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424898B1 - 팽창성 코팅을 포함하는 난연성 폴리아미드 캐스트 품목 - Google Patents

팽창성 코팅을 포함하는 난연성 폴리아미드 캐스트 품목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24898B1
KR101424898B1 KR1020127009498A KR20127009498A KR101424898B1 KR 101424898 B1 KR101424898 B1 KR 101424898B1 KR 1020127009498 A KR1020127009498 A KR 1020127009498A KR 20127009498 A KR20127009498 A KR 20127009498A KR 101424898 B1 KR101424898 B1 KR 10142489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ating
flame retardant
article
flame
group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1270094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66656A (ko
Inventor
엘렌 갈루
모데 지메네즈
차라페디네 자마
소피 뒤껭
르네 드로베
사비에 뀌렝
세르쥬 부르비고
Original Assignee
로디아 오퍼레이션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로디아 오퍼레이션스 filed Critical 로디아 오퍼레이션스
Publication of KR201200666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6665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248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24898B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5/00Manufacture of articles or shaped materials contain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5/00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characterised by their physical nature or the effects produced; Filling pastes
    • C09D5/18Fireproof paints including high temperature resistant paints
    • C09D5/185Intumescent pai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7/00Chemical treatment or coating of shaped articles made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7/00Chemical treatment or coating of shaped articles made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7/04Coat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7/00Chemical treatment or coating of shaped articles made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7/04Coating
    • C08J7/0427Coating with only one layer of a composition containing a polymer binder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7/00Chemical treatment or coating of shaped articles made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7/04Coating
    • C08J7/043Improving the adhesiveness of the coatings per se, e.g. forming pri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7/00Chemical treatment or coating of shaped articles made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7/04Coating
    • C08J7/05Forming flame retardant coatings or fire resistant coating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1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characterized by their specific function
    • C08K3/013Fillers, pigments or reinforcing additiv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1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characterized by their specific function
    • C08K3/016Flame-proofing or flame-retarding additiv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32Phosphorus-containing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34Silicon-containing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377/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polyamide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amide link in the main chai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32Phosphorus-containing compounds
    • C08K2003/329Phosphorus containing acid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31504Composite [nonstructural laminate]
    • Y10T428/31511Of epoxy eth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31504Composite [nonstructural laminate]
    • Y10T428/31551Of polyamidoester [polyurethane, polyisocyanate, polycarbamate, etc.]
    • Y10T428/31562Next to polyamide [nylon, etc.]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31504Composite [nonstructural laminate]
    • Y10T428/31725Of polyamid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31504Composite [nonstructural laminate]
    • Y10T428/31725Of polyamide
    • Y10T428/3175Next to addition polymer from unsaturated monom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31504Composite [nonstructural laminate]
    • Y10T428/31725Of polyamide
    • Y10T428/31779Next to cellulosic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 Fireproofing Substances (AREA)
  • Paints Or Removers (AREA)
  • Coating Of Shaped Articles Made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팽창성 코팅을 포함하는 난연성 폴리아미드 캐스트 품목에 관한 것이다. 우수한 난연성을 나타내는 상기 품목은, 폴리아미드 매트릭스 내에 하나 이상의 난연성 시스템을 포함하며, 상기 캐스트 품목의 표면 중 하나 이상에 대해 팽창성 코팅을 갖는다.

Description

팽창성 코팅을 포함하는 난연성 폴리아미드 캐스트 품목 {FIRE-RETARDANT POLYAMIDE CAST ITEM INCLUDING AN INTUMESCENT COATING}
본 발명은 팽창성 코팅을 포함하는 폴리아미드-계 난연성 성형품에 관한 것이다. 우수한 난연성을 나타내는 이들 물품은, 폴리아미드 매트릭스 내에, 하나 이상의 난연성 시스템을 포함하며, 상기 성형품의 표면 중 하나 이상에 대해 팽창성 코팅을 나타낸다.
폴리아미드 수지 기재 조성물은 일반적인 용어 "성형" 에 의해 표현되는 다양한 형성 과정에 의해 물품을 제조하는데 사용된다. 이들 물품은 수많은 기술 분야에서 사용된다. 이들 중, 전기 또는 전자 시스템의 부품 제조는 특정한 특성을 필요로 하는 주요 적용이다. 따라서, 이들 부품은 뛰어난 기계적 특성 뿐 아니라 화학적 저항성 및 전기적 단열 및 특히 화염에 대한 높은 저항성을 나타내어야 한다.
폴리아미드 수지 기재 조성물의 난연성은 매우 오랜 시간 동안 연구되어 왔다. 따라서, 사용된 주요 난연제는 적린 (red phosphorus) 및 할로겐화 화합물, 예컨대 디브로모페놀, 폴리브로모디페닐, 폴리브로모디페닐 옥시드 및 브롬화 폴리스티렌이다. 약 20 년 전으로부터, 새로운 난연제 카테고리, 예컨대 트리아진 카테고리에 속하는 질소 유기 화합물, 예컨대 멜라민 또는 이의 유도체, 예컨대 멜라민 시아누레이트, 및 보다 최근에는 멜라민 포스페이트, 폴리포스페이트 및 피로포스페이트 (단독 또는 유기 및/또는 무기 포스포네이트 또는 포스피네이트와 조합으로) 가 개발되었다.
이러한 난연제의 최종 카테고리의 이점은 관련 화합물이 할로겐 또는 적린을 포함하지 않는다는 사실이다. 이는, 할로겐 또는 적린을 포함하는 난연제가 폴리아미드 조성물의 연소 동안 또는 심지어 상기 조성물의 제조 동안 독성 기체를 생성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특히 섬유, 예컨대 유리 섬유 형태의 보강 충전제를 포함하는 조성물에 대해 만족스러운 난연성을 획득하기에 필요한 일부 멜라민-계 화합물의 양은 매우 높다. 멜라민 화합물의 높은 농도는, 특히 조성물의 생산 동안, 예를 들어 멜라민-포함 화합물 증기의 제조와 같은, 또는 성형품의 제조 동안, 예를 들어 통풍 파이프의 폐색 및 성형틀 내 증착물과 같은, 특정 불이익을 나타낸다.
마찬가지로, 새로운 유기 인-계 난연제 시스템은 고비용을 요하며 양호한 난연성을 획득하기 위해 다량으로 사용될 필요가 있다.
