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214121B1 - 이물 유입 방지 및 이의 안전한 배출을 유도하는 유연성을 지닌 컨테이너 라이너의 배출 시스템 - Google Patents

이물 유입 방지 및 이의 안전한 배출을 유도하는 유연성을 지닌 컨테이너 라이너의 배출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14121B1
KR101214121B1 KR1020100078460A KR20100078460A KR101214121B1 KR 101214121 B1 KR101214121 B1 KR 101214121B1 KR 1020100078460 A KR1020100078460 A KR 1020100078460A KR 20100078460 A KR20100078460 A KR 20100078460A KR 101214121 B1 KR101214121 B1 KR 1012141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container liner
liner
discharge
lifting membe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784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21720A (ko
Inventor
정기영
Original Assignee
제일산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제일산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제일산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784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14121B1/ko
Publication of KR201200217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2172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141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14121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8/00Large containers
    • B65D88/54Large containers characterised by means facilitating filling or empty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90/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for large containers
    • B65D90/004Contents retaining means
    • B65D90/0046Contents retaining means fixed on the top of the contain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90/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for large containers
    • B65D90/004Contents retaining means
    • B65D90/006Contents retaining means fixed on the floor of the contain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90/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for large containers
    • B65D90/02Wall construction
    • B65D90/04Linings
    • B65D90/046Flexible liners, e.g. loosely positioned in the container
    • B65D90/047Flexible liners, e.g. loosely positioned in the container comprising rigid bracing, e.g. bulkhea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90/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for large containers
    • B65D90/02Wall construction
    • B65D90/04Linings
    • B65D90/046Flexible liners, e.g. loosely positioned in the container
    • B65D90/048Flexible liners, e.g. loosely positioned in the container comprising bracing stra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uxiliary Methods And Devices For Loading And Unloading (AREA)

Abstract

정면부와 정면부를 중심으로 상호 대면하는 측면부를 포함하는 유연성 있는 플라스틱 직물로 형성된 전면과, 상기 전면의 일단부로부터 연속적으로 형성된 유연성 있는 플라스틱 직물로 형성된 바닥부로 구성된 덧댐부가 마련된 본 발명에 따른 컨테이너 라이너의 배출 시스템은, 일단이 상기 측면부와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컨테이너의 천정에 고정되는 제1인양부재와; 일단이 상기 측면부와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컨테이너의 바닥면에 고정되는 제2인양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1인양부재와 상기 제2인양부재는 유연성 있는 플라스틱 직물로 형성되어, 상기 제1인양부재와 상기 제2인양부재를 전체적으로 또는 선택적으로 잡아당김으로써 상기 컨테이너 라이너 내의 화물의 배출을 촉진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이물 유입 방지 및 이의 안전한 배출을 유도하는 유연성을 지닌 컨테이너 라이너의 배출 시스템{DISCHARGING SYSTEM OF FLEXIBLE CONTAINER LINER FOR PREVENTING INFLOW OF FOREIGN SUBSTANCE AND FACILIATING SAFE DISCHARGE THEREOF}
본 발명은 유연성을 지닌 컨테이너 라이너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규격화된 컨테이너의 내벽에 장치되어, 분말체, 합성수지, 곡분, 또는 건조된 벌크화물 등을 외부의 오염된 환경으로부터 분리하여 이들을 충진?저장?운송?배출하는 경우 이들의 보호장치로 사용될 수 있으며 특히 건조된 화물의 보호 및 운송 저장에 사용될 수 있는 이물 유입 방지 및 이의 안전한 배출을 유도하는 유연성을 지닌 컨테이너 라이너의 배출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컨테이너 라이너는 FIBC(flexible intermediate bulk container) 또는 컨테이너 벌크 백(bulk bag)으로도 불리는 것으로서, 곡물류, 분말류 등의 운송과 보관을 위해 접을 수 있는 유연성 있는 재료를 사용하여 만들어진 산업용 포대를 말한다.
20ft 내지 40ft 컨테이너에 적용하는 컨테이너 라이너로 화학물질, 광물질, 곡류, 플라스틱류, 시멘트 등의 내용물을 수납하므로 크레인이나 호이스트 트레일러 등에 의하여 운반되어 창고에 보관되거나 트럭에 적재하여 운송된다.
