를 감싸되 양단부가 상기 컨테이너의 내부 양측에 견인 고정되는 전면커버부와, 상기 전면커버부의 하단부와 연결되어 상기 이너라이너의 하면부가 안착되도록 연장되되 후방 단부에 상기 컨테이너의 내측 하부에 양측으로 가로질러 결합되는 고정프레임이 삽입되어 고정되도록 관통되는 터널부가 형성된 제2고정수단이 구비된 하면커버부를 포함하는 하중지지장치를 포함하는 컨테이너용 이너백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컨테이너용 이너백장치{inner bag apparatus for container}
본 발명은 컨테이너용 이너백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내용물이 용이하게 수납 또는 배출되면서도 제품의 내구성이 개선된 컨테이너용 이너백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표준화된 컨테이너 또는 박스는 지상 및 해상의 화물 선적용으로 널리 사용된다. 그리고, 상기 컨테이너는 실질적으로 일회용이 아니라 반복하여 사용된다. 따라서, 적재물의 수납으로 인하여 상기 컨테이너 내부면이 손상되거나 오염되면 그 사용수명이 단축될 수 있으므로 이에 대한 대비책이 필요하다.
이러한 대비책 중의 하나로써, 상기 적재물을 직접 상기 컨테이너의 내부에 수납하기보다는 별개의 포장재, 예컨대 고강도의 폴리비닐 또는 폴리에스테르 재질 등의 고분자 합성물로 제조된 이너라이너를 이용하는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이러한 이너라이너는 특히 적재물이 분체류인 경우 그 유용성이 증대된다.
상세히, 종래의 이너라이너는 상기 컨테이너의 내부공간과 실질적으로 대응되어 수용될 수 있는 직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이너라이너의 전면측에는 분체류 적재물을 상기 이너라이너의 내부에 수납하기 위한 투입구 및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배출구가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분체류 적재물을 상기 이너라이너의 내부에 수납시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한 공기배출구가 구비된다.
이때, 상기 투입구 및 상기 공기배출구는 상기 이너라이너의 전면측 상단부에 구비되며, 상기 배출구는 상기 이너라이너의 전면측 하단부에 구비된다. 또한, 상기 분체류 적재물을 수납시에는 상기 배출구가 폐쇄되고, 상기 분체류 적재물을 배출시에는 상기 투입구가 폐쇄되도록 상기 투입구 및 상기 배출구를 조여주는 조임수단이 구비된다.
여기서, 종래의 이너라이너는 상단부 외측에 고정수단이 구비되며, 상기 고정수단이 상기 컨테이너의 내부면에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분체류 적재물이 수납 또는 배출된다.
상세히, 상기 이너라이너가 상기 컨테이너의 내부에 고정된 상태에서 풍력이나 압력차를 이용하여 상기 분체류 적재물을 상기 투입구를 통해 상기 이너라이너의 내부로 수납시킨다. 그리고, 상기 배출구측이 하향 경사지도록 상기 컨테이너를 기울인 상태에서 중력에 의하거나 흡입풍 또는 흡입압을 이용하여 상기 분체류 적재물을 상기 배출구를 통해 외부로 배출시킨다.
여기서, 상기 분체류 적재물의 배출시, 상기 컨테이너가 기울면서 상기 고정수단과 상기 이너라이너가 재봉 또는 융착되어 연결된 부분에 상기 분체류 적재물의 하중이 집중된다. 특히, 상기 고정수단의 외측 가장자리 부분에 하중이 집중됨으로 인하여 연결된 부분이 찢어지거나 상기 이너라이너로부터 분리되는 경우가 발생하였다.
