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459113B1 - 컨테이너 백 - Google Patents

컨테이너 백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59113B1
KR101459113B1 KR20140101282A KR20140101282A KR101459113B1 KR 101459113 B1 KR101459113 B1 KR 101459113B1 KR 20140101282 A KR20140101282 A KR 20140101282A KR 20140101282 A KR20140101282 A KR 20140101282A KR 101459113 B1 KR101459113 B1 KR 1014591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de wall
center
portions
lifting belt
container bag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201401012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용덕
Original Assignee
최용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용덕 filed Critical 최용덕
Priority to KR201401012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5911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591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59113B1/ko
Priority to PCT/KR2015/007927 priority patent/WO2016021867A1/ko
Priority to AU2015299917A priority patent/AU2015299917B2/en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33/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sacks or bags
    • B65D33/02Local reinforcements or stiffening inserts, e.g. wires, strings, strips or fram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33/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sacks or bags
    • B65D33/14Suspension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8/00Large containers
    • B65D88/16Large containers flexi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8/00Large containers
    • B65D88/16Large containers flexible
    • B65D88/22Large containers flexible specially adapted for transpor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ackages (AREA)

Abstract

내용물 충전시 안정적인 직립형태를 유지하여 동일한 규격의 컨테이너 백에 최대의 적재량을 수용하되, 적재를 위한 다단 적층 시 안정성이 향상되도록, 분체류가 수납되는 내부 공간을 형성하도록 복수개로 구비되어 각각의 양측단부가 상호 연결되되 하부폭이 상부폭보다 넓게 형성되어 양측단부에 절곡부가 형성되는 측벽부와, 중앙부에 삽입관부가 형성되어 상기 측벽부의 상단부에 연결되는 덮개부와, 상기 측벽부의 하단부에 연결되는 바닥부를 포함하는 몸체부; 및 상기 덮개부의 상측으로 돌출되는 고리부와, 상기 고리부의 양단부에 각각 연결되되 하나의 측벽부 중앙부 및 인접한 다른 측벽부 중앙부를 따라 각각 결합되는 결합부와, 상기 각 결합부의 하단에 연결되되 상기 바닥부에 결합되는 하부지지부를 포함하는 복수개의 인양벨트를 포함하는 컨테이너 백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컨테이너 백{container bag}
본 발명은 컨테이너 백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내용물 충전시 안정적인 직립형태를 유지하여 동일한 규격의 컨테이너 백에 최대의 적재량을 수용하되, 적재를 위한 다단 적층 시 안정성이 향상된 컨테이너 백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컨테이너 백(container bag)은 FIBC(flexible intermediate bulk container), 빅 백(big bag), 벌크 백(bulk bag)으로도 불리며, 곡물이나 합성수지 재료 등 분체류를 수납하여 운송 및 보관하기 위한 산업용 포대로서, 유연성 있는 소재를 사용하여 상기 분체류의 수납과 인출을 편리하게 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이때, 상기 컨테이너 백에는 500Kg 내지 2000Kg 정도의 화학물질(chemical), 광물질(mineral), 곡류(grain), 합성수지 분말 재료, 시멘트 등의 내용물을 수납하고 크레인(crane)이나 호이스트(hoist) 지게차 등으로 운반되어 창고에 보관되거나 트럭에 적재되어 운송된다.
최근에는 국제 간의 거래가 활발해짐에 따라 물동량이 증가되면서 효율적인 운송과 보관을 위해서, 그리고 심화되는 경쟁에 따른 운송비 및 보관비의 절감을 위해서 트럭 또는 컨테이너 차량을 통한 운반시나 창고 적재시 보다 안정적이면서도 공간 효율성을 극대화할 수 있는 컨테이너 백의 수요가 증대되고 있다.
도 1 및 도 2는 종래의 컨테이너 백(100,200)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종래의 컨테이너 백(100,200)은 내용물이 수납되는 내부 공간을 형성하는 측벽부(110,210)와 상기 측벽부(110,210)의 상부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덮개부(120,220), 그리고 상기 측벽부(110,210)의 하부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바닥부(130,230)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측벽부(110,210)의 상측 둘레에는 운반 로프(rope) 또는 벨트(belt)로 형성된 고리부(140,240)가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측벽부(110,210)는 내용물이 수납될 때 원기둥 혹은 사각기둥을 형성하도록 봉합된다. 이때, 상기 측벽부(110)가 상기 원기둥 형태로 봉합되는 컨테이너 백(100)은 많은 내용물을 수납할 수 있지만, 컨테이너 박스나 창고에 보관할 경우에 복수 개의 컨테이너 백(100) 사이가 밀착되지 않고, 여유공간이 형성되어 공극률이 높아짐으로 인해 효율적인 공간 사용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측벽부(210)가 사각기둥 형태로 봉합되는 컨테이너 백(200)의 경우에는 트럭에 적재되거나 창고에 보관될 때 컨테이너 백 사이의 여유공간이 줄어들어 공극률이 낮아짐으로 인해 상기 원기둥 형태의 컨테이너 백(100)보다 더 많은 수의 컨테이너 백을 적재할 수 있으나, 일정량 이상의 내용물이 수납되면 내용물 자체의 하중으로 인해 상기 측벽부(210)의 중심부(211)가 외측으로 돌출되는 배부름 현상이 발생하여 적재 공간을 더 차지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더욱이, 상기 컨테이너 백(200)을 다단으로 적층하여 적재하는 경우에는 상기 컨테이너 백(200)의 하중이 상기 측벽부(210)의 돌출된 부분(211)으로 분산되어 상기 바닥부(230)로 하중이 집중되지 못해 안정적으로 적층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로 인해, 상기 컨테이너 백(200)에 넘어지는 경우에는 작업자가 크게 다치거나, 내부에 수납된 내용물이 쏟아져 파손되거나 손실되는 심각한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배부름 현상으로 다단 적층이 불가능하여 한정된 공간을 효율적으로 사용하지 못하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상기 측벽부(210)의 상하방향 또는 횡방향으로 보강부를 형성하는 방법이 제시되었지만, 보강부의 인접부에 적재 하중이 집중되어 찢어지는 현상이 발생하여 제품이 내구성이 현저히 감소할 뿐만 아니라, 보강부 형성으로 제조원가가 상승되는 문제가 발생하였다.
