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988257B1 - 정보 처리 장치 및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 Google Patents

정보 처리 장치 및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88257B1
KR100988257B1 KR1020057003641A KR20057003641A KR100988257B1 KR 100988257 B1 KR100988257 B1 KR 100988257B1 KR 1020057003641 A KR1020057003641 A KR 1020057003641A KR 20057003641 A KR20057003641 A KR 20057003641A KR 100988257 B1 KR100988257 B1 KR 1009882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recording
format
section
bit rat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570036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57112A (ko
Inventor
마코토 우루시하라
게이스케 히로이
히데유키 아가타
다카시 오쿠보
요시유키 다카오
Original Assignee
소니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02260942A external-priority patent/JP4423843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2260941A external-priority patent/JP4337318B2/ja
Application filed by 소니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소니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0500571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5711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882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88257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0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9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 G11B27/28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by using information signals recorded by the same method as the main recording
    • G11B27/32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by using information signals recorded by the same method as the main recording on separate auxiliary tracks of the same or an auxiliary record carrier
    • G11B27/327Table of contents
    • G11B27/329Table of contents on a disc [VTOC]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91Television signal processing therefor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02Editing, e.g. varying the order of information signals recorded on, or reproduced from, record carriers
    • G11B27/031Electronic editing of digitised analogue information signals, e.g. audio or video signal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02Editing, e.g. varying the order of information signals recorded on, or reproduced from, record carriers
    • G11B27/031Electronic editing of digitised analogue information signals, e.g. audio or video signals
    • G11B27/034Electronic editing of digitised analogue information signals, e.g. audio or video signals on disc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0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9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 G11B27/28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by using information signals recorded by the same method as the main record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765Interface circuits between an apparatus for recording and another apparatu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79Processing of colour television signals in connection with recording
    • H04N9/80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220/00Record carriers by type
    • G11B2220/20Disc-shaped record carriers
    • G11B2220/21Disc-shaped 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in that the disc is of read-only, rewritable, or recordable type
    • G11B2220/213Read-only disc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220/00Record carriers by type
    • G11B2220/20Disc-shaped record carriers
    • G11B2220/21Disc-shaped 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in that the disc is of read-only, rewritable, or recordable type
    • G11B2220/215Recordable discs
    • G11B2220/216Rewritable disc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220/00Record carriers by type
    • G11B2220/20Disc-shaped record carriers
    • G11B2220/21Disc-shaped 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in that the disc is of read-only, rewritable, or recordable type
    • G11B2220/215Recordable discs
    • G11B2220/218Write-once disc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220/00Record carriers by type
    • G11B2220/20Disc-shaped record carriers
    • G11B2220/25Disc-shaped 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in that the disc is based on a specific recording technology
    • G11B2220/2537Optical discs
    • G11B2220/2562DVDs [digital versatile discs]; Digital video discs; MMCDs; HDCD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220/00Record carriers by type
    • G11B2220/20Disc-shaped record carriers
    • G11B2220/25Disc-shaped 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in that the disc is based on a specific recording technology
    • G11B2220/2537Optical discs
    • G11B2220/2562DVDs [digital versatile discs]; Digital video discs; MMCDs; HDCDs
    • G11B2220/2575DVD-RAM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220/00Record carriers by type
    • G11B2220/90Tape-like record carri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78Television signal recording using magnetic recording
    • H04N5/781Television signal recording using magnetic recording on disks or dru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84Television signal recording using optical recording
    • H04N5/85Television signal recording using optical recording on discs or dru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ignal Processing For Digital Recording And Reproduc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제1 포맷으로 제1 기록 매체에 기록된 비디오 데이터를, 제2 포맷으로 제2 기록 매체에 기록시킬 때까지의 일련의 처리를, 사용자의 수동 조작을 개재시키지 않고 실행시킬 수 있도록 한 정보 처리 장치에 관한 것이다. 사용자의 수동 조작을 개재시키지 않고, DVD에 기록되는 데이터의 총계 시간 Tx에 따라, 화상의 비트 레이트의 최대값(제1 값 B1)과, 음성의 비트 레이트의 최대값(제2 값 B2)이 되는 제1 설정, 화상의 비트 레이트의 제1 값과, 음성의 비트 레이트의 제3 값 B3이 되는 제2 설정, 및 선(152)에 따라 결정되는 화상의 비트 레이트의 제4 값과, 음성의 비트 레이트의 제3 값 B3이 되는 제3 설정 중 어느 하나가 설정된다. 본 발명은 디지털 카세트 비디오 테이프의 기록 데이터를 DVD에 기록시키는 정보 처리 장치에 적용 가능하다.
제1 포맷, 제1 기록 매체, 최대값, 기록 데이터, 화상.

Description

정보 처리 장치 및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AND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RECORDING THEREON A PROGRAM}
본 발명은 정보 처리 장치 및 프로그램에 관한 것이며, 특히, 제1 포맷으로 제1 기록 매체에 기록된 비디오 데이터를 제2 포맷으로 제2 기록 매체에 기록시킬 때까지의 일련의 처리를, 사용자의 수동 조작을 개재시키지 않고 실행시킬 수 있도록 한 정보 처리 장치 및 프로그램에 관한 것이다.
최근, 퍼스널 컴퓨터(이하, 적당히 PC라고도 기술함), 및 디지털 비디오 테이프 레코더(이하, 적당히 DV라고도 기술함)의 보급이 진행되어, 사용자는 사용자 자신이 DV를 사용하여 촬영한 비디오 데이터를 PC에 수용하여, DVD(Digital Versatile Disc)에 기록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그러나, 종래, DV로 촬영된 비디오 데이터를 DV로부터 PC에 수용하는 작업과, 그 오소링(authoring) 작업(예를 들면, 수용된 비디오 데이터를 DVD에 기록시키는 작업)은 각각 다른 프로세스로 되어 있고, 그러므로, 사용자는 DV로 촬영한 비디오 데이터를 DVD에 기록시키는 경우, 복잡한 작업을 필요로 하고, 또한 다대한 작업 시간을 필요로 한다고 하는 과제가 있었다.
즉, 사용자는 DV로 촬영한 비디오 데이터를 DVD에 기록시키는 경우, DV로부터 DV 포맷의 비디오 데이터를 PC에 수용하는 애플리케이션 소프트웨어 프로그램( 그리고, 이와 같은 애플리케이션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을 이하, 데이터 취득 프로그램이라고 칭함)을 PC 상에 수동으로 기동시켜, 데이터 취득 프로그램으로 정해져 있는 조작(수동 조작)을 행함으로써, DV로부터 비디오 데이터를 PC에 수용하게 하여 DV 포맷인 채, 예를 들면, PC 내의 하드 디스크에 기억시킨다.
그 후, 사용자는 데이터 취득 프로그램을 수동으로 정지하고, 하드 디스크에 기억된 비디오 데이터를 DVD에 기록시키는 애플리케이션 소프트웨어 프로그램(그리고, 이하, 이와 같은 애플리케이션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을 DVD 기록 프로그램이라고 칭함)을 PC 상에 수동으로 기동시켜, DVD 기록 프로그램으로 정해져 있는 조작(수동 조작)을 행하여, 하드 디스크에 기억되어 있는 비디오 데이터의 포맷을 DV의 포맷으로부터 DVD의 포맷으로 변환시킨 후, 그 DVD 포맷의 비디오 데이터를 DVD에 기록시키고, 그것이 종료되면, DVD 기록 프로그램을 수동으로 정지한다.
이와 같이, 사용자는 PC를 사용하여 DV로 기록한 비디오 데이터를 DVD에 기록시키는 경우, 복수개의 수동 조작에 따른 복잡한 작업을 필요로 하고, 또한 그에 따라, 다대한 작업 시간을 필요로 한다고 하는 과제가 있었다.
그리고, 종래의 데이터 취득 프로그램으로서는, 예를 들면, 「DVgate(디브이 게이트)」상품 설명, [online], 소니 드라이브 홈 페이지, [2002)년 8월 30일 검색], 인터넷 <URL:http://www.sony.jp/products/Consumer/PCOM/ Software_02q2/ DVgate/index.html> 이 개시되어 있다.
또, 종래의 DVD 기록 프로그램으로서는, 예를 들면, 「Simple DVD Maker」상품 설명, [online], 소니 드라이브 홈 페이지 「Simple DVD Maker」의 설명, [2002 년 8월 30일 검색], 인터넷, <URL: http: //www.sony.jp/products/Consumer/PCOM/Fun/DVD-RW/>가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상황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이며, 제1 포맷으로 제1 기록 매체에 기록된 비디오 데이터를 제2 포맷으로 제2 기록 매체에 기록시킬 때까지의 일련의 처리를, 사용자의 수동 조작을 개재시키지 않고 실행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정보 처리 장치는 제1 포맷으로 기록된 컨텐츠 데이터의 소정 시간 정보를 조사하는 조사 수단과, 조사 수단에 의해 조사된 컨텐츠 데이터의 시간 정보에 따라, 그 정보 처리 장치로부터 착탈(着脫) 가능한 소정 기록 매체에 컨텐츠 데이터가 기록되는 경우에 있어서의 비트 레이트를 설정하는 설정 수단과, 컨텐츠 데이터의 포맷을 제1 포맷으로부터 제2 포맷으로 변환하여, 설정 수단에 의해 설정된 비트 레이트로 기록 매체에 기억시키도록 제어하는 기록 제어 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조사 수단은 시간 정보로서 제1 포맷으로 기록된 컨텐츠 데이터의 기록 시간을 조사하도록 할 수 있다.
컨텐츠 데이터는 동화상, 및 그 동화상에 대응하는 음성으로 이루어지는 데이터이며, 설정 수단은 비트 레이트로서 동화상 데이터에 대응하는 제1 비트 레이트와, 음성 데이터에 대응하는 제2 비트 레이트의 각각을 설정하고, 기록 제어 수단은 컨텐츠 데이터 중 동화상 데이터를 설정 수단에 의해 설정된 제1 비트 레이트로 기록시키고, 또한 음성 데이터를 설정 수단에 의해 설정된 제2 비트 레이트로 기억시키도록 제어하게 할 수 있다.
제1 비트 레이트의 설정 가능 값 중 최고값으로서 제1 고정값이 미리 결정되어 있고, 제2 비트 레이트의 설정 가능 값 중 최고값으로서 제2 고정값이 미리 결정되어 있고, 설정 수단은 조사 수단에 의해 조사된 컨텐츠 데이터의 기록 시간을 Tx로 하고, 제1 고정값을 B1로 하고, 제2 고정값을 B2로 하고, 또한 기록 제어 수단에 의해 기록이 제어되는 기록 매체의 기록 가능한 최대 용량을 Cmax로 하여, (B1 + B2 × Tx < CmaX로 표현되는 제1 부등식이 성립된다고 판정한 경우, 제1 비트 레이트의 값으로서 제1 고정값을 설정하고, 또한 제2 비트 레이트의 값으로서 제2 고정값을 설정하도록 할 수 있다.
제2 비트 레이트의 설정 가능 값으로서 추가로 제2 고정값보다 낮은 제3 고정값이 미리 결정되어 있고, 설정 수단은 제1 부등식이 성립되지 않고, 또한 제3 고정값을 B3으로 하여, (B1 + B3) × Tx < Cmax로 표현되는 제2 부등식이 성립된다고 판정한 경우, 제1 비트 레이트의 값으로서 제1 고정값을 설정하고, 또한 제2 비트 레이트의 값으로서 제3 고정값을 설정하도록 할 수 있다.
설정 수단은 제1 부등식이 성립되지 않고, 또한 제2 부등식이 성립되지 않는다고 판정한 경우, (B4 + B3) × Tx < Cmax로 표현되는 제3 부등식이 성립되는, 제3 부등식에서 B4로 나타나 있는 제4 값을 연산하고, 제1 비트 레이트의 값으로서, 연산한 제4 값을 설정하고, 또한 제2 비트 레이트의 값으로서 제3 고정값을 설정하도록 할 수 있다.
설정 수단은 제3 부등식을 성립시키고, 또한 조사 수단에 의해 조사된 컨텐츠 데이터의 기록 시간 증가에 따라, 제1 비트 레이트의 값이 리니어하게 감소되는 소정 특성에 따라, 제4 값을 연산하도록 할 수 있다.
제1 포맷은 디지털 비디오 테이프 레코더의 포맷이며, 제2 포맷은 DVD 규격에 의해 규정되어 있는 포맷이도록 할 수 있다.
컨텐츠 데이터를 기억하는 기억 수단을 추가로 설치하고, 기록 제어 수단은 기억 수단의 빈 용량을 연산하는 연산 수단과, 연산 수단에 의해 연산된 기억 수단의 빈 용량에 따라, 컨텐츠 데이터를 복수개의 구간 데이터로 구분하고, 구분한 복수개의 구간 데이터 중 소정 제1 구간 데이터를 취득하여 기억 수단에 기억시키는 취득 수단과, 취득 수단에 의해 취득되어 기억 수단에 기억된 제1 구간 데이터의 포맷을 제1 포맷으로부터 제2 포맷으로 변환하여, 데이터량이 상기 제1 구간 데이터보다 작은 제2 구간 데이터를 생성하고, 생성한 상기 제2 구간 데이터를 상기 기억 수단에 기억시키는 변환 수단과, 변환 수단에 의해 제1 구간 데이터의 포맷이 변환되어, 생성된 제2 구간 데이터가 기억 수단에 기억된 경우, 컨텐츠 데이터를 구성하는 복수개의 구간 데이터 중 제1 구간 데이터와는 상이한 제3 구간 데이터가 취득 수단에 의해 취득되기 전에, 기억 수단에 기억된 제1 구간 데이터를 소거하는 소거 수단과, 컨텐츠 데이터의 모두가 취득 수단에 의해 취득되고, 변환 수단에 의해 제2 포맷으로 변환되어 기억 수단에 기억된 경우, 그 제2 포맷의 컨텐츠 데이터를 설정 수단에 의해 설정된 비트 레이트로 기록 매체에 기억시키도록 제어하는 기록 매체 기록 제어 수단을 가지도록 할 수 있다.
연산 수단은 제1 포맷에 있어서의 컨텐츠 데이터의 제1 데이터량, 제2 포맷에 있어서의 컨텐츠 데이터의 제2 데이터량을 추가로 연산하고, 연산한 제1 데이터량, 및 연산한 제2 데이터량을 가산하여 제1 임계값을 연산하고, 취득 수단은 연산 수단에 의해 연산된 기억수단의 빈 용량이 연산 수단에 의해 연산된 제1 임계값보다 작은 경우, 기억 수단의 빈 용량으로부터 연산 수단에 의해 연산된 제2 데이터량을 감산한 양을 제2 임계값으로서 설정하고, 컨텐츠 데이터를, 설정한 제2 임계값 이하가 되는 데이터량을 가지는 복수개의 구간 데이터로 구분하고, 구분한 복수개의 구간 데이터 중 제1 구간 데이터를 취득하여 기억 수단에 기억시키도록 할 수 있다.
제1 포맷은 디지털 비디오 테이프 레코더의 포맷이며, 취득 수단은 디지털 비디오 테이프 레코더에 컨텐츠 데이터가 기록된 디지털 비디오 테이프를 재생시킴으로써 그 컨텐츠 데이터를 취득하고, 제2 포맷은 DVD 규격에 의해 규정되어 있는 포맷이도록 할 수 있다.
기록 제어 수단은 디지털 비디오 테이프 레코더에 컨텐츠 데이터가 기록된 디지털 비디오 테이프를 재생시켜, 녹화 개시점으로부터 녹화 개시점의 다음에 나타나는 녹화 종료점까지의 녹화 구간을 조사하는 구간 조사 수단을 추가로 가지며, 취득 수단은 구간 조사 수단에 의해 조사된 복수개의 녹화 구간의 각각에 대응하는 데이터를 1개의 구간 데이터로 하여 컨텐츠 데이터를 구분하고, 구분한 복수개의 구간 데이터 중 제1 구간 데이터를 취득하여 기억 수단에 기억시키도록 할 수 있다.
취득 수단은 구간 조사 수단에 의해 조사된 복수개의 녹화 구간의 각각에 대응하는 데이터 중에, 데이터량이 제2 임계값을 넘는 데이터가 있는 경우, 데이터량이 제2 임계값을 넘는 녹화 구간에 대응하는 데이터를 1개의 구간 데이터로 하지 않고, 제2 임계값 이하의 복수개의 데이터로 추가로 구분하고, 구분한 복수개의 데이터의 각각을 1개의 구간 데이터로 하여 컨텐츠 데이터를 구분하고, 구분한 복수개의 구간 데이터 중 제1 구간 데이터를 취득하여 기억 수단에 기억시키도록 할 수 있다.
구간 조사 수단은 디지털 비디오 테이프 레코더에 컨텐츠 데이터가 기록된 디지털 비디오 테이프를 통상보다 빠른 속도로 재생시켜, 녹화 구간에 대응하는 임시 녹화 구간을 조사하고, 취득 수단은 구간 조사 수단에 의해 조사된 복수개의 임시 녹화 구간의 각각에 대응하는 데이터를 1개의 임시 구간 데이터로 하여 컨텐츠 데이터를 구분하고, 복수개의 임시 구간 데이터 중 소정 제1 임시 구간 데이터에 대응하는 녹화 구간의 녹화 개시점을 검출하고, 디지털 비디오 테이프 레코더에 검출한 녹화 개시점으로부터 녹화 개시점의 다음에 나타나는 녹화 종료점까지의 녹화 구간에 대응하는 데이터를 재생시키도록 제어하고, 디지털 비디오 테이프 레코더에 의한 재생이 제어된 녹화 구간에 대응하는 데이터를 제1 구간 데이터로서 취득하여 기억 수단에 기억시키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프로그램은 제1 포맷으로 기록된 컨텐츠 데이터의 소정 시간 정보를 조사하는 조사 단계와, 조사 단계의 처리에 의해 조사된 컨텐츠 데이터의 시간 정보에 따라, 컴퓨터로부터 착탈 가능한 소정 기록 매체에 컨텐츠 데이터가 기록되는 경우에 있어서의 비트 레이트를 설정하는 설정 단계와, 컨텐츠 데이터의 포맷을 제1 포맷으로부터 제2 포맷으로 변환하여, 설정 단계의 처리에 의해 설정된 비트 레이트로 기록 매체에 기억시키도록 제어하는 기록 제어 단계를 컴퓨터에 실행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기록 제어 단계는 소정 기억 장치의 빈 용량을 연산하는 연산 단계와, 연산 단계의 처리에 의해 연산된 기억 장치의 빈 용량에 따라, 컨텐츠 데이터를 복수개의 구간 데이터로 구분하고, 구분한 복수개의 구간 데이터 중 소정 제1 구간 데이터를 취득하여 기억 장치에 기억시키는 취득 단계와, 취득 단계의 처리에 의해 취득되어 기억 장치에 기억된 제1 구간 데이터의 포맷을 제1 포맷으로부터 제2 포맷으로 변환하여, 데이터량이 제1 구간 데이터보다 작은 제2 구간 데이터를 생성하고, 생성한 제2 구간 데이터를 기억 장치에 기억시키는 변환 단계와, 변환 단계의 처리에 의해 제1 구간 데이터의 포맷이 변환되어, 생성된 제2 구간 데이터가 기억 장치에 기억된 경우, 컨텐츠 데이터를 구성하는 복수개의 구간 데이터 중 제1 구간 데이터와는 상이한 제3 구간 데이터가 취득 단계의 처리에 의해 취득되기 전에, 기억 장치에 기억된 상기 제1 구간 데이터를 소거하는 소거 단계와, 컨텐츠 데이터의 모두가 취득 단계의 처리에 의해 취득되고, 변환 단계의 처리에 의해 제2 포맷으로 변환되어 기억 장치에 기억된 경우, 그 제2 포맷의 컨텐츠 데이터를 설정 단계의 처리에 의해 설정된 비트 레이트로 기록 매체에 기억시키도록 제어하는 기록 매체 기록 제어 단계를 포함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정보 처리 장치 및 프로그램에 있어서는, 제1 포맷으로 기록된 컨텐츠 데이터의 소정 시간 정보가 조사되고, 조사된 컨텐츠 데이터의 시간 정보에 따라, 컴퓨터로부터 착탈 가능한 소정 기록 매체에 컨텐츠 데이터가 기록되는 경우에 있어서의 비트 레이트가 설정된다. 그리고, 컨텐츠 데이터의 포맷이 제1 포맷으로부터 제2 포맷으로 변환되어, 먼저 설정된 비트 레이트로 기록 매체에 기록 된다.
본 발명의 정보 처리 장치는 재생 장치와 유선으로 접속되어도 되고, 무선으로 접속되어도 된다.
또, 본 발명의 정보 처리 장치는 정보 처리 장치 자체에 내장된 드라이브에 장착된 기록 매체의 기록 제어를 실행해도 되고, 외부의 드라이브 장치가 무선, 또는 유선으로 접속되어, 그 외부의 드라이브 장치를 제어함으로써, 외부의 드라이브 장치에 장착된 기록 매체의 기록 제어를 실행해도 된다.
그리고, 본 발명은 물론 본 발명의 정보 처리 장치에 대응하는 정보 처리 방법으로서도 적응 가능하며, 본 발명의 프로그램을 기록하는 기록 매체에도 적응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퍼스널 컴퓨터를 포함하는 정보 처리 시스템의 구성예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2는 도 1의 정보 처리 시스템 중 본 발명이 적용되는 퍼스널 컴퓨터의 하드웨어의 구성예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3은 도 1의 정보 처리 시스템 중 디지털 비디오 레코더의 구성예를 나타 낸 도면이다.
도 4는 도 2의 퍼스널 컴퓨터가 가지는 소프트웨어의 하나인 데이터 취득/DVD 기록부의 구성예를 나타낸 기능 블록도이다.
도 5는 도 4의 데이터 취득/DVD 기록부의 처리예를 설명하는 플로 차트이다.
도 6은 디지털 비디오 테이프의 기록 조사 내용의 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7은 도 5의 데이터 취득/DVD 기록 처리 중 비트 레이트 설정 처리의 상세예를 설명하는 플로 차트이다.
도 8은 DVD에 기록하는 데이터의 총계 시간과, 비트 레이트 관계의 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9는 DVD에 기록하는 데이터의 총계 시간과, DVD에 기록한 경우의 용량 관계의 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0은 도 4의 데이터 취득/DVD 기록부 중 취득부의 구성예를 나타낸 기능 블록도이다.
도 11은 도 5의 데이터 취득/DVD 기록 처리 중 디지털 비디오 테이프의 기록 데이터 취득 처리의 상세예를 설명하는 플로 차트이다.
도 12는 도 10의 취득부 중 분할 취득부의 구체적인 처리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3은 도 10의 취득부 중 분할 취득부의 구체적인 처리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4는 도 10의 취득부 중 분할 취득부의 구체적인 처리예를 설명하는 도면 이다.
