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662874B1 - 전해수 생성 장치 - Google Patents

전해수 생성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62874B1
KR101662874B1 KR1020127028969A KR20127028969A KR101662874B1 KR 101662874 B1 KR101662874 B1 KR 101662874B1 KR 1020127028969 A KR1020127028969 A KR 1020127028969A KR 20127028969 A KR20127028969 A KR 20127028969A KR 101662874 B1 KR101662874 B1 KR 10166287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lytic
water
pipe
chamber
dischar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70289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142878A (ko
Inventor
신카츠 모리사와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니혼트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니혼트림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니혼트림
Publication of KR201301428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4287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628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6287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6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 C02F1/461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by electrolysi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6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 C02F1/461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by electrolysis
    • C02F1/46104Devices therefor; Their operating or servicing
    • C02F1/4618Devices therefor; Their operating or servicing for producing "ionised" acidic or basic water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6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 C02F1/461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by electrolysis
    • C02F1/46104Devices therefor; Their operating or servicing
    • C02F1/46109Electrodes
    • CCHEMISTRY; METALLURGY
    • C25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APPARATUS THEREFOR
    • C25B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COMPOUNDS OR NON-METALS; APPARATUS THEREFOR
    • C25B1/00Electrolytic production of inorganic compounds or non-metals
    • C25B1/01Products
    • C25B1/02Hydrogen or oxygen
    • C25B1/04Hydrogen or oxygen by electrolysis of water
    • CCHEMISTRY; METALLURGY
    • C25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APPARATUS THEREFOR
    • C25B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COMPOUNDS OR NON-METALS; APPARATUS THEREFOR
    • C25B9/00Cells or assemblies of cells; Constructional parts of cells; Assemblies of constructional parts, e.g. electrode-diaphragm assemblies; Process-related cell features
    • C25B9/70Assemblies comprising two or more cell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002Construction details of the apparatus
    • C02F2201/005Valve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46Apparatus for electrochemical processes
    • C02F2201/461Electrolysis apparatus
    • C02F2201/46105Details relating to the electrolytic devices
    • C02F2201/4611Fluid flow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46Apparatus for electrochemical processes
    • C02F2201/461Electrolysis apparatus
    • C02F2201/46105Details relating to the electrolytic devices
    • C02F2201/46115Electrolytic cell with membranes or diaphragm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46Apparatus for electrochemical processes
    • C02F2201/461Electrolysis apparatus
    • C02F2201/46105Details relating to the electrolytic devices
    • C02F2201/4612Controlling or monitoring
    • C02F2201/46125Electrical variable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46Apparatus for electrochemical processes
    • C02F2201/461Electrolysis apparatus
    • C02F2201/46105Details relating to the electrolytic devices
    • C02F2201/4612Controlling or monitoring
    • C02F2201/46125Electrical variables
    • C02F2201/4613Inversing polarit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30Hydrogen technology
    • Y02E60/36Hydrogen production from non-carbon containing sources, e.g. by water electrolysi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Water Treatment By Electricity Or Magnetism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전해수 생성 장치(1A)는, 원수를 도입하는 도입관부와, 원수를 전기 분해하는 전해조(28)와, 생성된 전해수를 제1 배출구(12a) 및 제2 배출구(13a)를 통해 각각 외부에 도출하는 도출관부를 구비한다. 전해조(28)는, 전해 전극(28a, 28b)의 한쪽이 배치된 제1 전해실과, 전해 전극(28a, 28b)의 다른 쪽이 배치된 제2 전해실을 포함한다. 도입관부는, 원수를 분류하여 제1 전해실 및 제2 전해실의 각각에 도입하는 분지관로(24)를 포함한다. 도출관부는, 제1 전해실 및 제2 전해실 중의 한쪽과 제1 배출구(12a)를 접속하는 제1 배출관로와, 제1 전해실 및 제2 전해실 중의 다른 쪽과 제2 배출구(13a)를 접속하는 제2 배출관로를 포함한다. 제2 배출관로에는, 흡입구가 제2 배출구(13a)측에 접속되며, 또한 토출구가 전해조(28)측에 접속되도록 원심 펌프(30)가 설치된다.

Description

전해수 생성 장치{ELECTROLYZED WATER GENERATOR}
본 발명은 수돗물 등의 원수를 전기 분해함으로써 전해수로서의 전해 환원수 및 전해 산성수를 생성하는 전해수 생성 장치에 관한 것이다.
수돗물 등의 원수를 처리함으로써 전해수를 생성하는 전해수 생성 장치(일반적으로 「정수기(整水器)」라고도 칭함)로서, 원수를 전해조에 도입하여 이것을 전기 분해함으로써 전해수로서의 전해 환원수(일반적으로 「알칼리 이온수」라고도 칭함) 및 전해 산성수(일반적으로 「산성 이온수」라고도 칭함)를 생성하는 것이 보급되어 있다. 생성된 전해수 중, 특히 전해 환원수는 항산화성을 갖고 있어, 음용함으로써 위장 증상의 개선에 기여하는 것이 알려져 있고, 또한 전해 산성수는 살균 작용을 갖고 있는 것이 알려져 있다.
일반적으로 전해수 생성 장치는, 상술한 전해조 및 각종 배관계 등이 설치된 장치 본체와, 해당 장치 본체로부터 인출된 취수관 및 한쌍의 배수관을 구비하고 있다. 해당 전해수 생성 장치에 있어서는, 취수관 및 이것에 접속된 배관계를 통해 원수가 전해조에 도입되어, 전해조에 있어서 원수의 전해 처리가 행하여지고, 그 후, 1쌍의 배수관 및 이것에 접속된 배관계를 통해 전해 환원수 및 전해 산성수가 전해조로부터 각각 도출되어 배출된다.
해당 구성의 전해수 생성 장치가 구체적으로 개시된 문헌으로는, 예를 들면 일본 특허 공개 평6-47381호 공보(특허문헌 1)나 일본 특허 공개 제2002-86148호 공보(특허문헌 2), 일본 특허 공개 제2010-221127호 공보(특허문헌 3) 등이 있다.
전해수 생성 장치에 있어서는, 원수에 포함되는 양이온을 가진 칼슘이나 마그네슘 등이 수산화칼슘이나 수산화마그네슘 등의 스케일이 되어 석출되는 문제가 있다. 해당 스케일이 석출하는 부위로는, 전해조의 음극실 및 해당 음극실보다도 하류측에 위치하는 배관계 및 배수관을 들 수 있다. 특히, 전기 분해를 촉진하기 위해서, 전해조에 도입되기 전의 원수에 락트산 칼슘이나 식염 등의 전기 분해 촉진제를 첨가하는 구성이 채용된 전해수 생성 장치에 있어서는, 스케일의 석출이 매우 현저해진다.
해당 스케일은, 전해 전극 중의 음극이나 전해 격막에 부착함으로써 전해수 생성 장치의 성능의 저하를 초래해 버릴 뿐만 아니라, 배관의 관벽이나 밸브 본체 등에 부착함으로써 클로깅을 일으켜 동작 불량도 초래해 버린다. 그 때문에, 종래 스케일의 제거를 행하기 위한 여러 가지 방법이 제안되어 있다.
스케일의 제거 방법으로는, 크게 나누어 2가지 방법이 있다. 그 하나는, 전해조에서 생성되는 전해 산성수를 이용하여 스케일의 제거를 행하는 방법이고, 다른 하나는, 시트르산수 등으로 대표되는 세정액을 외부로부터 도입하여 스케일의 제거를 행하는 방법이다.
전자의 스케일 제거 방법은, 일반적으로 역전세정이라고 불리는 것으로, 한쌍의 전해 전극의 극성을 반전시킴으로써 스케일의 제거를 도모하는 방법이다. 해당 방법은, 상술한 일본 특허 공개 평6-47381호 공보나 일본 특허 공개 제2002-86148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제2010-221127호 공보에 개시된 전해수 생성 장치에 있어서도 채용되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일본 특허 공개 평6-47381호 공보 및 일본 특허 공개 제2002-86148호 공보에 개시된 전해수 생성 장치에 있어서는, 전해조의 양극실보다도 하류측에 위치하는 배관과 전해조의 상류측에 위치하는 배관을 바이패스관으로 접속하고, 역전세정시에 있어서 해당 바이패스관을 이용하여 전해 산성수를 피드백시킴으로써, 전해조뿐만 아니라, 배관계의 대부분 및 배수관의 세정도 도모하는 것이다.
또한, 일본 특허 공개 제2010-221127호 공보에 개시된 전해수 생성 장치에 있어서는, 전해조의 한쌍의 전해실과 그 하류측에 위치하는 한쌍의 배수관 사이의 접속 상태가 전환 가능해지도록 전해조의 하류측에 유로 전환 밸브를 설치하고, 역전세정시에 있어서 해당 유로 전환 밸브를 이용하여 해당 접속 상태를 전환함으로써, 전해조뿐만 아니라, 배관계의 대부분 및 배수관의 세정도 도모하는 것이다.
한편, 후자의 스케일 제거 방법은, 농도의 제조가 가능한 시트르산수 등의 세정액을 외부로부터 도입하는 것이며 또한, 해당 세정액을 전해조 및 배관계 및 한쌍의 배수관 전부에 통류시킬 수 있는 것이다.
후자의 스케일 제거 방법에 있어서는, 일반적으로, 전해조의 상류측에 위치하는 배관에 세정 성분을 포함하는 세정용 카트리지를 부착하여, 양극실의 하류측에 위치하는 배수관의 배출구를 폐색하고, 원수를 취수관을 통해 외부로부터 도입하여 전해조 및 배관계 및 한쌍의 배수관을 세정액으로 충전하여 일정 시간 이것을 방치하고, 그 후, 양극실의 하류측에 위치하는 배수관의 배출구를 개방하여 원수를 소정 시간에 걸쳐 더욱 통류하고, 또한 그 후, 세정용 카트리지를 제거하여 원수를 더 통류함으로써 전해조 및 배관계 및 한쌍의 배수관에 잔류하는 세정액을 배출함으로써 행해진다.
