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475463B1 - 컨테이너백용 이너라이너 - Google Patents

컨테이너백용 이너라이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75463B1
KR101475463B1 KR1020130043731A KR20130043731A KR101475463B1 KR 101475463 B1 KR101475463 B1 KR 101475463B1 KR 1020130043731 A KR1020130043731 A KR 1020130043731A KR 20130043731 A KR20130043731 A KR 20130043731A KR 101475463 B1 KR101475463 B1 KR 10147546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inner liner
container bag
contents
joint lin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437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125651A (ko
Inventor
최용덕
Original Assignee
최용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용덕 filed Critical 최용덕
Priority to KR10201300437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75463B1/ko
Publication of KR201401256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2565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754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75463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8/00Large containers
    • B65D88/16Large containers flexible
    • B65D88/1612Flexible intermediate bulk containers [FIBC]
    • B65D88/1618Flexible intermediate bulk containers [FIBC] double-walled or with lin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205/00Venting means
    • B65D2205/02Venting ho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8/00Large containers
    • B65D88/16Large containers flexible
    • B65D88/22Large containers flexible specially adapted for transpor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ag Frames (AREA)
  • Packages (AREA)

Abstract

분체류 등의 내용물이 수용될 때 마찰력을 감소시켜 내구성이 향상되며, 분체류 사이에 포함된 공기를 빠르게 배출시켜 보관효율성이 향상되도록, 본 발명은 분체류를 수납하는 내부 공간을 형성하되, 넓게 형성된 중심부와 좁게 형성된 입구부 및 출구부가 연결되는 부분에 경사부가 형성되는 컨테이너백용 이너라이너에 있어서, 상기 입구부, 상기 출구부 및 상기 경사부는 상기 중심부와 연결되어 절개된 부분의 테두리를 접합하여 형성되되, 상기 각 테두리는 기설정된 유로간격으로 이격된 제1접합라인과 제2접합라인으로 접합되고, 상기 경사부에 위치된 상기 제1접합라인에는 제1공기소통부가 형성되며, 상기 제2접합라인에는 상기 제1공기소통부와 기설정된 이격간격으로 엇갈리게 형성된 제2공기소통부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백용 이너라이너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컨테이너백용 이너라이너{inner liner for flexible intermediate bulk container}
본 발명은 이너라이너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분체류 등의 내용물이 수용될 때 마찰력을 감소시켜 내구성이 향상되며, 분체류 사이에 포함된 공기를 빠르게 배출시켜 보관효율성이 향상된 컨테이너백용 이너라이너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컨테이너 백(container bag)은 FIBC(flexible intermediate bulk container), 빅 백(big bag), 벌크 백(bulk bag)으로도 불리며, 곡물이나 합성수지 재료 등 분체류를 수납하여 운송 및 보관하기 위한 산업용 포대로서, 유연성 있는 소재를 사용하여 상기 분체류의 수납과 인출을 편리하게 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이때, 상기 컨테이너 백에는 500Kg 내지 2000Kg 정도의 화학물질(chemical), 광물질(mineral), 곡류(grain), 합성수지 분말 재료, 시멘트 등의 내용물을 수납하고 크레인(crane)이나 호이스트(hoist) 지게차 등으로 운반되어 창고에 보관되거나 트럭에 적재되어 운송된다.
특히, 작은 입자 상태의 화학물질이나 파우더형 약품 원료 등의 내용물을 수용하여 보관 및 운반할 때에는 원료의 품질을 유지하고, 손실 및 누출을 방지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를 위해, 상기 컨테이너 백의 내부에 이너라이너를 구비함으로써, 내용물을 상기 컨테이너 백에 직접 닿지 않도록 하여 외부로부터 이물질의 유입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내용물의 손실 및 누출을 방지하게 된다.
한편, 종래의 이너라이너는 내용물을 투입시키는 투입부, 상기 투입부와 연결되어 투입된 내용물을 수용할 수 있는 수용부, 그리고 수용된 내용물을 필요에 따라 배출하는 배출부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이너라이너는 직물이나 플렉서블한 합성수지로 형성되어, 평상시에는 콤팩트하게 접혀 보관되며, 내용물을 수용할 때는 상기 컨테이너 백의 내부에 결합하여 부피를 갖도록 상기 수용부를 펼쳐 내용물을 투입하여 보관하게 된다.
