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972237B1 - 커넥터 장치 - Google Patents

커넥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72237B1
KR101972237B1 KR1020170147919A KR20170147919A KR101972237B1 KR 101972237 B1 KR101972237 B1 KR 101972237B1 KR 1020170147919 A KR1020170147919 A KR 1020170147919A KR 20170147919 A KR20170147919 A KR 20170147919A KR 101972237 B1 KR101972237 B1 KR 1019722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truding portion
state
regulating member
protruding
conductive terminal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479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72533A (ko
Inventor
다케시 히라카와
Original Assignee
다이-이치 세이코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다이-이치 세이코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다이-이치 세이코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800725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7253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722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72237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005Guiding, mounting, polarizing or locking means; Extrac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1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1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12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operating with the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or with a coupling device exclusively provided on the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 H01R12/716Coupling device provided on the PCB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22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 H01R13/24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resilient; resiliently-mounte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39Additional means for holding or locking coupling parts together, after engagement, e.g. separate keylock, retainer strap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Means for preventing incorrect coupling
    • H01R13/641Means for preventing incorrect coupling by indicating incorrect coupling; by indicating correct or full engagemen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4/0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1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2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upling with the edge of the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3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upling with the edge of the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nnecting to othe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20Pins, blades, or sockets shaped, or provided with separate member, to retain co-operating parts together

Landscapes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커넥터 장치(1)는, 하우징(110)에 장착된 도전 단자(120) 및 규제 부재(130)를 갖는 리셉터클 커넥터(100)와, 하우징(210)에 장착된 도전 단자(220) 및 규제 부재(230)를 갖는 플러그 커넥터(200)를 구비한다. 규제 부재(130, 230)는 각각, 각 커넥터(100, 200)가 끼워맞춰진 상태에 있어서 서로 향하여 돌출되는 돌출부(133b, 232b)를 포함한다. 돌출부(232b)가 돌출부(133b)를 넘기 전의 상태에 있어서, 돌출부(133b)는, 하우징(110, 210)을 서로 이격시키는 방향으로 작용하는 탄성력을 돌출부(232b)에 부여한다. 돌출부(232b)가 돌출부(133b)를 넘은 후의 상태에 있어서, 돌출부(133b)는, 하우징(110, 210)을 서로 근접시키는 방향으로 작용하는 탄성력(Arc4)을 돌출부(232b)에 부여하고, 도전 단자(120, 220)를 전기적으로 접속시킨다.

Description

커넥터 장치{CONNECTOR DEVICE}
본 개시는 커넥터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본 특허 공개 제 2011-243332 호 공보는, 배선 기판끼리(예를 들면, 플렉시블 프린트 기판(FPC:Flexible Printed Circuits)끼리)를 접속하는, 이른바 기판대 기판(보드·투·보드:Board to Board) 접속의 커넥터 장치를 개시하고 있다. 상기 커넥터 장치는 제 1 배선 기판에 실장되는 플러그 커넥터와, 제 2 배선 기판에 실장되는 리셉터클 커넥터를 구비한다.
플러그 커넥터는 제 1 배선 기판 상에 탑재되는 제 1 하우징과, 소정 방향으로 나열되도록 제 1 하우징에 대하여 장착된 복수의 제 1 컨택트(도전 단자)와, 끼워맞춤 완료를 검지하기 위한 검지 스위치의 일부를 구성하는 동시에 제 1 하우징에 장착된 제 1 납땜 페그를 갖는다. 리셉터클 커넥터는 제 2 배선 기판 상에 탑재되는 제 2 하우징과, 소정 방향으로 나열되도록 제 2 하우징에 대하여 장착된 복수의 제 2 컨택트와, 검지 스위치의 일부를 구성하는 동시에 제 2 하우징에 장착된 제 2 납땜 페그를 갖는다.
플러그 커넥터를 리셉터클 커넥터에 대하여 삽입하면, 제 1 컨택트와, 이에 대응하는 제 2 컨택트가 소정의 압력으로 접촉한다. 이에 의해, 제 1 배선 기판과 제 2 배선 기판이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그 후, 플러그 커넥터를 리셉터클 커넥터에 대하여 더욱 삽입하면, 제 1 납땜 페그와 제 2 납땜 페그가 접촉한다. 이에 의해, 검지 스위치가 폐쇄 회로를 구성하고, 끼워맞춤 완료가 검지된다. 즉, 끼워맞춤 완료 후에 있어서의 제 1 및 제 2 컨택트의 접촉점의 제 1 배선 기판으로부터의 높이는 제 1 및 제 2 납땜 페그의 접촉점의 제 1 배선 기판으로부터의 높이보다 높게 설정되어 있다. 그 때문에, 일본 특허 공개 제 2011-243332 호 공보의 커넥터 장치에 있어서는, 끼워맞출 때에, 제 1 및 제 2 컨택트끼리가, 제 1 및 제 2 납땜 페그끼리보다 먼저 접촉한다. 따라서, 검지 스위치가 폐쇄 회로를 이루고 있는지의 여부에 의해, 제 1 및 제 2 컨택트끼리가 도통하고 있는지의 여부를 검지할 수 있다.
일본 특허 공개 제 2011-243332 호 공보
그렇지만, 예를 들면 플러그 커넥터와 리셉터클 커넥터가 비스듬하게 끼워맞춰지는 등, 양 커넥터가 완전하게 끼워맞춰있지 않은 상태(이하, "반끼워맞춤 상태"라 함)라도, 검지 스위치가 폐쇄 회로 상태가 되는 경우가 있다. 이 경우, 커넥터 장치는 도통 검사를 패스하고 시장으로 유통되지만, 커넥터 장치가 반끼워맞춤 상태라면, 외부로부터의 진동, 충격 등에 의해 플러그 커넥터와 리셉터클 커넥터의 끼워맞춤이 어긋나 버리는 경우가 있다.
그래서, 본 개시는 커넥터 같은 종류의 반끼워맞춤 상태를 방지하는 것이 가능한 커넥터 장치를 설명한다.
[1] 본 개시의 하나의 관점에 따른 커넥터 장치는, 제 1 절연 하우징과, 제 1 절연 하우징에 장착된 복수의 제 1 도전 단자 및 적어도 하나의 제 1 규제 부재를 갖는 제 1 커넥터와, 제 2 절연 하우징과, 제 2 절연 하우징에 장착된 복수의 제 2 도전 단자 및 적어도 하나의 제 2 규제 부재를 갖는 제 2 커넥터를 구비한다. 제 1 절연 하우징에는 바닥면에 대하여 직립한 끼워맞춤 볼록부가 마련되며, 제 2 절연 하우징에는 끼워맞춤 볼록부를 수용 가능한 수용 오목부가 마련되어 있다. 제 1 및 제 2 규제 부재는 각각 돌출부를 포함한다. 끼워맞춤 볼록부가 수용 오목부 내에 수용된 끼워맞춤 상태에서 보아, 제 1 규제 부재의 돌출부는 제 2 규제 부재를 향하여 돌출되어 있는 동시에, 제 2 규제 부재의 돌출부는 제 1 규제 부재를 향하여 돌출되어 있다. 제 1 및 제 2 규제 부재 중 한쪽의 돌출부는, 상기 한쪽의 돌출부가 다른쪽의 돌출부를 넘기 전의 상태에 있어서, 제 1 및 제 2 절연 하우징을 서로 이격시키는 이격 방향으로 작용하는 제 1 탄성력을 상기 다른쪽의 돌출부에 부여하는 동시에, 상기 한쪽의 돌출부가 다른쪽의 돌출부를 넘은 후의 상태에 있어서, 제 1 및 제 2 절연 하우징을 서로 근접시키는 근접 방향으로 작용하는 제 2 탄성력을 상기 다른쪽의 돌출부에 부여하고, 제 1 도전 단자와 제 2 도전 단자를 전기적으로 접속시킨다.
본 개시의 하나의 관점에 따른 커넥터 장치에서는, 제 1 및 제 2 규제 부재 중 한쪽의 돌출부는, 상기 한쪽의 돌출부가 다른쪽의 돌출부를 넘기 전의 상태에 있어서, 제 1 및 제 2 절연 하우징을 서로 이격시키는 방향으로 작용하는 제 1 탄성력(반발력)을 상기 다른쪽의 돌출부에 부여한다. 그 때문에, 제 1 및 제 2 규제 부재 중 한쪽의 돌출부가 다른쪽의 돌출부를 넘을 때까지는, 제 1 탄성력이 제 1 및 제 2 규제 부재의 돌출부끼리의 사이에 작용하여 제 1 및 제 2 절연 하우징끼리를 서로 분리시켜, 제 1 커넥터와 제 2 커넥터가 끼워맞춰져 있지 않은 비끼워맞춤 상태로 한다. 한편, 본 개시의 하나의 관점에 따른 커넥터 장치에서는, 제 1 및 제 2 규제 부재 중 한쪽의 돌출부는, 상기 한쪽의 돌출부가 다른쪽의 돌출부를 넘은 후의 상태에 있어서, 제 1 및 제 2 절연 하우징을 서로 근접시키는 방향으로 작용하는 제 2 탄성력(인입력)을 상기 다른쪽의 돌출부에 부여한다. 그 때문에, 제 1 및 제 2 규제 부재 중 한쪽의 돌출부가 다른쪽의 돌출부를 넘은 후는, 제 2 탄성력이 제 1 및 제 2 규제 부재의 돌출부끼리의 사이에 작용하여 제 1 및 제 2 절연 하우징끼리를 서로 접근시켜, 제 1 도전 단자와 제 2 도전 단자의 전기적 접속이 완료된 끼워맞춤 상태로 한다. 이상과 같이, 제 1 및 제 2 도전 단자의 사이에 있어서 발생하는 제 1 및 제 2 탄성력에 의해, 양 커넥터는 강제적으로 비끼워맞춤 상태 및 끼워맞춤 상태 중 어느 한쪽의 상태가 된다. 따라서, 커넥터끼리의 반끼워맞춤 상태를 방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2] 상기 [1]에 기재된 커넥터 장치에 있어서, 제 1 및 제 2 규제 부재 중 한쪽의 돌출부는, 정점으로부터 이격 방향 및 근접 방향으로 멀어짐에 따라서 돌출량이 작아지는 산형(山型) 형상을 나타내고 있어도 좋다. 이 경우, 극히 간이한 형상에 의해, 제 1 및 제 2 규제 부재 중 한쪽의 돌출부가 제 1 및 제 2 탄성력을 다른쪽의 돌출부에 작용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3] 상기 [1]에 기재된 커넥터 장치에 있어서, 제 1 도전 단자는, 끼워맞춤 상태에서 보아, 대응하는 제 2 도전 단자를 향하여 돌출하는 돌출부를 포함하며, 제 2 도전 단자는, 끼워맞춤 상태에서 보아, 대응하는 제 1 도전 단자를 향하여 돌출되는 돌출부를 포함하며, 제 1 및 제 2 도전 단자 중 한쪽의 돌출부는, 상기 한쪽의 돌출부가 다른쪽의 돌출부를 넘기 전의 상태에 있어서, 제 1 및 제 2 절연 하우징을 서로 이격시키는 방향으로 작용하는 제 3 탄성력을 상기 다른쪽의 돌출부에 부여하는 동시에, 상기 한쪽의 돌출부가 다른쪽의 돌출부를 넘은 후의 상태에 있어서, 제 1 및 제 2 절연 하우징을 서로 근접시키는 방향으로 작용하는 제 4 탄성력을 상기 다른쪽의 돌출부에 부여하여도 좋다. 상기의 커넥터 장치에서는, 제 1 및 제 2 도전 단자 중 한쪽의 돌출부는, 상기 한쪽의 돌출부가 다른쪽의 돌출부를 넘기 전의 상태에 있어서, 제 1 및 제 2 절연 하우징을 서로 이격시키는 방향으로 작용하는 제 3 탄성력(반발력)을 상기 다른쪽의 돌출부에 부여하고 있으므로, 제 1 및 제 2 도전 단자 중 한쪽의 돌출부가 다른쪽의 돌출부를 넘을 때까지는, 제 3 탄성력이 제 1 및 제 2 도전 단자의 돌출부끼리의 사이에 작용하여 제 1 및 제 2 절연 하우징끼리를 서로 분리시켜, 제 1 커넥터와 제 2 커넥터가 끼워맞춰져 있지 않은 비끼워맞춤 상태로 한다. 한편, 상기의 커넥터 장치에서는, 제 1 및 제 2 도전 단자 중 한쪽의 돌출부는, 상기 한쪽의 돌출부가 다른쪽의 돌출부를 넘은 후의 상태에 있어서, 제 1 및 제 2 절연 하우징을 서로 근접시키는 방향으로 작용하는 제 4 탄성력(인입력)을 상기 다른쪽의 돌출부에 부여하고 있다. 그 때문에, 제 1 및 제 2 도전 단자 중 한쪽의 돌출부가 다른쪽의 돌출부를 넘은 후는, 제 4 탄성력이 제 1 및 제 2 도전 단자의 돌출부끼리의 사이에 작용하여 제 1 및 제 2 절연 하우징끼리를 서로 접근시켜, 제 1 도전 단자와 제 2 도전 단자의 전기적 접속이 완료된 끼워맞춤 상태로 한다. 이상과 같이, 제 1 및 제 2 규제 부재의 사이에 있어서 발생하는 제 3 및 제 4 탄성력에 의해, 양 커넥터는 강제적으로 비끼워맞춤 상태 및 끼워맞춤 상태 중 어느 한쪽의 상태가 된다. 따라서, 커넥터끼리의 반끼워맞춤 상태를 더욱 방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4] 상기 [3]에 기재된 커넥터 장치에 있어서, 제 1 및 제 2 도전 단자 중 한쪽의 돌출부가 다른쪽의 돌출부를 넘은 후에 또한 제 1 및 제 2 규제 부재 중 한쪽의 돌출부가 다른쪽의 돌출부를 넘기 전의 상태에 있어서, 제 4 탄성력은 제 1 탄성력보다 작아도 좋다. 이 경우, 제 1 및 제 2 규제 부재 중 한쪽의 돌출부가 다른쪽의 돌출부를 넘는 것보다 먼저, 제 1 및 제 2 도전 단자 중 한쪽의 돌출부가 다른쪽의 돌출부를 넘어, 제 1 및 제 2 도전 단자의 각 돌출부 사이에 있어서 제 4 탄성력이 발생한다. 단, 제 4 탄성력은 제 1 탄성력보다 작으므로, 제 1 및 제 2 규제 부재 중 한쪽의 돌출부가 다른쪽의 돌출부를 넘을 때까지는, 제 1 탄성력에 의해 제 1 및 제 2 절연 하우징끼리를 서로 분리시켜, 제 1 커넥터와 제 2 커넥터가 끼워맞춰져 있지 않은 비끼워맞춤 상태로 한다. 환언하면, 제 1 및 제 2 도전 단자의 각 돌출부끼리의 결합 뿐만 아니라 제 1 및 제 2 규제 부재의 각 돌출부끼리의 결합이 가해지는 것에 의해 처음으로, 끼워맞춤 상태가 작출(作出)된다. 그 결과, 비끼워맞춤 상태와 끼워맞춤 상태의 사이의 반끼워맞춤 상태가 극히 생기기 어려워진다.
