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170091864A -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91864A
KR20170091864A KR1020160012667A KR20160012667A KR20170091864A KR 20170091864 A KR20170091864 A KR 20170091864A KR 1020160012667 A KR1020160012667 A KR 1020160012667A KR 20160012667 A KR20160012667 A KR 20160012667A KR 20170091864 A KR20170091864 A KR 2017009186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smetic composition
lips
dimethicone
silicone gel
powde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Ceased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126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정선
심민경
Original Assignee
(주)아모레퍼시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아모레퍼시픽 filed Critical (주)아모레퍼시픽
Priority to KR10201600126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91864A/ko
Priority to PCT/KR2017/000821 priority patent/WO2017135629A1/ko
Priority to TW106102844A priority patent/TWI740887B/zh
Publication of KR201700918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91864A/ko
Ceas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1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inorganic ingredi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1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inorganic ingredients
    • A61K8/25Silicon; Compound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1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inorganic ingredients
    • A61K8/29Titanium; Compound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84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therwise than those involving only carbon-carbon unsaturated bonds
    • A61K8/89Polysiloxanes
    • A61K8/891Polysiloxanes saturated, e.g. dimethicone, phenyl trimethicone, C24-C28 methicone or stearyl dimethico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84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therwise than those involving only carbon-carbon unsaturated bonds
    • A61K8/89Polysiloxanes
    • A61K8/891Polysiloxanes saturated, e.g. dimethicone, phenyl trimethicone, C24-C28 methicone or stearyl dimethicone
    • A61K8/894Polysiloxanes saturated, e.g. dimethicone, phenyl trimethicone, C24-C28 methicone or stearyl dimethicone modified by a polyoxyalkylene group, e.g. cetyl dimethicone copolyo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2Oils, fats or waxes; Derivatives thereof, e.g. hydrogenation product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00Make-up preparations; Body powders; Preparations for removing make-up
    • A61Q1/02Preparations containing skin colorants, e.g. pigments
    • A61Q1/04Preparations containing skin colorants, e.g. pigments for lip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발색의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건조함을 야기하는 파우더의 함량을 낮추는 대신에 실리콘 젤과 페이스트 화합물을 최적 조합으로 사용하여 색상의 발색 및 지속성은 우수하면서도 부드러운 발림성과 건조함이 없는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Lip cosmetic composition}
본 발명은 골끼임 현상 및 건조함이 없는 고발색의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립스틱은 일반적으로 유성 제형으로 왁스, 오일, 색소, 및 파우더로 구성된다. 상기 왁스는 립스틱의 외형을 유지시키고, 오일은 리치한 사용감과 글로시한 느낌을 주고, 색소는 안료 및/또는 염료로서 색감을 나타내고, 파우더는 발림성, 부착성, 및 지속성 향상과 함께 매트한 사용감을 위해 사용한다.
시대에 따라 화장의 트렌드가 바뀌며, 90년대까지만 해도 매트하고 불투명하게 마무리되는 립스틱이 2000년대에 들어서는 립글로스 또는 립틴트 등의 투명함과 촉촉함을 강조하였다. 상기 립글로스 또는 립틴트는 얇고 가벼운 사용감의 장점이 있으나 색상의 지속력과 밀착력이 약하고 쉽게 지워지는 문제가 있다.
최근에는 왁스로 제조된 립스틱 이외에 립 크레용, 립 마커, 립 래커, 립 루즈, 립 오일틴트, 립 사인펜 등 다양한 형태의 립스틱의 유행과 함께 쨍한 컬러감을 갖는 고발색의 립스틱이 이슈화되고 있다.
고발색 립스틱은 컬러가 입술에 밀착되어 오랜 시간 동안 지속되는 립스틱을 일컬으며, 선명한 컬러감을 갖는다. 상기 밀착성과 지속성은 립스틱을 구성하는 조성 중 파우더와 관련이 있다.
이미 언급한 바와 같이, 파우더는 립스틱의 발림성, 즉 잘 발리는 정도와 관련이 있으며, 통상 구상 파우더가 많으면 립스틱이 부드러운 발림성을 갖게 된다. 또한, 파우더의 함량이 높을수록 립스틱이 입술에 잘 달라붙는 부착성이 높아진다.
고발색 립스틱은 파우더를 10 중량% 이상의 과량으로 사용하여 고발색의 색 표현과 색상 지속력을 구현하고, 건조하고 광택이 없는 매트한 느낌이 있으며, 보송한 마무리감을 갖는다. 그러나 고발색 립스틱은 유분이 없기 때문에 발림성이 뻑뻑하고 색상이 균일하게 발리지 않으며, 시간 경과 후 건조함과 각질을 유발시켜 입술이 마르고 건조해지며 색상이 들뜨거나 골끼임 현상에 의해 각질이나 주름이 부각되는 문제가 발생하였다.
