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025064B1 - 엘리베이터 장치 - Google Patents

엘리베이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25064B1
KR101025064B1 KR1020097004485A KR20097004485A KR101025064B1 KR 101025064 B1 KR101025064 B1 KR 101025064B1 KR 1020097004485 A KR1020097004485 A KR 1020097004485A KR 20097004485 A KR20097004485 A KR 20097004485A KR 101025064 B1 KR101025064 B1 KR 1010250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
overspeed
stopper
control device
pattern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970044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76890A (ko
Inventor
다카하루 우에다
에이지 안도
Original Assignee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900768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7689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250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25064B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5/00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 B66B5/28Buffer-stops for cars, cages, or skips
    • B66B5/288Buffer-stops for cars, cages, or skips with maintenance featu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5/00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 B66B5/28Buffer-stops for cars, cages, or ski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3/00Doors, gates, or other apparatus controlling access to, or exit from, cages or lift well landings
    • B66B13/02Door or gate ope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5/00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 B66B5/0043Devices enhancing safety during maintenance
    • B66B5/005Safety of maintenance personnel
    • B66B5/0056Safety of maintenance personnel by preventing crushing
    • B66B5/0062Safety of maintenance personnel by preventing crushing by devices, being operable or not, mounted on the elevator ca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5/00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 B66B5/02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responsive to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 B66B5/04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responsive to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for detecting excessive spe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5/00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 B66B5/02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responsive to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 B66B5/16Braking or catch devices operating between cars, cages, or skips and fixed guide elements or surfaces in hoistway or well
    • B66B5/18Braking or catch devices operating between cars, cages, or skips and fixed guide elements or surfaces in hoistway or well and applying frictional retarding for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intenance And Inspection Apparatuses For Elevators (AREA)

Abstract

엘리베이터 장치에 있어서는 제어 장치에 의해 승강체의 속도가 미리 설정된 과속도에 도달하는지의 여부가 감시된다. 보수 작업시에는 완충기와 승강체 사이에 스토퍼가 개재되는 것에 의해 승강체의 하강 위치가 제한된다. 스토퍼 검출 수단은 완충기 및 승강체의 적어도 어느 한쪽에 스토퍼가 설치된 것을 검출한다. 제어 장치는 스토퍼 검출 수단에 의해 스토퍼가 검출되면 과속도의 설정값을 낮게 한다.

