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968929B1 - 센서 기판, 이의 제조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센싱 표시 패널 - Google Patents

센서 기판, 이의 제조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센싱 표시 패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68929B1
KR101968929B1 KR1020120100387A KR20120100387A KR101968929B1 KR 101968929 B1 KR101968929 B1 KR 101968929B1 KR 1020120100387 A KR1020120100387 A KR 1020120100387A KR 20120100387 A KR20120100387 A KR 20120100387A KR 101968929 B1 KR101968929 B1 KR 1019689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de
layer
unit
pattern
color filte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003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34979A (ko
Inventor
김덕성
김동윤
박주용
편재진
Original Assignee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1003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68929B1/ko
Priority to US13/870,122 priority patent/US9041869B2/en
Priority to JP2013118427A priority patent/JP6214224B2/ja
Priority to CN201910312251.6A priority patent/CN110007502A/zh
Priority to CN201310412225.3A priority patent/CN103677399B/zh
Publication of KR201400349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34979A/ko
Priority to US14/702,973 priority patent/US9268358B2/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689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68929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8Input devices, e.g. touch pane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 G06F3/0443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using a single layer of sensing electrode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43Electrodes
    • G02F1/134309Electrodes characterised by their geometrical arrangement
    • G02F1/134363Electrodes characterised by their geometrical arrangement for applying an electric field parallel to the substrate, i.e. in-plane switching [IP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6Liquid crystal cell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a semi-conducting layer or substrate, e.g. cells forming part of an integrated circuit
    • G02F1/1362Active matrix addressed cells
    • G02F1/136286Wiring, e.g. gate line, drain lin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84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related to integrated I/O peripherals not covered by groups G06F1/1635 - G06F1/1675
    • G06F1/169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related to integrated I/O peripherals not covered by groups G06F1/1635 - G06F1/1675 the I/O peripheral being an integrated pointing device, e.g. trackball in the palm rest area, mini-joystick integrated between keyboard keys, touch pads or touch strip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2Digitisers structurally integrated in a displa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 G06F3/0446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using a grid-like structure of electrodes in at least two directions, e.g. using row and column electrode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FINORGANIC 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 H10F71/00Manufacture or treatment of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FINORGANIC 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 H10F77/00Constructional details of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10F77/40Optical elements or arrangement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20Filters
    • G02B5/201Filters in the form of array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509Filters, e.g. light shielding masks
    • G02F1/133514Colour filt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1 - G06F3/045
    • G06F2203/04103Manufacturing, i.e. details related to manufacturing processes specially suited for touch sensitive de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1 - G06F3/045
    • G06F2203/04107Shielding in digitiser, i.e. guard or shielding arrangements, mostly for capacitive touchscreens, e.g. driven shields, driven groun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1 - G06F3/045
    • G06F2203/04111Cross over in capacitive digitiser, i.e. details of structures for connecting electrodes of the sensing pattern where the connections cross each other, e.g. bridge structures comprising an insulating layer, or vias through substrat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1 - G06F3/045
    • G06F2203/04112Electrode mesh in capacitive digitiser: electrode for touch sensing is formed of a mesh of very fine, normally metallic, interconnected lines that are almost invisible to see. This provides a quite large but transparent electrode surface, without need for ITO or similar transparent conductive material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Geometry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Liquid Crystal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 Optical Filter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Abstract

센서 기판은 기판 상에 배치된 차광 패턴과, 상기 차광 패턴이 배치된 영역 내에 배치되고 그물 구조로 연결된 라인들을 포함하는 제1 단위부를 포함하고, 복수의 제1 단위부들이 제1 방향으로 배열된 제1 전극과, 상기 제1 단위부들을 노출하는 복수의 콘택홀들이 형성된 컬러 필터층, 및 상기 콘택홀들을 통해 상기 제1 단위부들을 서로 연결하는 브릿지 라인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차광 패턴이 배치된 영역 내에 배치되고 그물 구조로 연결된 라인들을 포함하는 제2 단위부를 포함하고, 복수의 제2 단위부들이 상기 제1 방향과 교차하는 제2 방향으로 배열된 제2 전극, 및 상기 라인들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제2 단위부들을 서로 연결하는 연결 라인을 포함한다. 이에 따르면, 상기 센서 기판의 제조 공정을 간단화할 수 있고, 또한, 터치 센싱의 구동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센서 기판, 이의 제조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센싱 표시 패널{SENSOR SUBSTRATE,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AND SENSING DISPLAY PANEL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센서 기판, 이의 제조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센싱 표시 패널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제조 공정을 간단화하기 위한 센서 기판, 이의 제조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센싱 표시 패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액정 표시 장치는 두께가 얇고 무게가 가벼우며 전력소모가 낮은 장점이 있어, 모니터, 노트북, 휴대폰 등에 주로 사용된다. 이러한 액정 표시장치는 액정의 광투과율을 이용하여 영상을 표시하는 액정 표시 패널 및 상기 액정 표시 패널의 하부에 배치되어 상기 액정 표시 패널로 광을 제공하는 백라이트 어셈블리를 포함한다.
상기 액정 표시 패널은 신호선, 박막 트랜지스터 및 화소 전극을 갖는 어레이 기판, 상기 어레이 기판과 대향하며 공통 전극을 갖는 대향 기판, 및 상기 어레이 기판과 상기 대향 기판 사이에 개재된 액정층을 포함한다.
최근, 상기 액정 표시 패널에, 터치 위치를 센싱하는 필름 형태의 터치 센서 패널(Touch Sensor Panel : TSP)을 부착하여 상기 액정 표시 장치를 표시 기능과 터치 센서 기능을 동시에 수행하는 기술이 개발되고 있다. 그러나, 상기 필름 형태의 상기 터치 센서 패널이 부착된 액정 표시 장치는 터치 센서 패널과 액정 표시 패널의 사이에서 발생된 빛 간섭으로 인해 광효율이 저하되는 문제점을 갖는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상기 액정 표시 패널에 터치 센서를 내장하는 터치 센서 내장형 액정 표시 패널이 개발되고 있다.
상기 터치 센서 내장형 액정 표시 패널은 표시를 위한 신호 배선과 화소 전극 이외에 터치 위치를 센싱하기 위한 센서 배선을 더 포함한다. 이에 따라서, 액정 표시 패널의 제조 공정에 비해 공정수가 증가하는 단점을 갖는다.
이에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이러한 점에서 착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제조 공정을 간단화하기 위한 센서 기판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센서 기판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센서 기판을 포함하는 센싱 표시 패널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일 실시예에 따른 센서 기판은 기판 상에 배치된 차광 패턴, 상기 차광 패턴이 배치된 영역 내에 배치되고 그물 구조로 연결된 라인들을 포함하는 제1 단위부를 포함하고, 복수의 제1 단위부들이 제1 방향으로 배열된 제1 전극, 상기 제1 단위부들을 노출하는 복수의 콘택홀들이 형성된 컬러 필터층, 및 상기 콘택홀들을 통해 상기 제1 단위부들을 서로 연결하는 브릿지 라인을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센서 기판은 상기 차광 패턴이 배치된 영역 내에 배치되고 그물 구조로 연결된 라인들을 포함하는 제2 단위부를 포함하고, 복수의 제2 단위부들이 상기 제1 방향과 교차하는 제2 방향으로 배열된 제2 전극 및 상기 라인들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제2 단위부들을 서로 연결하는 연결 라인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브릿지 라인은 투명 도전층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컬러 필터층 위에 배치되고, 상기 콘택홀들에 대응하여 홀이 형성된 오버 코팅층을 더 포함하고, 상기 브릿지 라인은 상기 콘택홀들을 통해 상기 제1 단위부들과 접촉되어 상기 오버 코팅층 위에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1 및 제2 전극에 신호를 인가하는 복수의 패드들을 더 포함하고, 각 패드는 금속층으로 형성된 패드 전극 및 투명 도전층으로 형성된 캡핑 전극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브릿지 라인은 금속층 및 투명 도전층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브릿지 라인은 상기 콘택홀들을 통해 상기 제1 단위부들과 접촉되어 상기 컬러 필터층 위에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컬러 필터층은 상기 차광 패턴에 의해 정의된 화소 영역에 섬 형상으로 배치된 컬러 패턴, 및 상기 제1 단위부들의 이격 영역에 배치되고 상기 컬러 패턴 보다 얇은 두께를 갖는 더미 컬러 패턴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브릿지 라인은 상기 콘택홀들을 통해 상기 제1 단위부들과 접촉되어 상기 더미 컬러 패턴 위에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컬러 필터층 및 상기 브릿지 라인 위에 배치된 오버 코팅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1 및 제2 전극에 신호를 인가하는 복수의 패드들을 더 포함하고, 각 패드는 제1 금속층 및 제2 금속층으로 형성된 패드 전극, 상기 패드 전극을 덮고, 투명 도전층으로 형성된 캡핑 전극, 및 상기 캡핑 전극의 상부를 부분적으로 노출하는 홀이 형성된 오믹 코팅 패턴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센서 기판은 기판 상에 배치된 차광 패턴, 상기 차광 패턴이 배치된 영역 내에 배치되고 그물 구조로 연결된 제1 라인들을 포함하는 제1 단위부를 포함하고, 복수의 제1 단위부들이 제1 방향으로 배열된 제1 전극, 상기 제1 전극을 덮도록 상기 기판 상에 배치된 절연층, 상기 절연층 상에 배치되고, 상기 차광 패턴이 배치된 영역 내에 배치되고 그물 구조로 연결된 제2 라인들을 포함하는 제2 단위부를 포함하고, 복수의 제2 단위부들이 상기 제1 방향과 교차하는 제2 방향으로 배열된 제2 전극, 상기 제2 전극 위에 배치된 컬러 필터층, 및 상기 컬러 필터층 위에 배치된 오버 코팅층을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1 및 제2 전극에 신호를 인가하는 복수의 패드들을 더 포함하고, 각 패드는 금속층으로 형성된 패드 전극, 및 상기 패드 전극의 상부를 부분적으로 노출하는 홀이 형성된 오믹 코팅 패턴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일 실시예에 따른 센서 기판의 제조 방법은 기판 상에 차광 패턴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차광 패턴이 형성된 영역 내에 배치되고 그물 구조로 연결된 제1 라인들을 포함하는 제1 단위부를 포함하고 복수의 제1 단위부들이 제1 방향으로 배열된 제1 전극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제1 단위부들을 노출하는 복수의 콘택홀들이 형성된 컬러 필터층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콘택홀들을 통해 상기 제1 단위부들을 서로 연결하는 브릿지 라인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1 전극을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차광 패턴이 형성된 영역 내에 배치되고 그물 구조로 연결된 제2 라인들을 포함하는 제2 단위부를 포함하고 복수의 제2 단위부들이 상기 제1 방향과 교차하는 제2 방향으로 배열된 제2 전극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단위부들은 상기 제2 라인들이 상기 제2 방향으로 연장되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브릿지 라인은 투명 도전층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컬러 필터층 위에 상기 콘택홀들에 대응하여 홀이 형성된 오버 코팅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브릿지 라인은 상기 홀과 상기 콘택홀들을 통해 상기 제1 단위부과 접촉되어 상기 오버 코팅층 위에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1 및 제2 전극에 신호를 인가하는 복수의 패드들을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각 패드는 금속층으로 형성된 패드 전극 및 상기 패드 전극을 덮고 투명 도전층으로 형성된 캡핑 전극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브릿지 라인은 금속층 및 투명 도전층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브릿지 라인은 상기 콘택홀들을 통해 상기 제1 단위부들과 접촉되어 상기 컬러 필터층 위에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컬러 필터층을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차광 패턴에 의해 정의된 화소 영역에 섬 형상으로 배치된 컬러 패턴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단위부들의 이격 영역에 배치되고 상기 컬러 패턴 보다 얇은 두께를 갖는 더미 컬러 패턴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브릿지 라인은 상기 콘택홀들을 통해 상기 제1 단위부들과 접촉되어 상기 더미 컬러 패턴 위에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컬러 필터층 및 상기 브릿지 라인이 형성된 기판 상에 오버 코팅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1 및 제2 전극에 신호를 인가하는 복수의 패드들을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각 패드는 제1 금속층 및 제2 금속층으로 형성된 패드 전극, 상기 패드 전극을 덮고 투명 도전층으로 형성된 캡핑 전극 및 상기 캡핑 전극의 상부를 부분적으로 노출하는 홀이 형성된 오믹 코팅 패턴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센서 기판의 제조 방법은 기판 상에 배치된 차광 패턴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차광 패턴이 형성된 영역 내에 배치되고 그물 구조로 연결된 제1 라인들을 포함하는 제1 단위부를 포함하고 복수의 제1 단위부들이 제1 방향으로 배열된 제1 전극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제1 전극이 형성된 상기 기판 상에 절연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차광 패턴이 형성된 영역 내에 배치되고 그물 구조로 연결된 제2 라인들을 포함하는 제2 단위부를 포함하고 복수의 제2 단위부들이 상기 제1 방향과 교차하는 제2 방향으로 배열된 제2 전극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제2 전극 위에 컬러 필터층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컬러 필터층 위에 배치된 오버 코팅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1 및 제2 전극에 신호를 인가하는 복수의 패드들을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각 패드는 금속층으로 형성된 패드 전극, 및 상기 패드 전극의 상부를 부분적으로 노출하는 홀이 형성된 오믹 코팅 패턴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일 실시예에 따른 센싱 표시 패널은 제1 기판 상에 배치된 차광 패턴, 상기 차광 패턴이 배치된 영역 내에 배치된 라인들이 그물 구조로 연결된 제1 단위부를 포함하고, 복수의 제1 단위부들이 제1 방향으로 배열된 제1 전극, 상기 제1 단위부들을 노출하는 복수의 콘택홀들이 형성된 컬러 필터층 및 상기 콘택홀들을 통해 상기 제1 단위부들을 서로 연결하는 브릿지 라인을 포함하는 센서 기판, 및 상기 제1 기판과 대향하는 제2 기판 상에 배치된 복수의 스위칭 소자들, 상기 스위칭 소자들과 연결된 복수의 화소 전극들 및 적어도 하나의 화소 전극과 중첩된 공통 전극을 포함하는 표시 기판을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센서 기판은 상기 차광 패턴이 배치된 영역 내에 배치된 라인들이 그물 구조로 연결된 제2 단위부를 포함하고, 복수의 제2 단위부들이 상기 제1 방향과 교차하는 제2 방향으로 배열된 제2 전극, 및 상기 라인들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제2 단위부들을 서로 연결하는 연결 라인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브릿지 라인은 투명 도전층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센서 기판은 상기 컬러 필터층 위에 배치되고, 상기 콘택홀들에 대응하여 홀이 형성된 오버 코팅층을 더 포함하고, 상기 브릿지 라인은 상기 콘택홀들을 통해 상기 제1 단위부들과 접촉되어 상기 오버 코팅층 위에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센서 기판은 상기 제1 및 제2 전극에 신호를 인가하는 복수의 패드들을 더 포함하고, 각 패드는 금속층으로 형성된 패드 전극 및 투명 도전층으로 형성된 캡핑 전극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브릿지 라인은 금속층 및 투명 도전층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브릿지 라인은 상기 콘택홀들을 통해 상기 제1 단위부들과 접촉되어 상기 컬러 필터층 위에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컬러 필터층은 상기 차광 패턴에 의해 정의된 화소 영역에 섬 형상으로 배치된 컬러 패턴, 및 상기 제1 단위부들의 이격 영역에 배치되고 상기 컬러 패턴 보다 얇은 두께를 갖는 더미 컬러 패턴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브릿지 라인은 상기 콘택홀들을 통해 상기 제1 단위부들과 접촉되어 상기 더미 컬러 패턴 위에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컬러 필터층 및 상기 브릿지 라인 위에 배치된 오버 코팅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센서 기판은 상기 제1 및 제2 전극에 신호를 인가하는 복수의 패드들을 더 포함하고, 각 패드는 제1 금속층 및 제2 금속층으로 형성된 패드 전극, 상기 패드 전극을 덮고, 투명 도전층으로 형성된 캡핑 전극, 및 상기 캡핑 전극의 상부를 부분적으로 노출하는 홀이 형성된 오믹 코팅 패턴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센서 기판의 제조 공정을 간단화할 수 있고, 또한, 터치 센싱의 구동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센싱 표시 패널에 평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A 부분에 대한 확대도이다.
