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877392B1 - 우수한 난연성 및 장기 내열성을 갖고 압출 튜빙 가능한폴리아미드 수지 조성물 - Google Patents

우수한 난연성 및 장기 내열성을 갖고 압출 튜빙 가능한폴리아미드 수지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77392B1
KR100877392B1 KR1020070114967A KR20070114967A KR100877392B1 KR 100877392 B1 KR100877392 B1 KR 100877392B1 KR 1020070114967 A KR1020070114967 A KR 1020070114967A KR 20070114967 A KR20070114967 A KR 20070114967A KR 100877392 B1 KR100877392 B1 KR 1008773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lyamide resin
phosphite
resin composition
flame retardant
resistant agent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149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성근
박은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코오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코오롱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코오롱
Priority to KR10200701149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7739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773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77392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77/00Compositions of polyamide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amide link in the main chai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5/00Manufacture of articles or shaped materials contain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0008Organic ingredient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the "one dot" groups of C08K5/01 - C08K5/59
    • C08K5/0066Flame-proofing or flame-retarding additiv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49Phosphorus-containing compounds
    • C08K5/51Phosphorus bound to oxygen
    • C08K5/52Phosphorus bound to oxygen only
    • C08K5/524Esters of phosphorous acids, e.g. of H3PO3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77/00Compositions of polyamide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amide link in the main chai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77/02Polyamides derived from omega-amino carboxylic acids or from lactams thereof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1/00Properties
    • C08L2201/02Flame or fire retardant/resistant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1/00Properties
    • C08L2201/22Halogen free composition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압출 튜빙 성형성이 우수하고 난연성과 유연성 등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특히 고온에서의 장기 내열 특성이 우수한 폴리아미드 수지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좀더 상세하게는 폴리아미드 수지, 비할로겐 난연제, 및 구리계 내열제를 포함하며, 175 ℃에서 500 hr의 에이징 후 인장강도 유지율이 초기강도 대비 70% 이상이고, 상기 에이징 후 인장신도 유지율이 초기값 대비 10% 이상이며, 난연등급 UL-94 V-2 이상인 폴리아미드 수지 조성물을 제공한다.
폴리아미드, 비할로겐 난연제, 구리계 내열제, 장기내열성, 콜게이트

Description

우수한 난연성 및 장기 내열성을 갖고 압출 튜빙 가능한 폴리아미드 수지 조성물 {Tube Extrudable Polyamide Composition with a good Flammability and Long term Heat Stability}
본 발명은 압출 튜빙 성형성이 우수하고 난연성과 유연성 등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특히 고온에서의 장기 내열 특성이 우수한 폴리아미드 수지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폴리아미드 수지는 기계적 특성과 내마모성, 내절연성 등이 우수하여 자동차 내외장 부품뿐만 아니라 전기전자 부품, 산업자재 등 다양한 분야에 사용되고 있으며 특히 자동차의 엔진내 배선부의 튜브 시스템 등에 사용되고 있다.
최근 자동차의 전자시스템의 발달에 따라 전기 배선 등이 늘어나는 추세이며 이와 동시에 전기 배선 등을 감싸고 있는 튜브시스템의 사용량이 점차로 증가하고 있다. 하지만 자동차 오래 타기 운동 등으로 자동차에 사용되고 있는 소재들도 장기 특성이 점차로 강조되고 있는 바 엔진부에 위치하여 쉽게 고온에 노출되어 있는 엔진부의 튜브 시스템도 또한 고온에서의 장기 특성이 중요한 특성으로 인식됨에도 불구하고 튜브 시스템에 사용되는 소재는 장기 특성, 특히 엔진부에서 발생하는 고 온에서의 장기 내열성이 부족한 실정이다.
