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675647B1 - 폴리에스테르 고가연사 및 그를 이용한 작업복용 원단 - Google Patents

폴리에스테르 고가연사 및 그를 이용한 작업복용 원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75647B1
KR100675647B1 KR1020050105802A KR20050105802A KR100675647B1 KR 100675647 B1 KR100675647 B1 KR 100675647B1 KR 1020050105802 A KR1020050105802 A KR 1020050105802A KR 20050105802 A KR20050105802 A KR 20050105802A KR 100675647 B1 KR100675647 B1 KR 10067564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lyester
yarn
present
twisted yarn
fabric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501058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기현
김덕용
황용호
이익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새 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새 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새 한
Priority to KR10200501058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7564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756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75647B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2YARNS; MECHANICAL FINISHING OF YARNS OR ROPES; WARPING OR BEAMING
    • D02GCRIMPING OR CURLING FIBRES, FILAMENTS, THREADS, OR YARNS; YARNS OR THREADS
    • D02G3/00Yarns or threads, e.g. fancy yarns; Processes or apparatus for the production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2G3/02Yarns or thread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r by the materials from which they are made
    • D02G3/04Blended or other yarns or threads containing components made from different materials
    • D02G3/045Blended or other yarns or threads containing components made from different materials all components being made from artificial or synthetic material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DMECHANICAL METHODS OR APPARATUS IN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THREADS, FIBRES, BRISTLES OR RIBBONS
    • D01D5/00Formation of filaments, threads, or the like
    • D01D5/28Formation of filaments, threads, or the like while mixing different spinning solutions or melts during the spinning operation; Spinnerette packs therefor
    • D01D5/30Conjugate filaments; Spinnerette packs therefor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FCHEMICAL FEATURES IN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THREADS, FIBRES, BRISTLES OR RIBBON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F CARBON FILAMENTS
    • D01F8/00Conjugated, i.e. bi- or multi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Manufacture thereof
    • D01F8/04Conjugated, i.e. bi- or multi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Manufacture thereof from synthetic polymers
    • D01F8/14Conjugated, i.e. bi- or multi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Manufacture thereof from synthetic polymers with at least one polyester as constituent
    • DTEXTILES; PAPER
    • D02YARNS; MECHANICAL FINISHING OF YARNS OR ROPES; WARPING OR BEAMING
    • D02GCRIMPING OR CURLING FIBRES, FILAMENTS, THREADS, OR YARNS; YARNS OR THREADS
    • D02G3/00Yarns or threads, e.g. fancy yarns; Processes or apparatus for the production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2G3/22Yarns or thread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e.g. blending, filament/fibre
    • D02G3/32Elastic yarns or threads ; Production of plied or cored yarns, one of which is elastic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15/0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 D03D15/5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characterised by the properties of the yarns or threads
    • D03D15/56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characterised by the properties of the yarns or threads elastic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600/00Uses of gar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 A41D2600/20Uses of gar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for working activities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401/00Physical properties
    • D10B2401/06Load-responsive characteristics
    • D10B2401/061Load-responsive characteristics elastic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401/00Physical properties
    • D10B2401/06Load-responsive characteristics
    • D10B2401/063Load-responsive characteristics high strength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401/00Physical properties
    • D10B2401/14Dyeability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501/00Wearing apparel
    • D10B2501/04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Woven Fabrics (AREA)
  • Yarns And Mechanical Finishing Of Yarns Or Rop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폴리에스테르 고가연사는 2이상의 폴리머에 의한 복합방사에 의해 제조된 폴리에스테르 필라멘트사를 가연기에서 가연온도를 150 내지 240 ℃, 권취속도 500 내지 700 m/min, 연신비 1.1 내지 1.8, V.R. 1.1 내지 2.0, 및 접촉각 95 내지 120 도로 하여 가연가공하여 제조된다.
본 발명의 폴리에스테르 고가연사를 이용한 작업복용 원단은 폴리에스테르와 레이온의 혼방 직물에 있어서 위사에 일정 간격으로 본 발명의 폴리에스테르 고가연사를 피킹함으로써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강연시에도 우수한 신축성을 가지면서 제직 및 염가공이 용이하고 제조원가를 절감할 수 있는 폴리에스테르 고가연사가 제공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본 발명의 폴리에스테르 고가연사를 사용함으로써 제조원가가 대폭 절감되고 신축성 및 신축회복성, 저수축성, 강력이 우수한 작업복용 직물이 제공되는 효과가 있다.
혼방직물, 작업복, 가연, 고신축, 폴리에스테르, 레이온.

