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382991B1 - 저온인성이 우수한 초고강도 플럭스 코어드 아크 용접이음부 - Google Patents

저온인성이 우수한 초고강도 플럭스 코어드 아크 용접이음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82991B1
KR101382991B1 KR1020120153867A KR20120153867A KR101382991B1 KR 101382991 B1 KR101382991 B1 KR 101382991B1 KR 1020120153867 A KR1020120153867 A KR 1020120153867A KR 20120153867 A KR20120153867 A KR 20120153867A KR 101382991 B1 KR101382991 B1 KR 10138299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lded joint
flux cored
cored arc
toughness
low temperatur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538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정길
한일욱
이봉근
이홍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1201538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8299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829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82991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35/00Rods, electrodes, materials, or media, for use in soldering, welding, or cutting
    • B23K35/02Rods, electrodes, materials, or media, for use in soldering, welding, or cutting characterised by mechanical features, e.g. shape
    • B23K35/0255Rods, electrodes, materials, or media, for use in soldering, welding, or cutting characterised by mechanical features, e.g. shape for use in welding
    • B23K35/0261Rods, electrodes, wires
    • B23K35/0266Rods, electrodes, wires flux-cor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35/00Rods, electrodes, materials, or media, for use in soldering, welding, or cutting
    • B23K35/22Rods, electrodes, materials, or media, for use in soldering, welding, or cutting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or nature of the material
    • B23K35/24Selection of soldering or welding materials proper
    • B23K35/30Selection of soldering or welding materials proper with the principal constituent melting at less than 1550 degrees C
    • B23K35/3053Fe as the principal constituent
    • B23K35/3066Fe as the principal constituent with Ni as next major constitu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35/00Rods, electrodes, materials, or media, for use in soldering, welding, or cutting
    • B23K35/40Making wire or rods for soldering or welding
    • B23K35/406Filled tubular wire or rods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04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manganese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0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nickel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1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 C22C38/4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nickel
    • C22C38/42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nickel with copper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1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 C22C38/4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nickel
    • C22C38/44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nickel with molybdenum or tungste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2103/00Materials to be soldered, welded or cut
    • B23K2103/02Iron or ferrous alloy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Nonmetallic Welding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해양구조용 강재, 특히 초고강도 강재를 플럭스 코어드 아크 용접(Flux Cored Arc Welding, FCAW)함으로써 얻을 수 있는 플럭스 코어드 아크 용접이음부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서는 플럭스 코어드 아크 용접에 의해 형성되는 용접이음부의 성분조성 및 미세조직을 제어함으로써 강도뿐만 아니라 저온 충격인성을 동시에 우수하게 확보한 용접이음부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저온인성이 우수한 초고강도 플럭스 코어드 아크 용접이음부 {ULTRA HIGH STRENGTH FLUX CORED ARC WELDED JOINT HAVING EXCELLENT LOW TEMPERATURE TOUGHNESS}
본 발명은 해양구조용 강재, 특히 초고강도 강재를 플럭스 코어드 아크 용접(Flux Cored Arc Welding, FCAW)함으로써 얻을 수 있는 플럭스 코어드 아크 용접이음부에 관한 것이다.
최근, 석유나 천연가스 등의 자원개발이 점차 극한지 및 한랭지역 등으로 이동하면서, 이러한 지역 등에 건설되는 구조물은 저온에서도 안정적으로 운영될 수 있도록 우수한 저온인성 특성 확보의 중요성이 점차적으로 높아지고 있다. 더욱이, 저장 및 수송 효율의 향상과, 구조물의 두께 및 크기 감소에 의한 시공비용 절감을 위해 강재의 고강도화가 절실히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하지만, 일반적으로 강재는 강도가 증가할수록 인성은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기 때문에, 강도와 저온인성의 발란스(balance)를 도출하기 위한 많은 노력들이 행해지고 있다.