한편, 상기 측벽부(210)의 내측면 사이를 연결하는 칸막이를 재봉하여 상기 측벽부의 배부름 현상을 감소시키는 방법도 제시되었으나, 칸막이 제작과정에서 발생되는 이물질이 내용물에 섞이거나 칸막이로 인해 내용물을 보호하는 내피를 사용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고, 다단 적재시에는 칸막이의 연결부가 쉽게 손상되어 적층 안정성이 감소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국 공개특허 제10-2004-0027809호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내용물 충전시 안정적인 직립형태를 유지하여 동일한 규격의 컨테이너 백에 최대의 적재량을 수용하되, 적재를 위한 다단 적층 시 안정성이 향상된 컨테이너 백을 제공하는 것을 해결과제로 한다.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분체류가 수납되는 내부 공간을 형성하도록 복수개로 구비되어 각각의 양측단부가 상호 연결되되 하부폭이 상부폭보다 넓게 형성되어 양측단부에 절곡부가 형성되는 측벽부와, 중앙부에 삽입관부가 형성되어 상기 측벽부의 상단부에 연결되는 덮개부와, 상기 측벽부의 하단부에 연결되는 바닥부를 포함하는 몸체부; 및 상기 덮개부의 상측으로 돌출되는 고리부와, 상기 고리부의 양단부에 각각 연결되되 하나의 측벽부 중앙부 및 인접한 다른 측벽부 중앙부를 따라 각각 결합되는 결합부와, 상기 각 결합부의 하단에 연결되되 상기 바닥부에 결합되는 하부지지부를 포함하는 복수개의 인양벨트를 포함하는 컨테이너 백을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바닥부의 각 테두리 중앙부는 내측으로 굴곡지게 형성되고, 상기 바닥부의 각 테두리 중앙부와 연결되는 상기 측벽부의 하단 중앙부는 상측으로 굴곡지게 형성되며, 상기 하부지지부는 상기 바닥부의 일측 테두리 중앙부 및 상기 일측 테두리와 인접한 타측 테두리 중앙부를 대각선 방향으로 연결하여 지지하도록 배치되되, 상기 바닥부의 각 테두리 중앙을 기준으로 다른 인양벨트의 하부지지부와 대칭되도록 배치되어 고정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결합부는 상기 각 측벽부의 중앙을 기준으로 다른 인양벨트의 결합부와 대칭되도록 배치되되 상기 측벽부의 내면에 결합되며, 상기 하부지지부는 상기 바닥부의 배면을 감싸도록 배치되며, 상기 결합부 및 상기 고리부의 연결부분은 상기 측벽부의 상단부 및 상기 덮개부 사이에 중첩 결합되고, 상기 결합부 및 상기 하부지지부의 연결부분은 상기 측벽부의 하단부 및 상기 바닥부 사이에 중첩 결합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덮개부 및 상기 바닥부의 각 테두리는 그와 결합되는 상기 측벽부 단부 폭보다 길도록 여유길이를 가지고, 상기 덮개부 및 상기 바닥부의 각 모서리부는 콘형으로 중첩되어 접혀 상기 측벽부에 연결됨이 바람직하다.
더욱이, 상기 각 결합부 및 상기 각 측벽부 간의 결합거리는 상기 측벽부 높이보다 짧게 구비되며, 상기 결합거리는 상기 측벽부 높이의 85% ~ 99%로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상기의 해결 수단을 통해서, 본 발명에 따른 컨테이너 백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제공한다.
첫째, 상기 바닥부의 각 테두리 중앙부가 내측으로 굴곡지게 형성되어 측벽부에 연결됨과 함께 인양벨트의 하부지지부가 바닥부의 인접한 테두리 중앙부를 대각선 방향으로 내측으로 당겨 지지함에 따라 측벽부의 면중앙을 따라 내측으로 오목한 곡면부가 형성되어 몸체부의 중심으로부터 모서리방향으로 네 개의 가상적인 기둥 형성되므로 백의 하중이 네 기둥의 바닥면으로 분산되어 상측부의 유동을 안정적으로 수용할 수 있어 몸체부의 직립형태가 견고하게 유지될 수 있다.
둘째, 상기 인양벨트는 측벽부에 결합된 결합부 및 바닥부에 결합된 하부지지부를 통해 몸체부에 수용된 내용물의 하중을 분산지지함과 함께 몸체부의 상부 및 하부에 동시에 인양력을 전달하므로 몸체부의 흔들림을 최소화하여 운반시 안전성이 향상되며, 몸체부의 요동에 따른 인양벨트 및 몸체부 간 연결부분의 찢어짐을 방지하므로 제품의 내구성이 개선될 수 있다.
셋째, 상기 인양벨트가 덮개부 및 측벽부 사이, 측벽부 및 바닥부 사이를 통과하며 한번의 재봉시 중첩 결합되므로 보다 견고하고 효율적인 부품 결합이 가능하여 제품의 생산성이 향상될 수 있다.
넷째, 상기 인양벨트 및 상기 바닥부의 굴곡진 테두리 중앙부를 통해 별도의 칸막이 부재 없이도 몸체부가 사각 기둥 형상으로 유지될 수 있어 몸체부의 내측에 수용된 내용물을 이물질이나 수분 등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는 이너라이너를 투입 및 사용가능하므로 제품의 보관 효율성이 향상될 수 있다.
도 1 및 도 2는 종래의 컨테이너 백을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 백을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 백에서 내용물이 충전된 상태에서 바닥부를 나타낸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 백을 나타낸 분해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 백의 덮개부를 나타낸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 백의 바닥부를 나타낸 사시도.
도 8a, 도 8b 및 도 8c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 백에서 내용물이 충전되는 모습을 나타낸 단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 백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 백을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 백에서 내용물이 충전된 상태에서 바닥부를 나타낸 예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 백을 나타낸 분해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 백의 덮개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 백의 바닥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8a, 도 8b 및 도 8c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 백에서 내용물이 충전되는 모습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3 내지 도 8b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 백(300)은 몸체부(10) 및 인양벨트(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컨테이너 백(300)은 유연성 있는 재료를 사용하여 분체류 등의 내용물을 수납하지 않은 상태에서 부피를 최소화하여 보관하고, 내용물을 수납할 때는 정해진 공간에 많은 양의 내용물을 수납하도록 외형 변형이 용이하게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컨테이너 백(300)은 천연 섬유재, PVC(polyvinyl chloride), 합성수지재(polypropylene, polyethylene)로 직조하여 컨테이너 백(300)의 외부 형상을 유지하는 동시에 강도를 유지하도록 형성되며, 필요에 따라서는 방수성이 있는 합성수지 등을 소재로 제작된 이너라이너(미도시)를 내부에 구비하여 함께 사용하기도 한다.
