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460725B1 - 차량의 에어백 - Google Patents

차량의 에어백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60725B1
KR101460725B1 KR20130077970A KR20130077970A KR101460725B1 KR 101460725 B1 KR101460725 B1 KR 101460725B1 KR 20130077970 A KR20130077970 A KR 20130077970A KR 20130077970 A KR20130077970 A KR 20130077970A KR 101460725 B1 KR101460725 B1 KR 10146072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nt
airbag cushion
hole
airbag
guid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201300779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영덕
Original Assignee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300779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60725B1/ko
Priority to US14/217,622 priority patent/US8888128B1/en
Priority to CN201410156188.9A priority patent/CN104276128B/zh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607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60725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3Inflatable members
    • B60R21/239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vent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3Inflatable members
    • B60R21/231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onstruction or spatial configuration
    • B60R21/2334Expansion control featu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3Inflatable members
    • B60R21/235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material
    • B60R2021/23571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material characterised by connections between panels
    • B60R2021/23576Sew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3Inflatable members
    • B60R21/239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venting means
    • B60R2021/2395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venting means comprising means to control the ven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ir Bags (AREA)
  • Mattresses And Other Support Structures For Chairs And Be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입된 가스를 외부로 배출하는 벤트 홀이 형성된 에어백 쿠션;
상기 에어백 쿠션 내부로 유입된 가스를 상기 벤트 홀로 유도하는 가이드 홀이 형성되어 상기 에어백 쿠션의 내부에 배치되는 벤트 가이드;
상기 벤트 가이드와 상기 에어백 쿠션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에어백 쿠션의 전개 초기시 및 전개 말기시에는 상기 가이드 홀 및 벤트 홀이 개방되게 하고, 상기 에어백 쿠션의 전개 중기시에는 상기 가이드 홀 및 벤트 홀 중 적어도 하나가 차폐되게 하는 벤트 커버를 포함하는 차량의 에어백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차량의 에어백{AN AIRBAG OF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의 에어백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복수의 벤트기능이 통합되어 달성될 수 있는 차량의 에어백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 충돌사고시 탑승자 쪽으로 전개되어 운전자 및 탑승자들의 상체 및 안면 등의 상해치를 감소시키는 운전자용 에어백, 조수석용 에어백 등은 이제 대부분의 자동차에 설치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러한 상기 조수석용 에어백은 3세에서 6세 및 노약자 등의 승차자의 아웃 오브 포지션(Out Of Position: OOP) 상태에서도 승차자의 목 및/또는 머리의 상해치를 감소시키기 위해, 전개되어야 한다.
이때, 상기 에어백 쿠션이 전개될시 고압의 가스가 순간적으로 상기 에어백 쿠션을 전개 시키므로써 상기 에어백 쿠션이 만개되고, 만개된 에어백 쿠션에 탑승자의 헤드부분과 접촉하게 되면 상기 에어백 쿠션에 의한 상해로 인해 더욱 위험해 질 수 있다.
그래서 최근에는 상기 에어백 쿠션에 벤트가 형성되어 상기 에어백 쿠션의 전개시 공기가 빠져나가는 벤트로 인하여 상기 에어백 쿠션과 부딪쳤을 때 승객의 목과 머리 등의 부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에어백 쿠션의 내부 가스를 외부로 분출시킬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이다.
이러한, 벤트의 유형으로는 엑티브 벤트(Active Vent)와 상해저감형 벤트(Low Risk Deployment Vent)등이 있는바, LRD 벤트는 에어백 쿠션의 전개 초기시에 개방되어 에어백 쿠션의 내부로 유입된 가스의 일부가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고, 에어백 쿠션의 전개 중기시에는 액티브 벤트와 LRD 벤트가 폐쇄되어 에어백 쿠션의 전개를 촉진시키며, 에어백 쿠션의 전개 말기시에는 LRD 벤트는 폐쇄된 상태를 유지하고 액티브 벤트가 개방되어 에어백 쿠션 내부로 유입된 가스의 일부가 상기 액티브 벤트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되도록 함으로써 탑승자의 상해치를 감소시킨다. 한편, 엑티브 벤트(Active vent)는 TRU(Tether Released Unit)로부터 신호를 전송받아 상기 엑티브 벤트와 연결된 엑티브 벤트 테더(Active vent tether)가 끈어져 오픈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에어백 쿠션은 상기 엑티브 벤트와 상해저감형 벤트를 구비하여야 하므로 쿠션구조가 복잡해지고 부품이 많아져서 제작이 어렵고 제조비가 증가된다.
