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890749B1 - 전극구조체, 이를 포함하는 질화갈륨계 반도체소자 및 이들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전극구조체, 이를 포함하는 질화갈륨계 반도체소자 및 이들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90749B1
KR101890749B1 KR1020110110721A KR20110110721A KR101890749B1 KR 101890749 B1 KR101890749 B1 KR 101890749B1 KR 1020110110721 A KR1020110110721 A KR 1020110110721A KR 20110110721 A KR20110110721 A KR 20110110721A KR 101890749 B1 KR101890749 B1 KR 10189074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semiconductor layer
electrode
gan
based semiconducto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107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46249A (ko
Inventor
이정엽
선우문욱
문창렬
박용영
양우영
황인준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1107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90749B1/ko
Priority to US13/489,733 priority patent/US9000485B2/en
Priority to CN201210215829.4A priority patent/CN103094334B/zh
Priority to JP2012235473A priority patent/JP2013098556A/ja
Publication of KR201300462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4624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907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90749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4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the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 H01L21/18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the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the devices having semiconductor bodies comprising elements of Group IV of the Periodic Table or AIIIBV compounds with or without impurities, e.g. doping materials
    • H01L21/28Manufacture of electrodes on semiconductor bodies using processe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1L21/20 - H01L21/268
    • H01L21/28008Making conductor-insulator-semiconductor electrodes
    • H01L21/28264Making conductor-insulator-semiconductor electrodes the insulator being formed after the semiconductor body, the semiconductor being a III-V compound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DINORGANIC ELECTRIC SEMICONDUCTOR DEVICES
    • H10D10/00Bipolar junction transistors [BJT]
    • H10D10/80Heterojunction BJT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DINORGANIC ELECTRIC SEMICONDUCTOR DEVICES
    • H10D30/00Field-effect transistors [FET]
    • H10D30/01Manufacture or treatment
    • H10D30/015Manufacture or treatment of FETs having heterojunction interface channels or heterojunction gate electrodes, e.g. HEMT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DINORGANIC ELECTRIC SEMICONDUCTOR DEVICES
    • H10D30/00Field-effect transistors [FET]
    • H10D30/40FETs having zero-dimensional [0D], one-dimensional [1D] or two-dimensional [2D] charge carrier gas channels
    • H10D30/47FETs having zero-dimensional [0D], one-dimensional [1D] or two-dimensional [2D] charge carrier gas channels having 2D charge carrier gas channels, e.g. nanoribbon FETs or high electron mobility transistors [HEMT]
    • H10D30/471High electron mobility transistors [HEMT] or high hole mobility transistors [HHMT]
    • H10D30/475High electron mobility transistors [HEMT] or high hole mobility transistors [HHMT] having wider bandgap layer formed on top of lower bandgap active layer, e.g. undoped barrier HEMTs such as i-AlGaN/GaN HEMTs
    • H10D30/4755High electron mobility transistors [HEMT] or high hole mobility transistors [HHMT] having wider bandgap layer formed on top of lower bandgap active layer, e.g. undoped barrier HEMTs such as i-AlGaN/GaN HEMTs having wide bandgap charge-carrier supplying layers, e.g. modulation doped HEMTs such as n-AlGaAs/GaAs HEMT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DINORGANIC ELECTRIC SEMICONDUCTOR DEVICES
    • H10D62/00Semiconductor bodies, or regions thereof, of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 H10D62/10Shapes, relative sizes or dispositions of the regions of the semiconductor bodies; Shapes of the semiconductor bodies
    • H10D62/13Semiconductor regions connected to electrodes carrying current to be rectified, amplified or switched, e.g. source or drain regions
    • H10D62/149Source or drain regions of field-effect device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DINORGANIC ELECTRIC SEMICONDUCTOR DEVICES
    • H10D64/00Electrodes of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 H10D64/20Electrode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s, relative sizes or dispositions 
    • H10D64/27Electrodes not carrying the current to be rectified, amplified, oscillated or switched, e.g. gates
    • H10D64/311Gate electrodes for field-effect devices
    • H10D64/411Gate electrodes for field-effect devices for FETs
    • H10D64/511Gate electrodes for field-effect devices for FETs for IGFETs
    • H10D64/514Gate electrodes for field-effect devices for FETs for IGFETs characterised by the insulating layer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DINORGANIC ELECTRIC SEMICONDUCTOR DEVICES
    • H10D64/00Electrodes of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 H10D64/60Electrodes characterised by their materials
    • H10D64/66Electrodes having a conductor capacitively coupled to a semiconductor by an insulator, e.g. MIS electrode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DINORGANIC ELECTRIC SEMICONDUCTOR DEVICES
    • H10D62/00Semiconductor bodies, or regions thereof, of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 H10D62/80Semiconductor bodies, or regions thereof, of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s
    • H10D62/85Semiconductor bodies, or regions thereof, of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s being Group III-V materials, e.g. GaAs
    • H10D62/8503Nitride Group III-V materials, e.g. AlN or Ga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Junction Field-Effect Transistors (AREA)
  • Electrodes Of Semiconductors (AREA)
  • Insulated Gate Type Field-Effect Transistor (AREA)

Abstract

전극구조체, 이를 포함하는 질화갈륨계 반도체소자 및 이들의 제조방법에 관해 개시되어 있다. 개시된 질화갈륨계 반도체소자는 GaN 계열 반도체층 및 상기 GaN 계열 반도체층 상에 구비된 전극구조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극구조체는 도전 물질을 포함하는 전극요소 및 상기 전극요소와 상기 GaN 계열 반도체층 사이에 구비된 확산층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확산층은 4족 원소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확산층은 Ge, Si, Sn, Pb 및 GeSi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확산층과 접촉된 상기 GaN 계열 반도체층 영역은 상기 4족 원소로 도핑될 수 있다. 상기 GaN 계열 반도체층은, 예컨대, GaN층 및 AlGaN층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질화갈륨계 반도체소자는 고전자이동도 트랜지스터(HEMT)일 수 있고, 파워소자(power device)일 수 있다.