현재 일반적으로 자동차 내의 튜브 시스템에 사용되고 있는 소재로는 폴리프로필렌 (Polypropylene)수지, 폴리아미드(Polyamide) 수지 중 나일론 11과 나일론 12가 주로 사용하고 있고 나일론 6도 사용되고 있으나 유연성을 부여하기 위하여 내충격제 등을 첨가하므로 주로 비난연 소재로 사용하고 있다. 하지만 이들 소재들은 압출 튜브 성형 안정성에 주안점을 두어 장기 내열특성 이나 난연성 등에 관해서 자동차 튜브 시스템에는 적용하기에 부족한 점이 많다.
튜브시스템 등에 사용 가능한 조성물로는 국내특허공개공보 제1999-025761호에 개시된 바와 같이 고점도의 폴리아미드 수지에 에틸렌 공중합체를 내충격제로, 멜라민 시아누레이트를 난연제로, 가소제와 핵제 등을 사용하여 튜브 성형 압출이 가능하게 하였으나 점도가 높고 장기 내열 특성이 부족하여 자동차 엔진부의 튜브시스템에 사용하기에는 부족하다.
또한 국내특허공개공보 제2002-0042216호에서는 내충격제나 폴리아미드 엘라스토머 등을 첨가하여 내한성과 유연성 개선하여 과거에 자동차 엔진룸의 튜브 시스템에 적용하고자 하였으나 이 역시 내열성 등이 부족하여 현재의 시스템에서는 적용이 불가하다.
이 밖에도 유럽 특허 EP 1 481 794 A1에는 폴리아미드 엘라스토머를 사용하여 내가수분해성, 유연성 등을 제공하는 콜게이트 튜브(Corrugated tube) 폴리아미드에 대한 내용이 있으나 그 이외의 내열성이나 난연성 등의 특성은 부족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발명은 비할로겐 난연제와 구리계 내열제를 사용하여 자동차 엔진룸의 튜브 시스템으로 사용이 가능한 정도의 유연성, 난연성, 고온에서의 장기 내열성 등의 다양한 특성들을 복합적으로 가지고 있는 초고내열성 고기능 폴리아미드 수지조성물을 개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폴리아미드 수지 조성물을 포함하여 제조되는 폴리아미드 수지 압출 튜빙 성형품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폴리아미드 수지, 비할로겐 난연제, 및 구리계 내열제를 포함하며, 175 ℃에서 500 hr의 에이징 후 인장강도 유지율이 초기강도 대비 70% 이상이고, 상기 에이징 후 인장신도 유지율이 초기값 대비 10% 이상이며, 난연등급 UL-94 V-2 이상인 폴리아미드 수지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폴리아미드 수지 조성물을 포함하는 폴리아미드 수지 압출 튜빙 성형품을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난연성과 장기 내열성이 우수하고 압출 튜빙이 가능한 폴리아미드 수지 조성물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난연성과 장기 내열성이 우수하고 압출 튜빙이 가능한 폴리아미드 수지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이전의 압 출 튜브 성형 수지와 유사한 압출 성형성이 나옴과 동시에 난연성, 고온에서의 에이징에 따른 장기 특성, 특히 압출 성형물의 형태 안정성이 유지되도록 물성을 갖도록 하는 것을 주요 발명의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
최근 환경문제로 인해 할로겐계 난연제를 규제하고 비할로겐계 난연제을 사용하려는 움직임이 있는데 특히 자동차 산업에 있어서 환경적인 문제는 중요한 사안으로 생각되고 있다. 현재, 이 기술 분야에서 사용되고 있는 난연제로는 무기산화물, 질소계 난연제, 인계 난연제 등이 비할로겐계 난연제로 사용되고 있으나 무기산화물이나 인계 난연제인 경우에는 난연성을 부여하기 위해서 첨가되는 양으로는 압출 튜브가 가지는 유연성을 잃어버리는 결과를 가지게 하기 때문에 부적합한 반면에, 비할로겐계 난연제로서 질소계 난연제인 멜라민 시아누레이트 등은 유연성을 발현하는 데 도움을 주어 유연성 압출 튜브에 적합하다.