[5] 상기 [3] 또는 [4]에 기재된 커넥터 장치에 있어서, 제 1 및 제 2 도전 단자 중 한쪽의 돌출부는, 정점으로부터 이격 방향 및 근접 방향으로 멀어짐에 따라서 돌출량이 작아지는 산형 형상을 나타내도 좋다. 이 경우, 극히 간이한 형상에 의해, 제 1 및 제 2 도전 단자 중 한쪽의 돌출부가 제 3 및 제 4 탄성력을 다른쪽의 돌출부에 작용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6] 상기 [4]에 기재된 커넥터 장치에 있어서, 제 1 절연 하우징은, 제 1 커넥터가 제 1 배선 기판에 실장된 상태에서 제 1 배선 기판에 대하여 덮이는 제 1 실장면과, 제 1 실장면과 대향하며 또한 바닥면에 대하여 직립한 끼워맞춤 볼록부의 선단측에 위치하는 제 1 대향면을 포함하고, 제 2 절연 하우징은, 제 2 커넥터가 제 2 배선 기판에 실장된 상태에서 제 2 배선 기판에 대하여 덮이는 제 2 실장면과, 제 2 실장면과 대향하며 또한 수용 오목부의 개구측에 위치하는 제 2 대향면을 포함하며, 제 1 및 제 2 규제 부재의 돌출부는 함께, 정점으로부터 이격 방향 및 근접 방향으로 멀어짐에 따라서 돌출량이 작아지는 산형 형상을 나타내고, 제 1 및 제 2 도전 단자의 돌출부는 함께, 정점으로부터 이격 방향 및 근접 방향으로 멀어짐에 따라서 돌출량이 작아지는 산형 형상을 나타내며, (A) 제 1 도전 단자의 돌출부의 정점은, 이격 방향 및 근접 방향에 있어서 제 1 규제 부재의 돌출부의 정점보다 제 1 대향면측에 위치하는 동시에, 제 2 규제 부재의 돌출부의 정점은, 이격 방향 및 근접 방향에 있어서 제 2 도전 단자의 돌출부의 정점보다 제 2 대향면측에 위치하거나, 또는 (B) 제 1 규제 부재의 돌출부의 정점은, 이격 방향 및 근접 방향에 있어서 제 1 도전 단자의 돌출부의 정점보다 제 1 대향면측에 위치하는 동시에, 제 2 도전 단자의 돌출부의 정점은, 이격 방향 및 근접 방향에 있어서 제 2 규제 부재의 돌출부의 정점보다 제 2 대향면측에 위치하고 있어도 좋다. 이 경우, 제 1 및 제 2 도전 단자의 각 돌출부의 정점과, 제 1 및 제 2 규제 부재의 각 돌출부의 정점이 상기 (A) 또는 (B)의 위치 관계에 있으므로, 제 1 내지 제 4 탄성력을 효과적으로 발생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7] 상기 [6]에 기재된 커넥터 장치에 있어서, 제 1 규제 부재는 제 1 배선 기판에 대하여 장착되는 장착부를 포함하고, 제 2 규제 부재는 제 2 배선 기판에 대하여 장착되는 장착부를 포함하여도 좋다. 이 경우, 각 커넥터를 각각 대응하는 배선 기판에 장착하는 장착부로서의 기능을 각 규제 부재가 동시에 갖는다. 그 때문에, 새로운 부재가 불필요해지므로, 구성의 간략화 및 비용의 저감을 도모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8] 상기 [1] 내지 [7]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커넥터 장치에 있어서, 끼워맞춤 볼록부가 수용 오목부 내에 수용되어 있지 않으며 또한 외력이 부여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서는, 제 1 및 제 2 규제 부재끼리가 접촉하고 있지만 제 1 및 제 2 도전 단자끼리가 접촉하고 있지 않아도 좋다. 이 경우, 제 1 및 제 2 도전 단자끼리의 사이에 전기가 흐르지 않으므로, 비끼워맞춤 상태에 있는 커넥터 장치를 도통 검사의 실시에 의해 간이하게 선별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9] 상기 [1] 내지 [8]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커넥터 장치에 있어서, 끼워맞춤 볼록부와 수용 오목부는 함께, 끼워맞춤 상태에서 보아 서로 대향하는 벽부를 갖고, 제 1 규제 부재 및 제 1 도전 단자는 수용 오목부의 벽부에 배치되고, 제 2 규제 부재 및 제 2 도전 단자는 끼워맞춤 볼록부의 벽부에 배치되며, 제 1 규제 부재 및 제 1 도전 단자의 각 돌출부는 끼워맞춤 상태에서 보아 끼워맞춤 볼록부의 벽부로부터 외측을 향하여 돌출되어 있으며, 제 2 규제 부재 및 제 2 도전 단자의 각 돌출부는 끼워맞춤 상태에서 보아 수용 오목부의 벽부로부터 내측을 향하여 돌출되어 있어도 좋다. 이 경우, 규제 부재끼리 및 도전 단자끼리가 끼워맞춤 볼록부 및 수용 오목부의 각 벽부의 대향 방향에 있어서 접촉한다. 그 때문에, 커넥터끼리의 끼워맞춤 방향에 있어서, 규제 부재끼리 및 도전 단자끼리가 접촉하는 공간이 삭감된다. 따라서, 커넥터 장치의 소형화를 도모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10] 상기 [1] 내지 [9]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커넥터 장치에 있어서, 제 1 커넥터는 한쌍의 제 1 규제 부재를 갖고, 제 2 커넥터는 한쌍의 제 2 규제 부재를 갖고, 한쌍의 제 1 규제 부재는 복수의 제 1 도전 단자가 나열되는 방향에 있어서 복수의 제 1 도전 단자를 사이에 두도록 위치하고 있으며, 한쌍의 제 2 규제 부재는 복수의 제 2 도전 단자가 나열되는 방향에 있어서 복수의 제 2 도전 단자를 사이에 두도록 위치하고 있어도 좋다. 이 경우, 복수의 제 1 도전 단자의 양측에 위치하는 한쌍의 제 1 규제 부재와, 복수의 제 2 도전 단자의 양측에 위치하는 한쌍의 제 2 규제 부재가 결합되므로, 커넥터 장치의 양단측에 있어서 제 1 및 제 2 커넥터의 끼워맞춤 상태가 보지된다. 그 때문에, 제 1 및 제 2 커넥터가 일단 끼워맞춰지면, 커넥터끼리가 어긋나기 어려워진다.
본 개시에 따른 커넥터 장치에 의하면, 커넥터끼리의 반끼워맞춤 상태를 방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도 1은 커넥터 장치의 일 예(제 1 예)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2는 도 1의 Ⅱ-Ⅱ선 단면도,
도 3은 도 2의 Ⅲ-Ⅲ선 단면도,
도 4는 도 1의 커넥터 장치를 구성하는 리셉터클 커넥터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5는 도 4의 V-V선 단면도,
도 6은 도 5의 VI-VI 단면도,
도 7은 도 1의 커넥터 장치를 구성하는 플러그 커넥터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8은 도 7의 VIII-VIII선 단면도,
도 9는 도 8의 IX-IX선 단면도,
도 10a는 제 1 예에 따른 양 커넥터의 단자끼리가 끼워맞춰지는 과정에 있어서의 탑재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도 10b는 제 1 예에 따른 양 커넥터의 규제 부재끼리가 끼워맞춰지는 과정에 있어서의 탑재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1a는 제 1 예에 따른 양 커넥터의 단자끼리가 끼워맞춰지는 과정에 있어서의 제 1 가압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도 11b는 제 1 예에 따른 양 커넥터의 규제 부재끼리가 끼워맞춰지는 과정에 있어서의 제 1 가압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2a는 제 1 예에 따른 양 커넥터의 단자끼리가 끼워맞춰지는 과정에 있어서의 제 2 가압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도 12b는 제 1 예에 따른 양 커넥터의 규제 부재끼리가 끼워맞춰지는 과정에 있어서의 제 2 가압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3a는 제 1 예에 따른 양 커넥터의 단자끼리가 끼워맞춰지는 과정에 있어서의 제 3 가압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도 13b는 제 1 예에 따른 양 커넥터의 규제 부재끼리가 끼워맞춰지는 과정에 있어서의 제 3 가압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4a는 제 1 예에 따른 양 커넥터의 단자끼리가 끼워맞춰지는 과정에 있어서의 끼워맞춤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도 14b는 제 1 예에 따른 양 커넥터의 규제 부재끼리가 끼워맞춰지는 과정에 있어서의 끼워맞춤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5는 리셉터클 커넥터의 다른 예(제 2 예)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16은 도 15의 XVI-XVI선 단면도,
도 17a는 제 2 예에 따른 양 커넥터의 중앙 근방의 단자끼리가 끼워맞춰지는 과정에 있어서의 탑재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도 17b는 제 2 예에 따른 양 커넥터의 단부 근방의 단자끼리가 끼워맞춰지는 과정에 있어서의 탑재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8a는 제 2 예에 따른 양 커넥터의 중앙 근방의 단자끼리가 끼워맞춰지는 과정에 있어서의 제 1 가압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도 18b는 제 2 예에 따른 양 커넥터의 단부 근방의 단자끼리가 끼워맞춰지는 과정에 있어서의 제 1 가압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9a는 제 2 예에 따른 양 커넥터의 중앙 근방의 단자끼리가 끼워맞춰지는 과정에 있어서의 제 2 가압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도 19b는 제 2 예에 따른 양 커넥터의 단부 근방의 단자끼리가 끼워맞춰지는 과정에 있어서의 제 2 가압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0a는 제 2 예에 따른 양 커넥터의 중앙 근방의 단자끼리가 끼워맞춰지는 과정에 있어서의 제 3 가압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도 20b는 제 2 예에 따른 양 커넥터의 단부 근방의 단자끼리가 끼워맞춰지는 과정에 있어서의 제 3 가압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1a는 제 2 예에 따른 양 커넥터의 중앙 근방의 단자끼리가 끼워맞춰지는 과정에 있어서의 끼워맞춤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도 21b는 제 2 예에 따른 양 커넥터의 단부 근방의 단자끼리가 끼워맞춰지는 과정에 있어서의 끼워맞춤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2는 리셉터클 커넥터의 다른 예(제 3 예)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23a는 도 22의 XXIIIA-XXIIIA선 단면도,
도 23b는 도 22의 XXIIIB-XXIIIB선 단면도,
도 23c는 도 22의 XXIIIC-XXIIIC선 단면도,
도 24는 커넥터 장치의 다른 예(제 4 예)에 있어서, 리셉터클 커넥터와 플러그 커넥터가 끼워맞춰지는 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이하에 설명하는 본 개시에 따른 실시형태는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이므로, 본 발명은 이하의 내용에 한정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동일 요소 또는 동일 기능을 갖는 요소에는 동일 부호를 이용하는 것으로 하고,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커넥터 장치의 개요]
우선, 커넥터 장치(1)의 개요를 설명한다. 커넥터 장치(1)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리셉터클 커넥터(100)(제 2 커넥터)와, 플러그 커넥터(200)(제 1 커넥터)를 구비한다. 리셉터클 커넥터(100)는 배선 기판(B1)(제 2 배선 기판)에 실장되어 있다. 플러그 커넥터(200)는, 배선 기판(B1)(제 1 배선 기판)과는 상이한 배선 기판(B2)에 실장되어 있다. 또한, 도 1 내지 도 3 이외의 도면에서는 배선 기판(B1, B2)의 도시를 생략하고 있다.