이에 건조함을 극복하기 위해 보습제 또는 오일 등의 조성을 첨가하는 방법이 제안되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01-0110563호에서는 퍼플루오로에틸알킬디메치콘과 알킬디메치콘, 식물성 다당류 그리고 판상 파우더를 함유시켜 입술의 건조를 막고 윤기와 광택을 주는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안하였다.
또한,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03-003042호는 벤토나이트 또는 헥토라이트 2∼10 중량%, 에탄올 0.5∼5 중량% 및 휘발성 오일 잔량을 포함하는 겔 베이스를 제조하여 지속성(long-wearing)이 있으면서 입술의 건조 현상을 저감할 수 있는 립스틱 조성물을 개시하였다.
이러한 시도를 통해 입술의 건조함을 어느 정도 극복하였으나, 고발색 립스틱에서 요구되는 높은 발색 및 고른 색 표현, 지속력 및 밀착성 등의 효과가 오히려 감소하는 결과를 가져왔다. 따라서, 고발색 특성을 가지면서 건조함이 없는 고발색 립스틱을 구현하는데 어려움이 있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01-0110563호,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03-003042호, 지속성 립스틱 조성물
이에 본 발명자들은 고발색과 건조함이라는 반대 속성을 모두 만족시킬 수 있도록 특정 조성을 선정하고 이들을 일정 함량비로 배합함으로써 상기 효과를 동시에 확보할 수 있는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고발색의 고른 색상 표현과 지속력을 가지며 부드러운 사용감과 함께 시간 경과 이후에도 입술의 건조함이나 골끼임 현상이 없는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왁스, 오일, 색소, 및 파우더를 포함하는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이 실리콘 젤과 페이스트 화합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바람직하기로, 상기 실리콘 젤과 페이스트 화합물은 1:4 내지 4:1의 중량비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실리콘 젤은 디메치콘/디메치콘/비닐디메치콘 크로스폴리머, 아크릴레이트/스테아릴아크릴레이트/디메치콘/메타아크릴레이트 코폴리머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페이스트 화합물은 하이드로제네이티드캐스터오일 이소스테아레이트, 비스-디글리세릴폴리아실아디페이트-2, 하이드로제네이티드폴리스타이렌, 에틸렌/프로필렌/스타이렌 코폴리머, 부틸렌/에틸렌/스타이렌 코폴리머, 올레익/리놀레익/리놀레닉폴리글리세라이드, 페트롤라툼, 미네랄오일, 카프릴릭카프릭트리글리세라이드, 하이드로제네이티드스타이렌/이소프렌 코폴리머, 비스-하이드록시라우릴디메치콘/아이피디아이 코폴리머, 피토스테릴/이소스테아릴/세틸/스테아릴/베헤닐다이머디리놀리에이트,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은 파우더를 전체 조성물 내에서 3 중량% 이하로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은 고발색의 색상이 입술 전체에 고르게 표현되고, 우수한 밀착성으로 색 표현이 장시간 지속되는 이점이 있다.
특히, 상기 조성물은 보습력이 우수하여 종래 고발색의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에서 나타나는 시간 경과에 따라 나타나는 건조함과 각질 유발, 들뜸 현상 및 골끼임 현상 등을 원천적으로 차단하여 항상 촉촉한 느낌의 화장 표현을 가능케 한다.
도 1은 실시예 및 비교예 1 내지 4에서 제조한 립스틱의 발림성을 보여주는 사진이다.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에서 높은 발색과 고른 색 표현 및 지속성 등의 장점을 얻기 위해 첨가하는 파우더는 발림성 저하, 입술에 도포 후 입술 주름에 화장료 조성물이 뭉치는 골끼임 발생, 건조함 및 각질 유발 등의 단점을 야기한다. 이 두 가지 장단점은 고발색의 매트한 립스틱에서 동시에 나타난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는 높은 발색과 고른 색 표현 및 지속성의 장점은 그대로 나타내고, 발림성 향상, 입술에 도포 후 골끼임 미발생, 및 건조함과 관련된 단점은 해소할 수 있는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시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은 상기 언급한 문제를 야기하는 파우더의 함량을 낮추는 대신에 실리콘 젤과 페이스트 화합물이 최적 조합을 통해 점착력이 있는 젤 제형을 첨가하여 파우더의 함량을 낮추더라도 고발색의 고른 색 표현이 가능하며 종래 파우더로 인해 야기되는 골끼임 현상, 입술의 건조함, 각질 야기 및 발림성 저하 등의 문제를 개선한다.
