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078882B1 - 보조스트링 및 벤트부를 포함한 전면 에어백 - Google Patents

보조스트링 및 벤트부를 포함한 전면 에어백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78882B1
KR101078882B1 KR1020090121733A KR20090121733A KR101078882B1 KR 101078882 B1 KR101078882 B1 KR 101078882B1 KR 1020090121733 A KR1020090121733 A KR 1020090121733A KR 20090121733 A KR20090121733 A KR 20090121733A KR 101078882 B1 KR101078882 B1 KR 10107888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nt
airbag
auxiliary string
passenger
vent part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217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64942A (ko
Inventor
장성근
이호용
Original Assignee
아우토리브 디벨롭먼트 아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우토리브 디벨롭먼트 아베 filed Critical 아우토리브 디벨롭먼트 아베
Priority to KR10200901217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78882B1/ko
Priority to US12/963,041 priority patent/US8434786B2/en
Publication of KR201100649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6494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788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78882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3Inflatable members
    • B60R21/231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onstruction or spatial configuration
    • B60R21/2334Expansion control features
    • B60R21/2338Teth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3Inflatable members
    • B60R21/231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onstruction or spatial configuration
    • B60R21/2334Expansion control featu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3Inflatable members
    • B60R21/239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vent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021/003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characterised by occupant or pedestian
    • B60R2021/0032Position of passeng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1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 B60R2021/01204Actuation parameters of safety arrangents
    • B60R2021/01211Expansion of air bags
    • B60R2021/01231Expansion of air bags control of expansion timing or sequen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3Inflatable members
    • B60R21/231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onstruction or spatial configuration
    • B60R21/2334Expansion control features
    • B60R21/2338Tethers
    • B60R2021/23382Internal tether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3Inflatable members
    • B60R21/235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material
    • B60R2021/23533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manufacturing process
    • B60R2021/23538Sew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3Inflatable members
    • B60R21/239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venting means
    • B60R2021/2395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venting means comprising means to control the ven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0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 B60R21/205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in dashboar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ir Ba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 충돌시 비정상적으로 탑승한 승객 또는 어린이 승객을 보호하기 위하여 안전벨트와 함께 충격을 완화시키는 역할을 하는 에어백 중 조수석 승객의 충돌시 충격을 감소시키고 승객 거동시 머리 부위를 보호하며 구속시켜 승객의 전반적인 구속력을 높여주는 조수석 에어백에 관한 것으로, 특히 조수석에서의 비정상 착좌한 승객이 에어백이 충분히 팽창되지 아니한 상태에서 부딪혀 전면 팽창이 완성되지 아니하여 측면 팽창이 발생된 경우에도 에어백이 그 기능을 충실히 수행할 수 있도록 측면에서의 벤트부를 통해 내부의 공기가 배출시킴으로써 비정상 착좌의 승객 또는 어린이 승객의 경우에도 보호기능을 충실히 수행하는 보조스트링 및 벤트부를 포함한 전면 에어백에 관한 것이다.
이에 본 발명은, 차량에 탑승한 탑승객을 보호하기 위해 에어백 모듈의 인플레이터에서 공급되는 가스에 의해 전개 작동되는 전면 에어백에 있어서, 상기 에어백 쿠션의 중앙부위에 설치되는 메인테더; 상기 에어백으로부터 선택적으로 공기를 외부 배출하는 벤트부; 및 상기 메인테더에 연결되어 상기 벤트부의 개폐를 제어하는 보조스트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스트링 및 벤트부를 포함한 전면 에어백을 제공한다.
에어백, 조수석, 비정상 착좌, 어린이, 보조스트링, 벤트부

Description

보조스트링 및 벤트부를 포함한 전면 에어백 {Front Air Bag including Sst―rings & Vent parts}
본 발명은 자동차 충돌시 비정상적으로 탑승한 승객 또는 어린이 승객을 보호하기 위하여 안전벨트와 함께 충격을 완화시키는 역할을 하는 에어백 중 조수석 승객의 충돌시 충격을 감소시키고 승객 거동시 머리 부위를 보호하며 구속시켜 승객의 전반적인 구속력을 높여주는 조수석 에어백에 관한 것으로, 특히 조수석에 비정상적으로 착좌한 승객이 에어백이 충분히 팽창되지 아니한 상태에서 부딪혀 전면 팽창이 완성되지 아니하여 측면 팽창이 발생된 경우에도 에어백이 그 기능을 충실히 수행할 수 있도록 측면에서의 벤트부를 통해 내부의 공기가 배출시킴으로써, 비정상 착좌의 승객 또는 어린이 승객에 대해서도 보호기능을 충실히 수행하는 보조스트링 및 벤트부를 포함한 전면 에어백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 충돌시 운전자가 탑승객을 보호하기 위하여 조향 핸들 또는 인스트러먼트 패널에 에어백 모듈(Air bag module)을 장착하여 사용한다.