한편, 저온 지역에서 사용 가능한 구조물을 제조함에 있어서, 필수적인 용접공정에 의해 형성되는 용접이음부는 용접열원에 의하여 급열 및 급냉을 겪게 되고, 이때의 용접이음부는 결정립이 조대화되거나 취약한 조직으로 상변태가 일어나 결국 모재 대비 품질 특성이 매우 열화되며, 특히 낮은 온도에서 취성 파괴 가능성이 매우 높아지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저온 지역에 설치되는 구조물은 낮은 온도에서 우수한 CTOD(Crack Tip Opening Displacement) 특성이 요구되며, 특히 강구조물의 파단은 주로 저입열 또는 증입열 용접하에서 시행된 용접부 또는 용접이음부에서 발생하기 때문에 모재의 특성보다 저입열 또는 증입열 용접하에서의 용접이음부에서 우수한 CTOD 특성이 요구된다.
지금까지 관련 연구결과에 따르면, 용접이음부에서 발생된 크랙(crack)은 조대한 입계 페라이트(Grain Boundary Ferrite, GBF)를 따라 진행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입내에 형성된 침상 페라이트(Accicular Ferrite)의 경우에는 입계 페라이트와는 달리 크랙의 진행을 억제하는 것으로 알려짐에 따라, 수많은 관련 연구들이 입계 페라이트의 형성을 억제하고, 입내 침상 페라이트의 형성을 촉진하는 개념을 통해 용접이음부의 저온인성을 향상시켜 왔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저온지역에 설치되는 구조물들의 안정성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용접이음부의 미세조직을 제어하여 용접이음부의 저온 인성을 확보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의 해결 수단의 일 예로서, 특허문헌 1 및 2는 용접재료의 성분을 규정하고 있는데, 이들 발명에서는 용접금속의 미세조직 및 입경 등을 제어하지 못하므로, 용접재료의 충분하고 안정적인 용접이음부 인성을 확보하기 어렵다.
또한, 용접입열량이 변화함에 따라 용접이음부의 미세조직 및 성분의 변화가 필연적으로 발생하게 됨으로써 용접이음부의 인성 확보가 더욱 어려운 문제가 있다.
일본 특허공개공보 평8-10982호 일본 특허공개공보 평11-170085호
본 발명의 일 측면은, 플럭스 코어드 아크 용접시 형성되는 용접이음부의 조성 및 미세조직의 제어로 강도뿐만 아니라 저온 인성도 우수한 플럭스 코어드 아크 용접이음부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은, 중량%로, C: 0.03~0.09%, Si: 0.3~0.4%, Mn: 1.5~2.0%, Cr: 0.01~0.03%, Ni: 3.0~3.5%, Cu: 0.02~0.04%, Mo: 0.20~0.25%, Ti: 0.05~0.07%, B: 0.003~0.005%, 잔부 Fe 및 불가피한 불순물을 포함하고,
미세조직은 면적분율로 5~70%의 카바이드-프리 베이나이트(Carbide-free bainite, CFB) 및 나머지는 도상 마르텐사이트(Martensite-Austenite constituent)를 포함하는 플럭스 코어드 아크 용접이음부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플럭스 코어드 아크 용접(FCAW)을 적용함에도 고항복강도 및 고인장강도를 가지면서도 동시에 저온 충격인성이 우수한 용접이음부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현미경으로 관찰한 카바이드-프리 베이나이트(carbide-free bainite) 조직을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비교예 1과 발명예 1 및 2의 미세조직을 광학 현미경으로 관찰한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발명예 1 및 2의 미세조직을 전자주사현미경(SEM)으로 관찰한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여기서, 화살표는 도상 마르텐사이트 조직을 나타내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플럭스 코어드 아크 용접이음부에 대한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하겠지만, 본 발명은 하기의 실시예들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해당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한 다른 형태로 구현할 수 있을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자들은 저온인성이 우수한 플럭스 코어드 아크 용접이음부를 제공할 수 있는 방안을 연구하기 위하여, 강판의 설계 및 용접 조건 등에 초점을 맞추어 면밀히 검토한 결과, 강도 및 저온인성의 밸런스를 확보할 수 있는 최적의 조직 분율을 도출하였으며, 이러한 조직 분율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용접금속의 조성 성분을 적절히 제어하면서, 용접조건을 제어하면 용접이음부의 저온인성뿐만 아니라 550MPa 이상의 항복강도를 확보할 수 있다는 것을 새롭게 규명하고, 그 결과에 기초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이하, 본 발명의 플럭스 코어드 아크 용접이음부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항복강도 및 저온인성이 우수한 초고강도 플럭스 코어드 아크 용접이음부는 중량%로 C: 0.03~0.09%, Si: 0.3~0.4%, Mn: 1.5~2.0%, Cr: 0.01~0.03%, Ni: 3.0~3.5%, Cu: 0.02~0.04%, Mo: 0.20~0.25%, Ti: 0.05~0.07%, B: 0.003~0.005%, 잔부 Fe 및 불가피한 불순물을 포함한다.