삭제
삭제
또, 상기 엑티브 벤트를 오픈 및 클로즈 하기 위한 TRU의 구성품이 추가되어 원가가 상승된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차량의 에어백에 있어서, 벤트 시스템을 개선하여 간단한 구조를 가지면서도 탑승자를 보호할 수 있도록하는 차량의 에어백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에어백은,
유입된 가스를 외부로 배출하는 벤트 홀이 형성된 에어백 쿠션;
상기 에어백 쿠션 내부로 유입된 가스를 상기 벤트 홀로 유도하는 가이드 홀이 형성되어 상기 에어백 쿠션의 내부에 배치되는 벤트 가이드;
상기 벤트 가이드와 상기 에어백 쿠션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에어백 쿠션의 전개 초기시 및 전개 말기시에는 상기 가이드 홀 및 벤트 홀이 개방되게 하고, 상기 에어백 쿠션의 전개 중기시에는 상기 가이드 홀 및 벤트 홀 중 적어도 하나가 차폐되게 하는 벤트 커버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에어백은 제1 연결부에 의하여 일단부가 상기 벤트 커버의 일측과 연결되고 타단부가 상기 에어백 쿠션과 연결되는 제1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에어백은 제2 연결부에 의하여 일단부가 상기 벤트 커버의 타측과 연결되고 타단부가 상기 에어백 쿠션과 연결되는 제2코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코드 및 제2코드는 상기 벤트 커버를 중심으로 서로 대향되게 배치되어, 상기 제1코드는 상기 에어백 쿠션의 전면측에 연결되고, 상기 제2코드는 상기 에어백 쿠션의 후면측에 연결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벤트 커버는 상기 에어백 쿠션이 전개되기 전에 일부가 상기 벤트 홀 외측으로 돌출된 돌출부를 구비하고, 에어백 쿠션의 전개 중기시에 상기 제1 연결부 및/또는 제2 연결부에 작용되는 장력에 의하여 상기 돌출부가 상기 벤트 홀 내측으로 삽입되어 상기 가이드 홀이 차폐되고, 상기 제1코드 및/또는 상기 제2코드에 소정 크기 이상의 장력이 작용되면, 상기 제1연결부 및/또는 제2 연결부가 파단되어, 상기 가이드 홀이 개방된다.
상기 제1 연결부 및/또는 제2 연결부가 파단되면 상기 벤트 커버의 일부가 에어백 쿠션 내부의 가스압으로 상기 벤트 홀의 외측으로 돌출되고 상기 벤트홀을 통하여 가스가 배출된다.
상기 벤트 홀의 폭 또는 직경은 상기 가이드 홀의 폭 또는 직경보다 크게 형성되고, 상기 벤트 커버의 폭은 상기 벤트 홀의 폭 또는 직경보다 작게 형성되며 상기 가이드 홀의 폭 또는 직경보다 크게 형성된다.
상기 벤트 홀 및 가이드 홀은 1개 또는 2개 이상이 형성되고, 상기 벤트 커버 및 상기 벤트 가이드는 상기 에어백 쿠션의 전면측에 박음질에 의하여 연결되고, 상기 벤트 가이드는 또한 그 가장자리가 상기 에어백 쿠션의 전면측에 박음질에 의하여 연결된다.
상기 벤트 홀은 원형, 타원형, 또는 정방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 홀은 원형으로 형성되며, 상기 벤트 커버는 장방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본 발명의 차량의 에어백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하나 혹은 그 이상 있다.