상기한 에어백 모듈은 차량 충술시 에어백(Air bag)을 전개시켜 운전자 또는 탑승객이 차량 내부에 구비된 크레쉬패드 또는 윈드 쉴드와 충돌하지 않도록 함으로써 충돌에 의한 상해를 저감시킬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상기한 에어백 모듈은 에어백 하우징커버와 차량 충돌시 가스를 발생시키는 인플레이터(Inflater)와, 상기 인플레이터에 의하여 발생된 가스에 의해 전개 작동되는 에어백(Air-bag)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별도의 감지센서 및 인플레이터 뇌관을 폭발시키는 전자제어모듈(Electronic Control Module)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인플레이터는 전자제어모듈로부터 출력되는 동작 제어신호에 의하여 점화되는 뇌관과, 상기 뇌관이 점화됨에 따라 가스를 발생하는 가스 발생체를 포함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일반적인 에어백 모듈은 정면 충돌에 의해 주행속도가 급격히 저하되면 충격 센서가 이를 감지하여 기 설정된 신호를 발생하게 되고, 상기 충격 센서로부터 출력되는 충격 신호를 인식한 전제제어모듈은 뇌관을 점화시켜 가스 발생체를 연소시킨다.
이때, 상기한 가스 발생체가 가스를 급속히 발생시키기 때문에, 에어백이 급속히 팽창 및 전개되고, 이렇게 전개된 에어백 쿠션은 승객의 머리와 가슴이 관성에 의해 차량의 전방으로 이동되는 것을 방지하여 승객을 보호하며, 이와 동시에 에어백 쿠션에 형성된 배출공으로 팽창된 가스를 배출시켜 충격 에너지를 흡수하고 충돌시 승객에게 전달되는 충격력을 효과적으로 완충하여 승객의 상해를 경감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에어백이 전개 작동될 때 안정적인 형상을 잡아주기 위해 상기 에어백의 내측에 한겹의 천으로 이루어진 테더(tether)를 설치하여 사용하며, 이러한 상기 테더는 전면 에어백이 전개되면서 팽창되는 경우 완충효과를 가질 수 있는 안정적인 형상을 유지시켜 주고, 상기 전면 에어백의 내부 중앙에 전후에 접속되어 견고히 결합된다.
도 1은 승객이 정상 착좌시 에어백의 작동을 도시한 도면으로, 통상적으로 상기 전면 에어백(1)에 대해 종래에는 조수석의 승객(2)이 정상적으로 착좌하는 경우에는 차량의 충돌시 에어백(1)이 충분히 전면 팽창하여 승객을 충실하게 보호할 수 있게 되었다.
도 2는 승객이 비정상 착좌시 작동을 도시한 도면으로, 승객이 비정상적인 착좌의 경우,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승객(2)이 이미 좌석에서 앞으로 숙여진 상태에서 에어백(1)에 부딪히게 되므로 에어백(1)이 전면으로 충분히 팽창되기 이전에 이미 승객(2)에 접촉하여 측면으로 팽창하게 되는 문제가 발생한다. 즉, 이러한 측면 팽창이 발생된 경우 이미 공기가 충분히 충진된 상태이므로 전면에의 충격을 충실하게 완화시킬 수 없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조수석에 비정상적인 착좌한 어른 승객 및 어린이 승객에 대해 전면 에어백의 측면팽창에 따른 충격완화 성능이 약화되므로,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중앙부의 보조스트링 및 측면의 벤트부를 통해 에어백 내부의 공기를 선택적으로 배출시킬 수 있도록 하는 보조스트링 및 벤트부를 포함한 전면 에어백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전면 에어백이 측면 팽창한 경우에는 본 발명에 포함된 벤트부를 통해 내부의 공기가 배출되도록 하고, 전면 에어백이 측면 팽창하지 아니한 경우에는 본 발명에 포함된 벤트부의 벤트공이 폐쇄되어 내부의 공기가 배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보조스트링 및 벤트부를 포함한 전면 에어백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전면 에어백의 중앙부에 위치하는 메인테더에 접힘부를 포함하고 상기 접힘부에 내입되는 보조스트링을 복수 개의 봉합라인을 통해 에어백의 측면 팽창에 따라 순차적으로 상단부터 해체되도록 하여, 에어백의 측면 팽창시 봉합라인의 유지를 통해 보조스트링을 긴장시켜 벤트부를 개방시키고, 에어백이 측면 팽창되지 아니한 경우 봉합라인이 해체되어 보조스트링을 이완시켜 벤트부를 폐쇄시킴으로써 에어백 내부의 공기를 선택적으로 배출하는 보조스트링 및 벤트부를 포함한 전면 에어백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앞서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구성을 가진 실시예에 의하여 구현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차량에 탑승한 탑승객을 보호하기 위해 에어백 모듈의 인플레이터에서 공급되는 가스에 의해 전개 작동되는 전면 에어백에 있어서, 상기 에어백 쿠션의 중앙부위에 설치되는 메인테더; 보조스트링과 연결되어 에어백 내부의 공기를 배출하는 내측 벤트부와 상기 내측 벤트부와 겹침 설치되어 에어백 내부의 공기를 배출하는 외측 벤트부를 포함하여 상기 외측 벤트부와 내측 벤트부는 내외측 벤트부 접합부에 의해 밀봉 접합되며 상기 에어백으로부터 선택적으로 공기를 외부 배출하는 벤트부; 및 상기 메인테더에 연결되어 상기 벤트부의 개폐를 제어하는 보조스트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내측 벤트부는, 에어백 내부의 공기가 배출되는 내측 벤트공을 포함하고, 상기 외측 벤트부는, 상기 내측 벤트공과 엇갈림 배치되는 외측 벤트공을 포함하며, 복수개 형성되어 상호 엇갈림 배치에 의해 상기 내측 벤트부와 외측 벤트부가 이격되는 경우 에어백 내부의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보조스트링은 내측벤트부 연결단를 포함하고, 상기 내측 벤트부는 