또한, 장기 내열 특성을 발현하기 위하여 구리계 내열제를 사용할 수 있으며, 특히 포스파이트계 내열제를 추가하여 적절한 조성으로 조합하여 병용함으로써, 175 ℃의 고온에서 튜브의 형태안정성과 유연성을 유지할 수 있는 장기 내열 특성, 즉 175 ℃ × 500 hr열에이징 후 인장강도가 초기 강도에 비해70%의 변화율을 유지하며 최종 인장신도가 10% 이상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이같이, 본 발명의 폴리아미드 조성물은 각 성분들의 적절한 조합에 따라 본 발명이 목적으로 하는 난연성과 유연성, 고온에서의 장기 내열성 등을 동시에 발현할 수 있는 효과가 나타나게 된다.
본 발명은 종래에는 비할로겐 난연제를 사용하여 난연성을 발현하고 내충격 제나 가소제 등을 사용하여 유연성 개선에 초점을 맞추었으나 내충격제와 가소제가 장기 특성을 감소시키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난연성을 UL94 V-2 등급을 유지함과 동시에 적절한 내열 시스템을 통해 고온(175 ℃)에서의 장기 에이징 후 인장강도가 초기 대비 70% 이상 유지율을 가지며 최종 인장신도가 10% 이상 유지하여 튜브의 형태 안정성과 유연성을 최대한 유지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될 수 있는 폴리아미드 수지의 제한은 없으나, 상대점도 2 내지 5(96%순도의 황산을 사용하여 황산 10% 용액을 제조한 후 점도 측정한 값)인 것을 사용할 수 있으며, 나일론 6 수지를 주성분으로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목적으로 하는 특성을 발현하기 위해 폴리아미드 수지의 상대점도는 크게 상관이 없으나 튜브의 압출 성형성의 기준으로 하여 상대점도가 2 이상인 경우에 수지의 용융강도를 적절하게 유지하여 튜브의 형태를 유지하며 5 이하인 경우에는 압출 성형시 형태안정성 등을 최적화하며 압출기에 부하를 낮추고 흐름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 난연성을 부여하기 위하여 비할로겐 난연제를 포함하며, 멜라민계 난연제, 금속산화물계 난연제, 인계 난연제, 또는 실리콘계 난연제 등으로부터 선택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특히, 비할로겐 난연제인 멜라민 시아누레이트 등의 멜라민계 난연제를 사용할 수 있다. 멜라민계 난연제는 금속류가 첨가되어 있지 않아 유연성이 향상될 수 있고 또한 환경 친화적인 비할로겐계라는 점이 큰 장점이 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난연제의 첨가량은 폴리아미드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3 내 지 15 중량부로 사용할 수 있으며, 그 함량이 3 중량부 이상이면 V-2 이상의 난연성 발현에 유리하고 15 중량부 이하인 경우에는 난연성 발현 및 장기적인 내열 특성 향상에 효과적이며 발포 현상을 방지하여 표면이 불량하게 나오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장기 내열 특성을 부여하기 위하여 구리계 내열제를 포함할 수 있으며, 표면 처리된 구리 화합물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구리계 내열제는 폴리아미드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0.3 내지 5 중량부로 첨가할 수 있다. 0.3 중량부 이상인 경우에는 향상된 장기 내열 특성을 확보할 수 있으며 5 중량부 이하인 경우에는 가공성이 우수하고 향상된 유연성을 얻을 수 있다. 특히, 표면 처리된 구리 화합물(Bruggemann社 H3336 등)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일반적인 구리계 내열제인 CuI와 시너지 내열제인 KI를 사용한 경우보다, 표면 불량이나 난연제인 멜라민 시아누레이트와의 반응에 의해 기포가 발생되는 문제점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 장기 내열 특성을 강화할 수 있도록, 상기 구리계 내열제와 함께 장기 내열성의 시너지 효과가 있는 포스파이트계 내열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포스파이트계 내열제로는 비스(2,6-디-테르트-부틸-4-메틸페닐)펜타에르트리톨-디-포스파이트, 테트라키스[메틸렌-3-(라우릴티오)프로피오네이트]메탄, 트리페닐포스파이트, 트리라우릴포스파이트, 트리스(노닐페닐)포스파이트, 트리-이소-옥틸-포스파이트, 트리올레일포스파이트, 트리스(2,4-디-터셔리-부틸페닐)포스파이트,디페닐-노닐페닐-포스파이트, 페닐-디-이소데실-포스파이트, 또는 트리라우릴-트리-티오-포스파이트 등으로부터 선택된 것을 사용할 수 있으며, 특히 하기의 화 학식 1로 표시되는 비스(2,6-디-테르트-부틸-4-메틸페닐)펜타에르트리톨-디-포스파이트[Bis(2,6-di-tert-butyl-4-methylphenyl)pentaerythritol-di-phosphite]를 사용할 수 있다.