폴리아미드 매트릭스에서의 과다량의 난연제는 기계적 특성에 있어서의 악화를 야기한다.
따라서, 상대적으로 낮거나, 임의의 경우, 양호한 난연성 수용력을 획득하기에 통상 사용된 함량보다 유의하게 낮은 난연제, 특히 유기인 화합물의 함량을 포함하는 난연성 폴리아미드 조성물을 제조할 필요가 있다.
발명
본 출원인은 완전히 예측불가능하게, 폴리아미드 물품의 팽창성 코팅을 실행함으로써, 소량의 난연제를 사용하면서도 우수한 난연성을 나타내는 폴리아미드 물품을 제조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팽창성 코팅을 포함하며 난연성 시스템에 의해 난연제가 되는 폴리아미드 기재의 물품에 관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주제는, 하나 이상의 난연성 시스템을 포함하는 폴리아미드 조성물을 형성시켜 수득한 난연성 물품이며, 상기 물품은 이의 표면 일부 이상에 대해 팽창성 코팅을 포함한다.
팽창성 코팅은 본 발명의 의미 내에서, 물질의 코팅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되며, 이의 독특한 특징은 특정 온도를 초과하는 열의 존재 하의 상기 코팅의 확장에 있다. 상기 물질은 따라서, 그 중에서도 연소의 전파를 지연시키는 특징을 나타낸다.
표면은, 본 발명에 따른 폴리아미드 물품의 표면층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된다. 표면은 일반적으로 경계 또는 한계에 의해 정의되는 부위이다. 표면은 물품 및 이의 복잡성에 따라 특히 평평하고, 오목하고/하거나 볼록할 수 있다.
폴리아미드
본 발명에 따른 물품은 폴리아미드-계 조성물, 즉 하나 이상의 폴리아미드를 포함하는 조성물을 형성시켜 수득된다.
폴리아미드는, 선형 디카르복실산과 선형 또는 시클릭 디아민과의 중축합에 의해 수득된 폴리아미드, 예컨대 PA 6.6, PA 6.10, PA 6.12, PA 12.12, PA 4.6 또는 MXD 6, 또는 방향족 디카르복실산과 선형 또는 방향족 디아민 사이의 중축합에 의해 수득된 폴리아미드, 예컨대 폴리테레프탈아미드, 폴리이소프탈아미드 또는 폴리아라미드, 및 아미노산의 스스로에 대한 중축합에 의해 수득된 폴리아미드 (이는 락탐 고리의 가수분해 개방에 의해 생성되는 아미노산에 대해 가능함), 예를 들어 PA 6, PA 7, PA 11 또는 PA 12 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된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또한 특히 상기 폴리아미드, 또는 이들 폴리아미드 또는 코폴리아미드의 배합물로부터 유래한 코폴리아미드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한 폴리아미드는 폴리(헥사메틸렌 아디파미드), 폴리카프로락탐, 또는 폴리(헥사메틸렌 아디파미드) 및 폴리카프로락탐 사이의 공중합체 및 배합물이다.
낮은 점도를 갖는 폴리아미드를 또한 사용할 수 있으나, 사출 성형 방법에 적합한 분자량을 갖는 폴리아미드가 일반적으로 사용된다. 특히 압출 또는 압출/취입 성형 유형의 변형 방법에 관해서, 높은 분자량을 갖는 폴리아미드를 또한 사용할 수 있다.
폴리아미드 매트릭스는 특히 별형 또는 H 거대분자 사슬, 적절하다면 선형 거대분자 사슬을 포함하는 중합체일 수 있다. 이러한 별형 또는 H 거대분자 사슬을 포함하는 중합체는 예를 들어 문헌 FR 2 743 077, FR 2 779 730, US 5 959 069, EP 0 632 703, EP 0 682 057 및 EP 0 832 149 에 기재되어 있다.
본 발명의 또다른 특이적인 대안적 형태에 따르면, 본 발명의 폴리아미드 매트릭스는 랜덤 트리 (random tree) 형의 중합체, 바람직하게는 랜덤 트리 구조를 나타내는 코폴리아미드일 수 있다. 랜덤 트리 구조를 갖는 이들 코폴리아미드 및 이의 제조 방법은 특히 문헌 WO 99/03909 에 기재되어 있다. 본 발명의 매트릭스는 또한 상기 기재된 바와 같은 선형 열가소성 중합체 및 별형, H 및/또는 트리형 열가소성 중합체를 포함하는 조성물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매트릭스는 또한 문헌 WO 00/68298 에 기재된 것들의 유형의 고차가지형 (hyperbranched) 코폴리아미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또한 상기 기재된 바와 같은 선형, 별형, H 및 트리형 열가소성 중합체 및 고차가지형 코폴리아미드의 임의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조성물의 총 중량에 대해 20 내지 99 중량%,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80 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50 내지 70 중량% 의 폴리아미드를 포함할 수 있다.
조성물의 매트릭스는 또한, 폴리아미드에 추가로, 하나 이상의 다른 중합체, 특히 열가소성 중합체를 포함할 수 있다.
조성물은 또한 유리 섬유, 무기 충전제, 예컨대 카올린, 탈크 또는 규회석 및 박리성 충전제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특히 선택되는 보강 충전제를 포함할 수 있다. 보강 충전제의 중량에 의한 농도는 유리하게는 조성물의 총 중량에 대해 1 내지 50 중량%, 바람직하게는 15 내지 50 중량% 이다. 유리 섬유 및 무기 충전제, 예컨대 규회석의 혼합물이 특히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또한 성형품의 제조에 사용된 폴리아미드-계 조성물에 통상 사용된 임의의 첨가제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첨가제의 예로서, 열 안정화제, U.V. 안정화제, 산화방지제, 윤활제, 안료, 염료, 가소제 또는 충격 강도 개질제가 언급될 수 있다. 예로서, 산화방지제 및 열 안정화제는, 예를 들어 알칼리 금속 할라이드, 구리 할라이드, 입체 장애 페놀 화합물 또는 방향족 아민이다. U.V. 안정화제는 일반적으로 벤조트리아졸, 벤조페논 또는 HALS 이다.