본 발명의 차량의 에어백의 적용시, 3세에서 6세 및 노약자 등의 아웃 오브 포지션(Out Of Position: OOP) 상태에서도 승객의 목 및/또는 머리의 상해치를 감소시키고, 손상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 쿠션 어셈블리(Cushion Assembly)의 LRD 및/또는 액티브 벤트에 관련하여 부품의 삭제로 무게가 감소된다.
삭제
또, TRU(Tether Released Unit)와 TRU 마운팅 클립(TRU Mounting Clip) 등의 조립 공정이 생략되어 에어백의 경량화가 가능하여 제조 원가가 절된된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에어백의 일실시예의 에어백 쿠션이 초기 전개시를 나타낸 정면도,
도 2는 도 1에 A-A부분을 도시한 단면도,
도 3은 도 1의 일부를 확대한 부분확대도.
도 4는 도 1의 에어백 쿠션이 전개 중임을 나타낸 정면도,
도 5는 도 4의 B-B부분을 도시한 단면도,
도 6은 도 4의 일부를 확대한 부분확대도.
도 7는 도 1의 차량의 에어백의 일실시예에 의해 에어백 쿠션이 만개된 정면도,
도 8은 도 7의 C-C부분을 도시한 단면도,
도 9는 도 7의 일부를 확대한 부분확대도,
도 10는 도 1의 에어백 쿠션의 벤트 홀과 다른 제2 실시예가 도시된 정면도,
도 11는 도 10의 제3 실시예가 도시된 정면도,
도 12는 도 10의 제4 실시예가 도시된 정면도,
도 13는 도 1의 에어백 쿠션의 가이드 홀과 다른 제2 실시예가 도시된 정면도,
도 14는 도 13의 제3 실시예가 도시된 정면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여 차량의 에어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바람직한 차량의 에어백은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변경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차량의 에어백인 경우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에어백의 일실시예의 에어백 쿠션이 일부 전개시를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2는 도 1에 A-A부분을 도시한 단면도와, 도 3은 도 1의 일부를 확대한 부분확대도이고, 도 4는 도 1의 에어백 쿠션이 전개시를 나타낸 정면도와 도 5는 도 4의 B-B부분을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6은 도 4의 일부를 확대한 부분확대도와 도 7는 도 1의 차량의 에어백의 일실시예에 의해 에어백 쿠션이 만개된 정면도이고, 도 8은 도 7의 C-C부분을 도시한 단면도와 도 9는 도 7의 일부를 확대한 부분확대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에어백은, 도 1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가스의 유입시 가스의 압력으로 승객을 향해 전개되는 에어백 쿠션(10), 벤트 가이드(30), 벤트 커버(40), 제1코드(50) 및 제2코드(60)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에어백 쿠션(10)을 조수석 에어백으로 예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삭제
도 1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상기 에어백 쿠션(10)은 차량에 가해지는 충돌 또는 충격에 의해 제어부(미도시)가 인플레이터(미도시)로 충돌 신호를 전달하게 되면 상기 인플레이터로부터 분출되는 가스의 압력으로 승객을 향해 전개되는데, 상기 에어백 쿠션(10)에는 가스를 외부로 배출하는 복수의 벤트 홀(20)이 형성된다.
상기 복수의 벤트 홀(20)은 상기 에어백 쿠션(10)에 형성되어 상기 에어백 쿠션(10)의 내부 가스를 외부로 배출하여 상기 에어백 쿠션(10)의 내부 압력을 조절한다. 상기 벤트 홀(20)은 상기 에어백 쿠션(10)에 하나 또는 복수개 형성될 수 있으며, 복수개 형성되는 경우 상기 에어백 쿠션(10) 내부의 가스가 용이하게 배출되도록 서로 다른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도 1 내지 9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상기 벤트 홀(20)은 4각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나, 다른 형상으로도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벤트 홀(20)과 대응되는 가이드 홀(35)이 형성된 벤트 가이드(30)가 상기 에어백 쿠션(10)의 내부에 배치된다.