이하, 상기와 같이 성분을 제한하는 이유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이때, 각 성분함량은 중량%를 의미한다.
C: 0.03~0.09%
탄소(C)는 용접금속의 강도를 확보함과 동시에 경화성을 확보하는데에 유리한 원소로서, 상술한 효과를 얻기 위해서는 C를 0.03% 이상으로 첨가할 필요가 있다. 다만, C의 함량이 0.09%를 초과하게 되면, 조대한 탄화물 등이 석출되어 인성을 저하시키는 문제가 있으므로, 그 상한을 0.09%로 제한함이 바람직하다.
다만, 항복강도 650MPa 및 인장강도 750MPa 이상급의 용접이음부를 얻기 위해서는 C를 0.06~0.09%로 제한하여 첨가할 경우 상술한 효과를 만족할 수 있다.
Si: 0.3~0.4%
실리콘(Si)은 탈산효과 및 강도 향상을 위해 첨가하는 원소로서, 그 함량이 0.3% 미만일 경우에는 용융금속의 유동성을 저하시키는 문제가 있으며, 반면 0.4%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용접금속 내에 도상 마르텐사이트(Martensite-Austenite constituent) 조직의 변태를 촉진시킬 수 있으며, 이와 함께 조대한 산화물이 형성됨에 따라 인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으므로, 본 발명에서 Si은 0.3~0.4%로 제한함이 바람직하다.
Mn: 1.5~2.0%
망간(Mn)은 탈산작용 및 강도를 향상시키는 필수적인 원소로서, 이러한 효과를 위해서는 Mn을 1.5% 이상으로 첨가할 필요가 있다. 다만, Mn의 함량이 2.0%를 초과하게 되면 조대한 산화물이 형성되어 인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으므로, 그 상한을 2.0%로 제한함이 바람직하다.
Cr: 0.01~0.03%
크롬(Cr)은 소입성을 증가시키고, 저온변태상을 촉진시켜 강도를 증가시키는 원소로서, 이러한 효과를 위해서는 0.01% 이상으로 Cr을 첨가할 필요가 있다. 다만, 그 함량이 0.03%를 초과하여 과다할 경우에는 탄, 질화물을 형성하여 용접이음부의 인성을 저하시킬 우려가 있으므로, 그 상한을 0.03%로 제한함이 바람직하다.
Ni: 3.0~3.5%
니켈(Ni)은 오스테나이트 형성원소로서, 저온변태상의 형성을 촉진시켜 강도 향상을 도모하고, 인성 향상에 기여하는 원소이다. 이러한 효과를 얻기 위해서는 3.0% 이상의 Ni이 필요하지만, 고가의 원소이므로 너무 과량으로 첨가하면 경제적인 측면에서 불리하며, 특히 3.5%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소입성이 크게 증가하여 고온균열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으므로 바람직하지 않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Ni의 함량을 3.0~3.5%로 제한함이 바람직하다.