Description

전극구조체, 이를 포함하는 질화갈륨계 반도체소자 및 이들의 제조방법{Electrode structure, gallium nitride based semiconductor device including the same and methods of manufacturing the same}
전극구조체, 이를 포함하는 질화갈륨계 반도체소자 및 이들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질화갈륨계 반도체는 에너지갭이 크고, 높은 열적·화학적 안정성, 높은 전자 포화속도(∼3×107 cm/sec) 등 뛰어난 물성 가지고 있다. 특히, 질화갈륨계 반도체를 이용한 전자소자는 높은 항복전계(∼3×106 V/cm), 높은 최대 전류밀도, 안정된 고온 동작 특성, 높은 열전도도 등 다양한 장점을 가지고 있다. 질화갈륨계 이종접합구조를 이용하는 HFET(heterostructure field effect transistor)의 경우, 접합 계면에서의 밴드 불연속(band-discontinuity)이 크기 때문에 상기 계면에 전자가 높은 농도로 집중될 수 있어 전자이동도(electron mobility)를 더욱 높일 수 있다. 이와 같은 물성적인 특징으로 인해, 질화갈륨계 반도체는 광소자뿐만 아니라 고주파·고출력용 전자소자 및 전력소자(즉, 파워소자)(power device)로의 응용이 가능하다.
그런데 질화갈륨계 반도체를 다양한 전자소자(반도체소자)에 적용하는데 있어서, 질화갈륨계 반도체와 우수한 접촉 특성을 갖는 전극의 개발이 중요할 수 있다. 예컨대, 질화갈륨계 반도체와 오믹 콘택(ohmic contact)할 수 있는 전극 및 그 제조공정을 개발/개선하는 것이 전자소자(반도체소자)의 성능 향상에 상당한 영향 줄 수 있다.
질화갈륨계 반도체와 우수한 접촉 특성을 갖는 전극구조체 및 이를 포함하는 질화갈륨계 반도체소자를 제공한다.
오믹 콘택(ohmic contact)을 위한 열처리 온도를 낮출 수 있는 전극구조체 및 이를 포함하는 질화갈륨계 반도체소자를 제공한다.
상기 전극구조체 및 질화갈륨계 반도체소자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aspect)에 따르면, GaN 계열 반도체층; 및 상기 GaN 계열 반도체층 상에 구비된 전극구조체;를 포함하는 질화갈륨계 반도체소자에 있어서, 상기 전극구조체는 도전 물질을 포함하는 전극요소; 및 상기 전극요소와 상기 GaN 계열 반도체층 사이에 구비된 것으로, 4족 원소를 포함하는 확산층;을 구비하고, 상기 확산층과 접촉된 상기 GaN 계열 반도체층 영역은 상기 4족 원소로 도핑된 질화갈륨계 반도체소자가 제공된다.
상기 확산층은 Ge, Si, Sn, Pb 및 GeSi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Ge, Si, Sn 및 Pb 가 상기 4족 원소에 해당된다.
상기 확산층은 2∼20nm 정도의 두께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전극요소는 다층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전극요소는 Ti/Al 기반의 다층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전극요소는 Ti/Al, Ti/Al/Ni/Au, Ti/Al/TiN, Ti/Al/Mo 및 Ti/Al/W 중 어느 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전극요소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4족 원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GaN 계열 반도체층은 GaN층 및 AlGaN층을 포함하는 다층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전극구조체는 상기 GaN층 또는 AlGaN층에 접촉할 수 있다.
상기 전극구조체와 접촉된 상기 GaN 계열 반도체층 영역은 질소 공공(N vacancy)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극구조체와 상기 GaN 계열 반도체층 사이의 콘택 저항은 1×10-4 Ω·㎠ 이하일 수 있다.
상기 질화갈륨계 반도체소자는 고전자이동도 트랜지스터(high electron mobility transistor)(HEMT)일 수 있다.
상기 질화갈륨계 반도체소자는 파워소자(power device)일 수 있다.
상기 질화갈륨계 반도체소자는 상기 GaN 계열 반도체층의 제1 영역에 구비된 소오스전극; 상기 GaN 계열 반도체층의 제2 영역에 구비된 드레인전극; 및 상기 소오스전극과 상기 드레인전극 사이의 상기 GaN 계열 반도체층 상에 구비된 게이트전극;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소오스전극 및 상기 드레인전극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전극구조체에 대응될 수 있다.
상기 게이트전극과 상기 GaN 계열 반도체층 사이에 게이트절연층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게이트절연층 상에 식각 베리어층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식각 베리어층은 실리콘 질화물, 실리콘 산화물, 알루미늄 질화물 및 알루미늄 산화물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GaN 계열 반도체층의 상기 제1 및 제2 영역은 소정 깊이로 식각된 영역일 수 있다.
상기 GaN 계열 반도체층은 GaN층 및 AlGaN층을 포함하는 다층 구조를 가질 수 있고, 상기 제1 및 제2 영역의 상면은 상기 GaN층의 식각된 표면이거나 상기 AlGaN층의 식각된 표면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GaN 계열 반도체층을 마련하는 단계; 및 상기 GaN 계열 반도체층 상에 전극구조체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질화갈륨계 반도체소자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전극구조체를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GaN 계열 반도체층 상에 4족 원소를 포함하는 확산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확산층 상에 도전 물질을 포함하는 전극요소를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확산층의 4족 원소가 상기 GaN 계열 반도체층으로 확산되도록 상기 확산층 및 상기 GaN 계열 반도체층을 열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질화갈륨계 반도체소자의 제조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확산층은 Ge, Si, Sn, Pb 및 GeSi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도록 형성할 수 있다. 여기서, Ge, Si, Sn 및 Pb 가 상기 4족 원소에 해당된다.
상기 확산층은 2∼20nm 정도의 두께로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전극요소는 다층 구조로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전극요소는 Ti/Al 기반의 다층 구조로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전극요소는 Ti/Al, Ti/Al/Ni/Au, Ti/Al/TiN, Ti/Al/Mo 및 Ti/Al/W 중 어느 하나의 구조로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열처리는 600∼800℃ 정도의 온도로 수행할 수 있다.
상기 GaN 계열 반도체층은 GaN층 및 AlGaN층을 포함하는 다층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전극구조체는 상기 GaN층 또는 AlGaN층에 접촉할 수 있다.
상기 질화갈륨계 반도체소자는 고전자이동도 트랜지스터(HEMT)일 수 있다.
상기 질화갈륨계 반도체소자는 파워소자(power device)일 수 있다.
상기 질화갈륨계 반도체소자의 제조방법은 상기 GaN 계열 반도체층 상에 게이트전극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게이트전극 일측의 상기 GaN 계열 반도체층의 제1 영역 상에 소오스전극을 형성하고, 상기 게이트전극 타측의 상기 GaN 계열 반도체층의 제2 영역 상에 드레인전극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소오스전극 및 상기 드레인전극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전극구조체에 대응될 수 있다.
상기 GaN 계열 반도체층과 상기 게이트전극 사이에 게이트절연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더 수행할 수 있다.
상기 게이트절연층 상에 식각 베리어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더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식각 베리어층은 실리콘 질화물, 실리콘 산화물, 알루미늄 질화물 및 알루미늄 산화물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소오스전극 및 드레인전극을 형성하는 단계 전, 상기 GaN 계열 반도체층의 상기 제1 및 제2 영역을 소정 깊이로 식각하는 단계를 더 수행할 수 있다.
상기 GaN 계열 반도체층은 GaN층 및 AlGaN층을 포함하는 다층 구조를 가질 수 있고, 상기 제1 및 제2 영역의 상면은 상기 GaN층의 식각된 표면이거나 상기 AlGaN층의 식각된 표면일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 영역을 소정 깊이로 식각하는 단계는, 예컨대, RIE(reactive ion etching) 방법으로 수행할 수 있다.
질화갈륨계 반도체와 우수한 접촉 특성을 갖는 전극구조체 및 이를 포함하는 질화갈륨계 반도체소자를 구현할 수 있다.
오믹 콘택(ohmic contact)을 위한 열처리 온도를 낮출 수 있는 전극구조체 및 이를 포함하는 질화갈륨계 반도체소자를 구현할 수 있다.