충격 강도 개질제의 유형에 대한 제한은 없다. 이는 일반적으로 이러한 목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엘라스토머성 중합체이다. 적합한 엘라스토머의 예는 임의로는 그래프트된 말레산 무수물을 갖는 에틸렌/아크릴 에스테르/말레산 무수물 중합체, 에틸렌/프로필렌/말레산 무수물 중합체 또는 EPDM (에틸렌/프로필렌/디엔 단량체) 중합체이다. 엘라스토머의 중량에 의한 농도는 유리하게는 조성물의 총 중량에 대해 0.1 내지 15% 이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다양한 구성물을, 일반적으로는 단축 또는 이축 압출기에서, 폴리아미드 수지를 용융 매질로서 유지시키기에 충분한 온도에서 혼합함으로써 수득된다. 일반적으로, 수득된 혼합물은 과립이 형성되도록 단편으로 절단되는 막대 형태로 압출된다. 난연제는, 함께 또는 별도로, 고온 조건 또는 저온 조건 하에 혼합함으로써 폴리아미드에 추가될 수 있다.
화합물 및 첨가제의 추가는, 이들 화합물을 순수 형태 또는 폴리아미드 수지와 같은 수지 중 농축 혼합물의 형태로 용융된 폴리아미드에 추가함으로써 실행될 수 있다.
수득된 과립은 물품의 제조를 위한 공급 방법, 예컨대 사출, 사출 성형, 압출 및 압출/취입 성형 방법에 대한 출발 물질로서 사용된다.
본 발명에 따른 물품은 특히 압출품 또는 사출품일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조성물은 전기 또는 전자 연결부 분야, 예컨대 회로 차단기, 스위치, 커넥터 등에 사용되는 물품의 제조에 특히 적합하다.
PA 매트릭스에서의 난연제 :
본 발명에 따른 난연성 시스템은 임의 유형의 난연제, 즉 당업자에게 널리 알려져 있는, 화염 전파를 감소시킬 수 있고/있거나 난연성을 갖는 화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난연제는 일반적으로 난연성 조성물에 사용되며 특히, 예를 들어 본원에 참조로 인용되는 특허 US 6 344 158, US 6 365 071, US 6 211 402 및 US 6 255 371 에 기재되어 있다.
유리하게는, 난연성 시스템은 하기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난연제를 포함한다:
* 인-포함 난연제, 예컨대:
- 포스핀 옥시드, 예를 들어 트리페닐포스핀 옥시드, 트리(3-히드록시프로필)포스핀 옥시드 및 트리(3-히드록시-2-메틸프로필)포스핀 옥시드,
- 포스폰산 및 이의 염 및 포스핀산 및 이의 염, 예를 들어 포스핀산의 아연, 마그네슘, 칼슘, 알루미늄 또는 망간 염, 특히 디에틸포스핀산의 알루미늄 염 또는 디메틸 포스핀산의 아연 염,
- 시클릭 포스포네이트, 예컨대 시클릭 디포스포네이트 에스테르, 예를 들어 Antiblaze 1045,
- 유기 포스페이트, 예컨대 트리페닐 포스페이트,
- 무기 포스페이트, 예컨대 암모늄 폴리포스페이트 및 나트륨 폴리포스페이트,
- 적린, 예를 들어 안정화 형태 또는 코팅 형태, 분말 또는 마스터배치 (masterbatch) 형태,
* 질소 유기 화합물 유형의 난연제, 예를 들어, 트리아진, 시아누르산 및/또는 이소시아누르산, 멜라민 또는 이의 유도체, 예컨대 멜라민 시아누레이트, 옥살레이트, 프탈레이트, 보레이트, 술페이트, 포스페이트, 폴리포스페이트 및/또는 피로포스페이트, 멜라민으로부터의 응축 산물, 예컨대 멜렘, 멜람 및 멜론, 트리(히드록시에틸) 이소시아누레이트, 벤조구아나민, 구아니딘, 알란토인 및 글리콜루릴,
* 할로겐화 유도체를 포함하는 난연제, 예컨대:
- 브롬 유도체, 예를 들어, PBDPO (폴리브로모디페닐 옥시드), BrPS (폴리브로모스티렌 및 브롬화 폴리스티렌), 폴리(펜타브로모벤질 아크릴레이트), 브롬화 인단, 테트라데카브로모디페녹시벤젠 (Saytex 120), 1,2-비스(펜타브로모페닐)에탄 또는 Saytex 8010 (Albemarle 사제), 테트라브로모비스페놀 A 및 브롬화 에폭시 올리고머. 특히, 브롬화 유도체 중, 폴리디브로모스티렌, 예컨대 PDBS-80 (Chemtura 사제), 브롬화 폴리스티렌, 예컨대 Saytex HP 3010 (Albemarle 사제) 또는 FR-803P (Dead Sea Bromine Group 사제), 데카브로모디페닐 에테르 (DBPE) 또는 FR-1210 (Dead Sea Bromine Group 사제), 옥타브로모디페닐 에테르 (OBPE), 2,4,6-트리스(2,4,6-트리브로모페녹시)-1,3,5-트리아진 또는 FR-245 (Dead Sea Bromine Group 사제), 폴리(펜타브로모벤질 아크릴레이트) 또는 FR-1025 (Dead Sea Bromine Group 사제), 및 테트라브로모비스페놀 A 의 에폭시 말단을 포함하는 올리고머 또는 중합체, 예컨대 F-2300 및 F2400 (Dead Sea Bromine Group 사제) 이 언급될 수 있음,
- 염화 화합물, 예를 들어 염화 지환족 화합물, 예컨대 Dechlorane Plus
Figure 112012029356237-pct00001
(OxyChem 사제, CAS 13560-89-9 참조).
이들 화합물은 단독으로 또는 조합으로, 종종 상승작용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특히, 인-포함 화합물, 예컨대 포스핀 옥시드, 포스폰산 또는 이의 염 또는 포스핀산 또는 이의 염, 및 시클릭 포스포네이트와 질소 유도체, 예컨대 멜람, 멜렘, 멜라민 포스페이트, 멜라민 폴리포스페이트, 멜라민 피로포스페이트 또는 암모늄 폴리포스페이트와의 상승작용적 조합이 바람직하다.
조성물은 조성물의 총 중량에 대해 5 내지 40 중량% 의 난연제를 포함할 수 있다.