[화학식 1]
Figure 112007080983357-pat00001
본 발명에서 포스파이트계 내열제는 폴리아미드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0.1 내지 5 중량부로 첨가할 수 있으며, 0.1 중량부 이상인 경우에는 우수한 장기 내열 특성을 발현할 수 있고, 5 중량부 이하인 경우에는 우수한 유연성 확보 및 멜라민 시아누레이트와의 반응에 의해 기포가 발생 등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페놀릭계 산화방지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페놀릭계 산화방지제로는 펜타에르트리톨 테트라키스(3-(3,5-디-테르트-부틸-4-하이드록시페닐)프로피오네이트[Pentaerythritol Tetrakis(3-(3,5-di-tert-butyl-4-hydroxyphenyl)propionate), 옥타데실-3-(3,5-디-테르트-부틸-4-하이드록시페닐)프로피오네이트[octadecyl-3-(3,5-di-t-butyl-4-hydroxyphenyl)propionate], 또는 2,6-디-테르트-부틸-n,n-디메틸아미노-파라-크레졸[2,6-di-tert-butyl-n,n-dimethylamino-p-cresol] 등으로부터 선택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특히, 하기의 화학식 2로 표시하는 펜타에르트리톨 테트라키스(3-(3,5-디-테르트-부틸-4-하이드록시페닐)프로피오네이트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페놀릭 산화방지제는 폴리아미드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0.1 내지 2 중량부를 사용하는 것이, 본 발명의 난연성과 장기 내열성 및 압출 튜빙 가공성 측면에서 유리하다.
[화학식 2]
Figure 112007080983357-pat00002
이밖에 소재의 유연성과 내한특성, 컬러를 발현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폴리아미드 수지 조성물을, 주요 성분 및 조성에 따른 효과를 상실시키지 않는 범위내에서 내충격제와 가소제, 컬러마스터 배치 등을 추가로 첨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폴리아미드 수지 조성물을 포함하는 압출 튜빙 가능한 폴리아미드 수지 성형품을 제공하고, 상기 폴리아미드 수지 성형품은 산업용 유체 수송 튜브, 약품 수송 튜브, 연료가스 공급용 튜브, 자동차용 연료 튜브, 자동차 케이블 프로텍터, 전선 케이블, 케이블 시스, 또는 케이블 타이, 등의 용도로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폴리아미드 수지 조성물은 비할로겐 난연제와 구리계 내열제를 포 함함에 따라 난연성 및 장기내열성이 우수하고 압출튜빙이 가능하여 종래의 압출 튜브 성형 수지와 유사한 압출 성형성이 나옴과 동시에 난연성, 고온에서의 에이징에 따른 장기 내열 특성, 특히 압출 성형물의 형태 안정성이 유지되도록 하는 특성을 나타낸다.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제시하나,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각각의 첨가량은 별도의 기술의 없을 경우 중량부를 나타낸다.
실시예 1
폴리아미드 수리로 나일론 6수지를 사용하고, 비할로겐 난연제와 구리계 내열제, 포스파이트계 내열제 등을 이용하여 다음 표 1과 같은 조성비로 실험하였다. 
