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061990B1 - 포장체 - Google Patents

포장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61990B1
KR101061990B1 KR1020080104271A KR20080104271A KR101061990B1 KR 101061990 B1 KR101061990 B1 KR 101061990B1 KR 1020080104271 A KR1020080104271 A KR 1020080104271A KR 20080104271 A KR20080104271 A KR 20080104271A KR 101061990 B1 KR101061990 B1 KR 10106199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m
opening
package
tape
opening ta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042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109043A (ko
Inventor
가츠 우에노
Original Assignee
일야상사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일야상사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일야상사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0901090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0904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619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619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5/00Packages comprising articles or materials partially or wholly enclosed in strips, sheets, blanks, tubes or webs of flexible sheet material, e.g. in folded wrappers
    • B65D75/52Details
    • B65D75/58Opening or contents-removing devices added or incorporated during package manufacture
    • B65D75/66Inserted or applied tearing-strings or like flexible elements
    • B65D75/68Inserted or applied tearing-strings or like flexible elements extending through wrapper closure or between wrapper lay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1/00Table-ware
    • A47G21/001Holders or wrappers as eating aids for fast food, e.g. hamburg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ackages (AREA)
  • Bag Frames (AREA)
  • Packaging Frangible Articles (AREA)

Abstract

라벨이 부착되어 있어도, 이 라벨 부착면에 있어서, 예를 들면 샌드위치의 취출용 개구부를 넓게 형성할 수 있는 기술을 제안하는 것이다.
물건을 포장하는 포장체로서, 상기 포장체는 필름으로 구성되어 있고, 상기 필름은, 상기 포장체의 적어도 배면부 및 측면일부를 구성하기 위해, 대략 사다리꼴 형상부와 대략 직사각형 형상부가 연결된 형상의 제1 필름과, 상기 포장체의 적어도 정면부 및 측면일부를 구성하기 위해, 대략 사다리꼴 형상부와 대략 직사각형 형상부가 연결된 형상의 제2 필름과, 상기 제1 필름의 표면에 구비된 제1 개봉용 테이프와, 상기 제1 필름의 표면에 구비된 제2 개봉용 테이프를 구비하게 되어있고, 상기 제1 개봉용 테이프 및 상기 제2 개봉용 테이프의 상단측은, 상기 제1 필름의 대략 직사각형 형상부에 존재하도록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제1 개봉용 테이프의 하단측은, 상기 필름으로 포장체를 구성했을 때, 상기 포장체의 좌측면부에 존재하도록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제2 개봉용 테이프의 하단측은, 상기 필름으로 포장체를 구성했을 때, 상기 포장체의 우측면부에 존재하도록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제1 필름과 상기 제2 필름은, 상기 사다리꼴 형상부의 좌우의 사변(斜邊)에 따라 서로 접합함과 동시에, 상기 사다리꼴 형상부의 상변부를 따라 서로 접합하도록 한다.

Description

포장체{Package}
본 발명은, 예를 들면 샌드위치 등 식품의 포장체에 관한 것이다.
최근 편의점 등에서의 샌드위치 등의 식품 판매량은 상당하다. 이런 물품의 판매시의 포장형태는, 도 7에 표시된 형태가 일반적이다. 도 7 중에 21a, 21b, 21c, 21d는 샌드위치이다. 22는 포장용 필름이다. 더욱이 샌드위치(21a, 21b, 21c, 21d)는 그 형상이 일반적으로는 대략 직각 이등변 삼각형이다. 이런 형상의 2장의 빵 사이에 재료(예를 들면, 달걀, 햄, 야채, 치즈 등)가 들어가 있다. 그리고 이런 샌드위치(21a, 21b, 21c, 21d)가 여러 장 조합되어 포장용 필름(22)으로 포장된다.
여기서, 상기와 같이 포장된 샌드위치를 구입한 소비자는 포장용 필름(22)을 뜯고, 개구부를 만든다. 그리고 이 개구부로부터 샌드위치를 꺼내먹는다.
이 샌드위치의 취출(取出)(즉, 포장용 필름(22)을 뜯고 개구부를 형성)작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 포장체(B)의 배면측에 개봉용 테이프(티어테이프)(23)가 구비된다. 즉 구입한 소비자는 티어테이프(23)에 연결된 파지(把持)부(23a)를 손으로 잡고, 파지부(23)를 뜯어 내린다. 그렇게 하면 도 8에 표시된 것처럼 티어테이프(23)의 단면을 따라서 포장용 필름(22)이 뜯겨져 개구부(24)가 형성된다. 그리고 이 개구부(24)로부터 샌드위치(21a, 21b, 21c, 21d)를 한 장씩 꺼내 샌드위치를 먹는다.
