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034811B1 - 변성 공액디엔계 중합체 및 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변성 공액디엔계 중합체 및 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34811B1
KR102034811B1 KR1020170094139A KR20170094139A KR102034811B1 KR 102034811 B1 KR102034811 B1 KR 102034811B1 KR 1020170094139 A KR1020170094139 A KR 1020170094139A KR 20170094139 A KR20170094139 A KR 20170094139A KR 102034811 B1 KR102034811 B1 KR 10203481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rmula
conjugated diene
group
modified conjugated
carbon atoms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941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58179A (ko
Inventor
김유진
김노마
최흥열
이호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화학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to CN201780005852.1A priority Critical patent/CN108473616B/zh
Priority to JP2018534800A priority patent/JP6646749B2/ja
Priority to EP17873365.5A priority patent/EP3372621B1/en
Priority to PCT/KR2017/011555 priority patent/WO2018097480A1/ko
Priority to US16/061,859 priority patent/US10808055B2/en
Publication of KR201800581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5817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348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34811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36/00Homopolymers and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at least one having two or more carbon-to-carbon double bonds
    • C08F36/02Homopolymers and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at least one having two or more carbon-to-carbon double bonds the radical having only two carbon-to-carbon double bonds
    • C08F36/04Homopolymers and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at least one having two or more carbon-to-carbon double bonds the radical having only two carbon-to-carbon double bonds conjugated
    • C08F36/06Butadi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8/00Chemical modification by after-treatment
    • C08F8/44Preparation of metal salts or ammonium salt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FACYCLIC, CARBOCYCLIC OR 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ELEMENTS OTHER THAN CARBON, HYDROGEN, HALOGEN, OXYGEN, NITROGEN, SULFUR, SELENIUM OR TELLURIUM
    • C07F7/00Compounds containing elements of Groups 4 or 14 of the Periodic Table
    • C07F7/02Silicon compounds
    • C07F7/08Compounds having one or more C—Si linkages
    • C07F7/10Compounds having one or more C—Si linkages containing nitrogen having a Si-N linkage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FACYCLIC, CARBOCYCLIC OR 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ELEMENTS OTHER THAN CARBON, HYDROGEN, HALOGEN, OXYGEN, NITROGEN, SULFUR, SELENIUM OR TELLURIUM
    • C07F7/00Compounds containing elements of Groups 4 or 14 of the Periodic Table
    • C07F7/02Silicon compounds
    • C07F7/08Compounds having one or more C—Si linkages
    • C07F7/18Compounds having one or more C—Si linkages as well as one or more C—O—Si linkages
    • C07F7/1804Compounds having Si-O-C linkag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CTREATMENT OR CHEMICAL MODIFICATION OF RUBBERS
    • C08C19/00Chemical modification of rubber
    • C08C19/22Incorporating nitrogen atoms into the molecul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CTREATMENT OR CHEMICAL MODIFICATION OF RUBBERS
    • C08C19/00Chemical modification of rubber
    • C08C19/25Incorporating silicon atoms into the molecul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CTREATMENT OR CHEMICAL MODIFICATION OF RUBBERS
    • C08C19/00Chemical modification of rubber
    • C08C19/30Addition of a reagent which reacts with a hetero atom or a group containing hetero atoms of the macromolecule
    • C08C19/42Addition of a reagent which reacts with a hetero atom or a group containing hetero atoms of the macromolecule reacting with metals or metal-containing groups
    • C08C19/44Addition of a reagent which reacts with a hetero atom or a group containing hetero atoms of the macromolecule reacting with metals or metal-containing groups of polymers containing metal atoms exclusively at one or both ends of the skeleton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00Processes of polymerisation
    • C08F2/04Polymerisation in solution
    • C08F2/06Organic solvent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00Processes of polymerisation
    • C08F2/38Polymerisation using regulators, e.g. chain terminating agents, e.g. telomeris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36/00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at least one having two or more carbon-to-carbon double bonds
    • C08F236/02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at least one having two or more carbon-to-carbon double bonds the radical having only two carbon-to-carbon double bonds
    • C08F236/04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at least one having two or more carbon-to-carbon double bonds the radical having only two carbon-to-carbon double bonds conjugated
    • C08F236/10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at least one having two or more carbon-to-carbon double bonds the radical having only two carbon-to-carbon double bonds conjugated with vinyl-aromatic mono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36/00Homopolymers and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at least one having two or more carbon-to-carbon double bonds