(주) 코오롱에서 제조된 상대점도가 3.0수준의 나일론 6 수지를 주원료로 하여 포스파이트계 내열제인 비스(2,6-디-테르트-부틸-4-메틸페닐)펜타에르트리톨-디-포스파이트[Bis(2,6-di-tert-butyl-4-methylphenyl)pentaerythritol-di-phosphite, PEP-36: 일본 Asai Denka사 제품]를 0.5 중량부, 구리계 내열제(Bruggemann사 제품, H3336) 1 중량부, 페놀릭계 산화방지제인 펜타에르트리톨 테트라키스(3-(3,5-디-테르트-부틸-4-하이드록시페닐)프로피오네이트[Pentaerythri tol Tetrakis(3-(3,5-di-tert-butyl-4-hydroxyphenyl)propionate)를 각각 1 중량부를 텀블러에 혼합하여 주원료 투입구(Feeder)에, 난연제인 멜라민 시아누레이트 5중량부를 난연제가 투입되는 난연제 투입구(Feeder)를 이용하여, 이축 스크류형의 압출형 혼련기에 투입하여 주원료와 난연제를 적절히 용융 혼련시켜 수지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이때 압출기의 온도는 1차 투입구에서부터 다이까지의 순서로 120 ℃, 230 ℃, 240 ℃, 250 ℃, 255 ℃로 설정하고 스크류의 회전수는 230~250 rpm의 조건으로 혼합을 실시하였다.
혼합되어 나온 수지는 스트랜드(Strand)상으로 토출되면서 온도가 35 ℃인 냉각조 내에서 고화된 다음 펠렛타이저(pelletizer)를 통해 펠렛화된 제품으로 얻었다.
실시예 2~9 및 비교예 1~5
다음 표 1에 기재한 바와 같이, 나일론 6 수지(상대점도 3.0)을 사용하며, 멜라민시아누레이트 (Melamine Cyanurate, Ciba社 MC50), 포스파이트계 내열제 (PEP-36, 일본 Asai Denka사), 구리계 내열제 (Bruggemann社H3336), 및 멜라민 포스페이트 (Melamine Phosphate) 등의 난연제와 내열제의 성분 및 함량을 변화시키고, 다른 조건 및 조성은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였다.
본 발명의 실시예 1~9 및 비교예 1~5의 조성비는 하기의 표 1과 같으며 각 성분의 함량 단위는 중량부이다.
구    분 나일론 6 멜라민 시아누레이트 포스파이트계 내열제 구리계 내열제 멜라민 포스페이트
실시예 1 100 5 0.5 0.3 -
2 1.0
3 5.0
4 100 10 0.5 0.3 -
5 1.0
6 5.0
7 100 5 - 0.3 -
8 1.0
9 5.0
비교예 1 100 - - - -
2 100 5 - - -
3 100 2 0.5 1.0 -
4 100 20 0.5 1.0 -
5 100 5 0.5 - -
또한, 상기 실시예 1 내지 9 및 비교예 1 내지 5로부터 제조된 수지조성물을 진공 건조기를 이용해 100 ℃에서 5시간 동안 건조하여 수분을 제거하고, 사출성형기를 이용해 물성 측정 및 난연 시편을 제조하여 다음과 같은 방법에 따라 측정하였다.
구체적인 물성 측정 방법은 다음과 같다.
(1) 인장강도: ASTM D638에 의거하여 측정하였으며 단위는 kg/㎠이다.
(2) 인장신도: ASTM D638에 의거하여 측정하였으며 단위는 % 이다.
(3) 가공성: 모든 실시예와 비교예에 대해 가공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이축스크류 혼련기와 일반적인 스트랜드 커터를 사용하여 안정적인 스트랜드가 형성되는지를 확인하였다.
(4) 난연 특성: 사출성형으로 제작된 난연성 평가용 시험편을 미국산업안전 협회의 UL-94 규격(Underwriter's Laboratory 94의 막대 수직 연소 방법)에 준수하여 실시하였으며, 난연 등급은 V0 > V1 > V2 > HB 순으로 난연성이 저하된다. 시편 두께는 각각 1/16 inch를 사용하였다.
