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249022B1 - 수중유 에멀젼을 포함하는 파우더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수중유 에멀젼을 포함하는 파우더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49022B1
KR102249022B1 KR1020150150880A KR20150150880A KR102249022B1 KR 102249022 B1 KR102249022 B1 KR 102249022B1 KR 1020150150880 A KR1020150150880 A KR 1020150150880A KR 20150150880 A KR20150150880 A KR 20150150880A KR 102249022 B1 KR102249022 B1 KR 10224902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der
oil
water
cosmetic composition
weight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508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51582A (ko
Inventor
권성호
김희용
서은주
이준배
박명삼
Original Assignee
코스맥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스맥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코스맥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1508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49022B1/ko
Publication of KR201700515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5158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490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49022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4Dispersions; Emulsions
    • A61K8/06Emulsions
    • A61K8/062Oil-in-water emuls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216Solid or semisolid forms
    • A61K8/022Powders; Compacted Powd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1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inorganic ingredi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2Oils, fats or waxes; Derivatives thereof, e.g. hydrogenation product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2Oils, fats or waxes; Derivatives thereof, e.g. hydrogenation products thereof
    • A61K8/922Oils, fats or waxes; Derivatives thereof, e.g. hydrogenation products thereof of vegetable orig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2Oils, fats or waxes; Derivatives thereof, e.g. hydrogenation products thereof
    • A61K8/925Oils, fats or waxes; Derivatives thereof, e.g. hydrogenation products thereof of animal orig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Dermatology (AREA)
  • Zoology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중유 에멀젼, 복합 파우더 및 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에 있어서, 제조 시 건조 단계를 거치지 않도록 하여 수분을 다량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우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수중유와 파우더를 조합하여 만들어지는 소성 타입의 파우더와 파운데이션 타입 액상의 중간형태인 본원발명의 파우더 화장료 조성물은 수분을 다량 함유하고 있어 케이킹 및 크리즈 현상이 없을 뿐만 아니라 쿨링감, 보습감, 탄성감 및 퍼짐성이 종래의 화장료 조성물들 보다 현저하게 우수하다.

Description

수중유 에멀젼을 포함하는 파우더 화장료 조성물{Powder cosmetic composition comprising oil-in-water emulsion and preparation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수중유 에멀젼을 포함하는 파우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 수중유 에멀젼, 복합 파우더 및 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에 있어서, 제조 시 건조 단계를 거치지 않도록 하여 수분을 다량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우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기존에는 수중유 에멀젼과 파우더가 만나는 방식의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은 수중유 에멀젼에 파우더를 포함시켜 액상으로 만드는 파운데이션 타입의 화장료 조성물과 수중유 에멀젼과 파우더를 혼합하여 형태를 잡은 후 건조하여 만드는 소성타입 화장료 조성물이 있었다. 파운데이션 타입의 액상의 화장료 조성물은 파우더의 함유량이나 조합에 약간의 한계가 있어 파우더리한 감을 많이 주기 어려웠다. 반대로 소성 타입의 건식의 화장료 조성물은 파우더의 함량이 높기 때문에 촉촉한 사용감을 내기에는 어려움이 있었다.
상기의 상반된 두 화장료 조성물의 중간 타입으로서 각각의 장점을 살리면서 단점을 어느 정도 보완하기 위해 개발된 것도 있다. 한국공개특허 2011-0021639호, 실리콘 엘라스토머를 함유하는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및 한국등록특허 1438369호, 가교 고분자를 이용한 아이섀도 화장료 조성물에서 액상성분이 많이 함유된 화장료 조성물이 개발되었으나, 상기 특허들은 다량의 오일을 사용하고 고가의 원료가 들어가기 때문에 단가가 높고, 케이킹과 크리즈 현상이 있었으며, 이러한 현상이 낮은 경우에도 무겁고 오일리한 마무리감으로 인해 사용감의 한계가 있다.
