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161852B1 - 커넥터 - Google Patents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61852B1
KR101161852B1 KR1020107025610A KR20107025610A KR101161852B1 KR 101161852 B1 KR101161852 B1 KR 101161852B1 KR 1020107025610 A KR1020107025610 A KR 1020107025610A KR 20107025610 A KR20107025610 A KR 20107025610A KR 101161852 B1 KR101161852 B1 KR 1011618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dth direction
connector
connector body
pressing member
pressing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070256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16887A (ko
Inventor
요시유키 오구라
야스요시 요시카이
Original Assignee
이리소 일렉트로닉스 컴패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리소 일렉트로닉스 컴패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이리소 일렉트로닉스 컴패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1100168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1688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618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61852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82Coupling devices connected with low or zero insertion force
    • H01R12/85Coupling devices connected with low or zero insertion force contact pressure producing means, contacts activated after insertion of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88Coupling devices connected with low or zero insertion force contact pressure producing means, contacts activated after insertion of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acting manually by rotating or pivoting connector housing par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50Fixed connections
    • H01R12/59Fixed connection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 H01R12/592Fixed connection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connections to contact elemen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005Guiding, mounting, polarizing or locking means; Extractors
    • H01R12/7011Locking or fixing a connector to a PCB
    • H01R12/707Soldering or weld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7Coupling device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 H01R12/79Coupling device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connecting to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Landscapes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접속 대상물의 불완전 삽입에 의한 접속 불량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커넥터 본체(10) 내에 삽입된 플렉시블 회로(1)의 선단이 로크부재(50)에 맞닿고, 로크부재(50)가 커넥터 본체(10)의 폭방향 외측으로 변위한 상태에서 압압부재(30)를 한쪽으로 회전 운동시키면, 압압부재(30)의 돌출부(32)가 로크부재(50)에 맞닿아서 압압부재(30)의 회전 운동이 규제되며, 로크부재(50)가 커넥터 본체(10)의 폭방향 내측으로 복귀하고 있는 상태에서 압압부재(30)를 한쪽으로 회전 운동시키면, 압압부재(30)의 회전 운동이 허용되도록 하였으므로 플렉시블 회로(1)가 불완전 삽입 상태인 채로 압압부재(30)가 폐쇄위치까지 회전 운동되는 일이 없어 플렉시블 회로(1)의 불완전 삽입에 의한 접속 불량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커넥터{CONNECTOR}
본 발명은 예를 들어 플렉시블 프린트 회로(FPC)나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FFC) 등을 접속하기 위한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종래, 이 종류의 커넥터로는 FPC나 FFC 등의 접속 대상물(이하, 플렉시블 회로라고 한다.)의 일단을 전면측(前面側)에 삽입 가능한 커넥터 본체와, 커넥터 본체에 폭방향으로 배열된 복수의 단자와, 커넥터 본체 내에 삽입된 플렉시블 회로를 각 단자측에 압압(押壓)하는 회전 운동 자유로운 압압부재를 구비한 것이 알려져 있다(예를 들어 특허문헌 1 참조).
이 커넥터는 플렉시블 회로를 커넥터 본체에 삽입한 상태에서 압압부재를 폐쇄방향으로 회전 운동시키면 압압부재에 의해 플렉시블 회로와 각 단자가 압접하여 서로 도통(導通)하고, 압압부재를 개방방향으로 회전 운동시키면 각 단자와 플렉시블 회로의 압접이 해제되어 플렉시블 회로가 커넥터 본체에 빼고 끼움이 가능하게 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 상기 커넥터에서는 플렉시블 회로의 폭방향 양단에 설치된 노치부에 걸어맞춤으로써 플렉시블 회로를 로크(lock)하는 로크부재를 구비하고, 플렉시블 회로가 커넥터 본체 내에 완전하게 삽입되어 있는 경우는 로크부재가 노치부에 걸어맞춰지고, 플렉시블 회로가 완전하게 삽입되어 있지 않은 경우는 로크부재가 플렉시블 회로의 상면에 맞닿아서 위쪽으로 변위한 상태인 채가 되며 이 상태를 육안으로 확인함으로써 플렉시블 회로의 완전 삽입과 불완전 삽입을 판별하도록 하고 있다.