이로 인해, 상기 분체류 적재물이 수납된 상태의 상기 이너라이너 자체가 상기 컨테이너의 외부로 쏠리거나 낙하되며, 상기 이너라이너가 파손되면서 상기 분체류 적재물이 유출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분체류 적재물이 배출되는 압력 및 마찰력에 의해 상기 배출구의 내면이 마모되거나 쓸려 찢어지는 등 훼손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로 인해, 상기 분체류 적재물이 바람직한 위치로 배출되지 못하고 주위로 비산 또는 유출되어 경제적 손실을 초래하며, 주변이 오염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더욱이, 풍력 등을 이용하여 상기 분체류 적재물을 투입시 상기 공기배출구를 통하여 공기와 함께 상기 분체류 적재물이 비산 및 유출되어 경제적 손실을 야기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국 공개특허 제10-2005-0011707호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내용물이 용이하게 수납 또는 배출되면서도 제품의 내구성이 개선된 컨테이너용 이너백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과제로 한다.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컨테이너의 내측에 설치되며 내용물이 수납되는 수납공간을 갖는 컨테이너용 이너백장치에 있어서, 선택적으로 개방되는 투입구 및 배출구와, 공기가 외부로 유동되는 에어벤트구가 전면부측에 구비된 이너라이너; 상기 이너라이너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컨테이너의 내측에 고정되는 제1고정수단; 및 상기 컨테이너에 수용되는 상기 이너라이너의 하중이 지지되도록, 상기 이너라이너의 전면부를 감싸되 양단부가 상기 컨테이너의 내부 양측에 견인 고정되는 전면커버부와, 상기 전면커버부의 하단부와 연결되어 상기 이너라이너의 하면부가 안착되도록 연장되되 후방 단부에 상기 컨테이너의 내측 하부에 양측으로 가로질러 결합되는 고정프레임이 삽입되어 고정되도록 관통되는 터널부가 형성된 제2고정수단이 구비된 하면커버부를 포함하는 하중지지장치를 포함하되, 상기 전면커버부는 하단부측으로 갈수록 면적이 협소화되도록 형성되되 상기 이너라이너의 전면부와 한쌍의 측면부의 연결부분의 하단부측을 경사지게 커버하도록 상기 배출구와 대응되는 양측에 한쌍의 협소부가 형성되며, 상기 터널부의 수직간격보다 길게 형성되어 신장 변형 가능한 완충길이가 확보되어 상기 내용물의 하중에 의해 상기 제2고정수단에 가해지는 인장력이 분산되도록 상기 제2고정수단의 양측 개구부에는 단부가 중앙부측으로 향하여 라운드지게 구배진 구배단부가 형성되되, 상기 제2고정수단은 상기 하면커버부의 후방 단부에 일체로 연장 돌출되고 양측 모서리가 사선방향으로 절곡되어 상기 구배단부가 형성되도록 중첩된 후방여유부를 포개어 내부에 상기 터널부가 관통 형성되도록 재봉되어 형성되며, 상기 배출구의 내면 또는 외면에는 적어도 한겹 이상의 보강면부가 적층 형성되되, 상기 배출구와 상기 보강면부는 양단 테두리가 열융착되어 고정되되, 상기 내용물의 배출압력 및 마찰압력에 의해 상기 배출구가 상기 내용물의 배출방향으로 쓸림 및 쏠림을 방지하도록 상기 배출구와 상기 보강면부 사이는 길이방향을 따라 열융착되어 형성된 융착보강부에 의해 고정되되, 상기 융착보강부는 원주방향을 따라 이격되어 복수개로 형성되며, 공기의 유동시 상기 이너라이너의 내부에 수납된 상기 내용물의 유출이 방지되도록, 상기 에어벤트구의 내측에 망사부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용 이너백장치를 제공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상기의 해결 수단을 통해서,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제공한다.
첫째, 상기 이너라이너의 전면부 및 하면부를 동시에 감싸도록 별도로 구비되는 상기 하중지지장치를 통해 상기 내용물의 하중이 1차적으로 지지되며 상기 이너라이너에 구비된 상기 제1고정수단에 의해 상기 내용물의 하중이 2차적으로 보완 지지됨에 따라 상기 이너백장치가 안정적으로 고정되면서도 상기 이너라이너에 직접적으로 전달되는 인장력이 최소화되어 찢어짐 또는 파손이 방지될 수 있다.
둘째, 상기 하중지지장치의 후방 단부에 구비되는 상기 제2고정수단의 양측 개구부가 구배지게 형성됨에 따라 상기 고정프레임이 관통되어 고정된 상태에서 양단에 집중되는 하중에 의한 인장력이 분산될 수 있는 충분한 완충길이가 확보되므로 상기 제2고정수단의 파단 및 이로 인한 상기 이너백장치가 상기 컨테이너로부터 분리/낙하됨을 방지하여 제품의 내구성 및 안전성이 현저히 향상될 수 있다.
셋째, 상기 제2고정수단은 상기 하면커버부의 후방측으로 연장된 상기 후방여유부의 양측 모서리를 사선방향으로 절곡 후 내부에 상기 터널부가 형성되도록 포개어 재봉하는 간단한 방법으로 구비되면서도, 인장력이 집중되는 부분의 두께가 두꺼워짐과 동시에 완충길이가 증가하므로 내구성이 더욱 향상될 수 있다.
넷째, 상기 배출구의 내면 또는 외면에 적어도 한겹 이상의 보강면부가 적층 형성되되, 길이방향을 따라 열융착되어 형성된 복수개의 융착보강부에 의해 고정됨에 따라 상기 내용물의 배출시 배출압력 및 마찰력에 의한 상기 배출구의 마모 및 찢어짐을 방지하여 안정적인 배출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다.