    • C08F36/02Homopolymers and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at least one having two or more carbon-to-carbon double bonds the radical having only two carbon-to-carbon double bonds
    • C08F36/04Homopolymers and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at least one having two or more carbon-to-carbon double bonds the radical having only two carbon-to-carbon double bonds conjugated
    • C08F36/14Homopolymers and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at least one having two or more carbon-to-carbon double bonds the radical having only two carbon-to-carbon double bonds conjugated containing elements other than carbon and hydrogen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8/00Chemical modification by after-treatment
    • C08F8/42Introducing metal atoms or metal-containing group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16Nitrogen-containing compounds
    • C08K5/17Amines; Quaternary ammonium compounds
    • C08K5/5442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54Silicon-containing compounds
    • C08K5/544Silicon-containing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 C08K5/5477Silicon-containing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containing nitrogen in a heterocyclic r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56Organo-metallic compounds, i.e.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a metal-to-carbon bond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15/00Compositions of rubber derivativ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36/00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at least one having two or more carbon-to-carbon double bonds
    • C08F236/02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at least one having two or more carbon-to-carbon double bonds the radical having only two carbon-to-carbon double bonds
    • C08F236/04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at least one having two or more carbon-to-carbon double bonds the radical having only two carbon-to-carbon double bonds conjugated
    • C08F236/06Butadi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500/00Characteristics or properties of obtained polyolefins; Use thereof
    • C08F2500/01High molecular weight, e.g. >800,000 Da.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500/00Characteristics or properties of obtained polyolefins; Use thereof
    • C08F2500/04Broad molecular weight distribution, i.e. Mw/Mn > 6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8/00Chemical modification by after-treatment
    • C08F8/30Introducing nitrogen atoms or nitrogen-containing groups
    • C08F8/32Introducing nitrogen atoms or nitrogen-containing groups by reaction with ami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18Oxygen-containing compounds, e.g. metal carbonyls
    • C08K3/20Oxides; Hydroxides
    • C08K3/22Oxides; Hydroxides of metals
    • C08K2003/2296Oxides; Hydroxides of metals of zinc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ddition Polymer Or Copolymer, Post-Treatments, Or Chemical Modifications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변성 공액디엔계 중합체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공액디엔계 단량체 유래 반복 단위를 포함하고, 일측 말단에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포함하는 변성제 유래 작용기를 포함하는 변성 공액디엔계 중합체 및 이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변성 공액디엔계 중합체 및 이의 제조방법{MODIFIED CONJUGATED DIENE POLYMER AND METHOD FOR PREPARING THE SAME}
본 발명은 변성 공액디엔계 중합체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고무 중합체 및 무기 충진제와 상호작용이 뛰어난 변성제로부터 유래된 작용기를 포함함으로써 발열성이 우수하고, 인장강도, 내마모성 및 젖은 노면 저항성이 뛰어난 변성 공액디엔계 중합체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자동차에 대한 저연비화의 요구에 따라, 타이어용 고무 재료로서 구름 저항이 적고, 내마모성, 인장 특성이 우수하며, 젖은 노면 저항성으로 대표되는 조정 안정성도 겸비한 공액디엔계 중합체가 요구되고 있다.
타이어의 구름 저항을 감소시키기 위해서는 가황 고무의 히스테리시스 손실을 작게 하는 방안이 있으며, 이러한 가황 고무의 평가 지표로서는 50℃ 내지 80℃의 반발탄성, tan δ, 굿리치 발열 등이 이용된다. 즉, 상기 온도에서의 반발탄성이 크거나 tan δ 굿리치 발열이 작은 고무 재료가 바람직하다.
히스테리시스 손실이 작은 고무 재료로서는, 천연 고무, 폴리이소프렌 고무 또는 폴리부타디엔 고무 등이 알려져 있지만, 이들은 젖은 노면 저항성이 작은 문제가 있다. 이에 최근에는 스티렌-부타디엔 고무(이하, SBR이라 함) 또는 부타디엔 고무(이하, BR이라 함)와 같은 공액디엔계 중합체 또는 공중합체가 유화중합이나 용액중합에 의해 제조되어 타이어용 고무로서 이용되고 있다. 이 중, 유화중합에 비해 용액중합이 갖는 최대의 장점은 고무 물성을 규정하는 비닐 구조 함량 및 스티렌 함량을 임의로 조절할 수 있고, 커플링(coupling)이나, 변성(modification) 등에 의해 분자량 및 물성 등을 조절할 수 있다는 점이다. 따라서, 최종 제조된 SBR 이나 BR의 구조 변화가 용이하고, 사슬 말단의 결합이나 변성으로 사슬 말단의 움직임을 줄이고 실리카 또는 카본블랙 등의 충진제와의 결합력을 증가시킬 수 있어 용액중합에 의한 SBR이 타이어용 고무 재료로 많이 사용된다.
이러한 용액중합 SBR이 타이어용 고무 재료로 사용되는 경우, 상기 SBR 내의 비닐 함량을 증가시킴으로써 고무의 유리전이온도를 상승시켜 주행저항 및 제동력과 같은 타이어 요구 물성을 조절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유리전이온도를 적절히 조절함으로써 연료소모를 줄일 수 있다. 상기 용액중합 SBR은 음이온 중합 개시제를 사용하여 제조하며, 형성된 중합체의 사슬 말단을 여러 가지 변성제를 이용하여 결합시키거나, 변성시켜 사용되고 있다. 예를 들어, 미국특허 제4,397,994호에는 일관능성 개시제인 알킬리튬을 이용하여 비극성 용매 하에서 스티렌-부타디엔을 중합하여 얻어진 중합체의 사슬 말단의 활성 음이온을 주석화합물과 같은 결합제를 사용하여 결합시킨 기술을 제시하였다.
한편, 타이어 트레드의 보강성 충진제로서 카본블랙 및 실리카 등이 사용되고 있는데, 보강성 충진제로서 실리카를 이용하는 경우 저히스테리시스 손실성 및 젖은 노면 저항성이 향상된다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소수성 표면의 카본블랙 대비 친수성 표면의 실리카는 고무와의 친화성이 낮아 분산성이 나쁘다는 결점을 가지고 있어, 분산성을 개선시키거나 실리카-고무 간의 결합 부여를 행하기 위해 별도의 실란 커플링제를 사용할 필요가 있다. 이에, 고무 분자 말단부에 실리카와의 친화성이나 반응성을 갖는 관능기를 도입하는 방안이 이루어지고 있으나, 그 효과가 충분하지 않은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무기 충진제와 배합 시 상호작용이 뛰어난 변성제로부터 변성되어 발열성이 우수하고, 인장강도, 내마모성 및 젖은 노면 저항성이 뛰어난 변성 공액디엔계 중합체 및 이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공액디엔계 단량체 유래 반복 단위를 포함하고, 일측 말단에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포함하는 변성제 유래 작용기를 포함하는 변성 공액디엔계 중합체를 제공한다:
[화학식 1]
Figure 112017071533731-pat00001
상기 화학식 1에서,
X1 내지 X3는 각각 독립적으로 N 원자 또는 CR16이되, X1 내지 X3 중 반드시 1 이상은 N 원자이고, R16은 수소 원자 또는 탄소수 1 내지 30의 1가 탄화수소기이며,
R1 내지 R3는 각각 독립적으로 단일 결합, 또는 탄소수 1 내지 10의 2가 탄화수소기이며,
A1 내지 A3는 각각 독립적으로 존재하지 않거나, 하기 화학식 1b로 표시되는 작용기이되, A1 내지 A3 중 반드시 1 이상은 하기 화학식 1b로 표시되는 작용기이고,
[화학식 1b]
Figure 112017071533731-pat00002
상기 화학식 1b에서,
R4는 단일 결합, 또는 탄소수 1 내지 10의 2가 탄화수소기이고,
R5 및 R6은 각각 독립적으로 탄소수 1 내지 30의 1가 탄화수소기이고,
R7은 탄소수 1 내지 30의 1가 탄화수소기, 또는 하기 화학식 1a로 표시되는 작용기이되, R7 중 반드시 1 이상은 하기 화학식 1a로 표시되는 작용기이고,
a 는 0 또는 1의 정수이고, b 는 1 내지 3에서 선택된 정수이며, c는 0 내지 2에서 선택된 정수이되, a+b+c=3이고,
[화학식 1a]
Figure 112017071533731-pat00003
상기 화학식 1a에서,
R17은 탄소수 1 내지 10의 2가 탄화수소기이고,
R18 및 R19는 각각 독립적으로 탄소수 1 내지 30의 1가 탄화수소기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유기 금속 화합물을 포함하는 탄화수소 용매 중에서, 공액디엔계 단량체, 또는 방향족 비닐계 단량체 및 공액디엔계 단량체를 중합하여 유기 금속이 결합된 활성 중합체를 제조하는 단계(S1); 및 상기 활성 중합체 및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포함하는 변성제와 반응시키는 단계(S2)를 포함하는 변성 공액디엔계 중합체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화학식 1]
Figure 112017071533731-pat00004
상기 화학식 1에서, 각 치환기에 대한 정의는 앞서 정의한 바와 같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포함하는 변성제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라, 무기 충진제와 배합 시 상호작용이 뛰어난 변성제로 공액디엔계 중합체를 변성시키는 경우, 중합체의 일측 말단에 상기 변성제로부터 유래된 작용기를 포함함으로써, 중합체와 무기 충진제 간의 상호작용이 뛰어난 변성 공액디엔계 중합체의 제조가 가능하고, 이렇게 제조된 변성 공액디엔계 중합체는 발열성이 우수하고, 인장강도, 내마모성 및 젖은 노면 저항성이 뛰어난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설명 및 청구범위에서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변성 공액디엔계 중합체는 공액디엔계 단량체 유래 반복 단위를 포함하고, 일측 말단에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포함하는 변성제 유래 작용기를 포함할 수 있다.
[화학식 1]
Figure 112017071533731-pat00005
상기 화학식 1에서,
X1 내지 X3는 각각 독립적으로 N 원자 또는 CR16이되, X1 내지 X3 중 반드시 1 이상은 N 원자이고, R16은 수소 원자 또는 탄소수 1 내지 30의 1가 탄화수소기이며,
R1 내지 R3는 각각 독립적으로 단일 결합, 또는 탄소수 1 내지 10의 2가 탄화수소기이며,
A1 내지 A3는 각각 독립적으로 존재하지 않거나, 하기 화학식 1b로 표시되는 작용기이되, A1 내지 A3 중 반드시 1 이상은 하기 화학식 1b로 표시되는 작용기이고,
[화학식 1b]
Figure 112017071533731-pat00006
상기 화학식 1b에서,
R4는 단일 결합, 또는 탄소수 1 내지 10의 2가 탄화수소기이고,
R5 및 R6은 각각 독립적으로 탄소수 1 내지 30의 1가 탄화수소기이고,
R7은 탄소수 1 내지 30의 1가 탄화수소기, 또는 하기 화학식 1a로 표시되는 작용기이되, R7 중 반드시 1 이상은 하기 화학식 1a로 표시되는 작용기이고,
a 는 0 또는 1의 정수이고, b 는 1 내지 3에서 선택된 정수이며, c는 0 내지 2에서 선택된 정수이되, a+b+c=3이고,
[화학식 1a]
Figure 112017071533731-pat00007
상기 화학식 1a에서,
R17은 탄소수 1 내지 10의 2가 탄화수소기이고,
R18 및 R19는 각각 독립적으로 탄소수 1 내지 30의 1가 탄화수소기일 수 있다.
구체적인 예로, 상기 화학식 1에서, X1 내지 X3는 각각 독립적으로 N 원자 또는 CR16이되, X1 내지 X3 중 반드시 2 이상은 N 원자일 수 있고, R1 내지 R3은 탄소수 1 내지 5의 선형 2가 탄화수소기일 수 있으며, A1 내지 A3는 각각 독립적으로 존재하지 않거나, 하기 화학식 1b로 표시되는 작용기이되, A1 내지 A3 중 반드시 2 이상은 하기 화학식 1b로 표시되는 작용기이고, R4는 단일 결합, 또는 탄소수 1 내지 5의 선형 2가 탄화수소기일 수 있고, R5 및 R6은 각각 독립적으로 탄소수 1 내지 20의 1가 탄화수소기일 수 있으며, R7은 탄소수 1 내지 20의 1가 탄화수소기, 또는 하기 화학식 1a로 표시되는 작용기이되, R7 중 반드시 2 이상은 상기 화학식 1a로 표시되는 작용기일 수 있고, R16은 수소 원자 또는 탄소수 1 내지 30의 1가 탄화수소기일 수 있으며, a는 0 또는 1의 정수일 수 있고, b는 1 내지 3에서 선택된 정수일 수 있으며, c는 0 내지 2에서 선택된 정수일 수 있되, a+b+c=3이고,
상기 화학식 1a에서, R17은 탄소수 1 내지 5의 선형 2가 탄화수소기일 수 있고, R18 및 R19는 각각 독립적으로 탄소수 1 내지 20의 1가 탄화수소기일 수 있다.
보다 구체적인 예로, 상기 화학식 1에서, X1 내지 X3는 각각 독립적으로 N 원자일 수 있고, R1 내지 R3은 탄소수 1 내지 3의 2가 탄화수소기일 수 있으며, A1 내지 A3는 각각 독립적으로 존재하지 않거나, 하기 화학식 1b로 표시되는 작용기이되, A1 내지 A3 중 반드시 2 이상은 하기 화학식 1b로 표시되는 작용기이고, R4 는 단일 결합일 수 있고, R6은 각각 독립적으로 탄소수 1 내지 10의 1가 탄화수소기일 수 있으며, R7은 상기 화학식 1a로 표시되는 작용기일 수 있고, a는 0일 수 있으며, b는 1 내지 3에서 선택된 정수일 수 있고, c는 0 내지 2에서 선택된 정수일 수 있되, a+b+c=3이고,
상기 화학식 1a에서, R17은 탄소수 1 내지 5의 선형 2가 탄화수소기일 수 있고, R18 및 R19는 각각 독립적으로 탄소수 1 내지 10의 1가 탄화수소기일 수 있다.
한편, 화학식 1에서 A1 내지 A3 중 2 이상이 화학식 1b로 표시되는 작용기인 경우, 각 화학식 1b에서 R4 내지 R7은 서로 상이하거나 동일할 수 있으며, 각 화학식 1b에서 R7 중 적어도 하나는 화학식 1a로 표시되는 작용기가 도입된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용어 '단일 결합'은 별도의 원자 또는 분자단을 포함하지 않는 단일 공유 결합 자체를 의미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용어 '1가 탄화수소기'는 1가의 알킬기, 알케닐기, 알카이닐기, 시클로알킬기, 불포화 결합을 1 이상 포함하는 시클로알킬기 및 아릴기 등의 탄소와 수소가 결합된 1가의 원자단을 의미할 수 있고, 1가 탄화수소로 표시되는 치환기의 최소 탄소 원자수는 각 치환기의 종류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용어 '2가 탄화수소기'는 2가의 알킬렌기, 알케닐렌기, 알카이닐렌기, 시클로알킬렌기, 불포화 결합을 1 이상 포함하는 시클로알킬렌기 및 아릴렌기 등의 탄소와 수소가 결합된 2가의 원자단을 의미할 수 있고, 2가 탄화수소로 표시되는 치환기의 최소 탄소 원자수는 각 치환기의 종류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은 하기 화학식 1-1, 화학식 1-2 또는 화학식 1-3으로 표시되는 화합물일 수 있다.
[화학식 1-1]
Figure 112017071533731-pat00008
[화학식 1-2]
Figure 112017071533731-pat00009
[화학식 1-3]
Figure 112017071533731-pat00010
한편, 상기 변성 공액디엔계 중합체는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포함하는 변성제 유래 작용기를 포함하는 일측 말단 이외에, 타측 말단에 하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포함하는 변성 개시제 유래 작용기를 포함할 수 있다.
[화학식 2]
Figure 112017071533731-pat00011
상기 화학식 2에서, R20 및 R21은 각각 독립적으로 탄소수 1 내지 20의 알킬기, 탄소수 3 내지 20의 시클로알킬기 및 탄소수 5 내지 20의 아르알킬기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이거나, R20 및 R21이 서로 결합하여 인접한 N 원자와 함께 탄소수 5 내지 20의 포화 또는 불포화의 환상 구조를 형성할 수 있고, 상기 R20 및 R21이 환상 구조를 형성하는 경우, 분지 구조를 가질 수 있고, R22는 단일 결합, 탄소수 1 내지 20의 알킬렌기, 또는 하기 화학식 3 내지 5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의 연결기일 수 있으며, M은 알칼리 금속일 수 있다.
[화학식 3]
Figure 112017071533731-pat00012
[화학식 4]
