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979655B1 - 폴리에스테르계 잠재권축사를 이용한 복합가연사 제조방법 및 이를 통해 제조된 폴리에스테르계 잠재권축사를 이용한 복합가연사 - Google Patents

폴리에스테르계 잠재권축사를 이용한 복합가연사 제조방법 및 이를 통해 제조된 폴리에스테르계 잠재권축사를 이용한 복합가연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79655B1
KR101979655B1 KR1020170181609A KR20170181609A KR101979655B1 KR 101979655 B1 KR101979655 B1 KR 101979655B1 KR 1020170181609 A KR1020170181609 A KR 1020170181609A KR 20170181609 A KR20170181609 A KR 20170181609A KR 101979655 B1 KR101979655 B1 KR 10197965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yarn
polyester
based latent
twisted yarn
feed rolle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816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민수
최진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대영합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대영합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대영합섬
Priority to KR10201701816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7965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796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79655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2YARNS; MECHANICAL FINISHING OF YARNS OR ROPES; WARPING OR BEAMING
    • D02GCRIMPING OR CURLING FIBRES, FILAMENTS, THREADS, OR YARNS; YARNS OR THREADS
    • D02G1/00Producing crimped or curled fibres, filaments, yarns, or threads, giving them latent characteristics
    • D02G1/02Producing crimped or curled fibres, filaments, yarns, or threads, giving them latent characteristics by twisting, fixing the twist and backtwisting, i.e. by imparting false twist
    • D02G1/0206Producing crimped or curled fibres, filaments, yarns, or threads, giving them latent characteristics by twisting, fixing the twist and backtwisting, i.e. by imparting false twist by false-twisting
    • D02G1/022Producing crimped or curled fibres, filaments, yarns, or threads, giving them latent characteristics by twisting, fixing the twist and backtwisting, i.e. by imparting false twist by false-twisting while simultaneously drawing the yarn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FCHEMICAL FEATURES IN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THREADS, FIBRES, BRISTLES OR RIBBON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F CARBON FILAMENTS
    • D01F8/00Conjugated, i.e. bi- or multi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Manufacture thereof
    • D01F8/04Conjugated, i.e. bi- or multi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Manufacture thereof from synthetic polymers
    • D01F8/14Conjugated, i.e. bi- or multi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Manufacture thereof from synthetic polymers with at least one polyester as constitu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Yarns And Mechanical Finishing Of Yarns Or Rop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폴리에스테르계 잠재권축사를 이용한 복합가연사 제조방법 및 이를 통해 제조된 폴리에스테르계 잠재권축사를 이용한 복합가연사는 직물 및 편물에서 기존의 잠재권축 발현형 섬유보다 균일하고 우수한 신축특성을 가짐과 동시에 우수한 촉감, 소프트성, 바디감 및 드레이프성을 가진다.

Description

폴리에스테르계 잠재권축사를 이용한 복합가연사 제조방법 및 이를 통해 제조된 폴리에스테르계 잠재권축사를 이용한 복합가연사{The method for preparation of false-twisted yarn using polyester latent crimp yarn and false-twisted yarn therefrom}
본 발명은 폴리에스테르계 잠재권축사를 이용한 복합가연사 제조방법 및 이를 통해 제조된 폴리에스테르계 잠재권축사를 이용한 복합가연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직물 및 편물에서 고신축성을 발현함과 동시에 우수한 촉감 및 드레이프성을 가지는 폴리에스테르계 잠재권축사를 이용한 복합가연사 제조방법 및 이를 통해 제조된 폴리에스테르계 잠재권축사를 이용한 복합가연사에 관한 것이다.
합성섬유는 천연섬유에 비해 짧은 역사를 가지고 있지만 거듭되는 기술개발로 일부 특성에 있어서는 천연섬유에 못지 않은 수준에 도달하였다. 최근 의류 분야에서는 신축성을 요구하는 원단 및 기존의 촉감과 다른 차별화된 직물을 위한 소재의 수요가 커지면서 신축성에 특징이 있는 스판덱스 시장이 꾸준히 성장해 왔다. 그렇지만 스판덱스의 경우 내알카리성에 문제가 있으며, 형태안정성 등에 있어서 문제가 있어 스판덱스 원사 단독으로는 사용할 수 없고 별도의 커버링 공정이 필요한 단점이 있다. 따라서 상대적으로 두꺼운 원단을 얻을 수밖에 없어서 점점 얇은 원단을 원하는 시장의 요구에 한계가 있었다.