특개 2008-277068호 공보
그러나 상기 커넥터에서는 플렉시블 회로의 불완전 삽입에 의해 로크부재가 위쪽으로 변위하고 있어도 압압부재를 폐쇄위치까지 회전 운동시킬 수 있기 때문에, 로크부재의 육안에 의한 불완전 삽입이 확인되지 않은 경우에는 불완전 삽입인채로 압압부재가 폐쇄되어 플렉시블 회로와의 접속이 완료되게 되어 육안에 의한 확인으로는 접속 불량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이며, 그 목적으로 하는 바는 접속 대상물의 불완전 삽입에 의한 접속 불량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접속 대상물이 삽입되는 커넥터 본체와, 커넥터 본체 내에 서로 폭방향으로 간격을 두고서 배치된 복수의 단자와, 커넥터 본체 내에 삽입된 접속 대상물측에 각 단자를 압압하는 회전 운동 자유로운 압압부재와, 접속 대상물의 폭방향 단부에 설치된 걸어맞춤부에 걸어맞춤으로써 접속 대상물을 로크하는 로크부재를 구비하며, 압압부재를 한쪽으로 회전 운동시키면 각 단자가 압압부재에 의해 접속 대상물측에 압압되고, 압압부재를 다른쪽으로 회전 운동시키면 압압부재에 의한 각 단자의 압압이 해제되도록 구성하는 동시에, 커넥터 본체 내에 삽입된 접속 대상물의 선단이 로크부재에 맞닿으면 로크부재가 소정위치로부터 커넥터 본체의 폭방향 외측을 향하여 변위하도록 탄성변형하며, 로크부재가 접속 대상물의 걸어맞춤부에 걸어맞춰지면 로크부재가 커넥터 본체의 폭방향의 내측을 향해 변위하여 상기 소정위치로 복귀하도록 한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로크부재가 상기 소정위치로부터 커넥터 본체의 폭방향 외측을 향하여 변위한 상태에서 압압부재를 한쪽으로 회전 운동시키면 압압부재의 폭방향 양측부분이 커넥터 본체의 폭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에서 로크부재에 맞닿아서 압압부재의 회전 운동이 규제되며, 로크부재가 상기 소정위치로 복귀하고 있는 상태에서 압압부재를 한쪽으로 회전 운동시키면 압압부재의 회전 운동이 허용되도록 구성하고 있다.
이에 따라, 로크부재가 상기 소정위치에서 소정방향으로 변위한 상태에서 압압부재를 한쪽으로 회전 운동시키면 압압부재의 소정부분이 로크부재에 맞닿아서 압압부재의 회전 운동이 규제되기 때문에 접속 대상물이 불완전 삽입 상태인 채로 압압부재가 한쪽으로 회전 운동되는 일이 없다. 이 경우, 로크부재가 커넥터 본체의 폭방향으로 변위하기 때문에 커넥터 본체가 높이 방향으로 대형화되는 일이 없다. 또 불완전 삽입시에는 접속 대상물의 폭방향 외측으로 변위한 로크부재에, 압압부재가 커넥터 본체의 폭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에서 맞닿기 때문에 압압부재로의 압압력이 로크부재로부터 접속 대상물에 가해지는 일이 없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접속 대상물이 불완전 삽입 상태인 채로 압압부재가 한쪽으로 회전 운동되는 일이 없으므로 접속 대상물의 불완전 삽입에 의한 접속 불량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이 경우, 커넥터 본체가 높이 방향으로 대형화되는 일이 없으므로 커넥터 본체의 박형화에 매우 유리하다. 또 압압부재로의 압압력이 로크부재로부터 접속 대상물에 가해지는 일이 없으므로 접속 대상물을 손상시키는 일이 없다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 형태를 나타내는 폐쇄상태의 커넥터의 정면측 사시도.
도 2는 폐쇄상태의 커넥터의 배면측 사시도.
도 3은 개방상태의 커넥터의 정면측 사시도.
도 4는 개방상태의 커넥터의 배면측 사시도.
도 5a는 커넥터의 폐쇄동작을 나타내는 측면단면도.
도 5b는 커넥터의 폐쇄동작을 나타내는 측면단면도.
도 5c는 커넥터의 폐쇄동작을 나타내는 측면단면도.
도 6a는 커넥터의 개방동작을 나타내는 측면단면도.
도 6b는 커넥터의 개방동작을 나타내는 측면단면도.
도 6c는 커넥터의 개방동작을 나타내는 측면단면도.
도 7a는 단자의 동작설명도.
도 7b는 단자의 동작설명도.
도 8은 로크부재의 동작을 나타내는 커넥터의 요부 평면도.
도 9는 로크부재의 동작을 나타내는 커넥터의 요부 평면도.
도 10은 로크부재의 동작을 나타내는 커넥터의 요부 평면도.
도 11은 로크부재의 동작을 나타내는 커넥터의 요부 평면도.
도 1 내지 도 11은 본 발명의 일실시 형태를 나타내는 것이다. 동일 도면에 나타내는 커넥터는 접속 대상물로서의 플렉시블 회로(1)가 삽입되는 커넥터 본체(10)와, 커넥터 본체(10) 내에 서로 폭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배치된 복수의 단자(20)와, 커넥터 본체(10) 내에 삽입된 플렉시블 회로(1)측에 각 단자(20)를 압압하는 회전 운동 자유로운 압압부재(30)와, 커넥터 본체(10)를 도시하지 않은 기판에 고정하기 위한 좌우 한쌍의 고정부재(40)와, 플렉시블 회로(1)에 걸어맞추는 좌우 한쌍의 로크부재(50)로 구성되어 있다.
