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965648B1 - 화상 처리 시스템, 촬상 장치 및 방법, 기록 매체 및프로그램 - Google Patents

화상 처리 시스템, 촬상 장치 및 방법, 기록 매체 및프로그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65648B1
KR100965648B1 KR1020057004659A KR20057004659A KR100965648B1 KR 100965648 B1 KR100965648 B1 KR 100965648B1 KR 1020057004659 A KR1020057004659 A KR 1020057004659A KR 20057004659 A KR20057004659 A KR 20057004659A KR 100965648 B1 KR100965648 B1 KR 10096564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data
representative
image
supply
imag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70046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57440A (ko
Inventor
마사키 안도
히로시 마스다
오사무 다테
Original Assignee
소니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소니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소니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0500574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5744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656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6564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765Interface circuits between an apparatus for recording and another apparatus
    • H04N5/77Interface circuits between an apparatus for recording and another apparatus between a recording apparatus and a television camer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91Television signal processing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tudio Devices (AREA)
  • Television Signal Processing For Record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대량의 화상 데이터를 효율 좋게 다른 장치에 전송할 수 있도록 한 화상 처리 시스템, 촬상 장치 및 방법, 기록 매체 및 프로그램에 관한 것이다. 디지털 카메라(1)는, 서버(5)에 대해 미전송의 섬네일 화상 데이터를 전송하고 나서 화상 데이터를 전송한다. 화상 데이터의 전송중에 새로운 섬네일 화상 데이터가 생성되면, 화상 데이터의 전송은 정지되고, 그 섬네일 화상 데이터가 먼저 전송된다. 서버(5)는 섬네일 화상 데이터를 취득하면, 그 섬네일 화상을 디스플레이에 표시하고, 유저로부터의 화상 데이터 전송에 관한 요구를 접수하고, 디지털 카메라(1)에 공급한다. 디지털 카메라(1)는 그 요구에 의거하여 화상 데이터를 서버(5)에 전송한다. 본 발명은 디지털 카메라에 적용할 수 있다.
Figure R1020057004659
화상 처리, 촬상, 기록매체

Description

화상 처리 시스템, 촬상 장치 및 방법, 기록 매체 및 프로그램{IMAGE PROCESSING SYSTEM, IMAGING DEVICE AND METHOD, RECORDING MEDIUM, AND PROGRAM}
본 발명은 화상 처리 시스템, 촬상 장치 및 방법, 기록 매체 및 프로그램에 관한 것이며, 특히, 용이하게 대량의 화상 데이터를 효율 좋게 다른 장치에 전송할 수 있도록 한 화상 처리 시스템, 촬상 장치 및 방법, 기록 매체 및 프로그램에 관한 것이다.
근래, 디지털 카메라가 보급됨과 함께, 본래의 촬상 기능이나 기록 기능 이외에 통신 기능이 구비되는 등, 디지털 카메라의 다기능화가 진행되고, 촬상된 화상 데이터의 이용 방법이 확대되고 있다.
예를 들면, 통신 기능을 가지며, 기록 매체에 기록된 주(主)화상을 다른 통신 장치에 송신할 때에, 축소 화상을 남겨 두고, 전송이 끝난 화상도 유저가 용이하게 참조할 수 있도록 한 디지털 카메라가 고려되고 있다.(예를 들면, 특개2OO2-16865호 공보(제 6 - 10페이지, 도 2 및 도 3) 참조).
이와 같은 디지털 카메라에서는, 화상 데이터를 다른 통신 장치에 공급하고, 보존시키기 때문에, 디지털 카메라에 구비된 기록 매체의 기억 용량을 유효하게 사용할 수 있음과 함께, 디지털 카메라측에 있어서의 전송이 끝난 화상의 참조도 용 이하게 한다.
그러나, 이상과 같은 방법에 있어서, 촬상하여 얻어진 화상 데이터를, 다른 통신 장치에 전송하고, 다른 통신 장치측에서 이용하는 경우, 다른 통신 장치의 유저는 화상 데이터의 전송이 완료될 때까지, 그 화상을 참조할 수 없다는 과제가 있다.
근래의 디지털 카메라는, 고기능화가 진행되고, 촬상하여 얻어진 화상 데이터를 기록하는 기록 매체의 기억 영역도 확대되고, 대량의 화상 데이터를 기억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 때문에, 예를 들면, 기록 매체의 빈 용량이 없어지는 만큼 대량의 화상 데이터를 전부 전송하는 경우, 막대한 처리 시간을 필요로 한다.
그러나, 이와 같이 대량의 화상 데이터를 전송된 통신 장치측에 있어서, 화상을 가공하거나, 인쇄하거나 하여 실제로 이용하는 화상 데이터는, 그 중의 일부인 경우가 많다.
특히, 예를 들면 신문사 등과 같이 업무로 디지털 카메라를 사용하는 경우, 촬상하여 얻어진 대량의 화상 중에서, 실제로 기사 등에 이용하는 화상의 매수는 매우 적으며, 대부분의 화상은 폐기된다.
이와 같은 경우, 촬상하여 얻어진 화상을 즉석에서 이용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상술한 방법으로는 대량의 화상 데이터의 전송이 완료될 때까지 그 화상을 참조할 수 없기 때문에, 업무의 효율이 나빠지는 경우가 있다.
이에 대해, 디지털 카메라 측에서, 전송하는 화상을 취사 선택하고, 전송하는 데이터량을 줄이는 방법이 고려되지만, 그를 위해서는 디지털 카메라의 유저에 의한 번잡한 작업이 수반되기 때문에, 촬상 작업이 비효율적으로 되어 버린다는 과제 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상황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이며, 용이하게 대량의 화상 데이터를 효율 좋게 다른 장치에 전송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본 발명의 제 1의 화상 처리 시스템은, 피사체를 촬상하여 얻어진 화상 데이터를 전송하는 촬상 장치와, 촬상 장치로부터 전송된 화상 데이터를 취득하는 화상 처리 장치를 구비하는 화상 처리 시스템으로서, 촬상 장치는 피사체를 촬상하고, 화상 데이터를 생성하는 촬상 수단과, 촬상 수단에 의해 생성된 화상 데이터를 대표하는 대표 화상 데이터를 생성하는 생성 수단과, 화상 데이터와 대표 화상 데이터를, 네트워크를 통하여 접속된 화상 처리 장치에 공급할 때, 대표 화상 데이터를 화상 데이터에 우선하여 공급하는 공급 수단을 구비하고, 화상 처리 장치는 촬상 장치로부터 공급된 대표 화상 데이터 및 화상 데이터를 취득하는 취득 수단과, 취득 수단에 의해 취득된 대표 화상 데이터를 표시하는 표시 수단과, 취득 수단에 의해 취득된 대표 화상 데이터 및 화상 데이터를 관련시켜 기억하는 기억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 2의 화상 처리 시스템은, 피사체를 촬상하여 얻어진 화상 데이터를 전송하는 촬상 장치와, 촬상 장치로부터 전송된 화상 데이터를 관리하는 화상 관리 장치와, 화상 관리 장치에 의해 관리되어 있는 화상 데이터를 취득하는 화상 처리 장치를 구비하는 화상 처리 시스템으로서, 촬상 장치는, 피사체를 촬상하고, 화상 데이터를 생성하는 촬상 수단과, 촬상 수단에 의해 생성된 화상 데이터를 대표하는 대표 화상 데이터를 생성하는 생성 수단과, 화상 데이터와 대표 화상 데이터를, 네트워크를 통하여 접속된 화상 관리 장치에 공급할 때, 대표 화상 데이터를 화상 데이터에 우선하여 공급하는 제 1의 공급 수단을 구비하고, 화상 관리 장치는, 촬상 장치로부터 공급된 화상 데이터와 대표 화상 데이터를 취득하는 제 1의 취득 수단과, 제 1의 취득 수단에 의해 취득된 화상 데이터와 대표 화상 데이터를 관련시켜 관리하는 관리 수단과, 화상 데이터와 대표 화상 데이터를, 네트워크를 통하여 접속된 화상 처리 장치에 공급할 때, 대표 화상 데이터를 화상 데이터에 우선하여 공급하는 제 2의 공급 수단을 구비하고, 화상 처리 장치는, 화상 관리 장치로부터 공급된 화상 데이터와 대표 화상 데이터를 취득하는 제 2의 취득 수단과, 제 2의 취득 수단에 의해 취득된 대표 화상 데이터를 표시하는 표시 수단과, 제 2의 취득 수단에 의해 취득된 대표 화상 데이터 및 화상 데이터를 관련시켜 기억하는 기억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촬상 장치는, 피사체를 촬상하고, 화상 데이터를 생성하는 촬상 수단과, 촬상 수단에 의해 생성된 화상 데이터를 대표하는 대표 화상 데이터를 생성하는 생성 수단과, 화상 데이터 및 대표 화상 데이터를, 네트워크를 통하여 접속된 화상 데이터 전송처에 공급할 때, 대표 화상 데이터를 화상 데이터에 우선하여 공급하는 공급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공급 수단은, 다른 장치에 대해 화상 데이터를 공급중에, 촬상 수단이 새로운 화상 데이터를 생성한 경우, 생성 수단에 의해 생성된, 새로운 화상 데이터를 대표하는 새로운 대표 화상 데이터를, 공급중의 화상 데이터에 우선하여, 다른 장치에 공급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화상 데이터의 공급에 관한 제어 정보를 접수하는 접수 수단을 또한 구비하고, 공급 수단은 접수 수단에 의해 접수된 제어 정보에 의거하여 화상 데이터를 다른 장치에 공급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공급 수단은, 대표 화상 데이터, 또는, 새로운 대표 화상 데이터와 함께 화상 데이터에 관한 관련 정보를 다른 장치에 공급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다른 