실리콘 젤은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에 매끄러운 감각을 부여하며, 입술 굴곡을 부드럽게 매워 도톰하고 생기 있어 보이는 연출을 한다. 또한, 유연한 필름을 형성하여 색소(즉, 안료) 및 파우더를 효과적으로 고정시켜 입술에 바른 후 밀착력 및 지속력을 높이는 역할을 한다.
페이스트 화합물은 보습 및 발림성을 위해 사용하며, 고체 상태에서 이방성 결정질 배열을 나타내고 소정 온도에서 고체 및 액체의 가역적인 성상 변화를 갖는 물질이다. 이러한 물질은 융점이 10∼40℃로 낮아 상온에서도 부드러운 페이스트상으로 존재해 시간이 지나도 경시가 나타나지 않고 부드러운 사용감을 유지한다.
실리콘 젤과 페이스트 화합물이 혼합되면 점착력이 있는 젤 제형의 조성이 얻어지며, 이는 다른 조성, 일례로 왁스, 오일, 색소 등과 혼합하여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로 제조된다. 상기 점착력이 있는 젤 형태의 조성은 입술에 대한 높은 밀착력으로 인해 지속성이 높아지고, 색소의 고른 분산으로 인해 전체적으로 고른 색상의 구현이 가능하며, 부드러운 발림성을 야기한다. 특히, 입술의 경우 각질이 발생하거나 입술 주름 등으로 인해 요철이 존재하는데, 상기 점착력이 있는 젤 제형이 상기 요철을 메우면서 색상 표현이 되므로, 전체적으로 매끈한 입술 표현이 가능해진다.
바람직하기로, 점착력이 있는 젤 제형은 실리콘 젤과 페이스트 화합물은 1:4 내지 4:1의 중량비, 바람직하기로 1.2:1 내지 3:1의 중량비, 가장 바람직하기로 1.5:1의 중량비로 혼합 사용한다. 만약, 실리콘 젤의 함량을 과량 사용할 경우 입술에 도포 후 화장료 조성물이 입술의 골에 화장료 조성물이 끼워지는 골끼임이나 뭉치는 현상은 개선되나 밀착력이 저하되어 색이 지속적으로 표현되기 어려운 문제가 발생한다. 또한, 페이스트 화합물을 과량 사용할 경우 보습 특성은 좋아져 촉촉함 느낌으로 발리고 각질 발생이 없으나, 색이 뜯기고 뭉쳐져 입술 전체에 고른 색 표현이 어려워지므로, 상기 범위 내에서 적절히 혼합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서 얻고자 하는 효과를 더욱 높이기 위해 실리콘 젤과 페이스트 화합물의 배합비의 조절과 함께 전체 조성물 내에서 각 조성의 함량을 제어한다.
바람직하기로, 실리콘 젤은 전체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 100 중량% 내에서 10 내지 50 중량%, 바람직하기로 20 내지 40 중량%로 사용한다. 만약 그 함량이 상기 범위 미만이면 뻑뻑한 발림성을 가지며 입술의 각질 또는 입술 주름에 화장료 조성물이 뭉치는 등의 현상이 발생하여 전체적인 고른 색 표현이 부족해지는 문제가 있고, 이와 반대로 상기 범위를 초과하면 밀착력 및 지속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으므로, 상기 범위 내에서 적절히 사용한다.
또한, 페이스트 화합물은 전체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 100 중량% 내에서 5 내지 40 중량%, 바람직하기로 10 내지 30 중량%로 사용한다. 만약 그 함량이 상기 범위 미만이면 피부 발림성이나 건조함이 증가하는 문제가 있고, 이와 반대로 상기 범위를 초과하면 색이 뜯기고 뭉쳐져 입술 전체에 고르고 매끈한 색 표현이 부족해지는 문제가 있으므로, 상기 범위 내에서 적절히 사용한다.
이때 사용하는 실리콘 젤과 페이스트 화합물의 종류는 본 발명에서 특별히 한정하지 않으며, 화장품 원료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것이면 어느 것이든 가능하다.
대표적으로, 실리콘 젤로는 디메치콘/디메치콘/비닐디메치콘 크로스폴리머, 아크릴레이트/스테아릴아크릴레이트/디메치콘/메타아크릴레이트 코폴리머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이 가능하다.