보조스트링 연결부를 포함하여 에어백의 측면 팽창이 있는 경우 상기 보조스트링의 텐션으로 내측 벤트부와 외측 벤트부를 이격시 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메인테더는, 상기 보조스트링이 내입되어 결속 고정되는 접힘부를 포함하고, 상기 보조스트링은 상기 접힘부에 내입되는 메인테더 고정단을 포함하고, 상기 메인테더의 접힘부는 상기 메인테더 고정단이 내입된 상태로 일체로 결합 고정하는 봉합라인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봉합라인은, 복수 개로 형성되어 접힘부와 메인테더 고정단을 결합 고정시키고, 에어백의 측면 팽창시 상부의 봉합라인부터 순차적으로 해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보조스트링은, 상기 복수 개의 봉합라인의 순차적 해체에 따라 에어백의 측면 팽창시 긴장되고, 측면 팽창이 발생되지 아니한 경우 이완되어, 에어백의 측면 팽창이 발생된 경우 상기 내측 벤트부와 외측 벤트부를 이격시켜 에어백 내부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고, 에어백의 측면 팽창시 발생되지 아니한 경우 상기 내측 벤트부와 외측 벤트부가 밀착되어 에어백 내부의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전술한 과제 해결 수단 및 후술할 구성과 결합, 작동관계에 의해서 다음과 같은 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전면 에어백의 중앙부에 보조스트링을 포함하고, 측면에 벤트부 를 포함하여 에어백 내부의 공기를 선택적으로 배출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조수석에 비정상적인 착좌한 어른 승객 및 어린이 승객에 대해 전면 에어백의 측면팽창에 따른 충격완화 성능 약화를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전면 에어백이 측면 팽창하지 아니한 경우에는 본 발명에 포함된 벤트부의 벤트공이 폐쇄되어 내부의 공기가 배출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통상적인 정상 착좌시에도 승객을 충실하게 보호하는 전면 에어백의 역할을 수행하는 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전면 에어백의 중앙부에 위치하는 메인테더에 접힘부를 포함하여 상기 접힘부에 내입되는 보조스트링을 복수 개의 봉합라인을 통해 에어백의 측면 팽창에 따라 순차적으로 상단부터 해체되도록 하는데, 에어백의 측면 팽창시 봉합라인의 유지를 통해 보조스트링을 긴장시켜 벤트부를 개방시키고, 에어백이 측면 팽창되지 아니한 경우 봉합라인이 해체되어 보조스트링을 이완시켜 벤트부를 폐쇄시킴으로써 에어백 내부의 공기를 선택적으로 배출하는 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조수석 에어백에 차량의 충돌 성능향상을 도모하고, 비정상 착좌 승객 또는 어린이 승객 보호 성능의 상해치 감소를 위해 에어백 쿠션의 구속력이 요구되므로, 비정상 착좌 승객 또는 어린이 승객이 탑승하여 충돌하였을 때는 전면 에어백의 측면 팽창이 발생에 따라 측면에 존재하는 벤트부의 벤트공을 오픈하여 에어백의 압력으로 어린이 머리에 상해를 주지 않게 하고, 정상 착좌시의 어른 승객이 탑승하여 충돌하였을 때는 측면의 벤트부 벤트공을 폐쇄하여 상해치를 감소시킬 수 있도록 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보조스트링 및 벤트부를 포함한 전면 에어백의 구성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서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하 도 3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보조스트링 및 벤트부를 포함한 전면 에어백의 구성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3은 비정상 착좌시 본 발명의 보조스트링 및 벤트부를 포함하는 에어백을 도시한 내부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보조스트링 및 벤트부를 포함하는 에어백의 입면 사시도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벤트부를 도시한 상세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메인테더와 보조스트링이 결합하는 접힙부를 도시한 도면이 다.
도 3 및 도 4를 통해 본 발명을 살펴보면, 차량에 탑승한 탑승객을 보호하기 위해 에어백 모듈의 인플레이터에서 공급되는 가스에 의해 전개 작동되는 본 발명의 보조스트링 및 벤트부를 포함한 전면 에어백(10)은 에어백 쿠션의 중앙부위에 설치되는 메인테더(100); 상기 메인테더(100)에 연결되어 벤트부(500)의 개폐를 제어하는 보조스트링(300); 및 상기 에어백으로부터 선택적으로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벤트부(500);을 포함한다.
상기 메인테더(100, main tether)는 도 3 및 도 4를 보면 알 수 있듯이 상기 에어백(10)이 전개 작동될 때 안정적인 형상을 잡아주기 위해 상기 에어백(10)의 중앙부 내측에 한겹의 천으로 이루어진 스트링(string)으로써, 이러한 상기 메인테더(100)는 전면 에어백이 전개되면서 팽창되는 경우 완충효과를 가질 수 있는 안정적인 형상을 유지시켜 주며, 상기 전면 에어백(10)의 내부 중앙에 전후에 접속되어 견고히 결합된다.
이러한 상기 메인테더(100)의 중앙부에는 접힘부(110)를 포함하며, 보조스트링(300)이 내입되어 연결 고정시키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접힘부(100)의 작동에 따라 상기 보조스트링(300)을 통한 벤트부(500)의 작동을 제어하게 되는 것이다.