리셉터클 커넥터(100)와 플러그 커넥터(200)는 서로 끼워맞춤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플러그 커넥터(200)가 리셉터클 커넥터(100)에 끼워맞춰지는 것에 의해, 배선 기판(B1, B2)이 서로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즉, 커넥터 장치(1)는 배선 기판(B1, B2)을 전기적 또한 물리적으로 접속하는 기능을 갖는다. 배선 기판(B1, B2)으로서는, 각종 프린트 기판(예를 들면, 플렉시블 프린트 기판 등)을 이용하여도 좋다.
[리셉터클 커넥터의 구성]
이어서, 리셉터클 커넥터(100)의 구성에 대하여,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리셉터클 커넥터(100)는 하우징(110)(제 2 절연 하우징)과, 복수의 도전 단자(120)(제 2 도전 단자)와, 한쌍의 규제 부재(130)(제 2 규제 부재)를 갖는다.
하우징(110)은 수지 등의 절연 재료로 구성되어 있다. 하우징(110)은 소정 방향으로 연장되는 직방체 형상을 나타내고 있다. 하우징(110)은 실장면(S1)(제 2 실장면)과, 대향면(S2)(제 2 대향면)을 포함한다(도 5 및 도 6 참조). 실장면(S1)은, 리셉터클 커넥터(100)가 배선 기판(B1)에 납땜 접속 등으로 실장된 상태에서, 배선 기판(B1)에 대향하며 또한 배선 기판(B1)에 대하여 덮인다. 대향면(S2)은 실장면(S1)과 대향하며 또한 후술하는 수용 오목부(V)의 개구측에 위치하고 있다. 리셉터클 커넥터(100)의 설명시에, 이하에서는, 실장면(S1)과 대향면(S2)의 대향 방향을 "Z 방향"이라 칭한다. 또한, 리셉터클 커넥터(100)의 설명시에, 이하에서는, 실장면(S1)을 기준으로 하여 배선 기판(B1)측을 "아래"라 하고, 실장면(S1)을 기준으로 하여 대향면(S2)측을 "위"라 하는 경우가 있다.
하우징(110)은 바닥벽부(111)와, 측벽부(112 내지 115)와, 중앙 벽부(116)를 포함한다. 바닥벽부(111)는 직사각 형상을 나타내는 판형상체이다. 바닥벽부(111)의 바닥면은 실장면(S1)을 구성하고 있다.
측벽부(112 내지 115)는 각각 바닥벽부(111)에 대하여 직립한 상태에서 바닥벽부(111) 상에 마련되어 있다. 측벽부(112, 113)(벽부)는 각각 바닥벽부(111)의 각 장변 상에 위치하며, 상기 장변을 따라서 연장되어 있다. 측벽부(114, 115)는 각각 바닥벽부(111)의 각 단변 상에 위치하며, 상기 단변을 따라서 연장되어 있다. 그 때문에, 측벽부(112, 113)끼리는 서로 대향하고 있으며, 측벽부(114, 115)끼리는 서로 대향하고 있다. 리셉터클 커넥터(100)의 설명시에, 이하에서는, 측벽부(112, 113)의 대향 방향을 "X 방향"이라 칭하고, 측벽부(114, 115)의 대향 방향을 "Y 방향"이라 칭한다.
중앙 벽부(116)는 바닥벽부(111)에 대하여 직립한 상태에서 바닥벽부(111) 상에 마련되어 있다. 중앙 벽부(116)는, 측벽부(112 내지 115)로부터 이격된 상태에서, 측벽부(112 내지 115)로 둘러싸이는 공간 내에 위치하고 있다. 중앙 벽부(116)는 바닥벽부(111)의 장변을 따라서 연장되어 있다. 그 때문에, 중앙 벽부(116)는 측벽부(112, 113)와 대향하고 있다. 바닥벽부(111)와. 측벽부(112 내지 115)와, 중앙 벽부(116)로 둘러싸이는 공간에 의해, 수용 오목부(V)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수용 오목부(V)는 사각 환상을 나타내고 있다.
복수의 도전 단자(120)(본 실시형태에서는 20개의 도전 단자(120))는 측벽부(112)에 장착되어 있다. 그 때문에, 측벽부(112)에는 복수의 도전 단자(120)가 그 연장 방향(Y 방향)으로 일렬로 나열되어 있다. 측벽부(113)에도 마찬가지로 복수의 도전 단자(120)(본 실시형태에서는 20개의 도전 단자(120))가 장착되어 있다. 이들 도전 단자(120)의 구성은 동일하므로, 이하에서는, 측벽부(112)에 있어서의 도전 단자(120)에 대하여 설명하고, 측벽부(113)에 있어서의 도전 단자(120)의 설명은 생략한다.
도전 단자(120)는 판형상의 도전 재료(예를 들면 금속 부재)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도전 단자(120)는,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기단부(121)(장착부)와, 중간부(122)와, 접촉부(123)를 포함한다. 기단부(121)는 바닥벽부(111)의 근방에 위치하고 있으며, 측벽부(112)로부터 외측을 향하여 X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기단부(121)는, 리셉터클 커넥터(100)가 배선 기판(B1)에 실장될 때에, 배선 기판(B1)의 전극(도시하지 않음)과 납땜 등에 의해 접속된다. 그 때문에, 기단부(121)는 배선 기판(B1)에 장착되는 장착부로서 기능한다.
중간부(122)는, 실장면(S1)의 근방으로부터 상방을 향하여, 측벽부(112)를 따라서 Z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중간부(122)는 측벽부(112)에 형성된 홈에 대하여 압입에 의해 고정되는 부분이다. 중간부(122)의 하단부는 기단부(121) 중 측벽부(112) 부근의 단부와 일체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접촉부(123)는 중간부(122)에 대하여 외팔보 형상으로 지지되어 있다. 접촉부(123)는 수용 오목부(V) 내에 위치하고 있다. 접촉부(123)는 돌출부(123a)와, 만곡부(123b)와, 돌출부(123c)를 포함한다.
돌출부(123a)는 중간부(122)의 상단부와 일체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돌출부(123a)는 산형 형상을 나타내고 있으며, 측벽부(112)측으로부터 측벽부(113)측(중앙 벽부(116)측)을 향하여 X 방향으로 돌출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돌출부(123a)는 산형의 정점(P1)으로부터 Z 방향(상하 방향)으로 멀어짐에 따라서 X 방향에 있어서의 돌출량이 작게 되어 있으며, 정점(P1)으로부터 양 경사면을 향하여 넓어지는 형상을 나타내고 있다.
즉, 돌출부(123a) 중 정점(P1)으로부터 상방의 부분(정점(P1)과 중간부(122)의 사이의 부분)은, 정점(P1)에서 보아, 상방(대향면(S2))을 향함에 따라서 측벽부(112)에 접근하도록 경사져 있다. 한편, 돌출부(123a) 중 정점(P1)으로부터 하방의 부분(정점(P1)과 만곡부(123b)의 사이의 부분)은, 정점(P1)에서 보아, 하방(실장면(S1))을 향함에 따라서 측벽부(112)에 접근하도록 경사져 있다.
만곡부(123b)는, 대향면(S2)의 근방으로부터 하방을 향하여 연장되며 실장면(S1)의 근방에서 상방을 향하여 되접히도록 형성된 대략 U자 형상을 나타내고 있다. 돌출부(123c)는 돌출부(123a)와 마찬가지로 산형 형상을 나타내고 있으며, 측벽부(113)측으로부터 측벽부(112)측을 향하여 돌출되어 있다.
한쌍의 규제 부재(130) 중 한쪽은, 도 4 및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측벽부(114)에 장착되어 있다. 측벽부(115)에도 마찬가지로 한쌍의 규제 부재(130)의 다른쪽이 장착되어 있다. 즉, 이들 한쌍의 규제 부재(130)는, 복수의 도전 단자(120)가 나열되는 방향(Y 방향)에 있어서 이들 도전 단자(120)를 사이에 두도록 위치하고 있다. 이들 규제 부재(130)의 구성은 동일하므로, 이하에서는, 측벽부(114)에 있어서의 규제 부재(130)에 대하여 설명하고, 측벽부(115)에 있어서의 규제 부재(130)의 설명은 생략한다.
규제 부재(130)는 판형상의 도전 재료(예를 들면 금속 부재)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규제 부재(130)는,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한쌍의 기단부(131)(장착부)와, 중간부(132)와, 접촉부(133)를 포함한다. 한쌍의 기단부(131)는,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실장면(S1)에 인접하여 위치하고 있는 동시에, X 방향에 있어서 측벽부(114)의 양측에 위치하고 있다. 한쌍의 기단부(131)는 실장면(S1)의 근방으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어 있다. 한쌍의 기단부(131)는, 측벽부(114)에 마련된 슬릿(114a) 내에 압입되는 것에 의해, 하우징(110)에 고정되어 있다. 한쌍의 기단부(131)의 하단은, 리셉터클 커넥터(100)가 배선 기판(B1)에 실장된 상태에서, 배선 기판(B1)의 전극(도시하지 않음)과 납땜 등에 의해 접속된다. 그 때문에, 기단부(131)는 배선 기판(B1)에 장착되는 장착부로서 기능한다.
중간부(132)는 X 방향에 있어서 한쌍의 기단부(131)의 사이에 위치하고 있다. 중간부(132)의 상단부는 한쌍의 기단부(131)의 상단부와 일체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중간부(132)는 측벽부(114)를 따라서 상하 방향(Z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접촉부(133)는 중간부(132)에 대하여 외팔보 형상으로 지지되어 있다. 접촉부(133)의 일부는 수용 오목부(V) 내에 위치하고 있다. 접촉부(133)는 만곡부(133a)와, 돌출부(133b)를 포함한다. 만곡부(133a)는, 대향면(S2)의 근방으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고 실장면(S1)의 근방에서 상방을 향하여 되접혀지도록 형성된 대략 U자 형상을 나타내고 있다. 만곡부(133a)의 일단부(하단부)는 중간부(132)의 하단부와 일체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만곡부(133a)는 Z 방향(상하 방향)을 따라서 연장되어 있다. 만곡부(133a)의 상단부는 중앙 벽부(116)와 대향하고 있다.
돌출부(133b)는 산형 형상을 나타내고 있으며, 측벽부(114)측으로부터 측벽부(115)측(중앙 벽부(116)측)을 향하여 돌출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돌출부(133b)는 산형의 정점(P2)으로부터 Z 방향(상하 방향)으로 멀어짐에 따라서 Y 방향에 있어서의 돌출량이 작게 되어 있으며, 정점(P2)으로부터 양 경사면을 향하여 넓어지는 형상을 나타내고 있다.
즉, 돌출부(133b) 중 정점(P2)으로부터 하방의 부분(정점(P2)과 만곡부(133a)의 사이의 부분)은, 정점(P2)에서 보아, 하방(실장면(S1))을 향함에 따라서 측벽부(114)에 접근하도록 경사져 있다. 한편, 돌출부(133b) 중 정점(P2)으로부터 상방(대향면(S2)측)의 부분은, 정점(P2)에서 보아, 상방(대향면(S2))을 향함에 따라서 측벽부(114)에 접근하도록 경사져 있다.
그런데, 도 5 및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파라미터(d1, d2)를 각각
d1:배선 기판(B1)의 표면으로부터 도전 단자(120)의 돌출부(123a)의 정점(P1)까지의 Z 방향에 있어서의 높이
d2:배선 기판(B1)의 표면으로부터 규제 부재(130)의 돌출부(133b)의 정점(P2)까지의 Z 방향에 있어서의 높이
로 했을 때에, d1<d2를 만족하고 있다. 즉, 정점(P2)은 정점(P1)보다 상방(대향면(S2)측)에 위치하고 있다.
[플러그 커넥터의 구성]
이어서, 플러그 커넥터(200)의 구성에 대하여, 도 7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플러그 커넥터(200)는 하우징(210)(제 1 절연 하우징)과, 복수의 도전 단자(220)(제 1 도전 단자)와, 한쌍의 규제 부재(230)(제 1 규제 부재)를 갖는다.