또한, 페이스트 화합물은 로진계 페이스트가 가능하며, 바람직하기로 하이드로제네이티드캐스터오일 이소스테아레이트, 비스-디글리세릴폴리아실아디페이트-2, 하이드로제네이티드폴리스타이렌, 에틸렌/프로필렌/스타이렌 코폴리머, 부틸렌/에틸렌/스타이렌 코폴리머, 올레익/리놀레익/리놀레닉폴리글리세라이드, 페트롤라툼, 미네랄오일, 카프릴릭카프릭트리글리세라이드, 하이드로제네이티드스타이렌/이소프렌 코폴리머, 비스-하이드록시라우릴디메치콘/아이피디아이 코폴리머, 피토스테릴/이소스테아릴/세틸/스테아릴/베헤닐다이머디리놀리에이트,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이 가능하고, 바람직하기로는 비스-디글리세릴폴리아실아디페이트-2 및 올레익/리놀레익/리놀레닉폴리글리세라이드를 사용한다.
전술한 바의 실리콘 젤과 페이스트 화합물의 배합비가 조절된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은 다양한 제형으로 제품 제조가 가능하여, 부드러운 발림성을 가지며 건조한 입술, 특히 각질이 일어난 부분에서도 선명한 발색이 가능하며, 입술의 굴곡을 매워주어 매끈하면서도 볼륨감 있는 연출도 가능하다.
특히, 파우더의 함량을 종래 10 중량% 이상 사용한 것과 비교하여 3 중량% 이하로만 사용하더라도 고발색의 색상 표현이 가능하며, 밀착력 및 지속성이 우수하다. 더불어, 매트한 질감을 위해 고함량의 파우더 사용시 발생하던 입술의 건조함과 각질 유발, 들뜸 현상 및 골끼임 현상이 발생하지 않아 항상 촉촉한 느낌의 화장 표현을 가능케 한다.
사용 가능한 파우더로는 본 발명에서 특별히 한정하지 않으며, 이 분야에서 공지된 재질이면 어느 것이든 가능하다.
대표적으로, 파우더 조성으로는 백운모, 합성운모, 견운모, 이산화티탄, 산화티탄피복 운모, 알루미나, 황산화철, 흑산화철, 카본블랙, 황산바륨, 실리카 및 제올라이트 등의 무기 파우더; 및 나일론,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PMMA), 폴리스타이렌, 폴리에틸렌 및 셀룰로오스 등의 유기 파우더를 사용할 수 있으며, 이들은 각각 또는 혼합하여 사용한다.
이때 상기 파우더는 구형, 판상형 또는 침상형이 가능하고, 바람직하기로 1 내지 100㎛의 구형 입자가 사용된다. 바람직하기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파우더로 구형의 알루미나와 나일론을 혼합하여 사용하였다.
이때 파우더의 함량은 전체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 내에서 3 중량% 이하, 바람직하기로 0.5 내지 3 중량% 범위 내에서 사용한다. 만약, 파우더의 함량이 상기 범위 미만이면 제품의 발색력, 지속성, 및 밀착력이 부족하고, 이와 반대로 상기 범위를 초과하면 건조함과 각질을 유발하기 때문에 상기 범위 내에서 적절히 사용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은 상기 조성과 함께 통상의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에서 사용하는 왁스, 오일, 색소, 및 기타 첨가제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왁스는 일반적으로 입술용 화장료에 사용되는 탄화수소계 왁스, 식물성 왁스 및 실리콘 왁스 등 모든 왁스를 들 수 있다. 구체적으로 고상(固相)의 왁스가 바람직하며, 마이크로크리스탈린 왁스, 오조케라이트, 밀납, 칸데릴라 왁스, 세레신, 카르나우바 왁스, 라이스 왁스, 파라핀, 몬탄 왁스, 저팬 왁스, 코코아버터 등과 폴리에틸렌 왁스로 대표되는 합성왁스 등을 열거할 수 있으나, 이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폴리에틸렌 왁스와 오조케라이트를 혼합하여 사용하였다.