Description

폴리에스테르 고가연사 및 그를 이용한 작업복용 원단{Polyester high stretched yarn and fabric for working uniform thereby}
본 발명은 폴리에스테르 고가연사 및 그를 이용한 작업복용 원단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강연시에도 우수한 신축성을 가지고 염가공이 용이하며 제조원가를 절감할 수 있는 폴리에스테르 고가연사 및 그를 이용한 작업복용 원단에 관한 것이다.
폴리에스테르 원단에 신축성을 부여할 수 있는 방법으로는 크게 3가지가 있을 수 있는데,
첫째는 스판덱스를 사용하는 방법으로, 이 경우 원단의 신축성은 매우 우수하지만 스판덱스 사용에 의해 가격 상승 요인이 크고, 염가공이 어려우며, 최종 원단의 수축율이나 견뢰도 등이 나쁠 수 있다.
둘째는 가연사를 제조할 때 특수한 조건으로 원사에 꼬임(Crimp)를 많이 형성시키는 방법이 있는데 이 원사를 사용시에는 원단에 축이 많이 가면서 신축성이 발현되게 되는데 이 원사의 경우 연사를 하게 되면 신축성이 현저하게 떨어지며 강연에 서는 신축성이 전혀 없게 된다. 따라서, 폴리에스테르 원단의 특성인 강연의 요철감과 드레이프성 있는 제품 제조가 어렵다.
셋째는 잠재권축사라는 복합방사 원사를 이용하는 방법인데, 이 원사는 가공전은 편평사(Flat yarn) 상태이나 가공 후 스프링과 같은 구조를 형성하여 신축성과 반발감을 가지는 것이다.
이 경우 연사 후에도 신축성을 가질 수는 있으나 실이 미끄럽고 축이 과다하게 들어감으로써 설계 및 염가공이 매우 어려우며 원가가 높아지는 단점을 가진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서, 강연시에도 우수한 신축성을 가지면서 제직 및 염가공이 용이하고 제조원가를 절감할 수 있는 폴리에스테르 고가연사를 제공하고자 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폴리에스테르 고가연사를 일부에 사용함으로써 제조원가가 대폭 절감되고 신축성 및 신축회복성, 저수축성, 강력이 우수한 작업복용 원단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폴리에스테르 고가연사는 2이상의 폴리머에 의한 복합방사에 의해 제조된 폴리에스테르 필라멘트사를 가연기에서 가연온도를 150 내지 240℃, 권취속도 500 내지 700 m/min, 연신비 1.1 내지 1.8, V.R. 1.1 내지 2.0, 및 접촉각 95 내지 120 도로 하여 가연가공한 것임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폴리에스테르 고가연사를 이용한 작업복용 원단은 폴리에스테르와 레이 온의 혼방 직물에 있어서 위사에 일정 간격으로 본 발명의 폴리에스테르 고가연사를 피킹한 것이 특징이다.
본 발명의 원단에 있어서, 상기 위사에 투입되는 폴리에스테르 고가연사는 상기 혼방사와 1:1로 피킹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이하에서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할 것이다.
본 발명의 폴리에스테르 고가연사는 2이상의 폴리머에 의한 복합방사에 의해 제조된 폴리에스테르 필라멘트사를 가연기에서 가연온도를 150 내지 240℃, 권취속도 500 내지 700 m/min, 연신비 1.1 내지 1.8, V.R. 1.1 내지 2.0, 및 접촉각 95 내지 120 도로 하여 가연가공한 것임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2이상의 폴리머에 의한 복합방사 원사는 열적 수축에 있어서 차이가 있는 2이상의 폴리에스테르 폴리머를 병렬형(side by side)으로 복합방사하여 제조되게 되는데 이와 같이 제조된 원사는 염가공시 고열을 받게 되면 폴리머간 수축차로 인해 스프링구조로 강력한 크림프가 형성되어 크림프 수축력이 강화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V.R.은 당해 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용어로서 가연기의 사속에 대한 벨트속도의 비율(벨트 속도/사속)을 나타내는 것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가연가공조건은 바람직한 조건범위로서 상기 범위를 벗어나면 신축성이 미흡해지거나 공정성이 매우 안좋아지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본 발명의 고가연사는 가연가공에 있어서 고온으로 열처리함으로써 크림프를 열고착시켜 크림프 발현특성을 향상시킨 것이다. 따라서, 염색가공시 권축이 증강 발현되어 원단에서 역학적 신축성이 한층 더 발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폴리에스테르 고가연사를 이용한 작업복 원단은 폴리에스테르와 레이온의 혼방 직물에 있어서 위사에 일정 간격으로 본 발명의 폴리에스테르 고가연사를 피킹한 것이 특징이다.
본 발명의 원단에 있어서, 상기 위사에 투입되는 폴리에스테르 고가연사는 상기 혼방사와 1:1로 피킹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드레이프성과 반발성을 겸비하고 있는 폴리에스테르 역학 가연사(Mechanical stretch yarn)를 작업복용 스트레치 직물에 사용하여 제품을 개발한 것이다.