본 발명에서 모든 실시예와 비교예의 기준은 초기 인장강도 및 인장신도를 기준으로 175 ℃ × 500 hr의 열에이징 후 인장강도의 변화율과 최종 인장신도, 난연성, 가공성을 확인하는 것으로 하였다.
구 분 인 장 강 도 인 장 신 도 초 기 난연성 압 출 가공성
초기 에이징후 유지율 (%) 초기 에이징후 유지율 (%)
실시예 1 855 812 93.9 42 15 36 V-2 양호
2 870 834 95.9 44 20 45 V-2 양호
3 872 850 97.5 46 22 43 V-2 양호
4 810 729 90.0 40 11 28 V-2 양호
5 809 738 91.2 38 14 37 V-2 양호
6 815 742 91 42 17 40 V-2 양호
7 882 805 91 35 17 49 V-2 양호
8 888 826 93 32 16 50 V-2 양호
9 889 843 95 30 14 47 V-2 양호
비교예 1 844 245 29 48 2 4 V-2 양호
2 805 231 28 18 2 11 V-2 양호
3 878 745 84 30 13 43 HB 양호
4 786 641 81 11 3 27 V-0 불량
5 858 459 53 25 5 20 V-2 양호
상기 표 1 및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라 폴리아미드 수지 및 비할로계 난연제와 구리계 내열제 화합물을 특정 조성비로 포함하는 실시예 1 내지 9의 경우, 각 성분의 함량비가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는 비교예 1 내지 5에 비하여 장기내열성, 난연성, 압출가공성 등의 전반적인 물성 측면에서 동시에 우수한 특성을 갖는 것을 알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 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폴리아미드 수지 조성물은 비할로겐 난연제와 구리계 내열제를 포함함에 따라 난연성 및 장기내열성이 우수하고 압출튜빙이 가능한 것으로, 종래의 압출 튜브 성형 수지와 유사한 압출 성형성이 나옴과 동시에 난연성, 고온에서의 에이징에 따른 장기 내열 특성, 특히 압출 성형물의 형태 안정성이 유지되도록 하는 물성을 부여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폴리아미드 수지 조성물은 장기내열성 및 유연성이 우수하여 콜 게이트 튜브로 가공하여, 유체 압력 손실이 적게 기름, 물, 유기용매 등의 내약품성이 우수하고 내진동성, 내굴곡 피로성, 층간 접착성이 우수하고, 특별히 배리어나 내약품성으로 요구 물성이 엄격한 일반산업용 유체 수송 튜브, 약품 수송 튜브, 연료가스 공급용 튜브 자동차용 연료튜브 및 압출용 소재로서의 사용에 우수한 장점이 있다.

Claims (10)

  1. 폴리아미드 수지, 비할로겐 난연제, 및 구리계 내열제를 포함하며,
    175 ℃에서 500 hr의 에이징 후 인장강도 유지율이 초기강도 대비 70% 이상이고,
    상기 에이징 후 인장신도 유지율이 초기값 대비 10% 이상이며,
    난연등급 UL-94 V-2 이상
    인 폴리아미드 수지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아미드 수지는 상대 점도가 2 내지 5인 폴리아미드 수지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아미드 수지가 나일론 6인 폴리아미드 수지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아미드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비할로겐 난연제를 3 내지 15 중량부 및 구리계 내열제를 0.3 내지 5 중량부로 포함하는 폴리아미드 수지 조성물.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비할로겐 난연제가 멜라민계 난연제, 금속산화물계 난 연제, 인계 난연제, 또는 실리콘계 난연제로부터 선택된 것인 폴리아미드 수지 조성물.