이러한 왁스는 제품에 사용감을 부여하고 보습 및 일정경도를 유지하는 역할을 해준다. 왁스의 함량은 전체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 100 중량% 내에서 3∼30 중량%의 범위가 바람직하다. 만약 그 함량이 왁스의 함량이 상기 범위 미만인 경우 일정한 경도 유지가 어렵고, 이와 반대로 상기 범위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최종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의 사용감이 뻑뻑하며 발림성이 떨어지거나 표면이 매끄럽지 않을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오일은 일반적으로 입술용 화장료에 사용되는 에스테르계 오일, 하이드로카본계 오일 및 내추럴 오일 및 이들의 혼합물을 들 수 있다. 구체적으로 리퀴드 파라핀과 같은 광물성 오일; 스쿠알렌 및 하이드로 스쿠알렌 등의 동물성 오일; 팜오일, 아보카도 오일, 호호바오일, 세사미오일, 올리브오일 및 피마자유 등의 식물성 오일; 부틸 미리스테이트, 이소프로필 미리스테이트, 세틸 미리스테이트, 이소프로필팔미테이트, 부틸스테아레이트, 디이소스테아릴 말레이트, 폴리부텐, 폴리이소부텐, 수첨폴리이소부텐, 각종 폴리올, 트리-2-에틸헥실산 글리세린, 트리글리세라이드계 오일, 젖산 미리스틸, 옥틸 도데칸올, 디카프릴릴카보네이트 및 디이소스테아릴 말레이트 등의 합성 오일;을 사용할 수 있으나, 이들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디이소스테아릴 말레이트와 디카프릴릴 카보네이트를 혼합 사용하였다.
이러한 오일은 제품에 사용감 및 보습감을 부여하고 다른 조성과의 균일한 혼합을 위해 사용하는 것으로, 전체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 100 중량% 내에서 40∼80 중량%의 범위가 바람직하다. 만약 그 함량이 상기 범위 미만이면 전술한 바의 효과를 확보할 수 없고, 이와 반대로 상기 범위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제형화가 어려우므로 상기 범위 내에서 적절히 사용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색소는 일반적으로 입술용 화장료에 사용되는 염료 또는 안료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안료로는 황색 203호, 황색 4호, 황색 5호, 황색 201호, 황색 204호, 적색 103호, 적색 201호, 적색 202호, 적색 218호, 적색 220호, 적색 223호, 적색 226호, 적색 227호, 청색 1호, 청색 2호 등의 바륨 또는 알루미늄 플레이크의 유기 안료 및 진주 안료 등을 사용할 수 있으나, 이들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러한 색소는 제품에 색상을 발현하도록 하는 것으로, 전체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 100 중량% 내에서 1 내지 20 중량%로 사용한다. 만약, 색소의 함량이 상기 범위 미만이면 원하는 색상의 구현이 어렵고, 상기 범위를 초과할 경우에는 상대적으로 다른 조성의 함량이 줄어들어 제품의 물성 및 본 발명에서 얻고자 하는 효과의 확보가 어려우므로, 상기 범위 내에서 적절히 사용한다.
기타 첨가제로는 버터, 영양제, 보습제, 보존제, 방부제, 자외선 흡수제, 향료, 휘발성 용해제, 산화방지제 등일 수 있다. 일례로, 버터는 시어버터, 무르무르버터, 코코아버터, 올리브버터 또는 바바수버터 등 각종 버터류가 가능하다. 또한, 보습제로는 부틸렌글리콜, 프로판디올, 디프로필렌글리콜, 펜틸렌글리콜 등의 폴리올이 가능하다. 상기 기타 첨가제의 함량은 본 발명에서 특별히 한정하지 않으며, 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적절히 조절하여 사용이 가능하다.
본 발명에서 제시하는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는 특별히 한정하지 않으며, 이 분야에서 공지된 바의 방법을 사용한다.
일례로, 실리콘 젤 및 페이스트 화합물을 혼합기 또는 반죽기에 넣고 일정 온도로 가온한 후 교반하여 점착력 있는 젤 제형을 제조하고, 여기에 왁스 및 오일을 첨가한다. 여기에 파우더, 안료, 향료 및 기타 첨가제를 첨가하여 균일하게 혼합한 후, 얻어진 혼합물을 냉각한 후 탈포하여 용기에 충전하는 단계를 거쳐 제조한다.
이때 혼합기나 반죽기의 예로는 헨셀 혼합기, 만능 혼합기, 호모게나이져, 습식 만능 혼합기 또는 니더 등을 들 수 있으나 이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상기 가온은 각 조성이 충분히 섞일 수 있도록 60 내지 95℃의 온도에서 수행하고, 이때 교반은 혼합기의 크기 및 조성의 함량에 따라 적절히 조절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은 그 제형에 있어서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입술에 사용 가능한 모든 형태의 제형을 포함하며, 예를 들어 립젤, 립스틱, 립글로스, 립밤 또는 립펜슬 등의 형태로 제형화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기로 립스틱이 가능하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의 모발 관리용 조성물의 제조방법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이들 실시예에 국한되는 것이 아님은 당연하다 할 것이다.