팽창성 코팅
팽창성 코팅은 그의 독특한 특징이 열에 대한 이의 변형인 산물이다. 저온 조건 하에서, 필름의 두께는 일반적으로 0.1 내지 4 mm 로 가변적이다. 온도가 180℃ 내지 300℃ 로 되면, 산물은 부풀어오르며, 일반적으로 두께가 30 내지 40 mm 에 다르는 발포 (foam) 로 변형된다. 이러한 코팅은 해당 분야에서 사용되는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특히 총 (gun) 또는 브러시를 통해 사용되나, 보호가 균질하게 되도록 하기 위해서 이의 적용 단계에서 큰 정확도를 필요로 한다. 매력적인 외양의 보존은, 1 시간, 실제로 심지어는 일부 용액에 대해서 1 시간 30 분 내지 2 시간의 보호 시간을 달성할 수 있는 이러한 유형의 보호의 주요한 이점이다. 팽창성 코팅은 또한 유리한 지속성을 나타내며, 내부적 또는 외부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다양한 이점 및 규제에 있어서의 변화로 인해, 팽창성 코팅은 주요한 발전을 거친다.
본 발명에 또한 적합한, 금속 구조에 대해 시판되는 사실상 모든 팽창성 코팅은 하기 4 가지의 주요 성분으로 이루어진다:
- 산 공급원: 온도 상승시 산을 방출할 수 있는 화합물, 예를 들어 인산. 암모늄 폴리포스페이트 (APP) 또는 멜라민 포스페이트가 일반적으로 사용됨,
- 탄소 공급원: 산과 반응할 수 있는 히드록실기를 포함하는 유기 화합물, 예를 들어 히드록실기, 통상 펜타에리트리톨,
- 취입제: 열의 작용 하에, 인/탄소 구조의 확장을 야기하는 인화성 기체 다량을 방출하는 화합물, 예를 들어 멜라민, 및
- 마지막으로, 결합제: 용매와의 조합, 또는 비조합으로의, 첨가제 또는 안료 입자를 포획하며 건조 후 고체 필름을 형성하는 물질, 일반적으로 액체 물질. 상기 물질은 특히 예를 들어 아크릴 또는 에폭시 수지일 수 있음. 결합제는 분석 가능한 코팅의 기초 요소임.
팽창성 코팅은 하기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될 수 있다: 수성 코팅, 글리세로 코팅, 셀룰로오스 코팅, 비닐 코팅, 아크릴 코팅, 폴리우레탄 코팅 및 에폭시 코팅.
본 발명에 따라 사용된 코팅은 바람직하게는 페인트 또는 바니시; 예를 들어, 중합체 매트릭스와 양호한 점착성을 갖는 연질, 수성-기재, 매트형, 투명형, 팽창성 바니시이다.
일반적으로, 팽창의 진전을 야기하는 메카니즘이 하기와 같다는 것이 허용된다. 제 1 단계에서, 산 공급원은 온도 증가의 작용 하에 분해되어, 예를 들어 탄소 공급원 작용제와 반응하여 포스페이트 에스테르 및 물을 형성하는 인산을 방출한다. 이러한 에스테르는 이후 분해되고 인/탄소 구조의 형성을 야기하는데, 이를 일반적으로 차 (char) 로 지칭한다. 이들 반응이 100℃ 초과의 온도에서 발생하기 때문에, 방출된 물은 스팀으로 즉시 변형된다. 상기 스팀, 및 취입제의 분해로부터의 기체는 인/탄소 구조를 발포로 변형시킨다. 결합제는 분해 기체를 포획하는 데 있어서 도움을 줄 것이며, 발포가 구성되는 셀의 크기 및 확장 정도, 및 이에 따른 팽창성 구조의 내화성 성능에 대해 유의한 영향을 가질 것이다.
물품으로 처리될 표면과 팽창성 코팅 사이의 점착은 고려할 중요한 점이다. 일반적으로, 기계적 점착 모델은 순수 기계적 고정 외의 현상을 모두 포함하는 특이적 점착 모델과 구별된다. 이 중 확산 이론, 및 열기계적 흡착 이론, 또는 습윤화 이론이 선별된다. 또한, 전기 또는 화학적 점착 모델이 존재한다.
기계적 점착은 기질의 기공 및 범프에서의 기계적 고정으로 인한 것이다. 확산에 의한 점착은 표면의 분자의 상호확산으로 인한 것인데, 이는 두꺼운 간기 (interphase) 또는 계면 (interface) 으로서 알려져 있는 전이 부위의 생성에 의해 반영된다. 상호확산에 의한 점착은 다음의 2 가지 기초적 기준을 근거로 한다: 열역학적 기준: 거대분자는 상호간에 가용성 또는 혼화성이어야 함, 및 운동학적 기준: 거대분자는 충분한 이동성을 나타내어야 하므로, 온도가 중요함. 이들 2 가지 조건이 조합되는 경우, 거대분자 사슬의 상호침투가 발생한다. 한편, 파열을 야기하기에 필요한 힘은 계면을 가로질러 통과하는 사슬의 수에 비례하며, 다른 한편, 거대분자의 침투의 평균 깊이에 비례한다. 이러한 이론은 예를 들어 혼화성 중합체의 점착의 경우에 명확히 확증된다.
습윤화의 이론은 Sharpe 와 Schonhorn 에 의해 도입되었다. 상기 이론에 따르면, 점착은 계면에 존재하는 반 데르 발스 유형의 분자간 힘에 의한 것이다. 이들 분자간 결합은 약하며 방향성이 없다. 이는 대략 분자간 거리의 작용 분야를 갖는다. 이러한 이유로, 이를 확립되게 하기 위해서는, 두 표면 사이에 밀접한 접촉을 야기하는 것이 필요하다. 일반적으로, 양호한 점착에 대한 기준은 본질적으로 습윤성 기준이다.
물품으로 처리될 표면과 팽창성 코팅 사이의 점착을 증가시키기 위해서, 예를 들어 플라스마 처리 또는 화염 처리에 의해 표면을 미리 처리할 수 있다. 기질은 특히 화염 처리에 의해 미리 처리되어, 페인트 또는 바니시 유형의 팽창성 코팅의 중합체에 대한 점착의 품질을 증가시킬 수 있다. 화염 처리는 처리될 표면을 열 산화에 노출시키는 것으로 이루어지며; 산화 화염이 탄화수소의 연소 동안 생성된다. 화염 처리에 대한 최적화 매개변수는, 예를 들어 다음과 같다: 화염과 표면 사이의 거리 8.8 cm, 화염 처리 장치 속도 200 m/s, 화염 앞 샘플 3 회 통과 및 연소 기체로서 메탄 사용.