도 15는 도 10의 취득부 중 분할 취득부의 구체적인 처리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6은 도 10의 취득부 중 분할 취득부의 구체적인 처리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7은 도 11의 디지털 비디오 테이프의 기록 데이터 취득 처리 중 자동 취득 처리의 상세예를 설명하는 플로 차트이다.
도 18은 도 11의 디지털 비디오 테이프의 기록 데이터 취득 처리 중 자동 취득 처리의 상세예를 설명하는 플로 차트이다.
도 19사, 도 5의 데이터 취득/DVD 기록 처리 중 챕터 등록 처리의 상세예를 설명하는 플로 차트이다.
도 20은 도 19의 챕터 등록 처리의 구체적인 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1은 도 19의 챕터 등록 처리의 구체적인 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2는 도 19의 챕터 등록 처리의 구체적인 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3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퍼스널 컴퓨터를 포함하는 정보 처리 시스템의 다른 구성예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24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퍼스널 컴퓨터를 포함하는 정보 처리 시스템의 다른 구성예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25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다른 정보 처리 장치를 포함하는 정보 처리 시스템의 다른 구성예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1은 본 실시예가 적용되는 정보 처리 시스템의 구성예를 나타내고 있다.
도 1에서, 정보 처리 시스템(1)에는, 접속선(15)에 의해 서로 접속된 퍼스널 컴퓨터(11)[이하, PC(11)라고 기술함], 및 디지털 비디오 테이프 레코더(12)[이하, DV(12)라고 기술함]가 설치되어 있다.
접속선(15)은 유선이라도 무선이라도 되며, 그 실시예는 특히 한정되지 않지만, 이 예에서는, 예를 들면, i.LINK(상표)의 전용 케이블이 된다. 즉, 이 예에서는, 예를 들면, PC(11)와 DV(12)는 i.LINK에 의해 접속된다. i.LINK는 본원 출원인인 소니 주식회사의 상표이며, IEEE(Institute of Electrical and Electronics Engineers)(1394)의 고속 디지털 시리얼 인터페이스이다. 따라서, PC(11)와 DV(12)의 각각은 IEEE(1394)의 규격에 따른 데이터(패킷에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를 서로 송수신한다.
DV(12)는 DV(12) 자체, 또는 다른 DV에 의해 소정 비디오 데이터가 기록된 디지털 비디오 테이프(13)가 장착된 경우, PC(11)의 제어(또는 사용자의 수동 조작)에 따라, 디지털 비디오 테이프(13)에 기록된 비디오 데이터를 재생하고, 그것을 재생 비디오 신호로서 케이블(15)을 통해 PC(11)에 송신한다.
PC(11)는 DV(12)로부터 접속선(15)을 통해 송신되어 오는 재생 비디오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한 재생 비디오 신호에 대응하는 비디오 데이터의 포맷을 DV의 포맷으로부터 DVD(Digital Versatile Disc)의 포맷[예를 들면, MPEG-2(Moving Picture Experts Group-2) 포맷]으로 변환시켜 PC(11)에 장착된 DVD(14)에 기록한 다. 그리고, 여기에서는, DVD-R, DVD-RW, DVD+R, DVD+RW, 및 DVD-RAM을 모두 일괄하여, 단지 DVD(14)라고한다.
도 2는 PC(11)의 상세한 구성예를 나타내고 있다.
도 2의 PC(11)에서, CPU(21)는, 예를 들면, 인텔(Intel)사제의 펜티엄(등록 상표) 프로세서 등으로 구성되며, 프론트 사이드 버스(FSB)(54)에 접속되어 있다. FSB(54)에는 또한, 노스 브리지(north bridge)(23)가 접속 되어 있고, 노스 브리지(23)는 AGP(Accelerated Graphics Port)(55)를 가지고 있는 동시에, 허브 인터페이스(53)에 접속되어 있다.
노스 브리지(23)는, 예를 들면, 인텔사제의 AGP Host Bridge Controller인 440BX 등으로 구성되어 있고, CPU(21) 및 메모리(22)를 제어한다. 메모리(22)는 RAM(Random Access Memory), 및 캐시 메모리(모두 도시하지 않음)로서 구성되어 있다.
RAM은, 예를 들면, DRAM(Dynamic RAM)으로 구성되며, CPU(21)가 실행하는 프로그램, 또는 CPU(21)의 동작에 필요한 데이터를 기억한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면, RAM은 기동(起動)이 완료된 시점에서, HDD(34)로부터 로드된 0S(Operating System)나 인터넷 프로그램 등을 기억한다. OS는, 예를 들면, 마이크로소프트사의 이른바 윈도즈(등록 상표) XP, 또는 애플 컴퓨터사의 이른바 Mac 0S(등록 상표) 등으로 대표되는 컴퓨터의 기본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프로그램이다.
캐시 메모리는 SRAM(Static RAM) 등 RAM과 비교하여, 보다 고속의 기록 또는 판독 동작을 실행할 수 있는 메모리로 구성되며, CPU(21)가 사용하는 프로그램 또 는 데이터를 캐시한다(일시적으로 기억한다).
그리고, CPU(21)는 그 내부에 1차적인 캐시 메모리와 비교하여, 보다 고속으로 동작할 수 있어 CPU(21) 자신이 제어하는 캐시를 가진다.
노스 브리지(23)는 또, AGP(55)를 통해 비디오 컨트롤러(24)를 제어한다. 비디오 컨트롤러(24)는 LCD(Liquid Crystal Display)(25) 또는 VGA(Video Graphics Array) 방식의 디스플레이[이하, VGA(26)라고 기술함]를 컨트롤한다.
비디오 컨트롤러(24)는 CPU(21)로부터 공급되는 데이터(이미지 데이터 또는 텍스트 데이터 등)를 수신하고, 수신한 데이터에 대응하는 이미지 데이터를 생성하거나, 또는 수신한 데이터를 그대로 내장하는 비디오 메모리(도시하지 않음)에 기억한다. 비디오 컨트롤러(24)는 LCD(25) 또는 VGA(26)에, 비디오 메모리에 기억되어 있는 이미지 데이터에 대응하는 화상을 표시시킨다. LCD(25) 또는 VGA(26)는 비디오 컨트롤러(24)로부터 공급된 데이터를 기본으로 화상 또는 문자 등을 표시한다.
노스 브리지(23)는 또한, 허브 인터페이스(53)를 통해 사우스 브리지(south bridge)(27)와도 접속되어 있다. 사우스 브리지(27)는, 예를 들면, 인텔사제의 PIIX4E 등으로 구성되어 있고, AC 링크 버스(56), USB 버스(57), 또는 IDE 버스(58)에 접속되는 디바이스의 제어 등 각종 I/O(Input/0utput)를 제어한다.
구체적으로는, AC 링크 버스(56)에는 모뎀(28), 및 음성 입출력부(29)가 접속되어 있다. 모뎀(28)은 공중 회선망에 접속되어 있고, 공중 회선망 또는 인터넷(모두 도시하지 않음)을 개재시키는 통신 처리를 실행한다. 음성 입출력부(29)는 마이크로폰(도시하지 않음)으로부터 음성을 수용하고, 그 음성에 대응하는 데이터를 생성하여 메모리(22)에 출력한다. 또, 음성 입출력부(29)는 스피커(도시하지 않음)를 구동하여 스피커에 음성을 출력시킨다.
사우스 브리지(27)의 USB 버스(57)에는 USB 커넥터(30)가 접속되고, 각종 USB 디바이스가 접속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 USB 버스(57)를 통해 메모리 스틱 슬롯(31)과 블루투스 통신부(33)가 접속되어 있다. 메모리 스틱 슬롯(31)에는 메모리 스틱(상표)(32)이 장착된다.
메모리 스틱(32)은 본원 출원인인 소니 주식회사에 의해 개발된 플래시 메모리 카드의 일종이다. 이 메모리 스틱(32)은 세로 21.5×가로 50×두께 2.8[mm]의 소형 박형 형상의 플라스틱 케이스 내에 전기적으로 재기록이나 소거가 가능한 불휘발성 메모리인 EEPROM(Electrically Erasable and Programmable Read Only Memory)의 일종인 플래시 메모리 소자를 저장한 것이며, 10 핀 단자를 통해 화상이나 음성, 음악 등 각종 데이터의 기록 및 판독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블루투스 통신부(33)는 블루투스 규격에 의한 통신을 실행한다.
사우스 브리지(27)의 IDE 버스(58)에는 HDD(34)가 접속되어 있다. 또, IDE 버스(58)에는, 이른바 IDE 디바이스라고 칭해지는 CD-R0M(Compact Disc-Read Only Memory) 드라이브(35)나, DVD-R/RW 드라이브(36)가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DVD-R/RW 드라이브(36)에는 전술한 DVD(14)가 장착된다.
사우스 브리지(27)에는 또, BIOS(Basic Input Output System(39), PCI(Peripheral Component Interconnect) 버스(51), 및 LPC(Low Pin Count) 버스 (52)가 접속되어 있다.
BIOS(39)는 PC(11)의 기본 동작 명령을 모은 프로그램군이며, 예를 들면, ROM(Read 0nly Memory)(도시하지 않음) 등에 기억되어 있다. 또, BIOS(39)는 0S 또는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과 주변 기기 사이에서의 데이터의 수수(授受)(입출력)를 제어한다.
LPC 버스(52)에는 I/O(Input/0utput) 인터페이스(37), 및 컨트롤러(38)가 접속되어 있다.
I/O 인터페이스(37)에는 패럴렐 단자(40)와 시리얼 단자(41)가 접속되어 있고, 각각의 단자에 접속된 기기와의 데이터 수수를 행한다.
컨트롤러(38)에는 조그 다이얼(42), 키보드(43), 및 마우스(44) 등의 입력 기기(입력 수단)가 접속되어 있고, 컨트롤러(38)는 이들 입력 기기의 제어를 행하는 동시에, 전원 장치(도시하지 않음)로부터 공급되는 전력의 제어도 행한다.
PCI 버스(51)에는 i.LINK(45)와, PC 카드 인터페이스(46)가 접속되어 있다. i.LINK(45)는 전술한 바와 같이, CPU(21)로부터 공급된 신호[예를 들면, 후술하는 DV(12)의 재생을 지령하는 제어 신호 등]를 전용 케이블(15)을 통해 DV(12)에 공급하는 동시에, DV(12)로부터 케이블(15)을 통해 공급되는 신호(예를 들면, 후술하는 재생 비디오 신호)를 CPU(21), 메모리(22), 또는 HDD(34)에 공급한다. PC 카드 인터페이스(46)는 슬롯(47)에 접속된 기기[카드(도시하지 않음)]로부터 공급된 데이터를 CPU(21) 또는 메모리(22)에 공급하는 동시에, CPU(21)로부터 공급된 데이터를 슬롯(47)에 접속되어 있는 카드에 출력한다.
슬롯(47)에는 필요에 따라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드라이브(48)가 접속된다. 이 경우, 드라이브(48)는 슬롯(47) 및 PC 카드 인터페이스(46)를 통해 PCI 버스(51)에 접속된다. 드라이브(48)는 장착되어 있는 자기 디스크, 광 디스크, 광자기 디스크, 또는 반도체 메모리 등으로 이루어지는 착탈 가능 기록 매체(49)에 기록되어 있는 데이터를 판독하고, 판독한 데이터를 메모리(22)에 공급한다. 또, CPU(21)의 처리에 의해 생성된 데이터를 드라이브(48)에 장착되는 착탈 가능 기록 매체(49)에 기억시킨다.
도 3은 도 1의 정보 처리 시스템(1) 중 DV(12)의 상세한 구성예를 나타내고 있다.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DV(12)에는 피사체를 동화상으로서 촬영하고, 그것을 화상 신호로서 출력하는 CCD(Charge Coupled Device)(71), CCD(71)가 촬영한 시점의, DV(12) 주위의 음성을 취득하고, 그것을 음성 신호로서 출력하는 마이크로폰(72), CCD(71)로부터 공급되는 화상 신호와, 마이크로폰(72)으로부터 공급되는 음성 신호를 합성하여, 그것을 기록 비디오 신호로서 출력하는 비디오 신호 합성부(73), 비디오 신호 합성부(73)로부터 공급된 기록 비디오 신호를 A/D 변환(Analog to Digital 변환)한 후, 인코드하고, 다시 변조하여 헤드(75)에 공급하고, 전술한 디지털 비디오 테이프(13)에 기록시키는 동시에, 디지털 비디오 테이프(13)로부터 헤드(75)를 통해 재생된 재생 비디오 신호를 출력하는 비디오 신호 기록 재생부(74), 및 헤드(75)가 설치되어 있다.
DV(12)에는 또, 비디오 신호 기록 재생부(74)로부터 수직 동기 신호의 공급 을 받고, 이 수직 동기 신호에 동기(同期)하여 이것에 대응하는 제어 신호를 비디오 신호 기록 재생부(74)에 출력하는 외에, 조작부(77)로부터의 조작 지령 신호나, PC(11)로부터 접속 케이블(15), 및 i.LINK(78)를 통해 공급되는 제어 신호에 따라, DV(12) 전체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76), 및 버튼, 스위치, 또는 리모트 컨트롤러 등에 의해 구성되며, 사용자에 의해, 소정 지령에 대응하는 입력 조작이 이루어졌을 때, 그 입력 조작에 대응하는 조작 지령 신호를 출력하는 조작부(77)가 형성되어 있다.
DV(12)에는 또한, i.LINK(78), 비디오 신호 분리부(79), 스피커(80), 및 LCD(Liquid Crystal Display)(81)가 형성되어 있다.
i.LINK(78)는 전술한 PC(11)의 i.LINK(45)(도 2)와 전용 접속 케이블(15)을 통해 접속되고, 비디오 신호 기록 재생부(74)로부터 공급된 재생 비디오 신호(디지털 신호)를 케이블(15)을 통해 PC(11)에 송신하는 동시에, PC(11)로부터 송신된 제어 신호를 케이블(15)을 통해 수신하여 제어부(76)에 공급한다.
PC(11)가 송신하는 제어 신호는 특히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제어를 행하기 위한 제어 신호가 사용 가능하다. 이 예에서는, 예를 들면, 이와 같은 제어 신호 중 DV(12)에 장착된 디지털 비디오 테이프(13)의 통상 속도에서의 재생, 통상 속도에 대하여 k 배속의 재생[k는 1을 제외한 임의의 수치이며, 정수(正數)인 경우, 순방향의 재생을 나타내고, 음수(陰數)인 경우, 역방향의 재생을 나타냄], 및 빨리 감기, 되감기, 및 테이프 동작[재생(k 배속의 재생 포함함), 빨리 감기, 또는 되감기 동작]의 정지를 지령하는 제어 신호가 적어도 이용된다.
따라서, 이 예에서는, 예를 들면, 재생(k 배속의 재생 포함함), 빨리 감기, 또는 되감기의 제어 신호가 PC(11)로부터 케이블(15)을 통해 송신되면, 제어부(76)는 그것을 i.LINK(78)를 통해 수신하고, DV(12)에 장착된 디지털 비디오 테이프(13)의 재생(k 배속의 재생 포함함), 빨리 감기, 또는 되감기 처리 중 수신한 제어 신호에 대응하는 처리를 실행한다. 그리고, 다음에, 정지의 제어 신호가 PC(11)로부터 케이블(15)을 통해 송신되면, 제어부(76)는 그것을 i.LINK(78)를 통해 수신하고, DV(12)에 장착된 비디오 테이프 레코더(13)에 대하여 지금 실행하고 있는 처리를 정지시킨다. 이와 같이, DV(12)는 i.LINK(78)를 통해 PC(11)에 의해 원격 조작되는 것이 가능하다.
비디오 신호 분리부(79)는 비디오 신호 기록 재생부(74)로부터 출력된 디지털의 재생 비디오 신호를 복조하여 디코드하고, 다시 D/A(Digital to Analog) 변환한 후, 음성 신호와 화상 신호로 분리하여 음성 신호를 스피커(80)에 공급하는 동시에, 화상 신호를 LCD(81)에 공급한다. 스피커(80)는 비디오 신호 분리부(79)로부터 공급된 음성 신호를 음성으로서 출력한다. LCD(81)는 비디오 신호 분리부(79)로부터 공급된 화상 신호를 동화상으로서 표시한다.
다음에, 도면을 참조하여, 도 2의 PC(11)가 가지고 있는 기능 중 본 발명이 적용되는 기능, 즉, DV(12)에 장착된 디지털 비디오 테이프(13)에 기록된 비디오 데이터(이하, 단지 기록 데이터라고 칭함)를 취득하고, DVD-R/RW 드라이브(36)에 장착된 DVD(14)에 기록하는 처리를, 일련의 처리로서 연속하여(일괄하여) 실행하는 기능을 실현하는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이하, 그와 같은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을 데 이터 취득/DVD 기록부라고 칭함)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4는 이 예의 데이터 취득/DVD 기록부(91)의 구성예를 나타내고 있다.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데이터 취득/DVD 기록부(91)에는 기동부(101), 처리 제어부(102), DV 제어부(103), 조사부(104), 취득부(105), 비트 레이트 설정부(106), 메뉴 작성부(107), DVD 기록부(108), DVD 포맷부(109), 및 조사 내용/설정 내용 기억부(110)가 형성되어 있다.
이들 중 조사 내용/설정 내용 기억부(110)를 제외한 것, 즉, 기동부(101) 내지 DVD 포맷부(109)의 각각은 이 예에서는, 예를 들면 모듈에 의해 구성된다. 이들 복수개 모듈의 각각은 1개의 독립된 알고리즘을 가지며, 또한 그 알고리즘에 따라 고유의 동작을 실행한다. 즉, 각 모듈의 각각은 CPU(21)(도 2)에 의해 적당히 판독되어 실행된다.
구체적으로는, 기동부(101)는 DV(12)와의 접속 상태를 항상 감시하여, DV(12)가 PC(11)에 접속되고, 또한 DV(12)의 전원이 투입된 것을 검출하면, 데이터 취득/DVD 기록부(91) 전체를 기동시킨다.
데이터 취득/DVD 기록부(91)가 기동되면, 처리 제어부(102)가 조사부(104) 내지 DVD 포맷부(109) 각각의 처리를 소정 순번[이 예에서는, 도면 중, 처리 제어부(102)와, 조사부(104) 내지 DVD 포맷부(109) 각각의 사이에 끌린 화살표 상에 기술되어 있는 번호의 순번]으로 순차적으로 연속하여(일련의 처리로서) 실행시키도록 제어한다.
즉, 처음에, DVD 포맷부(109)가 DVD-R/RW 드라이브(36)에 장착된 DVD(14)를 기록 가능한 상태로 하면, 조사부(104)가 DV(12)에 장착된 디지털 비디오 테이프(13)의 기록 데이터의 기록 내용을 조사하고, 비트 레이트 설정부 l06가 그 조사 결과에 따라, DVD(14)에 비디오 데이터가 기록되는 경우의 최적의 비트 레이트(화상 데이터의 비트 레이트, 및 음성 데이터의 비트 레이트)를 설정한다.
그리고, 취득부(105)가 DV(12)에 장착된 디지털 비디오 테이프(13)의 기록 데이터를 취득하고, 그 포맷을 DV의 포맷으로부터 DVD의 포맷으로 변환시켜, DVD의 포맷의 비디오 데이터를 HDD(34)에 일시 기억시킨다.
계속해서, 메뉴 작성부(107)가 HDD(34)에 기억된 비디오 데이터에 대응하는 DVD 메뉴를 작성하고, DVD 기록부(108)가 작성된 DVD 메뉴에 따라, HDD(34)에 기억된 비디오 데이터를 DVD-R/RW 드라이브(36)에 장착된 DVD(14)에 기록한다.
DV 제어부(103)는 조사부(104)나 취득부(105)로부터의 처리 제어부(102)를 개재시키는 지령(요구)에 따라, 전술한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DV(12)에 송신함으로써, DV(12)에 장착된 디지털 비디오 테이프(13)의 재생(k 배속 재생을 포함함), 되감기, 또는 빨리 감기 등을 제어한다.
조사 내용/설정 내용 기억부(110)는, 예를 들면, 메모리(22)(도 2) 내에 구성되며, 조사부(104)에 의해 조사된 디지털 비디오 테이프(13)의 기록 데이터 내용이나, 비트 레이트 설정부(106)에 의해 설정된 비트 레이트의 설정 내용이 기억된다.
다음에, 도 5의 플로 차트를 참조하여, 도 4의 데이터 취득/DVD 기록부(91)의 처리에 대하여 설명한다.
처음에, 스텝 S1에서, 기동부(101)는 DV(12)(도 1)가 PC(11)(도 1)에 접속되고, 또한 그 전원(도시하지 않음)이 투입되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스텝 S1에서, DV(12)가 PC(11)에 접속되고, 또한 그 전원이 투입되어 있지 않다고 판정한 경우, 기동부(101)는 그 처리를 스텝 S1로 되돌려, 그 이후의 처리를 반복한다. 즉, 기동부(101)는 DV(12)가 PC(11)에 접속되고, 또한 그 전원(도시하지 않음)이 투입되었는지 여부를 항상 감시하고 있다.
예를 들면, 지금, 도 3에서, DV(12)의 i.LINK(78)와 PC(11)의 i.LINK(45)(도 2)가 케이블(15)을 통해 접속되고, 또한 DV(12)의 전원이 투입되었다고 하면, DV(12)의 제어부(76)는 미리 설정된 DV(12)를 나타내는 소정 식별 번호를 i.LINK(78), 및 케이블(15)을 통해 PC(11)에 송신하여 온다.
즉, DV(12)의 전원이 투입된 것은 컨텐츠 데이터[디지털 비디오 데이터(13)의 기록 데이터]의 재생이 가능한 것을 나타내고 있으며, PC(11)에 접속되는 것은 PC(11)가 DV(12)에 의해 재생된 컨텐츠 데이터를 취득하는 것이 가능한 것을 나타내고 있다. 따라서, 이 식별 번호는 PC(11)에 DV(12)가 케이블(15)을 통해 접속되고, 또한 DV(12)에 의한 컨텐츠 데이터의 재생이 가능한 것을 나타내는 신호라고도 할 수 있다.
그래서, 도 4에서, 기동부(101)는 이 식별 번호를 i.LINK(45)(도 2)를 통해 수신하면, 도 5의 스텝 S1에서, DV(12)가 PC(11)에 접속되고, 또한 그 전원이 투입되었다고 판정하고, 그 처리를 스텝 S2로 진행한다.
처리가 스텝 S2로 진행되면, 처리 제어부(102)는 후술하는 스텝 S2 내지 S13 의 처리를 일련의 처리로서 일괄하여(연속하여) 실행시키도록 제어한다. 환원하면, 사용자로부터 본 경우, 스텝 S2 내지 S13의 처리가 사용자의 수동 조작의 개재가 없이 자동적으로 차례로 실행되게 된다. 그리고, 여기에서는, 사용자의 수동 조작의 개재가 없어도[도 2의 조그 다이얼(42), 키보드(43), 또는 마우스(44)라고 하는 입력 기기로부터의 입력이 없어도], CPU(21)가 자기 자신의 판단으로(지금 실행하고 있는 프로그램에 따라) 처리를 실행하는 것을 자동적이라고 칭한다.