즉, 메인테더(100)가 전면 에어백의 내부 중앙 전후에 접속되므로 전후 팽창이 이루어지는 경우에는 이와 상반되게 측면 팽창이 발생되지 아니하므로, 상기 보 조스트링(300)을 이완시켜 벤트부(500)가 작동하지 아니하도록 한다. 그러나, 전후 팽창이 이루어지지 아니하는 경우, 이와는 상반되게 측면 팽창이 발생되므로 상기 보조스트링(300)을 긴장시켜 벤트부(500)가 작동하도록 한다. 이러한 작동관계는 하기에서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상기 접힘부(110)는 보조스트링(300)을 연결하는 수단으로 봉합라인(111)을 포함한다. 상기 봉합라인은 박음질을 통한 재봉부위로 형성될 수 있을 것이나, 반드시 재봉부위로 형성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고, 상기 접힘부(110)에 내입되는 보조스트링(300)을 일체로 함께 결속시킬 수 있는 수단이라면 모두 가능할 것이다.
상기 봉합라인(111)은 도 3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한 개로 형성되는 것이 아니라 복수 개로 형성될 수 있는데, 상기 전면 에어백(10)이 전후로 팽창되는 정도에 따라 상기 메인테더(100)의 길이가 정해지므로 그에 따라 봉합라인(111)이 상측부터 순차적으로 해체될 수 있도록 한다. 즉, 이렇게 상기 봉합라인(111)의 해체에 따라 이에 결속된 보조스트링(300)의 길이를 조절하게 되고 이로써 긴장 또는 이완을 주게 되므로 벤트부(500)를 조절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상기 봉합라인(111)의 작동관계는 하기에서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상기 보조스트링(300)은 도 3 및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일단은 상기 메인테더(100)의 중앙부에 위치하는 접힘부(110)에 내입되고, 일단은 벤트부(500)에 결속되어 설치된다. 이러한 상기 보조스트링(300)은 상기 메인테더(100)의 길이에 따 라 상기 접힘부(110)에 포함된 봉합라인(111)이 해체되면서 긴장 또는 이완되어 벤트부(500)를 통해 에어백 내부의 공기가 배출되는 것을 단속하게 된다.
상기 보조스트링(300)은 도 3 및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메인테더의 접힙부에 내입되어 봉합라인에 의해 일체로 결합 고정되는 메인테더 고정단(310); 및 벤트부(500)에 고정되어 결합되는 내측벤트부 연결단(330)을 포함한다.
상기 벤트부(500)는 본 발명의 전면 에어백이 측면 팽창을 하는 경우 전면의 강한 공기압력에 의해 오히려 비정상 착좌한 승객 또는 어린이 승객이 손상을 입지 않도록 공기를 배출시킬 수 있도록 하며, 측면 팽창이 발생한 경우에만 공기가 배출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내측 벤트부(530)와 외측 벤트부(550)를 포함한다. 이에 상기 내측 벤트부(530)와 외측 벤트부(550)는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그 재질은 에어백의 외면을 형성하는 천과 동일한 재질의 천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겹침 설치되며 내외측 벤트부 접합부(510)에 의해 견고히 밀봉 접합되어 밀폐 결합된다.
이러한 상기 내측 벤트부(530)와 외측 벤트부(550)는 에어백 내부의 공기를 선택적으로 배출하는 기능을 하기 위하여 겹침 설치되고, 각각 내측 벤트공(531)과 외측 벤트공(551)을 포함한다. 이러한 상기 내외측 벤트공(531, 551)은 에어백 내부의 공기가 선택적으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각각 상호 엇갈림 배치되어 위치하도록 형성되어야 한다.
즉,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내측 벤트부(530)와 외측 벤트부(550)가 이격되지 아니하고 밀착되어 있는 경우에는 내,외측 벤트공(531,551)이 상호 엇갈림 배치로 인해 막히게 됨으로써 에어백 내부의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지 아니하지만,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내측 벤트부(530)와 외측 벤트부(550)가 이격되는 경우에는 상기 내,외측 벤트공(531,551)가 각각 개방되어 에어백 내부의 공기가 외부로 배출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로써 상기 내,외측 벤트부(530,550)의 밀착 접촉 또는 이격에 따라 에어백 내부의 공기를 선택적으로 배출할 수 있게 되는데, 이러한 상기 내,외측 벤트부(530,550)의 밀착 또는 이격의 작동은 상기 보조스트링(300)의 긴장 또는 이완에 의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상기 보조스트링(300)의 긴장 또는 이완은 상기 메인테더(100)의 중앙부에 위치한 접힘부(110)가 해체되는 정도에 따라 작동하게 되고 종국적으로 메인테더(100)가 펼쳐지는 정도 즉, 에어백의 전후 팽창 정도에 따라 작동하게 되는 것이다. 이로써 에어백의 전후 팽창 정도는 측면 팽창 정도와 반비례하여 발생하게 되므로 결과적으로 본 발명은 전면 에어백의 측면 팽창 정도에 따라 에어백 공기의 외부 배출을 제어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내측 벤트부(530)는 중앙부에 상기 보조스트링(300)이 긴장되었을 때, 텐션(인장력)으로 하여금 내,외측 벤트부(530,550)를 이격시킬 수 있도록 하는 보조스트링 연결부(533)를 포함하는데, 도 3 내지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보조스트링 연결부(533)에서 보조스트링(300)의 내측벤트부 연결단(330)이 견고히 결합되어 고정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메인테더(100)의 접힙부(110)에서 보조스트링(300)의 메인테더 고정단(310)이 내입된 상태를 도시한 것으로 특히 봉합라인(111)의 형상을 도시한 것이다. 이에 상기 봉합라인(111)은 접힘부(110)와 보조스트링의 메인테더 고정단(310)을 일체로 겹쳐서 재봉라인 등을 통해 복수 개 형성하여 결합하게 된다. 이러한 봉합라인(111)이 상기 메인테더의 전후 인장력으로 상단부터 순차적으로 튿어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결국 상기 보조스트링(300)의 길이를 길게 하거나 짧게 할 수 있으며 긴장시키거나 이완시킬 수 있게 하는 것이다.