장치가 공급한 제 1의 암호키를 접수하는 접수 수단과, 촬상 수단에 의해 생성된 화상 데이터를 암호화하는 제 2의 암호키를 생성하는 암호키 생성 수단과, 촬상 수단에 의해 생성된 화상 데이터를, 제 2의 암호키로 암호화하고, 제 1의 암호 데이터를 생성하는 제 1의 암호화 수단과, 제 2의 암호키를 제 1의 암호키로 암호화하고, 제 2의 암호 데이터를 생성하는 제 2의 암호화 수단을 또한 구비하고, 화상 데이터에 관한 관련 정보는, 제 2의 암호 데이터인 것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촬상 방법은, 피사체를 촬상하여 얻어지는 화상 데이터를 생성하는 제 1의 생성 스텝과, 제 1의 생성 스텝의 처리에 의해 생성된 화상 데이터를 대표하는 대표 화상 데이터를 생성하는 제 2의 생성 스텝과, 화상 데이터 및 대표 화상 데이터를, 네트워크를 통하여 접속된 화상 데이터 전송처에 공급할 때, 대표 화상 데이터를 화상 데이터에 우선하여 공급하도록 공급을 제어하는 공급 제어 스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공급 제어 스텝은, 다른 장치에 대해 화상 데이터를 공급중에, 제 1의 생성 스텝의 처리에 의해 새로운 화상 데이터가 생성된 경우, 제 2의 생성 스텝의 처리에 의해 생성된, 새로운 화상 데이터를 대표하는 새로운 대표 화상 데이터를, 공급중의 화상 데이터에 우선하여, 다른 장치에 공급하도록 공급을 제어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화상 데이터의 공급에 관한 제어 정보의 접수를 제어하는 접수 제어 스텝을 또한 포함하고, 공급 제어 스텝은, 접수 제어 스텝의 처리에 의해 접수된 제어 정보에 의거하여, 상기 화상 데이터를 다른 장치에 공급하도록 공급을 제어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공급 제어 스텝은, 대표 화상 데이터, 또는, 새로운 대표 화상 데이터와 함께 화상 데이터에 관한 관련 정보를 화상 처리 장치에 공급하도록 공급을 제어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다른 장치가 공급한 제 1의 암호키의 접수를 제어하는 접수 제어 스텝과, 제 1의 생성 스텝의 처리에 의해 생성된 화상 데이터를 암호화하는 제 2의 암호키를 생성하는 암호키 생성 스텝과, 제 1의 생성 스텝의 처리에 의해 생성된 화상 데이터를, 제 2의 암호키로 암호화하고, 제 1의 암호 데이터를 생성하는 제 1의 암호화 스텝과, 제 2의 암호키를 제 1의 암호키로 암호화하고, 제 2의 암호 데이터를 생성하는 제 2의 암호화 스텝을 또한 포함하고, 화상 데이터에 관한 관련 정보는 제 2의 암호 데이터인 것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기록 매체의 프로그램은, 피사체를 촬상하여 얻어지는 화상 데이터를 생성하는 제 1의 생성 스텝과, 제 1의 생성 스텝의 처리에 의해 생성된 화상 데이터를 대표하는 대표 화상 데이터를 생성하는 제 2의 생성 스텝과, 화상 데이터 및 대표 화상 데이터를, 네트워크를 통하여 접속된 화상 데이터 전송처에 공급할 때, 대표 화상 데이터를 화상 데이터에 우선하여 공급하도록 공급을 제어하는 공급 제어 스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프로그램은, 피사체를 촬상하여 얻어지는 화상 데이터를 생성하는 제 1의 생성 스텝과, 제 1의 생성 스텝의 처리에 의해 생성된 화상 데이터를 대표하는 대표 화상 데이터를 생성하는 제 2의 생성 스텝과, 화상 데이터 및 대표 화상 데이터를, 네트워크를 통하여 접속된 화상 데이터 전송처에 공급할 때, 대표 화상 데이터를 화상 데이터에 우선하여 공급하도록 공급을 제어하는 공급 제어 스텝을 컴퓨터에 실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 1의 화상 처리 시스템에서는, 피사체를 촬상하여 얻어진 화상 데이터를 전송하는 촬상 장치와, 촬상 장치로부터 전송된 화상 데이터를 취득하는 화상 처리 장치가 구비되고, 촬상 장치에 있어서는, 피사체가 촬상되고, 화상 데이터가 생성됨과 함께, 생성된 화상 데이터를 대표하는 대표 화상 데이터가 생성되고, 화상 데이터와 대표 화상 데이터가, 네트워크를 통하여 접속된 화상 처리 장치에 공급될 때, 대표 화상 데이터가 화상 데이터에 우선하여 공급되고, 화상 처리 장치에 있어서는, 촬상 장치로부터 공급된 대표 화상 데이터 및 화상 데이터가 취득되고, 취득된 대표 화상 데이터가 표시되고, 또한, 대표 화상 데이터 및 화상 데이터를 관련시켜 기억된다.
본 발명의 제 2의 화상 처리 시스템에서는, 피사체를 촬상하여 얻어진 화상 데이터를 전송하는 촬상 장치와, 촬상 장치로부터 전송된 화상 데이터를 관리하는 화상 관리 장치와, 화상 관리 장치에 의해 관리되어 있는 화상 데이터를 취득하는 화상 처리 장치가 구비되고, 촬상 장치에 있어서는, 피사체가 촬상되고, 화상 데이터가 생성됨과 함께 생성된 화상 데이터를 대표하는 대표 화상 데이터가 생성되고, 화상 데이터와 대표 화상 데이터가, 네트워크를 통하여 접속된 화상 관리 장치에 공급될 때, 대표 화상 데이터가 화상 데이터에 우선하여 공급되고, 화상 관리 장치에 있어서는, 촬상 장치로부터 공급된 화상 데이터와 대표 화상 데이터가 취득되고, 취득된 화상 데이터와 대표 화상 데이터가 관련시켜 관리되고, 또한, 화상 데이터와 대표 화상 데이터가, 네트워크를 통하여 접속된 화상 처리 장치에 공급될 때, 대표 화상 데이터가 화상 데이터에 우선하여 공급되고, 화상 처리 장치에서는, 화상 관리 장치로부터 공급된 화상 데이터와 대표 화상 데이터가 취득되고, 취득된 대표 화상 데이터가 표시되고, 또한, 취득된 대표 화상 데이터 및 화상 데이터가 관련시켜 기억된다.
본 발명의 촬상 장치 및 방법 및 프로그램에서는, 피사체가 촬상되고, 화상 데이터가 생성됨과 함께, 생성된 화상 데이터를 대표하는 대표 화상 데이터가 생성되고, 화상 데이터 및 대표 화상 데이터가, 네트워크를 통하여 접속된 화상 데이터 전송처에 공급될 때, 대표 화상 데이터가 화상 데이터에 우선하여 공급된다.
도 1은 본 발명을 적용한 화상 데이터 전송 시스템의 기본적인 구성예를 도시한 도면.
도 2A는 도 1의 디지털 카메라의 외관의 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2B는 도 1의 디지털 카메라의 외관의 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도 1의 디지털 스틸 카메라의 내부의 구성예를 도시한 블록도.
도 4는 도 3의 무선 통신부의 상세한 구성예를 도시한 블록도.
도 5는 도 1의 서버의 내부의 구성예를 도시한 블록도.
도 6은 도 1의 퍼스널 컴퓨터의 내부의 구성예를 도시한 블록도.
도 7은 디지털 카메라에 의한 화상 전송 처리를 설명하는 순서도.
도 8은 도 7의 스텝 S7에서 실행되는 촬상 처리의 상세에 관해 설명하는 순서도.
도 9는 도 7의 스텝 S3에서 실행되는 섬네일 화상 데이터 송신 처리의 상세에 관해 설명하는 순서도.
도 1O은 도 7의 스텝 S5에서 실행되는 화상 데이터 송신 처리에 관해 설명하는 순서도.
도 11은 디지털 카메라에 의한 요구 접수 처리에 관해 설명하는 순서도.
도 12는 서버에 의한 화상 데이터 수신 처리에 관해 설명하는 순서도.
도 13A는 서버에 있어서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는 GUI 화면의 예를 도시한 모식도.
도 13B는 서버에 있어서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는 GUI 화면의 예를 도시한 모식도.
도 14A는 서버에 있어서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는 GUI 화면의 다른 예를 도시 한 모식도.
도 14B는 서버에 있어서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는 GUI 화면의 다른 예를 도시한 모식도.
도 15A는 서버에 있어서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는 GUI 화면의 또다른 예를 도시한 모식도.
도 15B는 서버에 있어서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는 GUI 화면의 또다른 예를 도시한 모식도.
도 16은 서버에 있어서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는 GUI 화면의 또다른 예를 도시한 모식도.
도 17A는 JPEG 화상 데이터의 포맷의 예를 도시한 모식도.
도 17B는 JPEG 화상 데이터의 포맷의 예를 도시한 모식도.
도 18은 서버에 있어서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는 GUI 화면의 또다른 예를 도시한 모식도.
도 19는 도 1의 화상 처리 시스템에 있어서, 제 1의 암호화 방식에 의해 암호화된 화상 데이터 전송 처리의 흐름을 설명하는 타이밍도.
도 20은 도 1의 화상 처리 시스템에 있어서, 제 2의 암호화 방식에 의해 암호화된 화상 데이터 전송 처리의 흐름을 설명하는 타이밍도.
도 21은 본 발명을 적용한 화상 데이터 전송 시스템의 다른 구성예를 도시한 도면.
도 22는 다음에, 도 21에 도시된 화상 처리 시스템에 있어서의, 화상 데이터 전송 처리의 흐름을 설명하는 타이밍도.
도 23은 본 발명을 적용한 화상 데이터 전송 시스템의 또다른 구성예를 도시한 도면.
도 24는 본 발명을 적용한 화상 데이터 전송 시스템의 또다른 구성예를 도시한 도면.
도 1은, 본 발명을 적용한 화상 데이터 전송 시스템의 기본적인 구성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에 있어서, 디지털 카메라(1)는, 무선 통신 기능을 구비하고 있고, 기지국(2)을 통하여 인터넷으로 대표되는 네트워크(3)에 항상 접속되어 있다. 또한, 네트워크(3)에는 기업(4)에 설치된 화상 데이터를 처리하는 서버(5)가 접속되어 있다.
서버(5)에는, 서버(5)로 제어되고, 화상 데이터를 축적하는 데이터베이스(6)가 접속되어 있다. 또한, 서버(5)는, 기업(4) 내에 마련된 LAN(Local Area Network) 등으로 대표되는 네트워크(7)에도 접속되어 있고, 마찬가지로 네트워크(7)에 접속된 퍼스널 컴퓨터(8 및 9)로부터 액세스된다.
즉, 서버(5) 및 퍼스널 컴퓨터(8 및 9)는, 데이터베이스(6)에 축적된 화상 데이터를 취득하고, 이용할 수 있다. 통상, 기업(4) 내에 설치된 네트워크(7)는, 충분히 광대역이며, 퍼스널 컴퓨터(8 및 9)에 있어서도, 데이터베이스(6)에 축적되어 있는 화상 데이터를 순식간에 취득하고, 이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디지털 카메라(1)는, 피사체를 촬상하여 얻어진 화상 데이터를, 한번 기록 매체에 기록한다. 그때, 얻어진 화상의 축소 화상인 섬네일 화상에 대응하는 섬네일 화상 데이터가 생성된다.