Description

엘리베이터 장치{ELEVATOR SYSTEM}
본 발명은 보수 작업이 승강로 내에서 실시되는 엘리베이터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엘리베이터 장치에서는 보수원이 엘리베이터칸 위에서 승강로 꼭대기부의 기기의 보수 작업을 행할 때, 균형추 완충기의 플랜저의 상부에 균형추 저지 수단이 연결된다. 그리고, 균형추를 하강시켜 균형추 저지 수단에 맞닿게 하여 균형추 완충기를 압축시킨다. 이로 인해, 균형추의 하강 위치는 균형추 저지 수단을 이용하지 않는 경우의 하강 위치보다 높은 위치로 제한되어, 엘리베이터칸과 승강로 천장부 사이의 작업 공간이 충분하게 확보된다(예를 들어, 특허 문헌 1 참조).
특허 문헌 1: 일본 특개 2000-327239호 공보
상기와 같은 종래의 엘리베이터 장치에 있어서는, 균형추 저지 수단을 이용하지 않는 경우에 균형추 완충기에 맞닿는 위치보다 높은 위치에서 균형추가 균형추 저지 수단에 맞닿으므로, 균형추를 균형추 저지 수단에 맞닿게 할 때에 보수 운전 제어부에 어떠한 이상이 생기면, 균형추 완충기의 허용 충돌 속도를 초과한 속도로 균형추가 균형추 저지 수단에 충돌할 가능성이 있다. 이 때, 균형추 저지 수단은 균형추에 직접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충돌의 충격에 의해 균형추 완충기가 파손될 우려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이루어진 것이며, 승강로 내에서 보수 작업을 행하고 있을 가능성이 있을 때에, 엘리베이터칸이나 균형추의 속도를 보다 확실하게 억제할 수 있는 엘리베이터 장치를 얻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는, 승강로 내를 승강하는 승강체; 승강체의 속도가 미리 설정된 과속도에 도달하는지의 여부를 감시하는 제어 장치; 승강로 내의 하부에 마련되어 있는 완충기; 보수 작업시에 완충기와 승강체 사이에 개재되는 것에 의해 승강체의 하강 위치를 제한하는 스토퍼(stopper); 및 완충기 및 승강체의 적어도 어느 한쪽에 스토퍼가 설치된 것을 검출하는 스토퍼 검출 수단을 구비하고, 제어 장치는 스토퍼 검출 수단에 의해 스토퍼가 검출되면 과속도의 설정값을 낮게 한다.
또, 본 발명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는, 승강로 내를 승강하는 승강체; 승강체의 속도가 미리 설정된 과속도에 도달하는지의 여부를 감시하는 제어 장치; 보수 작업시에 승강체와 승강로 천장부 사이에 개재되는 것에 의해 승강체의 상승 위치를 제한하는 스토퍼; 및 승강체와 승강로 천장부의 적어도 어느 한쪽에 스토퍼가 설치된 것을 검출하는 스토퍼 검출 수단을 구비하고, 제어 장치는 스토퍼 검출 수단에 의해 스토퍼가 검출되면 과속도의 설정값을 낮게 한다.
또, 본 발명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는, 승강로 내를 승강하는 엘리베이터칸; 및 통상 운전 모드와, 통상 운전 모드보다도 저속으로 엘리베이터칸을 승강시키는 보수 운전 모드를 포함하는 복수의 운전 모드에 의해 엘리베이터칸의 승강을 제어함과 함께, 엘리베이터칸의 속도가 미리 설정된 과속도에 도달하는지의 여부를 감시하는 제어 장치를 구비하고, 제어 장치는 운전 모드가 보수 운전 모드로 전환되면 과속도의 설정값을 낮게 한다.
또, 본 발명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는, 엘리베이터칸 도어를 가지며, 승강로 내를 승강하는 엘리베이터칸; 엘리베이터칸의 속도가 미리 설정된 과속도에 도달하는지의 여부를 감시하는 제어 장치; 복수의 승강장 도어; 및 엘리베이터칸 도어 및 승강장 도어의 개폐 상태를 검출하는 도어 개폐 검출 수단을 구비하고, 제어 장치는 엘리베이터칸 도어 및 승강장 도어의 적어도 어느 하나가 개방되어 있는 것이 도어 개폐 검출 수단에 의해 검출되면 과속도의 설정값을 낮게 한다.
또, 본 발명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는, 승강로 내를 승강하는 엘리베이터칸; 엘리베이터칸의 위치를 감시함과 함께, 엘리베이터칸의 속도가 미리 설정된 과속도에 도달하는지의 여부를 감시하는 제어 장치; 복수의 승강장 도어; 및 승강장 도어의 개폐 상태를 검출하는 도어 개폐 검출 수단을 구비하고, 제어 장치는 엘리베이터칸이 정지하고 있는 층 이외의 승강장 도어의 개방이 도어 개폐 검출 수단에 의해 검출되면 과속도의 설정값을 낮게 한다.
또, 본 발명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는, 승강로 내를 승강하는 엘리베이터칸; 엘리베이터칸의 속도가 미리 설정된 과속도에 도달하는지의 여부를 감시하는 제어 장치; 및 엘리베이터칸 위에 사람이 있는지의 여부를 검출하는 엘리베이터칸 위 검출 수단을 구비하고, 제어 장치는 엘리베이터칸 위에 사람이 있는 것이 엘리베이터칸 위 검출 수단에 의해 검출되면 과속도의 설정값을 낮게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2는 도 1의 제어 장치에 설정된 통상 운전용의 과속도 패턴과 보수 운전용의 과속도 패턴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3은 도 1의 제어 장치의 기능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2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5는 도 4의 제어 장치에 설정된 통상 운전용의 과속도 패턴과 보수 운전용의 과속도 패턴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3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7은 도 6의 제어 장치에 설정된 통상 운전용의 과속도 패턴과 보수 운전용의 과속도 패턴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실시 형태 1.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면에 있어서, 승강로 내의 상부에는 권상기(1)가 설치되어 있다. 권상기(1) 는 구동 쉬브(2)와, 구동 쉬브(2)를 회전시키는 모터(3)와, 구동 쉬브(2)의 회전을 제동하는 브레이크 장치(4)를 가지고 있다. 권상기(1)의 근방에는 디플렉터 쉬브(deflector sheave; 5)가 배치되어 있다.
구동 쉬브(2) 및 디플렉터 쉬브(5)에는 복수 개(도면에서는 1개만 표시)의 메인 로프(6)가 감겨져 있다. 승강체인 엘리베이터칸(7) 및 균형추(8)는 메인 로프(6)에 의해 승강로 내에 매달아져 권상기(1)의 구동력에 의해 승강되게 된다. 승강로 내에는 엘리베이터칸(7)의 승강을 안내하는 한 쌍의 엘리베이터칸 가이드 레일(9)과, 균형추(8)의 승강을 안내하는 한 쌍의 균형추 가이드 레일(도시하지 않음)이 설치되어 있다.
모터(3) 및 브레이크 장치(4)는 제어 장치(11)에 의해 제어된다. 즉, 엘리베이터칸(7)의 운행은 제어 장치(11)에 의해 제어된다.
승강로 내의 상부에는 상부 풀리(12)가 마련되어 있다. 승강로 내의 하부에는 하부 풀리(13)가 마련되어 있다. 상부 풀리(12) 및 하부 풀리(13)에는 속도 검출 로프(14)가 감겨져 있다. 속도 검출 로프(14)의 양 단부는 엘리베이터칸(7)에 마련된 비상 멈춤 장치(로프 고정 장치; 15)에 접속되어 있다.
엘리베이터칸(7)이 승강하게 되면, 속도 검출 로프(14)가 순환되어, 상부 풀리(12)가 엘리베이터칸 속도에 따른 속도로 회전된다. 상부 풀리(12)에는 상부 풀리(12)의 회전 속도에 따른 신호, 즉 엘리베이터칸 속도에 따른 신호를 발생하는 회전 검출기(16)가 마련되어 있다. 회전 검출기(16)로는, 예를 들어 인코더가 사용되고 있다.