그런데 위와 같은 표장형태의 것에서는 샌드위치의 취출이 번거롭기 때문에 시간이 걸리는 것을 알게 되었다.
즉, 티어테이프(23)에 힘을 넣으면, 개구부(24)가 형성된다. 그러나 한 개의 티어테이프(23)로 형성된 개구부(24)는 그 폭이 좁다.
결국, 티어테이프(23)의 폭은 기껏해야 빵 1장의 두께 정도이다. 따라서 개구부(24)의 폭은 한 장의 샌드위치 두께의 반 정도이다. 이는 개구부(24)로부터 한 장의 샌드위치(21a)를 꺼낼 때 개구부(24)의 양쪽 필름을 옆으로 잡아당겨 개구폭을 넓히지 않으면 안된다. 혹은 개구부(24) 양쪽의 필름 끝부분에 샌드위치(21a)가 걸려도 무리하게 꺼내지 않으면 안된다.
그러나 이런 작업은 간단하지 않고 시간이 걸린다. 더욱이 경우에 따라서는 재료(예를 들면 마요네즈와 반숙 달걀과 같은 유동성 재료)가 빠져나온다. 이런 빠져 나오는 재료 때문에 손과 의복이 더러워진다.
이런 문제점을 해결하는 것으로써, 도 9에 표시된 것이 제안(일본특허 2007-153410)되었다. 도 9 중에 31a, 31b, 31,c, 31d는 샌드위치 이다. 32는 포장용 필름이다. 33a, 33b는 포장체 C의 배면(배면을 구성하는 필름)에 구비된 한 쌍의 개봉용 테이프(티어테이프)이다. 즉 도 7의 티어테이프는 한 개인 것에 비해, 도 9의 티어테이프는 2개이다. 따라서 한 쌍의 티어테이프(33a, 33b)에 의해 형성되는 개구부(34)가 그만큼 넓어지게 된다. 그러므로 도 7의 경우의 문제점이 개선된다고 알려져있다.
<특허문헌1> 일본특허공개 제2007-153410호
한편, 일본특허공개 제2007-153410호의 제안된 기술은 훌륭하다.
그러나, 이 제안의 기술을 제품에 응용한 경우, 문제점이 생기는 것이 판명되었다.
즉, 포장체의 배면에는 통상 라벨(35)이 부착된다. 즉 , 샌드위치 가공일, 샌드위치 재료위 설명과 같은 정보를 개시한 라벨(35)이 부착되어 있다.
이때문에, 티어테이프(33a, 33b)에 힘이 작용되어도, 라벨(35)이 부착된 영역에서는, 필름(32)이 뜯어지기 어렵다. 특히, 티어테이프(33a, 33b)의 폭이 좁기 때문에 필름(32)이 한층 찍어지기 어렵다. 즉, 개구부(34)가 아래까지 형성되지 않는다. 이것으로는 역시 샌드위치를 꺼내는 것이 힘들다.
한편, 라벨(35)을 부착하지 않으면, 문제는 없다. 그러나 실제로는 라벨(35)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해야 하는 것이다. 즉, 라벨이 부착되어 있어도, 넓은 개구부가 형성될 수 있는 기술을 제안하는 것이다. 다시말해 라벨이 부착되어 있어도 그 라벨 부착면에 있어서, 예를 들면 샌드위치 취출용 개구부를 넓게 형성할 수 있는 기술을 제안하는 것이다. 더욱이, 티어테이프의 폭이 좁아도 포장 필름을 용이하게 뜯을 수 있는 기술을 제안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는, 물건을 포장하는 포장체로서, 상기 포장체 내부의 물건을 꺼내기 위한 개구부 형성용의 개봉용 테이프가 여러 개 구비되어 있고, 상기 개봉용 테이프 중에 제1 개봉용 테이프와 제2 개봉용 테이프는, 양자간의 길이가 개봉개시단(開封開始端)측보다 종단(終端)측이 크도록 구비되어, 상기 제1 개봉용 테이프 및 제2 개봉용 테이프의 개봉개시단측은, 포장체 내부의 물건을 꺼내게 되는 취출용 주면(取出用主面)에 존재하도록 구비되며, 상기 제1 개봉용 테이프의 개봉종단측은, 포장체 내부의 물건을 꺼내게 되는 취출용 주면의 좌측 인접면에 존재하도록 구비되어 있고, 상기 제2 개봉용 테이프의 개봉종단측은, 포장체 내부의 물건을 꺼내게 되는, 취출용 주면의 우측 인접면에 존재하도록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체에 의하여 해결된다.