이하 전체적인 본 발명의 보조스트링 및 벤트부를 포함한 전면 에어백의 작동관계를 도 7a 및 도 7b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7a는 승객이 비정상 착좌시 본 발명의 보조스트링 및 벤트부가 작동하는 것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7b는 승객이 정상 착좌시 본 발명의 보조스트링 및 벤트부가 작동하는 것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a를 통해 본 발명의 조수석 전면 에어백이 비정상 착좌시의 승객 또는 어린이 승객의 경우에 작동하는 관계를 살펴보면, 먼저 승객이 비정상적으로 착좌하거나 어린이 승객이 착좌한 경우 차량의 충돌사고 발생시 승객의 머리가 전면 에어백(10)이 충분히 전면으로 팽창하기 전에 부딪히게 되고 이에 따라 전면 팽창이 완전히 이루어지지 아니하며 측면 팽창이 발생되게 된다.
그리고, 메인테더(100)는 전후 팽창이 이루어지지 않아 길게 형성되지 않으므로 그 중앙의 접힘부(110)는 펴지지 아니하여 봉합라인(111)은 튿어지지 않게 된다. 즉, 상기 봉합라인(111)의 해체가 되지 아니하므로, 상기 보조스트링(300)은 짧은 길이를 유지하고 팽팽하게 긴장된다. 이는 에어백의 측면 팽창이 이루어진 상태이므로 상기 보조스트링(300)을 더욱더 팽팽하게 긴장시키게 될 수 있다.
따라서, 자연스럽게 상기 보조스트링(300)의 텐션으로 내측 벤트부(530)를 에어백 내부로 잡아당겨 외측 벤트부(550)와 이격시키게 되는 것이다.
이렇게 내,외측 벤트부(530,550)가 이격됨으로써 자연스럽게 내,외측 벤트공(531,551)은 개방되게 되어 에어백 내부의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게 된다.
이와 같이 조수석 에어백은 비정상 착좌 또는 어린이 승객 탑승시 측면 팽창에 의해 압력이 충실하게 충격을 완충시키는 효과를 가질 수 없으므로, 이러한 압력을 분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측면 벤트부를 통해 공기를 배출함으로써 충격을 완화시킬 수있는 기능을 부여하게 된다.
또한, 도 7b를 통해 본 발명의 조수석 전면 에어백이 정상 착좌시의 승객의 경우에 작동하는 관계를 살펴보면, 먼저 승객이 정상적으로 착좌하는 경우 차량의 충돌사고 발생시 승객의 머리가 전면 에어백(10)이 충분히 전면으로 팽창한 후에 부딪히게 되고 이에 따라 전면 팽창이 충분히 이루어지므로 측면 팽창이 발생되지 아니하게 된다.
그리고, 메인테더(100)는 전후 팽창이 이루어졌으므로 길게 형성될 것이고, 그 중앙의 접힘부(110)는 펴지지 되어 봉합라인(111)은 튿어지게 된다. 즉, 상기 봉합라인(111)의 해체가 되므로 상기 보조스트링(300)은 긴 길이를 유지하고 흐물거리게 이완된다. 더욱이 측면 팽창이 이루어지지 아니한 상태를 유지하게 되므로 상기 보조스트링(300)은 전혀 팽창되지 않고 인장력을 갖지 않게 된다.
따라서, 자연스럽게 보조스트링(300)의 이완으로 내측 벤트부(530)를 에어백 내부로 잡아당기지 아니하게 된다. 또한 상기 내측 벤트부(530)는 에어백 내부의 공기압력에 의해 오히려 외측 벤트부(550)에 더욱더 강하게 밀착하게 되는데, 이로써 내,외측 벤트공(531,551)은 상호 엇갈림 이격 배치로 인해 폐쇄되게 되고, 에어백 내부의 공기는 외부로 배출되지 아니하게 된다.
이렇게 정상 착좌시의 차량 충돌의 경우 본 발명은 통상적인 에어백으로써 충실하게 기능하게 되며, 조수석 승객의 충돌시 충격을 감소시키고 승객 거동시 머리 부위를 보호하며 구속시켜 승객의 전반적인 구속력을 높여주는 기능을 하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조수석 측면의 벤트부를 이용하여 차량의 충돌시 정상 착좌한 어른 승객이 탑승시 이를 충실히 보호하는 동시에, 비정상 착좌한 어른 및 어린이 승객이 탑승할 경우 측면의 벤트부로 공기를 배출하여 압력을 조절함으로써 쿠션이 전개되면서 충격을 완화시키므로 비정상 착좌의 어른 승객 및 어린이 승객의 상해치 또한 감소시킬 수 있는 커다란 효과를 가져올 수 있다.