단, 이 경우, 처리 제어부(102)의 처리(전술한 시퀀스 제어)를 실행시키기 위한 트리거가 필요하게 된다. 이 트리거는 특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기동부(101)의 검출[DV(12)가 PC(11)에 접속되고, 또한 그 전원이 투입된 것의 검출] 그 것이 트리거로 되어(스텝 S1의 처리에서, 조건이 채워졌다고 판정되면), 즉 스텝 S2의 처리가 개시되어도 된다. 또는 기동부(101)의 검출 후, 스텝 S2 이후 처리의 실행을 지령하는 소프트 버튼(도시하지 않음)이 LCD(25)(도 2) 등에 표시되고, 그것을 본 사용자가 마우스(44)(도 2) 등을 조작하여 그 소프트 버튼을 선택한 경우[마우스(44)의 커서(도시하지 않음)를 그 소프트 버튼 상에 배치시켜, 마우스(44)의 좌측 버튼(도시하지 않음)을 클릭한 경우], 그 사용자의 클릭 조작(소프트 버튼의 선택 조작)이 트리거로 되어, 스텝 S2의 처리가 개시되어도 된다.
이와 같은 트리거에 의해, 스텝 S2에서, DVD 포맷부(109)는 DVD-R/RW 드라이브(36)에 장착된 DVD(14)가 기록이 끝났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스텝 S2에서, DVD(14)가 기록이 끝나지 않았다고 판정한 경우, DVD 포맷부(109)는 그 처리를 스텝 S6으로 진행한다.
이에 대하여, 스텝 S2에서, DVD(14)가 기록이 끝났다고 판정한 경우, DVD 포맷부(109)는 스텝 S3에서, DVD(14)의 기록 내용이 소거 가능한지 여부를 판정한다.
스텝 S3에서, DVD(14)의 기록 내용이 소거 불능이라고(가능하지 않다고) 판정한 경우, DVD 포맷부(109)는 스텝 S4에서 LCD(25)(도 2) 등에 DVD(14)의 교환을 촉구하는 메시지를 표시시키고, 그 처리를 스텝 S2로 되돌려, 그 이후의 처리를 반복한다. 즉, 사용자에 의해 기록 내용의 소거가 불가능한 DVD(14)가 DVD-R/RW 드라이브(36)로부터 분리되고, 새로운 DVD(14)가 DVD-R/RW 드라이브(36)에 장착되면, DVD 포맷부(109)는 스텝 S2의 처리에서, 그 새로운 DVD(14)가 기록이 끝났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이에 대하여, 스텝 S3에서 DVD(14)의 기록 내용이 소거 가능하다고 판정한 경우, DVD 포맷부(109)는 스텝 S5에서 DVD(14)의 기록 내용을 소거한다.
이와 같이, DVD 포맷부(109)는 스텝 S2 내지 S5의 처리에서, DVD(14)상태를 새로운 데이터가 기록 가능한 상태로 한다. 이 DVD 포맷부(109)의 처리(스텝 S2 내지 S5의 처리)의 순번은 도 5의 예에 한정되지 않고, DVD 기록부(108)의 처리(후술하는 스텝 S13의 처리) 전까지 실행되면, 어느 순번으로 되어도 상관없다.
스텝 S2의 처리에서, DVD(14)가 기록이 끝나지 않았다고 판정된 경우, 또는 스텝 S5의 처리가 종료된 경우, 즉, DVD 포맷부(109)가 그 처리를 완료한 경우, 처리 제어부(102)는 그것에 계속하여, 조사부(104)의 처리를 실행시킨다.
즉, 조사부(104)는 스텝 S6에서 DV(12)에 장착된 디지털 비디오 테이프(13)를 되감는다.
구체적으로는, 조사부(104)가 처리 제어부(102)를 통해 DV 제어부(103)에 대하여, 디지털 비디오 테이프(13)의 되감기를 요구한다. DV 제어부(103)는 이 요구를 받고, 「되감기」를 지령하는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i.LINK(45)(도 2)를 통해 DV(12)에 송신한다.
도 3에서, 송신된 제어 신호가 케이블(15), 및 i.LINK(78)를 통해 제어부(76)에 공급되면, 제어부(76)는 디지털 비디오 테이프(13)의 되감기 처리를 실행한다.
그리고, 도 4의 조사부(104)는 디지털 비디오 테이프(13)의 선두까지 되감겨진 것을 i.LINK(45)(도 2)를 통해 검출하면, 도 5의 스텝 S7에서, 디지털 비디오 테이프(13)의 기록 내용을 조사한다.
스텝 S7의 처리에서 행해지는 조사 방법은 특히 한정되지 않지만, 이 예에서는, 예를 들면, 이하와 같은 방법이 된다.
즉, 조사부(104)가 처리 제어부(102)를 통해 DV 제어부(103)에 대하여, 디지털 비디오 테이프(13)의 빨리 감기 재생을 요구한다. DV 제어부(103)는 이 요구를 받고, 「k(k는 1보다 큰 임의의 정수값) 배속의 재생」을 지령하는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i.LINK(45)(도 2)를 통해 DV(12)에 송신한다.
도 3에서, 송신된 제어 신호가 케이블(15), 및 i.LINK(78)를 통해 제어부(76)에 공급되면, 제어부(76)는 디지털 비디오 테이프(13)의 k 배속에서의 빨리 감기 재생 처리를 개시한다. 그리고, 비디오 신호 기록 재생부(74)는 디지털 비디오 테이프(13)로부터 헤드(75)를 통해 재생된 재생 비디오 신호를 i.LINK(78), 케이블 (15)을 통해 PC(11)에 순차적으로 송신하여 온다.
k 배속의 빨리 감기 재생의 경우, 디지털 비디오 테이프(13)에 기록된 모든 프레임이 재생되는 것은 아니고, 소정 매수의 프레임이 솎아내져 재생된다. 즉, 지금의 경우, 디지털 비디오 테이프(13)에 기록된 모든 프레임 중 소정 간격의 위치에 있는 프레임이 스캔되고, 스캔된 프레임에 대응하는 데이터만이 재생 비디오 신호로서 DV(12)로부터 PC(11)에 송신되어 온다. 그리고, 디지털 비디오 테이프의 포맷에서는, 1초간에 30매의 코마(화상)가 기록되는 것이 규정되어 있고, 이 코마를 여기에서는, 프레임이라고 칭한다.
그래서, 도 4의 조사부(104)는 그 재생 비디오 신호(스캔된 프레임의 데이터)를 i.LINK(45)(도 2)를 통해 취득하고, 다시, 취득한 프레임의 데이터 중에서, 그 프레임의 시간 정보를 취득한다.
즉, 프레임의 데이터 중에는, 그 프레임에 대응하는 비디오 데이터(화상 및 음성 데이터) 이외에, 예를 들면, 그 프레임의 프레임 번호의 정보, 그 프레임의 촬영 시각(연, 월, 일, 시, 분, 및 초)의 정보, 그 프레임이 녹화 개시점인 경우, 그것을 나타내는 정보(이하, 녹화 개시점 정보라고 칭함) 등으로 이루어지는 시간 정보가 포함되어 있다. 그리고, 여기에서는, 도 3에서, 사용자가 조작부(77) 중 녹화 버튼(도시하지 않음)을 눌러 촬영을 개시한 시점의 디지털 비디오 테이프(13)의 위치(점)를 녹화 개시점이라고 칭한다. 또, 녹화 개시점 정보를 포함하는 프레임의 하나 전의 프레임을 여기에서는, 편의상, 녹화 종료점 정보를 포함하는 프레임이라고 칭하기로 한다. 즉, 녹화 종료점 정보를 포함하는 프레임에는, 녹화 종 료점 정보에 대응하는 구체적인 정보가 포함되지 않은 것도 있다.
따라서, 도 4의 조사부(104)는 그와 같은 프레임(단, 스캔된 프레임)의 시간 정보를 취득하고, 취득한 시간 정보에 따라, 디지털 비디오 테이프(13)의 기록 내용을 조사한다.
구체적으로는, 조사부(104)는 녹화 개시점 정보를 포함하는 프레임을 검출하면, 그 프레임의 시간 정보를 취득하고, 그 다음에, 녹화 종료점 정보를 포함하는 프레임을 검출하면, 그 프레임의 시간 정보를 취득한다. 그리고, 조사부(104)는 지금 검출한 녹화 개시점 정보를 포함하는 프레임으로부터, 녹화 종료점 정보를 포함하는 프레임까지를 1개의 녹화 구간으로 인식하고, 그 녹화 구간의 시간 정보를 생성한다. 즉, 그 녹화 구간의 개시 시각(연, 월, 일, 시, 분, 및 초), 종료 시각(연, 월, 일, 시, 분, 및 초), 및 그 녹화 구간의 길이(시간)를 포함하는 녹화 구간의 시간 정보가 생성된다.
그런데, DVD(14)는 일반적으로 그 전(全) 녹화 데이터가 미리 복수개의 녹화 구간으로 구분되어 있어, 소정 조작이 행해지면 임의의 녹화 구간의 선두로부터의 재생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와 같은 DVD(14)의 녹화 구간은 일반적으로 챕터라고 칭해지고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PC(11)에 수용된 디지털 비디오 테이프(13)의 녹화 데이터가 DVD(14)에 기록되는 경우, 디지털 비디오 테이프(13)의 녹화 데이터 중 소정 녹화 개시점으로부터 다음에 나타나는 녹화 종료점까지의 하나의 녹화 구간이 1개의 DVD(14)의 챕터로서 취급된다. 따라서, 이하, 그와 같은 녹화 개시점으로부터 녹화 종료점까지의 녹화 구간을 DVD(14)에 기 록되기 전에 있어서도 챕터라고 칭한다.
단, 전술한 바와 같이, 지금의 경우, 조사부(104)가 조사 가능한 프레임(실제로 취득하는 프레임)은 스캔된 프레임뿐이며, 녹화 개시점이나 녹화 종료점을 포함하는 프레임이 스캔된다고는 한정하지 않는다. 그래서, 조사부(104)는 지금 취득한 제1 프레임의 촬영 시각과, 직전에 취득한 제2 프레임의 촬영 시각을 비교하여, 소정 시간 이상 벌어져 있는 경우, 제1과 제2 프레임은 각각 상이한 챕터의 프레임으로서 인식한다. 즉, CPU(21)(도 2)는 직전에 취득한 제2 프레임을, 녹화 종료점 정보를 포함하는 프레임(지금까지 조사해 온 대상 챕터의 최종 프레임)으로 간주하고, 또한 지금 취득한 제1 프레임을, 녹화 개시점 정보를 포함하는 프레임[대상 챕터의 다음의 챕터(다음에 조사하는 챕터)의 선두 프레임]으로 간주하여, 그 직전에 취득한 제2 프레임과, 지금 취득한 제1 프레임의 사이를 챕터의 단락으로서 인식한다.
이와 같이 하여, 조사부(104)는 챕터를 인식할 때마다, 그 새롭게 인식한 챕터의 시간 정보를 생성해 간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면, 지금 디지털 비디오 테이프(13) 기록 내용의 일부가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프레임 번호 0 내지 1000의 프레임으로 구성되는 녹화 구간(121), 프레임 번호 1001 내지 1999까지의 프레임으로 구성되는 녹화 구간(122), 프레임 번호 2000 내지 3300까지의 프레임으로 구성되는 녹화 구간(123), 및 프레임 번호 3301 내지 4000까지의 프레임으로 구성되는 녹화 구간(124)으로 구성되는 것으로 한다. 그리고, 도면 중, 녹화 구간 121 내지 124의 각각의 중간에 서, 「ST」로 기술되어 있는 영역[1초 분의 프레임(30 프레임)]은 전술한 녹화 개시점 정보 등이 비디오 데이터에 부가되어 기억되어 있는 영역(프레임)을, 「구간 데이터」로 기술되어 있는 영역은 비디오 데이터만이 기록되어 있는 영역을 각각 나타내고 있다.
이 경우, 전술한 바와 같이, 도 4에서, 조사부(104)가 디지털 비디오 테이프(13)의 기록 내용을 조사할 때, 빨리 감기 재생에 의해 스캔된 프레임만이 공급되어 온다. 따라서, 조사부(104)의 스텝 S7(도 5)의 처리에서 조사된 내용은 도 6의 조사 내용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실제의 녹화 구간 121 내지 124가 아니고, 챕터(구간 데이터) 131 내지 134가 된다.
즉, 도 6의 예에서는, 녹화 구간(121)은 프레임 번호 1 내지 998까지의 프레임의 데이터가 챕터(131)로 인식되고, 프레임 0, 프레임 999, 및 프레임 1000은 챕터(131)로서 인식되지 않는다.
녹화 구간(122)은 프레임 번호 1003 내지 1998까지의 프레임의 데이터가 챕터(132)로 인식되고, 프레임 1001, 프레임 1002, 및 프레임 1999는 챕터(132)로서 인식되지 않는다.
녹화 구간(123)은 프레임 번호 2003 내지 3228까지의 프레임의 데이터가 챕터(133)로 인식되고, 프레임 2000 내지 2002, 프레임 3229, 및 프레임 3300은 챕터(133)로서 인식되지 않는다.
녹화 구간(124)은 프레임 번호 3307 내지 3338까지의 프레임의 데이터가 챕터(134)로 인식되고, 프레임 3301 내지 3306, 프레임 3339, 및 프레임 4000은 챕터 (134)로서 인식되지 않는다.
그리고, 이하,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은 스텝 S7(도 5)의 처리에서 인식되지 않았던 데이터(141 내지 148)를 미인식 데이터라고 칭한다.
그리고, 도 4의 조사부(104)는 디지털 비디오 테이프(13)의 테이프 엔드까지 빨리 감기 재생된 것을 i.LINK(45)(도 2)를 통해 검출하면, 그때까지 인식한 각 챕터 각각의 시간 정보를 리스트화한 챕터 리스트(도시하지 않음)를 생성하고, 다시 챕터 리스트에 포함되는 각 챕터의 시간(챕터의 개시 시각으로부터 종료 시각까지의 시간)의 각각을 총계하고, 그 총계 한 시간에 미인식 데이터에 대응하는 시간을 가산함으로써, 디지털 비디오 테이프(13)의 기록 데이터의 총계 시간 Tx를 연산한다.
또, 전술한 바와 같이, 챕터 리스트에 포함되는 각 챕터의 선두 프레임과, 최종 프레임의 각각은 실제의 녹화 구간의 선두 프레임과, 최종 프레임의 각각과는 반드시 일치하지 않는다. 예를 들면, 도 6에서, 녹화 구간(121)의 선두 프레임은 프레임 번호 O의 프레임이며, 그 최종 프레임은 프레임 번호 1000의 프레임이다. 이에 대하여, 조사부(104)(도 4)가 인식한 챕터(131)의 선두 프레임은 프레임 번호 1의 프레임이며, 그 최종 프레임은 프레임 번호 998의 프레임이다.
그래서, 챕터 리스트에 포함되는 각 챕터의 선두 프레임과, 최종 프레임 중 조사부(104)는 녹화 개시점 정보, 또는 녹화 종료점 정보가 포함되지 않은 프레임에 대하여, 소정 플래그[그와 같은 플래그를 이하 애매(曖昧) 플래그라고 칭함]를 부가하고, 그들 애매 플래그도 챕터 리스트의 정보로서 추가한다.
이와 같이 하여, 이 예에서는, 조사부(104)는 디지털 비디오 테이프(13)의 기록 내용으로서, 전 챕터 각각의 시간 정보(챕터 리스트), 및 기록 데이터의 총계 시간 Tx를 조사한다. 그리고, 조사부(104)는 그 조사한 기록 내용(챕터 리스트, 및 총계 시간 Tx)을 처리 제어부(102)를 통해 조사 내용/설정 내용 기억부(110)에 기억시킨다. 그리고, 조사 내용/설정 내용 기억부(110)에 기억되는 내용[스텝 S7(도 5)의 처리에서 조사되는 디지털 비디오 테이프(13)의 기록 데이터 내용]은 물론, 이 예 이외의 정보로 되어도 된다.
디지털 비디오 테이프(13)의 기록 내용이 조사 내용/설정 내용 기억부(110)에 기억되면, 처리 제어부(102)는 그것에 계속하여, 비트 레이트 설정부(106)의 처리를 실행시킨다.
즉, 비트 레이트 설정부(106)는 도 5의 스텝 S8에서 지금 조사 내용/설정 내용 기억부(110)에 기억된 디지털 비디오 테이프(13)의 기록 데이터의 총계 시간 Tx에 따라, 후술하는 스텝 S13의 처리에서, DVD-R/RW 드라이브(36)에 장착된 DVDl4에 디지털 비디오 테이프(13)의 기록 데이터가 기록되는 경우에 있어서의 동화상(화상 데이터)의 화질, 및 획 사이즈, 및 음성(음성 데이터)의 음질의 각각을 결정한다.
디지털 비디오 테이프(13)의 기록 데이터 중 화상 데이터의 화질, 및 획 사이즈, 및 음성 데이터의 음질의 각각은 DVD(14)에, 디지털 비디오 테이프(13)의 기록 데이터가 기록되는 경우의 비트 레이트(화상 데이터가 기록되는 경우의 화상의 비트 레이트와, 음성 데이터가 기록되는 경우의 음성의 비트 레이트의 각각)에 의존한다. 즉, 스텝 S8의 처리에서는, 디지털 비디오 테이프(13)의 기록 데이터의 총계 시간 Tx에 따라, DVD(14)의 최대 용량(기록 가능한 용량)의 범위 내에서, 디지털 비디오 테이프(13)의 전 기록 데이터의 기록이 가능한 비트 레이트 중 최적의 비트 레이트가 설정된다.
따라서, 이하, 이와 같은 스텝 S8의 처리를 「비트 레이트 설정 처리」라고 칭한다. 그리고, 이 예의 「비트 레이트 설정 처리」의 상세에 대해서는, 도 7의 플로 차트를 참조하여 후술한다.
이와 같은 비트 레이트 설정부(106)의 처리 후, 처리 제어부(102)는 취득부(105)의 처리를 계속해서 실행시킨다. 즉, 도 5의 스텝 S9에서, 취득부(105)는 디지털 비디오 테이프(13)의 기록 데이터를 DV(12)로부터 i.LINK(45)(도 2)를 통해 취득하여, HDD(34)에 일시 기억시킨다. 취득부(105)는 다시 HDD(34)에 기억시킨 비디오 데이터의 포맷을 DV의 포맷으로부터 DVD의 포맷(예를 들면, MPEG-2 포맷)으로 변환하여, HDD(34)에 기억시키는 동시에, 변환 전의 DV 포맷의 비디오 데이터를 HDD(34)로부터 삭제한다. 이하, 이와 같은 스텝 S9의 처리를, 「디지털 비디오 테이프의 기록 데이터 취득 처리」라고 칭한다. 그리고, 이 예의 「디지털 비디오 테이프의 기록 데이터 취득 처리」의 상세에 대해서는, 도 10 내지 도 18을 참조하여 후술한다.
그런데, DVD(14)에는 실제의 비디오 데이터 외에, DVD 메뉴라고 칭해지는 메뉴도 기록 가능하게 되어 있어, 사용자는 이 DVD 메뉴에 따라, DVD(14)에 기록된 비디오 데이터의 재생에 관한 다양한 조작을 실행할 수 있다. 또한, 이 DVD 메뉴 중에는, 챕터 메뉴 라고 칭해지는 메뉴도 포함시키는 것이 가능하여, 사용자는 챕 터 메뉴에 등록되어 있는 챕터로부터 원하는 챕터를 선택함으로써, 그 선택한 챕터의 선두로부터의 재생을 실행시킬 수 있다.
그래서, 처리 제어부(102)는 취득부(105)의 처리에 계속해서, 메뉴 작성부(107)의 처리를 실행시킨다. 즉, 스텝 S10에서, 메뉴 작성부(107)는 스텝 S7의 처리에서 생성되며, 조사 내용/설정 내용 기억부(110)에 기억되어 있는 챕터 리스트(실제로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스텝 S9의 처리에서 갱신된 챕터 리스트)에 포함되는 챕터 중에서 소정 챕터를 선택하고, 그것을 챕터 메뉴에 등록하여 최종적인[DVD(14)에 기록하는 경우의] 챕터 메뉴를 생성한다. 이하, 이와 같은 스텝 S10의 처리를, 「챕터의 등록 처리」라고 칭한다. 그리고, 이 예의 「챕터의 등록 처리」의 상세에 대해서는, 도 19의 플로 차트를 참조하여 후술한다.
메뉴 작성부(107)는 스텝 S10의 「챕터의 등록 처리」에 계속해서, 스텝 S11에서, 이와 같은 스텝 S10의 처리에서 생성한 챕터 메뉴를 포함하는 DVD 메뉴를 작성한다.
메뉴 작성부(107)의 처리에 의해 DVD 메뉴가 작성되면, 처리 제어부(102)는 그것에 계속해서 DVD 기록부(108)의 처리를 실행시킨다. 즉, DVD 기록부(108)는 스텝 S12에서, DVD 구조를 작성하면, 스텝 Sl3에서, 지금 작성한 DVD 구조에 따라, 스텝 S8의 처리에서 비트 레이트 설정부(106)에 의해 설정된 비트 레이트[조사 내용/설정 내용 기억부(110)에 기억된 비트 레이트]로, 스텝 S9의 처리에서 취득부(105)에 의해 취득된 비디오 데이터[HDD(34)에 기억되어 있는 DVD 포맷의 비디오 데이터]를 DVD-R/RW 드라이브(36)에 장착된 DVD(14)에 기록한다. 그리고, 여기에 서는, DVD 메뉴에 따라 생성되는, 지금부터 DVD(14)에 기록되는 데이터의 배치 위치나, 계층이라고 하는 데이터 구조를 DVD 구조라고 칭하고 있다.
이와 같이, 도 2에서, PC(11)에는 DV(12)로부터 디지털 비디오 테이프(13)의 기록 데이터를 취득하고, 그것을 DVD-R/RW 드라이브(36)에 장착된 DVD(14)에 기록시킬 때까지의 일련의 처리를 일괄하여 행하는(연속하여 행하는),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은 데이터 취득/DVD 기록부(91)가 HDD(34) 등에 미리 인스톨되어 있다. 따라서, DV(12)가 PC(11)에 접속되고, 또한 그 전원이 투입된 것이 DV 데이터 취득/DVD 기록부(91)의 기동부(101)에 의해 검출되면, DV 데이터 취득/DVD 기록부(91)가 자동적으로 기동되어 그 처리(전술한 스텝 S2 내지 S13까지의 일련의 처리)가 사용자의 수동 조작의 개재가 없이 (자동적으로) 실행된다.
