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388446B1 -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88446B1
KR101388446B1 KR1020120007743A KR20120007743A KR101388446B1 KR 101388446 B1 KR101388446 B1 KR 101388446B1 KR 1020120007743 A KR1020120007743 A KR 1020120007743A KR 20120007743 A KR20120007743 A KR 20120007743A KR 101388446 B1 KR101388446 B1 KR 10138844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il
powder
makeup
cosmetic composition
weight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077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86779A (ko
Inventor
공수성
현승수
김동명
Original Assignee
한국콜마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콜마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콜마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077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88446B1/ko
Publication of KR201300867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8677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884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88446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241Containing particulates characterized by their shape and/or structure
    • A61K8/0279Porous; Hollow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1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inorganic ingredients
    • A61K8/25Silicon; Compound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2Oils, fats or waxes; Derivatives thereof, e.g. hydrogenation product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00Make-up preparations; Body powders; Preparations for removing make-up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48Thickener, Thickening system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점탄성 성질을 갖는 고보습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55.0 내지 70.0 중량%의 메이크업 파우더와, 30.0 내지 45.0 중량%의 오일성분을 포함하되, 상기 메이크업 파우더는 0.1 내지 10.0 중량 %의 hollow 타입 실리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Composition for make up cosmetic and fabricating method of the same}
본 발명은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점탄성을 이용한 고보습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hollow 타입 실리카 와 덱스트린 팔미테이트, 글리세릴 비헤네이트/에이코사디오에이트(GLYCERYL BEHENATE/ELCOSADIOATE)를 이용하여 보습성분 40%이상을 함유하는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메이크업 화장료는 화장 부위에 따라 크게 투웨이 케이크, 파운데이션, 페이스 파우더 등의 베이스 메이크업 군과 립스틱, 네일화장품 등의 포인트 메이크업 군으로 분류할 수 있으며, 제형에 따라 유화형 파운데이션, 메이크업 베이스 등의 유화 타입과 스킨커버, 립스틱 등의 분산형 타입 및 투웨이 케이크, 페이스 파우더 등의 파우더 타입으로 분류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메이크업 화장료는 제형에 따라 약간의 차이는 있으나 대체적으로 스쿠알란과 같은 유성성분, 색상부여와 피부 결점을 커버하기 위해 사용되는 파우더 성분, 경도 및 제형 안정화를 높이기 위해 사용되는 왁스 및 오일 성분, 그리고 피부를 촉촉하게 하는 수용성 성분으로 구성된다.
파우더의 일반 특성을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이산화 티탄 및 아연화와 같은 파우더 성분의 경우, 제품의 피복력을 조절하는데 주로 이용되는데, 분체의 은폐력은 굴절률과 입자 지름의 크게 관여하게 된다. 이로 인해 고 굴절률을 가진 이산화티틴 및 아연화가 백색안료로 주로 사용되지만, 산화금속류의 특성으로 인해 제형 내에서 재 응집 현상이 발생하여 화장 후 뭉치는 현상을 야기하게 된다. 특히, 이산화 티탄 같은 경우는 그 구조가 사면체여서 피부에 도포 시 피부를 손상시키며, 전연성 및 사용성을 저하시키는 요인이 된다. 한편, 실리카, 나일론 파우더 및 폴리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 등과 같은 구상 파우더의 경우, 전연성과 퍼짐성이 우수하고 피지 흡수능력이 있으나, 보습감 및 밀착성이 나빠 화장의 지속성을 떨어뜨리고, 파우더 성형성을 저하시키며 피부 건조감을 일으키는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이를 해결하고자 과량의 보습 오일 성분 함유 시 표면의 케이킹이 발생하며, 발림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이로인해 메이크업 화장료의 보습능력은 그 한계가 있으며, 이를 해결하고자 오일 분산형 타입의 메이크업 화장료에 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으며, 이에 대한 연구도 보고되고 있다. [출원번호: 10-2008-0115035] 이는 왁스를 사용하지 않고 덱스트린 팔미테이드 오일 점증제를 이용한 분산형 메이크업 화장료를 제시하고 있다. 