특히, 팽창성 코팅으로서 하기 제품이 언급될 수 있다:
- Flame Seal Products 사제 FX-100
Figure 112012029356237-pct00002
;
- Nullifire (예를 들어, S607 - 페인트);
- Unitherm 19010 - 바니시;
- A650P - Comus 바니시;
- Char 17 - Iris Vernici s.r.l., Italy 사제 바니시;
- Firetherm Intumescent and Insulation Supplies Ltd., Kent, United Kingdom 사제 Firesteel;
- Altex Coatings Ltd., Bay of Plenty, New Zealand 사제 Firetex;
- AD Fire Protection Systems Ltd., Ontario, Canada 사제 A/D Firefilm
Figure 112012029356237-pct00003
;
- Nippon Paint Company, Osaka, Japan 사제 Taikalitt;
- Eagle Specialized Coatings and Protected Environments, Division of DW Pearce Enterprises Ltd., British Columbia, Canada 사제 Safecoat 제품.
팽창성 코팅은 본 발명에 따른 물품의 표면의 일부 이상에 대해 적용된다. 상기 코팅은 특히, 강한 열, 특히 화염과 접촉되기 쉬운 표면의 일부에 적용될 것이다.
본 발명의 폴리아미드 조성물 중 벌크로 사용될 수 있는 것들과 같은 난연제를 포함하지 않는 팽창성 코팅을 사용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또한, 표면과 코팅 사이의 점착성을 증가시키기 위해 표면 처리 단계를 임의로 실행한 후 물품의 표면 일부 이상에 대해 팽창성 코팅을 적용하는 난연성 물품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규칙 이해가 촉진되도록 명세서에서 구체적인 용어를 사용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본 발명의 범주에 대한 제한이 없음이 이러한 구체적인 용어 사용에 의해 구상된다는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 변형 및 향상은 특히, 자신의 일반적인 지식을 기준으로 하여 관련 기술 분야에 친숙한 당업자에 의해 구상될 수 있다.
용어 "및/또는" 은 "및", "또는" 의 의미 및 상기 용어와 관련된 요소의 모든 다른 가능한 조합을 포함한다.
발명의 다른 세부사항 또는 이점은 표시로서 하기에 단독으로 주어진 실시예를 고려하여 보다 분명히 명백해질 것이다.
실험 부분
사용 물질
순수 폴리아미드 6,6, 2% 의 개재 실리케이트 나노충전제 (Sud-Chemie 사제 Nanofil SE3010) 로 충진된 폴리아미드 6,6, 30% 의 유리 섬유 (Vetrotex 983) 로 충진된 폴리아미드 6,6, 및 30% 의 유리 섬유 및 2% 의 나노충전제로 충진된 폴리아미드 6,6 에 대해 시험을 실행하였다.
난연제를 일부 제형에 추가하였다:
- FR1: 알루미늄 포스피네이트 (Clariant 사제 OP 1230)
- FR2: 1,2-비스(펜타브로모페닐)에탄 (Albemarle 사제 Saytex 8010)
3 가지 유형의 코팅을 사용하였다: 팽창성 페인트, Nullifire S607HB (Nullifire), 및 2 가지 팽창성 바니시, A650P (SEPV-Comus) 및 Pyroplast HW (Rustifrance).
코팅 증착에 대한 과정
증착 과정은 두 단계로 발생한다: 전처리 및 증착 단계. 기질은 뒤따르는 단계 동안 중합체에 대한 팽창성 코팅의 점착 품질을 증강시키기 위해서 대략 1000℃ 의 온도에서 화염 처리에 의해 미리 처리된다. 화염 처리는 처리될 표면을 열 산화에 노출시키는 것으로 이루어지며; 산화 화염이 탄화수소의 연소 동안 생성된다. 선행 연구 동안 최적화된 화염 처리 매개변수는 다음과 같다: 화염과 표면 사이의 거리 8.8 cm, 화염 처리 장치 속도 200 m/s, 화염 앞 샘플 3 회 통과 및 연소 기체로서 메탄의 사용.
팽창성 코팅의 적용을 브러시를 사용하여 실행하거나, 분무에 의해 실행할 수 있다.
스크래치 테스트는 화염 처리가 중합체에 대한 코팅의 점착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이는 Elcometer
Figure 112012029356237-pct00004
107 절단기를 사용하는 크로스 해치 시험 (cross hatch test) 에서 관찰되었다. 점착성을 정성 평가하는 상기 시험은, 1 ㎟ 의 크기를 갖는 절단기의 톱니 수에 따라, 25 또는 100 스퀘어의 크로스 해치 패턴이 그려지도록, 1 mm 에 의해 구분되는 6 또는 7 개 톱니를 갖는 절단기를 사용하여 기질의 표면을 스크래칭하는 것으로 이루어진다. 점착제의 표준화 단편을 이후 이에 적용하였는데, 점착제 단편을 90 ± 30 초 후에 제거한다. 점착제 제거 후 크로스 해치 표면의 검사는, 떼어낼 수 있는 코팅량의 함수로서 기질의 점착 특성을 분류할 수 있게 한다. 표준 ASTM D 3359-02 "Standard Test Methods for Measuring Adhesion by Tape Test" 를 관찰하면서 상기 시험을 실행하였다.
난연성 측정
백분율로 표시하는 LOI (한계 산소 지수 (Limiting Oxygen Index)), 및 UL94 시험을 통상적으로 실행하였다.
글로우 와이어 시험 (glow wire test) 장치는, GWFI (글로우 와이어 가연성 지수 (Glow Wire Flammability Index)) 를 측정할 수 있게 한다. GWFI 는 열 충격을 시뮬레이션하고 점화 위험성 및 하나의 및 동일한 물질에 의해 생성된 화염의 자가 구분 능력을 평가하는 것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방법은 주어진 온도 (550, 650, 750, 850, 960℃) 에서 30 초 동안 가열 및/또는 글로우 와이어 말단을 0.8 내지 1.2 N 의 주어진 힘으로 60 mm x 60 mm 시험 표본에 적용하고, 와이어 제거 후 화염의 진화 시간을 측정하는 것으로 이루어진다.