환언하면, PC(11)는 제1 포맷으로 기록된 컨텐츠 데이터를 재생하는 재생 장치와 접속하는 접속 수단과, 접속 수단에 접속된 재생 장치에 의해 재생되는 컨텐츠 데이터를 취득하는 컨텐츠 데이터 취득 수단과, 컨텐츠 데이터 취득 수단에 의해 취득된 컨텐츠 데이터의 포맷을 제1 포맷으로부터 제2 포맷으로 변환하는 변환 수단과, 변환 수단에 의해 제2 포맷으로 변환된 컨텐츠 데이터를 정보 처리 장치로부터 착탈 가능한 소정 기록 매체에 기억시키도록 제어하는 기록 제어 수단과, 재생 장치로부터 공급되는 접속 수단에 재생 장치가 접속되고, 또한 재생 장치에 의한 컨텐츠 데이터의 재생이 가능한 것을 나타내는 신호를 검출하는 검출 수단과, 검출 수단에 의해 신호가 검출된 경우, 컨텐츠 데이터 취득 수단, 변환 수단, 및 기록 제어 수단의 처리를 일련의 처리로서 그 순번으로 연속해서 실행시키도록 제 어하는 처리 제어 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사용자는 특히 특별한 조작을 행하지 않고[그저 단지, DV(12)를 PC(11)에 접속하고, DV(12)의 전원을 투입하는 것만으로(필요에 따라, 다시 데이터 취득/DVD 기록부(91)의 실행을 지령하는 소프트 버튼을 마우스(44)로 클릭하는 것만으로)], DV(12)로부터 디지털 비디오 테이프(13)의 기록 데이터가 PC(11)에 자동적으로 수용된 후, 계속해서 DVD-R/RW 드라이브(36)에 장착된 DVD(14)에 자동적으로 기록된다.
따라서, 데이터 취득/DVD 기록부(91)는 전술한 종래의 과제를 해결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도 2에서, PC(11)에 자동적으로 수용된 비디오 데이터는 전술한 바와 같이, DVD-R/RW 드라이브(36)에 장착되는 DVD(14)뿐만 아니라, 다양한 기록 매체, 예를 들면, CD-ROM 드라이브(35)에 장착되는 CD-R(도시하지 않음), 메모리 스틱 슬롯(31)에 장착되는 메모리 스틱(32), 또는 드라이브(48)에 장착되는 착탈 가능 기록 매체(49) 등에 기록 가능하다.
다음에, 도면을 참조하여, 전술한 「비트 레이트 설정 처리(스텝 S8의 처리)」, 「디지털 비디오 테이프의 기록 데이터 취득 처리(스텝 S9의 처리)」, 및 「챕터 등록 처리(스텝 S10의 처리)」의 각각의 상세에 대하여 그 순번으로 개별적으로 설명한다.
맨처음 도 7의 플로 차트를 참조하여, 이 예의 「비트 레이트 설정 처리」의 상세를 설명한다.
처음에, 도 4의 비트 레이트 설정부(106)는 스텝 S31에서, 전술한 스텝 S7(도 5)의 처리에서 조사부(104)에 의해 조사되어 조사 내용/설정 내용 기억부(110)에 기억된 디지털 비디오 테이프(13)의 기록 데이터의 총계 시간 Tx에 따라, DVD(14)에 기록되는 데이터[디지털 비디오 테이프(13)의 기록 데이터] 중 화상 데이터를 최고의 제1 값의 비트 레이트로, 음성 데이터를 최고의 제2 값의 비트 레이트로 DVD(14)에 기록 가능한지 여부를 판정한다.
이 예에서는, 예를 들면, 화상의 비트 레이트의 제1 값(최고값)은 8메가[bps]로 되고, 음성의 비트 레이트의 제2 값(최고값)은 비압축의 스트레이트 PCM(Pu1se Code Modulation) 포맷으로 규정되어 있는 1.567메가[bps]로 된다.
이 경우, 비트 레이트 설정부(106)는 스텝 S31의 처리에서, 다음의 부등식 (1)이 성립되는지 여부를 판정함으로써, DVD(14)에 기록하는 데이터 중 화상 데이터를 최고의 제1 값의 비트 레이트로, 음성 데이터를 최고의 제2 값의 비트 레이트로 DVD(14)에 기록 가능한지 여부를 판정한다.
(B1 + B2) × Tx < Cmax … (1)
식 (1)에서, B1은 화상의 비트 레이트의 제1 값 [hps]를, B2는 음성의 비트 레이트의 제2 값 [bps]를, Tx는 DVD(14)에 기록되는 비디오 데이터의 총계 시간 [s][조사 내용/설정 내용 기억부(110)에 기억된 디지털 비디오 테이프(13)의 기록 데이터의 총계 시간[s]]를, Cmax는 DVD(14)의 기록 가능한 최대 용량 [bit]를 각각 나타내고 있다.
스텝 S31에서, 전술한 부등식 (1)이 성립된다고 판정한 경우, 비트 레이트 설정부(106)는 스텝 S32에서 화상 데이터를 제1 값 B1의 비트 레이트로, 음성 데이터를 제2 값 B2의 비트 레이트로(비압축의 스트레이트 PCM 포맷으로) DVD(14)에 기록하는 제1 설정으로 설정하고, 처리를 리턴시킨다.
이에 대하여, 스텝 S31에서, 전술한 부등식 (1)이 성립되지 않는다고 판정한 경우, 비트 레이트 설정부(106)는 스텝 S33에서, DVD(14)에 기록되는 데이터 중 화상 데이터를 최고의 제1 값의 비트 레이트로, 음성 데이터를 최고의 제2 값보다 낮은, 미리 설정된 제3 값의 비트 레이트로 DVD(14)에 기록 가능한지 여부를 판정한다.
이 예에서는, 예를 들면, 음성의 비트 레이트의 제3 값은 Dolby AC-3의 압축 포맷으로 규정되어 있는 0.384메가[bps]로 된다.
이 경우, 비트 레이트 설정부(106)는 스텝 S33에서, 다음의 부등식 (2)가 성립되는지 여부를 판정함으로써, DVD(14)에 기록하는 데이터 중 화상 데이터를 제1 값의 비트 레이트로, 음성 데이터를 제3 값의 비트 레이트로 DVD(14)에 기록 가능한지 여부를 판정한다.
(B1 + B3) × Tx < Cmax … (2)
식 (2)에서, B3은 음성의 비트 레이트의 제3 값 [bps]를 나타내고 있다.
스텝 S33에서, 전술한 부등식 (2)가 성립된다고 판정한 경우, 비트 레이트 설정부(106)는 스텝 S34에서 화상 데이터를 제1 값 B1의 비트 레이트로, 음성 데이터를 제3 값 B3의 비트 레이트로(Dolby AC-3의 압축 포맷으로) DVD(14)에 기록하는 제2 설정으로 설정하고, 처리를 리턴시킨다.
이에 대하여, 스텝 S33에서, 전술한 부등식 (2)가 성립되지 않는다고 판정한 경우, 비트 레이트 설정부(106)는 스텝 S35에서, 음성 데이터의 기록을 제3 값 B3의 비트 레이트로 설정하고, DVD(14)의 용량 내에서 기록 가능한 화상 데이터의 비트 레이트를 연산한다.
이 예에서는, 예를 들면, 비트 레이트 설정부(106)는 다음의 부등식 (3)이 성립되는 화상 데이터의 비트 레이트의 값 B4를 연산한다.
(B4 + B3) × Tx < Cmax … (3)
식 (3)에서, B4는 스텝 S35의 처리에서 설정(연산)하는 화상 데이터의 비트 레이트의 제4 값을 나타내고 있다.
그리고, 비트 레이트 설정부(106)는 화상 데이터를 스텝 S35의 처리에서 연산한 제4 값 B4의 비트 레이트로, 음성 데이터를 제3 값 B3의 비트 레이트(Dolby AC-3의 압축 포맷으로)로 DVD(14)에 기록하는 제3 설정으로 설정하고, 그 처리를 리턴시킨다.
도 8과 도 9를 참조하여, 「비트 레이트 설정 처리」의 구체적인 예를 설명한다. 도 8은 DVD(14)에 기록되는 데이터의 총계 시간 Tx[스텝 S7(도 5)의 처리에서 조사된 디지털 비디오 테이프(13)의 기록 데이터의 총계 시간 Tx]와, 설정되는 비트 레이트의 관계를 나타내고 있다. 도 9는 DVD(14)에 기록되는 데이터의 총계 시간 Tx와, DVD(14)에 기록된 경우의 데이터 용량의 관계를 나타내고 있다.
예를 들면, 지금 DVD(14)에 기록되는 데이터로서, 총계 시간 Tx가 시간 Ta(단, 총계 시간 Ta는 제1 설정이 적용되는 최대 시간 T1 이하의 시간)의 데이터 Da, 총계 시간 Tx가 시간 Tb(단, 총계 시간 Tb는 제2 설정이 적용되는 최대 시간 T2 이하의 시간)의 데이터 Db, 및 총계 시간 Tx가 시간 Tc(단, 총계 시간 Tc는 제3 설정이 적용되는 범위 내의 시간)의 데이터 Dc가 존재한 것으로 한다.
이 경우, 데이터 Da에서는, 제1 설정이 설정된다. 즉, 데이터 Da의 총계 시간은 시간 Ta이므로, 화상의 비트 레이트의 값은 도 8의 선(151)에 나타낸 바와 같이, 화상의 최대값인 제1 값 B1이 설정되고, 음성의 비트 레이트의 값은 도 8의 선(15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음성의 최대값인 제2 값 B2가 설정된다(비압축의 스트레이트 PCM 포맷이 설정된다). 따라서, 도 9의 선(16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데이터 Da가 DVD(14)에 기록된 경우, DVD(14)의 기록 가능한 전용량(최대 용량 Cmax) 중 용량 Cb가 사용된다[기록필(畢)로 된다].
데이터 Db에서는, 제2 설정이 설정된다. 즉, 데이터 Db의 총계 시간은 시간 Tb이므로, 화상의 비트 레이트의 값은 도 8의 선(151)에 나타낸 바와 같이, 화상의 최대값인 제1 값 B1이 설정되고, 음성의 비트 레이트의 값은 도 8의 선(15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음성의 최대값 B1보다 낮은 제3 값 B3이 설정된다(Dolby AC-3 등의 압축 포맷이 설정된다). 따라서, 도 9의 선(16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데이터 Db가 DVD(14)에 기록된 경우, DVD(14)의 기록 가능한 전용량(최대 용량 Cmax) 중 용량 Ca가 사용된다(기록필로 된다).
데이터 Dc에서는, 제3 설정이 설정된다. 즉, 데이터 Dc의 총계 시간은 시간 Tc이므로, 화상의 비트 레이트의 값은 총계 시간 Tx의 증가에 따라 비트 레이트가 리니어하게(선형으로, linearly) 감소되는 특성[도 8의 예에서는 선(152)으로 나타나는 특성]에 의해 결정되는 제4 값 B4가 설정되고(스텝 S35의 처리에서 연산되고), 음성의 비트 레이트의 값은 도 8의 선(15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3 값 B3이 설정된다(Dolby AC-3 등의 압축 포맷이 설정된다). 따라서, 도 9의 선(16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데이터 Dc가 DVD(14)에 기록된 경우, DVD(14)의 기록 가능한 최대 용량 Cmax까지 사용된다(기록필로 된다).
이와 같이, DVD(14)에 기록되는 데이터의 총계 시간 Tx[스텝 S7(도 5)의 처리에서 조사된 디지털 비디오 테이프(13)의 기록 데이터의 총계 시간 Tx]가 시간 T1 이하의 경우, 화상과 음성의 비트 레이트 모두 최고의 값(화상의 제1 값 B1과, 음성의 제2 값 B2)으로 되는 제1 설정이 설정된다.
총계 시간 Tx가 시간 T1보다 길고, 시간 T2 미만인 경우, 화상의 비트 레이트는 최고의 제1 값 B1인 채, 음성의 비트 레이트만 그 값이 떨어지는(제2 값보다 낮은 제3 값이 지정되는) 제2 설정이 설정된다.
제2 설정에 있어서는, 이 예에서는, 전술한 바와 같이, 화질이 그대로이고, 음질이 먼저 떨어지는 설정으로 되어 있지만, 물론, 음질이 그대로이고, 화질이 먼저 떨어지는 설정으로 되어도 된다. 단, 이하의 이유에 의해, 제2 설정은 이 예(화질이 그대로이고, 음질이 먼저 떨어지는 설정)의 쪽이 매우 적합하다. 즉, 제1 이유로서, 화상 데이터와 비교하여, 음성 데이터 쪽이 비트 레이트가 떨어져도, 그것에 따른 열화의 정도가 사용자에게 전해지기 어렵기 때문이다. 환언하면, 음성의 비트 레이트가 제2 값 B2로부터 제3 값 B3으로 떨어져도, 인간의 청각에 있어서는, 음질의 열화가 그다지 느껴지지 않는 일이 많기 때문이다. 제2 이유로서, 일 반적인 경향으로서, 음질보다 화질을 우선하는 사용자가 많기 때문이다.
또, 음성의 비트 레이트를 떨어뜨리는 방법은 특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화상의 비트 레이트의 제4 값 B4가 연산되어 결정 되도록[도 8의 선(152)에 따라 결정 되도록], 총계 시간 Tx의 길이에 따라, 서서히(연속적으로) 비트 레이트를 떨어뜨리는 방법으로 되어도 된다. 단, 이하의 2개의 이유에 의해, 음성의 비트 레이트를 떨어뜨리는 방법은 전술한 바와 같이 어느 점(시간 T1)을 경계로, 제2 고정값 B2로부터 그것보다 낮은 제3 고정값 B3으로 비연속적으로 떨어뜨리는 방법 쪽이 매우 적합하다. 즉, 전술한 제1 이유와 동일한 이유와, 원래 음성의 최고의 값인 제2 값 B2 자체, 화상의 비트 레이트와 비교하여 매우 낮은 값으로 되어 있고, 음성의 비트 레이트가 조금씩 떨어져도, DVD(14)에 기록되는 용량의 저감에 그다지 공헌하지 않는다고 하는 제3 이유인 2개의 이유 때문이다.
총계 시간 Tx가 시간 T2보다 긴 경우, 이번에는 더욱 화상의 비트 레이트가 떨어지는 제3 설정이 설정된다.
화상의 비트 레이트를 떨어뜨리는 방법도, 특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음성과 같이, 어느 점을 경계로 비연속적으로 비트 레이트를 떨어뜨리는 방법이 되어도 된다. 단, 음성과는 역의 이유에 의해, 전술한 제4 값 B4가 연산되어 결정되도록[도 8의 선(152)에 따라 결정되도록], 총계 시간 Tx의 길이에 따라, 서서히(연속적으로) 비트 레이트를 떨어뜨리는 방법 쪽이 매우 적합하다. 즉, 화상 데이터는 음성 데이터와 비교하여, 비트 레이트가 떨어지면, 그것에 따른 열화의 정도가 사용자에게 전해지기 쉽다(인간의 시각에 있어서는, 화질의 열화가 민감하게 느껴 지는 일이 많다)고 하는 제4 이유(제1 이유와는 역의 이유)와, 화상의 최고값인 제1 값 B1은 매우 높은 값이며, 화상의 비트 레이트의 저하가 DVD(14)에 기록되는 용량의 저감에 크게 공헌한다고 하는 제5 이유(제3 이유와는 역의 이유)인 2개의 이유 때문이다.
이와 같이, 도 4의 비트 레이트 설정부(106)는 「비트 레이트 설정 처리」를 실행하므로, 이하와 같은 효과를 나타내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즉, 종래, 사용자는 DV(12)로 촬영한 비디오 데이터[디지털 비디오 테이프(13)의 기록 데이터]를 DVD에 기록시키는 경우, 수작업으로 디지털 비디오 테이프(13)의 기록 데이터 총계 시간 Tx를 연산하고(또는 PC에 연산시키고), 수작업으로 그 총계 시간 Tx로부터 DVD에 기록되는 경우의 비트 레이트를 연산하고, 수작업으로 연산한 비트 레이트를 PC에 등록한 후 PC의 데이터 취득 프로그램을 기동시켜, DV(12)로부터 디지털 비디오 테이프(13)의 기록 데이터를 PC에 수용시키고, 데이터 취득 프로그램을 정지한 후, 다시 DVD 기록 프로그램을 기동시켜, PC에 수용된 비디오 데이터를 등록한 비트 레이트(수작업으로 연산된 비트 레이트)로 DVD에 기록시키고 있었다.
그러나, 사용자가 수작업으로 비트 레이트를 연산하기 위해서는, DVD의 규격, DV의 규격, 및 그 밖에 다양한 규격, 및 그들에 부수되는 지식에 정통하고, 또한 이들을 조종할 수 있는 고도의 기능이 사용자에게 요구된다고 하는 과제가 있었다. 또한, 그와 같은 고도의 지식 및 기능을 비록 가지고 있는 사용자라도, 원하는 화질이나 음질(일반적으로, DVD의 용량에 수용되는 범위에서 최고의 화질이나 음질)을 만족시키는 비트 레이트를 연산하는 것은 매우 곤란한 작업이 된다고 하는 과제가 있었다.
또, 사용자는 PC를 사용하지 않고, DVD-R 레코더의 기기 등을 직접 DV(12)에 연결하여, DV(12)로 촬영한 비디오 데이터[디지털 비디오 테이프(13)의 기록 데이터]를 DVD-R 레코더에 장착된 DVD에 기록시키는 것도 가능하지만 이 경우, DVD-R 레코더 측에서 미리 설정된 비트 레이트가 이용되기 때문에, 반드시 최적의 비트 레이트(화질과 음질)로 DVD에 기록되지는 않는다고 하는 과제가 있었다.
이에 대하여, 전술한 바와 같이, PC(11)(도 2)에서는, 데이터 취득/DVD 기록부(91)(도 4)의 1 기능으로서, 비트 레이트 설정부(106)가 형성되어 있다. 즉, 사용자는 특히 특별한 조작을 행하지 않고(그저 단지, DV(12)를 PC(11)에 접속하고, DV(12)의 전원을 투입하는 것만으로), DVD(14)에 기록되는 데이터[디지털 비디오 테이프(13)의 기록 데이터]의 최적의 비트 레이트가 자동적으로 설정된다.
환언하면, PC(11)는 제1 포맷으로 기록된 컨텐츠 데이터의 소정 시간 정보를 조사하는 조사 수단과, 조사 수단에 의해 조사된 컨텐츠 데이터의 시간 정보에 따라, 정보 처리 장치로부터 착탈 가능한 소정 기록 매체에 컨텐츠 데이터가 기록되는 경우에 있어서의 비트 레이트를 설정하는 설정 수단과, 컨텐츠 데이터의 포맷을 제1 포맷으로부터 제2 포맷으로 변환하여, 설정 수단에 의해 설정된 비트 레이트로 기록 매체에 기억시키도록 제어하는 기록 제어 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비트 레이트 설정부(106)는 「비트 레이트 설정 처리」를 실행함으로써, 전술한 비트 레이트의 설정에 대한 종래의 과제를 해결할 수 있다고 하는 효과를 나타내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다음에, 도 10과 도 11을 참조하여, 취득부(105)(도 4)가 실행하는 이 예의 「디지털 비디오 테이프의 기록 데이터 취득 처리」의 상세를 설명한다.
도 10은 취득부(105)의 상세한 구성예를 나타내고 있다.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취득부(105)에는 HDD(34)의 빈 용량을 조사하고, DV(12)로부터 디지털 비디오 테이프(13)의 기록 데이터를 입력하는 경우의 모드를 선택하는 취득 모드 선택부(171), 취득 모드 선택부(171)에 의해, 데이터를 분할하여 취득하는 모드가 선택된 경우, 디지털 비디오 테이프(13)의 기록 데이터를 구분하고, 구분한 비디오 데이터의 각각을 DV 포맷으로 DV(12)로부터 순차적으로 분할하여 수용하고, HDD(34)의 후술하는 DV 포맷 기억 가능 영역(34-2)에 기억시켜 가는 분할 취득부(172), HDD(34)의 DV 포맷 기억 가능 영역(34-2)에 기억된 비디오 데이터의 포맷을 DV의 포맷으로부터 DVD의 포맷으로 변환하여, HDD(34)의 DVD 포맷 기억 영역(34-3)에 기억시키는 포맷 변환부(173), 및 HDD(34)의 DV 포맷 기억 가능 영역(34-2)에 기억되어 있는 DV 포맷의 비디오 데이터를 삭제하는 취득 데이터 삭제부(174)가 형성되어 있다.
취득부(105)에는 또, 취득 모드 선택부(171)에 의해, 데이터를 일괄하여 취득하는 모드가 선택된 경우, 디지털 비디오 테이프(13)의 기록 데이터를 DV 포맷으로 DV(12)로부터 일괄하여 수용하고, HDD(34)의 DV 포맷 기억 가능 영역(34-2)에 기억시키는 일괄 취득부(175), 및 디지털 비디오 테이프(13)의 수용 대상인 기록 데이터가 오래된 비디오 데이터 상에 중복 취득된 것인 경우, 디지털 비디오 테이 프(13)의 재생이 수용 대상인 기록 데이터로부터 오래된 비디오 데이터로 되었을 때, 일괄 취득부(175)[필요에 따라 분할 취득부(172)]에 대하여, 취득 처리의 정지 지령을 행하는 중복 녹화 감시부(176)가 형성되어 있다.
취득부(105)에는 또한, 중복 녹화 감시부(176)와 마찬가지로, 일괄 취득부(175)[필요에 따라 분할 취득부(172)]에 대하여 취득 처리의 정지 지령을 행하는 미기록 영역 감시부(177), 및 테이프 엔드 감시부(178)가 형성되어 있다. 미기록 영역 감시부(177)는 디지털 비디오 테이프(13)의 재생 중에 일정 시간 이상의 미기록 영역이 계속된 경우, 정지 지령을 출력한다. 테이프 엔드 감시부(178)는 디지털 비디오 테이프(13)가 테이프 엔드까지 재생된 경우, 정지 지령을 출력한다.
다음에, 도 11을 참조하여, 이 예의 「디지털 비디오 테이프의 기록 데이터 취득 처리」의 상세에 대하여 설명한다.
