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453363B1 - 묻어남이 개선된 메이크업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묻어남이 개선된 메이크업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53363B1
KR102453363B1 KR1020150137380A KR20150137380A KR102453363B1 KR 102453363 B1 KR102453363 B1 KR 102453363B1 KR 1020150137380 A KR1020150137380 A KR 1020150137380A KR 20150137380 A KR20150137380 A KR 20150137380A KR 102453363 B1 KR102453363 B1 KR 10245336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sed film
composition
forming agent
makeup composition
powde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373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38265A (ko
Inventor
한고운
심민경
김은정
Original Assignee
(주)아모레퍼시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아모레퍼시픽 filed Critical (주)아모레퍼시픽
Priority to KR10201501373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53363B1/ko
Priority to SG11201802191XA priority patent/SG11201802191XA/en
Priority to PCT/KR2016/010418 priority patent/WO2017057862A1/ko
Priority to CN201680056650.5A priority patent/CN108135798B/zh
Publication of KR201700382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38265A/ko
Priority to HK18113666.6A priority patent/HK1254685A1/zh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533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53363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1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inorganic ingredi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1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inorganic ingredients
    • A61K8/25Silicon; Compound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73Polysacchari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84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therwise than those involving only carbon-carbon unsaturated bonds
    • A61K8/89Polysiloxan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2Oils, fats or waxes; Derivatives thereof, e.g. hydrogenation product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00Make-up preparations; Body powders; Preparations for removing make-up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pidemiology (AREA)
  • Bird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Dermatolog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묻어남이 개선된 메이크업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실리케이트(silicate)계 필름형성제; 실세스퀴옥산(silsesquioxane)계 필름형성제; 판상 파우더; 및 구상 파우더;를 포함하는 왁스-프리(wax-free) 메이크업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a) 실리케이트계 필름형성제, 실세스퀴옥산계 필름형성제, 판상 파우더 및 구상 파우더를 혼합(mixing)하는 단계;
b) 상기 혼합물에 대하여 하이드로카본(hydrocarbon) 오일을 첨가하여 페이스트(paste) 제형의 조성물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왁스-프리 메이크업 조성물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메이크업 조성물은 묻어남이 개선되고 지속성이 향상되면서도 종래 대비 보습감과 발림성은 저감되지 않으며, 이의 제조 방법은 공정상 편의성과 생산 효율이 향상되는 특성이 있다.

Description

묻어남이 개선된 메이크업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Cosmetic composition having improved performance of transfer-resistant, and process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왁스 및 고함량의 오일 사용 없이 제조 가능한 묻어남이 개선된 메이크업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 립스틱 등의 메이크업 조성물의 경우 그 제조에 있어서 일반적으로 왁스를 필수 구성 성분으로 사용하는 것이 통상적이었다. 왁스는 메이크업 제형의 적정 경도와 형상을 형성하기 위하여 투입되며 일반적으로 녹는점이 높고, 고함량의 오일 및 색소 등과 함께 사용된다. 그러나 상기한 구성 물질들은 그 성질상 입술이나 피부 표면에서 때 잘 마르지 않아 사용 시 축축한 상태로 남아있게 되고 컵이나 옷 등에 쉽게 묻어나 일상 생활에 큰 불편함을 초래하였다. 또한 묻어나지 않고 피부 표면에 남아있는 성분들 역시 시간이 지남에 따라 피부 상태나 외부 환경적인 영향으로부터 지워져 오래 지속되지 못하였다.
이에 따라 메이크업 제품의 사용자는 하루에도 여러 번 메이크업을 수정하고 덧발라야 하는 번거로움을 겪게 되고, 메이크업의 조성물을 자유롭게 활용하는 것에 큰 제약을 받았으며 이러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개선된 형태의 메이크업 조성물에 대한 개발 요구가 있어 왔다.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는, 종래의 메이크업 조성물 제형에서 묻어남이 발생하게 되는 주된 원인이 왁스와 고함량의 오일 때문이므로 이러한 물질들의 사용을 제한하는 것이 가장 효과적일 것으로 생각되었다. 그러나 왁스를 사용하지 않고 제형을 제조하는 경우에는 적정 농도의 페이스트(paste)를 형성하기 어렵거나, 굳은 후 적정 경도로 제형이 형성되지 못하는 등의 다양한 기술적 한계가 존재한다. 또 한편, 마스카라 제형의 묻어남 방지 및 지속력 유지 등을 위하여 사용되는 필름 형성제를 응용 적용하고자 하는 시도가 있었으나, 입술이나 피부는 눈썹과는 달리 움직임이 많고 주름이 존재하므로 조성물의 도포 시 딱딱하게 굳어 갈라지거나 발림성이 저하되고 불편한 사용감을 나타내는 등 상용화되기 부적합한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상기한 기술적 한계들을 극복하기 위한 메이크업 조성물에 대한 다각적인 연구가 이루어지게 되었고, 이에 아울러 메이크업 조성물의 제조 공정 측면에서도 왁스를 포함하게 되면 이를 녹이기 위하여 고온의 공정 조건을 갖추어야 하고 수 차례 왁스를 녹이는 공정이 필요하여 시간이 많이 소요되어 생산 효율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어 공정의 신속, 단순화를 할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는 실정이었다.
