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980763B1 - 향상된 투명도, 화학적 저항성 및 높은 영구 피로강도를갖는 투명성 폴리아미드 성형재 - Google Patents

향상된 투명도, 화학적 저항성 및 높은 영구 피로강도를갖는 투명성 폴리아미드 성형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80763B1
KR100980763B1 KR1020030036174A KR20030036174A KR100980763B1 KR 100980763 B1 KR100980763 B1 KR 100980763B1 KR 1020030036174 A KR1020030036174 A KR 1020030036174A KR 20030036174 A KR20030036174 A KR 20030036174A KR 100980763 B1 KR100980763 B1 KR 10098076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lyamide
polyamide molding
mole
acid
transparent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Lifetim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361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94118A (ko
Inventor
뷰흐러프리드리히세베린
Original Assignee
이엠에스-케미에 아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엠에스-케미에 아게 filed Critical 이엠에스-케미에 아게
Publication of KR200300941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9411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807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80763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Lifetim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69/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amide link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08G69/02Polyamides derived from amino-carboxylic acids or from polyamines and polycarboxylic acids
    • C08G69/26Polyamides derived from amino-carboxylic acids or from polyamines and polycarboxylic acids derived from polyamines and polycarboxylic acids
    • C08G69/28Preparatory process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69/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amide link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08G69/02Polyamides derived from amino-carboxylic acids or from polyamines and polycarboxylic acids
    • C08G69/26Polyamides derived from amino-carboxylic acids or from polyamines and polycarboxylic acids derived from polyamines and polycarboxylic aci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12/00Producing frames
    • B29D12/02Spectacle fram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69/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amide link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08G69/02Polyamides derived from amino-carboxylic acids or from polyamines and polycarboxylic acids
    • C08G69/26Polyamides derived from amino-carboxylic acids or from polyamines and polycarboxylic acids derived from polyamines and polycarboxylic acids
    • C08G69/265Polyamides derived from amino-carboxylic acids or from polyamines and polycarboxylic acids derived from polyamines and polycarboxylic acids from at least two different diamines or at least two different dicarboxylic aci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69/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amide link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08G69/02Polyamides derived from amino-carboxylic acids or from polyamines and polycarboxylic acids
    • C08G69/36Polyamides derived from amino-carboxylic acids or from polyamines and polycarboxylic acids derived from amino acids, polyamines and polycarboxylic acid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13Hollow or container type article [e.g., tube, vase, etc.]
    • Y10T428/1352Polymer or resin containing [i.e., natural or synthetic]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9Coated or structually defined flake, particle, cell, strand, strand portion, rod, filament, macroscopic fiber or mass thereof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9Coated or structually defined flake, particle, cell, strand, strand portion, rod, filament, macroscopic fiber or mass thereof
    • Y10T428/2913Rod, strand, filament or fiber
    • Y10T428/2933Coated or with bond, impregnation or core
    • Y10T428/2964Artificial fiber or filament
    • Y10T428/2967Synthetic resin or polym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9Coated or structually defined flake, particle, cell, strand, strand portion, rod, filament, macroscopic fiber or mass thereof
    • Y10T428/2913Rod, strand, filament or fiber
    • Y10T428/2933Coated or with bond, impregnation or core
    • Y10T428/2964Artificial fiber or filament
    • Y10T428/2967Synthetic resin or polymer
    • Y10T428/2969Polyamide, polyimide or polyest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31504Composite [nonstructural laminat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31504Composite [nonstructural laminate]
    • Y10T428/31678Of metal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31504Composite [nonstructural laminate]
    • Y10T428/31725Of polyamid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olyamides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 Manufacture Of Macromolecular Shaped Articles (AREA)
  • Processing And Handling Of Plastics And Other Materials For Molding In General (AREA)

Abstract

0 내지 12 J/g의 용융 엔탈피를 갖고;
50 중량% 이하의 트랜스, 트랜스-이성질체를 갖는 10-70 몰%의 PACM[비스-(4-아미노-사이클로헥실)-메탄] 및 90-30 몰%의 MACM[비스-(4-아미노-3-메틸-사이클로헥실)-메탄]을 가지는 100 몰%의 다이아민(diamine) 혼합물;
(선택적으로, 상기에서 0-10 몰%는 C6-C12를 갖는 다른 지방족 다이아민, 환식의 지방족(cycloaliphatic), 알킬기로 치환된 환식의 지방족, 분쇄의 지방족 다이아민 또는 3-12개의 아미노기를 갖는 다가의 아민(multiaine) 또는 이들의 혼합물로 대체될 수 있다.)
100 몰%의 장쇄의 C8-C14의 지방족 다이카르복실산 또는 이러한 카르복실산의 혼합물;
(상기에서 0-10 몰%는 다른 방향족 또는 C8-C16의 환식 지방족 다이카르복실산으로 대체될 수 있으며, 특히 상기 다이카르복실산은 이소프탈릭산(isophtalic acid), 테레프탈릭산(terephthalic acid), 나프탈렌다이카르복실산(naphtalenedicarboxylic acid), 사이클로헥산다이카르복실산(cyclohexanedicarboxylic acid) 또는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될 수 있고, 또한,
선택적으로, 다른 장쇄의 지방족 다이아민 0-10 몰%와 다른 장쇄의 지방족 다이카 르복실산 0-10 몰%는 C6-C12를 갖는 ω-아미노카르복실산 또는 C6-C 12를 갖는 락탐 0-20 몰%로 첨가될 수 있다.)로 이루어진 폴리아미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명한 폴리아미드 성형재(moulding materials)를 제공한다.
또한, 폴리아미드 성형재의 제조방법 및 폴리아미드 성형재를 이용하여 성형물을 제조하고 취급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특히 본 발명은 폴리아미드 성형재로부터 얻을 수 있는 유리 및 렌즈에 관한 것이다.
폴리아미드, 폴리아미드 성형재, 유리, 렌즈