피부 부착 및 우수한 보습성을 지니고 있는 특성을 가지고 있으며, 화장료 제형의 다양성을 제시한 연구라 볼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연구에 한 단계 진보하여 hollow 타입의 실리카를 이용하여 오일 누유 현상을 차단하면서 사용감을 극대화 시키고, 고보습 특성을 나타내는 최적의 오일 점증제를 찾고자 한 것으로,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과제는, 점탄성 성질을 갖는 고보습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다른 과제는, 점탄성 성질을 갖는 고보습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해결하려는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해결하려는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은, 55.0 내지 70.0 중량%의 메이크업 파우더와, 30.0 내지 45.0 중량%의 오일성분을 포함하되, 상기 메이크업 파우더는 0.1 내지 10.0 중량 %의 hollow 타입 실리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해결하려는 다른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 방법은, 30.0 내지 45.0 중량%의 오일성분을 가온, 혼합하여 제1 혼합물을 형성하는 단계와, 55.0 내지 70.0 중량%의 메이크업 파우더를 균일하게 혼합하여 제2 혼합물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제2 혼합물을 혼합기에 투입하고, 상기 제1 혼합물을 분사하여 상기 제1 및 제2 혼합물을 혼합하여 파우더를 제조하는 단계와, 상기 파우더를 숙성시키는 단계와, 숙성된 상기 파우더를 용기에 충진한 후 성형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메이크업 파우더는 0.1 내지 10.0 중량 %의 hollow 타입 실리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에 의할 경우, 점탄성 성질을 갖는 고보습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이 제공된다. 즉, hollow 타입 실리카를 이용한 점탄성의 고보습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이 제공됨으로써, 40% 이상의 보습 성분이 함유되어 기존 메이크업 화장료의 건조함과 저조한 피부 지속성을 극대화 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을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은 55.0 내지 70.0 중량%의 메이크업 파우더와 30.0 내지 45.0 중량%의 오일성분을 포함할 수 있다.
메이크업 파우더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의 본체를 이룬다. 메이크업 파우더의 함량은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전체 중량의 55.0중량% 내지 70.0중량%이다. 메이크업 파우더의 함량이 55.0중량% 미만이면, 화장시 메이크업의 효과가 나타나지 않을 수 있다. 메이크업 파우더의 함량이 70.0중량%를 초과하면, 다른 제형과 조화를 이루는 안정성이 저하될 수 있어 바람직하지 않다.
메이크업 파우더는 점탄성의 고보습 특성을 담지하기 위해 0.1 내지 10.0 중량%의 hollow 타입 실리카(제공: 선진화학 SILNOS 130, 160, 190, 350)를 포함할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hollow 타입 실리카의 함량은 3.0 중량% 내지 6.0중량%일 수 있다.
상기 hollow 타입 실리카는 5 내지 10㎛의 입도, 1.5 내지 3.0cc/g의 흡유량, 100 내지 200㎡/g의 비표면적 및 0.6 내지 1.4cc/g의 기공부피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나열된 수치범위 밖에서는 메이크업 파우더의 점탄성 고보습 특성이 담지되기 어려울 수 있다.
hollow 타입 실리카의 함량이 0.1중량% 미만일 경우에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제형의 오일누유 현상이 발생하게 되어 제품의 품질이 저하될 수 있다. hollow 타입 실리카의 함량이 10.0중량%를 초과할 경우에는 제품의 보습감이 저하되며, 케이킹이 발생할 수 있다.
한편, 메이크업 파우더는 hollow 타입 실리카외에 탈크, 마이카, 카올린, 세리사이트, 실리카, 나일론파우더, 폴리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PMMA), 합성플루오르플로고파이트, 우레탄, 보론 나이트라이드, 이산화 티탄, 및 산화 아연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어느 하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상기 나열된 물질 만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메이크업 화장료의 물성을 개선할 수 있는 물질이라면 어느 것이든 포함될 수 있다.
다음으로,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의 보습성을 증진시키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은 오일성분을 포함할 수 있다.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의 전체에 대한 오일성분의 함량은 30.0 중량% 내지 45.0 중량%일 수 있다. 오일성분의 함량이 30.0 중량% 미만이면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의 보습효과가 나타나지 않을 가능성이 있다. 오일성분의 함량이 45.0중량%를 초과할 경우, 다른 제형과 조화를 이루는 안정성이 저하될 수 있어 바람직하지 않다.
오일성분에는 오일 점증제가 포함될 수 있다. 오일 점증제는 원료의 특성상 함량 범위에 따라서 오일의 점도를 조절 할 수 있으며, 오일의 종류 및 성상에 따라 약간의 차이가 발생하며, 점증제 조합 및 배합량에 따라 그 특성이 변하게 된다. 이러한 오일 점증제로는 덱스트린 팔미테이트, 글리세릴 비헤네이트/에이코사디오에이트 및 디스테아디모늄 헥토라이트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된 적어도 어느 하나가 사용될 수 있다.