글로우 와이어 제거 후 30 초 미만에서 3 개 연속 시험 표본이 자가-진화되는 온도에 의해 생성물을 분석하였다.
시험 동안, 하기를 기록해야만 한다:
- 글로우 와이어의 말단 적용의 시작부터, 시험 표본 또는 특정 기층이 화염을 잡는 순간까지의 시간 (ti).
- 글로우 와이어의 말단 적용의 시작부터, 적용 기간 동안 또는 적용 기간 후 화염이 진화되는 순간까지의 시간 (te).
- 대략 1 초 동안 높은 화염을 만들어낼 수 있는, 그러나 화염 발생 시작을 고려하지 않은, 임의 화염의 최대 높이.
- 점화된 큰 부분이 글로우 와이어와 함께 떨어져 나감으로 인한, 시험 표본이 시험을 통과하는지의 여부.
- 표본 밑에 위치한 기층에서의 화염의 임의 발생 (새로운 시험이 낮은 온도에서 3 개의 새로운 시험 표본에 대해 실행될 필요가 있음).
글로우 와이어의 적용 동안 시험 표본이 관찰되어야 한다. 점화 시간 (ti), 즉 와이어 말단의 적용 시작과 시험 표본이 화염 내로 터지는 시간 사이의 시간을 기록해야만 한다.
원뿔형 열량계는, 그 중에서도 샘플의 연소에 의해 발산된 열의 양, 인화성, 중량 손실, 연기의 불투명함 및 시험 동안 발산된 CO/CO2 수준에 있어서의 변화를 평가할 수 있게 하는 장치이다. 샘플을 수평으로 위치시키고, 제어 수준의 발광을 거치게 한다. 상기 시험을, 추출기의 존재 하에 개방된 환경에서 실행한다. 샘플을, 화염을 방해하지 않도록, 주변 공기에서, 원뿔대에 의해 방사된 열류 (0 내지 100 kW/㎡ 의 열류) 를 거치게 한다. 열 방출 속도를 산소 소비 열량계의 규칙에 따라 평가한다. 이러한 시스템에 연결된 다양한 분석기는, 중량 손실, 연기의 불투명함 (흡광 계수 k) 및 연소 동안의 CO 및 CO2 함량 (적외선 분석기) 을 평가할 수 있게 한다. 점화 시간을 상기 시험에 의해 측정한다.
결과
시험 결과를 하기 표에 나타낸다:
LOI
0.8
mm
LOI
1.6
mm
UL94
0.8
mm
UL94
1.6
mm
GWFI
0.8
mm
GWFI
1.0
mm
C1 : 순수 20-21 20-21 NC NC 650 650
C2 : GF 20-21 21-22 NC NC 650 650
C3 : 나노 21-22 21-22 NC NC 650 650
C4 : GF 나노 21-22 22-23 NC NC 650 650
C5 : GF + 23% FR1 41-42 43-44 V0 V0 960 960
C6 : GF + 18% FR1 37-38 39-40 V1 V1 960 960
C7 : GF + 15% FR1 36-37 37-38 V1 V1 960 960
C8 : GF + 12% FR1 33-34 35-36 V1 V1 960 960
C9 : GF + 10% FR1 33-34 34-35 V1 V1 960 960
C10 : GF + 8% FR1 29-30 32-33 V1 V1 960 960
C11 : GF + 5% FR1 26-27 27-28 NC NC 850 850
C12 : A650P 24-25 24-25 NC NC 650 650
C13 : GF + A650P 27-28 26-27 NC NC 750 750
C14 : 나노 + A650P 24-25 25-26 NC NC 650 650
C15 : GF 나노 + A650P 28-29 28-29 NC NC 750 850
C16 : Nullifire - 30-31 NC NC 650 650
C17 : GF + Nullifire - 40-41 NC NC 650 650
C18 : 나노 + Nullifire - 40-41 NC NC 650 650
C19 : GF 나노 + Nullifire - 42-43 NC NC 750 850
C20 : 24% FR2 - - V2 V2 - -
LOI
0.8
mm
LOI
1.6
mm
UL94
0.8
mm
UL94
1.6
mm
GWFI
0.8
mm
GWFI
1.0
mm
1.  GF + 18% FR1 + A650P 40-41 42-43 V0 V0 960 960
2.  GF + 12% FR1 + A650P 36-37 37-38 V0 V0 960 960
3.  GF + 8% FR1 + A650P 33-34 33-34 V0 V0 960 960
4.  GF + 5% FR1 + Pyroplast HW 63-64 65-66 V0 V0 960 960
5. 24% FR2 + Pyroplast HW 64-65 69-60 V0 V0 - -
원뿔형 열량계
점화 시간
(50  kW /㎡ 의 발광을 갖는 패널로의 강제 점화 없음)
C1 : 순수 80
C2 : GF 54
C3 : 나노 53
C4 : GF 나노 51
C5 : GF + 23% FR1 69
C6 : GF + 18% FR1 69
C8 : GF + 12% FR1 63
C10 : GF + 8% FR1 60
2.  GF + 12% FR1 + A650P 123
3.  GF + 8% FR1 + A650P 123
4.  GF + 5% FR1 + Pyroplast HW 219
6.  GF + 23% FR1 + Pyroplast HW 318
따라서, 표면의 일부 이상에 대한 팽창성 코팅을 포함하는 본 발명의 난연성 물품이, 통상적으로 사용된 난연성 폴리아미드 조성물에 비해 매우 양호한 난연성을 나타낸다는 것이 관찰된다.

Claims (12)

  1. 하나 이상의 난연성 시스템을 포함하는 폴리아미드 조성물을 형성시켜 수득되는 난연성 물품으로서, 이의 표면 일부 이상에 대해 팽창성 코팅을 포함하며, 폴리아미드 조성물의 난연성 시스템이 포스핀 옥시드, 포스폰산 및 이의 염, 포스핀산 및 이의 염, 시클릭 포스포네이트, 유기 포스페이트, 무기 포스페이트 및 적린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인-포함 난연제를 포함하는 물품.
  2. 제 1 항에 있어서, 조성물이 보강 충전제를 추가적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품.
