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301446B1 - 이차 전지 섬유상 분리막 및 그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이차 전지 섬유상 분리막 및 그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01446B1
KR101301446B1 KR1020110027783A KR20110027783A KR101301446B1 KR 101301446 B1 KR101301446 B1 KR 101301446B1 KR 1020110027783 A KR1020110027783 A KR 1020110027783A KR 20110027783 A KR20110027783 A KR 20110027783A KR 101301446 B1 KR101301446 B1 KR 10130144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condary battery
layer
resistant resin
polymer
support laye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277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109257A (ko
Inventor
김순옥
유영석
나진욱
Original Assignee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기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277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01446B1/ko
Priority to JP2011119278A priority patent/JP2012209234A/ja
Priority to US13/155,366 priority patent/US20110236744A1/en
Publication of KR201201092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09257A/ko
Priority to US13/943,754 priority patent/US20130300033A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014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01446B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DMECHANICAL METHODS OR APPARATUS IN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THREADS, FIBRES, BRISTLES OR RIBBONS
    • D01D11/00Other features of manufacture
    • D01D11/06Coating with spinning solutions or mel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40Separators; Membranes; Diaphragms; Spacing elements inside cells
    • H01M50/409Separators, membranes or diaphragm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H01M50/411Organic material
    • H01M50/429Natural polymers
    • H01M50/4295Natural cotton, cellulose or wood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5/00Manufacture of articles or shaped materials contain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5/18Manufacture of films or shee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2Detai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40Separators; Membranes; Diaphragms; Spacing elements inside cells
    • H01M50/409Separators, membranes or diaphragm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H01M50/411Organic material
    • H01M50/414Synthetic resins, e.g. thermoplastics or thermosetting resi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40Separators; Membranes; Diaphragms; Spacing elements inside cells
    • H01M50/409Separators, membranes or diaphragm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H01M50/411Organic material
    • H01M50/414Synthetic resins, e.g. thermoplastics or thermosetting resins
    • H01M50/42Acrylic resi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40Separators; Membranes; Diaphragms; Spacing elements inside cells
    • H01M50/409Separators, membranes or diaphragm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H01M50/411Organic material
    • H01M50/414Synthetic resins, e.g. thermoplastics or thermosetting resins
    • H01M50/426Fluorocarbon polym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40Separators; Membranes; Diaphragms; Spacing elements inside cells
    • H01M50/409Separators, membranes or diaphragm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H01M50/411Organic material
    • H01M50/429Natural polym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40Separators; Membranes; Diaphragms; Spacing elements inside cells
    • H01M50/409Separators, membranes or diaphragm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H01M50/44Fibrous materia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40Separators; Membranes; Diaphragms; Spacing elements inside cells
    • H01M50/409Separators, membranes or diaphragm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H01M50/449Separators, membranes or diaphragm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having a layered structure
    • H01M50/454Separators, membranes or diaphragm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having a layered structure comprising a non-fibrous layer and a fibrous layer superimposed on one anoth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L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B29C, RELATING TO PARTICULAR ARTICLES
    • B29L2009/00Layered produc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L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B29C, RELATING TO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00Other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34Electrical apparatus, e.g. sparking plugs or parts thereof
    • B29L2031/3468Batteries, accumulators or fuel cel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ell Separa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차 전지 섬유상 분리막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 셀룰로우스 섬유를 포함한 지지층; 및 상기 지지층에 코딩되어 있는 제1 내열성 수지층을 포함하는 이차 전지 섬유상 분리막 및 그 제조 방법이 제공된다.

Description

이차 전지 섬유상 분리막 및 그 제조 방법{Secondary battery fibrous separation membrane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이차 전지 섬유상 분리막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차 전지란 방전 이후 외부의 에너지를 사용하여 재충전하여 줌으로서 본래의 상태로 되돌려 재차 사용이 가능한 전지를 말한다.
이와 같은 이차 전지는 파워 밀도가 높고 고출력 방전이 가능하며 온도의 영향을 적게 받는 특성을 가지고 있다.
최근 그린 에너지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면서 이차 전지는 IT, EV, ESS 등으로 그 영역이 확장되고 있다.
상기 이차 전지는 그 수요가 급격히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며, 그 기능성 또한 고기능성이 추구되고 있는 상황이다.
이와 같은 이차 전지는 양극 활물질, 음극 활물질, 전해질, 분리막의 4가지 주요 구성요소로 이루어져 있으며, 이 중 분리막은 양극 활물질과 음극 활물질 사이를 단락시키는 역할을 하고, 이온의 이동 통로로 이용된다.
이처럼 분리막은 이온의 이동 통로를 제공함과 동시에 외부 이물의 이동을 방지해야 하기 때문에 그 기공의 크기는 수 ㎛ 이하가 요구된다.
상기와 같은 분리막에 있어서 기존 분리막은 습식 및 건식 방식에 의해 형성된 분리막이 대부분이다.