한편,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몸체부(10)는 측벽부(11,12), 덮개부(13), 그리고 바닥부(14)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측벽부(11,12)는 분체류가 수납되는 내부 공간을 형성하도록 복수개로 구비되어, 각각의 양측단부(11b)가 상호 연결된다.
예를 들면, 상기 몸체부(10)가 사각기둥 형상으로 구비된 경우에 상기 측벽부(11,12)는 4장으로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하나의 측벽부 타측단부가 다른 측벽부의 일측단부와 순차적으로 연결되어 상면과 하면이 개방된 사각기둥을 형성할 수 있다.
물론, 상기 측벽부는 단일의 막으로 구비될 수 있으며, 내부를 일정한 간격으로 접어 다각기둥 형상을 만들고 일측단부와 타측단부를 연결하여 내부 공간을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 각 측벽부(11,12)는 하부폭(c)이 상부폭(b)보다 넓게 형성되어 양측단부(11b)에 절곡부(11d)가 형성된다. 이에 따라, 상기 몸체부(10) 내부 공간의 하측단면적이 상측단면적보다 넓게 형성될 수 있다.
즉, 4장으로 구비된 측벽부(11)의 양측단부(11b)가 상호 결합되면, 상면과 하면이 개방된 사각기둥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사각기둥은 상부가 좁고 하부가 넓은 형상을 가지게 된다.
이때, 상기 절곡부(11d)는 상기 측벽부(11)의 양측단부(11b)에 형성되되, 좁게 형성된 상부측 측벽부와 넓게 형성된 하부측 측벽부를 연결하도록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절곡부(11d)의 상단이 상부측 측벽부 측단테두리에 연결되는 부분과 상기 절곡부(11d)의 하단이 하부측 측벽부 측단테두리에 연결되는 부분은 꺽인 형상을 가지는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각 연결부분은 부드러운 곡선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처럼, 상기 몸체부(10)의 내부 공간은 넓은 하부와 좁은 상부를 가지게 되므로 내용물 충전시 내용물의 하중이 넓은 하부측에 의해 안정되게 지지될 수 있어 향상된 직립성을 가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자동화 창고 등에서 일정한 가로 및 세로 규격을 가진 팔레트에 상기 컨테이너 백(300)을 거치하여 다단 적층 보관시 안정적인 지지력을 제공하여 2층 이상의 적층이 가능하며, 한정된 공간에 더 많은 컨테이너 백(300)을 보관할 수 있으므로 물류비를 절감하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더욱이, 상기 몸체부(10) 내부에 수용된 내용물의 전체 하중이 상기 측벽부(11,12)의 양측단부(11b)를 따라 좁은 상부측에서 넓은 하부측으로 부하되어 바닥부의 각 모서리측으로 분산되어 지지될 수 있으므로 직립 안정성이 되며, 상기 몸체부(10)의 높이를 종래보다 높게 형성하더라도 내용물이 충전된 컨테이너 백이 쓰러지지 않고 직립형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종래의 750kg 컨테이너 백 대신에 높이가 33.3% 증가된 1000kg 컨테이너 백이나 높이가 100% 증가된 1500kg 컨테이너 백에서도 직립 형태가 유지될 수 있어 적재시 보관효율을 증가시킬 수 있으며, 1회 운반 가능한 적재용량은 증가시키고 운반횟수는 줄여 적재 및 운반 효율성이 현저히 개선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몸체부(10)의 내측에는 수납된 내용물을 상기 측벽부(11)의 내면과 분리하여 보호하는 이너라이너(미도시)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즉, 상기 인양벨트 및 상기 바닥부의 굴곡진 테두리 중앙부를 통해 별도의 칸막이 부재 없이도 몸체부를 사각 기둥 형상으로 유지할 수 있으므로 몸체부(10)의 내측에 이너라이너를 투입 및 사용가능하다.
이로 인해, 상기 내용물이 분체류 등 세밀한 입자 형태인 경우에 상기 측벽부(11,12) 간의 접합부로 유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접합부의 틈 사이로 이물질이 유입되어 내용물이 오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보관 효율성이 더욱 향상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덮개부(13)는 중앙부에 분체류 등으로 이루어진 내용물이 삽입되는 삽입관부(13a)가 형성되며, 상기 측벽부(11)의 상단부에 연결된다. 여기서, 상기 덮개부(13)는 외측 테두리부를 따라 각 측벽부(11,12)의 상단부가 연결되어 상기 내부 공간의 상면을 형성하게 된다.
물론, 상기 덮개부(13)는 상기 몸체부(10)의 형상에 따라 다각 단면이나 원형 단면으로 구비될 수 있으며,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몸체부(10)가 사각 기둥 형상인 경우에는 사각 단면으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삽입관부(13a)는 상기 덮개부(13)의 중앙에 형성된 원형 개구의 테두리에 접합되는 원형 기둥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물론, 상기 삽입관부(13a)의 형상은 원형 기둥으로 국한되지 않고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별도로 형성되어 상기 덮개부(13)의 개구 테두리에 접합되거나 상기 덮개부(13)의 개구 테두리에서 연장되도록 일체로 성형되는 것도 가능하다.
상세히, 상기 삽입관부(13a)는 몸체부(10)의 내부 공간으로 내용물이 유입되는 통로가 된다. 즉, 내용물을 주입하기 위한 깔데기 등의 공급수단(미도시) 하단부에 상기 삽입관부(13a)를 밀착시켜 상기 내부 공간으로 내용물을 삽입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삽입관부(13a)의 외면 일측에는 고정끈(미도시)이 구비될 수 있으며, 내용물의 충전 후 상기 고정끈을 묶어 상기 내부 공간을 밀봉할 수 있다.
또한, 도 4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바닥부(14)는 상기 측벽부(11,12)의 하단부에 연결된다. 즉, 상기 바닥부(14)는 외측 테두리부를 따라 각 측벽부(11,12)의 하단부가 연결되어 상기 내부 공간의 하면을 형성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바닥부(14)는 상기 몸체부(10)의 형상에 따라 다각 단면이나 원형 단면으로 구비될 수 있으며,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몸체부(10)가 사각 기둥 형상인 경우에는 사각 단면으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상세히, 상기 삽입관부(13a)를 통해 내부 공간에 주입된 내용물은 상기 몸체부(10)를 뒤집은 상태에서 상기 삽입관부(13a)를 통해 배출될 수 있으며, 상기 바닥부(14)의 중앙부에 개구를 형성하고 상기 개구에 배출관부를 연결하여 내용물을 배출하는 것도 가능하다.