오일성분에 대한 덱스트린 팔미테이트의 함량은 0.1 내지 5.0중량%일 수 있다. 덱스트린 팔미테이트의 함량이 0.1 중량% 미만일 경우,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의 점탄성 능력이 저하될 수 있다. 덱스트린 팔미테이트의 함량이 5.0중량%를 초과할 경우, 케이킹 현상이 발생될 수 있다.
한편, 오일성분에 대한 글리세릴 비헤네이트/에이코사디오에이트의 함량은 0.1 내지 5.0중량%일 수 있다. 글리세릴 비헤네이트/에이코사디오에이트의 함량이 0.1 중량% 미만일 경우, 오일 점증능력이 낮아 제형의 오일 누유 현상을 막지 못 할 수 있다. 글리세릴 비헤네이트/에이코사디오에이트의 함량이 5.0중량%를 초과할 경우, 점탄성 능력 저하 및 용해성이 떨어지므로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적용의 한계가 있다.
한편, 오일성분에 대한 디스테아디모늄 헥토라이트의 함량은 0.1 내지 5.0중량%일 수 있다. 디스테아디모늄 헥토라이트의 함량이 0.1 중량% 미만일 경우, 오일 점증능력이 낮아 제형의 오일 누유 현상을 막지 못 할 수 있다. 디스테아디모늄 헥토라이트의 함량이 5.0중량%를 초과할 경우, 점탄성 능력 저하 및 용해성이 떨어지므로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적용의 한계가 있다
한편, 오일성분은 폴리쿼터늄-51을 포함할 수 있다. 폴리쿼터늄-51은 메이크업 화장 후 피부에 존재하는 과량의 오일로 인해 발생될 수 있는 화장료 밀림 현상 및 끈적임을 차단할 수 있다. 오일성분에 대한 폴리쿼터늄-51의 함량은 0.1 내지 10.0중량%일 수 있다. 폴리쿼터늄-51의 함량이 0.1중량% 미만이면, 과량의 오일로 인해 발생될 수 있는 화장료 밀림 현상 및 끈적임을 차단하기 어려울 수 있다. 폴리쿼터늄-51의 함량이 10.0중량%를 초과할 경우, 전체적으로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의 제형의 안정성이 저하될 수 있다.
오일성분은 실리콘계 오일, 탄화수소계 오일, 고급 지방산계 오일, 에스테르계 오일, 글리세라이드계 오일, 라놀린계 오일, 및 식물성계 오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어느 하나를 더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메이크업 파우더 및 바인더의 함량은 제조되는 화장료의 제형에 따라 통상의 기술자가 공지 기술에 기초하여 용이하게 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은 색소, 향료, 증점제, 방부제, 계면활성제, 보습제, 킬레이트제와 같은 통상적인 첨가제를 하나 이상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첨가제의 종류 및 함량은 당업계에 공지된 기술을 바탕으로 통상의 기술자가 용이하게 정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메이크업 화장료라는 용어는 트윈케이크, 콤팩트, 파우더 팩트, 압축 파우더와 같은 습식 성형 팩트, 및 파운데이션과 같은 크림 투 파우더 팩트, 에멀젼팩트, 스킨커버 등을 포함하는 메이크업용 화장료를 광범위하게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된다. 메이크업 화장료의 예로는 트윈케이크, 콤팩트, 파우더 팩트, 압축 파우더, 또는 파운데이션을 들 수 있다. 통상의 기술자는 제조하고자 하는 화장료의 제형에 따라, 제형의 제제화에 필요한 첨가제의 종류와 함량을 용이하게 정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은 다음과 같이 제조될 수 있다.
먼저, 30.0 내지 45.0 중량%의 오일성분을 가온, 혼합하여 제1 혼합물을 형성한다. 이때, 온도는 실온에서 70℃ 내지 90℃의 범위로 가온할 수 있다. 70℃미만으로 가온될 경우 오일성분의 혼합이 잘 이루어지지 않을 수 있다. 90℃를 초과하여 가온될 경우, 오일성분에 포함된 일부 성분이 파괴될 수 있어, 제형의 안정성이 저하될 수 있다.