습식 방법은 폴리머, 용제, 기타 성분을 용해시킨 용액을 상분리한 후 연신 공정을 거쳐 기공을 형성시키는 방법이고, 건식 방법은 폴리머를 압출한 후 연신 공정을 통하여 기공을 형성시키는 방법이다.
상기 습식 방법은 2축 연신을 하기 때문에 방향성이 없는 장점이 있는 반면, 제조 원가가 비싸다는 단점이 있고, 건식 방법은 1축 연신을 하기 때문에 방향성이 있는 단점이 있는 반면, 제조원가가 싸다.
습식과 건식 방식에 의해 형성된 분리막 모두 소재는 폴리올레핀(Polyolefin) 계열의 수지를 사용하며, 연신 공정이 포함되기 때문에 소재 선택에 있어서는 자유롭지 못한 단점이 있다.
주로 사용하는 수지는 폴리에틸렌(Polyethylene),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두 가지이며, 이 두가지를 섞어서 제작하거나, 적층하는 방식으로 제품을 개발하고 있다.
이처럼 종래 기술에 따른 분리막은 폴리올레핀(Polyolefin) 계통을 사용하기 때문에 내열성이 낮아서, 고온에서 열수축이 크게 일어나서 EV용으로는 적합하지 않다.
그리고, 이처럼 기존 방식의 분리막은 그 공법에 따른 사용할 수 있는 소재가 폴리올레핀(Polyolefin) 계열로 한정되어 있어서, 재료 선택의 폭이 매우 좁아 고기능성을 실현하기에는 적절하지 않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전기 방사법을 사용하여 제조함으로 재료 선택의 폭을 넓히고, 종이를 지지층으로 사용함으로 강도 확보가 가능하도록 한 이차 전지의 섬유상 분리막 및 그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셀룰로우스 섬유를 포함한 지지층; 및 상기 지지층의 일면에 코팅되어 있는 제1 내열성 수지층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제1 내열성 수지층은 방향족 폴리에스터, 폴리포스파젠류, 폴리우레탄, 폴리에테르우레탄을 포함하는 폴리우레탄 공중합체, 셀룰로오스아세테이트, 셀룰로오스아세테이트부틸레이트, 셀룰로오스아세테이트프로피오네이트, 폴리비닐리덴플루오라이드, 퍼플루오로폴리머, 폴리비닐클로라이드, 폴리비닐리덴클로라이드, 폴리에틸렌글리콜 유도체, 폴리옥사이드, 폴리비닐아세테이트, 폴리스티렌, 폴리아크릴로니트릴 및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지지층과 상기 제1 내열성 수지층의 사이에 코팅되어 있는 제1 고분자층을 더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제1 고분자층은 융점이 100-180℃인 고분자 물질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지지층의 다른면에 코팅되어 있는 제2 내열성 수지층을 더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제2 내열성 수지층은 방향족 폴리에스터, 폴리포스파젠류, 폴리우레탄, 폴리에테르우레탄을 포함하는 폴리우레탄 공중합체, 셀룰로오스아세테이트, 셀룰로오스아세테이트부틸레이트, 셀룰로오스아세테이트프로피오네이트, 폴리비닐리덴플루오라이드, 퍼플루오로폴리머, 폴리비닐클로라이드, 폴리비닐리덴클로라이드, 폴리에틸렌글리콜 유도체, 폴리옥사이드, 폴리비닐아세테이트, 폴리스티렌, 폴리아크릴로니트릴 및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지지층과 상기 제2 내열성 수지층의 사이에 코팅되어 있는 제2 고분자층을 더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제2 고분자층은 융점이 100-180℃인 고분자 물질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방법은 (a) 셀룰로우스 섬유를 포함하는 지지층을 제조하는 단계; 및 (b) 상기 지지층의 일면에 내열성 수지 용액을 전기 방사하여 초극세 섬유상의 제1 내열성 수지층을 코팅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방법은 상기 (a)단계 이후에 그리고 상기 (b)단계 이전에, (c) 상기 지지층의 일면에 제1 고분자 용액을 전기 방사하여, 상기 지지층에 초극세 섬유상의 제1 고분자층을 코팅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제1 고분자층은 융점이 100-180℃인 고분자 물질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d) 상기 지지층의 다른면에 내열성 수지 용액을 전기 방사하여, 초극세 섬유상의 제2 내열성 수지층을 코팅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a)단계 이후에 그리고 상기 (d)단계 이전에, (e) 상기 지지층의 다른면에 고분자 용액을 전기 방사하여, 상기 지지층에 초극세 섬유상의 제2 고분자층을 코팅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제2 고분자층은 융점이 100-180℃인 고분자 물질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고 사전적인 의미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종이를 지지층으로 사용하여 종이 위에 전기방사를 하여 제조하기 때문에 강도 확보가 가능하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종이를 지지층으로 하여 전기 방사법을 이용하기 때문에 미세 기공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종이와 여러 가지 고분자 수지를 사용하기 때문에 고온에서도 수축을 하지 않는 내열성을 달성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열압축 공정을 통한 후처리를 통하여 미세 섬유와 종이와의 접착력 향상은 물론, 강도의 향상, 얇은 두께의 섬유상 분리막을 형성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얇은 두께의 분리막을 형성할 수 있어 출력 향상을 가져와, 전지 성능 향상을 이룰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이차 전지 섬유상 분리막의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이차 전지 섬유상 분리막의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이차 전지 섬유상 분리막의 제조에 사용될 수 있는 전기 방사 장치의 개략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이차 전지 섬유상 분리막의 제조방법의 흐름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라, 지지층의 표면에 형성된 고분자층의 주사 전자 현미경 사진.