본 발명은 가격이 비싼 스판덱스 원사를 쓰지 않고도 저가의 원사를 이용해 작업복 용도의 연염제품을 제조함으로써 후지 및 박지물에도 적용이 가능하고 염색을 제외한 공정은 고온의 온도가 필요없으며, 위사 방향으로 폴리에스테르 고가연사가 피킹되어 있어 저수축율, 강도, 신축성, 신축회복성 및 내필링성에서 안정적이고 우수하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가 기술되어질 것이다. 이하의 실시예는 어디까지나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범위를 국한시키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될 것이다.
(실시예1)
폴리에스테르 150d/48f 병렬형 복합방사사를 무라다가연기(Murata 33H)에서 가연온도를 200℃, 권취속도 650 m/min, 연신비 1.6, V.R. 1.6, 및 접촉각 104 도로 하여 가연가공함으로서 본 발명의 폴리에스테르 고가연사를 얻고 그 가연사 물성을 측정 하여 아래 표 1의 결과를 얻었다.
섬도 (D) 강도 (g/d) 신도 (%) CC (%) CD (%) 토오크 I/L (ea/m)
실 시 예1 170 4.67 25.18 58.87 39.58 128.50 72.90
- CC[%] : 크림프수축율(Crimp contraction), (L1-L2)/L1 *100%
(L1은 초기 1.5g 하중을 주었을때 길이(cm), L2는 L1을 82℃의 중탕에 10분 수축후에 꺼내어서 1시간 상온에서 건조한 후 측정한 길이(cm))
- CD[%] : 크림프 내구성(Crimp durability), 측정 방법은 CC 측정 방법에서 초기 하중을 20.5g으로 함.
- 토오크(Torque): 필라멘트가 S연, 혹은 Z연 방향으로 회전하려는 1M당의 꼬임수. - I/L[ea/m] : 원사에 일정하게 공기 교락을 시켜 주는데, 이 교락이 M당 몇개가 있는지를 나타냄.
(실시예2)
폴리에스테르와 레이온의 혼방직물(TR 직물)을 제직함에 있어서, 경사에 폴리에스테르와 레이온이 중량비로 65:35로 혼합된 혼방사를 사용하고 위사에 상기 혼방사와 상기 실시예1에서 제조된 본 발명의 폴리에스테르 고가연사를 1:1로 피킹하여 본 발명의 작업복용 원단을 제조하고, OM 모소기를 거쳐 전처리기에서 103℃ × 25m/min로 전처리를 수행하고 불순물을 제거한 후 180℃ × 35m/min로 열처리를 하였다. 다음에 염색 공정의 서모픽스에서 통상의 조건으로 염색한 후 수지처방과 최종 열고정처리를 수행하여 본 발명에 따른 최종 작업복 원단을 완성하였다.
그 물성을 측정하여 아래 표 2에 나타내었다.
(비교예)
폴리에스테르와 레이온의 혼방직물(TR 직물)을 제직함에 있어서, 경사 및 위사에 폴리에스테르와 레이온이 중량비로 65:35로 혼합된 혼방사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2와 동일한 조건으로 제직 및 가공하여 작업복 원단을 완성하였다.
그 물성을 측정하여 아래 표 2에 나타내었다.
인장강력 (kg중/㎠) (경사/위사) 세탁수축율(%) (경사/위사) 중량 (g/㎡) 필링 신축성(%) (위사방향) 신축회복성(%) (위사방향) 발수 발유도 세탁 견뢰도
실시예2 55.9/58.1 0 / -0.4 182 4 20.9 95.2 5급 4급
비교예 55.1/41.1 -1.2/-0.8 186.6 4 25 86 5급 4급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작업복용 원단은 스판덱스를 사용한 직물과 거의 흡사한 효과를 낼수 있었고 수축율 면에서는 거의 1% 미만대 수준이고, 신축성은 16∼25%, 신축성 회복율은 88∼99%수준으로 작업 용도로는 매우 양호한 물성을 나타내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강연시에도 우수한 신축성을 가지면서 제직 및 염가공이 용이하고 제조원가를 절감할 수 있는 폴리에스테르 고가연사가 제공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본 발명의 폴리에스테르 고가연사를 사용함으로써 제조원가가 대폭 절감되고 신축성 및 신축회복성, 저수축성, 강력이 우수한 작업복용 직물이 제공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폴리에스테르 고가연사를 사용하면 우수한 신축성과 함께 강연시 아세테이트 터치, 중연시 울 터치를 발현할 수 있으며, 드레이프성과 반발탄성도 겸비하고 있어 작업복뿐만이 아니라 다양한 직물 원단에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고가의 스판덱스 원사를 사용하지 않고서도 스트레치 제품의 원단을 전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기재된 구체예에 대해서만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기술사상 범위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있을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하다.