그리고, 통신 가능한 상태에서, 디지털 카메라(1)는, 최초로 미전송의 섬네일 화상 데이터를, 기지국(2) 및 네트워크(3)를 통하여 화상 데이터의 전송처(轉送先)로서 미리 설정되어 있는 서버(5)에 전송한다.
모든 섬네일 화상 데이터를 전송한 디지털 카메라(1)는, 다음에, 기록 매체에 기록되어 있는 화상 데이터를, 섬네일 화상 데이터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미리 전송처로서 설정되어 있는 서버(5)에 전송한다.
또한, 섬네일 화상 데이터의 전송은, 화상 데이터의 전송에 우선하여 행하여진다. 즉, 화상 데이터의 전송중에, 촬상 처리가 행하여지고, 새로운 섬네일 화상 데이터가 생성되면, 화상 데이터의 전송은 정지되고, 새롭게 생성된 섬네일 화상 데이터를 먼저 전송한다. 그리고, 미전송의 섬네일 화상 데이터가 없어지면, 화상 데이터의 전송이 재개된다.
서버(5)는, 디지털 카메라(1)로부터 취득한 섬네일 화상 데이터에 대응하는 섬네일 화상을, GUI(Graphical User Interface) 등을 이용하여 디스플레이에 표시한다. 또한, 네트워크(7)를 통하여 접속되어 있는 퍼스널 컴퓨터(8 또는 9)에 섬네일 화상 데이터가 요구되어 있는 경우에는, 서버(5)는 그 요구에 의거하여 디지털 카메라(1)로부터 취득한 섬네일 화상 데이터를 공급하고, 대응하는 섬네일 화상을 GUI 등을 이용하여 그들의 디스플레이에 표시시킨다.
디지털 카메라(1)로부터 화상 데이터가 전송된 경우, 서버(5)는, 취득한 화상 데이터를 먼저 전송된 섬네일 화상 데이터에 관련시켜, 데이터베이스(6)에 축적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데이터베이스(6)에 축적된 화상 데이터는, 서버(5) 및 퍼스널 컴퓨터(8 및 9)에서 이용 가능하다.
표시된 섬네일 화상을 참조한 서버(5)의 유저가, 이용하고 싶은 화상 데이터에 대응하는 섬네일 화상을 선택하면, 서버(5)는, 그 섬네일 화상에 대응하는 화상 데이터의 전송을 디지털 카메라(1)에 대해 요구한다.
또한, 섬네일 화상이 디스플레이에 표시되어 있는 퍼스널 컴퓨터(8 또는 9)의 유저가 마찬가지로 섬네일 화상을 선택한 경우, 그 정보는 서버(5)에 공급된다. 그리고, 그 정보를 취득한 서버(5)는, 상술한 바와 같이 그 섬네일 화상 데이터의 전송을 디지털 카메라(1)에 대해 요구한다.
화상 데이터 전송의 요구를 취득한 디지털 카메라(1)는, 요구된 화상 데이터를 다른 화상 데이터에 우선하여 서버(5)에 전송한다. 통상시에는, 기록 매체에 기록되어 있는 화상 데이터는, 소정의 순번으로 서버(5)에 전송되고 있지만, 요구를 취득한 경우, 디지털 카메라(1)는 그 순번과는 관계없이 요구된 화상 데이터를 먼저 서버(5)에 전송한다.
이상과 같이 하여, 화상 데이터를 전송함에 의해 대량의 화상 데이터를 전송하는 경우라도, 기업(4)측의 유저는 화상 데이터의 전송이 완료되지 않았더라도, 섬네일 화상을 참조할 수 있고, 또한, 지정한 화상 데이터를 우선하여 취득할 수 있기 때문에, 효율 좋게 화상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다.
또한, 디지털 카메라(1)가 서버(5)에 요구된 화상 데이터만을 전송하도록 하여도 좋다. 이로써, 전송하는 데이터량을 대폭적으로 삭감하는 것도 가능해지고, 각 장치 및 각 네트워크에 걸리는, 화상 데이터의 전송에 의한 부하도 경감할 수 있다.
도 2A 및 도 2B는, 도 1의 디지털 카메라(1)의 외관의 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지털 카메라(1)의 몸체(11)의 정면 및 상부에는 피사체 화상을 받아들이는 렌즈부(12), 유저가 조작함에 의해 주전원이 온 되거나, 오프되거나 하는 전원 스위치(13), 유저의 조작에 의해 피사체 화상의 받아들임 처리의 시작을 지시하는 셔터 버튼(14), 유저에게 조작되고, 촬영 조건의 설정이나, 이용하는 기능의 선택 등의 지시가 입력되는 모드 설정 손잡이(15), 화상 데이터나 그 밖의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안테나(16), 피사체에 보조광을 조사하기 위한 스트로보(17), 촬상시에, 유저가 촬상 범위를 확인할 때 이용하는 광학 파인더(18A) 등이 마련되어 있다.
또한,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11)의 배면에는 광학 파인더(18A)의, 유저가 들여다보는 측인, 광학 파인더(18B) 및 피사체를 촬상하여 얻어진 화상을 표시하는 표시부인 LCD(Liquid Crystal Display)(19)가 구비되어 있다.
도 3은, 도 1의 디지털 스틸 카메라(1)의 내부의 구성예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시하지 않은 피사체로부터의 광은, 렌즈나 조리개 기구 등에 의해 구성되 는 렌즈부(12)를 통하여 CCD(Charge Coupled Device)(31)에 입사되고, 광전 변환된다.
CCD(31)가 출력하는 영상 신호는 CDS 회로(Correlated Double Sampling circuit)(32)에 공급되어 있다. CDS 회로(32)는 입력 신호에 상관이중(相關二重) 샘플링을 시행하여 노이즈 성분을 제거하고, 그 신호를 AGC 회로(Automatic Gain Control circuit)(33)에 출력한다. AGC 회로(33)는 입력 신호의 게인을 조정한 후, 그 신호를 A/D(Analog/ Digital) 변환기(34)에 출력한다. A/D 변환기(34)는 입력된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고, DSP(Digital Signal Processor)(35)에 출력한다.
DSP(35)는, 내장하는 화상 조정 처리부(41)에 의해, 입력 신호에 의거하여 AF(Auto Focus), AE(Auto Exposure) 및 AWB(Auto White Balance) 등에 이용되는 제어 신호를 생성하고, 그 제어 신호를 버스(50)를 통하여 CPU(Central Processing Unit)(51)에 공급한다. 또한, DSP(35)는 내장하는 화상 압축·신장 처리부(43)에 의해, 예를 들면 JPEG(Joint Photographic Expert Group) 방식 등의 소정의 압축신장 방식으로, 입력된 화상 데이터를 DSP(35)에 내장되는 SDRAM(Synchronous Dynamic Random Access Memory) 컨트롤러(42)에 제어된 SDRAM(36)에 영상 신호를 일시적으로 보존시키면서 압축하고, 압축 화상 데이터를 생성한다. 또한, DSP(35)는, 화상 데이터에 대응하는 섬네일 화상 데이터도 생성하고, 대응하는 압축 화상 데이터에 부가한다. 또한, DSP(35)는 내장하는 화상 압축·신장 처리부(43)에 의해, 기억부(55) 등으로부터 공급된 압축 화상 데이터를 신장할 수도 있다.
화상 압축·신장 처리부(43)에 의해 생성된 압축 화상 데이터는, 버스(50)를 통하여 RAM(Random Access Memory)(53) 등에 공급되고, 보존된 후, 기억부(55)에 공급되어 반도체 메모리나 하드 디스크 등에 기록되거나, 메모리 I/F(59)에 접속된 메모리 카드(61)에 공급되어 기록되거나, 또는, 무선 통신부(58)에 공급되어 다른 장치에 전송되거나 한다. 또한, 압축 화상 데이터가 무선 통신부(58)를 통하여 다른 장치에 전송되는 경우, 그 압축 화상 데이터에 첨부되어 있는 섬네일 화상 데이터가 우선되어 전송된다.
CPU(51)는, ROM(Read Only Memory)(52)에 기억되어 있는 프로그램, 또는 플래시 메모리 등에 의해 구성되는 기억부(55)로부터 RAM(53)에 로드된 프로그램에 따라 각 부를 제어하거나, 각종의 처리를 실행하거나 한다. RAM(53)에는 또한, CPU(51)가 각종의 처리를 실행하는데 있어서 필요한 데이터 등도 적절히 기억된다.
CPU(51)에는, 또한, 유저의 조작을 접수하는 외부 조작 입력부(54)가 접속되어 있다. 외부 조작 입력부(54)는,상술한 전원 스위치(13), 셔터 버튼(14)이나 모드 설정 손잡이(15) 등 외에, 각종의 버튼, 다이얼, 손잡이 및 터치 패널(모두 도시 생략) 등으로 구성되어 있고, 유저가 조작함에 의해 유저로부터의 지시를 접수하고, 그 지시 정보를 CPU(51)에 공급한다. CPU(51)는, 그 지시 정보에 의거하여 각종의 처리를 실행한다.
CPU(51), ROM(52) 및 RAM(53)은, 버스(50)를 통하여 상호 접속되어 있다. 이 버스(50)에는 또한, 불휘발성의 반도체 메모리나 하드 디스크 등으로 구성되는 기억부(35), LCD(19)에 표시시키는 화상을 제어하는 표시 제어부(36), 메모리 카드 (61) 등이 장착되는 메모리 I/F(InterFace)(59) 및 기지국(2)과 무선 통신을 행하고, 예를 들면, CPU(51)로 제어되고, 기억부(55)에 기억되어 있는 섬네일 화상 데이터나, 압축된 화상 데이터 등을, 네트워크(3)를 통하여 서버(5)에 공급하는 무선 통신부(58)가 접속되어 있다.
표시 제어부(36)에는, 도시하지 않은 VRAM(Video Random Access Memory)이 내장되어 있다. 표시 제어부(36)는, DSP(35)에서 신장된 화상 데이터를, 내장하는 VRAM에 기억시키고, 그 VRAM에 기억되어 있는 화상 데이터에 대응하는 화상이나, 다른 메모리(RAM(53), 기억부(55), 메모리 I/F(59)에 접속된 메모리 카드(61) 등)에 기억되어 있는 화상 데이터에 대응하는 화상을 LCD(19)에 표시시킨다.
버스(50)에는 또한, 필요에 따라 도시하지 않은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드라이브(63)가 접속되고, 드라이브(63)에 장착된 자기 디스크(64), 광디스크(64), 광자기 디스크(66), 또는 반도체 메모리(67) 등으로부터 판독된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억부(55) 등에 인스톨된다. 또한, 메모리 I/F(59)에 적절히 장착되는 메모리 카드(61)로부터 판독된 컴퓨터 프로그램도, 필요에 따라 기억부(55) 등에 인스톨된다.