입술 메이크업용 또는 입술 케어용 무광택 화장료 조성물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060881호)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발명자들은 기존에 공지되어 있으나 모두 함께 사용된 적은 없는 특정 2종의 필름형성제 및 2종의 파우더를 포함하는 경우, 왁스를 사용하지 않고 오일의 함량을 줄이더라도 사용감이 좋은 메이크업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음을 확인하게 되었고 이에 따라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묻어남이 개선되고 지속성이 향상됨과 동시에 종래 대비 보습감과 발림성은 저하되지 않는 메이크업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메이크업 조성물을 제공하는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편의성과 가공성이 향상된 메이크업 조성물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실리케이트(silicate)계 필름형성제; 실세스퀴옥산(silsesquioxane)계 필름형성제; 판상 파우더; 및 구상 파우더;를 포함하는 메이크업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필름형성제로는 선택적으로 실리콘화 다당화합물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a) 실리케이트계 필름형성제, 실세스퀴옥산계 필름형성제, 판상 파우더 및 구상 파우더를 혼합(mixing)하는 단계;
b) 상기 혼합물에 대하여 하이드로카본(hydrocarbon) 오일을 첨가하여 페이스트(paste) 제형의 조성물을 형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메이크업 조성물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특히 상기 a) 단계는
a-1) 구상 파우더 및 판상 파우더를 혼합하는 단계;
a-2) 상기 구상 파우더 및 판상 파우더의 혼합물에 대하여 실리케이트계 필름형성제 및 실세스퀴옥산계 필름형성제를 혼합하는 단계;
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과제 해결 수단을 이용하여,
본 발명의 메이크업 조성물은 묻어남이 개선되고 지속성이 향상되면서도 종래 대비 보습감과 발림성은 저하되지 않는다.
또한, 상기 과제 해결 수단에 따르면 본 발명의 메이크업 조성물의 제조 방법은 왁스를 녹이는 공정이 생략되므로 실온에서 공정 가능하고 공정 시간 또한 10~20분으로 감축되어 제조 시의 편의성과 생산 효율이 향상되고 비용이 절감된다.
도 1은 실시예 1 및 비교예 2의 조성물이 인조피혁에 도포된 후 티슈에 묻어나는 정도를 확인한 이미지이다.
도 2는 실시예 1 및 비교예 2의 조성물이 직접 입술에 도포되었을 때 종이컵에 대한 묻어남을 확인한 이미지이다.
도 3은 실시예 1 및 비교예 1의 조성물의 지속성을 확인한 이미지이다.
본 발명은
실리케이트(silicate)계 필름형성제, 실세스퀴옥산(silsesquioxane)계 필름형성제, 판상 파우더 및 구상 파우더를 포함하는 메이크업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a) 실리케이트(silicate)계 필름형성제, 실세스퀴옥산(silsesquioxane)계 필름형성제, 판상 파우더 및 구상 파우더를 혼합(mixing)하는 단계;
b) 상기 혼합물에 대하여 하이드로카본(hydrocarbon) 오일을 첨가하여 페이스트(paste) 제형의 조성물을 형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메이크업 조성물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메이크업 조성물은 적은 양의 오일을 포함하는 '왁스-프리(Wax-free)' 제형으로서 바람직하게는 색조 메이크업 조성물, 보다 바람직하게는 립(lip) 메이크업 조성물로 활용될 수 있다. 본 명세서 상에서 '왁스-프리(Wax-free)'라 함은 왁스를 포함하지 않는 제형을 의미하는데, 종래의 메이크업 제형 중 대표적으로 립 메이크업 제형 등은 필수적으로 왁스 및 많은 양의 오일들을 사용하였던 것에 반해, 본 발명의 메이크업 조성물은 필름형성제 및 파우더를 혼용함으로써 왁스의 없이 적은 양의 오일만으로 제조 가능하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메이크업 조성물은 도포 후 묻어남이 효과적으로 저감되고 지속성 또한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의 메이크업 조성물은 조성물의 구성 중 필름형성제로부터 지속성이 향상되는 효과를 더 가질 수 있다. 상기 '지속성'이란 피부 자체에서 분비되는 피지나 땀, 또는 온도나 습도 등의 환경 자극에 의하여 시간의 흐름에 따라 제형 자체의 안정도가 변화하고 발림 상태가 저하되는 현상에 관련된 것으로, 제형 자체의 안정성과 별개로 외부의 물리적 접촉이 가해질 때, 이를테면 피부에 다른 물체가 맞닿을 때 화장료 조성물이 그 물체에 묻거나 발림 상태가 저하되는 현상인 '묻어남'과는 구별되는 개념이다.
본 명세서 상에서 본 발명의 메이크업 조성물은 립스틱, 립글로스, 립크림, 립밤, 립펜슬 등 립 메이크업 제품을 중심으로 설명되나, 반드시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조성물의 구성 및 효과가 적용될 수 있는 모든 형태의 메이크업 제형으로 자유롭게 활용 가능하다.