Cu: 0.02~0.04%
구리(Cu)는 기지에 고용되어 고용강화 효과를 통한 강도 및 인성 향상에 유용한 원소로서, 이를 위해서는 0.02% 이상으로 함유되어야 하지만, 0.04%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용접이음부에서 경화성을 증가시켜 인성을 저하시키므로 바람직하지 못하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Cu의 함량을 0.02~0.04%로 제한함이 바람직하다.
Mo: 0.20~0.25%
몰리브덴(Mo)은 소입성을 증가시키고, 저온변태상을 촉진시켜 강도를 증가시키고, 결정립계(Grain boundary) 페라이트를 억제하는 원소로서, 상기 효과를 얻기 위해서는 Mo을 0.20% 이상으로 첨가할 필요가 있으나, 과량으로 첨가할 경우에는 저온변태상이 과하게 형성되어 오히려 인성을 저해할 우려가 있으므로, 그 함량의 상한을 0.25%로 제한함이 바람직하다.
Ti: 0.05~0.07%
티타늄(Ti)은 산소(O)와 결합하여 미세한 Ti 산화물을 형성시킬 뿐만 아니라, 미세한 TiN 석출물을 형성시켜 침상 페라이트(Acicular Ferrite)의 형성을 촉진함으로써 강도 및 인성을 향상시키는 원소이다. 이와 같이, Ti에 의한 TiO 산화물 및 TiN 석출물의 효과를 얻기 위해서는 0.05% 이상으로 Ti을 첨가할 필요가 있으나, 너무 과도하면 조대한 산화물이 형성되어 인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으므로, 그 상한을 0.07%로 제한함이 바람직하다.
B: 0.003~0.005%
보론(B)은 소입성을 향상시키고, 저온변태상을 촉진시켜 강도 향상을 도모하는 원소이다. 또한, 용접이음부에 균일하게 분산되어 있는 복합 개재물과는 달리 용접금속의 기지내로 고용되며, 결정입계로 확산되어 결정입계의 에너지를 낮추어 결정립계에서 조대한 입계 페라이트 변태를 억제하는 역할을 한다. 상술한 효과를 얻기 위해서는 B을 0.003% 이상으로 첨가할 필요가 있으나, 너무 과량으로 첨가할 경우에는 그 효과가 포화되고, 저온변태상이 과도하게 형성되어 오히려 인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으므로, 그 상한을 0.005%로 제한함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성분들 이외의 잔부 Fe 및 불가피한 불순물을 포함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용접이음부의 미세조직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서 플럭스 코어드 아크 용접 후 형성되는 용접이음부의 미세조직은 면적분율로 5~70%의 카바이드-프리 베이나이트(Carbide-free bainite, CFB) 및 나머지는 도상 마르텐사이트(Martensite-Austenite constituent)를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카바이드-프리 베이나이트(CFB)는 탄소(C)가 적게 함유되고, 니켈(Ni)이 적정량으로 첨가된 용접재료에서, 입열량이 관리되는 경우에 생성되는 조직으로서,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일반 베이나이트(Bainite)와는 달리, 래쓰(lath) 사이에 탄화물이 존재하지 않거나 인성 향상에 영향을 미치는 오스테나이트가 잔류함으로써 베이나이트의 인성이 저하되지 않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일반적인 베이나이트는 입열량이 높은 경우 생성되는 조직으로서, 래쓰(lath) 조직 사이에 Fe3C가 석출되어 있는 조직이다. 여기서, 래쓰(lath) 조직은 강도를 높이는 역할을 하지만, 석출된 Fe3C는 인성을 저하시키는 원인으로서 작용한다. 따라서, 인성을 저하시키는 요인이 되는 Fe3C 석출을 억제할 필요가 있으며, 이를 위해서 본 발명에서는 C의 함량을 낮게 제어함으로써, 결과적으로 카바이드-프리 베이나이트(CFB) 조직을 얻을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와 같이 용접이음부의 강도 및 인성 향상에 영향을 미치는 미세조직을 카바이드-프리 베이나이트로 함유하도록 함으로써, 용접이음부의 강도 및 인성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면적분율로 5~70%의 카바이드-프리 베이나이트를 포함함이 바람직하며, 특히 항복강도 650MPa 및 인장강도 750MPa 이상급의 용접이음부를 얻기 위해서는 상기 카바이드-프리 베이나이트를 50~70%로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용접이음부는 상기 카바이드-프리 베이나이트 이외에 잔부로 도상 마르텐사이트(Martensite-Austenite constituent)를 포함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도상 마르텐사이트는 인성을 저하시키는 요인으로 알려져 있는데,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도상 마르텐사이트의 입경을 미세하게 제어함으로써 강도는 향상시키면서 인성은 저하되지 않도록 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도상 마르텐사이트 평균 입경은 강도 및 인성 향상의 목적으로 0.3μm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도상 마르텐사이트의 평균 입경이 0.3μm를 초과하여 조대하게 형성되면, 고르게 분포하지 못하여 용접이음부의 인성이 저하되거나 균열이 발생되는 기점으로 작용할 수 있으므로 바람직하지 못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성분조성 및 미세조직이 제어되는 용접이음부는 -10℃에서의 CTOD 값이 1mm 이상으로, 우수한 충격인성을 가질 수 있다.