플렉시블 회로(1)는 소위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FFC) 또는 플렉시블 프린트 회로(FPC)로 이루어지며, 그 선단측의 위쪽의 면에는 복수의 전기 접점(미도시)이 서로 폭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설치되어 있다. 또 플렉시블 회로(1)의 폭방향 양단에는 로크부재(50)와 걸어맞추는 걸어맞춤부로서의 노치부(1a)가 설치되며, 플렉시블 회로(1)가 커넥터 본체(10)의 소정위치(단자(20)와의 접속위치)까지 삽입되면, 각 로크부재(50)가 각 노치부(1a)에 각각 걸어맞추도록 되어 있다.
커넥터 본체(10)는 합성수지의 성형품으로 이루어지며, 그 전면(前面)에는 플렉시블 회로(1)를 삽입하는 삽입구(10a)가 설치되어 있다. 커넥터 본체(10)는 상면부(11), 저면부(12) 및 좌우측면부(13)로 이루어지며, 상면부(11)는 커넥터 본체(10)의 상면 전단측에만 형성되어 있다. 또 상면부(11)의 좌우양측은 커넥터 본체(10)내(內)가 노출되도록 개방되어 있고, 이 개방부분에는 로크부재(50)가 배치되어 있다.
각 단자(20)는 도전성의 금속판으로 이루어지고, 커넥터 본체(10)의 저면부(12)에 서로 폭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홀딩되어 있다. 각 단자(20)는 저면부(12)에 고정되는 고정편부(21)와, 압압부재(30)에 의해서 압압되는 제 1 가동편부(22)와, 제 1 가동편부(22)의 아래쪽에 배치된 제 2 가동편부(23)와, 제 2 가동편부(23)와 고정편부(21)의 사이에 형성된 탄성편부(24)로 이루어진다.
고정편부(21)는 커넥터 본체(10)의 전후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되고, 그 전단부(21a)는 저면부(12)측의 간극에 압입되어 있다. 고정편부(21)의 후단에는 도시하지 않은 기판에 접속되는 접속부(21b)가 설치되고, 접속부(21b)는 커넥터 본체(10)의 후방으로 연장 돌출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고정편부(21)의 후단측에는 압압부재(30)가 회전 운동 자유롭게 걸어맞춰지는 제 1 볼록부(21c)가 설치되고, 제 1 볼록부(21c)의 앞쪽에는 제 1 오목부(21d)가 설치되어 있다.
제 1 가동편부(22)는 커넥터 본체(10)의 전후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되고, 그 전단에는 플렉시블 회로(1)의 상면에 접촉하는 제 1 접촉부(22a)가 아래쪽을 향하여 돌출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제 1 가동편부(22)의 후단에는 압압부재(30)가 맞닿는 제 1 맞닿음부(22b) 및 제 2 맞닿음부(22c)가 설치되고, 제 1 맞닿음부(22b)는 제 1 가동편부(22)의 후단면에 위쪽으로부터 아래쪽을 향하여 앞쪽에 경사를 이루도록 형성되고, 제 2 맞닿음부(22c)는 제 1 가동편부(22)의 하단면에 전후방향에 걸쳐서 대략 수평으로 형성되어 있다.
제 2 가동편부(23)는 커넥터 본체(10)의 전후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되고, 그 전단에는 플렉시블 회로(1)의 상면에 접촉하는 제 2 접촉부(23a)가 아래쪽을 향하여 돌출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이 경우, 제 2 가동편부(23)는 제 1 가동편부(22)보다 커넥터 본체(10)의 전후방향으로 짧고, 상하방향의 폭도 작게 형성되어 있다. 또 제 2 접촉부(23a)는 제 1 접촉부(22a)의 뒤쪽에 위치하는 동시에, 그 하단(접점)의 위치가 제 1 접촉부(22a)의 하단(접점)과 동등한 높이 위치가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제 2 가동편부(23)의 후단측은 위쪽으로 굴곡하는 동시에, 제 1 가동편부(22)의 후단측(제 2 맞닿음부(22c)보다 앞쪽)까지 연장되도록 형성되며, 제 2 가동편부(23)의 후단측에 의해 제 1 가동편부(22)가 지지되어 있다.
탄성편부(24)는 고정편부(21)의 전후방향 대략 중앙부터 제 2 가동편부(23)의 전후방향 대략 중앙까지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되고, 제 1 가동편부(22) 및 제 2 가동편부(23)를 그 전단측 및 후단측이 각각 상하방향으로 변위하도록 지지하고 있다.