하우징(210)은 수지 등의 절연 재료로 구성되어 있다. 하우징(210)은 소정 방향으로 연장되는 직방체 형상을 나타내고 있다. 하우징(210)은 실장면(S3)(제 1 실장면)과, 대향면(S4)(제 1 대향면)을 포함한다(도 8 및 도 9 참조). 실장면(S3)은, 플러그 커넥터(200)가 배선 기판(B2)에 납땜 접속 등으로 실장된 상태에서, 배선 기판(B2)에 대향하며. 또한 배선 기판(B2)에 대하여 덮인다. 대향면(S4)은, 실장면(S3)과 대향하며 또한 후술하는 끼워맞춤 볼록부(W)의 선단측에 위치하고 있다. 플러그 커넥터(200)의 설명시에, 이하에서는, 실장면(S3)과 대향면(S4)의 대향 방향을 "Z 방향"이라 칭한다. 또한, 플러그 커넥터(200)의 설명시에, 이하에서는, 실장면(S3)을 기준으로 하여 배선 기판(B2)측을 "아래"라 하고, 실장면(S3)을 기준으로 하여 대향면(S4)측을 "위"라 하는 경우가 있다.
하우징(210)은 바닥벽부(211)와, 측벽부(212 내지 215)를 포함한다. 바닥벽부(211)는 직사각 형상을 나타내는 판형상체이다. 바닥벽부(211)의 바닥면은 실장면(S3)을 구성하고 있다.
측벽부(212 내지 215)는 각각, 바닥벽부(211)에 대하여 직립한 상태에서 바닥벽부(211) 상에 마련되어 있다. 측벽부(212 내지 215)는, 플러그 커넥터(200)가 리셉터클 커넥터(100)와 끼워맞춰질 때에, 리셉터클 커넥터(100)의 수용 오목부(V) 내에 수용된다. 그 때문에, 측벽부(212 내지 215)는 전체적으로 끼워맞춤 볼록부(W)를 구성하고 있다.
측벽부(212, 213)(벽부)는 각각, 바닥벽부(211)의 각 장변 근방에 위치하고, 상기 장변을 따라서 연장되어 있다. 측벽부(214, 215)는 각각, 바닥벽부(211)의 각 단변 상에 위치하며, 상기 단변을 따라서 연장되어 있다. 그 때문에, 측벽부(212, 213)끼리는 서로 대향하고 있으며, 측벽부(214, 215)끼리는 서로 대향하고 있다. 따라서, 끼워맞춤 볼록부(W)는 사각 통형상을 나타내고 있다. 사각 통형상을 나타내는 끼워맞춤 볼록부(W)의 내부 공간에는, 플러그 커넥터(200)가 리셉터클 커넥터(100)와 끼워맞출 때에, 리셉터클 커넥터(100)의 중앙 벽부(116)가 수용된다. 플러그 커넥터(200)의 설명시에, 이하에서는, 측벽부(212, 213)의 대향 방향을 "X 방향"이라 칭하고, 측벽부(214, 215)의 대향 방향을 "Y 방향"이라 칭한다.
복수의 도전 단자(220)(본 실시형태에서는 20개의 도전 단자(220))는 측벽부(212)에 장착되어 있다. 그 때문에, 측벽부(212)에는 복수의 도전 단자(220)가 그 연장 방향(Y 방향)으로 일렬로 나열되어 있다. 측벽부(213)에도 마찬가지로 복수의 도전 단자(220)(본 실시형태에서는 20개의 도전 단자(220))가 장착되어 있다. 이들 도전 단자(220)의 구성은 동일하므로, 이하에서는, 측벽부(212)에 있어서의 도전 단자(220)에 대하여 설명하며, 측벽부(213)에 있어서의 도전 단자(220)의 설명은 생략한다.
도전 단자(220)는 판형상의 도전 재료(예를 들면 금속 부재)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도전 단자(220)는, 도 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기단부(221)(장착부)와, 접촉부(222)와, 고정부(223)를 포함한다. 기단부(221)는 바닥벽부(211)의 근방에 위치하고 있으며, 측벽부(212)로부터 외측을 향하여 X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기단부(221)는, 플러그 커넥터(200)가 배선 기판(B2)에 실장될 때에, 배선 기판(B2)의 전극(도시하지 않음)과 납땜 등에 의해 접속된다. 그 때문에, 기단부(221)는 배선 기판(B2)에 장착되는 장착부로서 기능한다.
접촉부(222)는 측벽부(212)의 외표면을 따라서 Z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접촉부(222)는 평탄부(222a)와, 돌출부(222b)를 포함한다. 평탄부(222a)는 직선 형상을 나타내고 있다. 평탄부(222a)의 하단부는 기단부(221) 중 측벽부(212) 부근의 단부와 일체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돌출부(222b)는 평탄부(222a)의 상단부와 일체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돌출부(222b)는 산형 형상을 나타내고 있으며, 측벽부(212)로부터 외측을 향하여 X 방향으로 돌출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돌출부(222b)는, 산형의 정점(P3)으로부터 Z 방향(상하 방향)으로 멀어짐에 따라서 X 방향에 있어서의 돌출량이 작게 되어 있으며, 정점(P3)으로부터 양 경사면을 향하여 넓어지는 형상을 나타내고 있다.
즉, 돌출부(222b) 중 정점(P3)으로부터 하측 부분(정점(P3)과 평탄부(222a)의 사이의 부분)은, 정점(P3)에서 보아, 하방(실장면(S3))을 향함에 따라서 측벽부(212)에 접근하도록 경사져 있다. 한편, 돌출부(222b) 중 정점(P3)으로부터 상측의 부분(정점(P3)보다 대향면(S4)측의 부분)은, 정점(P3)에서 보아, 상방(대향면(S4))을 향함에 따라서 측벽부(212)에 접근하도록 경사져 있다.
고정부(223)는 측벽부(212)의 내벽면을 따라서 Z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고정부(223)의 상단부는 돌출부(222b)의 상단부와 일체적으로 접속되어 있으며, 실장면(S3)의 근방으로부터 상방을 향하여 연장되며 대향면(S4)의 근방에서 하방을 향하여 되접히도록 형성된 대략 U자 형상을 나타내고 있다. 고정부(223)의 하단부는 측벽부(212) 내에 고정되어 있다.
한쌍의 규제 부재(230) 중 한쪽은, 도 7 및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측벽부(214)에 장착되어 있다. 측벽부(215)에도 마찬가지로 한쌍의 규제 부재(230)의 다른쪽이 장착되어 있다. 즉, 이들 한쌍의 규제 부재(230)는, 복수의 도전 단자(220)가 나열되는 방향(Y 방향)에 있어서 이들 도전 단자(220)를 사이에 두도록 위치하고 있다. 이들 규제 부재(230)의 구성은 동일하므로, 이하에서는, 측벽부(214)에 있어서의 규제 부재(230)에 대하여 설명하고, 측벽부(215)에 있어서의 규제 부재(230)의 설명은 생략한다.
규제 부재(230)는 판형상의 도전 재료(예를 들면 금속 부재)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규제 부재(230)는,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기단부(231)(장착부)와, 접촉부(232)와, 고정부(233)를 포함한다. 기단부(231)는,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바닥벽부(211)의 바닥면에 위치하고 있으며, 측벽부(214)의 양측에 위치하도록 X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기단부(131)는, 플러그 커넥터(200)가 배선 기판(B2)에 실장될 때에, 배선 기판(B2)의 전극(도시하지 않음)과 납땜 등에 의해 접속된다. 그 때문에, 기단부(231)는 배선 기판(B2)에 장착되는 장착부로서 기능한다.
접촉부(232)는 측벽부(214)의 외표면을 따라서 Z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접촉부(232)는 평탄부(232a)와, 돌출부(232b)를 포함한다. 평탄부(232a)는 직선 형상을 나타내고 있다. 평탄부(232a)의 하단부는 기단부(231) 중 측벽부(214) 부근의 측연과 일체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돌출부(232b)는 평탄부(232a)의 상단부와 일체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돌출부(232b)는 산형 형상을 나타내고 있으며, 측벽부(214)로부터 외측을 향하여 Y 방향으로 돌출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돌출부(232b)는 산형의 정점(P4)으로부터 Z 방향(상하 방향)으로 멀어짐에 따라서 Y 방향에 있어서의 돌출량이 작게 되어 있으며, 정점(P4)으로부터 양 경사면을 향하여 넓어지는 형상을 나타내고 있다.
즉, 돌출부(232b) 중 정점(P4)으로부터 하방의 부분(정점(P4)과 평탄부(232a)의 사이의 부분)은, 정점(P4)에서 보아, 하방(실장면(S3))을 향함에 따라서 측벽부(214)에 접근하도록 경사져 있다. 한편, 돌출부(232b) 중 정점(P4)보다 상방의 부분은, 정점(P4)에서 보아, 상방(대향면(S4))을 향함에 따라서 측벽부(214)에 접근하도록 경사져 있다.
고정부(233)는 L자 형상을 나타내고 있다. 고정부(233) 중 일단부는 돌출부(232b)의 상단부와 일체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고정부(223) 중 타단부는 측벽부(214) 내에 고정되어 있다.
그런데, 도 8 및 도 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파라미터(d3, d4)를 각각
d3:배선 기판(B2)의 표면으로부터 도전 단자(220)의 돌출부(222b)의 정점(P3)까지의 Z 방향에 있어서의 높이
d4:배선 기판(B2)의 표면으로부터 규제 부재(230)의 돌출부(232b)의 정점(P4)까지의 Z 방향에 있어서의 높이
로 했을 때에, d3>d4를 만족하고 있다. 즉, 정점(P3)은 정점(P4)보다 상방(대향면(S4)측)에 위치하고 있다.
[커넥터 장치의 상세]
이어서, 리셉터클 커넥터(100)와 플러그 커넥터(200)가 끼워맞춰져 이루어지는 커넥터 장치(1)의 구성에 대하여,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에서는, 측벽부(112)에 있어서의 도전 단자(120)와 측벽부(212)에 있어서의 도전 단자(220)의 관계를 설명하지만, 측벽부(113)에 있어서의 도전 단자(120)와 측벽부(213)에 있어서의 도전 단자(220)의 관계도 마찬가지이므로, 그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이하에서는, 측벽부(114)에 있어서의 규제 부재(130)와 측벽부(214)에 있어서의 규제 부재(230)의 관계를 설명하지만, 측벽부(115)에 있어서의 규제 부재(130)와 측벽부(215)에 있어서의 규제 부재(230)의 관계도 마찬가지이므로, 그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커넥터 장치(1)의 설명시에, 이하에서는 편의적으로, 실장면(S1)을 기준으로 하여 배선 기판(B1)측을 "아래"라 하고, 실장면(S1)을 기준으로 하여 대향면(S2)측을 "위"라 한다.
리셉터클 커넥터(100)와 플러그 커넥터(200)가 끼워맞춰진 상태(끼워맞춤 상태)에 있어서는, 하우징(110)의 수용 오목부(V) 내에 하우징(210)의 끼워맞춤 볼록부(W)가 수용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측벽부(112)와 중앙 벽부(116)의 사이에 측벽부(212)가 위치하고 있다. 측벽부(113)와 중앙 벽부(116)의 사이에 측벽부(213)가 위치하고 있다. 측벽부(114)와 중앙 벽부(116)의 사이에 측벽부(214)가 위치하고 있다. 측벽부(115)와 중앙 벽부(116)의 사이에 측벽부(215)가 위치하고 있다.
끼워맞춤 상태에서 보아,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접촉부(222) 및 고정부(223)는 측벽부(212)와 함께 접촉부(123) 내에 삽입되어 있다. 접촉부(222) 및 고정부(223)가 접촉부(123) 내에 삽입된 경우, 접촉부(222), 고정부(223) 및 측벽부(212)에 의해 접촉부(123)가 X 방향으로 눌러 넓혀진다. 그 때문에, 접촉부(123)가 원래의 형상으로 되돌아가려고 하는 탄성력이 접촉부(222) 및 고정부(223)에 작용하여, 돌출부(123a)가 접촉부(222)(평탄부(222a))에 접촉하는 동시에, 돌출부(123c)가 고정부(223)에 접촉한다. 즉, 접촉부(222), 고정부(223) 및 측벽부(212)가 접촉부(123)에 의해 협지된다. 이 때, 돌출부(123a)와 일체적으로 접속된 중간부(122)의 상단부도 X 방향에 있어서 외측으로 불룩해지도록 변형된다.
끼워맞춤 상태에서 보아,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접촉부(232) 및 측벽부(214)는 규제 부재(130)의 접촉부(133)를 Y 방향에 있어서 외측으로 가압하고 있다. 그 때문에, 접촉부(133)가 원래의 형상으로 되돌아가려고 하는 탄성력이 접촉부(232) 및 측벽부(214)에 작용하여, 돌출부(133b)가 접촉부(232)(평탄부(232a))에 접촉한다. 즉, 플러그 커넥터(200)가 측벽부(114)에 있어서의 규제 부재(130)와 측벽부(115)에 있어서의 규제 부재(130)에 의해 협지된다. 이 때, 돌출부(133b)와 일체적으로 접속된 중간부(132)의 하단부도 Y 방향에 있어서 외측으로 불룩해지도록 변형된다.
도전 단자(120)에 있어서의 돌출부(123a)는,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끼워맞춤 상태에서 보아, 도전 단자(220)에 있어서의 접촉부(222) 및 중앙 벽부(116)를 향하여 돌출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도전 단자(220)에 있어서의 돌출부(222b)는, 끼워맞춤 상태에서 보아, 돌출부(123a) 및 측벽부(112)를 향하여 돌출되어 있다.