더불어 한국공개특허 2001-0105288호, 특정 바인더를 함유하는 파우더 형태의 메이크업 및/또는 화장 케어 조성물에서는 수성 연속상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이크업 및 화장 케어 조성물을 개발하였으나 단순 혼합 방식의 제조방법과 수분 포집의 한계로 인해 수분 함량을 많이 두지 못하는 문제를 가지고 있어 충분한 수분감이나 쿨링감을 줄 수 없을 것으로 판단된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종래 기술의 장점은 최대한 유지하면서도 단점을 보완하고 차별화하기 위하여, 수중유 에멀젼, 복합 파우더 및 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에 있어서, 수중유 에멀젼 조성물 중 수분산성 엘라스토머를 포함하도록 하여 수분의 포집을 용이하게 하면서 건조 단계를 거치지 않도록 하여 수분을 다량 함유하는 파우더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는 경우, 수분을 다량 함유하고 있어 케이킹 및 크리즈 현상이 없고 쿨링감, 보습감, 탄성감 및 퍼짐성이 우수하다는 것을 확인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KR 10-2011-0021639 A KR 10-1438369 B KR 10-2001-0105288 A
따라서, 본 발명의 주된 목적은 케이킹 및 크리즈 현상이 없고 쿨링감, 보습감, 탄성감 및 퍼짐성이 우수한 수중유 에멀젼을 포함하는 파우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한 양태에 따르면, 수중유 에멀젼 및 복합 파우더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에 있어서, 제조 시 건조 단계를 거치지 않도록 하여 수분을 다량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우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수분을 다량 함유하는’의 의미는 프레스 파우더타입 조성물로서 상대적으로 높은 수분을 가지는 제품이라는 것으로, 이는 종래의 프레스 파우더타입 제품이 파우더성분+오일이라는 점에서 차별화된다.
본 발명은 종래에 수중유 에멀젼에 파우더를 혼합하여 액상으로 만드는 파운데이션 타입의 화장료 조성물과 수중유 에멀젼과 파우더를 혼합하여 건조하여 만드는 소성타입 화장료 조성물의 중간 타입의 파우더 화장료 조성물로, 제형이 파우더 화장료 조성물임에도 불구하고 파운데이션 타입이 주는 우수한 보습감 및 퍼짐성을 갖는 동시에 일반 소성타입의 화장료 조성물과는 달리 건조하지 않아 건조하지 않고 촉촉함을 가지며, 수중유 에멀젼에 수분산성 엘라스토머를 함유하도록 하고 건조 단계를 거치지 않아 쿨링감 및 보습감이 우수하다. 또한, 본 발명은 수중유 에멀젼에 수분산성 엘라스토머를 함유하도록 하여 물이나 폴리올의 포집을 용이하도록 함으로써 파우더 화장료 조성물의 크리미한 질감을 주도록 하였다.
상기 수중유 에멀젼, 복합 파우더, 물에 대해서, 수중유 에멀젼은 별도의 유화 혹은 분산혼합 단계를 거쳐 선 제조되며 복합 파우더는 별도의 혼합 분산 단계를 거쳐 선 제조된 후 각각의 수중유 에멀젼, 복합 파우더, 물을 서로 혼합하여 페이스트 형상을 만드는 단계, 이를 압출하여 성형 접시 혹은 용기, 그 자체로서 성형 모양을 잡는 단계를 거쳐 제조 된다. 이때, 물은 페이스트 상의 상태에 따라 포함 또는 미포함 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수중유 에멀젼, 복합 파우더 및 물은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 대비 각각 35 내지 50 중량%, 45 내지 60중량% 및 0.01 내지 5 중량%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복합 파우더 대비 수중유 에멀젼 양이 상기 범위를 벗어나 복합파우더가 많은 경우에는 사용감에서 건조한 느낌이 드는 것은 물론 압출성형방식에 있어 파우더의 뭉침이 적어져 성형이 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사용시 부서짐이 생기며, 반대로 복합 파우더가 적은 경우에는 액상이 너무 많아 내용물의 유동성이 커져 팬이나 성형접시, 틀 등에 내용물을 성형하기 힘들 뿐만 아니라 압출성형방식에서 내용물의 유동성이 너무 커져 성형을 할 수 없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수중유 에멀젼은 수상, 수용성 증점제 또는 겔화제, 수분산성 엘라스토머, 계면활성제, 오일 및 기타 첨가제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기타 첨가제는 향, 방부제 또는 pH 