이하 본 발명의 내용에 관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하기 내용은 본 발명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하여 가장 대표적인 실시 형태만을 기재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권리 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은 하기 내용과 균등한 모든 범위를 포괄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메이크업 조성물>
필름형성제
본 발명의 메이크업 조성물은 묻어남 방지를 위한 왁스-프리 메이크업 조성물을 제공하기 위하여 조성물의 일 구성 요소로서 실리케이트(silicate)계 필름형성제 및 실세스퀴옥산(silsesquioxane)계 필름형성제를 포함한다. 상기 필름형성제는 후술되는 파우더들과 혼용될 때 가장 효과적으로 묻어남 및 지속성을 개선할 수 있다.
상기 실리케이트계 필름형성제는 트리메칠실록시실리케이트(Trimethylsiloxysilicate), 페닐프로필디메칠실록시실리케이트(Phenylpropyldimethylsiloxysilicate), 트리메칠실록시실리케이트/디메치콘 크로스 폴리머(Trimethylsiloxysilicate/Dimethicone Crosspolymer), 디메치콘/비닐트리메칠실록시실리케이트 크로스 폴리머(Dimethicone/Vinyltrimethylsiloxysilicate Crosspolymer)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일 수 있고, 상기 실세스퀴옥산계 필름형성제는 폴리페닐실세스퀴옥산(Polyphenylsilsesquioxane), 폴리프로필실세스퀴옥산(Polypropylsilsesquioxane), 디메치콘/실세스퀴옥산 코폴리머(Dimethicone/Silsesquioxane Copolymer)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일 수 있다.
상기 실리케이트계 및 실세스퀴옥산계 필름형성제는 크게 실리콘계 필름형성제에 해당하고 실리콘계 MQ 수지를 포함하고 있으며 다양한 M/Q 비율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실리콘계 수지의 제품 예로는, Dow Corning사의 MQ1600 (트리메칠실록시실리케이트), Wacker-Belsil사의 TMS-803 (트리메칠실록시실리케이트), KF-7312K (트리메칠실록시실리케이트&디메치콘), GE사의 Silshine 151 (페닐프로필디메칠실록시실리케이트), MQ1640 등이 있다.
본 발명의 보다 바람직한 일 실시 형태로서는 상기 실리케이트계 필름형성제로 트리메틸실록시실리케이트(Trimethylsiloxysilicate)를, 실세스퀴옥산계 필름형성제로 폴리프로필실세스퀴옥산(Polypropylsilsesquioxane)을 사용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2종의 필름 형성제는 함께 함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는 어느 1종의 필름 형성제만을 사용하면 메이크업 조성물 제형이 불편한 사용감을 나타낼 수 있기 때문인데, 이를테면 트리메틸실록시실리케이트와 같은 실리케이트계 필름형성제만을 사용하는 경우 제형의 표면이 메니큐어처럼 딱딱하게 굳어서 유연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생길 수 있다. 따라서 실리케이트계 필름형성제 및 실세스퀴옥산계 필름형성제가 함께 사용함으로써 적당한 강성과 유연성을 가진 제형을 형성하도록 한다.
한편, 상술한 2종의 필름형성제 외에도 본 발명의 필름형성제로 실리콘화 다당화합물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실리콘화 다당화합물로 바람직하게는 트리메틸실록시실릴이소시아네이트(Trimethylsiloxysilylisocyanate) 및 다당화합물이 반응하여 형성된 물질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다당화합물로는 셀룰로오스, 아라비아검, 알긴산, 카라기난, 잔탄검, 풀루란 등이 가능하다.
상기 실리콘화 다당화합물로 보다 바람직하게는 다당화합물로서 풀루란(Pullulan)이 반응하여 형성된 트리메틸실록시카바모일풀루란(Trimethylsiloxysilylcarbamoyl Pullulan)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트리메틸실록시카바모일풀루란의 제품 예로는 Shin Etsu사의 TSPL 30-D5(트리메칠실록시카바모일풀루란&사이클로펜타실록산), TSPL 30-ID (트리메칠실록시카바모일풀루란&이소도데칸) 등이 있다.
본 발명에 포함될 수 있는 필름형성제들의 총 함량은 전체 조성물의 중량 대비 10~40 중량%으로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10 중량% 미만으로 포함되면 필름 형성 정도가 미미하여 본 발명에서 제공하고자 하는 묻어남 방지 및 지속성 향상의 효과가 저감되며, 40 중량% 초과로 포함되면 제형이 지나치게 딱딱하게 형성되어 사용감이 나빠지기 때문이다.
또한 필름형성제 중 실리케이트계 필름형성제 대비 실세스퀴옥산계 필름형성제의 중량비는 3:1 ~ 3:3의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3:2일 수 있다. 다만, 반드시 상기 범위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메이크업 제품의 종류, 목적 및 제공하고자 하는 효과의 정도에 따라 비율 구성을 달리할 수 있다.
파우더
본 발명의 메이크업 조성물에는 구상 파우더 및 판상 파우더를 함께 사용한다.