회전 검출기(16)로부터의 신호는 제어 장치(11)에 입력된다. 제어 장치(11)는 회전 검출기(16)로부터의 신호에 기초하여 엘리베이터칸 위치 및 엘리베이터칸 속도를 연산한다. 또, 제어 장치(11)는 엘리베이터칸 속도가 미리 설정된 과속도(문턱값)에 도달하지 않는지의 여부를 감시한다.
승강로 내의 상부 종단층 근방에는 상부 종단층 검출 수단인 상부 종단층 스위치(17)가 마련되어 있다. 승강로 내의 하부 종단층 근방에는 하부 종단층 검출 수단인 하부 종단층 스위치(18)가 마련되어 있다. 엘리베이터칸(7)에는 종단층 스위치(17, 18)를 조작하는 캠(19)이 마련되어 있다.
종단층 스위치(17, 18)는 제어 장치(11)에 접속되어 있다. 제어 장치(11)는 종단층 스위치(17, 18)가 캠(19)에 의해 조작되는 것에 의해, 엘리베이터칸(7)이 종단층 근방에 도달한 것을 검출한다. 또, 제어 장치(11)는 종단층 스위치(17, 18)로부터 얻어지는 절대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회전 검출기(16)로부터 얻어지는 위치 정보를 수정한다.
승강로 내의 하부에는, 엘리베이터칸(7)을 수용하는 엘리베이터칸 완충기(21)와, 균형추(8)를 수용하는 균형추 완충기(22)가 설치되어 있다.
승강로 피트 내에서의 보수 작업시에는 엘리베이터칸 완충기(21)의 플랜저상에 엘리베이터칸 스토퍼(스페이서; 23)가 접속된다. 엘리베이터칸 스토퍼(23)는 보수 작업시에 엘리베이터칸 완충기(21)에 접속되고, 엘리베이터칸(7)에 맞닿게 되는 것에 의해 엘리베이터칸(7)의 하강 위치를 제한한다. 즉, 엘리베이터칸 완충기(21)에 엘리베이터칸 스토퍼(23)가 접속되는 것에 의해, 엘리베이터칸(7)에 의해 엘리 베이터칸 완충기(21)가 압축되었을 때의 엘리베이터칸(7)의 하부와 승강로 저부(底部) 사이의 거리를 충분하게 확보할 수 있다. 엘리베이터칸 스토퍼(23)는 통상 운전시에는 엘리베이터칸 완충기(21)위로부터 철거된다.
엘리베이터칸 완충기(21)의 근방에는, 엘리베이터칸 완충기(21)에 엘리베이터칸 스토퍼(23)가 설치된 것을 기계적으로 검출하는 엘리베이터칸 스토퍼 검출 수단으로서의 엘리베이터칸 스토퍼 검출 스위치(24)가 마련되어 있다. 엘리베이터칸 스토퍼 검출 스위치(24)는 제어 장치(11)에 접속되어 있다. 제어 장치(11)는 엘리베이터칸 스토퍼 검출 스위치(24)에 의해 엘리베이터칸 스토퍼(23)가 검출되면, 엘리베이터칸(7)의 운전 모드를 강제적으로 보수 운전 모드로 설정한다.
도 2는 도 1의 제어 장치(11)에 설정된 통상 운전용의 과속도 패턴과 보수 운전용의 과속도 패턴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위치 A는 상부 종단층, 위치 B는 상부 종단층 스위치(17)의 위치, 위치 C는 하부 종단층 스위치(18)의 위치, 위치 D는 하부 종단층, 위치 E는 엘리베이터칸 스토퍼(23)의 위치, 위치 F는 엘리베이터칸 완충기(21)의 위치이다.
엘리베이터칸 속도가 비정상이라고 판단하기 위한 기준이 되는 과속도는, 엘리베이터칸(7)의 주행 방향과 절대 위치에 따른 패턴, 즉 과속도 패턴으로서 설정되어 있다. 또, 엘리베이터칸(7)의 통상 운전시와 보수 운전시에는 다른 과속도 패턴이 설정되어 있다.
도 2에 있어서, 최고 속도가 V1로 되는 실선의 패턴 P1은 엘리베이터칸(7)이 상부 종단층으로부터 하부 종단층까지 통상 운전될 때의 주행 속도 패턴을 나타내 고 있다. 최고 속도가 V2로 되는 파선의 패턴 P2는 통상 운전용의 과속도 패턴을 나타내고 있다. 최고 속도가 V3으로 되는 실선의 패턴 P3은 엘리베이터칸(7)이 상부 종단층으로부터 하부 종단층까지 보수 운전될 때의 주행 속도 패턴을 나타내고 있다. 최고 속도가 V4로 되는 파선의 패턴 P4는 보수 운전용의 과속도 패턴을 나타내고 있다.
제어 장치(11)는 엘리베이터칸 속도가 과속도에 도달했다고 판단하면, 모터(3)로의 통전을 차단하는 동시에, 브레이크 장치(4)를 제동 동작시켜 엘리베이터칸(7)을 비상 정지시킨다. 또, 제어 장치(11)는 엘리베이터칸 완충기(21)에 엘리베이터칸 스토퍼(23)가 설치된 것이 엘리베이터칸 스토퍼 검출 스위치(24)에 의해 검출되면, 과속도 패턴을 P2에서 P4로 전환하여 과속도의 설정값을 낮게 한다. 또, 과속도 패턴은 엘리베이터칸 완충기(21)로의 엘리베이터칸(7)의 충돌 속도가 엘리베이터칸 완충기(21)의 성능에 따른 허용 충돌 속도 이하로 되도록 설정되어 있다.
도 3은 도 1의 제어 장치(11)의 기능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제어 장치(11)는 엘리베이터칸 위치 검출부(31), 엘리베이터칸 주행 방향 검출부(32), 엘리베이터칸 속도 검출부(33), 과속도 설정부(34), 비교 판단부(35), 및 브레이크 작동 지령부(36)를 가지고 있다.
엘리베이터칸 위치 검출부(31)는 회전 검출기(16) 및 종단층 스위치(17, 18)로부터의 정보에 기초하여 엘리베이터칸(7)의 위치를 검출한다. 이 때, 상부 풀리(12)와 속도 검출 로프(14) 사이의 미끄러짐 등에 의한 회전 검출기(16)의 검출 오차가 종단층 스위치(17, 18)로부터의 정보에 의해 보정된다.
엘리베이터칸 주행 방향 검출부(32)는 회전 검출기(16)로부터의 정보에 기초하여 엘리베이터칸(7)의 주행 방향을 검출한다. 또, 엘리베이터칸 주행 방향 검출부(32)에서는 신호 처리에 히스테리시스(hysteresis) 요소를 마련하는 것에 의해, 외란력(外亂力)에 의한 엘리베이터칸(7)의 주행 방향의 아주 작은 변화를 배제하여 주행 방향이 불필요하게 반전(反轉)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엘리베이터칸 속도 검출부(33)는 회전 검출기(16)에서 검출된 회전량의 정보를 시간 변화의 정보로 변환하는 것에 의해 엘리베이터칸(7)의 속도를 검출한다.
과속도 설정부(34)는 엘리베이터칸 위치 검출부(31)에서 검출된 엘리베이터칸 위치와, 엘리베이터칸 주행 방향 검출부(32)에서 검출된 주행 방향과, 엘리베이터칸 스토퍼 검출 스위치(24)로부터의 정보와,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은 과속도 패턴에 기초하여, 현재의 판정 기준이 되는 과속도를 설정한다.
비교 판단부(35)는 엘리베이터칸 속도 검출부(33)에서 검출된 엘리베이터칸 속도가 과속도 설정부(34)에서 설정된 과속도에 도달해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비교 판단부(35)에 의해 이상이 검출되면, 브레이크 작동 지령부(36)로부터 브레이크 장치(4)에 비상 제동 지령이 출력된다.
여기서, 제어 장치(11)는 연산 처리부(CPU), 기억부(ROM, RAM 및 하드 디스크 등) 및 신호 입출력부를 가진 컴퓨터(도시하지 않음)를 가지고 있다. 엘리베이터칸 위치 검출부(31), 엘리베이터칸 주행 방향 검출부(32), 엘리베이터칸 속도 검출부(33), 과속도 설정부(34), 비교 판단부(35) 및 브레이크 작동 지령부(36)의 기능은 컴퓨터에 의해 실현된다. 즉, 컴퓨터의 기억부에는 제어 장치(11)의 기능을 실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격납되어 있다. 연산 처리부는 프로그램에 기초하여 제어 장치(11)의 기능에 관한 연산 처리를 실행한다.
또, 제어 장치(11)에서 설정되어 있는 과속도는 제1 과속도이며, 브레이크 장치(4)를 작동시켰음에도 불구하고 엘리베이터칸(7)의 속도가 더욱 상승하여 제2 과속도(>제1 과속도)에 도달하면, 조속기(調速機; 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비상 멈춤 장치(15)가 작동된다.