즉, 상기 몸체부(10)에 내용물 주입시에는 상기 배출관부를 밀봉하고, 주입된 내용물의 배출시에는 상기 몸체부(10)를 상측으로 들어올린 상태에서 상기 배출관부를 개방하여 몸체부(10) 내부의 내용물을 외부로 배출할 수 있다.
한편, 도 3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인양벨트(20)는 고리부(21), 결합부(22,24), 그리고 하부지지부(23)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고리부(21), 상기 결합부(22,24), 상기 하부지지부(23)는 기능에 따라 상기 인양벨트(20)의 각 부분을 구분한 것으로 상기 고리부(21), 상기 결합부(22,24), 상기 하부지지부(23)는 일체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인양벨트(20)는 합성수지 재질의 띠로 구비될 수 있으며, 폴리프로필렌(PP, polypropylene)으로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인양벨트(20)는 중심측을 접어 일측에 고리를 형성하고, 양단부를 연결하여 링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고리부(21)는 상기 덮개부(13)의 상측으로 돌출된다. 즉, 상기 고리부(21)는 상기 인양벨트(20)에서 상기 측벽부(11,12)의 상단테두리로부터 상기 덮개부(13)의 상측으로 돌출되는 부분을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인양벨트(20)의 중앙측을 접어 고리를 형성한 상태에서 상기 고리측을 상기 덮개부(13)의 상측으로 배치하여 상기 고리부(21)를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고리측의 하부를 상기 측벽부(11,12)에 결합하여 상기 인양벨트(20)가 고정될 수 있으며, 상기 인양벨트(20)의 양단부는 상기 바닥부(14)측으로 배치되어 상호 결합됨과 함께 상기 바닥부(14)에 결합되어 하부지지부(23)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리부(21)의 일단은 하나의 측벽부(11) 상단테두리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일단이 연결된 측벽부(11)와 인접한 다른 측벽부(12) 상단테두리에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고리부(21)의 일단 및 타단이라는 말은 상기 고리부(21)와 상기 각 결합부(22,24)가 연결되는 부분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상기 몸체부(10)가 사각기둥 형상으로 구비된 경우에 상기 측벽부(11,12)는 4장으로 구비되어 상기 몸체부(10)의 전면, 우측면, 후면, 좌측면을 형성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인양벨트(20)는 4개로 구비되고, 4개의 고리부(21)가 형성될 수 있다.
즉, 하나의 측벽부(11) 상단부에는 하나의 고리부(21) 일단과 다른 고리부의 타단이 배치될 수 있으며, 두 고리부의 일단 및 타단은 상기 측벽부(11)의 상단부 중앙에서 상호 밀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각 고리부(21)는 상기 덮개부(13)의 내측에 다이아몬드 형상으로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각 고리부(21)의 하면 및 상기 덮개부(13)의 상면 사이로 인양장비를 삽입하고, 상기 인양장비를 상기 고리부(21)에 걸어 상기 몸체부(10)를 인양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결합부(22,24)는 상기 고리부(21)의 양단부에 각각 연결되되 하나의 측벽부(11) 중앙부 및 인접한 다른 측벽부(12) 중앙부를 따라 각각 결합된다.
여기서, 상기 결합부(22,24)는 상기 인양벨트(20)에서 상기 고리부(21)의 하부에 연결된 부분을 의미하며, 하나의 인양벨트에는 상기 고리부(21)의 양단에 2개의 결합부(22,24)가 연결된다.
이때, 상기 고리부(21)의 일단에 연결된 제1결합부(22)는 하나의 측벽부(11) 중앙부를 따라 상하 방향으로 배치되어 결합되고, 상기 고리부(21)의 타단에 연결된 제2결합부(24)는 제1결합부(22)가 결합된 측벽부(11)와 인접한 다른 측벽부(12)의 중앙부를 따라 상하 방향으로 배치되어 결합될 수 있다.
즉, 하나의 측벽부(11) 중앙부에는 일 인양벨트(20)의 제1결합부(22) 및 타 인양벨트의 제2결합부가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일 인양벨트의 제1결합부(22) 및 타 인양벨트의 제2결합부는 상기 측벽부(11) 중앙라인(11e)을 기준으로 상호 밀착되도록 배치됨이 바람직하다.
물론, 상기 측벽부(11) 중앙라인(11e)을 따라 배치된 두 인양벨트의 각 결합부는 서로 중첩되어 상기 측벽부(11)에 결합될 수 있으며, 상기 측벽부(11)와 상기 인양벨트 사이의 결합면적이 최대화되도록 각 인양벨트 외곽라인을 상기 중앙라인(11e)을 따라 정렬하여 상기 측벽부(11)에 결합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각 측벽부(11)에 배치된 일 인양벨트의 제1결합부(22) 및 타 인양벨트의 제2결합부는 상호 대칭되도록 배치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각 결합부(22) 및 상기 각 측벽부(11) 간의 결합거리는 상기 측벽부의 높이보다 짧게 구비되며, 상기 결합거리는 상기 측벽부 높이의 85%~99%로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결합거리는 각 결합부(22) 및 상기 각 측벽부(11)가 실질적으로 재봉되는 부분을 의미하며, 상기 측벽부(11)의 상단부 및 상기 결합부, 상기 측벽부(11)의 하단부 및 상기 결합부가 재봉되지 않은 상태로 존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결합거리가 85% 미만인 경우에는 결합부가 상기 몸체부에 수용된 내용물의 하중을 견디지 못하고 측벽부로부터 분리될 우려가 있으며, 상기 결합거리가 99%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측벽부 및 덮개부 사이에 결합부가 중첩결합될 때, 그리고 측벽부 및 바닥부 사이에 결합부가 중첩결합될 때 재봉실의 관통부가 중첩되어 측벽부 상단 및 바닥부 하단의 강도가 저하되고 결합력이 저하될 우려가 있다.