압압부재(30)는 합성수지의 성형품으로 이루어지고, 커넥터 본체(10)의 상면 후단측을 덮도록 형성되어 있다. 압압부재(30)의 후단측에는 커넥터 본체(10)의 내측을 향하여 돌출하는 회전 운동 지지부(31)가 설치되고, 회전 운동 지지부(31)의 선단측에는 단자(20)의 제 1 볼록부(21c)에 걸어맞추는 제 2 오목부(31a)가 설치되며, 제 2 오목부(31a)의 앞쪽에는 단자(20)의 제 1 오목부(21d)에 걸어맞추는 제 2 볼록부(31b)가 설치되어 있다. 즉, 압압부재(30)는 제 2 오목부(31a)가 제 1 볼록부(21c)에 걸어맞춰짐으로써 제 2 오목부(31a)와 제 1 볼록부(21c)의 접촉부분을 지점으로 회전 운동하고, 제 2 볼록부(31b)가 제 1 오목부(21d)에 걸어맞춰짐으로써 제 2 볼록부(31b)와 제 1 오목부(21d)의 접촉부분을 지점으로 회전 운동하도록 되어 있다. 이 경우, 상기 회전 운동 지점은 압압부재(30)의 전단측과 후단측의 사이에 위치하고 있고, 압압부재(30)의 전단측을 아래쪽으로 압압하면, 후단측이 상승하여 압압부재(30)가 폐쇄상태가 되며, 압압부재(30)의 후단측을 아래쪽으로 압압하면 전단측이 상승하여 압압부재(30)가 개방상태가 된다. 또 회전 운동 지지부(31)에는 단자(20)의 제 1 맞닿음부(22b) 및 제 2 맞닿음부(22c)에 맞닿는 압압부(31c)가 설치되고, 압압부(31c)는 산모양(山形)으로 돌출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압압부재(30)의 폭방향 양측에는 로크부재(50)의 폭방향으로의 변위를 규제하는 돌출부(32)가 설치되고, 각 돌출부(32)는 각각 아래쪽으로 돌출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각 고정부재(40)는 커넥터 본체(10)의 폭방향 양측에 배치된 금속판으로 이루어지고, 각각 커넥터 본체(10)의 각 측면부(13)에 고정되어 있다. 고정부재(40)의 하단에는 도시하지 않은 기판에 접속되는 접속부(41)가 설치되고, 각 접속부(41)는 커넥터 본체(10)의 폭방향 외측을 향하여 연장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각 로크부재(50)는 고정부재(40)에 일체로 형성된 금속판으로 이루어지고, 각각 커넥터 본체(10)의 폭방향 양측에 배치되어 있다. 로크부재(50)는 플렉시블 회로(1)의 노치부(1a)에 걸어맞추는 걸어맞춤부(51)와, 걸어맞춤부(51)로부터 뒤쪽으로 연장되는 가동부(52)와, 가동부(52)의 후단부터 고정부재(40)까지 연장되는 탄성부(53)로 이루어지며, 탄성부(53)의 탄성변형에 의해 걸어맞춤부(51) 및 가동부(52)가 커넥터 본체(10)의 폭방향으로 변위하도록 되어 있다. 걸어맞춤부(51)는 가동부(52)보다 커넥터 본체(10)의 폭방향 내측으로 돌출하도록 산모양으로 형성되고, 가동부(52)는 커넥터 본체(10)의 전후방향으로 직선형상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탄성부(53)는 가동부(52)의 후단부터 커넥터 본체(10)의 폭방향 내측을 향하여 연장되는 동시에, 커넥터 본체(10)의 폭방향 외측을 향하여 고정부재(40)까지 연장되도록 굴곡하고 있으며, 커넥터 본체(10)의 전후방향으로 탄성 변형함으로써 걸어맞춤부(51) 및 가동부(52)를 커넥터 본체(10)의 폭방향으로 변위시키도록 되어 있다. 이 경우, 변위하고 있지 않은 상태에서의 가동부(52)와 커넥터 본체(10)의 측면부(13)와의 사이에는 압압부재(30)의 돌출부(32)를 삽입 가능한 간극이 설치되고, 가동부(52)가 커넥터 본체(10)의 폭방향 외측으로 변위한 상태에서는 돌출부(32)가 가동부(52)에 맞닿아서 상기 간극으로의 삽입이 규제되도록 되어 있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커넥터에 있어서는 도 5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압압부재(30)를 개방상태로 하여 플렉시블 회로(1)를 삽입구(10a)에서부터 커넥터 본체(10) 내의 소정위치까지 삽입하고, 도 5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압압부재(30)의 전단측을 아래쪽으로 압압하면 압압부재(30)의 제 2 오목부(31a)가 제 1 볼록부(21c)에 걸어맞춰지면서 제 2 오목부(31a)와 제 1 볼록부(21c)의 접촉부분을 제 1 회전 운동 지점(P1)으로서 회전 운동하고, 압압부재(30)의 압압부(31c)가 제 1 가동편부(22)의 제 1 맞닿음부(22b)에 앞쪽을 향하여 맞닿는다. 