본 발명의 목적, 특정한 장점들 및 신규한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연관되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바람직한 실시 예들로부터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번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번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이차 전지 섬유상 분리막의 단면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이차 전지 섬유상 분리막은, 지지층(10), 상기 지지층(10)에 코팅되어 있는 고분자층(22) 및 상기 고분자층(22)에 코팅되어 있는 내열성 수지층(24)을 포함한다. 여기에서 상기 고분자층(22)은 필요에 따라 구비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지지층(10)은 상기 고분자층(22) 및 내열성 수지층(24)에 강도를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셀룰로스 섬유를 기초로 된 것으로 5 - 500g/m2의 중량, 바람직하게는 100 - 300g/m2의 중량을 갖는다.
특별한 경우에는, 상기 지지층(10)을 형성하는 종이는 투명하거나 반투명한 것으로 될 수도 있다. 특히, 상기 지지층(10)을 형성하는 종이는 트레이싱 페이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위에서 '트레이싱 페이퍼'란 국제 표준 ISO 4046-1978, 6.94에 정의된 종이를 의미한다.
특히, 본 발명은 구성하는 셀룰로스 섬유들을 특히 두드려서 얻어지는 트레이싱 페이퍼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에서, 상기 지지층(10)으로 종이를 사용하면, 강도 확보는 물론 분리막 요구 조건인 수 ㎛ 이하의 기공 크기를 얻을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고분자층(22)은, 전지가 고온으로 가열될 경우, 전지를 셧다운(shut down)시키는 기능을 한다.
또한, 상기 내열성 수지층(24)은, 전지의 추가 가열 시, 셧다운 이후, 분리막의 멜트 다운 현상을 방지하여, 궁극적으로 전지의 단락 및 폭발을 감소시킬 수 있다.
상기 고분자층(22)과 내열성 수지층(24)은 전기 방사가 가능할 정도의 분자량을 가지면 크기는 제한되지 않으나, 특히 적어도 10,000 이상의 분자량을 가지는 것이 좋다. 상기 고분자층(22)과 내열성 수지층(24)의 분자량이 적어도 10,000인 경우 전기 방사시 섬유상을 얻기가 용이하며, 물리적 성질이 우수하며, 분자량이 높아질수록 전기 방사되는 나노 섬유의 섬유 직경이 가늘어져 나노 섬유의 접합점이 많이 생성된다는 이점이 있다.
또한, 상기 고분자층(22)과 내열성 수지층(24)은 대량생산에 따른 작업성과 물리적 성질의 면에서 분자량 2,000 이상의 고분자부터 사용 가능하며, 초고분자량 폴리에틸렌(Ultra high molecular weight polyethylene)의 경우에는 1,000,000 - 5,000,000의 분자량을 가지는 것도 사용 가능하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상기 고분자층(22)과 내열성 수지층(24)의 고분자 용액 내의 용매는 고분자를 용해시키고, 고체 입자를 분산시키기에 적당하면 되므로, 당업자가 고분자 및 고체입자의 종류에 따라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고분자층(22)은, 비교적 낮은 온도의 녹는 점을 가지는 폴리에틸렌(PE), 폴리프로필렌(PP), 폴리메틸펜텐,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 등으로 이루어진 용융지수가 1 내지 25g/분인 폴리올레핀계 수지 또는 폴리머 등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고분자층(22)은 셧다운 기능(SHUTDOWN FUNCTION)을 위하여 융점이 100-180℃이며, 바람직하게는 120-150℃인 고분자 물질이 적당하다.
여기에서, 상기 고분자층(22)으로 폴리올레핀계 수지 또는 폴리머를 예로 들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융점이 100-180℃인 고분자 물질은 모두 가능하다.