이와 같은 엘리베이터 장치에서는, 엘리베이터칸 완충기(21)에 엘리베이터칸 스토퍼(23)가 설치된 것이 검출되면, 과속도 패턴이 전환되어 완충기 충돌 속도가 자동적으로 변경되므로, 보수 운전의 제어에 이상이 발생한 경우에도, 엘리베이터칸 완충기(21)의 허용 충돌 속도를 초과한 속도로 엘리베이터칸(7)이 엘리베이터칸 스토퍼(23)에 충돌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엘리베이터칸 완충기(21) 및 엘리베이터칸 스토퍼(23)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또, 피트 내에서의 보수 작업시에 엘리베이터칸(7)이 피트에 진입하는 것이 엘리베이터칸 스토퍼(23)에 의해 저지되므로, 보수원의 작업 공간을 충분하게 확보할 수 있다.
또한, 하부 종단층 근방의 영역에 있어서 과속도의 설정값을, 하부 종단층까지의 거리에 따라서 서서히 저하시켰기 때문에, 엘리베이터칸 완충기(21) 및 엘리베이터칸 스토퍼(23)로의 엘리베이터칸(7)의 설계상의 충돌 속도를 낮게 설정할 수 있고, 엘리베이터칸 완충기(21) 및 엘리베이터칸 스토퍼(23)의 강도를 저하시켜 비용을 경감할 수 있다.
또한, 실시 형태 1에서는 엘리베이터칸 완충기(21)상에 엘리베이터칸 스토퍼(23)를 접속하였으나, 엘리베이터칸(7)의 하부에 설치해도 된다. 즉, 엘리베이터칸 스토퍼(23)는 보수 작업시에 엘리베이터칸 완충기(21)와 엘리베이터칸(7) 사이에 개재되도록, 엘리베이터칸 완충기(21) 및 엘리베이터칸(7)의 적어도 어느 한쪽에 설치하면 된다.
실시 형태 2.
다음에,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2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엘리베이터칸(7)상에서의 보수 작업시에는 균형추 완충기(22)의 플랜저상에 균형추 스토퍼(스페이서; 25)가 접속된다. 균형추 스토퍼(25)는 보수 작업시에 균형추 완충기(22)에 접속되어, 승강체인 균형추(8)에 맞닿게 된다. 이로 인해, 균형추(8)의 하강 위치가 제한되어, 엘리베이터칸(7)의 상승 위치가 제한된다. 즉, 균형추 완충기(22)에 균형추 스토퍼(25)가 접속되는 것에 의해, 균형추(8)에 의해 균형추 완충기(22)가 압축되었을 때의 엘리베이터칸(7)의 상부와 승강로 천장부까지의 거리를 확보할 수 있다. 균형추 스토퍼(25)는 통상 운전시에는 균형추 완충기(22)상으로부터 철거된다.
균형추 완충기(22)의 근방에는, 균형추 완충기(22)에 균형추 스토퍼(25)가 설치된 것을 기계적으로 검출하는 균형추 스토퍼 검출 수단으로서의 균형추 스토퍼 검출 스위치(26)가 마련되어 있다. 균형추 스토퍼 검출 스위치(26)는 제어 장치(11)에 접속되어 있다. 제어 장치(11)는 균형추 스토퍼 검출 스위치(26)에 의해 균형추 스토퍼(25)가 검출되면, 엘리베이터칸(7)의 운전 모드를 강제적으로 보수 운전 모드로 설정한다. 다른 구성은 실시 형태 1과 동양(同樣)이다.
도 5는 도 4의 제어 장치(11)에 설정된 통상 운전용의 과속도 패턴과 보수 운전용의 과속도 패턴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위치 A ~ D는 도 2와 동양이다. 위치 G는 균형추 스토퍼(25)의 위치, 위치 H는 균형추 완충기(22)의 위치이다.
엘리베이터칸 속도가 비정상이라고 판단하기 위한 기준이 되는 과속도는, 엘리베이터칸(7)의 주행 방향과 절대 위치에 따른 패턴, 즉 과속도 패턴으로서 설정되어 있다. 또, 엘리베이터칸(7)의 통상 운전시와 보수 운전시에는 다른 과속도의 패턴이 설정되어 있다.
도 5에 있어서, 최고 속도가 V1로 되는 실선의 패턴 P5는 엘리베이터칸(7)이 하부 종단층으로부터 상부 종단층까지 통상 운전될 때의 주행 속도 패턴을 나타내고 있다. 최고 속도가 V2로 되는 파선의 패턴 P6은 통상 운전용의 과속도 패턴을 나타내고 있다. 최고 속도가 V3으로 되는 실선의 패턴 P7은 엘리베이터칸(7)이 하부 종단층으로부터 상부 종단층까지 보수 운전될 때의 주행 속도 패턴을 나타내고 있다. 최고 속도가 V4로 되는 파선의 패턴 P8은 보수 운전용의 과속도 패턴을 나타내고 있다.
제어 장치(11)는 엘리베이터칸 속도가 과속도에 도달하였다고 판단하면, 모터(3)로의 통전을 차단하는 동시에, 브레이크 장치(4)를 제동 동작시켜 엘리베이터칸(7)을 비상 정지시킨다. 또, 제어 장치(11)는 균형추 완충기(22)에 균형추 스토퍼(25)가 설치된 것이 균형추 스토퍼 검출 스위치(26)에 의해 검출되면, 과속도 패턴을 P6에서 P8로 전환하여 과속도의 설정값을 낮게 한다. 또, 과속도 패턴은, 균 형추 완충기(22)로의 균형추(8)의 충돌 속도가 균형추 완충기(22)의 성능에 따른 허용 충돌 속도 이하로 되도록 설정되어 있다.
이와 같은 엘리베이터 장치에서는, 균형추 완충기(22)에 균형추 스토퍼(25)가 설치된 것이 검출되면, 과속도 패턴이 전환되어 완충기 충돌 속도가 자동적으로 변경되므로, 보수 운전의 제어에 이상이 발생한 경우에도, 균형추 완충기(22)의 허용 충돌 속도를 초과한 속도로 균형추(8)가 균형추 스토퍼(25)에 충돌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균형추 완충기(22) 및 균형추 스토퍼(25)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또, 엘리베이터칸(7)상에서의 보수 작업시에 엘리베이터칸(7)이 승강로 꼭대기부에 진입하는 것이 균형추 스토퍼(25)에 의해 저지되므로, 보수원의 작업 공간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상부 종단층 근방의 영역에 있어서 과속도의 설정값을, 상부 종단층까지의 거리에 따라서 서서히 저하시켰기 때문에, 균형추 완충기(22) 및 균형추 스토퍼(25)로의 균형추(8)의 설계상의 충돌 속도를 낮게 설정할 수 있어, 균형추 완충기(22) 및 균형추 스토퍼(25)의 강도를 저하시켜 비용을 경감할 수 있다.
또한, 실시 형태 2에서는 균형추 완충기(22)상에 균형추 스토퍼(25)를 접속하였으나, 균형추(8)의 하부에 설치해도 된다. 즉, 균형추 스토퍼(25)는 보수 작업시에 균형추 완충기(22)와 균형추(8) 사이에 개재되도록, 균형추 완충기(22) 및 균형추(8)의 적어도 어느 한쪽에 설치하면 된다.
실시 형태 3.
다음에,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3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면에 있어서, 엘리베이터칸(7)상에서의 보수 작업시에는 엘리베이터칸(7)상에 스토퍼로서의 보수 완충기(27)가 설치된다. 보수 완충기(27)는 보수 작업시에 엘리베이터칸(7)상에 설치되어 승강로 천장부에 맞닿게 되는 것에 의해 엘리베이터칸(7)의 상승 위치를 제한한다. 보수 완충기(27)는 통상 운전시에는 엘리베이터칸(7)상으로부터 철거된다.
엘리베이터칸(7)상에는, 엘리베이터칸(7)상에 보수 완충기(27)가 설치된 것을 기계적으로 검출하는 보수 완충기 검출 수단으로서의 보수 완충기 검출 스위치(28)가 마련되어 있다. 보수 완충기 검출 스위치(28)는 제어 장치(11)에 접속되어 있다. 제어 장치(11)는 보수 완충기 검출 스위치(28)에 의해 보수 완충기(27)가 검출되면, 엘리베이터칸(7)의 운전 모드를 강제적으로 보수 운전 모드로 설정한다. 다른 구성은 실시 형태 1과 동양이다.
도 7은 도 6의 제어 장치(11)에 설정된 통상 운전용의 과속도 패턴과 보수 운전용의 과속도 패턴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위치 A ~ D, H는 도 5와 동양이다. 위치 I는 보수 완충기(27)의 위치, 즉 보수 완충기(27)에 의해 엘리베이터칸(7)의 상승이 규제되는 위치이다.
엘리베이터칸 속도가 비정상이라고 판단하기 위한 기준이 되는 과속도는, 엘리베이터칸(7)의 주행 방향과 절대 위치에 따른 패턴, 즉 과속도 패턴으로서 설정되어 있다. 또, 엘리베이터칸(7)의 통상 운전시와 보수 운전시에는 다른 과속도의 패턴이 설정되어 있다.