용접이음부를 제조하는 방법은 통상의 플럭스 코어드 아크 용접(FCAW)에 의해 얻을 수 있으므로 특별히 제한하지는 않으나, 입열량의 경우 2.0~3.0kJ/mm로, 예열 및 패스간 온도의 경우 200~250℃로 제어하는 경우에 상술한 효과를 갖는 용접이음부를 얻을 수 있다. 특히, 예열 및 패스간 온도가 200℃ 미만이면 조직이 경화될 우려가 있으며, 반면 250℃를 초과하게 되면 조직이 조대화되어 인성이 저하될 우려가 있으므로 바람직하지 못하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 실시예 )
80t 또는 100t의 고강도강(중량%로 C: 0.02~0.04%, Si: 0.03~0.6%, Mn: 0.1~0.15% 및 기타성분과 불가피한 불순물을 포함함)에 대하여, 2.0~3.0kJ/mm의 입열량, 예열 및 패스간 온도를 200~250℃로 하여 플럭스 코어드 아크 용접(FCAW)을 행한 후, 상기 용접을 통해 얻어진 용접이음부의 조성(중량%)을 하기 표 1에 나타내었으며, 또한 상기 각 용접이음부의 인장강도, 항복강도 및 저온 충격인성을 측정하여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이때, 저온 충격인성은 각 용접이음부의 CTOD 평가로 확인하였으며, CTOD 평가는 BS7448 시험편을 이용하여 평가하였다. 그리고, 각 용접이음부의 미세조직을 현미경으로 관찰하여 도 2(광학 현미경) 및 3(SEM)에 나타내었다.
구분 C Si Mn Cr Ni Cu Mo Al Nb Ti V B
비교예1 0.030 0.448 1.27 0.019 1.58 0.018 0.006 0.005 0.009 0.071 - -
비교예2 0.058 0.229 1.5 0.031 0.084 0.145 0.528 0.016 0.005 0.013 0.011 0.0049
비교예3 0.073 0.44 1.7 0.032 1.05 0.17 0.3 0.021 0.009 0.048 0.019 0.011
비교예4 0.028 0.325 1.05 0.016 1.44 0.111 0.005 0.004 0.007 0.1 0.02 0.003
발명예1 0.037 0.364 1.68 0.021 3.01 0.023 0.214 0.006 0.001 0.060 0.002 0.0042
발명예2 0.077 0.375 1.93 0.019 3.08 0.021 0.213 0.006 0.001 0.067 0.001 0.0038
발명예3 0.044 0.349 1.86 0.025 3.25 0.021 0.225 0.007 0.007 0.055 - 0.004
발명예4 0.03 0.355 1.63 0.027 3.31 0.024 0.233 0.006 0.008 0.054 0.009 0.003
(상기 표 1에서 Al, Nb 및 V은 불순물로서 첨가된 원소이다.)