Description

향상된 투명도, 화학적 저항성 및 높은 영구 피로강도를 갖는 투명성 폴리아미드 성형재{TRANSPARENT POLYAMIDE MOULDING MATERIALS HAVING IMPROVED TRANSPARENCY, RESISTANCE TO CHEMICALS AND HIGH PERMANENT FATIGUE STRENGTH}
본 발명은 투명한 폴리아미드 성형재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최적의 투명도 및 최적의 화학적 저항성 뿐만 아니라 높은 영구 피로강도를 갖는 투명한 폴리아미드 성형재에 관한 것이다.
높은 광투과, 높은 영구 피로강도 및 월등한 화학적 저항성을 갖는 것으로써 투명한 폴리아미드 분야에는 두개의 폴리머 타입이 알려져 있다.
월등한 화학적 저항성 특히, 알코올에 대한 저항성을 갖는 미세결정상의 투명한 폴리아미드 성형재는 35-60몰%의 비스(4-아미노사이클로헥실)메탄 트랜스, 트랜스 이성질체, 65-40 몰%의 기타 다른 다이아민 및 도데탄 다이오닉산으로 이루어진 PACM으로부터 제조될 수 있음이 DE 43 10 970에 개시되고 있다. 그러나, 140℃의 낮은 유리전이온도 및 낮은 강성(stiffness)을 갖는 단점이 있다. 미세결정상으로 인하여 투과도는 최적의 상태에 도달하지 못한다. 정해진 초기 굽힘 응력에 대한 이러한 폴리아미드 타입의 영구 피로강도는 Wohler 후 피로도 시험에서 낮은 파괴 사이 클 수를 보여준다.
높은 화학적 열적 저항성 및 Wohler 후 피로도 시험에 대한 월등한 영구 피로강도를 가지며 MACM(비스-(4-아미노-3-메틸-사이클로헥실)-메탄) 및 도데탄다이오닉산으로 이루어진 무정형의 투명한 폴리아미드 성형재는 EP-A-0 725 101로 공지되어 있다. 미세결정상의 투명한 폴리아미드와 관련하여, 알코올에 대한 저항성이 낮다. 투과도는 PACM12과 대등하나 최적의 상태는 아니다.
DE 196 42 885 C2는 EP-A-0 725 101에 개시된 물성 이외에도 월등한 영구 피로강도를 보이고, 썬글래스 및 광학용 파장유도용의 렌즈와 같은 전자-광학 응용 용도의 성형부품을 제조하기에 적합한 적어도 하나의 제2 호모폴리아미드를 포함하고 있는 무정형의 투명한 폴리아미드 성형재에 대하여 기술하고 있다.
표면에 물리적인 부하가 걸릴때, 투명한 폴리아미드는 경질의 랙커(lacquer)를 이용한 코팅으로 높은 마모저항성 및 우수한 스크래치 저항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투명한 폴리아미드는 첨단 매체(aggressive media) 분야 및 높은 압력 부하와 높은 영구 피로강도가 요구되는 분야에서 특별히 사용되는 진보된 폴리머이다. 동시에 투명한 폴리아미드는 높은 유리전이온도를 갖고 높은 열적 저항성을 가진다.
예를 들어, 높은 온도에서 첨단 매체는 PS(폴리스타일렌), PMMA(폴리메틸 메타크릴레이트), PET(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PVC(폴리비닐클로라이드) 또는 PC(폴리카보네이트) 등의 대량생산된 투명한 물질이 견디지 못하는 식기세척기 또는 매체 수행시스템 내에서 존재한다. 적용 예로는 우유병, 카보네이트제의 병, 만찬-서비 스 및 나이프, 포크 등의 칼붙이 취급에 적용된다. 예를 들어, 열처리 기술 분야 및 열 또는 오일에 직접적인 접촉, 음용수 처리 및 매개체 여과를 위한 필터 컵, 기상 또는 액상의 유량계, 램프 케이스, 차 램프 및 센서 용도의 반사기를 포함하는 서비스 영역 분야에서 관측용 유리(viewing glasses) 용도에 열적 저항성과 영구 피로강도와 연관하여 화학적 저항성이 요구되어진다.
장쇄의 지방족 다이카르복실산을 포함하는 환식지방족 다이아민의 결합이 삼차 부틸페놀 계와 HALS 타입의 안정제로 인해 최적화되어 탈색(weathering)에 저항을 가질 수 있기 때문에, 투명한 폴리아미드의 외부 용도의 중요성은 커지고 있다.
나아가, 랙커 공정은 용매에 따른 응력 균열을 피하기 위해 화학적 저항성이 요구되지만 동시에 최적의 랙커 부착을 위해서 표면의 활성도도 요구된다. 스크래치 저항성을 증가시키기 위한 경질 랙커(hard lacquers)등의 다수의 랙커는 130℃ 이상의 경화온도가 필요하다.
매우 우수한 열적, 화학적 저항성과 더불어 높은 영구 피로강도는 엔진 제조 및 제약 기술 이외에 안경 및 보호 안경 분야에서도 필요하다.
쌘글래스용의 안경 유리 및 시력보정용의 안경은 굴절율 및 Abbe 계수 및 투과도 등의 우수한 광학 성질로 제조될 수 있다. 또한, 기술장비, 조명 또는 신호 램프, 광전자 커플러 또는 LED용 렌즈로 제조될 수 있다. 이러한 용도는 광학적 특성 뿐 만 아니라 향상된 투과도 및 선명도, 동시에 매우 낮은 탈색도를 갖는 고온 안정성이 요구된다. 화학물질 및 응력 균열에 대한 우수한 저항성을 가진 무정형의 폴리아미드를 안경 테 및 안경 렌즈 용도에 대한 적당한 성질을 결합함으로써, 유리, PC 또는 PMMA 등의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물질의 경우 균열이 생기거나 파손의 원인인 안경에 직접 나사를 꽂을 수 있는 구멍을 갖는 새로운 디자인의 안경 형태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최적의 투명도 및 최적의 화학적 저항성 뿐만 아니라 높은 영구 피로강도를 갖는 폴리아미드계 성형재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폴리아미드계 성형재로부터 얻을 수 있는 성형 제품, 특히 최적의 투명도 및 최적의 화학적 저항성 뿐만 아니라 높은 영구 피로강도를 갖는 안경 또는 렌즈을 제공하는 것이다.
나아가, 본 발명은 폴리아미드계 성형재의 제조방법, 성형된 제품, 안경 및 렌즈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끝으로, 본 발명은 다이아민 PACM (비스-(4-아미노-사이클로헥실)-메탄) 및 MACM(비스-(4-아미노-3-메틸-사이클로헥실)-메탄) 및 장쇄의 지방족 다이카르복실산의 혼합물로 구성되고, 최적의 투명도 및 최적의 화학적 저항성 뿐만 아니라 높은 영구 피로강도를 갖는 투명한 폴리아미드 성형재를 제공한다.
나아가, 본 발명은 폴리아미드 성형재의 제조방법 및 본 발명의 성형재로부터 성형된 제품의 제조방법 및 나아가 그의 처리방법을 제공한다. 특히, 본 발명은 상기 폴리아미드 성형재로부터 얻을 수 있는 안경 및 안경 유리 또는 접안렌즈(eyeglasses)에 관한 것이다.
본 명세서 내에서 사용된 PACM 용어는 ISO-명명, 비스-(4-아미노-사이클로헥실)-메 탄을 나타내고, 다이사이칸 타입 (CAS 번호. 1761-71-3)으로써, 상업명 4,4'-다이아미노다이사이클로헥실메탄으로 상업적으로 구입가능하다. MACM 용어는 ISO-명명, 비스-(4-아미노-3-메틸-사이클로헥실)-메탄을 나타내고, 라노민 C260 타입(CAS 번호, 6864-37-5)으로써, 상업명 3,3'-다이메틸-4,4'-다이아미노다이사이클로헥실메탄으로 상업적으로 구입가능하다.
본 발명에서 PACM 및 MACM 각각의 용어는 모든 속명, 상업명 또는 당업자에게 통용되고 상기 화합물의 화학구조에 대응하는 다른 이름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부가적인 특징 및 장점들이 기술되고, 그로보터 명확히 이해될 것이다.
본 발명의 투명한 폴리아미드 성형재는 0 내지 12 J/g의 용융 엔탈피를 갖고,
상기 폴리아미드가
A. 50 중량% 이하의 트랜스, 트랜스-이성질체를 갖는 10-70 몰%의 PACM[비스-(4-아미노-사이클로헥실)-메탄] 및 90-30 몰%의 MACM[비스-(4-아미노-3-메틸-사이클로헥실)-메탄]을 가지는 100 몰%의 다이아민(diamine) 혼합물;
(선택적으로, 상기에서 0-10 몰%는 C6-C12를 갖는 다른 지방족 다이아민, 환식의 지방족(cycloaliphatic), 알킬기로 치환된 환식의 지방족, 분쇄의 지방족 다이아민 또는 3-12개의 아미노기를 갖는 다가의 아민(multiaine) 또는 이들의 혼합물로 대체될 수 있다.)
B. 100 몰%의 장쇄의 C8-C14의 지방족 다이카르복실산 또는 이러한 카르복실산의 혼 합물;
(상기에서 0-10 몰%는 다른 방향족 또는 C8-C16의 환식 지방족 다이카르복실산으로 대체될 수 있으며, 특히 상기 다이카르복실산은 이소프탈릭산(isophtalic acid), 테레프탈릭산(terephthalic acid), 나프탈렌다이카르복실산(naphtalenedicarboxylic acid), 사이클로헥산다이카르복실산(cyclohexanedicarboxylic acid) 또는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될 수 있고, 또한,
선택적으로, 다른 장쇄의 지방족 다이아민 0-10 몰%와 다른 장쇄의 지방족 다이카르복실산 0-10 몰%는 C6-C12를 갖는 ω-아미노카르복실산 또는 C6-C 12를 갖는 락탐 0-20 몰%로 첨가될 수 있다.)로 이루어진 투명한 폴리아미드 성형재를 제공함으로써 성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폴리아미드 성형재의 특별한 장점은 30-90%의 MACM 및 바람직하게는 30-70% MACM 범위에서 사용된 다이아민 혼합물이 최적의 투명도 및 최소의 변색 뿐 만 아니라 최대 파기 신도를 보이고 있다. 동시에 노취-충격 세기 및 화학적 저항성이 높은 수준에 있다. 본 발명의 폴리아미드 성형재로부터 제조되는 성형된 제품은 랙커처리, 프린팅, 코팅, 증기 증착 처리기술 등의 통상적인 후가공기술로, 화학적 저항성이 조절될 수 있다. 투명한 폴리아미드의 주요 성질인 영구 피로강도가 월등히 높은 수치로 얻어지며, 영구 피로강도는 예를 들어, 코크를 개폐하는 동안 자발적인 압력 변화가 빈번히 일어나는 음용수 시스템에 요구된다. Wohler 후 피로도 시험에서 파괴 사이클 수 형태로 측정되는 영구 피로강도는 다른 폴리아미드 및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스타일렌, SAN 또는 폴리(메틸 메타크릴레이트)로 제조된 성형제품에서 얻을 수 있는 값의 몇배, 그리고 다른 폴리아미드와 비교시, 본 발명의 폴리아미드 성형재로부터 제조되는 성형제품에서 높은 수치로 나타났다.