하지만, 종래의 이너라이너는 상기 투입부와 상기 수용부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부분이 내용물의 투입 시 발생하는 흐름에 의한 마찰로 손상되어 내구성이 감소하며, 연결부분에 구멍이 나거나 연결부분이 끊어져 분리되는 경우가 발생하였다. 이에 따라, 내용물이 상기 컨테이너 백으로 유실되거나 오염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더욱이, 분체류로 형성된 내용물은 충전될 때 입자 사이에 많은 량의 공기를 포함하게 되는데, 이 같은 공기들이 상기 이너라이너의 내부 공간에서 외부로 원활하게 배출되지 못하면 상기 이너라이너가 공기로 인해 부풀어 있게 된다.
이때, 상기 컨테이너 백이 다단으로 적재되면 상부에서 가해지는 하중이 상기 이너라이너에 직접적으로 가해지게 되어 부푼 상태의 상기 이너라이너가 터져 내용물이 유실되는 경우가 발생하거나, 다단으로 적층된 백이 내부 공기층의 유동으로 쓰러지는 현상이 발생하였다.
또한, 부풀어 있는 상태의 이너라이너가 수용된 상기 컨테이너 백은 유동적인 공기부분으로 인해 외형이 견고하게 고정되지 못하여 안정된 지지력을 형성하지 못하였으며, 이에 따라 보관과 운반에 불편을 가중시키고 공간적인 낭비를 발생시키게 된다.
따라서, 포장단계에서 상기 이너라이너에 포함된 공기를 배출시키는 과정이 필요하게 되는데, 분체류의 입자 크기와 무게에 따라 공기를 배출시키는 과정에 소요되는 시간이 과도하게 소비되어 작업효율성이 현저히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국 공개특허 제10-2004-0027809호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분체류 등의 내용물이 수용될 때 마찰력을 감소시켜 내구성이 향상되며, 분체류 사이에 포함된 공기를 빠르게 배출시켜 보관효율성이 향상된 컨테이너백용 이너라이너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과제로 한다.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분체류를 수납하는 내부 공간을 형성하되, 넓게 형성된 중심부와 좁게 형성된 입구부 및 출구부가 연결되는 부분에 경사부가 형성되는 컨테이너백용 이너라이너에 있어서, 상기 입구부, 상기 출구부 및 상기 경사부는 상기 중심부와 연결되어 절개된 부분의 테두리를 접합하여 형성되되, 상기 각 테두리는 기설정된 유로간격으로 이격된 제1접합라인과 제2접합라인으로 접합되고, 상기 경사부에 위치된 상기 제1접합라인에는 제1공기소통부가 형성되며, 상기 제2접합라인에는 상기 제1공기소통부와 기설정된 이격간격으로 엇갈리게 형성된 제2공기소통부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백용 이너라이너를 제공한다.
더욱이, 상기 제1공기소통부 및 상기 제2공기소통부는 비접합 부분으로 형성되며, 상기 내부 공간에 유입된 공기는 상기 제2공기소통부를 지나 상기 제1접합라인과 상기 제2접합라인 사이를 통과하여 상기 제1공기소통부로 배출됨이 바람직하다.
삭제
그리고, 상기 입구부와 상기 경사부의 테두리 사이의 안식각도는 110~150° 범위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삭제
상기의 해결 수단을 통해서, 본 발명에 따른 컨테이너 백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제공한다.
첫째, 상기 접힘부는 상기 각 베이스부와 상기 제1접합라인과 상기 제2접합라인으로 보다 확실하게 결합되어 내용물의 하중으로 인한 망가짐 없이 견고하게 구조를 유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각 접합라인에 구비된 제1공기소통부 및 제2공기소통부를 통해 내부 공기가 원활하게 배출되어 포장단계에서 공기배출시간이 절감되므로 작업효율성이 향상될 수 있다.