상기 벤트 가이드(30)는 상기 에어백 쿠션(10)과 같은 재질로 제조될 수 있고, 상기 벤트 가이드(30)는 장방형으로 길게 형성되고, 양단부는 끝단을 향하여 폭이 좁아지게 형성될 수 있다.
삭제
상기 벤트 가이드(30)는 상기 복수의 벤트 홀(20)의 중심과 상기 가이드 홀(35)의 중심을 일치시켜 상기 에어백 쿠션(10)의 내부에 배치된다. 상기 에어백 쿠션(10)과 상기 벤트 가이드(30)의 사이에 벤트 커버(40)가 배치되어 상기 벤트 가이드(30)와 함께 중앙부가 에어백 쿠션(10)에 박음질(70)되어 고정된다. 상기 벤트가이드(30) 및 벤트 커버(40)는 상기 박음질(70) 이외의 다른 고정수단에 의하여 에어백 쿠션(10)에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벤트 가이드(30)는 상기 벤트 가이드(30)의 외측 둘레를 따라 상기 에어백 쿠션(10)에 박음질 된다.
상기 벤트 가이드(30)는 상기 에어백 쿠션(10)에 연결시 상기 에어백 쿠션(10)의 내부 가스 압력으로 상기 에어백 쿠션(10)으로부터 분리되지 않도록 견실하게 연결된다.
상기 가이드 홀(35)은 상기 벤트 홀(20)보다 작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삭제
상기 벤트 커버(40)는 장방형으로 길게 형성되고, 양단부(41, 42)는 각각 끝단을 향하여 폭이 좁아지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벤트 커버(40)의 폭은 상기 벤트 홀(20)의 폭 보다 작고, 상기 가이드 홀(35)의 폭 보다 크게 형성된다. 상기 벤트 커버(40)는 에어백 쿠션의 전개 초기단계에서 도 2,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벤트 가이드(30)와 상기 에어백 쿠션(10)의 사이에 배치되어 일부가 상기 복수의 벤트홀(20)을 통해 돌출되게 배치된다. 따라서, 에어백 쿠션(10)의 전개 초기시에는 에어백 쿠션(10) 내부로 유입된 가스가 상기 가이드 홀(35), 벤트 홀(20), 및 상기 벤트 커버(40)의 돌출부와 에어백 쿠션(10) 사이에 형성된 공간부(15)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된다.
삭제
상기 벤트커버(40)는 일측(41)이 제1코드(50)의 일단부(51)와 파단가능한 박음질(81)에 의하여 연결되고, 타측(42)이 제2코드(60)의 일단부(61)와 파단가능한 박음질(82)에 의하여 연결된다. 상기 벤트 커버의 일측(41)과 대향되는 상기 제1코드(50)의 타단부(미도시)는 에어백 쿠션(10)의 전면부와 연결되고, 상기 벤트 커버의 타측(42)과 대향되는 상기 제2코드(60)의 타단부(미도시)는 에어백 쿠션(10)의 후면부와 연결된다. 한편, 상기 제1코드(50) 및 제2코드(60)는 에어백 쿠션(10)의 대향된 면, 예를 들면 상, 하측면이나, 좌,우측면에 각각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코드(50) 및 제2코드(60)은 에어백 쿠션(10)의 전개시, 상기 벤트커버(40)를 양측의 외측방향으로 당겨줄 수 있는 어떠한 에어백 쿠션(10)의 부위에도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1코드(50) 및 제2코드(60)가 에어백 쿠션(10)의 전, 후면부에 연결된 경우, 상기 에어백 쿠션(10)이 전개됨에 따라 상기 제1코드(50) 및 제2코드(60)가 전후 방향으로 당겨지므로 상기 벤트 커버(40)의 양측(41, 42)에 외측방향으로 장력이 작용되어, 상기 벤트 커버(4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벤트 홀(20)로부터 돌출된 부위가 벤트 홀(20) 내부로 삽입되면서 상기 가이드 홀(35)을 차폐시킨다. 이에 따라, 에어백 쿠션(10)의 전개 중기시에는 에어백 쿠션(10) 내부의 공기가 에어백 쿠션(10)의 외부로 배출될 수 없으므로, 에어백 쿠션의 전개가 촉진된다.