최상으로 적합화된 대규모 공장(5-10 to)에서 지방족, 사이클로지방족 또는 알킬 치환된 지방족 또는 사이클로지방족 모노머로부터 제조된 2 mm 두께의 투명한 폴리아미드는 가시광선 영역 및 근적외선 영역에서 예를 들어, 폴리(메틸 메타크릴레이트)(PMMA) 92%와 유사하게 89%의 폴리스타일렌(PS) 또는 폴리카보네이트(PC)와 같이 560 nm에서의 92%의 방향족 흡수결핍으로 인해 높은 광투과를 보여준다. 상기 광 투과도는 고투명성을 요구하는 용도에 결정적으로 중요하고, 적당한 보호용의 랙커로 표면을 코팅함으로써 최대 수치로 증가된다.
예를 들어 이소프로판올에서, 응력 균열의 형성에 대한 최적화된 저항은 45-0 몰%의 MACM 및 65-100 몰%의 PACM의 범위에서 얻어진다. 상기 범위에서, 투명도를 손상시키지 않고 8 내지 25 J/g에서 용융 엔탈피를 갖는 결정상이 존재한다.
본 발명의 폴리아미드 성형재의 파괴강도 및 파괴신도는 30-90 몰%의 MACM 및 70-10 몰%의 PACM 범위에서 최적화된다. 동시에 높은 노취-충격 세기 및 높은 영구 피로강도를 갖는 성형제품을 얻는다.
본 발명에 따른 우수한 투명도의 성취는 정해진 범위의 용융 엔탈피(melting enthalpy) 0∼12 J/g에서 낮은 결정화도 및 알킬로 치환된 다이아민의 감소에 기인한다. 용융 엔탈피 12 J/g 이상에서는 투명도가 감소한다.
PACM/MACM 60/40 몰%의 다이아민 조성을 갖는 3 mm 두께의 정련되지 않은 성형물로 제조된 플레이트 상에서 측정할때, 파일럿 오토클레이브(autoclaves) 상에서 제조된 순수한 MACM12 및 PACM12 폴리아미드 타입의 투명도는 540 nm에서 80∼85%로 증가한다. 경험적으로 정련된(polished) 성형물로 제조된 플레이트보다 높은 광 투과도를 보인다.
일정한 생산 조건에도 불구하고, 3 mm두께, 30-40 몰%의 MACM 범위의 플레이트 상에서 ASTM D1925에 따라 보다 낮은 변색이 동시에 관찰되었다.
또한, 파괴강도 및 파괴신도는 40-60 몰%의 MACM 범위에서 62 MPa 및 160%의 인장력으로 예상치 못한 최대치를 보였다.
PACM 양이 증가함에 따라, 이소프로판올에 대한 응력 균열의 저항성은 균열 생성에 대한 굽힘 응력의 값이 15에서 59 MPa로 증가하고, 본 발명에 따른 30-90 몰%의 MACM 조성 범위에서 최대이다. 또한, 이와 같은 거동은 헥산과 아세톤에서도 관찰된다.
23℃에서 노취-충격 강도는 모든 조성에 대해 11 KJ/m2의 안정된 수준이고 높은 PACM 양에서 12 KJ/m2로 다소 높게 나타났다. 특히 이러한 폴리아미드 타입은 -70℃에서 측정될때, 노취-충격 강도가 폴리카보네이트(PC) 및 폴리에스터에서 알려진 대로 감소되지 않는 것이 특징이다. 폴리스타일렌(PS) 또는 폴리(메틸 메타크릴레이트)(PMMA) 등의 다른 투명성 재료들은 23℃에서 5-10 배 정도 낮은 값을 갖는다.
약 50 MPa의 초기 굽힘 응력에서의 피로도 시험에서, 파일럿 오토클레이브 상에 제 조된 폴리아미드 성형재는 0.3-0.4 mio 사이클의 파괴사이클수로 20-40 몰%의 MACM이 조성에서 최대치에 이르고, 가장 높은 영구 피로강도를 갖는다. 상기 폴리아미드 성형재가 1-10 m3의 용기 부피를 갖는 생산 공장에서 제조될 때, 통상적으로 보인 바 대로, MACM12에 대해 1.0 mio 사이클, PACM12에 대해 0.6 mio 사이클로 보다 높은 수치를 보인다.
바람직하게는, 투명한 폴리아미드 성형재가 50 중량% 이하의 트랜스, 트랜스-이성질체를 가지는 30-70 몰%의 비스-(4-아미노-사이클로헥실)-메탄 및 70-30 몰%의 비스-(4-아미노-3-메틸-사이클로헥실)-메탄을 갖는 100 몰%의 다이아민 혼합물 및 100 몰%의 도데칸다이오닉산(DDS) 또는 세바익산(sebacic acid;SS) 또는 아젤익산(azelaic acid;AS) 또는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것이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투명한 폴리아미드 성형재가 50 중량% 이하의 트랜스, 트랜스-이성질체를 가지는 40-70 몰%의 비스-(4-아미노-사이클로헥실)-메탄 및 60-30 몰%의 비스-(4-아미노-3-메틸-사이클로헥실)-메탄을 갖는 100 몰%의 다이아민 혼합물 및 100 몰%의 도데칸다이오닉산으로 이루어진 것이다.
가장 바람직하게는, 투명한 폴리아미드 성형재가 50 중량% 이하의 트랜스, 트랜스-이성질체를 가지는 50-70 몰%의 비스-(4-아미노-사이클로헥실)-메탄 및 50-30 몰%의 비스-(4-아미노-3-메틸-사이클로헥실)-메탄을 갖는 100 몰%의 다이아민 혼합물 및 100 몰%의 도데칸다이오닉산으로 이루어진 것이다.
나아가, 가장 바람직한 폴리아미드 성형재는 4,4'-다이아미노사이클로헥실메탄(BASF사 제조, CAS 번호 1761-71-3)의 상업명을 갖는 다이사이칸 타입의 50 중량% 미만의 트랜스, 트랜스-이성질체를 갖는 50-70 몰%의 비스-(4-아미노-사이클로헥실)-메탄 및 3,3'-다이메틸-4,4'-다이아미노다이사이클로헥실메탄(BASF사의 제조, CAS 번호 6864-37-5)의 상업명을 갖는 라노민 C260 타입의 50-30 몰%의 비스-(4-아미노-3-메틸-사이클로헥실)-메탄을 갖는 100 몰%의 다이아민 혼합물 및 100 몰%의 도데칸다이오닉산으로 이루어진 것이다.
0.5%의 m-크레졸 용액에서 측정될때, 바람직한 상대점도 1.65-2.00, 바람직하게는 1.80-1.95로 얻기 위해 다이아민 또는 다이카르복실산이 0.01-1몰% 다소 과량으로 사용될 수 있다. 0.01-2.0중량%, 바람직하게는 0.05-0.5 중량%로 모노아민 또는 모노카르복실산에 의해 조절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적절한 변형제(modifier)는 벤조익산, 아세트산, 프로피오닉산, 스테아릴아민 또는 그들의 혼합물이다. 더욱 바람직한 변형제는 트리아세톤 다이아민 또는 이소프탈릭산 다이-트리아세톤 다이아민 유도체 등의 HALS 타입 또는 삼차 부틸페놀 안정제 그룹으로 이루어진 아민 또는 카르복실산 그룹을 갖는 변형제이다.
다중축합반응(polycondensation)을 가속화하고 동시에 공정 도중에 변색 감소를 유도하는 적절한 촉매로는 H3PO2, H3PO3, H3PO 4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인산, 그들의 염 또는 그들의 유기 유도체이다. 상기 촉매가 0.01-0.5 중량%, 바람직하게는 0.03-0.1 중량% 범위내에서 첨가된다.
탈가스화공정에 거품 생성을 방지하기 위한 적절한 소포제는 10%의 에멀젼에 대하 여, 0.01-1.0 중량%, 바람직하게는 0.01-0.10 중량%로 실리콘 또는 실리콘 유도체를 포함하는 수용성 에멀젼이다.
적절한 열 또는 UV 안정제는 다중축합(polycondensation)반응 전에 0.01 ∼ 0.5 중량%으로 첨가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고온에서 녹는 타입을 사용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Irganox 1098 또는 HALS 타입을 사용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폴리아미드 성형재의 제조는 공지된 압력 용기에서 수행된다. 먼저, 압력상이 260-310℃로 작동한 후, 압력 완화는 260∼310℃에서 수행되고, 탈가스 상태는 260∼310℃에서 실시된다. 이후, 상기 폴리아미드 성형재가 결과적으로 섬유상 형태로 배출되고, 5∼80℃의 물중탕기 내에서 냉각되어 펠렛화된다. 상기 펠렛(pellet)은 0.06% 이하의 물함량이 될 때까지 80℃에서 12 시간동안 건조된다.
펠렛을 회전시키면서 건조하는 동안, 윤활제, 염료, 안정제 또는 기타의 첨가제는 고온의 펠렛 상에 적용되거나 녹일 수 있다.
본 발명의 투명한 성형재의 가공은 안정제; 파라핀 오일 또는 스테아레이트 같은 윤활제; 염료; 충진제;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성형재의 굴절률 범위내의 에틸렌 글리시딜 메타크릴레이트 또는 말레익 무수물로 그래프트된 폴리에틸렌, 프로필렌으로 제조된 터폴리머와 같은 충격형상제(impact modifier); 또는 투명하고 분산력있는 나노입자 또는 유리구 또는 유리섬유와 같은 강화제; 또는 상기 첨가제의 혼합물 등의 첨가제에 의할 수 있고, 하기의 공지된 혼합 방법으로 행해질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250-350℃의 용융 온도에서 단축 압출기 또는 다축-압출기에 의한 압출법으로 수행되며, 결론적으로 H3PO3 또는 다른 인산계 화합물의 첨가에 의해 상기 폴리아미드 성형재의 노란 색조 증가는 현저히 감소시킬 수 있다.
안경 유리, 시계 케이스, 필터 컵, 램프 케이스, 보호용 덮개, 글레이징(glazing), 스포츠 및 레져용품, 또는 주변 전망 관측용 안경 등의 외부적 용도에 적용하기 위한 압출법에 따른 본 발명의 폴리아미드 성형재의 제조에 사용되는 바람직한 안정제(stabilizer)는 Tinuvin 770 및 Tinuvin 312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HALS 타입의 UV 안정제 및 Irgnox 1010, Irganox 1070, Irganox 1098, 단독 또는 혼합 형태 등의 삼차 부틸페놀 타입의 항산화제이다.