CPU(51)는, 외부 조작 입력부(54)로부터 입력된 유저로부터의 지시 정보나, 화상 조정 처리부(41)로부터 공급된 제어 정보, 또는, 각종의 프로그램을 실행함에 의해 얻어진 정보 등에 의거하여, CDS 회로(32), AGC 회로(33) 및 A/D 변환기(34)의 동작을 제어한다.
또한, CPU(51)는, CCD(31)의 구동을 제어하는 TG(Timing Generator)(71) 및 V드라이버(72)를 제어함에 의해 CCD(31)의 동작을 제어한다. 또한, CPU(31)는, 렌 즈부(12)의 동작을 제어하는 아이리스 셔터 드라이버(73)를 제어하고, 셔터 스피드를 조정하거나 조리개 기구를 조정하거나 한다.
도 4는, 도 3의 무선 통신부(58)의 상세한 구성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안테나(16)는, 다른 장치로부터의 전파를 수신하고, 그 수신 신호를 셀렉터(81)에 공급함과 함께 셀렉터(81)로부터의 신호를, 전파로 다른 장치에 공급한다. 셀렉터(81)는 안테나(16)로부터 수신한 신호를, 예를 들면,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방식 등에 의해 복조하고, 그 결과 얻어지는 복조 신호를, 다운 컨버터(82)에 공급한다.
다운 컨버터(82)는, 취득한 복조 신호의 반송파의 주파수를 낮은 주파수로 변환하고, 그 복조 신호를 수신 I/F(83)에 공급한다. 수신 I/F(83)는, 취득한 복조 신호에 대해 A/D 변환 처리 등의 처리를 시행하고, 그 디지털 신호를 베이스밴드 신호 처리(84)에 공급한다.
베이스밴드 신호 처리부(84)는, 수신 I/F(83)로부터 취득한 디지털 신호로부터 규격에 의거하여 패킷 처리나 에러 신호 처리 등을 행하여 수신 데이터를 추출하고, 버스(50)에 공급한다. 이로써, 무선 통신부(58)는 서버(5)로부터 공급된 화상 데이터 전송의 요구를 취득하고, CPU(51) 등에 공급할 수 있다.
또한, 베이스밴드 신호 처리부(84)는, 버스(50)를 통하여 취득한 화상 데이터 등에 제어 신호 등의 부가 등을 행하고, 송신 I/F(85)에 공급한다.
송신 I/F(85)는, 취득한 디지털 신호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고, 파워 앰프(86)에 공급한다. 파워 앰프(86)에서, 출력이 증가된 송신 신호는 셀렉터(82)를 통하여 안테나(16)로부터 출력된다. 이로써, 무선 통신부(84)는 버스(50)를 통하여 취득한 섬네일 화상 데이터나 압축된 화상 데이터를 서버(5)에 전송할 수 있다.
도 5는, 서버(5)의 내부 구성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에 있어서, CPU(111)는 ROM(112)에 기억되어 있는 프로그램, 또는 기억부(123)로부터 RAM(113)에 로드된 프로그램에 따라 각종의 처리를 실행한다. RAM(113)에는 또한, CPU(111)가 각종의 처리를 실행하는데 있어서 필요한 데이터 등도 적절히 기억된다.
CPU(111), ROM(112) 및 RAM(113)은, 버스(114)를 통하여 상호 접속되어 있다. 이 버스(114)에는 또한, 입출력 인터페이스(120)도 접속되어 있다.
입출력 인터페이스(120)에는, 키보드, 마우스 등으로 이루어지는 입력부(121), CRT(Cathode Ray Tube), LCD(Liquid Crystal Display) 등으로 이루어지는 디스플레이 및 스피커 등으로 이루어지는 출력부(122), 하드 디스크 등에 의해 구성되는 기억부(123), 모뎀, 터미널 어댑터, 또는 LAN 어댑터 등에 의해 구성되는 통신부(124)가 접속되어 있다.
기억부(123)는, CPU(111)로 제어되고, 통신부(124)를 통하여 디지털 카메라(1)로부터 공급되는 섬네일 화상 데이터를 보존하고, 필요에 따라 보존하고 있는 섬네일 화상 데이터를 RAM(113), 출력부(122), 통신부(124), 데이터베이스(6) 등에 공급한다.
통신부(124)는, 네트워크(3 및 7)에 접속되어 있고, CPU(111)로 제어되고, 네트워크(3)를 통하여 디지털 카메라(1)와 통신을 행하거나, 네트워크(7)를 통하 여, 퍼스널 컴퓨터(8 및 9)와 통신을 행하거나 한다.
또한, 통신부(124)는, 모뎀이나 터미널 어댑터 등을 이용한 통신 외에도, 예를 들면, USB(Universal Serial Bus), IEEE1394(Institute of Electrical and Electronic Engineers), RS-232C(Recommended Standard 232 revision C), 또는 SCSI(Small Computer System Interface) 등의 각종의 규격을 이용한 통신 처리를 행하는 기능을 갖고 있다.
입출력 인터페이스(70)에는 또한, 도 1의 데이터베이스(6)가 접속되어 있고, 디지털 카메라(1)로부터 취득한 화상 데이터 및 섬네일 화상 데이터가 관련시켜 축적된다.
입출력 인터페이스(70)에는 또한, 필요에 따라 드라이브(80)가 접속되고, 자기 디스크(81), 광디스크(82), 광자기 디스크(83), 또는 반도체 메모리(84) 등이 적절히 장착되고, 그들로부터 판독된 컴퓨터 프로그램이, 필요에 따라 기억부(73)에 인스톨된다.
CPU(111)는, 통신부(124)를 제어하여, 디지털 카메라(1)로부터 네트워크(3)를 통하여 공급된 섬네일 화상 데이터를 취득하면, RAM(113)이나 기억부(123) 등에 공급하여 보존시키거나, 출력부(122)에 공급하여 대응하는 섬네일 화상을 디스플레이 등에 표시시키거나, 통신부(124)를 통하여 퍼스널 컴퓨터(8 또는 9)에 공급하거나 한다.
그리고, CPU(111)는, 입력부(121)를 제어하여, 표시된 섬네일 화상을 참조한 유저로부터의 지시를 접수하고, 입력된 유저로부터의 지시에 의거하여, 지정된 섬 네일 화상에 대응하는 화상 데이터 전송의 요구를, 통신부(124)를 통하여 디지털 카메라(1)에 공급한다. 또한, CPU(111)는 통신부(124)를 통하여 취득한, 퍼스널 컴퓨터(8 및 9)로부터의 화상 데이터 전송의 요구를, 통신부(124)를 제어하여, 네트워크(3)를 통하여 디지털 카메라(1)에 공급한다.
그 요구에 의거하여 우선하여 전송된 화상 데이터를, 통신부(124)를 통하여 취득하면, CPU(111)는 취득한 화상 데이터를, RAM(113)이나 기억부(123)에 보존되어 있는 섬네일 화상 데이터와 관련시켜 데이터베이스(6)에 공급하고, 축적시킴과 함께 그 정보를 출력부(122)의 디스플레이 등에 표시시킨다. 또한, 화상 데이터 전송의 요구가 퍼스널 컴퓨터(8 또는 9)로부터 공급된 경우, CPU(111)는, 통신부(124)를 제어하여, 그 정보를 요구원의 퍼스널 컴퓨터에 공급하다. 또한, 축적된 화상 데이터는 서버(5) 및 퍼스널 컴퓨터(8 및 9)에서 이용 가능해진다.
또한, 디지털 카메라(1)로부터 취득된 데이터는, 데이터베이스(6)에 축적할 뿐만 아니라, 대응하는 화상을 출력부(122)의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도록 하여도 좋다. 요구원이 퍼스널 컴퓨터(8 또는 9)인 경우는, 그 화상 데이터가 요구원의 퍼스널 컴퓨터에 공급되도록 하여도 좋다.
도 6은, 퍼스널 컴퓨터(8)의 내부의 구성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에 있어서, CPU(151)는 ROM(152)에 기억되어 있는 프로그램, 또는 기억부(163)로부터 RAM(153)에 로드된 프로그램에 따라 각종의 처리를 실행한다. RAM(153)에는 또한, CPU(151)가 각종의 처리를 실행하는데 있어서 필요한 데이터 등도 적절히 기억된다.
CPU(151), ROM(152) 및 RAM(153)은, 버스(154)를 통하여 상호 접속되어 있다. 이 버스(154)에는 또한, 입출력 인터페이스(160)도 접속되어 있다.
입출력 인터페이스(160)에는 키보드, 마우스 등으로 이루어지는 입력부(161), CRT(Cathode Ray Tube), LCD(Liquid Crystal Display) 등으로 이루어지는 디스플레이 및 스피커 등으로 이루어지는 출력부(162), 하드 디스크 등에 의해 구성되는 기억부(163), 모뎀, 터미널 어댑터, 또는 LAN 어댑터 등에 의해 구성되는 통신부(164)가 접속되어 있다.
기억부(163)는, CPU(151)로 제어되고, 통신부(164)를 통하여 서버(5)로부터 공급된 섬네일 화상 데이터를 보존하고, 필요에 따라 보존해 있는 섬네일 화상 데이터를 RAM(153), 출력부(162) 등에 공급한다.
통신부(164)는, 네트워크(7)에 접속되어 있고, CPU(151)로 제어되고, 네트워크(7)를 통하여 서버(5)와 통신을 행한다.
또한, 통신부(164)는, 모뎀이나 터미널 어댑터 등을 이용한 통신 외에도, 예를 들면, USB(Universal Serial Bus), IEEE1394(Institute of Electrical and Electronic Engineers), RS-232C(Recommended Standard 232 revision C), 또는 SCSI(Small Computer System Interface) 등의 각종의 규격을 이용한 통신 처리를 행하는 기능을 갖고 있다.
입출력 인터페이스(160)에는 또한, 필요에 따라 드라이브(170)가 접속되고, 자기 디스크(171), 광디스크(172), 광자기 디스크(173), 또는 반도체 메모리(174) 등이 적절히 장착되고, 그들로부터 판독된 컴퓨터 프로그램이, 필요에 따라 기억부 (163)에 인스톨된다.
CPU(151)는, 통신부(164)를 제어하여, 서버(5)로부터 네트워크(7)를 통하여 공급된 섬네일 화상 데이터나 화상 데이터를 취득하면, RAM(153)이나 기억부(163) 등에 공급하고 보존시키거나, 출력부(162)에 공급하여 대응하는 화상을 디스플레이 등에 표시시키거나 한다.
