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647251B1 - 컨테이너 백 - Google Patents

컨테이너 백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47251B1
KR101647251B1 KR1020150025393A KR20150025393A KR101647251B1 KR 101647251 B1 KR101647251 B1 KR 101647251B1 KR 1020150025393 A KR1020150025393 A KR 1020150025393A KR 20150025393 A KR20150025393 A KR 20150025393A KR 101647251 B1 KR101647251 B1 KR 10164725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bag
cargo
portions
side portions
end sid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253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채용호
김호용
홍석인
Original Assignee
코리마산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56712698&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101647251(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코리마산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코리마산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0253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47251B1/ko
Priority to PCT/KR2016/001718 priority patent/WO2016137184A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472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47251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90/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for large conta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8/00Large containers
    • B65D88/16Large containers flexib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ackages (AREA)
  • Bag Fram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내부에 분체 또는 분말 형태의 화물을 적재할 수 있는 직육면체 형태의 컨테이너 백으로서, 상기 컨테이너 백의 본체를 형성하는 4개의 측면부에 있어서 인접한 2개의 측면부 사이에 지지부가 마련되며, 상기 지지부는 상기 화물의 슬립(slip)을 방해하지 않도록 코드(cord) 또는 스트랩(strap) 형태로 이루어지며, 상기 지지부와 상기 측면부가 접하는 지점은 상기 측면부를 세로 방향으로 3분하는 영역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 백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컨테이너 백{CONTAINER BAG}
본 발명은 컨테이너 백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배불림 현상을 방지하고 화물을 내부에 균일하게 충전할 수 있는 화물 운반용 컨테이너 백에 관한 것이다.
컨테이너 백(container bag)은 화학 제품(분체 또는 분말), 곡물, 곡분, 사료, 비료, 석재, 흙, 시멘트 등의 다양한 제품을 적재하고 이를 운반하기 위한 용도로 널리 사용된다. 특히, 최근에는 선박이나 차량을 이용하여 대용량의 벌크(bulk) 제품, 즉 비드(bead), 그래뉼(granule), 펠릿(pellet), 플레이크(flake) 등의 형태로 된 제품을 이송하기 위하여 컨테이너 백이 많이 사용되고 있다.