구분 항복강도
(MPa)
인장강도
(MPa)
-10℃ CTOD
(mm)
MA 평균입경
(μm)
CFB 분율
(%)
비교예1 470 541 1.2 - -
비교예2 558 666 0.08 0.08 -
비교예3 650 732 0.02 0.98 -
비교예4 477 549 1.98 0.1 -
발명예1 560 630 1.27 0.2 5
발명예2 681 752 1.14 0.22 55
발명예3 622 701 1.45 0.2 34
발명예4 557 622 2.01 0.1 5
상기 표 1 및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성분조성을 만족하는 용접이음부(발명예 1 내지 4)는 강도뿐만 아니라, 저온 충격인성이 우수함을 확인할 수 있다. 이는, 발명예들의 경우 비교예와는 달리 미세조직으로 카바이드-프리 베이나이트(CFB)를 포함하고, 도상 마르텐사이트(Martensite-Austenite constituent)의 평균 입경이 0.3μm 이하로 미세하고, 고르게 분포됨에 따라 용접이음부의 강도 및 인성이 크게 향상된 것으로 볼 수 있다. 특히,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발명예들의 경우 CFB 상이 존재함을 확인할 수 있으며, 도상 마르텐사이트의 입경도 미세하게 형성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에 반면, 비교예 1 내지 4의 경우에는 용접이음부의 성분조성이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범위를 만족하지 않는 경우로서, 비교예 1과 4는 저온 충격인성은 우수하였으나, 강도 측면에서 열화한 결과를 보였으며, 비교예 2와 3은 강도 측면은 우수하나 저온 충격인성이 열화한 결과를 보였다. 더욱이, 이들 비교예들은 미세조직으로 카바이드-프리 베이나이트(CFB)를 포함하고 있지 않았으며, 미량으로 포함하더라도 그 측정이 불가하였다.
상기의 결과를 통해, 플럭스 코어드 아크 용접시 본 발명을 만족하는 용접이음부는 강도뿐만 아니라, 저온 충격인성을 동시에 우수하게 확보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Claims (5)

  1. 중량%로, C: 0.03~0.09%, Si: 0.3~0.4%, Mn: 1.5~2.0%, Cr: 0.01~0.03%, Ni: 3.0~3.5%, Cu: 0.02~0.04%, Mo: 0.20~0.25%, Ti: 0.05~0.07%, B: 0.003~0.005%, 잔부 Fe 및 불가피한 불순물을 포함하고,
    미세조직은 면적분율로 5~70%의 카바이드-프리 베이나이트(Carbide-free bainite, CFB) 및 나머지는 도상 마르텐사이트(Martensite-Austenite constituent)를 포함하는 플럭스 코어드 아크 용접이음부.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용접이음부는 중량%로 0.06~0.09%의 탄소(C)를 포함하는 플럭스 코어드 아크 용접이음부.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용접이음부의 미세조직은 면적분율로 50~70%의 카바이드-프리 베이나이트(CFB)를 포함하는 플럭스 코어드 아크 용접이음부.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도상 마르텐사이트(Martensite-Austenite constituent)의 평균 입경은 0.3μm 이하인 플럭스 코어드 아크 용접이음부.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용접이음부는 -10℃에서의 CTOD 특성이 1.0mm 이상인 플럭스 코어드 아크 용접이음부.