앞서 살펴본 실시예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이하 '당업자'라 한다)가 본 발명에 따른 보조스트링 및 벤트부를 포함한 에어백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하는 바람직한 실시예일 뿐,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므로 이로 인해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이 당업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며, 당업자에 의해 용이하게 변경가능한 부분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됨은 자명하다.
도 1은 승객이 정상 착좌시 에어백의 작동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승객이 비정상 착좌시 에어백의 작동을 도시한 도면.
도 3은 비정상 착좌시 본 발명의 보조스트링 및 벤트부를 포함하는 에어백을 도시한 내부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보조스트링 및 벤트부를 포함하는 에어백의 입면 사시도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벤트부를 도시한 상세도.
도 6은 본 발명의 메인테더와 보조스트링이 결합하는 접힙부를 도시한 도면.
도 7a는 승객이 비정상 착좌시 본 발명의 보조스트링 및 벤트부가 작동하는 것을 도시한 도면.
도 7b는 승객이 정상 착좌시 본 발명의 보조스트링 및 벤트부가 작동하는 것을 도시한 도면.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설명 *
1 : 종래의 전면 에어백 2 : 탑승객
10 : 본 발명에 따른 전면 에어백
100 : 메인테더 110 : 접힘부
111 : 봉합라인 300 : 보조스트링
310 : 메인테더 고정단 330 : 내측벤트부 연결단
500 : 벤트부 510 : 내외측 벤트부 접합부
530 : 내측 벤트부 531 : 내측 벤트공
533 : 보조스트링 연결부 550 : 외측 벤트부
551 : 외측 벤트공
F : 에어백으로부터 배출되는 공기의 흐름

Claims (11)

  1. 차량에 탑승한 탑승객을 보호하기 위해 에어백 모듈의 인플레이터에서 공급되는 가스에 의해 전개 작동되는 전면 에어백에 있어서,
    상기 에어백의 쿠션의 중앙부위에 설치되는 메인테더;
    상기 에어백으로부터 선택적으로 공기를 외부 배출하는 벤트부; 및
    상기 메인테더에 연결되어 상기 벤트부의 개폐를 제어하는 보조스트링;을 포함하며,
    상기 벤트부는,
    상기 보조스트링과 연결되어 상기 에어백 내부의 공기를 배출하는 내측 벤트공을 포함하는 내측 벤트부; 및
    상기 내측 벤트부와 겹침 설치되어 상기 에어백 내부의 공기를 배출하는 외측 벤트공을 포함하는 외측 벤트부;를 포함하고,
    상기 외측 벤트부와 상기 내측 벤트부는 내외측 벤트부 접합부에 의해 밀봉 접합되며,
    상기 보조스트링은 일단에 상기 내측 벤트부에 고정 결합되는 내측 벤트부 연결단을 포함하고,
    상기 내측 벤트부는 중앙부에 상기 내측 벤트부 연결단이 접착되어 고정 결합되는 보조스트링 연결부를 포함하여,
    상기 에어백의 측면 팽창이 있는 경우 상기 보조스트링의 텐션으로 상기 내측 벤트부와 상기 외측 벤트부를 이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스트링 및 벤트부를 포함한 전면 에어백.
  2. 삭제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 벤트공 및 외측 벤트공은 상호 엇갈림 배치되어, 내측 벤트부와 외측 벤트부가 이격되는 경우 에어백 내부의 공기가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스트링 및 벤트부를 포함한 전면 에어백.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 벤트공 및 외측 벤트공은 각각 복수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스트링 및 벤트부를 포함한 전면 에어백.
  6. 삭제
  7. 제 1 항, 제4항,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테더는,
    상기 보조스트링이 내입되어 결속 고정되는 접힘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스트링 및 벤트부를 포함한 전면 에어백.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스트링은 상기 접힘부에 내입되는 메인테더 고정단을 포함하고,
    상기 메인테더의 접힘부는 상기 메인테더 고정단이 내입된 상태로 일체로 결합 고정하는 봉합라인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스트링 및 벤트부를 포함한 전면 에어백.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봉합라인은, 복수 개로 형성되어 접힘부와 메인테더 고정단을 결합 고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스트링 및 벤트부를 포함한 전면 에어백.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로 형성된 봉합라인은 에어백의 측면 팽창시 상부의 봉합라인부터 순차적으로 해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스트링 및 벤트부를 포함한 전면 에어백.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스트링은,
    상기 복수 개의 봉합라인의 순차적 해체에 따라 에어백의 측면 팽창시 긴장되고, 측면 팽창이 발생되지 아니한 경우 이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에어백의 측면 팽창이 발생된 경우 상기 내측 벤트부와 외측 벤트부를 이격시켜 에어백 내부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고, 에어백의 측면 팽창시 발생되지 아니한 경우 상기 내측 벤트부와 외측 벤트부가 밀착되어 에어백 내부의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보조스트링 및 벤트부를 포함한 전면 에어백.