컨테이너 백은 일반적으로 수백 Kg 내지 수 톤(ton)에 이르는 무게의 화물을 적재하며, 통상적으로 합성수지(PP, PE 등)를 원료로 하여 만들어진 원단으로 제조되는 경우가 많다. 컨테이너 백은 화물의 종류나 사용처, 용도 등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제조되며, 특히 화물의 수용 및 배출, 그리고 운반을 위하여 특별한 재질, 형상 및 구조를 갖게 된다.
컨테이너 백의 전체 형상은 사용처에 따라 직육면체 타입과 원통형 타입으로 대별된다. 또한 화물의 수용 및 배출을 위해 컨테이너 백의 상부에 화물 유입부를 가지며, 그 하부에 화물 유출부를 가질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는 컨테이너 백의 상측에 하나의 유출입부를 마련하고, 이 유출입부를 통해 화물을 주입 및 배출하는 경우도 있다. 또한 컨테이너 백을 하역(loading/unloading)하거나 근거리 이송하기 위하여 컨테이너 백의 상부 또는 측부에 손잡이(handle)가 마련될 수 있다. 이 손잡이는 형태에 따라 로프형(rope type)과 벨트형(belt type)으로 대별되며, 컨테이너 백에 부착된 벨트(또는 로프) 중 일부를 로프(또는 벨트)를 이용하여 서로 연결한 형태(belt with rope type, 또는 belt with belt type 등)가 사용될 수도 있다.
컨테이너 백은 포대, 벌크백, 벌크 컨테이너, 점보백, FIBC(flexible intermediate bulk container) 등 다양한 명칭으로 불리기도 한다.
도 1을 참조하면, 컨테이너 백(100)은 직육면체 형상의 본체(바디)로 이루어지며, 이 본체는 4개의 측면부(110a; 110b; 110c; 110d)와 상면부(112) 및 하면부(114)로 이루어진다.
상면부(112)에는 화물을 본체에 주입하기 위한 화물 유입부(120)가 마련되며, 이 화물 유입부(120)에는 개구를 폐쇄하기 위한 조임줄(121)이 마련된다. 조임줄(121)과는 별도로 또는 조임줄(121)과 함께 조임 스트랩 또는 기타의 개구 폐쇄 구조가 마련될 수 있다.
상면부(112)와 유사하게, 하면부(114)에는 화물을 본체로부터 배출하기 위한 화물 유출부(130)가 마련되며, 이 화물 유출부(130)에는 개구를 폐쇄하기 위한 조임줄(131)이 마련된다. 조임줄(131)과는 별도로 또는 조임줄(131)과 함께 조임 스트랩 또는 기타의 개구 폐쇄 구조가 마련될 수 있다.
4개의 측면부(110a; 110b; 110c; 110d) 중 서로 인접한 측면부(110a; 110b; 110c; 110d)의 상면에는 컨테이너 백(100)의 하역 및 이송을 위한 손잡이부(140)가 마련된다.
이러한 컨테이너 백(100)에 화물, 특히 분체나 분말 형태의 화물을 적재하면 측면부의 중앙 쪽에 높은 압력이 가해져 결국 컨테이너 백(100)의 측면부가 불룩해지는 배불림 현상이 나타난다. 이러한 배불림 현상은 컨테이너 백(100)을 한정된 공간에 밀집해 적재하는 데에 있어 방해 요인이 되며, 또한 적재되어 있는 컨테이너 백(100)의 측면부가 서로 과도하게 접촉함으로써, 장기간 운송시 컨테이너 백(100)이 서로 마찰되어 손상되는 문제도 발생한다. 또한 컨테이너 백(100)을 다층으로 적재하는 경우 어느 한쪽으로 넘어지거나 미끄러지는 경우도 발생한다.
도 2를 참조하면, 이러한 배불림 현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컨테이너 백(100)의 서로 인접한 측면부(110a; 110b)의 내측에 배플(baffle)(150)을 마련할 수 있다. 배플(150)은 서로 인접한 측면부(110a; 110b)의 중앙부를 상호 연결하여 지지함으로써 측면부가 불룩해지는 현상을 방지한다. 직육면체 형상의 컨테이너 백(100)의 내부에는 총 4개의 배플(150)이 마련될 수 있다.
배플(150)에는 분체 또는 분말형 화물이 유통될 수 있도록 다양한 형상의 개구부(151)가 마련된다. 배플(150)의 양측 단부(152; 153)는 측면부(110a; 110b)의 내측에 봉재사(160)로 결합될 수 있다.