KR1020120153867A 2012-12-26 2012-12-26 저온인성이 우수한 초고강도 플럭스 코어드 아크 용접이음부 Active KR10138299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53867A KR101382991B1 (ko) 2012-12-26 2012-12-26 저온인성이 우수한 초고강도 플럭스 코어드 아크 용접이음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53867A KR101382991B1 (ko) 2012-12-26 2012-12-26 저온인성이 우수한 초고강도 플럭스 코어드 아크 용접이음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82991B1 true KR101382991B1 (ko) 2014-04-08

Family

ID=506570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53867A Active KR101382991B1 (ko) 2012-12-26 2012-12-26 저온인성이 우수한 초고강도 플럭스 코어드 아크 용접이음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82991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355039A (ja) * 2000-06-09 2001-12-25 Nippon Steel Corp 溶接部の低温靱性に優れた超高強度鋼管及びその製造方法
KR20090016854A (ko) * 2007-08-13 2009-02-18 주식회사 포스코 저온인성이 우수한 950MPa급 이상의 초고강도용접이음부
JP2011507707A (ja) * 2007-12-26 2011-03-10 ポスコ 低温ctod特性に優れたフラックスコアードアーク溶接金属部及びこの溶接金属部を有する鋼部材
KR20110070482A (ko) * 2009-12-18 2011-06-24 주식회사 포스코 저온인성 및 강도가 우수한 일렉트로 가스 아크 용접금속부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355039A (ja) * 2000-06-09 2001-12-25 Nippon Steel Corp 溶接部の低温靱性に優れた超高強度鋼管及びその製造方法
KR20090016854A (ko) * 2007-08-13 2009-02-18 주식회사 포스코 저온인성이 우수한 950MPa급 이상의 초고강도용접이음부
JP2011507707A (ja) * 2007-12-26 2011-03-10 ポスコ 低温ctod特性に優れたフラックスコアードアーク溶接金属部及びこの溶接金属部を有する鋼部材
KR20110070482A (ko) * 2009-12-18 2011-06-24 주식회사 포스코 저온인성 및 강도가 우수한 일렉트로 가스 아크 용접금속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11284B1 (ko) 초고강도 용접 조인트 및 그 제조 방법
JP6576348B2 (ja) 衝撃靱性に優れた超高強度ガスメタルアーク溶接継手
KR100925608B1 (ko) 저온인성이 우수한 950MPa급 이상의 초고강도용접이음부
KR20140084654A (ko) 충격인성이 우수한 초고강도 플럭스 코어드 아크 용접이음부
JP2011005531A (ja) フラックス入り高張力鋼用溶接ワイヤ及びその製造方法
JP5005395B2 (ja) 高強度高靭性鋼用溶接ワイヤ
CN106392373A (zh) 一种1000MPa级工程机械用高强度气体保护实心焊丝
JP4441372B2 (ja) 高強度高靭性ガスシールドアーク溶接用ワイヤ
KR101180222B1 (ko) 저온인성이 우수한 고강도 서브머지드 아크 용접금속부
JP4949210B2 (ja) 溶接熱影響部の靭性が優れた鋼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1568517B1 (ko) 가스메탈 아크 용접용 솔리드 와이어
KR101351267B1 (ko) 저온인성이 우수한 1GPa급 고강도 용접부
KR101382991B1 (ko) 저온인성이 우수한 초고강도 플럭스 코어드 아크 용접이음부
KR102109230B1 (ko) 초고강도 가스 메탈 아크 용접금속부
KR101428201B1 (ko) 서브머지드 아크 용접이음부
KR101351266B1 (ko) 저온인성이 우수한 900MPa급 고강도 용접부
JP4427350B2 (ja) 強度均一性に優れた溶接金属
KR102396818B1 (ko) 우수한 저온인성 및 저경도 특성을 가지는 서브머지드 아크 용접 금속부 및 이를 포함하는 용접 강관
KR102144297B1 (ko) 고입열 용접에 따른 충격인성 및 내균열성이 우수한 가스실드 아크 용접용 티타니아계 플럭스 충전 와이어
KR102200243B1 (ko) 저온인성이 우수한 대입열 해양구조용강 용접이음부
JP4736374B2 (ja) 超大入熱溶接特性に優れた鋼材
KR101988768B1 (ko) 저온인성이 우수한 대입열 해양구조용 강재
JP6540545B2 (ja) 大入熱溶接熱影響部靭性に優れた高強度厚鋼板
KR101568537B1 (ko) 충격인성이 우수한 초고강도 서브머지드 아크 용접이음부
KR20250091804A (ko) 가스메탈 아크 용접이음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21226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40314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4040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4040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9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329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402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331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