Figure 112017071533731-pat00013
[화학식 5]
Figure 112017071533731-pat00014
구체적인 예로, 상기 화학식 2에서, R20 및 R21은 각각 독립적으로 탄소수 1 내지 12의 알킬기, 탄소수 3 내지 14의 시클로알킬기 및 탄소수 5 내지 20의 아르알킬기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일 수 있고, R22는 단일 결합, 탄소수 1 내지 20의 알킬렌기, 또는 상기 화학식 3 내지 5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의 연결기일 수 있으며, M은 알칼리 금속일 수 있다.
보다 구체적인 예로, 상기 화학식 2에서, R20 및 R21은 각각 독립적으로 메틸, 에틸, 프로필, 부틸, 옥틸, 시클로프로필, 시클로헥실, 3-페닐-1-프로필, 이소부틸, 데실, 헵틸 또는 페닐일 수 있고, R22는 단일 결합, 탄소수 2 내지 16의 알킬렌기, 또는 상기 화학식 3 내지 5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의 연결기일 수 있으며, M은 Li일 수 있다.
상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포함하는 변성 개시제 유래 작용기는 공액디엔계 중합체의 중합을 개시하기 위한 중합 개시제로서 변성 개시제를 이용하는 경우, 중합 개시 부위에 해당하는 공액디엔계 중합체의 일측 말단에 위치한 중합체 내의 작용기를 의미할 수 있고, 공액디엔계 중합체의 분산성, 가공성 개선과 함께, 구름 저항 및 젖은 노면 저항성 등의 기계적 물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상기 공액디엔계 단량체 유래 반복 단위는 공액디엔계 단량체가 중합 시 이루는 반복 단위를 의미할 수 있고, 상기 공액디엔계 단량체는 일례로 1,3-부타디엔, 2,3-디메틸-1,3-부타디엔, 피페릴렌, 3-부틸-1,3-옥타디엔, 이소프렌, 2-페닐-1,3-부타디엔 및 2-할로-1,3-부타디엔(할로는 할로겐 원자를 의미한다.)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일 수 있다.
한편, 상기 변성 공액디엔계 공중합체는 일례로 상기 공액디엔계 단량체 유래 반복 단위와 함께 방향족 비닐 단량체 유래 반복 단위를 더 포함하는 공중합체일 수 있다.
상기 방향족 비닐 단량체 유래 반복 단위는 방향족 비닐 단량체가 중합 시 이루는 반복 단위를 의미할 수 있고, 상기 방향족 비닐 단량체는 일례로 스티렌, α-메틸스티렌, 3-메틸스티렌, 4-메틸스티렌, 4-프로필스티렌, 1-비닐나프탈렌, 4-사이클로헥실스티렌, 4-(p-메틸페닐)스티렌 및 1-비닐-5-헥실나프탈렌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일 수 있다.
상기 변성 공액디엔계 중합체가 방향족 비닐 단량체 유래 반복 단위를 포함하는 공중합체인 경우, 상기 변성 공액디엔계 중합체는 공액디엔계 단량체 유래 반복 단위를 50 내지 95 중량%, 55 내지 90 중량%, 혹은 60 내지 90 중량%로, 방향족 비닐 단량체 유래 반복 단위를 5 내지 50 중량%, 10 내지 45 중량%, 혹은 10 내지 40 중량%로 포함할 수 있고, 이 범위 내에서 구름 저항, 젖은 노면 저항성 및 내마모성이 우수한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공중합체는 랜덤 공중합체일 수 있고, 이 경우 각 물성 간의 밸런스가 우수한 효과가 있다. 상기 랜덤 공중합체는 공중합체를 이루는 반복 단위가 무질서하게 배열된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변성 공액디엔계 중합체는 수평균 분자량(Mn)이 10,000 g/mol 내지 2,000,000 g/mol, 10,000 g/mol 내지 1,000,000 g/mol, 또는 100,000 g/mol 내지 500,000 g/mol일 수 있고, 중량평균 분자량(Mw)이 10,000 g/mol 내지 5,000,000 g/mol, 10,000 g/mol 내지 3,000,000 g/mol, 또는 100,000 g/mol 내지 2,000,000 g/mol일 수 있으며, 이 범위 내에서 구름 저항 및 젖은 노면 저항성이 우수한 효과가 있다. 또 다른 예로, 상기 변성 공액디엔계 중합체는 분자량 분포(Mw/Mn)가 0.5 내지 10, 0.5 내지 5, 1.0 내지 3.0, 또는 1.0 내지 2.0일 수 있고, 이 범위 내에서 물성 간의 물성 밸런스가 우수한 효과가 있다.
또 다른 예로, 상기 변성 공액디엔계 중합체는 100℃에서의 무니 점도(Mooney viscosity)가 40 내지 90, 45 내지 85, 또는 50 내지 80일 수 있고, 이 범위 내에서 가공성 및 생산성이 우수한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변성 공액디엔계 중합체는 비닐 함량이 18 중량% 이상, 25 중량% 이상, 또는 30 중량% 내지 70 중량%일 수 있고, 이 범위 내에서 유리전이온도가 적절한 범위로 조절될 수 있어 구름 저항, 젖은 노면 저항성 및 저연비성이 우수한 효과가 있다. 여기에서, 상기 비닐 함량은 비닐기를 갖는 단량체와 방향족 비닐계 단량체로 이루어진 공액디엔계 공중합체 100 중량%에 대하여 1,4-첨가가 아닌 1,2-첨가된 공액디엔계 단량체의 함량을 의미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 용어 '유래 반복 단위' 및 '유래 작용기'는 어떤 물질로부터 기인한 성분, 구조 또는 그 물질 자체를 나타내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변성 공액디엔계 중합체 제조방법은 유기 금속 화합물을 포함하는 탄화수소 용매 중에서, 공액디엔계 단량체, 또는 방향족 비닐계 단량체 및 공액디엔계 단량체를 중합하여 유기 금속이 결합된 활성 중합체를 제조하는 단계(S1); 및 상기 활성 중합체를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포함하는 변성제와 반응시키는 단계(S2)를 포함할 수 있다.
[화학식 1]
Figure 112017071533731-pat00015
상기 화학식 1의 각 치환기에 대한 정의는 앞서 정의한 바와 같다.
상기 탄화수소 용매는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예컨대 n-펜탄, n-헥산, n-헵탄, 이소옥탄, 사이클로 헥산, 톨루엔, 벤젠 및 크실렌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인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은 단량체 혼합물 100 g 당 0.01 mmol 내지 10 mmol, 또는 0.5 mmol 내지 5 mmol의 양으로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유기 금속 화합물은 단량체 혼합물 100 g 당 0.01 mmol 내지 10 mmol, 0.05 mmol 내지 5 mmol, 0.1 mmol 내지 2 mmol, 또는 0.1 mmol 내지 1 mmol로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유기 금속 화합물은 일례로 메틸리튬, 에틸리튬, 프로필리튬, n-부틸리튬, s-부틸리튬, t-부틸리튬, 헥실리튬, n-데실리튬, t-옥틸리튬, 페닐리튬, 1-나프틸리튬, n-에이코실리튬, 4-부틸페닐리튬, 4-톨릴리튬, 사이클로헥실리튬, 3,5-디-n-헵틸사이클로헥실리튬, 4-사이클로펜틸리튬, 나프틸나트륨, 나프틸칼륨, 리튬 알콕사이드, 나트륨 알콕사이드, 칼륨 알콕사이드, 리튬 술포네이트, 나트륨 술포네이트, 칼륨 술포네이트, 리튬 아미드, 나트륨 아미드, 칼륨아미드 및 리튬 이소프로필아미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일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상기 유기 금속 화합물은 하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화합물일 수 있다.
[화학식 2]
Figure 112017071533731-pat00016
상기 화학식 2에서, 각 치환기에 대한 정의는 앞서 정의한 바와 같다.
한편, 상기 (S1) 단계의 중합은 극성 첨가제를 포함하여 실시될 수 있고, 상기 극성 첨가제는 단량체 혼합물 100 g 당 0.001g 내지 50g, 0.001g 내지 10g, 또는 0.005g 내지 0.1g의 첨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극성 첨가제는 테트라하이드로퓨란, 디테트라하이드로퓨릴프로판, 디에틸에테르, 시클로아말에테르, 디프로필에테르, 에틸렌디메틸에테르, 에틸렌디메틸에테르, 디에틸글리콜, 디메틸에테르, 3차 부톡시에톡시에탄, 비스(3-디메틸아미노에틸)에테르, (디메틸아미노에틸)에틸에테르, 트리메틸아민, 트리에틸아민, 트리프로필아민 및 테트라메틸에틸렌디아민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트리에틸아민 또는 테트라메틸에틸렌디아민일 수 있으며, 상기 아미노 실란계 화합물의 제조 시 투입될 수 있는 극성 첨가제와 동일하거나 상이할 수 있고, 상기 극성 첨가제를 포함하는 경우 공액디엔계 단량체, 또는 공액디엔계 단량체 및 방향족 비닐계 단량체를 공중합시키는 경우 이들의 반응 속도 차이를 보완해줌으로써 랜덤 공중합체를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도록 유도하는 효과가 있다.
상기 (S1) 단계의 중합은 일례로 음이온 중합일 수 있고, 구체적인 예로 음이온에 의한 성장 중합 반응에 의해 중합 말단에 음이온 활성 부위를 갖는 리빙 음이온 중합일 수 있다. 또한, 상기 (S1) 단계의 중합은 승온 중합, 등온 중합 또는 정온 중합(단열 중합)일 수 있고, 상기 정온 중합은 유기 금속 화합물을 투입한 이후 임의로 열을 가하지 않고 자체 반응열로 중합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중합방법을 의미할 수 있고, 상기 승온 중합은 상기 유기 금속 화합물을 투입한 이후 임의로 열을 가하여 온도를 증가시키는 중합방법을 의미할 수 있으며, 상기 등온 중합은 상기 유기 금속 화합물을 투입한 이후 열을 가하여 열을 증가시키거나 열을 뺏어 중합물의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하는 중합방법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상기 (S1) 단계의 중합은 일례로 상기 중합은 -20℃ 내지 200℃, 0℃ 내지 150℃, 또는 10℃ 내지 120℃의 온도범위에서 실시될 수 있다.
