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979656B1 - 복합가연사 및 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복합가연사 및 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79656B1
KR101979656B1 KR1020180009726A KR20180009726A KR101979656B1 KR 101979656 B1 KR101979656 B1 KR 101979656B1 KR 1020180009726 A KR1020180009726 A KR 1020180009726A KR 20180009726 A KR20180009726 A KR 20180009726A KR 101979656 B1 KR101979656 B1 KR 10197965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eed roller
pet
yarn
heater zone
compon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097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민수
최진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대영합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대영합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대영합섬
Priority to KR10201800097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7965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796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7965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2YARNS; MECHANICAL FINISHING OF YARNS OR ROPES; WARPING OR BEAMING
    • D02GCRIMPING OR CURLING FIBRES, FILAMENTS, THREADS, OR YARNS; YARNS OR THREADS
    • D02G1/00Producing crimped or curled fibres, filaments, yarns, or threads, giving them latent characteristics
    • D02G1/02Producing crimped or curled fibres, filaments, yarns, or threads, giving them latent characteristics by twisting, fixing the twist and backtwisting, i.e. by imparting false twist
    • D02G1/0206Producing crimped or curled fibres, filaments, yarns, or threads, giving them latent characteristics by twisting, fixing the twist and backtwisting, i.e. by imparting false twist by false-twisting
    • D02G1/022Producing crimped or curled fibres, filaments, yarns, or threads, giving them latent characteristics by twisting, fixing the twist and backtwisting, i.e. by imparting false twist by false-twisting while simultaneously drawing the yarn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FCHEMICAL FEATURES IN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THREADS, FIBRES, BRISTLES OR RIBBON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F CARBON FILAMENTS
    • D01F8/00Conjugated, i.e. bi- or multi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Manufacture thereof
    • D01F8/04Conjugated, i.e. bi- or multi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Manufacture thereof from synthetic polymers
    • D01F8/14Conjugated, i.e. bi- or multi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Manufacture thereof from synthetic polymers with at least one polyester as constituent
    • DTEXTILES; PAPER
    • D02YARNS; MECHANICAL FINISHING OF YARNS OR ROPES; WARPING OR BEAMING
    • D02GCRIMPING OR CURLING FIBRES, FILAMENTS, THREADS, OR YARNS; YARNS OR THREADS
    • D02G1/00Producing crimped or curled fibres, filaments, yarns, or threads, giving them latent characteristics
    • D02G1/16Producing crimped or curled fibres, filaments, yarns, or threads, giving them latent characteristics using jets or streams of turbulent gases, e.g. air, steam
    • DTEXTILES; PAPER
    • D02YARNS; MECHANICAL FINISHING OF YARNS OR ROPES; WARPING OR BEAMING
    • D02JFINISHING OR DRESSING OF FILAMENTS, YARNS, THREADS, CORDS, ROPES OR THE LIKE
    • D02J1/00Modifying the structure or properties resulting from a particular structure; Modifying, retaining, or restoring the physical form or cross-sectional shape, e.g. by use of dies or squeeze rollers
    • D02J1/08Interlacing constituent filaments without breakage thereof, e.g. by use of turbulent air strea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Yarns And Mechanical Finishing Of Yarns Or Rop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복합가연사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직물과 편물에서 현저히 우수한 신축성 및 촉감을 발현하는 동시에 드레이프성이 우수한 효과를 나타내는 복합가연사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복합가연사 및 이의 제조방법{Composite false-twist yarn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복합가연사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직물과 편물에서 현저히 우수한 신축성 및 촉감을 발현하는 동시에 드레이프성이 우수한 효과를 나타내는 복합가연사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합성섬유는 천연섬유에 비해 짧은 역사를 가지고 있지만 거듭되는 기술개발로 일부 특성에 있어서는 천연섬유에 못지 않은 수준에 도달하였다. 최근 의류 분야에서는 신축성을 요구하는 원단 및 기존의 촉감과 다른 차별화된 직물을 위한 소재의 수요가 커지면서 신축성에 특징이 있는 스판덱스 시장이 꾸준히 성장해 왔다. 그렇지만 스판덱스의 경우 내알카리성에 문제가 있으며, 형태안정성 등에 있어서 문제가 있어 스판덱스 원사 단독으로는 사용할 수 없고 별도의 커버링 공정이 필요한 단점이 있다. 따라서 상대적으로 두꺼운 원단을 얻을 수밖에 없어서 점점 얇은 원단을 원하는 시장의 요구에 한계가 있었다.