< 실시예 1 및 비교예 1∼4>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
하기 표 1의 원료를 평량하여 85℃로 가열 용해한 다음, 호모게나이져로 교반시켜 혼합물을 만들었다. 얻어진 혼합물을 탈기한 후, -20℃로 냉각하여 립스틱 제형의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구분(중량%)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실시예 4 실시예 5 비교예 1 비교예 2 비교예 3 비교예 4
왁스성분 폴리에틸렌 5.0 5.0 5.0 5.0 5.0 5.0 5.0 5.0 5.0
오조케라이트 3.0 3.0 3.0 3.0 3.0 3.0 3.0 3.0 3.0
오일 디이소스테아릴 말레이트 20 3.0 3.0 20 20 20 20 20 20
디카프릴릴 카보네이트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실리콘젤 디메치콘/디메치콘/비닐디메치콘 크로스폴리머 24 - 24 30 10 - 24 - -
아크릴레이트/스테아릴아크릴레이트/디메치콘/메타아크릴레이트 코폴리머 - 24 - - - - - - -
페이스트화합물 비스-디글리세릴폴리아실아디페이트-2 16 16 - 10 30 - - 16 -
올레익/리놀레익/리놀레닉폴리글리세라이드 - - 16 - - - - - -
파우더 알루미나 2.0 2.0 2.0 2.0 2.0 2.0 2.0 2.0 10
나일론 0.5 0.5 0.5 0.5 0.5 0.5 0.5 0.5 0.5
기타 색소 10 10 10 10 10 10 10 10 10
0.3 0.3 0.3 0.3 0.3 0.3 0.3 0.3 0.3
< 시험예 1> 발림성 평가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제조된 립스틱의 골끼임 현상을 확인하기 위해, 인조 피혁에 동일한 힘으로 2회 왕복으로 도포하였고, 그 사진을 도 1에 나타내었다.
도 1을 보면, 본 발명에 따라 실리콘 젤과 페이스트 화합물을 동시에 포함하는 실시예 1의 립스틱의 경우 인조 피혁에 고르게 도포되는 것을 확인되어 골끼임 없이 균일하게 색이 표현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구체적으로, 기존 파우더에 의한 색이 입술 위에 덮혀 있는(즉, 들떠 보이는) 상태가 아니라, 실시예 1의 립스틱의 경우 점착력이 있는 젤 제형이 요철을 메우면서 젖어 들어(즉, 먹어 들어가는) 색 표현이 가능해짐을 알 수 있다.
이와 비교하여, 비교예 1 내지 4의 립스틱의 경우 빈 공간이 발생하여 색이 고르게 분포되지 않았으며, 동일한 색소를 동일 함량으로 사용하였음에도 불구하고 발색력 및 색 표현에 있어서 차이가 발생하였다.
< 시험예 2> 관능 평가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제조된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의 발림성, 색 표현, 발색력, 색상지속력, 건조함 등을 평가하였다.
평가 대상은 24∼35세 미혼 및 기혼 여성으로서 화장 경력이 최소 2년 이상이며, 일주일에 최소 5회 이상 지속적으로 립 제품을 사용하는 여성인 전문 패널 10명이 항목별 5점 척도(1점: 아주 나쁨, 3점: 보통, 5점: 아주 좋음)으로 비교 평가하였다. 이때 모든 수치에서 3점 이상인 경우에 제품화가 가능하며, 그 결과를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구분 실시예1 실시예2 실시예3 실시예4 실시예5 비교예1 비교예2 비교예3 비교예4
골끼임이 없는 색표현 5 5 4 4 3 2 4 2 2
발색력 5 4 5 3 4 2 3 3 4
색상 지속력 5 4 5 3 4 1 3 4 5
발림성 4 4 3 3 3 4 4 4 1
6시간 후
건조함 없음
5 3 4 3 4 4 2 5 1
총점 24 20 21 16 18 13 16 18 13
상기 표 2에서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1의 립스틱의 경우 색상 지속성과 발색력이 우수하면서 사용감도 더 좋은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6시간 이후에도 건조함이 없고, 골끼임 현상이 거의 발생하지 않아, 촉촉하며 균일하면서도 부드러운 발림성을 가짐을 알 수 있다.
구체적으로, 비교예 1의 립스틱은 실시예 1과 동일한 함량의 파우더를 사용하되, 실리콜 젤과 페이스트 화합물을 사용하지 않은 경우로서, 골끼임 현상이 심각하게 발생하였고, 발색력 및 색상 지속력이 매우 낮은 결과를 보였다.
비교예 2는 실리콘 젤만을 사용한 것으로, 발색력, 지속력, 발림성 등은 어느 정도 향상되었으나, 도 1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전체적으로 균일한 색 표현에는 부족한 결과를 보였다.