규제 부재(130)에 있어서의 돌출부(133b)는,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끼워맞춤 상태에서 보아, 규제 부재(230)에 있어서의 접촉부(232) 및 측벽부(214)를 향하여 돌출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규제 부재(230)에 있어서의 돌출부(232b)는, 끼워맞춤 상태에서 보아, 규제 부재(130)에 있어서의 접촉부(133) 및 측벽부(114)를 향하여 돌출되어 있다.
[커넥터 장치의 조립 방법]
이어서, 도 10a 내지 도 14b를 참조하여, 커넥터 장치(1)의 조립 방법(제조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커넥터 장치(1)는 리셉터클 커넥터(100)와 플러그 커넥터(200)가 끼워맞춰져 이루어지므로, 구체적으로는, 리셉터클 커넥터(100)와 플러그 커넥터(200)의 끼워맞춤 과정을 설명한다. 또한, 끼워맞춤 과정의 설명에서는, 도 10a 내지 도 14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편의적으로, 실장면(S1)을 기준으로 하여 배선 기판(B1)측을 "아래"라 하고, 실장면(S1)을 기준으로 하여 대향면(S2)측을 "위"라 한다.
측벽부(112)에 있어서의 도전 단자(120)와 측벽부(212)에 있어서의 도전 단자(220)의 끼워맞춤 과정은 측벽부(113)에 있어서의 도전 단자(120)와 측벽부(213)에 있어서의 도전 단자(220)의 끼워맞춤 과정과 마찬가지이므로, 이하에서는 전자에 대하여 설명하고, 후자의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측벽부(114)에 있어서의 규제 부재(130)와 측벽부(214)에 있어서의 규제 부재(230)의 끼워맞춤 과정은 측벽부(115)에 있어서의 규제 부재(130)와 측벽부(215)에 있어서의 규제 부재(230)의 끼워맞춤 과정과 마찬가지이므로, 이하에서는 전자에 대하여 설명하고, 후자의 설명은 생략한다.
(1) 탑재 상태
우선, 도 10a 및 도 10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도전 단자(120, 220)끼리와, 규제 부재(130, 230)끼리와, 대향면(S2, S4)끼리와, 수용 오목부(V) 및 끼워맞춤 볼록부(W)가 모두 대향하도록, 리셉터클 커넥터(100)에 플러그 커넥터(200)를 탑재한다. 리셉터클 커넥터(100)에 플러그 커넥터(200)가 탑재되어 있으며, 양 커넥터(100, 200)에 외력이 부여되어 있지 않은 상태를 "탑재 상태"라 한다.
탑재 상태에서는, 도 10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돌출부(133b)의 정점(P2)보다 상측(대향면(S2)측)의 경사면과, 돌출부(232b)의 정점(P4)보다 하측(대향면(S4)측)의 경사면이 접촉한다. 그 때문에, 돌출부(133b)는 플러그 커넥터(200)의 중량을 받으면서, 그 반력을 돌출부(232b)에 부여한다. 따라서, 규제 부재(130)는 플러그 커넥터(200)를 리셉터클 커넥터(100)로부터 이격시키는 방향(이격 방향)으로 작용하는 탄성력(Arc0)(제 1 탄성력)을 돌출부(232b)에 부여하고 있다.
한편, 탑재 상태에서는, 도 10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도전 단자(120)의 돌출부(123a)와 도전 단자(220)의 돌출부(222b)는 접촉하고 있지 않다. 따라서, 도전 단자(120)와 도전 단자(220)는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지 않다.
(2) 제 1 가압 상태
다음에, 도 11a 및 도 11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탑재 상태에 있는 플러그 커넥터(200)에 압력(Pr1)을 부여하고, 리셉터클 커넥터(100)에 대하여 플러그 커넥터(200)를 압입한다. 그 때문에, 플러그 커넥터(200)는 탑재 상태보다 하방으로 이동한다. 이 때, 도 11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돌출부(232b)의 정점(P4)은 돌출부(133b)의 정점(P2)보다 상방에 있다. 이 때 상태를 "제 1 가압 상태"라 한다. 제 1 가압 상태에서는, 탑재 상태와 마찬가지로, 돌출부(232b)에는, 규제 부재(130)로부터 이격 방향으로 작용하는 탄성력(Arc1)이 부여되어 있다.
한편, 제 1 가압 상태에서는, 도 11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도전 단자(120)의 돌출부(123a)의 정점(P1)보다 상측(대향면(S2)측)의 경사면과, 도전 단자(220)의 돌출부(222b)의 정점(P3)보다 하측(대향면(S4)측)의 경사면이 접촉한다. 이 때, 돌출부(123a)는 플러그 커넥터(200)의 중량 및 압력(Pr1)을 받으면서, 그 반력을 돌출부(222b)에 부여한다. 이에 의해, 도전 단자(120)는 플러그 커넥터(200)를 리셉터클 커넥터(100)로부터 이격시키는 방향(이격 방향)으로 작용하는 탄성력(Art1)(제 3 탄성력)을 돌출부(232b)에 부여한다. 따라서, 이 시점에서 압력(Pr1)이 제하(除荷:하중의 제거)되면, 플러그 커넥터(200)가 탄성력(Arc1(도 11b 참조), Art1)에 의해 탑재 상태로 되돌려진다. 즉, 도전 단자(120)와 도전 단자(220)가 전기적으로 접속된 상태로부터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지 않은 상태로 되돌려진다.
(3) 제 2 가압 상태
다음에, 도 12a 및 도 12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 1 가압 상태에 있는 플러그 커넥터(200)에 압력(Pr2)을 부여하고, 리셉터클 커넥터(100)에 대하여 플러그 커넥터(200)를 더욱 압입한다. 그 때문에, 플러그 커넥터(200)는 제 1 가압 상태보다 하방으로 이동한다. 이 때, 도 12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돌출부(232b)의 정점(P4)은 돌출부(133b)의 정점(P2)보다 상방에 있다. 이 때 상태를 "제 2 가압 상태"라 한다. 제 2 가압 상태에서는, 돌출부(232b)에는, 규제 부재(130)로부터 이격 방향으로 작용하는 탄성력(Arc2)이 부여되어 있다.
한편, 제 2 가압 상태에서는, 도 12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돌출부(222b)의 정점(P3)과 돌출부(123a)의 정점(P1)은 대략 동일한 높이 위치에 있다. 이 때, 돌출부(222b)의 정점(P3) 및 돌출부(123a)의 정점(P1)에는, 도전 단자(120)의 접촉부(123)의 탄성력(Art2)에 의해 수평 방향으로의 힘이 작용한다. 그 때문에, 도전 단자(120)는, 돌출부(222b)에 대하여, 양 커넥터(100, 200)를 서로 이격시키는 방향에도 근접시키는 방향에도 탄성력을 부여하고 있지 않다. 따라서, 이 시점에서 압력(Pr2)이 제하되면, 플러그 커넥터(200)가 탄성력(Arc2)(도 12b 참조)에 의해 탑재 상태로 되돌려진다. 즉, 도전 단자(120)와 도전 단자(220)가 전기적으로 접속된 상태로부터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지 않은 상태로 되돌려진다.
(4) 제 3 가압 상태
다음에, 도 13a 및 도 13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 2 가압 상태에 있는 플러그 커넥터(200)에 압력(Pr3)을 부여하고, 리셉터클 커넥터(100)에 대하여 플러그 커넥터(200)를 더욱 압입한다. 그 때문에, 플러그 커넥터(200)는 제 2 가압 상태보다 더욱 하방으로 이동한다. 이 때, 도 13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돌출부(232b)의 정점(P4)은 돌출부(133b)의 정점(P2)과 대략 동일한 높이 위치에 있다. 이 때 상태를 "제 3 가압 상태"라 한다. 제 3 가압 상태에서는, 돌출부(133b)의 정점(P2)과 돌출부(232b)의 정점(P4)에는, 규제 부재(130)의 접촉부(133)의 탄성력(Arc3)에 의해 수평 방향으로의 힘이 작용한다. 그 때문에, 규제 부재(130)는, 돌출부(232b)에 대하여, 양 커넥터(100, 200)를 서로 이격시키는 방향에도 근접시키는 방향에도 탄성력을 부여하고 있지 않다.
한편, 제 3 가압 상태에서는, 도 13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돌출부(123a)의 정점(P1)보다 하측(실장면(S1)측)의 경사면과, 돌출부(222b)의 정점(P3)보다 상측(실장면(S3)측)의 경사면이 접촉한다. 돌출부(222b)는, 도전 단자(120)의 접촉부(123)의 탄성력에 의해, 돌출부(123a)를 외측을 향하여 압입하면서 하방으로 이동해간다. 그 때문에, 돌출부(123a)는 돌출부(222b)에 의한 수평 방향의 변위량이 작아져, 도전 단자(120)를 원래의 형상으로 되돌리려고 하는 반력을 돌출부(222b)에 부여한다. 따라서, 도전 단자(120)는, 플러그 커넥터(200)를 리셉터클 커넥터(100)에 근접시키는 방향(근접 방향)으로 작용하는 탄성력(Art3)(제 4 탄성력)을 돌출부(222b)에 부여한다. 그 때문에, 플러그 커넥터(200)는 탄성력(Art3)에 의해 리셉터클 커넥터(100) 내로 인입된다.
플러그 커넥터(200)가 리셉터클 커넥터(100) 내로 인입되면, 도 14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돌출부(133b)의 정점(P2)보다 하측(실장면(S1)측)의 경사면과, 돌출부(232b)의 정점(P4)보다 상측(실장면(S3)측)의 경사면이 접촉한다. 돌출부(232b)는 돌출부(133b)를 외측을 향하여 누르면서 하방으로 이동해가므로, 돌출부(133b)는, 규제 부재(130)가 원래의 형상으로 되돌아가려고 하는 반력을 돌출부(232b)에 부여한다. 따라서, 규제 부재(130)는, 플러그 커넥터(200)를 리셉터클 커넥터(100)에 근접시키는 방향(근접 방향)으로 작용하는 탄성력(Arc4)(제 2 탄성력)을 돌출부(232b)에 부여하고 있다. 이 때, 도 14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도전 단자(120)도 근접 방향으로 작용하는 탄성력(Art4)을 돌출부(222b)에 부여하고 있다. 그 때문에, 플러그 커넥터(200)는 탄성력(Arc4, Art4)에 의해 리셉터클 커넥터(100) 내에 보지되고, 도전 단자(120)와 도전 단자(220)의 전기적 접속이 안정적으로 유지된다. 이에 의해, 도 1 내지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리셉터클 커넥터(100)와 플러그 커넥터(200)의 끼워맞춤이 완료된다. 이렇게 하여, 커넥터 장치(1)가 완성된다.