상기 (S1) 단계에 의해 제조된 활성 중합체는 중합체 음이온과 유기 금속 양이온이 결합된 중합체를 의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포함하는 변성제와 유기 금속 화합물의 몰비는 1:0.1 내지 1:10, 1:0.1 내지 1:5, 또는 1:0.5 내지 1:2일 수 있고, 이 범위 내에서 최적 성능의 변성 반응을 수행할 수 있어, 고변성률의 공액디엔계 중합체를 수득할 수 있다.
상기 (S2) 단계의 반응은 활성 중합체에 상기 변성제로부터 유래된 작용기를 도입시키기 위한 변성 반응으로, 0℃ 내지 90℃에서 1분 내지 5시간 동안 반응을 수행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변성 공액디엔계 중합체 제조방법은 회분식(배치식) 또는 1종 이상의 반응기를 포함하는 연속식 중합방법에 의하여 수행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변성 공액디엔계 중합체 제조방법은 일례로 본 발명의 상기 (S2) 단계에 이어서, 필요에 따라 용매 및 미반응 단량체 회수 및 건조 단계들 중 1 이상의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변성제는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화학식 1]
Figure 112017071533731-pat00017
상기 화학식 1에서, 각 치환기에 대한 정의는 앞서 정의한 바와 같다.
본 발명의 변성제는, 분자 내에 아민기를 포함함으로써, 무기 충진제, 특히 실리카계 충진제와의 상호 작용이 뛰어난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의 변성 공액디엔계 중합체를 포함하는 고무 조성물이 제공된다.
상기 고무 조성물은 상기 변성 공액디엔계 중합체를 0.1 중량% 이상, 10 중량% 내지 100 중량%, 또는 20 중량% 내지 90 중량%의 양으로 포함하는 것일 수 있고, 이 범위 내에서 인장 강도, 내마모성 등의 기계적 물성이 우수하고, 각 물성 간의 밸런스가 뛰어난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고무 조성물은 상기 변성 공액디엔계 중합체 외에 필요에 따라 다른 고무 성분을 더 포함할 수 있고, 이 때 상기 고무 성분은 고무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90 중량% 이하의 함량으로 포함될 수 있다. 구체적인 예로 상기 다른 고무 성분은 상기 변성 공액디엔계 중합체 100 중량부에 대하여 1 중량부 내지 900 중량부로 포함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고무 성분은 일례로 천연고무 또는 합성고무일 수 있으며, 구체적인 예로 시스-1,4-폴리이소프렌을 포함하는 천연고무(NR); 상기 일반적인 천연고무를 변성 또는 정제한, 에폭시화 천연고무(ENR), 탈단백 천연고무(DPNR), 수소화 천연고무 등의 변성 천연고무; 스티렌-부타디엔 공중합체(SBR), 폴리부타디엔(BR), 폴리이소프렌(IR), 부틸고무(IIR),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 폴리이소부틸렌-코-이소프렌, 네오프렌, 폴리(에틸렌-코-프로필렌), 폴리(스티렌-코-부타디엔), 폴리(스티렌-코-이소프렌), 폴리(스티렌-코-이소프렌-코-부타디엔), 폴리(이소프렌-코-부타디엔), 폴리(에틸렌-코-프로필렌-코-디엔), 폴리설파이드 고무, 아크릴 고무, 우레탄 고무, 실리콘 고무, 에피클로로히드린 고무, 부틸 고무, 할로겐화 부틸 고무 등과 같은 합성고무일 수 있으며, 이들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의 혼합물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고무 조성물은 일례로 본 발명의 변성 공액디엔계 중합체 100 중량부에 대하여 0.1 중량부 내지 200 중량부, 0.1 중량부 내지 150 중량부 또는 10 중량부 내지 120 중량부의 충진제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충진제는 일례로 실리카계 충진제일 수 있고, 구체적인 예로 습식 실리카(함수규산), 건식 실리카(무수규산), 규산칼슘, 규산알루미늄 또는 콜로이드 실리카 등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파괴 특성의 개량 효과 및 웨트 그립성(wet grip)의 양립 효과가 가장 뛰어난 습식 실리카일 수 있다. 또한, 상기 고무 조성물은 필요에 따라 카본블랙계 충진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상기 충전제로 실리카가 사용되는 경우 보강성 및 저발열성 개선을 위한 실란 커플링제가 함께 사용될 수 있고, 구체적인 예로 상기 실란 커플링제는 비스(3-트리에톡시실릴프로필)테트라술피드, 비스(3-트리에톡시실릴프로필)트리술피드, 비스(3-트리에톡시실릴프로필)디술피드, 비스(2-트리에톡시실릴에틸)테트라술피드, 비스(3-트리메톡시실릴프로필)테트라술피드, 비스(2-트리메톡시실릴에틸)테트라술피드, 3-머캅토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3-머캅토프로필트리에톡시실란, 2-머캅토에틸트리메톡시실란, 2-머캅토에틸트리에톡시실란, 3-트리메톡시실릴프로필-N,N-디메틸티오카르바모일테트라술피드, 3-트리에톡시실릴프로필-N,N-디메틸티오카르바모일테트라술피드, 2-트리에톡시실릴에틸-N,N-디메틸티오카르바모일테트라술피드, 3-트리메톡시실릴프로필벤조티아졸릴테트라술피드, 3-트리에톡시실릴프로필벤졸릴테트라술피드, 3-트리에톡시실릴프로필메타크릴레이트모노술피드, 3-트리메톡시실릴프로필메타크릴레이트모노술피드, 비스(3-디에톡시메틸실릴프로필)테트라술피드, 3-머캅토프로필디메톡시메틸실란, 디메톡시메틸실릴프로필-N,N-디메틸티오카르바모일테트라술피드 또는 디메톡시메틸실릴프로필벤조티아졸릴테트라술피드 등일 수 있으며, 이들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의 혼합물이 사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보강성 개선 효과를 고려할 때 비스(3-트리에톡시실릴프로필)폴리술피드 또는 3-트리메톡시실릴프로필벤조티아질테트라술피드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고무 조성물은, 고무 성분으로서 활성 부위에 실리카와의 친화성이 높은 작용기가 도입된 변성 공액디엔계 중합체가 사용되고 있기 때문에, 실란 커플링제의 배합량은 통상의 경우보다 저감될 수 있고, 이에 따라, 상기 실란 커플링제는 실리카 100 중량부에 대하여 1 중량부 내지 20 중량부, 또는 5 중량부 내지 15 중량부로 사용될 수 있으며, 이 범위 내에서 커플링제로서의 효과가 충분히 발휘되면서도 고무 성분의 겔화를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고무 조성물은 황 가교성일 수 있고, 가황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황제는 구체적으로 황 분말일 수 있고, 고무 성분 100 중량부에 대하여 0.1 중량부 내지 10 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으며, 이 범위 내에서 가황 고무 조성물의 필요한 탄성률 및 강도를 확보함과 동시에 저연비성이 뛰어난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고무 조성물은 상기한 성분들 외에, 통상 고무 공업계에서 사용되는 각종 첨가제, 구체적으로는 가황 촉진제, 공정유, 가소제, 노화 방지제, 스코치 방지제, 아연화(zinc white), 스테아르산, 열경화성 수지, 또는 열가소성 수지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황 촉진제는 일례로 M(2-머캅토벤조티아졸), DM(디벤조티아질디술피드), CZ(N-시클로헥실-2-벤조티아질술펜아미드) 등의 티아졸계 화합물, 혹은 DPG(디페닐구아니딘) 등의 구아니딘계 화합물이 사용될 수 있고, 고무 성분 100 중량부에 대하여 0.1 중량부 내지 5 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공정유는 고무 조성물 내에서 연화제로서 작용하는 것으로, 일례로 파라핀계, 나프텐계, 또는 방향족계 화합물일 수 있고, 인장 강도 및 내마모성을 고려할 때 방향족계 공정유가, 히스테리시스 손실 및 저온 특성을 고려할 때 나프텐계 또는 파라핀계 공정유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 공정유는 일례로 고무 성분 100 중량부에 대하여 100 중량부 이하의 함량으로 포함될 수 있고, 이 범위 내에서 가황 고무의 인장 강도, 저발열성(저연비성)의 저하를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상기 노화방지제는 일례로 N-이소프로필-N'-페닐-p-페닐렌디아민, N-(1,3-디메틸부틸)-N'-페닐-p-페닐렌디아민, 6-에톡시-2,2,4-트리메틸-1,2-디히드로퀴놀린, 또는 디페닐아민과 아세톤의 고온 축합물 등일 수 있고, 고무 성분 100 중량부에 대하여 0.1 중량부 내지 6 중량부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고무 조성물은 상기 배합 처방에 의해 밴버리 믹서, 롤, 인터널 믹서 등의 혼련기를 사용하여 혼련함으로써 수득될 수 있고, 성형 가공 후 가황 공정에 의해 저발열성이며 내마모성이 우수한 고무 조성물이 수득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고무 조성물은 타이어 트레드, 언더 트레드, 사이드 월, 카카스 코팅 고무, 벨트 코팅 고무, 비드 필러, 췌이퍼, 또는 비드 코팅 고무 등의 타이어의 각 부재나, 방진고무, 벨트 컨베이어, 호스 등의 각종 공업용 고무 제품의 제조에 유용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은 상기 고무 조성물을 이용하여 제조된 타이어를 제공한다.