상기 구상 파우더로는 유기계 파우더를 사용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실리카,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PMMA), 폴리우레탄(PU), 폴리메틸실세스퀴옥산(PMSQ) 및 나일론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판상 파우더로는 무기계 파우더를 사용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탈크, 보론니트라이드, 마이카 및 세리사이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을 사용할 수 있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마이카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물질들 중 구상 파우더만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사용시 가루 날림이 생길 수 있고, 판상 파우더만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조성물의 벌크 옮김성이 저하되어 발림성 좋지 못하다. 따라서 상기 구상 파우더 및 판상 파우더는 함께 사용될 때 제형의 층이 잘 미끄러지듯이 떠져 부드럽게 발리고, 날림 없이 피부에 밀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구상 파우더 및 판상 파우더의 총 함량은 전체 조성물의 중량 대비 30 ~ 80 중량%으로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30 중량% 미만으로 포함되는 경우에는 페이스트(paste)상이 형성되기 어렵고, 80 중량% 초과로 포함되는 경우에는 지나치게 뻑뻑한 제형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구상 파우더 대비 파우더의 중량비는 2:1 ~ 2:2의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6:5의 중량비를 가질 수 있다. 다만, 반드시 상기 범위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메이크업 제품의 종류, 목적 및 제공하고자 하는 효과의 정도에 따라 비율 구성을 달리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필름형성제 및 파우더를 포함하는 본 발명의 메이크업 조성물은, 왁스를 사용하지 않고 종래 대비 전반적으로 적은 양의 오일을 함유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오일의 함량은 광택에 영향을 줄 수 있으므로 묻어남 방지 효과와의 균형을 고려하여 적정량으로 포함되도록 조절할 수 있다. 다만, 종래에는 오일의 함량이 필수적으로 70 ~ 80%의 수준으로 포함되어야 했던 것에 반하여 본 발명의 메이크업 조성물에 포함되는 오일의 함량은 특별히 높은 수준으로 한정되지 않고 자유롭게 선택 가능하다. 묻어남이 개선되기 위한 오일의 함량으로 바람직하게는 종래의 절반 수준에 해당하는 40 중량%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20 중량% 이하를 사용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메이크업 조성물은 보습제, 폴리머 등의 기능성 물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제조방법>
본 발명은 또한
a) 실리케이트(silicate)계 필름형성제, 실세스퀴옥산(silsesquioxane)계 필름형성제, 판상 파우더 및 구상 파우더를 혼합(mixing)하는 단계;
b) 상기 혼합물에 대하여 하이드로카본(hydrocarbon) 오일을 첨가하여 페이스트(paste) 제형의 조성물을 형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메이크업 조성물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이때 바람직하게는, 상기 a) 단계는
a-1) 구상 파우더 및 판상 파우더를 혼합하는 단계;
a-2) 상기 구상 파우더 및 판상 파우더의 혼합물에 대하여 실리케이트계 필름형성제 및 실세스퀴옥산계 필름형성제를 혼합하는 단계;
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한 제조 방법에 따른 메이크업 조성물은 최종적으로 파우더에 대하여 차례로 필름형성제 및 하이드로카본 오일이 코팅되는 조성물 입자를 형성한다. 이러한 구조는 사용감과 묻어남 방지에 보다 효과적인데, 이를테면 메이크업 조성물을 입술 등에 도포한 후에 읊조임이 느껴지지 않고, 도포된 제형이 마르고 난 후에는 묻어남이 없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a) 단계로부터 제조된 필름형성제 및 파우더의 혼합물은 묽은 페이스트 제형을 형성하는데, 제형의 묽은 정도를 조절하고 다양한 기능을 추가적으로 부여하기 위하여 상기 (b) 단계의 하이드로카본 오일의 첨가 시 기타 오일, 보습제 및 기능성 폴리머 등을 더 첨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메이크업 조성물의 제조 방법은 15~30℃ 범위의 실온에서 수행되고, 총 공정 시간이 10~20분 내외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종래의 왁스를 포함하는 메이크업 조성물을 제조하기 위해서는 녹는점(melting point)이 90˚C 이상인 왁스를 녹이기 위하여 공정 중 고온의 조건이 필수적으로 요구되었고, 왁스를 녹이는 과정 또한 3~4번의 반복 공정이 필요한 것은 물론 가열 및 용해 과정이 대부분으로 약 1시간 이상의 공정 시간이 소요되었다. 이에 반하여 본 발명은 공정상의 번거로움을 줄일 수 있어 편의성과 가공성이 향상되는 것은 물론 비용 또한 절감할 수 있으므로 전반적인 생산 효율을 높일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효과에 관한 평가예 및 실험예 1 ~ 4를 기재한다. 실험에는 하기 실시예 1, 비교예 1 및 비교예 2의 조성을 가진 메이크업 조성물을 이용하였다. 다만, 하기 시험예는 본 발명의 구성 및 효과에 관한 일 실험예들에 해당할 뿐, 본 발명의 권리 범위 및 효과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 실시예 1 및 비교예 1>

종류

화학명

실시예 1
함량 ( % )

비교예1
함량( % )
판상파우더 마이카(Mica) 27.0 30.0
구상파우더 폴리메틸실세스퀴옥산 17.0 20.0
구상파우더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4.0 8.0
색소 레드 #7 레이크 10.0 10.0
필름형성제 트리메틸실록시실릴카보밀플루란 5.0 -
필름형성제 트리메틸실록시실리케이트 3.0 -
필름형성제 폴리프로필실세스퀴옥산 2.0 -
실리콘오일 사이클로펜타실록산 5.0 5.0
실리콘오일 디메치콘 10.0 10.0
실리콘오일 디페닐실록시페닐트리메치콘 5.0 5.0
탄화수소오일 파이토스쿠알란 5.0 5.0
보습제 뷰틸렌글라이콜 4.0 4.0
폴리머 디메치콘/비닐디메치콘 크로스폴리머 3.0 3.0
상기 표 1에 기재된 성분의 함량과 조합에 따라 실시예 1 및 비교예 1의 메이크업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1은 본 발명의 메이크업 조성물이고, 비교예 1은 본 발명의 메이크업 조성물의 구성 대비 필름형성제를 포함하지 않는 메이크업 조성물이다.