이러한 스판덱스의 단점을 극복하기 위해서 열수축특성이 다른 폴리머를 사이드-바이-사이드 방식으로 복합 방사하여 원단 제조 시 부여되는 열 수축차에 의한 크림프를 발현시키는 방법으로 제조된 신축성 있는 잠재권축섬유가 제안되었다.
잠재권축섬유란, 열수축특성이 다른 2종의 폴리머를 사이드-바이-사이드형(Side By Side) 또는 심초형(Sheath-Core)으로 복합방사한 후, 방사공정이나 연신공정에서 열을 가함으로써 열수축성 차이에 의해 물리적으로 코일 모양을 띄게 하여, 스프링과 유사한 원리로 고도의 신축성을 부여한 섬유이다. 신축성에 있어서는 기존의 스판덱스 섬유에 미치지 못하지만, 상기에 언급한 스판덱스의 단점으로 내알칼리성 및 형태안정성 등이 우수하고 염색 및 후가공 공정이 용이한 잠재권축섬유를 많이 사용하고 있다.
이러한 잠재권축섬유의 제조방법에 대해 종래 일본특허공개 제1997-209217호, 일본특허공개 제1991-161519호에서는 극한 점도차를 갖는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 2종을 사용하는 방법과 고수축성의 공중합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를 사용하여 폴리에스테르계 잠재권축 발현성 섬유의 제조방법 등이 공지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의 방법으로는 신축성이 있으면서 동시에 촉감 및 드레이프성이 있는 제품을 만들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직물 및 편물에서 고신축성을 발현함과 동시에 우수한 촉감, 소프트성, 바디감 및 드레이프성을 가지는 폴리에스테르계 잠재권축사를 이용한 복합가연사 제조방법 및 이를 통해 제조된 폴리에스테르계 잠재권축사를 이용한 복합가연사를 제공하려는 목적이 있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폴리에스테르계 잠재권축사를 이용한 복합가연사 제조방법에 있어서,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 성분 및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PBT) 성분을 포함하는 폴리에스테르계 잠재권축사인 원사를 제1 피드롤러로 공급한 후, 제1 히터를 통과시켜 디스크타입 가연기로 사속비 1.5~2.5로 가연하고 연신비 1.5~2.0으로 제2 피드롤러를 통과시켜 연신과 가연을 동시에 수행하며, 이후 제3 피드롤러를 통과시켜 복합가연사가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에스테르계 잠재권축사를 이용한 복합가연사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2 피드롤러와 제3 피드롤러 간의 제2 오버피드율은 0.30~0.48%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 히터는 제1 히터존(Zone)과 제2 히터존(Zone)을 포함하며, 상기 제1 히터존의 길이가 제2 히터존의 길이보다 짧고, 상기 제1 히터존은 온도가 300~500℃이며, 제2 히터존의 온도는 200~350℃이고, 상기 제1 히터존의 온도가 제2 히터존의 온도보다 높을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디스크타입 가연기 통과 전의 장력(T1)과 상기 디스크타입 가연기 통과 후의 장력(T2)의 비는 하기의 식 1을 만족할 수 있다.
[식 1]
0.4 ≤ T2/T1 ≤ 0.8
본 발명의 바람직한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폴리에스테르계 잠재권축사의 단사섬도는 0.05~30de'이며, 상기 복합가연사의 단사섬도는 10~300de'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폴리에스테르계 잠재권축사는 하기의 조건 a) ~ c)를 모두 만족할 수 있다.
a) 권축률 : 5~25%
b) 신도 : 10~50%
c) 강도 : 1.5~6.0g/de'
본 발명의 바람직한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폴리에스테르계 잠재권축사가 사이드-바이-사이드형, 원형 또는 중공형 단면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 성분 및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PBT) 성분은 6:4~8:2의 비율로 상기 폴리에스테르계 잠재권축사에 포함될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은 상기의 어느 하나의 방법에 의해 제조되며, 하기의 조건 a) ~ d)를 모두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에스테르계 잠재권축사를 이용한 복합가연사를 제공한다.