도 3은 도 2의 I-I'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2의 II-II'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5a 내지 도 5e는 도 4에 도시된 센서 기판의 제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들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센싱 표시 패널의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6의 III-III'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8a 내지 도 8e는 도 7에 도시된 센서 기판의 제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들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센싱 표시 패널의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센싱 표시 패널의 단면도이다.
도 11a 내지 도 11e는 도 10에 도시된 센서 기판의 제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들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센싱 표시 패널의 단면도이다.
도 13a 내지 도 13d는 도 12에 도시된 센서 기판의 제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들이다.
도 14a 내지 도 14d는 도 12에 도시된 센서 기판의 제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들이다.
이하,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센싱 표시 패널에 평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A 부분에 대한 확대도이다. 도 3은 도 2의 I-I'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2의 II-II'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센싱 표시 패널(500)은 액티브 영역(AA) 및 상기 액티브 영역(AA)을 둘러싸는 주변 영역(PA)을 포함하고, 표시 기판(100), 센서 기판(200), 액정층(300) 및 컬럼 스페이서(400)를 포함한다. 상기 액티브 영역(AA)은 터치가 센싱되고 영상이 표시되는 영역이고, 상기 주변 영역(PA)은 상기 터치 센싱 및 영상 표시를 위한 구동 회로 등이 실장될 수 있다.
상기 표시 기판(100)은 제1 베이스 기판(101)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베이스 기판(101)의 상기 액티브 영역(AA)에 배치된 복수의 게이트 라인들(GL), 복수의 공통 라인들(VL), 복수의 데이터 라인들(DL), 복수의 스위칭 소자들(TR), 복수의 화소 전극들(PE) 및 공통 전극(CE)을 포함한다.
상기 게이트 배선(GL)은 제1 방향(D1)으로 연장되고 상기 제1 방향(D1)과 교차하는 제2 방향(D2)으로 배열된다. 상기 공통 라인(VL)은 상기 게이트 라인(GL)과 인접하고 평행하게 배열된다. 상기 데이터 라인(DL)은 상기 제2 방향(D2)으로 연장되고 상기 제1 방향(D1)으로 배열된다. 상기 스위칭 소자(TR)는 상기 게이트 라인(GL)에 연결된 게이트 전극(GE), 상기 데이터 라인(DL)에 연결된 소스 전극(SE) 및 상기 화소 전극(PE)에 연결된 드레인 전극(DE)을 포함한다.
상기 화소 전극(PE)은 투명 도전층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1 베이스 기판(101)의 화소 영역(P)에 배치된다. 상기 공통 전극(CE)은 투명 도전층으로 형성되고, 상기 공통 라인(VL)과 콘택홀을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적어도 하나의 화소 영역(P)에 배치된 상기 화소 전극과 중첩된다. 상기 공통 전극(CE)은 복수의 슬릿 패턴이 형성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표시 기판(100)은 게이트 절연층(110) 및 보호층(120)을 더 포함한다. 상기 게이트 절연층(110)은 상기 게이트 전극(GE), 상기 게이트 라인(GL) 및 상기 공통 라인(VL)을 포함하는 게이트 패턴을 덮는다. 상기 보호층(120)은 상기 데이터 라인(DL), 상기 소스 전극(SE) 및 상기 드레인 전극(DE)을 포함하는 소스 패턴을 덮는다.
상기 센서 기판(200)은 제2 베이스 기판(201)을 포함하고, 상기 제2 베이스 기판(201)의 상기 액티브 영역(AA)에 배치된 차광 패턴(BM), 복수의 제1 전극들(TE), 복수의 제2 전극들(RE), 컬러 필터층(CFL) 및 오버 코팅층(OC)을 포함하고, 상기 주변 영역(PA)내에 포함된 패드 영역(PDA)에 배치된 복수의 패드들(PP)을 포함한다. 이하에서는 상기 제1 전극들(TE)은 구동 전극들로 명칭하고, 상기 제2 전극들(RE)은 센싱 전극들로 명칭한다.
상기 차광 패턴(BM)은 상기 제2 베이스 기판(201) 상에 배치되어 광을 투과하는 투과 영역과 광을 차단하는 차단 영역을 정의하며, 상기 투과 영역은 상기 화소 영역(P)에 대응한다.
상기 복수의 구동 전극들(TE)은 상기 제1 방향(D1)으로 연장되고, 상기 제2 방향(D2)으로 배열된다. 상기 구동 전극들(TE)은 정전식 터치 방식에 따라서 순차적으로 구동 신호를 전달한다. 각 구동 전극(TE)은 상기 제1 방향(D1)으로 배열된 복수의 구동 단위부들(TU1, TU2) 및 상기 제1 방향(D1)으로 인접한 상기 구동 단위부들(TU1, TU2)을 서로 연결하는 복수의 브릿지 라인들(BL)을 포함한다. 상기 구동 단위부(TU1, TU2)는 마름모 형상을 가지고, 그물 구조로 배열된 복수의 구동 라인들(TL)을 포함한다. 각 구동 라인(TL)은 상기 차광 패턴(BM)이 배치된 영역 내에 배치된다. 상기 브릿지 라인(BL)은 상기 구동 라인(TL)과 다른 금속층에 의해 패터닝되고, 단일 층 구조를 갖는다.
상기 구동 단위부들(TU1, TU2) 각각은 마름모 형상으로 한정하지 않으며, 터치 감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다양한 형상을 설계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센싱 전극들(RE)은 상기 제2 방향(D2)으로 연장되고, 상기 제1 방향(D1)으로 배열되고, 상기 센싱 전극들(TE)은 정전식 터치 방식에 따라서 터치에 대응하는 센싱 신호를 전달한다.
각 센싱 전극(RE)은 상기 제2 방향(D2)으로 배열된 복수의 센싱 단위부들(RU1, RU2)을 포함하고, 상기 제2 방향(D2)으로 인접한 상기 센싱 단위부들(RU1, RU2)을 연결하는 센싱 연결 라인(RCL)을 포함한다. 상기 센싱 단위부들(RU1, RU2) 각각은 마름모 형상을 가지고, 그물 구조로 배열된 복수의 센싱 라인들(RL)을 포함한다. 상기 센싱 라인(RL)은 상기 차광 패턴(BM)이 배치된 영역 내에 배치된다. 상기 센싱 연결 라인(RCL)은 상기 센서 라인(RL)이 상기 제2 방향(D2)으로 연장된 것으로 상기 센싱 라인(RL)과 동일한 금속층에 의해 패터닝된다.
상기 센싱 단위부들(RU1, RU2) 각각은 마름모 형상으로 한정하지 않으며, 터치 감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다양한 형상으로 설계될 수 있다.
상기 컬러 필터층(CFL)은 제1 컬러, 제2 컬러 및 제3 컬러 패턴들(CF1, CF2, CF3)을 포함한다. 상기 제1 컬러, 제2 컬러 및 제3 컬러 패턴들(CF1, CF2, CF3) 각각은 상기 제2 방향(D2)으로 연장되고, 상기 제1 방향(D1)으로 배열된다. 상기 제1 컬러, 제2 컬러 및 제3 컬러 패턴들(CF1, CF2, CF3)은 레드, 그린 및 블루 패턴들 일 수 있으며,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상기 오버 코팅층(OC)은 상기 컬러 필터층(CFL) 위에 배치되어 상기 컬러 필터층(CFL)에 의해 울퉁불퉁해진 기판 표면을 평탄하게 한다.
상기 브릿지 라인(BL)은 상기 컬러 필터층(CFL) 및 상기 오버 코팅층(OC)에 형성된 제1 및 제2 콘택홀들(C1, C2)을 통해 상기 제1 방향(D1)으로 인접한 상기 구동 단위부들(TU)을 서로 연결한다. 상기 브릿지 라인(BL)은 투명 도전층을 형성된다. 상기 투명 도전층은 도전성 산화물질로 형성되고, 상기 도전성 산화물질은 인듐 틴 옥사이드(ITO), 인듐 징크 옥사이드(IZO), 비정질 인듐 틴 옥사이드(a-ITO)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브릿지 라인(BL)이 상기 구동 단위부들(TU1, TU2)을 연결하는 것을 예로 하였으나, 상기 센싱 단위부들(RU1, RU2)을 연결할 수 있다. 즉, 상기 구동 라인(TL)이 상기 제1 방향(D1)으로 연장된 구동 연결 라인을 통해 서로 연결되고, 상기 센싱 단위부들(RU1, RU2)과 다른 층으로 형성된 브릿지 라인(BL)을 통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패드(PP)는 패드 전극(PDE) 및 캡핑 전극(CPE)을 포함한다. 상기 패드 전극(PDE)은 상기 구동 전극(TE) 및 상기 센싱 전극(RE)과 동일한 금속층으로부터 형성되고, 상기 캡핑 전극(CPE)은 상기 브릿지 라인(BL)과 동일한 투명 도전층으로부터 형성된다. 상기 투명 도전층이 인듐 틴 옥사이드(ITO), 인듐 징크 옥사이드(IZO), 비정질 인듐 틴 옥사이드(a-ITO) 등과 같은 도전성 산화물질로 형성됨으로써 상기 패드 전극(PDE)이 산화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이에 터치 센싱의 구동 신뢰성을 개선할 수 있다.
상기 액정층(300)은 상기 표시 기판(100) 및 상기 센서 기판(200) 사이에 배치된다. 상기 액정층(300)은 액정 분자를 포함하고, 상기 액정 분자는 상기 표시 기판(100)의 상기 회소 전극(PE) 및 상기 공통 전극(CE)의 전위차에 따라서 배열각이 변화된다. 상기 액정 분자의 배열각 변화에 따라서 상기 센싱 표시 패널(500)은 다양한 계조를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컬럼 스페이서(400)는 상기 표시 기판(100)과 상기 센서 기판(200)의 사이의 갭(Gap)을 유지시킨다. 상기 컬럼 스페이서(400)는 상기 표시 기판(100) 및 상기 센서 기판(200) 중 하나에 포함될 수 있다.
도 5a 내지 도 5e는 도 4에 도시된 센서 기판의 제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들이다.
도 1, 도 2 및 도 5a를 참조하면, 베이스 기판(201) 위에 차광층을 형성한다. 상기 차광층을 패터닝하여 차광 패턴(BM)으로 패터닝한다. 상기 차광 패턴(BM)은 상기 베이스 기판(201)의 액티브 영역(AA)에 형성되고, 상기 차광 패턴(BM)이 형성된 영역을 차광 영역으로 정의되고 상기 차광 패턴(BM)이 형성되지 않은 영역은 투과 영역으로 정의된다. 상기 투과 영역은 상기 화소 전극(PE)이 형성된 상기 화소 영역(P)에 대응할 수 있다.