일본 특허 공개 평6-47381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제2002-86148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제2010-221127호 공보
그러나, 전자의 스케일 제거 방법을 채용한 경우에는, 전해 전극의 표면에 부착된 스케일의 제거는 효과적으로 행할 수 있지만, 전해실의 다른 부분에 부착된 스케일이나 전해조의 하류측에 위치하는 배관계 및 배수관에 부착된 스케일의 제거가 불충분해져 버리는 문제가 있다. 즉, 전해 산성수는 한번 석출되어 버린 스케일을 완전히 용해 제거할 정도의 제거 능력은 갖고 있지 않아, 전해 전극을 제외한 부분의 전해실이나 배관계 및 배수관에 스케일이 서서히 축적되어 버리게 되어, 실사양을 고려한 경우의 빈도에서의 역전세정으로는, 스케일의 완전한 제거는 도저히 기대할 수 없다.
또한, 통상 전해수 생성 장치에 있어서는, 전해수의 오음(誤飮)이나 오사용을 방지하기 위해서, 한쪽의 배수관으로부터는 항상 전해 환원수가, 또한 다른 쪽의 배수관으로부터는 항상 전해 산성수가 배출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때문에, 역전세정시에 있어서도 해당 조건이 충족되도록 구성된 상기 일본 특허 공개 평6-47381호 공보 및 일본 특허 공개 제2002-86148호 공보에 개시된 전해수 생성 장치에 있어서는, 전해수의 오음이나 오사용을 방지할 수 있는 점에서 우수하지만, 그 반면, 전해 환원수가 항상 배출되는 배수관에 있어서의 스케일 제거는 일체 행할 수 없게 되어 버린다.
이에 반하여, 역전세정시에 있어서 전해실과 배수관 사이의 접속 상태가 전환하는 상기 일본 특허 공개 제2010-221127호 공보에 개시된 전해수 생성 장치에 있어서는, 한쌍의 배수관의 양쪽에 전해 산성수를 통류시킬 수 있는 반면, 전해세정시에 있어 상기 조건이 충족되지 않은 것이 되므로, 사용자가 잘못 전해수를 오음하게 되거나 오사용하게 되는 일을 미연에 방지할 수 없는 문제가 생겨 버린다.
한편, 후자의 스케일 제거 방법은, 스케일의 완전한 제거가 가능한 점이나, 애당초 통상의 조작과는 별도로 세정 조작을 행할 필요가 있는 것이므로, 사용자가 잘못 전해수를 오음하게 되거나 오사용하게 되는 일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점에서, 전자의 스케일 제거 방법보다도 현저히 우수하다.
그러나, 해당 후자의 스케일 제거 방법을 채용한 경우에는, 전용의 세정용 카트리지를 별도로 준비할 필요가 있게 되고, 또한 해당 세정용 카트리지를 전해수 생성 장치에 부착하기 위한 구성을 장치 본체에 설치하는 것도 필요하게 되므로, 경제성의 관점에서 문제가 남는다. 또한, 세정을 행할 때의 조작이 번잡하기 때문에, 사용자가 조작을 잘못해버릴 우려도 있고, 특히 전해조 및 배관계 및 배수관을 세정액으로 충전한 상태가 충분히 유지되지 않은 경우 등에는, 스케일의 제거가 불충분해져 버리는 문제도 생겨 버린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종래의 스케일의 제거 방법에 있어서는, 스케일의 제거를 충분히 행할 수 없다는 등의 문제나 경제성이 떨어진다는 등의 문제, 세정을 위한 조작이 번잡하다는 등의 문제가 있어, 그 개선이 요구되고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 스케일이 부착되는 부위의 전부에 있어서 효과적이면서 용이하게 스케일의 제거를 행할 수 있으며, 또한 경제성의 면에서도 우수하게 되는 전해수 생성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기초하는 전해수 생성 장치는, 한쌍의 전해 전극을 갖고, 공급된 원수를 전기 분해함으로써 전해 환원수 및 전해 산성수를 생성하는 전해조와, 외부로부터 원수가 공급되는 공급구를 갖고, 상기 공급구를 통해 공급된 원수를 상기 전해조에 도입하는 도입관부와, 제1 배출구 및 제2 배출구를 갖고, 상기 전해조로부터 도출된 전해 환원수 및 전해 산성수를 상기 제1 배출구 및 상기 제2 배출구를 통해 각각 외부에 도출하는 도출관부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전해조는, 상기 한쌍의 전해 전극 중의 한쪽이 배치된 제1 전해실과, 상기 한쌍의 전해 전극 중의 다른 쪽이 배치된 제2 전해실과, 상기 제1 전해실 및 상기 제2 전해실을 구획하는 전해 격막을 포함하고 있다. 상기 도입관부는, 원수를 분류하여 상기 제1 전해실 및 상기 제2 전해실의 각각에 도입하는 분지관로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도출관부는, 상기 제1 전해실 및 상기 제2 전해실 중의 한쪽과 상기 제1 배출구를 접속하는 제1 배출관로와, 상기 제1 전해실 및 상기 제2 전해실 중의 다른 쪽과 상기 제2 배출구를 접속하는 제2 배출관로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제2 배출관로에는, 구동됨으로써 액체를 흡입구측으로부터 토출구측을 향하여 강제적으로 송출하기 위한 펌프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펌프의 상기 흡입구는 상기 제2 배출구측에 접속되어 있고, 상기 펌프의 상기 토출구는 상기 전해조측에 접속되어 있다.
상기 본 발명에 기초하는 전해수 생성 장치에 있어서는, 상기 펌프가 상기 흡입구측으로부터 상기 토출구측을 향하는 방향을 순방향으로 한 경우에, 구동이 정지됨으로써 해당 순방향과는 역방향으로 액체를 통류시키는 것이 가능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본 발명에 기초하는 전해수 생성 장치에 있어서는, 상기 펌프가 원심 펌프로 구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본 발명에 기초하는 전해수 생성 장치에 있어서는, 전해수 생성 장치의 작동 정지시에 있어, 상기 원심 펌프의 펌프실이 잔류수에 의해서 실질적으로 채워진 상태가 유지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본 발명에 기초하는 전해수 생성 장치는, 또한 상기 펌프가 설치된 부위와 상기 전해조에 접속된 부위 사이에 위치하는 부분의 상기 제2 배출관로와, 상기 도입관부를 접속하는 바이패스관부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본 발명에 기초하는 전해수 생성 장치는, 또한 상기 공급구를 통해 원수가 공급되고 있는 상태에서, 상기 바이패스관부를 경유하여 상기 도입관부측으로부터 상기 제2 배출관로측을 향하여 액체가 유동하는 것을 제한하는 역지 밸브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본 발명에 기초하는 전해수 생성 장치의 어떤 양태에 있어서는, 상기 전해수 생성 장치가, 또한 상기 한쌍의 전해 전극의 극성을 전환하는 극성 전환 수단과, 상기 분지관로에 포함되는 한쌍의 분지관과 상기 제1 전해실 및 상기 제2 전해실 사이의 접속 상태를 전환하는 도입관부측 접속 상태 전환 수단과, 상기 제1 배출관로 및 상기 제2 배출관로와 상기 제1 전해실 및 상기 제2 전해실 사이의 접속 상태를 전환하는 도출관부측 접속 상태 전환 수단과, 상기 극성 전환 수단, 상기 도입관부측 접속 상태 전환 수단 및 상기 도출관부측 접속 상태 전환 수단을 동기적으로 전환 제어하는 전환 제어부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본 발명에 기초하는 전해수 생성 장치의 상기 어떤 양태에 있어서는, 상기 한쌍의 분지관 중의 한쪽의 분지관에 도입관부측 유량 조정 수단이 설치되어 있으며, 또한 상기 제2 배출관로에 도출관부측 유량 조정 수단이 설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고, 그 경우에는, 상기 전환 제어부가, 상기 한쪽의 분지관과 상기 제2 배출관로가 상기 제1 전해실 및 상기 제2 전해실 중의 한쪽을 통해 항상 접속된 상태가 유지되도록, 상기 도출관부측 접속 상태 전환 수단 및 상기 도입관부측 접속 상태 전환 수단을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본 발명에 기초하는 전해수 생성 장치의 상기 어떤 양태에 있어서는, 상기 전해수 생성 장치가, 또한 상기 펌프가 설치된 부위와 상기 도출관부측 유량조정 수단이 설치된 부위 사이에 위치하는 부분의 상기 제2 배출관로와, 상기 도입관부를 접속하는 바이패스관부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본 발명에 기초하는 전해수 생성 장치의 상기 어떤 양태에 있어서는, 상기 전해수 생성 장치가, 또한 상기 공급구를 통해 원수가 공급되고 있는 상태에서, 상기 바이패스관부를 경유하여 상기 도입관부측으로부터 상기 제2 배출관로측을 향하여 액체가 유동하는 것을 제한하는 역지 밸브를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본 발명에 기초하는 전해수 생성 장치의 다른 양태에 있어서는, 상기 전해수 생성 장치가, 또한 상기 한쌍의 전해 전극의 극성을 전환하는 극성 전환 수단과, 상기 제1 배출관로 및 상기 제2 배출관로와 상기 제1 전해실 및 상기 제2 전해실 사이의 접속 상태를 전환하는 도출관부측 접속 상태 전환 수단과, 상기 극성 전환 수단 및 상기 도출관부측 접속 상태 전환 수단을 동기적으로 전환 제어하는 전환 제어부를 구비하고 있을 수도 있다.
상기 본 발명에 기초하는 전해수 생성 장치에 있어서는, 전기 분해 촉진제를 원수에 첨가하기 위한 첨가 카트리지가 상기 도입관부에 착탈이 자유롭게 설치되어 있을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스케일이 부착되는 부위의 전체에 있어서 효과적이면서 용이하게 스케일의 제거를 행할 수 있으며, 또한 경제성의 면에서도 우수하게 되는 전해수 생성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있어서의 전해수 생성 장치의 외관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하는 전해수 생성 장치의 내부 구조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하는 전해수 생성 장치의 내부 구조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하는 전해수 생성 장치의 배관 구성을 도시하는 모식도이다.
도 5는 도 1에 도시하는 전해수 생성 장치의 제1 운전 상태를 도시하는 모식도이다.
도 6은 도 1에 도시하는 전해수 생성 장치의 제2 운전 상태를 도시하는 모식도이다.
도 7은 도 1에 도시하는 전해수 생성 장치의 지수 직후의 상태를 도시하는 모식도이다.
도 8은 도 1에 도시하는 전해수 생성 장치의 세정 동작시의 상태를 도시하는 모식도이다.
도 9a는 도 1에 도시하는 전해수 생성 장치의 원심 펌프의 설치 상태 및 세정 동작시의 원심 펌프 근방의 상태를 도시하는 모식도이다.
도 9b는 도 1에 도시하는 전해수 생성 장치의 원심 펌프의 설치 상태 및 세정 동작 개시 전의 원심 펌프 근방의 상태를 도시하는 모식도이다.