상기 전극구조체를 적용하면, 고효율·고성능의 질화갈륨계 반도체소자를 구현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전극구조체를 포함하는 질화갈륨계 반도체소자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5a 내지 5e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극구조체를 포함하는 질화갈륨계 반도체소자의 제조방법을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6의 (A) 및 (B)는 도 5e의 열처리 공정 전, 소오스전극과 접촉된 제2 반도체층 영역의 결정 구조를 3차원 및 2차원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7의 (A) 및 (B)는 도 5e의 열처리 공정 후, 소오스전극과 접촉된 제2 반도체층 영역의 결정 구조를 3차원 및 2차원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8a 내지 8d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극구조체를 포함하는 질화갈륨계 반도체소자의 제조방법을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9a 내지 9c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극구조체를 포함하는 질화갈륨계 반도체소자의 제조방법을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10의 (A) 및 (B)는 도 9c의 열처리 공정 전, 소오스전극과 접촉된 제1 반도체층 영역의 결정 구조를 3차원 및 2차원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1의 (A) 및 (B)는 도 9c의 열처리 공정 후, 소오스전극과 접촉된 제1 반도체층 영역의 결정 구조를 3차원 및 2차원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2는 비교예에 따른 질화갈륨계 반도체소자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13의 (A) 및 (B)는 도 12의 전극요소(소오스전극)와 접촉된 제2 반도체층 영역의 결정 구조를 3차원 및 2차원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4는 표 1의 비교예, 샘플1 및 샘플2의 전극구조체의 열처리 온도에 따른 콘택 저항의 변화를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극구조체, 이를 포함하는 질화갈륨계 반도체소자 및 이들의 제조방법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층이나 영역들의 폭 및 두께는 명세서의 명확성을 위해 다소 과장되게 도시된 것이다. 상세한 설명 전체에 걸쳐 동일한 참조번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극구조체를 포함하는 질화갈륨계 반도체소자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GaN 계열 반도체층(GL10)이 마련될 수 있다. GaN 계열 반도체층(GL10)은 제1 반도체층(100) 및 제2 반도체층(200)을 포함하는 다층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제1 및 제2 반도체층(100, 200)은 GaN 계열의 서로 다른 물질층일 수 있다. 따라서 GaN 계열 반도체층(GL10)은 이종접합구조를 포함한다고 할 수 있다. 제1 반도체층(100)은, 예컨대, GaN층일 수 있고, 제2 반도체층(200)은, 예컨대, AlGaN층일 수 있다. 제2 반도체층(200)의 분극률은 제1 반도체층(100)의 분극률보다 클 수 있다. 이러한 제2 반도체층(200)에 의해 제1 반도체층(100)에 2차원 전자가스(2-dimensional electron gas)(2DEG)(미도시)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2DEG는 제1 반도체층(100)과 제2 반도체층(200)의 계면 아래의 제1 반도체층(100) 부분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2DEG는 n형 채널로 사용될 수 있다. 이런 점에서 제1 반도체층(100)은 채널층일 수 있고, 제2 반도체층(200)은 채널공급층일 수 있다. 제2 반도체층(200)의 두께는 약 50nm 이하일 수 있고, 제1 반도체층(100)의 두께는 제2 반도체층(200)보다 두꺼울 수 있다. 제1 및 제2 반도체층(100, 200)은 소정의 기판(미도시) 상에 구비될 수 있고, 상기 기판과 제1 반도체층(100) 사이에 소정의 버퍼층(buffer layer)(미도시)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제2 반도체층(200) 상에 게이트절연층(300)이 구비될 수 있다. 게이트절연층(300)은, 예컨대, Al2O3, SiOx, SixNy, Sc2O3, AlN, Ga2O3, Gd2O3, AlxGa2 (1-x)O3, MgO 및 이들의 조합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개시하지 않았더라도 일반적인 트랜지스터에서 사용하는 게이트절연층 물질이면 어느 것이든 게이트절연층(300) 물질로 적용할 수 있다. 게이트절연층(300) 상에 게이트전극(400)이 구비될 수 있다. 게이트전극(400)은 일반적인 반도체소자에서 사용되는 다양한 도전 물질(금속, 도전성 산화물 등)로 형성될 수 있다.
게이트전극(400) 양측의 제2 반도체층(200) 상에 소오스전극(500A) 및 드레인전극(500B)이 구비될 수 있다. 소오스전극(500A)이 드레인전극(500B)보다 게이트전극(400)에 더 가깝게 위치할 수 있다. 즉, 소오스전극(500A)과 게이트전극(400) 사이의 거리는 드레인전극(500B)과 게이트전극(400) 사이의 거리보다 짧을 수 있다. 그러나 이는 예시적인 것이고, 소오스전극(500A) 및 드레인전극(500B)과 게이트전극(400) 사이의 상대적인 거리는 달라질 수 있다. 게이트절연층(300)은 제2 반도체층(200)과 게이트전극(400) 사이에서 소오스전극(500A) 및 드레인전극(500B) 까지 연장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소오스전극(500A) 및 드레인전극(500B) 중 적어도 하나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극구조체의 구성을 가질 수 있다. 소오스전극(500A)과 드레인전극(500B) 모두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극구조체의 구성을 가질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소오스전극(500A)과 드레인전극(500B)이 동일한 구성을 갖는다. 이하에서는, 소오스전극(500A) 및 드레인전극(500B)의 구성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소오스전극(500A)은 제2 반도체층(200)의 제1 영역 상에 구비된 확산층(5A) 및 전극요소(50A)를 포함할 수 있다. 확산층(5A)은 전극요소(50A)와 제2 반도체층(200) 사이에 구비될 수 있다. 전극요소(50A)는 다층 구조, 예컨대, Ti/Al 기반의 다층 구조를 가질 수 있다. 구체적인 예로, 전극요소(50A)는 확산층(5A) 상에 순차로 구비된 Ti층(10A), Al층(20A), Ni층(30A) 및 Au층(40A)을 포함하는 구조, 즉, Ti/Al/Ni/Au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이때, Ti층(10A)은 제2 반도체층(200)과의 오믹 콘택(ohmic contact)에 기여하는 층일 수 있고, Al층(20A)은 낮은 저항을 가지고 우수한 전도성을 제공하는 층일 수 있다. Ni층(30A)은 확산방지층일 수 있고, Au층(40A)은 산화방지층(캡핑층)일 수 있다. 도 1에 도시한 전극요소(50A)의 구성은 예시적인 것이고, 이는 다양하게 변화될 수 있다. 예컨대, 전극요소(50A)는 Ti/Al, Ti/Al/TiN, Ti/Al/Mo 및 Ti/Al/W 중 어느 한 구조를 갖거나, 그 밖에 다른 구성을 가질 수도 있다.
확산층(5A)은 4족 원소를 포함하는 층일 수 있다. 예컨대, 확산층(5A)은 Ge, Si, Sn, Pb 및 GeSi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인 예로, 확산층(5A)은 Ge층, Si층, Sn층 또는 Pb층과 같은 단일 원소층이거나, GeSi층과 같은 화합물층일 수 있다. 여기서, Ge, Si, Sn 및 Pb는 상기 4족 원소에 해당된다. 확산층(5A)의 두께는 2∼20nm 정도일 수 있지만, 경우에 따라서는, 2nm 이하일 수도 있다. 이러한 확산층(5A)에 의해 소오스전극(500A)과 제2 반도체층(200)의 오믹 콘택(ohmic contact) 특성이 향상될 수 있다. 이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확산층(5A)의 4족 원소가 제2 반도체층(200) 영역(상기 제1 영역)으로 확산됨에 따라, 제2 반도체층(200)의 상기 제1 영역이 상기 4족 원소로 도핑될 수 있다. 이러한 4족 원소의 도핑은 제2 반도체층(200)의 상기 제1 영역에 과잉 전자(excess electrons)를 발생시키기 때문에, 제2 반도체층(200)의 상기 제1 영역은 쉽게 n+ 영역이 될 수 있다. 따라서 소오스전극(500A)과 제2 반도체층(200)의 오믹 콘택 특성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제2 반도체층(200)의 상기 제1 영역에서 질소(N) 원자가 소오스전극(500A)으로 확산되거나 전극요소(50A)의 금속 원자(ex, Ti 등)가 제2 반도체층(200)으로 확산되어 제2 반도체층(200)의 질소(N) 원자와 결합됨에 따라, 제2 반도체층(200)의 상기 제1 영역에 질소 공공(N vacancy)이 발생될 수 있는데, 이러한 질소 공공(N vacancy)은 n+ 도핑 효과를 나타낸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소오스전극(500A)과 제2 반도체층(200)은 용이하게 오믹 콘택을 형성할 수 있고, 이들 사이의 콘택 저항은 매우 낮을 수 있다. 소오스전극(500A)과 제2 반도체층(200) 사이의 콘택 저항은 1×10-4 Ω·㎠ 이하, 예컨대, 1×10-5 Ω·㎠ 이하로 매우 낮을 수 있다.
확산층(5A)의 4족 원소가 제2 반도체층(200)으로 확산되는 것과 제2 반도체층(200)에 질소 공공(N vacancy)이 발생되는 것은 열처리 공정의 결과일 수 있다. 즉, 소정의 열처리 공정에 의해 확산층(5A)의 4족 원소가 제2 반도체층(200)으로 확산되고, 전극요소(50A)의 금속 원자(ex, Ti 등)가 제2 반도체층(200)으로 확산되어 제2 반도체층(200)의 질소(N) 원자와 결합될 수 있고, 그 결과, 소오스전극(500A)과 제2 반도체층(200)의 오믹 콘택 특성이 얻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확산층(5A)을 사용하기 때문에, 낮은 열처리 온도(약 600∼800℃)에서도 우수한 오믹 콘택 특성을 용이하게 확보할 수 있다. 따라서 고온의 열처리 공정에 의해 소자의 특성이 열화되는 문제를 억제/방지할 수 있고, 질화갈륨계 반도체소자의 성능/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7의 (A)는 도 1의 소오스전극(500A)과 접촉된 제2 반도체층(200) 영역(상기 제1 영역)의 결정 구조를 3차원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7의 (B)는 소오스전극(500A)과 접촉된 제2 반도체층(200) 영역(상기 제1 영역)의 결정 구조를 2차원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7은 제2 반도체층(200)이 AlGaN층인 경우이고, 이때 제2 반도체층(200)의 상기 제1 영역에 도핑된(확산된) 4족 원소는 Ge이다. 여기서, Ge 원소는 Si, Sn, Pb 등으로 대체될 수 있다.
도 7의 (A) 및 (B)를 참조하면, 제2 반도체층(200)은 우르자이트(wurzite) 구조의 AlGaN이고, 4족 원소인 Ge가 도핑됨에 따라 과잉 전자(excess electrons)(e-)가 발생됨을 알 수 있다. 또한 AlGaN 구조에 질소 공공(N vacancy)이 형성되어 있다. 과잉 전자(e-) 및 질소 공공(N vacancy)은 n+ 도핑 효과를 나타낸다. 따라서 도 1의 소오스전극(500A)과 접촉된 제2 반도체층(200) 영역(상기 제1 영역)은 n+ 영역일 수 있고, 결과적으로 소오스전극(500A)과 상기 제2 반도체층(200)의 제1 영역은 오믹 콘택될 수 있다.
