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230097804A - 전기자동차용 배터리팩 케이스의 구조 - Google Patents

전기자동차용 배터리팩 케이스의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97804A
KR20230097804A KR1020210187660A KR20210187660A KR20230097804A KR 20230097804 A KR20230097804 A KR 20230097804A KR 1020210187660 A KR1020210187660 A KR 1020210187660A KR 20210187660 A KR20210187660 A KR 20210187660A KR 20230097804 A KR20230097804 A KR 2023009780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ttery pack
pack case
electric vehicle
case
side membe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Granted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876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751796B1 (ko
Inventor
최강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호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호원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호원
Priority to KR10202101876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751796B1/ko
Publication of KR202300978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9780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7517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751796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44Secondary casings; Racks; Suspension devices; Carrying devices; Holders characterised by their mounting metho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18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H01M50/22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the casings or racks
    • H01M50/231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the casings or racks having a layered structu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33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characterised by physical properties of casings or racks, e.g. dimensions
    • H01M50/242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characterised by physical properties of casings or racks, e.g. dimensions adapted for protecting batteries against vibrations, collision impact or swell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49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specially adapted for aircraft or vehicles, e.g. cars or trai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89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characterised by spacing elements or positioning means within frames, racks or packs
    • H01M50/291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characterised by spacing elements or positioning means within frames, racks or pack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20/00Batterie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M2220/20Batteries in motive systems, e.g. vehicle, ship, plan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Battery Mounting, Suspend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의 측면 충돌에 대한 구조적 강성과 충돌 특성이 향상될 뿐만 아니라 차량 측면 충돌 등에 의한 배터리팩 케이스의 측면 파트에 손상이 발생하는 경우에 손상된 측면 파트만 쉽게 교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한 전기자동차용 배터리팩 케이스의 개선된 구조를 제공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배터리팩이 수납되는 영역을 제공하는 베이스부와, 차체와의 체결을 위해 상기 베이스부의 양 사이드에 제공되는 사이드부를 포함하는 하부케이스를 구비하는 전기자동차용 배터리팩 케이스에 있어서; 상기 하부케이스의 사이드부는 상기 베이스부의 좌우 양측에 착탈 가능하게 조립되는 사이드 멤버로 제공되며, 상기 사이드 멤버는 상기 베이스부의 상부 및 하부측에 각각 대향하도록 형성되는 레일부의 홈을 따라 슬라이딩하여 맞물리게 되는 플랜지부를 구비하는 전기자동차용 배터리팩 케이스 구조가 제공된다.

Description

전기자동차용 배터리팩 케이스의 구조{Structure of Battery Pack Case for Electric Vehicles}
본 발명은 전기자동차용 배터리팩 케이스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차량의 측면 충돌에 대한 구조적 강성과 충돌 특성이 향상될 뿐만 아니라 차량 측면 충돌 등에 의한 배터리팩 케이스의 측면 파트에 손상이 발생하는 경우에 손상된 측면 파트만 쉽게 교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한 전기자동차용 배터리팩 케이스의 구조 개선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기 자동차는 전기를 동력으로 하여 움직이는 자동차로서, 자동차의 구동 에너지를 기존의 자동차와 같이 화석 연료의 연소로부터가 아닌 전기에너지로부터 얻는 자동차이다.
전기 자동차는 크게 전기배터리 전기차(BEV, Battery Eletric Vehicle), 하이브리드 전기자동차: HEV, Hybrid Eletric Vehicle), 플러그인 전기차: PHEV, Plug-in Hybrid Electric Vehicle), 전지 전기 자동차(FCEV, Fuel Cell Eletric Vehicle)로 나누어지는데, 이들 전기 자동차는 모두 전기모터를 이용해서 차량을 구동시키는 구성으로, 전기모터에 구동전력을 제공하는 고전압 배터리팩이 필수적으로 장착되어 있다.
상기 고전압 배터리팩은 다수의 단위 전지인 배터리 셀이 일정한 개수로 모여서 된 배터리 모듈이 배터리팩 케이스에 수납되어 전기차에 장착되는 배터리 시스템의 최종 형태를 이룬 것이다.