다섯째, 상기 에어벤트구의 내측에 상기 망사부가 구비됨에 따라 상기 내용물의 투입 또는 배출시 발생하는 공기의 유동에 의하여 상기 이너라이너의 내부에 수납된 내용물이 비산되면서 함께 유동되더라도 외부로 유출됨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용 이너백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용 이너백장치에서 이너라이너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용 이너백장치에서 하중지지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용 이너백장치에서 제2고정수단을 나타낸 예시도.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용 이너백장치에서 제2고정수단의 변형예가 형성되는 과정을 나타낸 예시도.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용 이너백장치에서 배출구를 나타낸 예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용 이너백장치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용 이너백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용 이너백장치에서 이너라이너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용 이너백장치에서 하중지지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용 이너백장치에서 제2고정수단을 나타낸 예시도이고,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용 이너백장치에서 제2고정수단의 변형예가 형성되는 과정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그리고,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용 이너백장치에서 배출구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6b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용 이너백장치(100)는 컨테이너의 내측에 설치되며 내용물이 수납되는 수납공간을 갖도록 구비된다. 이때, 상기 컨테이너용 이너백장치(100)는 이너라이너(10), 제1고정수단(14) 및 하중지지장치(20)를 포함하여 구비된다. 이러한 컨테이너용 이너백장치(100)는 화물을 적재 및 운송하는 상기 컨테이너의 내부가 오염 또는 훼손됨을 방지하며, 상기 수납공간에 수납되는 내용물, 특히 분체상의 내용물을 보호하도록 설치되는 것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컨테이너용 이너백장치(100)가 상기 수납공간을 갖도록 구비된다 함은 실질적으로 상기 수납공간이 상기 이너라이너(10)에 형성되는 것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상세히, 도 1 내지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이너라이너(10)는 통상적으로 직육면체 형상으로 구비되는 상기 컨테이너의 내측공간과 실질적으로 대응되도록 6개의 면부를 갖도록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이너라이너(10)는 상기 내용물이 상기 컨테이너의 내측과 직접적으로 닿지 않도록 하여 상기 내용물뿐만 아니라 상기 컨테이너 자체를 보호한다. 따라서, 상기 이너라이너(10)를 제거하거나 교체하기만 하면 상기 컨테이너를 반복적으로 사용할 수 있어 경제적이다.
이때, 상기 이너라이너(10)는 유연성이 있는 재료를 사용하여 제조됨으로써 상기 내용물이 수납되지 않은 상태에서 부피가 최소화되도록 접어 보관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내용물을 수납시에는 정해진 공간에 최대한의 양의 내용물이 수납되도록 변형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이너라이너(10)는 화학적으로 안정하여 상기 내용물과의 반응성이 낮은 섬유재나 폴리에틸렌(polyethylene),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olyethylene terephthalate)와 같은 합성수지재 필름 또는 알루미늄 필름 등으로 제조됨이 바람직하다. 더욱이, 상기 이너라이너(10)는 각 면부를 형성하는 시트가 다층 필름으로 형성됨에 따라 상기 내용물이 더욱 안정적으로 보호 및 수납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이너라이너(10)는 전면부(10a), 후면부(10b), 상면부(10e), 하면부(10d) 및 한쌍의 측면부(10c)가 별도로 재단되되 각 테두리가 상호 재봉 또는 열융착되어 내부에 상기 수납공간이 형성되도록 제조될 수 있다. 또는, 상기 전면부(10a) 또는 상기 후면부(10b)가 상기 상면부(10e), 상기 하면부(10d) 및 상기 한쌍의 측면부(10c) 중 적어도 하나와 연결된 상태에서 각 테두리가 상호 재봉 또는 열융착되어 제조될 수도 있다. 즉, 상기 이너라이너(10)의 내부에 상기 수납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면 각 상기 면부가 공지된 다양한 방법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이너라이너(10)의 전면부(10a)에는 투입구(11), 배출구(12) 및 에어벤트구(13)가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이너라이너(10)의 전면부(10a)라 함은 상기 컨테이너의 도어부가 구비된 부분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컨테이너의 도어부가 개방되면, 상기 투입구(11), 상기 배출구(12) 및 상기 에어벤트구(13)가 외부로 노출되며, 상기 이너라이너(10)가 상기 컨테이너의 내측에 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내용물이 용이하게 수납 또는 배출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투입구(11) 및 상기 에어벤트구(13)는 상기 이너라이너(10)의 전면부(10a) 상측에 구비됨이 바람직하며, 상기 배출구(12)는 상기 이너라이너(10)의 전면부(10a) 하측에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투입구(11) 및 상기 배출구(12)가 선택적으로 개방되도록 조임수단이 구비된다. 이러한 조임수단은 상기 투입구(11) 및 상기 배출구(12)의 둘레를 따라 배치된 조임끈 등으로 구비될 수 있다. 즉, 상기 조임수단을 통해 상기 배출구(12)가 폐쇄된 상태에서 상기 수납공간에 상기 내용물이 수납될 수 있으며, 상기 조임수단을 풀면 상기 배출구(12)가 개방되면서 상기 내용물을 용이하게 배출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고정수단(14)은 상기 이너라이너(10)의 상부 외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컨테이너의 내부에 고정된다. 이러한 제1고정수단(14)은 상기 상면부(10e)의 적어도 각 꼭짓점에 구비됨이 바람직하며, 각 꼭짓점을 연결하는 모서리를 따라 복수개로 더 구비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제1고정수단(14)은 상기 컨테이너의 내측에 고정될 수 있는 구조라면 끈, 벨트, 체인, 고리 등과 같은 다양한 구성으로 구비될 수 있다.