이러한 스판덱스의 단점을 극복하기 위해서 열수축특성이 다른 폴리머를 사이드-바이-사이드 방식으로 복합 방사하여 원단 제조 시 부여되는 열 수축 차에 의한 크림프를 발현시키는 방법으로 제조된 신축성 있는 잠재권축섬유가 제안되었다.
한편, 종래의 잠재권축섬유의 경우 직물과 편물에서 현저히 우수한 신축성 및 촉감을 발현하는 동시에 드레이프성이 우수한 효과를 모두 달성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따라, 직물과 편물에서 현저히 우수한 신축성 및 촉감을 발현하는 동시에 드레이프성이 우수한 효과를 모두 달성할 수 있는 복합가연사의 개발이 시급한 실정이다.
JP 1997-209217 A(공개일 1997.08.12)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과제는 직물과 편물에서 현저히 우수한 신축성 및 촉감을 발현하는 동시에 드레이프성이 우수한 효과를 모두 달성할 수 있는 복합가연사 및 이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 성분 및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PBT) 성분을 포함하는 잠재권축사를 제1피드롤러로 공급한 후, 제1히터와 디스크 타입의 가연기 및 제2피드롤러를 통과시켜 가연과 연신을 동시에 수행하며, 이후 제3피드롤러를 통과시켜서 가연사를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가연사 및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부분연신사(PET POY)를 인터레이스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복합가연사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가연은 사속비 1.5 ~ 2.5로 수행할 수 있고, 상기 연신은 연신비 1.5 ~ 2.0으로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피드롤러와 제2피드롤러 간의 제1오버피드율은 1 ~ 6%일 수 있고, 상기 제2피드롤러와 제3피드롤러 간의 제2오버피드율은 0.3 ~ 0.48%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히터는, 제1히터존과 상기 제1히터존 보다 긴 길이를 갖는 제2히터존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제1히터존은 온도가 300 ~ 500℃일 수 있으며, 제2히터존의 온도는 200 ~ 350℃일 수 있고, 상기 제1히터존은 제2히터존 보다 온도가 높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잠재권축사의 단사 단면은 사이드-바이-사이드형, 원형 및 중공형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단면형상을 가질 수 있고, 상기 잠재권축사는 상기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 성분 및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PBT) 성분을 6:4 ~ 8:2의 중량비로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인터레이스는 1.8 ~ 2.5 bar의 공기압으로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상술한 본 발명에 따른 제조방법으로 제조되며, 강도가 3 ~ 7g/de'이고, 신도가 40% 이상인 복합가연사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복합가연사 및 이의 제조방법은 직물과 편물에서 현저히 우수한 신축성 및 촉감을 발현하는 동시에 드레이프성이 우수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가연사를 제조하는 공정의 개략도, 그리고,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복합가연사를 제조하는 공정의 개략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가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가연사의 제조방법은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 성분 및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PBT) 성분을 포함하는 잠재권축사를 제1피드롤러로 공급하여 제1히터를 통과시키고, 디스크타입 가연기로 가연하고 제2피드롤러를 통과시켜 연신을 수행하며, 연신을 수행한 잠재권축사를 제3피드롤러를 통과시켜서 가연사를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가연사 및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부분연신사(PET POY)를 인터레이스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먼저, 가연사를 제조하는 단계를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가연사를 제조하는 잠재권축사는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 성분 및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PBT) 성분을 포함한다. 이 경우, 각 폴리머의 열수축특성 차이에 의해 물리적으로 코일모양의 크림프(Crimp)를 발현시켜 스프링과 유사한 원리로 목적하는 고신축성을 달성하고, 본 발명에 따른 연신 및 가연 공정이 보다 원활하게 수행될 수 있도록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 성분이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PBT) 성분 보다 다량으로 포함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 성분 및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PBT) 성분을 6 : 4 ~ 8 : 2의 중량비로, 보다 바람직하게는 6.5 : 3.5 ~ 7.5 : 2.5의 중량비로 포함될 수 있다.