또한, CPU(151)는, 입력부(161)를 제어하여, 표시된 섬네일 화상을 참조한 유저로부터의 지시를 접수하고, 입력된 유저로부터의 지시에 의거하여, 지정된 섬네일 화상에 대응하는 화상 데이터 전송의 요구를, 통신부(164)를 통하여 서버(5)에 공급한다. 서버(5)는, 이 요구를, 네트워크(3)를 통하여 디지털 카메라(1)에 공급한다.
그 요구에 의거하여 우선하여 요구한 화상 데이터가 서버(5)에 전송되면, 그 정보가 서버(5)로부터 공급된다. CPU(151)는 통신부(164)를 통하여 그 정보를 취득하면, 출력부(162)에 공급하고, 디스플레이 등에 표시한다.
또한, 도 1의 퍼스널 컴퓨터(9)의 구성 및 각 부의 동작은,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 퍼스널 컴퓨터(8)의 구성 및 각 부의 동작과 같기 때문에, 적절히, 도 6에 도시된 블록도를 퍼스널 컴퓨터(9)의 구성예로서도 적용하고, 그 설명을 생략한다.
다음에, 도 7의 순서도를 참조하여, 디지털 카메라(1)에 의한 화상 전송 처리를 설명한다.
유저가 전원 스위치(13)를 조작하고, 전원이 온 상태가 되면, 디지털 카메라(1)의 CPU(51)는, 스텝 S1에서, 초기 설정을 행하고, 각 부의 초기화 및 동작 확 인, 준비 처리 등을 행한다. 또한, CPU(51)는, 무선 통신부(58)를 제어하여, 기지국(2)과의 무선 통신을 확립하고, 네트워크(3)에 접속한다.
초기 설정 처리가 완료하면, CPU(51)는 스텝 S2에 있어서, RAM(53)이나 기억부(55) 등으로 보존되어 있는 미송신의 섬네일 화상 데이터가 존재하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존재한다고 판정한 경우, CPU(31)는 스텝 S3으로 처리를 진행하고, 섬네일 화상 데이터 송신 처리를 실행한다. 섬네일 화상 데이터 송신 처리의 상세에 관해서는, 도 9의 순서도를 참조하여 후술한다. 스텝 S3의 처리가 완료하면 CPU(51)는 처리를 스텝 S2로 되돌리고, 그 이후의 처리를 반복한다.
스텝 S2에서, 미송신의 섬네일 화상 데이터가 존재하지 않는다고 판정한 경우, CPU(51)는 스텝 S4로 처리를 진행하고, 미송신의 화상 데이터가 존재하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존재한다고 판정한 경우, CPU(51)는, 스텝 S5로 처리를 진행하고, 화상 데이터 송신 처리를 실행한다. 화상 데이터 송신 처리의 상세에 관해서는 도 10의 순서도를 참조하여 후술한다. 스텝 S5의 처리가 완료하면, CPU(51)는 처리를 스텝 S2로 되돌리고, 그 이후의 처리를 반복한다.
스텝 S4에 있어서, 미송신의 화상 데이터가 존재하지 않는다고 판정한 경우, CPU(51)는 스텝 S6으로 처리를 진행하고, 외부 조작 입력부(54)를 제어하여, 유저에 의해 촬상 처리의 실행이 지시되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유저가 모드 설정 손잡이(15)를 조작하는 등으로, 촬영 모드를 선택하고, 촬상 처리의 실행이 지시되었다고 판정한 경우, CPU(51)는 스텝 S7에 있어서, 촬상 처리를 실행한다. 촬상 처리의 상세에 관해서는, 도 8의 순서도를 참조하여 후술한다. 촬상 처리가 종료하 면, CPU(51)는 처리를 스텝 S8로 진행한다.
스텝 6에 있어서, 촬상 처리의 실행이 지시되지 않았다고 판정한 경우, CPU(51)는 스텝 S7의 처리를 생략하고, 스텝 S8로 처리를 진행한다.
CPU(51)는, 스텝 S8에 있어서 화상 전송 처리를 종료하는지의 여부를 판정하고, 종료하지 않는다고 판정한 경우, 스텝 S2로 처리를 되돌리고, 그 이후의 처리를 반복한다.
화상 전송 처리를 종료한다고 판정한 경우, CPU(51)는 스텝 S9에 있어서, 종료 처리를 실행하고, 화상 전송 처리를 종료한다.
다음에, 도 8의 순서도를 참조하여, 도 7의 스텝 S7에 있어서 실행되는 촬상 처리의 상세에 관해 설명한다.
최초에, 스텝 S21에 있어서, CPU(51)는 각 부를 제어하여 촬상의 준비를 행하고, 스텝 S22에 있어서, 촬상이 지시되었는지의 여부를 판정하고, 지시되었다고 판정할 때까지 대기한다.
CPU(51)는, 외부 조작 입력부(54)를 제어하고, 유저가 셔터 버튼(14)을 조작하는 등으로 촬상이 지시되었다고 판정한 경우, 스텝 S23에 있어서 피사체를 촬상하고, 스텝 S24에 있어서 촬상에 의해 얻어진 화상 데이터를 기억부(55) 등에 보존하고, 스텝 S25에 있어서 섬네일 화상 데이터를 작성하고, RAM(53) 또는 기억부(55) 등에 보존한다.
스텝 S25의 처리가 완료하면, CPU(51)는 촬상 처리를 종료하고, 도 7의 스텝 S8로 처리를 되돌린다.
다음에, 도 9의 순서도를 참조하여, 도 7의 스텝 S3에 있어서 실행되는 섬네일 화상 데이터 송신 처리의 상세에 관해 설명한다.
최초에, CPU(51)는 스텝 S41에 있어서, 촬상 처리의 실행이 지시되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지시되었다고 판정한 경우, CPU(51)는, 처리를 스텝 S42로 진행하고, 도 8의 순서도를 참조하여 설명한 경우와 마찬가지의 촬상 처리를 실행한다. 그리고, 촬상 처리가 종료하면, CPU(51)는 섬네일 화상 데이터 송신 처리를 종료하고, 도 7의 스텝 S2로 처리를 되돌린다.
또한, 스텝 S41에 있어서, 촬상 처리의 실행이 지시되지 않았다고 판정한 경우, CPU(51)는 스텝 S43에 있어서, 무선 통신부(58)를 통하여 섬네일 화상 데이터를 서버(5)에 송신하고, 섬네일 화상 데이터 송신 처리를 종료하고, 도 7의 스텝 S2로 처리를 되돌린다.
다음에, 도 7의 스텝 S5에 있어서 실행되는 화상 데이터 송신 처리에 관해, 도 10의 순서도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최초에, 스텝 S61에 있어서, CPU(51)는 촬상 처리의 실행이 지시되었는지의 여부를 판정하고, 지시되었다고 판정한 경우, 스텝 S62에 있어서, 도 8의 순서도를 참조하여 설명한 경우와 마찬가지의 촬상 처리를 실행한다. 촬상 처리가 종료하면, CPU(51)는 섬네일 화상 데이터 송신 처리를 종료하고, 도 7의 스텝 S2로 처리를 되돌린다.
스텝 S61에 있어서, 촬상 처리의 실행이 지시되지 않았다고 판정한 경우, CPU(51)는 스텝 S63으로 처리를 진행하고, 우선 요구된 화상 데이터가 존재하는지 의 여부를 판정한다.
도 11의 순서도를 참조하여 후술하는 요구 접수 처리에 의해, 무선 통신부(58)를 통하여 서버(5)로부터 공급된 우선 요구를 취득하고, 그 화상 데이터가 미송신이라고 판정한 경우, CPU(51)는 처리를 스텝 S64로 진행하고, 그 우선 요구에 의해 송신시의 압축비가 지정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송신시의 화상 데이터의 압축비가 지정되어 있다고 판정한 경우, CPU(51)는 처리를 스텝 S65로 진행하고, 기억부(55) 등에 기억되어 있는, 요구된 화상 데이터인 우선 화상 데이터를 DSP(35)에 공급하고, 지정된 압축비로 압축한다. 또한, 우선 화상 데이터가 압축되어 기억부(55) 등에 기억되어 있는 경우는 압축비를 지정된 값으로 변경한다. 우선 화상 데이터를 지정된 압축비로 압축한 CPU(51)는 처리를 스텝 S66으로 진행한다.
또한, 스텝 S64에 있어서, 송신시의 압축비가 지정되어 있지 않다고 판정한 경우, CPU(51)는 스텝 S65의 처리를 생략하고, 스텝 S66으로 처리를 진행한다.
스텝 S66에 있어서, CPU(51)는 무선 통신부(58)를 제어하여, 지정된 우선 화상 데이터를 네트워크를 통하여 서버(5)에 송신하고, 그 화상 데이터의 스테터스(status)를 처리 완료로 한 후, 화상 데이터 송신 처리를 종료하고, 도 7의 스텝 S2로 처리를 되돌린다.
또한, 스텝 S63에 있어서, 우선 요구된, 미송신의 화상 데이터가 존재하지 않는다고 판정한 경우, CPU(51)는 처리를 스텝 S67로 진행하고, 다음에 송신하는 화상 데이터가, 서버(5)로부터의 요구에 의해 송신이 거부되고 있는지의 여부를 판 정한다.
송신이 거부되지 않았다고 판정한 경우, CPU(51)는 처리를 스텝 S68로 진행하고, 송신시의 압축비가 지정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하고, 지정되어 있다고 판정한 경우는, 스텝 S69에 있어서 스텝 S65의 처리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DSP(35)를 제어하여, 송신한 화상 데이터를 지정된 압축비로 압축하고, 스텝 S7O으로 처리를 진행한다.
스텝 S68에 있어서, 압축비가 지정되어 있지 않다고 판정한 경우, CPU(51)는 스텝 S69의 처리를 생략하고, 스텝 S70으로 처리를 진행한다.
CPU(51)는, 스텝 S70에 있어서, 그 화상 데이터를 무선 통신부(58)를 통하여 서버(5)에 송신하고, 그 화상 데이터의 스테터스를 처리 완료로 한다. 그리고, CPU(51)는 화상 데이터 송신 처리를 종료하고, 도 7의 스텝 S2로 처리를 되돌린다.
또한, 스텝 S67에 있어서, 다음에 송신하는 화상 데이터가 서버(5)에 송신이 거부되고 있다고 판정한 경우, 스텝 S71에 있어서, 그 화상 데이터의 스테터스를 처리 완료로 하고, 화상 데이터 송신 처리를 종료한다.