즉, 전기차의 배터리팩은, 배터리 모듈 및 상기 배터리 모듈의 전압과 전류 및 온도 등을 감지하고 작동을 제어하는 BMS(Battery Management System; 미도시), 냉각시스템 등 각종 제어 및 보호 시스템을 포함하며, 배터리팩을 감싸 보호하면서 외관을 형성하는 배터리팩 케이스에 의해 보호되고 차량에 장착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전기차의 고전압 배터리팩은 트렁크룸의 공간에 설치되기도 하지만, 최근 차량의 성능이 향상됨에 따라 이에 부합되도록 배터리 사이즈가 커지고 또한 수량이 증가하는 추세인 바, 이로 인해 공간이 협소한 트렁크룸에 더 이상 고전압 배터리팩을 설치할 수 없어서 차량 외부에서 언더 플로어패널에 고정 설치하는 방안이 활용되고 있다.
즉, 전기자동차에 사용되는 고전압 배터리팩은 통상 차체 하부에 장착되며, 특히 상용차의 경우 차량 내부공간이 협소함으로 인하여, 외부 장착형 고전압 배터리팩이 필수적으로 요구되고 있다.
한편,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터리팩의 보호를 위한 외관을 구성하는 요소인 배터리팩 케이스(1)는, 배터리팩이 수납되는 하부케이스(다수의 배터리팩이 수용되는 케이스 본체 부분임), 상기 하부케이스의 상면을 덮도록 조립되는 커버(20)(케이스 본체를 덮는 상부 커버임)를 포함한다.
상기 커버(20)는 하중을 크게 필요로 하지 않으므로 일반적인 플라스틱 복합재 성형공법으로 제조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하부케이스의 경우 스틸 재질일 때의 성형방법은 프레스(press)로, 알루미늄 재질일 때는 프레스 또는 압출, 다이캐스팅 공법으로 이루어지게 되는데, 이러한 공법은 하부케이스의 형상이 복잡하게 되는 경우에는 각 부품을 나누어 성형하고 이를 다시 용접처리하여 접합하였다.
이러한 배터리팩 케이스(1)는 보통 차체 플로어패널 아래에 장착되므로 실제 주행시 내치핑성(Chipping Resistance), 수밀성 및 내부식성 등이 요구되며, 내치핑성을 위하여 별도 언더 커버를 장착하기도 한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의 기존 전기자동차용 배터리팩 케이스는 구조적으로 다음과 같은 문제점을 안고 있었다.
도 2를 참조하면, 기존의 배터리팩 케이스(1)의 하부케이스는, 배터리팩이 수납되는 영역을 제공하는 베이스부와, 차체 체결을 위해 상기 베이스부의 양 사이드에 제공되는 사이드부(120a)가 일체형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차량 사고 등에서의 측면 충돌 발생시, 배터리팩 케이스(1)의 사이드부(120a)에 충격이 가장 우선적으로 가해지게 되며, 이로써 사이드부(120a)가 손상되는 경우가 발생한다.
이때, 기존의 배터리팩 케이스(1)를 구성하는 하부케이스는 베이스부(110)와 사이드부(120a)가 일체형으로 형성되는 구조이므로, 사이드부(120a) 손상만으로도 패터리팩 케이스 전체를 교체해야만 한다.
즉, 기존의 배터리팩 케이스(1)는 하부케이스의 베이스부(110) 손상이 없더라도, 사이드부(120a)와 베이스부(110)가 일체이므로 베이스부 양측에 구비되는 사이드부(120a) 손상이 발생하게 되면 배터리팩 케이스 전체를 교체해야만 하는 구조적 문제점이 있다.
결국, 기존의 전기자동차용 배터리팩 케이스(1)는 일부 한정된 부분의 손상임에도 불구하고 배터리팩 케이스 전체를 교체해야 하므로, 수리 비용 등 경제적 부담이 증가하게 되는 단점이 수반되며, 또한 제품의 사후 보수(A/S)에 있어 배터리팩 케이스 전체를 취급해야 하므로 편의성이 저하되는 단점이 있어, 이들 단점을 해소하기 위한 구조 개선이 요구되는 실정이다.
특허문헌1 : 대한민국공개특허 10-2013-0027386호(2013.03.15.) 특허문헌2 : 대한민국등록특허 10-1315741호(2013.10.01.)