도 7에 있어서, 최고 속도가 V1로 되는 실선의 패턴 P5는 엘리베이터칸(7)이 하부 종단층으로부터 상부 종단층까지 통상 운전될 때의 주행 속도 패턴을 나타내고 있다. 최고 속도가 V2로 되는 파선의 패턴 P9는 통상 운전용의 과속도 패턴을 나타내고 있다. 최고 속도가 V3으로 되는 실선의 패턴 P7은 엘리베이터칸(7)이 하부 종단층으로부터 상부 종단층까지 보수 운전될 때의 주행 속도 패턴을 나타내고 있다. 최고 속도가 V4로 되는 파선의 패턴 P10은 보수 운전용의 과속도 패턴을 나타내고 있다.
제어 장치(11)는 엘리베이터칸 속도가 과속도에 도달했다고 판단하면, 모터(3)로의 통전을 차단하는 동시에, 브레이크 장치(4)를 제동 동작시켜 엘리베이터칸(7)을 비상 정지시킨다. 또, 제어 장치(11)는 엘리베이터칸(7)상에 보수 완충기(27)가 설치된 것이 보수 완충기 검출 스위치(28)에 의해 검출되면, 과속도 패턴을 P9에서 P10으로 전환하여 과속도의 설정값을 낮게 한다. 또, 과속도 패턴은, 균형추 완충기(22)로의 균형추(8)의 충돌 속도가 균형추 완충기(22)의 성능에 따른 허용 충돌 속도 이하로 되도록, 또한 보수 완충기(27)의 승강로 천장부로의 충돌 속도가 보수 완충기(27)의 성능에 따른 허용 충돌 속도 이하로 되도록 설정되어 있다.
이와 같은 엘리베이터 장치에서는 엘리베이터칸(7)상에 보수 완충기(27)가 설치된 것이 검출되면, 과속도 패턴이 전환되어 완충기 충돌 속도가 자동적으로 변경되므로, 보수 운전의 제어에 이상이 발생한 경우에도, 보수 완충기(27)의 허용 충돌 속도를 초과한 속도로 보수 완충기(27)가 승강로 천장부에 충돌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보수 완충기(27)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또, 엘리베이터칸(7)상에서의 보수 작업시에 엘리베이터칸(7)이 승강로 꼭대기부에 진입하는 것이 보수 완충기(27)에 의해 저지되므로, 보수원의 작업 공간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실시 형태 3에서는 엘리베이터칸(7)상에 설치되는 스토퍼로서 보수 완충기(27)를 나타내었으나, 반드시 완충기가 아니어도 되고, 단순한 스페이서여도 된다. 이 경우, 예를 들어 스토퍼의 상단부 또는 승강로 천장부에 완충용의 탄성체 등을 마련해도 되다.
또, 실시 형태 3에서는 엘리베이터칸(7)상에 보수 완충기(27)를 설치하였으나, 피트 내에서의 보수 작업시에 균형추(8)의 상부에 스토퍼를 설치하여 균형추(8)의 상승 위치를 제한하는 것에 의해 엘리베이터칸(7)의 하강 위치를 제한해도 된다. 이 경우, 스토퍼 검출 수단은 균형추상에 마련하면 된다.
또한, 스토퍼는 승강로 천장부에 설치해도 된다. 즉, 스토퍼는 보수 작업시에 승강체와 승강로 천장부 사이에 개재되도록 승강체 및 승강로 천장부의 적어도 어느 한쪽에 설치하면 된다.
게다가 또, 통상 운전시의 주행 속도 패턴과 보수 운전시의 주행 속도 패턴은 서로 독립된 장치(컴퓨터 등)로 설정하도록 해도 된다.
또, 주행 속도 패턴의 설정과 과속도 패턴의 설정 및 과속도 감시를, 서로 독립된 장치(컴퓨터 등)로 실행하도록 해도 된다. 즉, 엘리베이터칸의 운행을 제어하는 기능을 실행하는 장치와, 엘리베이터칸이 과속도에 도달하는지의 여부를 감시하는 기능을 실행하는 장치를 서로 독립된 장치로서 제어 장치에 마련해도 된다.
또, 실시 형태 1 ~ 3에서는 스토퍼 검출 수단으로서 스토퍼의 설치를 기계적으로 검출하는 스토퍼 검출 스위치를 이용했기 때문에, 스토퍼의 설치를 보다 확실하게 검출할 수 있으나, 스토퍼 검출 수단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근접 센서나 광전 센서 등에 의해 비접촉으로 스토퍼를 검출해도 된다.
또한, 실시 형태 1 ~ 3에서는 스토퍼가 설치 장소에 설치된 것을 직접 검출하는 스토퍼 검출 수단을 나타내었으나, 스토퍼가 보관 장소로부터 이동된 것을 검출하는 것에 의해 스토퍼의 설치를 간접적으로 검출하는 것이어도 된다.
그리고 또, 과속도의 설정값을 낮게 하는 타이밍은 스토퍼의 설치에 한정되지 않는다.
실시 형태 4.
다음에, 본 발명의 실시 형태 4에 대하여 설명한다. 실시 형태 4에서, 제어 장치(11)는 통상 운전 모드와 통상 운전 모드보다 저속으로 엘리베이터칸(7)을 승강시키는 보수 운전 모드를 포함하는 복수의 운전 모드에 의해 엘리베이터칸(7)의 승강을 제어한다. 또, 제어 장치(11)는 운전 모드가 보수 운전 모드로 전환되면 과속도의 설정값을 낮게 한다. 다른 구성은 실시 형태 1 ~ 3과 동양이다.
이와 같은 엘리베이터 장치에서는 운전 모드가 보수 운전 모드로 전환되는 것에 의해 과속도의 설정값이 자동적으로 낮아지므로, 승강로 내에서 보수 작업을 행하고 있을 가능성이 있을 때, 엘리베이터칸(7)이나 균형추(8)의 속도를 보다 확실하게 억제할 수 있다.
실시 형태 5.
다음에, 본 발명의 실시 형태 5에 대하여 설명한다. 실시 형태 5에서는 엘리베이터칸 도어(도시하지 않음) 및 승강장 도어(도시하지 않음)의 개폐 상태가 도어 개폐 검출 수단(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검출된다. 도어 개폐 검출 수단으로는 기설(旣設) 도어 스위치를 이용할 수 있다. 또, 제어 장치(11)는 엘리베이터칸 도어 및 승강장 도어의 적어도 어느 하나가 개방되어 있는 것이 도어 개폐 검출 수단에 의해 검출되면, 과속도의 설정값을 낮게 한다. 다른 구성은 실시 형태 1 ~ 3과 동양이다.
이와 같은 엘리베이터 장치에서는 도어가 하나라도 개방되어 있을 때는 과속도의 설정값이 자동적으로 낮게 되므로, 승강로 내에서 보수 작업을 행하고 있을 가능성이 있을 때, 엘리베이터칸(7)이나 균형추(8)의 속도를 보다 확실하게 억제할 수 있다.
실시 형태 6.
다음에, 본 발명의 실시 형태 6에 대하여 설명한다. 실시 형태 6에서는 제어 장치(11)에 의해 엘리베이터칸(7)의 위치가 감시되고 있다. 또, 승강장 도어(도시하지 않음)의 개폐 상태가 도어 개폐 검출 수단(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검출된다. 또, 제어 장치(11)는 엘리베이터칸(7)이 정지하고 있는 층 이외의 승강장 도어의 개방이 도어 개폐 검출 수단에 의해 검출되면, 과속도의 설정값을 낮게 한다. 다른 구성은 실시 형태 1 ~ 3과 동양이다.
이와 같은 엘리베이터 장치에서는 엘리베이터칸(7)이 정지하고 있는 층 이외의 승강장 도어가 개방되어 있을 때에는 과속도의 설정값이 자동적으로 낮아지므 로, 승강로 내에서 보수 작업을 행하고 있을 가능성이 있을 때에, 엘리베이터칸(7)이나 균형추(8)의 속도를 보다 확실하게 억제할 수 있다.
실시 형태 7.
다음에, 본 발명의 실시 형태 7에 대하여 설명한다. 실시 형태 7에서는 엘리베이터칸 위 검출 수단(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엘리베이터칸(7)상에 사람이 있는지의 여부가 검출된다. 엘리베이터칸 위 검출 수단으로는 엘리베이터칸(7)상의 사람을 직접 검출하는 각종 센서나, 엘리베이터칸(7)상의 안전책(safety fence)을 작업용으로 가동하게 한 것을 검출하는 스위치 등을 이용할 수 있다. 또, 제어 장치(11)는 엘리베이터칸(7)상에 사람이 있는 것이 엘리베이터칸 위 검출 수단에 의해 검출되면 과속도의 설정값을 낮게 한다.
이와 같은 엘리베이터 장치에서는 엘리베이터칸(7)상에 사람이 있을 때에는 과속도의 설정값이 자동적으로 낮게 되므로, 승강로 내에서 보수 작업을 행하고 있는 가능성이 있을 때에, 엘리베이터칸(7)이나 균형추(8)의 속도를 보다 확실하게 억제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승강로 내에서 보수 작업을 행하고 있을 가능성이 있을 때에, 엘리베이터칸이나 균형추의 속도를 보다 확실하게 억제할 수 있는 엘리베이터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Claims (10)