둘째, 상기 제1공기소통부는 상기 제2공기소통부와 기설정된 이격간격으로 이격되므로 수용된 내용물이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제한할 수 있으며, 상기 제1공기소통부가 상기 제2공기소통부의 하측에 형성되므로 외측이 이물질이 상기 제2공기소통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셋째, 내부에 포함된 공기가 상기 입구부 및 각 모서리에 형성된 상기 제2공기소통부에서 상기 제1공기소통부로 이어지는 복수 개의 공기 유로로 배출되므로 공기가 차지하는 부피가 빠르게 감소될 수 있어 포장 중인 컨테이너 백의 보관효율성이 향상될 수 있다.
넷째, 상기 이너라이너는 외측에 결합되는 상기 컨테이너백의 내측 형태에 형합되게 형성되어 불필요한 원자재 비용을 절감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입구부와 상기 경사부의 테두리 사이가 110~150° 범위로 완만하게 형성되므로 상기 내용물의 입자와 닿을 때의 마찰력이나 충격을 분산하여 상쇄하여 내용물의 투입에 따른 손상이 감소되어 제품의 내구성이 향상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백용 이너라이너가 펼쳐진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백용 이너라이너가 접힌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
도 3은 도 2의 A-B단면을 나타낸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백용 이너라이너의 경사부에 형성된 유로 구조를 나타낸 부분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백용 이너라이너의 경사부를 나타낸 부분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백용 이너라이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백용 이너라이너가 펼쳐진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백용 이너라이너가 접힌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이며, 도 3은 도 2의 A-B단면을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백용 이너라이너의 경사부에 형성된 유로 구조를 나타낸 부분도이다.
도 1 내지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백용 이너라이너(100)는 분체류를 수납하는 내부 공간을 형성하되, 넓게 형성된 중심부(17)와 좁게 형성된 입구부(14) 및 출구부(13)를 포함하고, 상기 중심부(17)와 상기 입구부(14) 및 상기 출구부(13)가 연결되는 부분에 형성된 경사부(18)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입구부(14), 상기 출구부(13) 및 상기 경사부(18)는 상기 중심부(17)와 연결되어 절개된 부분의 테두리를 접합하여 형성되되, 상기 각 테두리는 기설정된 유로간격으로 이격된 제1접합라인(40)과 제2접합라인(30)으로 접합된다.
여기서, 상기 컨테이너 백은 유연성 있는 재료를 사용하여 내용물을 수납하지 않은 상태에서 부피를 최소로 하여 보관하고, 내용물을 수납할 때는 물류비의 경감을 위해 정해진 공간에 많은 양의 화물을 수납하도록 외형의 변형이 용이하게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컨테이너 백은 주로 천연 섬유재, PVC(polyvinyl chloride), 합성수지재(polypropylene, polyethylene)로 직조하여 컨테이너 백의 외형을 유지하는 동시에 강도를 유지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이너라이너(100)는 상기 컨테이너 백의 내부에 구비되어, 내용물을 수용하여 보관 및 운반할 때 원료의 품질을 유지하고, 손실 및 누출을 방지하도록, 내용물을 상기 컨테이너 백에 직접 닿지 않도록 하여 외부로부터 이물질의 유입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내용물의 손실 및 누출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이때, 상기 이너라이너(100)는 유연한 재질로 형성되되 화학적으로 안정하여 내용물과 반응성 낮은 섬유재나 합성수지재(polyethylene, polyethylene terephthalate) 필름, 다층 필름, 그리고 알루미늄 필름 등으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상세히, 상기 이너라이너(100)는 일체형의 필름으로 형성되되, 양측단부를 접합하고 상측과 하측의 일부를 절개하여 제거하고, 절개된 부분을 접합하여 상기 입구부(14)와 상기 출구부(13)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너라이너(100)가 알루미늄 필름 등으로 형성되는 경우에는 소재의 특성으로 인해, 좁은 입구부와 출구부, 넓은 중심부, 그리고 상기 입구부 및 상기 출구부를 상기 중심부와 연결하는 경사부가 형성된 복수 장의 필름을 연결하여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먼저, 상기 이너라이너(100)가 복수 장의 필름을 연결하여 형성되는 경우를 살펴보면 하기의 설명과 같다.