상기 타이어는 타이어 또는 타이어 트레드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이하,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으로 이들 만으로 본 발명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실시예 1
20L 오토클레이브 반응기에 스티렌 270g, 1,3-부타디엔 710g 및 노말헥산 5,000g, 극성첨가제로 디테트라하이드로퓨필프로판 1.5 g을 넣은 후 반응기 내부온도를 40℃로 승온하였다. 반응기 내부 온도가 40℃에 도달했을 때, n-부틸리튬 4 mmol을 반응기에 투입하여 단열 승온 반응을 진행시켰다. 단열 승온 반응이 끝난 다음 20여분 경과 후 1,3-부타디엔 20g을 투입하여 중합체의 말단을 부타디엔으로 캡핑(capping)하였다. 5분 후 하기 화학식 1-1로 표시되는 화합물 4.8 mmol을 투입하고, 15분 간 반응시켰다. 이후 에탄올을 이용하여 중합반응을 정지시키고, 산화방지제인 BHT(부틸레이티드하이드록시톨루엔)가 헥산에 0.3 중량% 녹아있는 용액 45ml를 첨가하였다. 그 결과 얻어진 중합물을 스팀으로 가열된 온수에 넣고 교반하여 용매를 제거한 다음, 롤 건조하여 잔량의 용매 와 물을 제거하여, 변성 공액디엔계 중합체를 제조하였다.
[화학식 1-1]
Figure 112017071533731-pat00018
실시예 2
상기 실시예 1에서, 화학식 1-1 대신에 하기 화학식 1-2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4.8 mmol을 투입하고 15분 간 반응시킨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수행하여 변성 공액디엔계 중합체를 제조하였다.
[화학식 1-2]
Figure 112017071533731-pat00019
실시예 3
상기 실시예 1에서, 화학식 1-1 대신에 하기 화학식 1-3으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4.8 mmol을 투입하고 15분 간 반응시킨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수행하여 변성 공액디엔계 중합체를 제조하였다.
[화학식 1-3]
Figure 112017071533731-pat00020
비교예 1
20L 오토클레이브 반응기에 스티렌 270g, 1,3-부타디엔 710g 및 노말헥산 5,000g, 극성첨가제로 디테트라하이드로퓨필프로판 1.5 g을 넣은 후 반응기 내부온도를 40℃로 승온하였다. 반응기 내부 온도가 40℃에 도달했을 때, n-부틸리튬 4 mmol을 반응기에 투입하여 단열 승온 반응을 진행시켰다. 단열 승온 반응이 끝난 다음 20여분 경과 후 1,3-부타디엔 20g을 투입하여 중합체의 말단을 부타디엔으로 캡핑(capping)하였다. 이후 에탄올을 이용하여 중합반응을 정지시키고, 산화방지제인 BHT(부틸레이티드하이드록시톨루엔)가 헥산에 0.3 중량% 녹아있는 용액 45ml를 첨가하였다. 그 결과 얻어진 중합물을 스팀으로 가열된 온수에 넣고 교반하여 용매를 제거한 다음, 롤 건조하여 잔량의 용매 와 물을 제거하여, 미변성 공액디엔계 중합체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2
상기 실시예 1에서, 화학식 1-1 대신에 디메틸디클로로실란을 4.8 mmol을 투입하고 15분 간 반응시킨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수행하여 변성 공액디엔계 중합체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3
상기 실시예 1에서, 화학식 1-1 대신에 디메톡시디클로로실란을 4.8 mmol을 투입하고 15분 간 반응시킨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수행하여 변성 공액디엔계 중합체를 제조하였다.
실험예
실험예 1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제조된 변성 또는 미변성 공액디엔계 중합체에 대하여 각각 중량평균분자량(Mw, X104g/mol), 수평균분자량(Mn, X104g/mol), 분자량 분포(MWD) 및 무늬 점도(MV)를 각각 측정하였다. 결과를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상기 중량평균분자량(Mw), 수평균분자량(Mn)은 GPC(Gel permeation chromatograph) 분석을 통하여 측정하였으며, 분자량 분포(MWD, Mw/Mn)는 측정된 상기 각 분자량으로부터 계산하여 얻었다. 구체적으로, 상기 GPC는 PLgel Olexis(Polymer Laboratories 社) 컬럼 두 자루와 PLgel mixed-C(Polymer Laboratories 社) 컬럼 한 자루를 조합하여 사용하고, 새로 교체한 컬럼은 모두 mixed bed 타입의 컬럼을 사용하였으며, 분자량 계산시 GPC 기준물질(Standard material)은 PS(polystyrene)을 사용하여 실시하였다.
상기 무늬 점도(MV, (ML1+4, @100℃) MU)는 MV-2000(ALPHA Technologies 社)를 이용하여 100℃에서 Rotor Speed 2±0.02 rpm, Large Rotor를 사용하여 측정하였으며, 이때 사용된 시료는 실온(23±3℃)에서 30분 이상 방치한 후 27±3 g을 채취하여 다이 캐비티 내부에 채워 놓고 Platen을 작동시켜 4분 동안 측정하였다.
구분 실시예 비교예
1 2 3 1 2 3
M:PI 1.2:1 1.2:1 1.2:1 - 1.2:1 1.2:1
변성제 또는 커플링제 A B C - D E
Mw(X104g/mol) 49.5 50.8 50.6 52.0 46.7 48
Mn(X104g/mol) 33.0 31.2 33.4 35.0 30.0 31.3
MWD(Mw/Mn) 1.5 1.6 1.5 1.5 1.6 1.5
MV(ML1+4, @100℃) 62 60 59 61 58 58
* M:PI는 변성제(또는 커플링제)와 중합 개시제의 몰비(변성제:act. Li의 몰비)
* 변성제 A: 화학식 1-1
* 변성제 B: 화학식 1-2
* 변성제 C: 화학식 1-3
* 커플링제 D: 디메틸디클로로실란(dimethyl dichlorosilane)
* 커플링제 E: 디메톡시디클로로실란(dimethoxy dichlorosilane)
실험예 2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제조된 각 변성 또는 미변성 공액디엔계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고무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성형품의 물성을 비교분석하기 위하여, 인장특성, 내마모성 및 젖은 노면 저항성을 각각 측정하여 그 결과를 하기 표 3에 나타내었다.
1) 고무 시편의 제조
실시예 및 비교예의 각 변성 또는 미변성 스티렌-부타디엔 공중합체를 원료 고무로 하여 하기 표 2에 나타낸 배합 조건으로 배합하였다. 표 2 내의 원료는 고무 100 중량부 기준에 대한 각 중량부이다.
구분 원료 함량(중량부)
제1단 혼련 고무(공정유 포함) 137.5
실리카 70.0
커플링제 11.2
아연화제 3.0
스테아르산 2.0
산화 방지제 2.0
노화 방지제 2.0
왁스 1.0
고무촉진제 1.75
제2단 혼련 1.5
가황촉진제 2.0
구체적으로 상기 고무시편은 제1단 혼련 및 제2단 혼련을 통해 혼련된다. 제1단 혼련에서는 온도제어장치를 부속한 반바리 믹서를 사용하여 원료 고무(스티렌-부타디엔 공중합체), 충진제, 유기실란 커플링제, 공정유, 아연화, 스테아르산, 산화 방지제, 노화 방지제, 왁스 및 촉진제를 혼련하였다. 이 때, 혼련기의 온도를 제어하고, 145℃ 내지 155℃의 배출온도에서 1차 배합물을 얻었다. 제2단 혼련에서는 상기 1차 배합물을 실온까지 냉가한 후, 혼련기에 1차 배합물, 황 및 가황촉진제를 가하고, 100℃ 이하의 온도에서 믹싱을 하여 2차 배합물을 얻었다. 이후, 100℃에서 20분간 큐어링 공정을 거쳐 고무시편을 제조하였다.
2) 인장특성
인장특성은 ASTM 412의 인장시험법에 준하여 각 시험편을 제조하고 상기 시험편의 절단시의 인장강도 및 300% 신장시의 인장응력(300% 모듈러스)를 측정하였다. 구체적으로, 인장특성은 Universal Test Machin 4204(Instron 社) 인장 시험기를 이용하여 실온에서 50 cm/min의 속도로 측정하였다. 각 결과값은 비교예 1의 측정값을 100으로하여 지수화하여 나타내었다.
3) 점탄성 특성
점탄성 특성은 동적 기계 분석기(TA 社)를 이용하여 비틀림 모드로 주파수 10 Hz, 각 측정온도(-60℃~60℃)에서 변형을 변화시켜 tan δ를 측정하였다. 각 결과값은 비교예 1의 측정값을 100으로하여 지수화하여 나타내었다.저온 0℃ tan δ의 지수값이 높은 것일수록 젖은 노면저항성이 우수하고, 고온 60℃ tan δ의 지수값이 높을수록 히스테리시스 손실이 적고, 저연비성이 우수함을 나타낸다.
구분 실시예 비교예
1 2 3 1 2 3
인장특성 300% 모듈러스 (kgf/cm2) 115 114 112 100 101 103
인장강도 (kgf/cm2) 125 120 122 100 102 102
점탄성
(Index)
tan δ@0℃ 110 106 107 100 99 99
tan δ@60℃ 104 105 108 100 101 100
상기 표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변성 공액디엔계 중합체는 미변성 공액디엔계 중합체인 비교예 1에 비하여, 300% 모듈러스 및 인장강도가 향상되어 인장특성이 뛰어난 것을 확인할 수 있었고, 0℃ tan δ가 높게 나타나 타이어에 본 발명의 변성 공액디엔계 중합체가 포함되는 경우 젖은 노면 저항성이 높은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60℃ tan δ가 높게 나타나 구름저항성이 향상되어, 연비효율이 우수한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3의 변성 공액디엔계 중합체는 비교예 2 및 비교예 3의 변성 공액디엔계 중합체에 비해서도 인장특성 및 점탄성 특성이 크게 향상된 것을 확인하였다.
한편, 점탄성 특성에 있어서 통상 0℃에서의 tan δ 값이 향상되면서 동시에 60℃에서의 tan δ 값이 향상되는 특성을 갖는 것은 매우 어려운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상기 표 3에 결과를 통해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3의 변성 공액디엔계 중합체의 점탄성 특성이 매우 우수한 것을 알 수 있다.