처음에, 스텝 S51에서, 취득 모드 선택부(17l)는 HDD(34)의 빈 영역(34-1)의 용량(이하, 빈 용량이라고 칭함)을 조사하고, 스텝 S52에서, DVD에 기록되는 모든 챕터의 데이터가 조사된 HDD(34)의 빈 용량에 수용되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구체적으로는, 이 예에서는, 예를 들면, 취득 모드 선택부(171)는 스텝 S7(도 5)의 처리에서, 조사부(104)(도 4)에 의해 조사되어 조사 내용/설정 내용 기억부(110)(도 4)에 기억된 디지털 비디오 테이프(13)의 기록 데이터의 총계 시간 Tx에, 스텝 S8(도 5와 도 7)의 처리에서, 비트 레이트 설정부(106)(도 4)에 의해 설정되고, 조사 내용/설정 내용 기억부(110)에 기억되고 비트 레이트(제1 내지 제3 설정 중 어느 하나의 설정으로 규정되어 있는 화상의 비트 레이트와 음성의 비트 레이트의 값의 합)를 걸어, DVD(14)의 기록 용량 Cd를 연산한다. 즉, 도 10에서는, HDD(34)의 빈 영역(34-1) 중 DVD 포맷 기억 영역(34-3)의 용량이 DVD(14)의 기록 용량 Cd로 된다.
그리고, 취득 모드 선택부(171)는 스텝 S51의 처리에서 조사한 HDD(34)의 빈 용량 Ch1로부터, 연산한 DVD(14)의 기록 용량 Cd를 감산함으로써, 디지털 비디오 테이프(13)의 기록 데이터를 DV 포맷인 채로 수용하여, HDD(34)에 일시 기억시키는 것이 가능한 용량 Ch2(이하, 수용 용량 Ch2라고 칭함)를 연산한다. 즉, 도 10에서는, HDD(34)의 빈 영역(34-1) 중 DV 포맷 기억 가능 영역(34-2)의 용량이 수용 용량 Ch2로 된다.
연산된 수용 용량 Ch2가 DVD(14)에 기록하는 모든 챕터 데이터의 데이터량[지금부터 수용하는 DV 포맷의 디지털 비디오 테이프(13) 기록 데이터의 데이터량이며, 예를 들면, 이 예에서는, 취득 모드 선택부(17l) 자체에 의해 연산됨]보다 큰 경우, 스텝 S52에서, DVD(14)에 기록하는 모든 챕터의 데이터가 HDD(34)의 빈 용량에 수용된다고 판정된다.
그리고, 취득 모드 선택부(171)가 처리를 스텝 S53으로 진행시키면, 일괄 취득부(175)가 스텝 S53에서 DV(12)로부터 i.LINK(45)(도 2)를 통해 디지털 비디오 테이프(13)의 기록 데이터를 DV 포맷인 채 일괄하여(모두) 취득하고, HDD(34)의 DV 포맷 기억 가능 영역(34-2)에 일시 기억시킨다. 일괄 취득부(175)에 의한 취득 처리가 완료되면, 포맷 변환부(173)는 HDD(34)의 DV 포맷 기억 가능 영역(34-2)에 기억된 DV 포맷의 비디오 데이터를 DVD 포맷으로 변환하여, HDD(34)의 DVD 포맷 기억 영역(34-3)에 기억시킨다. 그리고, 수용 데이터 삭제부(174)는 HDD(34)의 DV 포맷 기억 가능 영역(34-2)에 기억된 DV 포맷의 비디오 데이터를 삭제한다.
이하, 이와 같은 스텝 S53의 처리를 「자동 취득 처리」라고 칭한다. 그리고, 이 예의 「자동 취득 처리」의 상세에 대해서는, 도 17 및 도 18의 플로 차트를 참조하여 후술한다.
즉, 취득 모드 선택부(171)는 스텝 S52의 처리에서, DVD에 기록되는 모든 챕터의 데이터가 HDD의 빈 용량에 수용된다고 판정한 경우, 취득 모드로서, 주로 일괄 취득부(175)가 실행하는 「자동 취득 처리」에 대응하는 모드를 선택한다.
이에 대하여, 수용 용량 Ch2[HDD(34)의 DV 포맷 기억 가능 영역(34-2)의 용량 Cb2]가 DVD(14)에 기록되는 모든 챕터의 데이터[지금부터 입력하는 DV 포맷의 디지털 비디오 테이프(13)의 기록 데이터]의 데이터량보다 작은 경우, 스텝 S52에서 DVD(14)에 기록되는 모든 챕터의 데이터가 HDD(34)의 빈 용량에 수용되지 않는다고 판정되어, 이하의 스텝 S54 내지 S62의 처리가 실행된다. 그리고, 이하, 스텝 S54 내지 S62의 처리를 전술한 「자동 취득 처리」에 대하여, 「배치 캡처 처리(batch capture processing)」라고 칭한다.
환언하면, 제1 포맷에 있어서의 컨텐츠 데이터의 제1 데이터량[예를 들면, 이 예에서는, 도 11의 스텝 S52에 기재된 「DVD(14)에 기록하는 모든 챕터의 데이터」, 즉, 디지털 비디오 테이프(13) 기록 데이터의 DV 포맷에 있어서의 데이터량], 제2 포맷에 있어서의 컨텐츠 데이터의 제2 데이터량[예를 들면, 이 예에서는, 디지털 비디오 테이프(13) 기록 데이터의 DVD 포맷에 있어서의 데이터량이며, 도 10의 HDD(34)의 빈 영역(34-1) 중 DVD 포맷 기억 영역(34-3)의 용량(DVD(14)의 기록 용량 Cd)에 상당하는 데이터량]이 연산되고, 연산된 제1 데이터량, 및 연산된 제2 데이터량이 가산되어, 제1 임계값이 연산되고, 스텝 S52의 처리에서, HDD의 빈 용량[예를 들면, 이 예에서는, 도 10의 HDD(34)의 빈 영역(34-1)의 용량 Ch1]이, 연산된 제1 임계값보다 작은지 여부가 판정됨으로써, DVD에 기록되는 모든 챕터의 데이터가 HDD의 빈 용량에 수용되는지 여부가 판정된다.
즉, 취득 모드 선택부(171)는 스텝 S52의 처리에서, DVD에 기록되는 모든 챕터의 데이터가 HDD의 빈 용량에 수용되지 않는다고 판정한 경우, 취득 모드로서, 주로 분할 취득부(172)가 실행하는 「배치 캡처 처리」에 대응하는 모드를 선택한다.
구체적으로는, 「배치 캡처 처리」의 실행이 선택되면, 처음에, 스텝 S54에서, 분할 취득부(172)가 HDD(34)의 빈 용량[DV 포맷 기억 가능 영역(34-2)의 수용 용량 Ch2]에 따라, 한번에 취득하는 최대의 데이터량(이하, 단지 최대 데이터량이라고 칭함)을 연산한다. 즉, 최대 데이터량이 DV 포맷 기억 가능 영역(34-2)의 수용 용량 Ch2 이하로 설정된다.
그리고, 스텝 S55에서, 분할 취득부(172)는 스텝 S7(도 5)의 처리에서, 조사부(104)(도 4)에 의해 조사되어 조사 내용/설정 내용 기억분(110)(도 4)에 기억된 챕터 리스트에 포함되는 모든 챕터[디지털 비디오 테이프(13)의 기록 데이터를 구성하는 전 챕터] 중에, 스텝 S54의 처리에서 연산한 최대 데이터량 이상의 데이터량을 가지는 챕터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스텝 S55에서, 최대 데이터량 이상의 데이터량을 가지는 챕터가 존재한다고 판정한 경우, 분할 취득부(172)는 스텝 S56의 처리에서, 최대 데이터량 이상의 데이터량을 가지는 챕터를 최대 데이터량 이하의 소정 데이터량을 가지는 복수개의 분할 구간으로 구분한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면, 지금 스텝 S7(도 5)의 처리에서, 디지털 비디오 테이프(13)의 기록 내용의 일부가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최대 데이터량보다 작은 데이터량을 가지는 챕터(181), 최대 데이터량보다 큰 데이터량을 가지는 챕터(182), 및 최대 데이터량보다 작은 데이터량을 가지는 챕터(183)로 구성되어 있다고 조사된 것으로 한다. 환언하면, 조사 내용/설정 내용 기억부(110)(도 4)에 기억된 챕터 리스트에 챕터(181 내지 183)가 포함되어 있는 것으로 한다. 그리고, 데이터(191 내지 196)의 각각은 미인식 데이터를 나타내고 있다.
이 경우, 스텝 S55(도 11)의 처리에서, 최대 데이터량 이상의 데이터량을 가지는 챕터(182)가 존재한다고 판정되고, 스텝(56)(도 11)의 처리에서, 최대 데이터량 이상의 데이터량을 가지는 챕터(182)가 도 1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최대 데이터량 이하의 소정 데이터량을 가지는 분할 구간(182-1)과 분할 구간(182-2)으로 구분된다.
이 경우, 조사 내용/설정 내용 기억부(110)(도 4)에 기억된 챕터 리스트도 변경된다. 즉, 챕터(182)의 챕터 정보가 소거되고, 소거된 위치에 분할 구간(182-1)과 분할 구간(182-2) 각각의 구간 정보(챕터 정보에 대응하는 정보)가 추가된다.
이 때, 분할 구간(182-1)의 앞에는 미인식 데이터(193)가 존재하므로, 분할 구간(182-1)의 선두 프레임에는, 전술한 애매 플래그가 부가되지만[분할 전 챕터(182)의 선두 프레임의 애매 플래그가 그대로 남지만], 분할 구간(182-1)의 뒤에는 미인식 데이터가 존재하지 않으므로[분할 구간(182-1)의 최종 프레임과, 분할 구간(182-2)의 선두 프레임은 연속하고 있으므로], 분할 구간(182-1)의 최종 프레임에는 애매 플래그가 부가되지 않는다. 마찬가지로, 분할 구간(182-2)의 선두 프레임에는 애매 플래그가 부가되지 않지만, 분할 구간(182-2)의 최종 프레임에는 애매 플래그가 부가된다[분할 전 챕터(182)의 최종 프레임의 애매 플래그가 그대로 남는다].
그리고, 도 13의 예에서는, 2개의 분할 구간으로 구분되는 예가 나타나 있지만, 구분되는 개수, 즉, 1개의 챕터로부터 구분되는 분할 구간의 수는 스텝 S54의 처리에서 연산된 최대 데이터량 이하의 분할 구간으로 구분되면, 특히 한정되지 않는다.
이에 대하여, 도 11의 스텝 S55에서, 최대 데이터량 이상의 데이터량을 가지는 챕터가 존재하지 않는다고 판정된 경우, 스텝 S56의 처리는 실행되지 않고, 처리는 스텝 S57로 진행한다.
스텝 S55에서, 최대 데이터량 이상의 데이터량을 가지는 챕터가 존재하지 않는다고 판정한 경우, 또는 스텝 S56의 처리를 종료한 경우, 도 10의 분할 취득부(172)는 스텝 S57에서, 조사 내용/설정 내용 기억부(110)(도 4)에 기억된 챕터 리스트에 따라, 다음에 취득 예정인 챕터의 데이터, 또는 분할 구간의 데이터를 DV(12)로부터 i.LINK(45)(도 2)를 통해 취득하여, HDD(34)의 DV 포맷 기억 가능 영 역(34-2)에 기억시킨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면, 지금 분할 취득부(172)가 다음에 취득 예정인 챕터로서, 프레임 번호 53 내지 68까지의 프레임으로 구성되는 챕터를 인식한 것으로 한다. 또, 인식된 챕터에 대응하는 디지털 비디오 테이프(13)의 실제 기록 내용이 도 14에 나타낸 바와 같이, 프레임 번호 50 내지 70까지의 프레임으로 구성되는 녹화 구간(201)이 된다.
이 경우, 전술한 바와 같이, 녹화 구간(201) 중 데이터(201-1)와 데이터(20l-3)는 미인식 데이터로 되어 있으므로, 조사부(104)(도 4)에 의해 인식된 챕터의 선두 프레임(프레임 번호 53의 프레임)과, 최종 프레임(프레임 번호 68의 프레임)의 각각에는 전술한 애매 플래그가 부가되어 있다.
따라서, 분할 취득부(172)는 선두 프레임의 애매 플래그를 검출하면, 되감기 재생(예를 들면, -1 배속 재생)을 실행시킬 것을 DV 제어부(103)(도 4)에 요구한다. DV 제어부(103)는 그 요구를 받으면, 「되감기 재생」을 지령하는 제어 신호를 생성하고, i.LINK(45)(도 2)를 통해 DV(12)에 송신함으로써, DV(12)가 디지털 비디오 테이프(13)의 되감기 재생을 실행하는 것을 제어한다.
디지털 비디오 테이프(13)의 되감기 재생이 실행되면[DV(12)의 헤드(75)(도 3) 위치가 도 14에 나타낸 위치로부터 도 15에 나타낸 점선 화살표 방향으로 상대적으로 이동해 가면], 프레임 번호 53으로부터 하나씩 번호가 되돌려지면서, 그들 프레임 번호의 프레임에 대응하는 재생 비디오 신호가 DV(12)로부터 순차적으로 송신되어 온다.
그래서, 분할 취득부(172)는 i.LINK(45)(도 2)를 통해 이 재생 비디오 신호를 취득하고, 각 프레임마다 녹화 개시점 정보가 포함되어 있지 않은가를 조사한다. 그리고, 분할 취득부(172)는 녹화 개시점 정보를 검출하면, 검출한 녹화 개시점 정보가 포함되는 프레임[지금의 경우(도 15의 경우), 프레임 번호 50의 프레임]을 다음에 취득 예정인 챕터의 선두 프레임으로서 갱신한다[조사 내용/설정 내용 기억부(110)에 기억되어 있는 챕터 리스트를 갱신한다].
그리고, 분할 취득부(172)는 갱신한 선두 프레임(프레임 번호 50의 프레임)으로부터 통상 속도에서의 재생을 실행시킬 것을 DV 제어부(103)(도 4)에 요구한다. DV 제어부(103)는 그 요구를 받으면, 「통상 (1배) 재생」을 지령하는 제어 신호를 생성하고, i.LINK(45)(도 2)를 통해 DV(12)에 송신함으로써, DV(12)가 디지털 비디오 테이프(13)의 통상 재생을 실행하는 것을 제어한다.
디지털 비디오 테이프(13)의 통상 재생이 실행되면[DV(12)의 헤드(75)(도 3)의 위치가 도 16에 나타내는 점선 화살표 방향으로 상대적으로 이동해 가면], 프레임 번호50(실제는 그것보다 조금 전의 프레임 번호)으로부터 하나씩 번호가 진행되면서, 그들 프레임 번호의 프레임에 대응하는 재생 비디오 신호가 DV(12)로부터 순차적으로 송신되어 온다.
그래서, 분할 취득부(172)는 i.LINK(45)(도 2)를 통해 이 재생 비디오 신호의 취득을 개시하고, 지금의 경우(도 16의 경우), 프레임 번호 50의 프레임으로부터 HDD(34)의 DV 포맷 기억 가능 영역(34-2)에 기억시키는 처리를 개시하고, 애매 플래그를 검출하면[지금의 경우(도 16의 경우), 프레임 번호 68의 프레임을 취득하 면], 다음의 녹화 종료점 정보를 포함하는 프레임[녹화 개시점 정보를 포함하는 프레임의 하나 전의 프레임이며, 지금의 경우(도 16의 경우), 프레임 번호 70의 프레임]까지를 HDD(34)의 DV 포맷 기억 가능 영역(34-2)에 기억시킨 후, 자기 자신의 취득 처리를 정지하는 동시에, 통상 재생의 정지를 실행시킬 것을 DV 제어부(103)(도 4)에 요구한다. DV 제어부(103)는 그 요구를 받으면, 「정지」를 지령하는 제어 신호를 생성하고, i.LINK(45)(도 2)를 통해 DV(12)에 송신함으로써, DV(12)가 디지털 비디오 테이프(13)의 통상 재생의 정지를 실행하는 것을 제어한다.
그리고, 애매 플래그가 포함되어 있지 않은 경우, 전술한 되감기 처리 등은 실행되지 않고, 단지, 챕터 리스트에 포함되는 선두 프레임으로부터 최종 프레임까지가 재생되고, 그것이 PC(11)에 수록된다.
이와 같이, 분할 취득부(172)는 전술한 방법(도 14내지 도 16에 나타내는 방법)으로, DV(12)로부터 디지털 비디오 테이프(13)의 기록 내용을 빠짐없이 취득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즉, 예를 들면, 만일 분할 취득부(172)가 단지, 조사 내용/설정 내용 기억부(110)(도 4)에 기억된 챕터 리스트에 따라, 도 16에 나타낸 디지털 비디오 테이프(13)의 실제 기록 내용인 녹화 구간(201)의 데이터를 챕터의 데이터로서 취득하려고 한 경우, 챕터 리스트에는 스텝 S7(도 5)의 스캔 처리에서 검출된 데이터(201-2)만이 챕터로서 등록되어 있으므로, 분할 취득부(172)는 녹화 구간(201) 중 스캔으로 검출된 챕터에 대응하는 데이터(201-2)만 취득할 수 있다[미인식 데이터(201-1)와 미인식 데이터(201-3)를 취득할 수 없다].
이에 대하여, 이 예의 분할 취득부(172)는 전술한 방법(도 14 내지 도 16에 나타낸 방법)으로 데이터의 취득 처리를 실행하므로, 녹화 구간(201)의 모두를 챕터의 데이터(204)로서 확실하게 취득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그런데, HDD(34)의 DV 포맷 기억 가능 영역(34-2)에 기억된 챕터의 데이터는 DV 포맷인 채이다. DV 포맷에서는, 1 프레임이 120000[바이트]로 되고, 프레임 레이트가 29.97[프레임/초]로 규정되어 있으므로, 디지털 비디오 테이프(13)의 1초간의 데이터량은 3596400[바이트/초](=120000)[바이트/프레임]* 29.97[프레임/초])로 되어, 1분간으로 환산하면, 215784000[바이트](215.79MB)로 되어 버린다.
이에 대하여, DVD의 포맷, 예를 들면, 이 예의 MPEG-2포맷에서는, 전술한 바와 같이, 화상의 비트 레이트가 최대로 8M[bps][비트 레이트 설정부(106)(도 4)에 의해 설정되는 최대의 제1 값]로 되어 있으므로, 1분간의 데이터량은 최대라도 60MB가 되어, DV 포맷의 약 3.4분의 1 이하로 수용된다.
그래서, 도 11의 스텝 S58에서, 포맷 변환부(173)는 스텝 S57의 처리에서 분할 취득부(172)에 의해 취득되어, HDD(34)의 DV 포맷 기억 가능 영역(34-2)에 기억된 DV 포맷의 데이터(챕터의 데이터, 또는 분할 구간의 데이터)를 DVD 포맷으로 변환하여, HDD(34)의 DVD 포맷 기억 영역(34-3)에 기억시킨다. 그리고, 스텝 S59에서, 수용 데이터 삭제부(174)는 스텝 S57의 처리에서 분할 취득부(172)에 의해 취득되어, HDD(34)의 DV 포맷 기억 가능 영역(34-2)에 기억된 DV 포맷의 데이터[스텝 S58의 처리에서, 포맷 변환부(173)에 의해 HDD(34)의 DVD 포맷 기억 영역(34-3)에 기억된 DVD 포맷의 데이터에 대응하는 DV 포맷의 데이터]를 삭제한다.
스텝 S60에서, 포맷 변환부(173)는 스텝 S58의 처리에서 DVD 포맷으로 변환하여, HDD(34)의 DVD 포맷 기억 영역(34-3)에 기억시킨 데이터에 녹화 종료점(정보)이 포함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즉, 스텝 S58의 처리에서 HDD(34)의 DVD 포맷 기억 영역(34-3)에 기억된 비디오 데이터가 스텝 S56의 처리에서 구분된 분할 구간 중 마지막 분할 구간 이외의 데이터인 경우, 그 비디오 데이터에는 녹화 종료점 정보를 포함하는 프레임이 포함되어 있지 않으므로, 스텝 S60에서, 기억한 데이터에 녹화 종료점이 포함되어 있지 않다고 판정되어, 처리는 스텝 S62으로 진행한다.
이에 대하여, 스텝 S58의 처리에서 HDD(34)의 DVD 포맷 기억 영역(34-3)에 기억된 비디오 데이터가 스텝 S56의 처리에서 구분된 분할 구간 중 마지막 분할 구간의 데이터인 경우, 또는 분할되어 있지 않은 챕터의 데이터인 경우, 스텝 S60에서, 기억한 데이터에 녹화 종료점이 포함되어 있다고 판정하고, 포맷 변환부(173)는 스텝 S61에서, 챕터를 설정한다.
즉, HDD(34)의 DVD 포맷 기억 영역(34-3)에 기억된 비디오 데이터가 스텝 S56의 처리에서 구분된 분할 구간 중 마지막 분할 구간의 데이터인 경우, 포맷 변환부(173)는 HDD(34)의 DVD 포맷 기억 영역(34-3)에 기억된 다른 분할 구간과, 그 마지막 분할 구간을 합병하여, 챕터의 데이터로서 HDD(34)의 DVD 포맷 기억 영역(34-3)에 기억시키고(덮어쓰기시키고), 조사 내용/설정 내용 기억부(110)(도 4)에 기억된 챕터 리스트도 갱신한다.
또, HDD(34)의 DVD 포맷 기억 영역(34-3)에 기억된 데이터가 분할되어 있지 않은 챕터의 데이터인 경우, 포맷 변환부(173)는 단지, 조사 내용/설정 내용 기억부(110)(도 4)에 기억된 챕터 리스트를 갱신한다. 예를 들면, HDD(34)의 DVD 포맷 기억 영역(34-3)에 기억된 데이터가 도 16의 챕터의 데이터(204)로 된 경우, 전술한 바와 같이, 챕터 리스트의 선두 프레임의 프레임 번호는 스텝 S57의 처리의 단계에서, 53으로부터 50으로 갱신되어 있다. 그러나, 챕터 리스트의 최종 프레임의 프레임 번호가 68인 채이므로, 스텝 S61의 처리에서 70으로 갱신된다.
도 11로 되돌아가, 스텝 S60의 처리에서, 기억된 데이터에 녹화 종료점이 포함되어 있지 않다고 판정된 경우, 또는 스텝 S61의 처리가 종료된 경우, 분할 취득부(172)는 스텝 S62에서, DVD(14)에 기록되는 모든 챕터의 데이터(챕터 리스트에 포함되어 있는 모든 챕터의 데이터)를 DV(12)로부터 취득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스텝 S62에서, DVD(14)에 기록하는 모든 챕터의 데이터를 DV(12)로부터 아직 취득하고 있지 않다고 판정된 경우, 처리는 스텝 S57로 되돌아가, 그 이후의 처리가 반복된다. 즉, 그 다음에 취득 예정인 챕터의 데이터, 또는 분할 구간의 데이터가 DV 포맷으로 수용되어, HDD(34)의 DV 포맷 기억 가능 영역(34-2)에 기억된 후, DVD 포맷으로 변환되어, HDD(34)의 DVD 포맷 기억 영역(34-3)에 기억되면, HDD(34)의 DV 포맷 기억 가능 영역(34-2)에 기억된 DV 포맷의 데이터가 삭제된다.