도 10a는 제1 비교예에 관한 원심 펌프의 설치 상태 및 세정 동작 개시 전의 원심 펌프 근방의 상태를 도시하는 모식도이다.
도 10b는 제2 비교예에 관한 원심 펌프의 설치 상태 및 세정 동작 개시 전의 원심 펌프 근방의 상태를 도시하는 모식도이다.
도 11은 변형예에 관한 원심 펌프의 설치 상태 및 세정 동작 개시 전의 원심 펌프 근방의 상태를 도시하는 모식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2에 있어서의 전해수 생성 장치의 배관 구성 및 세정 동작시의 상태를 도시하는 모식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3에 있어서의 전해수 생성 장치의 배관 구성 및 세정 동작시의 상태를 도시하는 모식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4에 있어서의 전해수 생성 장치의 배관 구성 및 세정 동작시의 상태를 도시하는 모식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5에 있어서의 전해수 생성 장치의 배관 구성 및 세정 동작시의 상태를 도시하는 모식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또한, 이하에 나타내는 실시 형태 및 그 변형예에서는, 동일하거나 또는 공통되는 부분에 도면 중의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그 설명은 개별적으로 반복하지 않기로 한다.
(실시 형태 1)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있어서의 전해수 생성 장치의 외관을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2 및 도 3은, 도 1에 도시하는 전해수 생성 장치의 내부 구조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또한, 도 4는, 도 1에 도시하는 전해수 생성 장치의 배관 구성을 도시하는 모식도이다. 우선, 이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전해수 생성 장치(1A)의 외관, 내부 구조 및 배관 구성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전해수 생성 장치(1A)는, 하우징(10)과, 취수관(11)과, 제1 배수관(12)과, 제2 배수관(13)과, 전원 코드(16)를 구비하고 있다. 하우징(10)은, 장치 본체의 외피를 구성하는 부재이고, 후술하는 베이스(17)(도 2 및 도 3 참조)를 갖고 있다. 전원 코드(16)는, 상용 전원 등의 외부 전원으로부터 전력의 공급을 받기 위한 것으로, 하우징(10)의 하부에서 하우징(10)의 외부로 인출되어 있다.
취수관(11)은, 수도의 수도 꼭지 등에 접속되어 외부로부터 수돗물 등의 원수의 공급을 받기 위한 배관이고, 그 선단에 원수가 공급되는 공급구(11a)를 갖고 있다. 취수관(11)은, 하우징(10)의 하부에서 하우징(10)의 외부로 인출되어 있다.
제1 배수관(12)은, 생성된 전해 환원수(알칼리 이온수)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배관이고, 그 선단에 제1 배출구(12a)를 갖고 있다. 제1 배수관(12)은, 하우징(10)의 상부로부터 하우징(10)의 외부로 인출되고 있다.
제2 배수관(13)은, 생성된 전해 산성수(전해 산성수)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배관이고, 그 선단에 제2 배출구(13a)를 갖고 있다. 제2 배수관(13)은, 하우징(10)의 하부에서 하우징(10)의 외부로 인출되고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전해수 생성 장치(1A)는, 전기 분해 처리가 실시되는 통상 동작시에서 생성되는 전해 환원수를 음용에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구성된 것이고, 그 때문에, 전해 환원수가 배출되는 제1 배수관(12)은, 그 방향이나 위치가 자유롭게 변경 가능한 노즐로 형성되어 있고, 전해 산성수가 배출되는 제2 배수관(13)은, 배수 호스로 형성되어 있다.
하우징(10)의 상면에는, 전해수 생성 장치(1A)를 조작하기 위한 조작부(14)가 설치되어 있다. 조작부(14)는, 예를 들면 누름 버튼 등으로 구성되어 있고, 전원 버튼, 운전 상태 전환 버튼, 각종 설정 버튼 등을 포함하고 있다. 또한, 하우징(10)의 전방 면에는, 운전 상태 등을 표시하기 위한 표시부(15)가 설치되어 있다. 표시부(15)는, 예를 들면 LCD(Liquid Crystal Display)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도 2 및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우징(10)의 내부에는, 후술하는 각종 배관계 및 전해조, 정화 처리부 등의 구성 부품이 수용되어 있다. 이들 구성 부품은, 하우징(10)의 싱크 주변의 설치면 상에 장착되는 부위인 베이스(17) 상에 조립되어 있다.
도 2 내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구성 부품에는, 안전 밸브(20), 정화 처리부(21), 역지 밸브(22), 유량 센서(23), 밸브 유닛(25), 전해조(28) 및 원심 펌프(30) 및 이들을 서로 접속하는 배관 라인(L1 내지 L6) 등이 주로 포함된다. 여기서, 밸브 유닛(25)에는, 한쌍의 유로 전환 밸브(26A, 26B)와, 한쌍의 유량 제어 밸브(27A, 27B)가 포함된다. 또한, 상기 구성 부품에는, 각종 구성 부품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40)(도 4 참조)가 포함된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배관 라인(L1 내지 L6)은, 하우징(10)의 내부에 설치되는 유로를 규정하는 배관계이고, 상술한 취수관(11)과 제1 배수관(12) 및 제2 배수관(13)을 접속하고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배관 라인(L1)은, 취수관(11)과 정화 처리부(21)를 접속하고 있고, 배관 라인(L2)은, 정화 처리부(21)와 전해조(28)를 접속하고 있다. 배관 라인(L3)은, 전해조(28)와 제1 배수관(12)을 접속하고 있고, 배관 라인(L4)은, 전해조(28)와 제2 배수관(13)을 접속하고 있다. 또한, 배관 라인(L5)은, 배관 라인(L2)과 배관 라인(L4)을 접속하고 있고, 배관 라인(L6)은, 취수관(11)과 제2 배수관(13)을 접속하고 있다.
안전 밸브(20)는, 주로 외부로부터의 원수의 공급량이 과대한 경우에, 공급된 원수의 일부를 외부에 직접 배출하기 위한 것으로, 상술한 취수관(11)과 배관 라인(L1)과 배관 라인(L6)에 접속되어 있다. 해당 안전 밸브(20)를 설치함으로써, 후술하는 각종 구성 부품에 과대한 부하가 걸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또한 원수의 역류를 방지할 수 있다.
정화 처리부(21)는, 공급된 원수를 정화하기 위한 것으로, 상술한 배관 라인(L1)과 배관 라인(L2)에 접속되어 있다. 정화 처리부(21)는, 예를 들면 활성탄 필터나 중공사 필터 또는 이들의 복합 필터로 이루어지는 교환 가능한 정화 카트리지(21a)를 포함하고 있다. 해당 정화 처리부(21)를 설치함으로써, 음용에 적합한 전해 환원수를 생성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정화 처리부(21)로는, 예를 들면 유리 잔류 염소(칼크), 흐림, 총 트리할로메탄, 클로로포름, 브로모디클로로메탄, 디브로모클로로메탄, 브로모포름, 테트라클로로에틸렌, 트리클로로에틸렌, 1,1,1-트리클로로에탄, CAT(농약), 2-MIB(곰팡이 냄새), 용해성 납 등의 불순물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흡착함으로써 원수로부터 이것을 제거하는 것이 사용된다. 또한, 어느 쪽 불순물을 제거할지는, 도입되는 원수에 포함되는 것이 상정되는 불순물종 및 그 농도에 따라서 적절하게 취사 선택된다.
역지 밸브(22)는, 후술하는 세정 동작시에 있어 이것이 개방됨으로써 세정액의 순환 회로를 형성하기 위한 것으로, 배관 라인(L2)에 설치되며, 또한 배관 라인(L5)에 접속되어 있다. 또한, 역지 밸브(22)는, 후술하는 지수시에 있어 이것이 개방됨으로써 배관계에 충전된 원수나 환원수를 배출하기 위한 릴리프 밸브로서도 기능한다. 해당 역지 밸브(22)를 설치함으로써, 세정 동작시에 있어 세정액의 순환 회로가 형성되며, 또한 지수시에 있어 배관계에 잔류하는 잔류수를 감소할 수 있다. 또한, 역지 밸브(22)는, 전해수를 생성하는 통상 동작시에 이것이 폐색함으로써 배관 라인(L2)과 배관 라인(L5)을 비접속으로 한다.
유량 센서(23)는, 공급된 원수의 유량을 검출하기 위한 것으로, 배관 라인(L2)에 설치되어 있다. 유량 센서(23)는, 원수의 공급 유무를 검출하기 위한 것으로, 제어부(40)에 그 검출 결과를 출력한다. 제어부(40)는, 입력된 해당 검출 결과에 기초하여, 전기 분해의 개시/정지를 판단하거나, 후술하는 한쌍의 유량 제어 밸브(27A, 27B)의 동작을 제어하거나, 후술하는 한쌍의 전해 전극(28a, 28b) 사이에 인가해야 할 전압을 결정하기도 한다.
배관 라인(L2)의 유량 센서(23)가 설치된 위치보다도 하류측에는, 분지관로(24)가 설치되어 있다. 분지관로(24)는, 한쌍의 분지관(24a, 24b)을 갖고 있고, 원수를 분류하기 위한 것이다. 해당 분지관로(24)를 설치함으로써, 후술하는 전해조(28)의 한쌍의 전해실에 원수를 분류하여 도입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한쌍의 분지관(24a, 24b)은, 유로 전환 밸브(26A)의 한쌍의 입수측 포트에 대응하여 접속되어 있고, 유로 전환 밸브(26B)의 한쌍의 출수측 포트는, 전해조(28)의 한쌍의 전해실에 대응되어 접속되어 있다. 또한, 한쪽의 분지관(24b)에는, 유량 제어 밸브(27A)가 설치되어 있다.
유로 전환 밸브(26A)는, 한쌍의 분지관(24a, 24b)과 전해조(28)의 한쌍의 전해실(이하, 한쪽의 전해실을 제1 전해실, 다른 쪽의 전해실을 제2 전해실이라고 칭함)과의 접속 상태를 전환하기 위한 것으로, 그 동작이 제어부(40)에 의해서 제어된다. 구체적으로는, 유로 전환 밸브(26A)는, 그 동작이 제어부(40)에 의해서 제어됨으로써, 분지관(24a)과 제1 전해실이 접속되면서 분지관(24b)과 제2 전해실이 접속된 제1 접속 상태와, 분지관(24a)과 제2 전해실이 접속되면서 분지관(24b)과 제2 전해실이 접속된 제2 접속 상태로, 이들의 접속 상태를 전환한다.