비교예 3의 립스틱은 페이스트 화합물만을 사용한 경우로서, 보습력은 어느 정도 향상되어 6시간 후 건조함이 없었으나, 골끼임 현상이 발생하고 발색력이 낮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비교예 4의 립스틱은 실리콘 젤과 페이스트 화합물 없이 종래 기술과 같이 파우더를 10 중량% 이상 사용한 것으로서, 6시간 이후 건조함이 심각하게 발생하였고, 골끼임 현상, 지속력, 발림성 등 전체적인 평가에서 매우 낮은 수치를 나타내었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본 발명에 따른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은 파우더의 함량을 낮추더라도 실리콘 젤과 페이스트 화합물의 사용에 따라 고발색의 색 표현이 가능함과 동시에 입술의 건조함을 개선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Claims (9)

  1. 왁스, 오일, 색소, 및 파우더를 포함하는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실리콘 젤 및 페이스트 화합물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실리콘 젤과 페이스트 화합물은 1:4 내지 4:1의 중량비로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실리콘 젤과 페이스트 화합물은 1.2:1 내지 3:1의 중량비로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실리콘 젤은 디메치콘/디메치콘/비닐디메치콘 크로스폴리머, 아크릴레이트/스테아릴아크릴레이트/디메치콘/메타아크릴레이트 코폴리머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실리콘 젤은 전체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 100 중량% 내에서 10 내지 50 중량%로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페이스트 화합물은 하이드로제네이티드캐스터오일 이소스테아레이트, 비스-디글리세릴폴리아실아디페이트-2, 하이드로제네이티드폴리스타이렌, 에틸렌/프로필렌/스타이렌 코폴리머, 부틸렌/에틸렌/스타이렌 코폴리머, 올레익/리놀레익/리놀레닉폴리글리세라이드, 페트롤라툼, 미네랄오일, 카프릴릭카프릭트리글리세라이드, 하이드로제네이티드스타이렌/이소프렌 코폴리머, 비스-하이드록시라우릴디메치콘/아이피디아이 코폴리머, 피토스테릴/이소스테아릴/세틸/스테아릴/베헤닐다이머디리놀리에이트,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페이스트 화합물은 전체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 100 중량% 내에서 5 내지 40 중량%로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파우더는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 100 중량% 내에서 3 중량% 이하로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파우더는 백운모, 합성운모, 견운모, 이산화티탄, 산화티탄피복 운모, 알루미나, 황산화철, 흑산화철, 카본블랙, 황산바륨, 실리카, 제올라이트, 나일론,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폴리스타이렌, 폴리에틸렌, 셀룰로오스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
KR1020160012667A 2016-02-02 2016-02-02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 Ceased KR20170091864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12667A KR20170091864A (ko) 2016-02-02 2016-02-02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
PCT/KR2017/000821 WO2017135629A1 (ko) 2016-02-02 2017-01-24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
TW106102844A TWI740887B (zh) 2016-02-02 2017-01-25 唇用化妝品組成物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12667A KR20170091864A (ko) 2016-02-02 2016-02-02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91864A true KR20170091864A (ko) 2017-08-10

Family

ID=594996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12667A Ceased KR20170091864A (ko) 2016-02-02 2016-02-02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20170091864A (ko)
TW (1) TWI740887B (ko)
WO (1) WO2017135629A1 (ko)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09601A (ko) * 2017-07-19 2019-01-29 코스맥스 주식회사 부러짐 현상이 개선된 립메이크업 조성물
KR20190130088A (ko) 2018-05-10 2019-11-21 오세웅 화초 열매 추출물을 포함하는 입술 화장료 조성물
KR20200056695A (ko) 2018-11-15 2020-05-25 (주)아모레퍼시픽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
KR20210067243A (ko) * 2019-11-29 2021-06-08 (주)아모레퍼시픽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
KR102365617B1 (ko) * 2021-10-05 2022-02-25 주식회사 율라 지속성 및 제형 안정성이 개선된 입술 화장료 조성물
KR102461841B1 (ko) * 2022-05-25 2022-11-02 주식회사 네츄럴샤인 이중 보습 기능을 제공하는 입술 보호용 립밤 조성물
KR20230045465A (ko) * 2021-09-28 2023-04-04 코스맥스 주식회사 고함량의 필름형성제를 포함하는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
KR20230063545A (ko) * 2021-11-02 2023-05-09 코스맥스 주식회사 실리콘-우레탄계 폴리머 중합체를 포함하는 고형상 화장료 조성물
KR102661967B1 (ko) * 2023-06-30 2024-05-07 주식회사 코디 Oil/IPDI공중합체를 포함하여 우수한 제형 안정성을 나타내고 고광택감을 부여하는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 및 이를 제조하는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032012B (zh) * 2017-08-31 2023-12-19 株式会社资生堂 口唇化妆品
CN110236970A (zh) * 2019-07-11 2019-09-17 中山市美源化妆品有限公司 唇膏