또한, 상기 하부지지부(23)는 상기 각 결합부(22,24)의 하단에 연결되되 상기 바닥부(14)에 결합된다. 여기서, 상기 하부지지부(23)는 상기 인양벨트(20)에서 각 결합부(22,24)의 하부에 연결된 부분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상기 인양벨트(20)의 접힌 부분이 상기 고리부(21)를 형성하는 경우에 상기 인양벨트(20)의 양단이 상호 연결되고 상기 바닥부(14)측으로 배치되어 하부지지부(23)를 형성할 수 있다.
물론, 상기 인양벨트(20)의 접힌 부분이 상기 바닥부(14)에 배치되어 상기 하부지지부(23)를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때 상기 인양벨트(20)의 양단부는 상기 덮개부(13)의 상측으로 돌출된 상태에서 상호 연결되어 상기 고리부(21)를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4개의 인양벨트 각각의 하부지지부는 상기 바닥부(14)의 네 모서리 중 인접한 두 개의 모서리를 연결하도록 배치됨이 바람직하다. 즉, 각 하부지지부(23)는 바닥부(14)의 일측모서리 중심에서 상기 일측모서리와 인접한 타측모서리 중심을 연결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때, 각 모서리의 중심에서 2개의 하부지지부 단부가 서로 밀착하여 배치될 수 있으며, 하부지지부(23)의 단부라는 말은 하부지지부(23)와 각 결합부(22,24)가 연결되는 부분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각 하부지지부는 상기 바닥부의 각 테두리 중앙부를 기준으로 다른 인양벨트의 하부지지부와 대칭되도록 배치되어 고정됨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각 하부지지부는 바닥부의 일측 테두리 중앙으로부터 일측 테두리와 연결되지 않고 대면되는 테두리의 중앙을 연결한 가상선을 기준으로 대칭되도록 배치됨이 바람직하다.
물론, 상기 바닥부는 정사각형의 형태로 국한되지 않으며, 직사각형의 형태로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때, 상기 바닥부에서 상호 대면되는 한쌍의 긴 테두리의 중앙을 연결한 가상선을 기준으로 각 하부지지부가 거울 대칭을 이루게 되며, 상기 바닥부에서 상호 대면되는 한쌍의 짧은 테두리의 중앙을 연결한 가상선을 기준으로 각 하부지지부가 거울 대칭을 이루게 된다.
이처럼, 상기 인양벨트(20)는 고리부(21)를 통한 상기 몸체부(10)의 인양시 상기 측벽부(11,12)에 결합된 결합부(22,24) 및 상기 바닥부(14)에 결합된 하부지지부(23)을 통해 몸체부에 수용된 내용물의 하중을 분산지지할 수 있다.
이와 함께, 상기 몸체부(10)의 상부 및 하부에 동시에 인양력을 전달할 수 있으므로 몸체부(10)의 흔들림을 최소화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몸체부(10)의 요동시 발생될 수 있는 안전사고나 내용물의 손상을 방지하여 운반시 안전성이 향상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인양벨트(20)와 몸체부(10)의 연결부분에 하중이 집중되어 찢어지는 것을 방지함과 상기 몸체부(10)의 요동시 발생될 수 있는 상기 몸체부(10) 및 상기 인양벨트(20) 사이의 연결부분의 열화를 최소화하여 제품의 내구성이 개선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인장벨트(20)의 허용인장하중이 증가될 수 있으므로 대용량의 컨테이너 백을 제조하는 기반 기술을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결합부(22,24)는 상기 측벽부(11)의 내면에 밀착되도록 배치되고, 상기 하부지지부(23)는 상기 바닥부(14)의 배면을 감싸도록 배치됨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결합부(22,24)는 내용물이 적재되는 몸체부(10)의 내부 공간측에 결합되고, 상기 하부지지부(23)는 상기 몸체부(10)가 팔레트 혹은 지면에 직접 접촉되는 바닥부(14)의 배면에 결합된다.
이에 따라, 상기 컨테이너 백(300)이 횡방향으로 나란히 병렬 배치되어 여러 개의 몸체부(10)가 서로 맞닿은 경우에 개별 컨테이너 백(300)의 출납시 인양벨트(20)가 서로 걸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인양벨트(20) 간의 접촉 및 마찰로 인해 인양벨트(20) 및 몸체부(10) 사이의 결합력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하여 제품의 내구성이 개선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리부(21)를 통한 몸체부(10)의 인양시 상기 하부지지부(23) 및 상기 바닥부(14) 사이의 결합부분으로 당겨 올리는 것이 아니라 상기 하부지지부(23)의 전체면적을 사용하여 상기 바닥부(14)를 받쳐들게 되므로 더욱 안정적인 인양이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하부지지부(23) 및 바닥부(14) 사이의 결합이 상기 하부지지부(23)가 상기 바닥부(14) 외측으로 미끌어져 벗어나지 않을 정도로 간소하게 이루어지더라도 상기 몸체부(10)를 안정적으로 지지하여 인양할 수 있으므로 효율적인 결합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결합부(22,24) 및 상기 고리부(21)의 연결부분은 상기 측벽부(11)의 상단부 및 상기 덮개부(13) 사이에 중첩 결합되고, 상기 결합부(22,24) 및 상기 하부지지부(23)의 연결부분은 상기 측벽부(11)의 하단부 및 상기 바닥부(14) 사이에 중첩 결합됨이 바람직하다.
상세히, 상기 덮개부(13), 측벽부(11,12) 및 바닥부(14)는 각각의 테두리가 재봉 혹은 접착제 등으로 통해 결합되어 상기 몸체부(10)를 형성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인양벨트(20)는 상기 덮개부(13) 및 상기 측벽부(11,12) 사이의 결합부분 및 상기 측벽부(11,12) 및 상기 바닥부(14) 사이의 결합부분을 통과하여 배치될 수 있다.