a) 강도 : 2.0~5.0g/de'
b) 신도 : 15~30%
c) 비수수축률: 3.0~10.01%
본 발명의 폴리에스테르계 잠재권축사를 이용한 복합가연사 제조방법 및 이를 통해 제조된 폴리에스테르계 잠재권축사를 이용한 복합가연사는 직물 및 편물에서 기존의 잠재권축 발현형 섬유보다 균일하고 우수한 신축특성을 가짐과 동시에 우수한 촉감, 소프트성, 바디감 및 드레이프성을 가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폴리에스테르계 잠재권축사를 이용한 복합가연사 가공 공정의 개략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종래의 폴리에스테르계 잠재권축사를 이용한 복합가연사는 직물 및 편물에서 고신축성을 가짐과 동시에 촉감 및 드레이프성을 만족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었다. 또한, 종래의 폴리에스테르계 잠재권축사를 이용한 복합가연사의 제조공정은 고유점도가 상이한 PET 성분을 포함하는 잠재권축사 또는 PET와 PTT를 이종성분으로 포함하는 잠재권축사에 적합하도록 설계된 것이어서 PET와 PBT를 이종성분으로 포함하는 잠재권축사에 대한 가연공정으로는 적합하지 않은 문제가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폴리에스테르계 잠재권축사를 이용한 복합가연사 제조방법에 있어서,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 성분 및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PBT) 성분을 포함하는 폴리에스테르계 잠재권축사인 원사를 이용하여, 제1 피드롤러로 공급한 후, 제1 히터를 통과시켜 디스크타입 가연기로 사속비 1.5~2.5로 가연한 후, 연신비 1.5~2.0으로 제2 피드롤러를 통과시켜 연신과 가연을 동시에 수행하며, 이후 제3 피드롤러를 통과시켜 복합가연사가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에스테르계 잠재권축사를 이용한 복합가연사 제조방법을 제공하여 상술한 문제의 해결을 모색하였다. 이를 통해 본 발명의 폴리에스테르계 잠재권축사를 이용한 복합가연사는 직물 및 편물에서 균일하고 우수한 신축특성을 가짐과 동시에 촉감, 소프트성, 바디감 및 드레이프성이 모두 우수하다.
먼저, 본 발명의 원사로 사용되는 폴리에스테르계 잠재권축사는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 성분 및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PBT) 성분을 포함한다. 이 경우 바람직하게는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 성분 이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PBT) 성분보다 더 많이 포함될 수 있으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 성분 및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PBT) 성분이 60:40~80:20의 중량%로 포함될 수 있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65:35~75:25의 중량%로 포함될 수 있으며, 가장 바람직하게는 70:30의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폴리에스테르계 잠재권축사에 포함되는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 성분 및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PBT) 성분이 상기 중량비 범위로 포함되는 경우에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각 폴리머의 열수축특성 차이에 의해 물리적으로 코일모양의 크림프(Crimp)를 발현시켜 스프링과 유사한 원리로 목적하는 고신축성을 달성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연신 및 가연 공정이 보다 원활하게 수행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만일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 성분이 상기 범위를 초과하여 포함되는 경우에는 탄성회복성 및 염색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으며,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PBT) 성분이 상기 범위를 초과하여 포함되는 경우에는 유연성 및 촉감이 저하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폴리에스테르계 잠재권축사는 사이드-바이-사이드형, 원형 또는 중공형 단면을 가질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폴리에스테르계 잠재권축사는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 성분을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PBT) 성분보다 더 많이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폴리에스테르계 잠재권축사의 사이드-바이-사이드형, 원형 또는 중공형 단면은 비균등하게 나타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폴리에스테르계 잠재권축사는 복합방사각도 45~90°, 토출압력 150~200kg/cm2의 조건으로 방사될 수 있다. 또한, 방사속도는 3,000~6,000mpm(m/min)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조건으로 방사됨으로써 직물 및 편물에서 촉감, 소프트성, 바디감, 드레이프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폴리에스테르계 잠재권축사는 하기의 조건 a) ~ c)를 모두 만족할 수 있다.
a) 권축률 : 5~25%
b) 신도 : 10~50%
c) 강도 : 1.5~6.0g/de'
이를 통해 이수축 특성을 활용하여 적절한 크림프 발현을 통해 고신축성 및 소프트감을 발현할 수 있고, 적절한 강도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이러한 폴리에스테르계 잠재권축사를 이용하여 고신축특성 및 촉감, 소프트성, 바디감이 우수한 폴리에스테르계 잠재권축사를 얻을 수 있다.
다음으로, 상술한 폴리에스테르계 잠재권축사를 이용한 복합가연사 제조방법을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폴리에스테르계 잠재권축사를 이용한 복합가연사 가공 공정의 개략도이다. 상기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크릴(10)에 로딩(LOADING)된 원사가 제1 피드롤러(20)로 공급되어 통과한다.