컨테이너 백(100)의 내부에 배플(150)을 마련함으로써 배불림 현상을 줄일 수는 있으나, 화물 적재시 다음과 같은 문제가 발생한다. 도 3을 참조하면, 분체/분말과 같은 알갱이 형태의 화물(P)은 컨테이너 백(100)의 상측으로부터 적재될 경우, 알갱이의 슬립성으로 인해 하측 중앙부에 화물(P)이 쌓이고 경사면을 따라 주변부로 화물(P)이 흘러내려가(슬립) 적재되는데, 컨테이너 백(100) 내부의 배플(150)에 의해 화물(P)의 슬립이 방해가 되어 컨테이너 백(100)의 코너 측에 화물(P)이 잘 적재되지 않는 문제가 발생며, 이로 인해 화물에 충진된 컨테이너 백(100)의 이송 혹은 컨테이너 백(100)의 하역에 필요한 2단 적층시 상단부의 컨테이너 백(100)의 균형 상실로 무너질 가능성이 있다. 이러한 문제는 배플(150)의 개구부(151)가 아닌 부분에서 특히 두드러진다(도 3의 b 참조). 또한, 배플(150)로 인해 화물의 배출에도 문제가 생기는 경우가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배불림 현상을 방지하고 화물을 내부에 균일하게 충전할 수 있는 화물 운반용 컨테이너 백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내부에 분체 또는 분말 형태의 화물을 적재할 수 있는 직육면체 형태의 컨테이너 백으로서, 상기 컨테이너 백의 본체를 형성하는 4개의 측면부에 있어서 인접한 2개의 측면부 사이에 지지부가 마련되며, 상기 지지부는 상기 화물의 슬립(slip)을 방해하지 않도록 코드(cord) 또는 스트랩(strap) 형태로 이루어지며, 상기 지지부와 상기 측면부가 접하는 지점은 상기 측면부를 세로 방향으로 3분하는 영역에 형성되며, 상기 지지부는, 상기 측면부와 결합되는 양단측 결합부, 및 상기 결합부 사이를 잇는 끈 부재를 가지며, 상기 양단측 결합부는 상기 측면부와는 별개의 부재로 마련되어 상기 측면부와 봉재사에 의해 결합되며, 상기 끈 부재는 상기 양단측 결합부를 지그재그 형태로 잇는 하나의 끈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끈 부재는 상기 양단측 결합부에 미리 결합되어 있고, 상기 양단측 결합부를 상기 봉재사에 의해 상기 측면부에 결합함으로써, 상기 지지부는 상기 컨테이너 백의 내부에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 백을 제공한다.
삭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끈 부재는, 상기 양단측 결합부를 지그재그 형태로 잇는 하나의 끈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삭제
삭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측면부와 봉재사 사이에는 직조 또는 비직조 형태의 보강재가 마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다양한 화물을 적재할 수 있는 직육면체 형태의 컨테이너 백에 있어서 본체의 배불림 현상을 방지하고, 화물을 내부에 균일하게 충전할 수 있게 된다.
특히, 분체 또는 분말 형태의 화물에 있어서 알갱이의 슬립(slip)을 방해하지 않아 종래의 배플에 비해 보다 많은 양의 화물을 균일하게 적재할 수 있고, 또한 화물의 배출도 원활히 이루어지게 된다.
본 발명의 효과는 상기한 효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또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구성으로부터 추론 가능한 모든 효과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컨테이너 백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컨테이너 백의 내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도 1의 컨테이너 백에 화물을 충전하는 과정을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 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도 4의 컨테이너 백에 마련된 지지부의 여러 실시예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6은 도 4의 컨테이너 백에 화물을 충전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손잡이부 형상을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8은 도4의 컨테이너 백에 마련된 지지부의 부착 과정을 나타낸 개략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따라서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부재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구비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 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 백(10)은 내부에 분체 또는 분말 형태의 화물을 적재할 수 있는 직육면체 형태로 이루어진다.