도 1, 도 2 및 도 5b를 참조하면, 상기 차광 패턴(BM)이 형성된 상기 베이스기판(201) 위에 금속층을 형성한다. 상기 금속층은 예를 들면, 크롬, 알루미늄, 탄탈륨, 몰리브덴, 티타늄, 텅스텐, 구리, 은 등의 금속 또는 이들의 합금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금속층을 패터닝하여 상기 액티브 영역(AA)에 상기 구동 라인(TL), 상기 센싱 라인(RL) 및 상기 센싱 연결 라인(RCL)을 형성하고, 상기 주변 영역(PA)에 패드 전극(PDE)을 형성한다.
상기 구동 라인들(TL)은 상기 차광 패턴(BM)이 형성된 영역 내에 형성되고, 그물 구조로 연결되어 상기 구동 단위부들(TU1, TU2)를 형성한다. 상기 구동 단위부 들(TU1, TU2) 각각은 상기 제1 및 제2 방향들(D1, D2)에 배치된 다른 구동 단위부들과 서로 이격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구동 단위 영역(TUA1)에는 제1 구동 단위부(TU1)의 구동 라인들(TL)이 형성되고, 상기 제1 구동 단위 영역(TUA1)으로부터 상기 제1 방향(D1)으로 이격된 제2 구동 단위 영역(TUA2)에는 제2 구동 단위부(TU2)의 구동 라인들(TL)이 형성된다.
상기 센싱 라인들(RL)은 상기 차광 패턴(BM)이 형성된 영역 내에 형성되고, 그물 구조의 상기 센싱 단위부들(RU1, RU2)를 형성한다. 상기 센싱 단위부들(RU1, RU2) 각각은 상기 제2 방향(D2)으로 인접한 다른 센싱 단위부(RU)와 상기 센싱 연결 라인(RCL)을 통해 서로 연결되고, 상기 제1 방향(D1)으로 인접한 다른 센싱 단위부(RU)와 이격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및 제2 구동 단위 영역들(TUA1, TUA2) 사이의 센싱 전극 영역(REA)에는 상기 제2 방향(D2)으로 배열된 제1 센싱 단위부(RU1)와 제2 센싱 단위부(RU2)를 연결하는 상기 센싱 연결 라인(RCL)이 형성된다.
상기 패드 전극(PDE)은 상기 패드 영역(PDA)에 형성된다.
도 1, 도 2 및 도 5c를 참조하면, 상기 구동 라인(TL), 상기 센싱 라인(RL), 상기 센싱 연결 라인(RCL) 및 상기 패드 전극(PDE)이 형성된 상기 베이스 기판(201) 위에 컬러 필터층(CFL)을 형성한다. 상기 컬러 필터층(CFL)에는 제1 및 제2 콘택홀들(C1, C2)이 형성된다. 상기 제1 콘택홀(C1)은 상기 제1 구동 단위부(TU1)의 상기 구동 라인(TL)을 노출하고, 상기 제2 콘택홀(C2)은 상기 제2 구동 단위부(TU2)의 상기 구동 라인(TL)을 노출한다.
예를 들면, 제1 컬러 포토 레지스트층을 상기 베이스 기판(201) 위에 형성하고, 제1 컬러 마스크를 이용하여 상기 제2 방향(D2)으로 연장된 제1 컬러 패턴(CF1)을 형성한다. 이어, 제2 컬러 포토 레지스트층을 상기 제1 컬러 패턴(CF1)이 형성된 상기 베이스 기판(201) 위에 형성하고, 제2 컬러 마스크를 이용하여 상기 제1 컬러 패턴(CF1)과 평행한 제2 컬러 패턴(CF2)을 형성한다. 이어, 제3 컬러 포토 레지스트층을 상기 제1 및 제2 컬러 패턴들(CF1, CF2)이 형성된 상기 베이스 기판(201) 위에 형성하고 제3 컬러 마스크를 이용하여 상기 제2 컬러 패턴(CF2)과 평행한 제3 컬러 패턴(CF3)을 형성한다. 이때, 상기 제2 컬러 마스크는 상기 제1 콘택홀(C1)을 형성하기 위한 마스크 패턴을 포함하고, 또한, 상기 제3 컬러 패턴(CF3)을 패터닝하는 제3 컬러 마스크는 상기 제2 콘택홀(C2)을 형성하기 위한 마스크 패턴을 포함한다. 상기 제1 및 제2 콘택홀들(C1, C2)의 위치에 따라서 상기 마스크 패턴은 상기 제1, 제2 및 제3 컬러 마스크들 중 적어도 하나에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컬러 마스크를 이용하여 상기 컬러 필터층(CFL)에 상기 콘택홀들(C1, C2)을 형성할 수 있다.
도 1, 도 2 및 도 5d를 참조하면, 상기 컬러 필터층(CFL)이 형성된 베이스 기판(201) 위에 오버 코팅층(OC)을 형성한다.
상기 오버 코팅층(OC)은 상기 제1 및 제2 콘택홀들(C1, C2) 각각에 대응하여 홀들이 형성된다. 상기 오버 코팅층(OC)은 상기 패드 전극(PDE)이 형성된 상기 패드 영역(PDA)에는 형성되지 않는다. 이에 따라서, 상기 패드 전극(PDE)은 외부에 노출된다.
도 1, 도 2 및 도 5e를 참조하면, 상기 오버 코팅층(OC) 위에 투명 도전층을 형성한다. 상기 투명 도전층은 투명 도전 산화물질로 형성되고, 상기 투명 도전 산화물질은 인듐 틴 옥사이드(ITO), 인듐 징크 옥사이드(IZO), 비정질 인듐 틴 옥사이드(a-ITO)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투명 도전층을 패터닝하여 상기 액티브 영역(AA)에 상기 브릿지 라인(BL)을 형성하고, 상기 패드 영역(PDA)에 캡핑 전극(CPE)을 형성한다.
상기 브릿지 라인(BL)은 상기 제1 및 제2 콘택홀들(C1, C2)을 통해 노출된 상기 제1 구동 단위부(TU1)의 상기 구동 라인(TL)과 상기 제2 구동 단위부(TU2)의 상기 구동 라인(TL)을 연결하고, 상기 오버 코팅층(OC) 위에 형성된다. 상기 캡핑 전극(CPE)은 상기 패드 전극(PDE)의 상부 및 측부를 덮도록 형성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센서 기판(200)은 상기 브릿지 라인(BL)이 형성된 상기 베이스 기판(201) 위에 유기막으로 형성된 컬럼 스페이서(4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브릿지 라인(BL)이 상기 액정층(300)과 직접 접촉된다. 이에 따라서, 상기 액정층(300)의 비정상상 구동에 의해 텍스쳐(Texture)가 발생될 수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브릿지 라인(BL)이 형성되는 영역의 상기 차광 패턴(BM)은 폭을 충분히 확장시켜 상기 텍스쳐에 의한 표시 불량을 막을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투명 도전 산화물질로 형성된 상기 캡핑 전극(CPE)에 의해 상기 패드 전극(PDE)을 캡핑함으로써 상기 패드 전극(PDE)이 산화되는 것을 막아 구동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컬러 필터층 및 상기 오버 코팅층을 형성하는 마스크의 변형을 통해서 상기 콘택홀을 형성할 수 있다. 이에 따라서, 상기 콘택홀 형성을 위한 마스크 공정을 생략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이전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부여하고 반복되는 설명은 생략 또는 간략하게 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센싱 표시 패널의 평면도이다. 도 7은 도 6의 III-III'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1,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센싱 표시 패널(510)은 액티브 영역(AA) 및 상기 액티브 영역(AA)을 둘러싸는 주변 영역(PA)을 포함하고, 표시 기판(100), 센서 기판(200), 액정층(300) 및 컬럼 스페이서(400)를 포함한다.
상기 표시 기판(100)은 이전 실시예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반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센서 기판(200)은 제2 베이스 기판(201)을 포함하고, 상기 제2 베이스 기판(201)의 상기 액티브 영역(AA)에 배치된 차광 패턴(BM), 복수의 구동 전극들(TE), 절연층(205), 복수의 센싱 전극들(RE), 컬러 필터층(CFL) 및 오버 코팅층(OC)을 포함하고, 상기 주변 영역(PA)내에 포함된 패드 영역(PDA)에 배치된 복수의 패드들(PP)을 포함한다. 본 실시예의 상기 센서 기판(200)은 도 4에 도시된 이전 실시예의 센서 기판과 비교하여 브릿지 라인(BL)을 생략할 수 있다.
상기 차광 패턴(BM)은 상기 제2 베이스 기판(201) 상에 배치되어 광을 투과하는 투과 영역과 광을 차단하는 차단 영역을 정의하며, 상기 투과 영역은 상기 화소 영역(P)에 대응한다.
본 실시예의 상기 구동 전극들(TE)은 상기 제1 방향(D1)으로 연장되고, 상기 제2 방향(D2)으로 배열된다. 상기 구동 전극(TE)은 상기 제1 방향(D1)으로 배열된 복수의 구동 단위부들(TU1, TU2) 및 상기 제1 방향(D1)으로 인접한 상기 구동 단위부들(TU1, TU2)을 서로 연결하는 구동 연결 라인(TCL)을 포함한다. 상기 구동 단위부들(TU1, TU2) 각각은 그물 구조로 연결된 복수의 구동 라인들(TL)을 포함한다. 상기 구동 연결 라인(TCL)은 상기 구동 라인(TL)으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된다.
상기 절연층(205)은 상기 구동 전극들(TE)을 커버하도록 상기 제2 베이스 기판(201) 위에 형성된다.
상기 센싱 전극들(RE)은 상기 제2 방향(D2)으로 연장되고, 상기 제1 방향(D1)으로 배열된다. 상기 센싱 전극(RE)은 상기 제2 방향(D2)으로 배열된 복수의 센싱 단위부들(RU) 및 상기 제2 방향(D2)으로 인접한 상기 센싱 단위부들(RU1, RU2)을 서로 연결하는 센싱 연결 라인(RCL)을 포함한다. 상기 센싱 단위부들(RU1, RU2) 각각은 그물 구조로 연결된 복수의 센싱 라인들(RL)을 포함한다. 상기 센싱 연결 라인(RCL)은 상기 센싱 라인(RL)으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구동 전극들(TE)이 위치한 층과 상기 센싱 전극들(RE)이 위치한 층 사이에 상기 절연층(205)을 배치함으로써 상기 절연층(205)에 의해 상기 구동 전극들(TE) 및 상기 센서 전극들(RE)이 서로 전기적으로 절연될 수 있다. 따라서, 도 4에 설명된 이전 실시예의 상기 브릿지 라인(BL)이 생략될 수 있다.
상기 컬러 필터층(CFL)은 제1, 제2 및 제3 컬러 패턴들(CF1, CF2, CF3)을 포함한다. 상기 제1, 제2 및 제3 컬러 패턴들(CF1, CF2, CF3)은 상기 제2 방향(D2)으로 연장되고, 상기 제1 방향(D1)으로 배열된다.
상기 오버 코팅층(OC)은 상기 컬러 필터층(CFL) 위에 배치되어 상기 컬러 필터층(CFL)에 의해 울퉁불퉁해진 표면을 평탄하게 한다.
본 실시예의 상기 패드(PP)는 패드 전극(PDE)과 오버 코팅 패턴(OCP)을 포함하고, 상기 패드 전극(PDE)과 오버 코팅 패턴(OCP) 사이에는 상기 절연층(205)이 배치된다. 상기 패드 전극(PDE)은 상기 구동 라인(TL)과 동일한 금속층으로부터 형성된다. 상기 오버 코팅 패턴(OCP)은 상기 패드 전극(PDE)의 상부 일부분을 노출하는 홀(H)을 포함하고 상기 일부분을 제외한 상기 패드 전극(PDE)의 상부 및 측부를 커버한다. 상기 홀(H)에 의해 노출된 상기 패드 전극(PDE)은 구동 칩의 단자가 본딩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오버 코팅 패턴(OCP)에 의해 상기 패드 전극(PDE)은 외부 공기에 의해 부식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또한, 도 4에서 설명된 이전 실시예와 비교하여 상기 구동 단위부들을 서로 연결하는 구동 연결 라인을 금속으로 형성함으로써 배선 저항을 줄일 수 있다.
또한, 도시되지 않았으나, 상기 패드 전극(PDE)은 상기 센싱 전극(RE)과 동일한 금속층으로부터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오버 코팅 패턴(OCP)은 상기 패드 전극(PDE)과 직접 접촉되어 배치될 수 있다.
도 8a 내지 도 8e는 도 7에 도시된 센서 기판의 제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들이다.
도 1, 도 7 및 도 8a를 참조하면, 베이스 기판(201) 위에 차광 물질을 형성한다. 마스크를 이용하여 상기 차광 물질을 차광 패턴(BM)으로 패터닝한다. 상기 차광 패턴(BM)은 상기 베이스 기판(201)의 액티브 영역(AA)에 형성되고, 상기 차광 패턴(BM)이 형성된 영역을 차광 영역으로 정의한다. 상기 차광 패턴(BM)에 의해 상기 화소 영역(P)에 대응하는 영역은 투과 영역으로 정의된다.