유량 제어 밸브(27A)는, 분지관(24b)을 통류하는 원수의 유량을 분지관(24a)을 통류하는 원수의 유량보다도 적게 하기 위한 조임 밸브이고, 그 동작이 제어부(40)에 의해서 제어된다. 해당 유량 제어 밸브(27A)는, 생성되는 전해 환원수와 전해 산성수의 비율을 조정하여, 전해 환원수의 생성량을 전해 산성수의 생성량보다도 많게 하기 위한 것으로, 비율 조정 밸브라고도 칭한다.
전해조(28)는, 한쌍의 전해 전극(28a, 28b)과, 이들 한쌍의 전해 전극(28a, 28b)을 사이에 두기 위한 전해 격막(28c)을 갖고 있고, 한쌍의 전해 전극(28a, 28b) 사이에 전압이 인가됨으로써 원수를 전기 분해하는 것이다. 여기서, 한쌍의 전해 전극(28a, 28b)은, 각각 전해 격막(28c)에 의해서 구획된 한쌍의 전해실에 배치되어 있고, 전해 전극(28a)이 배치된 전해실이 상술한 제1 전해실에 상당하고, 전해 전극(28b)이 배치된 전해실이 상술한 제2 전해실에 상당한다.
전해 전극(28a, 28b)의 극성은, 각각 그 전환이 가능해지도록 구성되어 있고, 동시에 전해 전극(28a, 28b)의 극성이 전환됨으로써 전해 전극(28a, 28b)의 극성이 반전하게 된다. 또한, 해당 전해 전극(28a, 28b)의 극성의 전환은, 예를 들면 도시하지 않은 릴레이 등에 의해서 행해지고, 제어부(40)에 의해서 그 전환이 제어된다.
이에 따라, 전해 전극(28a)이 양극이면서, 전해 전극(28b)이 음극이 된 경우에는, 상기 제1 전해실이 양극실이면서, 상기 제2 전해실이 음극실이 되게 되고, 전해 전극(28a)이 음극이면서 전해 전극(28b)이 양극이 된 경우에는, 상기 제1 전해실이 음극실이면서 상기 제2 전해실이 양극실이 되게 된다.
또한, 전해 전극으로는, 예를 들면 표면이 백금 도금된 전극이 바람직하게 이용되고, 전해 격막(28c)으로는, 칼륨이온, 마그네슘이온, 나트륨이온, 칼슘이온 등의 양이온을 양극실측로부터 음극실측을 향하여 투과시킬 수 있고, 또한 염화물 이온 및 황산 이온 등의 음이온을 음극실측으로부터 양극실측을 향하여 투과할 수 있는 이른바 이온 교환막이 이용된다.
전해조(28)의 하류측에는, 유로 전환 밸브(26B)가 설치되어 있다. 유로 전환 밸브(26B)의 한쌍의 입수측 포트는, 전해조(28)의 한쌍의 전해실에 대응하여 접속되어 있고, 유로 전환 밸브(26B)의 한쌍의 출수측 포트는, 배관 라인(L3, L4)에 대응하여 접속되어 있다.
유로 전환 밸브(26B)는, 전해조(28)의 한쌍의 전해실과 배관 라인(L3, L4)의 접속 상태를 전환하기 위한 것으로, 그 동작이 제어부(40)에 의해서 제어된다. 구체적으로는, 유로 전환 밸브(26B)는, 그 동작이 제어부(40)에 의해서 제어됨으로써, 제1 전해실과 배관 라인(L3)이 접속되면서 제2 전해실과 배관 라인(L4)이 접속된 제1 접속 상태와, 제1 전해실과 배관 라인(L4)이 접속되면서 제2 전해실과 배관 라인(L3)이 접속된 제2 접속 상태로, 이들의 접속 상태를 전환한다.
배관 라인(L4)에는 유량 제어 밸브(27B)가 설치되어 있다. 유량 제어 밸브(27B)는 배관 라인(L4)을 통류하는 전해 산성수의 유량을 적게 하기 위한 조임 밸브이고, 그 동작이 제어부(40)에 의해서 제어된다. 해당 유량 제어 밸브(27B)는, 상술한 유량 제어 밸브(27A)와 서로 작용하여 생성되는 전해 환원수와 전해 산성수의 비율을 조정하여, 전해 환원수의 생성량을 전해 산성수의 생성량보다도 많게 하기 위한 것으로, 비율 조정 밸브라고도 칭한다.
또한, 배관 라인(L4)의 유량 제어 밸브(27B)가 설치된 위치보다도 하류측에는, 역지 밸브(22)에 그 일단이 접속된 배관 라인(L5)의 타단이 접속되어 있고, 또한 해당 배관 라인(L4)의 배관 라인(L5)의 타단이 접속된 위치보다도 하류측에는, 원심 펌프(30)가 설치되고 있고, 또한 해당 배관 라인(L4)의 원심 펌프(30)가 설치된 위치보다도 하류측에는, 안전 밸브(20)에 그 일단이 접속된 배관 라인(L6)의 타단이 접속되어 있다.
원심 펌프(30)는, 후술하는 세정 동작시에 있어 구동되어서 세정액을 흡입하여 이것을 토출함으로써 세정액을 강제적으로 송출시키기 위한 것으로, 그 동작이 제어부(40)에 의해서 제어된다. 원심 펌프(30)는, 그 흡입구(30e1)가 제2 배수관(13)의 제2 배출구(13a) 측에 접속되어 있고, 그 토출구(30e2)가 전해조(28)측에 접속되어 있다(도 9a 및 도 9b 참조).
여기서, 원심 펌프(30)는, 통상 동작시에 있어 배관 라인(L4)을 폐색하지 않도록, 그 흡입구(30e1)측에서 토출구(30e2)측을 향하는 방향을 순방향으로 한 경우에, 구동이 정지됨으로써 해당 순방향과는 역방향으로 액체를 통류할 수 있는 것이다. 그 때문에, 원심 펌프(30)를 배관 라인(L4)에 설치한 경우에도, 해당 원심 펌프(30)를 통한 전해 산성수의 배출이 가능하다.
제어부(40)는, 예를 들면 CPU(Central Processing Unit)로 구성되고, 주로 전해수 생성 장치(1A) 전체로서의 동작을 제어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제어부(40)는, 상술한 바와 같이, 유량 센서(23)로부터 그 검출 결과의 입력을 받거나, 한쌍의 유로 전환 밸브(26A, 26B), 한쌍의 유량 제어 밸브(27A, 27B), 전해조(28) 및 원심 펌프(30)의 동작을 제어하기도 한다. 또한, 제어부(40)는, 조작부(14)를 통해 외부로부터의 명령을 접수하거나, 표시부(15)에 있어서 표시해야 할 정보를 출력하기도 한다. 또한, 제어부(40)는, 타이머 회로를 구비하고 있고, 해당 타이머 회로에 의해서 계시된 운전 시간 등의 정보에 기초하여, 후술하는 운전 상태의 전환을 행한다.
이상에 있어 설명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전해수 생성 장치(1A)에서는, 취수관(11)의 공급구(11a)로부터 안전 밸브(20), 정화 처리부(21), 역지 밸브(22),유량 센서(23), 분지관로(24), 유로 전환부(26A)를 통해 전해조(28)에 이르는 부분의 배관계가, 공급된 원수를 전해조(28)에 도입하는 도입관부에 상당하게 되고, 전해조(28)로부터 유량 제어 밸브(26B)를 통해 제1 배수관(12)의 제1 배출구(12a) 및 제2 배수관(13)의 제2 배출구(13a)에 이르는 부분의 배관계가, 전해조(28)로부터 도출된 전해 환원수 및 전해 산성수를 외부에 도출하는 도출관부에 상당하게 된다.
또한, 상술한 도출관부 중, 유로 전환 밸브(26A)로부터 배관 라인(L3) 및 제1 배수관(12)을 경유하여 제1 배출구(12a)에 이르기까지의 부분이, 제1 배출관로에 상당하게 되고, 유로 전환 밸브(26B)에서 원심 펌프(30)가 설치된 배관 라인(L4) 및 제2 배수관(13)을 경유하여 제2 배출구(13a)에 이르기까지의 부분이, 제2 배출관로에 상당하게 되고, 배관 라인(L5)이 바이패스관부에 상당하게 된다.
또한, 유로 전환 밸브(26A)가, 도입관부측 접속 상태 전환 수단에 상당하게 되고, 유로 전환 밸브(26B)가, 도출관부측 접속 상태 전환 수단에 상당하게 되고, 유량 제어 밸브(27A)가, 도입관부측 유량 조정 수단에 상당하게 되고, 유량 제어 밸브(27B)가 도출관부측 유량 조정 수단에 상당하게 된다.
또한, 제어부(40)가, 한쌍의 전해 전극(28a, 28b)의 극성과, 한쌍의 분지관(24a, 24b)과 한쌍의 전해실 사이의 접속 상태와, 한쌍의 전해실과 배관 라인(L3, L4) 사이의 접속 상태가 동시에 전환하는 것이 되도록, 상술한 릴레이 및 한쌍의 유로 전환 밸브(26A, 26B)를 동기적으로 제어하는 전환 제어부에 상당하게 된다. 이에 따라,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전해수 생성 장치(1A)에 있어서는, 통상 동작시에 있어, 이하에 설명하는 제1 운전 상태와 제2 운전 상태가 정기적으로 전환되어 교대로 반복되게 된다.
도 5는, 도 1에 도시하는 전해수 생성 장치의 제1 운전 상태를 도시하는 모식도이고, 도 6은, 도 1에 도시하는 전해수 생성 장치의 제2 운전 상태를 도시하는 모식도이다. 다음으로, 이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전해수 생성 장치(1A)의 통상 동작시의 운전 상태인 제1 운전 상태 및 제2 운전 상태에서의 원수, 전해 환원수 및 전해 산성수의 흐름에 대해서 각각 설명한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운전 상태에서는, 수도 꼭지(100)로부터 배출된 원수가 분지 수전(水栓)(101)을 통해 취수관(11)에 공급되고, 공급된 원수가 안전 밸브(20)를 경유하여 정화 처리부(21)에 유입된다. 정화 처리부(21)에 유입된 원수는, 정화 카트리지(21a)에 통수됨으로써 특정한 불순물이 제거되어 정화되고, 역지 밸브(22) 및 유량 센서(23)를 경유하여 분지관로(24)에 도달한다.