[작용]
이상과 같은 본 실시형태에서는, 규제 부재(230)의 돌출부(232b)의 정점(P4)이 규제 부재(130)의 돌출부(133b)의 정점(P2)을 넘기 전의 상태(탑재 상태:제 1 및 제 2 가압 상태)에 있어서, 돌출부(133b)는, 도 11a 내지 도 12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하우징(110, 210)을 서로 이격시키는 방향으로 작용하는 탄성력(Arc0 내지 Arc2)(반발력)을 돌출부(232b)에 부여한다. 그 때문에, 돌출부(232b)의 정점(P4)이 돌출부(133b)의 정점(P2)을 넘을 때까지는, 탄성력(Arc0 내지 Arc2)이 돌출부(133b, 232b)끼리의 사이에 작용하여 하우징(110, 210)끼리를 서로 분리시켜, 리셉터클 커넥터(100)의 도전 단자(120)와 플러그 커넥터(200)의 도전 단자(220)가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지 않은 비끼워맞춤 상태로 한다. 한편, 본 실시형태에서는, 돌출부(232b)의 정점(P4)이 돌출부(133b)의 정점(P2)을 넘은 후의 상태(제 3 가압 상태)에 있어서, 돌출부(133b)는, 도 14a 및 도 14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하우징(110, 210)을 서로 근접시키는 방향으로 작용하는 탄성력(Arc4)(인입력)을 돌출부(232b)에 부여한다. 그 때문에, 돌출부(232b)의 정점(P4)이 돌출부(133b)의 정점(P2)을 넘은 후는, 탄성력(Arc4)이 돌출부(133b, 232b)끼리의 사이에 작용하여 하우징(110, 210)끼리를 서로 접근시켜, 도전 단자(120, 220)의 전기적 접속이 완료된 끼워맞춤 상태로 한다. 이렇게 하여, 도전 단자(120, 220)끼리의 전기적 접속 상태가 안정적으로 유지된다. 이상과 같이, 규제 부재(130, 230)의 사이에 있어서 발생하는 탄성력(Arc0 내지 Arc4)에 의해, 양 커넥터(100, 200)는 강제적으로 비끼워맞춤 상태 및 끼워맞춤 상태 중 어느 한쪽의 상태가 된다. 따라서, 커넥터(100, 200)끼리의 반끼워맞춤 상태를 방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도전 단자(220)의 돌출부(222b)의 정점(P3)이 도전 단자(120)의 돌출부(123a)의 정점(P1)을 넘기 전의 상태(제 1 가압 상태)에 있어서, 돌출부(123a)는, 하우징(110, 210)을 서로 이격시키는 방향으로 작용하는 탄성력(Art1)(반발력)을 돌출부(222b)에 부여한다. 그 때문에, 돌출부(222b)의 정점(P3)이 돌출부(123a)의 정점(P1)을 넘을 때까지는, 탄성력(Art1)이 돌출부(123a, 222b)끼리의 사이에 작용하여 하우징(110, 210)끼리를 서로 분리시켜, 리셉터클 커넥터(100)와 플러그 커넥터(200)가 끼워맞춰져 있지 않은 비끼워맞춤 상태로 한다. 한편, 본 실시형태에서는, 돌출부(222b)의 정점(P3)이 돌출부(123a)의 정점(P1)을 넘은 후의 상태에 있어서, 돌출부(123a)는, 하우징(110, 210)을 서로 근접시키는 방향으로 작용하는 탄성력(Art3, Art4)(인입력)을 돌출부(222b)에 부여한다. 그 때문에, 돌출부(222b)의 정점(P3)이 돌출부(123a)의 정점(P1)을 넘은 후는, 탄성력(Art3, Art4)이 돌출부(123a, 222b)끼리의 사이에 작용하여 하우징(110, 210)끼리를 서로 접근시켜, 도전 단자(120, 220)의 전기적 접속이 완료된 끼워맞춤 상태로 한다. 이상과 같이, 도전 단자(120, 220)의 사이에 있어서 발생하는 탄성력에 의해, 양 커넥터(100, 200)는 강제적으로 비끼워맞춤 상태 및 끼워맞춤 상태 중 어느 한쪽의 상태가 된다. 따라서, 커넥터(100, 200)끼리의 반끼워맞춤 상태를 더욱 방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도 13a 및 도 13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규제 부재(230)의 돌출부(232b)의 정점(P4)이 규제 부재(130)의 돌출부(133b)의 정점(P2)을 넘는 것보다 먼저, 도전 단자(220)의 돌출부(222b)의 정점(P3)이 도전 단자(120)의 돌출부(123a)의 정점(P1)을 넘어, 돌출부(123a, 222b) 사이에 있어서 탄성력(Art3)이 발생한다. 도 12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돌출부(232b)의 정점(P4)이 돌출부(133b)의 정점(P2)을 넘을 때까지 이들 돌출부(133b, 232b)의 사이에 있어서 발생하는 탄성력(Arc2)보다, 이 탄성력(Art3)은 작다. 그 때문에, 규제 부재(230)의 돌출부(232b)가 규제 부재(130)의 돌출부(133b)를 넘을 때까지는, 탄성력(Arc0 내지 Arc2)에 의해 하우징(110, 210)끼리를 서로 분리시켜, 도전 단자(120, 220)가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지 않은 비끼워맞춤 상태가 유지된다. 환언하면, 도전 단자(120)의 돌출부(123a)와 도전 단자(220)의 돌출부(222b)가 서로 걸릴 뿐만 아니라 규제 부재(130)의 돌출부(133b)와 규제 부재(230)의 돌출부(232b)가 서로 걸리는 것을 시작으로, 끼워맞춤 상태가 작출(作出)된다. 그 결과, 비끼워맞춤 상태와 끼워맞춤 상태의 사이의 반끼워맞춤 상태가 극히 생기기 어려워진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각 돌출부(123a, 133b, 222b, 232b)는 정점으로부터 상하 양 방향으로 멀어짐에 따라서 돌출량이 작아지는 산형 형상을 나타내고 있다. 그 때문에, 극히 간이한 형상에 의해, 대응하는 돌출부에 탄성력을 작용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도 5 및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리셉터클 커넥터(100)에 있어서 높이(d1)가 높이(d2)보다 작고(d1<d2), 도 8 및 도 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플러그 커넥터(200)에 있어서 높이(d3)가 높이(d4)보다 크다(d3>d4). 그 때문에, 탄성력(Art1 내지 Art4, Arc0 내지 Arc4)을 효과적으로 생기게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규제 부재(130)가 기단부(131)를 포함하며, 규제 부재(230)가 기단부(231)를 포함하고 있다. 그 때문에, 각 커넥터(100, 200)를 각각 대응하는 배선 기판(B1, B2)에 장착하는 장착부로서의 기능을 각 규제 부재(130, 230)가 동시에 갖는다. 따라서, 새로운 부재가 불필요해지므로, 구성의 간략화 및 비용의 저감을 도모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도 10a 및 도 10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탑재 상태에 있어서, 규제 부재(130)의 돌출부(133b)와 규제 부재(230)의 돌출부(232b)가 접촉하고 있지만, 도전 단자(120)의 돌출부(123a)와 도전 단자(220)의 돌출부(222b)는 접촉하고 있지 않다. 그 때문에, 도전 단자(120, 220)끼리의 사이에 전기가 흐르지 않으므로, 비끼워맞춤 상태에 있는 커넥터 장치(1)를 도통 검사의 실시에 의해 간이하게 선별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리셉터클 커넥터(100)에 있어서, 도전 단자(120)가 측벽부(112, 113)에 장착되어 있으며, 규제 부재(130)가 측벽부(114, 115)에 장착되어 있다.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플러그 커넥터(200)에 있어서, 도전 단자(220)가 측벽부(212, 213)에 장착되어 있으며, 규제 부재(230)가 측벽부(214, 215)에 장착되어 있다. 그 때문에, 도전 단자(120, 220)끼리 및 규제 부재(130, 230)끼리가 수용 오목부(V) 내에 있어서 접촉한다. 따라서, 커넥터(100, 200)끼리의 끼워맞춤 방향에 있어서, 도전 단자(120, 220)끼리 및 규제 부재(130, 230)끼리가 접촉하는 공간이 삭감된다. 따라서, 커넥터 장치(1)의 소형화를 도모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리셉터클 커넥터(100)에 있어서, 한쌍의 규제 부재(130)가 복수의 도전 단자(120)를 사이에 두도록 위치하고 있다. 플러그 커넥터(200)에 있어서, 한쌍의 규제 부재(230)가 복수의 도전 단자(220)를 사이에 두도록 위치하고 있다. 그 때문에, 이들 한쌍의 규제 부재(130, 230)끼리가 결합하는 것에 의해, 커넥터 장치(1)의 양단측에 있어서 양 커넥터(100, 200)의 끼워맞춤 상태가 보지된다. 따라서, 양 커넥터(100, 200)가 일단 끼워맞춰지면, 커넥터(100, 200)끼리가 빠지기 어려워진다.
[다른 실시형태]
이상, 본 개시에 따른 실시형태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했지만, 본 발명의 요지의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의 변형을 상기의 실시형태에 가하여도 좋다.
<a> 예를 들면, 본 실시형태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100)를 대신하여, 도 15 및 도 16에 도시하는 리셉터클 커넥터(100A)를 이용하여도 좋다. 리셉터클 커넥터(100A)는, 리셉터클 커넥터(100)와 비교하여, 측벽부(114, 115)의 형상과, 도전 단자(120)의 수와, 규제 부재(130)를 대신하여 복수의 규제 부재(140)를 갖고 있는 점에서 상이하다. 이하에서는, 주로 이들 차이점에 대하여 설명한다.
측벽부(114, 115)에는, 슬릿이 마련되어 있지 않으며, 규제 부재(130)가 장착되어 있지 않다. 또한, 도시하고 있지 않지만, 리셉터클 커넥터(100A)에 대응하는 플러그 커넥터(200)의 측벽부(214, 215)에도, 규제 부재(230)가 장착되어 있지 않다. 리셉터클 커넥터(100A)에 있어서는, 18개의 도전 단자(120)가 측벽부(112, 113)에 각각 장착되어 있다.
한쌍의 규제 부재(140)는 측벽부(112)에 있어서 복수의 도전 단자(120)를 사이에 두도록 위치하고 있다. 규제 부재(140)는 판형상의 도전 재료(예를 들면 금속 부재)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규제 부재(140)는, 도전 단자(120)와 마찬가지로, 도 1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기단부(141)(장착부)와, 중간부(142)와, 접촉부(143)를 포함한다. 접촉부(143)는 돌출부(143a)와, 만곡부(143b)와, 돌출부(143c)를 포함한다. 도전 단자(120)와 비교하면, 돌출부(143a)의 정점(P5)의 위치가 돌출부(123a)의 정점(P1)(도 6 참조)과 상이하다. 구체적으로는, 배선 기판(B1)의 표면으로부터 돌출부(143a)의 정점(P5)까지의 Z 방향에 있어서의 높이(d5)는 높이(d1)보다 높게 설정되어 있다. 즉, 정점(P5)은 정점(P1)보다 상방(대향면(S2)측)에 위치하고 있다. 또한, 도 15 및 도 16의 형태에서는, 규제 부재(140)가 도전 단자로서 기능하여도 좋다.
이어서, 도 17a 내지 도 21b를 참조하여, 리셉터클 커넥터(100A)와 플러그 커넥터(200)의 끼워맞춤 과정을 설명한다. 우선, 도 17a 및 도 17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리셉터클 커넥터(100A)에 플러그 커넥터(200)를 탑재한다. 이 때, 도전 단자(120) 및 규제 부재(140)는 각각 대응하는 도전 단자(220)와 마주본다. 또한, 규제 부재(140)에 대응하는 도전 단자(220)는 규제 부재로서 기능하여도 좋다.
탑재 상태에서는, 도 17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돌출부(143a)의 정점(P5)보다 상방(대향면(S2)측)의 경사면과, 돌출부(222b)의 정점(P3)보다 하방(대향면(S4)측)의 경사면이 접촉한다. 그 때문에, 돌출부(143a)는 플러그 커넥터(200)의 중량을 받으면서, 그 반력을 돌출부(222b)에 부여한다. 따라서, 규제 부재(140)는, 플러그 커넥터(200)를 리셉터클 커넥터(100A)로부터 이격시키는 방향으로 작용하는 탄성력(Arc0)을 돌출부(222b)에 부여하고 있다. 한편, 탑재 상태에서는, 도 17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도전 단자(120)의 돌출부(123a)와, 상기 도전 단자(120)에 대응하는 도전 단자(220)의 돌출부(222b)는 접촉하고 있지 않다. 따라서, 도전 단자(120)와 도전 단자(220)는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지 않다.
다음에, 도 18a 및 도 18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탑재 상태에 있는 플러그 커넥터(200)에 압력(Pr1)을 부여하고, 리셉터클 커넥터(100A)에 대하여 플러그 커넥터(200)를 압입한다. 이 제 1 가압 상태에서는, 도 18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돌출부(222b)에는, 규제 부재(140)로부터 이격 방향으로 작용하는 탄성력(Arc1)이 부여되어 있다. 한편, 제 1 가압 상태에서는, 도 18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돌출부(222b)에는, 대응하는 도전 단자(120)로부터 이격 방향으로 작용하는 탄성력(Art1)이 부여되어 있다. 따라서, 이 시점에서 압력(Pr1)이 제하된 경우에는, 플러그 커넥터(200)는 탄성력(Arc1, Art1)에 의해 탑재 상태로 되돌려진다. 즉, 도전 단자(120)와 도전 단자(220)가 전기적으로 접속된 상태로부터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지 않은 상태로 되돌려진다.
다음에, 도 19a 및 도 19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 1 가압 상태에 있는 플러그 커넥터(200)에 압력(Pr2)을 부여하고, 리셉터클 커넥터(100A)에 대하여 플러그 커넥터(200)를 더욱 압입한다. 이 제 2 가압 상태에서는, 도 19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돌출부(222b)의 정점(P3)은 돌출부(143a)의 정점(P5)과 대략 동일한 높이 위치에 있다. 그 때문에, 돌출부(143a)의 정점(P5) 및 돌출부(222b)의 정점(P3)에는, 규제 부재(140)의 접촉부(143)의 탄성력(Arc2)에 의해 수평 방향으로의 힘이 작용한다. 따라서, 규제 부재(140)는, 돌출부(222b)에 대하여, 양 커넥터(100A, 200)를 서로 이격시키는 방향에도 근접시키는 방향에도 탄성력을 부여하고 있지 않다. 한편, 제 2 가압 상태에서는, 도 19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돌출부(222b)에는, 대응하는 도전 단자(120)로부터 이격 방향으로 작용하는 탄성력(Art2)이 부여되어 있다. 따라서, 이 시점에서 압력(Pr2)이 제하되면, 플러그 커넥터(200)가, 탄성력(Art2)에 의해 탑재 상태로 되돌려진다. 즉, 도전 단자(120)와 도전 단자(220)가 전기적으로 접속된 상태로부터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지 않은 상태로 되돌려진다.