도 1, 도 7 및 도 8b를 참조하면, 상기 차광 패턴(BM)이 형성된 상기 베이스기판(201) 위에 제1 금속층을 형성한다. 상기 제1 금속층은 예를 들면, 크롬, 알루미늄, 탄탈륨, 몰리브덴, 티타늄, 텅스텐, 구리, 은 등의 금속 또는 이들의 합금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금속층을 패터닝하여 상기 액티브 영역(AA)에 상기 구동 라인(TL) 및 상기 구동 연결 라인(TCL)을 형성하고, 상기 주변 영역(PA)에 패드 전극(PDE)을 형성한다.
상기 구동 라인들(TL)은 상기 차광 패턴(BM)이 형성된 영역 내에 형성되고, 그물 구조로 연결되어 상기 구동 단위부들(TU1, TU2)를 형성한다. 상기 구동 단위부 들(TU1, TU2) 각각은 상기 제1 방향(D1)으로 인접한 다른 구동 단위부와 상기 구동 연결 라인(TCL)을 통해 서로 연결되고, 상기 제2 방향(D2)으로 인접한 다른 구동 단위부와 이격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구동 단위 영역(TUA1)에는 제1 구동 단위부(TU1)의 구동 라인들(TL)이 형성되고, 상기 제1 구동 단위 영역(TUA1)으로부터 상기 제1 방향(D1)으로 이격된 제2 구동 단위 영역(TUA2)에는 제2 구동 단위부(TU2)의 구동 라인들(TL)이 형성된다. 상기 제1 및 제2 구동 단위 영역들(TUA1, TUA2) 사이의 센싱 전극 영역(REA)에는 상기 제1 방향(D1)으로 배열된 제1 구동 단위부(TU1)와 제2 구동 단위부(TU2)를 연결하는 상기 구동 연결 라인(TCL)이 형성된다.
상기 패드 전극(PDE)은 상기 패드 영역(PDA)에 형성된다.
도 1, 도 7 및 도 8c를 참조하면, 상기 구동 라인(TL), 상기 구동 연결 라인(TCL) 및 상기 패드 전극(PDE)이 형성된 상기 베이스 기판(201) 위에 절연층(205)을 형성한다. 상기 절연층(205)은 질화 실리콘(SiNx) 또는 산화 실리콘(SiOx)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플라즈마 화학 기상 증착(Plasma Enhanced Chemical Vapor Deposition, PECVD) 방법을 이용하여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절연층(205)은 재질 및 형성 공정이 서로 다른 이중 층 구조로 형성할 수도 있다.
상기 절연층(205)이 형성된 상기 베이스 기판(201) 위에 제2 금속층을 형성한다. 상기 제2 금속층은 예를 들면, 크롬, 알루미늄, 탄탈륨, 몰리브덴, 티타늄, 텅스텐, 구리, 은 등의 금속 또는 이들의 합금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 금속층을 패터닝하여 상기 액티브 영역(AA)에 상기 센싱 라인(RL) 및 상기 센싱 연결 라인(RCL)을 형성한다.
상기 센싱 라인들(RL)은 상기 차광 패턴(BM)이 형성된 영역 내에 형성되고, 그물 구조로 연결되어 상기 센싱 단위부들(RU1, RU2)을 형성한다. 상기 센싱 단위부 들(RU1, RU2) 각각은 상기 제2 방향(D2)으로 인접한 다른 센싱 단위부와 상기 센싱 연결 라인(SCL)을 통해 서로 연결되고, 상기 제1 방향(D1)으로 인접한 다른 센싱 단위부와 이격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및 제2 구동 단위 영역들(TUA1, TUA2) 사이의 센싱 전극 영역(REA)에는 상기 제2 방향(D2)으로 배열된 제1 센싱 단위부(RU1)와 제2 센싱 단위부(RU2)를 연결하는 상기 센싱 연결 라인(RCL)이 형성된다.
도 1, 도 7 및 도 8d를 참조하면, 상기 센싱 라인(RL) 및 상기 센싱 연결 라인(RCL)이 형성된 상기 베이스 기판(201) 위에 컬러 필터층(CFL)을 형성한다. 상기 컬러 필터층(CFL)은 상기 액티브 영역(AA)에 형성된다.
예를 들면, 제1 컬러 포토 레지스트층을 상기 베이스 기판(201) 위에 형성하고, 제1 컬러 마스크를 이용하여 상기 제2 방향(D2)으로 연장된 제1 컬러 패턴(CF1)을 형성한다. 이어, 제2 컬러 포토 레지스트층을 상기 제1 컬러 패턴(CF1)이 형성된 상기 베이스 기판(201) 위에 형성하고, 제2 컬러 마스크를 이용하여 상기 제1 컬러 패턴(CF1)과 평행한 제2 컬러 패턴(CF2)을 형성한다. 이어, 제3 컬러 포토 레지스트층을 상기 제1 및 제2 컬러 패턴들(CF1, CF2)이 형성된 상기 베이스 기판(201) 위에 형성하고 제3 컬러 마스크를 이용하여 상기 제2 컬러 패턴(CF2)과 평행한 제3 컬러 패턴(CF3)을 형성한다.
도 1, 도 7 및 도 8e를 참조하면, 상기 컬러 필터층(CFL)이 형성된 상기 베이스 기판(201) 위에 오버 코팅층(OC)을 형성한다. 상기 오버 코팅층(OC)은 상기 패드 전극(PDE) 위에 형성된 오버 코팅 패턴(OCP)을 포함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액티브 영역(AA)에 형성된 상기 컬러 필터층(CFL)의 울퉁불퉁한 표면은 상기 오버 코팅층(OC)에 의해 평탄화 된다. 상기 오버 코팅 패턴(OCP)은 상기 패드 전극(PDE)의 상부 일부분에 대응하여 홀(H)이 형성되고 상기 홀(H)이 형성된 영역을 제외한 상기 패드 전극(PDE)의 나머지 상부 및 측부를 덮도록 형성된다. 상기 홀(H)에 의해 상기 패드 전극(PDE) 위의 상기 절연층(205)이 노출된다.
이후, 상기 오버 코팅층(OC)을 마스크로 하여 상기 오버 코팅 패턴(OCP)에 의해 노출된 상기 패드 전극(PDE) 위의 상기 절연층(205)을 제거하여 상기 패드 전극(PDE)을 노출시킨다. 결과적으로, 상기 패드(PP)는 상기 패드 전극(PDE)과 상기 오버 코팅 패턴(OCP)을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구동 전극(TE)과 상기 센싱 전극(RE) 사이에 상기 절연층(205)을 형성함으로써 콘택홀을 생략할 수 있다. 이에 따라서, 상기 콘택홀 형성을 위한 별도의 마스크 공정을 생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패드 전극(PDE)은 상기 오버 코팅 패턴(OCP)에 의해 공기에 포함된 수분으로부터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센싱 표시 패널의 단면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센싱 표시 패널(520)은 도 7에 도시된 이전 실시예에 따른 센싱 표시 패널(510)과 비교하여 상기 구동 전극(TE) 및 상기 패드 전극(PDE)을 이중 층 구조로 형성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이에 반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상기 센싱 표시 패널(520)은 액티브 영역(AA) 및 상기 액티브 영역(AA)을 둘러싸는 주변 영역(PA)을 포함하고, 표시 기판(100), 센서 기판(200), 액정층(300) 및 컬럼 스페이서(400)를 포함한다.
상기 센서 기판(200)은 제2 베이스 기판(201)을 포함하고, 상기 제2 베이스 기판(201)의 상기 액티브 영역(AA)에 배치된 차광 패턴(BM), 복수의 구동 전극들(TE), 절연층(205), 복수의 센싱 전극들(RE), 컬러 필터층(CFL) 및 오버 코팅층(OC)을 포함하고, 상기 주변 영역(PA)내에 포함된 패드 영역(PDA)에 배치된 복수의 패드들(PP)을 포함한다.
본 실시예의 상기 구동 전극들(TE)은 상기 제1 방향(D1)으로 연장되고, 상기 제2 방향(D2)으로 배열된다. 각 구동 전극(TE)은 상기 제1 방향(D1)으로 배열된 복수의 구동 단위부들(TU1, TU2) 및 상기 제1 방향(D1)으로 인접한 상기 구동 단위부들(TU1, TU2)을 서로 연결하는 구동 연결 라인(TCL)을 포함한다. 상기 구동 단위부들(TU1, TU2) 각각은 그물 구조로 연결된 복수의 구동 라인들(TL)을 포함한다. 상기 구동 연결 라인(TCL)은 상기 구동 라인(TL)과 동일한 금속층으로부터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구동 라인(TL) 및 상기 구동 연결 라인(TCL)은 이중 층 구조를 갖는다. 예를 들면, 상기 구동 라인(TL) 및 상기 구동 연결 라인(TCL) 각각은 금속층으로부터 형성된 금속 라인(221a) 및 투명 도전층으로부터 형성된 투명 라인(222a)을 포함한다. 상기 금속 라인(221a)은 크롬, 알루미늄, 탄탈륨, 몰리브덴, 티타늄, 텅스텐, 구리, 은 등의 금속 또는 이들의 합금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투명 라인(222a)은 인듐 틴 옥사이드(ITO), 인듐 징크 옥사이드(IZO), 비정질 인듐 틴 옥사이드(a-ITO)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의 상기 패드(PP)는 상기 금속층으로부터 형성된 패드 전극(221b), 투명 도전층으로 형성된 캡핑 전극(222b) 및 오버 코팅 패턴(OCP)을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센서 기판(200)의 제조 방법은 도 8a 내지 도 8e를 참조하여 설명된 이전 실시예의 제조 방법과 비교하여, 상기 구동 라인(TL), 구동 연결 라인(TCL) 및 상기 패드(PP)가 금속층 및 투명 도전층을 포함하는 이중 층으로부터 형성되는 것을 제외하고 나머지 제조 공정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본 실시예는 도 7에 도시된 이전 실시예와 비교할 때, 상기 오버 코팅 패턴(OCP)뿐만 아니라, 상기 캡핑 전극(222b)이 상기 패드 전극(221b)을 캡핑함으로써 상기 패드 전극(221b)이 공기 중의 수분에 의해 손상되는 것을 막을 수 있어 구동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센싱 표시 패널의 단면도이다.
도 1, 도 2 및 도 10을 참조하면, 상기 센싱 표시 패널(530)은 액티브 영역(AA) 및 상기 액티브 영역(AA)을 둘러싸는 주변 영역(PA)을 포함하고, 표시 기판(100), 센서 기판(200), 액정층(300) 및 컬럼 스페이서(400)를 포함한다.
상기 표시 기판(100)은 이전 실시예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반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센서 기판(200)은 제2 베이스 기판(201)을 포함하고, 상기 제2 베이스 기판(201)의 상기 액티브 영역(AA)에 배치된 차광 패턴(BM), 복수의 구동 전극들(TE), 복수의 센싱 전극들(RE), 컬러 필터층(CFL) 및 오버 코팅층(OC)을 포함하고, 상기 주변 영역(PA)내에 포함된 패드 영역(PDA)에 배치된 복수의 패드들(PP)을 포함한다. 본 실시예의 상기 센서 기판(200)은 도 4에 도시된 이전 실시예와 비교하여 브릿지 라인(BL) 위에 오버 코팅층(OC)이 배치되고, 상기 브릿지 라인(BL) 및 상기 패드(PP)의 구조가 서로 다르다.
본 실시예의 상기 구동 전극들(TE)은 상기 제1 방향(D1)으로 연장되고, 상기 제2 방향(D2)으로 배열된다. 상기 구동 전극(TE)은 상기 제1 방향(D1)으로 배열된 복수의 구동 단위부들(TU) 및 상기 제1 방향(D1)으로 인접한 상기 구동 단위부들(TU1, TU2)을 서로 연결하는 복수의 브릿지 라인들(BL)을 포함한다. 상기 브릿지 라인(BL)은 상기 구동 라인(TL)과 다른 금속층으로부터 형성된다. 상기 브릿지 라인(BL)은 금속층으로부터 형성된 금속 라인(232a) 및 투명 도전층으로부터 형성된 투명 라인(233a)으로 이루어진 이중 층 구조를 갖는다.
상기 센싱 전극들(RE)은 상기 제2 방향(D2)으로 연장되고, 상기 제1 방향(D1)으로 배열된다. 상기 센싱 전극(RE)은 상기 제2 방향(D2)으로 배열된 복수의 센싱 단위부들(RU1, RU2) 및 상기 제2 방향(D2)으로 인접한 상기 센싱 단위부들(RU RU1, RU2)을 서로 연결하는 센싱 연결 라인(RCL)을 포함한다. 상기 센싱 단위부들(RU1, RU2) 각각은 그물 구조로 연결된 복수의 센싱 라인들(RL)을 포함한다. 상기 센싱 연결 라인(RCL)은 상기 센싱 라인(RL)과 동일한 금속층으로부터 형성된다.
상기 컬러 필터층(CFL)은 제1, 제2 및 제3 컬러 패턴들(CF1, CF2, CF3)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제2 및 제3 컬러 패턴들(CF1, CF2, CF3)은 상기 제2 방향(D2)으로 연장되고 상기 제1 방향(D1)으로 배열된다. 상기 컬러 필터층(CFL)은 상기 제1 방향(D1)으로 인접한 상기 구동 단위들(TU1, TU2)의 구동 라인들(TL)을 노출하는 제1 및 제2 콘택홀들(C1, C2)을 포함한다. 상기 제1 및 제2 콘택홀들(C1, C2)을 통해 상기 브릿지 라인(BL)은 상기 구동 단위들(TU1, TU2)을 서로 연결한다.