  1. 승강로 내를 승강하는 승강체;
    상기 승강체의 속도가 미리 설정된 과속도에 도달하는지의 여부를 감시하는 제어 장치;
    상기 승강로 내의 하부에 마련되어 있는 완충기;
    보수 작업시에 상기 완충기와 상기 승강체 사이에 개재되는 것에 의해, 상기 승강체의 하강 위치를 제한하는 스토퍼(stopper); 및
    상기 완충기 및 상기 승강체의 적어도 어느 한쪽에 상기 스토퍼가 설치된 것을 검출하는 스토퍼 검출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제어 장치는, 상기 스토퍼 검출 수단에 의해 상기 스토퍼가 검출되면, 상기 과속도의 설정값을 낮게 하고,
    상기 제어 장치에는 통상 운전용의 과속도 패턴과 보수 운전용의 과속도 패턴이 설정되어 있으며,
    상기 제어 장치는, 상기 엘리베이터칸의 위치의 정보와, 상기 엘리베이터칸의 주행 방향의 정보와, 상기 스토퍼 검출 수단으로부터의 정보와, 상기 과속도 패턴에 기초하여 현재의 과속도를 설정하는 엘리베이터 장치.
  2. 승강로 내를 승강하는 승강체;
    상기 승강체의 속도가 미리 설정된 과속도에 도달하는지의 여부를 감시하는 제어 장치;
    보수 작업시에 상기 승강체와 승강로 천장부 사이에 개재되는 것에 의해, 상기 승강체의 상승 위치를 제한하는 스토퍼; 및
    상기 승강체 및 상기 승강로 천장부의 적어도 어느 한쪽에 상기 스토퍼가 설치된 것을 검출하는 스토퍼 검출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제어 장치는, 상기 스토퍼 검출 수단에 의해 상기 스토퍼가 검출되면, 상기 과속도의 설정값을 낮게 하고,
    상기 제어 장치에는 통상 운전용의 과속도 패턴과 보수 운전용의 과속도 패턴이 설정되어 있으며,
    상기 제어 장치는, 상기 엘리베이터칸의 위치의 정보와, 상기 엘리베이터칸의 주행 방향의 정보와, 상기 스토퍼 검출 수단으로부터의 정보와, 상기 과속도 패턴에 기초하여 현재의 과속도를 설정하는 엘리베이터 장치.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 검출 수단은 상기 스토퍼의 설치를 기계적으로 검출하는 스토퍼 검출 스위치이고, 상기 스토퍼 검출 스위치가 상기 스토퍼에 의하여 조작되는 엘리베이터 장치.
  4. 삭제
  5.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종단층 근방의 영역에 있어서 상기 과속도 패턴은 종단층까지의 거리에 따라서 서서히 저하하도록 설정되어 있는 엘리베이터 장치.
  6.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어 장치에는, 상기 엘리베이터칸의 운행을 제어하는 기능을 실행하는 장치와, 상기 엘리베이터칸이 과속도에 도달하는지의 여부를 감시하는 기능을 실행하는 장치가 서로 독립된 장치로서 마련되어 있는 엘리베이터 장치.
  7. 승강로 내를 승강하는 엘리베이터칸; 및
    통상 운전 모드와, 통상 운전 모드보다 저속으로 상기 엘리베이터칸을 승강시키는 보수 운전 모드를 포함하는 복수의 운전 모드에 의해 상기 엘리베이터칸의 승강을 제어함과 함께, 상기 엘리베이터칸의 속도가 미리 설정된 과속도에 도달하는지의 여부를 감시하는 제어 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제어 장치는 상기 운전 모드가 상기 보수 운전 모드로 전환되면, 상기 과속도의 설정값을 낮게 하고,
    상기 제어 장치에는 통상 운전용의 과속도 패턴과 보수 운전용의 과속도 패턴이 설정되어 있으며,
    상기 제어 장치는, 상기 엘리베이터칸의 위치의 정보와, 상기 엘리베이터칸의 주행 방향의 정보와, 상기 운전 모드가 상기 보수 운전 모드로 전환된 것에 관한 정보와, 상기 과속도 패턴에 기초하여 현재의 과속도를 설정하는 엘리베이터 장치.
  8. 엘리베이터칸 도어를 가지며, 승강로 내를 승강하는 엘리베이터칸;
    상기 엘리베이터칸의 속도가 미리 설정된 과속도에 도달하는지의 여부를 감시하는 제어 장치;
    복수의 승강장 도어; 및
    상기 엘리베이터칸 도어 및 상기 승강장 도어의 개폐 상태를 검출하는 도어 개폐 검출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제어 장치는 상기 엘리베이터칸 도어 및 상기 승강장 도어의 적어도 어느 하나가 개방되어 있는 것이 상기 도어 개폐 검출 수단에 의해 검출되면, 상기 과속도의 설정값을 낮게 하고,
    상기 제어 장치에는 통상 운전용의 과속도 패턴과 보수 운전용의 과속도 패턴이 설정되어 있으며,
    상기 제어 장치는, 상기 엘리베이터칸의 위치의 정보와, 상기 엘리베이터칸의 주행 방향의 정보와, 상기 도어 개폐 검출 수단으로부터의 정보와, 상기 과속도 패턴에 기초하여 현재의 과속도를 설정하는 엘리베이터 장치.
  9. 승강로 내를 승강하는 엘리베이터칸;
    상기 엘리베이터칸의 위치를 감시함과 함께, 상기 엘리베이터칸의 속도가 미리 설정된 과속도에 도달하는지의 여부를 감시하는 제어 장치;
    복수의 승강장 도어; 및
    상기 승강장 도어의 개폐 상태를 검출하는 도어 개폐 검출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제어 장치는, 상기 엘리베이터칸이 정지하고 있는 층 이외의 상기 승강장 도어의 개방이 상기 도어 개폐 검출 수단에 의해 검출되면, 상기 과속도의 설정값을 낮게 하고,
    상기 제어 장치에는 통상 운전용의 과속도 패턴과 보수 운전용의 과속도 패턴이 설정되어 있으며,
    상기 제어 장치는, 상기 엘리베이터칸의 위치의 정보와, 상기 엘리베이터칸의 주행 방향의 정보와, 상기 도어 개폐 검출 수단으로부터의 정보와, 상기 과속도 패턴에 기초하여 현재의 과속도를 설정하는 엘리베이터 장치.
  10. 승강로 내를 승강하는 엘리베이터칸;
    상기 엘리베이터칸의 속도가 미리 설정된 과속도에 도달하는지의 여부를 감시하는 제어 장치; 및
    상기 엘리베이터칸 위에 사람이 있는지의 여부를 검출하는 엘리베이터칸 위 검출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제어 장치는, 상기 엘리베이터칸 위에 사람이 있는 것이 상기 엘리베이터칸 위 검출 수단에 의해 검출되면, 상기 과속도의 설정값을 낮게 하고,
    상기 제어 장치에는 통상 운전용의 과속도 패턴과 보수 운전용의 과속도 패턴이 설정되어 있으며,
    상기 제어 장치는, 상기 엘리베이터칸의 위치의 정보와, 상기 엘리베이터칸의 주행 방향의 정보와, 상기 엘리베이터 칸 위 검출 수단으로부터의 정보와, 상기 과속도 패턴에 기초하여 현재의 과속도를 설정하는 엘리베이터 장치.
KR1020097004485A 2006-11-20 2006-11-20 엘리베이터 장치 Expired - Fee Related KR10102506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06/323105 WO2008062500A1 (en) 2006-11-20 2006-11-20 Elevator system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76890A KR20090076890A (ko) 2009-07-13
KR101025064B1 true KR101025064B1 (ko) 2011-03-25