그리고, 이상의 스텝 S57 내지 S62의 처리가 반복되어, 마지막 챕터의 데이터가 HDD(34)의 DVD 포맷 기억 영역(34-3)에 기억되면, 스텝 S62에서, DVD(14)에 기록되는 모든 챕터의 데이터를 DV(12)로부터 취득했다고 판정되어, 그 처리가 종료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취득부(105)(도 4와 도 10)는 「디지털 비디오 테이프의 기록 데이터 취득 처리」중 「배치 캡처 처리」를 실행할 수 있으므로, 이하와 같은 효과를 나타내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즉, 종래, DV(12)에 장착된 디지털 비디오 테이프(13)로부터 PC 등에 비디오 데이터를 수용하는 방법으로서, 이하의 2개 방법이 알려져 있었다.
즉, 제1 방법은 사용자가 DV(12)를 조작하여, 사용자 자신이 원하는 수용 개시 위치까지 디지털 비디오 테이프(13)를 이동시킨 후, PC에 수용을 개시시키는 동시에, DV(12)에 디지털 비디오 테이프(13)의 재생을 실행시켜, 필요한 부분의 수용이 종료되면, PC의 수용 처리를 정지시키고, DV(12)에 디지털 테이프(13)의 정지 처리를 실행시키는 방법이다.
또, 제2 방법은 사용자가 DV(12)를 조작하여, 사용자 자신이 원하는 수용 개시 위치에 디지털 테이프(13)를 이동시킨 후, PC에 그 위치를 수용 개시 위치로서 등록시키고, 다음에, DV(12)를 조작하여, 수용 정지 위치에 디지털 테이프(13)를 이동시킨 후, PC에 그 위치를 수용 종료 위치로서 등록시킨 후, 수용의 처리를 실행시키는 방법이다.
그러나, 제1 방법에서는, 사용자는 데이터 수용 중, 보조 기억 장치(PC의 HDD 등)의 빈 용량을 확인하면서, 사용자 자신이 수동으로 수용할 범위를 분할하여 수용을 실행하지 않으면 안되어, 어느 범위(길이)에서 분할하면 될까의 판단을 행하는 것이 곤란하다고 하는 과제가 있었다. 또한, 제1 방법에서는, 그와 같이 하여 분할된 분할 부분의 이음매 제어는 매우 곤란하고, 비록 분할된 데이터의 이음 매 제어가 실행되었다고 해도, 그 이음매 제어에 의해 연결된 데이터는 동일 데이터가 중복되거나, 데이터에 누락이 있거나 하는 데이터로 되어 버린다고 하는 과제도 있었다.
또, 제2 방법에서는, 제1 방법과 비교하여, 분할 부분의 이음매 제어의 실행은 다소 용이하게 되지만, 분할하는 범위(길이)의 설정은 제1 방법 마찬가지로, 여전히 매우 곤란한 작업이며, 또한 분할점마다 지정을 하는 것은 장시간이 걸린다고 하는 과제가 있었다.
이에 대하여, 본 발명의 PC(11)(도 2)는 데이터 취득/DVD 기록부(91)(도 4)의 1 기능으로서, 「배치 캡처 처리」를 실행할 수 있다. 즉, DVD(14)에 기록되는 데이터[디지털 비디오 테이프(13)의 기록 데이터]의 일괄 취득이 불가능한 경우라도, 사용자는 특히 특별한 조작을 행하지 않고[그저 단지, DV(12)를 PC(11)에 접속하고, DV(12)의 전원을 투입하는 것만으로], 다음의 처리가 행해져, 디지털 비디오 테이프(13)의 기록 데이터가 자동적으로 PC(11)에 수용된다.
환언하면, 제1 포맷으로 기록된 컨텐츠 데이터를 취득하는 정보 처리 장치에 있어서, 컨텐츠 데이터를 기억하는 기억 수단과, 기억 수단의 빈 용량을 연산하는 연산 수단과, 연산 수단에 의해 연산된 기억 수단의 빈 용량에 따라, 컨텐츠 데이터를 복수개의 구간 데이터로 구분하고, 구분한 복수개의 구간 데이터 중 소정 제1 구간 데이터를 취득하여, 기억 수단에 기억시키도록 제어하는 취득 수단과, 취득 수단에 의해 취득되어 기억 수단에 기억된 제1 구간 데이터의 포맷을 제1 포맷으로부터 제2 포맷으로 변환하여, 데이터량이 제1 구간 데이터보다 작은 제2 구간 데이 터를 생성하고, 생성한 제2 구간 데이터를 기억 수단에 기억시키는 변환 수단과, 변환 수단에 의해 제1 구간 데이터의 포맷이 변환되어, 생성된 제2 구간 데이터가 기억 수단에 기억된 경우, 컨텐츠 데이터를 구성하는 복수개의 구간 데이터 중 제1 구간 데이터와는 상이한 제3 구간 데이터가 취득 수단에 의해 취득되기 전에, 기억 수단에 기억된 제1 구간 데이터를 소거하는 소거 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디지털 비디오 테이프(13)의 기록 데이터가 복수개의 데이터(챕터의 데이터, 또는 분할 구분의 데이터)로 구분되고, 구분된 데이터의 각각이 하나씩 분할되어 순차적으로 취득되고, HDD(34)의 DV 포맷 기억 가능 영역(34-2)에 일시 기억된 후, DVD 포맷으로 변환되어, HDD의 DVD 포맷 기억 영역(34-3)에 기억되면, 그것에 대응하는 HDD(34)의 DV 포맷 기억 가능 영역(34-2)에 기억된 DV 포맷의 데이터가 삭제된다.
이와 같이, HDD(34)의 빈 용량이 적고, 디지털 비디오 테이프(13)의 기록 데이터[DVD(14)에 기록되는 데이터]의 일괄 수용이 불가능하게 되어 있는 경우라도, 디지털 비디오 테이프(13)의 모든 기록 데이터의 수용이 가능하게 된다. 즉, 사용자는 보조 기억 장치[HDD(34)]의 빈 용량을 신경쓰지 않고, DV(12)에 삽입된 디지털 비디오 테이프(13)의 기록 데이터 모두를 빠짐없이, 또한 단시간에 PC(11)에 수용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 이와 같은 「배치 캡처 처리」가 실행된 경우에도, 일부의 데이터가 중복하여 수용되거나, 일부의 데이터가 수용되지 않거나 하는 에러가 발생하지 않고, 디지털 비디오 테이프(13)의 기록 데이터 모두가 확실하 게, 또한 정확하게 수용된다.
따라서, 취득부(105)는 「배치 캡처 처리」를 실행함으로써, 전술한 디지털 비디오 테이프(13)의 기록 데이터의, DV(12)로부터 PC 등에의 수용에 대한 종래의 과제를 해결할 수 있다고 하는 효과를 나타내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상, 도 11의 플로 차트를 참조하여, 「디지털 비디오 테이프의 기록 데이터 취득 처리」중 「배치 캡처 처리(스텝 S54 내지 S62의 처리)」에 대하여 설명했다. 다음에, 「디지털 비디오 테이프의 기록 데이터 취득 처리」중 「자동 취득 처리」에 대하여 설명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스텝 S52에서, DVD(14)에 기록되는 모든 챕터의 데이터가 HDD(34)의 빈 용량에 수용된다고 판정된 경우, 스텝 S53에서, 「자동 취득 처리」가 실행된다.
이 예의 「자동 취득 처리」의 상세가 도 17과 도 18의 플로 차트에 나타나 있다. 그래서, 도 17과 도 18의 플로 차트를 참조하여, 이 예의 「자동 취득 처리」의 상세에 대하여 설명한다.
처음에, 도 17의 스텝 S81에서, 도 10의 일괄 취득부(175)는 수용 개시 위치[조사 내용/설정 내용 기억부(110)에 기억되어 있는 챕터 리스트에 포함되는 선두 챕터의 선두 프레임]로부터의 데이터 취득이 가능한지 여부를 판정한다. 즉, 일괄 취득부(175)는 DV(12)에 장착된 디지털 비디오 테이프(13)의 현재 위치가 수용 개시 위치와 일치하고 있는지(실제는 수용 개시 위치의 조금 앞의 위치인지) 여부를 판정한다.
스텝 S81에서, 수용 개시 위치로부터의 데이터 취득이 불가능하다고 판정한 경우(가능하지 않다고 판정한 경우), 일괄 취득부(175)는 스텝 S82에서, 수용 개시 위치에 따라, 디지털 비디오 테이프(13)의 빨리 감기, 또는 되감기를 행한다.
즉, 일괄 취득부(175)는 디지털 비디오 테이프(13)의 현재 위치가 수용 개시 위치보다 앞인 경우에는, 빨리 감기를 시킬 것을, 수용 개시 위치보다 뒤인 경우에는, 되감기를 시킬 것을 DV 제어부(103)(도 4)에 요구한다. DV 제어부(103)는 그 요구를 받으면, 「빨리 감기」, 또는 「되감기」를 지령하는 제어 신호를 생성하고, 생성한 제어 신호를 i.LINK(45)(도 2)를 통해 DV(12)에 송신함으로써, DV(12)가 디지털 비디오 테이프(13)의 빨리 감기, 또는 되감기를 실행하는 것을 제어한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면, 지금 일괄 취득부(175)가 디지털 비디오 테이프(13)의 선두 위치로부터 기록되어 있는 기록 데이터의 취득을 실행한다고 하면, 일괄 취득부(175)는 디지털 비디오 테이프(13)의 선두 위치까지의 되감기를 DV 제어부(103)에 요구한다. DV 제어부(103)는 그 요구를 받으면, 「되감기」를 지령하는 제어 신호를 생성하고, 생성한 제어 신호를 i.LINK(45)를 통해 DV(12)에 송신함으로써, DV(12)가 디지털 비디오 테이프(13)의 되감기를 실행하는 것을 제어한다.
그리고, 일괄 취득부(175)는 디지털 비디오 테이프(13)의 선두 위치까지의 되감기가 완료된 것을 검출하면, 스텝 S83에서, 데이터의 취득을 개시시키고, 스텝 S84에서, 디지털 비디오 테이프(13)를 재생시킨다.
구체적으로는, 일괄 취득부(175)는 통상 속도에서의 재생을 DV 제어부(103)( 도 4)에 요구한다. DV 제어부(103)는 그 요구를 받으면, 「통상 재생」을 지령하는 제어 신호를 생성하고, i.LINK(45)(도 2)를 통해 DV(12)에 송신함으로써, DV(12)가 디지털 비디오 테이프(13)의 통상 재생을 실행하는 것을 제어한다. 디지털 비디오 테이프(13)의 통상 재생이 실행되면, 수용 개시 위치에 대응하는 비디오 데이터로부터 차례로 재생된 비디오 데이터(재생 비디오 신호)가 순차적으로 송신되어 온다.
그래서, 일괄 취득부(175)는 i.LINK(45)(도 2)를 통해 이 비디오 데이터를 순차적으로 취득하고, 취득한 비디오 데이터를 HDD(34)의 DV 포맷 기억 가능 영역(34-2)에 기억시켜 간다.
그리고, 스텝 S85에서, 일괄 취득부(175)는 녹화 개시점을 검출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스텝 S85에서, 녹화 개시점을 검출한 경우, 즉, 녹화 개시점 정보를 포함하는 프레임을 취득한 경우, 일괄 취득부(175)는 스텝 S86에서, 녹화 개시 시각[그 프레임에 포함되는 촬영 시각 정보(연, 월, 일, 시, 분, 및 초)]을 취득한다.
스텝 S85에서, 녹화 개시점을 검출하지 않은 경우(검출되어 있지 않다고 판정한 경우), 또는 스텝 S86의 처리를 종료한 경우, 일괄 취득부(175)는 스텝 S87에서, 녹화 종료점을 검출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스텝 S87에서, 녹화 종료점을 검출한 경우, 즉, 녹화 종료점 정보를 포함하는 프레임을 취득한 경우, 일괄 취득부(175)는 스텝 S88에서, 녹화 종료 시각[그 프레임에 포함되는 촬영 시각 정보(연, 월, 일, 시, 분, 및 초)]을 취득하여, 챕터 를 설정한다.
즉, 전술한 바와 같이, 조사 내용/설정 내용 기억부(110)(도 4)에 기억되어 있는 챕터 리스트에 포함되는 챕터는 디지털 비디오 테이프(13)의 기록 데이터에 포함되는 모든 프레임 중 스텝 S7의 처리(도 5)에서, 빨리 감기 재생에 의해 스캔된 프레임만으로 작성된 것이다(예를 들면, 전술한 도 6 참조). 따라서, 일괄 취득부(175)는 스텝 S85 내지 S88의 처리에서, 실제의 녹화 개시점과 그 다음에 나타나는 녹화 종료점을 검출하여, 그들 사이의 녹화 구간을 챕터로서 설정하고, 그 챕터의 녹화 개시 시각, 및 녹화 종료 시각 등을 포함하는 챕터 정보를 생성하여, 조사 내용/설정 내용 기억부(110)(도 4)에 기억되어 있는 챕터 리스트를 갱신한다.
도 18의 스텝 S89에서, 중복 녹화 감시부(176)는 일괄 취득부(175)에 의해, 지금 취득된 프레임의 시각[지금 DV(12)에 의해 재생된 제1 프레임에 포함되는 촬영 시각 정보(연, 월, 일, 시, 분, 및 초)]가 직전에 취득된 프레임의 시각[제1 프레임의 직전에, DV(12)에 의해 재생된 제2 프레임에 포함되는 촬영 시각 정보(연, 월, 일, 시, 분, 및 초)]보다 오래된 시각인지 여부를 판정한다.
즉, 일괄 취득부(175)에 의해, 지금 취득된 프레임의 시각이, 직전에 취득된 프레임의 시각보다 오래된 시각인 경우, 지금 취득된 프레임 이후의 프레임으로 구성되는 제1 비디오 데이터와, 그 직전 프레임 이전의 프레임으로 구성되는 제2 비디오 데이터는 직접 관련되는 데이터가 아니고, 제1 비디오 데이터는 제2 비디오 데이터보다 시간적으로 앞의 데이터인 것을 나타내고 있다. 즉, 과거에 기록된 제1 비디오 데이터 위에, 새로운 제2 비디오 데이터(이번 취득 대상의 비디오 데이 터)가 덮어 쓰기된 것을 나타내고 있다.
따라서, 스텝 S89에서, 일괄 취득부(175)에 의해, 지금 취득된 프레임의 시각이 직전에 취득된 프레임의 시각보다 오래된 시각이라고 판정한 경우, 중복 녹화 감시부(175)는 지금까지 취득되어 온(수용 대상인) 제2 비디오 데이터의 재생이 종료되었다고 판정하고, 일괄 취득부(175)에 대하여, 그 취득 처리의 정지를 지령한다.
일괄 취득부(175)는 이 정지 지령을 받으면, 스텝 S92에서, 데이터의 취득을 정지하고, 스텝 S93에서, 디지털 비디오 테이프(13)를 정지시킨다.
즉, 일괄 취득부(175)는 통상 재생의 정지를 DV 제어부(103)(도 4)에 요구한다. DV 제어부(103)는 이 요구를 받으면, 「정지」를 지령하는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i.LINK(45)(도 2)를 통해 DV(12)에 송신함으로써, DV(12)가 디지털 비디오 테이프(13)의 정지를 실행하는 것을 제어한다.
이와 같이, 중복 녹화 감시부(176)의 처리에 의해, 취득부(105)는 과거에 녹화된 제1 비디오 데이터 위에, 이번 수용 대상인 제2 비디오 데이터가 덮어 쓰기된 디지털 비디오 테이프(13)로부터도, 수용 대상인 제2 비디오 데이터만을 확실하게 취득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에 대하여, 스텝 S89에서, 일괄 취득부(175)에 의해, 지금 취득된 프레임의 시각이 직전에 취득된 프레임의 시각보다 오래된 시각이 아니라고 판정한 경우, 중복 녹화 감시부(176)는 지금까지 취득되어 온 (수용 대상인) 제2 비디오 데이터가 아직 종료되어 있지 않다고 판정하고, 이번에는 미기록 영역 감시부(177)가 스 텝 S90에서, 일정 시간 동안, 미기록 영역인지 여부를 판정한다.
즉, 일정 시간 동안 미기록 영역이 계속된 경우(스텝 S90에서, 일정 시간 동안, 미기록 영역이라고 판정한 경우), 미기록 영역 감시부(177)는 지금까지 취득되어 온 (수용 대상인) 제2 비디오 데이터가 그 이후의 부분에 기록되어 있지 않다고 간주하고(제2 비디오 데이터의 재생이 종료되었다고 간주하고), 일괄 취득부(175)에 대하여 그 취득 처리의 정지를 지령한다.
일괄 취득부(175)는 이 정지 지정을 받으면, 스텝 S92에서, 데이터의 취득을 정지하고, 스텝 S93에서, 디지털 비디오 테이프(13)를 정지시킨다.
이와 같이, 미기록 영역 감시부(177)의 처리에 의해, 취득부(105)는 이번 수용 대상인 제2 비디오 데이터가 디지털 비디오 테이프(13)의 테이프 엔드까지 기록되어 있지 않은 경우라도, 테이프 엔드까지 재생시키지 않고, 수용 대상인 제2 비디오 데이터 만을 확실하게 취득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수용 시간의 단축이 가능해진다.
이에 대하여, 스텝 S90에서, 일정 시간 동안 미기록 영역이 계속되어 있지 않다고 판정한 경우, 미기록 영역 감시부(177)는 지금까지 취득해 온 (수용 대상인) 제2 비디오 데이터가 아직 종료되어 있지 않다고 판정하고, 이번에는 테이프 엔드 감시부(178)가 스텝 S91에서, 디지털 비디오 테이프(13)의 테이프 엔드까지 재생되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스텝 S91에서, 디지털 비디오 테이프(13)의 테이프 엔드까지 재생되어 있지 않다고 판정된 경우, 처리는 스텝 S85(도 17)로 되돌아가, 그 이후의 처리가 반복 된다. 즉, 지금까지 취득되어 온 (수용 대상인) 제2 비디오 데이터가 종료되었다고 판정될 때까지, 일괄 취득부(175)에 의한 데이터의 취득 처리가 계속 행해진다.
이에 대하여, 디지털 비디오 테이프(13)의 테이프 엔드까지 재생되었다고 판정한 경우, 일괄 취득부(175)에 대하여 그 취득 처리의 정지를 지령한다.
일괄 취득부(175)는 이 정지 지령을 받으면, 스텝 S92에서, 데이터의 취득을 정지하고, 스텝 S93에서, 디지털 비디오 테이프(13)를 정지시킨다.
이와 같이 하여, 일괄 취득부(175)에 의한 데이터의 취득 처리가 완료되면(스텝 S93의 처리가 종료되면), 포맷 변환부(173)는 스텝 S94에서, 일괄 취득부(175)에 의해 취득되어, HDD(34)의 DV 포맷 기억 가능 영역(34-2)에 기억된 DV 포맷의 비디오 데이터를 DVD 포맷(이 예에서는, MPEG-2의 포맷)으로 변환시켜, HDD(34)의 DVD 포맷 기억 영역(34-3)에 기억시킨다. 그리고, 스텝 S95에서, 취득 데이터 삭제부(174)가 일괄 취득부(175)에 의해 취득되어, HDD(34)의 DV 포맷 기억 가능 영역(34-2)에 기억된 DV 포맷의 데이터를 삭제하고, 처리를 리턴시킨다.
전술한 바와 같이, 취득부(105)는 「디지털 비디오 테이프의 기록 데이터 취득 처리」중 「자동 취득 처리」를 실행할 수 있으므로, 이하와 같은 효과를 나타내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즉, 「배치 캡처 처리」의 효과에서도 설명한 바와 같이, 종래, DV(12)에 장착된 디지털 비디오 테이프(13)로부터, PC 등에 비디오 데이터를 수용하는 방법으로서, 이하의 2개 방법이 알려져 있다.
즉, 제1 방법은 사용자가 DV(12)를 조작하여, 사용자 자신이 원하는 수용 개 시 위치까지 디지털 비디오 테이프(13)를 이동시킨 후, PC에 수용을 개시시키는 동시에, DV(12)에 디지털 비디오 테이프(13)의 재생을 실행시키고, 필요한 부분의 수용이 종료되면, PC의 수용 처리를 정지시켜, DV(12)에 디지털 테이프(13)의 정지 처리를 실행시키는 방법이다.
또, 제2 방법은 사용자가 DV(12)를 조작하여, 사용자 자신이 원하는 수용 개시 위치에 디지털 테이프(13)를 이동시킨 후, PC에 그 위치를 수용 개시 위치로서 등록시키고, 다음에, DV(12)를 조작하여, 수용 정지 위치에 디지털 테이프(13)를 이동시킨 후, PC에 그 위치를 수용 종료 위치로서 등록시킨 후, PC에 수용 처리를 실행시키는 방법이다.
그러나, 제1 방법에는, 사용자는 DV(12)를 수동으로 조작하여, 디지털 테이프(13)의 되감기, 정지, 및 재생의 처리를 실행시키지 않으면 안되고, 디지털 테이프(13)의 기록 데이터의 PC에의 수용 중에 사용자가 수용하고 있는 영상을 감시하지 않으면 안된다고 하는 과제가 있었다.
물론, 사용자는 영상을 감시하지 않고, 디지털 테이프(13)의 테이프 엔드까지 PC에 수용시킬 수도 있다. 그러나, 이 경우, 이번에는, 예를 들면, 디지털 비디오 테이프(13)에, 과거에 녹화된 제1 비디오 데이터 위에, 이번 수용 대상인 제2 비디오 데이터가 덮어 쓰기되어 있다고 하면, 그 디지털 비디오 테이프(13)로부터는 사용자가 수용을 원하는 제2 비디오 데이터뿐만 아니라, 불필요한(사용자가 수용을 의도하고 있지 않은) 제1 비디오 데이터까지 수용되어 버린다고 하는 과제나, 테이프 엔드까지 기록되어 있지 않은 디지털 비디오 테이프로부터는 불필요한 미기 록 영역(미데이터)까지 수용되어 버려, 그 결과, 수용 시간이 필요 이상 걸려 버린다고 하는 과제가 발생하여 버린다.
또, 제2 방법에서도, 수용의 개시 위치, 또는 종료 위치까지의 디지털 비디오 테이프(13)의 이동, 및 그 확인이나 등록이라고 하는 조작은 사용자의 수작업[DV(12)의 수동 조작]이 필요하고, 그 결과, 그들 조작에 장시간이 걸린다고 하는 과제가 있었다.