한편,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하중지지장치(20)는 상기 이너라이너(10)의 전면부(10a) 및 하면부(10d)를 커버한 상태로 상기 컨테이너의 내측에 고정되도록 구비되며, 전면커버부(21) 및 하면커버부(22)를 포함하여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하중지지장치(20)를 통해 상기 이너라이너(10)의 전면부(10a) 및 하면부(10d)가 동시에 감싸여진 상태로 상기 컨테이너의 내측에 고정되면서 상기 내용물의 하중이 1차적으로 지지된다. 이와 동시에, 상기 이너라이너(10)에 구비된 상기 제1고정수단(14)에 의해 상기 내용물의 하중이 2차적으로 보완 지지됨에 따라 상기 컨테이너용 이너백장치(100)가 안정적으로 고정되면서도 상기 이너라이너(10)에 직접적으로 가해지는 인장력이 최소화되어 찢어짐 또는 파손이 방지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전면커버부(21) 및 상기 하면커버부(22)는 유연하면서도 상기 컨테이너에 수용되는 상기 내용물이 수납된 이너라이너(10)의 하중을 지지할 수 있는 강도를 가지는 천연섬유 또는 합성섬유 재질의 직물로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더욱이, 상기 하면커버부(22)와 상기 컨테이너의 내측 하면 사이의 마찰로 인한 마모 또는 정전기 발생 등이 방지되도록 상기 하면커버부(22)의 적어도 외면은 코팅층이 더 형성될 수도 있다.
상세히, 상기 전면커버부(21)는 상기 이너라이너(10)의 전면부(10a) 및 상기 이너라이너(10)의 전면부(10a)와 상기 한쌍의 측면부(10c)의 연결부분을 감싸되, 양단부가 상기 컨테이너의 내부 양측에 견인 고정되도록 구비된다.
이러한 전면커버부(21)는, 바람직하게는 상기 이너라이너(10)의 전면부(10a) 중 적어도 상기 배출구(12)가 형성된 하단측으로 커버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하중지지장치(20)를 통해 상기 이너라이너(10)의 전면부(10a)측이 감싸여진 상태에서도 상기 투입구(11) 및 상기 에어벤트구(13)가 외부로 노출되므로 상기 내용물을 용이하게 수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내용물의 수납시 하중이 점차 증가되더라도 상기 배출구(12) 및 상기 이너라이너(10)의 전면부(10a)와 상기 한쌍의 측면부(10c)의 연결부분이 상기 전면커버부(21)에 의해 이중으로 폐쇄된다. 그리고, 상기 내용물의 하역시 상기 전면커버부(21)에서 상기 배출구(12)가 커버된 부분을 절개하면, 내부에 커버되었던 상기 배출구(12)가 노출되면서 배출/하역작업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내용물의 배출이 필요한 상황 외에 상기 내용물의 유출이 실질적으로 방지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전면커버부(21)의 양단부에는 상기 컨테이너의 내측에 견인 고정될 수 있는 견인결속부(23)가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견인결속부(23)는 상기 내용물이 수납된 상기 이너라이너(10)의 하중을 지지할 수 있는 강도의 벨트로 구비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 체인, 노끈 등으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내용물이 수납된 상기 이너라이너(10)의 하중에 의한 파단이 방지되도록 상기 전면커버부(21)와 상기 견인결속부(23)가 중첩되어 연결되는 부분이 전체적으로 재봉됨이 바람직하다.