본 실시예의 상기 패드(PP)는 패드 전극(231b, 232b), 캡핑 전극(233b) 및 오버 코팅 패턴(OCP)을 포함한다. 상기 패드 전극은 상기 센싱 라인(RL)과 동일한 금속층으로부터 제1 금속 전극(231b)과 상기 브릿지 라인(BL)의 상기 금속 라인(232a)과 동일한 금속층으로부터 형성된 상기 제2 금속 전극(231b)을 포함한다. 상기 캡핑 전극(233b)은 상기 브릿지 라인(BL)의 상기 투명 라인(233a)과 동일한 도전층으로부터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캡핑 전극(233b) 및 상기 오버 코팅 패턴(OCP)이 상기 패드 전극(231b, 232b)을 캡핑함으로써 상기 패드 전극(231b, 232b)이 공기 중의 수분에 의해 손상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또한, 상기 브릿지 라인(BL)이 금속 라인(232a)을 포함함으로써 배선 저항을 줄여 구동 신뢰성을 개선할 수 있다.
도 11a 내지 도 11e는 도 10에 도시된 센서 기판의 제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들이다.
도 2, 도 10 및 도 11a를 참조하면, 베이스 기판(201) 위에 차광층을 형성하고, 상기 차광층을 패터닝하여 차광 패턴(BM)을 형성한다.
도 2, 도 10 및 도 11b를 참조하면, 상기 차광 패턴(BM)이 형성된 상기 베이스 기판(201) 위에 금속층을 형성한다. 상기 금속층은 예를 들면, 크롬, 알루미늄, 탄탈륨, 몰리브덴, 티타늄, 텅스텐, 구리, 은 등의 금속 또는 이들의 합금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금속층을 패터닝하여 상기 구동 라인(TL), 상기 센싱 라인(RL) 및 상기 센싱 연결 라인(RCL)을 형성하고, 상기 패드 전극의 제1 금속 전극(231b)을 형성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구동 단위 영역(TUA1)에는 제1 구동 단위부(TU1)의 구동 라인들(TL)이 형성되고, 상기 제1 구동 단위 영역(TUA1)으로부터 상기 제1 방향(D1)으로 이격된 제2 구동 단위 영역(TUA2)에는 제2 구동 단위부(TU2)의 구동 라인들(TL)이 형성된다.
상기 센싱 라인들(RL)은 상기 차광 패턴(BM)이 형성된 영역 내에 형성되고, 그물 구조의 상기 센싱 단위부들(RU1, RU2)를 형성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및 제2 구동 단위 영역들(TUA1, TUA2) 사이의 센싱 전극 영역(REA)에는 상기 제2 방향(D2)으로 배열된 제1 센싱 단위부(RU1)와 제2 센싱 단위부(RU2)를 연결하는 상기 센싱 연결 라인(RCL)이 형성된다.
도 2, 도 10 및 도 11c를 참조하면, 상기 구동 라인(TL), 상기 센싱 라인(RL), 상기 센싱 연결 라인(RCL) 및 상기 패드 전극(PDE)의 제1 금속 전극(231)이 형성된 상기 베이스 기판(201) 위에 제1 및 제2 콘택홀들(C1, C2)이 형성된 컬러 필터층(CFL)을 형성한다. 상기 제1 콘택홀(C1)은 상기 제1 구동 단위부(TU1)의 상기 구동 라인(TL)을 노출하고, 상기 제2 콘택홀(C2)은 상기 제2 구동 단위부(TU2)의 상기 구동 라인(TL)을 노출한다.
도 2, 도 10 및 도 11d를 참조하면, 상기 제1 및 제2 콘택홀들(C1, C2)이 형성된 상기 컬러 필터층(CFL)이 형성된 상기 베이스 기판(201) 위에 금속층 및 투명 도전층을 순차적으로 형성한다.
상기 금속층 및 투명 도전층을 동시에 패터닝하여 상기 브릿지 라인(BL)의 금속 라인(232a) 및 투명 라인(233a)을 형성하고, 또한, 상기 패드 전극의 제2 금속 전극(232b) 및 캡핑 전극(233b)을 형성한다.
상기 브릿지 라인(BL)의 금속 라인(232a) 및 투명 라인(233a)은 상기 제1 및 제2 콘택홀들(C1, C2)을 통해 상기 제1 구동 단위부(TU1)의 상기 구동 라인(TL)과 상기 제2 구동 단위부(TU2)의 상기 구동 라인(TL)을 연결한다. 상기 브릿지 라인(BL)이 금속 라인(232a)을 포함함으로써 배선 저항을 줄일 수 있다.
상기 제2 금속 전극(232b) 및 캡핑 전극(233b)은 상기 패드 전극(PDE)의 제1 금속 전극(231b)의 상부 및 측부를 덮도록 형성된다. 상기 캡핑 전극(233b) 이 상기 패드 전극의 제1 및 제2 금속 전극(231b, 232b)을 캡핑함으로써 공기 중의 수분에 의해 상기 패드 전극(231b, 232b)이 손상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도 2, 도 10 및 도 11e를 참조하면, 상기 브릿지 라인(BL) 및 상기 패드 전극(PDE)이 형성된 상기 베이스 기판(201) 위에 오버 코팅층(OC)을 형성한다. 상기 오버 코팅층(OC)은 상기 패드 전극(PDE) 위에 형성된 오버 코팅 패턴(OCP)을 포함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액티브 영역(AA)에 형성된 상기 컬러 필터층(CFL)의 울퉁불퉁한 표면은 상기 오버 코팅층(OC)에 의해 평탄화 된다. 상기 오버 코팅 패턴(OCP)은 상기 캡핑 전극(233b)의 상부 일부분에 대응하여 홀(H)이 형성되고 상기 홀(H)이 형성된 영역을 제외한 상기 패드 전극(231b, 232b) 및 상기 캡핑 전극(233b)의 나머지 상부 및 측부를 덮도록 형성된다. 상기 홀(H)에 의해 상기 캡핑 전극(233b)이 노출되고, 상기 노출된 상기 캡핑 전극(233b)에 구동 칩의 단자가 본딩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오버 코팅층(OC)은 상기 액티브 영역(AA)에는 상기 컬러 필터층(CFL) 위에 형성되고, 상기 패드 영역(PDA)에는 상기 캡핑 전극(233b)의 상부 일부분에 대응하여 홀(H)이 형성된 상기 오버 코팅 패턴(OCP)이 형성된다. 상기 오버 코팅 패턴(OCP)의 상기 홀(H)에 의해 상기 캡핑 전극(233b)이 노출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컬러 필터층을 형성하는 마스크의 변형을 통해서 상기 콘택홀을 형성할 수 있다. 이에 따라서, 상기 콘택홀 형성을 위한 마스크 공정을 생략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브릿지 라인(BL)이 금속 라인(232a)을 포함함으로써 배선 저항을 줄일 수 있고, 상기 캡핑 전극(233b) 및 상기 오버 코팅 패턴(OCP)에 의해 상기 패드 전극(231b, 232b)이 손상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센싱 표시 패널의 단면도이다.
도 1, 도 2 및 도 12를 참조하면, 상기 센싱 표시 패널(540)은 액티브 영역(AA) 및 상기 액티브 영역(AA)을 둘러싸는 주변 영역(PA)을 포함하고, 표시 기판(100), 센서 기판(200), 액정층(300) 및 컬럼 스페이서(400)를 포함한다.
상기 센서 기판(200)은 제2 베이스 기판(201)을 포함하고, 상기 제2 베이스 기판(201)의 상기 액티브 영역(AA)에 배치된 차광 패턴(BM), 복수의 구동 전극들(TE), 복수의 센싱 전극들(RE), 컬러 필터층 및 오버 코팅층(OC)을 포함하고, 상기 주변 영역(PA)내에 포함된 패드 영역(PDA)에 배치된 복수의 패드들(PP)을 포함한다.
상기 차광 패턴(BM)은 상기 제2 베이스 기판(201) 상에 배치되어 광을 투과하는 투과 영역과 광을 차단하는 차단 영역을 정의하며, 상기 투과 영역은 상기 화소 영역(P)에 대응한다.
상기 구동 전극들(TE)은 상기 제1 방향(D1)으로 연장되고, 상기 제2 방향(D2)으로 배열된다. 상기 구동 전극(TE)은 상기 제1 방향(D1)으로 배열된 복수의 구동 단위부들(TU1, TU2) 및 상기 제1 방향(D1)으로 인접한 상기 구동 단위부들(TU1, TU2)을 서로 연결하는 복수의 브릿지 라인들(BL)을 포함한다.
상기 구동 단위부(TU)는 그물 구조로 연결된 복수의 구동 라인들(TL)을 포함한다.
상기 브릿지 라인(BL)은 상기 구동 라인(TL)과 다른 금속층으로부터 패터닝된다. 상기 브릿지 라인(BL)은 금속층 및 투명 도전층으로 이루어진 이중 층으로부터 형성된 금속 라인(232a) 및 투명 라인(233a)을 포함한다. 상기 브릿지 라인(BL)이 금속 라인(232a)을 포함함으로써 배선 저항을 줄일 수 있다.
상기 센싱 전극들(RE)은 상기 제2 방향(D2)으로 연장되고, 상기 제1 방향(D1)으로 배열된다. 상기 센싱 전극(RE)은 상기 제2 방향(D2)으로 배열된 복수의 센싱 단위부들(RU1, RU2) 및 상기 제2 방향(D2)으로 인접한 상기 센싱 단위부들(RU1, RU2)을 서로 연결하는 센싱 연결 라인(RCL)을 포함한다. 상기 센싱 단위부(RU)는 그물 구조로 연결된 복수의 센싱 라인들(RL)을 포함한다. 상기 센싱 연결 라인(RCL)은 상기 센싱 라인(RL)과 동일한 금속층으로부터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상기 컬러 필터층은 제1 컬러, 제2 컬러 및 제3 컬러 패턴들 및 더미 컬러 패턴(DP)을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상기 제1 컬러, 제2 컬러 및 제3 컬러 패턴들 각 화소 영역(P)에 섬(Island) 형상으로 배치된다. 상기 섬 형상으로 배치된 상기 1 컬러, 제2 컬러 및 제3 컬러 패턴들 각각은 두께를 갖는다. 상기 제1 컬러, 제2 컬러 및 제3 컬러 패턴들 각각의 두께는 상기 표시 기판(100)을 투과한 광이 원하는 순도의 컬러 광으로 변경하기 위한 두께로 설정된다. 예를 들면, 상기 제1 두께는 약 1 um 일 수 있다.
상기 더미 컬러 패턴(DP)은 상기 제1 방향(D1)으로 인접한 상기 구동 단위들(TU1, TU2)의 이격 영역에 배치되어 상기 센싱 연결 라인(RCL)과 교차한다. 상기 더미 컬러 패턴(DP)은 상기 구동 단위들(TU1, TU2)의 구동 라인들(TL)을 각각 노출하는 제1 및 제2 콘택홀들(C1, C2)을 포함한다. 상기 브릿지 라인(BL)은 상기 더미 컬러 패턴(DP)에 형성된 상기 제1 및 제2 콘택홀들(C1, C2)을 통해 상기 구동 단위들(TU1, TU2)을 서로 연결한다. 상기 더미 컬러 패턴(DP)은 상기 컬러 패턴의 두께 보다 얇은 두께를 갖는다. 일반적으로 금속층은 스텝 커버리지가 좋지 않기 때문에 테이퍼 각이 50도 이상 그리고 두께가 5000 Å 이상의 막 두께를 타고 넘어가는데 있어서 단선 불량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더미 컬러 패턴(DP)의 두께를 이전 실시예들보다 줄임으로써 상기 브릿지 라인(BL)에 포함된 상기 금속 라인(232a)의 공정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오버 코팅층(OC)은 상기 컬러 패턴들 및 상기 더미 컬러 패턴(DP)를 포함하는 상기 컬러 필터층 위에 배치되어 울퉁불퉁해진 표면을 평탄하게 한다.
본 실시예의 상기 패드(PP)는 패드 전극(231b, 232b), 캡핑 전극(233b) 및 오버 코팅 패턴(OCP)을 포함한다. 상기 패드 전극은 상기 센싱 라인(RL)과 동일한 금속층으로부터 제1 금속 전극(231b)과 상기 브릿지 라인(BL)의 상기 금속 라인(232a)과 동일한 금속층으로부터 형성된 상기 제2 금속 전극(231b)을 포함한다. 상기 캡핑 전극(233b)은 상기 브릿지 라인(BL)의 상기 투명 라인(233a)과 동일한 도전층으로부터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캡핑 전극(233b) 및 오버 코팅 패턴(OCP)이 상기 패드 전극(231b, 232b)을 캡핑함으로써 상기 패드 전극(231b, 232b)이 공기 중의 수분에 의해 손상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또한, 상기 브릿지 라인(BL)이 금속 라인(232a)을 포함함으로써 배선 저항을 줄여 구동 신뢰성을 개선할 수 있다.
도 13a 내지 도 13e는 도 12에 도시된 센서 기판의 제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들이다. 도 14a 내지 도 14d는 도 12에 도시된 센서 기판의 제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들이다.