다음에, 도 20a 및 도 20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 2 가압 상태에 있는 플러그 커넥터(200)에 압력(Pr3)을 부여하고, 리셉터클 커넥터(100A)에 대하여 플러그 커넥터(200)를 더욱 압입한다. 이 제 3 가압 상태에서는, 도 20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돌출부(143a)의 정점(P5)보다 하측(실장면(S1)측)의 경사면과, 돌출부(222b)의 정점(P3)보다 상측(실장면(S3)측)의 경사면이 접촉한다. 돌출부(222b)는, 규제 부재(140)의 접촉부(143)의 탄성력에 의해, 돌출부(143a)를 외측을 향하여 가압하면서 하방으로 이동해간다. 그 때문에, 돌출부(143a)는, 돌출부(222b)에 의한 수평 방향의 변위량이 작아져, 규제 부재(140)를 원래의 형상으로 되돌리려고 하는 반력을 돌출부(222b)에 부여한다. 따라서, 규제 부재(140)는, 플러그 커넥터(200)를 리셉터클 커넥터(100A)에 근접시키는 방향으로 작용하는 탄성력(Arc3)을 돌출부(222b)에 부여하고 있다. 한편, 제 3 가압 상태에서는, 도 20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돌출부(123a)의 정점(P1) 및 대응하는 돌출부(222b)의 정점(P3)에는, 도전 단자(120)의 접촉부(123)의 탄성력(Art3)에 의해 수평 방향으로의 힘이 작용한다. 그 때문에, 도전 단자(120)는, 돌출부(222b)에 대하여, 양 커넥터(100A, 200)를 서로 이격시키는 방향에도 근접시키는 방향에도 탄성력을 부여하고 있지 않다. 따라서, 플러그 커넥터(200)는 탄성력(Arc3)에 의해 리셉터클 커넥터(100A) 내로 인입된다.
플러그 커넥터(200)가 리셉터클 커넥터(100A) 내로 인입되면, 도 21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접촉부(143) 내에 대응하는 도전 단자(120)가 삽입된 상태가 된다. 한편, 도 21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돌출부(123a)의 정점(P1)보다 하측(실장면(S1)측)의 경사면과, 돌출부(222b)의 정점(P3)보다 상측(실장면(S3)측)의 경사면이 접촉한다. 돌출부(222b)는 돌출부(123a)를 외측을 향하여 가압하면서 하방으로 이동해가므로, 돌출부(123a)는, 도전 단자(120)가 원래의 형상으로 되돌아가려고 하는 반력을 돌출부(222b)에 부여한다. 따라서, 도전 단자(120)는, 플러그 커넥터(200)를 리셉터클 커넥터(100A)에 근접시키는 방향으로 작용하는 탄성력(Art4)을 돌출부(222b)에 부여하고 있다. 그 때문에, 플러그 커넥터(200)는 탄성력(Art4)에 의해 리셉터클 커넥터(100A) 내로 더욱 인입된다. 이에 의해, 리셉터클 커넥터(100A)와 플러그 커넥터(200)의 끼워맞춤이 완료된다. 이렇게 하여, 커넥터 장치(1)가 완성된다.
<b> 도 22 및 도 23a 내지 도 23c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리셉터클 커넥터(100B)에 있어서, 복수의 도전 단자(120)의 각 정점(P1)은, 이들 도전 단자(120)가 나열되는 배열 방향(Y 방향)에 있어서 열의 중앙 근방으로부터 단부를 향함에 따라서 상방(대향면(S2)측)으로 순차 접근하고 있어도 좋다. 여기에서, 배열 방향에 있어서 열의 중앙 근방에 위치하는 도전 단자(120)를 "도전 단자(120A)"라 칭하고, 배열 방향에 있어서 열의 중앙 근방과 단부의 사이에 위치하는 도전 단자(120)를 "도전 단자(120B)"라 칭하고, 배열 방향에 있어서 열의 단부에 위치하는 도전 단자(120)를 "도전 단자(120C)"라 칭한다. 도 23a 내지 도 23c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파라미터(d1a, d1b, d1c)를 각각
d1a:배선 기판(B1)의 표면으로부터 도전 단자(120A)의 돌출부(123a)의 정점(P1a)까지의 Z 방향에 있어서의 높이
d1b:배선 기판(B1)의 표면으로부터 도전 단자(120B)의 돌출부(123a)의 정점(P1b)까지의 Z 방향에 있어서의 높이
d1c:배선 기판(B1)의 표면으로부터 도전 단자(120C)의 돌출부(123a)의 정점(P1c)까지의 Z 방향에 있어서의 높이
로 했을 때에, d1a<d1b<d1c를 만족하고 있다. 즉, 정점(P1a)은 정점(P1b)보다 하방(실장면(S1)측)에 위치하고 있다. 정점(P1b)은 정점(P1c)보다 하방(실장면(S1)측)에 위치하고 있다.
이 경우, 양 커넥터(100B, 200)가 끼워맞춰지는 과정에서, 우선 도전 단자(120C)의 돌출부(123a)와 도전 단자(220)의 돌출부(222b)가 결합되고, 계속해서 도전 단자(120B)의 돌출부(123a)와 도전 단자(220)의 돌출부(222b)가 결합되고, 마지막에 도전 단자(120A)의 돌출부(123a)와 도전 단자(220)의 돌출부(222b)가 결합된다. 그 때문에, 커넥터(100B, 200)가 끼워맞춰지는 과정에서, 돌출부(123a, 222b)와의 사이에 탄성력(Ar3)(인입력)이 단계적으로 작용한다. 따라서, 큰 외력을 부여하지 않아도 커넥터(100B, 200)가 끼워맞춰지기 쉬워진다.
또한, 복수의 도전 단자(120) 중 일부의 각 정점(P1)이, 배열 방향에 있어서 상방(대향면(S2)측)으로 순차 접근하고 있어도 좋다. 플러그 커넥터(200)가 갖는 복수의 도전 단자(220)에 있어서도 마찬가지이다.
<c> 도 2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한쪽의 커넥터가 고정 구멍을 갖고 있으며, 다른쪽의 커넥터가 고정편을 갖고 있어도 좋다. 구체적으로는, 도 24에서는, 리셉터클 커넥터(100C)의 측벽부(115)에는, 규제 부재(130)를 대신하여, 내측을 향하여 개구된 고정 구멍(117)이 형성되어 있다. 플러그 커넥터(200C)의 측벽부(215)에는, 규제 부재(230)를 대신하여, 외측을 향하여 돌출되는 고정편(217)이 형성되어 있다. 양 커넥터(100C, 200C)가 끼워맞춰질 때에는, 우선 고정편(217)을 고정 구멍(117)에 고정하고, 고정 구멍(117)에 고정된 고정편(217)을 지점으로 하여 플러그 커넥터(200C)를 리셉터클 커넥터(100C)에 대하여 회전하고, 측벽부(214)에 있어서의 규제 부재(230)의 돌출부(232b)를 측벽부(114)에 있어서의 규제 부재(130)의 돌출부(133b)를 걸도록 하여도 좋다.
<d> 하우징(110, 210)의 형상은 반드시 직방체 형상에 한정되지 않으며, 다른 형상(예를 들면, 입방체 형상, 다각주 형상, 원주 형상 등)이어도 좋다.
<e> 돌출부(123a, 222b) 중 적어도 한쪽이 탄성 변형되어도 좋다. 마찬가지로, 돌출부(133b, 232b) 중 적어도 한쪽이 탄성 변형되어도 좋다.
<f> 돌출부(123a, 133b, 222b, 232b)는 산형 형상을 나타내지 않아도 좋다. 예를 들면, 측벽부(112)에 마련되어 있는 돌출부(123a)는 측벽부(112)측으로부터 측벽부(113)측 또는 중앙 벽부(116)측(대응하는 도전 단자(220))을 향하여 돌출되어 있으면 좋다. 구체적으로는, 돌출부(123a) 중 정점(P1)으로부터 상방의 부분(정점(P1)과 중간부(122)의 사이의 부분)은, 정점(P1)에서 보아, 상방(대향면(S2))을 향함에 따라서 측벽부(112)에 접근하도록 경사져 있으면 좋다. 한편, 돌출부(123a) 중 정점(P1)으로부터 하방의 부분(정점(P1)과 만곡부(123b)의 사이의 부분)은, 반드시, 정점(P1)에서 보아, 하방(실장면(S1))을 향함에 따라서 측벽부(112)에 접근하도록 경사져 있지 않아도 좋다. 다른 돌출부(133b, 222b, 232b)에 있어서도 마찬가지이다.
<g> 탑재 상태에 있어서, 도전 단자(120, 220)끼리가 접촉하고 있어도 좋다.
<h> 규제 부재(130)는 복수의 도전 단자(120)를 사이에 두도록 위치하고 있지 않아도 좋다. 즉, 규제 부재(130)는 도전 단자(120)에 대하여 임의의 위치에 있어도 좋다. 규제 부재(230)에 있어서도 마찬가지이다.
<i> 리셉터클 커넥터(100)가 적어도 하나의 규제 부재(130)를 갖고 있으며, 플러그 커넥터(200)가 적어도 하나의 규제 부재(230)를 갖고 있어도 좋다.
<j> 도전 단자(120, 220)에 각각 돌출부(123a, 222b)가 존재하고 있지 않으며, 규제 부재(130, 230)의 각 돌출부(133b, 232b)만으로 양 커넥터(100, 200)의 끼워맞춤이 실행되어도 좋다.
<k> 규제 부재(130)가 장착부로서의 기능을 갖지 않고 있으며, 다른 부재에 의해 리셉터클 커넥터(100)가 배선 기판(B1)에 대하여 장착되어 있어도 좋다. 규제 부재(230)에 대해도 마찬가지이다.
<1> 규제 부재(130, 230)의 사이에 탄성력이 작용하면 되기 때문에, 규제 부재(130, 230)는 금속 이외의 다른 재료로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즉, 규제 부재(130, 230)는 수지 부재 등이어도 좋다. 규제 부재(130, 230)가 하우징(110, 210)과 동일 재료로 형성되어 있으며, 서로 일체화되어 있어도 좋다.
100: 리셉터클 커넥터
110: 하우징
114, 115: 측벽부
120: 도전 단자
130: 규제 부재
140: 규제 부재
141: 기단부
142: 중간부
143: 접촉부
200: 플러그 커넥터
210: 하우징
220: 도전 단자
230: 규제 부재

Claims (10)

  1. 제 1 절연 하우징과, 상기 제 1 절연 하우징에 장착된 복수의 제 1 도전 단자 및 적어도 하나의 제 1 규제 부재를 갖는 제 1 커넥터와,
    제 2 절연 하우징과, 상기 제 2 절연 하우징에 장착된 복수의 제 2 도전 단자 및 적어도 하나의 제 2 규제 부재를 갖는 제 2 커넥터를 구비하고,
    상기 제 1 절연 하우징에는 바닥면에 대하여 직립한 끼워맞춤 볼록부가 마련되고, 상기 제 2 절연 하우징에는 상기 끼워맞춤 볼록부를 수용 가능한 수용 오목부가 마련되어 있으며,
    상기 제 1 및 제 2 규제 부재는 각각 돌출부를 포함하며,
    상기 끼워맞춤 볼록부가 상기 수용 오목부 내에 수용된 끼워맞춤 상태에서 보아, 상기 제 1 규제 부재의 돌출부는 상기 제 2 규제 부재를 향하여 돌출되어 있는 동시에, 상기 제 2 규제 부재의 돌출부는 상기 제 1 규제 부재를 향하여 돌출되어 있으며,
    상기 제 1 및 제 2 규제 부재 중 한쪽의 돌출부는,
    상기 한쪽의 돌출부가 다른쪽의 돌출부를 넘기 전의 상태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절연 하우징을 서로 이격시키는 이격 방향으로 작용하는 제 1 탄성력을 상기 다른쪽의 돌출부에 부여하는 동시에,
    상기 한쪽의 돌출부가 다른쪽의 돌출부를 넘은 후의 상태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절연 하우징을 서로 근접시키는 근접 방향으로 작용하는 제 2 탄성력을 상기 다른쪽의 돌출부에 부여하고, 상기 제 1 도전 단자와 상기 제 2 도전 단자를 전기적으로 접속시키고,
    상기 제 1 도전 단자는, 상기 끼워맞춤 상태에서 보아, 대응하는 상기 제 2 도전 단자를 향해서 돌출되는 돌출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 2 도전 단자는, 상기 끼워맞춤 상태에서 보아, 대응하는 상기 제 1 도전 단자를 향하여 돌출하는 돌출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 1 및 제 2 도전 단자 중 한쪽의 돌출부는,
    상기 한쪽의 돌출부가 다른쪽의 돌출부를 넘기 전의 상태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절연 하우징을 서로 이격시키는 방향으로 작용하는 제 3 탄성력을 상기 다른쪽의 돌출부에 부여하는 동시에,
    상기 한쪽의 돌출부가 다른쪽의 돌출부를 넘은 후의 상태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절연 하우징을 서로 근접시키는 방향으로 작용하는 제 4 탄성력을 상기 다른쪽의 돌출부에 부여하며,
    상기 제 1 및 제 2 도전 단자 중 한쪽의 돌출부가 다른쪽의 돌출부를 넘은 후에 또한 상기 제 1 및 제 2 규제 부재 중 한쪽의 돌출부가 다른쪽의 돌출부를 넘기 전의 상태에 있어서, 상기 제 4 탄성력은 상기 제 1 탄성력보다 작은
    커넥터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도전 단자 중 한쪽의 돌출부는, 정점으로부터 상기 이격 방향 및 상기 근접 방향으로 멀어짐에 따라서 돌출량이 작아지는 산형 형상을 나타내는
    커넥터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절연 하우징은, 상기 제 1 커넥터가 제 1 배선 기판에 실장된 상태에서 상기 제 1 배선 기판에 대하여 덮이는 제 1 실장면과, 상기 제 1 실장면과 대향하며 또한 상기 바닥면에 대하여 직립한 상기 끼워맞춤 볼록부의 선단측에 위치하는 제 1 대향면을 포함하며,
    상기 제 2 절연 하우징은, 상기 제 2 커넥터가 제 2 배선 기판에 실장된 상태에서 상기 제 2 배선 기판에 대하여 덮이는 제 2 실장면과, 상기 제 2 실장면과 대향하며 또한 상기 수용 오목부의 개구측에 위치하는 제 2 대향면을 포함하며,
    상기 제 1 및 제 2 규제 부재의 돌출부는 함께, 정점으로부터 상기 이격 방향 및 상기 근접 방향으로 멀어짐에 따라서 돌출량이 작아지는 산형 형상을 나타내며,
    제 1 및 제 2 도전 단자의 돌출부는 함께, 정점으로부터 상기 이격 방향 및 상기 근접 방향으로 멀어짐에 따라서 돌출량이 작아지는 산형 형상을 나타내며,
    (A) 상기 제 1 도전 단자의 돌출부의 정점은, 상기 이격 방향 및 상기 근접 방향에 있어서 상기 제 1 규제 부재의 돌출부의 정점보다 상기 제 1 대향면측에 위치하는 동시에, 상기 제 2 규제 부재의 돌출부의 정점은, 상기 이격 방향 및 상기 근접 방향에 있어서 상기 제 2 도전 단자의 돌출부의 정점보다 상기 제 2 대향면측에 위치하거나, 또는, (B) 상기 제 1 규제 부재의 돌출부의 정점은, 상기 이격 방향 및 상기 근접 방향에 있어서 상기 제 1 도전 단자의 돌출부의 정점보다 상기 제 1 대향면측에 위치하는 동시에, 상기 제 2 도전 단자의 돌출부의 정점은, 상기 이격 방향 및 상기 근접 방향에 있어서 상기 제 2 규제 부재의 돌출부의 정점보다 상기 제 2 대향면측에 위치하는
    커넥터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규제 부재는 상기 제 1 배선 기판에 대하여 장착되는 장착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 2 규제 부재는 상기 제 2 배선 기판에 대하여 장착되는 장착부를 포함하는
    커넥터 장치.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끼워맞춤 볼록부가 상기 수용 오목부 내에 수용되어 있지 않으며 또한 외력이 부여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서는, 상기 제 1 및 제 2 규제 부재끼리가 접촉하고 있지만 상기 제 1 및 제 2 도전 단자끼리가 접촉하고 있지 않은
    커넥터 장치.