제1 피드롤러(20)를 통과한 원사는 제1 히터(30)를 통과한 후 냉각기(40)를 통과한 후 디스크타입 가연기(50)로 연신과 동시에 가연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 히터(30)는 제1 히터존(Zone)과 제2 히터존(Zone)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히터존의 길이가 제2 히터존의 길이보다 짧을 수 있다. 이 경우 열처리가 균일하게 수행될 수 있고, 수축특성 및 염색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때, 보다 바람직하게는 제1 히터존과 제2 히터존의 길이의 비는 1 : 1.2~10일 수 있고, 이 경우 고신축특성 및 촉감, 소프트성, 바디감이 우수한 폴리에스테르계 잠재권축사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히터존은 온도가 300~500℃일 수 있고, 제2 히터존의 온도는 200~350℃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히터존의 온도가 제2 히터존의 온도보다 높을 수 있다. 만일 제1 히터존의 온도가 300℃ 미만이거나 제2 히터존의 온도가 200℃ 미만인 경우에는 균일한 열처리에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제1 히터존의 온도가 500℃를 초과하고, 제2 히터존의 온도가 350℃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모우가 발생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또한, 만일 상기 제1 히터존의 온도가 제2 히터존의 온도와 같거나 낮은 경우에는, 수축특성 및 염색성을 저하시키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상기 제1 히터(30)를 통과한 원사는 냉각판(40)을 통과하는데, 이 경우 섬유의 온도가 70~90℃ 정도로 떨어지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원사는 냉각판(40)을 통과하며 온도가 저하되고, 그 뒤 디스크타입 가연기(50)를 통과하면서 그 전후로 꼬임과 해연이 진행되어 원사에 권축성이 부여된다. 이 때 사속비 1.5~2.5로 가연하며, 바람직하게는 사속비 1.7~2.3으로 가연할 수 있으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사속비 1.9~2.1로 가연할 수 있다. 만일 사속비가 상기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에는 고신축특성 및 촉감, 소프트성, 바디감 등을 동시에 만족하기 어려운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한편, 사속비는 가연기 통과 후의 장력(T2)을 직접적으로 제어하여 염색성에 직접적인 영향을 준다. 또한, 간접적으로는 가연기 통과 전의 장력(T1)에도 영향을 준다. 이 때 상기 디스크타입 가연기 통과 전의 장력(T1)과 상기 디스크타입 가연기 통과 후의 장력(T2)의 비는 하기의 식 1을 만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식 1]
0.4 ≤ T2/T1 ≤ 0.8
보다 바람직하게는, T2/T1는 0.5 ≤ T2/T1 ≤ 0.7를 만족할 수 있다. 만일 디스크타입 가연기 통과 전의 장력(T1)과 상기 디스크타입 가연기 통과 후의 장력(T2)의 비가 상기 범위를 만족하지 못하는 경우에는 염색성이 저하되거나 모우가 발생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상기 디스크타입 가연기(50)를 통과한 원사는 제2 피드롤러(60)를 통과한다. 제1 피드롤러(20)와 제2 피드롤러(60)의 선속도 차이에 의하여 연신이 발생하게 되며, 원사는 제1 피드롤러(20)와 제2 피드롤러(60) 사이에 설치된 제1 히터(30)를 통과하므로 연신 및 가연이 동시에 가능한 것이다.
또한, 연신비는 제2 피드롤러의 속도/제1 피드롤러의 속도로 정의되는데 본 발명에서 연신비는 1.5 ~ 2.0이어야 한다. 바람직하게는 1.6~1.9일 수 있다. 만일 연신비가 1.5미만이면 장력이 낮아지게 되어 불균일하게 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고, 2.0 초과이면 과도한 장력으로 실이 끊어지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상기 원사는 제2 피드롤러(60)를 통과한 후 제3 피드롤러(80)를 통과하며, 그 사이에 제2 히터(70)가 설치될 수도 있고 설치되지 않을 수도 있다. 만일 상기 원사가 제2 피드롤러(60)를 통과한 후 제2 히터(70)를 통과하는 경우에는, 상기 제2 히터(70)의 온도는 부여하지 않고 보통 40~70℃를 유지함이 바람직하다. 만일 제2 히터의 온도가 180℃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수축특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제3 피드롤러(80)를 통과한 원사는 오일링 롤러(90)를 통과하면서 오일이 부여될 수 있고, 이후 권취롤러(100)에 권취된다.