본 발명은 상기한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차량의 측면 충돌에 따른 배터리팩 케이스의 측면 파트 손상시, 손상된 측면 파트만 교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사후 보수 관리의 편의성 향상 및 비용 절감을 도모할 수 있는 전기자동차용 배터리팩 케이스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차량의 측면 충돌시 손상된 측면 파트만 교체 가능하도록 함과 아울러, 차량의 측면 충돌에 대한 구조적 강성 및 충돌 특성이 향상될 수 있도록 한 전기자동차용 배터리팩 케이스를 제공하는데에도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배터리팩이 수납되는 영역을 제공하는 베이스부와, 차체와의 체결을 위해 상기 베이스부의 양 사이드에 제공되는 사이드부를 포함하는 하부케이스를 구비하는 전기자동차용 배터리팩 케이스에 있어서; 상기 하부케이스의 사이드부는 상기 베이스부의 좌우 양측에 착탈 가능하게 조립되는 사이드 멤버로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사이드 멤버는 상기 베이스부에 형성되는 레일부의 홈에 맞물리게 되는 플랜지부를 구비한다.
상기 사이드 멤버는 상기 플랜지부 일측에 배터리팩 케이스의 측면 충돌에 따른 충격을 흡수하도록 구비되는 충격흡수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레일부는 베이스부의 상부 및 하부 양측에 형성된다.
상기 레일부 일측에는 상기 사이드 멤버의 슬라이딩 방향으로의 유동 방지를 위해 상기 레일부를 관통하여 상기 플랜지부에 체결되는 체결부재가 설치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사이드 멤버의 충격흡수부는, 수직 및 수평방향의 충격을 흡수하도록 상기 사이드 멤버의 테두리 내측에 각각 구비되는 수직 및 수평방향의 보강리브와, 상기 수직 및 수평방향의 보강리브에 대해 소정의 각도로 경사지게 사이드 멤버의 테두리 내측에 구비되는 경사방향 보강리브를 구비한다.
상기 충격흡수부의 테두리 내측부분의 구성요소(즉, 수직방향 및 수평방향 보강리브, 경사방향 보강리브)은 단면 상의 기하학적 형태가 "
Figure pat00001
" 모양으로서, 수평 및 수직방향의 각 중심선을 기준으로 좌우 및 상하대칭을 이루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플랜지부의 상기 베이스부와 접하는 면에는 자기윤활성 플라스틱 재질의 코팅층이 더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전기자동차용 배터리팩 케이스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제공한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팩 케이스 구조가 적용된 전기자동차는 차량의 측면 충돌에 의해 배터리팩 케이스의 측면 파트만 손상된 경우, 손상된 측면 파트인 사이드 멤버만 교체하면 된다.
즉, 기존과는 달리, 배터리팩 케이스를 구성하는 하부케이스의 손상된 사이드 멤버만 교체하면 되므로, 보수 관리의 편의성이 향상되며, 수리 비용을 절감할 수 있어 경제적 부담을 완화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르면, 배터리팩 케이스를 구성하는 하부케이스의 측면 파트인 사이드 멤버가 착탈 가능한 구조로서, 상기 사이드 멤버는 플랜지부의 상기 베이스부와 접하는 면과 레일부의 홈에 접하는 면에 자기윤활성 플라스틱 재질의 코팅층이 구비되고, 상기 사이드 멤버의 충격흡수부는 단면의 기하학적 형태가 충격 흡수에 효과적인 형태를 이룸에 따라, 차량의 측면 충돌에 대한 배터리팩 케이스의 구조적 강성과 충돌 특성 등이 기존의 배터리팩 케이스에 비해 향상되어, 배터리팩 보호 성능이 강화될 뿐아니라 운전자 및 탑승객의 안전성이 향상되는 효과를 제공하게 된다.
도 1은 기존 배터리팩 케이스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A'부 단면 구조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배터리팩 케이스의 사시도
도 4는 도 3의 'B'부 단면 구조를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배터리팩 케이스의 요부 사시도로서, 사이드 멤버의 교체를 위한 슬라이드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것으로서, 도 3의 'B'부 단면 구조의 다른 예를 나타낸 도면
본 발명의 목적, 특성 및 이점들은 첨부한 도면 도 3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기술하는 실시예들의 상세한 설명을 통해 명백해질 것이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발명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전기자동차용 배터리팩 케이스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발명의 배터리팩 케이스의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B'부 단면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배터리팩 케이스의 요부 사시도로서, 사이드 멤버의 교체를 위한 슬라이드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 내지 도 5를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전기자동차용 배터리팩 케이스(1)는, 배터리팩이 수납되는 영역을 제공하는 베이스부(110)와, 차체와의 체결을 위해 상기 베이스부(110)의 양 사이드에 제공되는 사이드부를 포함하는 하부케이스(10)와, 상기 하부케이스(10) 상부에 결합되는 커버(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상기 하부케이스(10)의 사이드부는 상기 베이스부(110)의 좌우 양측에 착탈 가능하게 조립되는 사이드 멤버(120)로 제공된다.