Claims (3)

  1. 2이상의 폴리머에 의한 복합방사에 의해 제조된 폴리에스테르 필라멘트사를 가연기에서 가연온도를 150 내지 240℃, 권취속도 500 내지 700 m/min, 연신비 1.1 내지 1.8, V.R. 1.1 내지 2.0, 및 접촉각 95 내지 120 도로 하여 가연가공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에스테르 고가연사.
  2. 폴리에스테르와 레이온의 혼방 직물에 있어서 위사에 일정 간격으로 제1항의 폴리에스테르 고가연사를 피킹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에스테르 고가연사를 이용한 작업복용 원단.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위사에 투입되는 폴리에스테르 고가연사는 상기 위사와 1:1로 피킹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폴리에스테르 고가연사를 이용한 작업복용 원단.
KR1020050105802A 2005-11-07 2005-11-07 폴리에스테르 고가연사 및 그를 이용한 작업복용 원단 Expired - Fee Related KR10067564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05802A KR100675647B1 (ko) 2005-11-07 2005-11-07 폴리에스테르 고가연사 및 그를 이용한 작업복용 원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05802A KR100675647B1 (ko) 2005-11-07 2005-11-07 폴리에스테르 고가연사 및 그를 이용한 작업복용 원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75647B1 true KR100675647B1 (ko) 2007-01-30