< 비교예 2>

화학명

비교예2
함량( % )
디카프릴릴카보네이트 20.0
비닐디메치콘/메치콘 실세스퀴옥산 크로스폴리머 5.0
폴리글리세릴-2-프리이소스테아레이트 17.0
디이소스테아릴 말레이트 8.0
조조바 에스테르 8.0
트리옥틸도데실 사이트레이트 7.0
디메치콘 6.0
에틸렌/프로필렌 코폴리머 4.0
신테틱 왁스 5.0
폴리에틸렌 5.0
하이드로제네이티드 캐스톨 오일 이소스테아레이트 3.0
알루미나 2.0
레드 #7 레이크 (CI 15850) 10.0
상기 표 2에 기재된 성분의 함량과 조합에 따라 비교예 2의 메이크업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2의 메이크업 조성물은 왁스를 사용하는 종래의 메이크업 조성물에 해당한다.
< 제조예 >
1) 파우더 원료와 색소를 혼합하여 믹서기에 넣고 1분간 믹싱한다.
2) 믹싱된 1)의 원료에 필름형성제와 실리콘을 투여하고 1분간 믹싱한다.
3) 2)를 반죽기로 가져와 탄화수소오일, 보습제, 폴리머를 넣고 2단으로 15분간 믹싱한다.
< 평가예 >
본 평가예에서는 상기 실시예 1, 비교예 1 및 비교예 2의 묻어남, 지속성, 발림성에 관한 특성을 평가하였다. 평가는 30명의 구성원으로 이루어진 그룹의 관능평가로 수행되었으며 우수한 정도에 따라 각 항목당 1~5점(1 : 저조함 ~ 5 : 매우 우수)으로 평가하도록 하였다. 각 항목당 총점은 평균값으로 나타내었다.
결과는 하기 표 3으로 제시한다.
  실시예 1 비교예 1 비교예 2
묻어남 없음 4.3 2.0 1.0
지속성 4.1 2.7 2.3
발림성 3.9 3.6 4.0
상기 표 3을 참조하면, 실시예 1은 종래의 비교예 2에 비하여 묻어남이 없고, 지속성이 향상되면서도 발림성은 동등한 수준으로 유지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실시예 1의 조성물 대비 필름 형성제를 포함하지 않은 비교예 1의 조성물에 비하여도 실시예 1의 조성물은 비하여 묻어남이 없고 지속성이 향상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하의 실험예에서는 구체적으로 상기 관능 평가 결과에 관한 몇 가지 실험예들을 제시한다.
< 실험예 1> - 묻어남 실험 1
실시예 1 및 비교예 2를 비교하여 묻어남 특성의 차이를 확인하였다.
실험 방법으로는 인조피혁에 실시예 1 및 비교예 2의 각 조성물을 3회씩 롤링하여 바른 후 티슈를 덮고 문진으로 1분간 누른 후 티슈에 묻어나는 정도를 비교하였다. 본 실험예 1의 결과는 도 1로 제시한다.
도 1을 참조하면, 종래의 왁스 포함 제형인 비교예 2(하단)의 경우에는 도포한 조성물이 눈에 띄게 티슈에 묻어난 반면 실시예 1(상단)의 경우에는 묻어남이 없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 실험예 2> - 묻어남 실험 2
상기 실험예 1과 다른 방법을 통하여 실시예 1 및 비교예 2의 조성물의 묻어남 특성 차이를 확인하였다.
실험 방법으로는 입술에 상기 실시예 1 및 비교예 2의 조성물을 각각 도포한 후 30분이 경과한 다음, 종이 컵에 담긴 물을 먹을 때 종이컵에 조성물이 묻어나는 정도를 비교하였다. 본 실험예 2의 결과는 도 2로 제시한다.