한편, 제1 오버피드율(OF 1)은 (제1 피드롤러의 속도-제2 피드롤러의 속도)/제1 피드롤러의 속도를 의미하고, 제2 오버피드율(OF 2)은 (제3 피드롤러의 속도-제2 피드롤러의 속도)/제2 피드롤러의 속도를 의미하며, 제3 오버피드율(OF 3)은 (권취롤러의 속도-제3피드롤러의 속도)/권취롤러의 속도를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 제1 오버피드율(OF 1)은1~6%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1.5~5.5%일 수 있다. 만일 제1 오버피드율이 1% 미만이면 인터레이스가 적어지게 되어 불균일해질 수 있고, 6%를 초과하면 장력이 저하되어 실의 사절이 증가하게 되는 등 발생할 수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2 피드롤러와 제3 피드롤러 간의 제2 오버피드율(OF2)은 0.30~0.48%일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0.35~0.43%일 수 있다. 제2 오버피드율이 상기 범위를 만족하는 경우에는, 사도(yarn path)를 안정화시킬 수 있으며, 권취 장력 및 강도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제2 히터(70)가 설치되어 있는 경우에는 제2 히터 내의 고정 장력을 결정하여 고정 장력에 따라 수축률을 조절할 수도 있다. 만일 제2 오버피드율이 상기 범위를 만족하지 못하는 경우에는, 사도를 안정화시킬 수 없어서 가연 가공성이 현저히 저하되며, 모우루프 등의 사결함(yarn defect)을 유발하는 등 본 발명이 목적하는 효과를 발현하지 못할 수 있는 문제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3 오버피드율(OF 3)은 0.1~0.35%인 것이 바람직하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0.15~0.30%일 수 있다. 만일 제3 오버피드율이 0.35%를 초과하면 장력이 저하되는 등 본 발명이 목적하는 효과를 발현하지 못할 수 있는 문제가 있다.
한편, 각 피드롤러의 속도는 오버피드율의 범위를 만족하는 범위에서 적절하게 변화되어 사용될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은 상술한 어느 하나의 방법에 의해 제조되며, 하기의 조건 a) ~ d)를 모두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에스테르계 잠재권축사를 이용한 복합가연사를 제공한다. 이를 통해 본 발명의 폴리에스테르계 잠재권축사를 이용한 복합가연사는 직물 및 편물에서 균일하고 우수한 신축특성을 가짐과 동시에 촉감, 소프트성, 바디감 및 드레이프성이 모두 우수하다.
a) 강도 : 2.0~5.0g/de'
b) 신도 : 15~30%
c) 비수수축률 : 3.0~10.01%
한편, 본 발명의 폴리에스테르계 잠재권축사의 단사섬도는 0.05~30de'일 수 있고, 본 발명의 폴리에스테르계 잠재권축사를 이용한 복합가연사의 단사섬도는 10~300de'일 수 있다. 만일 상기 복합가연사의 단사섬도가 10de' 미만이면 모우 및 루프가 증가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고, 300 de'를 초과하면 직물 및 환편의 촉감이 거치거칠(harsh)해지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 및 실험예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 실시예 및 실험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 실시예 및 실험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 실시예 1>
도 1과 같은 가연장치를 이용하여 폴리에스테르계 잠재권축사를 이용하여 복합가연사를 제조하였다. 이 때 이용한 폴리에스테르계 잠재권축사는 PET성분과 PBT 성분을 각각 7:3의 중량비로 포함하며, 단사 단면이 사이드 바이 사이드형이고, 단사섬도가 2de'(데니어)이며, 36개의 필라멘트수이고, 강도가 2.5g/de'이고, 신도가 42%이며, 권축률이 20%인 멀티필라멘트사를 이용했다. 이후 하기 표 1과 같은 조건으로 연신 및 가연하여 폴리에스테르계 잠재권축사를 이용한 복합가연사를 제조하였다. 제조된 복합가연사는 강도가 3.2g/de'이고, 신도가 26%이며, 비수수축률이 8%이고, int가 88개/m이었다. 이후 제조된 복합가연사를 100%로 하여 환편으로 제편한 후 통상의 가공 조건에 따라 염가공을 진행하여 편물을 제조하였다.
< 실시예 2~5>
하기 표 1과 같은 조건으로 제조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였다.
< 비교예 1>
PBT 성분 대신 PTT 성분을 이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였다.
< 비교예 2~5>
하기 표 1과 같은 조건으로 제조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였다.