특히, 상기 포장체에 있어서, 상기 제1 개봉용 테이프 및 제2 개봉용 테이프 의 개봉 개시단측을 파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파지부 형성용 노치가 형성되며, 상기 노치의 단부는, 상기 노치의 일단측에 있어서 연상가상선이 상기 제1 개봉용 테이프에 교차되도록 함과 동시에, 상기 노치의 타단측에 있어서 연장가상선이 상기 제2 개봉용 테이프에 교차되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체에 의하여 해결된다.
또한, 상기 포장체에 있어서, 복수개의 물건이 함께 포장되고, 개봉용 테이프의 테이프 폭 길이는, 상기 포장되어 있는 복수개의 물건에 있어 1개 분의 두께 보다도 작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체에 의하여 해결된다.
또한 물건을 포장하는 포장체로서, 상기 포장체는 필름으로 구성되어 있고, 상기 필름은, 상기 포장체의 적어도 배면부 및 측면일부를 구성하기 위해, 대략 사다리꼴 형상부와 대략 직사각형 형상부가 연결된 형상의 제1 필름과, 상기 포장체의 적어도 정면부 및 측면일부를 구성하기 위해, 대략 사다리꼴 형상부와 대략 직사각형 형상부가 연결된 형상의 제2 필름과, 상기 제1 필름의 표면에 구비된 제1 개봉용 테이프와, 상기 제1 필름의 표면에 구비된 제2 개봉용 테이프를 구비하게 되어있고, 상기 제1 개봉용 테이프 및 상기 제2 개봉용 테이프의 상단측은, 상기 제1 필름의 대략 직사각형 형상부에 존재하도록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제1 개봉용 테이프의 하단측은, 상기 필름으로 포장체를 구성했을 때, 상기 포장체의 좌측면부에 존재하도록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제2 개봉용 테이프의 하단측은, 상기 필름으로 포장체를 구성했을 때, 상기 포장체의 우측면부에 존재하도록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제1 필름과 상기 제2 필름은, 상기 사다리꼴 형상부의 좌우의 사변(斜邊)에 따라 서로 접합함과 동시에, 상기 사다리꼴 형상부의 상변부를 따라 서로 접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체에 의하여 해결된다.
특히, 물건을 포장하는 포장체로서, 상기 포장체는 필름으로 구성되어 있고, 상기 필름은, 상기 포장체의 적어도 배면부 및 측면일부를 구성하기 위해, 대략 사다리꼴 형상부와 대략 직사각형 형상부가 연결된 형상의 제1 필름과, 상기 포장체의 적어도 정면부 및 측면일부를 구성하기 위해, 대략 사다리꼴 형상부와 대략 직사각형 형상부가 연결된 형상의 제2 필름과, 상기 제1 필름의 표면에 구비된 제1 개봉용 테이프와, 상기 제1 필름의 표면에 구비된 제2 개봉용 테이프를 구비하게 되어있고, 상기 제1 개봉용 테이프 및 상기 제2 개봉용 테이프의 상단측은, 상기 제1 필름의 대략 직사각형 형상부에 존재하도록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제1 개봉용 테이프의 하단측은, 상기 필름으로 포장체를 구성했을 때, 상기 포장체의 좌측면부에 존재하도록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제2 개봉용 테이프의 하단측은, 상기 필름으로 포장체를 구성했을 때, 상기 포장체의 우측면부에 존재하도록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제1 필름과 상기 제2 필름은, 상기 사다리꼴 형상부의 좌우의 사변(斜邊)에 따라 서로 접합함과 동시에, 상기 사다리꼴 형상부의 상변부를 따라 서로 접합하고, 상기 제1 필름의 대략 직사각형 형상부에는 대략 C 형상의 노치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체에 의하여 해결된다.
일본특허공개 제2007-153410호에 있어서도, 한 쌍의 개봉용 테이프(티어테이프)(33a, 33b)가 구비되어 있다. 더욱이, 상기 공보의 발명의 상세한 설명란의 [0029]에는, 티어테이프 33a와 티어테이프 33b가 대략 八자 형상으로 구비되어도 좋다는 것이 기재되어 있다. 그러나, 이 티어테이프 33a와 티어테이프 33b가 구비된 면은, 한 개의 면(포장체의 배면)에 불과하다. 그런데, 이 면(배면)에는 라벨(35)이 붙여져 있다. 그리고, 티어테이프 33a와 티어테이프 33b가 대략 八자 형상으로 구비되어 있어도, 티어테이프(33a, 33b)가 라벨 부착면에 구비되어 있는 한 개구부가 형성되기 힘들다. 즉, 티어테이프 33a와 티어테이프 33b가 포장체 배면에 있어서 대략 八자 형상으로 구비되어 있어도 의미가 없다. 더욱이, 라벨(35)이 첨부되면, 개구부가 형성되기 힘들다는 문제점의 인식이, 일본특허공개 제2007-153410호에는 없다.