그 때, 제어부(40)는 원수가 통류되고 있는 것을 나타내는 유량 센서(23)의 검출 결과를 받아, 전해조(28)에서 전기 분해 처리가 행해지도록 한쌍의 전해 전극(28a, 28b) 사이에 전압을 인가한다.
분지관로(24)에 도달한 원수는, 분지관(24b)에 설치된 유량 제어 밸브(27A)의 작용에 의해서 소정의 비율로 그 유량이 조정되어 분류되고, 분류된 원수의 각각이 분지관(24a, 24b) 및 유로 전환 밸브(26A)를 경유하여 전해조(28)의 제1 전해실 및 제2 전해실에 유입된다. 또한, 분지관(24b)에 유입되는 원수의 유량은, 분지관(24a)에 유입되는 원수의 유량보다도 작아지도록 그 비율이 조정된다.
여기서, 해당 제1 운전 상태에서는, 상술한 제1 접속 상태로 배관계가 전환되고 있다. 즉, 분지관(24a)은, 유로 전환 밸브(26A)를 통해 제1 전해실에 접속된 상태에 있고, 분지관(24b)은, 유로 전환 밸브(26A)를 통해 제2 전해실에 접속된 상태에 있다. 그 때문에, 분류되어 분지관(24a)에 유입된 원수는, 제1 전해실에 도달하게 되고, 분류되어 분지관(24b)에 유입된 원수는, 제2 전해실에 도달하게 된다.
전해조(28)에 도달한 원수에는, 전기 분해 처리가 실시된다. 여기서, 해당 제1 운전 상태는, 전해 전극(28a)이 배치된 제1 전해실이 음극실로서 기능하고, 전해 전극(28b)이 배치된 제2 전해실이 양극실로서 기능한 상태이다. 그 때문에, 이 제1 운전 상태에서는, 양극실인 제1 전해실에서 전해 환원수가 생성되게 되고, 음극실인 제2 전해실에서 전해 산성수가 생성되게 된다.
전해조(28)에서 생성된 전해 환원수 및 전해 산성수는, 유로 전환 밸브(26B) 및 배관 라인(L3, L4)을 경유하여 제1 배수관(12) 및 제2 배수관(13)으로부터 외부로 배출된다. 여기서, 해당 제1 운전 상태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제1 접속 상태로 배관계가 전환되고 있다. 즉, 제1 전해실은, 유로 전환 밸브(26B)를 통해 배관 라인(L3)에 접속된 상태에 있고, 제2 전해실은, 유로 전환 밸브(26B)를 통해 배관 라인(L4)에 접속된 상태에 있다.
그 때문에, 제1 전해실에서 생성된 전해 환원수는, 전해조(28)로부터 배출된 후에, 유로 전환 밸브(26B)를 경유하여 배관 라인(L3)에 유입하고, 그 후, 해당 배관 라인(L3)을 경유하여 제1 배수관(12)에 도달하여, 해당 제1 배수관(12)으로부터 외부에 도출되게 된다. 또한, 도 5에 있어서는, 해당 제1 배수관(12)으로부터 배출된 전해 환원수를 부호 31로 나타내고 있다.
한편, 제2 전해실에서 생성된 전해 산성수는, 전해조(28)로부터 배출된 후에, 유로 전환 밸브(26B)를 경유하여 배관 라인(L4)에 유입하고, 그 후, 해당 배관 라인(L4) 및 이것에 설치된 유량 제어 밸브(27B) 및 원심 펌프(30)를 경유하여 제2 배수관(13)에 도달하여, 해당 제2 배수관(13)으로부터 외부에 도출되게 된다. 또한, 도 5에 있어서는, 해당 제2 배수관(13)으로부터 배출된 전해 산성수를 부호 32로 나타내고 있다.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운전 상태에서는, 수도 꼭지(100)로부터 배출된 원수가 분지 수전(101)을 통해 취수관(11)에 공급되고, 공급된 원수가 안전 밸브(20)를 경유하여 정화 처리부(21)에 유입된다. 정화 처리부(21)에 유입된 원수는, 정화 카트리지(21a)에 통수됨으로써 특정한 불순물이 제거되어 정화되고, 역지 밸브(22) 및 유량 센서(23)를 경유하여 분지관로(24)에 도달한다.
그 때, 제어부(40)는, 원수가 통류되고 있는 것을 나타내는 유량 센서(23)의 검출 결과를 받아, 전해조(28)에서 전기 분해 처리가 행해지도록 한쌍의 전해 전극(28a, 28b) 사이에 전압을 인가한다.
분지관로(24)에 도달한 원수는, 분지관(24b)에 설치된 유량 제어 밸브(27A)의 작용에 의해서 소정의 비율로 그 유량이 조정되어 분류되고, 분류된 원수의 각각이 분지관(24a, 24b) 및 유로 전환 밸브(26A)를 경유하여 전해조(28)의 제1 전해실 및 제2 전해실에 유입된다. 또한, 분지관(24b)에 유입되는 원수의 유량은, 분지관(24a)에 유입되는 원수의 유량보다도 작아지도록 그 비율이 조정된다.
여기서, 해당 제2 운전 상태에서는, 상술한 제2 접속 상태에 배관계가 전환되고 있다. 즉, 분지관(24a)은, 유로 전환 밸브(26A)를 통해 제2 전해실에 접속된 상태에 있고, 분지관(24b)은, 유로 전환 밸브(26A)를 통해 제1 전해실에 접속된 상태에 있다. 그 때문에, 분류되어 분지관(24a)에 유입된 원수는, 제2 전해실에 도달하게 되고, 분류되어 분지관(24b)에 유입된 원수는, 제1 전해실에 도달하게 된다.
전해조(28)에 도달한 원수에는, 전기 분해 처리가 실시된다. 여기서, 해당 제2 운전 상태는, 전해 전극(28a)이 배치된 제1 전해실이 양극실로서 기능하고, 전해 전극(28b)이 배치된 제2 전해실이 음극실로서 기능한 상태이다. 그 때문에, 이 제2 운전 상태에서는, 음극실인 제1 전해실에서 전해 산성수가 생성되게 되고, 양극실인 제2 전해실에서 전해 환원수가 생성되게 된다.
전해조(28)에서 생성된 전해 환원수 및 전해 산성수는, 유로 전환 밸브(26B) 및 배관 라인(L3, L4)을 경유하여 제1 배수관(12) 및 제2 배수관(13)으로부터 외부로 배출된다. 여기서, 해당 제2 운전 상태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제2 접속 상태로 배관계가 전환되고 있다. 즉, 제1 전해실은, 유로 전환 밸브(26B)를 통해 배관 라인(L4)에 접속된 상태에 있고, 제2 전해실은, 유로 전환 밸브(26B)를 통해 배관 라인(L3)에 접속된 상태에 있다.
그 때문에, 제1 전해실에서 생성된 전해 산성수는, 전해조(28)로부터 배출된 후에, 유로 전환 밸브(26B)를 경유하여 배관 라인(L4)에 유입하고, 그 후, 해당 배관 라인(L4) 및 이것에 설치된 유량 제어 밸브(27B) 및 원심 펌프(30)를 경유하여 제2 배수관(13)에 도달하고, 해당 제2 배수관(13)으로부터 외부에 도출되게 된다. 또한, 도 6에 있어서는, 해당 제2 배수관(13)으로부터 배출된 전해 산성수를 부호 32로 나타내고 있다.
한편, 제2 전해실에서 생성된 전해 환원수는, 전해조(28)로부터 배출된 후에, 유로 전환 밸브(26B)를 경유하여 배관 라인(L3)에 유입하고, 그 후, 해당 배관 라인(L3)을 경유하여 제1 배수관(12)에 도달하고, 해당 제1 배수관(12)으로부터 외부로 도출되게 된다. 또한, 도 6에 있어서는, 해당 제1 배수관(12)으로부터 배출된 전해 환원수를 부호 31로 나타내고 있다.
도 7은, 도 1에 도시하는 전해수 생성 장치의 지수 직후의 상태를 도시하는 모식도이다. 다음으로, 이 도 7을 참조하여,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전해수 생성 장치(1A)의 지수 직후의 상태에서의 배수의 모습에 대해서 설명한다. 또한, 도 7은, 상술한 제1 접속 상태에 있는 경우를 도시하는 것이다.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도 꼭지(100)로부터의 원수의 공급이 정지된 경우에는, 유량 센서(23)를 통류하는 원수의 흐름도 멈추게 되고, 제어부(40)는, 원수가 통류되고 있지 않은 것을 나타내는 유량 센서(23)의 검출 결과를 받아, 전해조(28)에 있어서의 전기 분해 처리가 정지되도록, 한쌍의 전해 전극(28a, 28b) 사이에서의 전압의 인가를 정지한다.
해당 지수 직후에서는, 전해수 생성 장치(1A)에 포함되는 배관계에 존재하는 원수, 전해 환원수 및 전해 산성수의 각각이, 이들이 갖는 수두에 기초하여 배관 내를 이동하게 된다. 그 때, 위생면 등을 고려한 경우에는, 가능한 한 이들 원수, 전해 환원수 및 전해 산성수가 배관계의 내부에 잔류하지 않고 배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전해수 생성 장치(1A)에 있어서는, 릴리프 밸브로서도 기능하는 역지 밸브(22)가 전해조(28)보다도 상류측에 위치하는 도입관부에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지수시에 있어 해당 역지 밸브(22)가 개방됨으로써, 바이패스관부인 배관 라인(L5)을 경유한 배수가 가능하게 된다. 그 때문에,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배출구(12a)를 통해 주로 전해 환원수가, 또한 제2 배출구(13a)를 통해 주로 전해 산성수 및 원수가 각각 배출되게 되어, 이들이 배관계의 내부에 잔류하는 것의 감소가 도모되고 있다.
또한, 그 상세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하는데, 전해수 생성 장치(1A)가 상술한 제2 접속 상태에 있는 경우라도, 원수, 전해 환원수 및 전해 산성수의 흐름은 대강 동일하다.