다시 도 1을 참조하면, 드레인전극(500B)은 제2 반도체층(200)의 제2 영역 상에 구비된 확산층(5B) 및 전극요소(50B)를 포함할 수 있다. 드레인전극(500B)의 확산층(5B) 및 전극요소(50B)는 각각 소오스전극(500A)의 확산층(5A) 및 전극요소(50A)와 동일한 요소일 수 있다. 드레인전극(500B)의 전극요소(50B)는, 예컨대, Ti층(10B), Al층(20B), Ni층(30B) 및 Au층(40B)을 포함할 수 있다. 드레인전극(500B)과 접촉된 제2 반도체층(200) 영역(상기 제2 영역)은 소오스전극(500A)과 접촉된 제2 반도체층(200) 영역(상기 제1 영역)과 동일한 결정 구조 및 특성을 가질 수 있다. 그러므로 드레인전극(500B)과 제2 반도체층(200)은 우수한 오믹 콘택 특성을 나타낼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극구조체를 포함하는 질화갈륨계 반도체소자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본 실시예의 구조는 도 1에서 변형된 것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리세스영역(R1)을 갖는 GaN 계열 반도체층(GL11)이 마련될 수 있다. GaN 계열 반도체층(GL11)은 제1 반도체층(100)과 제2 반도체층(200a)을 포함할 수 있고, 적어도 제2 반도체층(200a)의 소정 영역에 리세스영역(R1)이 형성될 수 있다. 리세스영역(R1)은 제1 반도체층(100)의 상면을 노출하는 깊이로 형성될 수 있지만, 리세스영역(R1)의 깊이는 달라질 수 있다. 리세스영역(R1)의 깊이는 제2 반도체층(200a)의 두께보다 작거나 클 수 있다. 리세스영역(R1) 상에 게이트전극(400a)이 구비될 수 있다. 리세스영역(R1)과 게이트전극(400a) 사이에 게이트절연층(300a)이 구비될 수 있다. 리세스영역(R1)에 대응하는 채널영역(즉, 2DEG)은 끊어지거나, 나머지 채널영역과 다른 특성(ex, 전자 농도 등)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리세스영역(R1)을 형성함으로써, 질화갈륨계 반도체소자의 특성을 조절/개선할 수 있다. 한편, 소오스전극(500A) 및 드레인전극(500B)의 구성은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동일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도 1 및 도 2에서 게이트절연층(300, 300a) 양측의 GaN 계열 반도체층(GL10, GL11) 영역을 소정 깊이로 식각한 후, 식각된 표면 위에 소오스전극(500A) 및 드레인전극(500B)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식각 두께(깊이)는 1∼120nm 정도일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식각된 표면은 제2 반도체층(200, 200a)의 식각된 표면이거나, 제1 반도체층(100)의 식각된 표면일 수 있다. 예컨대, 도 2에서 게이트절연층(300a) 양측의 제2 반도체층(200a) 영역을 소정 깊이만큼 식각(리세스)한 후, 그 위에 소오스전극(500A) 및 드레인전극(500B)을 형성할 수 있다. 그 예가 도 3에 도시되어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제2 반도체층(200a')은 게이트절연층(300a) 양측의 영역(제1 및 제2 영역)이 일부 두께만큼 식각(리세스)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제2 반도체층(200a')의 식각된 표면(상기 제1 및 제2 영역의 표면) 상에 소오스전극(500A) 및 드레인전극(500B)이 구비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2 반도체층(200a')의 식각된 표면 상에 소오스전극(500A) 및 드레인전극(500B)을 형성할 경우, 식각에 의해 제2 반도체층(200a')의 원자 결합이 깨어지기 때문에, 상기 제1 및 제2 영역에서 질소 공공(N vacancy)이 형성될 확률이 높아질 수 있다. 따라서 제2 반도체층(200a')과 소오스전극(500A) 및 드레인전극(500B)의 콘택 저항을 낮추는데 더욱 유리할 수 있다.
도 3의 실시예의 경우, 게이트절연층(300a) 상에 식각 베리어층(450)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식각 베리어층(450)은 제2 반도체층(200a')의 식각 영역, 즉, 소오스전극(500A) 및 드레인전극(500B)이 형성될 영역을 형성하기 위한 식각 공정에서 마스크의 역할을 할 수 있다. 즉, 식각 베리어층(450)은 제2 반도체층(200a')의 상기 식각 영역을 형성하는 식각 공정시, 게이트절연층(300a) 및 그 아래의 제2 반도체층(200a') 영역을 보호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식각 베리어층(450)은, 예컨대, 실리콘 질화물, 실리콘 산화물, 알루미늄 질화물 및 알루미늄 산화물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도 2에서 게이트절연층(300a) 양측의 제2 반도체층(200a) 영역을 식각(제거)하고, 그 아래의 제1 반도체층(100) 영역까지 소정 두께만큼 식각(리세스)할 수 있다. 그 예가 도 4에 도시되어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제2 반도체층(200a")은 게이트절연층(300a) 양측의 영역이 식각(제거)된 구조를 가질 수 있고, 제1 반도체층(100')은 게이트절연층(300a) 양측의 영역(제1 및 제2 영역)이 일부 두께만큼 식각(리세스)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제1 반도체층(100')의 식각된 표면(상기 제1 및 제2 영역의 표면) 상에 소오스전극(500A) 및 드레인전극(500B)이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에도, 도 3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식각 베리어층(450)이 구비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 반도체층(100')의 식각된 표면 상에 소오스전극(500A) 및 드레인전극(500B)을 형성하면, 식각에 의해 제1 반도체층(100')의 원자 결합이 깨어지기 때문에, 상기 제1 및 제2 영역에서 질소 공공(N vacancy)이 형성될 확률이 높아질 수 있다. 따라서 제1 반도체층(100')과 소오스전극(500A) 및 드레인전극(500B)의 콘택 저항을 낮추는데 더욱 유리할 수 있다.
도 4에서 소오스전극(500A) 및 드레인전극(500B)과 접촉된 제1 반도체층(100') 영역(상기 제1 및 제2 영역)의 결정 구조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을 수 있다.
도 11의 (A)는 도 4의 소오스전극(500A)과 접촉된 제1 반도체층(100') 영역(상기 제1 영역)의 결정 구조를 3차원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11의 (B)는 도 4의 소오스전극(500A)과 접촉된 제1 반도체층(100') 영역(상기 제1 영역)의 결정 구조를 2차원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1은 제1 반도체층(100')이 GaN층인 경우이고, 이때 제1 반도체층(100')의 상기 제1 영역에 도핑된(확산된) 4족 원소는 Ge이다. 여기서, Ge 원소는 Si, Sn, Pb 등으로 대체될 수 있다.
도 11의 (A) 및 (B)를 참조하면, 제1 반도체층(100')은 우르자이트(Wurzite) 구조의 GaN이고, 4족 원소인 Ge가 도핑됨에 따라 과잉 전자(excess electrons)(e-)가 발생됨을 알 수 있다. 또한 GaN 구조에 질소 공공(N vacancy)이 형성되어 있다. 과잉 전자(e-) 및 질소 공공(N vacancy)은 n+ 도핑 효과를 나타낸다. 따라서 제1 반도체층(100')과 소오스전극(500A)은 우수한 접촉 특성을 가질 수 있다. 다시 말해, 제1 반도체층(100')과 소오스전극(500A)은 오믹 콘택할 수 있고, 이들 사이의 접촉 저항은 매우 낮을 수 있다.
부가해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확산층(5A, 5B)의 4족 원소는 제2 반도체층(200, 200a, 200a')이나 제1 반도체층(100')으로 확산될 뿐 아니라 전극요소(50A, 50B)로도 확산될 수 있다. 즉, 전극요소(50A, 50B)는 상기 4족 원소를 더 포함하는 구성을 가질 수 있다. 특히, 전극요소(50A, 50B)의 하층부(lower portion), 즉, Ti층(10A, 10B)이나 Al층(20A, 20B) 내에 상기 4족 원소가 함유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전극요소(50A, 50B)의 금속(ex, Ti 등)이 제2 반도체층(200, 200a, 200a')이나 제1 반도체층(100')으로 확산되어 질소 원자와 결합됨에 따라, 금속 질화물이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전극요소(50A)의 Ti층(10A)에서 Ti가 제2 반도체층(200, 200a, 200a')으로 확산되어 TiN이 형성될 수 있다. 이와 유사하게, Al층(20A)에서 Al이 제2 반도체층(200, 200a, 200a')으로 확산되어 AlN을 형성할 수도 있다. 전극요소(50A, 50B)의 금속(ex, Ti 및 Al 등)은 확산층(5A, 5B) 내에 잔류될 수도 있다. 따라서 확산층(5A, 5B)에는 전극요소(50A, 50B)의 금속(ex, Ti 및 Al 등)이 함유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제2 반도체층(200, 200a, 200a')이나 제1 반도체층(100')으로부터 질소 원자가 전극요소(50A, 50B)로 확산될 수도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질화갈륨계 반도체소자는 고전자이동도 트랜지스터(high electron mobility transistor)(HEMT)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질화갈륨계 반도체소자는 HFET(heterostructure field effect transistor)일 수 있다. 이러한 질화갈륨계 반도체소자는, 예컨대, 파워소자(power device)로 사용될 수 있다. 그러나 전술한 질화갈륨계 반도체소자의 구성 및 용도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다. 질화갈륨계 반도체소자의 구성 및 용도는 다양하게 변화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극구조체는 HEMT 또는 파워소자가 아닌 그 밖의 다양한 질화갈륨계 반도체소자에 적용될 수 있다.
도 5a 내지 도 5e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극구조체를 포함하는 질화갈륨계 반도체소자의 제조방법을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5a를 참조하면, GaN 계열 반도체층(GL100)을 마련할 수 있다. GaN 계열 반도체층(GL100)은 제1 반도체층(1000) 및 제2 반도체층(2000)을 포함하는 다층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제1 및 제2 반도체층(1000, 2000)은 GaN 계열의 서로 다른 물질층일 수 있다. 예컨대, 제1 반도체층(1000)은 GaN층일 수 있고, 제2 반도체층(2000)은 AlGaN층일 수 있다. 제2 반도체층(2000)의 분극률은 제1 반도체층(1000)의 분극률보다 클 수 있다. 이러한 제2 반도체층(2000)에 의해 제1 반도체층(1000)에 2차원 전자가스(2DEG)(미도시)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2DEG는 제1 반도체층(1000)과 제2 반도체층(2000)의 계면 아래의 제1 반도체층(1000) 부분에 형성될 수 있다.
도 5b를 참조하면, 제2 반도체층(2000)의 소정 영역을 식각하여 리세스영역(R10)을 형성할 수 있다. 리세스영역(R10)의 깊이는 제2 반도체층(2000)의 두께와 동일하거나 유사할 수 있다. 리세스영역(R10)의 깊이는 달라질 수 있다. 예컨대, 리세스영역(R10)의 깊이는 제2 반도체층(2000)의 두께보다 작거나 클 수 있다.