이에 대하여, 본 발명의 PC(11)(도 1과 도 2)는 데이터 취득/DVD 기록부(91)(도 4)의 1 기능으로서, 「자동 취득 처리」를 실행할 수 있다. 즉, 디지털 비디오 테이프(13)의 기록 데이터가 비록 어떠한 상태에서도, 사용자는 특히 특별한 조작을 행하지 않고[그저 단지, DV(12)를 PC(11)에 접속하고, DV(12)의 전원을 투입하는 것만으로], 사용자가 원하는 비디오 데이터만이 자동적으로 수용되고, 그 수용이 종료되면, 수용 처리 자체가 즉시 정지된다.
환언하면, PC(11)는 소정 재생 장치에 의해 재생되는 복수개의 프레임으로 구성되는 소정 컨텐츠 데이터를 취득하는 취득 수단과, 재생 장치에 의해 재생되는 복수개의 프레임의 각각에 포함되는 시간 정보 중 프레임이 기록된 기록 시각을 감시하고, 복수개의 프레임 중 지금 감시한 제1 프레임의 기록 시각이 제1 프레임보다 시간적으로 앞에 감시한 제2 프레임의 기록 시각보다 오래된 시각인 경우, 취득 수단에 의한 컨텐츠 데이터의 취득 처리를 정지하도록 제어하는 취득 정지 제어 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과거의 제1 비디오 데이터(수용이 불필요한 제1 비디오 데이터) 위에, 이번에 수용 대상인 제2 비디오 데이터가 중복 취득되어 있는 경우라도, 과거의 제1 비디오 데이터가 수용되지 않고, 수용 대상인 제2 비디오 데이터만이 확실하게 수용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 PC(11)는 소정 재생 장치에 의해 재생되는 소정 컨텐츠 데이터를 취득하는 취득 수단과, 재생 장치의 재생 내용을 감시하고, 소정 시간 이상, 컨텐츠 데이터의 기록 데이터가 재생되지 않는 경우, 취득 수단에 의한 컨텐츠 데이터의 취득 처리를 정지하도록 제어하는 취득 정지 제어 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취득부(105)는 「자동 취득 처리」를 실행함으로써, 전술한 디지털 비디오 테이프(13) 기록 데이터의, DV(12)로부터 PC 등에의 수용에 대한 종래의 과제를 해결할 수 있다고 하는 효과를 나타내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배치 캡처 처리」에서도, 도 11의 스텝 S62 대신에, 도 18의 스텝 S89 내지 S91이 삽입됨으로써, 전술한 「자동 취득 처리」와 동일한 효과를 나타내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단, 이 경우, 스텝 S89 내지 91 중 어느 하나의 처리에서 YES라고 판정된 경우, 처리는 리턴되고, 또, 스텝 S91의 처리에서 N0라고 판정된 경우, 처리는 스텝 S57로 되돌아가, 그 이후의 처리가 반복된다. 환언하면, 도 10의 화살표의 점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중복 녹화 감시부(176), 미기록 영역 감시부(177), 및 테이프 엔드 감시부(178)의 각각은 정지 지령을 일괄 취득부(175)뿐만 아니라, 분할 취득부(172)에 대해서도 출력하는 것이 가능하다.
다음에 도 19의 플로 차트를 참조하여, 이 예의 「챕터의 등록 처리」의 상세를 설명한다.
처음에, 스텝 S111에서, 도 4의 메뉴 작성부(107)는 규정 시간을 선택한다. 규정 시간은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시간이 선택된다. 사용자는 임의의 시간의 설정이 가능하지만, 이 예에서는, 설명의 간략상, 예를 들면, 10분, 30분, 및 1일 (24시간) 중에서 설정되는 것으로 한다. 그리고, 규정 시간의 상세는 후술한다.
스텝 S112에서, 메뉴 작성부(107)는 대상 챕터를 스텝 S9(도 5)의 처리에서 갱신된 챕터 리스트에 포함되는 모든 챕터[스텝 S9의 처리에서 취득된 디지털 비디오 테이프(13)의 기록 데이터를 구성하는 모든 챕터] 중 최초의 챕터(선두 챕터)로 설정한다.
그리고, 「챕터의 등록 처리」의 설명에서는, 처리의 대상이 되는 챕터를 다른 챕터와 구별하기 위하여, 대상 챕터라고 칭한다.
스텝 S113에서, 메뉴 작성부(107)는 챕터 메뉴에 하나 전에 등록한 챕터의 녹화 개시 시각[그 시점의 직전인 스텝 S114의 처리에서 등록한 챕터의 선두 프레임에 포함되는 촬영 시각 정보(연, 월, 일, 시, 분, 및 초)]와, 대상 챕터의 녹화 개시 시각[대상 챕터의 선두 프레임에 포함되는 촬영 시각 정보(연, 월, 일, 시, 분, 및 초)]의 시간 간격이 스텝 S111의 처리에서 선택된 규정 시간 이상인지 여부를 판정한다.
스텝 S113에서, 챕터 메뉴에 등록한 하나 전의 챕터의 녹화 개시 시각과, 대상 챕터의 녹화 개시 시각의 시간 간격이 규정 시간 이상이라고 판정한 경우, 메뉴 작성부(107)는 스텝 S114에서, 대상 챕터를 챕터 메뉴에 등록한다. 즉, 이 경우, 대상 챕터는 챕터 메뉴에 표시되는 챕터가 된다.
이에 대하여, 스텝 S113에서, 챕터 메뉴에 등록한 하나 전의 챕터의 녹화 개시 시각과, 대상 챕터의 녹화 개시 시각의 시간 간격이 규정 시간 미만인 경우(규정 시간 이상이 아니라고 판정한 경우), 메뉴 작성부(107)는 대상 챕터를 챕터 메뉴에 등록하지 않고(스텝 S114의 처리를 실행하지 않고), 처리를 스텝 S115으로 진행한다.
이 경우, 또는 스텝 S114의 처리를 종료한 경우, 메뉴 작성부(107)는 스텝 S1l5에서, 대상 챕터가 최종 챕터인지 여부를 판정한다.
스텝 S115에서, 대상 챕터가 최종 챕터가 아니라고 판정한 경우, 메뉴 작성부(107)는 스텝 S1l6에서, 다음의 챕터를 대상 챕터로 설정한 후, 처리를 스텝 S113으로 되돌려, 그 이후의 처리를 반복한다.
즉, 스텝 S9(도 5)의 처리에서 갱신된 챕터 리스트에 포함되는 모든 챕터[스텝 S9의 처리에서 취득된 디지털 비디오 테이프(13)의 기록 데이터를 구성하는 모든 챕터]의 각각에 대하여 1 챕터마다 스텝 S113의 조건이 채워지는지 여부의 판정이 각각 이루어지며, 모든 챕터 중 스텝 S113의 조건을 만족시키는 챕터가 챕터 메뉴에 등록되어 간다(챕터 메뉴에 표시되는 챕터로서 등록되어 간다).
그리고, 최종 챕터가 대상 챕터로 되어, 챕터 메뉴에 등록 되는지 여부의 처리가 실행되면(스텝 S113의 처리와, 필요에 따라 스텝 S114의 처리가 실행되면), 스텝 S115에서, 대상 챕터가 최종 챕터라고 판정되어, 처리가 리턴된다.
「챕터의 등록 처리」의 구체예를, 도 20 내지 도 2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즉, 전술한 바와 같이, 규정 시간은 가변으로 되어 있고, 이 예에서는, 10 분, 30분, 1일 (24시간) 중에서 선택된다. 도 20은 규정 시간이 10분으로 선택된 경우의 예를, 도 21은 규정 시간이 30분으로 선택된 경우의 예를, 도 22는 규정 시간이 1일로 선택된 경우의 예를 각각 나타내고 있다.
예를 들면, 지금, 도 2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챕터(211 내지 217)가 그 순번으로 배치되어(그 순번으로 재생되도록) 구성되는 비디오 데이터가 있는 것으로 한다. 그리고, 도면 중, 챕터(211 내지 217) 각각의 좌측 상방에 기재된 수치는 그 챕터의 녹화 개시점 시각(그 챕터의 선두 프레임의 시각)을 나타내고 있으며, 또, 챕터(211 내지 217) 각각의 우측 상방에 기재된 수치는 그 챕터의 녹화 종료점의 시각(그 챕터의 최종 프레임의 시각)을 나타내고 있다. 예를 들면, 챕터(211)의 녹화 개시점 시각은 10:00(10시)으로 되고, 그 녹화 종료점의 시각은 10:08(10시 8분)으로 되어 있다.
이 경우, 처음에, 챕터(211)가 대상 챕터로 설정된다. 그 시점에서는, 아직 챕터 메뉴(221-1)에 등록되어있는 챕터는 존재하지 않으므로, 이와 같은 경우, 챕터(211)가 챕터 메뉴(221-1)에 등록된다. 즉, 비디오 데이터를 구성하는 챕터 중 선두 챕터는 자동적으로 챕터 메뉴에 등록된다.
다음에, 챕터(211)의 다음 챕터(212)가 대상 챕터로 설정되면, DVD 메뉴(221-1)에 하나 전에 등록된 챕터(211)의 녹화 개시점 시각 10:0O와, 대상 챕터(212)의 녹화 개시점 시각 10:1O의 시간 간격(10분)이, 규정 시간(10분) 이상이므로, 챕터(212)가 챕터 메뉴(221-1)에 등록된다.
그 후, 동일한 처리가 반복되어, 챕터(213)도 챕터 리스트(221-1)에 등록되 고, 이번에는, 챕터(213)의 다음 챕터(214)가 대상 챕터로 설정되면, DVD 메뉴(221-1)에 등록된 하나 전 챕터(213)의 녹화 개시점 시각 10:35과, 대상 챕터(214)의 녹화 개시점 시각 10:39의 시간 간격(4분)이 규정 시간(10분) 미만이므로, 챕터(214)가 챕터 메뉴(221-1))에 등록되지 않고, 계속해서, 챕터(215)가 대상 챕터로 설정된다.
그 이후, 전술한 처리가 최종 챕터(217)까지 반복되어, 최종적으로, 도 20에 나타낸 바와 같은 챕터 메뉴(221-1)가 생성된다.
즉, 챕터(215)는 DVD 메뉴(221-1)에 등록된 하나 전 챕터(213)의 녹화 개시점 시각 10:35과, 챕터(215)의 녹화 개시점 시각 10:42의 시간 간격(7분)이 규정 시간(10분) 미만이므로, 챕터 메뉴(221-1)에 등록되지 않는다.
이에 대하여, 챕터(216)는 DVD 메뉴(221-1)에 등록된 하나 전 챕터(213)의 녹화 개시점 시각 10:35과, 챕터(216)의 녹화 개시점 시각 11:30의 시간 간격(55분)이 규정 시간(10분) 이상이므로, 챕터 메뉴(221-1)에 등록된다.
동일하게, 챕터(217)는 DVD 메뉴(221-1)에 등록된 하나 전 챕터(216)의 녹화 개시점 시각 11:30과 챕터(216)의 녹화 개시점 시각 12:00의 시간 간격(30분)이 규정 시간(10분) 이상이므로, 챕터 메뉴(221-1)에 등록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규정 시간은 가변이며, 임의의 시간이 스텝 S111(도 19)의 처리에서 설정 가능하다. 예를 들면, 도 20에서는, 규정 시간이 10분으로 되었지만, 규정 시간이 30분으로 되면, 도 20과 동일한 비디오 데이터[챕터(211 내지 217)로 구성되는 비디오 데이터]로부터는 도 21에 나타낸 바와 같은 챕터 메뉴 (221-2)가 생성된다.
도 20의 챕터 메뉴(221-1)와, 도 21의 챕터 메뉴(221-2)를 비교하면, 도 20의 챕터 메뉴(221-1)에 등록되어 있는 챕터 메뉴(212)가 도 21의 챕터 메뉴(221-2)에는 등록되어 있지 않은 것을 알 수 있다. 이것은 챕터(212)에서, DVD 메뉴(221-1)에 등록된 하나 전 챕터(211)의 녹화 개시점 시각 10:OO와, 대상 챕터(212)의 녹화 개시점 시각 10:10의 시간 간격은 10분이며, 도 20에 나타낸 바와 같이 규정 시간이 10분인 경우에는, 스텝 S113(도 11)의 조건이 채워지지만, 도 21에 나타낸 바와 같이 규정 시간이 30분인 경우에는, 스텝 S113의 조건이 채워지지 않게 되기 때문이다.
또한, 규정 시간은 임의의 시간뿐만 아니라, 전술한 1일, 1주간, 1개월 또는 1년이라고 하는 단위(초, 분, 또는 시간으로 표현되는 단위와는 상이한 단위)로서의 설정도 가능하다.
단, 이들 단위가 설정되는 경우, 단위의 단락은 날짜의 경계선이 된다. 이 날짜의 경계선은 단순하게 한밤중 0:00에 고정되어도 된다. 그러나, 최근의 라이프 스타일의 변화에 따라, 전날부터 한밤중 0:00를 넘어 다음 날까지 1개의 이벤트가 계속되는 일이 많이 있어, 그와 같은 경우, 단순하게 한밤중 O:00로 단락되면, 1개의 이벤트가 분할되어 버린다고 하는 과제가 발생하여 버린다. 그래서, 이 예에서는, 예를 들면, 날짜의 경계선은 임의의 시각이 설정 가능하게 되어 있다. 즉, 날짜의 경계선은 설계자에 의해 미리 설정된 것이 사용되어도 되지만, 이 예에서는, 예를 들면, 사용자에 의해 임의의 시각이 설정 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와 같이, 규정 시간이 날짜(1일)로 되면, 도 2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동일한 날의 챕터 중 선두 챕터[예를 들면, 7/1의 챕터(231)와 챕터(232) 중 선두 챕터(231)]가 챕터 메뉴(241)에 등록된다. 즉, 챕터 메뉴(241)에는, 7/1의 선두 챕터(231), 7/2의 선두 챕터(233), 7/3의 선두 챕터(234), 및 7/4의 선두 챕터(235)가 등록된다.
그리고, 이 예에서는, 예를 들면, 챕터(23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비록 그 챕터의 종료 시각이 전술한 날짜의 경계선 시각을 넘고 있어도, 연속된 녹화(녹화 개시점으로부터 녹화 종료점까지의 사이의 녹화)인 경우, 날짜의 경계선에서 분할되어, 날짜의 경계선 이후의 데이터가 다음 날의 선두 챕터로서 취급되지 않게 되며, 어디까지나 1개의 챕터로서 취급된다. 즉, 그 다음의 챕터[지금의 경우, 챕터(235)]가 다음 날의 선두 챕터로서 취급되어 챕터 메뉴에 등록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챕터 메뉴 작성부(107)(도 4)는 「챕터 메뉴 등록 처리」를 실행할 수 있으므로, 이하와 같은 효과를 나타내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즉, 종래에도, 사용자가 DV(12)로 촬영한 비디오 데이터[디지털 비디오 테이프(13)의 기록 데이터]를 DVD에 기록시키는 경우, 그것에 대응하는 DVD 메뉴의 챕터 메뉴를 PC에 작성시키는 것은 가능했다.
그러나, 종래의 경우, PC는 사용자의 수작업으로 지정된 챕터를 챕터 메뉴에 등록하거나, 수용된 비디오 데이터를 구성하는 모든 챕터를 챕터 메뉴에 등록하고 있었다. 그러므로, 챕터 메뉴의 작성 시간이 장시간이 된다고 하는 과제와, 불필요한 챕터까지 DVD의 메뉴에 등록되어 버린다고 하는 과제가 있었다.
예를 들면, 본 실시예와 같이, 녹화 개시점과 녹화 종료점까지의 녹화 구간이 챕터로 되는 경우, 1개의 비디오 데이터[DVD(14)에 기록되는 비디오 데이터]는 매우 다수의 챕터로 구성되게 되어, 이들 다수의 챕터 모두가 챕터 메뉴에 등록 되면, 그 챕터 메뉴의 작성에 시간이 걸리는 동시에, 사용자는 작성된 챕터 메뉴로부터 원하는 챕터를 탐색하는 것이 곤란하게 되어 버린다.
또, 연속된 비디오 데이터를 단순하게 소정 시간 간격으로 단락하여, 챕터 메뉴를 작성하는 방법도 알려져 있지만, 이 방법의 경우, 챕터 메뉴에 등록된 챕터는 반드시 이벤트마다 작성되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이 방법을 이용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챕터 메뉴를 자동적으로 작성하는 것은 곤란했다.
이에 대하여, 본 발명의 PC(11)(도 1과 도 2)에서는, 데이터 취득/DVD 기록부(91)(도 4)의 1 기능으로서, 「챕터 등록 처리」가 형성되어 있다. 즉, 사용자는 특히 특별한 조작을 행하지 않고[그저 단지, DV(12)를 PC(11)에 접속하고, DV(12)의 전원을 투입하는 것만으로], 녹화 개시 정보(녹화 개시점)에 따라, 챕터 메뉴가 자동적으로 생성되므로, 사용자의 작업 시간이 들지 않고, 자동적으로 챕터 메뉴의 작성이 가능하게 된다.
환언하면, PC(11)는 소정 컨텐츠 데이터가 복수개의 구간으로 구분되어 있는 경우, 복수개의 구간 중 소정 구간을 항목으로 하는, 컨텐츠 데이터 구간의 녹화 순번을 나타내는 목차를 작성하는 정보 처리 장치로서, 복수개의 구간 각각을 구간 녹화 순번의 순으로 대상 구간으로서 순차적으로 설정하고, 목차의 항목으로서 하나 전에 등록한 구간의 녹화 개시 시각과, 설정한 대상 구간의 녹화 개시 시각의 시간 간격이 소정 규정 시간 이상인 경우, 대상 구간을 목차의 항목으로서 등록하는 처리를 반복하여, 목차를 작성하는 목차 작성 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각 챕터 간의 촬영 개시 시각에 따라, 챕터 메뉴가 생성되기 때문에, 소정 촬영 이벤트의 간격마다 챕터 메뉴가 작성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특히, 운동회의 각종 경기 각각이 촬영 이벤트가 된 경우, 결혼식의 1차 회와 2차 회의 각각 이 촬영 이벤트가 된 경우, 또는 축구의 전반과 후반의 각각이 촬영 이벤트가 된 경우 등에 있어서, 이 예의 「챕터 등록 처리」의 효과는 특히 현저한 것이 된다.
따라서, 메뉴 작성부(107)느 「챕터 메뉴 등록 처리」를 실행함으로써, 전술한 챕터 메뉴의 작성에 대한 종래의 과제를 해결할 수 있다는 효과를 나타내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예로서, 도 1의 정보 처리 시스템(1)을 예로 하여, 그 설명을 행하였으나, 그 실시예는 도 1의 예로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실시예를 취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PC(11)와 DV(12)의 접속 방법은 전술한 일련의 처리가 가능한 방법이면, 특히 한정되지 않는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면, 도 23에 나타낸 바와 같이, PC(11)에 크레이들(cradle)(301)이 접속되고, 이 크레이들(301)에 DV(12)가 탑재됨으로써, PC(11)와 DV(12)가 접속되어도 된다. 즉, 이 경우, 케이블(15)(도 1) 대신에, 크레이들 (301)이 접속되고, DV(12)가 크레이들(301)에 탑재되면, PC(11)의 i.LINK(45)(도 2)와 DV(12)의 i.LINK(78)(도 3)가 접속된다.
또는, 예를 들면, 도 24에 나타낸 바와 같이, PC(11)와 DV(12)는 인터넷을 포함하는 네트워크(311)를 통해 서로 접속되어도 된다.
또, 본 발명이 적용되는 정보 처리 장치는 PC의 형태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실시예를 취하는 것이 가능하며, 예를 들면, 도 25에 나타낸 바와 같은 광학 드라이브 기기(321)로 되어도 된다.
광학 드라이브 기기(321)의 구성은 특히 도시는 하지 않지만, 기본적으로, 전술한 도 2의 DVD-R/RW 드라이브(36)와 동일한 기능을 가지고 있으면 된다. 단, 이 경우, 광학 드라이브 기기(321)에는, 전술한 일련의 처리를 실행하는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수용/DVD 기록부(91)(도 4)]이나, DV(12)로부터 공급되는 디지털 비디오 테이프(13)의 기록 데이터를 기억하는 메모리[예를 들면, 도 2의 HDD(34)와 같은 하드 디스크], 그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CPU[예를 들면, 도 2의 CPU(21)와 같은 CPU], 및 프로그램을 실행하기 위한 파라미터나 데이터를 일시 기억하는 메모리(예를 들면, RAM 등), 및 DV(12)와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i.LINK도 필요하게 된다.
또는, DV(12) 자체에 전술한 일련의 처리를 실행하는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수용/DVD 기록부(91)(도 4)]이 인스톨되어도 된다.
그런데, 일련의 처리를 소프트웨어에 의해 실행시키는 경우에는, 그 소프트웨어를 구성하는 프로그램이 전용 하드웨어에 내장되어 있는 컴퓨터, 또는 각종 프 로그램을 인스톨함으로써, 각종 기능을 실행하는 것이 가능한, 예를 들면 범용의 퍼스널 컴퓨터 등에 기록 매체로부터 인스톨된다.
기록 매체는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퍼스널 컴퓨터와는 별도로, 사용자에게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위해 배포되는, 프로그램이 기록되어 있는 자기 디스크(플렉시블 디스크를 포함함), 광 디스크[CD-ROM(Compact Disc-Read Only Memory), DVD(Digital Versatile Disc)를 포함함], 광자기 디스크[MD(Mini-Disc)(등록상표)를 포함함], 또는 반도체 메모리 등으로 이루어지는 착탈 가능 기록 매체(49)(패키지 미디어)에 의해 구성될 뿐만 아니라, 컴퓨터에 미리 내장된 상태로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프로그램이 기억되어 있는 ROM이나 HDD(34)가 포함되는 하드 디스크 등으로 구성된다.
또, 전술한 일련의 처리는 소프트웨어에 의해 실행시킬 수도 있지만, 하드웨어에 의해 실행시킬 수도 있다. 이 경우, 정보 처리 장치는, 예를 들면,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은, 수용/DVD 기록부(91)에 대응하는 하드웨어를 가진다.
그리고, 본 명세서에서, 매체에 의해 제공되는 프로그램을 기술하는 스텝은 기재된 순서에 따라, 시계열적으로 행해지는 처리는 물론, 반드시 시계열적으로 처리되지 않아도, 병렬적 또는 개별적으로 실행되는 처리도 포함하는 것이다.