계속해서, 55.0 내지 70.0 중량%의 메이크업 파우더를 교반기에 투입하고, 균일하게 혼합하여 제2 혼합물을 형성한다.
계속해서, 상기 제2 혼합물을 혼합기에 투입하고, 상기 제1 혼합물을 분사하여 상기 제1 및 제2 혼합물을 혼합하여 파우더를 제조한다. 혼합기는 예를 들어 자전 공전식 믹서기일 수 있다. 혼합시 믹서기는 예를들어, 4000RPM으로 회전할 수 있다.
계속해서, 상기 형성된 파우더를 숙성시킨다. 파우더의 숙성은 20℃ 내지 30℃의 온도 분위기에서 18 내지 30시간 동안 수행될 수 있다. 숙성온도가 20℃ 미만이면 파우더의 숙성이 충분히 이루어지기 어렵다. 숙성온도가 30℃를 초과하면, 온도의 증가만큼 숙성의 정도가 향상되는 것은 아니므로, 공정의 경제성의 관점에서 바람직하지 않을 수 있다.
한편, 숙성시간이 18시간 미만이면 파우더의 숙성이 충분히 이루어지기 어렵다. 30시간 내에서 파우더의 숙성이 충분히 이루어질 수 있으므로, 숙성시간이 30시간을 초과하면, 공정의 경제성의 관점에서 바람직하지 않을 수 있다.
계속해서, 숙성된 상기 파우더를 성형 접시 위에 일정량 충진한 후 부직포를 이용하여 성형하여,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한다.
이하, 실시예를 들어 본 발명의 구성 및 효과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이들 실시예는 본 발명의 구성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하여 예시된 것일 뿐, 본 발명이 이들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실시예 1 내지 3-메이크업 화장료의 제조
다음과 같은 공정에 따라 메이크업 화장료를 제조하였다.
(1) 하기 표 1에 기재된 파우더 성분(원료 1~10)을 혼합하였다.
(2) 표 1에 기재된 바인더 성분(원료 11~16)을 혼합한 다음 80℃로 가온하였다.
(3) 상기 (1)을 자전 공전식 믹서기에 투입 후, 상기(2)를 분사한 후 4,000RPM으로 혼합, 제조하였다.
(4) 상기 제조된 파우더를 밀폐 후, 25℃에서 24시간 동안 숙성하였다.
(5) 숙성된 파우더를 성형 접시 위에 일정량 충진한 후 부직포를 대고 35psi 압력으로 2초간 타정하였다.
성분 함량(중량%)
1. 탈크 To. 100
2. 마이카 10.0
3. 세리사이트 10.0
4. 실리카 10.0
5. 이산화 티탄 10.0
6. 산화아연 1.0
7. 합성플루오르플로고파이트 5.0
8. 보론나이트라이드 4.0
9. 산화철 q.s
10. 메칠 파라벤, 프로필 파라벤(방부제) 0.2
11. 미네랄오일 10.0
12. 덱스트린 팔미테이트 0.5
13. 글리세릴 비헤네이트/에이코사디오에이트 7.0
14. 에칠헥실 팔미테이트 1.0
15. 폴리쿼터늄-51 2.0
16. 이소데실 네오펜타노에이트 10.0
17. 디메치콘 10.0
*여기서, 산화철의 q.s는 전체 조성에 따라 변화되는 양을 의미한다.
성분 특징 실시예 비교예
입도
(㎛)
흡유량
(cc/g)
비표면적
(m2/g)
기공부피
(cc/g)
1 2 3 1
1.non-hollow 실리카 7.0~10.0 0.6~1.0 259.0 0.65 - 4.0 6.0 10.0
2. hollow 실리카 7.0~10.0 2.3~2.7 149.0 1.00 10.0 6.0 4.0 -
함량: 중량%
비교예 1 및 2-건식 성형 팩트 제조
다음과 같은 공정에 따라 메이크업 화장료를 제조하였다.
(1) 하기 표 3에 기재된 파우더 성분(원료 1~10)을 혼합하였다.
(2) 표 3에 기재된 바인더 성분(원료 11~15)을 혼합한 다음 80℃로 가온하였다.
(3) 상기 (1)에 상기(2)를 분사한 후 2회 분쇄하여 파우더상을 제조하였다.
(4) 상기 파우더 성분을 60mesh 여과망을 이용해 1회 여과한 후 성형 접시 위에 일정량 충진한 다음 성형천을 대고 120psi 압력으로 3초간 타정하였다.