도 5c를 참조하면, 제2 반도체층(2000) 상에 리세스영역(R10)을 덮는 게이트절연층(3000)을 형성할 수 있다. 게이트절연층(3000)은, 예컨대, Al2O3, SiOx, SixNy, Sc2O3, AlN, Ga2O3, Gd2O3, AlxGa2 (1-x)O3, MgO 및 이들의 조합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개시하지 않았더라도 일반적인 트랜지스터에서 사용하는 게이트절연층 물질이면 어느 것이든 게이트절연층(3000) 물질로 적용할 수 있다. 게이트절연층(3000)은 기판(즉, 1000 및 2000)의 깨끗한 표면에 형성해야 하기 때문에, 소오스전극(도 5d의 5000A) 및 드레인전극(도 5d의 5000B)을 형성하기 전에 게이트절연층(3000)을 형성하는 것이 유리할 수 있다. 만약, 소오스전극(도 5d의 5000A) 및 드레인전극(도 5d의 5000B)을 먼저 형성한 후, 게이트절연층(3000)을 형성하면, 소오스전극(도 5d의 5000A) 및 드레인전극(도 5d의 5000B)의 물질로 인해 게이트절연층(3000)과 기판(즉, 1000 및 2000) 사이의 계면이 오염될 수 있다. 이러한 오염 문제를 방지하기 위해, 본 단계에서 우선적으로 게이트절연층(3000)을 형성할 수 있다. 다음, 리세스영역(R10)의 게이트절연층(3000) 상에 게이트전극(4000)을 형성할 수 있다. 게이트전극(4000)은 일반적인 반도체소자에서 사용되는 다양한 도전 물질(금속, 도전성 산화물 등)로 형성할 수 있다.
도 5d를 참조하면, 게이트절연층(3000) 양측의 제2 반도체층(2000) 상에 소오스전극(5000A) 및 드레인전극(5000B)을 형성할 수 있다. 소오스전극(5000A)은 확산층(55A) 및 전극요소(550A)를 포함할 수 있고, 드레인전극(5000B)은 확산층(55B) 및 전극요소(550B)를 포함할 수 있다. 소오스전극(5000A)과 드레인전극(5000B)은 서로 동일한 구성을 가질 수 있다. 확산층(55A, 55B)은 4족 원소를 포함하는 물질로 형성할 수 있다. 예컨대, 확산층(55A, 55B)은 Ge, Si, Sn, Pb 및 GeSi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도록 형성할 수 있다. 구체적인 예로, 확산층(55A, 55B)은 Ge층, Si층, Sn층 또는 Pb층과 같은 단일 원소층으로 형성하거나, GeSi층과 같은 화합물층으로 형성할 수 있다. 확산층(55A, 55B)은 2∼20nm 정도의 두께로 형성할 수 있지만, 경우에 따라서는, 2nm 이하 또는 20nm 이상의 두께로 형성할 수도 있다. 전극요소(550A, 550B)는 다층 구조, 예컨대, Ti/Al 기반의 다층 구조로 형성할 수 있다. 구체적인 예로, 전극요소(550A, 550B)는 확산층(55A, 55B) 상에 순차로 구비된 Ti층(510A, 510B), Al층(520A, 520B), Ni층(530A, 530B) 및 Au층(540A, 540B)을 포함하는 구조, 즉, Ti/Al/Ni/Au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이때, Ti층(510A, 510B)은 제2 반도체층(2000)과의 오믹 콘택에 기여하는 층일 수 있고, Al층(520A, 520B)은 낮은 저항을 가지고 우수한 전도성을 제공하는 층일 수 있다. Ni층(530A, 530B)은 확산방지층일 수 있고, Au층(540A, 540B)은 산화방지층(캡핑층)일 수 있다. 전극요소(550A, 550B)의 구성은 예시적인 것이고, 이는 다양하게 변화될 수 있다. 예컨대, 전극요소(550A, 550B)는 Ti/Al, Ti/Al/TiN, Ti/Al/Mo 및 Ti/Al/W 중 어느 한 구조를 갖거나, 그 밖에 다른 구성을 가질 수도 있다.
도 5e를 참조하면, 제1 반도체층(1000), 제2 반도체층(2000), 소오스전극(5000A) 및 드레인전극(5000B) 등에 대한 열처리 공정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열처리 공정은 소오스전극(5000A)과 제2 반도체층(2000) 사이 그리고 드레인전극(5000B)과 제2 반도체층(2000) 사이의 오믹 콘택 특성을 확보하기 위한 공정일 수 있다. 상기 열처리 공정을 통해서, 확산층(55A, 55B)으로부터 그와 접촉된 제2 반도체층(2000) 영역(제1 및 제2 영역)으로 상기 4족 원소가 확산될 수 있다. 이는 제2 반도체층(2000)의 상기 제1 및 제2 영역에 상기 4족 원소가 도핑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제2 반도체층(2000)의 상기 제1 및 제2 영역이 상기 4족 원소로 도핑됨에 따라, 제2 반도체층(2000)의 상기 제1 및 제2 영역에 과잉 전자(excess electrons)(미도시)가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열처리 공정에 의해 제2 반도체층(2000)의 상기 제1 및 제2 영역으로부터 소오스전극(5000A) 및 드레인전극(5000B)으로 질소 원자가 확산되거나, 전극요소(550A, 550B)로부터 금속(ex, Ti 등)이 제2 반도체층(2000)의 상기 제1 및 제2 영역으로 확산되어 질소 원자와 결합될 수 있다. 그 결과, 제2 반도체층(2000)의 상기 제1 및 제2 영역에 질소 공공(N vacancy)이 발생할 수 있다. 상기 과잉 전자와 질소 공공은 n+ 도핑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2 반도체층(2000)의 제1 및 제2 영역은 n+ 도핑될 수 있고, 소오스전극(5000A) 및 드레인전극(5000B)과 우수한 접촉 특성을 나타낼 수 있다.
부가해서, 상기 열처리 공정시, 확산층(55A, 55B)의 4족 원소가 전극요소(550A, 550B)로 확산될 수 있고, 전극요소(550A, 550B)의 금속 원소가 확산층(55A, 55B)으로 확산될 수 있다. 따라서 전극요소(550A, 550B)는 상기 4족 원소를 포함할 수 있고, 확산층(55A, 55B)은 상기 금속 원소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열처리 공정은 600∼800℃ 정도의 온도에서, 예컨대, RTA(rapid thermal annealing) 방식으로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열처리 공정은 질소 분위기 또는 진공 상태에서 수행할 수 있고, 열처리 시간은 30초 내지 2분 정도일 수 있다. 전술한 열처리 공정의 조건은 예시적인 것이고, 경우에 따라 다양하게 변화될 수 있다.
상기 열처리 공정을 600∼800℃ 정도의 온도에서 수행한다는 것은 중요한 의미를 가질 수 있다. 만약, 확산층(55A, 55B)을 형성하지 않고 전극요소(550A, 550B)만 형성한 상태에서 열처리 공정을 수행하는 경우, 오믹 콘택 특성을 얻기 위해서는 약 850℃ 이상의 고온 공정이 요구될 수 있다. 이는 확산층(55A, 55B)이 없는 경우, 확산층(55A, 55B)에 의한 4족 원소의 도핑 효과 없이 오믹 콘택을 형성해야 하기 때문이다. 즉, 상기 4족 원소에서 기인된 과잉 전자(excess electrons)에 의한 n+ 도핑 효과 없이, 질소 공공(N vacancy)에 의한 도핑 효과만으로 오믹 콘택을 형성하려면, 850℃ 이상의 고온 공정이 요구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고온 공정을 진행하는 경우, 그로 인해 질화갈륨계 반도체소자의 특성이 열화될 수 있다. 예컨대, 고온 공정에 의해 게이트절연층(3000)의 특성이 열화되어 절연파괴 전압(breakdown voltage)이 낮아지고, 게이트절연층(3000)을 통한 누설 전류가 증가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온 공정으로 인해 전극요소(550A, 550B)의 표면 조도(surface roughness)가 나빠지거나, 고온 공정 중 전극요소(550A, 550B)나 게이트전극(4000)이 산화될 우려도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확산층(55A, 55B)을 사용하기 때문에, 비교적 낮은 온도(600∼800℃)의 열처리를 통해서도 우수한 오믹 특성을 확보할 수 있으므로, 위와 같은 고온 공정의 문제들을 방지할 수 있고, 결과적으로 고성능/고효율의 반도체소자를 얻을 수 있다.
도 6의 (A) 및 (B)는 도 5e의 열처리 공정 전, 소오스전극(5000A)과 접촉된 제2 반도체층(2000) 영역의 결정 구조를 3차원 및 2차원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7의 (A) 및 (B)는 도 5e의 열처리 공정 후, 소오스전극(5000A)과 접촉된 제2 반도체층(2000) 영역의 결정 구조를 3차원 및 2차원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 및 도 7은 제2 반도체층(2000)이 AlGaN층인 경우이다. 또한 도 7에서 제2 반도체층(2000)으로 확산된 4족 원소는 Ge 이다. 여기서, Ge 원소는 Si, Sn, Pb 등으로 대체될 수 있다.
도 6 및 도 7을 비교하면, 상기 열처리 공정에 의해 제2 반도체층(2000)(AlGaN층)으로 확산된 Ge 원소에 의한 과잉 전자(excess electrons)(e-)가 발생되고, 또한 질소 공공(N vacancy)이 발생되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러한 과잉 전자(e-) 및 질소 공공에 의해 제2 반도체층(2000)(AlGaN층)이 용이하게 n+ 도핑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제2 반도체층(2000)(AlGaN층)은 소오스전극(5000A) 및 드레인전극(5000B)과 우수한 오믹 콘택 특성을 가질 수 있다.
도 8a 내지 도 8d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극구조체를 포함하는 질화갈륨계 반도체소자의 제조방법을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8a를 참조하면, 도 5c와 같이 제2 반도체층(2000) 상에 리세스영역(R10)을 덮는 게이트절연층(3000)을 형성하고, 게이트절연층(3000) 상에 게이트전극(4000)을 형성한 상태에서, 게이트전극(4000) 주위의 게이트절연층(3000) 상에 식각 베리어층(4500)을 형성할 수 있다. 식각 베리어층(4500)은, 예컨대, 실리콘 질화물, 실리콘 산화물, 알루미늄 질화물 및 알루미늄 산화물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형성할 수 있다.
도 8b를 참조하면, 식각 베리어층(4500)과 게이트전극(4000)을 식각 마스크로 이용해서, 식각 베리어층(4500) 양측의 제2 반도체층(2000)의 제1 및 제2 영역을 소정 깊이만큼 식각할 수 있다. 이때, 식각 베리어층(4500)은 게이트절연층(3000) 아래의 제2 반도체층(2000) 영역을 보호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상기 식각 공정은, 예컨대, RIE(reactive ion etching) 방법으로 수행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2 반도체층(2000)의 상기 제1 및 제2 영역을 소정 깊이만큼 식각함으로써, 상기 제1 및 제2 영역에서의 원자 결합을 어느 정도 깨뜨릴 수 있다. 즉, 제2 반도체층(2000)이 AlGaN층인 경우, Al과 Ga 및 N 사이의 결합을 깨뜨릴 수 있다. 따라서, 추후에 제2 반도체층(2000)의 제1 및 제2 영역에 질소 공공을 형성하기가 더욱 용이할 수 있다.
도 8c를 참조하면, 제2 반도체층(2000)의 식각된 제1 및 제2 영역 상에 소오스전극(5000A) 및 드레인전극(5000B)을 형성할 수 있다. 소오스전극(5000A) 및 드레인전극(5000B)은 도 5d에서 설명한 바와 동일한 구성을 가질 수 있다.
