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315741B1 - 치수안정성이 우수한 전기자동차용 배터리 팩 케이스 어셈블리와 그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치수안정성이 우수한 전기자동차용 배터리 팩 케이스 어셈블리와 그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15741B1
KR101315741B1 KR1020120029926A KR20120029926A KR101315741B1 KR 101315741 B1 KR101315741 B1 KR 101315741B1 KR 1020120029926 A KR1020120029926 A KR 1020120029926A KR 20120029926 A KR20120029926 A KR 20120029926A KR 101315741 B1 KR101315741 B1 KR 10131574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ttery pack
fiber
reinforcing member
case body
electric vehi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299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107823A (ko
Inventor
최치훈
이건구
최철
김희준
길용길
윤용훈
박태민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주식회사 신한금형
(주)엘지하우시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주식회사 신한금형, (주)엘지하우시스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299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15741B1/ko
Priority to US13/553,083 priority patent/US8835033B2/en
Priority to JP2012164721A priority patent/JP6093123B2/ja
Priority to DE102012213308.9A priority patent/DE102012213308B4/de
Priority to CN201210340090.XA priority patent/CN103325963B/zh
Publication of KR201301078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0782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157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15741B1/ko
Priority to US14/460,860 priority patent/US9254609B2/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5/00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 B29C65/002Joining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6/00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 B29C66/70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physical properties or the structure of the material of the parts to be joined; Joining with non-plastics material
    • B29C66/72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physical properties or the structure of the material of the parts to be joined; Joining with non-plastics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structure of the material of the parts to be joined
    • B29C66/721Fibre-reinforced materials
    • B29C66/7214Fibre-reinforced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 length of the fibres
    • B29C66/72141Fibres of continuous length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70/00Shaping composites, i.e. plastics material comprising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C70/04Shaping composites, i.e. plastics material comprising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comprising reinforcements only, e.g. self-reinforcing plastics
    • B29C70/06Fibrous reinforcements only
    • B29C70/10Fibrous reinforcements only characterised by the structure of fibrous reinforcements, e.g. hollow fibres
    • B29C70/16Fibrous reinforcements only characterised by the structure of fibrous reinforcements, e.g. hollow fibres using fibres of substantial or continuous length
    • B29C70/20Fibrous reinforcements only characterised by the structure of fibrous reinforcements, e.g. hollow fibres using fibres of substantial or continuous length oriented in a single direction, e.g. roofing or other parallel fib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99/00Subject matter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B29D99/006Producing casings, e.g. accumulator ca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0/00Electric propulsion with power supplied within the vehicle
    • B60L50/50Electric propulsion with power supplied within the vehicle using propulsion power supplied by batteries or fuel cells
    • B60L50/60Electric propulsion with power supplied within the vehicle using propulsion power supplied by batteries or fuel cells using power supplied by batteries
    • B60L50/64Constructional details of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04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18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H01M50/22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the casings or racks
    • H01M50/227Organic materia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33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characterised by physical properties of casings or racks, e.g. dimensions
    • H01M50/24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characterised by physical properties of casings or racks, e.g. dimensions adapted for protecting batteries from their environment, e.g. from corros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49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specially adapted for aircraft or vehicles, e.g. cars or trai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71Lids or covers for the racks or secondary cas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5/00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 B29C65/02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by heating, with or without press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5/00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 B29C65/02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by heating, with or without pressure
    • B29C65/06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by heating, with or without pressure using friction, e.g. spin wel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5/00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 B29C65/02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by heating, with or without pressure
    • B29C65/08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by heating, with or without pressure using ultrasonic vibr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5/00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 B29C65/02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by heating, with or without pressure
    • B29C65/14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by heating, with or without pressure using wave energy, i.e. electromagnetic radiation, or particle radiation
    • B29C65/1403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by heating, with or without pressure using wave energy, i.e. electromagnetic radiation, or particle radiation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electromagnetic or particle radiation
    • B29C65/1412Infrared [IR] radi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5/00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 B29C65/02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by heating, with or without pressure
    • B29C65/14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by heating, with or without pressure using wave energy, i.e. electromagnetic radiation, or particle radiation
    • B29C65/16Laser bea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5/00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 B29C65/02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by heating, with or without pressure
    • B29C65/18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by heating, with or without pressure using heated tools
    • B29C65/20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by heating, with or without pressure using heated tools with direct contact, e.g. using "mirr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5/00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 B29C65/48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using adhesives, i.e. using supplementary joining material; solvent bon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6/00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 B29C66/01General aspects dealing with the joint area or with the area to be joined
    • B29C66/05Particular design of joint configurations
    • B29C66/10Particular design of joint configurations particular design of the joint cross-sections
    • B29C66/12Joint cross-sections combining only two joint-segments; Tongue and groove joints; Tenon and mortise joints; Stepped joint cross-sections
    • B29C66/124Tongue and groove joints
    • B29C66/1244Tongue and groove joints characterised by the male part, i.e. the part comprising the tongue
    • B29C66/12443Tongue and groove joints characterised by the male part, i.e. the part comprising the tongue having the tongue substantially in the midd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6/00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 B29C66/01General aspects dealing with the joint area or with the area to be joined
    • B29C66/05Particular design of joint configurations
    • B29C66/302Particular design of joint configurations the area to be joined comprising melt initiators
    • B29C66/3022Particular design of joint configurations the area to be joined comprising melt initiators said melt initiators being integral with at least one of the parts to be joined
    • B29C66/30223Particular design of joint configurations the area to be joined comprising melt initiators said melt initiators being integral with at least one of the parts to be joined said melt initiators being rib-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6/00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 B29C66/01General aspects dealing with the joint area or with the area to be joined
    • B29C66/32Measures for keeping the burr form under control; Avoiding burr formation; Shaping the burr
    • B29C66/322Providing cavities in the joined article to collect the bur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6/00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 B29C66/50General aspects of joining tubular articles; General aspects of joining long products, i.e. bars or profiled elements; General aspects of joining single elements to tubular articles, hollow articles or bars; General aspects of joining several hollow-preforms to form hollow or tubular articles
    • B29C66/51Joining tubular articles, profiled elements or bars; Joining single elements to tubular articles, hollow articles or bars; Joining several hollow-preforms to form hollow or tubular articles
    • B29C66/54Joining several hollow-preforms, e.g. half-shells, to form hollow articles, e.g. for making balls, containers; Joining several hollow-preforms, e.g. half-cylinders, to form tubular articles
    • B29C66/543Joining several hollow-preforms, e.g. half-shells, to form hollow articles, e.g. for making balls, containers; Joining several hollow-preforms, e.g. half-cylinders, to form tubular articles joining more than two hollow-preforms to form said hollow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6/00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 B29C66/70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physical properties or the structure of the material of the parts to be joined; Joining with non-plastics material
    • B29C66/71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physical properties or the structure of the material of the parts to be joined; Joining with non-plastics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of the plastics material of the parts to be join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6/00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 B29C66/70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physical properties or the structure of the material of the parts to be joined; Joining with non-plastics material
    • B29C66/72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physical properties or the structure of the material of the parts to be joined; Joining with non-plastics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structure of the material of the parts to be joined
    • B29C66/721Fibre-reinforced materials
    • B29C66/7212Fibre-reinforced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of the fib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6/00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 B29C66/70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physical properties or the structure of the material of the parts to be joined; Joining with non-plastics material
    • B29C66/72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physical properties or the structure of the material of the parts to be joined; Joining with non-plastics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structure of the material of the parts to be joined
    • B29C66/721Fibre-reinforced materials
    • B29C66/7214Fibre-reinforced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 length of the fibres
    • B29C66/72143Fibres of discontinuous length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6/00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 B29C66/70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physical properties or the structure of the material of the parts to be joined; Joining with non-plastics material
    • B29C66/73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physical properties or the structure of the material of the parts to be joined; Joining with non-plastics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intensive physical properties of the material of the parts to be joined, by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aterial of the parts to be joined, by the extensive physical properties of the parts to be joined, by the state of the material of the parts to be joined or by the material of the parts to be joined being a thermoplastic or a thermoset
    • B29C66/739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physical properties or the structure of the material of the parts to be joined; Joining with non-plastics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intensive physical properties of the material of the parts to be joined, by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aterial of the parts to be joined, by the extensive physical properties of the parts to be joined, by the state of the material of the parts to be joined or by the material of the parts to be joined being a thermoplastic or a thermoset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the parts to be joined being a thermoplastic or a thermoset
    • B29C66/7392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physical properties or the structure of the material of the parts to be joined; Joining with non-plastics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intensive physical properties of the material of the parts to be joined, by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aterial of the parts to be joined, by the extensive physical properties of the parts to be joined, by the state of the material of the parts to be joined or by the material of the parts to be joined being a thermoplastic or a thermoset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the parts to be joined being a thermoplastic or a thermoset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at least one of the parts being a thermoplastic
    • B29C66/73921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physical properties or the structure of the material of the parts to be joined; Joining with non-plastics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intensive physical properties of the material of the parts to be joined, by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aterial of the parts to be joined, by the extensive physical properties of the parts to be joined, by the state of the material of the parts to be joined or by the material of the parts to be joined being a thermoplastic or a thermoset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the parts to be joined being a thermoplastic or a thermoset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at least one of the parts being a thermoplastic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s of both parts being thermoplastic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70/00Shaping composites, i.e. plastics material comprising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C70/04Shaping composites, i.e. plastics material comprising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comprising reinforcements only, e.g. self-reinforcing plastics
    • B29C70/06Fibrous reinforcements only
    • B29C70/08Fibrous reinforcements only comprising combinations of different forms of fibrous reinforcements incorporated in matrix material, forming one or more layers, and with or without non-reinforced lay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L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B29C, RELATING TO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00Other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30Vehicles, e.g. ships or aircraft, or body parts thereof
    • B29L2031/3055Ca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L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B29C, RELATING TO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00Other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71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accessories, Packages
    • B29L2031/7146Battery-ca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2200/00Type of vehicles
    • B60L2200/10Air craf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2200/00Type of vehicles
    • B60L2200/18Bu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2200/00Type of vehicles
    • B60L2200/32Waterborne vess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2200/00Type of vehicles
    • B60L2200/36Vehicles designed to transport cargo, e.g. tru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2240/00Control parameters of input or output; Target parameters
    • B60L2240/10Vehicle control parameters
    • B60L2240/26Vehicle weigh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2240/00Control parameters of input or output; Target parameters
    • B60L2240/10Vehicle control parameters
    • B60L2240/32Driving dire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3/00Electric devices on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for safety purpos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e.g. speed, deceleration or energy consumption
    • B60L3/0007Measures or means for preventing or attenuating collisions
    • B60L3/0015Prevention of collis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3/00Electric devices on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for safety purpos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e.g. speed, deceleration or energy consumption
    • B60L3/0023Detecting, eliminating, remedying or compensating for drive train abnormalities, e.g. failures within the drive train
    • B60L3/0046Detecting, eliminating, remedying or compensating for drive train abnormalities, e.g. failures within the drive train relating to electric energy storage systems, e.g. batteries or capaci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0/00Electric propulsion with power supplied within the vehicle
    • B60L50/50Electric propulsion with power supplied within the vehicle using propulsion power supplied by batteries or fuel cells
    • B60L50/60Electric propulsion with power supplied within the vehicle using propulsion power supplied by batteries or fuel cells using power supplied by batteries
    • B60L50/66Arrangements of batteri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20/00Batterie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M2220/20Batteries in motive systems, e.g. vehicle, ship, plan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Energy storage systems for electromobility, e.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156/00Adhesive bonding and miscellaneous chemical manufacture
    • Y10T156/10Methods of surface bonding and/or assembly therefo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156/00Adhesive bonding and miscellaneous chemical manufacture
    • Y10T156/10Methods of surface bonding and/or assembly therefor
    • Y10T156/1089Methods of surface bonding and/or assembly therefor of discrete laminae to single face of additional lamina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Transportation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Composite Materials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 Battery Mounting, Suspending (AREA)
  • 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For Vehicles (AREA)
  • Reinforced Plastic Materials (AREA)
  • Electric Propulsion And Brak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기자동차용 배터리 팩 케이스 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서, 케이스의 소재로 경량의 플라스틱 복합소재를 사용하여 중량을 감소시킴과 더불어 구조 강성, 충돌 특성 및 치수안정성을 동시에 향상시킬 수 있는 전기자동차용 플라스틱 복합재 배터리 팩 케이스 어셈블리를 제공하는데 주된 목적이 있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배터리 팩이 수납되는 케이스 본체, 상기 케이스 본체에 조립되는 커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전기자동차용 배터리 팩 케이스 어셈블리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 본체가 플라스틱 기재에 보강섬유로 장섬유가 사용된 플라스틱 복합재료로 이루어지고, 상기 케이스 본체에서 차체 체결을 위한 양 사이드 브라켓 부분에는 플라스틱 기재에 보강섬유로 장섬유가 사용된 플라스틱 복합재료로 이루어진 별도의 보강부재가 접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자동차용 배터리 팩 케이스 어셈블리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치수안정성이 우수한 전기자동차용 배터리 팩 케이스 어셈블리와 그 제조 방법{Battery Pack Case Assembly for Electric Vehicles Using Plastic Composit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본 발명은 전기자동차용 배터리 팩 케이스 어셈블리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중량 감소와 더불어 구조 강성, 충돌 특성, 치수안정성이 동시에 향상될 수 있는 전기자동차용 플라스틱 복합재 배터리 팩 케이스 어셈블리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오늘날 고유가와 이산화탄소 규제 등으로 인해 기존의 내연기관 자동차를 대체할 수 있는 친환경자동차의 개발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으며, 순수 전기자동차나 하이브리드 자동차의 경우 자동차 제조사에 따라 이미 상용화하여 출시하고 있거나 상용화를 앞두고 있는 상황이다.