  3. 삭제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폴리아미드 조성물의 난연성 시스템이 트리아진, 시아누르산 및 이소시아누르산, 멜라민 및 이의 유도체, 멜라민 옥살레이트, 프탈레이트, 보레이트, 술페이트, 포스페이트, 폴리포스페이트 및 피로포스페이트, 멜라민으로부터의 응축 산물, 트리스(히드록시에틸) 이소시아누레이트, 벤조구아나민, 구아니딘, 알란토인 및 글리콜루릴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질소 유기 화합물 유형의 하나 이상의 난연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품.
  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폴리아미드 조성물의 난연성 시스템이 PBDPO (폴리브로모디페닐 옥시드), BrPS (폴리브로모스티렌 및 브롬화 폴리스티렌), 폴리(펜타브로모벤질 아크릴레이트), 브롬화 인단, 테트라데카브로모디페녹시벤젠, 1,2-비스(펜타브로모페닐)에탄, 테트라브로모비스페놀 A 및 브롬화 에폭시 올리고머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브롬화 유도체를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난연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품.
  6.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조성물이 조성물의 총 중량에 대해 5 내지 40 중량% 의 난연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품.
  7.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팽창성 코팅이 산 공급원, 탄소 공급원, 취입제 및 결합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품.
  8.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팽창성 코팅이 수성 코팅, 글리세로 코팅, 셀룰로오스 코팅, 비닐 코팅, 아크릴 코팅, 폴리우레탄 코팅 및 에폭시 코팅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품.
  9.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팽창성 코팅이 페인트 또는 바니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품.
  10.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압출품 또는 사출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품.
  11. 표면과 코팅 사이의 점착성을 증가시키기 위해 표면 처리 단계를 임의로 실행한 후 팽창성 코팅을 물품의 표면 일부 이상에 대해 적용하는,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따른 물품의 제조 방법.
  12. 제 11 항에 있어서, 표면과 코팅 사이의 점착성 증가가 플라스마 처리 또는 화염 처리에 의해 유도되는 방법.
KR1020127009498A 2009-10-16 2010-10-15 팽창성 코팅을 포함하는 난연성 폴리아미드 캐스트 품목 Expired - Fee Related KR10142489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R0957259 2009-10-16
FR0957259A FR2951452B1 (fr) 2009-10-16 2009-10-16 Article moule ignifuge a base de polyamide comprenant un revetement intumescent
PCT/EP2010/065553 WO2011045426A1 (fr) 2009-10-16 2010-10-15 Article moule ignifuge a base de polyamide comprenant un revetement intumescent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66656A KR20120066656A (ko) 2012-06-22
KR101424898B1 true KR101424898B1 (ko) 2014-07-31

Family

ID=421264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7009498A Expired - Fee Related KR101424898B1 (ko) 2009-10-16 2010-10-15 팽창성 코팅을 포함하는 난연성 폴리아미드 캐스트 품목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20120276391A1 (ko)
EP (2) EP3112403A1 (ko)
KR (1) KR101424898B1 (ko)
CN (2) CN105295084A (ko)
BR (1) BR112012008800B1 (ko)
FR (1) FR2951452B1 (ko)
WO (1) WO201104542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492142A (en) * 2011-06-23 2012-12-26 Michael James Drane Method of protecting fire unstable material from heat and flame damage
DE102012100628A1 (de) * 2012-01-25 2013-07-25 Ebm-Papst Mulfingen Gmbh & Co. Kg Schaufelrad mit Intumeszenz-Beschichtung
EP2671907A1 (de) * 2012-06-06 2013-12-11 Georg Fischer Rohrleitungssysteme AG Flammgeschütztes Kunststoff-Rohrleitungssystem
DE102014008830A1 (de) * 2014-06-20 2015-12-24 Mann + Hummel Gmbh Sensoreinrichtung, Filteranordnung und Verfahren zum Herstellen derselben
CH711604B1 (de) * 2015-10-02 2019-07-15 Ems Patent Ag Polyamid-basierte Komponenten mit verbessertem Brandverhalten.
CN109320745A (zh) * 2016-08-02 2019-02-12 南通凯英薄膜技术有限公司 一种阻燃耐高温聚酰亚胺复合板及其应用
US20200115551A1 (en) 2016-12-22 2020-04-16 Dsm Ip Assets B.V. Improved heat and electrically resistive thermoplastic resin compositions
FR3093945B1 (fr) * 2019-03-18 2023-10-27 Arkema France Polyamides et copolyamides ignifuges pour impression 3d
CN111785563B (zh) * 2020-08-21 2023-08-22 湖北大禹汉光真空电器有限公司 一种用于真空灭弧室的耐高温主屏蔽筒及其制作方法
CN118488988A (zh) * 2021-12-28 2024-08-13 Sabic环球技术有限责任公司 包含物体和层的制品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09931B1 (ko) * 1992-12-24 1996-07-25 주식회사 코오롱 비강화 폴리아미드 난연 수지 조성물
KR20010052161A (ko) * 1998-02-11 2001-06-25 로디아 엔지니어링 플라스틱 에스알엘 난연성 폴리아미드 조성물
US20060083878A1 (en) * 2004-10-20 2006-04-20 Bauman Bernard D Fire-resistant plastic tanks and containers
KR100877392B1 (ko) * 2007-11-12 2009-01-07 주식회사 코오롱 우수한 난연성 및 장기 내열성을 갖고 압출 튜빙 가능한폴리아미드 수지 조성물

Family Cites Families (2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447727A1 (de) * 1974-10-07 1976-04-08 Hoechst Ag Schwerentflammbare polyamidformmassen
US4163834A (en) * 1976-01-02 1979-08-07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Polyethers of tetrahalobisphenol A
US4104433A (en) * 1976-01-02 1978-08-01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Flame retardant, non-dripping coating composition comprising crosslinkable copolymers of dihydric phenols with bis chloroalkyl oxetanes
US4179298A (en) * 1978-01-18 1979-12-18 The Dow Chemical Company Flame retardant intumescent polyamides
DE2835556B2 (de) * 1978-08-14 1980-06-04 Heinrich Wilke Beschläge für Feuerschutzabschlüsse
DE3509568A1 (de) * 1985-03-16 1986-09-18 Bayer Ag, 5090 Leverkusen Stabilisierter, roter phosphor und dessen verwendung fuer flammfeste, thermoplastische polyamid-formmassen
WO1993018693A1 (en) 1992-03-16 1993-09-30 Macarthur Onslow Rohan James Eating utensil
EP0682057A1 (en) 1994-05-09 1995-11-15 Dsm N.V. Process for improvement of the processing characteristics of a polymer composition and polymer compositions obtained therefrom
EP0832149B1 (en) 1995-05-03 2000-07-19 Dsm N.V. Star-shaped branched polyamide
US5674972A (en) * 1995-07-27 1997-10-07 Albemarle Corporation Polyamide-based formulations
FR2743077B1 (fr) 1995-12-29 1998-02-20 Nyltech Italia Polyamide et un procede de fabrication de celui-ci, et des compositions le contenant