도 13a 및 도 14a를 참조하면, 베이스 기판(201) 위에 차광 물질을 형성한다. 상기 차광 물질을 차광 패턴(BM)으로 패터닝한다.
도 13b 및 도 14a를 참조하면, 상기 차광 패턴(BM)이 형성된 상기 베이스 기판(201) 위에 금속층을 형성한다. 상기 금속층은 예를 들면, 크롬, 알루미늄, 탄탈륨, 몰리브덴, 티타늄, 텅스텐, 구리, 은 등의 금속 또는 이들의 합금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금속층을 패터닝하여 상기 구동 라인(TL), 상기 센싱 라인(RL) 및 상기 센싱 연결 라인(RCL)을 형성하고, 상기 패드 전극의 제1 금속 전극(231b)을 형성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구동 단위 영역(TUA1)에는 제1 구동 단위부(TU1)의 구동 라인들(TL)이 형성되고, 상기 제1 구동 단위 영역(TUA1)으로부터 상기 제1 방향(D1)으로 이격된 제2 구동 단위 영역(TUA2)에는 제2 구동 단위부(TU2)의 구동 라인들(TL)이 형성된다.
상기 센싱 라인들(RL)은 상기 차광 패턴(BM)이 형성된 영역 내에 형성되고, 그물 구조의 상기 센싱 단위부들(RU1, RU2)를 형성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및 제2 구동 단위 영역들(TUA1, TUA2) 사이의 센싱 전극 영역(REA)에는 상기 제2 방향(D2)으로 배열된 제1 센싱 단위부(RU1)와 제2 센싱 단위부(RU2)를 연결하는 상기 센싱 연결 라인(RCL)이 형성된다.
도 13c 및 도 14b를 참조하면, 제1 컬러 포토 레지스트층을 상기 베이스 기판(201) 위에 형성하고, 제1 컬러 마스크를 이용하여 상기 제2 방향(D2)으로 배열된 섬 형상의 복수의 제1 컬러 패턴들(CF1)을 형성한다. 이어, 제2 컬러 포토 레지스트층을 상기 제1 컬러 패턴들(CF1)이 형성된 상기 베이스 기판(201) 위에 형성하고, 제2 컬러 마스크를 이용하여 상기 제1 컬러 패턴들(CF1)과 평행하게 배열된 섬 형상의 복수의 제2 컬러 패턴들(CF2)을 형성한다.
도 13c 및 도 14c를 참조하면, 이어, 제3 컬러 포토 레지스트층을 상기 제1 및 제2 컬러 패턴들(CF1, CF2)이 형성된 상기 베이스 기판(201) 위에 형성한다. 제3 컬러 마스크를 이용하여 상기 제2 컬러 패턴들(CF2)과 평행하게 배열된 복수의 제3 컬러 패턴들(CF3) 및 복수의 더미 컬러 패턴들(DP)을 형성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컬러 포토 레지스트층은 네가티브 포토 물질을 사용하는 것을 예로 한다. 상기 네가티브 포토 물질에 대응하여 상기 제3 컬러 마스크는 상기 제3 컬러 패턴(CF3)이 형성되는 영역에 광을 투과하는 투과부가 형성되고, 상기 더미 컬러 패턴(DP)이 형성되는 영역에 광을 회절하는 부분 투과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1 및 제2 콘택홀들(C1, C2)에 대응하여 광을 차단하는 차광부가 형성된다. 상기 부분 투과부는 하프톤 마스크 및 슬릿 마스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3 컬러 마스크의 상기 부분 투과부에 의해 형성된 상기 더미 컬러 패턴(DP)은 상기 제3 컬러 마스크의 상기 투과부에 의해 형성된 상기 제3 컬러 패턴(CF3)의 두께보다 얇은 두께를 갖는다. 상기 더미 컬러 패턴(DP)의 두께는 상기 더미 컬러 패턴(DP) 위에 형성되는 금속층의 스텝 커버리지 및 노광 조건을 고려하여 설정될 수 있고, 예를 들면, 약 5000 Å 보다 작을 수 있다.
상기 제3 컬러 마스크의 차광부에 의해 상기 더미 컬러 패턴(DP)은 상기 제1 및 제2 콘택홀들(C1, C2)이 형성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더미 컬러 패턴(DP)은 상기 제1, 제2 및 제3 컬러 패턴들(CF1, CF2, CF3)의 공정 순서 중 마지막에 대응하는 컬러 포토 레지스트층으로부터 형성될 수 있다.
도 13d 및 도 14d를 참조하면, 상기 제1 및 제2 콘택홀들(C1, C2)이 형성된 상기 더미 컬러 패턴(DP)이 형성된 상기 베이스 기판(201) 위에 금속층 및 투명 도전층을 순차적으로 형성한다.
상기 금속층 및 투명 도전층을 동시에 패터닝하여 상기 브릿지 라인(BL)의 금속 라인(232a) 및 투명 라인(233a)을 형성하고, 또한, 상기 패드 전극(PDE)의 제2 금속 전극(232b) 및 캡핑 전극(233b)을 형성한다.
상기 브릿지 라인(BL)의 금속 라인(232a) 및 투명 라인(233a)은 상기 제1 및 제2 콘택홀들(C1, C2)을 통해 상기 제1 구동 단위부(TU1)의 상기 구동 라인(TL)과 상기 제2 구동 단위부(TU2)의 상기 구동 라인(TL)을 연결한다. 상기 브릿지 라인(BL)은 금속 라인(232a)을 포함함으로써 배선 저항을 줄일 수 있고, 상기 더미 컬러 패턴(DP) 위에 형성됨으로써 단선 불량을 개선할 수 있다.
상기 제2 금속 전극(232b) 및 캡핑 전극(233b)은 상기 패드 전극의 제1 금속 전극(231b)의 상부 및 측부를 덮도록 형성된다. 즉, 상기 캡핑 전극(233b)이 상기 패드 전극인 상기 제1 및 제2 금속 전극(231b, 232b)을 캡핑함으로써 공기 중의 수분에 의해 상기 패드 전극(231b, 232b)이 손상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도 13e 및 도 14d를 참조하면, 상기 브릿지 라인(BL) 및 상기 패드 전극(PDE)이 형성된 상기 베이스 기판(201) 위에 오버 코팅층(OC)을 형성한다. 상기 오버 코팅층(OC)은 상기 패드 전극(231b, 232b)위에 형성된 오버 코팅 패턴(OCP)을 포함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액티브 영역(AA)에 형성된 상기 컬러 필터층(CFL)의 울퉁불퉁한 표면은 상기 오버 코팅층(OC)에 의해 평탄화 된다. 상기 오버 코팅 패턴(OCP)은 상기 캡핑 전극(233b)의 상부 일부분에 대응하여 홀(H)이 형성되고 상기 홀(H)이 형성된 영역을 제외한 상기 패드 전극(231b, 232b) 및 상기 캡핑 전극(233b)의 나머지 상부 및 측부를 덮도록 형성된다. 상기 홀(H)에 의해 상기 캡핑 전극(233b)이 노출되고, 상기 노출된 상기 캡핑 전극(233b)에 구동 칩의 단자가 본딩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컬러 필터층을 형성하는 마스크의 변형을 통해서 상기 콘택홀을 형성할 수 있다. 이에 따라서, 상기 콘택홀 형성을 위한 마스크 공정을 생략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브릿지 라인(BL)이 금속 라인(232a)을 포함함으로써 배선 저항을 줄일 수 있고, 상기 캡핑 전극(233b) 및 상기 오버 코팅 패턴(OCP)에 의해 상기 패드 전극(231b, 232b)이 손상되는 것을 막을 수 있고, 상기 더미 컬러 패턴(DP)에 의해 단차를 줄여 상기 브릿지 라인(BL)의 단선 불량을 막을 수 있다.
이상의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센서 기판의 제조 공정을 간단화할 수 있고, 또한, 터치 센싱의 구동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상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 표시 기판 200 : 센서 기판
300 : 액정층 400 : 컬럼 스페이서
TE : 구동 전극 TU : 구동 단위부
TL : 구동 라인 TCL : 구동 연결 라인
RE : 센싱 전극 RU : 센싱 단위부
RL : 센싱 라인 RCL : 센싱 연결 라인
BL : 브릿지 라인 C1, C2 : 콘택홀
CFL : 컬러 필터층 OC : 오버 코팅층
OCP : 오버 코팅 패턴 PP : 패드
PDE : 패드 전극 DP : 더미 컬러 패턴
500, 510, 520, 530, 540 : 센싱 표시 패널

Claims (37)

  1. 기판 상에 배치된 차광 패턴;
    상기 차광 패턴 바로 위에 배치되고 그물 구조로 연결된 라인들을 포함하는 제1 단위부를 포함하고, 복수의 제1 단위부들이 제1 방향으로 배열된 제1 전극;
    상기 제1 단위부들을 노출하는 복수의 콘택홀들이 형성된 컬러 필터층; 및
    상기 콘택홀들을 통해 상기 제1 단위부들을 서로 연결하는 브릿지 라인을 포함하는 센서 기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광 패턴이 배치된 영역 내에 배치되고 그물 구조로 연결된 라인들을 포함하는 제2 단위부를 포함하고, 복수의 제2 단위부들이 상기 제1 방향과 교차하는 제2 방향으로 배열된 제2 전극; 및
    상기 라인들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제2 단위부들을 서로 연결하는 연결 라인을 더 포함하는 센서 기판.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브릿지 라인은 투명 도전층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서 기판.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컬러 필터층 위에 배치되고, 상기 콘택홀들에 대응하여 홀이 형성된 오버 코팅층을 더 포함하고,
    상기 브릿지 라인은 상기 콘택홀들을 통해 상기 제1 단위부들과 접촉되어 상기 오버 코팅층 위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서 기판.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전극에 신호를 인가하는 복수의 패드들을 더 포함하고, 각 패드는 금속층으로 형성된 패드 전극 및 투명 도전층으로 형성된 캡핑 전극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서 기판.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브릿지 라인은 금속층 및 투명 도전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서 기판.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브릿지 라인은 상기 콘택홀들을 통해 상기 제1 단위부들과 접촉되어 상기 컬러 필터층 위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서 기판.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컬러 필터층은
    상기 차광 패턴에 의해 정의된 화소 영역에 섬 형상으로 배치된 컬러 패턴; 및
    상기 제1 단위부들의 이격 영역에 배치되고 상기 컬러 패턴 보다 얇은 두께를 갖는 더미 컬러 패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서 기판.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브릿지 라인은 상기 콘택홀들을 통해 상기 제1 단위부들과 접촉되어 상기 더미 컬러 패턴 위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서 기판.
  1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컬러 필터층 및 상기 브릿지 라인 위에 배치된 오버 코팅층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서 기판.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전극에 신호를 인가하는 복수의 패드들을 더 포함하고, 각 패드는
    제1 금속층 및 제2 금속층으로 형성된 패드 전극;
    상기 패드 전극을 덮고, 투명 도전층으로 형성된 캡핑 전극; 및
    상기 캡핑 전극의 상부를 부분적으로 노출하는 홀이 형성된 오믹 코팅 패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서 기판.
  12. 기판 상에 배치된 차광 패턴;
    상기 차광 패턴 바로 위에 배치되고 그물 구조로 연결된 제1 라인들을 포함하는 제1 단위부를 포함하고, 복수의 제1 단위부들이 제1 방향으로 배열된 제1 전극;
    상기 제1 전극을 덮도록 상기 기판 상에 배치된 절연층;
    상기 절연층 상에 배치되고, 상기 차광 패턴이 배치된 영역 내에 배치되고 그물 구조로 연결된 제2 라인들을 포함하는 제2 단위부를 포함하고, 복수의 제2 단위부들이 상기 제1 방향과 교차하는 제2 방향으로 배열된 제2 전극;
    상기 제2 전극 위에 배치된 컬러 필터층; 및
    상기 컬러 필터층 위에 배치된 오버 코팅층을 포함하는 센서 기판.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전극에 신호를 인가하는 복수의 패드들을 더 포함하고, 각 패드는
    금속층으로 형성된 패드 전극; 및
    상기 패드 전극의 상부를 부분적으로 노출하는 홀이 형성된 오믹 코팅 패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서 기판.
  14. 기판 상에 차광 패턴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차광 패턴 바로 위에 배치되고 그물 구조로 연결된 제1 라인들을 포함하는 제1 단위부를 포함하고 복수의 제1 단위부들이 제1 방향으로 배열된 제1 전극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제1 단위부들을 노출하는 복수의 콘택홀들이 형성된 컬러 필터층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콘택홀들을 통해 상기 제1 단위부들을 서로 연결하는 브릿지 라인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센서 기판의 제조 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전극을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차광 패턴이 형성된 영역 내에 배치되고 그물 구조로 연결된 제2 라인들을 포함하는 제2 단위부를 포함하고 복수의 제2 단위부들이 상기 제1 방향과 교차하는 제2 방향으로 배열된 제2 전극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단위부들은 상기 제2 라인들이 상기 제2 방향으로 연장되어 서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서 기판의 제조 방법.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브릿지 라인은 투명 도전층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서 기판의 제조 방법.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컬러 필터층 위에 상기 콘택홀들에 대응하여 홀이 형성된 오버 코팅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브릿지 라인은 상기 홀과 상기 콘택홀들을 통해 상기 제1 단위부과 접촉되어 상기 오버 코팅층 위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서 기판의 제조 방법.