도 2를 참조하면, 실시예 1(좌측)의 경우에는 묻어남이 전혀 없는 반면, 비교예 2(우측)의 경우에는 입술에 도포된 조성물이 선명히 묻어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 실험예 3> - 지속성 시험
필름형성제의 포함 여부가 조성물의 지속성에 영향을 주는 정도를 알아보기 위하여 상기 실시예 1 및 비교예 1의 조성물을 이용하여 지속성 시험을 수행하였다.
실험 방법으로는, 인조피혁에 실시예 1 및 비교예 1의 조성물을 각각 도포한 후 인조피혁 전체를 caprylic/capric triglyceride와 물을 1:4로 만든 용액(피부 상태와 유사하다고 가정)에 담궈서 20분간 흔들었다(shaking). 그 결과는 도 3으로 제시한다.
도 3을 참조하면, 실시예 1(좌측)의 경우 지워짐이 거의 없이 처음 도포된 상태로 유지되었으나 비교예 1(우측)은 군데군데 하얗게 벗겨진 부분들이 많이 보이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메이크업 조성물이 종래의 왁스를 포함하는 메이크업 조성물과 대비하여 사용에 적합한 정도의 건조도를 가지고 있는지 확인하기 위하여, 실시예 1 및 비교예 2의 조성물을 이용해 하기 실험을 수행하였다. 이를 하기 실험예 4로 제시한다.
< 실험예 4> - 건조함 실험
피부 표면 수분 증발 정도 측정
피부 표면 수분 증발 정도를 측정하기 위하여 10명의 시험 대상자의 피부를 스킨터치로 측정한 평균값을 확인하였다. 결과는 하기 표 4로 제시한다.
실시예 1 비교예 2
바른 직후 40 43
2시간 후 30 33
5시간 후 24 27
하기 표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메이크업 조성물인 실시예 1은 종래의 왁스를 포함하는 메이크업 조성물인 비교예 2와 비교할 때, 실제 사용상 큰 차이가 없는 수준의 비슷한 정도의 건조도를 가지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메이크업 조성물은 종래의 제형에 비하여 특별히 당기거나 건조함이 발생하지 않음을 알 수 있다.
건조함에 대한 관능평가
본 관능 평가는 10명의 구성원으로 이루어진 그룹의 관능평가로 수행되었으며 우수한 정도에 따라 각 항목당 1~5점(1 : 거의 느껴지지 않음 ~ 5 : 매우 심함)으로 평가하도록 하였다. 평가 결과, 실시예 1은 평균 2.4, 비교예 2는 평균 2.1로 실제 사용상 큰 차이가 없는 수준의 비슷한 건조도로 평가되었다.
이상의 평가예 및 실험예 1 ~ 4의 결과들을 종합하면, 본 발명에 따른 메이크업 조성물은 왁스 프리 제형으로서, 묻어남이 개선되고 지속성이 우수하면서도, 종래 대비 발림성 및 보습감은 저감되지 않는 메이크업 조성물임을 알 수 있다.

Claims (17)

  1. 실리케이트(silicate)계 필름형성제; 실세스퀴옥산(silsesquioxane)계 필름형성제; 실리콘화 다당화합물; 판상 파우더; 및 구상 파우더;를 포함하는 메이크업 조성물로서,
    상기 실리콘화 다당화합물은 트리메틸실록시카바모일풀루란(Trimethylsiloxysilylcarbamoyl Pullulan)이고,
    상기 판상 파우더는 탈크, 보론니트라이드, 마이카 및 세리사이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이고,
    상기 실리케이트계 필름형성제, 실세스퀴옥산계 필름형성제 및 실리콘화 다당화합물을 포함하는 필름형성제들의 총 함량은 전체 조성물의 중량 대비 10~40 중량%이고,
    상기 메이크업 조성물은 왁스-프리 제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이크업 조성물.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실리케이트계 필름형성제는 트리메틸실록시실리케이트(Trimethylsiloxysilicate), 페닐프로필디메틸실록시실리케이트(Phenylpropyldimethylsiloxysilicate), 트리메틸실록시실리케이트/디메치콘 크로스 폴리머(Trimethylsiloxysilicate/Dimethicone Crosspolymer), 디메치콘/비닐트리메틸실록시실리케이트 크로스 폴리머(Dimethicone/Vinyltrimethylsiloxysilicate Crosspolymer)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이크업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실세스퀴옥산계 필름형성제는 폴리페닐실세스퀴옥산(Polyphenylsilsesquioxane), 폴리프로필실세스퀴옥산(Polypropylsilsesquioxane), 디메치콘/실세스퀴옥산 코폴리머(Dimethicone/Silsesquioxane Copolymer)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이크업 조성물.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실리케이트계 필름형성제는 트리메틸실록시실리케이트(Trimethylsiloxysilicate)이고, 실세스퀴옥산계 필름형성제는 폴리프로필실세스퀴옥산(Polypropylsilsesquioxane)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이크업 조성물.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상 파우더는 실리카,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PMMA), 폴리우레탄(PU), 폴리메틸실세스퀴옥산(PMSQ) 및 나일론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이크업 조성물.
  8. 삭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실리케이트계 필름형성제 대비 실세스퀴옥산계 필름형성제의 중량비는 3:1~3:3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이크업 조성물.