그 다음, 에어백 쿠션(10)의 전개가 계속되어 상기 제1 코어(50) 및 제2코드(60)에 의하여 상기 벤트 커버(40)의 양측(41, 42)에 소정 크기 이상의 장력이 작용되면, 상기 벤트커버(40)의 양측(41, 42)과 상기 제1코드(50) 및 상기 제2코드(60)의 일단부(51, 52)를 연결하고 있는 박음질(81, 82)한 연결부가 파단된다. 따라서 에어백 쿠션(10)의 상기 벤트커버(40)의 양측(41, 42)은 각각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복수의 벤트홀(20)로부터 외부로 돌출되어 상기 가이드 홀(35) 및 벤트 홀(20)이 개방된다.
따라서, 에어백 쿠션(10)의 전개 말기시에는 에어백 쿠션(10)의 내부로 유입된 고압의 가스가 상기 가이드 홀(35) 및 벤트 홀(20)을 통하여 에어백 쿠션(10)의 외부로 토출된다.
상기 복수의 벤트 홀(20)은 도 10 내지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형(20a), 타원형(20b), 또는 정방형(20c)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벤트 가이드(30)는 도 13 및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4각형, 또는 일단과 타단이 반원(30b)형상의 장방형(30b)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에어백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벤트 홀(20)이 형성된 에어백 쿠션(10) 내에 가이드 홀(35)이 형성된 벤트 가이드(30)가 배치되고, 상기 에어백 쿠션(10)과 상기 벤트 가이드(30)의 사이에 벤트 커버(40)가 배치되고, 상기 벤트 커버(40)는 일부가 상기 벤트 홀(20)로부터 에어백 쿠션(10)의 외측으로 돌출된 상태로, 상기 에어백 쿠션(10)이 폴딩되어 보조석 사이드 시트에 수납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상기 벤트 커버(40)의 일측(41)은 제1코드(50)의 일단부(51)와 연결되고, 상기 벤트 커버(40)의 타측(42)은 제2코드(60)의 일단부(61)와 연결되며, 상기 제1코드(50)의 타단부는 상기 에어백 쿠션(10)의 전면측과 연결되고, 상기 제2코드(60)의 타단부는 상기 에어백 쿠션(10)의 후면측에 연결된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에어백 쿠션(10)은 차량에 가해지는 충격에 의해 전개되는 데, 상기 에어백 쿠션(10)의 전개 초기시, 즉 에어백 쿠션의 전개 개시부터 30ms이내인 시기는 상기 제1코드(50)와 상기 제2코드(60)에 장력이 발생하기 시작하는 시기로서, 상기 벤트 커버(40)의 돌출부는 적어도 일부가 상기 벤트홀(20)의 외부로 돌출되어 있다.
따라서, 에어백 쿠션의 전개 초기에는 상기 에어백 쿠션(10)의 내부의 가스는 상기 가이드 홀(35), 상기 벤트홀(20), 및 상기 벤트커버(40)의 돌출부와 상기 에어백 쿠션(10) 사이에 형성된 공간부(15)를 통하여 상기 에어백 쿠션(10)의 외부로 배출된다. 따라서, 에어백 쿠션의 전개 초기시에 상기 벤트홀(20)을 통하여 외부로 가스가 배출되므로, 탑승자가 유아인 경우 에어백 쿠션의 충격에 의한 상해치가 저감될 수 있다.
다음,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상기 에어백 쿠션(10)의 전개 중기시, 즉, 에어백 쿠션(10)의 전개 개시로부터 대략 30-60ms의 사이에, 상기 제1코드(50)와 상기 제2코드(60)의 장력은 점차 증대된다.