이상과 같이, 디지털 카메라(1)의 CPU(51)는 각 부를 제어하여, 촬상 처리의 사이에 섬네일 화상 데이터를 화상 데이터에 우선시켜 서버(5)에 송신한다.
다음에, 도 11의 순서도를 참조하여, 디지털 카메라(1)에 의한 서버(5)로부터 공급되는 요구의 접수 처리에 관해 설명한다.
최초에, 스텝 S91에 있어서, CPU(51)는 무선 통신부(58)를 제어하여, 서버로부터 요구를 수신하였는지의 여부를 판정하고, 수신하였다고 판정할 때까지 대기한 다. 수신하였다고 판정한 경우, CPU(51)는 그 요구를 취득하고, 대응하는 화상 데이터는 미송신인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CPU(51)는, 기억부(55) 등의 화상 데이터가 기억되어 있는 각 부를 제어하고, 대응하는 화상 데이터의 스테터스를 참조한다. 그리고, 참조한 상황이 미송신이고, 대응하는 화상 데이터가 미송신이라고 판정한 경우, CPU(51)는 스텝 S93에 있어서, 요구를 화상 데이터에 대응시켜 RAM(53) 등에 보존한다. 이 요구는, 도 1O의 화상 데이터 송신 처리의 스텝 S63, S64, S67 및 S68 등에 있어서 참조된다. 스텝 S93의 처리가 종료하면, CPU(51)는 처리를 스텝 S94로 진행한다.
또한, 스텝 S92에 있어서, 대응하는 화상 데이터가 송신 완료라고 판정한 경우, CPU(51)는 스텝 S93의 처리를 생략하고, 스텝 S94로 처리를 진행한다.
스텝 S94에 있어서, CPU(51)는 요구 접수 처리를 종료하는지의 여부를 판정하고, 종료하지 않는다고 판정한 경우 스텝 S91로 처리를 되돌리고, 그 이후의 처리를 반복한다. 요구 접수 처리를 종료한다고 판정한 경우, CPU(51)는 스텝 S95에 있어서 종료 처리를 행하고, 요구 접수 처리를 종료한다.
이상과 같이 하여, 디지털 카메라(1)의 CPU(51)는 서버(5)로부터의 요구를 접수하고, 그 요구에 의거하여 화상 데이터의 전송을 제어한다.
다음에, 서버(5)에 의한 화상 데이터 수신 처리에 관해 도 12의 순서도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스텝 S111에 있어서, 서버(5)의 CPU(111)는 통신부(124)를 제어하여, 디지털 카메라(1)로부터 송신된 섬네일 화상 데이터를 수신하였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수신하였다고 판정한 경우, CPU(111)는 스텝 S112에 있어서, 수신한 섬네일 화상 데이터에 대응하는 섬네일 화상을 디스플레이 등에 표시한다. 그리고, CPU(111)는 처리를 스텝 S113으로 진행한다.
스텝 S111에 있어서, 섬네일 화상 데이터를 수신하지 않았다고 판정한 경우, CPU(111)는 스텝 S112의 처리를 생략하고, 스텝 S113으로 처리를 진행한다.
스텝 S113에 있어서, CPU(111)는 통신부(124)를 제어하여, 디지털 카메라(1)로부터 송신된 화상 데이터를 수신하였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수신하였다고 판정한 경우, CPU(111)는 스텝 S114에 있어서, 수신한 화상 데이터를 대응하는 섬네일 화상 데이터라고 관련시켜 데이터베이스(6)에 축적한다. 또한, 후술하는 바와 같이, CPU(111)는 출력부(121)를 제어하여, 섬네일 화상이 표시되어 있는 GUI에, 대응하는 화상 데이터를 수신한 것을 나타내는 마크를 표시시킨다. 스텝 S114의 처리가 종료하면, CPU(111)는 처리를 스텝 S115로 진행한다.
또한, 스텝 S113에 있어서, 화상 데이터를 수신하지 않았다고 판정한 경우, CPU(111)는 스텝 S114의 처리를 생략하고, 스텝 S115로 처리를 진행한다.
CPU(111)는, 스텝 S115에 있어서 입력부(121)를 제어하여, 유저로부터 화상 데이터의 전송에 관한 요구가 입력되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CPU(111)는, 또한, 통신부(124)를 제어하여, 퍼스널 컴퓨터(8 또는 9)로부터 화상 데이터의 전송에 관한 요구가 공급되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서버(5)의 유저에게 화상 데이터의 전송에 관한 요구가 입력되었거나, 또는, 퍼스널 컴퓨터(8 또는 9)로부터 화상 데이터의 전송에 관한 요구가 공급되었다고 판정한 경우, CPU(111)는 스텝 S116에 있어서, 통신부(124)를 제어하여, 그 요구를 디지털 카메라(1)에 공급한다. 요구를 공급한 CPU(111)는 처리를 스텝 S117에 공급한다.
스텝 S115에 있어서, 화상 데이터의 전송에 관한 요구가, 유저에 의해 입력되지 않았고, 또한, 퍼스널 컴퓨터(8 또는 9)로부터 공급되지 않았다고 판정한 경우, CPU(111)는 스텝 S116의 처리를 생략하고, 스텝 S117로 처리를 진행한다.
CPU(111)는, 스텝 S117에 있어서, 화상 데이터 수신 처리를 종료하는지의 여부를 판정하고, 종료하지 않는다고 판정한 경우, 처리를 스텝 S111로 되돌리고, 그 이후의 처리를 반복한다.
또한, 화상 데이터 수신 처리를 종료한다고 판정한 경우, CPU(111)는 스텝 S118에 있어서, 종료 처리를 행하고, 화상 데이터 수신 처리를 종료한다.
이상과 같이 하여, 서버(5)의 CPU(111)는 디지털 카메라(1)로부터 공급된 섬네일 화상 데이터나 화상 데이터를 수신함과 함께, 화상 데이터의 전송에 관한 요구를 디지털 카메라(1)에 송신한다.
도 13A 및 도 13B는, 서버(5)에 있어서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는 GUI 화면의 예를 도시한 모식도이다.
화상 데이터에 우선하여 섬네일 화상 데이터가 전송되면, 서버(5)의 디스플레이에는 도 13A에 도시된 바와 같은 화면(180)이 표시된다. 화면(180)에는 전송된 섬네일 화상 데이터에 대응하는 섬네일 화상(181 내지 186)이 표시된다. 또한, 화면(180)에는 섬네일 화상 데이터를 전송중인 것을 나타내는 「화상 전송중」이라고 표시(187)가 표시된다.
표시되어 있는 섬네일 화상에 대응하는 화상 데이터가 전송되면, 화면(180)에는 도 1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송 완료인 것을 나타내는 마크(181A 내지 183A)가 대응하는 섬네일 화상(181 내지 183)상에 각각 표시된다.
또한, 화상 데이터가 전송중인 섬네일 화상(184)상에는 화상 데이터가 전송중인 것을 나타내는 전송중 마크(184A)가 표시된다.
예를 들면, 섬네일 화상(186)에 대응하는 화상 데이터가 불필요한 경우, 유저는 입력부(121)를 조작하여, 섬네일 화상(186)을 선택하고, 전송 불필요의 지시를 입력한다. 그 경우, 디지털 카메라(1)에 전송을 거부하는 요구가 공급됨과 함께, 화면(180)의 섬네일 화상(186)상에 전송 불필요 마크(186A)가 표시된다.
또한, 디지털 카메라(1)에 있어서, 새롭게 촬상 처리가 행하여진 경우, 새로운 섬네일 화상 데이터가 서버(5)에 전송된다. 그리고, 화면(180)상에는 새롭게 수신한 섬네일 화상 데이터에 대응하는 섬네일 화상(188 및 189)이 신착 섬네일로서 표시된다. 이들의 섬네일 화상(188 및 189)은 소정의 시간, 강조 표시되도록 하여도 좋고, 그 밖의 섬네일 화상(181 내지 186)과 마찬가지로 표시되도록 하여도 좋다.
또한, 상술한 화면(180)은, 서버(5)의 디스플레이뿐만 아니라, 서버(5)에 액세스하고 있고, 섬네일 화상 데이터를 취득하는 상태에 있는 퍼스널 컴퓨터(8 또는 9)에 있어서도 마찬가지로 표시된다.
이상과 같이 디지털 카메라(1) 및 서버(5)가 동작함에 의해, 서버(5)측에 있 어서, 유저가 화상 데이터의 전송이 완료하기 전에 섬네일 화상을 참조할 수 있고, 필요한 화상 데이터를 우선적으로 전송시키도록 할 수 있기 때문에, 효율 좋게 작업을 행할 수 있다.
도 14A 및 도 14B는, 서버(5)의 유저가 선택한 화상 데이터만이 전송되는 경우의 서버(5)에 표시되는 화면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서버(5)의 유저가, 화면(180)에 표시된 섬네일 화상에서 필요한 화상만을 선택하면, 도 1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선택된 섬네일 화상(181, 183 및 184)상에, 전송 예약 마크(181B, 183B 및 184B)가 각각 표시된다. 유저는, 전송 버튼(191)을 조작하고, 이들의 섬네일 화상에 대응하는 화상 데이터의 전송을 요구한다.
이 요구에 의해, 디지털 카메라(1)로부터 요구된 화상 데이터의 전송이 시작되면, 도 1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면(180)의 섬네일 화상(181, 183 및 184)상에는 화상 데이터의 전송에 관한 상태를 나타내는 각종의 마크가 표시된다.
또한, 디지털 카메라(1)에 있어서, 새로운 촬상 처리가 행하여지고, 섬네일 화상 데이터가 서버(5)에 전송되면, 화면(181)상에는 전송된 섬네일 화상 데이터에 대응하는 섬네일 화상(192 및 193)이 표시된다.
이상에 있어서는, 정지 화상상 데이터의 전송에 관해 설명하였지만, 이에 한하지 않고, 전송하는 데이터는 동화상 데이터라도 좋고, 상술한 경우와 마찬가지의 처리에 의해 전송된다.
동화상 데이터를 전송하는 경우, 대응하는 섬네일 화상은, 예를 들면, 4분마다 등과 같이, 소정의 시간 간격으로 동화상으로부터 추출된 대표 화상으로 구성된 다. 즉, 이 경우에 있어서, 예를 들면, 20분의 동화상 데이터로부터는 5개의 섬네일 화상 데이터가 추출되고, 동화상 데이터에 우선하여 서버(5)에 전송된다.