표준화된 컨테이너(Container)는 내륙운송 및 해상화물 선적용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컨테이너가 벌크화물을 운반하기 위하여 사용될 경우, 적재된 컨테이너 화물을 컨테이너로부터 하역 후 컨테이너 자체를 청결하게 유지해야하나, 청결을 유지하는 것이 용이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컨테이너는 계속해서 다른 환경에서 반복 사용 되어져 내부가 훼손되거나 오염되는 경우가 많다.
한편, 특정 벌크화물의 경우에는 주위 환경의 오염원 등에 노출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특히 중요하며 이러한 이유로 벌크화물은 운반, 저장, 하역시 사용되는 화물 컨테이너용 라이너가 훼손되거나 환경적 오염이 되어서는 아니된다. 즉, 오염원으로부터 화물을 보호하고 안전한 저장과 하역이 이루어져야 한다.
예를 들어, 수분이나 이물질로부터 보호되어야 하는 식품, 곡물, 합성수지와 같은 유동이 있는 벌크화물의 경우 컨테이너 라이너를 사용함으로써 내륙운송 및 해상 화물 운송시 바다의 습도 또는 오염된 컨테이너의 환경으로부터 상기 식품, 곡물 등의 벌크화물을 보호하는 것이다.
즉, 컨테이너 내부의 오염 및 훼손, 이를테면 내부의 오염된 공기, 오염된 바닥면, 파손된 바닥면, 훼손된 컨테이너의 벽면, 녹이 슬거나 이물질 등이 부착된 부적합한 컨테이너의 환경으로부터 벌크화물을 보호하는 것이 필요한 것이다.
한편, 컨테이너 라이너는 폴리에틸렌계 브로운 필름으로 단층 또는 다층으로 인장강도 2kgf/1cm 이상, 인장신도 300 ~ 600 %의 물성을 지니는 구조로, 적재화물을 습기와 이물 등 오염 환경으로부터 보호하는 기능을 갖는다.
컨테이너(1)의 내부에 설치된 종래의 컨테이너 라이너(11)의 실물 사진인 도 1을 참고하여 컨테이너 라이너(11)의 화물 하역기술에 관하여 살펴보면, 기존에는 컨테이너(1)의 내벽에 하역시 발생하는 잔여물을 줄이기 위한 배출 장치로서 배출장치 양 옆의 판재(13)와 컨테이너(1) 전면의 안전지지대(12) 등을 이용하여 하역시 배출의 원활성을 도모하였으나, 그와 같은 판재(13)의 사용은 안정성이 보장되지 못하여 하역시 발생하는 집중하중을 견디지 못하게 되며, 판재(13)에 균열이 발생하거나 파손되어 배출시 심각한 문제를 발생시키기도 한다. 또는, 컨테이너 라이너(11)의 배출구의 양 옆에 에어백을 설치하여 배출 보조장치로 사용하는 예가 있다.
위와 같은 종래의 배출 시스템은 벌크화물이 고운 분말이나 입자 형태여서 배출이 용이하지 못한 경우에는, 배출보조장치의 앞 부분에 다량의 잔여물이 남게되어 배출소요 시간이 많이 소요되거나, 다시 에어를 충진하여 배출해야됨으로써 작업 효율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판재(13)를 이용하는 컨테이너 배출 시스템은 REACH(EU의 화학물질 관리규정)의 유해물질 규제로부터 보호받기 어려우며 판재(13)는 화학용 접착제로 여러 겹의 판재를 붙여서 제작되므로 유해물질이 포함되는 등 부적합한 포장 환경을 제공할 뿐만 아니라, 화물 운송시 열처리가 필요한 단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고안된 본 발명은, 종래의 컨테이너 벌크화물의 운반, 저장 또는 하역시 발생하는 환경적, 경제적으로 효율적이지 못한 문제점을 해결하고 벌크화물의 보호와 효율적인 하역 시스템을 구축하여 오염되거나 훼손된 컨테이너의 환경으로부터 대용량의 화물을 안전하게 적재, 운송, 저장 및 하역할 수 있는 컨테이너 배출 시스템을 구축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컨테이너의 내부 벽면에 설치되는 판재나 에어백 등의 배출보조장치가 갖는 잔류물의 발생의 문제점을 개선하고, 점도성 분말체의 배출특성의 악화나 대량 잔류물의 발생을 경감하여 안전하고 효율적인 하역작업이 수행되게 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정면부와 정면부를 중심으로 상호 대면하는 측면부를 포함하는 유연성 있는 플라스틱 직물로 형성된 전면과, 상기 전면의 일단부로부터 연속적으로 형성된 유연성 있는 플라스틱 직물로 형성된 바닥부로 구성된 덧댐부가 마련된 컨테이너 라이너의 배출 시스템으로서, 일단이 상기 측면부와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컨테이너의 천정에 고정되는 제1인양부재와, 일단이 상기 측면부와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컨테이너의 바닥면에 고정되는 제2인양부재와, 상기 측면부의 하단에 스냅후크가 마련되어 있고, 일단은 상기 스냅후크에 연결되는 로프와, 상기 바닥부의 후단에는 터널부가 형성되고, 그 터널부 내에 양단이 컨테이너 양 측벽에 고정되도록 삽입되는 지지대를 포함하고, 상기 제1인양부재와 상기 제2인양부재는 유연성 있는 플라스틱 직물로 형성되어, 상기 제1인양부재와 상기 제2인양부재를 전체적으로 또는 선택적으로 잡아당김으로써 상기 컨테이너 라이너 내의 화물의 배출을 촉진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컨테이너 라이너의 배출시스템은, 상기 덧댐부의 전면의 하단에는 상기 컨테이너의 좌우 측벽에 컨테이너 라이너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수단이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컨테이너 라이너의 