  10. 삭제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상 파우더 및 판상 파우더의 중량비는 2:1 ~ 2:2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이크업 조성물.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상 파우더 및 판상 파우더의 총 함량은 전체 조성물의 중량 대비 30 ~ 95 중량%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이크업 조성물.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이크업 조성물에 포함되는 오일의 함량은 조성물의 총 중량 대비 40 중량%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이크업 조성물.
  14. a) 실리케이트계 필름형성제, 실세스퀴옥산계 필름형성제, 실리콘화 다당화합물, 판상 파우더 및 구상 파우더를 혼합(mixing)하는 단계;
    b) 상기 혼합물에 대하여 하이드로카본(hydrocarbon) 오일을 첨가하여 페이스트(paste) 제형의 조성물을 형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메이크업 조성물의 제조 방법으로서,
    상기 실리콘화 다당화합물은 트리메틸실록시카바모일풀루란(Trimethylsiloxysilylcarbamoyl Pullulan)이고,
    상기 판상 파우더는 탈크, 보론니트라이드, 마이카 및 세리사이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이고,
    상기 실리케이트계 필름형성제, 실세스퀴옥산계 필름형성제 및 실리콘화 다당화합물을 포함하는 필름형성제들의 총 함량은 전체 조성물의 중량 대비 10~40 중량%이고,
    상기 메이크업 조성물은 왁스-프리 제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이크업 조성물의 제조 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는
    a-1) 구상 파우더 및 판상 파우더를 혼합하는 단계;
    a-2) 상기 구상 파우더 및 판상 파우더의 혼합물에 대하여 실리케이트계 필름형성제, 실세스퀴옥산계 필름형성제 및 실리콘화 다당화합물을 혼합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이크업 조성물의 제조 방법.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에서 보습제 및 기능성 폴리머를 더 첨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이크업 조성물의 제조 방법.
  17. 제14항 내지 제1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이크업 조성물의 제조는 15~30℃에서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이크업 조성물의 제조 방법.
KR1020150137380A 2015-09-30 2015-09-30 묻어남이 개선된 메이크업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Active KR102453363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37380A KR102453363B1 (ko) 2015-09-30 2015-09-30 묻어남이 개선된 메이크업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SG11201802191XA SG11201802191XA (en) 2015-09-30 2016-09-19 Makeup composition having reduced transfer, and preparation method therefor
PCT/KR2016/010418 WO2017057862A1 (ko) 2015-09-30 2016-09-19 묻어남이 개선된 메이크업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CN201680056650.5A CN108135798B (zh) 2015-09-30 2016-09-19 一种改善转粘的彩妆组合物及其制备方法
HK18113666.6A HK1254685A1 (zh) 2015-09-30 2018-10-25 一種改善轉粘的彩妝組合物及其製備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37380A KR102453363B1 (ko) 2015-09-30 2015-09-30 묻어남이 개선된 메이크업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38265A KR20170038265A (ko) 2017-04-07
KR102453363B1 true KR102453363B1 (ko) 2022-10-07

Family

ID=584273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37380A Active KR102453363B1 (ko) 2015-09-30 2015-09-30 묻어남이 개선된 메이크업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KR (1) KR102453363B1 (ko)
CN (1) CN108135798B (ko)
HK (1) HK1254685A1 (ko)
SG (1) SG11201802191XA (ko)
WO (1) WO201705786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94641B1 (ko) * 2017-07-24 2022-05-09 (주)아모레퍼시픽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KR102033510B1 (ko) * 2017-12-28 2019-11-08 한국콜마주식회사 아이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KR102086315B1 (ko) * 2018-06-26 2020-03-09 코스맥스 주식회사 왁스-프리 아이 메이크업용 화장료 조성물
CN112888715B (zh) * 2018-10-18 2023-11-03 东亚合成株式会社 倍半硅氧烷衍生物组合物及其用途
WO2020118403A1 (pt) * 2018-12-12 2020-06-18 Botica Comercial Farmacêutica Ltda. Composição cosmética para maquiagem labial
KR102153538B1 (ko) * 2018-12-14 2020-09-08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광택감과 색 묻어남 정도가 개선된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
US20210386654A1 (en) * 2018-12-27 2021-12-16 L'oreal Anhydrous composition for caring for and/or making up keratin materials
KR20210038006A (ko) 2019-09-30 2021-04-07 (주)아모레퍼시픽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
US20220409501A1 (en) * 2020-01-22 2022-12-29 Shiseido Company, Ltd. Cosmetic composition
KR102472578B1 (ko) * 2020-05-06 2022-11-30 코스맥스 주식회사 실리콘 중합체, 탄화수소계 오일 및 실리콘 파우더를 포함하는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
KR102417956B1 (ko) * 2020-06-05 2022-07-07 한국콜마주식회사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
KR102459288B1 (ko) * 2020-07-02 2022-10-26 주식회사 코스메카코리아 겔상 점증제 프리 유분산형 아이메이크업 조성물