또한, 상기 내열성 수지층(24)은 융점이 180℃ 이상이거나 융점이 없는 내열성 고분자인 일예로, 폴리아미이드, 폴리이미드, 폴리아미이드이미드, 폴리(메타-페닐렌이소프탈아미이드), 폴리설폰, 폴리에테르케톤, 폴리에테르이미드, 폴리에틸렌텔레프탈레이트, 폴리트리메틸렌텔레프탈레이트,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 등과 같은 방향족 폴리에스터와,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폴리디페녹시포스파젠, 폴리{비스[2-(2-메톡시에톡시)포스파젠]} 등과 같은 폴리포스파젠류와, 폴리우레탄 및 폴리에테르우레탄을 포함하는 폴리우레탄 공중합체와, 셀룰로오스아세테이트와, 셀룰로오스아세테이트부틸레이트와, 셀룰로오스아세테이트프로피오네이트와, 폴리비닐리덴플루오라이드, 퍼플루오로폴리머, 폴리비닐클로라이드, 폴리비닐리덴클로라이드, 폴리에틸렌글리콜 유도체, 폴리옥사이드, 폴리비닐아세테이트, 폴리스티렌, 폴리아크릴로니트릴 및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등과 같은 융점이 180℃ 이상이거나 융점이 없는 수지들이다.
여기서, 융점이 없는 수지라 함은 180℃ 이상에서도 녹는 과정을 겪지 않고 타버리는 수지를 말한다.
본 발명에 따른 2종 이상의 고분자층(22, 24)의 각각의 두께는, 통상 1 내지 50㎛, 바람직하게는 1 내지 20㎛, 더욱 바람직하게는 5 내지 10㎛이며, 만일 상기 고분자층(22, 24)의 두께가 너무 얇으면, 각 고분자층(22, 24)의 효과가 충분히 발휘되지 못하며, 상기 고분자층(22, 24)의 두께가 너무 두꺼우면, 경제적으로 불리할 뿐, 특별한 이익이 없다.
이와 같은 상기 이차 전지 섬유상 분리막은, 고분자 용액(용융액을 포함한다)을 지지층(10)에 순차적으로 전기 방사하여 형성한 것으로서, 내부에 마이크로 단위의 기공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이차 전지 섬유상 분리막의 매트릭스는 1 내지 3000 nm 직경의 초극세 고분자 섬유가 무질서하게 3차원적으로 적층된 형태를 가지고 있으며, 섬유의 작은 직경으로 인해 기존의 매트릭스에 비해 부피에 대한 표면적 비율이 매우 높고, 공극률이 큰 것으로 밝혀졌다.
따라서 높은 공극률에 의해 전해액의 함침량이 높으며, 이로 인해 이온전도도를 높일 수 있고, 높은 공극률에도 불구하고 넓은 표면적으로 인해 전해액과의 접촉면적을 증가시킬 수 있어, 전해액의 누액을 최소화할 수 있다.
그리고 전기 방사법(electro spinning)으로 다공성 고분자 매트릭스를 제조할 경우, 막의 형태로 직접 제조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상기 고분자 매트릭스를 형성하는 섬유상 고분자의 직경은 1 내지 3000 nm 범위에서 조절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10 nm - 1000 nm, 가장 바람직하게는 50 nm - 500 nm 범위 내에서 조절되는 것이다. 상기 섬유의 직경이 너무 얇으면 분리막의 형성이 어렵고, 너무 두꺼우면 전해액의 함침성이 저하될 우려가 있다.
또한, 지지층(10)에 코팅된 고분자층(22)의 기공도는 통상 약 20 내지 90%이고, 기공의 크기는 약 10 nm 내지 10㎛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이차 전지 섬유상 분리막의 단면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이차 전지 섬유상 분리막은 지지층(10)과, 상기 지지층(10)을 사이에 두고 양면에 코팅되어 있는 한쌍의 고분자층(22,22') 및 상기 고분자층(22, 22')에 코팅되어 있는 한쌍의 내열성 수지층(24, 24')을 포함한다. 여기에서 상기 한쌍의 고분자층(22, 22')은 필요에 따라 구비하지 않을 수도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이차 전지 섬유상 분리막은 제1 실시예와 비교할 때 지지층(10)의 양면에 고분자층(22, 22')과 내열성 수지층(24, 24')이 형성되어 있는 점 이외에 고분자층과 내열성 수지층의 구성은 동일하기 때문에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다음으로,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이차 전지 섬유상 분리막의 제조방법을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이차 전지 섬유상 분리막의 제조에 사용될 수 있는 전기 방사 장치의 개략도이다.
도 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기 방사 장치는 고분자 용액 또는 내열성 수지 용액을 저장하는 배럴(100)과, 고분자 용액 또는 내열성 수지 용액을 토출하는 정량 펌프(110)와, 고전압 발생기(120)가 연결된 방사 노즐(130)을 포함한다.
상기 정량 펌프(110)를 통하여 토출되는 고분자 용액 또는 내열성 수지 용액은 고전압 발생기(120)에 의하여 하전된 방사 노즐(130)을 통과하면서 초극세 섬유로 방출되고, 일정 속도로 이동하는 컨베이어 형태의 접지된 집전판(140) 위의 지지층에 수집된다.
도 4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예에 따른 이차 전지 섬유상 분리막 제조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예에 따른 이차 전지 섬유상 분리막의 제조방법은, 먼저, 지지층으로 사용될 종이를 제조하여 준비한다(S100).