컨테이너 백(10)의 본체(바디)를 형성하는 4개의 측면부에 있어서 인접한 2개의 측면부(11a; 11b) 사이에는 지지부가 마련된다. 지지부는 화물의 슬립(slip)을 방해하지 않도록 코드(cord) 또는 스트랩(strap) 형태를 취하는 끈 부재(2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슬립이란, 분체 또는 분말과 같은 알갱이 형태의 화물이 컨테이너 백(10)의 본체 내에 적재되거나 또는 배출될 때 표면에서 일종의 유체와 같이 미끄러지는 현상을 말한다.
즉, 컨테이너 백(10)의 본체 내에 마련된 끈 부재(20)는 화물 적재시 인접한 측면부(11a; 11b)를 지지함으로써, 배불림 현상이 일어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이로써 컨테이너 백(10)이 안정적으로 직립하여 적재될 수 있고, 특히 한정된 공간, 예컨대 컨테이너 박스나 화물선, 화물차량 내에 다수의 컨테이너 백(10)이 적재될 경우 적재에 사용되지 않는 불필요한 공간(dead space)이 줄어든다.
또한, 컨테이너 백(10)의 본체 내에 마련된 끈 부재(20)로 인해 분체 또는 분말 형태의 화물에 있어서 알갱이의 슬립이 방해되지 않아 종래의 배플과 같은 지지부재에 비해 보다 많은 양의 화물을 균일하게 적재할 수 있으며, 또한 화물의 배출도 보다 원활히 이루어지게 된다.
한편, 지지부로서의 끈 부재(20)와 측면부(11a; 11b)가 접하는 지점은 측면부(11a; 11b)를 세로 방향으로 3분하는 영역에 형성될 수 있다. 측면부(11a; 11b)를 세로 방향으로 3분하는 영역은, 측면부(11a; 11b)를 가로 방향으로 균등하게 3분하는 지점에 마련될 수도 있고, 비균등하게 3분하는 지점에 마련되는 것도 가능하다.
지지부는, 끈 부재(20)와 함께, 측면부(11a; 11b)와 결합되는 양단측 2개의 결합부(30a, 30b)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끈 부재(20)는 양단측 결합부(30a, 30b) 사이를 잇는 형태로 마련된다. 양단측 결합부(30a, 30b)는 예컨대 컨테이너 백(10)의 본체(또는 측면부)와 동일한 재질로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양단측 결합부(30a, 30b)는 끈 부재(20)를 지탱하는 동시에 이 끈 부재(20)를 측면부(11a; 11b)와 결합시키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도 4에서와 같이 양단측 결합부(30a, 30b)는 측면부(11a; 11b)의 내측에 있어서 측면부(11a; 11b)를 세로 방향으로 3분하는 영역에 결합될 수 있다.
한편, 도 4에서는 컨테이너 백(10) 내부에 마련된 1개의 지지부 형상을 나타내고 있으나, 컨테이너 백(10) 본체의 4개 측면부 코너마다 지지부가 결합될 수 있으므로, 총 4개의 지지부가 마련될 수 있다. 또한 경우에 따라 일부 지지부를 마련하지 않거나, 어느 한 코너에 지지부를 중복하여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5는 도 4의 컨테이너 백에 마련된 지지부의 여러 실시예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여기서는 양단측 결합부(30a, 30b)를 생략하고 끈 부재(20)의 구조만을 나타낸다.
도 5의 (a)에서와 같이 끈 부재(20)는 양단측 결합부를 지그재그 형태로 잇는 하나의 끈(21)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양측 단부에 있어서 끈(21) 사이의 간격(피치)에 따라 전체 끈(21)의 길이가 정해지고, 이 전체 끈(21)의 길이에 따라 인접한 측면부를 지지하는 인장력이 결정되므로, 화물의 적재 무게 등에 따라 적절한 설계가 이루어져야 한다.