상기 내부 공간은 베이스부(10)와 접힘부(20)의 결합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베이스부(10)에는 대칭되는 쌍으로 구비된 전면과 후면에 상기 내부 공간의 양측면을 형성하도록 대칭되는 쌍으로 구비된 접힘부의 중앙이 접혀 양측단부가 각각 상기 전면과 후면의 일측단부 및 타측단부와 테두리를 따라 접합된다.
한편, 상기 베이스부(10)는 분체류를 수납하는 내부 공간의 전면과 후면을 형성하도록 대칭되는 쌍으로 구비되되, 넓게 형성된 중심부(17)와 좁게 형성된 입구부(14) 및 출구부(13)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베이스부(10)의 양측단부에는 상기 중심부(17)와 상기 입구부(14), 상기 중심부(17)와 상기 출구부(13)가 연결되는 부분에 경사부(18)가 형성된다.
이때, 상기 중심부(17)와 상기 입구부(14), 상기 중심부(17)와 상기 출구부(13)를 연결하는 상기 경사부(18)의 상하측으로 절곡부(18a,18b)가 형성되며, 상기 베이스부(10)는 면중심선을 기준으로 좌우대칭되도록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접힘부(20)는 분체류를 수납하는 내부 공간의 양측면을 형성하도록 대칭되는 쌍으로 구비되되, 각 면의 중심부가 접혀 양측단부(22)가 상기 각 베이스부의 일측단부 및 타측단부와 테두리를 따라 접합된다.
여기서, 상기 접힘부(20)는 반복적인 접힘과 펴짐으로 면의 중심부가 손상되지 않도록 유연한 재질로 형성되며, 화학적인 안정성을 가진 소재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상세히, 상기 베이스부(10)와 상기 접힘부(20)는 각각의 양측단부가 상호 연결되어 분체류를 수납하는 내부 공간을 형성한다. 이때, 상기 베이스부(10)는 마주보는 쌍으로 형성되어 상기 내부 공간의 전면과 후면을 형성하며, 상기 접힘부(20)는 마주보는 쌍으로 형성되어 상기 내부 공간의 양측면을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각 베이스부(10)가 서로 마주보게 배치된 상태에서 각각의 양측단부 및 타측단부에 각각의 상기 접힘부(20)가 연결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접힘부(20)는 상기 베이스부(10)와 동일한 형태로 이루어지되 면의 중심부에 상기 이너라이너(100)의 접힘 형상을 가이드하기 위한 접힘가이드부(21)가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접힘가이드부(21)는 상기 이너라이너(100)가 보관될 때 내측으로 절곡되어 접힘으로써 상기 각 베이스부(10) 사이가 밀착되어 납작한 형태가 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너라이너(100)가 내용물을 수용하기 위해 부피를 가지고 펴진 형태가 되면 상기 접힘부(20)에서 상기 경사부(18) 상측의 절곡부(18a)가 연결되는 지점(23)은 내측으로 절곡되고, 상기 경사부(18) 하측의 절곡부(18b)가 연결되는 지점(24)은 외측으로 절곡된다.
이에 따라, 상기 내부 공간은 상측와 하측은 좁고 중심측은 넓은 형태가 된다. 즉, 상기 이너라이너(100)는 외측에 결합되는 상기 컨테이너백의 내측 형태에 형합되게 형성되어 입구부(14)와 출구부(13)의 면적차이가 없는 원통형의 이너라이너를 제조하는 데에 비해 원재료의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또한, 원통형의 이너라이너의 경우에 넓은 입구를 억지로 줄여 상기 컨테이너백에 집어넣어야 하므로 내측에 중첩되게 접히는 부분이 다수 발생되어 상기 컨테이너백에 집어넣고 내측을 펴주는 작업이 필요했다.
반면, 본 발명의 이너라이너(100)의 경우에는 컨테이너 백에 삽입하여 내용물을 충전시키면 상기 컨테이너 백의 내부 형태에 맞게 내용물이 채워지므로 이너라이너(100)를 삽입하고 교체하는 작업이 원활하게 이루어져 작업 효율성이 향상될 수 있다.