상기 종이는 셀룰로스 섬유를 기초로 된 것으로 5 - 500g/m2의 중량, 바람직하게는 100 - 300g/m2의 중량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며, 특히 두드려서 얻어지는 트레이싱 페이퍼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음에, 고분자 용액을 전기 방사 장치의 배럴에 투입하고, 정량 펌프를 사용하여 상기 고분자 용액을 토출하며, 고전압 전기 발생기를 사용하여 방사 노즐을 하전시켜 상기 전기 방사 장치의 일정 속도로 이동하는 컨베이어 형태로 접지된 집전판 위에 있는 종이에 고분자층을 형성한다(S200).
일예로, 폴리에틸렌(PE) 용액을 제조하여 전기 방사 장치의 배럴에 투입하고, 정량 펌프를 사용하여 고분자 용액을 토출한다.
이 때, 고전압 발생기를 사용하여 방사 노즐에 하전을 부여함으로써, 지지층에 50㎛의 두께를 갖는 고분자층을 형성한다.
여기에서 상기 고분자층을 형성하는 과정은 필요에 따라 생략할 수 있다.
이후에, 상기 고분자층의 상부에 내열성 수지 용액, 일예로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용액을 동일한 방법으로 전기 방사하여 내열성 수지층을 형성함으로서, 초극세 섬유상 다공성 고분자 분리막을 형성하였다(S300).
이와 같이 지지층의 표면에 코팅된 고분자층의 주사(走査) 전자 현미경(Scanning Electron Microscope: SEM) 사진을 도 5에 나타내었다.
이후에, 상기 지지층, 고분자층 및 내열성 수지층 사이의 결착력을 보다 증대시키고 내열성 수지층의 기공도 및 두께를 조절하기 위하여 지지층에 고분자층을 축적시킨 후 특정 온도 이하에서 가압 라미레이션하거나, 양극과 음극 사이에 본 발명의 분리막을 끼워 놓은 후 특정 온도 이하에서 가압 라미레이션한다(S400).
한편,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이차 전지 섬유상 고분자 분리막의 제조는 위에서 설명한 제1 실시예에 따른 이차 전지 섬유상 고분자 분리막의 제조 방법과 동일한 방법으로 지지층의 양면에 고분자층(22, 22')과 내열성 수지층(24, 24')을 형성하여 제조할 수 있으며, 그 제조방법이 유사하기 때문에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여기에서 상기 한쌍의 고분자층(22, 22')을 형성하는 과정은 필요에 따라 생략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될 것이다.
10 : 지지층 22, 22' : 고분자층
24, 24' : 내열성 수지층
100 : 배럴 110 : 정량 펌프
120 : 고전압 발생기 130 : 방사 노즐
140 : 집전판

Claims (14)

  1. 셀룰로우스 섬유를 포함한 지지층; 및
    상기 지지층의 일면에 코팅되어 있는 제1 내열성 수지층을 포함하며,
    상기 지지층은 상기 제1 내열성 수지층에 강도를 제공하기 위해 100 - 300g/m2의 중량을 가지고,
    상기 제1 내열성 수지층은 전기 방사에 의한 섬유상으로 이루어지도록 10,000 이상의 분자량을 가지는 이차 전지 섬유상 분리막.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내열성 수지층은 방향족 폴리에스터, 폴리포스파젠류, 폴리우레탄, 폴리에테르우레탄을 포함하는 폴리우레탄 공중합체, 셀룰로오스아세테이트, 셀룰로오스아세테이트부틸레이트, 셀룰로오스아세테이트프로피오네이트, 폴리비닐리덴플루오라이드, 퍼플루오로폴리머, 폴리비닐클로라이드, 폴리비닐리덴클로라이드, 폴리에틸렌글리콜 유도체, 폴리옥사이드, 폴리비닐아세테이트, 폴리스티렌, 폴리아크릴로니트릴 및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 전지 섬유상 분리막.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지지층과 상기 제1 내열성 수지층의 사이에 코팅되어 있는 제1 고분자층을 더 포함하는 이차 전지 섬유상 분리막.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제1 고분자층은 융점이 100-180℃인 고분자 물질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 전지 섬유상 분리막.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지지층의 다른면에 코팅되어 있는 제2 내열성 수지층을 더 포함하는 이차 전지 섬유상 분리막.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제2 내열성 수지층은 방향족 폴리에스터, 폴리포스파젠류, 폴리우레탄, 폴리에테르우레탄을 포함하는 폴리우레탄 공중합체, 셀룰로오스아세테이트, 셀룰로오스아세테이트부틸레이트, 셀룰로오스아세테이트프로피오네이트, 폴리비닐리덴플루오라이드, 퍼플루오로폴리머, 폴리비닐클로라이드, 폴리비닐리덴클로라이드, 폴리에틸렌글리콜 유도체, 폴리옥사이드, 폴리비닐아세테이트, 폴리스티렌, 폴리아크릴로니트릴 및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 전지 섬유상 분리막.