KR1020090121733A 2009-12-09 2009-12-09 보조스트링 및 벤트부를 포함한 전면 에어백 Active KR101078882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21733A KR101078882B1 (ko) 2009-12-09 2009-12-09 보조스트링 및 벤트부를 포함한 전면 에어백
US12/963,041 US8434786B2 (en) 2009-12-09 2010-12-08 Front airbag including sub-string and vent par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21733A KR101078882B1 (ko) 2009-12-09 2009-12-09 보조스트링 및 벤트부를 포함한 전면 에어백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64942A KR20110064942A (ko) 2011-06-15
KR101078882B1 true KR101078882B1 (ko) 2011-11-02

Family

ID=440812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21733A Active KR101078882B1 (ko) 2009-12-09 2009-12-09 보조스트링 및 벤트부를 포함한 전면 에어백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8434786B2 (ko)
KR (1) KR10107888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78882B1 (ko) * 2009-12-09 2011-11-02 아우토리브 디벨롭먼트 아베 보조스트링 및 벤트부를 포함한 전면 에어백
JP5629554B2 (ja) * 2010-11-04 2014-11-19 タカタ株式会社 エアバッグ及びエアバッグ装置
US8523220B1 (en) 2012-03-19 2013-09-03 Amsafe, Inc. Structure mounted airbag assemblies and associated systems and methods
DE102012011035A1 (de) * 2012-06-05 2013-12-05 Trw Automotive Gmbh Adaptiver Kniegassack für eine Fahrzeuginsassen-Rückhaltevorrichtung
US8807596B1 (en) * 2013-01-31 2014-08-19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Airbag and vehicle passenger restraint system
US9108590B2 (en) 2013-04-03 2015-08-18 Autoliv Asp, Inc. Airbag with active vent
JP6224915B2 (ja) * 2013-05-20 2017-11-01 タカタ株式会社 エアバッグ及びエアバッグ装置
KR101460725B1 (ko) * 2013-07-03 2014-11-12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차량의 에어백
US9586558B2 (en) * 2013-10-30 2017-03-07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Buckle assembly for a vehicle
US9174603B2 (en) * 2014-03-28 2015-11-03 Trw Vehicle Safety Systems Inc. Air bag with tear stitched tether
CN104973004B (zh) * 2014-04-02 2018-02-06 现代摩比斯株式会社 安全气囊装置
KR102187872B1 (ko) * 2014-04-02 2020-12-07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에어백 장치
US9150189B1 (en) 2014-05-22 2015-10-06 Autoliv Asp, Inc. Airbag systems with side venting
KR102131451B1 (ko) * 2014-06-30 2020-07-08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차량의 조수석 에어백
KR102195362B1 (ko) * 2014-08-14 2020-12-24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차량의 에어백
KR101655526B1 (ko) * 2014-08-20 2016-09-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에어백 장치
KR20160035344A (ko) * 2014-09-23 2016-03-31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차량의 에어백
KR102277472B1 (ko) * 2014-10-30 2021-07-14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에어백 장치
US9944245B2 (en) 2015-03-28 2018-04-17 Amsafe, Inc. Extending pass-through airbag occupant restraint systems, and associated systems and methods
WO2016168124A1 (en) 2015-04-11 2016-10-20 Amsafe, Inc. Active airbag vent system
US9676364B2 (en) * 2015-09-30 2017-06-13 Autoliv Asp, Inc. Airbag systems with passive venting control
US10604259B2 (en) 2016-01-20 2020-03-31 Amsafe, Inc. Occupant restraint systems having extending restraints, and associated systems and methods
WO2017212839A1 (ja) * 2016-06-07 2017-12-14 オートリブ ディベロップメント エービー エアバッグ装置
US10427639B2 (en) 2018-01-10 2019-10-01 Autoliv Asp, Inc. Airbag systems with passive venting control
DE202018105170U1 (de) * 2018-09-10 2020-01-07 Dalphi Metal Espana, S.A. Gassack für ein Fahrzeuginsassen-Rückhaltesystem, Gassackmodul für ein Fahrzeuginsassen-Rückhaltesystem sowie Fahrzeuginsassen-Rückhaltesystem
DE102019201443B4 (de) * 2019-02-05 2023-01-05 Audi Ag Insassenschutzsystem für ein Kraftfahrzeug
JP7296752B2 (ja) * 2019-03-26 2023-06-23 セーレン株式会社 エアバッグ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31500B1 (ko) 2006-07-18 2008-05-2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선택적 전개 에어백 장치 및 그 제어방법
JP2008222043A (ja) 2007-03-13 2008-09-25 Nippon Plast Co Ltd エアバッグ装置

Family Cites Families (3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422597B1 (en) * 1999-11-12 2002-07-23 Delphi Technologies, Inc. Variable profile air bag restraint
US6390501B1 (en) * 1999-11-12 2002-05-21 Delphi Technologies, Inc. Variable profile air bag restraint
US6736426B2 (en) * 2000-09-28 2004-05-18 Delphi Technologies, Inc. Variable profile air bag restraint
US7134691B2 (en) * 2001-05-23 2006-11-14 Delphi Technologies, Inc. Air bag cushion including break-away tethers
US6709008B2 (en) * 2001-11-19 2004-03-23 Autoliv Asp, Inc. Retractable tethering device for curtain airbag
US6832778B2 (en) * 2002-07-19 2004-12-21 Delphi Technologies, Inc. Air bag restraint including selectively operable venting elements
US6918614B2 (en) * 2002-09-05 2005-07-19 Delphi Technologies, Inc. Inflation assembly for variable profile air bag
US7192053B2 (en) * 2003-09-12 2007-03-20 General Motors Corporation Automotive vehicle air bag system
US7354064B2 (en) * 2005-02-01 2008-04-08 Key Safety Systems, Inc. Active tether air bag module
US7552942B2 (en) * 2005-06-23 2009-06-30 Trw Vehicle Safety Systems Inc. Vehicle occupant protection apparatus having vent member that is controlled by a releasable tether
EP1757495B1 (en) * 2005-08-24 2008-05-21 Takata Corporation Airbag and airbag apparatus
US7931299B2 (en) * 2005-09-21 2011-04-26 Tk Holdings, Inc. Low risk deployment airbag cushion
US8020889B2 (en) * 2005-09-21 2011-09-20 Tk Holdings, Inc. Passive airbag venting
US7621561B2 (en) * 2006-03-07 2009-11-24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Inc. Simplified restraining tether system for use with a vehicle air bag system
ES2302603B1 (es) * 2006-03-13 2009-05-20 Dalphi Metal España S.A. Airbag con un dispositivo de ventilacion obturable adaptativamente.