특히, 대부분의 경우에 몸체부(10) 각 부재 사이의 결합 및 상기 몸체부(10) 및 인양벨트(20) 사이의 결합은 재봉에 의해 이루어지는데, 상기 인양벨트(20)가 상기 몸체부(10) 각 부재 간의 재봉시 부재 간의 결합부분에 중첩되어 결합됨에 따라 한번의 재봉시 중첩 결합되어 보다 견고하고 효율적인 부품 결합이 가능하므로 제품의 생산성이 향상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바닥부(14)의 각 테두리(14a) 중앙부(14b)는 내측으로 굴곡지게 형성되고, 상기 바닥부(14)의 각 테두리 중앙부(14a)와 연결되는 상기 측벽부(11)의 하단 중앙부(11f)는 상측으로 굴곡지게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바닥부(14) 및 상기 측벽부(11)가 결합되면, 상기 몸체부(10) 각 측면 중심의 하부로부터 그의 상측을 따라 내측으로 오목하게 함몰된 곡면부(42)가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컨테이너 백(300)에 내용물이 충전되면, 상기 몸체부(10)의 중심으로부터 네 모서리방향에 네 개의 기둥(g)이 형성되되 각 기둥의 인접부가 연결된 구조를 형성하게 된다. 즉, 상기 몸체부(10)의 단면이 크로버 형상으로 이루어며 단면 중앙의 사방으로 네 개의 가상적인 기둥(g) 형상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하부지지부(23)는 상기 바닥부(14)의 일측 테두리 중앙부(14b) 및 상기 일측 테두리(14a)와 인접한 타측 테두리 중앙부를 대각선 방향으로 연결하여 지지하도록 배치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인양벨트(20)가 상기 몸체부(10)의 측벽부(11) 내측으로 따라 결합되어 상기 바닥부(14)의 배면을 감싸도록 결합됨에 따라, 상기 하부지지부(23)는 상기 바닥부(14)의 인접한 테두리 중앙부(14b)를 내측으로 당겨 지지할 수 있다.
즉, 상기 하부지지부(23) 및 상기 결합부(22,24)의 연결부분은 상기 몸체부(10)의 각면에 형성된 곡면부(42)를 각 기둥(g) 방향측으로 가압하여 상기 곡면부(42)의 함몰된 형상을 더욱 정확하게 유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몸체부(10)의 중앙부분이 외측으로 돌출되려는 배부름 현상이 방지될 수 있으며, 상기 컨테이너 백(300)의 전체적인 형상이 사각기둥을 유지하게 되어 운반 차량이나 창고 등에 적재 및 보관될 시 상기 컨테이너 백(300) 사이의 공극율이 감소되어 동일한 공간을 더욱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컨테이너 백(300)의 하중이 4개로 형성된 가상적인 기둥의 바닥면으로 분산되므로 상측부의 유동을 안정적으로 수용하여 직립형태가 견고하게 유지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상기 컨테이너 백(300)의 높이를 추가적으로 길게 형성하더라도 백의 직립성이 유지될 수 있으므로 보다 대용량의 컨테이너 백을 제조하여 보관량 및 운반 효율성을 개선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몸체부(10)의 내부 공간에 내용물이 충전되면, 상기 바닥부(14)의 중심부터 내용물(m)이 쌓이게 되고 일정 높이 이상 쌓인 내용물은 상기 측벽부(11) 측으로 흐르게 된다.
이때, 변형가능한 공간으로 형성된 포장재는 내용물이 충전되면 일정한 표면적을 유지하면서 최대의 체적으로 쌓이려는 경향이 있다. 이에 따라, 측벽부의 중심부는 총 길이의 변화없이 최대의 면적을 확보하기 위하여 전체적으로 원형(circular shape)이 되려고 하는 배부름 현상이 발생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측벽부(11)의 중앙에 내측으로 오목한 곡면부(42)가 형성되므로 h와 같은 인장력에 의해 상기 배부름 현상이 방지될 수 있다.
이처럼, 상기 바닥부(14)의 각 테두리 중앙부(14b)가 내측으로 굴곡지게 형성되되 상기 하부지지부(23)에 의해 바닥부(14)의 테두리 중앙부(14b)가 내측으로 당겨 지지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곡면부(42)에 의한 인장력과 함께 상기 하부지지부(23) 및 상기 결합부(22,24) 사이의 연결된 부분, 그리고 상기 결합부(22,24)를 통해 상기 몸체부(10)의 측벽부 중앙부분이 내측으로 가압되어 배부름 현상이 방지될 수 있으며 횡방향으로 병렬 배치된 몸체부(10) 사이의 공극률을 최소화하여 보관 및 운반 효율성이 향상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하부지지부(23)는 상기 몸체부(10)의 중앙에서 네 모서리측에 형성된 각각 기둥(g)의 하측에 대응하여 상기 바닥부(14)가 돌출된 부분의 배면을 커버하도록 결합됨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상기 바닥부(14)의 돌출된 부분이 지면 혹은 팔레트, 다른 컨테이너 백에 접촉됨에 집중적으로 마모되는 것을 방지하여 제품의 내구성을 개선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덮개부(13) 및 상기 바닥부(14)의 각 테두리는 그와 결합되는 상기 측벽부(11) 단부 폭보다 길도록 여유길이를 가지고, 상기 덮개부(13) 및 상기 바닥부(14)의 각 모서리부(13c)는 콘형으로 중첩되어 접혀 상기 측벽부(11)에 연결됨이 바람직하다.
상세히, 도 5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덮개부(13)의 각 테두리는 상기 측벽부(11) 상부폭의 보다 길게 형성되어 테두리의 여유부분(13b)이 일측으로 접히게 되고, 상기 덮개부(13)의 모서리는 콘형(13c)으로 접혀 중첩된 상태로 상기 측벽부(11)에 연결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덮개부(13)는 여유부분(13b)이 접힌 상태에서 상기 내부 공간의 상면을 커버할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도 8a를 참조하면, 상기 덮개부(13) 및 상기 측벽부(11)는 주로 재봉에 의해 결합되며, 효율적인 재봉을 위해 상기 측벽부(11)의 내면과 상기 덮개부(13)의 하면이 상호 접촉하도록 상기 덮개부(13)의 외측부가 상측으로 절곡된 상태에서 재봉작업이 이루어진다.
이때, 도 8b를 참조하면, 상기 측벽부(11) 및 상기 덮개부(13) 사이의 재봉된 부분(41)으로 인해 상기 내부 공간의 상부에 내용물이 채워질 수 없는 부분이 생기게 되는데, 상기 덮개부(13)의 테두리에 여유부분(13b)이 형성됨에 따라 상기 덮개부(13)가 내용물의 충전과 함께 상측으로 확장될 수 있다.
또한, 도 8c를 참조하면, 상기 덮개부(13)의 모서리에 콘형(13c)으로 중첩된 부분이 조금씩 펴지면서 피라미드 형태로 상기 덮개부(13)의 중심부가 테두리보다 높게 돌출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내용물이 분체류인 경우에 내부 공간에 충전된 내용물 입자 사이에는 공기가 포함되고,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기 위해서는 내용물의 입자의 무게나 부피에 따라 7시간에서 10시간 정도의 시간이 필요하다.