따라서, 상기 벤트 커버(40)의 양측(41, 42)을 상기 제1코드(50) 및 상기 제2코드(60)가 당기게 되어 상기 벤트 커버(40)의 돌출부가 펴지면서 상기 벤트홀(20) 내부로 삽입되어 상기 가이드 홀(35)을 차폐한다. 이는 충격실험에서의 더미가 에어백 쿠션에 닿기 직전의 단계로서, 에어백 쿠션(10) 내부의 가스가 외부로 배출될 수 없으므로, 에어백 쿠션(10)이 신속하게 전개되고, 상기 벤트 커버(40)의 양측(41, 42)과 제1코드(50) 및 제2코드(60)를 연결하고 있는 박음질(81, 82)은 파단되기 시작한다.
다음, 도 7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상기 에어백 쿠션(10)의 만개시, 즉 에어백 쿠션의 전개 개시로부터 대략 60ms 이후인 전개 말기시에는 상기 박음질(81, 82)이 완전히 파단되어 상기 벤트 커버(40)의 양측(41, 42)은 상기 벤트 홀(20)을 통하여 상기 에어백 쿠션(10)의 외부로 각각 튀어나온다.
상기 벤트커버(40)의 양측(41, 42)이 상기 에어백 쿠션(10)의 외부로 튀어나오면, 상기 가이드 홀(35) 및 벤트 홀(20)이 개방되므로 상기 가이드 홀(35) 및 벤트 홀(20)을 통하여 상기 에어백 쿠션(10) 내의 내부 가스가 에어백 쿠션(10) 외부로 배출되므로, 상기 에어백 쿠션(10)의 내부 압력이 낮아져 탑승자에 미치는 충격이 저감되면서 충돌 시간이 길게 되어 에어백 쿠션의 전개에 따른 탑승자의 상해를 최소화 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될 것이다.
삭제
삭제
<주요도면부호의 상세한 설명>
10: 에어백 쿠션 20: 벤트 홀
30: 벤트 가이드 40: 벤트 커버
50: 제1 코드 60: 제2 코드
70: 고정부

Claims (17)

  1. 유입된 가스를 외부로 배출하는 벤트 홀이 형성된 에어백 쿠션;
    상기 에어백 쿠션 내부로 유입된 가스를 상기 벤트 홀로 유도하는 가이드 홀이 형성되어 상기 에어백 쿠션의 내부에 배치되는 벤트 가이드;
    상기 벤트 가이드와 상기 에어백 쿠션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에어백 쿠션의 전개 초기시 및 전개 말기시에는 상기 가이드 홀 및 벤트 홀이 개방되게 하고, 상기 에어백 쿠션의 전개 중기시에는 상기 가이드 홀 및 벤트 홀 중 적어도 하나가 차폐되게 하는 벤트 커버; 및
    제1 연결부에 의하여 일단부가 상기 벤트 커버의 일측과 연결되고 타단부가 상기 에어백 쿠션과 연결되는 제1 코드를 포함하고,
    상기 벤트 커버는 상기 에어백 쿠션이 전개되기 전에 일부가 상기 벤트 홀 외측으로 돌출된 돌출부를 구비하고, 에어백 쿠션의 전개 중기시에 상기 제1 연결부에 작용되는 장력에 의하여 상기 돌출부가 상기 벤트 홀 내측으로 삽입되어 상기 가이드 홀이 차폐되는 차량의 에어백.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제2 연결부에 의하여 일단부가 상기 벤트 커버의 타측과 연결되고 타단부가 상기 에어백 쿠션과 연결되는 제2코드를 더 포함하는 차량의 에어백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코드 및 제2코드는 상기 벤트 커버를 중심으로 서로 대향되게 배치된 차량의 에어백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코드는 상기 에어백 쿠션의 전면측에 연결되고, 상기 제2코드는 상기 에어백 쿠션의 후면측에 연결된 차량의 에어백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코드에 소정 크기 이상의 장력이 작용되면, 상기 제1 연결부가 파단되어, 상기 가이드 홀이 개방되는 차량의 에어백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연결부가 파단되면 상기 벤트 커버의 일부가 상기 벤트 홀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차량의 에어백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벤트 커버의 폭은 상기 벤트 홀의 폭 또는 직경보다 작게 형성된 차량의 에어백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벤트 커버의 폭은 상기 가이드 홀의 폭 또는 직경보다 크게 형성된 차량의 에어백.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벤트 홀 및 가이드 홀은 복수개 형성된 차량의 에어백.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벤트 커버는 상기 에어백 쿠션에 박음질에 의하여 연결된 차량의 에어백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벤트 가이드는 그 가장자리가 상기 에어백 쿠션에 박음질에 의하여 연결된 차량의 에어백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홀은 상기 벤트 홀 보다 폭 또는 직경이 작게 형성되는 챠량의 에어백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벤트 홀은 원형, 타원형, 또는 정방형으로 형성된 차량의 에어백

  1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홀은 원형으로 형성된 차량의 에어백.