전기자동차나 하이브리드 자동차는 전기모터 등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배터리(1)를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차체 하부나 트렁크 룸 등에 탑재하고 있는데, 전기자동차 및 하이브리드 자동차에서 주 동력원으로 사용되는 고전압 배터리(1)는 배터리 팩 케이스 어셈블리에 다수의 배터리 팩이 수납된 구성을 가진다.
즉, 통상의 배터리 팩 케이스 어셈블리는 배터리 팩(300)이 수납되는 하부 케이스(200)(다수의 배터리 팩이 넣어지는 케이스 본체 부분임), 상기 하부 케이스(200)의 상면을 덮도록 조립되는 커버(100)(케이스 본체를 덮는 상부 커버임)(도 2 참조), 그리고 각종 구조 보강용 멤버류(크로스 멤버, 사이드 멤버 등) 등으로 구성되며, 배터리 팩과 더불어 배터리 제어기(Battery Management System, BMS), 냉각용 블로워(Blower) 등의 관련 부품들이 함께 장착되고 있다.
한편, 전기자동차의 주행 가능 거리는 차량의 중량과 역 상관 관계에 있기 때문에 전기자동차의 개발에 있어서 차량의 경량화가 주요 과제로 대두되고 있으며, 이에 전기자동차의 여러 부품에 경량화 소재를 사용하려는 시도가 더욱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그 중 하나로 기존 금속재 배터리 팩 케이스의 재질을 플라스틱 복합재료로 변경하려는 노력이 있어 왔는데, 상부 커버의 경우 하중을 크게 지지하지 않으므로 일반적인 플라스틱 복합재 성형 공법으로 제조하는 것이 가능하지만, 하부 케이스 및 구조 보강용 멤버류의 경우 배터리 하중을 충분히 견딜 수 있도록 스틸 부품을 별도로 프레스 성형하여 사용하거나 스틸 보강재를 플라스틱 복합재에 인서트(Insert)시켜 제조한다.
그러나, 배터리 팩 케이스 어셈블리의 하부 케이스 및 구조 보강용 멤버류에 적용되는 스틸 소재로 강성 및 내구성 확보를 위한 충분한 두께의 소재가 사용되어야 하고, 또한 마운팅 브라켓 등의 부품을 별도로 장착해야 하는바, 이로 인해 배터리 팩 케이스 어셈블리의 총 중량이 증대되는 문제가 있다.
배터리 팩 케이스 어셈블리의 차체 플로어 하부 장착구조에 대한 선행특허문헌으로는 EP 1950070, EP 1939028, EP 1939027, EP 1939025, US 2009/0236162, US 7610978, JP 2009-137408 등이 있으며, 이는 스틸 프레임이 인서트된 구조의 플라스틱 복합재를 사용하거나, 강성 향상을 위해 스틸 소재로 제작된 별도 크로스 멤버를 부착한 뒤 차체 크로스 멤버 및 사이드 멤버에 장착하는 구조를 채택하고 있다.
그러나, 스틸 소재를 사용한 종래의 배터리 팩 케이스 어셈블리는 다수의 스틸 부품 사용 및 그로 인한 총 중량 증가로 인해 차체의 중량을 더욱 증가시키고, 이는 결국 주행 가능 거리를 단축시키는 문제점을 초래한다.
아울러, 배터리 팩 어셈블리의 하부 케이스와 같은 대형 열가소성 플라스틱 부품의 경우 성형 조건에 따라 수축 또는 뒤틀림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으며, 또한 사용 환경 온도에 따라 수축과 팽창을 반복하면서 잔류 응력에 의한 후 변형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이에 플라스틱 복합재를 사용하여 중량을 저감하면서도 부품의 치수안정성을 개선할 수 있는 방안이 절실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한 것으로서, 케이스의 소재로 경량의 플라스틱 복합소재를 사용하여 중량을 감소시킴과 더불어 구조 강성, 충돌 특성 및 치수안정성을 동시에 향상시킬 수 있는 전기자동차용 플라스틱 복합재 배터리 팩 케이스 어셈블리와 그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배터리 팩이 수납되는 케이스 본체, 상기 케이스 본체에 조립되는 커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전기자동차용 배터리 팩 케이스 어셈블리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 본체가 플라스틱 기재에 보강섬유로 장섬유가 혼합 사용된 플라스틱 복합재료로 이루어지고, 상기 케이스 본체에서 차체 체결을 위한 양 사이드 브라켓 부분에는 플라스틱 기재에 보강섬유로 장섬유가 혼합 사용된 플라스틱 복합재료로 이루어진 별도의 보강부재가 접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자동차용 배터리 팩 케이스 어셈블리를 제공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케이스 본체와 상기 보강부재에서 장섬유는 1000 이상의 종횡비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보강부재가 보강 리브가 형성된 브라켓 형상의 보강부재이고, 상기 케이스 본체의 사이드 브라켓 부분과 상기 브라켓 형상의 보강부재가 서로 접합된 상태에서 충돌 에너지 흡수를 위한 폐단면 구조 영역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보강부재는 평판 형상으로 성형 제작되어 상기 케이스 본체의 양 사이드 브라켓 부분에 접합된 것임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케이스 본체의 바닥부에는 플라스틱 기재에 보강섬유로 장섬유를 함유한 플라스틱 복합재료로 성형 제작된 평판형 보강부재가 추가로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케이스 본체의 바닥부에 설치된 보강부재에서 장섬유는 플라스틱 기재 내에 일방향으로 배열되거나 종횡으로 교차된 직조 섬유 형태로 고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일방향으로 배열되는 장섬유는 케이스 본체의 전후 길이방향에 대해 횡방향인 좌우 폭방향으로 길게 배열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배터리 팩이 수납되는 케이스 본체와, 상기 케이스 본체에 조립되는 커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전기자동차용 배터리 팩 케이스 어셈블리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플라스틱 기재에 보강섬유로 장섬유가 함유된 플라스틱 복합재료를 사용하여 케이스 본체를 성형하되, 플라스틱 기재에 보강섬유로 장섬유가 함유된 플라스틱 복합재료를 사용하여 별도의 보강부재를 성형한 후, 차체와의 체결을 위한 케이스 본체의 양 사이드 브라켓 부분에 상기 보강부재를 접합하여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자동차용 배터리 팩 케이스 어셈블리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케이스 본체와 상기 보강부재에 상기 장섬유로서 종횡비 1000 이상의 장섬유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보강부재가 브라켓 형상으로 성형되고 복수개의 보강 리브가 형성된 브라켓 형상의 보강부재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보강부재를 평판 형상으로 성형 제작하여 상기 케이스 본체의 양 사이드 브라켓 부분에 접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플라스틱 기재에 보강섬유로 장섬유가 함유된 플라스틱 복합재료를 사용하여 평판형의 별도 보강부재를 추가로 성형하고, 상기 케이스 본체의 바닥부에 상기 평판형의 보강부재를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평판형 보강부재를 장섬유로 보강함에 있어서 장섬유가 일방향으로 배열된 장섬유 테이프를 사용하거나 장섬유로 직조된 직조 섬유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일방향의 장섬유가 케이스 본체의 전후 길이방향에 대해 횡방향인 좌우 폭방향으로 길게 배열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플라스틱 복합재 배터리 팩 케이스 어셈블리 및 그 제조 방법에 의하면, 케이스 소재로 경량의 플라스틱 복합소재를 사용하되, 하중을 많이 받는 부분에 장섬유를 국부적으로 사용함으로써, 중량 감소의 효과와 더불어 구조 강성, 충돌 특성 및 치수안정성을 동시에 향상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게 된다.
특히, 본 발명에서는 장섬유와 더불어 기계적 물성 및 치수안정성이 우수한 장섬유를 사용함으로써, 기존의 구조 보강용 멤버류, 즉 크로스 멤버, 사이드 멤버, 마운팅 브라켓 등 주변 부품을 삭제할 수 있는바, 중량 저감, 제조 공정 축소, 생산성 향상(대량 생산이 가능해짐), 원가 절감 등의 여러 이점이 제공될 수 있다.