Family

ID=380151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05802A Expired - Fee Related KR100675647B1 (ko) 2005-11-07 2005-11-07 폴리에스테르 고가연사 및 그를 이용한 작업복용 원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75647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36678A (ko) * 2018-03-30 2018-04-09 도레이첨단소재 주식회사 벨벳 직물용 가연사의 제조방법
KR101979656B1 (ko) * 2018-01-26 2019-05-17 주식회사 대영합섬 복합가연사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979655B1 (ko) * 2017-12-27 2019-08-28 주식회사 대영합섬 폴리에스테르계 잠재권축사를 이용한 복합가연사 제조방법 및 이를 통해 제조된 폴리에스테르계 잠재권축사를 이용한 복합가연사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73727A (ja) 1999-03-23 2000-10-03 Toray Ind Inc ポリエステルブレンド仮撚加工糸および製造方法
JP2001020136A (ja) 1999-07-12 2001-01-23 Asahi Chem Ind Co Ltd 仮撚加工に適したポリエステル繊維及び製造方法
KR20010056827A (ko) * 1999-12-17 2001-07-04 조민호 폴리에스테르 복합 가연사의 제조방법 및 폴리에스테르복합 가연사
KR20050034264A (ko) * 2003-10-09 2005-04-14 주식회사 효성 폴리에스테르계 신축성 복합 가연사 및 이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73727A (ja) 1999-03-23 2000-10-03 Toray Ind Inc ポリエステルブレンド仮撚加工糸および製造方法
JP2001020136A (ja) 1999-07-12 2001-01-23 Asahi Chem Ind Co Ltd 仮撚加工に適したポリエステル繊維及び製造方法
KR20010056827A (ko) * 1999-12-17 2001-07-04 조민호 폴리에스테르 복합 가연사의 제조방법 및 폴리에스테르복합 가연사
KR20050034264A (ko) * 2003-10-09 2005-04-14 주식회사 효성 폴리에스테르계 신축성 복합 가연사 및 이의 제조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79655B1 (ko) * 2017-12-27 2019-08-28 주식회사 대영합섬 폴리에스테르계 잠재권축사를 이용한 복합가연사 제조방법 및 이를 통해 제조된 폴리에스테르계 잠재권축사를 이용한 복합가연사
KR101979656B1 (ko) * 2018-01-26 2019-05-17 주식회사 대영합섬 복합가연사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80036678A (ko) * 2018-03-30 2018-04-09 도레이첨단소재 주식회사 벨벳 직물용 가연사의 제조방법
KR101940473B1 (ko) 2018-03-30 2019-01-21 도레이첨단소재 주식회사 벨벳 직물용 가연사의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67624B1 (ko) 고신축성 사이드 바이 사이드형 복합 필라멘트 및 그의제조방법
JP3915398B2 (ja) 織物
KR100675647B1 (ko) 폴리에스테르 고가연사 및 그를 이용한 작업복용 원단
KR100488623B1 (ko) 폴리에스테르계 신축성 복합 가연사 및 이의 제조방법
KR100616223B1 (ko) 신축성 복합가연사 및 그 제조방법
JP3692001B2 (ja) 伸縮性織物
JP4284758B2 (ja) ポリエステル系複合加工糸の製造方法
KR101220617B1 (ko) 세섬도 나일론 고신축 가연사의 제조방법
JP2020147865A (ja) 混繊追撚糸及び織編物
JP2016089282A (ja) アセテート複合糸及び織編物
KR101989743B1 (ko) 대나무사를 포함하는 이색성이 우수한 기능성 원단 및 대나무-폴리에스테르 이색조 복합사의 제조방법
KR100952467B1 (ko) 편평단면 폴리에스테르 복합가연사 및 이의 제조방법
KR100829480B1 (ko) 잠재권축형 폴리에스테르 2성분 복합사 및 그의 제조방법
KR20050033910A (ko) 신장성 공기교락사
KR101216299B1 (ko) 수축안정성이 우수한 레이온가연사의 제조방법
KR100519128B1 (ko) 양방향 신축성이 우수한 스웨드조 직물의 제조방법
JP6884019B2 (ja) 高収縮性常圧カチオン可染性ポリエステル繊維およびそれを用いた混繊糸並びにそれらを用いた布帛
JP3484516B2 (ja) ストレッチ織物
KR100476469B1 (ko) 폴리에스테르 이수축 혼섬사의 제조 방법
KR20080104698A (ko) 가공사
JP6858686B2 (ja) 高収縮性常圧カチオン可染性ポリエステル繊維及びそれを用いた混繊糸並びにそれらを用いた布帛
JP2001003239A (ja) 高伸縮性織物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0489555B1 (ko) 방적사와 방사 필라멘트사의 특징을 동시에 갖는 제직용실 및 그 제조방법
JP4100486B2 (ja) ストレッチシャツ地
CN112410977A (zh) 一种防割耐磨面料及其制备方法和应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51107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6101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7011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70123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70124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0122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0124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0119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22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0122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06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0106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21

Year of fee payment: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0121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25

Year of fee payment: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125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23

Year of fee payment: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123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9

Year of fee payment: 12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109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22

Year of fee payment: 13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122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22

Year of fee payment: 1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122

Start annual number: 14

End annual number: 1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1228

Start annual number: 15

End annual number: 15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211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