즉, 상기 몸체부의 내측에 분체류 등의 내용물이 평평하게 채워지게 되면, 다단 적층시 상부에 적층된 컨테이너백의 하중으로 하부에 적재된 컨테이너백의 내용물 사이의 공기가 외부로 빠져나가며 움푹하게 꺼지게 되므로 상부에 적층된 컨테이너백이 제대로 지지되지 못해 쉽게 쓰러지게 된다.
이때, 상기 덮개부(13)의 모서리에 콘형(13c)으로 중첩된 부분이 펴지며 상기 덮개부(13)의 중심부가 테두리보다 높게 돌출됨에 따라 내용물이 피라미드 형태로 여유 있게 주입될 수 있으며, 피라미드 형태로 여유있게 주입된 부분이 내부 공기 배출으로 감소된 부피를 채워줄 수 있다.
이에 따라, 내용물 사이의 공기를 배출하는 과정 없이 컨테이너 백을 다단 적층하여 상측에 적재된 컨테이너백의 가압으로 공기가 배출되더라도 몸체부의 상부가 하측으로 꺼지지 않고 내용물의 상면이 평평한 형태가 되어 상부에 적층된 컨테이너 백을 보다 안정되게 지지할 수 있다.
또한,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바닥부(14)의 각 테두리는 상기 측벽부(11) 하부폭의 보다 길게 형성되어 테두리의 여유부분(14d)이 일측으로 접히게 되고, 상기 바닥부(14)의 모서리는 콘형(14c)으로 접혀 중첩된 상태로 상기 측벽부(11)에 연결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바닥부(14)는 여유부분(14d)이 접힌 상태에서 상기 내부 공간의 하면을 커버할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바닥부(14) 및 상기 측벽부(11)는 주로 재봉에 의해 결합되며, 효율적인 재봉을 위해 상기 측벽부(11)의 내면과 상기 바닥부(14)의 상면이 상호 접촉하도록 상기 바닥부(14)의 외측부가 하측으로 절곡된 상태에서 재봉작업이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측벽부(11) 및 상기 바닥부(14) 사이의 재봉된 부분으로 인해 상기 내부 공간의 하부 테두리측에 내용물이 채워질 수 없는 부분이 생기게 되는데, 내용물 충전시 상기 바닥부(14)의 모서리에 콘형(14c)으로 중첩된 부분이 조금씩 펴지며 볼록하게 돌출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4개의 각 기둥의 바닥부분에 대응되는 상기 바닥부(14)의 배면 부분이 하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바닥부(14)로 가해진 하중이 각각 모서리를 향해 분산됨과 함께 분산된 하중이 바닥을 향해 볼록한 부분으로 집중될 수 있으므로, 상기 컨테이너 백(300)의 하측을 보다 안정적으로 지지하여 좌우측으로 쓰러지지 않고 직립형태를 유지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인양벨트(20)의 고리부(21)에는 인접하게 배치된 다른 인양벨트의 고리부를 구속하여 인양하는 링 형상의 보조인양벨트(30)가 구비되되, 상기 보조인양벨트(30)는 상기 몸체부(10)의 일측 및 타측에 상호 대향 배치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보조인양벨트(30)는 상기 몸체부(10)의 일측에 배치된 2개의 인양벨트와 상기 몸체부(10)의 타측에 배치된 2개의 인양벨트를 구속하며, 2개의 보조인양벨트(30) 인양시 4개의 인양벨트가 모두 구속되어 인양될 수 있다.
즉, 상기 몸체부(10)의 양측에 배치된 2개의 상기 보조인양벨트(30)를 인양하면 상기 보조인양벨트(30)가 배치되지 않는 몸체부(10)의 전방과 후방이 상기 보조인양벨트(30)에 의해 구속된 인양벨트에 의해 당겨져 인양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인양시 상기 몸체부(10)에 가해지는 인장력이 상기 몸체부(10)의 양측에 집중되지 않고 상기 몸체부(10)의 외면 전체로 분산되며 균일하게 조여주면 인양할 수 있으므로 하중의 집중으로 인한 몸체부(10)의 찢어짐 없이 안정적인 인양이 가능하여 제품의 안전성이 향상될 수 있다.
더욱이, 4개의 인양벨트를 동시에 인양하기 힘든 경우에, 포크리프트나 호이스트 등의 인양장비를 사용하여 양측에 배치된 2개 보조인양벨트(30)만 사용하더라도 인양벨트(20)가 몸체부(10)에서 분리되거나 몸체부(10)가 찢어지는 등의 손상 없이 안정적인 인양이 가능하여 다양한 인양장비 및 상황에 활용될 수 있으므로 제품의 호환성 및 사용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보조인양벨트(30)는 각 인양벨트(20)의 고리부(21) 내에서 유동되도록 상기 각 고리부(21)를 감싸는 링 형상으로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상기 보조인양벨트(30)를 통한 인양시 상기 보조인양벨트(30)에서 상기 인양벨트(20)로 가해진 인장력이 상기 각 결합부(22,24)로 균일하게 분배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상술한 각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청구항에서 청구하는 범위를 벗어남 없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변형 실시되는 것은 가능하며, 이러한 변형실시는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
100,200,300: 컨테이너 백 10: 몸체부
11,12,110,210: 측벽부 13,120,220: 덮개부
13a: 삽입관부 20: 인양벨트
21,140,240: 고리부 22,24: 결합부
23: 하부지지부 30: 보조인양벨트

Claims (5)

  1. 분체류가 수납되는 내부 공간을 형성하도록 복수개로 구비되어 각각의 양측단부가 상호 연결되되 하부폭이 상부폭보다 넓게 형성되어 양측단부에 절곡부가 형성되는 측벽부와, 중앙부에 삽입관부가 형성되어 상기 측벽부의 상단부에 연결되는 덮개부와, 상기 측벽부의 하단부에 연결되는 바닥부를 포함하는 몸체부; 및
    상기 덮개부의 상측으로 돌출되는 고리부와, 상기 고리부의 양단부에 각각 연결되되 하나의 측벽부 중앙부 및 인접한 다른 측벽부 중앙부를 따라 각각 결합되는 결합부와, 상기 각 결합부의 하단에 연결되되 상기 바닥부에 결합되는 하부지지부를 포함하는 복수개의 인양벨트를 포함하되,
    상기 결합부는 상기 각 측벽부의 중앙을 기준으로 다른 인양벨트의 결합부와 대칭되도록 배치되되 상기 측벽부의 내면에 결합되며, 상기 하부지지부는 상기 바닥부의 배면을 감싸도록 배치되며, 상기 결합부 및 상기 고리부의 연결부분은 상기 측벽부의 상단부 및 상기 덮개부 사이에 중첩 결합되고, 상기 결합부 및 상기 하부지지부의 연결부분은 상기 측벽부의 하단부 및 상기 바닥부 사이에 중첩 결합됨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 백.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부의 각 테두리 중앙부는 내측으로 굴곡지게 형성되고, 상기 바닥부의 각 테두리 중앙부와 연결되는 상기 측벽부의 하단 중앙부는 상측으로 굴곡지게 형성되며,
    상기 하부지지부는 상기 바닥부의 일측 테두리 중앙부 및 상기 일측 테두리와 인접한 타측 테두리 중앙부를 대각선 방향으로 연결하여 지지하도록 배치되되, 상기 바닥부의 각 테두리 중앙을 기준으로 다른 인양벨트의 하부지지부와 대칭되도록 배치되어 고정됨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 백.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부 및 상기 바닥부의 각 테두리는 그와 결합되는 상기 측벽부 단부 폭보다 길도록 여유길이를 가지고,
    상기 덮개부 및 상기 바닥부의 각 모서리부는 콘형으로 중첩되어 접혀 상기 측벽부에 연결됨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 백.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각 결합부 및 상기 각 측벽부 간의 결합거리는 상기 측벽부 높이보다 짧게 구비되며, 상기 결합거리는 상기 측벽부 높이의 85% ~ 99%로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 백.