안경 유리에 적용하기 위한 압출법에 따른 본 발명의 폴리아미드 성형재의 제조에 사용되는 보다 바람직한 첨가제(additives)는 UV 흡수제이며, 상기 UV 흡수제가 400 nm 이하의 파장을 완전히 여과하고, 일례로써 Tinuvin 327 또는 326 또는 312 또는 기타의 염소화된 하이드록시-페닐-벤즈트리아젠 타입이고, 0.1∼1.0 중량%로 첨가되는 것이다. 또한, 폴리아미드에서 분산력있는 염료는 보다 바람직한 첨가제이다.
투명성 혼합물(transparent blends)은 250∼350℃의 용융 온도에서 단축 또는 다축-압출기에 의한 압출 방식에 의해 얻을 수 있고, 100 ∼30 중량%의 본 발명의 투명한 성형재 및 0∼70 중량%의 폴리아미드 12 또는 폴리아미드 11 또는 그들의 공중폴리아미드(copolyamide)로부터 얻을 수 있으며, 상기 투명한 혼합물은 170∼175℃의 용융점을 갖는 제2의 미세결정상을 포함할 수 있으며, 화학적 저항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투명한 폴리아미드 성형재로부터 높은 투명도를 갖는 성형제품을 제조하기 위한 바람직한 방법은 230∼320℃의 용융점에서 사출성형 방법, 사출-압출 성형방법이며, 상기 성형제품이 40∼120℃의 온도로 적합화된다.
본 발명의 투명한 폴리아미드 성형재로부터 높은 투명도를 갖는 성형제품을 제조하기 위한 보다 바람직한 방법은 230∼320℃의 용융점에서 사출성형 방법, 사출-압출 성형방법이며, 이때, 상기 40∼130℃를 갖는 성형제품은 기공을 채운 후 고온의 성형제품 상에 양각으로 프린팅된다.
본 발명의 투명한 폴리아미드 성형재로부터 안경용 렌즈와 같이 무결점의 응력에 약한 표면을 갖는 성형제품을 제조하기 위한 보다 바람직한 방법은 확장 사출-압출 성형방법이고, 이 성형에서 1-5 mm 벽두께를 갖는 기공(cavity)이 채워진 후 성형기공(mould cavity)이 영구충진(permanent filling)에서 높은 벽두께로 확장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투명한 폴리아미드 성형재로부터 단일 또는 복수 층의 구조인 종이, 파이프 및 반가공제품을 제조하기 위한 바람직한 방법은 250∼350℃의 용융점에서 단축 또는 다축 압출기에 의한 압출 방식이며, 이때 다른 층의 물질간의 상용성에 따라 대응하는 공중합체 또는 혼합물 형태의 결합제를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폴리아미드 성형재로 이루어진 성형제품은 초음파 용접(welding), 고온가열된 와이어 용접, 마찰 용접, 스핀 용접, 또는 800∼2000 nm 범위의 흡수를 갖는 레이져를 방출하는 염료로 가공하는 레이져 용접 등의 통상의 방법에 따른 다른 성형제품과 결합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투명한 폴리아미드 성형재로부터 단일 또는 복수 층 구조에 속이 빈 본체 및 병을 제조하기 위한 바람직한 방법은 사출 블로방법(injetion blow method), 사출 스트래치-블로방법(injection stetch-blow method) 및 압출 블로방법(extusion blow method)이다.
본 발명의 투명한 폴리아미드 성형재로 이루어진 성형제품은 바람직하게는 직접적으로 오일 접촉하는 조리 분야에서 관측용 유리, 수질처리용 필터 컵, 우유병, 탄산염제의 병, 만찬 서비스, 우유병, 카보네이트제의 병, 만찬 서비스, 기상 또는 액상의 유량계, 시계 케이스, 손목시계 케이스, 램프 케이스 및 차 램프용 반사기에 응용된다.
본 발명의 투명한 폴리아미드 성형재로 이루어진 성형제품은 더욱 바람직하게는 썬글래스 또는 보안경용 안경, 시력보정 안경용의 렌즈, 기술장비의 렌즈, 영사기, 빛 또는 시그날 램프 및 프리즘용의 프렌스넬(Fresnel) 렌즈에 응용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폴리아미드 성형재로부터 얻을 수 있는 안경유리 또는 접안렌즈(eyeglasses)는 알코올, 에스터 함유, 케톤 함유 또는 수계 안료에 의한 담금법으로 틴트될 수 있고, 아세톤에 담금으로써 보정되고, 열적으로 또는 UV에 대해 강화되고 UV 보호 또는 염색 또는 정전기 방지 가공 또는 김서림방지 가공 또는 다른 기능의 첨가제를 함유할 수 있는 통상의 경질 랙커에 의해 코팅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폴리아미드 성형재로부터 얻을 수 있는 안경 유리는 금속, 루멘화된 금속, 금속코팅되거나 다른 통상의 형태로 가공된 금속을 이용하여 증기증착방법으로 코팅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폴리아미드 성형재로부터 안경 유리를 얻을 수 있는 가장 바람직한 방법은 편광종이(polarizing sheet) 또는 그의 부합재료, 접착층 및 양면에 본 발명의 폴리아미드 성형재 층으로 중첩성형(overmoulding)함으로써 제조되는 것이다.
선택적으로, 본 발명의 폴리아미드 성형재로부터 안경 유리를 얻을 수 있는 가장 바람직한 방법은 본 발명의 폴리아미드 성형재에 굴광성(phototropic) 재료가 올려진 보호지(protecting sheet)를 중첩성형함으로써 제조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폴리아미드 성형재로 이루어진 안경 유리는 안경의 금속 테에 지나치게 높은 응력적용으로 인해 안경에서 발생할 수 있는 안경테의 균열 또는 파괴 응력 균열의 위험없이, 통상적으로 거래되는 모든 안경테에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폴리아미드 성형재로 이루어진 안경테 및 안경 유리는 유리, 테, 및 바우(bow)로 이루어진 통합된 완전한 안경 형태로 직접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폴리아미드 성형재로 이루어진 안경 테 및 안경 유리를 현대적 안경 디자인을 위해 추가되는 바람직한 방법은 나사형의 연결을 갖는 것이고, 상기 나사형의 연결이 안경유리에 구멍을 직접 뚫는 것이다.
본 발명의 폴리아미드 성형재로 이루어진 안경 테 및 안경 유리를 현대적 안경 디자인을 위해 클램프 또는 분리할 수 있는 스냅 연결로 고정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고정요소가 안경 유리의 외곽에 직접 적용하여 고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기의 실시예들을 본 발명을 예증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는 것 은 아니다.
본 발명의 폴리아미드 성형재의 제조는 통상적으로 알려진 130L 부피의 파일럿 압력 오토클레이브에서 수행된다. 먼저, 290℃의 압력 상태에서 가동된 후, 280℃에서 압력 완화가 수행되고 280℃에서 탈가스 단계가 실시된다. 이후, 폴리아미드 성형재는 섬유상(strand) 형태로 배출되고, 물중탕기 내에서 냉각되고 펠렛화된다. 상기 펠렛(pellet)은 0.06% 이하의 물함량이 될때까지 80℃에서 12 시간동안 건조된다.
본 발명의 투명한 폴리아미드 성형재로부터 고투명성 성형제품의 생산은 280℃의 용융 온도에서 Arburg 사출 성형기로 실시하고 이때, 성형제품에는 60℃가 적용된다.
하기에 본 발명의 실시예가 주어지나, 실시예에만 제한되지는 않는다.
비교실시예 1(DE 196 42 885 C2)
17.9 Kg의 MACM(라로민(Laromin) C 260=3,3'-다이메틸-4,4'-다이아미노다이사이클로헥실메탄(CAS 번호 6864-37-5,BASF사), 17.04 Kg의 도데칸다이오닉산(DDS, 듀퐁사), 48.65 g의 벤조익산, 8.75 g의 차아인산(hypophosphorous acid), 40 g의 Irganox 1098(Ciba) 및 40 Kg의 연수를 130 L 압력 오토클레이브에 채웠다. 이후, 상기 오토클레이브를 닫고, 교반하면서 290℃로 온도를 올렸다. 2시간 동안의 가압상태 이후, 1.5 시간 내에 외부 압력으로 낮추어지고 280℃에서 1 시간동안 탈가스화하였다. 이후, 물질은 섬유상 상태로 배출되고 물중탕기 내에서 냉각되고 80℃에서 12 시간동안 펠렛화 및 건조되었다. 표 1의 특성을 갖는 투명성 재료가 제 조되었다.
실시예 2-7
MACM(라로민(Laromin) C 260=3,3'-다이메틸-4,4'-다이아미노다이사이클로헥실메탄(CAS 번호 6864-37-5, BASF사), 및 PACM(다이싸이칸=4,4''-다이아미노사이클로헥실메탄(CAS 번호 1761-71-3, BASF사)의 다이아민 조성은 표 1에 따르고, 나머지 조성은 비교 실시예 1에 따른다. 작동은 비교 실시예 1과 유사한 방법으로 수행되었다. 표 1의 특성을 갖는 재료가 제조되었다.
비교실시예 8(DE 43 10 970)
PACM(다이싸이칸=4,4''-다이아미노사이클로헥실메탄(CAS 번호 1761-71-3, BASF사) 조성은 표 1/CE8에 따르고, 나머지 조성은 비교 실시예 1에 따른다. 작동은 비교 실시예 1과 유사한 방법으로 수행되었다. 표 1의 특성을 갖는 재료가 제조되었다.
Figure 112003020148002-pat00001
PACM(다이싸이칸=4,4''-다이아미노사이클로헥실메탄(CAS 번호 1761-71-3, BASF사) 트랜스, 트랜스의 양의 분석방법은 FID 검출기를 이용한 GC 방법에 의해 결정되었다. 그러므로, 다이싸이칸 100 mg은 다이클로로메탄 10 ml에 녹였다.
Figure 112003020148002-pat00002