도 8d를 참조하면, 제1 반도체층(1000), 제2 반도체층(2000), 소오스전극(5000A) 및 드레인전극(5000B) 등에 대한 열처리 공정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열처리 공정의 조건은 도 5e를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동일하거나 유사할 수 있다. 이러한 열처리 공정에 의해 소오스전극(5000A)과 제2 반도체층(2000) 사이 그리고 드레인전극(5000B)과 제2 반도체층(2000) 사이의 오믹 콘택 특성이 확보될 수 있다.
도 9a 내지 도 9c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극구조체를 포함하는 질화갈륨계 반도체소자의 제조방법을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9a를 참조하면, 도 8a와 같이 식각 베리어층(4500)을 형성한 상태에서, 식각 베리어층(4500) 및 게이트전극(4000)을 식각 마스크로 이용해서 제2 반도체층(2000)을 식각하고, 그 아래의 제1 반도체층(1000) 영역(즉, 제1 및 제2 영역)의 일부 두께를 식각할 수 있다. 상기 식각 공정은, 예컨대, RIE 방법으로 수행할 수 있다. 제1 반도체층(1000)의 상기 제1 및 제2 영역을 소정 깊이만큼 식각함으로써, 상기 제1 및 제2 영역에서의 원자 결합을 어느 정도 깨뜨릴 수 있다. 따라서, 추후에 제1 반도체층(1000)의 상기 제1 및 제2 영역에 질소 공공을 형성하기가 더욱 용이할 수 있다.
도 9b를 참조하면, 제1 반도체층(1000)의 식각된 제1 및 제2 영역 상에 소오스전극(5000A) 및 드레인전극(5000B)을 형성할 수 있다. 소오스전극(5000A) 및 드레인전극(5000B)은 도 5d에서 설명한 바와 동일한 구성을 가질 수 있다.
도 9c를 참조하면, 제1 반도체층(1000), 제2 반도체층(2000), 소오스전극(5000A) 및 드레인전극(5000B) 등에 대한 열처리 공정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열처리 공정의 조건은 도 5e를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동일하거나 유사할 수 있다. 이러한 열처리 공정에 의해 소오스전극(5000A)과 제1 반도체층(1000) 사이 그리고 드레인전극(5000B)과 제1 반도체층(1000) 사이의 오믹 콘택 특성이 확보될 수 있다.
도 10의 (A) 및 (B)는 도 9c의 열처리 공정 전, 소오스전극(5000A)과 접촉된 제1 반도체층(1000) 영역의 결정 구조를 3차원 및 2차원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11의 (A) 및 (B)는 도 9c의 열처리 공정 후, 소오스전극(5000A)과 접촉된 제1 반도체층(1000) 영역의 결정 구조를 3차원 및 2차원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0 및 도 11은 제1 반도체층(000)이 GaN층인 경우이다. 또한 도 11에서 제1 반도체층(1000)으로 확산된 4족 원소는 Ge 이다. 여기서, Ge 원소는 Si, Sn, Pb 등으로 대체될 수 있다. 한편, 앞서 언급한 식각에 의한 원자 결합 파괴 효과는 도 10 및 도 11에 반영되지 않았다.
도 10 및 도 11을 비교하면, 상기 열처리 공정에 의해 제1 반도체층(1000)(GaN층)으로 확산된 Ge 원소에 의한 과잉 전자(excess electrons)(e-)가 발생되고, 또한 질소 공공(N vacancy)이 발생되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러한 과잉 전자(e-) 및 질소 공공에 의해 제1 반도체층(1000)(GaN층)이 용이하게 n+ 도핑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제1 반도체층(1000)(GaN층)은 소오스전극(5000A) 및 드레인전극(5000B)과 우수한 오믹 콘택 특성을 가질 수 있다.
도 12는 비교예에 따른 질화갈륨계 반도체소자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12의 구조는 도 1에서 확산층(5A, 5B)이 제외된 구조를 갖는다. 즉, 도 12에서는 제2 반도체층(200) 상에 전극요소(50A, 50B)가 직접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비교예에 따른 질화갈륨계 반도체소자는 850℃ 정도의 고온 어닐링을 거쳐서 형성된 것일 수 있다.
도 13의 (A)는 도 12의 전극요소(50A)(즉, 소오스전극)와 접촉된 제2 반도체층(200) 영역(제1 영역)의 결정 구조를 3차원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13의 (B)는 상기 제1 영역의 결정 구조를 2차원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3은 제2 반도체층(200)이 AlGaN층인 경우이다.
도 13의 (A) 및 (B)를 참조하면, 제2 반도체층(200)은 우르자이트(wurzite) 구조의 AlGaN이고, AlGaN 구조에 질소 공공(N vacancy)이 형성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비교예에서는 질소 공공(N vacancy)에 의한 도핑 효과만 이용해서, 오믹 콘택을 형성해야 하기 때문에, 원하는 수준의 콘택 저항을 얻기 위해서는 850℃ 또는 그 이상의 고온 어닐링 공정이 요구된다. 이러한 고온 어닐링은 반도체소자에 좋지 않은 영향을 끼칠 뿐 아니라, 공정 부담 및 제조 비용을 높이는 요인이 될 수 있다.
아래의 표 1은 비교예에 따른 전극구조체의 콘택 저항 및 실시예에 따른 전극구조체의 콘택 저항을 정리한 것이다. 표 1에서 비교예에 따른 전극구조체는 Ti/Al/Ni/Au 구조를 갖고, 이때 하부층(GaN/AlGaN)에 대한 식각은 없었다. 샘플1의 전극구조체는 Ti/Al/Ni/Au 구조를 갖고, 이때 하부층(GaN/AlGaN)은 3nm 정도 식각되었다. 샘플2의 전극구조체는 Ge/Ti/Al/Ni/Au 구조를 갖고, 이때 하부층(GaN/AlGaN)은 3nm 정도 식각되었다. 샘플2에서 Ge층이 도 1의 확산층(5A, 5B)에 대응된다. 표 1의 콘택 저항은 TLM(transmission line measurement) 방법으로 측정되었다.
비교예 샘플1 샘플2
전극구조 Ti/Al/Ni/Au Ti/Al/Ni/Au Ge/Ti/Al/Ni/Au
하부층 GaN/AlGaN GaN/AlGaN GaN/AlGaN
하부층 식각 No 3nm 식각 (RIE) 3nm 식각 (RIE)
열처리 온도 750℃ 750℃ 750℃
콘택 저항 9.57×10-3 Ω·㎠ 6.43×10-4 Ω·㎠ 6.14×10-6 Ω·㎠
표 1을 참조하면, 비교예의 경우, 전극구조체는 확산층을 포함하지 않고 하부층은 식각되지 않았다. 샘플1의 경우, 전극구조체는 확산층을 포함하지 않지만 하부층은 3nm 정도 식각되었다. 샘플2의 경우, 전극구조체는 확산층(Ge)을 포함하고 하부층은 3nm 정도 식각되었다. 비교예, 샘플1 및 샘플2의 구조에 대한 열처리 조건(온도 등)은 동일하였다. 비교예의 전극구조체와 하부층 사이의 콘택 저항은 9.57×10-3 Ω·㎠ 정도로 가장 높았고, 샘플1의 전극구조체와 하부층 사이의 콘택 저항은 6.43×10-4 Ω·㎠ 정도로 비교예의 콘택 저항보다 낮았으며, 샘플2의 콘택 저항은 6.14×10-6 Ω·㎠ 정도로 가장 낮았다. 이를 통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와 같이 확산층을 적용하면, 전극과 하부층(GaN 계열 반도체층) 사이의 접촉 저항을 크게 낮출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비교예 및 샘플1의 결과를 통해, 확산층을 사용하지 않더라도 하부층(GaN 계열 반도체층)을 식각한 후, 그 위에 전극구조체를 형성할 경우, 콘택 저항을 낮출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도 14는 표 1의 비교예, 샘플1 및 샘플2의 전극구조체의 열처리 온도에 따른 콘택 저항의 변화를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도 14를 참조하면, 열처리 온도가 750℃ 정도일 때, 샘플2의 전극구조체는 오믹 콘택(ohmic contact) 특성을 나타내지만, 비교예 및 샘플1의 전극구조체는 쇼트키 콘택(Schottky contact) 특성을 나타내는 것을 알 수 있다. 샘플1의 전극구조체는 열처리 온도가 800℃ 정도로 높아지면 오믹 콘택 특성을 나타낼 수 있지만, 비교예의 전극구조체는 열처리 온도가 850℃ 정도로 높아져야 오믹 콘택 특성을 나타낸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오믹 콘택을 형성하기 위한 열처리 온도를 상당히 낮출 수 있기 때문에, 고온 공정에 따른 소자의 열화 문제를 억제/방지할 수 있고, 고성능/고효율의 질화갈륨계 반도체소자를 구현할 수 있다.
상기한 설명에서 많은 사항이 구체적으로 기재되어 있으나, 그들은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이라기보다, 구체적인 실시예의 예시로서 해석되어야 한다. 예들 들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도 1 내지 도 4의 전극구조체 및 질화갈륨계 반도체소자의 구조는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음을 알 수 있을 것이다. 구체적인 예로, 확산층(5A, 5B, 55A, 55B)의 물질은 4족 원소로 한정되지 않고, GaN 계열 반도체에 대해서 n형 도펀트(dopant)의 역할을 할 수 있는 물질이면 어느 물질이든 확산층(5A, 5B, 55A, 55B) 물질로 적용될 수 있음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제1 반도체층(100, 100') 또는 제2 반도체층(200, 200a, 200a', 200a")은 GaN이나 AlGaN 이외에 다른 GaN 계열 물질로 구성될 수 있고, 제1 및 제2 반도체층(100, 100', 200, 200a, 200a', 200a") 이외에 다른 GaN 계열 반도체층이 추가적으로 더 구비될 수 있음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게이트절연층(300, 300a)을 형성하지 않고, GaN 계열 반도체층 상에 게이트전극(400, 400a)을 직접 형성할 수도 있음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극구조체는 GaN 계열 반도체층(단층 또는 다층 구조)을 이용하는 다양한 반도체소자에 다양한 방식으로 적용될 수 있음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아울러 도 5a 내지 도 5e의 제조방법, 도 8a 내지 도 8d의 제조방법 및 도 9a 내지 도 9c의 제조방법도 다양하게 변화될 수 있음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부가해서,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idea)은 HEMT가 아닌 다른 질화갈륨계 다른 반도체소자에도 적용될 수 있음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때문에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정하여 질 것이 아니고 특허 청구범위에 기재된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하여져야 한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
5A, 5B : 확산층 10A, 10B : Ti층
20A, 20B : Al층 30A, 30B : Ni층
40A, 40B : Au층 50A, 50B : 전극요소
100, 100' : 제1 반도체층 200, 200a, 200a', 200a" : 제2 반도체층
300, 300a : 게이트절연층 400, 400a : 게이트전극
450 : 식각 베리어층 500A : 소오스전극
500B : 드레인전극 GL10, GL11 : GaN 계열 반도체층
R1 : 리세스영역