도 1은 차량에 배터리가 장착된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2는 배터리 팩 케이스 어셈블리에 다수의 배터리 팩이 수납되는 전기자동차용 배터리 구성을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3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팩 케이스 어셈블리를 도시한 도면으로, 도 3은 하부 케이스의 상면을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4는 하부 케이스의 하면을 보여주는 저면 사시도이며, 도 5는 도 3의 선 'A-A'를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3 내지 도 5의 실시예에서 하부 케이스의 사이드 브라켓 부분에 적용되는 장섬유 보강부재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3 내지 도 5의 실시예에서 하부 케이스의 사이드 브라켓 부분에 장섬유 보강부재가 접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서 하부 케이스의 바닥부 상면에 평판 형상의 장섬유 보강부재를 설치한 실시예의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로서 하부 케이스의 바닥부 하면에 대면적의 평판형 장섬유 보강부재를 설치한 실시예의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로서 하부 케이스의 양 사이드 브라켓 부분에 평판 형상의 장섬유 보강부재를 접합한 실시예의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로서 하부 케이스의 양 사이드 브라켓 부분과 하닥부에 평판 형상의 장섬유 보강부재 복수개를 사용한 실시예의 도면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케이스 소재로 경량의 플라스틱 복합재를 사용하여 제조되는 전기자동차용 배터리 팩 케이스 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 특히 배터리 팩 케이스 어셈블리의 구성 부품 중 실제 배터리 팩이 수납되는 케이스 본체, 즉 높은 하중 지지 및 고 강성의 특성을 필요로 하는 하부 케이스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중량 저감을 위해 섬유 보강 플라스틱 복합소재를 사용하여 압출-압축 동시 성형 공법으로 케이스를 제조하되, 종횡비(Aspect Ratio)(또는 길이 대 직경비(L/D, Length by Diameter)임)가 1,000 이상인 장섬유(Long Fiber)를 사용하여 구조 강성, 충돌 특성, 치수 안전성을 동시에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점에 주된 특징이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다수의 배터리 팩이 수납될 수 있는 대형의 플라스틱 복합재 케이스를 제조함에 있어서 케이스 전체 부분 중 상대적으로 큰 강성을 요하는 부분에 장섬유를 국부적으로 사용한 점에 특징이 있는 것으로, 이러한 장섬유의 사용으로 기존의 구조 보강용 크로스 멤버, 사이드 멤버, 마운팅 브라켓 등의 여러 부품을 동시에 삭제할 수 있도록 하고, 이를 통한 중량 저감 및 원가 절감의 효과를 얻을 수 있도록 한다.
이하,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장섬유(또는 종횡비 1000 이상의 장섬유)를 높은 하중 지지 및 고 강성을 요하는 케이스 본체, 즉 하부 케이스에 적용한 실시예에 대해 설명하기로 하나, 이러한 장섬유(또는 종횡비 1000 이상의 장섬유)를 하부 케이스뿐만 아니라 하부 케이스를 덮도록 조립되는 커버(하부 케이스의 상대 부품인 상부 커버)에도 적용될 수 있음을 밝혀둔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팩 케이스 어셈블리에 다수의 배터리 팩이 수납되는 전기자동차용 배터리 구성을 도시한 개략도로서, 배터리 팩(300)이 수납되는 하부 케이스(케이스 본체)(200)와, 하부 케이스(200)에 조립되는 커버(상부 커버)(10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케이스 어셈블리를 도시한 것이다.
도 3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팩 케이스 어셈블리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하부 케이스의 상면을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4는 하부 케이스의 하면을 보여주는 저면 사시도이며, 도 5는 도 3의 선 'A-A'를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도 3을 참조하여 일 실시예에 대해 설명하면, 플라스틱 기재에 장섬유를 보강한 장섬유 보강 플라스틱 복합재료(Long Fiber Reinforced Thermoplastics, LFRT)를 사용하여 하부 케이스를 성형 제작한다.
이때, 섬유 보강 복합재료의 플라스틱 기재(Matrix)로는,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PP), 폴리아미드(Polyamide, PA), 폴리에테르에테르케톤(Polyether Ether Ketone, PEEK),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 PC), 폴리페닐렌술폰(Polyphenylene Sulfone, PPS), 폴리페닐렌에테르(Polyphenylene Ether, PPE), 및 열가소성 폴리우레탄(Thermoplastic Polyurethane, TPU) 등의 열가소성 수지 재질 중 선택된 어느 하나가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보강섬유로 사용되는 장섬유는 유리섬유, 탄소섬유, 아리미드 섬유, 화산재 섬유, 및 천연섬유 중 선택된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이 혼합 사용될 수 있다.
그리고, 보강섬유가 함유된 섬유 보강 열가소성 플라스틱 복합재료를 사용하여 하부 케이스를 프레스 성형할 때, 잔존 보강섬유의 길이가 종횡비 1000 이상이 될 수 있도록 하여 하부 케이스를 성형한다.
여기서, 잔존 보강섬유의 종횡비가 1000 미만이면 충분한 강성 보강 효과를 얻을 수 없으며, 적어도 잔존 보강섬유의 종횡비가 1000 ~ 10000의 범위가 될 수 있도록 성형한다.
일반적으로 부품의 치수안정성은 부품의 형상에도 직접적으로 영향을 받으나 재질 및 성형 공법에 따라 개선이 가능하며, 이점을 고려하여 본 발명에서는 제품 성형시 전단력에 의한 잔류 응력을 최소화시킬 수 있는 압출-압축 동시 성형(Extrusion-Compression Molding) 공법을 적용하여 섬유 보강 플라스틱 복합재 케이스를 제조한다.
하부 케이스(200)를 제조함에 있어서, 장섬유를 하부 케이스에 사용되는 플라스틱 복합소재 총 중량을 기준으로 30 ~ 70 중량%로 사용함이 바람직한데, 30중량% 미만이면 원하는 역학 특성을 얻을 수 없는 경우가 있고, 70 중량%를 초과하면 성형시의 유동성이 떨어짐으로써 성형성이 저하될 뿐만 아니라 외관 품질도 낮아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한 섬유 보강 플라스틱 복합재 케이스(200)를 제조함에 있어서, 장섬유를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며, 이때 장섬유가 적용되는 부분은 케이스 전체 영역이 될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큰 강성을 요하는 부분에만 국부적으로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면, 케이스(200)에서 기존의 구조 보강용 멤버류, 즉 크로스 멤버, 사이드 멤버, 마운팅 브라켓이 설치되던 부분이나 차체와 볼팅 체결되는 부분에만 장섬유를 부분적으로 적용하는 것이 가능한데, 이렇게 장섬유를 국부적으로 적용하는 경우 기존의 구조 보강용 멤버류가 케이스와 일체 성형되는 형태가 되므로 이들 별도 부품의 삭제가 가능해진다.
종래의 경우 섬유 보강 플라스틱 복합재를 사용하여 하부 케이스를 제조하되, 케이스 내에 단순 평판 형상이 아닌 폐단면 구조 영역을 가지는 이중 겹판 구조를 형성하여 충돌 에너지를 흡수할 수 있도록 하는바, 이를 통해 구조적인 부품 강성 및 충돌 특성을 확보하였다.
반면, 본 발명에서는 이중 겹판 구조가 아닌 단일층 구조로 하부 케이스(200)를 제작하되, 장섬유와 더불어 기계적 물성 및 치수안정성이 우수한 장섬유를 전체적으로 또는 국부적으로 혼합 사용함으로써, 기존의 구조 보강용 멤버류, 즉 크로스 멤버, 사이드 멤버, 마운팅 브라켓 등의 주변 부품을 삭제할 수 있는바, 중량 저감, 제조 공정 축소, 생산성 향상(대량 생산이 가능해짐), 원가 절감 등의 여러 이점이 제공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상기한 하부 케이스(200)와는 별도로, 플라스틱을 기재로 하면서 장섬유를 보강섬유로 사용한 플라스틱 복합재료로 이루어진 별도 보강부재(이하, '장섬유 보강부재'라 칭함)(212)를 별물로 제작한 뒤, 이를 케이스(200)의 성형시에 케이스 내 하중을 많이 받는 부위에 국부적으로 접합한다.
즉, 하부 케이스(210)의 보강섬유로 장섬유를 사용하는 것과 별개로, 장섬유 보강부재(212)를 추가로 사용하는 것인데, 보강부재(212)에 장섬유를 사용함에 따른 장점은 위에서 설명한 케이스(200) 내 장섬유 사용시의 장점과 유사하다.
상기 케이스(200)에 사용되는 장섬유, 그리고 상기 별물의 장섬유 보강부재(212)에 사용되는 장섬유의 형태로는 유리섬유, 탄소섬유, 아리미드 섬유, 화산재 섬유, 천연섬유 등이 될 수 있으며, 이들 중 선택된 어느 하나를 사용하거나 둘 이상을 혼합 사용하는 것이 모두 가능하다.
그리고, 장섬유 보강부재(212)의 플라스틱 기재로는, 폴리프로필렌(PP), 폴리아미드(PA), 폴리에테르에테르케톤(PEEK), 폴리카보네이트(PC), 폴리페닐렌술폰(PPS), 폴리페닐렌에테르(PPE), 및 열가소성 폴리우레탄(TPU) 등의 열가소성 수지 재질 중 선택된 어느 하나가 사용될 수 있다.
물론, 케이스(200)와 장섬유 보강부재(212)의 플라스틱 기재는 같거나 다를 수 있는데, 동일한 플라스틱 기재를 사용하는 경우 이종 부품 간의 계면 접착력이 더욱 향상될 수 있으므로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장섬유 보강부재(212)가 적용되는 부분으로는, 도 3 내지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하부 케이스(200)의 좌우 양 측단에 각각 돌출 형성한 사이드 브라켓 부분(211)이 될 수 있는데, 도 6은 하부 케이스의 사이드 브라켓 부분에 적용되는 장섬유 보강부재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7은 하부 케이스의 사이드 브라켓 부분에 장섬유 보강부재가 접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3 내지 도 5, 도 7을 참조하면, 하부 케이스(케이스 본체)(200)의 좌우 양 측단에 차체와의 볼팅 체결을 위한 사이드 브라켓 부분(211)이 측방 돌출되어 형성되고, 이 사이드 브라켓 부분(211)의 하면에 장섬유 보강부재(212)가 접합된 상태를 볼 수 있다.
이에 따라, 하부 케이스(200) 양 측단에 일체로 성형된 사이드 브라켓 부분(211)과 장섬유 보강부재(212)이 조합되어 이루어진 차체 체결용 사이드 브라켓이 구비되게 된다.
사이드 브라켓을 구성하게 되는 장섬유 보강부재(212)의 형상으로는 하부 케이스(200)의 사이드 브라켓 부분(211)과 접합되었을 때 도 5 및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폐단면 구조의 영역을 형성할 수 있는 브라켓 형상이 바람직하다.
도 6을 참조하면, 장섬유 보강부재(212)의 바람직한 형상을 볼 수 있는데, 브라켓 형상의 장섬유 보강부재(212) 하면에는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개의 보강 리브(Rib)(213)를 소정 간격, 예컨대 등간격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브라켓 형상의 장섬유 보강부재(212)와 하부 케이스(200)는 진동 용착, 초음파 용착, IR(Infrared) 용착, 핫플레이트(Hot Plate) 용착, 레이저 용착, 열 용착 중 선택된 어느 하나의 용착 방법에 의해 접합되거나 또는 접착제를 사용하여 접합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하부 케이스(200)에서 사이드 브라켓을 구성하는 브라켓 형상의 보강부재(212)가 위와 같이 장섬유를 사용한 것 대신에 장섬유를 보강섬유로 사용한 것이 될 수 있는데, 충분한 강성 보강 효과를 얻기 위해 보강부재(212)의 프레스 성형시에 잔존 장섬유의 종횡비가 1000 이상이 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즉, 종횡비 1000 이상의 장섬유로 보강된 브라켓 형상의 장섬유 보강부재(212)가 설치될 수 있는 것이며, 적어도 보강부재(212)의 프레스 성형시 장섬유의 종횡비가 1000 ~ 10000의 범위가 될 수 있도록 성형한다.
또한 장섬유 보강부재(212)의 성형시에 그 재료가 되는 플라스틱 복합소재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30 ~ 70 중량%의 장섬유를 사용하여 성형함이 바람직하며, 30중량% 미만이면 원하는 역학 특성을 얻을 수 없는 경우가 있고, 70 중량%를 초과하면 성형시의 유동성이 떨어짐으로써 성형성이 저하될 뿐만 아니라 외관 품질도 낮아질 수 있다.