부언컨대, 본 발명에 따르면 전기자동차용 패터리팩 케이스의 하부케이스(10)를 구성하는 사이드부는 상기 베이스부(110) 양측에 착탈 가능하게 조립되는 제작되는 개별 부재인 사이드 멤버(120)로서 구성된다. 즉, 기존의 사이드부와는 달리, 상기 사이드 멤버(120)는 베이스부(110)와는 별도의 마련되는 부재이다.
한편, 상기 사이드 멤버(120)는, 상기 베이스부(110) 가장자리 상하부에 형성되는 레일부(111a)(111b)의 홈(112)에 슬라이딩하여 맞물리게 되는 플랜지부(121)와, 상기 플랜지부(121) 일측에 배터리팩 케이스(1)의 측면 충돌에 따른 충격을 흡수하도록 구비되는 충격흡수부(122)을 포함한다.
즉, 상기 사이드 멤버(120)의 플랜지부(121)는 베이스부(110)와의 조립을 위해 구비되며, 상기 사이드 멤버(120)의 충격흡수부(122)는 차량의 측면 충돌시 배터리팩의 충격 흡수 능력 향상을 위해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레일부(111a)(111b)는 베이스부(110)의 상부 및 하부 양측에 각각 형성된다.
이때, 상기 레일부(111a)(111b)에는 상기 사이드 멤버(120)의 슬라이딩 방향(즉, 레일부 길이 방향)에 있어서의 유동을 방지하기 위한 체결부재(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즉, 볼트 등의 체결부재가 레일부(111a)(111b) 중 적어도 어느 일측의 외측벽면을 관통하여 플랜지부(121)에 체결됨으로써 사이드 멤버(120)의 레일부(111a)(111b) 길이 방향을 따른 유동이 미연에 방지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사이드 멤버(120)의 충격흡수부(122)는, 단면 상의 기하학적 형태를 기준으로 볼 때, 테두리 내측에 수평 및 수직방향의 충격을 흡수하도록 각각 구비되는 수평방향 보강리브(122-1)와 수직방향 보강리브(122-2)와, 수직방향 및 수평방향의 보강리브(122-1)(122-2)에 대해 일정 각도로 경사지게 상기 테두리 내측에 형성되는 경사방향 보강리브(122-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더욱 구체적으로, 상기 충격흡수부(122)의 테두리 내측부분의 구성요소(즉, 수평 및 수직방향 보강리브, 경사 방향 보강리브)은 단면의 기하학적 형태가 "
Figure pat00002
" 모양으로서, 수평방향 및 수직방향의 각 중심선을 기준으로 좌우 및 상하대칭을 이루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배터리팩 케이스에 따른 작용 효과는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전기자동차용 배터리팩 케이스(1)가 적용된 경우, 주행 중 사고등에 기인한 차량의 측면 충돌에 의해 배터리팩 케이스(1)의 측면 파트만 손상된 경우, 손상된 측면 파트인 사이드 멤버(120)만 교체하면 된다.
즉, 도 5를 참조하면, 배터리팩 케이스(1)의 사이드 멤버(120)를 도면상 화살표 방향으로 베이스부(110)의 상부 및 하부에 마주보는 형태로 구비된 홈(112)을 따라 슬라이딩시켜 베이스부(110)로부터 손상된 사이드 멤버(120)를 분리시키고, 새로운 사이드 멤버를 베이스부(110)의 홈(112)을 따라 화살표 반대방향으로 슬라이딩시켜 밀어넣어 사이드 멤버(120)의 교체를 완료한다.
이때, 상기 레일부(111a)(111b)를 관통하여 플랜지부(121)에 체결부재(미도시)가 체결되도록 하여 사이드 멤버(120)의 레일부(111a)(111b) 길이 방향의 유동을 미연에 방지할 수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측면 파트만 손상되더라도 배터리팩 케이스 전체를 교체해야만 하던 기존과는 달리, 배터리팩 케이스 전체를 교체하지 않고 손상된 사이드 멤버(120)만 교체하면 되므로, 보수 관리의 편의성이 향상되며, 수리 비용을 절감할 수 있어 경제적 부담을 완화시킬 수 있게 된다.