< 실험예 >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제조된 편물에 대하여 하기와 같은 물성을 평가하여 그 결과를 표 1에 나타내었다.
1. 촉감(소프트성)
10명의 전문가에 의한 관능검사 결과 8명 이상이 소프트하다고 판단할 경우를 우수, 5 ~ 7명이 소프트 하다고 판단할 경우를 보통, 5명 이하가 소프트 하다고 판단할 경우를 불량으로 구분하였다.
2. 드레이프성
10명의 전문가에 의한 관능검사 결과 8명 이상이 드레이프성이 있다고 판단할 경우를 우수, 5 ~ 7명이 드레이프성이 있다고 판단할 경우를 보통, 5명 이하가 드레이프성이 있다고 판단할 경우를 불량으로 구분하였다.
3. 가연가공성 평가
가연가공성은 크릴를 통해 원사가 공급된 후 실끊김 수를 카운트하여 실 끊김이 5회 미만인 경우 우수, 5회 이상 15회 미만인 경우 보통, 15회 이상인 경우 불량으로 평가했다.
4. 제직성(회)
원단 가로 1.76m, 세로 91.44m를 제직하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절사에 의한 제직기의 정지 횟수로 평가하였고, 정지횟수가 1회 이하인 경우 우수, 1회 초과 ~ 5회인 경우 보통, 5회를 초과하는 경우 불량으로 평가했다.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실시예 4 실시예 5 비교예 1 비교예 2 비교예 3 비교예 4 비교예 5
T1(g) 48.3 48.3 48.3 48.3 48.3 48.3 48.3 48.3 48.3 48.3
T2(g) 29.1 29.1 29.1 29.1 29.1 29.1 29.1 29.1 29.1 29.1
OF1(%) 3.35 3.35 3.35 3.35 3.35 3.35 3.35 3.35 3.35 3.35
OF2(%) 0.39 0.33 0.45 0.25 0.50 0.39 0.39 0.39 0.39 0.39
OF3(%) 0.23 0.23 0.23 0.23 0.23 0.23 0.23 0.23 0.23 0.23
사속비 1.98 1.8 2.2 1.6 2.4 1.98 1.3 2.8 1.98 1.98
연신비 1.747 1.55 1.95 1.747 1.747 1.747 1.747 1.3 1.3 2.2
제1 히터존 온도(℃) 400 400 400 400 400 400 400 400 400 400
제2 히터존 온도(℃) 275 275 275 275 275 275 275 275 275 275
제1히터존:제2히터존 길이비 1:2 1:2 1:2 1:2 1:2 1:2 1:2 1:2 1:2 1:2
촉감 우수 보통 보통 보통 보통 보통 불량 보통 보통 불량
드레이프성 우수 우수 우수 보통 보통 보통 보통 불량 보통 불량
가연가공성 우수 보통 우수 보통 보통 불량 불량 불량 불량 보통
제직성 우수 보통 보통 보통 보통 불량 불량 불량 불량 보통
표 1에서 알 수 있듯이, 실시예 1은 사속비가 1.5 미만(비교예2)이거나 2.5 초과(비교예 3)인 경우에 비하여 촉감, 신도 및 제직성이 동시에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실시예 1은 잠재권축사의 일성분인 PBT 대신 PPT를 사용한 비교예1에 비해서도 가연가공성 및 제직성이 우수하게 나타나므로 공정이 보다 용이하게 수행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나아가, OF2의 범위를 벗어난 실시예 4~5에 비하여 이를 만족하는 실시예 1은 모든 물성이 우수하게 나타날 뿐만 아니라, 공정도 원활하게 수행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10 : 크릴 20 : 제1 피드롤러
30 : 제1 히터 40 : 냉각판
50 : 디스크타입 가연기 60 : 제2 피드롤러
70 : 제2 히터 80 : 제3 피드롤러
90 : 오일링 롤러 100 : 권취롤러

Claims (6)

  1. 폴리에스테르계 잠재권축사를 이용한 복합가연사 제조방법에 있어서,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 성분 및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PBT) 성분을 6:4~8:2의 중량비로 포함하는 폴리에스테르계 잠재권축사인 원사를 제1 피드롤러로 공급한 후, 제1 히터존(Zone)과 제2 히터존(Zone)을 포함하는 제1 히터를 통과시켜 디스크타입 가연기로 사속비 1.5~2.5로 가연하고 연신비 1.5~2.0으로 제2 피드롤러를 통과시켜 연신과 가연을 동시에 수행하며, 이후 상기 원사를 제3 피드롤러를 통과시켜 복합가연사가 제조되고,
    상기 제2 피드롤러와 제3 피드롤러 간의 제2 오버피드율은 0.35~0.43%이고,
    상기 제1 히터존의 길이가 제2 히터존의 길이보다 짧고,
    상기 제1 히터존의 온도는 300~400℃, 제2 히터존의 온도는 200~27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에스테르계 잠재권축사를 이용한 복합가연사 제조방법.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크타입 가연기 통과 전의 장력(T1)과 상기 디스크타입 가연기 통과 후의 장력(T2)의 비는 하기의 식 1을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에스테르계 잠재권축사를 이용한 복합가연사 제조방법.