또한, 섬네일 화상의 추출 방법은, 시간마다로 한하지 않고, 어떠한 방법이라도 좋다. 예를 들면, 디지털 카메라(1)가, 시간적으로 서로 이웃하는 화상의 차분(差分)을 산출하고, 차분 신호가 임계치를 초과하는 경우, 신이 변화하였다고 판정하도록 하여, 섬네일 화상을 신 마다 추출하도록 하여도 좋고, 또한, 동화상 데이터가 MPEG (Moving Picture Expert Group) 데이터인 경우, I픽쳐가, 섬네일 화상으로서 추출되도록 하여도 좋다.
이상과 같이, 하나의 동화상 데이터로부터 추출된 섬네일 화상은 서버(5)에 있어서, 도 15A에 도시된 바와 같은 화면(200)상에 표시된다. 화면(200)에는 제 1 동화상 파일(201)로부터 추출된 섬네일 화상(201-1 내지 201-5), 제 2 동화상 파일(202)로부터 추출된 섬네일 화상(202-1 내지 202-5) 및 유저에게 조작됨에 의해 선택된 동화상 파일을 전송하는 전송 버튼(203)이 표시되어 있다.
유저가 동화상 파일을 선택하고, 전송 버튼(203)을 조작하면, 그 요구 정보가 디지털 카메라(1)에 공급되고, 그 동화상 파일의 전송이 시작된다. 그때, 화면(200)은 도 1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시된다. 도 15B에 있어서는 유저가 선택한 제 1 동화상 파일(201)에 앵커(204)가 표시되어 있고, 제 1 동화상 파일(201)의 전송이 완료된 부분에 대응하는 섬네일 화상(201-1 내지 201-3)에는 전송 완료 마크(201-1A 내지 201-3A)가 각각 표시되어 있다.
그리고, 디지털 카메라(1)에 있어서, 새롭게 촬상 처리가 행하여지고, 새로 운 동화상 파일이 생성되면, 그 섬네일 화상 데이터가 서버(5)에 공급되고, 화면(200)에는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3 동화상 파일(205)의 섬네일 화상 데이터(205-1 내지 205-5)가 표시된다.
이상과 같이, 동화상 데이터를 전송하는 경우에 있어서도, 섬네일 동화상 데이터를 우선적으로 전송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이상에 있어서는, 화상 데이터에 우선시켜 섬네일 화상 데이터를 전송하도록 설명하였지만, 섬네일 화상 데이터에 한하지 않고, 화상 데이터에 관한 정보를 섬네일 화상 데이터와 함께 송신하도록 하여도 좋다.
도 17A 및 도 17B는, JPEG 화상 데이터의 포맷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JPEG 화상 데이터(210)는, 도 1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상 데이터에 관한 정보인 화상 정보(211)와, 화상 데이터에 대응하는 섬네일 화상 데이터(212)가 헤더부에 포함되어 있고, 압축된 화상 데이터인 화상 압축 데이터(213)가 데이터부에 격납되어 있다.
화상 정보(211)에는, 도 1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파일명(211), 파일 사이즈(211B), 촬영 시각(211C) 및 측광 방식(211D) 등의, 화상 압축 데이터(213)에 관한 다양한 정보가 포함되어 있다.
디지털 카메라(1)가, 이 화상 정보를 부가한 섬네일 화상 데이터를 전송함에 의해 서버(5)에 있어서, 화상 데이터의 전송이 완료되기 전에, 화상 데이터에 관한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그 경우, 서버(5)의 디스플레이에는,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은 화면(220)이 표시된다.
도 18에 도시된 화면(220)에 있어서, 섬네일 화상(221 내지 224)의 하부에는 각각, 화상 정보(221A 내지 224A)가 표시되어 있다. 이로써, 유저는, 섬네일 화상(221 내지 224)과 함께 이 정보를 참조하여, 필요한 화상 데이터를 선택할 수 있다.
또한, 전송되는 화상 데이터는, 예를 들면, SSL(Secure Sockets Layer)이나 IPsec(IP Security) 등으로 대표되는 소정의 프로토콜로 암호화되고 나서 전송되도록 하여도 좋다.
또한, 서버(5)는, 화상 데이터를 전송하는 디지털 카메라(1)를 미리 배포한 ID 및 패스워드를 이용하여 인증하도록 하여도 좋다. 그 경우, 디지털 카메라(1)는 도 7의 스텝 S1에 있어서의 초기화 처리에 있어서, 서버(5)에 ID 및 패스워드를 공급하고, 접속을 확립한다.
도 19는, 도 1의 화상 처리 시스템에 있어서, 제 1의 암호화 방식에 의해 암호화된 화상 데이터를 전송하는 경우의 처리의 흐름을 설명하는 타이밍도이다.
최초로, 스텝 S131에 있어서, 디지털 카메라(1)는 미리 배포된 ID 및 패스워드를, 네트워크(3)를 통하여 서버(5)에 공급한다. 서버(5)는 스텝 S151에 있어서 그 ID 및 패스워드를 취득하면, 스텝 S152에 있어서 취득한 ID 및 패스워드를 이용하여 디지털 카메라(1)를 인증한다.
인증 처리가 종료하면, 서버(5)는 스텝 S153에 있어서, 인증 결과를 디지털 카메라(1)에 공급한다. 디지털 카메라(1)는 스텝 S132에 있어서, 그 인증 결과를 취득한다. 디지털 카메라(1)가 인증된 경우, 이들의 처리에 의해 디지털 카메라(1) 와 서버(5)의 접속이 확립한다.
접속이 확립한 디지털 카메라(1)는, 스텝 S133에 있어서, 서버(5)에 대해 서버(5)가 제공하고 있는 공개키를 요구한다. 또한, 이 공개키의 요구에 관해서는 지급부터 송신하는 화상 데이터의 매수에 따른 복수의 공개키를 요구하여도 좋다. 이 경우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서버(5)는, 복수의 공개키에 대응한 비밀키를 보존할 필요가 있다. 서버(5)는, 스텝 S154에 있어서 그 요구를 취득하면, 스텝 S155에 있어서 요구된 공개키를 디지털 카메라(1)에 공급한다. 디지털 카메라(1)는 그 공개키를 스텝 S134에 있어서 취득하다. 또한, 서버(5)는 이 공개키에 대응하는 비밀키를 보존하고 있다. 이 공개키로 암호화된 데이터는 대응하는 비밀키로만 복호 가능하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암호화된 화상 데이터의 복호 처리에, 이 비밀키를 이용한다.
공개키를 취득한 디지털 카메라(1)는 화상 데이터 전송에 있어서, 스텝 S135의 처리를 실행하고, 전송하는 화상 데이터를 취득한 공개키를 이용하여 암호화한다. 그리고, 디지털 카메라(1)는 스텝 S136에 있어서 그 암호화된 화상 데이터를 서버(5)에 공급한다.
서버(5)는, 스텝 S156에 있어서 그 암호화된 화상 데이터를 취득하면, 스텝 S157에 있어서, 공급한 공개키에 대응하는 비밀키를 이용하여 암호화된 화상 데이터를 복호한다.
그리고, 화상 데이터의 전송 처리를 종료한 때에, 디지털 카메라(1)는 스텝 S137의 처리를 실행하고, 공급된 공개키를 파기한다.
이상과 같이 하여, 디지털 카메라(1)는 제 1의 암호화 방식을 이용하여 화상 데이터를 암호화하고, 서버(5)에 전송한다. 이로써, 화상 데이터 전송에 있어서의 비닉성(秘匿性)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서버(5)는 ID 및 패스워드에 의해 정규의 디지털 카메라(1)인 것을 인증하기 때문에, 보다 안전하게 화상 데이터를 취득할 수 있다.
도 2O은, 도 1의 화상 처리 시스템에 있어서, 제 2의 암호화 방식에 의해 암호화된 화상 데이터를 전송하는 경우의 처리의 흐름을 설명하는 타이밍도이다.
최초에, 스텝 S171에 있어서 디지털 카메라(1)는 미리 배포된 ID 및 패스워드를 네트워크(3)를 통하여 서버(5)에 공급한다. 서버(5)는 스텝 S191에 있어서 그 ID 및 패스워드를 취득하면, 스텝 S192에 있어서 취득한 ID 및 패스워드를 이용하여 디지털 카메라(1)를 인증한다.
인증 처리가 종료하면, 서버(5)는 스텝 S193에 있어서, 인증 결과를 디지털 카메라(1)에 공급한다. 디지털 카메라(1)는 스텝 S172에 있어서, 그 인증 결과를 취득한다. 디지털 카메라(1)가 인증된 경우, 이들의 처리에 의해 디지털 카메라(1)와 서버(5)의 접속이 확립한다.
접속이 확립한 디지털 카메라(1)는, 스텝 S173에 있어서 서버(5)에 대해 서버(5)가 제공하고 있는 공개키를 요구한다. 또한, 이 공개키의 요구에 관해서는 지금부터 송신하는 화상 데이터의 매수에 따른 복수의 공개키를 요구하여도 좋다. 이 경우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서버(5)는 복수의 공개키에 대응한 비밀키를 보존할 필요가 있다. 서버(5)는 스텝 S194에 있어서 그 요구를 취득하면, 스텝 S195에 잇어 서 요구된 공개키를 디지털 카메라(1)에 공급한다. 디지털 카메라(1)는, 그 공개키를 스텝 S174에 있어서 취득한다. 또한, 서버(5)는 이 공개키에 대응하는 제 1의 비밀키를 보존하고 있다. 이 공개키로 암호화된 데이터는 대응하는 제 1의 비밀키로만 복호 가능하다.
공개키를 취득한 디지털 카메라(1)는, 스텝 S175에 있어서, 촬상한 화상 데이터를 암호화하는 제 2의 암호키를 생성하고, 이 제 2의 비밀키를 이용하여, 전송하는 화상 데이터를 암호화한다. 또한, 제 2의 비밀키로 암호화된 화상 데이터는 이 제 2의 비밀키로만 복호되는 것으로 한다. 또한, 디지털 카메라(1)는 스텝 S176에 있어서, 이 공개키를 이용하여 이 제 2의 비밀키를 암호화한다. 또한, 이 제 2의 암호키는 촬상된 화상 1장마다 대응하는 키로서 생성하여도 좋고, 1송신 단위로 생성하여도 좋다. 또한, 스텝 S173에 있어서, 송신하는 화상 매수에 따른 복수의 공개키를 요구하여도 좋다. 이 경우, 서버(5)는 이들 복수의 공개키에 대응한 복수의 제 1의 비밀키를 보존할 필요가 있다. 이들의 조합에 의해 화상 1장마다 다른 공개키와 다른 제 2의 암호키를 이용하는 것도 가능하여, 보다 안전하게 화상 데이터를 송신할 수 있다.