이것에 대해서, 본 발명에서는 제1 개봉용 테이프 및 상기 제2 개봉용 테이프의 개봉 개시단측은, 포장체 내부의 물건을 꺼내게 되는 취출용 주면(예를 들면 배면)에 존재하도록 구비된다. 그리고, 제1 개봉용 테이프의 개봉 종단측은, 포장체 내부의 물건을 꺼내게 되는 취출용 주면(예를 들면 배면)의 좌측 인접면(예를 들면 좌측의 측면)에 존재하도록 구비된다. 또한, 제2 개봉용 테이프의 개봉 종단측은, 포장체 내부의 물건을 꺼내게 되는 취출용 주면(예를 들면 배면)의 우측 인접면(예를 들면 우측의 측면)에 존재하도록 구비된다.
그 결과 개봉용 테이프는 예를 들면 배면에 첨부된 라벨에 겹치지 않도록 된다. 더구나 라벨이 큰(예를 들면 포장체의 배면 대략 하반부 부분 전역에 걸친 큰) 것이어도, 라벨이 개봉용 테이프에 겹치지 않는 것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개봉용 테이프에 의해 필름을 뜯고, 개구부를 형성할 때 라벨이 방해 되지 않는다. 따라서 큰 개구부를 간단하게 형성할 수 있다. 특히 개봉용 테이프의 폭이 좁아도 필름을 간단하게 뜯을 수 있다. 그러므로 포장체 내부의 물건을 꺼내는 것이 용이하게 된다.
또한 상기 구성에 더하여 하기의 요건 A, B, C를 더 구비시켜두면 더욱 바람직하게 된다.
요건 A: 제1 개봉용 테이프 및 제2 개봉용 테이프의 개봉 개시단측을 파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파지부 형성용의 자른 부분을 형성
요건 B: 상기 자른 부분 일단측에 연장가상선이 제1 개봉용 테이프에 교차
요건 C: 상기 자른 부분 타단측에 연장가상선이 제2 개봉용 테이프에 교차
즉, 요건 A, B, C를 구비시켜 두면, 제1 개봉용 테이프 및 제2 개봉용 테이프를 따라서 개구가 용이하게 된다.
본 발명은 포장체이다. 즉, 예를 들면 샌드위치 등의 포장체이다. 특히, 몇 개의 물건이 함게 포장된 포장체이다. 이 포장체는, 상기 포장체 내부의 물건을 꺼내기 위한 개구부 형성용의 개봉용 테이프가 구비되어 있다. 이 개봉용 테이프의 수는, 한 개가 아니라, 2 이상이다. 그리고, 개봉용 테이프 중 제1 개봉용 테이프와 제2 개봉용 테이프는, 양자간의 길이(거리)가, 개봉의 개시단측보다 종단측에서 크도록 구비되어 있다. 예를 들면, 대략 [八]자형상, 또는 대략 [∧] 형상으로 되도록 구비되어 있다. 그리고, 제1 개봉용 테이프 및 제2 개봉용 테이프의 개봉 개시단측은, 포장체 내부의 물건을 꺼내게 되는 취출용 주면(예를 들면, 배면)에 존 재하도록 구비된다. 또한, 제1 개봉용 테이프의 개봉 종단측은, 포장체 내부의 물건을 꺼내게 되는 취출용 주면(예를 들면, 배면)의 좌측 인접면(좌측의 측면)에 존재하도록 구비된다. 또한, 제2 개봉용 테이프의 종단측은, 포장체 내부의 물건을 꺼내게 되는 취출용 주면(예를 들면, 배면)의 우측 인접면(우측의 측면)에 존재하도록 구비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다음의 요건 A, B, C를 만족시킨다. 물론, 요건 A, B, C를 만족시키지 않아도 좋다. 단, 요건 A, B, C를 만족시키는 경우, 더욱 바람직한 것이 된다. 요건 A: 제1 개봉용 테이프 및 제2 개봉용 테이프의 개봉 개시단측을 파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파지부 형성용의 잘린 부분을 형성. 요건 B: 상기 잘린 부분의 일단측에서 연장가상선이 상기 제1 개봉용 테이프에 교차하도록 잘린 부분을 형성. 요건 C: 상기 잘린 부분의 타단측에서 연장가상선이 상기 제2 개봉용 테이프에 교차하도록 잘린 부분을 형성.
또한, 바람직하게는, 다음의 요건 D를 만족시킨다. 물론, 요건 D를 만족시키지 않아도 좋다. 단, 요건 D를 만족시키는 경우, 더욱 바람직한 것이 된다. 요건 D: 개봉용 테이프의 테이프 폭 길이는, 포장되어 있는 물건의 1 개분의 두께(폭) 길이보다 작다.