그때, 제 1 맞닿음부(22b)는 앞쪽을 향하여 내려가는 경사를 이루고 있는 것이기 때문에, 제 1 가동편부(22)가 압압부(31c)에 의해 후단측이 위쪽으로 밀어올려져 전단측이 내려가고, 이것에 수반하여 제 2 가동편부(23)도 후단측이 위쪽으로 밀어올려져 전단측이 내려간다. 이에 따라 제 1 접촉부(22a) 및 제 2 접촉부(23a)가 플렉시블 회로(1)의 상면에 압접하고, 각 가동편부(22, 23)가 플렉시블 회로(1)와 도통한다. 계속해서 도 5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압압부재(30)의 전단측을 더 아래쪽으로 압압하면 제 2 볼록부(31b)가 제 1 오목부(21d)에 걸어맞춰지는 동시에, 제 2 오목부(31a)가 제 1 볼록부(21c)로부터 떨어지고, 압압부재(30)가 제 2 볼록부(31b)와 제 1 오목부(21d)와의 접촉부분을 제 2 회전 운동 지점(P2)으로 하여 회전 운동한다. 이에 따라 압압부재(30)의 회전 운동 지점이 제 1 회전 운동 지점(P1)보다 압압부(31c)로부터의 거리가 긴 제 2 회전 운동 지점(P2)으로 이행하는 것이기 때문에 압압부재(30)의 압압력이 커지고, 제 1 가동편부(22)의 후단측이 더 위쪽으로 밀어올려진다. 그때, 압압부(31c)의 맞닿음 위치가 제 1 맞닿음부(22b)로부터 대략 수평의 제 2 맞닿음부(22c)로 이행하는 것이기 때문에 압압부(31c)와 제 2 맞닿음부(22c)가 맞닿음에 따라 각 가동편부(22, 23)가 변위한 채로 홀딩되고, 압압부재(30)의 개방방향으로의 회전 운동이 규제된다. 또 각 맞닿음부(22b, 22c)의 각도의 변화에 의해 압압부(31c)의 맞닿음 위치가 이행할 때, 압압부재(30)를 폐쇄한 조작감이 얻어진다.
다음으로, 도 6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압압부재(30)의 후단측을 아래쪽으로 압압하면 도 6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압압부재(30)의 제 2 오목부(31a)가 제 1 볼록부(21c)에 걸어맞춰지고, 압압부재(30)가 제 1 회전 운동 지점(P1)을 중심으로 회전 운동하며, 압압부재(30)의 전단측이 상승한다. 그때 압압부(31c)의 맞닿음 위치가 제 2 맞닿음부(22c)로부터 제 1 맞닿음부(22b)로 이행한다. 계속해서 압압부재(30)의 후단측을 더 아래쪽으로 압압하면 도 6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압압부재(30)가 개방위치까지 회전 운동하고, 압압부(31c)와 제 1 맞닿음부(22b)의 맞닿음이 해제된다. 이에 따라 탄성편부(24)의 복원력에 의해 각 가동편부(22, 23)가 전단측을 상승시키도록 변위하고, 각 접촉부(22a, 23a)가 플렉시블 회로(1)로부터 떨어져서 접촉이 해제되어 플렉시블 회로(1)가 커넥터 본체(10)로부터 제거 가능하게 된다.
여기에서 압압부재(30)의 폐쇄동작에 있어서의 단자(20)의 동작에 대해서 더 상술하면, 도 7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가동편부(22)의 후단측에 위쪽으로의 밀어올림력(F)이 발생하면 제 1 접촉부(22a) 및 제 2 접촉부(23a)가 플렉시블 회로(1)의 상면에 압접한다. 이후, 도 7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더욱더 밀어올림력(F)이 발생하면, 제 2 가동편부(23)의 후단측이 제 1 가동편부(22)에 의해 끌어올려지고, 제 2 가동편부(23)에 탄성편부(24)의 지점(Q)을 중심으로 하는 모멘트(M)가 발생한다. 이에 따라, 각 접촉부(22a, 23a)가 플렉시블 회로(1)에 압접한 후에도 제 2 가동편부(23)의 전단측에 부여되는 아래쪽으로의 내리누름력이 증대하여 제 2 접촉부(23a)의 접촉압이 높아진다.