  1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벤트 커버는 장방형으로 형성된 차량의 에어백


KR20130077970A 2013-07-03 2013-07-03 차량의 에어백 Active KR101460725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77970A KR101460725B1 (ko) 2013-07-03 2013-07-03 차량의 에어백
US14/217,622 US8888128B1 (en) 2013-07-03 2014-03-18 Airbag for vehicle
CN201410156188.9A CN104276128B (zh) 2013-07-03 2014-04-17 车辆气囊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77970A KR101460725B1 (ko) 2013-07-03 2013-07-03 차량의 에어백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60725B1 true KR101460725B1 (ko) 2014-11-12

Family

ID=518700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077970A Active KR101460725B1 (ko) 2013-07-03 2013-07-03 차량의 에어백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8888128B1 (ko)
KR (1) KR101460725B1 (ko)
CN (1) CN104276128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085168A1 (en) * 2014-11-27 2016-06-02 Autoliv Development Ab Vehicle airbag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50115584A1 (en) * 2013-10-31 2015-04-30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Partial low risk deployment vent assembly for an airbag assembly
JP6397916B2 (ja) * 2013-11-29 2018-09-26 ティーケー ホールディングス インク.Tk Holdings Inc. デュアルチャンバー乗客エアバッグ
JP6305746B2 (ja) * 2013-12-11 2018-04-04 タカタ株式会社 エアバッグ及びエアバッグ装置
DE102017203093A1 (de) * 2017-02-24 2018-08-30 Bayerische Motoren Werke Aktiengesellschaft Druckbehälteranordnung und Fahrzeug mit der Druckbehälteranordnung
JP6792523B2 (ja) * 2017-07-10 2020-11-25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エアバッグ装置
US10882487B2 (en) 2019-02-27 2021-01-05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Airbag with selectively releasable external v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53717A (ko) * 2004-11-17 2006-05-22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차량의 사이드 에어백
KR20110138674A (ko) * 2010-06-21 2011-12-28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조수석 에어백 장치
KR20130032687A (ko) * 2011-09-23 2013-04-02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조수석 에어백 장치
KR20130050657A (ko) * 2011-11-08 2013-05-16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에어백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05664A (ja) * 1997-08-08 1999-04-20 Toyoda Gosei Co Ltd エアバッグ装置
JP2002144996A (ja) * 2000-11-14 2002-05-22 Nippon Plast Co Ltd エアバッグ及びエアバッグの折畳方法
US7566074B2 (en) * 2002-02-20 2009-07-28 Delphi Technologies,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an inflatable cushion
US6932386B2 (en) * 2002-07-01 2005-08-23 Honda Giken Kogyo Kabushiki Kaisha Occupant restraint system including side airbag with vent hole
JP3777362B2 (ja) * 2003-04-15 2006-05-24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エアバッグ装置
DE102004059085A1 (de) * 2004-12-02 2006-06-08 Takata-Petri Ag Gassack für ein Airbagmodul eines Kraftfahrzeugs
US20070170710A1 (en) * 2006-01-24 2007-07-26 Benoit Bouquier Venting systems for inflatable objects
CN101378936B (zh) * 2006-02-03 2010-12-22 高田株式会社 气囊以及气囊装置
US7607689B2 (en) * 2006-07-27 2009-10-27 Trw Vehicle Safety Systems, Inc. Air bag vent with tether
WO2008136336A1 (ja) * 2007-05-01 2008-11-13 Takata Corporation エアバッグ及びエアバッグ装置