조절제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수중유 에멀젼은 수상, 수용성 증점제 또는 겔화제, 수분산성 엘라스토머, 계면활성제, 오일 및 기타 첨가제는 수중유 에멀젼 조성물 총 중량 대비 각각 60 내지 90중량%, 0.01 내지 5중량%, 2 내지 15중량%, 1 내지 40중량% 및 0.1 내지 3중량%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오일은 실리콘 유화제, O/W 유화제, W/O 유화제 및 분산제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오일과 에스터계, 실리콘계, 탄화수소계, 왁스, 천연오일 및 동식물성 액상 유지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오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복합 파우더는 일반적인 파우더 화장품에 포함되는 파우더들의 조합물을 의미하며, 종래에 파우더 화장료 조성물에 포함되는 어떠한 파우더류도 포함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탤크, 마이카, 합성운모, 세리사이트, 실리카, 이산화 티탄, 실리콘계 파우더, 보론 파우더, 징크옥사이드, 나일론 파우더, 폴리메타크릴레이트 파우더, 우레탄 파우더, 아크릴레이트 (코)폴리머, 폴리에틸렌 (코)폴리머, 유기계 색소안료, 무기계 색소 안료 및 진주 광택 안료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복합 파우더는 표면처리 되지 않을 수도 있으나, 실리콘, 금속염, 지방산, 아미노산, 라우로일라이신 또는 레시틴으로 표면처리 된 것일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실험예에 따르면, 본원발명의 파우더 화장료 조성물인 실시예들이 비교예들보다 모든 사용성면에서 우수한 것을 확인하였으며, 더욱이 수분산성 엘라스토머를 함유할 경우 수분 포집이 우수하여 건조 감량 면에서 안정한 것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로 볼 때, 본원발명의 파우더 화장료 조성물은 수분 포집이 우수하므로 수분을 다량 함유함으로써 우수한 사용감을 제공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실험예 1-3 참조).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수중유와 파우더를 조합하여 만들어지는 소성 타입의 파우더와 파운데이션 타입 액상의 중간형태인 본원발명의 파우더 화장료 조성물은 수분을 다량 함유하고 있어 케이킹 및 크리즈 현상이 없을 뿐만 아니라 쿨링감, 보습감, 탄성감 및 퍼짐성이 종래의 화장료 조성물들 보다 현저하게 우수하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들 실시예는 단지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이므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지는 않는다.
본 발명자들은 하기 표 1에서의 조성과 같이 3가지 그룹으로 구성하여 실시하였으며, 하기 표 2에서의 조성과 같이 그룹 1을 다시 6가지 그룹으로 구성하여 실시하였다. 하기 실시예에 따르면, 수중유 에멀젼 35~55 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40~50 중량%), 복합 파우더 45~65 중량%, 물(정제수) 0~5 중량%를 포함할 수 있으며, 그룹 1의 수중유 에멀젼은 물을 포함하는 수상 60~90 중량%, 수용성 증점 혹은 겔화제를 0.01~5 중량%, 수분산성 엘라스토머 2~15 중량 %, 복합 오일계(계면활성제 및 오일) 1~40%, 기타 첨가제 0.1~3 중량 %를 포함한다.
성분 함량(중량%)
그룹 1 수중유 에멀젼 35 ~ 55
그룹 2 복합 파우더 45 ~ 65
그룹 3 물(정제수) 미포함 ~ 5
성분 함량(중량%)
그룹 1-1 수상 60 ~ 90
그룹 1-2 수용성 증점제 혹은 겔화제 0.1 ~ 10
그룹 1-3 수분산성 엘라스토머 2 ~ 15
그룹 1-4 계면활성제 0.5 ~ 4.5
그룹 1-5 오일 0.5 ~ 39.5
그룹 1-6 기타 첨가제 0.1 ~ 3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제조 방법은 상기 그룹 1 내지 3에 대해서 제공되며, 그룹 1은 그룹 1-1내지 1-6에 의해 제공된다. 상기 그룹 1은 별도로 그룹 1-1 내지 1-6를 유화과정을 통해 만들어지는 단계, 그룹 2는 서로 분산 및 혼합하는 단계를 각각 거친 후 그룹 1 내지 그룹 3을 서로 혼합하는 페이스트상을 만드는 단계 이렇게 혼합된 페이스트 상을 압출하여 성형접시 혹은 용기, 그 자체로서 성형하여 모양을 잡는 단계를 거쳐 제조된다.