만일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 성분이 상기 범위를 초과하여 포함되는 경우 신축성 및 염색성이 저하될 수 있고,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PBT) 성분이 상기 범위를 초과하여 포함되는 경우 유연성 및 소프트성(촉감)이 저하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가연사를 제조하는 잠재권축사는 단사 단면이 사이드-바이-사이드형, 원형 및 중공형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단면형상을 가질 수 있고, 상술한 바와 같이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 성분이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PBT) 성분 보다 다량으로 포함될 수 있음에 따라, 잠재권축사의 사이드-바이-사이드형, 원형 및 중공형 단면은 비균등하게 나타날 수 있다.
한편, 상기 잠재권축사는 복합방사를 통해 형성될 수 있고, 상기 복합방사의 조건은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조건이라면 제한 없이 사용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복합방사각도 45 ~ 90°, 토출압력 150 ~ 200kg/㎠ 및 방사속도 3,000 ~ 6,000 mpm(m/min)의 조건으로 방사되어 제조될 수 있다. 상기 방사 조건을 만족함에 따라 직물 및 편물에서 촉감, 소프트성, 바디감 및 드레이프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크릴(10)에 로딩(loading)된 잠재권축사가 제1피드롤러(20)로 공급되어 통과하고, 제1피드롤러(20)를 통과한 원사는 제1히터(30)를 통과한 후 냉각기(40)를 통과한다.
이때, 상기 제1히터(30)는 제1히터존(Zone)과 제2히터존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균일한 열처리를 수행하고 수축특성 및 염색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상기 제2히터존은 제1히터존의 길이보다 길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제1히터존과 제2히터존의 길이 비는 1 : 1.2 ~ 10일 수 있다. 상기 제1히터존과 제2히터존의 길이 비가 상기 범위를 만족함에 따라, 고신축특성 및 촉감, 소프트성, 바디감이 우수한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히터존은 제2히터존 보다 온도가 높을 수 있으며, 제1히터존은 온도가 300℃ ~ 500℃, 바람직하게는 온도가 350℃ ~ 450℃일 수 있고, 상기 제2히터존은 온도가 200℃ ~ 350℃, 바람직하게는 온도가 225℃ ~ 325℃일 수 있다. 만일 상기 제1히터존의 온도가 300℃ 미만이거나, 제2히터존의 온도가 200℃ 미만이면 균일한 열처리가 용이하지 않을 수 있고, 제1히터존의 온도가 500℃를 초과하거나, 제2히터존의 온도가 350℃를 초과하면 잠재권축사에 보풀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을 수 있다. 또한, 만일 상기 제1히터존의 온도가 제2히터존의 온도와 같거나 낮으면 수축특성 및 염색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을 수 있다.
상기 제1히터(30)를 통과한 잠재권축사는 냉각기(40)를 통과하는데, 이 경우 섬유의 온도가 70 ~ 90℃ 정도로 떨어지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제1히터(30)를 통과한 잠재권축사는 냉각기(40)를 통과하며 온도가 저하되고, 그 뒤 디스크타입 가연기(50)를 통과하면서 그 전후로 꼬임과 해연이 진행되어 원사에 권축성이 부여된다. 이 때 사속비 1.5 ~ 2.5로 가연하며, 바람직하게는 사속비 1.7 ~ 2.3으로 가연할 수 있으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사속비 1.9 ~ 2.1로 가연할 수 있다. 만일 사속비가 상기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에는 고신축특성 및 촉감, 소프트성, 바디감 등이 동시에 모두 우수한 효과를 나타내기 어려운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상기 디스크타입 가연기(50)를 통과한 잠재권축사는 제2피드롤러(60)를 통과한다. 제1피드롤러(20)와 제2피드롤러(60)의 선속도 차이에 의하여 연신이 발생하게 되며, 원사는 제1피드롤러(20)와 제2피드롤러(60) 사이에 설치된 제1히터(30)를 통과하므로 연신 및 가연이 동시에 가능한 것이다.