    [식 1]
    0.4 ≤ T2/T1 ≤ 0.8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에스테르계 잠재권축사의 단사섬도는 0.05~30de'이며, 상기 복합가연사의 단사섬도는 10~300de'이고,
    상기 폴리에스테르계 잠재권축사의 단사 단면은 사이드-바이-사이드형, 원형 또는 중공형 단면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에스테르계 잠재권축사를 이용한 복합가연사 제조방법.
  6. 제1항, 제4항, 제5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에 의해 제조되며, 하기의 조건 a) ~ c)를 모두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에스테르계 잠재권축사를 이용한 복합가연사.
    a) 강도 : 2.0~5.0g/de'
    b) 신도 : 15~30%
    c) 비수수축률 : 3.0~10.01%
KR1020170181609A 2017-12-27 2017-12-27 폴리에스테르계 잠재권축사를 이용한 복합가연사 제조방법 및 이를 통해 제조된 폴리에스테르계 잠재권축사를 이용한 복합가연사 Active KR10197965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81609A KR101979655B1 (ko) 2017-12-27 2017-12-27 폴리에스테르계 잠재권축사를 이용한 복합가연사 제조방법 및 이를 통해 제조된 폴리에스테르계 잠재권축사를 이용한 복합가연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81609A KR101979655B1 (ko) 2017-12-27 2017-12-27 폴리에스테르계 잠재권축사를 이용한 복합가연사 제조방법 및 이를 통해 제조된 폴리에스테르계 잠재권축사를 이용한 복합가연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79655B1 true KR101979655B1 (ko) 2019-08-28

Family

ID=677749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81609A Active KR101979655B1 (ko) 2017-12-27 2017-12-27 폴리에스테르계 잠재권축사를 이용한 복합가연사 제조방법 및 이를 통해 제조된 폴리에스테르계 잠재권축사를 이용한 복합가연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79655B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644074A (zh) * 2019-10-24 2020-01-03 张家港欣阳化纤有限公司 一种抗紫外高弹性阻燃长丝及其生产工艺
KR102303275B1 (ko) 2020-04-10 2021-09-16 (주)서원테크 멜란지 컬러 발현이 가능한 고신축성 pet/pbt 잠재권축 복합사의 제조방법
KR102380277B1 (ko) 2020-09-25 2022-03-29 (주)서원테크 심색성이 우수한 고신축성 리사이클 pet/ptt 잠재권축 복합사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직물
KR20220091936A (ko) 2020-12-24 2022-07-01 (주)서원테크 친환경 고신축성 리사이클 폴리에스테르계 잠재권축사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직물
KR20230046621A (ko) 2021-09-30 2023-04-06 (주)서원테크 친환경 리사이클 폴리에스테르 신축성 복합사의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되는 원사, 직물
KR20230046600A (ko) 2021-09-30 2023-04-06 (주)서원테크 친환경 애슬레저 의류용 리사이클 pet/ptt 잠재권축 복합사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직물
KR20240045445A (ko) 2022-09-29 2024-04-08 (주)서원테크 친환경 리사이클 폴리에스테르(fd) 신축성 복합사의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되는 원사, 직물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98439A (ja) * 1981-12-08 1983-06-11 ユニチカ株式会社 ポリエステル特殊嵩高加工糸の製造方法
JPH1072732A (ja) * 1996-08-27 1998-03-17 Unitika Ltd ポリエステル系仮撚加工糸の製造方法
KR20050095207A (ko) * 2004-03-25 2005-09-29 주식회사 효성 복합섬유 및 이의 제조방법
KR100675647B1 (ko) * 2005-11-07 2007-01-30 주식회사 새 한 폴리에스테르 고가연사 및 그를 이용한 작업복용 원단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98439A (ja) * 1981-12-08 1983-06-11 ユニチカ株式会社 ポリエステル特殊嵩高加工糸の製造方法
JPH1072732A (ja) * 1996-08-27 1998-03-17 Unitika Ltd ポリエステル系仮撚加工糸の製造方法
KR20050095207A (ko) * 2004-03-25 2005-09-29 주식회사 효성 복합섬유 및 이의 제조방법
