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17620B1 - 변성 공액디엔계 중합체 및 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변성 공액디엔계 중합체 및 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117620B1 KR102117620B1 KR1020170001573A KR20170001573A KR102117620B1 KR 102117620 B1 KR102117620 B1 KR 102117620B1 KR 1020170001573 A KR1020170001573 A KR 1020170001573A KR 20170001573 A KR20170001573 A KR 20170001573A KR 102117620 B1 KR102117620 B1 KR 102117620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onjugated diene
- carbon atoms
- formula
- modified conjugated
- lithium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 0 *=SCCCN(CCC[n]1cccc1)CCCS=* Chemical compound *=SCCCN(CCC[n]1cccc1)CCCS=* 0.000 description 2
- NLRIWIRIXMSVGO-UHFFFAOYSA-P [SH2+]CCCN(CCCN1CCCC1)CCC[SH2+] Chemical compound [SH2+]CCCN(CCCN1CCCC1)CCC[SH2+] NLRIWIRIXMSVGO-UHFFFAOYSA-P 0.000 description 1
Classifications
-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36/00—Homopolymers and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at least one having two or more carbon-to-carbon double bonds
- C08F36/02—Homopolymers and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at least one having two or more carbon-to-carbon double bonds the radical having only two carbon-to-carbon double bonds
- C08F36/04—Homopolymers and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at least one having two or more carbon-to-carbon double bonds the radical having only two carbon-to-carbon double bonds conjugated
-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00—Processes of polymerisation
- C08F2/44—Polymerisation in the presence of compounding ingredients, e.g. plasticisers, dyestuffs, fillers
-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36/00—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at least one having two or more carbon-to-carbon double bonds
- C08F236/02—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at least one having two or more carbon-to-carbon double bonds the radical having only two carbon-to-carbon double bonds
- C08F236/04—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at least one having two or more carbon-to-carbon double bonds the radical having only two carbon-to-carbon double bonds conjugated
- C08F236/10—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at least one having two or more carbon-to-carbon double bonds the radical having only two carbon-to-carbon double bonds conjugated with vinyl-aromatic monomers
-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8/00—Chemical modification by after-treatment
- C08F8/30—Introducing nitrogen atoms or nitrogen-containing groups
-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8/00—Chemical modification by after-treatment
- C08F8/42—Introducing metal atoms or metal-containing groups
-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54—Silicon-containing compounds
- C08K5/544—Silicon-containing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54—Silicon-containing compounds