또 플렉시블 회로(1)를 커넥터 본체(10)의 삽입구(10a)에 삽입하면 플렉시블 회로(1)의 선단이 로크부재(50)의 걸어맞춤부(51)의 경사면에 맞닿고,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걸어맞춤부(51) 및 가동부(52)가 커넥터 본체(10)의 폭방향 외측으로 변위한다. 계속해서 플렉시블 회로(1)를 소정위치까지 삽입하면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걸어맞춤부(51)가 플렉시블 회로(1)의 노치부(1a)에 걸어맞춰지고, 걸어맞춤부(51) 및 가동부(52)가 폭방향 내측으로 변위한다. 이에 따라, 플렉시블 회로(1)가 각 로크부재(50)에 의해서 커넥터 본체(10)에 가홀딩된다. 다음으로 압압부재(30)를 폐쇄위치까지 회전 운동시키면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가동부(52)와 커넥터 본체(10)의 측면부(13)와의 사이에 압압부재(30)의 돌출부(32)가 삽입된다. 이에 따라 로크부재(50)의 폭방향 외측으로의 변위가 돌출부(32)에 의해 규제되고, 플렉시블 회로(1)가 각 로크부재(50)에 의해서 완전하게 로크된다. 여기에서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플렉시블 회로(1)의 불완전 삽입에 의해 걸어맞춤부(51)가 플렉시블 회로(1)의 노치부(1a)에 걸어맞춰져 있지 않은 경우, 걸어맞춤부(51) 및 가동부(52)가 커넥터 본체(10)의 폭방향 외측으로 변위한 상태인 채로 압압부재(30)를 폐쇄방향으로 회전 운동시키면, 압압부재(30)의 돌출부(32)가 가동부(52)에 맞닿고, 압압부재(30)의 폐쇄방향으로의 회전 운동이 규제된다. 이에 따라 플렉시블 회로(1)가 불완전 삽입 상태인 채로 압압부재(30)가 폐쇄 위치까지 회전 운동되는 일이 없다.
이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커넥터에 따르면 커넥터 본체(10)내에 삽입된 플렉시블 회로(1)의 선단이 로크부재(50)에 맞닿고, 로크부재(50)가 커넥터 본체(10)의 폭방향 외측으로 변위한 상태로 압압부재(30)를 한쪽으로 회전 운동시키면, 압압부재(30)의 돌출부(32)가 로크부재(50)에 맞닿아서 압압부재(30)의 회전 운동이 규제되고, 로크부재(50)가 커넥터 본체(10)의 폭방향 내측으로 복귀하고 있는 상태에서 압압부재(30)를 한쪽으로 회전 운동시키면 압압부재(30)의 회전 운동이 허용되도록 하였으므로, 플렉시블 회로(1)가 불완전 삽입 상태인 채로 압압부재(30)가 폐쇄위치까지 회전 운동되는 일이 없어 플렉시블 회로(1)의 불완전 삽입에 의한 접속 불량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또 플렉시블 회로(1)에 로크부재(50)가 걸어맞춰짐으로써 플렉시블 회로(1)가 가홀딩되므로 압압부재(30)의 회전 운동 조작시에 플렉시블 회로(1)가 위치어긋남을 일으키는 일이 없어 플렉시블 회로(1)의 접속작업을 용이하고 또한 확실하게 실시할 수 있다. 이 경우, 플렉시블 회로(1)가 로크부재(50)에 의해 가홀딩되어 있는 상태에서 압압부재(30)를 폐쇄위치까지 회전 운동시키면, 압압부재(30)의 돌출부(32)에 의해서 로크부재(50)의 폭방향 외측으로의 변위가 규제되므로 플렉시블 회로(1)를 각 로크부재(50)에 의해 완전하게 로크할 수 있고, 플렉시블 회로(1)를 확실하게 접속할 수 있다.
또한 로크부재(50)를 커넥터 본체(10)의 폭방향으로 변위시키도록 하였으므로 커넥터 본체(10)가 높이 방향으로 대형화되는 일이 없어 커넥터 본체(10)의 박형화에 매우 유리하다. 이 경우, 불완전 삽입시에는 플렉시블 회로(1)의 폭방향 외측으로 변위한 로크부재(50)에 압압부재(30)가 맞닿으므로 압압부재(30)로의 압압력이 로크부재(50)로부터 플렉시블 회로(1)에 가해지는 일이 없어 플렉시블 회로(1)를 손상시키는 일이 없다는 이점이 있다.
또 커넥터 본체(10)는 로크부재(50)가 커넥터 본체(10)의 폭방향 외측으로 변위한 상태를 외부로부터 육안으로 볼 수 있게 형성되어 있으므로 플렉시블 회로(1)의 불완전 삽입상태를 육안으로도 확인할 수 있어 불완전 삽입상태에서의 접속을 보다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커넥터 본체(10)를 외부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부재(40)에 로크부재(50)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부품점수 및 조립공정수를 줄일 수 있어 생산성의 향상을 꾀할 수 있다.