도 8은, 도 1에 도시하는 전해수 생성 장치의 세정 동작시의 상태를 도시하는 모식도이다. 다음으로, 이 도 8을 참조하여,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전해수 생성 장치(1A)를 세정하기 위한 조작 및 세정 동작시의 상태에 대해서 설명한다. 또한, 도 8은, 상술한 제1 접속 상태에 있는 경우를 도시하는 것이다.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전해수 생성 장치(1A)의 세정(즉, 스케일의 제거)을 행하는 경우에는, 세정액(51)이 저류된 용기(50)를 준비한다. 여기서, 세정액(51)으로는, 스케일을 효과적으로 용해 제거하는 것이 가능한 시트르산, 아세트산, 아스코르브산, 숙신산 및 말산으로 대표되는 산을 포함하는 세정수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소정 농도로 된 시트르산수를 사용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그리고, 용기(50)에 저류된 세정액(51)에 제2 배수관(13)의 제2 배출구(13a)를 침지하고, 제1 배수관(12)의 제1 배출구(12a)를 용기(50)의 바로 윗쪽에 배치한다. 또한, 그 때 바람직하게는, 제2 배출구(13a)를 덮도록 네트 등으로 이루어지는 이물 제거 필터(52)를 부착할 수도 있다. 해당 이물 제거 필터(52)를 부착함으로써, 후술하는 세정 동작시에 전해수 생성 장치(1A)의 내부에 이물이 도입되어 버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술한 상태로 한 후에, 조작부(14)에 설치된 운전 상태 전환 버튼 등을 이용하여 세정 동작의 개시 명령이 입력됨으로써, 전해수 생성 장치(1A)는, 세정 동작을 개시한다. 구체적으로는, 제어부(40)는 원심 펌프(30)의 구동을 개시한다.
원심 펌프(30)가 구동됨으로써, 용기(50)에 저류된 세정액(51)은, 제2 배수관(13)의 제2 배출구(13a)를 통해 전해수 생성 장치(1A)의 배관계에 도입되어, 해당 배관계의 소정 부위를 유동한 후, 제1 배수관(12)의 제1 배출구(12a)를 통해 외부로 도출된다. 그리고, 제1 배수관(12)의 제1 배출구(12a)를 통해 외부로 도출된 세정액은(51) 용기(50)로 복귀되게 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세정액(51)은, 제2 배수관(13)의 제2 배출구(13a)를 통해 배관 라인(L4)에 공급되고, 원심 펌프(30)를 통과한 후에 그 일부가 분류되어 배관 라인(L5)에 도입되며, 남는 일부가 유량 제어 밸브(27B) 및 유로 전환 밸브(26B)를 경유하여 전해조(28)의 제2 전해실에 도입된다.
제2 전해실에 도입된 세정액(51)은, 제2 전해조를 통류시킨 후에 유로 전환 밸브(26A) 및 유량 제어 밸브(27A)를 경유하여 분지관로(24)에 도달한다. 한편, 배관 라인(L5)에 도입된 세정액(51)은, 개방 상태에 있는 역지 밸브(22)를 경유하여 배관 라인(L2)에 유입하고, 유량 센서(23)를 경유하여 분지관로(24)에 도달한다.
제2 전해실을 경유하여 분지관로(24)에 도달한 세정액(51)과, 배관 라인(L2)을 경유하여 분지관로(24)에 도달한 세정액(51)은, 분지관로(24)에 있어서 합류하고, 그 후, 유로 전환 밸브(26A)를 경유하여 전해조(28)의 제1 전해실에 도입된다. 제1 전해실에 도입된 세정액(51)은, 제1 전해조를 통류한 후에 유로 전환 밸브(26A) 및 배관 라인(L3)을 경유하여 제1 배수관(12)에 도달하고, 제1 배출구(12a)로부터 외부로 도출되어 용기(50)로 복귀되게 된다.
또한, 그 상세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하는데, 전해수 생성 장치(1A)가 상술한 제2 접속 상태에 있는 경우라도, 세정액(51)의 흐름은 대강 동일하다.
이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전해수 생성 장치(1A)에 있어서는, 내부에 설치된 배관계의 소정 부위, 제1 배수관(12), 제2 배수관(13) 및 용기(50)에 의해서 세정액(51)이 순환되는 순환 회로가 형성 가능하게 되고, 또한 장치 본체에 내장시킨 원심 펌프(30)를 구동함으로써 세정액(51)이 해당 순환 회로를 순환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해당 순환 회로에는, 통상 운전시에 스케일이 부착되는 부위인 전해조(28) 및 그 하류측에 위치하는 배관계(특히, 전해조(28)와 유로 전환 밸브(26B)를 접속하는 배관, 유로 전환 밸브(26B), 배관 라인(L3), 제1 배수관(12) 등)가 포함되게 된다. 또한, 해당 순환 회로에는, 이것 외에 지수시에 있어서의 배수시에 전해 환원수가 약간이긴 하지만 유동함으로써 스케일이 부착될 가능성이 있는 부위인 전해조(28)의 상류측 및 하류측에 위치하는 배관계(특히, 전해조(28)와 유로 전환 밸브(26A)를 접속하는 배관, 유로 전환 밸브(26A), 유량 센서(23)가 설치된 부위를 포함하는 배관 라인(L2), 바이패스관부인 배관 라인(L5), 원심 펌프(30)가 설치된 부위를 포함하는 배관 라인(L4), 제2 배수관(13) 및 유량 제어 밸브(27A, 27B) 등)가 포함되게 된다.
따라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전해수 생성 장치(1A)에서는, 스케일이 부착될 가능성이 있는 부위 전부에 대하여, 농도 조절이 가능한 세정액(51)을 이용하여 세정을 행할 수 있게 되고, 효과적으로 스케일의 제거를 행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세정 동작을 행하게 하기 위한 세정 조작에 대해서도, 별도 세정용 카트리지를 설치하는 등의 필요가 없고, 세정액을 제조하여 용기에 저류하고, 이것을 소정의 상태가 되도록 설치하여 세정 동작을 행하게 하도록 조작부(14)를 조작할 뿐이기 때문에, 매우 용이하게 행할 수 있게 되고, 또한 경제면에서도 우수한 것이 된다.
따라서, 상술한 바와 같은 전해수 생성 장치(1A)로 함으로써, 스케일이 부착되는 부위의 전체에 있어서 효과적이면서 용이하게 스케일의 제거를 행할 수 있으며, 또한 경제성의 면에서도 우수한 것이 되는 전해수 생성 장치로 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전해수 생성 장치(1A)에서는, 바이패스관부인 배관 라인(L5)을 구비하고 있기 때문에, 해당 바이패스관부를 설치하지 않는 경우에 비하여, 보다 많은 세정액(51)을 단시간에 순환시킬 수 있다. 이것은, 해당 바이패스관부를 설치하지 않은 경우에는, 배관계에 설치되어 있는 유량 제어 밸브(27A, 27B)에 의해서 세정액(51)의 유량이 줄어들게 되어 버릴 수 있지만, 해당 바이패스관부를 설치함으로써 유량 제어 밸브(27A, 27B)를 경유하지 않고서 세정액(51)이 순환하는 순환 회로가 구성되기 때문이다.
도 9a 및 도 9b는, 도 1에 도시하는 전해수 생성 장치의 원심 펌프의 설치 상태를 도시하는 모식도이고, 도 9a는, 세정 동작시의 원심 펌프 근방의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 도 9b는, 세정 동작 개시 전의 원심 펌프 근방의 상태를 도시하는 모식도이다. 다음으로, 이들 도 9a 및 도 9b를 참조하여,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전해수 생성 장치(1A)의 원심 펌프(30)의 설치 상태 및 해당 설치 상태로 함으로써 원활히 세정 동작이 실현되는 이유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9a 및 도 9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원심 펌프(30)는, 모터(30a)와, 모터(30a)에 부착된 케이싱(30b)과, 해당 케이싱의 내부에 배치되며, 또한 모터(30a)의 회전축에 고정된 날개차(30c)와, 해당 날개차(30c)가 수용되는 케이싱(30b)의 내부의 공간인 펌프실(30d)과, 해당 펌프실(30d)에 연통하여 설치된 흡입구(30e1) 및 토출구(30e2)를 갖고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원심 펌프(30)는, 배관 라인(L4)에 설치되어 있고, 그 흡입구(30e1)가 제2 배출구(13a)측에 연통하도록 제2 배출구측 배관부(L4a)에 접속되어 있고, 그 토출구(30e2)가 제1 배출구(12a)측(즉, 전해조(28)측)에 연통하도록 제1 배출구측 배관부(L4b)에 접속되어 있다.
여기서, 도 9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원심 펌프(30)의 동작시에 있어, 세정액(51)을 원심 펌프(30)를 이용해서 양수하여 확실하게 순환시키기 위해서는, 도 9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원심 펌프(30)의 동작 전의 상태에서, 해당 원심 펌프(30)의 펌프실(30d)의 내부가 잔류수에 의해서 실질적으로 채워진 상태로 해 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원심 펌프(30)의 동작 전의 상태에서, 원심 펌프(30)의 날개차(30c)가, 잔류수에 의해서 침지된 상태로 해 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해당 상태가 유지되도록 구성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원심 펌프(30)의 구동시에 있어 날개차(30c)가 공회전해서 양수를 행할 수 없는 일이 생길 수 있다.
그 때문에,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전해수 생성 장치(1A)에서는, 도 2, 도 9a 및 도 9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원심 펌프(30)를 경사 배치하게 하고, 이에 따라 전해수 생성 장치(1A)의 지수시에도 펌프실(30d) 내에 잔류하는 잔류수의 액면(200)보다도 아래쪽으로 날개차(30c)가 위치하게 되도록 구성하고 있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원심 펌프(30)의 동작시에 있어 확실하게 세정액(51)의 양수가 행해지게 된다.
도 10a는, 제1 비교예에 관한 원심 펌프의 설치 상태 및 세정 동작 개시 전의 원심 펌프 근방의 상태를 도시하는 모식도이다. 해당 도 10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원심 펌프(30)의 회전축이 수평 방향을 향하도록 원심 펌프(30)를 설치한 경우에는, 지수시에 있어 원심 펌프(30)의 펌프실(30d) 내에 잔류하는 잔류수의 액면(200)보다도 상측에 날개차(30c)가 위치하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설치 상태로 한 경우에는, 상술한 날개차(30c)의 공회전이 발생하여 양수를 행할 수 없게 되어 버린다.
도 10b는, 제2 비교예에 관한 원심 펌프의 설치 상태 및 세정 동작 개시 전의 원심 펌프 근방의 상태를 도시하는 모식도이다. 해당 도 10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원심 펌프(30)를 경사 배치한 경우에도, 펌프실(30d)의 형상에 따라서는, 지수시에 있어 원심 펌프(30)의 펌프실(30d) 내에 잔류하는 잔류수의 액면(200)보다도 상측에 날개차(30c)가 위치하게 되어 버린다. 따라서, 이 경우에도, 상술한 날개차(30c)의 공회전이 발생하여 양수를 행할 수 없게 되어 버린다.