성분 함량(중량%)
1. 탈크 To. 100
2. 마이카 15.0
3. 세리사이트 15.0
4. 실리카 10.0
5. 이산화 티탄 10.0
6. 산화아연 1.0
7. 폴리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PMMA) 2.0
8. 보론나이트라이드 1.5
9. 산화철 q.s
10. 메칠 파라벤, 프로필 파라벤(방부제) 0.2
11. 헥실 라울레이트 3.0
12. 해바라기씨 오일 2.0
13. 라놀린 1.0
14. 이소스테아릴 말레이트 1.5
15. 디메치콘 1.5
*여기서, 산화철의 q.s는 전체 조성에 따라 변화되는 양을 의미한다.
평가
실시예 1 내지 3 및 비교예 1 내지 2에서 얻어진 메이크업 화장료 샘플의 사용감 및 화장 지속성을 알아보기 위해 20세 내지 30세의 여성 30명을 대상으로 소비자 패널 테스트를 실시하고, 화장 시의 보습감, 터치감, 부착성, 지속성, 발수성 및 덧바름성 항목을 평가하였으며, 그 결과의 평균값을 하기 표 4에 나타내었다.
구분 보습감 터치감 부착성 지속성 발수성 덧바름성 합계
비교예 1 평가 불가
비교예 2 3.0 3.1 3.0 3.5 3.0 3.5 19.1
실시예 1 4.0 4.1 4.3 4.5 4.9 4.0 22.8
실시예 2 4.8 4.7 4.5 4.5 4.9 4.2 27.6
실시예 3 4.5 4.3 4.5 4.5 4.9 4.0 26.7
* 평가 기준
5: 매우 우수함
4: 우수함
3: 보통
2: 나쁨
1: 매우 나쁨
위의 결과를 볼 때, hollow 실리카 미 첨가 시, 높은 오일 함량 수치로 인해 파우더 성형이 되지 않으며, 제품 평가가 불가능 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일정 함량 이상의 hollow 실리카가 추가되면 과량의 오일을 흡유하고, 화장료 피부 도포 시 보습감을 제공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이로 인해 건식 제형에 비해 보습감, 터치감, 부착성 및 덧바름성이 매우 우수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제품 그림 1에서 알 수 있듯이 발수 특성이 매우 높아져 메이크업 화장료의 화장 지속성을 극대화 시키고 있다.
실시예 4 내지 8- 덱스트린 팔미테이트를 통한 성형 안정성 향상 메이크업 화장료 제조
(1) 상기 표 1에 기재된 파우더 성분(원료 1~10)을 혼합하였다.
(2) 표 1에 기재된 바인더 성분(원료 11~16:원료 12,13 제외)과 표 5의 바인더 성분(원료 3~4)를 혼합한 다음 80℃로 가온하였다.
(3) 상기 (1)을 자전 공전식 믹서기에 투입 후, 상기(2)를 분사한 후 4,000RPM으로 혼합, 제조하였다.
(4) 상기 제조된 파우더를 밀폐 후, 25℃에서 24시간 동안 숙성하였다.
(5) 숙성된 파우더를 성형 접시 위에 일정량 충진한 후 부직포를 대고 35psi 압력으로 2초간 타정하였다.
성분 실시예 비교예
2 5 6 7 8 3
3. 덱스트린 팔미테이트 0.5 1.5 - - - -
4. 글리세릴 비헤네이트/
에이코사디오에이트
1.0 - 1.5 - 1.0 -
5. 디스테아디모늄 헥토라이트 - 1.5 0.5 -
함량: 중량%
평가
실시예 2~8 및 비교예 3 에서 얻어진 메이크업 화장료 샘플을 70cm에서 5회 낙하 후 성형 안정성 및 케이킹, 오일누유 현상 및 사용감을 평가하였다.