  7.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지지층과 상기 제2 내열성 수지층의 사이에 코팅되어 있는 제2 고분자층을 더 포함하는 이차 전지 섬유상 분리막.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제2 고분자층은 융점이 100-180℃인 고분자 물질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 전지 섬유상 분리막.
  9. (a) 셀룰로우스 섬유를 포함하는 지지층을 제조하는 단계; 및
    (b) 상기 지지층의 일면에 내열성 수지 용액을 전기 방사하여 초극세 섬유상의 제1 내열성 수지층을 코팅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지지층은 상기 제1 내열성 수지층에 강도를 제공하기 위해 100 - 300g/m2의 중량을 가지고,
    상기 제1 내열성 수지층은 전기 방사에 의한 섬유상으로 이루어지도록 10,000 이상의 분자량을 가지는 이차 전지 섬유상 분리막의 제조방법.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a)단계 이후에 그리고 상기 (b)단계 이전에,
    (c) 상기 지지층의 일면에 제1 고분자 용액을 전기 방사하여, 상기 지지층에 초극세 섬유상의 제1 고분자층을 코팅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이차 전지 섬유상 분리막의 제조방법.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제1 고분자층은 융점이 100-180℃인 고분자 물질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 전지 섬유상 분리막의 제조방법.
  12. 청구항 9에 있어서,
    (d) 상기 지지층의 다른면에 내열성 수지 용액을 전기 방사하여, 초극세 섬유상의 제2 내열성 수지층을 코팅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이차 전지 섬유상 분리막의 제조 방법.
  13.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a)단계 이후에 그리고 상기 (d)단계 이전에,
    (e) 상기 지지층의 다른면에 고분자 용액을 전기 방사하여, 상기 지지층에 초극세 섬유상의 제2 고분자층을 코팅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이차 전지 섬유상 분리막의 제조 방법.
  14.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제2 고분자층은 융점이 100-180℃인 고분자 물질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 전지 섬유상 분리막의 제조방법.
KR1020110027783A 2010-03-28 2011-03-28 이차 전지 섬유상 분리막 및 그 제조 방법 Expired - Fee Related KR101301446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27783A KR101301446B1 (ko) 2011-03-28 2011-03-28 이차 전지 섬유상 분리막 및 그 제조 방법
JP2011119278A JP2012209234A (ja) 2011-03-28 2011-05-27 二次電池繊維状分離膜およびその製造方法
US13/155,366 US20110236744A1 (en) 2010-03-28 2011-06-07 Fibrous separation membrane for secondary battery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US13/943,754 US20130300033A1 (en) 2010-03-28 2013-07-16 Fibrous separation membrane for secondary battery and manufacturiing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27783A KR101301446B1 (ko) 2011-03-28 2011-03-28 이차 전지 섬유상 분리막 및 그 제조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09257A KR20120109257A (ko) 2012-10-08
KR101301446B1 true KR101301446B1 (ko) 2013-08-28

Family

ID=446568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27783A Expired - Fee Related KR101301446B1 (ko) 2010-03-28 2011-03-28 이차 전지 섬유상 분리막 및 그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2) US20110236744A1 (ko)
JP (1) JP2012209234A (ko)
KR (1) KR101301446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21602B1 (ko) * 2013-10-07 2015-05-20 (주)에프티이앤이 폴리비닐리덴 플루오라이드 나노섬유를 포함하는 필터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543404B1 (ko) * 2013-10-07 2015-08-11 (주)에프티이앤이 기재 양면에 다중 섬유직경군을 갖는 폴리비닐리덴 플루오라이드 나노섬유를 포함하는 필터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543403B1 (ko) 2013-10-07 2015-08-11 (주)에프티이앤이 폴리비닐리덴 플루오라이드 나노섬유와 이성분 기재를 포함하는 필터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615678B1 (ko) * 2013-10-07 2016-04-26 (주)에프티이앤이 기재 양면에 폴리비닐리덴 플루오라이드 나노섬유를 포함하는 필터 및 이의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07770B1 (ko) * 2010-06-21 2014-07-02 코오롱인더스트리 주식회사 다공성 나노웹 및 그 제조방법
CN103098263B (zh) 2010-09-09 2016-01-20 加州理工学院 电化学能量存储系统和方法
US9379368B2 (en) 2011-07-11 2016-06-28 California Institute Of Technology Electrochemical systems with electronically conductive layers
JP6270718B2 (ja) 2011-07-11 2018-01-31 カリフォルニア インスティチュート オブ テクノロジー 電気化学システム用のセパレータシステムおよび電気化学セル