도 11은, 본 실시 형태에 기초를 둔 변형예에 관한 원심 펌프의 설치 상태 및 세정 동작 개시 전의 원심 펌프 근방의 상태를 도시하는 모식도이다. 상술한 제2 비교예와 같은 펌프실(30d) 형상의 원심 펌프(30)를 사용하는 경우에도, 예를 들면 도시하는 바와 같이 원심 펌프(30)의 회전축이 연직 방향을 향하도록 원심 펌프(30)를 설치함으로써, 지수시에도 펌프실(30d) 내에 잔류하는 잔류수의 액면(200)보다도 아래쪽으로 날개차(30c)가 위치하게 되도록 할 수 있다.
이상으로부터 이해되는 바와 같이, 세정 동작시에 있어 원활하면서 확실하게 세정액(51)을 순환시키기 위해서, 원심 펌프(30)의 설치 상태로서는, 지수시에 원심 펌프(30)의 펌프실(30d)이 잔류수에 의해서 실질적으로 채워진 상태가 유지되도록 고려하여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실시 형태 2)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2에 있어서의 전해수 생성 장치의 배관 구성 및 세정 동작시의 상태를 도시하는 모식도이다. 이하에서는, 이 도 12를 참조하여,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전해수 생성 장치(1B)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전해수 생성 장치(1B)는,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있어서의 전해수 생성 장치(1A)와 비교하여, 원수를 전해조(28)에 도입하기 위한 도입관부에 첨가 카트리지(29)가 설치되어 있는 점만 상위하다.
구체적으로는, 첨가 카트리지(29)는, 정화 처리부(21)의 하류측이면서 분지관로(24)의 상류측 도입관부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예를 들면 유량 센서(23)가 설치된 부분의 배관 라인(L2)의 착탈이 자유롭게 설치되어 있다. 첨가 카트리지(29)는, 락트산 칼슘이나 식염으로 대표되는 전기 분해 촉진제를 원수에 첨가하기 위한 것으로, 전해수 생성 장치(1B)에 대하여 착탈이 자유롭게 부착할 수 있도록 구성됨으로써 그 교환이 가능하게 되고 있다.
이 첨가 카트리지(29)가 착탈이 자유롭게 설치된 구성의 전해수 생성 장치(1B)에 있어서는, 전기 분해가 촉진되는 반면, 원수에 포함되는 양이온을 가진 칼슘이나 마그네슘에 더하여, 첨가 카트리지(29)에 의해서 원수에 첨가된 양이온을 가진 칼슘까지도 스케일이 되어 전해조(28) 및 그 하류측에 위치하는 배관계 등에 부착되게 되어 버린다.
그러나,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전해수 생성 장치(1B)에서는,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있어서의 전해수 생성 장치(1A)의 경우와 같이, 장치 본체에 원심 펌프(30)가 내장되어 있기 때문에, 상술한 세정 조작을 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첨가 카트리지(29)를 구비한 경우에도, 효과적으로 스케일의 제거를 행하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전해수 생성 장치(1B)로 함으로써,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있어서 설명한 효과가, 특히 유효하게 발휘되게 된다.
(실시 형태 3)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3에 있어서의 전해수 생성 장치의 배관 구성 및 세정 동작시의 상태를 도시하는 모식도이다. 이하에서는, 이 도 13을 참조하여,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전해수 생성 장치(1C)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전해수 생성 장치(1C)는,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있어서의 전해수 생성 장치(1A)와 비교하여, 바이패스관부인 배관 라인(L5)을 구비하고 있지 않은 점에서만 상위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바이패스관부를 설치함으로써 보다 많은 세정액(51)을 단시간에 순환시킬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예를 들면 세정 동작시에 있어 유량 제어 밸브(27A, 27B)를 완전 개방하도록 제어부(40)가 유량 제어 밸브(27A, 27B)를 구동 제어하게 구성하면, 상기 바이패스관부를 설치하지 않고도 보다 많은 세정액(51)을 단시간에 순환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전해수 생성 장치(1C)로 함으로써,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있어서 설명한 효과와 마찬가지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실시 형태 4)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4에 있어서의 전해수 생성 장치의 배관 구성 및 세정 동작시의 상태를 도시하는 모식도이다. 이하에서는, 이 도 14를 참조하여,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전해수 생성 장치(1D)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전해수 생성 장치(1D)는,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있어서의 전해수 생성 장치(1A)와 비교하여, 도입관부측 접속 상태 전환 수단인 유로 전환 밸브(26A)를 구비하고 있지 않은 점에서만 상위하다.
이와 같이 구성한 경우에도, 기본적으로는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있어서의 전해수 생성 장치(1A)로 한 경우와 마찬가지의 동작을 실현할 수 있기 때문에,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있어서 설명한 효과와 마찬가지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실시 형태 5)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5에 있어서의 전해수 생성 장치의 배관 구성 및 세정 동작시의 상태를 도시하는 모식도이다. 이하에서는, 이 도 15를 참조하여,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전해수 생성 장치(1E)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전해수 생성 장치(1E)는,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있어서의 전해수 생성 장치(1A)와 비교하여, 도입관부측 접속 상태 전환 수단인 유로 전환 밸브(26A) 및 도출관부측 접속 상태 전환 수단인 유로 전환 밸브(26B)를 구비하고 있지 않은 점에서만 상위하다.
이와 같이 구성한 경우에도, 기본적으로는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있어서의 전해수 생성 장치(1A)로 한 경우와 마찬가지의 동작을 실현할 수 있기 때문에,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서 설명한 효과와 마찬가지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다만, 해당 구성을 채용한 경우에는, 한쌍의 전해 전극(28a, 28b)의 극성의 교체가 행해지지 않게 되므로, 이른바 역전세정은 행할 수 없게 된다.
이상에 있어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 내지 5에 있어서는, 도입관부측유량 조정 수단인 유량 제어 밸브(27A) 및 도출관부측 유량 조정 수단인 유량 제어 밸브(27B)를 모두 장치 본체에 설치되는 배관계에 설치한 경우를 예시하여 설명을 행했지만, 이들 유량 조정 수단은 도입관부측 또는 도출관부측의 한쪽에만 설치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고, 또한 이들 유량 조정 수단을 예를 들면 오리피스 등에 의해서 대체할 수도 있으며, 생성되는 전해 환원수 및 전해 산성수의 양의 비율을 조정할 필요가 없는 경우 등에는, 이들을 설치하지 않아도 좋다.
또한,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 내지 5에 있어서는, 통상 동작시에, 항상 제1 배수관(12)으로부터 전해 환원수가, 항상 제2 배수관(13)으로부터 전해 산성수가 배출되도록 구성한 경우를 예시하여 설명을 행했지만, 오음이나 오사용 등을 기타 사정에 의해 충분히 회피할 수 있는 경우에는, 동작 상태에 따라서 제1 배수관(12) 및 제2 배수관(13)으로부터 쌍방의 전해수가 배출되도록, 이것이 전환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금회 개시한 상기 실시 형태는 모든 점에서 예시이고, 제한적인 것이 아니다.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특허 청구 범위에 의해서 확정되고, 또한 특허 청구 범위의 기재와 균등한 의미 및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을 포함하는 것이다.
1A 내지 1E: 전해수 생성 장치
10: 하우징
11: 취수관
11a: 공급구
12: 제1 배수관
12a: 제1 배출구
13: 제2 배수관
13a: 제2 배출구
14: 조작부
15: 표시부
16: 전원 코드
17: 베이스
20: 안전 밸브
21: 정화 처리부
21a: 정화 카트리지
22: 역지 밸브
23: 유량 센서
24: 분지관로
24a, 24b: 분지관
25: 밸브 유닛
26A, 26B: 유로 전환 밸브
27A, 27B: 유량 제어 밸브
28: 전해조
28a, 28b: 전해 전극
28c: 전해 격막
29: 첨가 카트리지
30: 원심 펌프
30a: 모터
30b: 케이싱
30c: 날개차
30d: 펌프실
30e1: 흡입구
30e2: 토출구
31: 전해 환원수
32: 전해 산성수
40: 제어부
50: 용기
51: 세정액
52: 이물 제거 필터
100: 수도 꼭지
101: 분지 수전
200: 액면
L1 내지 L6: 배관 라인
L4a: 제2 배출구측 배관부
L4b: 제1 배출구측 배관부

Claims (11)

  1. 한쌍의 전해 전극(28a, 28b)을 갖고, 공급된 원수를 전기 분해함으로써 전해 환원수 및 전해 산성수를 생성하는 전해조(28)와,
    외부로부터 원수가 공급되는 공급구(11a)를 갖고, 상기 공급구(11a)를 통해 공급된 원수를 상기 전해조(28)에 도입하는 도입관부와,
    제1 배출구(12a) 및 제2 배출구(13a)를 갖고, 상기 전해조(28)로부터 도출된 전해 환원수 및 전해 산성수를 상기 제1 배출구(12a) 및 상기 제2 배출구(13a)를 통해 각각 외부에 도출하는 도출관부를 구비하고,
    상기 전해조(28)는, 상기 한쌍의 전해 전극(28a, 28b) 중의 한쪽이 배치된 제1 전해실과, 상기 한쌍의 전해 전극(28a, 28b) 중의 다른 쪽이 배치된 제2 전해실과, 상기 제1 전해실 및 상기 제2 전해실을 구획하는 전해 격막(28c)을 포함하고,
    상기 도입관부는, 원수를 분류하여 상기 제1 전해실 및 상기 제2 전해실의 각각에 도입하는 분지관로(24)를 포함하고,
    상기 도출관부는, 상기 제1 전해실 및 상기 제2 전해실 중의 한쪽과 상기 제1 배출구(12a)를 접속하는 제1 배출관로와, 상기 제1 전해실 및 상기 제2 전해실 중의 다른 쪽과 상기 제2 배출구(13a)를 접속하는 제2 배출관로를 포함하고,
    구동됨으로써 액체를 흡입구(30e1)측으로부터 토출구(30e2)측을 향하여 강제적으로 송출하기 위한 펌프(30)가, 상기 제2 배출관로에 설치되고,
    상기 펌프(30)의 상기 흡입구(30e1)가 상기 제2 배출구측에 접속되고,
    상기 펌프(30)의 상기 토출구(30e2)가 상기 전해조(28)측에 접속되고,
    상기 펌프(30)는 상기 흡입구(30e1)측으로부터 상기 토출구(30e2)측을 향하는 방향을 순방향으로 한 경우에, 구동이 정지됨으로써 해당 순방향과는 역방향으로 액체를 통류시키는 것이 가능한 전해수 생성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펌프(30)가 원심 펌프로 이루어진 전해수 생성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전해수 생성 장치의 작동 정지시에 있어, 상기 원심 펌프의 펌프실(30d)이 잔류수에 의해서 채워진 상태가 유지되는, 전해수 생성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펌프(30)가 설치된 부위와 상기 전해조(28)에 접속된 부위 사이에 위치하는 부분의 상기 제2 배출관로와, 상기 도입관부를 접속하는 바이패스관부를 더 구비한 전해수 생성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구(11a)를 통해 원수가 공급되고 있는 상태에서, 상기 바이패스관부를 경유하여 상기 도입관부측으로부터 상기 제2 배출관로측을 향하여 액체가 유동하는 것을 제한하는 역지 밸브(22)를 더 구비한, 전해수 생성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한쌍의 전해 전극(28a, 28b)의 극성을 전환하는 극성전환 수단과,