KR20140101282A 2014-08-06 2014-08-06 컨테이너 백 Active KR101459113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40101282A KR101459113B1 (ko) 2014-08-06 2014-08-06 컨테이너 백
PCT/KR2015/007927 WO2016021867A1 (ko) 2014-08-06 2015-07-29 컨테이너 백
AU2015299917A AU2015299917B2 (en) 2014-08-06 2015-07-29 Container bag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40101282A KR101459113B1 (ko) 2014-08-06 2014-08-06 컨테이너 백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59113B1 true KR101459113B1 (ko) 2014-11-12

Family

ID=522873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40101282A Active KR101459113B1 (ko) 2014-08-06 2014-08-06 컨테이너 백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101459113B1 (ko)
AU (1) AU2015299917B2 (ko)
WO (1) WO2016021867A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40548B1 (ko) 2018-04-03 2019-01-21 (주)성림산업 컨테이너 백
KR102006940B1 (ko) * 2019-01-17 2019-10-01 최용덕 컨테이너백
KR20220111458A (ko) * 2021-02-02 2022-08-09 코리마산업 주식회사 컨테이너백
KR102727940B1 (ko) * 2024-05-27 2024-11-07 이재중 톤백 및 그 제작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643642A1 (en) * 2018-10-26 2020-04-29 Young Woo Ind Co., Ltd. Packaging bag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18303A (ko) * 2004-08-24 2006-03-02 이광주 복수본 경사 보강부가 형성된 마대
KR100678622B1 (ko) * 2006-03-24 2007-02-06 제일산업 주식회사 분체류를 수납하기 위한 컨테이너 백
KR20110053518A (ko) * 2009-11-16 2011-05-24 고재원 석재 파편 운반용 마대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T512606B1 (de) * 2012-03-13 2014-08-15 Pörner Ingenieurgmbh Verpackungsbehälter und Verfahren zum Befüllen des Behälters mit Bitumen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18303A (ko) * 2004-08-24 2006-03-02 이광주 복수본 경사 보강부가 형성된 마대
KR100678622B1 (ko) * 2006-03-24 2007-02-06 제일산업 주식회사 분체류를 수납하기 위한 컨테이너 백
KR20110053518A (ko) * 2009-11-16 2011-05-24 고재원 석재 파편 운반용 마대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40548B1 (ko) 2018-04-03 2019-01-21 (주)성림산업 컨테이너 백
KR102006940B1 (ko) * 2019-01-17 2019-10-01 최용덕 컨테이너백
WO2020149483A1 (ko) * 2019-01-17 2020-07-23 최용덕 컨테이너백
KR20220111458A (ko) * 2021-02-02 2022-08-09 코리마산업 주식회사 컨테이너백
KR102559833B1 (ko) * 2021-02-02 2023-07-27 코리마산업 주식회사 컨테이너백
KR102727940B1 (ko) * 2024-05-27 2024-11-07 이재중 톤백 및 그 제작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2015299917A1 (en) 2017-02-09
WO2016021867A1 (ko) 2016-02-11
AU2015299917B2 (en) 2018-02-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96884B1 (ko) 컨테이너백
KR100678622B1 (ko) 분체류를 수납하기 위한 컨테이너 백
KR101459113B1 (ko) 컨테이너 백
US4113146A (en) Disposable container for bulk materials
US6935500B1 (en) Bulk bag with support system
KR101874264B1 (ko) 컨테이너백
US5073035A (en) Bulk carrying bag
JP2013544715A (ja) 容器とバッグとを含むワイヤ閉込め構造
US20010027826A1 (en) Flexible intermediate bulk container with fork lift guide
KR101966970B1 (ko) 컨테이너 백
KR101476400B1 (ko) 컨테이너 백
KR101459114B1 (ko) 다단 하이브리드벨트가 구비된 컨테이너백
KR101964076B1 (ko) 컨테이너 백
EP3643642A1 (en) Packaging bag
SA516371623B1 (ar) حاوية مرنة متوسطة الحجم
KR101377055B1 (ko) 컨테이너백
US20180265280A1 (en) Manufacturing method for overlap-structured container bag
KR102792283B1 (ko) 컨테이너백
RU2540788C1 (ru) Мягкий контейнер
KR20220030053A (ko) 컨테이너 백
KR102006940B1 (ko) 컨테이너백
KR102798425B1 (ko) 클로버형 바닥부를 갖는 배플 일체형 클로버백
CN102438923A (zh) 用于包装散装的固体颗粒物料的柔性容器及其用途
KR102702155B1 (ko) 컨테이너백
KR102816053B1 (ko) 컨테이너 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40806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40818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40806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40922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4102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4103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4103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13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913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27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827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1007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823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807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812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