상대 점도(rV) 측정은 23℃에서 0.5%의 m-크레졸 용액내에서 실시되었다.
유리전이온도(Tg), 용융점 및 용융 엔탈피는 20℃/분의 가열속도로 통상의 DSC로 측정되었다.
광 투과도(T540 nm) 측정은 3mm 두께를 갖는 퍼킨 엘머사의 UV 분광광도계로 수행되었다. 경험상 대규모 공장에서 생산되는 성형재와 비교시, 소규모의 파일럿으로 생산되는 성형재는 낮은 순도 때문에, 성형재의 절대 투명도의 수치가 낮아진다. 그러나, 상대적인 비교는 완벽하게 가능하다.
옐로우 인텍스(YI)는 3mm 두께의 플레이트 상에서 ASTMD 1925에 따라 측정되었다.
함습량은 ISO 155/12에 따라 측정되었고, 이때 습기는 승온에 의해 제거되고 칼 피셔(Karl Fischer) 시약에 공급된다.
노취-충격 강도(NIS)는 ISO 179/eA에 따라 결정된다.
파괴신도, 파괴 강도 및 탄성모듈 등의 나머지 물리적인 특성은 ISO 527에 따라 결정된다.
응력균열저항(SCR)을 측정하기 위하여, ISO 장력시험 바를 정해진 에지 섬유신도( 굽힘 응력)을 갖는 모형(template)에 고정시키고, 시험 용액에 60 초동안 담궜다. 주어진 MPa 값은 적용 굽힘응력을 나타내고, 표준시험에서 실질적으로 균열이 전혀 관찰되지 않았다.
Wohlr 후 피로도 시험에서 파괴 사이클 수의 측정은 DIN53442 및 ISO178에 따른 Dyna Mess사의 CIMTronic 2000 장비를 이용하여 "응력수 곡선" 형태로 수행되었다. 초기 굽힘응력 약 50 MPa에서의 파괴 사이클수가 인지된다.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 속하는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명세서에서 기술한 바람직한 구현을 위해서 다양한 보완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그러한 보완 및 변형은 본 발명의 이념 및 관점내에서 가능할 것이다. 그러므로,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보호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보완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Claims (39)