    상기 분지관로(24)에 포함되는 한쌍의 분지관(24a, 24b)과 상기 제1 전해실 및 상기 제2 전해실 사이의 접속 상태를 전환하는 도입관부측 접속 상태 전환 수단(26A)과,
    상기 제1 배출관로 및 상기 제2 배출관로와 상기 제1 전해실 및 상기 제2 전해실 사이의 접속 상태를 전환하는 도출관부측 접속 상태 전환 수단(26B)과,
    상기 극성 전환 수단, 상기 도입관부측 접속 상태 전환 수단(26A) 및 상기 도출관부측 접속 상태 전환 수단(26B)을 동기적으로 전환 제어하는 전환 제어부(40)를 더 구비한 전해수 생성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한쌍의 분지관(24a, 24b) 중의 한쪽의 분지관(24b)에 도입관부측 유량 조정 수단(27A)이 설치되고,
    상기 제2 배출관로에 도출관부측 유량 조정 수단(27B)이 설치되고,
    상기 전환 제어부(40)는, 상기 한쪽의 분지관(24b)과 상기 제2 배출관로가 상기 제1 전해실 및 상기 제2 전해실 중의 한쪽을 통해 항상 접속된 상태가 유지되도록, 상기 도입관부측 접속 상태 전환 수단(26A) 및 상기 도출관부측 접속 상태 전환 수단(26B)을 제어하는 전해수 생성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펌프(30)가 설치된 부위와 상기 도출관부측 유량 조정 수단(27B)이 설치된 부위 사이에 위치하는 부분의 상기 제2 배출관로와, 상기 도입관부를 접속하는 바이패스관부를 더 구비한 전해수 생성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구(11a)를 통해 원수가 공급되고 있는 상태에서, 상기 바이패스관부를 경유하여 상기 도입관부측으로부터 상기 제2 배출관로측을 향하여 액체가 유동하는 것을 제한하는 역지 밸브를(22) 더 구비한 전해수 생성 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한쌍의 전해 전극(28a, 28b)의 극성을 전환하는 극성 전환 수단과,
    상기 제1 배출관로 및 상기 제2 배출관로와 상기 제1 전해실 및 상기 제2 전해실 사이의 접속 상태를 전환하는 도출관부측 접속 상태 전환 수단(26B)과,
    상기 극성 전환 수단 및 상기 도출관부측 접속 상태 전환 수단(26B)을 동기 적으로 전환 제어하는 전환 제어부(40)를 더 구비한 전해수 생성 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전기 분해 촉진제를 원수에 첨가하기 위한 첨가 카트리지(29)가 상기 도입관부에 착탈이 자유롭게 설치되어 있는 전해수 생성 장치.
KR1020127028969A 2011-04-27 2011-04-27 전해수 생성 장치 KR10166287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11/060237 WO2012147175A1 (ja) 2011-04-27 2011-04-27 電解水生成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42878A KR20130142878A (ko) 2013-12-30
KR101662874B1 true KR101662874B1 (ko) 2016-10-05

Family

ID=470717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7028969A KR101662874B1 (ko) 2011-04-27 2011-04-27 전해수 생성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JP (1) JP5480390B2 (ko)
KR (1) KR101662874B1 (ko)
CN (1) CN102917984B (ko)
TW (1) TWI435952B (ko)
WO (1) WO201214717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663059B2 (ja) * 2013-05-21 2015-02-04 株式会社日本トリム 電解水生成装置
JP5809208B2 (ja) * 2013-07-31 2015-11-10 株式会社日本トリム 電解水生成装置
JP5845293B2 (ja) * 2014-01-22 2016-01-20 株式会社日本トリム 電解水生成装置
JP5639724B1 (ja) * 2014-03-17 2014-12-10 株式会社日本トリム 電解水生成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JP5886894B2 (ja) * 2014-05-09 2016-03-16 株式会社日本トリム 電解水生成装置
JP6118359B2 (ja) * 2015-03-31 2017-04-19 株式会社日本トリム 電解水生成装置
JP2017070920A (ja) * 2015-10-08 2017-04-13 モレックス エルエルシー 電解水の製造装置
JP6825871B2 (ja) * 2016-10-12 2021-02-03 株式会社日本トリム 電解水生成装置
JP6885776B2 (ja) * 2017-04-26 2021-06-16 株式会社日本トリム 電解水生成装置
CN108339811A (zh) * 2018-04-17 2018-07-31 南京深蓝氢谷健康科技有限公司 电解水机柠檬酸自动浸泡清洗除垢装置及清洗除垢方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16161A (ja) 2001-04-23 2002-10-29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バッチ式電解水生成装置
JP3741050B2 (ja) 2002-02-05 2006-02-01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電解水生成装置
JP2011005424A (ja) 2009-06-25 2011-01-13 Hoshizaki Electric Co Ltd 電解水注出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359661B2 (ja) 1992-07-29 2002-12-24 株式会社オーエスジー・コーポレーション 連続式電解整水装置の洗浄・殺菌方法及びこの方法を実施する機構を備えた電解整水装置
JPH06292889A (ja) * 1993-03-24 1994-10-21 Aiken Kogyo Kk アルカリイオン水生成装置
JP2698955B2 (ja) * 1993-04-21 1998-01-19 ホシザキ電機株式会社 電解イオン水生成装置
JPH08206657A (ja) * 1995-02-03 1996-08-13 Akai Electric Co Ltd 連続式電解イオン水生成装置の電解室におけるスケール除去方法及び連続式電解イオン水生成装置
JP3840699B2 (ja) * 1996-08-01 2006-11-01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アルカリイオン整水器
JP3432119B2 (ja) * 1997-09-25 2003-08-04 ホシザキ電機株式会社 電解水生成装置
JP2000185282A (ja) * 1998-12-22 2000-07-04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電解水生成装置
JP3605652B2 (ja) * 2000-05-31 2004-12-22 テクノエクセル株式会社 連続式電解水生成器
JP3574968B2 (ja) 2000-09-19 2004-10-06 テクノエクセル株式会社 連続式電解水生成器
JP4629860B2 (ja) * 2000-11-24 2011-02-09 ホシザキ電機株式会社 電解水生成装置
JP2004081961A (ja) * 2002-08-26 2004-03-18 Hoshizaki Electric Co Ltd 電解水生成装置
JP2006158985A (ja) * 2004-12-02 2006-06-22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電解水生成装置およびそれを備えた流し台
CN100553544C (zh) * 2005-06-14 2009-10-28 庄炳辉 具冲洗功能的饮水机及其冲洗方法
JP4936423B2 (ja) * 2005-09-27 2012-05-23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電解水生成装置及びそれを備えた流し台
JP4697294B2 (ja) * 2008-12-05 2011-06-08 パナソニック電工株式会社 電解水生成装置
JP5166314B2 (ja) * 2009-02-13 2013-03-21 日立マクセル株式会社 整水器
JP5127752B2 (ja) 2009-03-24 2013-01-23 アマノ株式会社 配管洗浄機能を備えた電解水生成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16161A (ja) 2001-04-23 2002-10-29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バッチ式電解水生成装置
JP3741050B2 (ja) 2002-02-05 2006-02-01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電解水生成装置
JP2011005424A (ja) 2009-06-25 2011-01-13 Hoshizaki Electric Co Ltd 電解水注出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42878A (ko) 2013-12-30
CN102917984A (zh) 2013-02-06
TW201300577A (zh) 2013-01-01
JP5480390B2 (ja) 2014-04-23
JPWO2012147175A1 (ja) 2014-07-28
TWI435952B (zh) 2014-05-01
CN102917984B (zh) 2014-09-10
WO2012147175A1 (ja) 2012-11-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62874B1 (ko) 전해수 생성 장치
JP2014014815A (ja) 浄水器
JP3733475B2 (ja) 連続通水式電解水生成装置の洗浄・殺菌方法及びこの方法を実施する機構を備えた電解水生成装置並びにこれに使用される流路切換弁装置
KR101521937B1 (ko) 정수기용 위생키트
JP2013063401A (ja) 水処理装置
JP5234563B2 (ja) イオン水生成装置
CN214880821U (zh) 净水系统
CN114163030B (zh) 净水系统的控制方法和净水系统
KR102462653B1 (ko) 탄산수를 이용한 살균 정수기
KR20130006234A (ko) 정수기용 위생키트
JPH07256256A (ja) 電解イオン水生成装置
JP3839370B2 (ja) 水処理装置
CN216337049U (zh) 净水系统
JP4617165B2 (ja) イオン整水器
KR101897573B1 (ko) 정수기 및 그 세정방법
CN222647808U (zh) 全屋富氢水路系统
JP3733476B2 (ja) 連続式電解水生成装置の洗浄方法及びこの方法を実施する機構を備えた連続式電解水生成装置
CN209411929U (zh) 水处理系统及净水设备
KR100367892B1 (ko) 전해이온수생성장치
KR100459977B1 (ko) 연속식전해수생성장치의세정방법및이방법을실시하는기구를구비한연속식전해수생성장치
JP2000218269A (ja) 電解水生成装置
JP4481056B2 (ja) イオン水生成装置
JP3465611B2 (ja) 殺菌装置及び殺菌装置を備えた浴槽水循環浄化装置
JP6682330B2 (ja) 電解水素水生成器及び電解水素水のpH低下方法
JPH09136081A (ja) 水処理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5 International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21105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50622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6032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60912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60928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60928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22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722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728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713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711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