KR100675647B1 (ko) * 2005-11-07 2007-01-30 주식회사 새 한 폴리에스테르 고가연사 및 그를 이용한 작업복용 원단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644074A (zh) * 2019-10-24 2020-01-03 张家港欣阳化纤有限公司 一种抗紫外高弹性阻燃长丝及其生产工艺
KR102303275B1 (ko) 2020-04-10 2021-09-16 (주)서원테크 멜란지 컬러 발현이 가능한 고신축성 pet/pbt 잠재권축 복합사의 제조방법
KR102380277B1 (ko) 2020-09-25 2022-03-29 (주)서원테크 심색성이 우수한 고신축성 리사이클 pet/ptt 잠재권축 복합사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직물
KR20220091936A (ko) 2020-12-24 2022-07-01 (주)서원테크 친환경 고신축성 리사이클 폴리에스테르계 잠재권축사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직물
KR20230046621A (ko) 2021-09-30 2023-04-06 (주)서원테크 친환경 리사이클 폴리에스테르 신축성 복합사의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되는 원사, 직물
KR20230046600A (ko) 2021-09-30 2023-04-06 (주)서원테크 친환경 애슬레저 의류용 리사이클 pet/ptt 잠재권축 복합사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직물
KR20240045445A (ko) 2022-09-29 2024-04-08 (주)서원테크 친환경 리사이클 폴리에스테르(fd) 신축성 복합사의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되는 원사, 직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79655B1 (ko) 폴리에스테르계 잠재권축사를 이용한 복합가연사 제조방법 및 이를 통해 제조된 폴리에스테르계 잠재권축사를 이용한 복합가연사
KR101290954B1 (ko) 폴리에스테르 복합가공사 및 그 제조방법
KR101908901B1 (ko) Pet 원착사를 이용한 ity 복합사 및 이를 이용한 환편 니트 원단
KR101384083B1 (ko) 멜란지톤을 가지는 고신축성 폴리에스테르 가연복합사의 제조방법
JP6282860B2 (ja) ポリエステル複合仮撚糸の製造方法
US3380244A (en) Core-spun elastic yarn product and process
JP7316444B2 (ja) 芯鞘型複合仮撚糸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20120055966A (ko) 농담효과가 우수한 폴리에스터 복합사 및 그 제조방법
KR20220069317A (ko) 심색성 및 드레이프성이 우수한 폴리에스테르 복합가공사의 제조방법
CN114008255A (zh) 具有良好伸缩性的聚酯复合纤维及其制备方法
KR102420053B1 (ko) 벌키성 및 멜란지 효과가 우수한 면조 복합사 및 그 제조방법
KR101367037B1 (ko) 심색성, 신축성 및 형태안정성이 우수한 편직물
KR101981757B1 (ko) 신축성이 우수한 면조 복합사 및 그 제조방법
KR102232005B1 (ko) 멜란지톤의 발현이 우수한 복합가연사 및 그 제조방법
KR101989743B1 (ko) 대나무사를 포함하는 이색성이 우수한 기능성 원단 및 대나무-폴리에스테르 이색조 복합사의 제조방법
KR100952467B1 (ko) 편평단면 폴리에스테르 복합가연사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905047B1 (ko) 경편에 적합한 천연복합 사이로-컴팩트 방적사,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경편물
KR20180089672A (ko) 촉감 및 보온성이 우수한 복합사의 제조방법
KR101940013B1 (ko) 중공 가연사의 제조방법
KR101979656B1 (ko) 복합가연사 및 이의 제조방법
JP6454765B2 (ja) ポリエステル複合仮撚糸及びその製造方法
JP4536242B2 (ja) 伸縮性複合仮撚加工糸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その織編物
KR102479830B1 (ko) 심초형 복합가연사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265270B1 (ko) 흡한속건성이 우수한 복합 융착사 및 그의 제조방법
KR101599109B1 (ko) 선연 후가연 특성을 갖는 폴리에스테르 가연사의 제조방법 및 이를 통해 제조된 폴리에스테르 가연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71227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8091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90410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90513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90513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222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415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