상기 설명은, 예를 들면 샌드위치 등의 물건이 포장된 상태에서의 표현이 되는 포장체이다. 포장되기 전 상태로 표현하면, 예를 들면 다음과 같이 표현할 수 있다. 단, 포장체가 대략 삼각주(三角柱) 형태의 물건인 경우이다. 포장체는 필름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포장체의 적어도 배면부 및 측면일부를 구성하기 위해, 대 략 사다리꼴 형상부와 대략 직사각형 형상부가 연결된 형상의 제1 필름을 구비한다. 또한, 포장체의 적어도 정면부 및 측면일부를 구성하기 위해, 대략 사다리꼴 형상부 및 대략 직사각형 형상부가 연결된 형태의 제2 필름을 구비한다. 또한, 제1 필름의 표면(예를 들면, 내표면)에 구비된 제1 개봉용 테이프를 구비한다. 또한, 제1 필름의 표면(예를 들면, 내표면)에 구비된 제2 개봉용 테이프를 구비한다. 제1 개봉용 테이프 및 제2 개봉용 테이프의 상단측(개봉 개시단측)은, 제1 필름의 대략 직사각형 형상부에 존재하도록 구비된다. 제1 개봉용 테이프의 하단측(개봉 종단측)은, 필름으로 포장체를 구성할 때, 상기 포장체의 좌측면부에 존재하도록 구비된다. 제2 개봉용 테이프의 하단측(개봉 종단측)은, 필름으로 포장체를 구성할 때, 상기 포장체의 우측면부에 존재하도록 구비된다. 그리고, 제1 필름과 제2 필름은, 필름의 사다리꼴 형상부의 좌우의 사변을 따라서 서로 접합(예를 들면, 열용착)됨과 함께, 제1 필름의 사다리꼴 형상부의 상변부를 따라서 서로 접합(예를 들면, 열용착)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다음의 요건 E를 만족시킨다. 물론, 요건 E를 만족시키지 않아도 좋다. 단, 요건 E를 만족시키는 경우, 더욱 바람직한 것이 된다. 요건 E: 제1 필름의 대략 직사각형 형상부에는 대략 C형상의 잘린 부분이 형성. 더욱이, 이 요건 E가 실시된 경우, 상기 요건 A, B, C가 만족되도록 된다.
이하,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6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 도 1은 포장 전 상태의 포장체 평면도(표면도)이다. 도 2는 포장 전 상태의 포장체의 배면도(이면도)이다. 도 3은 이면측 필름과 표면측 필름을 용착해서 포장체를 구성한 경우의 용착부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4는 포장 후(수납후)의 포장체 사시도이다. 도 5 및 도 6은 포장체의 파지부를 잡아당겨 개봉하는 도중의 사시도이다. 더욱이, 본 실시예에서는, 내부의 포장된 물건은, 예를 들어 샌드위치이다. 단, 말할 필요도 없이 샌드위치에 한정되지 않는다.
각 도면 중 1은 제1 필름(이면측 필름)이다. 2는 제2 필름(표면측 필름)이다. 이들 필름은, 도 1, 도 2로부터도 알 수 있다시피, 대략 사다리꼴 형상부(1a, 2a)와 대략 직사각형 형상부(1b, 2b)가 연결된 형상이다. 예를 들면, 대략 사다리꼴 형상부(1a, 2a)의 하변(아래쪽)의 길이는, 예를 들면 약 17.5cm이다. 대략 사다리꼴 형상부(1a, 2a)의 상변(위쪽)의 길이는, 예를 들면 약 7.3cm이다. 대략 사다리꼴 형상부(1a, 2a)의 사변의 길이는, 예를 들면 약 20cm이다. 대략 사다리꼴 형상부(1a, 2a)의 높이 치수는, 예를 들면 약 19cm이다. 더욱이, 도 1로부터 알 수 있다시피, 대략 사다리꼴 형상부 1a의 높이 치수는 대략 사다리꼴 형상부 2a의 높이 치수보다 다소 크다. 대략 직사각형 형상부(1b, 2b)의 가로방향의 길이(폭)은, 예를 들면 약 7.3cm이다. 대략 직사각형 형상부(1b, 2b)의 세로방향의 길이(높이)는, 예를 들면 약 3.3cm이다. 물론, 치수가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는 것은 당연하다.