더욱이, 상기 내용물의 배출을 위해 상기 컨테이너를 기울일 경우, 상기 이너라이너(10)의 전면부(10a)측 하단부에 상기 내용물의 하중이 집중된다. 이때, 상기 이너라이너(10)가 안정적으로 고정된 상태가 유지되도록, 상기 전면커버부(21)의 하단부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하부보강결속부(23a,23b)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내용물의 하중에 의해 상기 이너라이너(10)의 전방측이 상기 컨테이너의 도어부 외측으로 돌출되거나, 상기 이너라이너(10)가 상기 컨테이너의 내측으로부터 이탈 또는 낙하됨을 방지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이너라이너(10)의 파손으로 인한 상기 내용물의 오염 또는 유실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내용물이 수납된 상기 이너라이너(10)의 낙하로 인하여 작업자의 부상 또는 주변 물품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전면커버부(21)는 하단부측으로 갈수록 면적이 협소화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배출구(12)와 대응되는 양측에 한쌍의 협소부(24)가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상세히, 상기 전면커버부(21)에는 상기 이너라이너(10)의 전면부(10a)와 상기 한쌍의 측면부(10c)의 연결부분의 하단부측을 경사지게 커버하는 상기 협소부(24)가 구비된다. 이를 통해, 상기 이너라이너(10)의 전면부(10a)측이 상기 내용물의 하중에 의해 하단부측으로 협소화되는 상기 전면커버부(21)와 밀착되면서 상기 배출구(12)측을 향하여 점진적으로 협소화되는 형상으로 변형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배출구(12)를 통하여 상기 내용물이 배출시 상기 배출구(12)와 상기 이너라이너(10)의 전면부(10a)가 수직으로 단차진 부분(도 2의 c)에 가해지는 배출압력이 완화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내용물의 배출시 하중 및 배출압력에 의해 상기 배출구(12) 및 상기 전면부(10a)측이 찢어지거나 파손됨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하면커버부(22)는 상기 전면커버부(21)의 하단부와 연결되어 상기 이너라이너(10)의 하면부(10d)가 안착되도록 연장되되, 후방 단부에는 제2고정수단(25)이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이너라이너(10)가 상기 컨테이너의 내측 하면에 직접 접촉되지 않고 상기 하면커버부(22)에 의해 이중으로 보호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이너라이너(10)의 하면부(10d)가 상기 컨테이너의 내측 하면과 마찰됨으로 인한 마모 또는 찢어짐을 방지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이너라이너(10)의 하면부(10d)는 상기 하면커버부(22)와 별도로 구비되되 양면테이프 등에 의해 상호 접착 고정됨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전술 및 후술되는 각 고정수단을 통하여 설치된 위치는 고정되면서도 직접적으로 가해지는 인장력이 최소화되어 파손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너라이너(10)의 후면부(10b)가 상기 컨테이너의 내측 후면에 직접 고정되는 대신에 상기 하면커버부(22)의 후방 단부에 구비된 상기 제2고정수단(25)이 고정된다. 따라서, 상기 이너라이너(10)의 하면부(10d) 및 후면부(10b)의 내구성은 향상되면서도 상기 내용물의 하중에 의한 인장력이 상기 이너라이너(10)의 하면부(10d) 및 후면부(10b)에 직접적으로 가해짐을 방지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내용물의 하중에 의한 상기 이너라이너(10)의 후방측 파단 또는 파손이 방지되므로 상기 내용물의 유출 및 이로 인한 상기 컨테이너 내측의 오염 또는 훼손, 경제적 손실 등이 방지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컨테이너의 내측 하부에는 양측으로 가로질러 결합되는 고정프레임(도 4의 A)이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제2고정수단(25)에는 상기 고정프레임(도 4의 A)이 삽입되어 고정되도록 관통된 터널부(27)가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내용물이 수납된 상기 이너라이너(10)는 상기 제1고정수단(14), 상기 견인결속부(23), 상기 하부보강결속부(23a,23b) 및 상기 제2고정수단(25)을 통해 하중이 지지된 상태로 상기 컨테이너의 내측에 설치 및 설치된 위치가 유지된다.
여기서, 상기 제2고정수단(25)의 양측 개구부에는 단부가 상기 제2고정수단(25)의 중앙부측을 향하여 라운드지게 구배진 구배단부(28)가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상세히,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제2고정수단(25)은 상기 하면커버부(22)의 후방 단부에 일체로 연장 돌출되는 후방여유부(26)를 포개어 내부에 상기 터널부(27)가 관통 형성되도록 재봉되어 구비된다. 이때, 도면에서 25a로 표시된 부분은 상기 터널부(27)가 관통 형성되도록 재봉된 재봉부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제1고정수단(14), 상기 견인결속부(23) 및 상기 하부보강결속부(23a)가 상기 컨테이너 내측에 고정되고 상기 제2고정수단(25)에 상기 고정프레임(A)이 삽입되어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이너라이너(10)에 상기 내용물이 수납된다. 이때, 상기 내용물의 배출을 위해 상기 컨테이너를 기울이면, 상기 내용물의 하중에 의해 상기 제2고정수단(25)에 인장력이 가해진다. 특히, 상기 재봉부(25a)의 양단(b)에 하중이 집중되는데, 본 발명은 하중이 집중되는 상기 제2고정수단(25)의 양단부가 원호형으로 구배지게 형성됨에 따라 인장력이 분산되면서 완충될 수 있는 완충길이가 확보될 수 있다.
즉, 상기 구배단부(28)의 전체적인 길이(w3)가 상기 터널부(27)의 수직간격(w1)보다 길게 형성되므로, 인장력에 의하여 직물이 신장 변형 가능한 완충길이가 현저히 증가한다. 이에 따라, 상기 구배단부(28)의 라운드진 프로파일을 따라 인장력이 분산되므로 상기 재봉부(25a)의 양단(b)에 하중이 집중됨을 방지할 수 있으며, 상기 제2고정수단(25)이 상기 하면커버부(22)로부터 분리됨을 방지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내용물의 하중에 의한 상기 이너라이너(10)의 파손, 찢어짐 및 이로 인한 상기 이너백장치(100)가 상기 컨테이너로부터 분리/낙하됨을 방지하여 제품의 내구성 및 안전성이 현저히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너라이너(10)의 파손으로 인한 상기 내용물의 유출이 방지되므로 상기 컨테이너와 그 주변의 오염 및 재화손실로 인한 경제성 저하 등의 문제가 미연에 방지될 수 있다.