또한, 연신비는 제2피드롤러의 속도/제1피드롤러의 속도로 정의되는데 상기 연신비는 1.5 ~ 2.0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1.6 ~ 1.9일 수 있다. 만일 연신비가 1.5 미만이면 장력이 낮아지게 되어 제조되는 가연사가 불균일한 문제가 발생할 수 있고, 2.0 초과하면 과도한 장력으로 공정 중 실이 끊어지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상기 잠재권축사는 제2피드롤러(60)를 통과한 후 제3피드롤러(80)를 통과하며, 그 사이에 제2히터(70)가 설치될 수도 있고 설치되지 않을 수도 있다. 만일 상기 잠재권축사가 제2피드롤러(60)를 통과한 후 제2히터(70)를 통과하는 경우에는, 상기 제2히터(70)의 온도는 180℃ 이하일 수 있다. 만일 제2 히터의 온도가 180℃를 초과하면 수축특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이후, 제3피드롤러(80)를 통과한 잠재권축사는 오일링 롤러(90)를 통과하면서 오일이 부여될 수 있고, 이후 제1권취롤러(100)에 권취됨으로써 가연사(1)가 제조될 수 있다.
한편, 제1오버피드율(OF1)은 (제1피드롤러의 속도-제2피드롤러의 속도)/제1피드롤러의 속도를 의미하고, 제2오버피드율(OF2)은 (제3피드롤러의 속도-제2피드롤러의 속도)/제2피드롤러의 속도를 의미하며, 제3오버피드율(OF3)은 (제1권취롤러의 속도-제3피드롤러의 속도)/제1권취롤러의 속도를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 제1오버피드율(OF 1)은 1 ~ 6%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1.5 ~ 5.5%일 수 있다. 만일 제1오버피드율이 1% 미만이면 인터레이스가 적어지게 되어 불균일해질 수 있고, 6%를 초과하면 장력이 저하되어 실의 사절이 증가하게 되는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피드롤러와 제3피드롤러 간의 제2오버피드율(OF2)은 0.3 ~ 0.48% 일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0.35 ~ 0.43%일 수 있다. 제2오버피드율이 상기 범위를 만족하는 경우에는, 사도(yarn path)를 안정화시킬 수 있으며, 권취 장력 및 강도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제2히터(70)가 설치되어 있는 경우에는 제2히터 내의 고정 장력을 결정하여 고정 장력에 따라 수축률을 조절할 수도 있다. 만일 제2오버피드율이 상기 범위를 만족하지 못하는 경우에는, 사도를 안정화시킬 수 없어서 가연 가공성이 현저히 저하되며, 모우루프 등의 사 결함(yarn defect)을 유발하는 등 본 발명이 목적하는 효과를 발현하지 못할 수 있는 문제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3오버피드율(OF 3)은 0.1 ~ 0.35%인 것이 바람직하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0.15 ~ 0.30% 일 수 있다. 만일 제3오버피드율이 0.35%를 초과하면 장력이 저하되는 등 본 발명이 목적하는 효과를 발현하지 못할 수 있는 문제가 있다.
한편, 각 피드롤러의 속도는 오버피드율의 범위를 만족하는 범위에서 적절하게 변화되어 사용될 수 있다.
다음, 상기 가연사 및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부분연신사(PET POY)를 인터레이스시키는 단계를 설명한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복합가연사는 상기 가연사(1) 및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부분연신사(2)가 인터레이스 노즐(110)을 통해 인터레이스 되어 제2권취롤러(120)에 권취됨으로써 제조될 수 있다.