CN113262178A (zh) * 2021-03-31 2021-08-17 科丝美诗(中国)化妆品有限公司 一种滋润的丝缎亮光唇釉及其制备方法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825915B1 (fr) * 2001-06-14 2006-02-03 Oreal Composition a base d'huile siliconee structuree sous forme rigide, notamment pour une utilisation cosmetique
EP1490021A1 (en) * 2002-03-25 2004-12-29 L'oreal S.A. Cosmetic composition containing particles of elastomeric silicone
EP1857092B1 (en) * 2005-01-28 2016-07-06 The Nisshin OilliO Group, Ltd. Lip cosmetic
JP4611125B2 (ja) * 2005-06-09 2011-01-12 ポーラ化成工業株式会社 口唇部用の化粧料
EP3139900B1 (fr) * 2014-05-07 2018-12-26 L'Oréal Préparation d'une composition pulvérulente / pâteuse comprenant un gel d'élastomère de silicone, des particules solides et une phase liante et procédé de traitement des lèvres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09601A (ko) * 2017-07-19 2019-01-29 코스맥스 주식회사 부러짐 현상이 개선된 립메이크업 조성물
KR20190130088A (ko) 2018-05-10 2019-11-21 오세웅 화초 열매 추출물을 포함하는 입술 화장료 조성물
KR20200056695A (ko) 2018-11-15 2020-05-25 (주)아모레퍼시픽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
KR20210067243A (ko) * 2019-11-29 2021-06-08 (주)아모레퍼시픽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
KR20230045465A (ko) * 2021-09-28 2023-04-04 코스맥스 주식회사 고함량의 필름형성제를 포함하는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
KR102365617B1 (ko) * 2021-10-05 2022-02-25 주식회사 율라 지속성 및 제형 안정성이 개선된 입술 화장료 조성물
KR20230063545A (ko) * 2021-11-02 2023-05-09 코스맥스 주식회사 실리콘-우레탄계 폴리머 중합체를 포함하는 고형상 화장료 조성물
KR102461841B1 (ko) * 2022-05-25 2022-11-02 주식회사 네츄럴샤인 이중 보습 기능을 제공하는 입술 보호용 립밤 조성물
KR102661967B1 (ko) * 2023-06-30 2024-05-07 주식회사 코디 Oil/IPDI공중합체를 포함하여 우수한 제형 안정성을 나타내고 고광택감을 부여하는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 및 이를 제조하는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I740887B (zh) 2021-10-01
WO2017135629A1 (ko) 2017-08-10
TW201728321A (zh) 2017-08-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70091864A (ko)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
KR102453363B1 (ko) 묻어남이 개선된 메이크업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0568052B1 (ko) 마스카라 방수용 조성물
JP3034490B2 (ja) 弗素含有化合物またはシリコーンを含有し、改善された快適感を呈する転移しない局所用組成物およびその使用
KR20160102762A (ko) 실리콘 오일 및 에몰리언트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394641B1 (ko)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KR20210038006A (ko)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
KR20160077757A (ko) 오일 분산형 화장료 조성물
KR20170001268A (ko) 수용성 폴리머를 포함하는 유중수 제형 입술 화장료 조성물
KR102371153B1 (ko)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
KR20180118518A (ko)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
KR102711700B1 (ko) 피부 또는 입술 관리 또는 메이크업용 유중수 에멀젼
KR101055164B1 (ko) 오일 분산형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50085932A (ko)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
JP2561859B2 (ja) ゲル状メーキヤツプ化粧料
KR102599004B1 (ko)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
KR102417956B1 (ko)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
KR20200030849A (ko) 커버력 및 발림성이 우수한 스틱형 메이크업 조성물
KR20240057877A (ko) 볼륨력 및 안정도가 우수한 유분산 아이메이크업 조성물
KR101780709B1 (ko) 수용성 실리콘 화합물을 함유하는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
JPH0920620A (ja) 油性固形化粧料
JP2001019613A (ja) ペンシル状又はスティック状固形化粧料
KR101822002B1 (ko) 유중수형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KR20180102035A (ko) 디카프릴릴 카보네이트를 함유하는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
KR101989783B1 (ko) 부러짐 현상이 개선된 립메이크업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60202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201202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60202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2092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221221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220921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