  6. 제1항에 있어서, 포스파이트계 내열제를 추가로 포함하는 폴리아미드 수지 조성물.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아미드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포스파이트계 내열제를 0.1 내지 5 중량부로 추가로 포함하는 폴리아미드 수지 조성물.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포스파이트계 내열제가 비스(2,6-디-테르트-부틸-4-메틸페닐)펜타에르트리톨-디-포스파이트, 테트라키스[메틸렌-3-(라우릴티오)프로피오네이트]메탄, 트리페닐포스파이트, 트리라우릴포스파이트, 트리스(노닐페닐)포스파이트, 트리-이소-옥틸-포스파이트, 트리올레일포스파이트, 트리스(2,4-디-터셔리-부틸페닐)포스파이트, 디페닐-노닐페닐-포스파이트, 페닐-디-이소데실-포스파이트, 또는 트리라우릴-트리-티오-포스파이트로부터 선택된 것인 폴리아미드 수지 조성물.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폴리아미드 수지 조성물을 포함하는 폴리아미드 수지 압출 튜빙 성형품.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성형품은 산업용 유체 수송 튜브, 약품 수송 튜브, 연료가스 공급용 튜브, 자동차용 연료 튜브, 자동차 케이블 프로텍터, 전선 케이블, 케이블 시스, 또는 케이블 타이의 용도로 사용되는 것인 폴리아미드 수지 압출 튜빙 성형품.
KR1020070114967A 2007-11-12 2007-11-12 우수한 난연성 및 장기 내열성을 갖고 압출 튜빙 가능한폴리아미드 수지 조성물 Active KR10087739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14967A KR100877392B1 (ko) 2007-11-12 2007-11-12 우수한 난연성 및 장기 내열성을 갖고 압출 튜빙 가능한폴리아미드 수지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14967A KR100877392B1 (ko) 2007-11-12 2007-11-12 우수한 난연성 및 장기 내열성을 갖고 압출 튜빙 가능한폴리아미드 수지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77392B1 true KR100877392B1 (ko) 2009-01-07

Family

ID=404822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14967A Active KR100877392B1 (ko) 2007-11-12 2007-11-12 우수한 난연성 및 장기 내열성을 갖고 압출 튜빙 가능한폴리아미드 수지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77392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078554A3 (ko) * 2009-12-21 2011-11-17 주식회사 이아이지 난연 물질 및 내열 물질이 포함되어 안전성이 향상된 전기 화학 소자용 외장재 및 상기 외장재를 구비한 전기 화학 소자
KR101424898B1 (ko) * 2009-10-16 2014-07-31 로디아 오퍼레이션스 팽창성 코팅을 포함하는 난연성 폴리아미드 캐스트 품목
KR101547492B1 (ko) * 2014-11-18 2015-08-26 호선이엠티 주식회사 바인더용 폴리아미드 수지 조성물
KR20170016600A (ko) 2015-08-04 2017-02-14 한국엔지니어링플라스틱 주식회사 케이블 타이용 수지 조성물
US10825587B2 (en) 2017-03-10 2020-11-03 Advansix Resins & Chemicals Llc. Wire and cable jacket composition of PA6/66 copolymer base resin for improved processability and properties
CN118772624A (zh) * 2024-07-29 2024-10-15 南京跃贝新材料科技有限公司 一种汽车门框饰条用抗氧化老化的聚酰胺材料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54021A (ko) * 1999-12-02 2001-07-02 조 정 래 투명성 및 이형도가 개선된 나일론 섬유의 제조방법
KR20040023904A (ko) * 2002-09-12 2004-03-2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장기내열성이 우수한 자동차 엔진커버 및 내·외장재용폴리아미드 나노복합체 수지 조성물
KR20050001148A (ko) * 2003-06-27 2005-01-06 주식회사 코오롱 차량의자용 폴리아미드 수지 조성물
KR20060125159A (ko) * 2005-06-02 2006-12-06 주식회사 코오롱 폴리아미드 수지 조성물 및 이로 제조된 밴드케이블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54021A (ko) * 1999-12-02 2001-07-02 조 정 래 투명성 및 이형도가 개선된 나일론 섬유의 제조방법
KR20040023904A (ko) * 2002-09-12 2004-03-2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장기내열성이 우수한 자동차 엔진커버 및 내·외장재용폴리아미드 나노복합체 수지 조성물
KR20050001148A (ko) * 2003-06-27 2005-01-06 주식회사 코오롱 차량의자용 폴리아미드 수지 조성물
KR20060125159A (ko) * 2005-06-02 2006-12-06 주식회사 코오롱 폴리아미드 수지 조성물 및 이로 제조된 밴드케이블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24898B1 (ko) * 2009-10-16 2014-07-31 로디아 오퍼레이션스 팽창성 코팅을 포함하는 난연성 폴리아미드 캐스트 품목
WO2011078554A3 (ko) * 2009-12-21 2011-11-17 주식회사 이아이지 난연 물질 및 내열 물질이 포함되어 안전성이 향상된 전기 화학 소자용 외장재 및 상기 외장재를 구비한 전기 화학 소자
KR101183557B1 (ko) 2009-12-21 2012-09-17 주식회사 이아이지 난연 물질 및 내열 물질이 포함되어 안전성이 향상된 전기 화학 소자용 외장재 및 상기 외장재를 구비한 전기 화학 소자
KR101547492B1 (ko) * 2014-11-18 2015-08-26 호선이엠티 주식회사 바인더용 폴리아미드 수지 조성물