상기 인터레이스 노즐(110)의 공기압은 통상적으로 인터레이스를 수행하는 공기압이라면 제한 없이 사용할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1.8 ~ 2.5 bar의 공기압으로, 보다 바람직하게는 1.9 ~ 2.4 bar의 공기압으로 수행하는 것이 복합가연사의 신축성 및 소프트성(촉감) 향상에 더욱 유리할 수 있다. 만일 상기 인터레이스 노즐(110)의 공기압이 1.8 bar 미만이면 소프트성이 저하될 수 있고, 공기압이 2.5 bar를 초과하면 신축성이 저하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본 발명의 복합가연사는 강도가 3 ~ 7g/de'이고, 신도가 40% 이상이며, 바람직하게는 강도가 4 ~ 6g/de'이고, 신도가 45% 이상일 수 있다. 복합가연사의 강도와 신도가 상기 범위를 만족함에 따라 직물과 편물에서 현저히 우수한 신축성 및 촉감을 발현하는 동시에 드레이프성이 우수한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복합가연사는 잠재권축사의 구성성분으로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 성분 및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PBT) 성분을 포함하고, 가연사 제조 후 가연사와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성분을 포함하는 부분연신사(PET POY)를 인터레이스하여 복합가연사를 제조함에 따라 특히 신축성 및 소프트성이 동시에 현저히 우수한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하기 실시예들을 통해 설명한다. 이때, 하기 실시예들은 발명을 예시하기 위하여 제시된 것일 뿐,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하기 실시예들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 실시예 ]
실시예 1: 복합가연사의 제조
먼저, 도 1과 같은 가연장치를 이용하여 잠재권축사를 이용하여 가연사를 제조하였다. 이때 이용한 잠재권축사를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 성분 및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PBT) 성분을 각각 7 : 3의 중량비로 포함하고, 단사 단면이 사이드-바이-사이드형이고, 단사섬도가 2de'이며, 36개의 필라멘트수이고, 강도가 2.5g/de'이고, 신도가 42%이며, 권축률이 20%인 멀티필라멘트사를 이용했다. 이후 제1오버피드율(OF1) 3.35%, 제2오버피드율(OF2) 0.39%, 제3오버피드율(OF3), 사속비 1.98, 연신비 1.747, 제1히터존과 제2히터존의 길이 비 1 : 2, 제1히터존 온도 400℃ 및 제2히터존 온도 275℃의 조건으로 연신 및 가연하여 가연사를 제조하였다. 제조된 가연사는 강도가 3.2g/de'이고, 신도가 26%이며, int가 88개/m이었다.
다음,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조한 가연사와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부분연신사(PET POY)를 인터레이스 노즐을 통해 2.1bar의 공기압으로 인터레이스시켜서 복합가연사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2 ~ 17 및 비교예 1 ~ 3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여 제조하되, 제2오버피드율, 사속비, 연신비, 잠재권축사의 성분, 인터레이스 노즐의 공기압 및 부분연신사의 성분 등을 달리하여 표 1 내지 표 4와 같은 복합가연사를 제조하였다.
< 실험예 1>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를 통해 제조된 복합가연사에 대해 하기의 물성을 측정하여 하기 표 1 내지 표 4에 나타내었다.
1. 강도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를 통해 제조된 복합가연사를 KS K 0412에 의거하여 강도를 측정하였다.
2. 신도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를 통해 제조된 복합가연사를 KS K 0412에 의거하여 신도를 측정하였다.
< 실험예 2>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를 통해 제조된 복합가연사 각각을 100%로 하여 환편으로 제편한 후 통상의 가공 조건에 따라 염가공을 진행하여 각각의 편물을 제조하였다. 그리고, 제조한 각각의 편물에 대해 하기의 물성을 측정하여 하기 표 1 내지 표 4에 나타내었다.
1. 촉감( 소프트성 ) 평가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를 통해 제조된 복합가연사로 제조한 각각의 편물에 대하여 10명의 패널리스트에 의해 촉감(소프트성)을 평가하였으며, 각각의 패널리스트가 평가한 촉감의 평균점수를 0 ~ 5점으로, 4점을 초과할 경우 - ○, 4점이하 3점을 초과할 경우 - △, 3점 미만일 경우 ×로 하여 촉감(소프트성)을 평가하였다.
2. 드레이프성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를 통해 제조된 복합가연사로 제조한 각각의 편물에 대하여 KS K 0539에 의거하여 강연성을 측정하였다. 이때, 거리가 짧아 원단의 앞끝이 빨리 닿을수록 원단이 유연하여 드레이프성이 우수한 것으로 판단하였다.
3. 제직성 (회)
원단 가로 1.76m, 세로 91.44m를 제직하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절사에 의한 제직기의 정지 횟수로 평가하였고, 정지횟수가 1회 이하인 경우 - ○, 1회 초과 ~ 5회인 경우 - △, 5회를 초과하는 경우 - ×로 하여 제직성을 평가하였다.