MY194697A (en) * 2012-02-21 2022-12-15 Arkema Inc Aqueous polyvinylidene fluoride composition
CN105431576A (zh) 2012-12-18 2016-03-23 沙特基础全球技术有限公司 通过纺丝的高温熔融完整性电池隔膜
US9647255B2 (en) * 2012-12-21 2017-05-09 Amogreentech Co., Ltd. Porous separation membrane, secondary battery using sam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id secondary battery
KR101576151B1 (ko) * 2013-07-12 2015-12-09 주식회사 아모그린텍 복합 다공성 분리막 및 그 제조방법과 이를 이용한 이차전지
US10103373B2 (en) * 2013-01-23 2018-10-16 South China University Of Technology Diaphragm paper, and preparation method and application thereof
KR101292657B1 (ko) * 2013-02-06 2013-08-23 톱텍에이치앤에스 주식회사 역구조를 갖는 하이브리드 난워븐 세퍼레이터
KR101635031B1 (ko) * 2013-08-01 2016-07-08 (주)에프티이앤이 내열성이 향상된 기재 양면 나노섬유 필터여재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465243B1 (ko) * 2013-04-24 2014-11-25 애경유화주식회사 내열성 나노 웹 층을 지닌 분리막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60023918A (ko) * 2013-07-05 2016-03-03 더 노스 훼이스 어패럴 코오포레이션 벌크 채움 물질 및 그 제조 방법
CN103437071A (zh) * 2013-09-11 2013-12-11 浙江伟星实业发展股份有限公司 一种静电纺纳米纤维膜及其制备方法
KR101521600B1 (ko) * 2013-10-07 2015-05-20 (주)에프티이앤이 폴리비닐리덴 플루오라이드 나노섬유와 이성분 기재를 포함하는 필터 및 이의 제조방법
WO2015074037A2 (en) 2013-11-18 2015-05-21 California Institute Of Technology Separator enclosures for electrodes and electrochemical cells
US10714724B2 (en) 2013-11-18 2020-07-14 California Institute Of Technology Membranes for electrochemical cells
US9668742B2 (en) 2014-03-12 2017-06-06 Cook Medical Technologies Llc Occlusion device
CN104727016A (zh) * 2014-04-01 2015-06-24 浙江伟星实业发展股份有限公司 一种纳米纤维复合膜及其制备方法
KR101969009B1 (ko) * 2014-10-10 2019-04-15 주식회사 아모그린텍 플렉서블 배터리용 분리막,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플렉서블 배터리
WO2016085226A1 (ko) * 2014-11-24 2016-06-02 주식회사 아모그린텍 플렉서블 배터리용 분리막,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플렉서블 배터리
KR101894134B1 (ko) 2015-03-30 2018-09-04 주식회사 엘지화학 셀룰로오스계 다층 분리막
WO2016159658A1 (ko) * 2015-03-30 2016-10-06 주식회사 엘지화학 셀룰로오스계 다층 분리막
US10340528B2 (en) 2015-12-02 2019-07-02 California Institute Of Technology Three-dimensional ion transport networks and current collectors for electrochemical cells
CN106898718B (zh) * 2015-12-18 2020-03-31 比亚迪股份有限公司 一种聚合物复合膜及其制备方法、锂离子电池
US10707531B1 (en) 2016-09-27 2020-07-07 New Dominion Enterprises Inc. All-inorganic solvents for electrolytes
CN107681090A (zh) * 2017-08-04 2018-02-09 浙江大东南集团有限公司 一种高安全性的锂离子电池纳米纤维复合隔膜及其制备方法
CN109428035B (zh) * 2017-08-31 2020-11-06 比亚迪股份有限公司 电池隔膜及其制备方法和锂离子电池
KR102230611B1 (ko) * 2019-05-22 2021-03-19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전기화학소자용 분리막 및 그 제조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21688B1 (ko) * 1998-04-27 2007-05-28 스미또모 가가꾸 가부시키가이샤 비수성 전해질 전지 격리판 및 리튬 이차전지
KR20080013209A (ko) * 2006-08-07 2008-02-13 한국과학기술연구원 내열성 초극세 섬유층을 지닌 분리막 및 이를 이용한이차전지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A2248357C (en) * 1997-01-16 2003-10-21 Mitsubishi Paper Mills Limited Separator for non-aqueous electrolyte batteries, nonaqueous electrolyte battery using it,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eparator for non-aqueous electrolyte batteries
JP4593566B2 (ja) * 2003-06-17 2010-12-08 ナノフィル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 電気化学素子用複合膜、その製造方法及びこれを備えた電気化学素子
JP4705335B2 (ja) * 2004-03-19 2011-06-22 株式会社巴川製紙所 電子部品用セパレータ及びその製造方法
KR100699215B1 (ko) * 2004-03-19 2007-03-27 가부시키가이샤 도모에가와 세이시쇼 전자부품용 세퍼레이터 및 그 제조 방법
JP4803984B2 (ja) * 2004-09-22 2011-10-26 帝人株式会社 リチウムイオン二次電池用セパレータおよびその製造方法とリチウムイオン二次電池
JP2008103050A (ja) * 2006-10-20 2008-05-01 Toshiba Corp 再生装置及び再生方法