더욱이, 상기 구배단부(28)가 라운드지게 형성됨에 따라 상기 구배단부(28)의 각 말단 사이의 전체적인 길이(w3)가 전체적으로 더욱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완충길이가 최대한으로 설정되므로 인장력이 더욱 안정적으로 분산되며, 상기 제2고정수단(25)이 견고하게 유지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구배단부(28)의 수평간격(w2)상기 터널부(27)의 수직간격(w1)에 대하여 85~115% 길이비율에 대응하여 설정됨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상기 터널부(27)의 수직간격(w1)이 25cm라면, 상기 구배단부(28)의 수평간격(w2)은 22~28cm 범위로 설정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내용물의 하중을 안정적으로 지지하면서도 상기 제2고정수단(25) 자체의 내구성이 저하됨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기 후방여유부(26)가 상기 하면커버부(22)로부터 일체로 연장된 것으로 설명 및 도시하였으나, 상기 후방여유부(26)는 상기 하면커버부(22)와 별도로 구비될 수도 있다. 즉, 상기 제2고정수단(25)은 상기 후방여유부(26)를 포개어 상기 터널부(27)가 형성되도록 길이방향 중첩 단부를 재봉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중첩 단부를 재봉하여 형성된 상기 재봉부(25a)가 상기 하면커버부(22)의 후방 단부에 덧대이거나 동시에 재봉 또는 열융착되어 일체로 형성되도록 구비될 수도 있다.
한편, 도 5a 내지 도 5b를 참조하면, 상기 제2고정수단(25)은 상기 하면커버부(22)의 후방 단부에 일체로 연장 돌출되되 양측 모서리(26a)가 사선방향으로 절곡되어 상기 구배단부(28)가 형성되도록 중첩된 상기 후방여유부(26)를 포개어 내부에 상기 터널부(27)가 관통 형성되도록 재봉될 수도 있다.
상세히, 상기 후방여유부(26)의 양측 모서리(26a), 특히 양측 꼭짓점 부분이 사선으로 중첩되도록 절곡된다. 그리고, 상기 후방여유부(26)의 양측 모서리(26a)가 사선으로 중첩된 상태에서 상기 후방여유부(26)를 포갠후 상기 터널부(27)가 관통 형성되도록 재봉됨에 따라 상기 제2고정수단(25)의 양단부에 상기 구배단부(28)가 형성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은 상기 제2고정수단(25)의 양측 개구부가 단지 라운드지게 절개되거나 사선으로 절곡되어 중첩되는 간단한 방법으로 상기 구배단부(28)가 형성될 수 있다. 더욱이, 상기 구배단부(28)가 중첩 절곡되어 형성되는 경우, 상기 내용물의 하중에 의한 인장력이 가해지는 부분이 다른 부분보다 두껍게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내용물의 하중이 집중되는 상기 재봉부(25a)의 양단(b) 및 상기 구배단부(28)의 테두리측이 더욱 견고하게 형성되므로 상기 내용물의 하중에 의한 파단이 현저히 최소화될 수 있다. 특히, 상기 하면커버부(22)의 적어도 일면이 코팅되지 않거나 얇은 두께로 형성되는 경우에도 두께 및 완충길이가 보완되므로 상기 내용물의 하중에 대한 지지강도 및 내구성이 현저히 향상될 수 있다.
한편, 도 6a를 참조하면, 상기 배출구(12)의 내면 또는 외면에는 적어도 한겹 이상의 보강면부(15)가 적층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배출구(12)와 상기 보강면부(15)의 양단 테두리는 열융착되어 고정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도면에서 h로 표시된 부분은 상기 배출구(12)와 상기 보강면부(15)의 양단 테두리가 열융착된 부분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이를 통해, 상기 내용물의 배출시 배출압력 및 마찰력에 의해 상기 배출구(12)가 마모되거나 찢어짐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내용물을 정확한 위치(예컨대, 수납포대 또는 수납함)에 배출할 수 있다.