KR20170016600A (ko) 2015-08-04 2017-02-14 한국엔지니어링플라스틱 주식회사 케이블 타이용 수지 조성물
US10825587B2 (en) 2017-03-10 2020-11-03 Advansix Resins & Chemicals Llc. Wire and cable jacket composition of PA6/66 copolymer base resin for improved processability and properties
CN118772624A (zh) * 2024-07-29 2024-10-15 南京跃贝新材料科技有限公司 一种汽车门框饰条用抗氧化老化的聚酰胺材料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67874B1 (ko) 난연성, 지방족 폴리케톤 물질, 이로부터 제조되는 성형체 및 이들의 제조방법
EP3842471A1 (en) Polyamide and polyamide composition
KR101932808B1 (ko) 난연성 폴리아미드 수지 조성물
US6608123B2 (en) Flame-retardant polyamide molding compositions
KR100877392B1 (ko) 우수한 난연성 및 장기 내열성을 갖고 압출 튜빙 가능한폴리아미드 수지 조성물
CN108350271B (zh) 聚酰胺树脂组合物和将其成型而成的成型体
CN103044901A (zh) 一种高流动性无卤阻燃增强尼龙复合材料及其制备方法
CN109312153B (zh) 热塑性树脂组合物及将其成型而成的成型体
KR101400696B1 (ko) 친환경 난연성 폴리아미드 조성물
CN115260754A (zh) 一种高韧性无卤阻燃pa66材料及其制备方法
US6800677B2 (en) Flame retardant reinforced polyamide resin composition
KR101745107B1 (ko) 자동차용 전선소재용 수지 조성물과 이를 이용한 전선
US20170335105A1 (en) Flame retardant, reinforced polyamide-poly(phenylene ether) composition
KR20110072828A (ko) 난연성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 조성물
KR101748243B1 (ko) 유동성과 표면 광택이 우수한 비할로겐 난연성 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 및 이의 성형품
CN115637044A (zh) 无卤阻燃永久抗静电聚酰胺组合物及制备方法
JP2003292774A (ja) 耐熱性難燃樹脂組成物
CN115477811A (zh) 一种高耐候高阻燃注塑材料用聚丙烯组合物及聚丙烯注塑材料
JP2005200636A (ja) 難燃性ポリアミド樹脂組成物
KR101447352B1 (ko)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KR20210038165A (ko) 폴리아미드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성형품
JP2003292775A (ja) 耐熱性難燃ポリアミド組成物
KR100828655B1 (ko) 밴드 케이블용 폴리아미드 수지 조성물
KR100824781B1 (ko) 인성이 향상된 난연성 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
KR100199102B1 (ko) 난연 폴리에스테르수지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71112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080313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071112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81014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81224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81229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81230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0907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12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0912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14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1114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13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1113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16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1116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15

Year of fee payment: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1115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10

Year of fee payment: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1110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11

Year of fee payment: 12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1111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1109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1107

Start annual number: 15

End annual number: 1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1108

Start annual number: 16

End annual number: 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