삭제
그리고, 하부 케이스(200)의 구조 강성 및 충돌 에너지 흡수 성능을 높이기 위하여 하부 케이스(200)(케이스 본체임)의 바닥부에 평판 형상의 장섬유 보강부재(220a,220b)를 국부적으로 설치할 수 있다.
이때, 하나 또는 둘 이상 복수개의 장섬유 보강재(220a,220b)를 하부 케이스(200)의 성형시에 일체로 설치할 수 있으며, 또한 장섬유 보강부재(220a,220b)를 적절한 크기로 절단한 뒤 하부 케이스(200)의 바닥부 각 위치에 단층 구조로 설치하거나 두 겹 이상으로 적층된 복층 구조로 설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장섬유 보강부재(220a,220b)를 하부 케이스(200)의 바닥부 내부에 매립될 수 있게 인서트시키거나 하부 케이스(200)의 바닥부 표면에 접합하여 설치할 수 있다.
이때, 장섬유 보강부재(220a,220b)가 하부 케이스 바닥부의 상면(내측면), 또는 하면, 또는 상, 하 양면에 소정 면적으로 설치될 수 있는데, 도 8은 하부 케이스(200)의 바닥부 상면에 평판 형상의 장섬유 보강부재(220a) 복수개를 설치한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또한 도 9는 하부 케이스(200)의 바닥부 하면에 대면적의 평판형 장섬유 보강부재(220b) 하나를 설치한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평판형 장섬유 보강부재(220a,220b)를 하부 케이스(200)에 국부적으로 보강 설치함으로써, 하부 케이스(200)의 구조 강성 및 충돌 에너지 흡수 성능을 높일 수 있게 된다.
상기 장섬유 보강재(220a,220b)의 설치 방법으로는, 먼저 성형한 장섬유 보강부재(220a,220b)를 원하는 크기로 적절히 절단한 뒤, 한 개 또는 두 개 이상으로 적층하여 예열하고, 이어 하부 케이스의 성형을 위한 금형 내에서 원하는 설치 부위에 올려놓거나 장착한 다음, 압출-압축 동시 성형 장비를 통해 하부 케이스를 성형한다.
이때, 하부 케이스(200)의 소재로서 이송되어 온 고온의 섬유 보강 복합재료를 금형 내에 투입하여 압축 성형하게 되면, 별도의 후 공정 없이 장섬유 보강부재(220a,220b)가 일체로 설치된 하부 케이스(200)를 성형 제작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도 10은 장섬유 보강부재를 사용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 케이스(200)의 양 사이드 브라켓 부분(211)에 브라켓 형상이 아닌 평판 형상의 장섬유 보강부재(220c)가 접합, 설치될 수 있다(총 2곳에 장섬유 보강부재가 설치되는 실시예임).
이 평판 형상의 장섬유 보강부재(220c)는 앞서 설명한 브라켓 형상의 장섬유 보강부재(212)를 대신하여 설치되는 것으로, 브라켓 형상의 장섬유 보강부재(212)와는 동일한 재질로 제작될 수 있다.
또한 도 11은 장섬유 보강부재를 사용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 케이스(200)의 양 사이드 브라켓 부분(211), 그리고 하부 케이스의 바닥부에 각각 장섬유 보강부재(220a,220c)를 일체로 설치한 실시예를 나타낸다(총 5곳에 장섬유 보강부재가 설치됨을 예시함).
여기서, 하부 케이스(200) 바닥부의 장섬유 보강부재(220a)는 도 8 및 도 9에서 설명한 구조 및 방법과 동일한 형태로 설치될 수 있다(장섬유 보강부재가 하부 케이스의 바닥부 하면에도 설치될 수 있음).
또한 상기와 같이 별물로 제작하여 하부 케이스(200)에 설치되는 상기 보강부재(220a,220b,220c)는, 위와 같이 장섬유를 사용한 것 대신에, 종횡비 1000 이상의 장섬유를 보강섬유로 사용한 것이 될 수도 있다.
즉, 종횡비 1000 이상의 장섬유를 사용한 장섬유 보강부재(220a,220b,220c)가 설치될 수 있는 것이며, 이때 장섬유 보강부재(220a,220b,220c)는 그 재료가 되는 플라스틱 복합소재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30 ~ 70 중량%의 장섬유를 사용하여 제작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장섬유가 30중량% 미만이면 원하는 역학 특성을 얻을 수 없는 경우가 있고, 70 중량%를 초과하면 성형시의 유동성이 떨어짐으로써 성형성이 저하될 뿐만 아니라 외관 품질도 낮아질 수 있다.
삭제
그리고, 하부 케이스(200)의 사이드 브라켓을 구성하게 되는 브라켓 형상의 장섬유 보강부재(212)(도 3 내지 도 7의 실시예에서 사용된 보강부재)와, 상기 하부 케이스(200)에 별물로 설치되는 장섬유 보강부재(220a,220b,220c)(도 8 내지 도 11의 실시예에서 사용된 보강부재)를 제조함에 있어서, 장섬유는 보강부재의 재료가 되는 플라스틱 복합소재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30 ~ 70 중량%를 사용함이 바람직하며, 여기서 30중량% 미만이면 원하는 역학 특성을 얻을 수 없는 경우가 있고, 70 중량%를 초과하면 성형시의 유동성이 떨어짐으로써 성형성이 저하될 뿐만 아니라 외관 품질도 낮아질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장섬유 형태의 보강섬유를 사용한 열가소성 플라스틱 복합재료를 사용하여 하부 케이스를 보강한 점에 주된 특징이 있는바,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장섬유는 일방향 또는 종횡의 교차방향으로 끊김이 없는 섬유 배열 구조를 가지는 점에서 특정 길이를 갖는 장섬유와는 분명한 차이가 있으며, 기존 장섬유를 사용한 케이스와 달리 장섬유를 사용함에 따른 추가적인 장점을 제공하게 된다.
그리고, 상술한 본 발명에서, 하부 케이스의 플라스틱 기재 및 장섬유 보강부재의 플라스틱 기재에 장섬유를 사용함에 있어서, 일방향 장섬유 테이프(Uni-directional Tape)를 사용하거나, 장섬유가 직조된 형태의 섬유 직조물을 사용할 수 있다.
여기서, 일방향 장섬유 테이프는 여러 가닥(Strand)의 장섬유가 동일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배열 구조를 가지는 것이며(스트랜드 배열), 장섬유 직조물은 장섬유가 종방향과 횡방향으로 교차된 직조 구조를 가지는 것이다.
요컨대, 장섬유의 형태가 UD(Uni-directional)인 것, 또는 직조물 형태인 것이 사용될 수 있는 것이며, 직조물 형태에서는 0°/90°로 직조된 플레인(Plain), 트윌(Twill), 새틴(Satin)의 형태, 또는 0°/90°/-45°/45°로 직조된 형태 등 다양한 형태가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플라스틱 기재에 상기한 일방향 장섬유 테이프 또는 장섬유 직조물을 사용하여 하부 케이스와 장섬유 보강재를 성형 제작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플라스틱 기재 내에 장섬유가 일방향으로 배열되거나 직조 섬유 형태로 고정된 하부 케이스 및 장섬유 보강재를 제작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도 8 및 도 9, 도 11의 실시예에서, 장섬유가 일방향으로 배열된 장섬유 보강부재를 사용하는 경우(예를 들면, 섬유 보강 재료로 상기 일방향 장섬유 테이프를 사용함), 장섬유 보강부재 내 장섬유들이 하부 케이스의 전후 길이방향에 대해 그 횡방향, 즉 하부 케이스의 좌우 폭방향으로 배열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면부호 215a, 215b는 하부 케이스(200)의 바닥부에 형성된 보강 리브를 나타내며, 이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하부 케이스(200)의 강성 향상을 위하여 하나 이상의 보강 리브가 부분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보강 리브(215a,215b)는 하부 케이스(200)의 대면적 부분인 바닥부에 단순 일자형, 'ㄱ'자형, 격자형, 그물형, 십자가형, 육각 벌집무늬형 등의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하부 케이스(200)의 바닥부 하면에 격자형 보강 리브(215a)를 형성함과 더불어 이 격자형 보강 리브(215a)의 내측에 대각선 방향으로 가로지르는 별도의 보강 리브(215b)를 추가 형성한 구조가 될 수 있다.
또는 위의 여러 형상 중 둘 이상을 혼합한 구조로 보강 리브가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여, 본 발명에서는 섬유 보강 플라스틱 복합재료를 사용하여 제조하되, 사이드 브라켓이나 큰 강성을 요하는 부분에 장섬유를 적용함으로써, 대량 생산에 적합하면서도 성형 후 뒤틀림 또는 치수 변화 문제를 효과적으로 해결할 수 있고, 부품의 강성 및 충돌 특성을 동시에 향상시킬 수 있는 이점이 제공된다.
또한 플라스틱 복합재를 사용함과 동시에 장섬유를 사용하여 케이스를 국부적으로 보강함으로써, 종래의 스틸재 부품 및 스틸 보강물 사용시에 비해 중량이 크게 감소될 수 있음은 물론, 크로스 멤버, 사이드 멤버 등 다수 부품의 삭제가 가능해지므로, 하부 케이스 및 어셈블리 전체의 경량화 및 원가 절감을 달성하는데 크게 기여할 수 있게 된다.
이하,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하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증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을 제한하는 것은 아님을 이해하여만 할 것이다.
실시예 1
평균 종횡비 1000의 탄소섬유를 30 중량%로 보강한 PA6 복합재료(재료-A)를 사용하여 압출-압축 성형 공법으로 하부 케이스(200)와 브라켓 형상의 보강부재(212)를 제작하였다(도 3 내지 도 7 참조).
여기서, PA6 복합재료의 섬유 길이 방향 인장강도 및 인장탄성율은 각각 250MPa 및 20GPa이었으며, 하부 케이스(200)와 브라켓 형상의 보강부재(212) 간 접합 방법은 진동 융착 방법을 적용하였다. 진동 융착시 1.5mm의 오버랩(Overlap) 구간에 웰드 비드(Weld Bead) 구조를 부가하였다(도 7 참조).
또한 동일한 PA6 복합재료(재료-A)를 사용하여 상부 커버(100)를 동일 공법으로 제작하였으며, 보강부재(212)가 접합된 하부 케이스(200)와 상부 커버(100)를 사용하여 케이스 어셈블리를 완성하였다.
스틸 부품을 사용한 종래의 케이스 어셈블리는 30여 개 이상의 부품을 용접하여 제작하므로 전체 중량이 약 35kg이었으나, 실시예의 케이스 어셈블리에서는 플라스틱 복합재료를 사용한 하부 케이스(200), 좌, 우 브라켓 형상의 보강부재(212), 상부 커버(100)의 총 4개 부품을 사용하여 약 11 kg의 경량화 효과를 얻을 수 있었다.
또한 실제 배터리 팩(300)을 탑재하여 진동 내구시험 및 실차 슬리스(Sled) 충돌 시험을 수행한 결과 소정의 요구 조건을 모두 만족함을 확인하였으며, 금형에서 탈형한 뒤 하부 케이스의 수축율을 측정한 결과 1.5/1,000(0.15%)이었다.