한편 끈 부재(20)는 양단측 결합부를 잇는 복수개의 끈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예컨대, 도 5의 (b)와 같이 2개의 끈(21, 22)이 동일한 방향으로 지그재그 형태를 이룰 수 있으며, 도 5의 (c)와 같이 2개의 끈(21, 22)이 서로 다른 방향으로 지그재그 형태를 이룰 수도 있다. 또한, 도 5의 (d)와 같이 다수개의 끈(21, 22, 23 등)이 사다리 형태를 이룰 수도 있다. 하나의 끈(21)으로 이루어진 끈 부재(20)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화물의 적재 무게 등에 따라 적절한 끈의 개수와 간격, 재질 등이 결정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6은 도 4의 컨테이너 백에 화물을 충전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의 (b)의 경우와 달리 컨테이너 백(10)의 내부에 마련된 지지부로서의 끈 부재(20)는 화물(P)이 적재될 경우 슬립되는 것을 방해하지 않아 컨테이너 백(10)의 코너 측(도 6에서 컨테이너 백의 양쪽 모서리)에 화물(P)이 균일하게 적재될 수 있으며, 또한 화물(P)의 배출도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컨테이너 백(10)은 그 용도나 사용처, 화물의 종류 등에 따라 다양한 형상이나 구조를 가지며 다양한 부속 부재가 마련될 수 있다. 예컨대, 화물 유입부나 유출부, 이러한 화물 유입부 및 유출부에 마련되는 조임줄이나 조임 스트랩, 하역 및 이송을 위한 손잡이 등이 컨테이너 백(10)에 마련될 수 있으며(도 1 참조), 이러한 부속 부재에 대해서는 종래에 잘 알려져 있으므로 상세는 생략하기로 한다.
한편, 도 7을 참조하여 다른 형태의 손잡이부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손잡이부 형상을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1의 경우와 달리 도 7에 따른 컨테이너 백(10)에는 손잡이부(50)가 본체 측면부(11a, 11b)의 상측 모서리 일부가 아닌, 본체 측면부(11a, 11b)와 세로 방향으로 길게 결합된다. 예컨대 손잡이부(50)의 상부는 하역 및 이송시 갈고리가 결합되는 영역이 되고, 손잡이부(50)의 하부는 측면부(11a, 11b)에 길게 결합되어 보강 부재의 역할을 할 수 있다. 또한 측면부(11a, 11b)에 결합된 손잡이부(50) 영역은 미도시된 지지부(끈 부재)의 양단측 결합부의 기능을 할 수도 있다.
다음으로, 도 8은 도4의 컨테이너 백에 마련된 지지부의 부착 과정을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8 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단측 결합부(30a, 30b)에 끈 부재(20)가 결합되어 있는 지지부를 준비하고, 이 지지부의 양단측 결합부(30a, 30b) 중 어느 하나의 결합부(30a)를 어느 하나의 측면부(11a)에 결합한 후(도 8의 (b)), 나머지 하나의 결합부(30b)를 인접한 다른 하나의 측면부(11b, 미도시)에 결합하여 지지부를 컨테이너 백(10)의 내부에 부착할 수 있다. 여기서 설명한 부착과정은 일례에 불과하며, 여러 가지 다양한 방법이 사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양단측 결합부(30a, 30b)는 측면부(11a, 11b)와 봉재사(40)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또한, 도 8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측면부(11a, 11b)와 봉재사(40) 사이에는 보강재(60)가 개재될 수 있다. 보강재(60)는 직조 또는 비직조 형태의 끈, 띠, 스트랩 등이 될 수 있으며, 예컨대 필러 코드(filler cord) 또는 부직포일 수 있다. 이와 달리, 봉재사(40)로 접합되는 측면부(11a, 11b)를 중첩하여, 즉 측면부(11a, 11b)를 겹쳐놓고 여기에 봉재사(40)로 재봉을 함으로써 보강재(60)를 대신하는 것도 가능하다. 즉 본 발명에 있어서 보강재(60)는 별도의 직조/비직조 부재일 수도 있고, 중첩된 원래의 측면부(11a, 11b) 원단를 일컫는 것일 수도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끈 부재를 갖는 지지부를 내측에 설치한 컨테이너 백(10)을 이용함으로써, 화물을 적재할 수 있는 직육면체 형태의 컨테이너 백(10)에 있어서 본체의 배불림 현상을 방지하고, 화물을 내부에 균일하게 충전할 수 있게 된다. 특히, 분체 또는 분말 형태의 화물에 있어서 알갱이의 슬립을 방해하지 않아 종래의 배플을 이용하는 경우에 비해 보다 많은 양의 화물을 균일하게 적재할 수 있고, 또한 화물의 배출도 원활히 이루어지게 된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컨테이너 백
11: 측면부
20: 끈 부재
30: 결합부
40: 봉재사
50: 보강재