  1. 0 내지 12 J/g의 용융 엔탈피를 가지고, 하기 성분 A 및 성분 B간의 다중축합반응 및 고분자화반응에 의한 폴리아미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명성 폴리아미드 성형재:
    A. 50 중량% 이하의 트랜스, 트랜스-이성질체를 갖는 10-75 몰%의 PACM[비스-(4-아미노-사이클로헥실)-메탄] 및 90-25 몰%의 MACM[비스-(4-아미노-3-메틸-사이클로헥실)-메탄]을 가지는 100 몰%의 다이아민 혼합물(제1의 다이아민 성분);이고, 상기에 C6-C12를 가지는 환식지방족, C6-C12를 가지는 알킬치환된 환식지방족 또는 C6-C12를 가지는 측쇄지방족의 다이아민 또는 이들의 혼합물에서 선택되는 제2의 다이아민 성분 0-10 몰%가 대체가능하며,
    B. 100 몰%의 C8-C14를 가지는 장쇄의 지방족 다이카르복실산 또는 상기 다이카르복실산간의 혼합물(제1의 다이카르복실산 성분);이고, 상기에 C8-C16를 가지는 방향족 또는 환식지방족의 제2의 다이카르복실산 성분 0-10 몰%가 대체가능하고,
    상기에서, 제2의 지방족 다이아민 성분과 제2의 다이카르복실산 성분이 C6-C12를 가지는 ω-아미노카르복실산 0-20 몰%로 첨가될 수 있다.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아미드가
    A. 트랜스, 트랜스-이성질체 50 중량% 이하를 포함하는 30-70 몰%의 PACM[비스-(4-아미노-사이클로헥실)-메탄] 및 70-30 몰%의 MACM[비스-(4-아미노-3-메틸-사이클로헥실)-메탄]을 갖는 100 몰%의 다이아민 혼합물; 및
    B. 100 몰%의 도데칸다이오닉 산 또는 세베익산 또는 아젤라간산 또는 이들의 혼합물간의 다중축합반응 및 고분자화반응에 의한 폴리아미드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투명성 폴리아미드 성형재.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아미드가
    A. 트랜스, 트랜스-이성질체 50 중량% 이하를 포함하는 40-70 몰%의 PACM[비스-(4-아미노-사이클로헥실)-메탄] 및 60-30 몰%의 MACM[비스-(4-아미노-3-메틸-사이클로헥실)-메탄]을 갖는 100 몰%의 다이아민 혼합물; 및
    B. 100 몰%의 도데칸다이오닉 산 성분간의 다중축합반응 및 고분자화반응에 의한 폴리아미드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투명성 폴리아미드 성형재.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아미드가
    A. 트랜스, 트랜스-이성질체 50 중량% 이하를 포함하는 50-70 몰%의 PACM[비스-(4-아미노-사이클로헥실)-메탄] 및 50-30 몰%의 MACM[비스-(4-아미노-3-메틸-사이클로헥실)-메탄]을 갖는 100 몰%의 다이아민 혼합물; 및
    B. 100 몰%의 도데칸다이오닉 산 성분간의 다중축합반응 및 고분자화반응에 의한 폴리아미드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투명성 폴리아미드 성형재.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아미드가
    A. 상업명 4,4''-다이아미노사이클로헥실메탄의 다이싸이칸(dicycane) 타입의 트랜스, 트랜스-이성질체 50 중량% 이하를 포함하는 50-70 몰%의 PACM[비스-(4-아미노-사이클로헥실)-메탄] 및 상업명 3,3'-다이메틸-4,4'-다이아미노다이사이클로헥실메탄의 라로민(Laromin) C260 타입의 50-30 몰%의 MACM[비스-(4-아미노-3-메틸-사이클로헥실)-메탄]을 갖는 100 몰%의 다이아민 혼합물; 및
    B. 100 몰%의 도데칸다이오닉 산 성분간의 다중축합반응 및 고분자화반응에 의한 폴리아미드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투명성 폴리아미드 성형재.
  6. 제 1 항에 있어서, 다이아민 또는 다이카르복실산 중 어느 하나가 0.01-1몰%의 과량으로 사용되거나, 적어도 하나의 모노아민 또는 모노카르복실산 변형제 0.01-2.0중량%가 사용되는 다중축합반응에서, 0.5%의 m-크레졸 용액에서 측정될때, 상대점도가 1.65-2.00로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투명성 폴리아미드 성형재.
  7. 제 6 항에 있어서, 모노아민 또는 모노카르복실산 변형제는 벤조익산, 아세트산, 프로피온산, 스테아릴아민 또는 그들의 혼합물이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투명성 폴리아미드 성형재.
  8. 제 1 항에 있어서, H3PO2, H3PO3, H3PO4 및 그 염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인산 0.01-0.5 중량%가 공정 중 탈색을 감소시키는 동시에 다중중합반응을 가속화하기 위해 촉매로서 사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투명성 폴리아미드 성형재.
  9. 제 1 항에 있어서, 탈가스화공정에 거품 생성을 방지하기 위한 소포제가 부가될 수 있고, 이의 양은 10 중량%의 에멀젼 대비, 0.01-1.0 중량%의 실리콘 함유 수용성 에멀젼이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투명성 폴리아미드 성형재.
  10. 제 1 항에 있어서, 다중축합(polycondensation)반응 전에 열 또는 UV 안정제 0.01∼0.5 중량%가 미리 첨가되되, 상기 안정제가 고온에서 녹는 타입이 사용되고, 이가녹스(Irganox) 1098의 삼차 부틸페놀 타입 또는 HALS 타입이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투명성 폴리아미드 성형재.
  11. 폴리아미드가 압력 상태 260∼310℃, 압력 완화 상태 260∼310℃, 탈가스 상태 260∼310℃의 압력용기 내에서 다중축합되어 결과적으로, 폴리아미드 성형재가 섬유상 형태로 배출되고, 5∼80℃의 물중탕기 내에서 냉각되어 펠렛화되며, 상기 펠렛이 0.06% 이하의 물함량이 될 때까지 80℃에서 12 시간동안 건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 1 항 내지 제 10 항의 어느 한 항의 폴리아미드 성형재의 제조방법.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건조되는 동안 펠렛을 회전시키면서 첨가제를 고온의 펠렛 상에 적용하거나 녹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폴리아미드 성형재의 제조방법.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첨가제가 혼합 방법에 의해 폴리아미드 성형재에 도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폴리아미드 성형재의 제조방법.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첨가제가 티누빈(Tinuvin) 770 및 티누빈 312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HALS 타입의 UV 안정제 또는 이가녹스(Irgnox) 1010, 이가녹스 1070, 이가녹스 1098 단독 또는 혼합 형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삼차 부틸페놀 타입의 항산화제이며, 상기 첨가제가 압출방식에 의해 폴리아미드 성형재에 도입되어, 안경 유리, 시계 케이스, 필터 컵, 램프 케이스 또는 주변 전망 관측용 안경의 외적 용도(external field)에 적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폴리아미드 성형재의 제조방법.
  15. 제 14 항에 있어서, 안경 유리에 적용하기 위한 압출법에 따른 첨가제는 400 nm 이하의 파장을 완전히 여과하는 벤즈트리아젠 구조를 갖는 UV 흡수제 0.1∼1.0 중량%가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폴리아미드 성형재의 제조방법.
  16. 제 1 항의 투명성 폴리아미드 성형재 100∼30 중량% 및 폴리아미드 12 또는 폴리아미드 11 또는 그들의 공중폴리아미드(copolyamide) 0∼70 중량%를 250∼350℃의 용융온도에서 단축 또는 다축-압출기에 의한 압출 방식에 의해 얻어진 투명성 혼합물이고, 상기 투명성 혼합물이 170∼175℃의 용융점을 갖는 제2의 미세결정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아미드 성형재.
  17. 제 1 항 내지 제 10 항 또는 제 16 항 중 어느 한 항의 폴리아미드 성형재가 230∼320℃의 용융점에서 사출성형 방법, 사출-압출 성형방법에 적용되며, 성형기가 40∼130℃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명도가 향상된 성형제품의 제조방법.
  18. 제 1 항 내지 제 10 항 또는 제 16 항 중 어느 한 항의 폴리아미드 성형재가 230∼320℃의 용융점에서 사출성형 방법, 사출-압출 성형방법에 적용되고, 40∼130℃를 가지는 성형기가 기공 충진 이후, 가열된 성형제품 상에 양각으로 프린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명도가 향상된 성형제품의 제조방법.
  19. 안경용 렌즈가 확장 사출-압출 성형방법에 의해 제조되는 것으로, 1-5 mm 벽두께를 갖는 기공(cavity)이 채워진 후 상기 성형기공(mould cavity)이 영구충진(permanent filling)에서 상기 벽두께보다 높은 두께로 확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 1 항 내지 제 10항 또는 제 16항 중 어느 한 항의 폴리아미드 성형재로부터 얻을 수 있는 무결점의 응력에 약한 표면을 갖는 성형제품의 제조방법.
  20. 250∼350℃의 용융점에서 단축 또는 다축 압출기에 의한 압출 방법이 사용되고, 이때 다른 층상 물질간의 상용성에 따라 사용가능한 층상 물질에 대응되는 고분자의 공중합체 또는 혼합물 형태의 결합제가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 1항 내지 제 10항 또는 제 16항 중 어느 한 항의 투명성 폴리아미드 성형재로부터 단일 또는 복수 층의 구조인 반가공제품의 제조방법.
  21. 사출 블로방법(injetion blow method), 사출 스트래치-블로방법(injection stetch-blow method) 및 압출 블로방법(extusion blow method)에서 선택되는 방법이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 1항 내지 제 10항 또는 제 16항 중 어느 한 항의 투명성 폴리아미드 성형재로부터 단일 또는 복수 층 구조인 속이 빈 본체의 제조방법.
  22. 직접적으로 오일 접촉하는 조리 분야에서 관측용 유리, 수질처리 및 매개체 여과용 필터 컵, 우유병, 카보네이트제의 병, 만찬 서비스, 기상 또는 액상의 유량계, 시계 케이스, 손목시계 케이스, 램프 케이스, 보호용 덮개, 글레이징, 스포츠 및 레져용품 및 차량 램프 및 센서용 반사기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에 적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 1항 내지 제 10항 또는 제 16항 중 어느 한 항의 투명성 폴리아미드 성형재로부터 얻을 수 있는 성형제품.
  23. 썬글래스 또는 보안경용 안경 유리, 시력보정 안경용의 렌즈, 기술장비의 렌즈, 영사기, 빛 또는 시그널 램프, 광전자 공학 커플러, LED 프리즘용 프렌스넬(Fresnel) 렌즈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에 적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 1항 내지 제 10항 또는 제 16항 중 어느 한 항의 투명성 폴리아미드 성형재로부터 얻을 수 있는 성형제품.
  24. 알코올, 에스터 함유, 케톤 함유 또는 수계 안료액 함침에 의해 틴트되고, 아세톤 함침에 의해 보정되고, 열적 또는 UV에 대해 강화되고, UV 보호 또는 염색 또는 정전기 방지 가공 또는 김서림방지 가공 또는 다른 기능의 첨가제가 함유되는 경질 랙커에 의해 코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 1항 내지 제 10항 또는 제 16항 중 어느 한 항의 폴리아미드 성형재로부터 얻을 수 있는 안경 유리의 제조방법.
  25. 금속, 루멘화, 금속코팅 또는 마감처리된 형태로 증기증착방법에 의해 코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 1항 내지 제 10항 또는 제 16항 중 어느 한 항의 투명성 폴리아미드 성형재로부터 얻을 수 있는 안경 유리의 제조방법.
  26. 편광종이 또는 그의 부합재료, 접착층 및 양면에 본 발명의 폴리아미드 성형재 층으로 중첩성형하여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 1항 내지 제 10항 또는 제 16항 중 어느 한 항의 폴리아미드 성형재로부터 얻을 수 있는 안경 유리의 제조방법.
  27. 유리가 굴광성 재료가 올려진 보호지를 중첩성형하여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 1항 내지 제 10항 또는 제 16항 중 어느 한 항의 폴리아미드 성형재로부터 얻을 수 있는 안경 유리의 제조방법.
  28. 금속테에 적용되는 응력으로 인해 안경 유리에서 발생할 수 있는 균열 또는 파괴를 안경테의 가소화에 의해 안경 유리의 응력균열의 위험없이, 모든 안경테에 적용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 1항 내지 제 10항 또는 제 16항 중 어느 한 항의 폴리아미드 성형재로부터 얻을 수 있는 안경 유리.
  29. 초음파 용접(welding), 고온가열된 와이어 용접, 마찰 용접, 스핀 용접 또는 800∼2000 nm 범위의 흡수를 갖는 레이져를 방출하는 염료로 가공하는 레이져 용접법에 따라, 성형제품 자체 또는 호환가능한 다른 성형제품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 1항 내지 제 10항 또는 제 16항 중 어느 한 항의 폴리아미드 성형재로부터 성형제품의 제조방법.
  30. 유리, 테, 및 바우(bow)로 이루어진 통합된 완전한 안경 형태로 직접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 1항 내지 제 10항 또는 제 16항 중 어느 한 항의 폴리아미드 성형재로부터 얻을 수 있는 안경테.
  31. 나사형 연결로 이루어진 안경 디자인 결합방식이 안경 유리에 직접 구멍을 뚫어 적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 1항 내지 제 10항 또는 제 16항 중 어느 한 항의 폴리아미드 성형재로부터 얻을 수 있는 안경의 제조방법.
  32. 클램프 또는 분리할 수 있는 스냅 연결부를 가지며, 적어도 하나의 고정요소가 안경 유리의 외곽에 직접 적용되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 1항 내지 제 10항 또는 제 16항 중 어느 한 항의 폴리아미드 성형재로부터 얻을 수 있는 안경테 및 안경 유리간의 안경디자인의 고정방법.
  3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첨가제가 안정제, 윤활제, 염료, 충진제, 충격형상제, 강화제 및 그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폴리아미드 성형재의 제조방법.
  3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첨가제가 250-350℃간 용융 온도범위에서 단축 압출기 또는 다축-압출기를 이용한 압출에 의해 폴리아미드 성형재에 도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폴리아미드 성형재의 제조방법.
  35.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아미드 성형재가 H3PO3 또는 다른 인산계 화합물 첨가로 인하여 상기 폴리아미드 성형재의 노란 색조가 감소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폴리아미드 성형재의 제조방법.
  36. 250∼350℃의 용융점에서 단축 또는 다축 압출기에 의한 압출 방법이 사용되고, 이때 다른 층상 물질간의 상용성에 따라 사용가능한 층상 물질에 대응되는 고분자의 공중합체 또는 혼합물 형태의 결합제가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 1항 내지 제 10항 또는 제 16항 중 어느 한 항의 투명성 폴리아미드 성형재로부터 단일 또는 복수 층의 구조인 시트의 제조방법.
  37. 250∼350℃의 용융점에서 단축 또는 다축 압출기에 의한 압출 방법이 사용되고, 이때 다른 층상 물질간의 상용성에 따라 사용가능한 층상 물질에 대응되는 고분자의 공중합체 또는 혼합물 형태의 결합제가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 1항 내지 제 10항 또는 제 16항 중 어느 한 항의 투명성 폴리아미드 성형재로부터 단일 또는 복수 층의 구조인 파이프의 제조방법.
  38. 사출 블로방법(injetion blow method), 사출 스트래치-블로방법(injection stetch-blow method) 및 압출 블로방법(extusion blow method)에서 선택되는 방법이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 1항 내지 제 10항 또는 제 16항 중 어느 한 항의 투명성 폴리아미드 성형재로부터 단일 또는 복수 층 구조인 병의 제조방법.
  39. 유리, 테, 및 바우(bow)로 이루어진 통합된 완전한 안경 형태로 직접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 1항 내지 제 10항 또는 제 16항 중 어느 한 항의 폴리아미드 성형재로부터 얻을 수 있는 안경 유리.
KR1020030036174A 2002-06-05 2003-06-05 향상된 투명도, 화학적 저항성 및 높은 영구 피로강도를갖는 투명성 폴리아미드 성형재 Expired - Lifetime KR10098076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2002124947 DE10224947B4 (de) 2002-06-05 2002-06-05 Transparente Polyamid-Formmassen mit verbesserter Transparenz, Chemikalienbeständigkeit und dynamischer Belastbarkeit
DE10224947.4 2002-06-0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94118A KR20030094118A (ko) 2003-12-11
KR100980763B1 true KR100980763B1 (ko) 2010-09-10