또, 전술한 예에서는, DV(12)의 포맷을 예로 하여 설명을 했기 때문에, 프레임이 사용되었지만, 필드가 사용되어도 되며, 본 명세서에서, 이와 같은 것(프레임, 또는 필드)을, 액세스 유닛이라고도 칭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시스템이란 처리 수단, 및 복수개의 장치에 의해 구성 되는 장치 전체를 나타내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디지털 비디오 테이프의 기록 데이터를 DVD에 기록시킬 수 있다. 특히, 사용자가 디지털 비디오 테이프가 장착된 DV를 PC에 접속하고, DV의 전원을 투입하는 것만으로(또한, 필요에 따라, 처리의 실행을 지령하기 위해 PC 마우스의 클릭 조작을 1회 하는 것만으로), 디지털 비디오 테이프의 기록 데이터를 DV로부터 PC에 수용하고, DV의 포맷으로부터 DVD의 포맷으로 변경시켜, DVD에 기록시킬 때까지의 일련의 처리를 자동적으로 실행시킬 수 있다. 즉, 제1 포맷으로 제1 기록 매체에 기록된 비디오 데이터를 제2 포맷으로 제2 기록 매체에 기록시킬 때까지의 일련의 처리를, 사용자의 수동 조작을 개재시키지 않고 실행시킬 수 있다.

Claims (16)

  1. 제1 기록매체의 제1 포맷으로 기록된 컨텐츠 데이터의 소정 시간 정보를 조사하는 조사 수단과,
    상기 조사 수단에 의해 조사된 상기 컨텐츠 데이터의 상기 시간 정보에 따라, 정보 처리 장치로부터 착탈(着脫) 가능한 소정 기록 매체에 상기 컨텐츠 데이터가 기록되는 경우에 있어서의 비트 레이트를 설정하는 설정 수단과,
    상기 컨텐츠 데이터의 포맷을, 상기 제1 포맷으로부터 제2 기록매체의 제2 포맷으로 변환하여, 상기 설정 수단에 의해 설정된 상기 비트 레이트로 상기 기록 매체에 기억시키도록 제어하는 기록 제어 수단
    을 구비한 정보 처리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사 수단은, 상기 시간 정보로서 상기 제1 포맷으로 기록된 상기 컨텐츠 데이터의 기록 시간을 조사하는, 정보 처리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데이터는, 동화상, 및 상기 동화상에 대응하는 음성으로 이루어지는 데이터이며,
    상기 설정 수단은, 상기 비트 레이트로서 상기 동화상 데이터에 대응하는 제1 비트 레이트와, 상기 음성 데이터에 대응하는 제2 비트 레이트를 각각 설정하고,
    상기 기록 제어 수단은, 상기 컨텐츠 데이터 중 상기 동화상 데이터를 상기 설정 수단에 의해 설정된 상기 제1 비트 레이트로 기록시키고, 또한 상기 음성 데이터를 상기 설정 수단에 의해 설정된 상기 제2 비트 레이트로 기억시키도록 제어하는, 정보 처리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비트 레이트의 설정 가능 값 중 최고값으로서 제1 고정값이 미리 결정되어 있고,
    상기 제2 비트 레이트의 설정 가능 값 중 최고값으로서 제2 고정값이 미리 결정되어 있고,
    상기 설정 수단은,
    상기 조사 수단에 의해 조사된 상기 컨텐츠 데이터의 기록 시간을 Tx로 하고, 상기 제1 고정값을 B1으로 하고, 상기 제2 고정값을 B2로 하고, 또한 상기 기록 제어 수단에 의해 기록이 제어되는 상기 기록 매체의 기록 가능한 최대 용량을 Cmax로 하여,
    (B1 + B2) × Tx < Cmax
    로 표현되는 제1 부등식(不等式)이 성립된다고 판정한 경우, 상기 제1 비트 레이트의 값으로서 상기 제1 고정값을 설정하고, 또한 상기 제2 비트 레이트의 값으로서 상기 제2 고정값을 설정하는, 정보 처리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비트 레이트의 설정 가능 값으로서, 추가로 상기 제2 고정값보다 낮은 제3 고정값이 미리 결정되어 있고,
    상기 설정 수단은, 상기 제1 부등식이 성립되지 않고, 또한 상기 제3 고정값을 B3으로 하여,
    (B1 + B3) × Tx < Cmax
    로 표현되는 제2 부등식이 성립된다고 판정한 경우, 상기 제1 비트 레이트의 값으로서 상기 제1 고정값을 설정하고, 또한 상기 제2 비트 레이트의 값으로서 상기 제3 고정값을 설정하는, 정보 처리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 수단은, 상기 제1 부등식이 성립되지 않고, 또한 상기 제2 부등식이 성립되지 않는다고 판정한 경우,
    (B4 + B3) × Tx < Cmax
    로 표현되는 제3 부등식이 성립되는, 상기 제3 부등식에서 B4로 나타나 있는 제4 값을 연산하고,
    상기 제1 비트 레이트의 값으로서, 연산한 상기 제4 값을 설정하고, 또한 상기 제2 비트 레이트의 값으로서 상기 제3 고정값을 설정하는, 정보 처리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 수단은, 상기 제3 부등식을 성립시키고, 또한 상기 조사 수단에 의해 조사된 상기 컨텐츠 데이터의 기록 시간 증가에 따라, 상기 제1 비트 레이트의 값이 선형으로 감소되는 특성에 따라, 상기 제4 값을 연산하는, 정보 처리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포맷은 디지털 비디오 테이프 레코더의 포맷이며,
    상기 제2 포맷은 DVD 규격에 의해 규정되어 있는 포맷인, 정보 처리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데이터를 기억하는 기억 수단을 더 구비하고,
    상기 기록 제어 수단은,
    상기 기억 수단의 빈 용량을 연산하는 연산 수단과,
    상기 연산 수단에 의해 연산된 상기 기억 수단의 빈 용량에 따라, 상기 컨텐츠 데이터를 복수개의 구간 데이터로 구분하고, 구분한 복수개의 상기 구간 데이터 중 소정의 제1 구간 데이터를 취득하여 상기 기억 수단에 기억시키는 취득 수단과,
    상기 취득 수단에 의해 취득되어 상기 기억 수단에 기억된 상기 제1 구간 데이터의 포맷을, 상기 제1 포맷으로부터 상기 제2 포맷으로 변환하여, 데이터량이 상기 제1 구간 데이터보다 작은 제2 구간 데이터를 생성하고, 생성된 상기 제2 구간 데이터를 상기 기억 수단에 기억시키는 변환 수단과,
    상기 변환 수단에 의해 상기 제1 구간 데이터의 포맷이 변환되어, 생성된 상기 제2 구간 데이터가 상기 기억 수단에 기억된 경우, 상기 컨텐츠 데이터를 구성하는 복수개의 상기 구간 데이터 중 상기 제1 구간 데이터와는 상이한 제3 구간 데이터가 상기 취득 수단에 의해 취득되기 전에, 상기 기억 수단에 기억된 상기 제1 구간 데이터를 소거하는 소거 수단과,
    상기 컨텐츠 데이터 모두가, 상기 취득 수단에 의해 취득되고, 상기 변환 수단에 의해 상기 제2 포맷으로 변환되어 상기 기억 수단에 기억된 경우, 상기 제2 포맷의 컨텐츠 데이터를 상기 설정 수단에 의해 설정된 상기 비트 레이트로 상기 기록 매체에 기억시키도록 제어하는 기록 매체 기록 제어 수단
    을 구비한 정보 처리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연산 수단은, 상기 제1 포맷에 있어서의 상기 컨텐츠 데이터의 제1 데이터량, 상기 제2 포맷에 있어서의 상기 컨텐츠 데이터의 제2 데이터량을 추가로 연산하고, 연산한 상기 제1 데이터량, 및 연산한 상기 제2 데이터량을 가산하여 제1 임계값을 연산하고,
    상기 취득 수단은, 상기 연산 수단에 의해 연산된 상기 기억 수단의 상기 빈 용량이 상기 연산 수단에 의해 연산된 상기 제1 임계값보다 작은 경우, 상기 기억 수단의 상기 빈 용량으로부터, 상기 연산 수단에 의해 연산된 상기 제2 데이터량을 감산한 양을 제2 임계값으로서 설정하고, 상기 컨텐츠 데이터를, 설정된 상기 제2 임계값 이하가 되는 데이터량을 가지는 복수개의 상기 구간 데이터로 구분하고, 구분한 복수개의 상기 구간 데이터 중 상기 제1 구간 데이터를 취득하여 상기 기억 수단에 기억시키는, 정보 처리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포맷은 디지털 비디오 테이프 레코더의 포맷이며,
    상기 취득 수단은, 상기 디지털 비디오 테이프 레코더에 상기 컨텐츠 데이터가 기록된 디지털 비디오 테이프를 재생시킴으로써, 그 컨텐츠 데이터를 취득하고,
    상기 제2 포맷은 DVD 규격에 의해 규정되어 있는 포맷인, 정보 처리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기록 제어 수단은, 상기 디지털 비디오 테이프 레코더에 상기 컨텐츠 데이터가 기록된 디지털 비디오 테이프를 재생시켜, 녹화 개시점으로부터 상기 녹화 개시점의 다음에 나타나는 녹화 종료점까지의 녹화 구간을 조사하는 구간 조사 수단을 더 구비하며,
    상기 취득 수단은, 상기 구간 조사 수단에 의해 조사된 복수개의 상기 녹화 구간의 각각에 대응하는 데이터를 1개의 상기 구간 데이터로 하여, 상기 컨텐츠 데이터를 구분하고, 구분된 복수개의 상기 구간 데이터 중 상기 제1 구간 데이터를 취득하여, 상기 기억 수단에 기억시키는, 정보 처리 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취득 수단은, 상기 구간 조사 수단에 의해 조사된 복수개의 상기 녹화 구간의 각각에 대응하는 데이터 중, 데이터량이 상기 제2 임계값을 넘는 데이터가 있는 경우, 데이터량이 상기 제2 임계값을 넘는 상기 녹화 구간에 대응하는 상기 데이터를 1개의 상기 구간 데이터로 하지 않고, 상기 제2 임계값 이하의 복수개의 데이터로 다시 구분하고, 구분된 복수개의 상기 데이터의 각각을 1개의 상기 구간 데이터로 하여 상기 컨텐츠 데이터를 구분하고, 구분된 복수개의 상기 구간 데이터 중 상기 제1 구간 데이터를 취득하여, 상기 기억 수단에 기억시키는, 정보 처리 장치.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구간 조사 수단은, 상기 디지털 비디오 테이프 레코더에 상기 컨텐츠 데이터가 기록된 상기 디지털 비디오 테이프를 통상 속도보다 빠른 속도로 재생시켜, 상기 녹화 구간에 대응하는 임시 녹화 구간을 조사하고,
    상기 취득 수단은, 상기 구간 조사 수단에 의해 조사된 복수개의 상기 임시 녹화 구간의 각각에 대응하는 데이터를 1개의 임시 구간 데이터로 하여 상기 컨텐츠 데이터를 구분하고, 복수개의 상기 임시 구간 데이터 중 소정의 제1 임시 구간 데이터에 대응하는 상기 녹화 구간의 녹화 개시점을 검출하고, 상기 디지털 비디오 테이프 레코더에, 검출한 상기 녹화 개시점으로부터 상기 녹화 개시점의 다음에 나타나는 상기 녹화 종료점까지의 상기 녹화 구간에 대응하는 데이터를 재생시키도록 제어하고, 상기 디지털 비디오 테이프 레코더에 의한 재생이 제어된 상기 녹화 구간에 대응하는 상기 데이터를 상기 제1 구간 데이터로서 취득하여, 상기 기억 수단에 기억시키는, 정보 처리 장치.
  15. 컴퓨터에,
    제1 기록매체의 제1 포맷으로 기록된 컨텐츠 데이터의 소정 시간 정보를 조사하는 조사 단계와,
    상기 조사 단계의 처리에 의해 조사된 상기 컨텐츠 데이터의 상기 시간 정보에 따라, 상기 컴퓨터로부터 착탈 가능한 소정 기록 매체에 상기 컨텐츠 데이터가 기록되는 경우에 있어서의 비트 레이트를 설정하는 설정 단계와,
    상기 컨텐츠 데이터의 포맷을, 상기 제1 포맷으로부터 제2 기록매체의 제2 포맷으로 변환하여, 상기 설정 단계의 처리에 의해 설정된 상기 비트 레이트로 상기 기록 매체에 기억시키도록 제어하는 기록 제어 단계
    를 실행시키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기록 제어 단계는
    소정의 기억 장치의 빈 용량을 연산하는 연산 단계와,
    상기 연산 단계의 처리에 의해 연산된 상기 기억 장치의 상기 빈 용량에 따라, 상기 컨텐츠 데이터를 복수개의 구간 데이터로 구분하고, 구분된 복수개의 상기 구간 데이터 중 소정의 제1 구간 데이터를 취득하여 상기 기억 장치에 기억시키는 취득 단계와,
    상기 취득 단계의 처리에 의해 취득되어 상기 기억 장치에 기억된 상기 제1 구간 데이터의 포맷을 상기 제1 포맷으로부터 제2 포맷으로 변환하여, 데이터량이 상기 제1 구간 데이터보다 작은 제2 구간 데이터를 생성하고, 생성된 상기 제2 구간 데이터를 상기 기억 장치에 기억시키는 변환 단계와,
    상기 변환 단계의 처리에 의해 상기 제1 구간 데이터의 포맷이 변환되어 생성된 상기 제2 구간 데이터가 상기 기억 장치에 기억된 경우, 상기 컨텐츠 데이터를 구성하는 복수개의 상기 구간 데이터 중 상기 제1 구간 데이터와는 상이한 제3 구간 데이터가 상기 취득 단계의 처리에 의해 취득되기 전에, 상기 기억 장치에 기억된 상기 제1 구간 데이터를 소거하는 소거 단계와,
    상기 컨텐츠 데이터의 모두가 상기 취득 단계의 처리에 의해 취득되고, 상기 변환 단계의 처리에 의해 상기 제2 포맷으로 변환되어 상기 기억 장치에 기억된 경우, 그 제2 포맷의 컨텐츠 데이터를 상기 설정 단계의 처리에 의해 설정된 상기 비트 레이트로 상기 기록 매체에 기억시키도록 제어하는 기록 매체 기록 제어 단계
    를 포함하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KR1020057003641A 2002-09-06 2003-09-02 정보 처리 장치 및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Expired - Fee Related KR10098825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2-00260942 2002-09-06
JP2002260942A JP4423843B2 (ja) 2002-09-06 2002-09-06 情報処理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JP2002260941A JP4337318B2 (ja) 2002-09-06 2002-09-06 情報処理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JPJP-P-2002-00260941 2002-09-0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57112A KR20050057112A (ko) 2005-06-16
KR100988257B1 true KR100988257B1 (ko) 2010-10-18

Family

ID=319805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7003641A Expired - Fee Related KR100988257B1 (ko) 2002-09-06 2003-09-02 정보 처리 장치 및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7831132B2 (ko)
EP (1) EP1536642B1 (ko)
KR (1) KR100988257B1 (ko)
CN (1) CN100484221C (ko)
WO (1) WO200402380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08339A (ja) * 2003-09-30 2005-04-21 Pioneer Electronic Corp 情報記録再生装置、情報記録再生方法及び情報記録再生用プログラム並びに情報記録媒体
JP2005301862A (ja) * 2004-04-15 2005-10-27 Olympus Corp ディスク記録装置、ディスク記録媒体の監視方法およびディスク記録媒体の監視プログラム
JP4001135B2 (ja) * 2004-08-18 2007-10-31 ソニー株式会社 映像信号処理装置
WO2006067761A1 (en) * 2004-12-22 2006-06-29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Dispersive chapter-allocation to dvd recordings
TWI260008B (en) * 2004-12-24 2006-08-11 Lite On It Corp Multi-function digital optical disc player
US7975219B2 (en) * 2005-05-31 2011-07-05 Sorenson Media, Inc. Method, graphical interface and computer-readable medium for reformatting data
US8296649B2 (en) * 2005-05-31 2012-10-23 Sorenson Media, Inc. Method, graphical interface and computer-readable medium for generating a preview of a reformatted preview segment
US7885979B2 (en) * 2005-05-31 2011-02-08 Sorenson Media, Inc. Method, graphical interface and computer-readable medium for forming a batch job
US20090274450A1 (en) * 2005-07-11 2009-11-05 Pioneer Corporation Information recording apparatus and information recording method
US20070239931A1 (en) * 2006-03-28 2007-10-11 Hsin-Cheng Chen System, apparatus, integrated circuit thereof, and method for recording data on optical storage medium
KR20080072202A (ko) * 2007-02-01 2008-08-06 삼성전자주식회사 데이터 처리 방법 및 데이터 처리 장치
JP4983297B2 (ja) * 2007-02-21 2012-07-25 ティアック株式会社 データ複製装置
JP2008301013A (ja) * 2007-05-30 2008-12-11 Fujifilm Corp 撮影装置および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JP2015039061A (ja) * 2010-10-07 2015-02-26 株式会社東芝 情報処理装置
CN103167005B (zh) * 2011-12-16 2018-01-26 富泰华工业(深圳)有限公司 文件下载系统及方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331556A (ja) * 1995-05-30 1996-12-13 Sony Corp 画像符号化装置および画像符号化方法
JPH09154099A (ja) * 1995-11-28 1997-06-10 Sony Corp 映像編集装置
JP2000059731A (ja) 1998-08-07 2000-02-25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映像編集装置

Family Cites Families (3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4457C (zh) * 1899-12-30 2004-03-31 索尼公司 与mpeg编码信号位速率有关的变速再现/记录方法和装置
JPH03161826A (ja) 1989-11-20 1991-07-11 Sharp Corp ディスク型記録再生装置
JP3161826B2 (ja) 1992-08-18 2001-04-25 信越アステック株式会社 精密鋳造用のワックス模型の離型剤およびワックス模型の成形方法
JPH0817137A (ja) * 1994-04-28 1996-01-19 Sanyo Electric Co Ltd 記録方法及び装置、再生方法及び装置、記録媒体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記録媒体の原版及びその製造方法
JPH0831044A (ja) 1994-07-07 1996-02-02 Mitsubishi Electric Corp 磁気テープダビング方式及び装置
JP3575100B2 (ja) * 1994-11-14 2004-10-06 ソニー株式会社 データ送信/受信装置及び方法並びにデータ記録/再生装置及び方法
US6026232A (en) 1995-07-13 2000-02-15 Kabushiki Kaisha Toshiba Method and system to replace sections of an encoded video bitstream
US5793927A (en) * 1995-06-07 1998-08-11 Hitachi America, Ltd. Methods for monitoring and modifying a trick play data stream to insure MPEG compliance
JPH09284715A (ja) 1996-04-19 1997-10-31 Hitachi Ltd 映像の符号化記録・再生装置
CN1110779C (zh) * 1996-10-31 2003-06-04 传感电子公司 视频信息智能管理系统
JPH10214456A (ja) 1997-01-30 1998-08-11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画像音声録再装置
GB2323734B (en) * 1997-03-27 2001-04-11 Quantel Ltd A video processing system
JP3528524B2 (ja) * 1997-07-10 2004-05-17 ソニー株式会社 記録再生装置および記録再生方法、並びに記録媒体
EP0956555B1 (en) * 1997-11-29 2006-04-26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Method and device for recording audio information, a record carrier and playback device
JPH11191873A (ja) 1997-12-25 1999-07-13 Fuji Photo Film Co Ltd 電子カメラ
JPH11298850A (ja) 1998-04-15 1999-10-29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映像編集装置
US20060010136A1 (en) * 1999-01-28 2006-01-12 Deangelo Michael System and method for creating and manipulating information containers with dynamic registers
CA2364301C (en) 1999-02-17 2010-09-14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Information recording medium, apparatus and method for performing after-recording on a recording medium
KR100540645B1 (ko) * 1999-03-03 2006-01-10 삼성전자주식회사 Dvd 정보 전송 장치 및 그 방법
JP2000333169A (ja) * 1999-05-24 2000-11-30 Mitsubishi Electric Corp 動画像符号化装置
JP2001067799A (ja) 1999-08-24 2001-03-16 Victor Co Of Japan Ltd ディジタル信号記録装置
EP1124381A1 (en) * 2000-02-08 2001-08-16 Deutsche Thomson-Brandt Gmbh Method and apparatus for bitrate control in a video or audio encoder
JP2002025192A (ja) 2000-07-13 2002-01-25 Kenwood Corp ディジタル記録再生装置及びディジタル記録方法
JP4495906B2 (ja) 2000-09-29 2010-07-07 株式会社東芝 画像記録再生装置及び方法
JP2002152657A (ja) * 2000-11-08 2002-05-24 Toshiba Corp 録画レート自動設定録画装置及び録画レート自動設定録画方法
DE10059103B4 (de) * 2000-11-28 2005-04-21 Siemens Ag Einheit zur Verwaltung von in einer Datenverarbeitungseinrichtung gespeicherten Daten
JP3807225B2 (ja) 2000-11-30 2006-08-09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圧縮映像信号記録装置
JP2002196797A (ja) 2000-12-27 2002-07-12 Toshiba Corp 記録再生装置及びその記録再生方法
JP2002352506A (ja) 2001-05-21 2002-12-06 Kenwood Corp 記録再生装置
US20030194008A1 (en) * 2002-04-11 2003-10-16 Tinku Acharya Computationally fast and efficient DV to DVD transcoding
US7386218B2 (en) * 2002-04-17 2008-06-10 Dell Products L.P. Method and apparatus for automatic video CD authoring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331556A (ja) * 1995-05-30 1996-12-13 Sony Corp 画像符号化装置および画像符号化方法
JPH09154099A (ja) * 1995-11-28 1997-06-10 Sony Corp 映像編集装置
JP2000059731A (ja) 1998-08-07 2000-02-25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映像編集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679327A (zh) 2005-10-05
US20050286361A1 (en) 2005-12-29
EP1536642B1 (en) 2011-11-30
EP1536642A4 (en) 2009-11-18
US7831132B2 (en) 2010-11-09
WO2004023803A1 (ja) 2004-03-18
EP1536642A1 (en) 2005-06-01
KR20050057112A (ko) 2005-06-16
CN100484221C (zh) 2009-04-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88257B1 (ko) 정보 처리 장치 및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CN1551212B (zh) 信息处理装置与方法
JP5635265B2 (ja) 編集装置および編集方法
KR100988256B1 (ko) 정보 처리 장치 및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KR100986227B1 (ko) 정보 처리 장치 및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매체
WO2004095451A1 (ja) 入力データ記録装置及び入力データ記録方法
JP4423843B2 (ja) 情報処理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JP4136491B2 (ja) 再生装置
JP4337318B2 (ja) 情報処理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US8340508B2 (en) Record/playback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for
JP4029387B2 (ja) 情報処理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CN100414972C (zh) 摄像装置及其控制方法
TWI303810B (ko)
JP2007165959A (ja) 画像表示装置
JP5060394B2 (ja) 情報処理装置及び情報処理方法
JP2004172887A (ja) データファイル複写システム
JP2007165957A (ja) 画像表示装置
JP2005328207A (ja) Av再生方法、およびav再生装置
JP2004192746A (ja) 記録装置、記録方法
JP2007165958A (ja) 画像表示装置
JP2006031794A (ja) 記録装置及び方法、再生装置及び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5 International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50302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080804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00203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00719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0101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0101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04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1004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06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1006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609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