구분 성형 안정성 케이킹 오일 누유 사용감
비교예 3 3.0 3.0 2.5 4.1
실시예 2 4.5 4.5 4.5 4.6
실시예 5 4.2 3.4 4.7 3.8
실시예 6 3.8 3.5 3.7 4.2
실시예 7 4.8 3.0 4.0 3.8
실시예 8 4.8 3.0 4.2 4.0
* 평가 기준
5: 매우 우수함
4: 우수함
3: 보통
2: 나쁨
1: 매우 나쁨
위의 결과를 볼 때, 각각의 오일 점증제는 점도 형성에 있어서 고유한 특성을 보여주고 있다. 덱스트린 팔미테이트는 오일 누유 차단 능력이 우수하나, 케이킹이 발생한다. 글리세릴 비헤네이트/에이코사디오에이트와 디스테아디모늄 헥토라이트 역시 사용감 및 성형 안정성을 높여주는 효과가 있으나, 이들 역시 케이킹이 발생하거나 오일누유가 심하게 나타난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일정량의 오일 점증제가 복합적으로 들어 있을 때 가장 이상적인 특성을 갖게 된다. 이는 상호 단점을 보완, 개선시켜 제품 품질을 한 단계 향상시키는 중요한 요소로 볼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제조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Claims (9)

  1. 55.0 내지 70.0 중량%의 메이크업 파우더; 및
    30.0 내지 45.0 중량%의 오일성분을 포함하되,
    상기 메이크업 파우더는 0.1 내지 10.0 중량 %의 hollow 타입 실리카를 포함하고 상기 오일 성분은 오일 점증제를 포함하되,
    상기 오일 점증제는 0.1 내지 5.0중량%의 덱스트린 팔미테이트, 0.1 내지 5.0중량%의 글리세릴 비헤네이트/에이코사디오에이트 및 0.1 내지 5.0중량%의 디스테아디모늄 헥토라이트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hollow 타입 실리카는 5 내지 10㎛의 입도, 1.5 내지 3.0cc/g의 흡유량, 100 내지 200㎡/g의 비표면적 및 0.6 내지 1.4cc/g의 기공부피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이크업 파우더는 탈크, 마이카, 카올린, 세리사이트, 실리카, 나일론파우더, 폴리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PMMA), 합성플루오르플로고파이트, 우레탄, 보론 나이트라이드, 이산화 티탄, 및 산화 아연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어느 하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4. 삭제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오일성분은 0.1 내지 10.0중량%의 폴리쿼너늄-51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오일성분은 실리콘계 오일, 탄화수소계 오일, 고급 지방산계 오일, 에스테르계 오일, 글리세라이드계 오일, 라놀린계 오일, 및 식물성계 오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어느 하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7. 제1 항에 있어서,
    색소, 향료, 증점제, 방부제, 계면활성제, 보습제 및 킬레이트제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어느 하나의 첨가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8. 오일 점증제를 포함하되 상기 오일 점증제는 0.1 내지 5.0중량%의 덱스트린 팔미테이트, 0.1 내지 5.0중량%의 글리세릴 비헤네이트/에이코사디오에이트 및 0.1 내지 5.0중량%의 디스테아디모늄 헥토라이트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일 성분 30.0 내지 45.0 중량%를 가온, 혼합하여 제1 혼합물을 형성하는 단계;
    55.0 내지 70.0 중량%의 메이크업 파우더를 균일하게 혼합하여 제2 혼합물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제2 혼합물을 혼합기에 투입하고, 상기 제1 혼합물을 분사하여 상기 제1 및 제2 혼합물을 혼합하여 파우더를 제조하는 단계;
    상기 파우더를 숙성시키는 단계;
    숙성된 상기 파우더를 용기에 충진한 후 성형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메이크업 파우더는 0.1 내지 10.0 중량 %의 hollow 타입 실리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 방법.
  9.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파우더를 숙성시키는 단계는, 20℃ 내지 30℃의 온도 분위기에서 18 내지 30시간 동안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 방법.