상기 그룹 1(수중유 에멀젼)은 그룹 1-1(수상) 60~90 중량%, 그룹 1-2(수용성 점증 및 겔화제) 0.1~5 중량%, 그룹 1-3(수분산성 엘라스토머) 0.1~5 중량%, 그룹 1-4(계면활성제) 0.5~4.5 중량%, 그룹 1-5(오일) 0.5~ 39.5 중량%, 그룹 1-6(기타 첨가제) 0.1~3 중량%를 포함한다.
상기 수상은 물(정제수)를 포함하여 보습제로서 Glycerine, Sorbitol, Manitol, Xilytol, Glycol류 (butylene glycol, propylene glycol, diethylene glycol, dipropylene glycol,polyethylene glycol 등)을 포함하는 다가알코올(1분자내에 다수의 Hydroxyl Group을 가지는 알코올)을 포함하거나 미포함 할 수 있다.
상기 수용성 점증 및 겔화제는 Carrageenan, Agar, Gellan gum, Xanthan gum, Cellulose gum, Starch 등 수용성 다당류나 이를 포함하는 복합물질; Montmrillonite, Hectorite, Bentonite, Silicate, Kolin, Zeolite 등의 수분산이 가능한 무기 겔화제를 포함한다.
상기 수분산성 엘라스토머는 silicone gel, hydrophilic functional group branched silicone, hydro silicone elastomer, hydro carbone polymer 등 수분산이 가능한 엘라스토머 폴리머를 통칭하며, 예컨대 다우코닝사의 DC9801 hydro elastomer blend (dimethicone/vinyl dimethicone crosspolymer & butylene glycol & silica) 혹은 DC 7040 hydro elastomer blend (caprylyl methicone & PEG-12 dimethicone/PPG-20 crosspolymer), 신에츠사의 KF 578 hydrophilic functional group branched silicone (acrylates/ethylhexyl acrylate/dimethicone methacrylate copolymer)를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더불어 파우더상의 수분산성 엘라스토머는 상기 복합 파우더에 포함될 수도 있다.
상기 계면활성제는 O/W 또는 S/W 유화제, 분산제를 포함한다.
상기 오일은 트리에칠헥사노인, 디이소스테릴 말미테이트, 트리글리세라이드 등의 에스터계; 디메치콘, 페닐트리메치콘, 등의 실리콘계; 유동파라핀, 스쿠알란, 미네랄오일, 트리글리세린 등의 탄화수소계; 캐스터 확스, 카나우바 왁스, 호호바 왁스 등의 왁스; 올리브유, 마카다미아 넛 오일, 썬플라워 오일 등 천연 오일; 야자유, 팜유, 마유 동식물성 액상 유지 등 오일 및 이들이 혼합된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타 첨가제는 기타첨가제는 방부제, 컨셉성분, 미량의 기능성 원료, 향료, 중화제 등을 포함한다.
상기 그룹 2(복합파우더)는 탤크, 마이카, 합성운모, 세리사이트, 실리카, 이산화 티탄, 실리콘계 파우더, 보론 파우더, 징크옥사이드, 나일론 파우더, 폴리메타크릴레이트 파우더, 우레탄 파우더, 아크릴레이트 (코)폴리머, 폴리에틸렌 (코)폴리머, 유기계 색소안료, 무기계 색소 안료, 진주 광택 안료 등 파우더에서 1종 이상을 포함하며, 상기 파우더는 실리콘, 금속염, 지방산, 아미노산, 라우로일라이신, 레시틴 등으로 표면처리 되거나 되지 않은 것을 포함하며, 최소 한가지 이상을 포함한다.
상기 그룹 3(물(정제수))는 반드시 포함되는 것은 아니며, 그룹 1과 그룹 2가 혼합된 벌크의 상태에 따라 포함 혹은 미포함됨을 포함한다.