더욱이, 도 6b를 참조하면, 상기 배출구(12)와 상기 보강면부(15) 사이는 길이방향을 따라 열융착되어 형성된 융착보강부(16)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융착보강부(16)는 상기 배출구(12)의 원주방향을 따라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어 복수개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배출구(12) 및 상기 보강면부(15)가 두겹 이상 다중으로 적층되면서도 일부분만이 일체로 고정된 상태로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내용물의 배출시 배출압력 및 마찰력에 의해 상기 보강면부(15)가 마모되거나 찢어지더라도 상기 배출구(12)가 이를 보완할 수 있으므로 상기 내용물이 안정적으로 배출될 수 있다. 이와 동시에, 상기 배출구(12)와 상기 보강면부(15)가 상기 융착보강부(16)에 의해 부분적으로 고정되므로 상기 내용물의 배출압력 및 마찰력에 의해 상기 배출구(12)가 상기 내용물의 배출방향으로 쓸림 및 쏠림을 방지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배출구(12)의 마모 및 찢어짐을 방지하므로 제품의 내구성이 현저히 향상되며, 안정적인 배출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도 1 내지 도 2를 참조하면, 공기의 유동시 상기 이너라이너(10)의 내부에 수납된 상기 내용물의 누출이 방지되도록, 상기 에어벤트구(13)의 내측에 망사부(17)가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상세히, 상기 내용물이 상기 투입구(11)를 통하여 상기 수납공간으로 수납되거나 상기 배출구(12)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시 상기 에어벤트구(13)를 통한 공기의 유동이 발생한다. 특히, 상기 내용물이 상기 투입구(11)를 통하여 수납시, 상기 이너라이너(10)의 내부에 잔존하는 공기가 상기 에어벤트구(13)를 통해 급속하게 유동되면서 상기 내용물이 비산 및 함께 외측으로 유출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에어벤트구(13)에 상기 망사부(17)가 형성됨에 따라 공기는 외부로 유동되면서도 상기 내용물의 유출이 방지되므로 경제적 손실을 방지할 수 있다.
또는, 상기 내용물이 상기 배출구(12)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시 흡입풍 또는 흡입압에 의해 외부 공기가 상기 에어벤트구(13)를 통해 유입되더라도, 상기 망사부(17)를 통해 공기와 함께 유입되는 이물질을 차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망사부(17)는 기설정된 공극 직경을 가지도록 구비되되, 상기 에어벤트구(13)의 내측에 일체로 재봉되어 고정될 수 있다. 또는, 상기 망사부(17)는 상기 에어벤트구(13)의 내경에 대응하는 크기로 구비되되, 상기 에어벤트구(13)와 지퍼 등의 부재에 의해 체결되도록 구비될 수도 있다. 즉, 상기 이너라이너(10)는 규격화되어 대량 생산되되, 상기 이너라이너(10)에 수납되는 상기 내용물의 입경에 대응되는 공극 직경의 상기 망사부(17)를 선택하여 체결될 수도 있다. 이를 통해, 상기 컨테이너용 이너백장치(100)의 생산성이 현저히 향상될 수도 있다.
이때,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구비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상술한 각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청구항에서 청구하는 범위를 벗어남 없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변형 실시되는 것은 가능하며, 이러한 변형예는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
10: 이너라이너 10a: 전면부
11: 투입구 12: 배출구
13: 에어벤트구 14: 제1고정수단
15: 보강면부 17: 망사부
20: 하중지지장치 21: 전면커버부
22: 하면커버부 23: 견인결속부
25: 제2고정수단 26: 후방여유부
27: 터널부 28: 구배단부
100: 컨테이너용 이너백장치 A: 고정프레임

Claims (5)

  1. 컨테이너의 내측에 설치되며 내용물이 수납되는 수납공간을 갖는 컨테이너용 이너백장치에 있어서,
    선택적으로 개방되는 투입구 및 배출구와, 공기가 외부로 유동되는 에어벤트구가 전면부측에 구비된 이너라이너;
    상기 이너라이너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컨테이너의 내측에 고정되는 제1고정수단; 및
    상기 컨테이너에 수용되는 상기 이너라이너의 하중이 지지되도록, 상기 이너라이너의 전면부를 감싸되 양단부가 상기 컨테이너의 내부 양측에 견인 고정되는 전면커버부와, 상기 전면커버부의 하단부와 연결되어 상기 이너라이너의 하면부가 안착되도록 연장되되 후방 단부에 상기 컨테이너의 내측 하부에 양측으로 가로질러 결합되는 고정프레임이 삽입되어 고정되도록 관통되는 터널부가 형성된 제2고정수단이 구비된 하면커버부를 포함하는 하중지지장치를 포함하되,
    상기 전면커버부는 하단부측으로 갈수록 면적이 협소화되도록 형성되되 상기 이너라이너의 전면부와 한쌍의 측면부의 연결부분의 하단부측을 경사지게 커버하도록 상기 배출구와 대응되는 양측에 한쌍의 협소부가 형성되며,
    상기 터널부의 수직간격보다 길게 형성되어 신장 변형 가능한 완충길이가 확보되어 상기 내용물의 하중에 의해 상기 제2고정수단에 가해지는 인장력이 분산되도록 상기 제2고정수단의 양측 개구부에는 단부가 중앙부측으로 향하여 라운드지게 구배진 구배단부가 형성되되, 상기 제2고정수단은 상기 하면커버부의 후방 단부에 일체로 연장 돌출되고 양측 모서리가 사선방향으로 절곡되어 상기 구배단부가 형성되도록 중첩된 후방여유부를 포개어 내부에 상기 터널부가 관통 형성되도록 재봉되어 형성되며,