KR1020120007743A 2012-01-26 2012-01-26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Active KR10138844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07743A KR101388446B1 (ko) 2012-01-26 2012-01-26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07743A KR101388446B1 (ko) 2012-01-26 2012-01-26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86779A KR20130086779A (ko) 2013-08-05
KR101388446B1 true KR101388446B1 (ko) 2014-04-24

Family

ID=492138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07743A Active KR101388446B1 (ko) 2012-01-26 2012-01-26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8844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644485B2 (ja) * 2014-07-23 2020-02-12 日光ケミカルズ株式会社 粉体化粧料
CN105982832B (zh) * 2015-03-05 2021-06-01 株式会社爱茉莉太平洋 固体型彩妆化妆品组合物
JP6621602B2 (ja) * 2015-06-12 2019-12-18 株式会社コスモステクニカルセンター 粉体化粧料
KR102153070B1 (ko) * 2017-06-14 2020-09-07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커버력 및 밀착성이 우수한 색조 파우더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2321529B1 (ko) * 2019-06-17 2021-11-04 코스맥스 주식회사 무수형 아이브로우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KR102223210B1 (ko) * 2019-08-28 2021-03-08 주식회사 비제이바이오켐 실리카 세라마이드 복합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KR102142240B1 (ko) * 2020-03-27 2020-08-06 선진뷰티사이언스(주) 천연 무기분체 유래의 탄성을 가지는 화장용 파우더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194279B1 (ko) * 2020-06-25 2020-12-22 코스맥스 주식회사 메이크업 밀착력 강화 및 묻어남 방지를 위한 양이온성 화장료 조성물
KR102557085B1 (ko) * 2020-12-29 2023-07-20 주식회사 코스메카코리아 오일 겔화제를 포함하는 수중유형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02372A (ko) * 1998-06-19 2000-01-15 성재갑 피지 흡유능이 우수한 분백류 색조화장료 조성물
KR20050112087A (ko) * 2003-03-31 2005-11-29 가부시키가이샤 시세이도 속눈썹용 화장료
KR20080028992A (ko) * 2005-08-10 2008-04-02 더 프록터 앤드 갬블 캄파니 중공 실리카 입자, 그를 함유하는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KR20110001539A (ko) * 2009-06-30 2011-01-06 한국콜마 주식회사 유기자외선 차단제가 담지된 중공성 구형 실리카 복합안료의 제조방법 및 이를 함유한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02372A (ko) * 1998-06-19 2000-01-15 성재갑 피지 흡유능이 우수한 분백류 색조화장료 조성물
KR20050112087A (ko) * 2003-03-31 2005-11-29 가부시키가이샤 시세이도 속눈썹용 화장료
KR20080028992A (ko) * 2005-08-10 2008-04-02 더 프록터 앤드 갬블 캄파니 중공 실리카 입자, 그를 함유하는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KR20110001539A (ko) * 2009-06-30 2011-01-06 한국콜마 주식회사 유기자외선 차단제가 담지된 중공성 구형 실리카 복합안료의 제조방법 및 이를 함유한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86779A (ko) 2013-08-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88446B1 (ko)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KR20160102762A (ko) 실리콘 오일 및 에몰리언트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40118504A (ko) 파우더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20180017811A (ko) 도포성 및 성형성이 향상된 압축 파우더 화장료 조성물
KR101605813B1 (ko) 고함량의 실리콘 오일 및 에몰리언트를 함유하는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KR101284426B1 (ko) 에탄올, 물, 및 글리세린의 혼합 용제를 이용하여 제조된 화장료
KR20120091579A (ko) 소성 타입의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KR20130055333A (ko) 메이크업 수정용 화장료 조성물 및 제조 방법
KR101766682B1 (ko) 우레탄 파우더를 포함하는 에멀젼 바인더,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1630825B1 (ko) 화장 지속성이 우수한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1380373B1 (ko) 휘발성 혼합 용제를 이용한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 방법 및 그 화장료 조성물
KR100702035B1 (ko) 분체 화장료서의 입체 3차원 테라코타 색조 화장료의 조성 및 제조 방법
KR102249022B1 (ko) 수중유 에멀젼을 포함하는 파우더 화장료 조성물
KR101135252B1 (ko) 휘발성 실리콘 오일 및 실리콘 레진을 함유하는 케이크 타입의 습식성형 팩트 조성물
KR102332575B1 (ko) 분체 화장료로서 3차원 입체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434299B1 (ko)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KR20130122232A (ko) 커버력과 보습력이 우수한 파우더 조성물
KR101340274B1 (ko) 파우더 화장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1727028B1 (ko) 무정형 실리카를 유효성분으로 하는 파우더형 아이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JP4484649B2 (ja) 固型粉末メーキャップ化粧料の製造方法
KR101978370B1 (ko) 화장 지속성이 우수한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KR20140110400A (ko) 수분산 폴리머를 포함하는 고체 타입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KR101117559B1 (ko) 소수성 다공성 파우더 및 수용성 보습성분을 유효성분으로함유하는 보습용 분말형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144469B1 (ko) 수분산 바인더와 파우더 혼합물을 함유하는 오일-프리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KR102395903B1 (ko) 화장료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20126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N2301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date: 20121023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code: PN23011R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30823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40117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40417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40418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27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327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19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319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319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324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