Claims (6)

  1. 내부에 분체 또는 분말 형태의 화물을 적재할 수 있는 직육면체 형태의 컨테이너 백(10)으로서,
    상기 컨테이너 백(10)의 본체를 형성하는 4개의 측면부에 있어서 인접한 2개의 측면부(11a; 11b) 사이에 지지부가 마련되며,
    상기 지지부는 상기 화물의 슬립(slip)을 방해하지 않도록 코드(cord) 또는 스트랩(strap) 형태로 이루어지며, 상기 지지부와 상기 측면부(11a; 11b)가 접하는 지점은 상기 측면부(11a; 11b)를 세로 방향으로 3분하는 영역에 형성되며,
    상기 지지부는, 상기 측면부(11a; 11b)와 결합되는 양단측 결합부(30a, 30b), 및 상기 결합부 사이를 잇는 끈 부재(20)를 가지며,
    상기 양단측 결합부(30a, 30b)는 상기 측면부(11a; 11b)와는 별개의 부재로 마련되어 상기 측면부(11a; 11b)와 봉재사(40)에 의해 결합되며,
    상기 끈 부재(20)는 상기 양단측 결합부(30a, 30b)를 지그재그 형태로 잇는 하나의 끈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끈 부재(20)는 상기 양단측 결합부(30a, 30b)에 미리 결합되어 있고, 상기 양단측 결합부(30a, 30b)를 상기 봉재사(40)에 의해 상기 측면부(11a; 11b)에 결합함으로써, 상기 지지부는 상기 컨테이너 백(10)의 내부에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 백.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부(11a; 11b)와 봉재사(40) 사이에는 직조 또는 비직조 형태의 보강재(60)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 백.
KR1020150025393A 2015-02-23 2015-02-23 컨테이너 백 Active KR101647251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25393A KR101647251B1 (ko) 2015-02-23 2015-02-23 컨테이너 백
PCT/KR2016/001718 WO2016137184A1 (ko) 2015-02-23 2016-02-22 컨테이너 백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25393A KR101647251B1 (ko) 2015-02-23 2015-02-23 컨테이너 백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47251B1 true KR101647251B1 (ko) 2016-08-09