    상기 배출구의 내면 또는 외면에는 적어도 한겹 이상의 보강면부가 적층 형성되되, 상기 배출구와 상기 보강면부는 양단 테두리가 열융착되어 고정되되, 상기 내용물의 배출압력 및 마찰압력에 의해 상기 배출구가 상기 내용물의 배출방향으로 쓸림 및 쏠림을 방지하도록 상기 배출구와 상기 보강면부 사이는 길이방향을 따라 열융착되어 형성된 융착보강부에 의해 고정되되, 상기 융착보강부는 원주방향을 따라 이격되어 복수개로 형성되며, 공기의 유동시 상기 이너라이너의 내부에 수납된 상기 내용물의 유출이 방지되도록, 상기 에어벤트구의 내측에 망사부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용 이너백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180158798A 2018-12-11 2018-12-11 컨테이너용 이너백장치 KR1021076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58798A KR102107637B1 (ko) 2018-12-11 2018-12-11 컨테이너용 이너백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58798A KR102107637B1 (ko) 2018-12-11 2018-12-11 컨테이너용 이너백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07637B1 true KR102107637B1 (ko) 2020-05-07

Family

ID=707335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58798A KR102107637B1 (ko) 2018-12-11 2018-12-11 컨테이너용 이너백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07637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47189A (ja) * 2000-03-07 2001-09-11 Showa Packs Kk コンテナ用のばら荷輸送装置
KR200235155Y1 (ko) * 2001-03-30 2001-10-10 최수홍 컨테이너용 라이너 백 구조
KR20050011707A (ko) 2003-07-22 2005-01-29 대크로 비.브이. 컨테이너용 라이너
JP2009062090A (ja) * 2006-10-20 2009-03-26 Nisshin Sansho Kk 外装容器に用いられる内装袋とその製造方法及びそれを用いた外装容器
KR20120021720A (ko) * 2010-08-13 2012-03-09 제일산업 주식회사 이물 유입 방지 및 이의 안전한 배출을 유도하는 유연성을 지닌 컨테이너 라이너의 배출 시스템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47189A (ja) * 2000-03-07 2001-09-11 Showa Packs Kk コンテナ用のばら荷輸送装置
KR200235155Y1 (ko) * 2001-03-30 2001-10-10 최수홍 컨테이너용 라이너 백 구조
KR20050011707A (ko) 2003-07-22 2005-01-29 대크로 비.브이. 컨테이너용 라이너
JP2009062090A (ja) * 2006-10-20 2009-03-26 Nisshin Sansho Kk 外装容器に用いられる内装袋とその製造方法及びそれを用いた外装容器
KR20120021720A (ko) * 2010-08-13 2012-03-09 제일산업 주식회사 이물 유입 방지 및 이의 안전한 배출을 유도하는 유연성을 지닌 컨테이너 라이너의 배출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390051A (en) Securing a liner within a flexible container
CN103282289B (zh) 包括容器和袋的丝容纳设备和结构
US7967161B2 (en) Container liner systems
US7506776B2 (en) Braceless liner
KR101892218B1 (ko) 컨테이너백
KR102492023B1 (ko) 컨테이너백 및 그의 제조방법
KR101491820B1 (ko) 컨테이너백
KR102107637B1 (ko) 컨테이너용 이너백장치
KR101964076B1 (ko) 컨테이너 백
KR101647251B1 (ko) 컨테이너 백
KR101459113B1 (ko) 컨테이너 백
BE1016534A5 (fr) Sangle et systeme de suspension pour une enveloppe de recipient de chargement de materiaux en vrac.
KR101459114B1 (ko) 다단 하이브리드벨트가 구비된 컨테이너백
SA516371623B1 (ar) حاوية مرنة متوسطة الحجم
KR101214121B1 (ko) 이물 유입 방지 및 이의 안전한 배출을 유도하는 유연성을 지닌 컨테이너 라이너의 배출 시스템
JP2022508585A (ja) 廃棄物を詰め込むためのフレキシブルコンテナ
JP5725645B2 (ja) 二重式フレキシブルコンテナの排出部構造
KR20240042699A (ko) 컨테이너백
US5542765A (en) Container for carrying flowable materials and related method
KR20160000781U (ko) 수용물을 확인할 수 있는 톤백
KR101475463B1 (ko) 컨테이너백용 이너라이너
US11292664B2 (en) Flexible large container with a seam-free useful space
KR102719338B1 (ko) 컨테이너백 및 그의 제조방법
KR101950211B1 (ko) 유독성 화합물 수납용 컨테이너백
JP2004345710A (ja) フレキシブルコンテナバッグ、およびその使用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81211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91015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00423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00428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00428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221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408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50304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