Claims (31)

  1. GaN 계열 반도체층; 상기 GaN 계열 반도체층의 제1 영역에 구비된 소오스전극; 상기 GaN 계열 반도체층의 제2 영역에 구비된 드레인전극; 및 상기 소오스전극과 상기 드레인전극 사이의 상기 GaN 계열 반도체층 상에 구비된 게이트전극;을 포함하고, 상기 소오스전극 및 드레인전극 각각은 전극구조체를 구비하는 질화갈륨계 반도체소자에 있어서,
    상기 전극구조체는,
    도전 물질을 포함하는 전극요소; 및
    상기 전극요소와 상기 GaN 계열 반도체층 사이에 구비된 것으로, 4족 원소를 포함하는 확산층;을 구비하고,
    상기 확산층과 접촉된 상기 GaN 계열 반도체층 영역은 상기 4족 원소로 도핑되고,
    상기 전극요소는 Ti/Al/Ni/Au, Ti/Al/TiN 및 Ti/Al/W 중 어느 한 구조를 갖고, 상기 전극요소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4족 원소를 더 포함하며,
    상기 GaN 계열 반도체층의 상기 제1 및 제2 영역은 각각의 깊이로 식각된 리세스 영역을 갖고,
    상기 GaN 계열 반도체층은 GaN층 및 AlGaN층을 포함하는 다층 구조를 갖고, 상기 리세스 영역에서 상기 제1 및 제2 영역 각각의 상면(upper surface)은 상기 AlGaN층의 식각된 표면(etched surface)이고, 상기 확산층은 상기 AlGaN층의 상기 식각된 표면에 접촉하고,
    상기 확산층을 포함한 상기 전극구조체 및 상기 GaN 계열 반도체층은 오직 600℃ 이상 800℃ 이하의 온도로 열처리된 층들이고, 상기 전극구조체와 상기 GaN 계열 반도체층 사이의 콘택 저항은 1×10-5 Ω·㎠ 보다 낮은 질화갈륨계 반도체소자.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확산층은 Ge, Si, Sn, Pb 및 GeSi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질화갈륨계 반도체소자.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확산층은 2∼20nm의 두께를 갖는 질화갈륨계 반도체소자.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구조체와 접촉된 상기 GaN 계열 반도체층 영역은 질소 공공(N vacancy)을 포함하는 질화갈륨계 반도체소자.
  11. 삭제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질화갈륨계 반도체소자는 고전자이동도 트랜지스터(high electron mobility transistor)(HEMT)인 질화갈륨계 반도체소자.
  13. 제 1 항 또는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질화갈륨계 반도체소자는 파워소자(power device)인 질화갈륨계 반도체소자.
  14. 삭제
  1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게이트전극과 상기 GaN 계열 반도체층 사이에 구비된 게이트절연층을 더 포함하는 질화갈륨계 반도체소자.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게이트절연층 상에 구비된 식각 베리어층을 더 포함하는 질화갈륨계 반도체소자.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식각 베리어층은 실리콘 질화물, 실리콘 산화물, 알루미늄 질화물 및 알루미늄 산화물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질화갈륨계 반도체소자.
  18. 삭제
  19. 삭제
  20. GaN 계열 반도체층을 마련하는 단계; 상기 GaN 계열 반도체층의 제1 영역에 소오스전극을 형성하고 상기 GaN 계열 반도체층의 제2 영역에 드레인전극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소오스전극과 상기 드레인전극 사이의 상기 GaN 계열 반도체층 상에 게이트전극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소오스전극 및 드레인전극 각각은 전극구조체를 구비하는 질화갈륨계 반도체소자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전극구조체를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GaN 계열 반도체층 상에 4족 원소를 포함하는 확산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확산층 상에 도전 물질을 포함하는 전극요소를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확산층의 4족 원소가 상기 GaN 계열 반도체층으로 확산되도록 상기 확산층을 포함한 상기 전극구조체 및 상기 GaN 계열 반도체층을 열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전극요소는 Ti/Al/Ni/Au, Ti/Al/TiN 및 Ti/Al/W 중 어느 한 구조로 형성하고,
    상기 소오스전극 및 드레인전극을 형성하기 전, 상기 GaN 계열 반도체층의 상기 제1 및 제2 영역은 각각의 깊이로 식각된 리세스 영역을 갖도록 형성되고,
    상기 GaN 계열 반도체층은 GaN층 및 AlGaN층을 포함하는 다층 구조를 갖고, 상기 리세스 영역에서 상기 제1 및 제2 영역 각각의 상면(upper surface)은 상기 AlGaN층의 식각된 표면(etched surface)이고, 상기 확산층은 상기 AlGaN층의 상기 식각된 표면에 접촉하고,
    상기 열처리는 오직 600℃ 이상 800℃ 이하의 온도 범위로 수행하고, 상기 전극요소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4족 원소를 더 포함하며,
    상기 열처리 이후, 상기 전극구조체와 상기 GaN 계열 반도체층 사이의 콘택 저항은 1×10-5 Ω·㎠ 보다 낮은 질화갈륨계 반도체소자의 제조방법.
  21.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확산층은 Ge, Si, Sn, Pb 및 GeSi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도록 형성하는 질화갈륨계 반도체소자의 제조방법.
  22. 삭제
  23. 삭제
  24. 삭제
  25.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질화갈륨계 반도체소자는 고전자이동도 트랜지스터(HEMT)인 질화갈륨계 반도체소자의 제조방법.
  26. 삭제
  27.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GaN 계열 반도체층과 상기 게이트전극 사이에 게이트절연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질화갈륨계 반도체소자의 제조방법.
  28. 제 27 항에 있어서,
    상기 게이트절연층 상에 식각 베리어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질화갈륨계 반도체소자의 제조방법.
  29. 삭제
  30. 삭제
  31. 삭제
KR1020110110721A 2011-10-27 2011-10-27 전극구조체, 이를 포함하는 질화갈륨계 반도체소자 및 이들의 제조방법 Active KR101890749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10721A KR101890749B1 (ko) 2011-10-27 2011-10-27 전극구조체, 이를 포함하는 질화갈륨계 반도체소자 및 이들의 제조방법
US13/489,733 US9000485B2 (en) 2011-10-27 2012-06-06 Electrode structures, gallium nitride based semiconductor devices including the same and methods of manufacturing the same
CN201210215829.4A CN103094334B (zh) 2011-10-27 2012-06-27 电极结构、氮化镓基半导体器件及其制造方法
JP2012235473A JP2013098556A (ja) 2011-10-27 2012-10-25 電極構造体、それを備える窒化ガリウム系の半導体素子及びそれらの製造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10721A KR101890749B1 (ko) 2011-10-27 2011-10-27 전극구조체, 이를 포함하는 질화갈륨계 반도체소자 및 이들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46249A KR20130046249A (ko) 2013-05-07
KR101890749B1 true KR101890749B1 (ko) 2018-08-23