KR20080045929A (ko) * 2006-11-21 2008-05-2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에어백의 벤트 홀 모듈
US7770926B2 (en) * 2007-08-09 2010-08-10 Autoliv Asp, Inc. Airbag adaptive venting for out-of-position occupants
JP5001869B2 (ja) * 2008-01-30 2012-08-15 日本プラスト株式会社 エアバッグ装置
CN101284519A (zh) * 2008-05-24 2008-10-15 锦州锦恒汽车安全系统有限公司 排气可调气囊装置
JP4892029B2 (ja) * 2009-04-01 2012-03-07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車両用エアバッグ装置
KR101078882B1 (ko) * 2009-12-09 2011-11-02 아우토리브 디벨롭먼트 아베 보조스트링 및 벤트부를 포함한 전면 에어백
US8491004B2 (en) * 2010-04-19 2013-07-23 Tk Holdings Inc. Airbag module
US8590927B2 (en) * 2010-04-19 2013-11-26 Tk Holdings Inc. Airbag module
US8534704B2 (en) * 2011-05-24 2013-09-17 Trw Vehicle Safety Systems, Inc. Active air bag vent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53717A (ko) * 2004-11-17 2006-05-22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차량의 사이드 에어백
KR20110138674A (ko) * 2010-06-21 2011-12-28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조수석 에어백 장치
KR20130032687A (ko) * 2011-09-23 2013-04-02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조수석 에어백 장치
KR20130050657A (ko) * 2011-11-08 2013-05-16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에어백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085168A1 (en) * 2014-11-27 2016-06-02 Autoliv Development Ab Vehicle airbag
US10322693B2 (en) 2014-11-27 2019-06-18 Autoliv Development Ab Vehicle airba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4276128A (zh) 2015-01-14
US8888128B1 (en) 2014-11-18
CN104276128B (zh) 2016-07-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60725B1 (ko) 차량의 에어백
KR101509780B1 (ko) 차량용 사이드에어백 유닛
KR101720979B1 (ko) 차량의 동승석 에어백
KR20140124231A (ko) 에어백 모듈의 승객 목 상해 방지장치
KR20160035344A (ko) 차량의 에어백
KR20110037598A (ko) 자동차용 필러 램프 어셈블리
KR101542851B1 (ko) 차량의 에어백
KR102088737B1 (ko) 차량용 에어백
KR102533287B1 (ko) 동승석 에어백 장치
KR102200689B1 (ko) 에어백 장치
KR101360437B1 (ko) 커튼 에어백 장치용 에어백 쿠션 모듈
KR101272921B1 (ko) 차량용 에어백쿠션
KR20160017997A (ko) 동승석 에어백 장치
KR20190057898A (ko) 차량용 시트의 사이드 에어백 전개 구조
KR101283695B1 (ko) 에어백 쿠션
KR101430194B1 (ko) 차량의 운전석 에어백 모듈
KR100656618B1 (ko) 차량용 커튼 에어백
KR100788189B1 (ko) 자동차용 조수석 에어백 모듈 및 그 폴딩방법
KR100629348B1 (ko) 커튼 에어백
KR101284312B1 (ko) 차량용 에어백쿠션
KR20150051758A (ko) 에어백
KR100580015B1 (ko) 커튼 에어백의 가이드 장치
KR101905876B1 (ko) 에어백 장치
KR102656681B1 (ko) 차량용 트림에어백
KR101594772B1 (ko) 에어백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30703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40516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41013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41105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41105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23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1023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29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1029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28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1028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1021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1025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1024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1025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