WO2008136336A1 (ja) * 2007-05-01 2008-11-13 Takata Corporation エアバッグ及びエアバッグ装置
US7878537B2 (en) * 2006-09-20 2011-02-01 Tk Holdings Inc. Airbag cushion
ATE485976T1 (de) * 2007-05-09 2010-11-15 Dalphi Metal Espana Sa Seitenairbag mit adaptiver entlüftungsvorrichtung
US8544883B2 (en) * 2007-06-21 2013-10-01 Trw Vehicle Safety Systems Inc. Tear stitching for inflatable vehicle occupant protection devices
US8262130B2 (en) * 2007-07-30 2012-09-11 Trw Vehicle Safety Systems Inc. Air bag with improved tear stitch
US8419058B2 (en) * 2008-03-21 2013-04-16 Trw Vehicle Safety Systems Inc. Dual volume air bag
US8632095B2 (en) * 2007-06-21 2014-01-21 Trw Vehicle Safety Systems Inc. Air bag with adaptive tether
US7954850B2 (en) * 2007-06-21 2011-06-07 Trw Vehicle Safety Systems Inc. Air bag with adaptive venting
JP2009040206A (ja) * 2007-08-08 2009-02-26 Takata Corp エアバッグ及びエアバッグ装置
JP5186832B2 (ja) * 2007-08-09 2013-04-24 タカタ株式会社 エアバッグ及びエアバッグ装置
KR101014124B1 (ko) * 2007-12-14 2011-02-1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운전석 에어백쿠션 구조
JP5286825B2 (ja) * 2008-02-25 2013-09-11 タカタ株式会社 エアバッグ及びエアバッグ装置
US7938445B2 (en) * 2009-03-03 2011-05-10 Autoliv Asp, Inc. Dual chamber airbag cushions with a safety vent in the front chamber
KR101078882B1 (ko) * 2009-12-09 2011-11-02 아우토리브 디벨롭먼트 아베 보조스트링 및 벤트부를 포함한 전면 에어백
JP5623843B2 (ja) * 2010-09-17 2014-11-12 タカタ株式会社 エアバッグ、エアバッグ装置及びテザーの縫合方法
JP5607480B2 (ja) * 2010-09-24 2014-10-15 タカタ株式会社 エアバッグ、エアバッグ装置及びエアバッグの蓋部材の縫合方法
US8684407B2 (en) * 2010-10-27 2014-04-01 Trw Vehicle Safety Systems Inc. Air bag with height adaptive tether
US8678431B2 (en) * 2010-10-27 2014-03-25 Trw Vehicle Safety Systems Air bag with tether and pulley arrangement
US8500163B2 (en) * 2010-12-21 2013-08-06 Key Safety Systems, Inc Airbag vent assembly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31500B1 (ko) 2006-07-18 2008-05-2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선택적 전개 에어백 장치 및 그 제어방법
JP2008222043A (ja) 2007-03-13 2008-09-25 Nippon Plast Co Ltd エアバッグ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64942A (ko) 2011-06-15
US20110133437A1 (en) 2011-06-09
US8434786B2 (en) 2013-05-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78882B1 (ko) 보조스트링 및 벤트부를 포함한 전면 에어백
US5454595A (en) Hidden volume cushion
CN104290708B (zh) 侧气囊装置
JP7322868B2 (ja) エアバッグ装置
JP2017516702A (ja) 個別膨張式二段クッションエアバッグ
JP2015143086A (ja) サイドエアバッグ装置
JP7286867B2 (ja) 周囲エアバッグアセンブリ
JP5187818B2 (ja) 膝保護用エアバッグ装置
WO2005039938A1 (ja) サイドカーテンエアバッグ
JP2011057208A (ja) エアバッグ
JP2007216954A (ja) エアバッグ用クッション形状づけスリーブおよびテザー
KR20120099012A (ko) 에어백 장치
JP6396572B2 (ja) 車両用サイドカーテンエアバッグ
CN112141038A (zh) 侧面安全气囊装置和膝部安全气囊装置
JPH07277129A (ja) エアバッグ装置
JP5885329B2 (ja) エアバッグ
JP2020114687A (ja) 側突用エアバッグ装置
CN116198446A (zh) 远侧气囊装置
KR101094880B1 (ko) 3 챔버를 구비한 전면 에어백
JP4569310B2 (ja) 車両用ニーエアバッグ装置
JP2017065483A (ja) サイドエアバッグ装置
KR101875919B1 (ko) 에어백 장치
KR20120031804A (ko) 조수석 에어백 장치
JP4608551B2 (ja) 自動車用サイドエアバッグモジュール
KR100986471B1 (ko) 차량용 에어백 어셈블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91209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N2301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date: 20100618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code: PN23011R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1062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11024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11026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11027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