- C08K5/544—Silicon-containing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 C08K5/5477—Silicon-containing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containing nitrogen in a heterocyclic ring
-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15/00—Compositions of rubber derivatives
-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9/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njugated diene hydrocarbons
- C08L9/06—Copolymers with styrene
-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500/00—Characteristics or properties of obtained polyolefins; Use thereof
- C08F2500/21—Rubbery or elastomeric properti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ddition Polymer Or Copolymer, Post-Treatments, Or Chemical Modifications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Abstract
Description
구분 | 실시예 | 비교예 | |||||
1 | 2 | 3 | 4 | 5 | 1 | 2 | |
Mw (X103 g/mol) | 633 | 732 | 761 | 735 | 747 | 346 | 720 |
Mn (X103 g/mol) | 359 | 428 | 448 | 423 | 439 | 243 | 433 |
MWD (Mw/Mn) | 1.76 | 1.71 | 1.70 | 1.74 | 1.67 | 1.42 | 1.66 |
MV | 42 | 88 | 93 | 89 | 90 | 50 | 90 |
구분 | 원료 | 함량(중량부) |
제1단 혼련 | 고무(공정유 37.5 중량부 포함) | 137.5 |
실리카 | 70.0 | |
커플링제 | 11.2 | |
아연화제 | 3.0 | |
스테아르산 | 2.0 | |
산화 방지제 | 2.0 | |
노화 방지제 | 2.0 | |
왁스 | 1.0 | |
고무촉진제 | 1.75 | |
제2단 혼련 | 황 | 1.5 |
가황촉진제 | 2.0 |
구분 | 실시예 | 비교예 | ||||||
1 | 2 | 3 | 4 | 5 | 1 | 2 | ||
인장특성 | 300% 모듈러스 (kgf/cm2) | 132 | 122 | 130 | 117 | 120 | 85 | 105 |
인장강도 (kgf/cm2) | 213 | 193 | 202 | 187 | 197 | 151 | 177 | |
내마모성 | 119 | 120 | 122 | 137 | 130 | 161 | 141 | |
점탄성 | tan δ@0℃ | 0.977 | 0.915 | 0.901 | 0.917 | 0.911 | 0.637 | 0.866 |
tan δ@60℃ | 0.101 | 0.106 | 0.110 | 0.119 | 0.107 | 0.143 | 0.110 |
Claims (12)
- 공액디엔계 단량체 유래 반복 단위를 포함하고, 일측 말단에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포함하는 변성제 유래 작용기를 포함하는 변성 공액디엔계 중합체:
[화학식 1]
상기 화학식 1에서,
R1은 탄소수 1 내지 10의 1가 탄화수소기로 치환 또는 비치환된 피롤리딘(pyrroline), 탄소수 1 내지 10의 1가 탄화수소기로 치환 또는 비치환된 피롤(pyrrole), 또는 탄소수 1 내지 10의 1가 탄화수소기로 치환 또는 비치환된 피페라진(piperazine)이고,
R2 및 R3은 각각 독립적으로 탄소수 1 내지 30의 2가 탄화수소기이며,
R4, R5 및 R6은 각각 독립적으로 탄소수 1 내지 30의 1가 탄화수소기이고,
m은 1 또는 2의 정수이며, n은 1 내지 3에서 선택된 정수이다.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학식 1에서,
R1은 탄소수 1 내지 5의 알킬기로 치환 또는 비치환된 피롤리딘(pyrroline), 탄소수 1 내지 5의 알킬기로 치환 또는 비치환된 피롤(pyrrole), 또는 탄소수 1 내지 5의 알킬기로 치환 또는 비치환된 피페라진(piperazine)이되, 피롤리딘, 피롤, 또는 피페라진의 N 원자가 R2와 결합되고,
R2 및 R3은 각각 독립적으로 탄소수 1 내지 20의 알킬렌기이며,
R4, R5 및 R6은 각각 독립적으로 탄소수 1 내지 20의 알킬기, 탄소수 5 내지 20의 시클로알킬기, 또는 탄소수 6 내지 20의 아릴기이고,
m은 1 또는 2의 정수이며, n은 1 내지 3에서 선택된 정수인 변성 공액디엔계 중합체.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변성 공액디엔계 중합체는 방향족 비닐 단량체 유래 반복 단위를 더 포함하는 것인 변성 공액디엔계 중합체.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변성 공액디엔계 중합체는 수평균 분자량(Mn)이 10,000 g/mol 내지 2,000,000 g/mol인 변성 공액디엔계 중합체.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변성 공액디엔계 중합체는 분자량 분포(Mw/Mn)가 1 내지 5인 변성 공액디엔계 중합체. - 유기 금속 화합물을 포함하는 탄화수소 용매 중에서, 공액디엔계 단량체, 또는 방향족 비닐계 단량체 및 공액디엔계 단량체를 중합하여 유기 금속이 결합된 활성 중합체를 제조하는 단계(S1); 및
상기 활성 중합체 및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포함하는 변성제와 반응시키는 단계(S2)를 포함하는 변성 공액디엔계 중합체 제조방법:
[화학식 1]
상기 화학식 1에서,
R1은 탄소수 1 내지 10의 1가 탄화수소기로 치환 또는 비치환된 피롤리딘(pyrroline), 탄소수 1 내지 10의 1가 탄화수소기로 치환 또는 비치환된 피롤(pyrrole), 또는 탄소수 1 내지 10의 1가 탄화수소기로 치환 또는 비치환된 피페라진(piperazine)이고,
R2 및 R3은 각각 독립적으로 탄소수 1 내지 30의 2가 탄화수소기이며,
R4, R5 및 R6은 각각 독립적으로 탄소수 1 내지 30의 1가 탄화수소기이고,
m은 1 또는 2의 정수이며, n은 1 내지 3에서 선택된 정수이다. -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유기 금속 화합물은 단량체 총 100 g을 기준으로 0.01 mmol 내지 10 mmol로 사용하는 것인 변성 공액디엔계 중합체 제조방법. -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유기 금속 화합물은 메틸리튬, 에틸리튬, 프로필리튬, n-부틸리튬, s-부틸리튬, t-부틸리튬, 헥실리튬, n-데실리튬, t-옥틸리튬, 페닐리튬, 1-나프틸리튬, n-에이코실리튬, 4-부틸페닐리튬, 4-톨릴리튬, 사이클로헥실리튬, 3,5-디-n-헵틸사이클로헥실리튬, 4-사이클로펜틸리튬, 나프틸나트륨, 나프틸칼륨, 리튬 알콕사이드, 나트륨 알콕사이드, 칼륨 알콕사이드, 리튬 술포네이트, 나트륨 술포네이트, 칼륨 술포네이트, 리튬 아미드, 나트륨 아미드, 칼륨아미드 및 리튬 이소프로필아미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인 것인 변성 공액디엔계 중합체 제조방법. - 제7항에 있어서,
상기 (S1) 단계의 중합은 극성 첨가제를 포함하여 실시되는 것인 변성 공액디엔계 중합체 제조방법. -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극성 첨가제는 테트라하이드로퓨란, 디테트라하이드로퓨릴프로판, 디에틸에테르, 시클로아말에테르, 디프로필에테르, 에틸렌디메틸에테르, 에틸렌디메틸에테르, 디에틸글리콜, 디메틸에테르, 3차 부톡시에톡시에탄, 비스(3-디메틸아미노에틸)에테르, (디메틸아미노에틸)에틸에테르, 트리메틸아민, 트리에틸아민, 트리프로필아민 및 테트라메틸에틸렌디아민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인 변성 공액디엔계 중합체 제조방법. -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포함하는 변성제:
[화학식 1]
상기 화학식 1에서,
R1은 탄소수 1 내지 10의 1가 탄화수소기로 치환 또는 비치환된 피롤리딘(pyrroline), 탄소수 1 내지 10의 1가 탄화수소기로 치환 또는 비치환된 피롤(pyrrole), 또는 탄소수 1 내지 10의 1가 탄화수소기로 치환 또는 비치환된 피페라진(piperazine)이고,
R2 및 R3은 각각 독립적으로 탄소수 1 내지 30의 2가 탄화수소기이며,
R4, R5 및 R6은 각각 독립적으로 탄소수 1 내지 30의 1가 탄화수소기이고,
m은 1 또는 2의 정수이며, n은 1 내지 3에서 선택된 정수이다.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001573A KR102117620B1 (ko) | 2017-01-04 | 2017-01-04 | 변성 공액디엔계 중합체 및 이의 제조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001573A KR102117620B1 (ko) | 2017-01-04 | 2017-01-04 | 변성 공액디엔계 중합체 및 이의 제조방법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80080639A KR20180080639A (ko) | 2018-07-12 |
KR102117620B1 true KR102117620B1 (ko) | 2020-06-01 |
Family
ID=629198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70001573A Active KR102117620B1 (ko) | 2017-01-04 | 2017-01-04 | 변성 공액디엔계 중합체 및 이의 제조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117620B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774255B1 (ko) * | 2019-09-10 | 2025-02-27 | 주식회사 엘지화학 | 변성 공액디엔계 중합체,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고무 조성물 |
BR112021022891A2 (pt) * | 2019-09-11 | 2022-03-29 | Lg Chemical Ltd | Polímero à base de dieno conjugado modificado e composição de borracha incluindo o mesmo |
SG11202108200TA (en) | 2019-09-11 | 2021-08-30 | Lg Chemical Ltd | Modified conjugated diene-based polymer and rubber composition including the same |
WO2021049909A1 (ko) * | 2019-09-11 | 2021-03-18 | 주식회사 엘지화학 | 변성 공액디엔계 중합체,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고무 조성물 |
KR102533014B1 (ko) * | 2019-09-11 | 2023-05-17 | 주식회사 엘지화학 | 변성 공액디엔계 중합체,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고무 조성물 |