Family

ID=294326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36174A Expired - Lifetime KR100980763B1 (ko) 2002-06-05 2003-06-05 향상된 투명도, 화학적 저항성 및 높은 영구 피로강도를갖는 투명성 폴리아미드 성형재

Country Status (14)

Country Link
US (1) US6943231B2 (ko)
EP (1) EP1369447B1 (ko)
JP (1) JP4416073B2 (ko)
KR (1) KR100980763B1 (ko)
CN (1) CN1312192C (ko)
AR (1) AR039962A1 (ko)
AT (1) ATE312131T1 (ko)
AU (1) AU2003204425C1 (ko)
BR (1) BR0302095B1 (ko)
CA (1) CA2430887C (ko)
DE (2) DE10224947B4 (ko)
MX (1) MXPA03005052A (ko)
SG (1) SG107143A1 (ko)
TW (1) TWI314566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122188B4 (de) * 2001-05-08 2007-04-12 Ems-Chemie Ag Polyamidformmassen zur Herstellung optischer Linsen
DE10324324A1 (de) * 2003-05-27 2004-12-16 Bayer Ag Polyamid-Formmassen
EP1570983B1 (de) * 2004-02-03 2007-10-17 EMS-Chemie AG Werkstoffverbunde aus einem Formteil aus transparenten oder transluzenten, einfärbbaren Kunststoffformmassen
WO2005083101A1 (ja) * 2004-03-01 2005-09-09 Suntory Limited 長鎖高度不飽和脂肪酸を構成要素として含むリン脂質の製造方法、およびその利用
EP1595907A1 (en) * 2004-05-14 2005-11-16 Arkema Transparent amorphous polyamides based on diamines and on tetradecanedioic acid
CA2517940A1 (en) 2004-09-24 2006-03-24 Ems-Chemie Ag Injection molding method for manufacturing plastic parts
DE102005047500B4 (de) 2005-10-04 2013-12-05 Ems-Chemie Ag Kunststoffbauteil mit Sichtteil und Lichtquelle
DE102006045269A1 (de) * 2005-11-09 2007-05-31 Ems-Chemie Ag Metallisch beschichtete Lichtreflektierbauteile auf der Basis von thermoplastischen Formmassen
EP1966280B1 (de) * 2005-12-23 2018-10-31 Ems-Chemie Ag Vernetzte transparente polyamidformteile
ATE406413T1 (de) * 2006-01-27 2008-09-15 Ems Chemie Ag Photochrome formmassen und daraus hergestellte gegenstände
EP1826229A1 (en) 2006-02-27 2007-08-29 Arkema France Amorphous copolyamides comprising p-bis(aminocyclohexyl)methane and terephtalic acid
US9403942B2 (en) * 2006-04-07 2016-08-02 Friedrich Severin Bühler Transparent, amorphous polyamide moulding compounds and use thereof
EP1845123B1 (de) * 2006-04-07 2010-03-17 Ems-Chemie Ag Transparente, amorphe Polyamidformmassen und deren Verwendung
ATE454429T1 (de) * 2006-04-21 2010-01-15 Ems Chemie Ag Transparente polyamid-formmassen
EP1882719B1 (de) * 2006-07-11 2017-04-19 Ems-Chemie Ag Polyamidformmasse und deren Verwendung
DE102006041138A1 (de) * 2006-09-01 2008-03-06 Evonik Degussa Gmbh Verbund aus einer Folie und einem Substrat auf Basis eines amorphen Polyamids
US8268956B2 (en) 2006-12-08 2012-09-18 Ems-Chemie Ag Transparent mold made of a polyamide molding material
DE102006057957B4 (de) * 2006-12-08 2017-03-23 Ems-Chemie Ag Transparenter Formkörper aus einer Polyamidformmasse sowie dessen Verwendung
DE502006003349D1 (de) * 2006-12-28 2009-05-14 Ems Chemie Ag Mit flachen Glasfasern verstärkte Polyamidformmassen sowie daraus hergestellte Spritzgussteile
EP2135911B1 (en) 2007-03-30 2014-05-28 FUJIFILM Corporation Ultraviolet ray absorber composition
EP2022820B1 (de) * 2007-07-25 2016-08-24 Ems-Patent Ag Photochrome formmassen und daraus hergestellte gegenstände
EP2022810B1 (de) 2007-07-25 2012-04-04 Ems-Patent Ag Transparente Polyamid-Elastomere
CN101821273A (zh) 2007-08-16 2010-09-01 富士胶片株式会社 杂环化合物、紫外线吸收剂、以及含有该紫外线吸收剂的组合物
EP2055743B2 (de) * 2007-10-30 2019-03-20 Ems-Patent Ag Formmassen zur Herstellung von Formteilen im Trinkwasserbereich
DE502007006049D1 (de) * 2007-10-30 2011-02-03 Ems Patent Ag Polyamid-Formmassen, insbesondere zur Herstellung von Formteilen im Trinkwasserbereich
EP2060607B2 (de) 2007-11-16 2019-11-27 Ems-Patent Ag Gefüllte Polyamidformmassen
DE102007062063A1 (de) * 2007-12-21 2009-06-25 Ems-Patent Ag Transparente Polyamidformmasse
EP2231584B1 (de) * 2008-01-18 2013-09-04 Basf Se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cycloaliphatischen aminen
JP5369655B2 (ja) * 2008-02-19 2013-12-18 東レ株式会社 ポリアミド微粒子、プリプレグ及び炭素繊維強化複合材料
JP5250289B2 (ja) 2008-03-31 2013-07-31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紫外線吸収剤組成物
JP5244437B2 (ja) 2008-03-31 2013-07-24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紫外線吸収剤組成物
EP2113535A1 (de) * 2008-04-30 2009-11-04 Ems-Patent Ag Polyamidformmassen, enthaltend Copolyamide, zur Herstellung von transparenten Formteilen mit geringem Verzug im Klimatest
JP2009270062A (ja) 2008-05-09 2009-11-19 Fujifilm Corp 紫外線吸収剤組成物
FR2932807B1 (fr) 2008-06-20 2011-12-30 Arkema France Polyamide, composition comprenant un tel polyamide et leurs utilisations.
FR2932808B1 (fr) * 2008-06-20 2010-08-13 Arkema France Copolyamide, composition comprenant un tel copolyamide et leurs utilisations.
DE102008002599A1 (de) 2008-06-24 2009-12-31 Evonik Degussa Gmbh Bauteil mit Deckschicht aus einer PA613-Formmasse
US9339696B2 (en) 2009-03-13 2016-05-17 Acushnet Company Three-cover-layer golf ball comprising intermediate layer including a plasticized polyester composition
US10166441B2 (en) 2009-03-13 2019-01-01 Acushnet Company Three-cover-layer golf ball having transparent or plasticized polyamide intermediate layer
US9669265B2 (en) 2009-03-13 2017-06-06 Acushnet Company Three-cover-layer golf ball having transparent or plasticized polyamide intermediate layer
ATE522564T1 (de) 2009-06-18 2011-09-15 Ems Patent Ag Photovoltaikmodul-monorückfolie, verfahren zu deren herstellung sowie deren verwendung bei der produktion photovoltaischer module
FR2952062B1 (fr) * 2009-10-16 2012-08-24 Arkema France Procede de preparation de poudre recyclable a base de polyamide
KR101863376B1 (ko) * 2009-10-27 2018-05-31 바스프 에스이 열 노화에 내성인 폴리아미드
PL2365033T3 (pl) 2010-03-12 2013-12-31 Ems Patent Ag Poliamidowa masa do formowania o modyfikowanej udarności oraz wytworzony z niej zbiornik
CA2793390A1 (en) * 2010-03-17 2011-09-22 Evonik Roehm Gmbh Chemical-resistant films of high optical quality
EP2412757B1 (de) 2010-07-30 2013-11-13 Ems-Patent Ag Polyamidformmasse zur Herstellung von Formkörpern mit einer Weichgriffoberfläche sowie entsprechende Formkörper
EP2460858B1 (de) 2010-12-02 2014-01-22 EMS-Patent AG Polyamidformmassen auf Basis von Mischungen aus transparenten Copolyamiden und aliphatischen Homopolyamiden zur Herstellung von transparenten Formteilen
EP2535365B1 (de) 2011-06-17 2013-09-25 Ems-Patent Ag Teilaromatische Formmassen und deren Verwendungen
US9975006B2 (en) 2012-02-29 2018-05-22 Acushnet Company Golf balls containing layers made from transparent polyamide and plasticizer compositions
US10406402B2 (en) 2012-02-29 2019-09-10 Acushnet Company Golf balls containing layers made from transparent polyamide and plasticizer compositions
US9649539B2 (en) 2012-04-20 2017-05-16 Acushnet Company Multi-layer core golf ball
US9415268B2 (en) 2014-11-04 2016-08-16 Acushnet Company Polyester-based thermoplastic elastomers containing plasticizers for making golf balls
US9339695B2 (en) 2012-04-20 2016-05-17 Acushnet Company Compositions containing transparent polyamides for use in making golf balls
US9592425B2 (en) 2012-04-20 2017-03-14 Acushnet Company Multi-layer core golf ball
US20140323243A1 (en) 2012-04-20 2014-10-30 Acushnet Company Polyamide compositions containing plasticizers for use in making golf balls
US9409057B2 (en) 2012-04-20 2016-08-09 Acushnet Company Blends of polyamide and acid anhydride-modified polyolefins for use in golf balls
EP2666803B1 (de) * 2012-05-23 2018-09-05 Ems-Patent Ag Kratzfeste, transparente und zähe Copolyamidformmassen, hieraus hergestellte Formkörper und deren Verwendung
EP2716716B1 (de) 2012-10-02 2018-04-18 Ems-Patent Ag Polyamid-Formmassen und deren Verwendung bei der Herstellung von Formkörpern
US9611387B2 (en) 2012-12-13 2017-04-04 E 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Transparent thermoplastic polyamide container
US9221975B2 (en) 2012-12-13 2015-12-29 E 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Transparent thermoplastic container
EP2746339B1 (de) 2012-12-18 2014-11-12 Ems-Patent Ag Polyamid-Formmasse und hieraus hergestellte Formkörper
CN103910877B (zh) * 2012-12-31 2016-05-25 中国科学院化学研究所 一种透明聚酰胺及其制备方法
EP2945994B1 (en) 2013-01-18 2018-07-11 Basf Se Acrylic dispersion-based coating compositions
KR20150120331A (ko) * 2013-02-19 2015-10-27 유니띠까 가부시키가이샤 반방향족 폴리아미드 수지 조성물
EP2778190B1 (de) 2013-03-15 2015-07-15 Ems-Patent Ag Polyamidformmasse sowie hieraus hergestellter Formkörper
DE102013220135A1 (de) 2013-10-04 2015-04-09 Evonik Industries Ag Polyamidmischung
JP6364183B2 (ja) * 2013-11-29 2018-07-25 ロッテ アドバンスト マテリアルズ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 ポリアミド樹脂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6223154B2 (ja) * 2013-11-29 2017-11-01 ロッテ アドバンスト マテリアルズ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 ポリアミド樹脂およびその製造方法
US9422398B2 (en) 2014-05-30 2016-08-23 Industrial Technology Research Institute Copolymer, and method for preparing a monomer used to form the copolymer
EP2952319B1 (de) 2014-06-06 2017-04-19 Ems-Patent Ag Verfahren zum spannungsarmen Spritzgießen von amorphen oder mikrokristallinen Polyamiden
JP6440446B2 (ja) * 2014-10-10 2018-12-19 エボニック デグサ ゲーエムベーハーEvonik Degussa GmbH ポリアミド混合物