상기 파우더 화장료 조성물은 팩트, 블러셔, 아이섀도우 등으로 이루어지는 파우더 형태의 제품군에 적용이 가능하며 원하는 색상이나 펄감, 사용감에 따라 구성을 변경 할 수 있다.
에멀젼 실시예 1 내지 5 및 에멀젼 비교예 1 내지 5: 에멀젼 제조
화장료 조성물 제조에 있어 우선 에멀젼 제조는 상기 제조 방법에서 그룹 1의 별도 그룹 1-1 내지 1-6의 유화과정을 통해 만들어지는 단계로서, 에멀젼 실시예 1 내지 5와 에멀젼 비교예 1 내지 5는 하기 표 3의 성분 및 함량으로 수중유 유화방식으로 제조되었으며, 어느 정도의 안정화를 기준으로 선정하였다.
구분 에멀젼실시예1 에멀젼실시예2 에멀젼실시예3 에멀젼비교예1 에멀젼비교예2 에멀젼비교예3 에멀젼실시예4 에멀젼실시예5 에멀젼비교예4 에멀젼비교예5
그룹 1-1 정제수 (물)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다가 알코올 3.0 3.0 3.0 3.0 3.0 3.0 3.0 3.0 3.0 3.0
그룹 1-2 수용성 점증제 및 겔화제 2.5 2.5 2.5 2.5 2.5 5.0 2.5 2.5 2.5 2.5
그룹 1-3 수분산성 엘라스토머 5.0 5.0 5.0 5.0 5.0 5.0 10 15 - 20
그룹 1-4 계면활성제 2.5 2.5 2.5 2.5 5.0 2.5 2.5 2.5 2.5 2.5
그룹 1-5 오일 10.0 20.0 30.0 40.0 20.0 20.0 10.0 10.0 10.0 10.0
그룹 1-6 기타첨가제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상기 에멀젼 실시예 1 내지 5 및 에멀젼 비교예 1 내지 5의 제조방법은 하기와 같다.
1) 그룹 1-1에 그룹 1-2의 일부 내지 그룹 1-3을 완전히 풀리도록 아지믹서에서 별도로 가온 혼합한다.
2) 그룹 1-4내지 그룹 1-5를 상기 1)에 넣고 65℃에서 호모믹서에서 유화하고 그룹 1-2의 일부를 넣고 점도가 충분히 형성될 수 있도록 호모믹서로 분산한 뒤 30℃ 이하로 냉각, 탈포, 여과하여 에멀젼을 제조하였다.
조성물 실시예 1 내지 5 및 비교예 1 내지 7: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
화장료 조성물 제조에 있어 주요 제조 방법은 상기 제조방식 기초로 하였다. 조성물 실시예 1 내지 5는 각각의 숫자 번화가 일치하는 에멀젼 실시예 1 내지 5를 적용하였으며, 조성물 비교예 1 내지 5는 각각의 숫자 번화가 일치하는 에멀젼 비교예 1 내지 5를 적용하였다. 더불어 조성물 비교예 6은 기존 오일베이스 젤리타입의 예이고, 비교예 7은 실시예 2에서 건조단계를 포함한 것이다.
구분 조성물 실시예 1 내지 5 조성물 비교예 1 내지 5 조성물
비교예6
조성물
비교예 7
그룹 1 유중수 에멀젼 (표2참조) 동일 번호의 에멀젼 실시예 동일 번호의 에멀젼 비교예 - 에멀젼 실시예2
40.0 40.0 - 40.0
하이드로카본겔 - - 10.0 -
실리콘 겔 - - 10.0 -
실리콘 오일 - - 5.0 -
기타 오일 (탄화수소계 및 에스터계 오일) - - 10.0 -
기타 첨가제 - - 5.0 -
그룹 2 탤크 적량 적량 적량 적량
마이카 15.0 15.0 15.0 15.0
보론파우더 3.0 3.0 1.0 3.0
실리콘 엘라스토머 파우더 2.7 2.7 3.5 2.7
폴리메타크릴레이트 파우더 0.6 0.6 0.5 0.6
실리카 - - 1.5 -
나일론 파우더 0.5 0.5 - 0.5
폴리에틸렌 복합 파우더 0.9 0.9 0.5 0.9
금속 비누 0.3 0.3 1.0 0.3
첨가제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색소 안료 1.3 1.3 1.3 1.3
진주 광택 안료 30.0 30.0 30.0 30.0
그룹 3 실리콘 베이스 - - 적량 -
정제수 (물) 적량 적량 - 적량
상기 조성물 실시예 1 내지 5와 조성물 비교예 1 내지 7의 제조방법은 하기와 같다.