JP5160111B2 (ja) * 2007-03-19 2013-03-13 株式会社クラレ 電池用セパレータ及びその製造方法ならびにそれからなる電池
JP5140886B2 (ja) * 2007-05-07 2013-02-13 帝人株式会社 複合繊維構造体
JP4518125B2 (ja) * 2007-09-27 2010-08-04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正極活物質およびリチウム二次電池
US9217211B2 (en) * 2009-03-24 2015-12-22 North Carolina State University Method for fabricating nanofibers
US8481159B2 (en) * 2009-09-04 2013-07-09 Basf Se Water-absorbent porous polymer particles having specific sphericity and high bulk density
EP2479820B1 (en) * 2009-09-16 2016-10-26 Kuraray Co., Ltd. Separator for non-aqueous batteries, non-aqueous battery using same, and production method for separator for non-aqueous batteries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21688B1 (ko) * 1998-04-27 2007-05-28 스미또모 가가꾸 가부시키가이샤 비수성 전해질 전지 격리판 및 리튬 이차전지
KR20080013209A (ko) * 2006-08-07 2008-02-13 한국과학기술연구원 내열성 초극세 섬유층을 지닌 분리막 및 이를 이용한이차전지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21602B1 (ko) * 2013-10-07 2015-05-20 (주)에프티이앤이 폴리비닐리덴 플루오라이드 나노섬유를 포함하는 필터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543404B1 (ko) * 2013-10-07 2015-08-11 (주)에프티이앤이 기재 양면에 다중 섬유직경군을 갖는 폴리비닐리덴 플루오라이드 나노섬유를 포함하는 필터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543403B1 (ko) 2013-10-07 2015-08-11 (주)에프티이앤이 폴리비닐리덴 플루오라이드 나노섬유와 이성분 기재를 포함하는 필터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615678B1 (ko) * 2013-10-07 2016-04-26 (주)에프티이앤이 기재 양면에 폴리비닐리덴 플루오라이드 나노섬유를 포함하는 필터 및 이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10236744A1 (en) 2011-09-29
JP2012209234A (ja) 2012-10-25
US20130300033A1 (en) 2013-11-14
KR20120109257A (ko) 2012-10-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01446B1 (ko) 이차 전지 섬유상 분리막 및 그 제조 방법
Waqas et al. Recent development in separators for high‐temperature lithium‐ion batteries
JP6052813B2 (ja) セパレータ及びそれを備えたリチウム二次電池
KR100820162B1 (ko) 내열성 초극세 섬유상 분리막 및 그 제조 방법과, 이를 이용한 이차전지
JP5678201B2 (ja) セパレータの製造方法、その方法により形成したセパレータ、及びそれを備えた電気化学素子
KR100470314B1 (ko) 전기화학소자용 복합막, 그 제조방법 및 이를 구비한전기화학소자
US8968909B2 (en) Fibrous separation membrane for secondary battery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101714811B1 (ko) 비수계 전지용 세퍼레이터 및 그것을 사용한 비수계 전지, 그리고 비수계 전지용 세퍼레이터의 제조 방법
KR101929063B1 (ko) 비수계 전지용 세퍼레이터 및 그것을 사용한 비수계 전지, 그리고 비수계 전지용 세퍼레이터의 제조 방법
KR101256968B1 (ko) 이차전지 분리막용 pet 부직포 및 이를 포함하는 이차전지용 분리막
KR101265735B1 (ko) 셧다운 기능을 갖는 초극세 섬유상 다공성 분리막 및 그 제조방법과 제조장치
KR101735510B1 (ko) 다공성 분리막 및 그의 제조방법
KR101013785B1 (ko) 전극-분리막 복합체 및 그 제조방법
KR101292656B1 (ko) 이차전지용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분리막
KR101490883B1 (ko) 이차전지용 복합부직포 분리막 및 제조방법
US20170222205A1 (en) Separators, batteries, systems, vehicles, and related methods
KR20150030102A (ko) 전기화학소자용 분리막의 제조방법 및 그로부터 제조된 전기화학소자용 분리막
KR101708882B1 (ko) 세퍼레이터의 제조방법
KR101623101B1 (ko) 세퍼레이터의 제조방법, 이로부터 형성된 세퍼레이터 및 이를 구비한 전기화학소자
KR101816764B1 (ko) 전기화학소자용 세퍼레이터의 제조방법 및 그로부터 제조된 전기화학소자용 세퍼레이터
JP2012178320A (ja) 多孔質シート
JP2019197702A (ja) 電池セパレータ用不織布および電池セパレータ
KR101828283B1 (ko) 다공성 복합 분리막, 이를 포함하는 전기화학 소자 및 상기 분리막의 제조방법
KR101455195B1 (ko) 전기화학 소자용 분리막 구조
US12034180B1 (en) Multi layered nanostructured materials for ionic and electronic transport in chemical and electrochemical devic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10328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30225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3053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30822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30822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707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