Family

ID=567126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25393A Active KR101647251B1 (ko) 2015-02-23 2015-02-23 컨테이너 백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647251B1 (ko)
WO (1) WO2016137184A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40562A (ko) * 2018-06-12 2019-12-20 최방림 페어 유니트를 갖는 컨테이너백
KR102137966B1 (ko) 2019-02-14 2020-07-27 코리마산업 주식회사 컨테이너백
KR102312193B1 (ko) * 2020-07-09 2021-10-13 박형욱 배부름 방지 기능을 갖는 컨테이너 백
KR102454689B1 (ko) 2021-12-22 2022-10-13 주식회사 에이치앤지 오일 화물 운송용 플렉시백의 잔량 오일 수집 장치 및 방법
KR20230018251A (ko) 2021-07-29 2023-02-07 (주)티피에스코리아 배플, 배플의 제조 방법 및 이를 구비하는 컨테이너 백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18303A (ko) * 2004-08-24 2006-03-02 이광주 복수본 경사 보강부가 형성된 마대
KR20060053451A (ko) * 2004-11-16 2006-05-22 (주)동주피엔씨 팽창방지구조를 갖는 대용량 포대
KR200422738Y1 (ko) * 2006-05-19 2006-07-31 신림산업 주식회사 콘테이너 백
KR101397623B1 (ko) * 2013-07-12 2014-05-23 김흥이 사각 형상유지가 가능한 저온 저장용 톤백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34485A (ja) * 1994-02-08 1996-02-06 Mulox Ibc Ltd 袋容器の製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18303A (ko) * 2004-08-24 2006-03-02 이광주 복수본 경사 보강부가 형성된 마대
KR20060053451A (ko) * 2004-11-16 2006-05-22 (주)동주피엔씨 팽창방지구조를 갖는 대용량 포대
KR200422738Y1 (ko) * 2006-05-19 2006-07-31 신림산업 주식회사 콘테이너 백
KR101397623B1 (ko) * 2013-07-12 2014-05-23 김흥이 사각 형상유지가 가능한 저온 저장용 톤백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40562A (ko) * 2018-06-12 2019-12-20 최방림 페어 유니트를 갖는 컨테이너백
KR102106207B1 (ko) * 2018-06-12 2020-04-29 최방림 페어 유니트를 갖는 컨테이너백
KR102137966B1 (ko) 2019-02-14 2020-07-27 코리마산업 주식회사 컨테이너백
KR102312193B1 (ko) * 2020-07-09 2021-10-13 박형욱 배부름 방지 기능을 갖는 컨테이너 백
KR20230018251A (ko) 2021-07-29 2023-02-07 (주)티피에스코리아 배플, 배플의 제조 방법 및 이를 구비하는 컨테이너 백
KR102454689B1 (ko) 2021-12-22 2022-10-13 주식회사 에이치앤지 오일 화물 운송용 플렉시백의 잔량 오일 수집 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6137184A1 (ko) 2016-09-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47251B1 (ko) 컨테이너 백
US7506776B2 (en) Braceless liner
KR101874264B1 (ko) 컨테이너백
KR101922377B1 (ko) 배플 타입 컨테이너 백
EP2001769B1 (en) Container bag for granular materials
US9193523B2 (en) Reinforcing or restraining strap or gusset system for rear wall member of bulk material cargo container liner
US20120281932A1 (en) Flexible bulk storage container having a discharge chute
EP2785616B1 (en) Container system comprising a "big bag", a support and a rope
KR101696884B1 (ko) 컨테이너백
KR101803469B1 (ko) 외피에 삽입된 내피를 갖는 인서트 구조의 컨테이너백
WO2003020611A1 (en) Flexible container with net support for free-flowing bulk materials
KR20040027809A (ko) 콘테이너 백
US20140154045A1 (en) Flexible freight bag and method of transferring cargo using the same
KR101459113B1 (ko) 컨테이너 백
KR101964076B1 (ko) 컨테이너 백
KR102010193B1 (ko) 콘테이너 백
KR101803470B1 (ko) 오버랩 구조의 컨테이너백 제조방법 및 그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컨테이너백
EP3105149B1 (en) Flexible intermediate bulk container (fibc)
KR101459114B1 (ko) 다단 하이브리드벨트가 구비된 컨테이너백
KR102068975B1 (ko) 컨테이너 백
KR102312193B1 (ko) 배부름 방지 기능을 갖는 컨테이너 백
KR102426062B1 (ko) 컨테이너 백
JP6822795B2 (ja) フレキシブルコンテナ
KR101891726B1 (ko) 평탄안내가이드 및 평탄안내가이드가 부착된 컨테이너백
US20140198999A1 (en) Compartment bulk ba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50223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5111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AMND Amendment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160429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51117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AMND Amendment
PX0901 Re-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X09011S01I

Patent event date: 20160429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9012R01I

Patent event date: 20160118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X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after re-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60713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X07013S01D

Patent event date: 20160628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7012R01I

Patent event date: 20160429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7011S01I

Patent event date: 20160118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7012R01I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60803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60803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J204 Request for invalidation trial [patent]
PJ0204 Invalidation trial for patent

Patent event date: 20170822

Comment text: Request for Trial

Patent event code: PJ02042R01D

Patent event date: 20160803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code: PJ02041E01I

Appeal kind category: Invalidation

Request date: 20170822

Decision date: 20180115

Appeal identifier: 2017100002641

PJ1201 Withdrawal of trial

Patent event code: PJ12011R01D

Patent event date: 20180115

Comment text: Written Withdrawal of Request for Trial

Appeal identifier: 2017100002641

Request date: 20170822

Appeal kind category: Invalidation

Decision date: 201801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02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702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514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518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516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523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