특히, 기존에는 측면 파트 손상만으로 배터리팩 케이스 전체를 교체함에 따라, 배터리팩 케이스(1)의 베이스부(110)에 수용된 배터리팩과 이에 연결되는 각종 제어 및 보호 시스템을 제거해야 하는 추가 작업이 수반되지만, 본 발명에 따르면 이러한 추가 작업이 불필요하므로 배터리팩 케이스의 보수 관리에 있어서 작업이 단순화되어 노동력 및 작업시간도 절감된다.
한편, 상기 사이드 멤버(120)의 충격흡수부(122)는 단면 상의 기하학적 형태가 충격 흡수에 효과적인 형태를 이룰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충격흡수부(122)의 기하학적 형태로 인해 차량의 측면 충돌에 대한 배터리팩 케이스(1)의 구조적 강성 및 충돌 특성이 기존의 배터리팩 케이스에 비해 향상되며, 이로써 차량의 측면 충돌 발생시 배터리팩 보호 성능 뿐만 아니라 운전자의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플랜지부(121)의 상기 베이스부(110)와 접하는 면과 레일부(111a)(111b)의 홈(112)에 접하는 면에는 자기윤활성(Self-Lubricating) 플라스틱 재질의 코팅층(500)(이하, '자기윤활성 코팅층' 이라함)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팩 케이스(1)는 하부케이스의 측면 파트인 사이드 멤버(120)가 베이스로부터 착탈 가능한 구조로서, 상기 사이드 멤버(120)는 상기 베이스부(110)와 접하는 면에 자기윤활성 코팅층(500)이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자기윤활성 코팅층(500)은 압축강도, 경도, 마모 및 하중 특성을 증가시키며 우수한 내열성 및 내화학성 및 자기윤활성을 가지는 플라스틱 재료로 만들어지는데, 예컨대, 테프론 또는 이에 카본성분을 첨가시킨 카본테프론로 만들어지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충격을 고려한 물리적·화학적 특성을 만족할 수 있는 것이라면 어떠한 종류의 합성수지재를 사용하더라도 무방하다.
이러한 자기윤활성 코팅층(500)은 차량 충돌시 완충을 수행함과 더불어, 사이드 멤버(120)의 교체 작업 수행시 상기 베이스부(110)로부터 사이드 멤버(120)가 보다 원할하게 분리되도록 돕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은 위에서 개시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명세서 상에 개시된 실시예 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들과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 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1: 배터리팩 케이스 10: 하부케이스
110: 베이스부 111a,111b: 레일부
112: 홈 120: 사이드 멤버
121: 플랜지 122: 충격흡수부
122-1: 수평방향 보강리브 122-2: 수직방향 보강리브
122-3: 경사방향 보강리브 124: 관통공
20: 커버 400: 체결부재
500: 자기윤활성 코팅층

Claims (6)

  1. 배터리팩이 수납되는 영역을 제공하는 베이스부와, 차체와의 체결을 위해 상기 베이스부의 양 사이드에 제공되는 사이드부를 포함하는 하부케이스를 구비하는 전기자동차용 배터리팩 케이스에 있어서;
    상기 하부케이스의 사이드부는 상기 베이스부의 좌우 양측에 착탈 가능하게 조립되는 사이드 멤버로 제공되며,
    상기 사이드 멤버는,
    상기 상기 베이스부의 상부 및 하부측에 각각 대향하도록 형성되는 레일부의 홈을 따라 슬라이딩하여 맞물리게 되는 플랜지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자동차용 배터리팩 케이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플랜지부 일측에 배터리팩 케이스의 측면 충돌에 따른 충격을 흡수하도록 충격흡수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자동차용 배터리팩 케이스.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레일부를 관통하여 플랜지부에 체결되어 사이드 멤버의 유동을 방지하는 체결부재가 구비되는 것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자동차용 배터리팩 케이스.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충격흡수부는,
    수직 및 수평방향의 충격을 흡수하도록 상기 사이드 멤버의 테두리 내측에 구비되는 수직 및 수평방향의 보강리브와,
    상기 수직 및 수평방향의 보강리브에 대해 소정의 각도로 경사지게 사이드 멤버의 테두리 내측에 구비되는 경사방향 보강리브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자동차용 배터리팩 케이스.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충격흡수부의 테두리 내측부분(즉, 보강리브 및 경사리브)은 단면의 기하학적 형태가 "
    Figure pat00003
    " 모양으로,
    수평방향 및 수직방향의 각 중심선을 기준으로 좌우 및 상하대칭을 이루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자동차용 배터리팩 케이스.