  18.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전극에 신호를 인가하는 복수의 패드들을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각 패드는 금속층으로 형성된 패드 전극 및 상기 패드 전극을 덮고 투명 도전층으로 형성된 캡핑 전극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서 기판의 제조 방법.
  19.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브릿지 라인은 금속층 및 투명 도전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서 기판의 제조 방법.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브릿지 라인은 상기 콘택홀들을 통해 상기 제1 단위부들과 접촉되어 상기 컬러 필터층 위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서 기판의 제조 방법.
  21.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컬러 필터층을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차광 패턴에 의해 정의된 화소 영역에 섬 형상으로 배치된 컬러 패턴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단위부들의 이격 영역에 배치되고 상기 컬러 패턴 보다 얇은 두께를 갖는 더미 컬러 패턴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서 기판의 제조 방법.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브릿지 라인은 상기 콘택홀들을 통해 상기 제1 단위부들과 접촉되어 상기 더미 컬러 패턴 위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서 기판의 제조 방법.
  23.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컬러 필터층 및 상기 브릿지 라인이 형성된 기판 상에 오버 코팅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센서 기판의 제조 방법.
  24.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전극에 신호를 인가하는 복수의 패드들을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각 패드는 제1 금속층 및 제2 금속층으로 형성된 패드 전극, 상기 패드 전극을 덮고 투명 도전층으로 형성된 캡핑 전극 및 상기 캡핑 전극의 상부를 부분적으로 노출하는 홀이 형성된 오믹 코팅 패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서 기판의 제조 방법.
  25. 기판 상에 배치된 차광 패턴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차광 패턴 바로 위에 배치되고 그물 구조로 연결된 제1 라인들을 포함하는 제1 단위부를 포함하고 복수의 제1 단위부들이 제1 방향으로 배열된 제1 전극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제1 전극이 형성된 상기 기판 상에 절연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차광 패턴이 형성된 영역 내에 배치되고 그물 구조로 연결된 제2 라인들을 포함하는 제2 단위부를 포함하고 복수의 제2 단위부들이 상기 제1 방향과 교차하는 제2 방향으로 배열된 제2 전극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제2 전극 위에 컬러 필터층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컬러 필터층 위에 배치된 오버 코팅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센서 기판의 제조 방법.
  26.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전극에 신호를 인가하는 복수의 패드들을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각 패드는 금속층으로 형성된 패드 전극, 및 상기 패드 전극의 상부를 부분적으로 노출하는 홀이 형성된 오믹 코팅 패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서 기판의 제조 방법.
  27. 제1 기판 상에 배치된 차광 패턴, 상기 차광 패턴 바로 위에 배치된 라인들이 그물 구조로 연결된 제1 단위부를 포함하고, 복수의 제1 단위부들이 제1 방향으로 배열된 제1 전극, 상기 제1 단위부들을 노출하는 복수의 콘택홀들이 형성된 컬러 필터층 및 상기 콘택홀들을 통해 상기 제1 단위부들을 서로 연결하는 브릿지 라인을 포함하는 센서 기판; 및
    상기 제1 기판과 대향하는 제2 기판 상에 배치된 복수의 스위칭 소자들, 상기 스위칭 소자들과 연결된 복수의 화소 전극들 및 적어도 하나의 화소 전극과 중첩된 공통 전극을 포함하는 표시 기판을 포함하는 센싱 표시 패널.
  28.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 기판은
    상기 차광 패턴이 배치된 영역 내에 배치된 라인들이 그물 구조로 연결된 제2 단위부를 포함하고, 복수의 제2 단위부들이 상기 제1 방향과 교차하는 제2 방향으로 배열된 제2 전극; 및
    상기 라인들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제2 단위부들을 서로 연결하는 연결 라인을 더 포함하는 센싱 표시 패널.
  29.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브릿지 라인은 투명 도전층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싱 표시 패널.
  30.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 기판은 상기 컬러 필터층 위에 배치되고, 상기 콘택홀들에 대응하여 홀이 형성된 오버 코팅층을 더 포함하고,
    상기 브릿지 라인은 상기 콘택홀들을 통해 상기 제1 단위부들과 접촉되어 상기 오버 코팅층 위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싱 표시 패널.
  31.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 기판은
    상기 제1 및 제2 전극에 신호를 인가하는 복수의 패드들을 더 포함하고, 각 패드는 금속층으로 형성된 패드 전극 및 투명 도전층으로 형성된 캡핑 전극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싱 표시 패널.
  32.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브릿지 라인은 금속층 및 투명 도전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싱 표시 패널.
  33. 제32항에 있어서, 상기 브릿지 라인은 상기 콘택홀들을 통해 상기 제1 단위부들과 접촉되어 상기 컬러 필터층 위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싱 표시 패널.
  34. 제32항에 있어서, 상기 컬러 필터층은
    상기 차광 패턴에 의해 정의된 화소 영역에 섬 형상으로 배치된 컬러 패턴; 및
    상기 제1 단위부들의 이격 영역에 배치되고 상기 컬러 패턴 보다 얇은 두께를 갖는 더미 컬러 패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싱 표시 패널.
  35. 제34항에 있어서, 상기 브릿지 라인은 상기 콘택홀들을 통해 상기 제1 단위부들과 접촉되어 상기 더미 컬러 패턴 위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싱 표시 패널.
  36. 제32항에 있어서, 상기 컬러 필터층 및 상기 브릿지 라인 위에 배치된 오버 코팅층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센싱 표시 패널.
  37. 제36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 기판은 상기 제1 및 제2 전극에 신호를 인가하는 복수의 패드들을 더 포함하고, 각 패드는
    제1 금속층 및 제2 금속층으로 형성된 패드 전극;
    상기 패드 전극을 덮고, 투명 도전층으로 형성된 캡핑 전극; 및
    상기 캡핑 전극의 상부를 부분적으로 노출하는 홀이 형성된 오믹 코팅 패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싱 표시 패널.
KR1020120100387A 2012-09-11 2012-09-11 센서 기판, 이의 제조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센싱 표시 패널 Active KR101968929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00387A KR101968929B1 (ko) 2012-09-11 2012-09-11 센서 기판, 이의 제조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센싱 표시 패널
US13/870,122 US9041869B2 (en) 2012-09-11 2013-04-25 Sensor substrate,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and sensing display panel having the same
JP2013118427A JP6214224B2 (ja) 2012-09-11 2013-06-05 センサ基板、その製造方法及びそれを含むセンシング表示パネル
CN201910312251.6A CN110007502A (zh) 2012-09-11 2013-09-11 传感器基板及其制造方法
CN201310412225.3A CN103677399B (zh) 2012-09-11 2013-09-11 传感器基板及其制造方法和具有其的感测显示面板
US14/702,973 US9268358B2 (en) 2012-09-11 2015-05-04 Sensor substrate,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and sensing display panel hav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00387A KR101968929B1 (ko) 2012-09-11 2012-09-11 센서 기판, 이의 제조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센싱 표시 패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34979A KR20140034979A (ko) 2014-03-21
KR101968929B1 true KR101968929B1 (ko) 2019-04-16

Family

ID=502324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00387A Active KR101968929B1 (ko) 2012-09-11 2012-09-11 센서 기판, 이의 제조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센싱 표시 패널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2) US9041869B2 (ko)
JP (1) JP6214224B2 (ko)
KR (1) KR101968929B1 (ko)
CN (2) CN103677399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711292B2 (en) 2011-11-22 2014-04-29 Atmel Corporation Integrated touch screen
KR101944503B1 (ko) * 2012-06-21 2019-04-1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센서 기판 및 이를 포함하는 센싱 표시 패널
CN103279215B (zh) * 2012-12-31 2016-04-13 上海天马微电子有限公司 一种彩膜基板、内嵌式触控显示面板及触控显示装置
KR20140143645A (ko) 2013-06-07 2014-12-17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터치 센서 패널 및 그 제조 방법
TWM466307U (zh) * 2013-07-05 2013-11-21 Superc Touch Corp 窄邊框之內嵌顯示觸控結構
JP2015064413A (ja) * 2013-09-24 2015-04-09 富士通株式会社 光半導体素子とその製造方法
KR102210524B1 (ko) * 2013-11-13 2021-02-0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패널
CN104915077B (zh) 2014-03-13 2017-11-28 乐金显示有限公司 触摸感应显示装置
US10411078B2 (en) * 2014-04-14 2019-09-10 Industrial Technology Research Institute Sensing display apparatus
TWI832717B (zh) * 2014-04-25 2024-02-11 日商半導體能源研究所股份有限公司 顯示裝置及電子裝置
TWI530838B (zh) * 2014-04-29 2016-04-21 宏碁股份有限公司 製造內嵌式觸控面板的方法及其內嵌式觸控面板
US9927939B2 (en) * 2014-08-13 2018-03-27 Samsung Display Co., Ltd. Touch panel and display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CN104238813B (zh) * 2014-09-02 2017-09-15 上海和辉光电有限公司 应用于触控技术的金属网格结构、其制作方法及导电膜
KR102218780B1 (ko) * 2014-09-05 2021-02-19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터치 스크린 패널 및 터치 스크린 일체형 표시 장치
KR20160044414A (ko) * 2014-10-15 2016-04-25 가부시키가이샤 한도오따이 에네루기 켄큐쇼 터치 패널 및 전자 기기
KR102500994B1 (ko) 2014-10-17 2023-02-16 가부시키가이샤 한도오따이 에네루기 켄큐쇼 터치 패널
KR102299875B1 (ko) * 2014-11-07 2021-09-07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터치 패널, 이의 제조 방법 및 터치 패널 일체형 유기 발광 표시 장치
KR102326807B1 (ko) * 2014-11-26 2021-11-15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발광표시장치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263975B1 (ko) * 2014-12-16 2021-06-1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터치 패널 및 그 제조방법
TWI595287B (zh) * 2014-12-22 2017-08-11 群創光電股份有限公司 顯示面板
CN104461150B (zh) * 2014-12-22 2018-01-19 合肥京东方光电科技有限公司 显示基板及其制造方法、液晶显示装置、以及oled显示装置
KR102301502B1 (ko) * 2015-01-07 2021-09-24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터치 센서를 포함하는 터치 스크린 패널
KR102320639B1 (ko) * 2015-02-04 2021-11-02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터치 스크린 패널 및 이의 제조 방법
US9910530B2 (en) * 2015-02-27 2018-03-06 Panasonic Liquid Crystal Display Co., Ltd. Display panel with touch detection function
CN107430461B (zh) 2015-03-17 2022-01-28 株式会社半导体能源研究所 触摸屏
JP6765199B2 (ja) * 2015-03-17 2020-10-07 株式会社半導体エネルギー研究所 タッチパネル
KR20160114510A (ko) * 2015-03-24 2016-10-05 가부시키가이샤 한도오따이 에네루기 켄큐쇼 터치 패널
KR102335116B1 (ko) * 2015-04-13 2021-12-0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터치 스크린 패널 및 이의 제조 방법
DE102016206922A1 (de) * 2015-05-08 2016-11-10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Touchscreen
CN106201043B (zh) * 2015-05-08 2019-10-11 群创光电股份有限公司 触控结构及其应用
US10168844B2 (en) 2015-06-26 2019-01-01 Samsung Display Co., Ltd. Flexible display device
KR102354030B1 (ko) * 2015-10-23 2022-01-20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전극 접속 패드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소자
KR20170067592A (ko) * 2015-12-08 2017-06-16 주식회사 엘지화학 터치패널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448516B1 (ko) * 2016-01-20 2022-09-29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JP6636618B2 (ja) * 2016-04-19 2020-01-29 アルプスアルパイン株式会社 静電容量式センサ
KR102500981B1 (ko) * 2016-04-26 2023-02-17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터치 패널 모듈 및 그 본딩방법
KR102539031B1 (ko) * 2016-04-28 2023-06-02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KR101913395B1 (ko) 2016-07-29 2018-10-3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
CN106200077A (zh) * 2016-08-31 2016-12-07 深圳市华星光电技术有限公司 一种触控面板及其制作方法
KR102662681B1 (ko) * 2016-12-26 2024-04-30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터치 스크린 일체형 표시장치와 그의 제조방법
KR102680248B1 (ko) * 2016-12-30 2024-07-01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인-셀 터치 유기 발광 표시장치
JP6842362B2 (ja) * 2017-05-12 2021-03-17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 表示装置
KR102348106B1 (ko) * 2017-05-26 2022-01-10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이의 제조방법
CN107393998B (zh) * 2017-06-27 2019-06-21 上海集成电路研发中心有限公司 一种可调吸收频率的量子阱红外探测器及其制作方法
KR102377527B1 (ko) * 2017-09-01 2022-03-24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입력감지유닛 및 이를 구비한 표시장치
KR102341124B1 (ko) 2017-09-26 2021-12-22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전자패널, 표시장치, 및 그 제조 방법
CN107657231B (zh) * 2017-09-27 2020-08-11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指纹识别传感器及其制作方法和显示装置
KR102373995B1 (ko) * 2017-10-30 2022-03-11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터치 스크린 일체형 표시 장치
JP2019091346A (ja) * 2017-11-16 2019-06-13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 表示装置