Family

ID=394294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7004485A Expired - Fee Related KR101025064B1 (ko) 2006-11-20 2006-11-20 엘리베이터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3) US8177034B2 (ko)
EP (3) EP2682359B1 (ko)
JP (1) JPWO2008062500A1 (ko)
KR (1) KR101025064B1 (ko)
CN (1) CN101511716B (ko)
WO (1) WO2008062500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103162A1 (ko) * 2017-11-21 2019-05-31 주식회사 리프텍 리프트용 수신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033927B3 (en) 2006-06-30 2018-12-19 Otis Elevator Company Elevator having a shallow pit and/or a low overhead
FI121423B (fi) * 2009-04-23 2010-11-15 Kone Corp Hissin turvajärjestely
FI20105033L (fi) * 2010-01-18 2011-07-19 Kone Corp Menetelmä hissikorin liikkeen valvomiseksi sekä hissijärjestelmä
JP2011256001A (ja) * 2010-06-08 2011-12-22 Hitachi Ltd エレベータ装置
JP2012106851A (ja) * 2010-11-19 2012-06-07 Hitachi Ltd エレベータ装置
WO2012127560A1 (ja) * 2011-03-18 2012-09-27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ータ装置
JP5553796B2 (ja) * 2011-05-25 2014-07-16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エレベーター安全システム
CN103086217A (zh) * 2011-10-28 2013-05-08 康力电梯股份有限公司 一种下置式无机房维修用防护装置
WO2013115827A1 (en) * 2012-02-03 2013-08-08 Otis Elevator Company System and method for reducing speed of an elevator car
JP2013220895A (ja) * 2012-04-17 2013-10-28 Toshiba Elevator Co Ltd エレベータの運転制御システム
DE112013006482B4 (de) 2013-01-23 2019-05-02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Aufzugsvorrichtung
JP5678111B2 (ja) * 2013-03-01 2015-02-25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エレベータ装置
FI125316B (fi) * 2013-09-10 2015-08-31 Kone Corp Menetelmä hätäpysäytyksen suorittamiseksi sekä hissin turvajärjestely
FI125176B (fi) * 2014-01-21 2015-06-30 Kone Corp Turvalaitteistojärjestelyllä varustettu hissi
US9837860B2 (en) * 2014-05-05 2017-12-05 Witricity Corporation Wireless power transmission systems for elevators
EP3154892B1 (en) 2014-06-12 2018-12-12 Otis Elevator Company Brake member actuation mechanism
WO2015191695A1 (en) 2014-06-12 2015-12-17 Otis Elevator Company Braking system resetting mechanism for a hoisted structure
US10745243B2 (en) * 2014-10-21 2020-08-18 Inventio Ag Elevator comprising a decentralized electronic safety system
WO2017013709A1 (ja) * 2015-07-17 2017-01-26 三菱電機株式会社 油圧式エレベータの安全装置および油圧式エレベータの戸開走行異常検出方法
CN109153533B (zh) 2016-05-23 2021-03-05 三菱电机株式会社 电梯装置
JP6885114B2 (ja) * 2017-03-08 2021-06-09 三菱電機ビルテクノサービス株式会社 バッファのキャップへの接触判定機能を備えたエレベーターの制御装置
JP6885115B2 (ja) * 2017-03-08 2021-06-09 三菱電機ビルテクノサービス株式会社 バッファのキャップへの衝突防止機能を備えたエレベーターの制御装置
EP3401260B1 (en) * 2017-05-12 2023-08-09 Otis Elevator Company Elevator overrun systems
US10889465B2 (en) * 2017-07-31 2021-01-12 Otis Elevator Company Mechanical hoistway access control device
CN111295351B (zh) * 2017-10-31 2022-05-24 因温特奥股份公司 用于在电梯竖井中执行维护工作的装置
CN110745674B (zh) * 2019-11-25 2024-05-14 重庆迈高电梯有限公司 一种浅底坑电梯底坑检修用安全保护装置
US12330910B1 (en) * 2024-09-24 2025-06-17 RN Miami Enterprises LLC Elevator switch adapter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64484A (ja) * 1982-10-01 1984-04-12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エレベ−タ−の保守時運転装置
JP2000327239A (ja) * 1999-05-21 2000-11-28 Mitsubishi Electric Corp エレベータ装置