Claims (15)

  1. 공액디엔계 단량체 유래 반복 단위를 포함하고, 일측 말단에 변성제 유래 작용기를 포함하며,
    상기 변성제가 하기 화학식 1-1, 화학식 1-2 또는 화학식 1-3으로 표시되는 화합물인 것인 변성 공액디엔계 중합체:
    [화학식 1-1]
    Figure 112019051852386-pat00044


    [화학식 1-2]
    Figure 112019051852386-pat00045

    [화학식 1-3]
    Figure 112019051852386-pat00046
    .
  2. 공액디엔계 단량체 유래 반복 단위를 포함하고, 일측 말단에 변성제 유래 작용기를 포함하며, 타측 말단에 하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변성 개시제 유래 작용기를 포함하며,
    상기 변성제가 하기 화학식 1-1, 화학식 1-2 또는 화학식 1-3으로 표시되는 화합물인 것인 변성 공액디엔계 중합체:
    [화학식 1-1]
    Figure 112019051852386-pat00047


    [화학식 1-2]
    Figure 112019051852386-pat00048

    [화학식 1-3]
    Figure 112019051852386-pat00049
    ,
    [화학식 2]
    Figure 112019051852386-pat00027

    상기 화학식 2에서,
    R20 및 R21은 각각 독립적으로 탄소수 1 내지 20의 알킬기, 탄소수 3 내지 20의 시클로알킬기 및 탄소수 5 내지 20의 아르알킬기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이거나, R20 및 R21이 서로 결합하여 인접한 N 원자와 함께 탄소수 5 내지 20의 포화 또는 불포화의 환상 구조를 형성하고, 상기 R20 및 R21이 환상 구조를 형성하는 경우, 분지 구조를 가질 수 있고,
    R22는 단일 결합, 탄소수 1 내지 20의 알킬렌기, 또는 하기 화학식 3 내지 5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의 연결기이고,
    [화학식 3]
    Figure 112019051852386-pat00028

    [화학식 4]
    Figure 112019051852386-pat00029

    [화학식 5]
    Figure 112019051852386-pat00030

    M은 알칼리 금속이다.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변성 공액디엔계 중합체는 방향족 비닐 단량체 유래 반복 단위를 더 포함하는 것인 변성 공액디엔계 중합체.
  7.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변성 공액디엔계 중합체는 수평균 분자량(Mn)이 10,000 g/mol 내지 2,000,000 g/mol인 변성 공액디엔계 중합체.
  8.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변성 공액디엔계 중합체는 분자량 분포(Mw/Mn)가 0.5 내지 10인 변성 공액디엔계 중합체.
  9. 유기 금속 화합물을 포함하는 탄화수소 용매 중에서, 공액디엔계 단량체, 또는 방향족 비닐계 단량체 및 공액디엔계 단량체를 중합하여 유기 금속이 결합된 활성 중합체를 제조하는 단계(S1); 및
    상기 활성 중합체를 변성제와 반응시키는 단계(S2)를 포함하며,
    상기 변성제가 하기 화학식 1-1, 화학식 1-2 또는 화학식 1-3으로 표시되는 화합물인 것인 청구항 1에 기재된 변성 공액디엔계 중합체 제조방법:
    [화학식 1-1]
    Figure 112019051852386-pat00050


    [화학식 1-2]
    Figure 112019051852386-pat00051

    [화학식 1-3]
    Figure 112019051852386-pat00052
    .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유기 금속 화합물은 단량체 혼합물 100 g 당 0.01 mmol 내지 10 mmol로 사용하는 것인 변성 공액디엔계 중합체 제조방법.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유기 금속 화합물은 메틸리튬, 에틸리튬, 프로필리튬, n-부틸리튬, s-부틸리튬, t-부틸리튬, 헥실리튬, n-데실리튬, t-옥틸리튬, 페닐리튬, 1-나프틸리튬, n-에이코실리튬, 4-부틸페닐리튬, 4-톨릴리튬, 사이클로헥실리튬, 3,5-디-n-헵틸사이클로헥실리튬, 4-사이클로펜틸리튬, 나프틸나트륨, 나프틸칼륨, 리튬 알콕사이드, 나트륨 알콕사이드, 칼륨 알콕사이드, 리튬 술포네이트, 나트륨 술포네이트, 칼륨 술포네이트, 리튬 아미드, 나트륨 아미드, 칼륨아미드 및 리튬 이소프로필아미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인 것인 변성 공액디엔계 중합체 제조방법.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유기 금속 화합물은 하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화합물인 변성 공액디엔계 중합체 제조방법:
    [화학식 2]
    Figure 112017071533731-pat00037

    상기 화학식 2에서,
    R20 및 R21은 각각 독립적으로 탄소수 1~20의 알킬기, 탄소수 3 내지 20의 시클로알킬기 및 탄소수 5 내지 20의 아르알킬기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이거나, R20 및 R21이 서로 결합하여 인접한 N 원자와 함께 탄소수 5 내지 20의 포화 또는 불포화의 환상 구조를 형성하고, 상기 R20 및 R21이 환상 구조를 형성하는 경우, 분지 구조를 가질 수 있고,
    R22는 단일 결합, 탄소수 1 내지 20의 알킬렌기, 또는 하기 화학식 3 내지 5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의 연결기이며,
    [화학식 3]
    Figure 112017071533731-pat00038

    [화학식 4]
    Figure 112017071533731-pat00039

    [화학식 5]
    Figure 112017071533731-pat00040

    M은 알칼리 금속이다.
  13. 제9항에 있어서,
    상기 (S1) 단계의 중합은 극성 첨가제를 포함하여 실시되는 것인 변성 공액디엔계 중합체 제조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극성 첨가제는 테트라하이드로퓨란, 디테트라하이드로퓨릴프로판, 디에틸에테르, 시클로아말에테르, 디프로필에테르, 에틸렌디메틸에테르, 에틸렌디메틸에테르, 디에틸글리콜, 디메틸에테르, 3차 부톡시에톡시에탄, 비스(3-디메틸아미노에틸)에테르, (디메틸아미노에틸)에틸에테르, 트리메틸아민, 트리에틸아민, 트리프로필아민 및 테트라메틸에틸렌디아민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인 변성 공액디엔계 중합체 제조방법.
  15. 하기 화학식 1-1, 화학식 1-2 또는 화학식 1-3으로 표시되는 변성제:
    [화학식 1-1]
    Figure 112019051852386-pat00053