배출시스템은, 상기 바닥부의 후단에는, 상기 바닥부를 컨테이너의 뒷면에 고정하기 위한 이중고정장치가 추가적으로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컨테이너 라이너의 배출시스템은, 상기 유연성 있는 플라스틱 직물 원단이 오염방지용 코팅이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오염된 컨테이너의 바닥과 내벽으로부터 화물을 보호하여 저장, 운송 및 보관에 효과적인 환경을 제공하고, 하역 작업시 안전한 배출 작업을 구현하며 신속한 배출로 잔량이 없이 배출되어 작업능률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이를 통해 잔여물 처리에 소요되는 작업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도 1은 종래의 컨테이너 라이너의 실물 사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배출 시스템을 채용한 컨테이너 라이너의 실물 사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배출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배출 시스템을 채용한 컨테이너 라이너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배출 시스템을 채용한 컨테이너 라이너를 위한 안전지지대 및 이의 고정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배출 시스템을 채용한 컨테이너 라이너가 컨테이너에 설치된 형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배출 시스템을 채용한 컨테이너 라이너(110)의 실물 사진으로서, 직육면체의 형태를 지닌 컨테이너(10)의 내부에 컨테이너 라이너(110)가 설치되어 있으며 컨테이너(10)의 전면에는 다수의 안전지지대(120)가 마련되어 있다.
상기 컨테이너 라이너(110)의 전면에는, 오염된 컨테이너(10) 내부 바닥면 또는 벽면으로부터 컨테이너 라이너(110)를 격리시키기 위하여 유연성을 가지는 플라스틱 직물로 제작된 덧댐부(130)가 부착된다. 상기 덧댐부(130)는 도 3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다수의 다각형 형상, 바람직하게는 직사각형 형상이 상호 결합된 모양이다. 상기 덧댐부(130)는 전면(131, 132)과 바닥부(133)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덧댐부(130)의 전면(131, 132)은 병풍과 같이 접힐 수 있는 형상으로 제작되어 화물의 배출시 화물이 컨테이너 라이너(110)의 전방으로 모아질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전면(131, 132)은 예시적으로 컨테이너 라이너(110)의 전면을 감쌀 수 있도록 정면부(131)와, 상기 정면부(131)를 중심으로 서로 마주보는 두 개의 측면부(132)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바닥부(133)는 상기 전면의 일단으로부터 연속적으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정면부(131)와 측면부(132)는 화물 배출이 용이해지도록 도 4에 도시된 배출포트(113)를 중심으로 양측면으로부터 소정의 경사각, 바람직하게는 120°내지 150°의 각을 이루도록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면(131, 132)과 바닥부(133) 전체가 일체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지만, 이를 각각 제작한 후 접착제로 접합하거나 봉제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덧댐부(130)의 형상이 다각형 형상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필요에 따라 곡선형 또는 비정형의 다수의 부분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댓댐부(130)는 오염방지를 위하여 코팅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코팅되어진 덧댐부(130)는 그 자체의 오염이 방지되어 재활용이 가능하다. 상기 바닥부(133)는 컨테이너(10)의 내부 바닥면을 덮는 구조로서 하부 후면부에 터널부(134)가 마련된다. 상기 터널부(134)에는 예를 들어 바닥부(133)의 길이방향에 수직한 가장자리(후술하는 도 3의 파이프형 지지대에 나란한 가장자리)를 그 가장자리의 길이방향의 가상의 축을 중심으로 감싸서 그 가장자리를 바닥부(133)에 다시 접합시킴으로써 내부의 공간이 형성되게 된다. 컨테이너(10)에 설치시 상기 터널부(134)의 내부 공간에 파이프형 지지대(160)가 삽입된다. 상기 파이프형 지지대(160)는, 그 단면 형상에 대응되게 컨테이너 내벽에 형성된 삽입구에 고정되고, 이로써 상기 덧댐부(130)가 컨테이너(10)에 고정되게 된다. 또는, 상기 터널부(134)에 목재판재를 삽입한 후에 상기 판재와 컨테이너의 바닥면을 피스, 못, 타카 등을 이용하여 고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덧댐부(130)는 컨테이너 라이너(110)와 양면접착테이프 또는, 벨트 내지 로프와 같은 묶음부재로 결합되어진다.