WO2021049913A1 (ko) * | 2019-09-11 | 2021-03-18 | 주식회사 엘지화학 | 변성 공액디엔계 중합체 및 이를 포함하는 고무 조성물 |
KR102727040B1 (ko) * | 2019-09-24 | 2024-11-07 | 주식회사 엘지화학 | 변성 공액디엔계 중합체,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고무 조성물 |
Family Cites Familie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NL86588C (ko) | 1980-09-20 | |||
KR101674305B1 (ko) * | 2014-11-27 | 2016-11-08 | 주식회사 엘지화학 | 말단 기능성 공액 디엔계 중합체 및 이의 제조 방법 |
KR101923160B1 (ko) * | 2015-12-24 | 2018-11-29 | 주식회사 엘지화학 | 변성 공액디엔계 중합체, 이의 제조방법 및 변성제 |
-
2017
- 2017-01-04 KR KR1020170001573A patent/KR102117620B1/ko active Activ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80080639A (ko) | 2018-07-12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923160B1 (ko) | 변성 공액디엔계 중합체, 이의 제조방법 및 변성제 | |
KR102072088B1 (ko) | 변성 공액디엔계 중합체 및 이의 제조방법 | |
KR102117620B1 (ko) | 변성 공액디엔계 중합체 및 이의 제조방법 | |
KR102117619B1 (ko) | 변성 공액디엔계 중합체, 이의 제조방법 및 변성제 | |
KR101909335B1 (ko) | 아자실란계 변성제 및 이를 이용한 변성 공액디엔계 중합체의 제조방법 | |
KR102185353B1 (ko) | 고분자 화합물, 이를 이용한 변성 공액디엔계 중합체의 제조방법 및 변성 공액디엔계 중합체 | |
KR102034811B1 (ko) | 변성 공액디엔계 중합체 및 이의 제조방법 | |
KR102037842B1 (ko) | 3급 아미노기를 포함하는 알콕시실란계 변성제 및 이를 이용한 변성 공액디엔계 중합체의 제조방법 | |
KR20210109273A (ko) | 변성 공액디엔계 중합체,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고무 조성물 | |
KR102527753B1 (ko) | 변성 공액디엔계 중합체,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고무 조성물 | |
KR102067787B1 (ko) | 변성 개시제 및 이를 포함하는 변성 공액디엔계 중합체 | |
KR20210109946A (ko) | 변성 공액디엔계 중합체,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고무 조성물 | |
KR102008415B1 (ko) | 변성 공액디엔계 중합체 및 이의 제조방법 | |
KR102039128B1 (ko) | 변성제,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변성 공액디엔계 중합체 | |
KR102736089B1 (ko) | 변성 공액디엔계 중합체,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고무 조성물 | |
KR102036026B1 (ko) | 변성 단량체, 이를 포함하는 변성 공액디엔계 중합체 및 이의 제조방법 | |
KR20170077517A (ko) | 변성제, 이를 이용한 변성 공액디엔계 중합체의 제조방법 및 변성 공액디엔계 중합체 | |
KR20170082065A (ko) | 변성제, 이를 이용한 변성 공액디엔계 중합체의 제조방법 및 변성 공액디엔계 중합체 | |
KR20210035544A (ko) | 변성 공액디엔계 중합체,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고무 조성물 | |
KR20210031263A (ko) | 변성 공액디엔계 중합체,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고무 조성물 | |
KR102574760B1 (ko) | 변성 공액디엔계 중합체,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고무 조성물 | |
KR102748773B1 (ko) | 변성 공액디엔계 중합체,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고무 조성물 | |
KR102165117B1 (ko) | 변성 공액디엔계 중합체 및 이의 제조방법 | |
KR102308724B1 (ko) | 변성 공액디엔계 중합체 및 이의 제조방법 | |
KR102128570B1 (ko) | 변성제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변성 공액디엔계 중합체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70104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90703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70104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00519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00526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200527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0323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0320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