한편, 상기 고정부(16)는 상기 베이스부(20)에 복수 개 구비되어 상기 컨테이너백의 내측면에 결합되어 상기 이너라이너(100)를 고정한다. 여기서, 상기 고정부(16)는 상기 컨테이너백의 내측면에 형성된 고리에 결합될 수 있는 끈(rope)이나 상기 컨테이너백의 내측면에 선택적으로 부착될 수 있는 접착테이프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고정부(16)는 상기 베이스부(20)의 중심부 상측 및 중심부 하측에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상기 이너라이너(100)에서 내용물이 가장 많이 수납되는 중심부가 견고하게 고정되므로 상기 컨테이너백과 상기 이너라이너(100)의 결합력이 현저히 향상될 수 있다. 따라서, 내용물의 투입 및 배출 시 상기 컨테이너백과 상기 이너라이너(100)의 분리를 방지하여 원활하게 내용물을 투입되고 배출되므로 작업 효율성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물론, 상기 고정부(16)는 상기 베이스부(20)의 중심부 상측에만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때, 상기 중심부의 하부는 충전되는 내용물의 하중으로 상기 컨테이너백으로 밀착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컨테이너백의 내면과 상기 이너라이너(100)의 입구부(14) 내지 출구부(13) 외면 사이는 실링수단을 이용하여 접착되거나 봉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통해, 상기 컨테이너백과 상기 이너라이너(100) 사이에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날카로운 이물질 등이 상기 컨테이너백과 상기 이너라이너(100) 사이에서 유동되어 상기 이너라이너(100)를 손상하여 내용물이 유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입구부(14) 내지 상기 출구부(13)측 컨테이너백 외주에는 내부에 수용된 분체류의 밀봉을 위한 조임끈 또는 케이블타이가 구비될 수 있다.
한편,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입구부(14)와 상기 경사부(18)의 테두리 사이의 안식각도(θ1)는 110~150° 범위로 형성된다. 상세히, 상기 입구부(14)를 통해 투입되는 내용물은 상기 입구부(14)와 상기 경사부(18)의 내측면에 마찰력을 형성하게 된다.
이때, 상기 내용물은 상기 입구부(14)의 상측에서 투입되어 상기 경사부(18)의 내측면을 지나 상기 중심부(17)로 수용된다. 그리고, 상기 내용물의 입자는 이미 쌓여있는 내용물과 충돌하여 상측으로 튀어오르거나, 떨어지는 내용물의 입자 사이의 반발력으로 상기 경사부(18)의 내측면과 마찰하기도 한다.
여기서, 상기 입구부(14)와 상기 경사부(18)의 테두리 사이는 110~150° 범위로 완만하게 형성되어 상기 내용물의 입자와 닿을 때의 마찰력이나 충격을 분산하여 상쇄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입구부(14)와 상기 경사부(18)의 테두리 사이 내면은 상기 내용물의 입자와의 마찰이나 충격으로 인한 손상이 감소되어 내구성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입구부(14)와 상기 경사부(18)가 형성하는 상기 내부 공간의 상면이 피라미드 형태를 이루기 때문에, 내용물을 더 높게 채울 수 있어 같은 규격의 이너라이너에 비해 보관 효율성이 향상될 뿐만 아니라, 상기 컨테이너백을 적층하는 경우에 내부의 공기가 빠져나가 상면이 아래로 꺼지게 되더라도 내용물의 상측이 평평한 형태를 이루기 때문에 적층 안정성이 향상될 수 있다.
한편,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접힘부(20)는 상기 각 베이스부(10)의 일측단부 및 타측단부에 기설정된 유로간격으로 이격된 제1접합라인(40)과 제2접합라인(30)으로 접합된다.
여기서, 상기 제1접합라인(40)은 상기 접힘부(20)의 양측단부와 상기 베이스부(10)의 양측단부에서 기설정된 접합간격만큼 내측으로 들어간 위치에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2접합라인(30)은 상기 제1접합라인(40)에서 기설정된 유로간격으로 이격된 위치에 상기 제1접합라인(40)과 평행하게 형성된다.