또한, 상기 덧댐부(130)의 바닥부(133)의 후단을 컨테이너에 고정하기 위하여 로프 또는 벨트와 같은 묶음부재로 형성된 이중 고정 장치(170)가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덧댐부(130)는 일단이 덧댐부(130)의 측면부(132)에 부착된 다수의 인양부재(140a, 140b, 141a, 141b)에 의하여 컨테이너(10)에 고정된다. 상기 인양부재(140a, 140b, 141a, 141b)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리형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그 일단의 고리가 컨테이너(10)의 천정 및 바닥면(덧댐부의 바닥부와 컨테이너 바닥면을 관통하여 설치될 수 있다)에 설치된 스넵후크(비나)(H) 또는 별도의 묶음장치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예시적으로, 도 3에서는 인양부재(140a, 140b)는 컨테이너(10)의 천장에 고정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고, 인양부재(141a, 141b)는 컨테이너(10)의 바닥에 고정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다.
상기 다수의 인양부재(140a, 140b, 141a, 141b)를 전체적으로 또는 선택적으로 잡아당김의 정도를 조절함으로써, 컨테이너 라이너(110)에 화물을 주입하거나 또는 컨테이너 라이너(110)로부터 화물을 배출시킬 때 컨테이너 라이너(110)의 덧댐부(130)의 전면(131, 132)의 형태를 조정하여 원활한 배출 및 잔유물 제거를 촉진할 수 있다. 또한, 필요시 컨테이너 라이너(110)의 전면이 컨테이너(10)의 바닥면으로부터 격리될 수 있게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양측의 측면부(132)의 하단에는 각각 로프(142a, 142b)가 마련되어 있다. 상기 로프(142a, 142b)의 일단은 상기 측면부(132)의 하단에 설치된 스넵후크(비나)(H) 또는 별도의 묶음장치에 고정될 수 있으며, 로프의 타단은 고리형 매듭이 마련될 수 있다. 상기 로프(142a, 142b)들은 컨테이너 라이너(110)의 양 측면에 남아 있는 잔류물을 제거하기 위하여 컨테이너 라이너를 흔들거나, 이를 당겨서 잔류물 제거를 촉진하기 위하여 사용된다. 상기 로프(142a, 142b)들은 유연한 플라스틱 직물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하역 작업시 배출포트(113)와 덧댐부(130)에 가해지는 하중을 견딜 있도록 봉제되는 것이 또한 바람직하다. 상기 로프(142a, 142b)들은 상기 소정의 경사각을 유지하는 기능을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덧댐부(130)의 전면의 하단에는 덧댐부(130)를 컨테이너(10)의 양측벽에 고정하기 위한 측면고정수단(150)이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측면고정수단(150)은 예를 들어, 로프 또는 벨트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측면고정수단(150)은, 상기 덧댐부(130)를 상기 컨테이너(10)이 좌측벽에 고정하기 위한 수단과, 상기 컨테이너(10)의 우측벽에 고정하기 위한 수단이 각각 마련될 수도 있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배출 시스템을 채용한 컨테이너 라이너(110)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상기 라이너(110)와 덧댐부(130)의 바닥부(133)는 예를 들어, 양면테이프 또는 별도의 묶음 부재에 의하여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라이너(110)는 예를 들어 직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직육면체 형상의 꼭지점의 전체 또는 일부에 형성된 고정수단(180), 예를 들어 로프로 형성된 고정고리에 의하여 컨테이너(10) 및 덧댐부(130)에 고정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컨테이너 라이너(110)의 상부는 상기 고정수단(180)에 의하여 컨테이너의 천정에 고정되며, 컨테이너 라이너(110)의 하부는 덧댐부(130)의 측면부(132)의 일정 지점을 기준, 예를 들어 도 4 및 도 6에 표시된 측면부(132) 내의 B 지점을 중심으로 측면부(132)로 덮힌 다음에 덧댐부(130)의 측면부(132)와 맞닿는 부분은 B 지점에서 로프 등으로 형성된 고정고리와 같은 고정수단(180)으로 측면부(132)에 고정되고, 바닥부(133)와 맞닿는 부분은 양면 테이프 등으로 바닥부(133)에 고정된다.