구분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실시예
4
실시예
5
가연사 제조 제2오버피드율(OF2,%) 0.39 0.25 0.35 0.43 0.50
사속비 1.98 1.6 1.75 2.1 2.4
연신비 1.747 1.747 1.747 1.747 1.747
잠재권축사 성분 PET/PBT PET/PBT PET/PBT PET/PBT PET/PBT
복합가연사 제조 공기압 2.1 2.1 2.1 2.1 2.1
부분연신사 성분 PET POY PET POY PET POY PET POY PET POY
복합가연사 강도(g/de') 5.8 5.8 5.9 4.2 2.9
신도(%) 51 38 48 45 42
편물 촉감(소프트성)
드레이프성(cm) 2.39 3.17 2.54 2.53 3.22
제직성
구분 실시예
6
실시예
7
실시예
8
실시예
9
실시예
10
가연사 제조 제2오버피드율(OF2,%) 0.39 0.39 0.39 0.39 0.39
사속비 1.3 1.7 2.3 2.8 1.98
연신비 1.747 1.747 1.747 1.747 1.3
잠재권축사 성분 PET/PBT PET/PBT PET/PBT PET/PBT PET/PBT
복합가연사 제조 공기압 2.1 2.1 2.1 2.1 2.1
부분연신사 성분 PET POY PET POY PET POY PET POY PET POY
복합가연사 강도(g/de') 5.8 5.8 5.5 5.2 5.8
신도(%) 48 47 46 41 43
편물 촉감(소프트성) ×
드레이프성(cm) 3.09 2.56 2.58 3.83 3.02
제직성 × × ×
구분 실시예
11
실시예
12
실시예
13
실시예
14
실시예
15
가연사 제조 제2오버피드율(OF2,%) 0.39 0.39 0.39 0.39 0.39
사속비 1.98 1.98 1.98 1.98 1.98
연신비 1.6 1.9 2.2 1.747 1.747
잠재권축사 성분 PET/PBT PET/PBT PET/PBT PET/PBT PET/PBT
복합가연사 제조 공기압 2.1 2.1 2.1 1.6 1.9
부분연신사 성분 PET POY PET POY PET POY PET POY PET POY
복합가연사 강도(g/de') 5.8 4.3 2.8 5.6 5.7
신도(%) 47 46 37 47 46
편물 촉감(소프트성) × ×
드레이프성(cm) 2.44 2.51 3.49 2.55 2.42
제직성 ×
구분 실시예
16
실시예
17
비교예
1
비교예
2
비교예
3
가연사 제조 제2오버피드율(OF2,%) 0.39 0.39 0.39 0.39 0.39
사속비 1.98 1.98 1.98 1.98 1.98
연신비 1.747 1.747 1.747 1.747 1.747
잠재권축사 성분 PET/PBT PET/PBT PET/PBT PET/PTT PET/PBT
복합가연사 제조 공기압 2.4 3 - 2.1 2.1
부분연신사 성분 PET POY PET POY - PET POY PBT POY
복합가연사 강도(g/de') 4.2 2.9 3.2 2.4 2.9
신도(%) 45 33 26 29 34
편물 촉감(소프트성) ×
드레이프성(cm) 2.49 2.63 2.74 2.44 2.38
제직성 ×
상기 표 1 내지 표 4에서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에 따른 제2오버피드율, 사속비, 연신비, 잠재권축사의 성분, 인터레이스 노즐의 공기압 및 부분연신사의 성분 등을 모두 만족하는 실시예 1, 3, 4, 7, 8, 11, 12, 15 및 16이, 이 중에서 하나라도 누락된 실시예 2, 5, 6, 9, 10, 13, 14, 17 및 비교예 1 ~ 3에 비하여 강도, 신도 촉감, 드레이프성 및 제직성이 현저히 우수하였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제2오버피드율 범위를 만족하는 실시예 1, 3 및 4가, 제2오버피드율 범위 미만인 실시예 2 및 범위를 초과하는 실시예 5에 비하여 강도, 신도, 촉감, 드레이프성 및 제직성이 모두 우수하였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사속비 범위를 만족하는 실시예 1, 7 및 8이, 사속비 범위 미만인 실시예 6에 비하여 촉감, 드레이프성 및 제직성이 우수하였고, 범위를 초과하는 실시예 9에 비하여 강도, 신도, 촉감, 드레이프성 및 제직성이 우수하였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연신비 범위를 만족하는 실시예 1, 11 및 12가, 연신비 범위 미만인 실시예 10에 비하여 촉감, 드레이프성 및 제직성이 우수하였고, 범위를 초과하는 실시예 13에 비하여 강도, 신도, 촉감, 드레이프성 및 제직성이 우수하였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인터레이스 노즐의 공기압 범위를 만족하는 실시예 1, 15 및 16이, 공기압 범위 미만인 실시예 14에 비하여 촉감, 드레이프성 및 제직성이 우수하였고, 범위를 초과하는 실시예 17에 비하여 강도, 신도, 드레이프성 및 제직성이 우수하였다.