  6.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끼워맞춤 볼록부와 상기 수용 오목부는 함께, 상기 끼워맞춤 상태에서 보아 서로 대향하는 벽부를 갖고,
    상기 제 1 규제 부재 및 상기 제 1 도전 단자는 상기 수용 오목부의 벽부에 배치되며,
    상기 제 2 규제 부재 및 상기 제 2 도전 단자는 상기 끼워맞춤 볼록부의 벽부에 배치되며,
    상기 제 1 규제 부재 및 상기 제 1 도전 단자의 각 돌출부는, 상기 끼워맞춤 상태에서 보아 상기 끼워맞춤 볼록부의 벽부로부터 외측을 향하여 돌출되어 있으며,
    상기 제 2 규제 부재 및 상기 제 2 도전 단자의 각 돌출부는, 상기 끼워맞춤 상태에서 보아 상기 수용 오목부의 벽부로부터 내측을 향하여 돌출되어 있는
    커넥터 장치.
  7.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커넥터는 한쌍의 상기 제 1 규제 부재를 갖고,
    상기 제 2 커넥터는 한쌍의 상기 제 2 규제 부재를 갖고,
    한쌍의 상기 제 1 규제 부재는, 복수의 상기 제 1 도전 단자가 나열되는 방향에 있어서 복수의 상기 제 1 도전 단자를 사이에 두도록 위치하고 있으며,
    한쌍의 상기 제 2 규제 부재는, 복수의 상기 제 2 도전 단자가 나열되는 방향에 있어서 복수의 상기 제 2 도전 단자를 사이에 두도록 위치하고 있는
    커넥터 장치.
  8. 삭제
  9. 삭제
  10. 삭제
KR1020170147919A 2016-12-21 2017-11-08 커넥터 장치 Active KR10197223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6247625A JP6512210B2 (ja) 2016-12-21 2016-12-21 コネクタ装置
JPJP-P-2016-247625 2016-12-2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72533A KR20180072533A (ko) 2018-06-29
KR101972237B1 true KR101972237B1 (ko) 2019-04-24

Family

ID=606295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47919A Active KR101972237B1 (ko) 2016-12-21 2017-11-08 커넥터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0230185B2 (ko)
EP (1) EP3340389A1 (ko)
JP (1) JP6512210B2 (ko)
KR (1) KR101972237B1 (ko)
CN (1) CN108232503B (ko)
TW (1) TWI652862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512210B2 (ja) * 2016-12-21 2019-05-15 第一精工株式会社 コネクタ装置
US11095059B2 (en) 2019-04-25 2021-08-17 Molex, Llc Connector
JP7364363B2 (ja) 2019-04-25 2023-10-18 モレックス エルエルシー コネクタ
JP2021026981A (ja) * 2019-08-08 2021-02-22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ヘッダ及びこれを用いたコネクタ
CN214849145U (zh) * 2020-05-13 2021-11-23 日本航空电子工业株式会社 连接器
CN116325382A (zh) * 2020-08-28 2023-06-23 Ls美创有限公司 基板连接器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68904A (ja) * 1999-03-15 2000-09-29 Jst Mfg Co Ltd Fpc接続用コネクタ
JP2005050702A (ja) * 2003-07-29 2005-02-24 Tyco Electronics Amp Kk コネクタ組立体

Family Cites Families (3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120256A (en) * 1991-07-16 1992-06-09 Walden John D Retention system for a connector housing
TW467423U (en) * 2000-10-26 2001-12-01 Hon Hai Prec Ind Co Ltd Electrical connector
US6500013B1 (en) * 2002-02-06 2002-12-31 Speed Tech Corp. Connector assembling structure
JP2004055306A (ja) * 2002-07-18 2004-02-19 Yamaichi Electronics Co Ltd 基板接続用コネクタ
JP2005038779A (ja) * 2003-07-17 2005-02-10 Fci Asia Technology Pte Ltd コネクタ
JP2005294036A (ja) * 2004-03-31 2005-10-20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コネクタ及びその製造方法
KR20080008827A (ko) * 2006-07-21 2008-01-24 엘지전자 주식회사 연결잭 내장형 휴대용 디지털기기
TWM335832U (en) 2008-01-18 2008-07-01 Jiangsu Famfull Electronics Co Ltd Board-to-board electrical connector
JP4849145B2 (ja) * 2009-03-24 2012-01-11 パナソニック電工株式会社 ソケットとヘッダの嵌合状態を保持するロック機構を備えたコネクタ及びコネクタの製造方法
JP4784673B2 (ja) * 2009-03-24 2011-10-05 パナソニック電工株式会社 コネクタ
JP5498883B2 (ja) * 2010-04-27 2014-05-21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電気コネクタ
JP5647434B2 (ja) 2010-05-14 2014-12-24 ティーイー コネクティビティ ネーデルランド ビーヴイTE Connectivity Nederland BV 嵌合完了検知スイッチ付きコネクタ
JP5890117B2 (ja) * 2011-07-07 2016-03-22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
JP5884036B2 (ja) * 2011-08-31 2016-03-15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ヘッダならびに当該ヘッダを用いたコネクタ
JP2013101909A (ja) * 2011-10-14 2013-05-23 Molex Inc コネクタ
JP6091055B2 (ja) * 2011-10-19 2017-03-08 タイコエレクトロニクスジャパン合同会社 コネクタおよびコネクタ組立体
JP5866129B2 (ja) 2012-01-13 2016-02-17 日本圧着端子製造株式会社 一対の嵌合確認電気コネクタ
JP5708942B2 (ja) * 2012-12-28 2015-04-30 第一精工株式会社 配線基板連結装置
WO2014132284A1 (ja) * 2013-02-27 2014-09-04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コネクタおよび当該コネクタに用いられるヘッダならびにソケット
WO2014132285A1 (ja) * 2013-02-27 2014-09-04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コネクタおよび当該コネクタに用いられるヘッダならびにソケット
KR101809339B1 (ko) * 2013-02-27 2017-12-14 파나소닉 아이피 매니지먼트 가부시키가이샤 커넥터 및 상기 커넥터에 이용되는 헤더 및 소켓
JP6199666B2 (ja) * 2013-09-04 2017-09-20 モレックス エルエルシー 基板対基板コネクタ
JP6268913B2 (ja) * 2013-10-23 2018-01-31 第一精工株式会社 基板接続用電気コネクタ装置
JP5881666B2 (ja) * 2013-11-19 2016-03-09 京セラコネクタプロダクツ株式会社 リセプタクルコネクタの製造方法
JP5887326B2 (ja) * 2013-12-12 2016-03-16 モレックス エルエルシー コネクタ
JP2015185310A (ja) * 2014-03-24 2015-10-22 タイコエレクトロニクスジャパン合同会社 コネクタ組立体
JP6167997B2 (ja) * 2014-06-05 2017-07-26 株式会社村田製作所 コネクタセット及びコネクタ
JP6034339B2 (ja) * 2014-07-29 2016-11-30 ヒロセ電機株式会社 回路基板用電気コネクタ
JP2016038937A (ja) 2014-08-05 2016-03-22 京セラコネクタプロダクツ株式会社 コネクタ
JP6473990B2 (ja) * 2014-08-07 2019-02-27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コネクタおよび当該コネクタに用いられるソケット
JP6056835B2 (ja) * 2014-11-14 2017-01-11 第一精工株式会社 基板接続用電気コネクタ及び基板接続用電気コネクタ装置
JP2016207407A (ja) 2015-04-21 2016-12-08 第一精工株式会社 相互係合コネクタ装置
CN107534234B (zh) * 2015-05-01 2020-01-07 株式会社村田制作所 多极连接器
CN106356656A (zh) * 2015-07-17 2017-01-25 连展科技(深圳)有限公司 板对板连接器组件及其插座连接器与插头连接器
CN105048179B (zh) * 2015-08-04 2024-09-27 连展科技(深圳)有限公司 板对板插头连接器及板对板插座连接器
JP6002297B2 (ja) * 2015-08-25 2016-10-05 ヒロセ電機株式会社 電気コネクタ組立体及びレセプタクルコネクタ
JP6399063B2 (ja) * 2016-09-07 2018-10-03 第一精工株式会社 電気コネクタ及びコネクタ装置
JP6512210B2 (ja) * 2016-12-21 2019-05-15 第一精工株式会社 コネクタ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68904A (ja) * 1999-03-15 2000-09-29 Jst Mfg Co Ltd Fpc接続用コネクタ
JP2005050702A (ja) * 2003-07-29 2005-02-24 Tyco Electronics Amp Kk コネクタ組立体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80175525A1 (en) 2018-06-21
TWI652862B (zh) 2019-03-01
CN108232503B (zh) 2019-12-27
JP2018101559A (ja) 2018-06-28
US10230185B2 (en) 2019-03-12
KR20180072533A (ko) 2018-06-29
TW201824659A (zh) 2018-07-01
CN108232503A (zh) 2018-06-29
JP6512210B2 (ja) 2019-05-15
EP3340389A1 (en) 2018-06-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72237B1 (ko) 커넥터 장치
JP6446109B1 (ja) コネクタ
JP7207975B2 (ja) コネクタ
KR101660093B1 (ko) 전기 커넥터
JP5001740B2 (ja) 電気コネクタ
US9502815B2 (en) Electrical connector
EP3413398B1 (en) Multi-contact connector
CN104253337B (zh) 连接器以及在该连接器中使用的插头件及插口件
CN104253325B (zh) 连接器以及在该连接器中使用的插头件及插口件
CN104253345B (zh) 连接器以及在该连接器中使用的插头件及插口件
CN114830453A (zh) 连接器及电子设备
JP7139929B2 (ja) ハーネス部品
KR20180073480A (ko) 커넥터 및 커넥터의 제조 방법
US7077674B2 (en) Board attachment type electrical connector
JP7139139B2 (ja) コネクタ
JP7002437B2 (ja) コネクタ
JP5069181B2 (ja) プラグインコネクタ
JP7136581B2 (ja) コネクタ
KR100463641B1 (ko) 커넥터
JP2022008055A (ja) 端子
JP2022060207A (ja) コネクタ
JP2018152271A (ja) 接触端子、ベースコンタクト及びアウタコンタクト
JP2014093134A (ja) 電気コネク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71108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8092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90319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90418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90418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408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