또한, 컨테이너 라이너(110)의 전면에는 화물의 주입포트(114), 배출포트(113) 및 컨네이너 라이너(110)의 에어를 배출하기 위한 에어배출포트(115) 등이 마련될 수 있다. 도 4에서 전면의 X자형 구조는, 컨테이너 라이너(110)를 사각형상으로 형성하고자 씰링한 부분을 나타낸다. 또한, 도 4에는 상기 고정고리의 묶음 형태(A, B)가 예시적으로 확대되어 도시되어 있다.
한편, 상기 컨테이너 라이너(110)를 상기 고정수단(180)를 이용하여 상부는 컨테이너 천정에, 하부는 덧댐부(130)의 측면부(132)에 각각 고정하는데, 그 이유는 배출포트(113)로 화물을 배출 시 라이너(110)가 화물과 같이 빠져나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배출 시스템을 채용한 컨테이너 라이너를 위한 안전지지대 및 이의 고정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컨테이너 라이너(110)의 전면에 다수의 안전지지대(120)가 마련되어 있다. 상기 다수의 안전지지대(120)는 컨테이너 라이너(110)가 컨테이너(10)로부터 임의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을 하며, 그 기능을 보완하기 위하여 안전지지대(120)를 예를 들어 결합수단(121)를 이용하여 서로 묶을 수 있다. 도 5에서는 예시적으로 결합수단(121)으로서, 루프 앤드 타이 방식(즉, 결합수단 일단의 루프는 컨테이너에 고정하고 결합수단 상의 타이를 안전지지대에 결합하는 방식)으로 소정의 간격으로 다수의 안전지지대(120)를 묶기 위한 로프(121)를 확대하여 함께 도시하였다. 상기 결합수단(121)을 벨트로 형성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안전지지대(120)의 양단부는 컨테이너(10)의 내부 측벽에 고정되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배출시스템, 안전지지대 및 각종 고정 수단 등을 전체적으로 도시한 도 6을 통하여 본 발명에서 채용한 구성요소 각각의 예시적 결합형태를 알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을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경과 수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10: 컨테이너
110: 컨테이너 라이너
113: 배출포트
114: 주입포트
115:에어배출포트
120: 안전지지대
121: 안전지지대의 결합수단
130: 덧댐부
131: 덧댐부 전면의 정면부
132: 덧댐부 전면의 측면부
133: 덧댐부의 바닥부
134: 덧댐부의 터널부
140a,140b, 141a, 141b: 인양부재
142a, 142b: 로프
150: 측면고정수단
160: 지지대
170: 이중 고정 장치

Claims (6)

  1. 정면부와 정면부를 중심으로 상호 대면하는 측면부를 포함하는 유연성 있는 플라스틱 직물로 형성된 전면과, 상기 전면의 일단부로부터 연속적으로 형성된 유연성 있는 플라스틱 직물로 형성된 바닥부로 구성된 덧댐부가 마련된 컨테이너 라이너의 배출 시스템으로서,
    일단이 상기 측면부와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컨테이너의 천정에 고정되는 제1인양부재와,
    일단이 상기 측면부와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컨테이너의 바닥면에 고정되는 제2인양부재와,
    상기 측면부의 하단에 스냅후크가 마련되어 있고, 일단은 상기 스냅후크에 연결되는 로프와,
    상기 바닥부의 후단에는 터널부가 형성되고, 그 터널부 내에 양단이 컨테이너 양 측벽에 고정되도록 삽입되는 지지대를 포함하고,
    상기 제1인양부재와 상기 제2인양부재는 유연성 있는 플라스틱 직물로 형성되어, 상기 제1인양부재와 상기 제2인양부재를 전체적으로 또는 선택적으로 잡아당김으로써 상기 컨테이너 라이너 내의 화물의 배출을 촉진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 라이너의 배출시스템.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덧댐부의 전면의 하단에는 상기 컨테이너의 좌우 측벽에 컨테이너 라이너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수단이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 라이너의 배출시스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부의 후단에는, 상기 바닥부를 컨테이너의 뒷면에 고정하기 위한 이중고정장치가 추가적으로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 라이너의 배출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유연성 있는 플라스틱 직물 원단은 오염방지용 코팅이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 라이너의 배출시스템.