실시예 2
장섬유 및 직조섬유 형태의 탄소섬유를 57 중량%로 사용하고 기재로 PA66를 사용한 복합재료(재료-B)로 평판의 장섬유 보강부재(220a)를 제작하였으며, 이를 예열한 후 하부 케이스 금형 내에 장착하고, 압출 장비에서 얻은 실시예 1의 재료-A를 사용하여 오버몰딩(Overmolding)함으로써, 장섬유 보강부재(220a)가 설치된 최종의 하부 케이스(200)를 제작하였다.
이때, 하부 케이스(200)의 사이드 브라켓 부분(211)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브라켓 형상의 보강부재(212)를 설치하였다.
사용한 재료-B의 섬유 길이 방향 인장강도 및 인장탄성율은 각각 785MPa 및 53GPa이었으며, 탄소섬유 직물 보강부재의 추가에 따라 경량화 효과는 동등 수준이었으나, 성형 후 수축율은 1/1,000(0.1%)로 감소하여 치수안정성이 향상되었음을 확인하였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였는바,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다음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된다.
100 : 상부 커버
200 : 하부 케이스(케이스 본체)
211 : 사이드 브라켓 부분
212 : 브라켓 형상의 장섬유 또는 장섬유 보강부재
213 : 보강 리브
215a, 215b : 보강 리브
220a, 220b, 220c : 장섬유 또는 장섬유 보강부재
300 : 배터리 팩

Claims (26)

  1. 배터리 팩이 수납되는 케이스 본체, 상기 케이스 본체에 조립되는 커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전기자동차용 배터리 팩 케이스 어셈블리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 본체가 플라스틱 기재에 보강섬유로 장섬유가 사용된 플라스틱 복합재료로 이루어지고,
    상기 케이스 본체에서 차체 체결을 위한 양 사이드 브라켓 부분에는 플라스틱 기재에 보강섬유로 장섬유가 혼합 사용된 플라스틱 복합재료로 이루어진 별도의 보강부재가 접합되어 있으며,
    상기 케이스 본체의 바닥부에는 플라스틱 기재에 보강섬유로 장섬유를 함유한 플라스틱 복합재료로 성형 제작된 평판형 보강부재가 추가로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자동차용 배터리 팩 케이스 어셈블리.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 본체와 상기 보강부재에서 장섬유는 1000 이상의 종횡비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자동차용 배터리 팩 케이스 어셈블리.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 본체와 상기 보강부재에서 장섬유는 1000 ~ 10000의 종횡비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자동차용 배터리 팩 케이스 어셈블리.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보강부재의 플라스틱 기재는 폴리프로필렌, 폴리아미드, 폴리에테르에테르케톤, 폴리카보네이트, 폴리페닐렌술폰, 폴리페닐렌에테르, 및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중 선택된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자동차용 배터리 팩 케이스 어셈블리.
  5.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 본체의 플라스틱 기재는 폴리프로필렌, 폴리아미드, 폴리에테르에테르케톤, 폴리카보네이트, 폴리페닐렌술폰, 폴리페닐렌에테르, 및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중 선택된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자동차용 배터리 팩 케이스 어셈블리.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 본체 및 보강부재의 장섬유는 유리섬유, 탄소섬유, 아리미드 섬유, 화산재 섬유, 및 천연섬유 중 선택된 하나 또는 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자동차용 배터리 팩 케이스 어셈블리.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보강부재가 보강 리브가 형성된 브라켓 형상의 보강부재이고, 상기 케이스 본체의 사이드 브라켓 부분과 상기 브라켓 형상의 보강부재가 서로 접합된 상태에서 충돌 에너지 흡수를 위한 폐단면 구조 영역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자동차용 배터리 팩 케이스 어셈블리.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보강부재는 평판 형상으로 성형 제작되어 상기 케이스 본체의 양 사이드 브라켓 부분에 접합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자동차용 배터리 팩 케이스 어셈블리.
  9. 삭제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 본체의 바닥부에 설치되는 보강부재가 상기 바닥부 표면에 접합되거나 바닥부 내부에 매립되도록 인서트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자동차용 배터리 팩 케이스 어셈블리.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 본체의 바닥부 표면에 설치되는 보강부재가 상기 바닥부 상면, 또는 하면, 또는 상, 하 양면에 모두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자동차용 배터리 팩 케이스 어셈블리.
  1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 본체의 바닥부에 설치된 보강부재에서 장섬유는 플라스틱 기재 내에 일방향으로 배열되거나 종횡으로 교차된 직조 섬유 형태로 고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자동차용 배터리 팩 케이스 어셈블리.
  13.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일방향으로 배열되는 장섬유는 케이스 본체의 전후 길이방향에 대해 횡방향인 좌우 폭방향으로 길게 배열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자동차용 배터리 팩 케이스 어셈블리.
  14.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 본체의 바닥부에 설치되는 보강부재에서 플라스틱 기재는 폴리프로필렌, 폴리아미드, 폴리에테르에테르케톤, 폴리카보네이트, 폴리페닐렌술폰, 폴리페닐렌에테르, 및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중 선택된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자동차용 배터리 팩 케이스 어셈블리.
  1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 본체의 바닥부에 설치되는 보강부재에서 장섬유로 유리섬유, 탄소섬유, 아리미드 섬유, 화산재 섬유, 및 천연섬유 중 선택된 하나가 사용되거나 둘 이상이 혼합 사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자동차용 배터리 팩 케이스 어셈블리.
  16. 배터리 팩이 수납되는 케이스 본체와, 상기 케이스 본체에 조립되는 커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전기자동차용 배터리 팩 케이스 어셈블리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플라스틱 기재에 보강섬유로 장섬유가 사용된 플라스틱 복합재료를 사용하여 케이스 본체를 성형하되,
    플라스틱 기재에 보강섬유로 장섬유가 사용된 플라스틱 복합재료를 사용하여 별도의 보강부재를 성형한 후,
    차체와의 체결을 위한 케이스 본체의 양 사이드 브라켓 부분에 상기 보강부재를 접합하여 제조하며,
    플라스틱 기재에 보강섬유로 장섬유가 함유된 플라스틱 복합재료를 사용하여 평판형의 보강부재를 추가로 성형하고, 상기 케이스 본체의 바닥부에 상기 평판형의 보강부재를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자동차용 배터리 팩 케이스 어셈블리의 제조 방법.
  17. 청구항 16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 본체와 상기 보강부재의 성형시에 잔존 장섬유의 종횡비가 1000 이상이 되도록 성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자동차용 배터리 팩 케이스 어셈블리의 제조 방법.
  18. 청구항 16에 있어서,
    상기 보강부재의 플라스틱 기재로 폴리프로필렌, 폴리아미드, 폴리에테르에테르케톤, 폴리카보네이트, 폴리페닐렌술폰, 폴리페닐렌에테르, 및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중 선택된 하나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자동차용 배터리 팩 케이스 어셈블리의 제조 방법.
  19. 청구항 16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 본체 및 보강부재에서 장섬유로 유리섬유, 탄소섬유, 아리미드 섬유, 화산재 섬유, 및 천연섬유 중 선택된 하나를 사용하거나 둘 이상을 혼합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자동차용 배터리 팩 케이스 어셈블리의 제조 방법.
  20. 청구항 16에 있어서,
    상기 보강부재를 보강 리브가 형성된 브라켓 형상으로 성형하되, 상기 케이스 본체의 사이드 브라켓 부분과 상기 브라켓 형상의 보강부재가 서로 접합되었을 때 충돌 에너지 흡수를 위한 폐단면 구조 영역을 가질 수 있는 형상으로 성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자동차용 배터리 팩 케이스 어셈블리의 제조 방법.
  21. 청구항 16에 있어서,
    상기 보강부재를 평판 형상으로 성형 제작하여 케이스 본체의 양 사이드 브라켓 부분에 접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자동차용 배터리 팩 케이스 어셈블리의 제조 방법.
  22. 삭제
  23. 청구항 16에 있어서,
    상기 평판형의 보강부재를 성형함에 있어서 일방향 장섬유 테이프를 사용하거나 장섬유로 직조된 직조 섬유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자동차용 배터리 팩 케이스 어셈블리의 제조 방법.
  24. 청구항 23에 있어서,
    상기 일방향 장섬유 테이프 사용시에 케이스 본체의 전후 길이방향에 대해 횡방향인 좌우 폭방향으로 장섬유가 길게 배열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자동차용 배터리 팩 케이스 어셈블리의 제조 방법.
  25. 청구항 16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 본체의 바닥부에 설치되는 보강부재에서 플라스틱 기재는 폴리프로필렌, 폴리아미드, 폴리에테르에테르케톤, 폴리카보네이트, 폴리페닐렌술폰, 폴리페닐렌에테르, 및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중 선택된 하나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자동차용 배터리 팩 케이스 어셈블리의 제조 방법.
  26. 청구항 16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 본체의 바닥부에 설치되는 보강부재에서 장섬유로 유리섬유, 탄소섬유, 아리미드 섬유, 화산재 섬유, 및 천연섬유 중 선택된 하나를 사용하거나 둘 이상을 혼합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자동차용 배터리 팩 케이스 어셈블리의 제조 방법.