또한, 복합가연사를 제조한 실시예 1이, 가연사까지 제조한 비교예 1에 비하여 강도, 신도, 촉감, 드레이프성 및 제직성이 모두 우수하였다.
또한, 잠재권축사의 성분으로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 성분과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PBT) 성분을 포함하는 실시예 1이, 잠재권축사의 성분으로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 성분과 폴리트리메틸렌 테레프탈레이트(PTT) 성분을 포함하는 비교예 2에 비하여 강도, 신도, 촉감, 드레이프성 및 제직성이 모두 우수하였다.
그리고, 부분연신사로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부분연신사를 포함하는 실시예 1이, 부분연신사로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부분연신사를 포함하는 비교예 3에 비하여 강도, 신도, 촉감 및 제직성이 우수하였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사상은 본 명세서에 제시되는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구성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추가 등에 의해서 다른 실시 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 발명의 사상범위 내에 든다고 할 것이다.
1 : 가연사 2 : 부분연신사
10 : 크릴 20 : 제1 피드롤러
30 : 제1 히터 40 : 냉각판
50 : 디스크타입 가연기 60 : 제2 피드롤러
70 : 제2 히터 80 : 제3 피드롤러
90 : 오일링 롤러 100 : 제1권취롤러
110 : 인터레이스 노즐 120: 제2권취롤러

Claims (7)

  1.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 성분 및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PBT) 성분을 포함하는 잠재권축사를 제1피드롤러로 공급한 후, 제1히터와 디스크 타입의 가연기 및 제2피드롤러를 통과시켜 가연과 연신을 동시에 수행하며, 이후 제3피드롤러를 통과시켜서 가연사를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가연사 및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부분연신사(PET POY)를 인터레이스시키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가연은 사속비 1.7 ~ 2.3으로 수행하며, 상기 연신은 연신비 1.6 ~ 1.9으로 수행하고,
    상기 제1피드롤러와 제2피드롤러 간의 제1오버피드율은 1 ~ 6%이며, 상기 제2피드롤러와 제3피드롤러 간의 제2오버피드율은 0.3 ~ 0.48%인 복합가연사의 제조방법.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히터는,
    제1히터존과 상기 제1히터존 보다 긴 길이를 갖는 제2히터존을 포함하고,
    상기 제1히터존은 온도가 300 ~ 500℃이며, 제2히터존의 온도는 200 ~ 350℃이고,
    상기 제1히터존은 제2히터존 보다 온도가 높은 복합가연사의 제조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잠재권축사의 단사 단면은 사이드-바이-사이드 형, 원형 및 중공형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단면형상을 가지고,
    상기 잠재권축사는 상기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 성분 및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PBT) 성분을 6:4 ~ 8:2의 중량비로 포함하는 복합가연사의 제조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레이스는 1.8 ~ 2.5 bar의 공기압으로 수행하는 복합가연사의 제조방법.
  7. 제1항, 제4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제조방법으로 제조되며,
    강도가 3 ~ 7g/de'이고, 신도가 40% 이상인 복합가연사.