Family Cites Families (3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338527A1 (fr) * 1976-01-15 1977-08-12 Duriez Jean Procede et dispositif de controle et de regulation de la vitesse d'un mobile
FR2579189B1 (fr) * 1985-03-25 1988-04-08 Logilift Sarl Procede de commande regulee du ralentissement d'un mobile et dispositif de commande regulee pour la mise en oeuvre du procede
US5025895A (en) * 1990-01-09 1991-06-25 G.E.C. Holding Corp. Elevator car top intrusion device
US5347094A (en) * 1990-01-09 1994-09-13 Toc Holding Copmany Of New York, Inc. Elevator shaftway intrusion device
US5298695A (en) * 1990-04-12 1994-03-29 Otis Elevator Company Elevator system with varying motion profiles and parameters based on crowd related predictions
US6050369A (en) * 1994-10-07 2000-04-18 Toc Holding Company Of New York, Inc. Elevator shaftway intrusion device using optical imaging processing
US5637841A (en) * 1994-10-17 1997-06-10 Delaware Capital Formation, Inc. Elevator system
US5644111A (en) * 1995-05-08 1997-07-01 New York City Housing Authority Elevator hatch door monitoring system
JPH0958942A (ja) * 1995-08-22 1997-03-04 Mitsubishi Denki Bill Techno Service Kk エレベーターの間隔保持装置
US5806633A (en) * 1995-12-22 1998-09-15 Macuga; Henry J. Elevator safety system incorporating false pit
US5773771A (en) * 1996-07-30 1998-06-30 Chatham; Charles Apparatus for preventing unintended movement of elevator car
US6202797B1 (en) * 1999-08-26 2001-03-20 Otis Elevator Company Automatic protection of elevator mechanics
US6223861B1 (en) * 1999-08-30 2001-05-01 Otis Elevator Company Elevator hoistway access safety
SE521817C2 (sv) * 2000-11-02 2003-12-09 Alimak Ab Säkerhetsarrangemang vid hiss
DE10108772A1 (de) * 2001-02-23 2002-11-21 Otis Elevator Co Aufzugssicherheitseinrichtung
EP1404603B1 (de) * 2001-07-09 2006-02-15 Inventio Ag Aufzuganlage mit virtueller schutzzone am schachtfuss und/oder am schachtkopf und verfahren zum ansteuern derselben
JP4553535B2 (ja) 2001-09-28 2010-09-29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ータ装置
US6603398B2 (en) * 2001-11-16 2003-08-05 Otis Elevator Company Hoistway access detection system
JP3944482B2 (ja) * 2001-12-11 2007-07-11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ーター装置
JP2002356282A (ja) * 2002-05-31 2002-12-10 Mitsubishi Electric Corp 機械室レスエレベータ装置
JP4712313B2 (ja) * 2003-05-21 2011-06-29 インベンテイオ・アクテイエンゲゼルシヤフト バッファおよびバッファを備えたエレベータ設備
EP1518811B1 (en) * 2003-06-06 2010-12-15 Mitsubishi Denki Kabushiki Kaisha Elevator apparatus
AU2003291124A1 (en) * 2003-11-18 2005-07-14 Otis Elevator Company Elevator governor device
US7448472B2 (en) * 2003-11-21 2008-11-11 Mitsubishi Denki Kabushiki Kaisha Elevator apparatus that detects an accurate running speed of an elevator car that operates over speed
JP2005206346A (ja) * 2004-01-23 2005-08-04 Otis Elevator Co エレベーター装置の保守点検方法
DE102004009250A1 (de) * 2004-02-20 2005-09-08 K.A. Schmersal Holding Kg Sicherheitsüberwachungseinrichtung für eine Aufzugskabine
EP1773704B1 (en) * 2004-05-05 2010-03-31 Otis Elevator Company Safety device for operator protection in low-height shaft bottom end elevators and elevator equipped therewith
CN101027239A (zh) * 2004-09-29 2007-08-29 奥蒂斯电梯公司 用于电梯轿厢安全停止的装置
ES2537756T3 (es) * 2004-12-03 2015-06-11 Otis Elevator Company Dispositivo de seguridad para uso en un sistema de elevador
FI119878B (fi) * 2005-02-04 2009-04-30 Kone Corp Järjestelmä ja menetelmä hissin turvallisuuden parantamiseksi
PT2660180E (pt) * 2005-03-30 2014-12-24 Mitsubishi Electric Corp Dispositivo de detecção de velocidade excessiva para aparelho elevador com um interbloqueio de segurança
EP1930274B1 (en) * 2005-09-30 2014-03-12 Mitsubishi Denki Kabushiki Kaisha Device for controlling elevator operation
DE112005003713B4 (de) * 2005-10-05 2018-12-27 Otis Elevator Co. Aufzugsystemsteuerung, die auf Schachtzugangsdetektion anspricht
FI20070486L (fi) * 2007-01-03 2008-07-04 Kone Corp Hissin turvajärjestely
FI125141B (fi) * 2007-01-03 2015-06-15 Kone Corp Hissin turvalaite
EP2022742B1 (de) * 2007-08-07 2014-06-25 ThyssenKrupp Elevator AG Aufzugsystem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64484A (ja) * 1982-10-01 1984-04-12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エレベ−タ−の保守時運転装置
JP2000327239A (ja) * 1999-05-21 2000-11-28 Mitsubishi Electric Corp エレベータ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103162A1 (ko) * 2017-11-21 2019-05-31 주식회사 리프텍 리프트용 수신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00155182A1 (en) 2010-06-24
CN101511716A (zh) 2009-08-19
US20120006631A1 (en) 2012-01-12
EP2682360B1 (en) 2016-08-10
US20120006628A1 (en) 2012-01-12
EP2060528A1 (en) 2009-05-20
EP2682360A1 (en) 2014-01-08
US8177035B2 (en) 2012-05-15
EP2060528A4 (en) 2013-07-31
JPWO2008062500A1 (ja) 2010-03-04
KR20090076890A (ko) 2009-07-13
CN101511716B (zh) 2013-05-01
US8177034B2 (en) 2012-05-15
EP2682359A1 (en) 2014-01-08
EP2682359B1 (en) 2016-08-10
EP2060528B1 (en) 2015-05-13
WO2008062500A1 (en) 2008-05-29
US8186484B2 (en) 2012-05-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25064B1 (ko) 엘리베이터 장치
JP5992035B2 (ja) マルチカー式エレベータ
EP1864935B1 (en) Elevator apparatus
KR101273752B1 (ko) 엘리베이터 장치
EP3366626B1 (en) Elevator safety system and method of monitoring an elevator system
KR20120023105A (ko) 엘리베이터 장치
KR100969047B1 (ko) 엘리베이터 장치
JP5462836B2 (ja) エレベーター用制動装置及びエレベーター
KR101233558B1 (ko) 엘리베이터 장치
JP6180591B2 (ja) マルチカー式エレベータ
WO2012127560A1 (ja) エレベータ装置
JP4255687B2 (ja) エレベータの運転制御装置
JP5541372B2 (ja) エレベーターの終端階強制減速装置
CN111479766A (zh) 使轿厢作为脚手架发挥功能的电梯控制装置
WO2025002571A1 (en) A safety method and an elevator drive system for an elevator system comprising reduced buffers
WO2025088207A1 (en) Elevator safety controller, elevator system, and method for causing emergency stop for elevator car
KR100891234B1 (ko) 엘리베이터 장치
CN119156337A (zh) 用于确保电梯系统中的电梯安全的方法、电梯控制单元、电梯系统和计算机程序产品
KR20070069127A (ko) 엘리베이터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5 International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90303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0051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101109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00518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PJ0201 Trial against decision of rejection

Patent event date: 20101224

Comment text: Request for Trial against Decision on Refusal

Patent event code: PJ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01109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J02011S01I

Appeal kind category: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Decision date: 20110201

Appeal identifier: 2010101009876

Request date: 20101224

PB0901 Examination by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date: 20101224

Patent event code: PB09011R02I

Comment text: Request for Trial against Decision on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01224

Patent event code: PB09011R01I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date: 20100716

Patent event code: PB09011R02I

B701 Decision to grant
PB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Patent event date: 20110201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B07012S01D

Patent event date: 20110126

Comment text: Transfer of Trial File fo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Patent event code: PB07011S01I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10318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10318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20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0220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24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0224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19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219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21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221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02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302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912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