KR1020120029926A 2012-03-23 2012-03-23 치수안정성이 우수한 전기자동차용 배터리 팩 케이스 어셈블리와 그 제조 방법 KR101315741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29926A KR101315741B1 (ko) 2012-03-23 2012-03-23 치수안정성이 우수한 전기자동차용 배터리 팩 케이스 어셈블리와 그 제조 방법
US13/553,083 US8835033B2 (en) 2012-03-23 2012-07-19 Battery pack case assembly for electric and hybrid vehicles using a plastic composit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JP2012164721A JP6093123B2 (ja) 2012-03-23 2012-07-25 電気自動車用バッテリパックケースアセンブリ及びその製造方法
DE102012213308.9A DE102012213308B4 (de) 2012-03-23 2012-07-30 Batteriepackgehäuseanordnung für Elektro- und Hybridfahrzeuge unter Verwendung eines Kunststoffverbundwerkstoffes und Verfahren zum Herstellen desselben
CN201210340090.XA CN103325963B (zh) 2012-03-23 2012-09-13 使用塑料复合材料的车用电池组壳组件及其制造方法
US14/460,860 US9254609B2 (en) 2012-03-23 2014-08-15 Battery pack case assembly for electric and hybrid vehicles using a plastic composit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29926A KR101315741B1 (ko) 2012-03-23 2012-03-23 치수안정성이 우수한 전기자동차용 배터리 팩 케이스 어셈블리와 그 제조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07823A KR20130107823A (ko) 2013-10-02
KR101315741B1 true KR101315741B1 (ko) 2013-10-10

Family

ID=491122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29926A KR101315741B1 (ko) 2012-03-23 2012-03-23 치수안정성이 우수한 전기자동차용 배터리 팩 케이스 어셈블리와 그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2) US8835033B2 (ko)
JP (1) JP6093123B2 (ko)
KR (1) KR101315741B1 (ko)
CN (1) CN103325963B (ko)
DE (1) DE102012213308B4 (ko)

Cited B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27308B1 (ko) 2018-03-30 2019-11-04 정아정밀(주) 전기차 배터리 커버의 리크 시험 장치
KR102250194B1 (ko) 2020-10-13 2021-05-10 주식회사 아이엠티에프에이 전기자동차 배터리커버의 누설검사 자동화 장치
KR20230044044A (ko) 2021-09-23 2023-04-03 한국재료연구원 배터리 팩 하부케이스의 제조방법
KR20230052051A (ko) 2021-10-12 2023-04-19 주식회사 포스코 배터리 팩 및 배터리 팩의 제조 방법
KR20230090640A (ko) 2021-12-15 2023-06-22 (주)엘엑스하우시스 전기자동차용 배터리 케이스
KR20230093107A (ko) 2021-12-17 2023-06-27 서진산업 주식회사 전기차량 블록형 멀티 배터리 공급장치
KR20230097806A (ko) 2021-12-24 2023-07-03 주식회사 호원 전기자동차용 배터리팩 케이스의 충격 흡수 구조
KR20230097805A (ko) 2021-12-24 2023-07-03 주식회사 호원 전기자동차용 배터리팩 케이스의 구조
KR20230097803A (ko) 2021-12-24 2023-07-03 주식회사 호원 전기자동차용 배터리팩 케이스의 구조
KR20230097804A (ko) 2021-12-24 2023-07-03 주식회사 호원 전기자동차용 배터리팩 케이스의 구조
KR20230097807A (ko) 2021-12-24 2023-07-03 주식회사 호원 전기자동차의 배터리팩 케이스 충돌 평가장치 및 방법
KR20240087348A (ko) 2022-12-12 2024-06-19 (주)엘엑스하우시스 배터리 케이스
KR20240087349A (ko) 2022-12-12 2024-06-19 (주)엘엑스하우시스 배터리 케이스
KR20240087347A (ko) 2022-12-12 2024-06-19 (주)엘엑스하우시스 배터리 케이스
KR20240087350A (ko) 2022-12-12 2024-06-19 (주)엘엑스하우시스 배터리 케이스
KR20240105999A (ko) 2022-12-29 2024-07-08 주식회사 경민기계 복합수지시트 클램핑 지그
KR20250032651A (ko) 2023-08-31 2025-03-07 한국전기안전공사 탄소 복합재 각형 배터리 수납장치 및 그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0003257B4 (de) * 2010-03-25 2022-07-07 Bayerische Motoren Werke Aktiengesellschaft Vorrichtung zur Kondensatabfuhr für ein gegenüber der Umgebung abgeschlossenes Gehäuse eines Kraftfahrzeugs, Gehäuse und Kraftfahrzeug
CN104094445B (zh) * 2012-02-29 2017-03-08 住友重机械工业株式会社 挖土机
JP5917272B2 (ja) * 2012-04-27 2016-05-11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バッテリ保護装置
JP6020958B2 (ja) * 2012-07-13 2016-11-02 三菱自動車工業株式会社 電池パックトレー
KR101428276B1 (ko) * 2012-12-12 2014-08-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배터리 트레이
US10535852B2 (en) * 2013-02-26 2020-01-14 The Boeing Company Chassis for rechargeable battery
JP5900480B2 (ja) * 2013-05-24 2016-04-06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用電池搭載構造
JP2015018790A (ja) * 2013-06-14 2015-01-29 株式会社Gsユアサ 蓄電モジュール
DE102013215492A1 (de) * 2013-08-06 2015-02-12 Robert Bosch Gmbh Akkumulatormodul mit verbessertem Schutz sowie Akkumulatorpaket
DE102013215436A1 (de) * 2013-08-06 2015-03-05 Bayerische Motoren Werke Aktiengesellschaft Vorrichtung zur Aufnahme zumindest eines Energiemoduls für ein Kraftfahrzeug
US20160101543A1 (en) * 2013-12-03 2016-04-14 The Boeing Company Hybrid Laminate and Molded Composite Structures
DE102013114317B4 (de) * 2013-12-18 2023-08-17 Dr. Ing. H.C. F. Porsche Aktiengesellschaft Batterievorrichtung mit einem Batteriegehäuse für ein Kraftfahrzeug
JP5846193B2 (ja) * 2013-12-25 2016-01-20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用電池搭載構造
DE102014004853A1 (de) 2014-04-03 2015-10-08 Daimler Ag Straßenfahrzeug mit Gehäuseanordnung
KR101643177B1 (ko) * 2014-09-05 2016-07-28 한화첨단소재 주식회사 백커버 일체형 차량용 시트 프레임
DE102014115561A1 (de) * 2014-10-27 2016-04-28 Dr. Ing. H.C. F. Porsche Aktiengesellschaft Batteriegehäuseteil
EP3057388B1 (de) * 2015-02-12 2017-03-29 Nexans Gehäuse für Hochvoltkomponenten
US10358169B2 (en) * 2015-03-06 2019-07-23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Coverless battery assembly for electrified vehicle
DE102015208312A1 (de) * 2015-05-05 2016-11-10 Volkswagen Aktiengesellschaft Zweispuriges Fahrzeug
US9882182B2 (en) 2015-10-01 2018-01-30 Caterpillar Inc. Battery housing
KR102127273B1 (ko) * 2015-11-05 2020-06-26 주식회사 엘지화학 보강 지지부재를 포함하고 있는 전지팩
WO2017079916A1 (en) * 2015-11-11 2017-05-18 Sabic Global Technologies, B.V. Electrical component carrier as a stressed member of an electrical vehicle
US10029551B2 (en) * 2015-11-16 2018-07-24 Kubota Corporation Electric work vehicle, battery pack for electric work vehicle and contactless charging system
CN106803548A (zh) * 2015-11-26 2017-06-06 哈尔滨智明科技有限公司 采用中空材料加工的电池模块外壳
JP6646427B2 (ja) * 2015-12-15 2020-02-14 豊田鉄工株式会社 電池ケース
KR102019112B1 (ko) * 2016-01-12 2019-09-09 (주)엘지하우시스 자동차용 시트백 프레임 및 그 제조 방법
KR102072220B1 (ko) 2016-01-12 2020-01-31 주식회사 엘지화학 디바이스에 대한 탑재 공간이 최소화된 전지팩
US10538166B2 (en) 2016-03-29 2020-01-21 Kubota Corporation Portable charger device, contactless charger system for electric work vehicle and electric grass mower machine
KR102295950B1 (ko) * 2016-06-17 2021-08-30 에스케이이노베이션 주식회사 이차 전지용 냉각 지지 구조체 및 이를 포함하는 이차 전지 팩
CN106217903A (zh) * 2016-07-04 2016-12-14 浙江合众新能源汽车有限公司 一种制作碳纤维复合材料电动汽车电池包的方法
JP6686758B2 (ja) * 2016-07-19 2020-04-22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電池ケース
US10632857B2 (en) 2016-08-17 2020-04-28 Shape Corp. Battery support and protection structure for a vehicle
JP2018030557A (ja) * 2016-08-26 2018-03-01 三菱自動車工業株式会社 電気機器の取付け構造
GB2553541B (en) * 2016-09-07 2022-08-24 Arrival Ltd Battery pack
JP6439177B2 (ja) * 2016-09-27 2018-12-19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車体下部構造
US10230083B2 (en) * 2016-11-01 2019-03-12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Traction battery retention assembly
DE102016121247B4 (de) * 2016-11-07 2021-06-10 Benteler Automobiltechnik Gmbh Batterieträger als Wanne mit Verstärkungsstreben
CN106626436A (zh) * 2016-12-09 2017-05-10 江苏理工学院 一种混杂纤维方格布复合材料汽车电池盒及其制造方法
CN106626433A (zh) * 2016-12-09 2017-05-10 江苏理工学院 一种多轴向混杂纤维复合材料汽车电池盒及其制造方法
CN106738999A (zh) * 2016-12-09 2017-05-31 江苏理工学院 一种多轴向碳纤维复合材料汽车电池盒及其制造方法
CN106505170A (zh) * 2016-12-28 2017-03-15 宁波优科泰科技发展有限公司 一种用于锂离子动力与储能电池的聚合物材质的电池盒
EP3566253B1 (en) 2017-01-04 2022-12-28 Shape Corp. Battery support structure for a vehicle
CN110225935A (zh) 2017-01-24 2019-09-10 提克纳有限责任公司 用于电动车的蓄电池模块
DE102017102699B4 (de) 2017-02-10 2021-01-28 Benteler Automobiltechnik Gmbh Batterieträger mit verbesserten Crasheigenschaften
US10252685B2 (en) 2017-02-15 2019-04-09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Optimized powertrain control module bracket
KR102100676B1 (ko) * 2017-02-23 2020-04-16 (주)엘지하우시스 배터리 하우징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용 배터리 케이스
DE102017104360A1 (de) * 2017-03-02 2018-09-06 Kirchhoff Automotive Deutschland Gmbh Batteriegehäuse
DE102017104709A1 (de) * 2017-03-07 2018-09-13 Dr. Ing. H.C. F. Porsche Aktiengesellschaft Batteriemodul zur Verwendung bei einem Hochvolt-Energiespeicher
CN108657559B (zh) * 2017-04-01 2024-05-07 比亚迪股份有限公司 电池托盘和车辆
KR102348114B1 (ko) * 2017-05-15 2022-01-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배터리 조립체
WO2018213383A1 (en) 2017-05-16 2018-11-22 Shape Corp. Vehicle battery tray with integrated battery retention and support features
WO2018213306A1 (en) 2017-05-16 2018-11-22 Shape Corp. Vehicle battery tray having tub-based component
US10483510B2 (en) 2017-05-16 2019-11-19 Shape Corp. Polarized battery tray for a vehicle
CN107331802B (zh) * 2017-06-19 2020-03-24 惠州市海龙模具塑料制品有限公司 电池箱体及其制造方法
CN107599448A (zh) * 2017-08-17 2018-01-19 芜湖博康新材料技术有限公司 一种汽车电池箱下盖及其生产工艺
EP3444138B1 (en) 2017-08-17 2024-12-11 Polestar Performance AB Vehicle
KR102225631B1 (ko) * 2017-08-21 2021-03-08 (주)엘지하우시스 성형품,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팩 하우징 및 드론용 배터리팩
EP3681753A4 (en) 2017-09-13 2021-04-21 Shape Corp. VEHICLE BATTERY COMPARTMENT WITH TUBE-SHAPED PERIMETER WALL
DE102017217155A1 (de) * 2017-09-27 2019-03-28 Volkswagen Aktiengesellschaft Batteriegehäuse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Batteriegehäuses