이 경우, 로크부재(50) 및 고정부재(40)를 도전성 부재에 의해 형성하면, 예를 들어 생산라인에 있어서, 플렉시블 회로(1)가 접속된 커넥터의 로크부재(50)의 측방에 전극봉을 삽입하여 플렉시블 회로(1)의 불완전 삽입에 의해 폭방향으로 변위하고 있는 로크부재(50)에 전극봉이 접촉하면, 고정부재(40)에 접속된 다른 전극과의 도통에 의해 불완전 삽입을 검지하도록 한 검사공정에 이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로크부재(50)를 고정부재(40)에 일체로 형성한 것을 나타냈지만, 이들을 별체(別體)로 형성한 것, 혹은 고정부재를 갖지 않는 것이어도 된다.
1: 플렉시블 회로 1a: 노치부
20: 단자 21: 고정편부
21c: 제 1 볼록부 21d: 제 1 오목부
22: 제 1 가동편부 22a: 제 1 접촉부
22b: 제 1 맞닿음부 22c: 제 2 맞닿음부
23: 제 1 가동편부 23a: 제 2 접촉부
24: 탄성편부 40: 고정부재
50: 로크부재

Claims (6)

  1. 접속 대상물이 삽입되는 커넥터 본체와, 커넥터 본체 내에 서로 폭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배치된 복수의 단자와, 커넥터 본체 내에 삽입된 접속 대상물측에 각 단자를 압압하는 회전 운동 자유로운 압압부재와, 접속 대상물의 폭방향 단부에 설치된 걸어맞춤부에 걸어맞춤으로써 접속 대상물을 로크하는 로크부재를 구비하며, 압압부재를 한쪽으로 회전 운동시키면 각 단자가 압압부재에 의해 접속 대상물측에 압압되고, 압압부재를 다른쪽으로 회전 운동시키면 압압부재에 의한 각 단자의 압압이 해제되도록 구성하는 동시에, 커넥터 본체 내에 삽입된 접속 대상물의 선단이 로크부재에 맞닿으면 로크부재가 소정위치에서부터 커넥터 본체의 폭방향 외측을 향하여 변위하도록 탄성변형하고, 로크부재가 접속 대상물의 걸어맞춤부에 걸어맞춰지면 로크부재가 커넥터 본체의 폭방향 내측을 향해 변위하여 상기 소정위치에 복귀하도록 한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로크부재가 상기 소정위치로부터 커넥터 본체의 폭방향 외측을 향하여 변위한 상태에서 압압부재를 한쪽으로 회전 운동시키면, 압압부재의 폭방향 양측부분이 커넥터 본체의 폭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에서 로크부재에 맞닿아서 압압부재의 회전 운동이 규제되며, 로크부재가 상기 소정위치에 복귀하고 있는 상태에서 압압부재를 한쪽으로 회전 운동시키면 압압부재의 회전 운동이 허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로크부재가 상기 소정위치에 복귀하고 있는 상태에서 압압부재를 한쪽으로 회전 운동시키면 압압부재의 폭방향 양측부분에 의해 로크부재의 커넥터 본체의 폭방향 외측으로의 변위가 규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 본체는 로크부재가 커넥터 본체의 폭방향 외측을 향하여 변위한 상태를 외부로부터 육안으로 볼 수 있게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 본체를 외부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부재를 구비하고,
    고정부재에는 상기 로크부재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 대상물의 걸어맞춤부는 접속 대상물의 폭방향 양측에 설치된 노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로크부재는 접속 대상물의 걸어맞춤부에 걸어맞추는 걸어맞춤부를 갖고,
    로크부재의 걸어맞춤부는 커넥터 본체의 폭방향 내측을 향하여 돌출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KR1020107025610A 2009-06-03 2010-04-23 커넥터 Active KR10116185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9133980A JP4410306B1 (ja) 2009-06-03 2009-06-03 コネクタ
JPJP-P-2009-133980 2009-06-03
PCT/JP2010/057249 WO2010140437A1 (ja) 2009-06-03 2010-04-23 コネクタ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16887A KR20110016887A (ko) 2011-02-18
KR101161852B1 true KR101161852B1 (ko) 2012-07-03

Family

ID=417392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7025610A Active KR101161852B1 (ko) 2009-06-03 2010-04-23 커넥터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8172592B2 (ko)
EP (1) EP2429043A4 (ko)
JP (1) JP4410306B1 (ko)
KR (1) KR101161852B1 (ko)
CN (1) CN102057539B (ko)
TW (1) TW201101613A (ko)
WO (1) WO201014043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425987B1 (ja) * 2009-06-10 2010-03-03 イリソ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
JP4919361B2 (ja) * 2009-09-07 2012-04-18 株式会社アイペックス コネクタ装置
JP4568791B1 (ja) * 2009-12-16 2010-10-27 イリソ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
JP5556261B2 (ja) * 2010-03-12 2014-07-23 オムロン株式会社 コネクタ
JP2012004072A (ja) * 2010-06-21 2012-01-05 Omron Corp コネクタ
EP2562880A1 (en) * 2011-08-22 2013-02-27 Dai-Ichi Seiko Co., Ltd. Electrical connector