DE19607635A1 (de) * 1996-02-29 1997-09-04 Hoechst Ag Schwerentflammbare Polyamidformmassen
DE19614424A1 (de) 1996-04-12 1997-10-16 Hoechst Ag Synergistische Flammschutzmittel-Kombination für Polymere
DE19629432A1 (de) 1996-07-22 1998-01-29 Hoechst Ag Aluminiumsalze von Phosphinsäuren
DE19654179A1 (de) 1996-12-23 1998-06-25 Basf Ag H-förmige Polyamide
DE19708726A1 (de) * 1997-03-04 1998-09-10 Hoechst Ag Flammgeschützte Polymerformmassen
FR2766197B1 (fr) 1997-07-17 1999-09-03 Nyltech Italia Copolyamide thermoplastique, composition a base de ce copolyamide thermoplastique
FR2779730B1 (fr) 1998-06-11 2004-07-16 Nyltech Italia Polyamides a fluidite elevee, son procede de fabrication, compositions comprenant ce copolyamide
DE19903709A1 (de) 1999-01-30 2000-08-10 Clariant Gmbh Flammschutzmittel-Kombination für thermoplastische Polymere II
FR2793252B1 (fr) 1999-05-05 2001-07-20 Rhodianyl Copolyamide hyperbranche, composition a base de ce copolyamide hyperbranche et procede d'obtention de ce dernier
DE19933901A1 (de) 1999-07-22 2001-02-01 Clariant Gmbh Flammschutzmittel-Kombination
US7618563B2 (en) * 2005-10-19 2009-11-17 The Boeing Company Reduced flammability plastic formulation and method
US20070275617A1 (en) * 2006-05-25 2007-11-29 Wp Ip, Llc Decorative flame barrier surface covering
CN101535409B (zh) * 2006-11-20 2013-03-20 三井化学株式会社 阻燃性聚酰胺组合物
DE102006058414A1 (de) * 2006-12-12 2008-06-19 Clariant International Limited Carboxyethyl(alkyl)phosphinsäure-Alkylestersalze
US7939764B2 (en) * 2007-09-25 2011-05-10 Samuel Gottfried Fire, heat and high voltage cable protection wrap
FR2929285B1 (fr) * 2008-03-25 2011-07-15 Rhodia Operations Composition polyamid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09931B1 (ko) * 1992-12-24 1996-07-25 주식회사 코오롱 비강화 폴리아미드 난연 수지 조성물
KR20010052161A (ko) * 1998-02-11 2001-06-25 로디아 엔지니어링 플라스틱 에스알엘 난연성 폴리아미드 조성물
US20060083878A1 (en) * 2004-10-20 2006-04-20 Bauman Bernard D Fire-resistant plastic tanks and containers
KR100877392B1 (ko) * 2007-11-12 2009-01-07 주식회사 코오롱 우수한 난연성 및 장기 내열성을 갖고 압출 튜빙 가능한폴리아미드 수지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488574B1 (fr) 2016-01-27
FR2951452A1 (fr) 2011-04-22
EP3112403A1 (fr) 2017-01-04
WO2011045426A1 (fr) 2011-04-21
EP2488574A1 (fr) 2012-08-22
CN102656217A (zh) 2012-09-05
FR2951452B1 (fr) 2012-07-27
BR112012008800B1 (pt) 2022-10-11
CN105295084A (zh) 2016-02-03
US20120276391A1 (en) 2012-11-01
BR112012008800A2 (pt) 2020-02-04
KR20120066656A (ko) 2012-06-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24898B1 (ko) 팽창성 코팅을 포함하는 난연성 폴리아미드 캐스트 품목
JP5425774B2 (ja) ハロゲン不含の難燃剤
CA2511187C (en) Flame retardant polymer compositions
KR101962048B1 (ko) 플라즈마 처리에 의해 형성된 코팅을 포함하는 방염 폴리아미드 물품
CN109735913B (zh) 一种阻燃组合物及其制备方法、人造草丝、人造草坪背胶及人造草坪
Duquesne et al. Intumescent systems
EP1786853A1 (en) Novel flame-retardant polystyrenes
KR20070091037A (ko) 방화성 조성물
Joseph et al. Recent developments in flame-retarding thermoplastics and thermosets
Vahabi et al. High-performance fire-retardant polyamide materials
KR102708333B1 (ko) 불연성 하이포포스파이트 금속염 분말 및 난연 성분으로서의 용도
Papatzani et al. Polymers for High-Performance Flame-Retardant Materials
Mizera et al. Leszczy nski, MK; Doma nska, A. Moisture Resistance, Thermal Stability and Fire Behavior of Unsaturated Polyester Resin Modified with L-histidinium Dihydrogen Phosphate-Phosphoric Acid
RU2407760C2 (ru) Самозатухающий пенополистирол
JPS60163946A (ja) ゴム混合物
RU2487902C2 (ru) Безгалогеновый антипирен
Nguyen et al. Fundamentals of flame retardants, formulations and processing
PL230340B1 (pl) Sposób otrzymywania nienasyconych żywic poliestrowych o zmniejszonej palności i dymotwórczości
PL218535B1 (pl) Uniepalniona kompozycja na bazie nienasyconej bezhalogenowej żywicy poliestrowej i sposób jej otrzymania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5 International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20413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20427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3092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140328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30927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AMND Amendment
PX0901 Re-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X09011S01I

Patent event date: 20140328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9012R01I

Patent event date: 20131125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X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after re-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40520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X07013S01D

Patent event date: 20140429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7012R01I

Patent event date: 20140328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7011S01I

Patent event date: 20131125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7012R01I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40723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40723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16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616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28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628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27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627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708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707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405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