1) 상기 그룹 1과 그룹 2를 상온에서 리본믹서 또는 만능혼합기 등에서 고르게 분산 반죽하여 페이스트상의 파우더 복합물을 만든다. 이때, 상기 비교예 6의 그룹 1은 모두 평량하여 아지믹서로 충분히 프리믹싱한 후 투입한다. 더불어 페이스트상의 파우더 복합물을 만들 때 반죽 상태에 따라 그룹 3을 적량 첨가한다. 이때, 그룹 2의 원료의 일부는 코팅된 원료가 적용되었다.
2) 상기 1)의 파우더 복합물을 압출 성형 공정을 거쳐 원하는 형태로 성형한 후 최종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3) 단, 비교예 7만은 65~70℃에서 8시간 이상 건조하였다.
시험예 1: 사용성 평가 1 ( 케이킹없음 , 크리즈없음 , 쿨링감 , 보습감 , 탄성감 , 퍼짐성)
상기 조성물 실시예 1 내지 3 및 조성물 비교예 1 내지 3, 조성물 비교예 6 내지 7에서 제조된 화장료 조성물의 사용성을 평가하였다. 평가는 25세에서 40세 사이의 20명의 패널을 대상으로 5점 만점으로 평가하였다. 사용성은 밀착력, 지속력, 사용감, 가루날림없음을 대상으로 하였다. 그 결과를 하기 표 5에 나타내었다.
조성물 실시예1 조성물 실시예2 조성물 실시예3 조성물 비교예1 조성물 비교예2 조성물 비교예3 조성물 비교예6 조성물 비교예7
케이킹없음 5.0 5.0 4.5 2.2 1.3 2.5 2.0 5.0
크리즈없음 5.0 5.0 4.9 3.0 4.0 4.5 2.0 5.0
쿨링감 4.5 4.6 4.3 3.8 4.1 3.9 1.5 1.0
보습감 4.0 4.1 4.4 4.4 4.2 4.1 3.5 1.2
탄성감 4.4 4.6 4.6 4.2 4.3 4.3 4.5 0.5
퍼짐성 4.0 4.1 4.0 3.8 3.3 3.0 3.5 3.3
* 5 :매우 좋음, 4: 약간 좋음, 3: 보통, 4: 약간 나쁜, 5: 매우 나쁨
상기 표 5에서와 같이 특허에서 제시된 함량 이상에서를 보여주는 조성물 비교예 1 내지 3의 경우에는 과도한 유분이나 점증제로 인해 케이킹이나 크리즈가 발생했고, 수분이 없이 유분으로 구성된 조성물 비교예 6의 경우에는 크리즈와 케이킹 뿐아니라 쿨링감에서도 낮은 결과가 나타났다. 더불어 조성물 실시예 2을 건조하여 일반적인 소성타입으로 만든 조성물 비교예 7의 경우 상대적으로 낮은 수분으로 인해 액상성분으로 인한 케이킹이나 크리즈는 낮았지만 나머지 사용감에서 드라이한 형태를 보였다.
시험예 2: 건조 감량 평가 ( 타정 후 건조 감량)
상기 조성물 실시예 1, 4, 5 및 조성물 비교예 4 내지 5에서 제조된 화장료 조성물의 건조 감량을 평가하였다. 평가는 2가지 온도 조건 (25℃, 45℃)에서 용기에 결합한 후 시간경과에 따른 무게 변화로 평가 하였으며, 한 달 환산 감량률 기준으로 0.1 중량% 이하는 매우 양호, 0.1~0.5 중량% 이하는 양호, 0.5~1.0 중량% 이하는 보통, 1.0~1.5 중량% 이하는 불량, 1.5 중량% 초과는 매우 불량으로 평가하였다. 그 결과를 하기 표 6에 나타내었다.