KR102518286B1 (ko) 2020-10-28 2023-04-05 코스맥스 주식회사 스틱형 립밤 제조용 화장료 조성물 및 이로부터 성형되는 편의성과 기능성이 개선된 스틱형 립밤
CN113143786A (zh) * 2020-12-26 2021-07-23 广州集妍化妆品科技有限公司 一种丝绒哑光质地唇釉及其制备方法
KR102441385B1 (ko) * 2021-04-09 2022-09-07 (주)아모레퍼시픽 립 제품의 묻어남 방지 효능 평가 방법
KR102319499B1 (ko) * 2021-05-13 2021-11-05 한국콜마주식회사 묻어남이 개선된 왁스-프리의 유분산 화장료 조성물
WO2023054803A1 (ko) * 2021-09-29 2023-04-06 코스맥스 주식회사 고분자 파우더를 포함하는 유분산 고형 화장료 조성물
CN114224747B (zh) * 2021-11-24 2023-04-11 上海蔻沣生物科技有限公司 改性粉体及其制备方法、包括改性粉体的化妆品
KR102539387B1 (ko) * 2021-12-06 2023-06-07 (주)나우코스 광택감과 보습감 및 슬라이딩감이 뛰어난 유중수형 에멀젼 입술용 화장품 조성물
CN114469782A (zh) * 2021-12-31 2022-05-13 浙江百姿化妆品股份有限公司 一种新型眼影及其制备工艺
CN116459193A (zh) * 2023-05-25 2023-07-21 杭州花凝香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组合物、其制备方法和应用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7123115A1 (ja) * 2006-04-17 2007-11-01 Mitsubishi Pencil Company, Limited 水系液体メイクアップ化粧料
US9089503B2 (en) * 2007-06-06 2015-07-28 L'oreal Comfortable transfer-resistant colored cosmetic compositions containing a silsesquioxane wax
KR101060881B1 (ko) 2008-11-13 2011-08-31 (주)아모레퍼시픽 입술 메이크업용 또는 입술 케어용 무광택 화장료 조성물
CA2786792C (en) * 2010-01-19 2017-01-03 Elc Management Llc Composite particles, compositions and methods
JP5766981B2 (ja) * 2010-03-09 2015-08-19 株式会社コーセー マスカラ・アイライナー兼用化粧料組成物
KR102033017B1 (ko) * 2012-04-30 2019-10-16 (주)아모레퍼시픽 Mq 실리콘 레진 및 프로필실세스퀴옥산 수지를 함유하는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KR102092335B1 (ko) * 2013-08-26 2020-03-23 (주)아모레퍼시픽 입술 화장료 조성물
KR20150051675A (ko) * 2013-11-05 2015-05-13 코웨이 주식회사 제형 안정도 및 지속성이 우수한 저점도 유중수형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CN105848520A (zh) * 2013-12-23 2016-08-10 欧莱雅 多种美容组合物
KR101666267B1 (ko) * 2014-02-25 2016-10-13 (주)셀트리온 화장 지속성 및 유연감이 우수한 유중수형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38265A (ko) 2017-04-07
HK1254685A1 (zh) 2019-07-26
CN108135798B (zh) 2021-10-26
SG11201802191XA (en) 2018-04-27
CN108135798A (zh) 2018-06-08
WO2017057862A1 (ko) 2017-04-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53363B1 (ko) 묻어남이 개선된 메이크업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EP3192492B1 (en) Solid lip cosmetic
KR20160102762A (ko) 실리콘 오일 및 에몰리언트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JP6896059B2 (ja) 粘着性が改善された、高耐久性、耐移り性を有する化粧品組成物
KR20170091864A (ko)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
KR102394641B1 (ko)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CN105982832A (zh) 固体型彩妆化妆品组合物
KR20210038006A (ko)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
KR101605813B1 (ko) 고함량의 실리콘 오일 및 에몰리언트를 함유하는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KR102518286B1 (ko) 스틱형 립밤 제조용 화장료 조성물 및 이로부터 성형되는 편의성과 기능성이 개선된 스틱형 립밤
KR102371153B1 (ko)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
JP7350269B2 (ja) 光沢感と色移りの程度が改善された唇用化粧料組成物
KR20150085932A (ko)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
KR101060881B1 (ko) 입술 메이크업용 또는 입술 케어용 무광택 화장료 조성물
KR102599004B1 (ko)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
KR102213431B1 (ko) 섬유 성분을 포함하는 아이 메이크업 고형 화장료 조성물
KR101780709B1 (ko) 수용성 실리콘 화합물을 함유하는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
KR101822002B1 (ko) 유중수형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KR102535485B1 (ko) 에몰리언트 및 실리콘 레진을 포함하는 고광택 및 지속력을 향상시킨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KR102417956B1 (ko)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
KR102780611B1 (ko) 실리콘 중합체를 포함하는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
KR101754213B1 (ko) 글리세릴기가 부가된 왁스와 유연한 필름 폴리머를 함유하는 아이메이크업 조성물
US11160735B1 (en) Long wear lip cosmetic system and topcoat
KR100715611B1 (ko)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
KR20240047751A (ko) 수중 실리콘 제형의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50930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200922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50930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20706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20913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21004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21004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