FR3071965B1 (fr) * 2017-10-02 2019-10-25 Arkema France Coffre a batterie
WO2019071013A1 (en) 2017-10-04 2019-04-11 Shape Corp. BATTERY SUPPORT BOTTOM ASSEMBLY FOR ELECTRIC VEHICLES
FR3071789B1 (fr) * 2017-10-04 2020-07-17 Valeo Systemes Thermiques Boitier de support pour batterie
DE102017218255B4 (de) * 2017-10-12 2024-03-21 Volkswagen Aktiengesellschaft Batteriegehäuse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Batteriegehäuses
CN107910466B (zh) * 2017-11-09 2020-09-11 江苏澳盛复合材料科技有限公司 新能源汽车用纤维增强复合材料电池箱体及其加工方法
CN107946488A (zh) * 2017-11-16 2018-04-20 北京航空航天大学 基于连续纤维与长纤维混杂设计的复合材料电池壳及制备工艺
CN107768556A (zh) * 2017-11-16 2018-03-06 北京航空航天大学 一种局部增强的多纤维混杂复合材料电池壳及制备工艺
FR3074362B1 (fr) * 2017-11-24 2019-11-15 Arkema France Dispositif de refroidissement et/ou chauffage d'une batterie de vehicule automobile electrique ou hybride et circuit de refroidissement et/ou chauffage associe
KR102381843B1 (ko) * 2017-12-07 2022-04-04 주식회사 엘지화학 레이저 용접용 접합재 및 이를 이용한 레이저 용접 방법
KR102270234B1 (ko) 2017-12-12 2021-06-25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크로스 빔을 내장한 배터리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
CN108172713A (zh) * 2017-12-24 2018-06-15 奇瑞新能源汽车技术有限公司 一种轻量化电动汽车电池系统及其制作方法
EP3511184A1 (de) * 2018-01-15 2019-07-17 MAGNA STEYR Fahrzeugtechnik AG & Co KG Kraftfahrzeug mit trägerstruktur
DE112018006986T5 (de) * 2018-01-31 2020-10-08 Honda Motor Co., Ltd. Harz-form und formung-verfahren für eine harz-form
EP3528305B1 (de) * 2018-02-20 2023-01-04 MAGNA STEYR Fahrzeugtechnik GmbH & Co KG Verwendung von antriebsbatterien in kraftfahrzeugen
JP2019149855A (ja) 2018-02-26 2019-09-05 日本電気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
CN112055898A (zh) 2018-03-01 2020-12-08 形状集团 与车辆电池托盘集成的冷却系统
KR20180063870A (ko) * 2018-03-12 2018-06-12 주식회사 경신 차량용 정션박스
KR20180063872A (ko) * 2018-03-12 2018-06-12 주식회사 경신 차량용 정션박스
KR20180063871A (ko) * 2018-03-12 2018-06-12 주식회사 경신 차량용 정션박스
KR101899955B1 (ko) * 2018-03-12 2018-09-18 주식회사 경신 차량용 정션박스
JP6935773B2 (ja) * 2018-03-13 2021-09-15 トヨタ車体株式会社 成形品及び成形品の製造方法
US11688910B2 (en) 2018-03-15 2023-06-27 Shape Corp. Vehicle battery tray having tub-based component
DE102018106399A1 (de) * 2018-03-19 2019-09-19 Muhr Und Bender Kg Gehäuseanordnung zur Aufnahme elektrischer Speichermittel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r Gehäuseanordnung
JP7028690B2 (ja) * 2018-03-29 2022-03-02 三菱重工業株式会社 熱溶融積層造形方法、熱溶融積層造形物の製造方法、および熱溶融積層造形物を一部に備えた構造
KR102575355B1 (ko) * 2018-04-26 2023-09-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배터리 케이스
DE102018110269A1 (de) * 2018-04-27 2019-10-31 Airbus Operations Gmbh Batteriehaltevorrichtung sowie Flugzeug mit einer derartigen Batteriehaltevorrichtung
DE102018110519B4 (de) * 2018-05-02 2020-01-02 Benteler Automobiltechnik Gmbh Batteriekasten
DE102018210121A1 (de) * 2018-06-21 2019-12-24 Volkswagen Aktiengesellschaft Batteriegehäuse sowie Kraftfahrzeug mit einem solchen Batteriegehäuse
KR102027124B1 (ko) * 2018-07-20 2019-10-01 주식회사 성우하이텍 전기자동차용 배터리 팩의 마운팅 구조체
US10910615B2 (en) 2018-07-23 2021-02-02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Mounting solutions for electrified vehicle battery packs
JP6683777B2 (ja) * 2018-08-28 2020-04-22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バッテリケースの固定構造
CN112740469A (zh) * 2018-09-20 2021-04-30 乐金华奥斯株式会社 电动汽车用电池外壳
CN111081918A (zh) * 2018-10-18 2020-04-28 上汽通用五菱汽车股份有限公司 一种新能源汽车电池包支架
CN113016103A (zh) 2018-11-13 2021-06-22 瑞伟安知识产权控股有限公司 具有复合结构的电动车辆电池组盖
KR102171586B1 (ko) * 2018-11-21 2020-10-30 한화글로벌에셋 주식회사 배터리 로워케이스 제조방법
KR102111507B1 (ko) * 2018-11-21 2020-05-15 한화글로벌에셋 주식회사 배터리 로워케이스
IT201800021235A1 (it) * 2018-12-27 2020-06-27 Ferrari Spa Automobile sportiva elettrica o ibrida
US10720620B1 (en) 2019-01-15 2020-07-21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High voltage battery pack mounting systems for providing load path management during impact loading events
EP3690978A1 (en) 2019-02-01 2020-08-05 SABIC Global Technologies B.V. Injection moldable, flame retardant long glass fiber based materials for electric vehicle battery casing
EP3948970A1 (de) 2019-03-29 2022-02-09 Covestro Intellectual Property GmbH & Co. KG Batteriegehäuse und seine verwendung in elektrofahrzeugen
EP3725652B1 (de) * 2019-04-18 2022-07-27 EDAG Engineering GmbH Verfahren zur reparatur einer fahrzeugkarosserie
DE102019211560A1 (de) * 2019-05-03 2020-11-05 Mahle International Gmbh Batteriegehäuse für ein Batteriesystem zum Antreiben eines Fahrzeugs
CN110181833A (zh) * 2019-05-29 2019-08-30 郝鹏翔 一种轻量化预浸料电池箱及其制备方法
JP7224245B2 (ja) * 2019-06-24 2023-02-17 株式会社クボタ 電動作業車
CN110386094B (zh) * 2019-06-28 2024-11-15 上海凌云工业科技有限公司凌云汽车技术分公司 一种复合材料成型的汽车防撞梁吸能盒及制备方法
DE102019211266B4 (de) * 2019-07-30 2022-01-27 Volkswagen Aktiengesellschaft Batteriegehäuse und Kraftfahrzeug
KR102772385B1 (ko) 2019-08-07 2025-02-25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표면 요철 구조를 갖는 전지팩 커버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팩
WO2021034420A1 (en) * 2019-08-19 2021-02-25 Bridgestone Americas, Inc. Structural composites for battery enclosure
DE102019006234A1 (de) * 2019-09-04 2021-03-04 Erwin Quarder Systemtechnik Gmbh Gehäuse zur Aufnahme eines Akkupacks sowie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derartigen Gehäuses
WO2021058677A1 (en) * 2019-09-26 2021-04-01 Covestro Intellectual Property Gmbh & Co. Kg Manufacturing method for structural components and structural component
CN112549397A (zh) * 2019-09-26 2021-03-26 科思创德国股份有限公司 用于结构部件的制造方法和结构部件
JP7240298B2 (ja) * 2019-10-11 2023-03-15 株式会社神戸製鋼所 電動車両用バッテリーケースの製造方法および電動車両用バッテリーケース
KR102262964B1 (ko) * 2019-11-20 2021-06-09 (주)영진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차량용 배터리 케이스
DE102019132026B8 (de) * 2019-11-26 2021-11-11 Bayerische Motoren Werke Aktiengesellschaft Batterieträger für eine Batterie eines Kraftfahrzeugs
KR102772433B1 (ko) * 2020-03-23 2025-02-25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서로 다른 방향으로 돌출된 요철 패턴이 형성된 전지 모듈 커버재,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 모듈
US11688909B2 (en) 2020-03-24 2023-06-27 Johns Manville Battery enclosure
CN111129392B (zh) * 2020-03-31 2020-07-31 江苏时代新能源科技有限公司 箱体、电池组及装置
DE102020205426A1 (de) * 2020-04-29 2021-11-04 Mahle International Gmbh Batteriegehäuse sowie Verfahren zum Herstellen eines Batteriegehäuses
US11563250B2 (en) * 2020-06-17 2023-01-24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Battery pack assembly having foam enclosure and method of supporting a foam battery pack enclosure
US20230256803A1 (en) 2020-07-03 2023-08-17 Teijin Limited Battery tray made of integrally molded fiber reinforced plastics
CN111640900B (zh) * 2020-07-24 2025-01-24 厦门海辰储能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固定结构和电池箱
FR3113193B1 (fr) * 2020-07-30 2022-11-25 Faurecia Systemes Dechappement Batterie électrique et véhicule associé
CN112060933A (zh) * 2020-09-18 2020-12-11 常熟市汽车饰件股份有限公司 动力电池箱体的框架结构
CN112078153A (zh) * 2020-09-27 2020-12-15 南京瓴荣材料科技有限公司 一种电动赛车用夹心复合材料电池箱及其制备方法
CN114312444B (zh) * 2020-09-30 2025-01-24 奥动新能源汽车科技有限公司 解锁装置及包括其的换电设备
KR20220051561A (ko) * 2020-10-19 2022-04-26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화재 억제 구조를 가지는 배터리 팩 하우징
CN116114106A (zh) * 2020-10-23 2023-05-12 三洋电机株式会社 电池组
KR102496348B1 (ko) * 2020-10-28 2023-02-06 광성기업 주식회사 연속 섬유 및 불연속 섬유를 포함하는 전기자동차용 배터리 팩 케이스
DE102020128528A1 (de) 2020-10-29 2022-05-05 Kautex Textron Gmbh & Co. Kg Batterieschale aufweisend ein Verstärkungsvlies, Herstellverfahren und Traktionsbatterie
DE102020128527A1 (de) * 2020-10-29 2022-05-05 Kautex Textron Gmbh & Co. Kg Batterieschale, Traktionsbatterie, Kraftfahrzeug, Werkzeug zum Herstellen einer Batterieschale und Verfahren zum Herstellen einer Batterieschale
DE102020129786A1 (de) * 2020-11-11 2022-05-12 Kautex Textron Gmbh & Co. Kg Befestigung von Crashelementen an Batteriegehäusen
JP7200198B2 (ja) * 2020-12-03 2023-01-06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燃料電池車両
WO2022125386A1 (en) 2020-12-07 2022-06-16 Teijin Limited Vehicle structure
WO2022125366A1 (en) 2020-12-07 2022-06-16 Teijin Limited Vehicle structure
CN116583988A (zh) 2020-12-07 2023-08-11 帝人株式会社 车辆结构
JP7513919B2 (ja) 2020-12-08 2024-07-10 日本製鉄株式会社 自動車のバッテリーケース及びその製造方法
US20240072356A1 (en) 2021-01-19 2024-02-29 Mitsui Chemicals, Inc. Battery pack case and battery pack
DE102021108564A1 (de) * 2021-04-07 2022-10-13 Dr. Ing. H.C. F. Porsche Aktiengesellschaft Bauteil eines Kraftfahrzeugs
DE102021123003A1 (de) 2021-09-06 2023-03-09 Kautex Textron Gmbh & Co. Kg Batterieschale aus Kunststoff aufweisend ein Einlegeteil, Werkzeug sowie Verfahren zum Herstellen einer Batterieschale, Traktionsbatterie und Kraftfahrzeug
DE102021122980B4 (de) 2021-09-06 2024-05-02 Dr. Ing. H.C. F. Porsche Aktiengesellschaft Traktionsbatteriesystem eines Kraftfahrzeugs