CN105754090A (zh) * 2014-12-15 2016-07-13 宁波七诺新材料科技有限公司 用于3d打印的透明尼龙粉体材料及其制备方法
MX2017010727A (es) 2015-03-02 2017-11-28 Nestec Sa Barrera de luz visible para el empaque de lacteos.
CN105984186A (zh) * 2015-03-04 2016-10-05 赢创特种化学(上海)有限公司 纤维增强的聚酰胺复合材料结构件及其制备方法
KR101811919B1 (ko) * 2015-04-29 2017-12-26 롯데첨단소재(주) 폴리아미드 수지, 이를 포함하는 폴리아미드 수지 조성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성형품
KR101882503B1 (ko) * 2016-05-23 2018-07-2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내스크래치성이 향상된 폴리아미드 수지 조성물
EP3281983B1 (de) * 2016-08-12 2022-06-15 Evonik Operations GmbH Zähe polyamidformmasse
CN106832264A (zh) * 2017-02-20 2017-06-13 中仑塑业(福建)有限公司 一种共聚透明尼龙及其合成方法
WO2019106624A1 (en) * 2017-12-01 2019-06-06 Thema Optical S.R.L. Method for manufacturing curved frames "3d acetate" for spectacles
CN108359237A (zh) * 2017-12-27 2018-08-03 浙江普利特新材料有限公司 一种应用在汽车发动机周边的高刚性、高韧性复合材料及其制备方法
WO2019223007A1 (en) * 2018-05-25 2019-11-28 Evonik Degussa Gmbh Laser markable materials comprising a polyamide component and carbon black
WO2020092761A1 (en) 2018-10-31 2020-05-07 Shakespeare Company, Llc Clear polyamide resins, articles, and methods
US12037455B2 (en) 2018-12-27 2024-07-16 Mitsubishi Gas Chemical Company, Inc. Resin composition, molded product, method for producing molded product, and antioxidant
KR102338348B1 (ko) * 2019-05-20 2021-12-13 주식회사 엘지화학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커버 윈도우 및 디스플레이 장치
CN111129783B (zh) * 2020-01-10 2020-12-25 山西大学 一种功能可重构的超材料宽带极化转换器/吸收器
FR3116282B1 (fr) 2020-11-16 2023-07-28 Arkema France Compositions transparentes avec bonne resistance a l’alcool et tenue a la fatigue
CN112500560B (zh) * 2020-11-18 2023-05-16 浙江新力新材料股份有限公司 一种具有回弹性聚酰胺及其制备方法和应用
US20220203189A1 (en) * 2020-12-29 2022-06-30 East Coast Dyes, Inc. Clear lacrosse head
WO2023180534A1 (en) * 2022-03-25 2023-09-28 Solvay Specialty Polymers Usa, Llc Filament containing polyamide (pa) polymer and its use for additive manufacturing
WO2025071551A1 (en) 2023-09-26 2025-04-03 Solvay Specialty Polymer Usa, Llc Polyamide based on 4,4'-diaminodicyclohexylmethane and 4,4'-methylene-bis-cyclohexylamine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360891A (en) * 1993-04-03 1994-11-01 Huels Aktiengesellschaft Colorless and transparent, amorphously processable polyamide molding composition having good resistance to stress cracking and good impact strength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034541A1 (en) * 1970-07-11 1972-01-20 Bayer Thermoplastic transparent polyamides -frombis-(4-amino-cyclohexyl) - - methane and 3-ethyl-1,10-decane dicarboxylic acid
US4369305A (en) * 1980-11-20 1983-01-18 E. 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Polyamide molding resin from PACM having specific stereo isomer ratio
CH667462A5 (de) * 1985-01-07 1988-10-14 Inventa Ag Transparente copolyamide, verfahren zu deren herstellung und deren verwendung zur herstellung von formkoerpern.
CH673029A5 (ko) * 1986-11-11 1990-01-31 Inventa Ag
DE3934927A1 (de) * 1989-10-20 1991-04-25 Huels Chemische Werke Ag Gegenueber alkoholen und kochendem wasser bestaendige formmassen
DE3934926A1 (de) * 1989-10-20 1991-04-25 Huels Chemische Werke Ag Gegenueber alkoholen und kochendem wasser bestaendige formmassen
FR2706474B1 (fr) * 1993-06-11 1995-08-25 Atochem Elf Sa Compositions polyamides transparentes sans déformation à chaud.
US6277911B1 (en) * 1995-02-01 2001-08-21 Ems Inventa Ag Transparent, colorless, amorphous copolyamides and molded articles made therefrom
CH688624A5 (de) 1995-02-01 1997-12-15 Inventa Ag Amorphe Polyamid-Formmassen und -Formteile.
US6008288A (en) * 1995-02-01 1999-12-28 Ems-Inventa Ag Transparent, colorless, amorphous polyamides and molded articles
CA2162430A1 (en) * 1995-02-01 1996-08-02 Ems-Inventa Ag Transparent, colorless, amorphous polyamides and molded articles
US5886087A (en) * 1995-02-01 1999-03-23 Ems-Inventa Ag Transparent, colorless, amorphous polyamides and molded articles
US5773558A (en) * 1995-02-01 1998-06-30 Ems-Inventa Ag Transparent, colorless, amorphous polyamides and molded articles
DE19642885C2 (de) * 1996-10-17 2001-08-02 Inventa Ag Verwendung von Polyamid-Formmassen zur Herstellung von optischen oder elektrooptischen Formteilen
DE10009756B4 (de) * 2000-03-01 2004-03-25 Ems-Chemie Ag Farblose, hochtransparente Polyamid-Blends mit verbesserter Spannungsrissbeständigkeit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360891A (en) * 1993-04-03 1994-11-01 Huels Aktiengesellschaft Colorless and transparent, amorphously processable polyamide molding composition having good resistance to stress cracking and good impact strength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HK1056738A1 (en) 2004-02-27
TWI314566B (en) 2009-09-11
MXPA03005052A (es) 2005-09-01
JP2004083858A (ja) 2004-03-18
BR0302095B1 (pt) 2012-08-07
JP4416073B2 (ja) 2010-02-17
EP1369447B1 (de) 2005-12-07
CN1467236A (zh) 2004-01-14
AR039962A1 (es) 2005-03-09
DE10224947B4 (de) 2006-07-06
BR0302095A (pt) 2004-09-08
AU2003204425A1 (en) 2004-01-08
TW200407356A (en) 2004-05-16
DE50301832D1 (de) 2006-01-12
ATE312131T1 (de) 2005-12-15
CN1312192C (zh) 2007-04-25
AU2003204425C1 (en) 2009-02-26
CA2430887A1 (en) 2003-12-05
SG107143A1 (en) 2004-11-29
DE10224947A1 (de) 2003-12-24
US6943231B2 (en) 2005-09-13
KR20030094118A (ko) 2003-12-11
AU2003204425B2 (en) 2008-09-25
US20030235666A1 (en) 2003-12-25
EP1369447A1 (de) 2003-12-10
CA2430887C (en) 2010-12-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80763B1 (ko) 향상된 투명도, 화학적 저항성 및 높은 영구 피로강도를갖는 투명성 폴리아미드 성형재
KR101618658B1 (ko) 높은 노치 충격강도, 낮은 흡수도, 및 우수한 약품 저항성을 가진 고도로 유연한 투명 성형 부품을 생산하기 위한 반결정성 투명 코폴리아미드를 함유한 폴리아미드 성형물
KR102403465B1 (ko) 높은 파단 인장 변형률을 가진 투명한 폴리아미드 성형 조성물
KR101840237B1 (ko) 투명 몰딩 제조용의 투명 코폴리아마이드 및 지방족 호모폴리아마이드로 된 혼합물에 기초한 폴리아마이드 몰딩 조성물
CA2446508C (en) Polyamide molding compounds for producing optical lenses
JP5268339B2 (ja) ポリアミド成形材料から成る透明成形物
KR101660342B1 (ko) 기후 시험에서 왜곡이 적은 투명한 몰딩 부품을 제조하기 위한 코폴리아미드를 함유하는 폴리아미드 몰딩 물질
US20070128442A1 (en) Materials composites of a moulded article of transparent or translucent dyeable plastics moulding compounds
CN103333334A (zh) 抗刮伤、透明且坚韧的共聚多酰胺模塑复合物、由其制造的模塑制品及其用途
CN114605632A (zh) 耐蒸汽透明聚酰胺
HK1056738B (en) Transparent polyamide moulding compositions having improved transparency, resistance to chemicals and dynamic stability
HK1059628B (en) Polyamide moulding compounds for producing optical lens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30605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080410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030605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9113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100601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091130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PJ0201 Trial against decision of rejection

Patent event date: 20100701

Comment text: Request for Trial against Decision on Refusal

Patent event code: PJ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00601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J02011S01I

Appeal kind category: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Decision date: 20100805

Appeal identifier: 2010101005116

Request date: 20100701

PB0901 Examination by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date: 20100701

Patent event code: PB09011R02I

Comment text: Request for Trial against Decision on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00701

Patent event code: PB09011R01I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date: 20100201

Patent event code: PB09011R02I

B701 Decision to grant
PB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Patent event date: 20100805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B07012S01D

Patent event date: 20100803

Comment text: Transfer of Trial File fo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Patent event code: PB07011S01I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0090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00902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22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0822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21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0821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20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0820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18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818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25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825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23

Year of fee payment: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823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820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PC1801 Expiration of term

Termination date: 20231205

Termination category: Expiration of du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