JP5779078B2 (ja) 2011-11-28 2015-09-16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
JP5549821B2 (ja) * 2012-04-17 2014-07-16 第一精工株式会社 電気コネクタ
JP5809203B2 (ja) * 2013-07-04 2015-11-10 ヒロセ電機株式会社 平型導体用電気コネクタ
KR101512113B1 (ko) 2013-08-07 2015-04-14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록킹 부재가 개선된 플랫 케이블 접속용 커넥터
JP6452393B2 (ja) * 2014-11-13 2019-01-16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
WO2018012243A1 (ja) * 2016-07-13 2018-01-18 京セラ株式会社 コネクタ
JP6458786B2 (ja) * 2016-09-15 2019-01-30 Smk株式会社 コネクタ
JP6540674B2 (ja) * 2016-12-09 2019-07-10 第一精工株式会社 電気コネクタ
JP6658798B2 (ja) * 2018-06-05 2020-03-04 第一精工株式会社 電気コネクタ及びコネクタ装置
CN115021016B (zh) * 2022-06-17 2022-12-20 皓星智能装备(东莞)有限公司 马达定子三相端子取电结构及取电方法
US20240039187A1 (en) * 2022-07-28 2024-02-01 Te Connectivity Solutions Gmbh Electrical connector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277068A (ja) 2007-04-27 2008-11-13 Molex Inc ケーブル用コネクタ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30784A (ja) * 1998-05-08 2000-01-28 Japan Aviation Electronics Ind Ltd 電気コネクタ
US6332801B1 (en) * 1999-09-01 2001-12-25 Hirose Electric Co., Ltd. Insulation replacement electrical connector
JP2002352890A (ja) * 2001-05-25 2002-12-06 Sumitomo Wiring Syst Ltd コネクタ
JP3605586B2 (ja) * 2001-09-25 2004-12-22 日本圧着端子製造株式会社 フレキシブル基板用コネクタ
JP4931417B2 (ja) * 2005-12-27 2012-05-16 モレックス インコーポレイテド ケーブル接続用コネクタ
US7179118B1 (en) * 2006-03-15 2007-02-20 Hon Hai Precision Ind. Co., Ltd. Connector for flexible printed circuit
JP4869027B2 (ja) * 2006-11-01 2012-02-01 モレックス インコーポレイテド ケーブル用コネクタ
JP5084244B2 (ja) * 2006-12-18 2012-11-28 イリソ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
CN101369697B (zh) * 2007-08-17 2010-06-16 富士康(昆山)电脑接插件有限公司 电连接器
JP2009070757A (ja) * 2007-09-18 2009-04-02 Iriso Denshi Kogyo Kk コネクタ
CN201191666Y (zh) * 2008-01-29 2009-02-04 富士康(昆山)电脑接插件有限公司 电连接器
JP4605817B2 (ja) * 2008-04-11 2011-01-05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277068A (ja) 2007-04-27 2008-11-13 Molex Inc ケーブル用コネクタ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2064310A (ja) 2012-03-29
JP4410306B1 (ja) 2010-02-03
US8172592B2 (en) 2012-05-08
EP2429043A1 (en) 2012-03-14
WO2010140437A1 (ja) 2010-12-09
TW201101613A (en) 2011-01-01
KR20110016887A (ko) 2011-02-18
CN102057539B (zh) 2013-05-22
EP2429043A4 (en) 2013-06-19
CN102057539A (zh) 2011-05-11
US20110092091A1 (en) 2011-04-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61852B1 (ko) 커넥터
JP4425987B1 (ja) コネクタ
JP5084244B2 (ja) コネクタ
KR100783419B1 (ko) 커넥터
JP4951321B2 (ja) コネクタ
KR20120102671A (ko) 커넥터
JP5298227B1 (ja) コネクタ
CN108631101B (zh) 连接器
TW201834331A (zh) 連接器裝置
KR20120014551A (ko) 커넥터
KR101450736B1 (ko) 커넥터
JP4044939B2 (ja) コネクタ
JP4044937B2 (ja) コネクタ
JP6533151B2 (ja) コネクタ
JP2006059724A (ja) フレキシブル基板用コネクタ
JP2005347021A (ja) コネクタ
JP5555143B2 (ja) コネクタ
HK1124695A (en) Connect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5 International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01115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11223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20517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20626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20627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