KR1020100078460A 2010-08-13 2010-08-13 이물 유입 방지 및 이의 안전한 배출을 유도하는 유연성을 지닌 컨테이너 라이너의 배출 시스템 Active KR1012141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78460A KR101214121B1 (ko) 2010-08-13 2010-08-13 이물 유입 방지 및 이의 안전한 배출을 유도하는 유연성을 지닌 컨테이너 라이너의 배출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78460A KR101214121B1 (ko) 2010-08-13 2010-08-13 이물 유입 방지 및 이의 안전한 배출을 유도하는 유연성을 지닌 컨테이너 라이너의 배출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21720A KR20120021720A (ko) 2012-03-09
KR101214121B1 true KR101214121B1 (ko) 2012-12-20

Family

ID=461299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78460A Active KR101214121B1 (ko) 2010-08-13 2010-08-13 이물 유입 방지 및 이의 안전한 배출을 유도하는 유연성을 지닌 컨테이너 라이너의 배출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1412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24247B1 (ko) * 2013-01-03 2014-07-28 이광창 컨테이너 인벌크 라이너
KR101255571B1 (ko) * 2013-01-21 2013-04-17 김종민 액상화물 탱크용 벌크헤드
KR102107637B1 (ko) * 2018-12-11 2020-05-07 최용덕 컨테이너용 이너백장치
US11970652B1 (en) 2023-02-16 2024-04-30 Microera Power Inc. Thermal energy storage with actively tunable phase change materials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47189A (ja) * 2000-03-07 2001-09-11 Showa Packs Kk コンテナ用のばら荷輸送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47189A (ja) * 2000-03-07 2001-09-11 Showa Packs Kk コンテナ用のばら荷輸送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21720A (ko) 2012-03-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021351B1 (en) Reusable packaging
US9333978B2 (en) Transportation container retention device
US3951284A (en) Device for transporting bulk materials and methods
US7506776B2 (en) Braceless liner
US20160251155A1 (en) Transportation container retention device
KR101214121B1 (ko) 이물 유입 방지 및 이의 안전한 배출을 유도하는 유연성을 지닌 컨테이너 라이너의 배출 시스템
US20140086512A1 (en) Palletless bulk bag
WO2021001843A1 (en) Environment friendly reusable pallet wrap
US8083412B2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transporting bulk products
KR101459113B1 (ko) 컨테이너 백
KR101476400B1 (ko) 컨테이너 백
RU143828U1 (ru) Усиленный контейнер для перевозки сыпучих грузов
KR101459114B1 (ko) 다단 하이브리드벨트가 구비된 컨테이너백
CN108263766A (zh) 可拆卸组合的网体托盘集装箱
WO2012020870A1 (ko) 이물 유입 방지 및 이의 안전한 배출을 유도하는 유연성을 지닌 컨테이너 라이너의 배출 시스템
JP2926474B2 (ja) 粉粒体の袋容器
RU108028U1 (ru) Мягкий вкладыш в вагон
FI65401C (fi) Foerfarande och anordning foer transportering av granulerat eler pulverartat material
US20140198999A1 (en) Compartment bulk bag
JP2004345710A (ja) フレキシブルコンテナバッグ、およびその使用方法
RU2284287C1 (ru) Упаковочный комплект ахундова для пакетирования мешков с грузом
JP2004131142A (ja) ネット併用型運搬物用荷くずれ防止装置
JP3038233U (ja) 二重フレキシブルコンテナバッグ
KR101037598B1 (ko) 컨테이너 라이너
CN116177062B (zh) 一种散货集装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00813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20403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21022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21213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21213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01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1201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01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1201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20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1020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17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417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02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902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908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901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905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930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