EP4160802A1 (en) * 2021-10-04 2023-04-05 Volvo Car Corporation Structural battery for an electric vehicl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KR102730713B1 (ko) * 2021-10-18 2024-11-15 (주)일지테크 다이캐스팅 방식 전기 자동차용 배터리 모듈 케이스 및 그 제조방법
TWI797874B (zh) * 2021-12-07 2023-04-01 淡江大學學校財團法人淡江大學 電池散熱、剛性與阻燃一體化熱管理模組
DE102022101036B3 (de) 2022-01-18 2023-02-23 Azl Aachen Gmbh Abdeckeinheit zum Verschließen eines Batteriegehäuses eines elektrisch angetriebenen Fahrzeugs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r Abdeckeinheit
DE102022104934A1 (de) * 2022-03-02 2023-09-07 Azl Aachen Gmbh Batteriegehäuse für ein elektrisch betriebenes Fahrzeug zur Anordnung von Batteriezellen, Behältereinheit, Batterie und Verfahren
JP7376856B1 (ja) 2022-06-17 2023-11-09 Jfeスチール株式会社 バッテリーケース
US12214678B2 (en) 2022-07-14 2025-02-04 Dana Automotive Systems Group, Llc Overmolded mechanical fastener with integrated sealing
DE102022208548A1 (de) * 2022-08-17 2024-02-22 Sgl Carbon Se Batteriestruktur
WO2024100042A1 (en) 2022-11-08 2024-05-16 Sabic Global Technologies B.V. Thermoplastic battery cover reinforced with continuousfiber composite lamina to control burst pressure
KR102777994B1 (ko) * 2022-12-14 2025-03-12 에스제이지세움 주식회사 경량화된 전기차 배터리 모듈 어셈블리
WO2024144777A1 (en) * 2022-12-29 2024-07-04 Ti Group Automotive Systems, Llc Enclosures via dual parison blow molding with intermediate layer of long glass/fiber reinforcement
DE202023100724U1 (de) * 2023-02-15 2024-05-21 Wpx Faserkeramik Gmbh Batteriegehäusedeckel mit Faserverbund mit oxidischer Matrix
DE102023108317A1 (de) 2023-03-31 2024-10-02 Mercedes-Benz Group AG Schutzanordnung an einer Unterseite eines unterhalb einer Bodenstruktur einer Kraftwagenkarosserie angeordneten Batteriegehäuses
DE102023108897A1 (de) 2023-04-06 2024-10-10 Audi Aktiengesellschaft Unterfahrschutz für ein Kraftfahrzeug zur Abdeckung eines Energiespeichers
WO2024240776A1 (en) 2023-05-22 2024-11-28 Sabic Global Technologies B.V. Battery pack cover with a protruding double wall battery divider and thermal runaway barrier
DE102023113511A1 (de) 2023-05-24 2024-11-28 Bayerische Motoren Werke Aktiengesellschaft Antriebsbatterie mit gehäuseinternen Zugelementen
DE102023119179B3 (de) 2023-07-20 2024-10-31 Audi Aktiengesellschaft Traktionsbatterieanordnung mit einem Unterfahrschutzelement
CN220914538U (zh) * 2023-08-16 2024-05-07 比亚迪股份有限公司 底护板、电池包和车辆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39067A (ko) * 1996-11-27 1998-08-17 박병재 태양광 자동차의 배터리 트레이 지지구조
JP2012018797A (ja) * 2010-07-07 2012-01-26 Toray Ind Inc ケース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12022991A (ja) * 2010-07-16 2012-02-02 Toray Ind Inc 電気部品用容器

Family Cites Families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230U (ja) * 1983-06-17 1985-01-05 マツダ株式会社 自動車用エンジン支持部材の構造
DE3916342A1 (de) 1989-05-19 1990-11-22 Bayerische Motoren Werke Ag Schutzeinrichtung fuer eine fahrzeugbatterie
JPH04208417A (ja) * 1990-11-30 1992-07-30 Nippon Steel Corp 繊維強化熱可塑性樹脂成形品及びその成形方法
JPH0743950A (ja) 1993-07-29 1995-02-14 Ricoh Co Ltd 静電荷像現像用摩擦帯電付与部材
JPH08186390A (ja) 1994-12-28 1996-07-16 Uchihama Kasei Kk 電気自動車用バッテリーケース
JP3635143B2 (ja) * 1996-02-02 2005-04-06 ゼネラル・エレクトリック・カンパニイ 耐候安定化されたガラス長繊維強化ポリプロピレン樹脂組成物を使用した車輌外装部品
JP2007002028A (ja) * 2005-06-21 2007-01-11 Mitsubishi Engineering Plastics Corp 車両電源装置収納ケース
DE102006048291A1 (de) 2006-08-22 2008-02-28 Daimler Ag Tragwanne für einen Lastkraftwagen
RU2456249C2 (ru) * 2006-12-15 2012-07-20 ПиПиДжи ИНДАСТРИЗ ОГАЙО, ИНК. Композиции замасливателя и термопластичные композиционные материалы, армированные стеклянными волокнами
JP4420017B2 (ja) 2006-12-28 2010-02-24 三菱自動車工業株式会社 電気自動車のバッテリ搭載構造
JP4345812B2 (ja) 2006-12-28 2009-10-14 三菱自動車工業株式会社 電気自動車のバッテリ搭載構造
JP4389930B2 (ja) 2006-12-28 2009-12-24 三菱自動車工業株式会社 電気自動車に搭載されるバッテリケースの構造
JP4434213B2 (ja) 2007-01-26 2010-03-17 三菱自動車工業株式会社 電気自動車のバッテリ搭載構造
US20090011210A1 (en) 2007-02-15 2009-01-08 Xiao Gao Lightweight glass fiber reinforced thermoplastic material
JP5151363B2 (ja) 2007-09-28 2013-02-27 三菱自動車工業株式会社 電気自動車用バッテリケース
JP4386131B2 (ja) 2007-12-05 2009-12-16 三菱自動車工業株式会社 電気自動車
JP4306783B2 (ja) 2007-12-14 2009-08-05 三菱自動車工業株式会社 電気自動車のバッテリユニット取付構造
KR20100009421A (ko) 2008-07-18 2010-01-2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 배터리 케이스용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및 이를이용한 고단열성 자동차 배터리 케이스
CN101695873B (zh) * 2009-10-30 2012-05-30 广州科苑新型材料有限公司 长纤维增强塑料生产用纤维丝束熔融浸渍模头及浸渍方法
DE102010013131A1 (de) 2009-12-21 2011-06-22 REHAU AG + Co., 95111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endlosfaserverstärkten Formteilen aus thermoplastischem Kunststoff sowie Kraftfahrzeugformteil
JP5408440B2 (ja) * 2010-01-18 2014-02-05 三菱自動車工業株式会社 車両用バッテリケース
US9065111B2 (en) * 2010-05-26 2015-06-23 Samsung Sdi Co., Ltd. Battery pack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39067A (ko) * 1996-11-27 1998-08-17 박병재 태양광 자동차의 배터리 트레이 지지구조
JP2012018797A (ja) * 2010-07-07 2012-01-26 Toray Ind Inc ケース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12022991A (ja) * 2010-07-16 2012-02-02 Toray Ind Inc 電気部品用容器

Cited B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27308B1 (ko) 2018-03-30 2019-11-04 정아정밀(주) 전기차 배터리 커버의 리크 시험 장치
KR102250194B1 (ko) 2020-10-13 2021-05-10 주식회사 아이엠티에프에이 전기자동차 배터리커버의 누설검사 자동화 장치
KR20230044044A (ko) 2021-09-23 2023-04-03 한국재료연구원 배터리 팩 하부케이스의 제조방법
KR20230052051A (ko) 2021-10-12 2023-04-19 주식회사 포스코 배터리 팩 및 배터리 팩의 제조 방법
KR20230090640A (ko) 2021-12-15 2023-06-22 (주)엘엑스하우시스 전기자동차용 배터리 케이스
KR20230093107A (ko) 2021-12-17 2023-06-27 서진산업 주식회사 전기차량 블록형 멀티 배터리 공급장치
KR20230097806A (ko) 2021-12-24 2023-07-03 주식회사 호원 전기자동차용 배터리팩 케이스의 충격 흡수 구조
KR20230097805A (ko) 2021-12-24 2023-07-03 주식회사 호원 전기자동차용 배터리팩 케이스의 구조
KR20230097803A (ko) 2021-12-24 2023-07-03 주식회사 호원 전기자동차용 배터리팩 케이스의 구조
KR20230097804A (ko) 2021-12-24 2023-07-03 주식회사 호원 전기자동차용 배터리팩 케이스의 구조
KR20230097807A (ko) 2021-12-24 2023-07-03 주식회사 호원 전기자동차의 배터리팩 케이스 충돌 평가장치 및 방법
KR20240087348A (ko) 2022-12-12 2024-06-19 (주)엘엑스하우시스 배터리 케이스
KR20240087349A (ko) 2022-12-12 2024-06-19 (주)엘엑스하우시스 배터리 케이스
KR20240087347A (ko) 2022-12-12 2024-06-19 (주)엘엑스하우시스 배터리 케이스
KR20240087350A (ko) 2022-12-12 2024-06-19 (주)엘엑스하우시스 배터리 케이스
KR20240105999A (ko) 2022-12-29 2024-07-08 주식회사 경민기계 복합수지시트 클램핑 지그
KR20250032651A (ko) 2023-08-31 2025-03-07 한국전기안전공사 탄소 복합재 각형 배터리 수납장치 및 그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102012213308B4 (de) 2024-12-19
CN103325963B (zh) 2017-04-12
US20140352886A1 (en) 2014-12-04
DE102012213308A1 (de) 2013-09-26
US9254609B2 (en) 2016-02-09
US20130252059A1 (en) 2013-09-26
JP2013201112A (ja) 2013-10-03
JP6093123B2 (ja) 2017-03-08
CN103325963A (zh) 2013-09-25
US8835033B2 (en) 2014-09-16
KR20130107823A (ko) 2013-10-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15741B1 (ko) 치수안정성이 우수한 전기자동차용 배터리 팩 케이스 어셈블리와 그 제조 방법
US7784856B2 (en) Dynamic load bearing composite floor pan for an automotive vehicle
EP3154828B1 (en) Method of making a laminate, an energy absorbing device, an energy absorbing device composition, and a forming tool
US8376426B2 (en) Plastic composite bumper beam for vehicle
KR101764463B1 (ko) 차량용 플로어 구조
JP6189285B2 (ja) 自動車の複合材料および構造部材
US8991900B2 (en) Vehicle skeleton member
EP2671780B1 (en) Vehicle skeleton member
JP2012094476A (ja) プラスチック複合材を利用した電気自動車用バッテリーパックケースアセンブリー
US20160264082A1 (en) Light-weight energy absorption assembly for a vehicle impact system
CN112936726A (zh) 用于制造机动车的结构构件的方法
KR101724956B1 (ko) 차량용 사이드 스텝의 제조방법
WO2010145976A1 (en) Process for reinforcing a rigid plastic fuel tank
US20130004696A1 (en) Components made of thermoplastic composite materials
US20060145506A1 (en) Control panel and method for the production thereof
KR20030082840A (ko) 자동차 프레임의 사이드 멤버 및 그의 제조 방법
CN114206709A (zh) 具有变形元件的用于移动房屋或机动房屋的安全舱
CN105121118A (zh) 形成用于交通工具的椅背框架的方法
US20240351254A1 (en) Structure Component
US12043316B2 (en) Component of a motor vehicle
JP7376293B2 (ja) 繊維強化樹脂複合材及び繊維強化樹脂複合材の製造方法
CN116615833A (zh) 电池外壳、牵引电池、机动车辆、用于制造电池外壳的模具以及用于制造电池外壳的方法
JP7323402B2 (ja) 繊維強化樹脂複合材及び繊維強化樹脂複合材の製造方法
JP2020044929A (ja) 車両用センターピラー
KR102003895B1 (ko) 자동차 도어용 임팩트 빔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20323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3041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30808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3100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31002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28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928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26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926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928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928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927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925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