  6. 제1항 또는 제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플랜지부의 상기 베이스부와 접하는 면과 레일부의 홈에 접하는 면에는 자기윤활성 코팅층이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자동차용 배터리팩 케이스.
KR1020210187660A 2021-12-24 2021-12-24 전기자동차용 배터리팩 케이스의 구조 Active KR10275179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87660A KR102751796B1 (ko) 2021-12-24 2021-12-24 전기자동차용 배터리팩 케이스의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87660A KR102751796B1 (ko) 2021-12-24 2021-12-24 전기자동차용 배터리팩 케이스의 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97804A true KR20230097804A (ko) 2023-07-03
KR102751796B1 KR102751796B1 (ko) 2025-01-09

Family

ID=871574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87660A Active KR102751796B1 (ko) 2021-12-24 2021-12-24 전기자동차용 배터리팩 케이스의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751796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7585U (ja) * 1991-07-15 1993-02-02 日産自動車株式会社 車体骨格部材構造
KR200357244Y1 (ko) * 2004-05-06 2004-07-27 대원산업 주식회사 차량용 시트 슬라이딩트랙
KR101046171B1 (ko) * 2009-07-27 2011-07-04 주식회사 성우하이텍 사이드 실 유닛용 벌크 헤드
KR20130027386A (ko) 2011-09-07 2013-03-1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전기자동차용 플라스틱 배터리팩 케이스의 변형방지장치
KR101315741B1 (ko) 2012-03-23 2013-10-1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치수안정성이 우수한 전기자동차용 배터리 팩 케이스 어셈블리와 그 제조 방법
KR20190021800A (ko) * 2017-08-24 2019-03-0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전기 자동차의 배터리 장착구조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7585U (ja) * 1991-07-15 1993-02-02 日産自動車株式会社 車体骨格部材構造
KR200357244Y1 (ko) * 2004-05-06 2004-07-27 대원산업 주식회사 차량용 시트 슬라이딩트랙
KR101046171B1 (ko) * 2009-07-27 2011-07-04 주식회사 성우하이텍 사이드 실 유닛용 벌크 헤드
KR20130027386A (ko) 2011-09-07 2013-03-1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전기자동차용 플라스틱 배터리팩 케이스의 변형방지장치
KR101315741B1 (ko) 2012-03-23 2013-10-1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치수안정성이 우수한 전기자동차용 배터리 팩 케이스 어셈블리와 그 제조 방법
KR20190021800A (ko) * 2017-08-24 2019-03-0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전기 자동차의 배터리 장착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751796B1 (ko) 2025-01-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0416447B (zh) 车辆电池壳
US11161401B2 (en) Electric vehicle and vehicle body structure of electric vehicle
US20220320659A1 (en) Hybrid energy-absorption for vehicle battery pack frames
US10391881B2 (en) Vehicle high voltage battery apparatus with cooling unit
US20190221797A1 (en) Battery Housing
US20150021114A1 (en) Automobile with vehicle drive motor
CN111434563A (zh) 高压电池组安装系统
WO2009062405A1 (en) Floorboard assembly for vehicle
US11225291B2 (en) Vehicle body structure and vehicle
CN115243912B (zh) 电池组车载构造
CN104670341B (zh) 汽车加强地板结构和汽车
CN109204567B (zh) 电动汽车及其车身结构
KR20230097803A (ko) 전기자동차용 배터리팩 케이스의 구조
KR20230097804A (ko) 전기자동차용 배터리팩 케이스의 구조
KR20230097805A (ko) 전기자동차용 배터리팩 케이스의 구조
CN220535386U (zh) 一种电池包、车身结构及车辆
EP4292908A1 (en) Lower vehicle body architecture structure
CN115158463B (zh) 一种汽车底盘
KR102724271B1 (ko) 전기자동차용 배터리팩 케이스의 충격 흡수 구조
US12252180B2 (en) Lower cross member for vehicle
JP2022513953A (ja) 電気エネルギー貯蔵装置用の衝撃力吸収ユニット
CN115140194A (zh) 电动车的车身侧防护结构和电动车
CN112977618A (zh) 车辆的下横梁
CN109204526B (zh) 车身结构及车辆
CN220774570U (zh) 一种电池包箱体、电池包及车辆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11224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40423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Final Notice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41018

Patent event code: PE09021S02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5010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