조성물 실시예1 조성물 실시예4 조성물 실시예5 조성물 비교예4 조성물 비교예5
25℃ 양호 매우양호 매우양호 불량 매우양호
45℃ 보통 양호 양호 매우불량 양호
상기 표 6으로 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수분산성 엘라스토머의 함량이 높을수록 건조감량에서 양호한 결과를 나타냄을 확인하였다. 실제 수분산성 엘라스토머의 함량이 수중유 중량 대비 2% 미만에서는 모두 불량으로 확인되었다. 더불어 이를 통해 수분산성 엘라스코머의 수분 포집에 대한 영향력과 제품에서의 감량 안정성을 확인하였다.
시험예 3: 사용성 평가 2 ( 케이킹없음 , 크리즈없음 , 쿨링감 , 보습감 , 탄성감 , 퍼짐성)
상기 조성물 실시예 1, 4, 5 및 조성물 비교예 4 내지 5에서 제조된 화장료 조성물의 사용성을 평가하였다. 평가는 25세에서 40세 사이의 20명의 패널을 대상으로 5점 만점으로 평가하였다. 사용성은 밀착력, 지속력, 사용감, 가루날림없음을 대상으로 하였다. 그 결과를 하기 표 7에 나타내었다.
조성물 실시예1 조성물 실시예4 조성물 실시예5 조성물 비교예4 조성물 비교예5
케이킹없음 5.0 4.8 4.7 5.0 4.5
크리즈없음 5.0 4.7 4.5 5.0 3.0
쿨링감 4.5 4.6 4.6 4.5 4.7
보습감 4.0 4.3 4.3 3.6 4.4
탄성감 4.4 4.6 4.7 4.2 4.7
퍼짐성 4.0 3.8 3.5 3.9 2.6
* 5 :매우 좋음, 4: 약간 좋음, 3: 보통, 4: 약간 나쁜, 5: 매우 나쁨
상기 표 7에서 나타나는 바와 같이, 수분산성 엘라스토머의 함량이 높을수록 약간의 쿨링간과 보습감, 탄성감을 줄 수 있으나 너무 과량으로 사용할 경우 상대적으로 크리즈가 발생하고 퍼짐성이 감소함을 확인하였다. 특히 실제 수분산성 엘라스토머의 함량이 수중유 중량 대비 18%내외를 기준점으로 해서 급격하게 크리즈와 퍼짐성 감소가 있음을 확인되었다. 즉, 본원발명의 실시예가 여러 가지 면에서 가장 우수한 사용감을 나타내는 것을 알 수 있다.

Claims (7)

  1. 수중유 에멀젼 및 복합 파우더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에 있어서, 제조 시 건조 단계를 거치지 않도록 하여 수분을 다량 함유하고,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수중유 에멀젼 및 복합 파우더를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 대비 각각 35 내지 50 중량% 및 45 내지 60 중량%를 포함하고 물을 0.01 내지 5 중량% 포함하며, 상기 수중유 에멀젼은 수상, 수용성 증점제 또는 겔화제, 수분산성 엘라스토머, 계면활성제, 오일 및 기타 첨가제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우더 화장료 조성물.
  2. 삭제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기타 첨가제는 향, 방부제 또는 pH 조절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우더 화장료 조성물.
  5. 제 1항에 있어서, 수중유 에멀젼은 수상, 수용성 증점제 또는 겔화제, 수분산성 엘라스토머, 계면활성제, 오일 및 기타 첨가제는 수중유 에멀젼 조성물 총 중량 대비 각각 60 내지 90 중량%, 0.01 내지 5 중량%, 2 내지 15 중량%, 1 내지 40 중량% 및 0.1 내지 3 중량%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우더 화장료 조성물.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오일은 실리콘 유화제, O/W 유화제, W/O 유화제 및 분산제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오일과 에스터계, 실리콘계, 탄화수소계, 왁스, 천연오일 및 동식물성 액상 유지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오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우더 화장료 조성물.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복합 파우더는 탤크, 마이카, 합성운모, 세리사이트, 실리카, 이산화 티탄, 실리콘계 파우더, 보론 파우더, 징크옥사이드, 나일론 파우더, 폴리메타크릴레이트 파우더, 우레탄 파우더, 아크릴레이트 (코)폴리머, 폴리에틸렌 (코)폴리머, 유기계 색소안료, 무기계 색소 안료 및 진주 광택 안료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우더 화장료 조성물.