CN108170312B (zh) * 2017-12-27 2021-03-02 上海天马有机发光显示技术有限公司 一种显示面板和显示装置
CN108241456B (zh) * 2018-02-01 2021-07-27 业成科技(成都)有限公司 触控感测模组及其制作方法以及应用其的触控显示面板
CN114299827B (zh) 2018-10-11 2023-11-17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显示面板及显示装置
KR102601689B1 (ko) * 2018-10-12 2023-11-15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전자 장치
KR20210003972A (ko) * 2019-07-02 2021-01-1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터치 감지 유닛과 그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KR20210086245A (ko) * 2019-12-31 2021-07-08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터치 센서를 포함하는 유기 발광 다이오드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CN111240084B (zh) * 2020-03-25 2022-02-22 厦门天马微电子有限公司 显示面板及显示装置
KR20220004872A (ko) * 2020-07-03 2022-01-12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KR20220010681A (ko) 2020-07-17 2022-01-26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US12248650B2 (en) * 2022-01-26 2025-03-11 Chengdu Boe Optoelectronics Technology Co., Ltd. Touch structure, touch display panel and display device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00149116A1 (en) * 2008-12-11 2010-06-17 Tun-Chun Yang Touch device and touch display panel

Family Cites Families (7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04378B1 (ko) * 1992-09-09 1995-04-28 주식회사금성사 위치감지액정표시소자및제조방법
JP3072829B2 (ja) * 1994-12-27 2000-08-07 キヤノン株式会社 カラー液晶パネル
CN1226659C (zh) * 2002-08-16 2005-11-09 Nec液晶技术株式会社 在涂覆形成的夹层绝缘膜上具有透明导电膜的液晶显示器
KR100789090B1 (ko) * 2002-12-30 2007-12-26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 제조방법
US7755616B2 (en) * 2003-03-28 2010-07-13 Lg Display Co., Lt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having electromagnetic type touch panel
KR101087398B1 (ko) * 2004-06-30 2011-11-25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의 패드 구조 및 그 제조방법
KR101133753B1 (ko) * 2004-07-26 2012-04-09 삼성전자주식회사 감지 소자를 내장한 액정 표시 장치
KR100603836B1 (ko) * 2004-11-30 2006-07-24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유기전계발광 소자 및 그의 제조방법
JP2006351766A (ja) * 2005-06-15 2006-12-28 Sanyo Electric Co Ltd 半導体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KR101196202B1 (ko) * 2005-07-08 2012-11-05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컬러필터 기판,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KR100720527B1 (ko) * 2005-12-28 2007-05-22 동부일렉트로닉스 주식회사 시모스 이미지 센서 및 그 제조 방법
KR100769126B1 (ko) * 2005-12-29 2007-10-22 동부일렉트로닉스 주식회사 Cmos 이미지 센서의 제조방법
KR20070097675A (ko) * 2006-03-28 2007-10-05 삼성전자주식회사 표시 패널
KR101529840B1 (ko) * 2006-06-09 2015-06-17 애플 인크. 터치 스크린 액정 디스플레이
JP5008026B2 (ja) * 2007-01-30 2012-08-22 ソニーモバイルディスプレイ株式会社 入力機能付表示装置
KR101448668B1 (ko) * 2007-07-05 2014-10-0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기판, 이의 제조 방법 및 이를 갖는 표시 장치
KR101308534B1 (ko) * 2007-07-18 2013-09-2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기판 및 이의 제조 방법
KR20090026576A (ko) * 2007-09-10 2009-03-13 삼성전자주식회사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US7924350B2 (en) * 2007-10-12 2011-04-12 Au Optronics Corporation Capacitance type touch panel
KR100937675B1 (ko) * 2007-12-28 2010-01-19 주식회사 동부하이텍 씨모스 이미지 센서의 제조방법
JP4945483B2 (ja) * 2008-02-27 2012-06-06 株式会社 日立ディスプレイズ 表示パネル
JP2009211531A (ja) * 2008-03-05 2009-09-17 Toshiba Mobile Display Co Ltd 表示装置
JP4582169B2 (ja) * 2008-03-26 2010-11-17 ソニー株式会社 静電容量型入力装置、入力機能付き表示装置および電子機器
KR101080183B1 (ko) * 2008-04-04 2011-11-07 (주)멜파스 가장자리 위치 인식 특성이 개선된 접촉 감지 장치
CN101252553B (zh) * 2008-04-11 2011-04-20 东南大学 具有终端功能的无线传感器网络多接口网关设备及其应用
CN101303635A (zh) * 2008-07-01 2008-11-12 友达光电股份有限公司 电容式触控面板及其制作方法
KR101329638B1 (ko) * 2008-07-31 2013-11-14 군제 가부시키가이샤 평면체 및 터치 스위치
CN101673692B (zh) * 2008-09-09 2012-04-25 中芯国际集成电路制造(北京)有限公司 一种形成焊盘的两步刻蚀方法
CN101738761B (zh) * 2008-11-26 2014-07-23 群创光电股份有限公司 触控式面板
TWI380089B (en) * 2008-12-03 2012-12-21 Au Optronics Corp Method of forming a color filter touch sensing substrate
TWI374299B (en) * 2008-12-11 2012-10-11 Au Optronics Corp Color filter touch sensing substrate and display panel and manufacturing methods of the same
CN101424817B (zh) * 2008-12-17 2010-07-21 友达光电股份有限公司 制作彩色滤光触控基板的方法
KR20100084252A (ko) * 2009-01-16 2010-07-26 삼성모바일디스플레이주식회사 터치 스크린 패널
US20100238133A1 (en) * 2009-03-17 2010-09-23 Wintek Corporation Capacitive touch panel
CN101930133A (zh) * 2009-06-19 2010-12-29 台均科技(深圳)有限公司 液晶面板和液晶显示器
TWI596741B (zh) * 2009-08-07 2017-08-21 半導體能源研究所股份有限公司 半導體裝置和其製造方法
KR101663034B1 (ko) * 2009-08-26 2016-10-07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접촉 감지 기능이 있는 전기 영동 표시 장치
JP2011075809A (ja) * 2009-09-30 2011-04-14 Toppan Printing Co Ltd 液晶表示パネル
JP5418130B2 (ja) * 2009-10-15 2014-02-19 大日本印刷株式会社 静電容量式タッチパネルセンサおよび当該タッチパネルセンサの製造方法
KR20110052241A (ko) * 2009-11-12 2011-05-18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터치 패널 일체형 입체 영상 표시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1844972B1 (ko) * 2009-11-27 2018-04-03 가부시키가이샤 한도오따이 에네루기 켄큐쇼 반도체 장치 및 반도체 장치의 제작방법
KR101716828B1 (ko) * 2009-12-07 2017-03-16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터치스크린 기판 및 터치스크린 기판의 제조 방법
US8970509B2 (en) * 2009-12-09 2015-03-03 Lg Display Co., Ltd. Touch panel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KR101309862B1 (ko) * 2009-12-10 2013-09-16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터치 패널 일체형 액정 표시 장치
KR101320074B1 (ko) * 2009-12-10 2013-10-18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정전용량 방식 터치 스크린 패널
TWI412854B (zh) * 2010-02-04 2013-10-21 Chunghwa Picture Tubes Ltd 觸控液晶模組及其整合式觸控基板
KR101093326B1 (ko) 2010-02-18 2011-12-14 삼성모바일디스플레이주식회사 터치 스크린 패널 및 그 제작방법
KR101049006B1 (ko) 2010-02-22 2011-07-12 삼성모바일디스플레이주식회사 터치 스크린 패널 및 그 제조방법
US8593413B2 (en) * 2010-03-01 2013-11-26 Cando Corporation Sensory structure of capacitive touch panel and capacitive touch panel having the same
KR101140920B1 (ko) * 2010-04-21 2012-05-03 삼성전기주식회사 정전용량식 터치스크린 일체형 표시장치
KR101142664B1 (ko) * 2010-05-17 2012-05-03 삼성모바일디스플레이주식회사 터치패널 일체형 액정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TW201142418A (en) * 2010-05-20 2011-12-01 Unidisplay Inc Touch-sensing display panel and color filter touch-sensing substrate
CN102279662A (zh) * 2010-06-13 2011-12-14 明兴光电股份有限公司 触控显示面板及彩色滤光触控基板
TWI435292B (zh) * 2010-06-17 2014-04-21 Au Optronics Corp 感測式顯示裝置
CN102298457A (zh) * 2010-06-25 2011-12-28 棨研科技有限公司 电子黑板
KR101119293B1 (ko) 2010-07-26 2012-03-16 삼성전기주식회사 터치 스크린 패널 및 그 제조 방법
KR101314779B1 (ko) * 2010-08-18 2013-10-08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정전용량 방식 터치 스크린 패널 및 그 제조방법
KR101373047B1 (ko) * 2010-09-07 2014-03-1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연성회로기판 및 이를 구비한 터치스크린패널장치
CN102402354A (zh) * 2010-09-10 2012-04-04 敦泰科技有限公司 具有网状电极的电容式触摸屏
JP2012068287A (ja) * 2010-09-21 2012-04-05 Toppan Printing Co Ltd カラーフィルタ基板及びその製造方法
CN102467303B (zh) * 2010-11-04 2014-09-03 扬升照明股份有限公司 电容式触控面板
KR101779510B1 (ko) * 2010-11-11 2017-09-19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KR101793115B1 (ko) * 2010-12-10 2017-11-03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터치패널 및 이를 포함하는 평판디스플레이장치
US8804056B2 (en) * 2010-12-22 2014-08-12 Apple Inc. Integrated touch screens
KR101773613B1 (ko) * 2011-02-25 2017-09-01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터치 일체형 표시장치
US9292143B2 (en) * 2011-07-29 2016-03-22 Sharp Kabushiki Kaisha Touch panel substrate and electro-optical device
WO2013018591A1 (ja) * 2011-07-29 2013-02-07 シャープ株式会社 タッチパネル基板および電気光学装置
CN202182995U (zh) * 2011-09-09 2012-04-04 北京京东方光电科技有限公司 彩膜基板及电容式触摸屏
TWI456321B (zh) * 2011-12-08 2014-10-11 Au Optronics Corp 觸控顯示面板
JP2015121829A (ja) * 2012-04-18 2015-07-02 シャープ株式会社 カラーフィルター一体型タッチパネル
KR101944503B1 (ko) * 2012-06-21 2019-04-1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센서 기판 및 이를 포함하는 센싱 표시 패널
CN103268036B (zh) * 2012-08-17 2016-03-30 上海天马微电子有限公司 一种内嵌式触摸屏彩膜基板及内嵌式触摸屏
US9389737B2 (en) * 2012-09-14 2016-07-12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driving the same in two modes
CN103913869B (zh) * 2012-12-31 2017-06-23 上海天马微电子有限公司 一种内嵌触控装置的液晶显示器及其形成方法
TW201441737A (zh) * 2013-04-22 2014-11-01 Chunghwa Picture Tubes Ltd 觸控彩色濾光片及其製造方法以及觸控顯示面板
TW201445621A (zh) * 2013-05-24 2014-12-01 Wintek Corp 觸控感測電極結構及觸控裝置
TWM466307U (zh) * 2013-07-05 2013-11-21 Superc Touch Corp 窄邊框之內嵌顯示觸控結構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00149116A1 (en) * 2008-12-11 2010-06-17 Tun-Chun Yang Touch device and touch display pane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40070350A1 (en) 2014-03-13
KR20140034979A (ko) 2014-03-21
CN103677399A (zh) 2014-03-26
JP6214224B2 (ja) 2017-10-18
US20150234425A1 (en) 2015-08-20
US9041869B2 (en) 2015-05-26
CN110007502A (zh) 2019-07-12
JP2014056564A (ja) 2014-03-27
US9268358B2 (en) 2016-02-23
CN103677399B (zh) 2019-05-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68929B1 (ko) 센서 기판, 이의 제조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센싱 표시 패널
US10642118B2 (en) Display substrate and display device
KR102302803B1 (ko) 터치 디스플레이 패널
KR101290709B1 (ko) 터치센서 인셀 타입 액정표시장치용 어레이 기판 및 이의 제조방법
US7817227B2 (en) Array substrate, display panel having the sam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JP5371063B2 (ja) 薄膜トランジスタ表示板及びこれを含む液晶表示装置
KR101475299B1 (ko) 액정 표시 장치 및 그의 제조 방법
US7133105B2 (en) Array substrate for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US8023088B2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of the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US20080018843A1 (en) Liquid crystal display panel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US10324345B2 (en) Display device and display substrate
KR20110060567A (ko) 표시 장치,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 및 이의 제조 방법
KR20120119369A (ko) 터치센서 인셀 타입 액정표시장치용 어레이 기판 및 이의 제조방법
US10606388B2 (en) Array substrate,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and touch display panel
TW201327584A (zh) 面板及其製法
KR20130061969A (ko) 액정표시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US20250098408A1 (en)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display device
KR20120130983A (ko) 액정표시장치용 어레이 기판 및 그 제조 방법
KR20160135898A (ko) 액정 표시 장치
KR101969428B1 (ko) 프린지 필드 스위칭 모드 액정표시장치용 어레이 기판
KR101557805B1 (ko) 액정표시장치
KR20190067478A (ko) 표시 장치 및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KR101408687B1 (ko) 액정표시장치용 어레이 기판 및 그 제조방법
KR20070080107A (ko) 빛샘 방지를 위한 액정 표시 장치
KR20040000187A (ko) 박막 트랜지스터 어레이 기판, 공통 전극 기판, 이들의제조 방법 및 이들을 포함하는 액정 표시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20911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20911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80803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90115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90409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90410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323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321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