이로 인해, 상기 베이스부(10)와 상기 접힘부(20)는 이중의 접합라인(30,40)으로 결합되므로 내용물이 가득 찬 상태에서도 내용물의 팽창으로 인한 압력과 하중을 견고하게 지지하여 망가짐 없이 상기 이너라이너(100)의 구조를 유지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기설정된 접합간격은 상기 제1접합라인(40)과 상기 제2접합라인(30)을 열압착이나 초음파 공법으로 접합할 때 지그 등으로 고정하여 작업할 수 있도록 설정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기설정된 유로간격은 상기 제1접합라인(40)과 상기 제2접합라인(30) 사이로 공기는 유동되되, 이물질이나 분체류 등의 내용물은 유동되지 않는 미세한 간격으로 설정될 수 있다.
물론, 상기 이너라이너(100)는 상술된 바와 같이, 일체로 구비된 필름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필름의 양측단부를 서로 연결하여 내부 공간을 형성한다. 그리고, 상단부와 하단부의 측면 일부를 절개하여 제거하고 절개된 부분을 테두리를 접합하여 상기 입구부(14)와 상기 출구부(13)를 형성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상단부와 상기 하단부의 측면 일부를 절개할 때, 상기 상단부와 상기 하단부 양측에 마주보는 두 부분을 절개하여 절개된 부분의 테두리를 접합하여 상기 입구부(14)와 상기 출구부(13)를 형성할 수 있다. 물론, 상기 상단부와 상기 하단부 측면의 90°마다 절개된 부분을 형성하여 인접한 두 절개된 부분의 테두리을 접합하여 상기 입구부(14)와 상기 출구부(13)를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절개된 부분의 테두리는 기설정된 유로간격으로 이격된 제1접합라인과 제2접합라인으로 접합된다.
물론, 이때에도 상기 제1접합라인과 상기 제2접합라인에 후술되는 제1공기소통부 및 제2공기소통부가 형성됨과 상기 입구부(14)와 경사부(18)의 테두리 사이의 안식각도가 110~150°범위로 형성됨을 포함한 본 발명의 기본적인 구성은 상기 내부 공간이 일체로 형성되는 것과 복수 개의 결합으로 형성되는 것 이외에는 동일하게 적용된다.
한편,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경사부(12)에 위치된 상기 제1접합라인(40)에는 제1공기소통부(41)가 형성되며, 상기 제2접합라인(30)에는 상기 제1공기소통부(41)와 기설정된 이격간격으로 엇갈리게 형성된 제2공기소통부(31)가 형성된다.
이때, 상기 기설정된 이격간격은 공기흐름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근접하게 설정되되, 내부에 소용되는 분체류의 입자크기에 따라 공기가 포함되는 공극율이 다르기 때문에 대응되는 간격으로 설정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제1공기소통부(41) 및 상기 제2공기소통부(31)는 비접합 부분으로 형성된다. 즉, 상기 제1접합라인(40)과 상기 제2접합라인(30)은 열압착이나 초음파 공법 혹은 레이저를 통해, 상기 제1접합라인(40)과 상기 제2접합라인(30)을 따라 연속적으로 접합을 수행한다.
이때, 상기 제1공기소통부(41) 및 상기 제2공기소통부(31)가 형성될 부분에 열압착 공법의 경우에는 단열제를 구비하여 접합을 방지하고, 레이저 가열의 경우에는 산란제를 설치하여 접합을 방지함으로써, 상기 제1공기소통부(41) 및 상기 제2공기소통부(31)가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내부 공간에 채워지는 내용물은 분체류 등으로 형성되어 수용될 때 내용물의 입자 사이에 공기를 포함하게 된다. 그리고, 내용물의 하중에 의해 공기가 차지한 부분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내용물의 입자가 들어가 차지하게 되고, 공기는 상기 이너라이너의 외부로 배출되려고 한다.