KR1020150150880A 2015-10-29 2015-10-29 수중유 에멀젼을 포함하는 파우더 화장료 조성물 Active KR10224902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50880A KR102249022B1 (ko) 2015-10-29 2015-10-29 수중유 에멀젼을 포함하는 파우더 화장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50880A KR102249022B1 (ko) 2015-10-29 2015-10-29 수중유 에멀젼을 포함하는 파우더 화장료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51582A KR20170051582A (ko) 2017-05-12
KR102249022B1 true KR102249022B1 (ko) 2021-05-10

Family

ID=587399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50880A Active KR102249022B1 (ko) 2015-10-29 2015-10-29 수중유 에멀젼을 포함하는 파우더 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4902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17246B1 (ko) * 2017-09-04 2020-06-02 코스맥스 주식회사 2층상의 수분산형 화장료 조성물
KR102130297B1 (ko) * 2018-09-11 2020-07-08 코스맥스 주식회사 이층상 구조의 고형 수분산 비드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130298B1 (ko) * 2018-09-11 2020-07-08 코스맥스 주식회사 유용성 페이스트 또는 겔상의 오일을 포함하는 고형 비드의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808999B1 (fr) 2000-05-19 2002-11-01 Oreal Composition cosmetique sous forme de poudre comprenant un liant particulier
KR101438369B1 (ko) 2007-11-27 2014-09-16 (주)아모레퍼시픽 가교 고분자를 이용한 아이섀도 화장료 조성물
TWI354365B (en) 2009-08-26 2011-12-11 Quasioptical led package structure for increasing
KR20140118592A (ko) * 2013-03-29 2014-10-08 (주)아모레퍼시픽 무기안료를 유상에 함유하는 수중유형 화장료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51582A (ko) 2017-05-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33449B1 (ko) 파우더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20160102762A (ko) 실리콘 오일 및 에몰리언트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388446B1 (ko)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KR20160077757A (ko) 오일 분산형 화장료 조성물
KR20170091864A (ko)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
KR20180003081A (ko) 고함량의 유용성 성분을 함유하는 스프레이형 화장료 조성물
KR101301378B1 (ko) 형상 기억 현상을 갖는 수중유형 파운데이션 조성물 제조방법
KR20120023365A (ko) 고함량의 실리콘 오일 및 에몰리언트를 함유하는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KR102249022B1 (ko) 수중유 에멀젼을 포함하는 파우더 화장료 조성물
KR102336132B1 (ko) 흡유능, 도포성 및 성형성이 향상된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30055333A (ko) 메이크업 수정용 화장료 조성물 및 제조 방법
KR101055164B1 (ko) 오일 분산형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566826B1 (ko) 커버력과 보습력이 우수한 파우더 조성물
KR102680075B1 (ko) 휘발안정성 및 경도형성능이 개선된 수중유형 고형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
KR20090054635A (ko) 가교 고분자를 이용한 아이섀도 화장료 조성물
KR102332575B1 (ko) 분체 화장료로서 3차원 입체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130298B1 (ko) 유용성 페이스트 또는 겔상의 오일을 포함하는 고형 비드의 제조방법
JP2022540999A (ja) エモリエント剤を含む油中水型エマルジョン及びその使用方法
KR101483974B1 (ko) 실리콘/실리카 복합 파우더를 함유한 유중수 메이크업화장료 조성물
KR101460532B1 (ko) 왁스 코팅된 실리콘 폴리머 분체와 필름형성제 분체를 함유하는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KR20150050303A (ko) 저융점 버터 또는 왁스를 포함하는 저점도 화장료 조성물
KR20130051544A (ko) 겔상 메이크업 화장료 제조방법 및 그의 조성물
KR101117559B1 (ko) 소수성 다공성 파우더 및 수용성 보습성분을 유효성분으로함유하는 보습용 분말형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434299B1 (ko)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KR20170051581A (ko) 휘발성 오일을 용매로 하는 소성타입 화장료 조성물 및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51029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90513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51029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0082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10218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10430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10430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312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