Family

ID=481714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10721A Active KR101890749B1 (ko) 2011-10-27 2011-10-27 전극구조체, 이를 포함하는 질화갈륨계 반도체소자 및 이들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9000485B2 (ko)
JP (1) JP2013098556A (ko)
KR (1) KR101890749B1 (ko)
CN (1) CN103094334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13387B1 (ko) * 2012-03-23 2018-10-30 삼성전자주식회사 Ⅲ족 질화물 이종 접합 구조 소자의 선택적 저온 오믹 콘택 형성 방법
US8884268B2 (en) * 2012-07-16 2014-11-11 Taiwan Semiconductor Manufacturing Co., Ltd. Diffusion barrier layer for group III nitride on silicon substrate
EP2806463A1 (en) * 2013-05-22 2014-11-26 Imec Low temperature Ohmic contacts for III-N power devices
JP6090111B2 (ja) * 2013-05-29 2017-03-08 豊田合成株式会社 半導体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CN103606516A (zh) * 2013-11-29 2014-02-26 中国科学院微电子研究所 GaN基高电子迁移率晶体管的低温无金欧姆接触的制作方法
JP6206159B2 (ja) * 2013-12-17 2017-10-04 三菱電機株式会社 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FR3018629B1 (fr) * 2014-03-14 2022-10-28 Ommic Structure semiconductrice formant transistor hemt
CN103928511A (zh) * 2014-04-16 2014-07-16 中国电子科技集团公司第十三研究所 一种适用于氮化镓器件的欧姆接触系统
CN106575670B (zh) 2014-09-18 2020-10-16 英特尔公司 用于硅cmos相容半导体器件中的缺陷扩展控制的具有倾斜侧壁刻面的纤锌矿异质外延结构
JP6376575B2 (ja) 2014-09-25 2018-08-22 インテル・コーポレーション 自立シリコンメサ上のiii−nエピタキシャル素子構造
US10243069B2 (en) 2014-10-30 2019-03-26 Intel Corporation Gallium nitride transistor having a source/drain structure including a single-crystal portion abutting a 2D electron gas
CN107078098B (zh) 2014-11-18 2021-04-06 英特尔公司 使用n沟道和p沟道氮化镓晶体管的cmos电路
JP6631950B2 (ja) 2014-12-11 2020-01-15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窒化物半導体装置および窒化物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CN106922200B (zh) * 2014-12-18 2021-11-09 英特尔公司 N沟道氮化镓晶体管
US9679762B2 (en) * 2015-03-17 2017-06-13 Toshiba Corporation Access conductivity enhanced high electron mobility transistor
JP6462456B2 (ja) * 2015-03-31 2019-01-30 ルネサスエレクトロニクス株式会社 半導体装置および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WO2016186654A1 (en) 2015-05-19 2016-11-24 Intel Corporation Semiconductor devices with raised doped crystalline structures
WO2016209283A1 (en) 2015-06-26 2016-12-29 Intel Corporation Heteroepitaxial structures with high temperature stable substrate interface material
CN105223420B (zh) * 2015-09-28 2017-07-07 深圳市华星光电技术有限公司 用于测量接触电阻的tft及接触电阻的测量方法
WO2017069460A2 (ko) * 2015-10-23 2017-04-27 (주)기가레인 고전자이동도 트랜지스터 및 그의 제조방법
JP6540461B2 (ja) * 2015-10-30 2019-07-10 富士通株式会社 半導体装置及び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WO2017111869A1 (en) 2015-12-24 2017-06-29 Intel Corporation Transition metal dichalcogenides (tmdcs) over iii-nitride heteroepitaxial layers
CN105810575B (zh) * 2016-04-18 2018-12-28 中国电子科技集团公司第五十五研究所 一种GaN HEMT上低温欧姆接触的制备方法
JPWO2018037530A1 (ja) * 2016-08-25 2018-08-23 三菱電機株式会社 半導体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WO2019066953A1 (en) 2017-09-29 2019-04-04 Intel Corporation REDUCED CONTACT RESISTANCE GROUP III (N-N) NITRIDE DEVICES AND METHODS OF MAKING SAME
US12125888B2 (en) 2017-09-29 2024-10-22 Intel Corporation Group III-nitride (III-N) devices with reduced contact resistance and their methods of fabrication
CN108376703B (zh) * 2018-01-11 2021-04-06 北京华碳科技有限责任公司 一种适用于AlGaN/GaN器件的欧姆接触制作方法
CN108400171A (zh) * 2018-03-07 2018-08-14 西安电子科技大学 基于热退火掺杂工艺的低阻态氮化镓基器件及其制作方法
CN110277311B (zh) * 2018-03-14 2021-07-16 上海大学 提高GaN欧姆接触性能的方法、欧姆接触结构及应用
CN208923144U (zh) * 2018-09-27 2019-05-31 上海新微科技服务有限公司 一种硅基锗锡高电子迁移率晶体管
WO2022000362A1 (en) * 2020-07-01 2022-01-06 Innoscience (Zhuhai) Technology Co., Ltd. Semiconductor device and fabrication method thereof
JP7524140B2 (ja) 2021-07-26 2024-07-29 株式会社東芝 半導体装置
CN115347091A (zh) * 2022-04-28 2022-11-15 厦门士兰明镓化合物半导体有限公司 一种发光二极管及其制造方法
KR20240095810A (ko) 2022-12-19 2024-06-26 (재)한국나노기술원 오믹 전극을 갖는 질화갈륨계 전자 소자 및 그 제조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30020092A1 (en) * 2001-07-24 2003-01-30 Primit Parikh Insulating gate AlGaN/GaN HEMT
US20110140173A1 (en) * 2009-12-16 2011-06-16 National Semiconductor Corporation Low OHMIC contacts containing germanium for gallium nitride or other nitride-based power devices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548333B2 (en) 2000-12-01 2003-04-15 Cree, Inc. Aluminum gallium nitride/gallium nitride high electron mobility transistors having a gate contact on a gallium nitride based cap segment
KR100450740B1 (ko) 2001-10-26 2004-10-01 학교법인 포항공과대학교 헤테로접합형 전계효과 트랜지스터 소자의 제조방법
US6897137B2 (en) * 2002-08-05 2005-05-24 Hrl Laboratories, Llc Process for fabricating ultra-low contact resistances in GaN-based devices
KR100484486B1 (ko) 2002-10-18 2005-04-20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질화물 반도체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 및 그 제조방법
JP2006086354A (ja) * 2004-09-16 2006-03-30 Toshiba Corp 窒化物系半導体装置
US7972915B2 (en) 2005-11-29 2011-07-05 The Hong Kong University Of Science And Technology Monolithic integration of enhancement- and depletion-mode AlGaN/GaN HFETs
US7719030B2 (en) * 2006-03-29 2010-05-18 International Rectifier Corporation Aluminum alloys for low resistance, ohmic contacts to III-nitride or compound semiconductor
FR2914500B1 (fr) * 2007-03-30 2009-11-20 Picogiga Internat Dispositif electronique a contact ohmique ameliore
JP2009081177A (ja) 2007-09-25 2009-04-16 Nec Electronics Corp 電界効果トランジスタ、半導体チップ及び半導体装置
JP5303948B2 (ja) 2008-02-06 2013-10-02 豊田合成株式会社 オーミック電極形成方法、および電界効果トランジスタの製造方法
US20100084687A1 (en) * 2008-10-03 2010-04-08 The Hong Kong University Of Science And Technology Aluminum gallium nitride/gallium nitride high electron mobility transistors
CN101465372A (zh) * 2009-01-08 2009-06-24 西安电子科技大学 AlN/GaN增强型金属-绝缘体-半导体场效应晶体管及其制作方法
DE112010001555B4 (de) * 2009-04-08 2021-10-07 Efficient Power Conversion Corporation GaN-HEMT vom Anreicherungstyp und Verfahren zu seiner Herstellung
JP4700125B2 (ja) * 2009-07-30 2011-06-15 住友電気工業株式会社 半導体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US8390000B2 (en) * 2009-08-28 2013-03-05 Transphorm Inc. Semiconductor devices with field plates
KR20120027987A (ko) * 2010-09-14 2012-03-22 삼성엘이디 주식회사 질화갈륨계 반도체소자 및 그 제조방법
JP5694020B2 (ja) * 2011-03-18 2015-04-01 トランスフォーム・ジャパン株式会社 トランジスタ回路
US20130001657A1 (en) * 2011-06-30 2013-01-03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Self-aligned iii-v mosfet diffusion regions and silicide-like alloy contact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30020092A1 (en) * 2001-07-24 2003-01-30 Primit Parikh Insulating gate AlGaN/GaN HEMT
US20110140173A1 (en) * 2009-12-16 2011-06-16 National Semiconductor Corporation Low OHMIC contacts containing germanium for gallium nitride or other nitride-based power devic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30105863A1 (en) 2013-05-02
CN103094334B (zh) 2018-07-20
CN103094334A (zh) 2013-05-08
JP2013098556A (ja) 2013-05-20
KR20130046249A (ko) 2013-05-07
US9000485B2 (en) 2015-04-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90749B1 (ko) 전극구조체, 이를 포함하는 질화갈륨계 반도체소자 및 이들의 제조방법
US8907349B2 (en) Semiconductor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CN103151374B (zh) 高电子迁移率晶体管
JP2023001273A (ja) 窒化物半導体装置
JP5183913B2 (ja) 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TWI765880B (zh) 半導體結構、hemt結構及其形成方法
WO2010064362A1 (ja) 電界効果トランジスタ
JP2005086171A (ja) 半導体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KR101285598B1 (ko) 질화물계 이종접합 반도체 소자 및 그 제조 방법
CN108198855B (zh) 半导体元件、半导体基底及其形成方法
WO2015008430A1 (ja) 半導体装置
JP2010267936A (ja) 窒化物半導体装置および窒化物半導体装置製造方法
JP4908856B2 (ja) 半導体装置とその製造法
TW201246538A (en) Nitride-based heterostructure field effect transistor having high efficiency
KR101668445B1 (ko) 반도체 소자 및 그의 제조방법
JP4945979B2 (ja) 窒化物半導体電界効果トランジスタ
JP2011054809A (ja) 窒化物半導体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20190112523A (ko) 이종접합 전계효과 트랜지스터 및 그 제조 방법
WO2016151704A1 (ja) 窒化物半導体素子及び電力変換装置
JP5087235B2 (ja) 窒化物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TWI701836B (zh) 增強型高電子遷移率電晶體元件及其製造方法
CN109755301B (zh) 一种高质量栅界面的GaN MISFET器件及其制备方法
JP5540685B2 (ja) 化合物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JP4444311B2 (ja) 電界効果トランジスタおよび電界効果トランジスタの製造方法
CN114551591A (zh) 高电子迁移率晶体管及其制作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11027

AMND Amendment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61027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11027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7091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180328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70918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AMND Amendment
PX0901 Re-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X09011S01I

Patent event date: 20180328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9012R01I

Patent event date: 20171117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9012R01I

Patent event date: 20120207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X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after re-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80530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X07013S01D

Patent event date: 20180427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7012R01I

Patent event date: 20180328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7011S01I

Patent event date: 20171117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7012R01I

Patent event date: 20120207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7012R01I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80816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80817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712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715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801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718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