3a는, 제1 필름(이면측 필름)(1)의 내면에 구비된 제1 개봉용 테이프(제1 티어테이프)이다. 3b는, 제1 필름(이면측 필름)(1)의 내면에 구비된 제2 개봉용 테이프(제2 티어테이프)이다. 또한, 티어테이프(3a, 3b)는 제1 필름(이면측 필름)(1)의 내면에 구비된다는 것에서 도면에는, 본래 점선으로 표시되어야 하지만, 편의상 실선으로 표시되어 있다. 티어테이프(3a, 3b)의 폭은, 예를 들면 약 2mm이다. 티어테이프(3a, 3b)의 길이는, 예를 들면 약 11.8cm이다. 티어테이프(3a, 3b)의 상단부(4a, 4b)는, 도 2로부터도 알 수 있다시피, 대략 직사각형 형상부 1b의 영역에 있다. 예를 들면, 필름 상단으로부터 약 1.7cm의 위치에 있다. 제1 티어테이프(3a)의 상단부(4a)는, 대략 직사각형 형상부(1b)의 좌단으로부터 약 9mm의 위치에 있다. 제2 티어테이프(3b)의 상단부(4b)는 대략 직사각형 형상부(1b)의 우단으로부터 약 9mm의 위치에 있다. 제1 티어테이프(3a)의 하단부(5a)는 대략 사다리꼴 형상부(1a)의 좌단으로부터 약 3.5cm의 위치에 있다.
제2 티어테이프(3b)의 하단부(5b)는 대략 사다리꼴 형상부(1a)의 우단에서 약 3.5cm의 위치에 있다. 또한 티어테이프(3a 3b)는 한 개의 직선 형상이어도 좋다. 혹은 꺾어진 꺾은선 형상이어도 좋다. 또는 곡선 형상이어도 좋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꺾은선 형상이다.
6은 제1 필름(이면측 필름)(1)의 대략 직사각형 형상부(1b)의 영역에 형성된 대략 C 형상의 절단라인(노치)이다. 또한, 대략 C 형상의 절단라인(6)은 티어테이프(3a 3b)의 상부를 외측(상측)에서 싸는 듯한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도 2로부터도 알 수 있다시피, 절단라인(6)의 일단측(6a)은, 그 연장라인이 제1 티어테이프(3a)에 대해 교차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절단라인(6)의 타단측(6b)은 그 연장 라인이 제2 티어테이프(3b)에 대해서 교차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7a, 7b는, 필름에서의 대략 사다리꼴 형상부(1a, 2a)의 사변위치에 있어서, 제1 필름(1)과 제2 필름(2)을 열용착(熱溶着)에 의하여 용착한 용착부(접촉부)이다. 7c는, 필름에서의 대략 직사각형 형상부(1b, 2b)의 상단위치에 있어서, 제1 필름(1)과 제2 필름(2)을 열용착에 의하여 용착한 용착부이다. 7d는, 필름에서의 대략 사다리꼴 형상부(1a, 2a)와 대략 직사각형 형상부(1b, 2b)와의 경계 영역에 있어서, 제1 필름(1)과 제2 필름(2)을 열용착에 의해 용착한 용착부이다. 이것 이외의 부분에 있어서는, 제1 필름(1)과 제2 필름(2)과는 용착되어있지 않다. 따라서, 제1 필름(1)과 제2 필름(2)의 하단측은 용착되어있지 않다. 그리고, 이 미용착부에 있어서, 제1 필름(1)과 제2 필름(2)을 서로 멀리하면 내부에 수납할 수 있는 개구가 형성된다.
한편, 상기와 같이 구성된 포장체에 있어서, 제1 필름(1)과 제2 필름(2)을 서로 멀리하는 것에 의하여 형성된 개구로부터 예를 들면 샌드위치를 수납한다. 그리고, 남아있는 필름을 적당히 접어 접착 테이프로 봉한다. 그리하여 도 4에 표시된 포장체를 얻을 수 있다.
이 포장 체에 있어서는 도 4로부터도 알 수 있다시피, 포장체의 배면부(티어테이프(3a, 3b)에서 필름(1)을 뜯을 경우, 예를 들면 샌드위치 취출용 개구(도 6참조)가 형성된 면)에서 좌우의 측면부에 걸쳐서 티어테이프(3a 3b)가 구비되어져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즉, 티어테이프(3a ,3b)의 상단부(개봉 개시단측)(4a, 4b)는, 포장체의 배면부에 위치하여 구비되어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이것에 대해서 티어테이프 3a의 하단부(개봉 종단측)(5a)는, 포장체 좌측면에 위치해서 구비되어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티어테이프 3b의 하단부(개봉 종단측)(5b)는, 포장체의 우측면에 위치하여 구비된다. 또한, 티어테이프 3a와 티어테이프 3b 사이의 거리(폭) x는 포장체의 상부(개봉 개시단측)에서 하부(개봉 종단측)로 옮겨감에 따라 길게 되는 것도 알 수있다. 따라서, 포장체의 배면 하반부 부분에 라벨(8)을 붙여도, 이 라벨(8)이 티어테이프(3a ,3b)에 겹쳐지는 일이 없다. 따라서 티어테이프(3a,3b)를 따라서 필름(1)을 뜯을 때, 라벨(8)의 존재가 필름(1)을 뜯는 것에 방해되지 않는다. 즉, 개구작업이 원활하게 되어진다. 또, 큰 개구가 형성된다. 따라서, 내부 물건의 꺼냄이 원활하게 된다.