KR1020180009726A 2018-01-26 2018-01-26 복합가연사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97965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09726A KR101979656B1 (ko) 2018-01-26 2018-01-26 복합가연사 및 이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09726A KR101979656B1 (ko) 2018-01-26 2018-01-26 복합가연사 및 이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79656B1 true KR101979656B1 (ko) 2019-05-17

Family

ID=666779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09726A KR101979656B1 (ko) 2018-01-26 2018-01-26 복합가연사 및 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79656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98439A (ja) * 1981-12-08 1983-06-11 ユニチカ株式会社 ポリエステル特殊嵩高加工糸の製造方法
JPH09209217A (ja) 1996-01-29 1997-08-12 Toray Ind Inc サイドバイサイド型複合紡糸用口金および複合繊維の製造方法
KR100531617B1 (ko) * 2004-03-25 2005-11-28 주식회사 효성 복합섬유 및 이의 제조방법
KR100675647B1 (ko) * 2005-11-07 2007-01-30 주식회사 새 한 폴리에스테르 고가연사 및 그를 이용한 작업복용 원단
KR20170111426A (ko) * 2016-03-28 2017-10-12 주식회사 여주티앤씨 벌키성과 신축성이 우수한 폴리에스테르 잠재권축교락가공사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98439A (ja) * 1981-12-08 1983-06-11 ユニチカ株式会社 ポリエステル特殊嵩高加工糸の製造方法
JPH09209217A (ja) 1996-01-29 1997-08-12 Toray Ind Inc サイドバイサイド型複合紡糸用口金および複合繊維の製造方法
KR100531617B1 (ko) * 2004-03-25 2005-11-28 주식회사 효성 복합섬유 및 이의 제조방법
KR100675647B1 (ko) * 2005-11-07 2007-01-30 주식회사 새 한 폴리에스테르 고가연사 및 그를 이용한 작업복용 원단
KR20170111426A (ko) * 2016-03-28 2017-10-12 주식회사 여주티앤씨 벌키성과 신축성이 우수한 폴리에스테르 잠재권축교락가공사의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79655B1 (ko) 폴리에스테르계 잠재권축사를 이용한 복합가연사 제조방법 및 이를 통해 제조된 폴리에스테르계 잠재권축사를 이용한 복합가연사
KR20170059059A (ko) 보온성을 가지는 고신축 복합사 및 이를 이용한 직물의 제조방법
KR101938840B1 (ko) 자연스러운 감성을 가지는 폴리에스테르 복합가공사 및 이를 이용한 직물의 제조방법
KR101618073B1 (ko) 부분연신사를 이용한 신축성과 드레이퍼리성이 우수한 폴리에스테르 복합사 및 그 제조방법
KR101543113B1 (ko) 신축성이 우수한 폴리에스테르 복합섬유, 그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복합가공사
KR101979656B1 (ko) 복합가연사 및 이의 제조방법
JP7316444B2 (ja) 芯鞘型複合仮撚糸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1821740B1 (ko) 섬유 표면 형상에 의한 촉감이 우수한 신축성 폴리에스테르 복합사 및 그 제조방법
CN114008255A (zh) 具有良好伸缩性的聚酯复合纤维及其制备方法
KR101367037B1 (ko) 심색성, 신축성 및 형태안정성이 우수한 편직물
KR20170112576A (ko) 위편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866688B1 (ko) 멜란지 효과가 우수하고, 드레이프성 및 고신축성을 갖는 레이온-라이크 폴리에스테르 복합사 및 그 제조방법
KR20110005341A (ko) 폴리유산 섬유를 포함하는 신축성 원사, 그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원단
KR101590231B1 (ko) 연사효과를 가지는 폴리에스테르 멀티필라멘트 섬유 및 그 제조방법
KR101940013B1 (ko) 중공 가연사의 제조방법
KR20190036309A (ko) 신축성이 우수한 면조 복합사 및 그 제조방법
KR101599109B1 (ko) 선연 후가연 특성을 갖는 폴리에스테르 가연사의 제조방법 및 이를 통해 제조된 폴리에스테르 가연사
KR101555098B1 (ko) 이수축 폴리에스테르 심초형 복합가연사의 제조방법 및 이를 통해 제조된 이수축 폴리에스테르 심초형 복합가연사
KR100956497B1 (ko) 방적사효과를 가지는 폴리에스테르계 가공사의 제조방법
KR102479830B1 (ko) 심초형 복합가연사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40070681A (ko) 린넨-라이크 폴리에스테르 가연사 및 그 제조방법
KR102219084B1 (ko) 강도 및 신장률이 높은 인터레이스 복합사 및 그 제조방법
KR101943925B1 (ko) 소모조용 폴리에스터 복합사 및 그 제조방법
KR102265270B1 (ko) 흡한속건성이 우수한 복합 융착사 및 그의 제조방법
KR101560914B1 (ko) 연사효과를 가지는 폴리에스테르 멀티필라멘트 섬유용 방사구금 및 이를 이용한 폴리에스테르 멀티필라멘트 섬유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80126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8092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90419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90513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90513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222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415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