    [화학식 1-2]
    Figure 112019051852386-pat00054

    [화학식 1-3]
    Figure 112019051852386-pat00055
    .
KR1020170094139A 2016-11-23 2017-07-25 변성 공액디엔계 중합체 및 이의 제조방법 Active KR1020348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780005852.1A CN108473616B (zh) 2016-11-23 2017-10-18 改性共轭二烯类聚合物及其制备方法
JP2018534800A JP6646749B2 (ja) 2016-11-23 2017-10-18 変性共役ジエン系重合体およびその製造方法
EP17873365.5A EP3372621B1 (en) 2016-11-23 2017-10-18 Modified conjugated diene-based polymer and method for producing same
PCT/KR2017/011555 WO2018097480A1 (ko) 2016-11-23 2017-10-18 변성 공액디엔계 중합체 및 이의 제조방법
US16/061,859 US10808055B2 (en) 2016-11-23 2017-10-18 Modified conjugated diene-based polymer and method for prepar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56869 2016-11-23
KR20160156869 2016-11-2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58179A KR20180058179A (ko) 2018-05-31
KR102034811B1 true KR102034811B1 (ko) 2019-10-21

Family

ID=624545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94139A Active KR102034811B1 (ko) 2016-11-23 2017-07-25 변성 공액디엔계 중합체 및 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0808055B2 (ko)
EP (1) EP3372621B1 (ko)
JP (1) JP6646749B2 (ko)
KR (1) KR102034811B1 (ko)
CN (1) CN108473616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2168710B2 (en) 2019-09-03 2024-12-17 Lg Chem, Ltd. Rubber composition and molded article manufactured therefrom
KR102653222B1 (ko) * 2019-09-11 2024-04-02 주식회사 엘지화학 변성 공액디엔계 중합체,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고무 조성물
US20230091284A1 (en) * 2020-08-05 2023-03-23 Lg Chem, Ltd. Modified conjugated diene-based polymer and rubber composition including the same
KR20220017853A (ko) * 2020-08-05 2022-02-14 주식회사 엘지화학 변성 공액디엔계 중합체 및 이를 포함하는 고무 조성물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55381A (ja) 2001-11-22 2003-05-27 Bridgestone Corp 重合体混合物及びそれを用いたゴム組成物
JP2009030033A (ja) 2007-06-27 2009-02-12 Sumitomo Chemical Co Ltd 共役ジエン系重合体の製造方法、共役ジエン系重合体および重合体組成物
US20100063202A1 (en) 2008-09-10 2010-03-11 The Goodyear Tire & Rubber Company Methods of Making Siloxy-Amine Functionalized Rubbery Polymers and Uses Thereof in Rubber Compositions for Tires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678013A (en) * 1970-04-07 1972-07-18 Exxon Research Engineering Co Process of reacting carboxy-terminated polyalkylene polymer with an imine and resultant product
JPS5755912A (en) 1980-09-20 1982-04-03 Japan Synthetic Rubber Co Ltd High-level bond content styrene/butadiene copolymer
NL86588C (ko) 1980-09-20
JP4539177B2 (ja) 2004-06-04 2010-09-08 住友化学株式会社 変性ジエン系重合体ゴム、その製造方法及びゴム組成物
US7625981B2 (en) * 2004-06-04 2009-12-01 Sumitomo Chemical Company, Limited Process for producing modified polymer rubber
WO2011040212A1 (en) 2009-10-01 2011-04-07 Takeda Pharmaceutical Company Limited Therapeutic agent for brain tumor
JP5705120B2 (ja) 2009-10-02 2015-04-22 旭化成ケミカルズ株式会社 変性共役ジエン系重合体の製造方法、変性共役ジエン系重合体、及び変性共役ジエン系重合体組成物
KR102112548B1 (ko) 2013-02-28 2020-05-19 제이에스알 가부시끼가이샤 변성 공액 디엔계 중합체의 제조 방법, 중합체 조성물, 가교 중합체, 그리고 타이어
JP2016017097A (ja) * 2014-07-04 2016-02-01 旭化成ケミカルズ株式会社 変性共役ジエン系重合体組成物
WO2016076549A1 (ko) * 2014-11-13 2016-05-19 주식회사 엘지화학 변성 공역디엔계 중합체,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고무 조성물
KR101668567B1 (ko) 2014-11-13 2016-10-24 주식회사 엘지화학 변성 공역디엔계 중합체,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고무 조성물
KR101923160B1 (ko) * 2015-12-24 2018-11-29 주식회사 엘지화학 변성 공액디엔계 중합체, 이의 제조방법 및 변성제
KR101997596B1 (ko) * 2016-07-04 2019-07-08 주식회사 엘지화학 변성제, 변성 공액디엔계 중합체 및 이를 포함하는 고무 조성물
KR102008415B1 (ko) * 2016-11-14 2019-10-21 주식회사 엘지화학 변성 공액디엔계 중합체 및 이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55381A (ja) 2001-11-22 2003-05-27 Bridgestone Corp 重合体混合物及びそれを用いたゴム組成物
JP2009030033A (ja) 2007-06-27 2009-02-12 Sumitomo Chemical Co Ltd 共役ジエン系重合体の製造方法、共役ジエン系重合体および重合体組成物
US20100063202A1 (en) 2008-09-10 2010-03-11 The Goodyear Tire & Rubber Company Methods of Making Siloxy-Amine Functionalized Rubbery Polymers and Uses Thereof in Rubber Compositions for Tir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80371125A1 (en) 2018-12-27
JP2019500475A (ja) 2019-01-10
US10808055B2 (en) 2020-10-20
CN108473616A (zh) 2018-08-31
CN108473616B (zh) 2020-10-23
KR20180058179A (ko) 2018-05-31
EP3372621A4 (en) 2019-02-27
EP3372621A1 (en) 2018-09-12
EP3372621B1 (en) 2021-12-01
JP6646749B2 (ja) 2020-02-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14521B1 (ko) 변성 공액디엔계 중합체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072088B1 (ko) 변성 공액디엔계 중합체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153473B1 (ko) 변성 공액디엔계 중합체, 이의 제조방법 및 변성제
KR102117620B1 (ko) 변성 공액디엔계 중합체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185353B1 (ko) 고분자 화합물, 이를 이용한 변성 공액디엔계 중합체의 제조방법 및 변성 공액디엔계 중합체
KR20170101517A (ko) 아자실란계 변성제 및 이를 이용한 변성 공액디엔계 중합체의 제조방법
KR102034811B1 (ko) 변성 공액디엔계 중합체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752519B1 (ko) 변성 공액디엔계 중합체,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고무 조성물
KR102536519B1 (ko) 변성제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변성 공액디엔계 중합체
KR102037842B1 (ko) 3급 아미노기를 포함하는 알콕시실란계 변성제 및 이를 이용한 변성 공액디엔계 중합체의 제조방법
KR102527753B1 (ko) 변성 공액디엔계 중합체,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고무 조성물
KR102067787B1 (ko) 변성 개시제 및 이를 포함하는 변성 공액디엔계 중합체
KR102008415B1 (ko) 변성 공액디엔계 중합체 및 이의 제조방법
KR20210109946A (ko) 변성 공액디엔계 중합체,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고무 조성물
KR102039128B1 (ko) 변성제,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변성 공액디엔계 중합체
KR102059670B1 (ko) 변성제, 이를 이용한 변성 공액디엔계 중합체의 제조방법 및 변성 공액디엔계 중합체
KR102736089B1 (ko) 변성 공액디엔계 중합체,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고무 조성물
KR102727040B1 (ko) 변성 공액디엔계 중합체,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고무 조성물
KR102653222B1 (ko) 변성 공액디엔계 중합체,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고무 조성물
KR102036026B1 (ko) 변성 단량체, 이를 포함하는 변성 공액디엔계 중합체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281110B1 (ko) 변성 공액디엔계 중합체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574760B1 (ko) 변성 공액디엔계 중합체,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고무 조성물
KR102165117B1 (ko) 변성 공액디엔계 중합체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748773B1 (ko) 변성 공액디엔계 중합체,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고무 조성물
KR102308724B1 (ko) 변성 공액디엔계 중합체 및 이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70725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80509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70725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9032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90923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91015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91016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926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