한편, 필름(1)에는 대략 C 형상의 절단라인(노치)(6)이 형성되어있다. 이것에 의해 파지부(9)가 구성된다. 즉, 필름(1)을 티어테이프(3a 3b)를 따라서 뜯을 때에 파지부(9)를 잡고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개구 작업이 원활하게 된다. 또한, 절단라인(노치)(6)의 단부 6a, 6b가 티어테이프(3a, 3b)에 대해 교차하도록 형성되어있다. 이 때문에 개구 작업이 원활하게 되었다. 또한, 절단라인(노치)(6)의 단부 6a ,6b가 티어테이프(3a, 3b)에 평행한 방향에 있으면, 파지부(9)를 잡고 필름(1)을 찢으려고 하는 경우 필름 1측(배면측)이 뜯어지지 않고, 필름 2측(정면측)이 찢어지게 된다. 이때문에 내부 샌드위치의 꺼냄이 잘 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대략 C 형상의 절단라인(노치)(6)의 단부를 상기와 같이 구성시켜 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은 포장전 상태에서 본 발명에 따른 포장체의 평면도(표면도)이다.
도 2는 포장전 상태에서 본 발명에 따른 포장체의 배면도(이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포장체의 용착부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4는 포장 후에 본 발명에 따른 포장체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포장체의 개봉 도중에서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포장체의 개봉 도중에서의 사시도이다.
도 7은 종래의 샌드위치 포장체의 사시도이다.
도 8은 종래의 샌드위치 포장체의 개구 도중에서으 사시도이다.
도 9는 종래의 샌드위치 포장체의 개구 도중에서의 사시도이다.
<부호의 설명>
1 제1 필름(이면측 필름)
2 제2 필름(표면측 필름)
1a, 2a 대략 사다리꼴 형상부
1b, 2b 대략 직사각형 형상부
3a, 3b 개봉용 테이프(티어테이프)
4a, 4b 티어테이프 상단부
5a, 5b 테어테이프 하단부
6 대략 C 형상의 절단라인(노치)
47a, 47b, 47c, 47d 용착부
8 라벨
9 파지부

Claims (6)

  1. 물건을 포장하는 포장체로서,
    상기 포장체 내부의 물건을 꺼내기 위한 개구부 형성용의 개봉용 테이프가 여러 개 구비되어 있고,
    상기 개봉용 테이프 중에 제1 개봉용 테이프와 제2 개봉용 테이프는, 양자간의 길이가 개봉개시단측보다 종단측이 크도록 구비되어,
    상기 제1 개봉용 테이프 및 제2 개봉용 테이프의 개봉개시단측은, 포장체 내부의 물건을 꺼내게 되는 취출용 주면(取出用主面)에 존재하도록 구비되며,
    상기 제1 개봉용 테이프의 개봉종단측은, 포장체 내부의 물건을 꺼내게 되는 취출용 주면의 좌측 인접면에 존재하도록 구비되어 있고,
    상기 제2 개봉용 테이프의 개봉종단측은, 포장체 내부의 물건을 꺼내게 되는, 취출용 주면의 우측 인접면에 존재하도록 구비되며,
    상기 제1 개봉용 테이프 및 제2 개봉용 테이프의 개봉 개시단측을 파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파지부 형성용 노치가 형성되며,
    상기 노치의 단부는, 상기 노치의 일단측이 상기 제1 개봉용 테이프에 교차되도록 함과 동시에, 상기 노치의 타단측이 상기 제2 개봉용 테이프에 교차되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체.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복수개의 물건이 함께 포장되고, 개봉용 테이프의 테이프 폭 길이는, 상기 포장되어 있는 복수개의 물건에 있어 1개 분의 두께 보다도 작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체.