이때, 상기 내부 공간에 유입된 공기(a)는 상기 제2공기소통부(31)를 지나 상기 제1접합라인(40)과 상기 제2접합라인(30) 사이를 통과하여 상기 제1공기소통부(41)로 배출된다. 그리고, 상기 제1공기소통부(41)는 상기 제2공기소통부(31)와 기설정된 이격간격으로 이격되므로 수용된 내용물이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제한할 수 있어 내용물의 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다.
상기 이너라이너(100) 내의 분체류 입자 사이에 포함된 공기는 상기 컨테이너 백을 적재하고 보관할 때 공간적인 낭비를 발생시키게 된다. 이때, 내부에 포함된 공기가 상기 입구부(14)의 개구부뿐만 아니라 상기 경사부(12)에 형성된 상기 제1공기소통부(41) 및 상기 제2공기소통부(31)로 배출되므로 내부 공간에 유입된 공기가 빠르게 외부로 배출될 수 있어, 공간적인 손실을 방지하여 보관효율성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포장단계에서 공기를 배출시키는 작업은 7시간 내지 10시간 정도의 시간이 필요하지만, 상기 이너라이너(100)의 경우에는 상기 입구부(14) 및 네 모서리에 형성된 상기 제2공기소통부(31)에서 상기 제1공기소통부(41)로 이어지는 복수 개의 공기 유로가 구비되어 포장단계에서 공기배출 시간을 절감하여 작업효율성이 현저히 향상될 수 있다.
더욱이, 포장단계에서 공기 배출 작업 없이 상기 이너라이너(100)를 바로 밀봉하더라도 상기 내부 공간에 유입된 공기가 외부로 배출될 수 있어, 상기 컨테이너 백에서 공기가 차지하는 부피가 감소되므로 보관효율성이 개선될 수 있다.
물론, 상기 제1공기소통부(41)는 상기 제2공기소통부(31)의 높이보다 낮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 인해, 상기 제1공기소통부(41)로 이물질(b)이 유입될 경우에 상기 제1접합라인(40)과 상기 제2접합라인(30) 사이를 따라 하측으로 이동되므로 상기 제2공기소통부(31)로의 유입을 방지하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백용 이너라이너의 경사부를 나타낸 부분도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경사부 상측의 상기 제2접합라인의 절곡을 제외한 기본 구성은 전술된 일실시예와 동일하므로 동일한 부분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백용 이너라이너(200)의 경사부(212) 상측에 형성된 상기 제2접합라인(230)의 절곡은 곡선형의 만곡(230a)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는, 상기 입구부와 상기 경사부의 테두리 사이가 110~150° 범위로 완만하게 형성되어 상기 내용물의 입자와 닿을 때의 마찰력이나 충격을 분산하여 상쇄함과 더불어, 실질적으로 상기 내용물의 입자와 마찰하는 상기 제2접합라인(230)과 상기 내용물의 입자와의 마찰력 및 충격을 상쇄하는 효과를 제공하여 상기 제2접합라인(230)의 소손을 방지하여 내구성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제공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상술한 각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청구항에서 청구하는 범위를 벗어남 없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변형 실시되는 것은 가능하며, 이러한 변형실시는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
100,200 : 컨테이너백용 이너라이너 10,210: 베이스부
20: 접힘부 30,230: 제2접합라인
40,240: 제1접합라인 18,212: 경사부
21: 접힘가이드부 16: 고정부
θ1,θ2: 안식각 14: 입구부
13: 출구부 31,231: 제2공기소통부
41,241: 제1공기소통부 a: 공기
b: 이물질

Claims (5)

  1. 분체류를 수납하는 내부 공간을 형성하되, 넓게 형성된 중심부와 좁게 형성된 입구부 및 출구부가 연결되는 부분에 경사부가 형성되는 컨테이너백용 이너라이너에 있어서,
    상기 입구부, 상기 출구부 및 상기 경사부는 상기 중심부와 연결되어 절개된 부분의 테두리를 접합하여 형성되되, 상기 각 테두리는 기설정된 유로간격으로 이격된 제1접합라인과 제2접합라인으로 접합되고,
    상기 경사부에 위치된 상기 제1접합라인에는 제1공기소통부가 형성되며, 상기 제2접합라인에는 상기 제1공기소통부와 기설정된 이격간격으로 엇갈리게 형성된 제2공기소통부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백용 이너라이너.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공기소통부 및 상기 제2공기소통부는 비접합 부분으로 형성되며,
    상기 내부 공간에 유입된 공기는 상기 제2공기소통부를 지나 상기 제1접합라인과 상기 제2접합라인 사이를 통과하여 상기 제1공기소통부로 배출됨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백용 이너라이너.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입구부와 상기 경사부의 테두리 사이의 안식각도는 110~150° 범위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백용 이너라이너.