  4. 물건을 포장하는 포장체로서,
    상기 포장체는 필름으로 구성되어 있고,
    상기 필름은,
    상기 포장체의 적어도 배면부 및 측면일부를 구성하기 위해, 대략 사다리꼴 형상부와 대략 직사각형 형상부가 연결된 형상의 제1 필름과,
    상기 포장체의 적어도 정면부 및 측면일부를 구성하기 위해, 대략 사다리꼴 형상부와 대략 직사각형 형상부가 연결된 형상의 제2 필름과,
    상기 제1 필름의 표면에 구비된 제1 개봉용 테이프와,
    상기 제1 필름의 표면에 구비된 제2 개봉용 테이프를 구비하게 되어있고,
    상기 제1 개봉용 테이프 및 상기 제2 개봉용 테이프의 상단측은, 상기 제1 필름의 대략 직사각형 형상부에 존재하도록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제1 개봉용 테이프의 하단측은, 상기 필름으로 포장체를 구성했을 때, 상기 포장체의 좌측면부에 존재하도록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제2 개봉용 테이프의 하단측은, 상기 필름으로 포장체를 구성했을 때, 상기 포장체의 우측면부에 존재하도록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제1 필름과 상기 제2 필름은, 상기 사다리꼴 형상부의 좌우의 사변(斜邊)에 따라 서로 접합함과 동시에, 상기 사다리꼴 형상부의 상변부를 따라 서로 접합하며,
    상기 제1 필름의 대략 직사각형 형상부에는,
    상기 제1 개봉용 테이프 및 제2 개봉용 테이프의 개봉 개시단측을 파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파지부 형성용 노치가 형성되며,
    상기 노치의 단부는, 상기 노치의 일단측이 상기 제1 개봉용 테이프에 교차되도록 함과 동시에, 상기 노치의 타단측이 상기 제2 개봉용 테이프에 교차되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체.
  5. 삭제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필름 및 상기 제2 필름의 대략 직사각형 형상부는 상기 노치가 형성된 부분을 제외한 영역이 서로 접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체.
KR1020080104271A 2008-04-14 2008-10-23 포장체 KR10106199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8-104324 2008-04-14
JP2008104324A JP2009255930A (ja) 2008-04-14 2008-04-14 包装体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09043A KR20090109043A (ko) 2009-10-19
KR101061990B1 true KR101061990B1 (ko) 2011-09-05

Family

ID=413839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04271A KR101061990B1 (ko) 2008-04-14 2008-10-23 포장체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2009255930A (ko)
KR (1) KR10106199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939453B2 (ja) * 2011-06-24 2016-06-22 大日本印刷株式会社 Idカード包装体、idカード包装方法およびidカード装填方法
JP2018162083A (ja) * 2017-03-24 2018-10-18 アイワ工業株式会社 サンドイッチ包装用袋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52648U (ja) 1998-03-26 1998-09-29 中国パール販売株式会社 サンドイッチ用包装具
JP2007153398A (ja) * 2005-12-06 2007-06-21 Kanaoka:Kk 包装入り食品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52648U (ja) 1998-03-26 1998-09-29 中国パール販売株式会社 サンドイッチ用包装具
JP2007153398A (ja) * 2005-12-06 2007-06-21 Kanaoka:Kk 包装入り食品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09043A (ko) 2009-10-19
JP2009255930A (ja) 2009-11-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318894B1 (en) Resealable flexible packages having hook design tear line
JP4859476B2 (ja) 包装体
JP6301323B2 (ja) 製品包装材ならびに製品包装材を製造する方法および装置
KR101061990B1 (ko) 포장체
WO2014142886A1 (en) Recloseable flexible packages
JP5110509B2 (ja) 米飯加工食品用包装体及び米飯加工食品用包装袋
JP6292375B2 (ja) おにぎり包装材及び該包装材に包装されたおにぎり包装体
JP5782294B2 (ja) 米飯加工食品用包装材
CN114007957B (zh) 食品产品的包装件和用于形成食品产品的包装件的方法
JP2930584B1 (ja) 包装用紙箱
JP4122316B2 (ja) サンドイッチ等の食品包装袋
JP7603432B2 (ja) 食品用包装袋
JP7374429B2 (ja) 食品用包装体
JP7382161B2 (ja) 食品用包装材
JP5085262B2 (ja) おにぎり用包装材
JP2007238108A (ja) 米飯加工食品用包装体及び米飯加工食品用包装袋
JP4996986B2 (ja) 包装体
JPH10152182A (ja) 使いすて衛生用品の包装袋
KR102787463B1 (ko) 식품 제품용 포장 및 식품 제품용 포장의 제조 방법
CN216888131U (zh) 食品用包装片
US20080118685A1 (en) Preformed packaging sachet, in particular for food products
JP7577316B2 (ja) 食品包装用袋
JP2012184007A (ja) 包装材及びその製造方法
JP7335741B2 (ja) 包装袋
JP4482698B1 (ja) 四面包装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81023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N2301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date: 20090115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code: PN23011R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0123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10726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10829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10830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25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0825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05

Year of fee payment: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705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804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2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628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