  5. 삭제
KR1020130043731A 2013-04-19 2013-04-19 컨테이너백용 이너라이너 Active KR10147546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43731A KR101475463B1 (ko) 2013-04-19 2013-04-19 컨테이너백용 이너라이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43731A KR101475463B1 (ko) 2013-04-19 2013-04-19 컨테이너백용 이너라이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25651A KR20140125651A (ko) 2014-10-29
KR101475463B1 true KR101475463B1 (ko) 2014-12-23

Family

ID=519953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43731A Active KR101475463B1 (ko) 2013-04-19 2013-04-19 컨테이너백용 이너라이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75463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77427B1 (ko) * 2021-10-22 2022-03-21 최용덕 컨테이너백용 이너라이너의 제조방법
KR20240042699A (ko) * 2022-09-26 2024-04-02 제일산업 주식회사 컨테이너백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79694B1 (ko) * 2020-04-16 2020-11-17 최용덕 카톤컨테이너를 이용한 공급시스템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85191A (ko) * 2010-01-19 2011-07-27 김광호 톤백 및 이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85191A (ko) * 2010-01-19 2011-07-27 김광호 톤백 및 이의 제조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77427B1 (ko) * 2021-10-22 2022-03-21 최용덕 컨테이너백용 이너라이너의 제조방법
KR20240042699A (ko) * 2022-09-26 2024-04-02 제일산업 주식회사 컨테이너백
KR102792283B1 (ko) * 2022-09-26 2025-04-09 제일산업 주식회사 컨테이너백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25651A (ko) 2014-10-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427160B2 (en) Bulk bag for meat and meat products
US6196719B1 (en) Tip-over dischargeable bulk bag
US20010041023A1 (en) Flexible container with support members
KR101475463B1 (ko) 컨테이너백용 이너라이너
KR101696884B1 (ko) 컨테이너백
JP2007254024A (ja) 粉体類を収納するためのコンテナーバッグ
KR101475465B1 (ko) 컨테이너백용 이너라이너
KR101476400B1 (ko) 컨테이너 백
KR101303847B1 (ko) 공기배출기능을 가지는 포장용기
KR101964076B1 (ko) 컨테이너 백
KR101459114B1 (ko) 다단 하이브리드벨트가 구비된 컨테이너백
KR101491820B1 (ko) 컨테이너백
WO2016021867A1 (ko) 컨테이너 백
KR102010193B1 (ko) 콘테이너 백
KR101459115B1 (ko) 컨테이너백
JP5725645B2 (ja) 二重式フレキシブルコンテナの排出部構造
KR20120021720A (ko) 이물 유입 방지 및 이의 안전한 배출을 유도하는 유연성을 지닌 컨테이너 라이너의 배출 시스템
US8167159B2 (en) Collapsible and reusable drum
JP6127027B2 (ja) 二重構造のフレキシブルコンテナバッグ
KR102792283B1 (ko) 컨테이너백
CN106516468A (zh) 容器系统
KR102377427B1 (ko) 컨테이너백용 이너라이너의 제조방법
JP5816009B2 (ja) フレキシブルコンテナの形成方法
KR102165313B1 (ko) 보강시트를 구비한 컨테이너 백
KR20220030053A (ko) 컨테이너 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30419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N2301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date: 20130722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code: PN23011R01D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N2301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date: 20131014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code: PN23011R01D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40513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41021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41216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41216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20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1020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924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1126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105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1016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1113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