그리고, 스텝 S177에 있어서, 디지털 카메라(1)는 암호화된 제 2의 비밀키를, 제 2의 비밀키로 암호화된 화상 데이터에 우선하여 대응하는 섬네일 화상 데이터와 함께, 네트워크(3)를 통하여 서버(5)에 공급한다. 서버(5)는 스텝 S196에 있어서, 이 암호화된 제 2의 비밀키를 취득한다.
암호화된 제 2의 비밀키를 취득한 서버(5)는, 스텝 S197에 있어서, 공급한 공개키에 대응하고, 서버(5)가 보존하고 있는 제 1의 비밀키를 이용하여, 이 암호화된 제 2의 비밀키를 복호한다.
이상과 같은 처리에 의해, 화상 데이터 전송의 준비가 완료되면, 디지털 카메라(1)는 스텝 S178에 있어서, 암호화된 화상 데이터를 서버(5)에 공급한다. 서버(5)는 스텝 S198에 있어서, 그 암호화된 화상 데이터를 취득하면, 스텝 S199에 있어서, 복호된 제 2의 비밀키를 이용하여, 암호화된 화상 데이터를 복호하고, 화상 데이터를 취득한다.
그리고, 화상 데이터의 전송 처리를 종료한 때에, 디지털 카메라(1)는 스텝 S179의 처리를 실행하고, 서버(5)로부터 공급된 공개키를 파기한다.
이상과 같이 하여, 디지털 카메라(1)는, 제 2의 암호화 방식을 이용하여 화상 데이터를 암호화하고, 서버(5)에 전송한다. 이로써, 화상 데이터 전송에 있어서의 비닉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제 2의 비밀키로 암호화된 화상 데이터에 우선하여 대응하는 섬네일 화상 데이터와 함께, 취득한 공개키로 암호화된 제 2의 비밀키를 네트워크(3)를 통하여 서버(5)에 공급함에 의해, 유저는 지금부터 송신되는 화상 데이터를 확인할 수 있음과 함께, 암호화된 제 2의 비밀키를 서버(5)가 보존하는 제 1의 비밀키로 복호할 수 있다. 암호화된 화상 데이터를 취득하기 전에, 그 암호화된 화상을 복호하는 키의 복호를 사전에 행할 수 있기 때문에, 복호 처리 전체로서 처리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또한, 서버(5)는, ID 및 패스워드에 의해 정규의 디지털 카메라(1)인 것을 인증하기 때문에, 보다 안전하게 화상 데이터를 취득할 수 있다.
이상에 있어서는, 도 1에 도시된 화상 처리 시스템, 즉, 디지털 카메라(1)로부터 화상 데이터를 전송된 서버(5)측(퍼스널 컴퓨터(8 및 9)를 포함한다)에 있어서, 전송된 화상 데이터를 이용하는 경우에 관해 설명하였지만, 이에 한하지 않고, 예를 들면,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은 화상 처리 시스템, 즉, 기업(4)이 화상 전송 서비스를 제공하는 프로바이더이고, 클라이언트인 퍼스널 컴퓨터(231)에서, 디지털 카메라(1)로부터 전송되는 화상 데이터를 이용하는 화상 처리 시스템이라도 좋다.
도 21에 있어서, 프로바이더인 기업(4)에 설치된 서버(5)는, 디지털 카메라(1)로부터 전송된 섬네일 화상 데이터 및 화상 데이터를 데이터베이스(6)에 축적하고, 관리한다.
클라이언트(231)는, 디지털 카메라(1)에서 촬상하여 얻어진 화상 데이터를 취득하는 경우 서버(5)에 액세스하고, 상술한 디지털 카메라(1) 및 서버(5) 사이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디지털 카메라(1)로부터 공급된 섬네일 화상 데이터를, 대응하는 화상 데이터에 우선시켜 취득한다.
클라이언트(231)의 구성 및 동작은, 도 6의 블록도를 참조하여 설명한 퍼스널 컴퓨터(8)의 구성 및 동작과 마찬가지이고, 도 6의 블록도를 클라이언트(231)로서 적용할 수 있기 때문에, 그 설명을 생략한다.
다음에, 도 21에 도시된 화상 처리 시스템에 있어서의, 화상 데이터 전송 처리에 있어서의, 각 장치의 처리의 흐름을, 도 22의 타이밍도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최초에, 스텝 S211에 있어서, 디지털 카메라(1)는 촬상 처리를 행하고, 화상 데이터를 얻는다. 그리고, 스텝 S212에 있어서, 얻어진 화상 데이터에 대응하는 섬 네일 화상 데이터를 생성하고, 서버(5)에 공급한다. 서버(5)는, 스텝 S231에 있어서, 그 섬네일 화상 데이터를 취득한다.
섬네일 화상 데이터를 취득한 서버(5)는, 스텝 S232에 있어서, 접속되어 있는 클라이언트(231)에게, 취득한 섬네일 화상 데이터를 공급한다. 클라이언트(231)는 스텝 S251에 있어서 그 섬네일 화상 데이터를 취득하고, 대응하는 섬네일 화상을 디스플레이에 표시하고, 스텝 S252에 있어서, 유저로부터 각종의 요구를 접수한다.
그런데, 디지털 카메라(1)는 섬네일 화상 데이터의 전송이 완료되면, 스텝 S213에 있어서, 화상 데이터를 서버(5)에 공급한다. 서버(5)는 스텝 S233에 있어서, 그 화상 데이터를 취득하고, 데이터베이스(6)에 축적한다.
스텝 S232의 처리에 의해 유저로부터 각종의 처리를 접수하면, 클라이언트(231)는 스텝 S253에 있어서, 접수한 요구를 서버(5)에 공급한다. 서버(5)는 그 요구를 스텝 S234에 있어서 취득한다.
요구를 취득한 서버(5)는 스텝 S235에 있어서, 그 요구에 의거하여 데이터베이스(6)에 축적된 화상 데이터를 취득하고, 클라이언트(231)에 공급한다. 클라이언트(231)는 스텝 S254에 있어서, 그 화상 데이터를 취득한다.
이상과 같이 처리가 행하여짐에 의해 클라이언트(231)의 유저는, 화상 데이터의 전송이 완료되기 전에, 섬네일 화상을 참조할 수 있다. 또한, 클라이언트(231)의 유저는 섬네일 화상을 참조한 시점에서, 각종의 요구를 행할 수 있기 때문에, 화상 데이터를 선택적으로 취득할 수 있고, 전송 처리에 필요한 부하를 경감할 수 있다.
또한, 이상에 있어서는, 디지털 카메라(1)는 서버(5)에 화상 데이터를 전송하도록 설명하였지만, 이에 한하지 않고, 예를 들면, 도 2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지국(241)을 통하여 접속된 휴대 전화기(242)에 화상 데이터를 전송하도록 하여도 좋다.
이 경우, 휴대 전화기(242)에서는, 서버(5)의 경우와 마찬가지의 처리가 실행되고, 화상 데이터에 우선되어 전송된 섬네일 화상 데이터에 대응하는 섬네일 화상은 휴대 전화기(242)에 마련된 디스플레이(242A)에 표시된다.
또한, 이 이외에도, 도 2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지털 카메라끼리에서 화상 데이터의 수수를 행하도록 하여도 좋다. 도 24에서는 디지털 카메라(1)와 같은 구성이고, 또한 같은 동작을 행하는 2 대의 디지털 카메라(251A 및 251B) 사이에서, 네트워크(3)를 통하지 않고 직접 화상 데이터의 전송이 행하여진다. 이 경우에 있어서도, 섬네일 화상 데이터가 화상 데이터에 우선되어 전송된다.
또한, 도시는 생략하지만, 디지털 카메라(1)가 유선 통신을 행하는 통신부를 구비하도록 하고, 케이블을 통하여 네트워크(3)나 전송처의 장치에 접속되도록 하여도 좋다.
또한, 이상에 있어서는, 섬네일 화상 데이터를 1장씩 전송하고, 1장 전송할 때마다, 촬상 처리 등의 우선한 처리가 행하여졌는지의 여부를 판정하도록 설명하였지만, 이에 한하지 않고, 어떤 단위로 전송하여도 좋고, 예를 들면, 전송 전의 복수의 섬네일 화상 데이터를 하나의 파일에 통합하여 송신하도록 하여도 좋다. 또 한, 복수의 섬네일 화상 데이터를 통합한 파일을 소정의 사이즈마다, 또는 소정의 수로, 다시 분할하고 나서 송신하도록 하여도 좋다.
또한, 디지털 카메라(1)는, 서버(5)로부터 화상 데이터의 요구를 취득한 경우, 다른 섬네일 화상 데이터를 전송중이라도, 지정된 화상 데이터를 우선하여 전송할 수 있도록 하여도 좋다. 이로써, 서버(5)의 유저는, 섬네일 화상 데이터가 순차적으로 전송되어 오는 동안에도 디스플레이에 표시된 섬네일 화상 중에서 소망하는 섬네일 화상을 선택하고, 대응하는 화상 데이터의 전송을 요구할 수 있다. 또한, 그 밖의 경우에 있어서도, 디지털 카메라(1)는, 소정의 조건에 의거하여 임의의 화상 데이터를 섬네일 화상 데이터에 우선시켜 전송할 수 있도록 하여도 좋다.
또한, 이상에 있어서는, 화상 데이터를 전송하는 장치로서, 디지털 카메라의 경우에 관해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예를 들면, 카메라가 붙은 휴대 전화기, 통신 기능이 있는 디지털 비디오 카메라, 또는 카메라가 붙은 PDA 등의 전자 기기에 폭넓게 적용할 수 있다.
상술한 일련의 처리는, 하드웨어에 의해 실행시킬 수도 있지만, 소프트웨어에 의해 실행시킬 수도 있다. 일련의 처리를 소프트웨어에 의해 실행시키는 경우에는, 그 소프트웨어를 구성하는 프로그램이, 전용의 하드웨어에 조립되어 있는 컴퓨터, 또는, 각종의 프로그램을 인스톨함으로써, 각종의 기능을 실행하는 것이 가능한, 예를 들면 범용의 퍼스널 컴퓨터 등에, 기록 매체로부터 인스톨된다.
컴퓨터에 인스톨되고, 컴퓨터에 의해 실행 가능한 상태로 되는 프로그램을 기록하는 기록 매체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기 디스크(64)(플렉시블 디스 크를 포함한다), 광디스크(65)(CD-ROM(Compact Disc-Read Only Memory), DVD(Digital Versatile Disc)를 포함한다), 광자기 디스크(66)(MD(Mini-Disc)(등록상표)를 포함한다), 또한 반도체 메모리(67) 등으로 이루어지는 패키지 미디어, 또는, 프로그램이 일시적 혹은 영속적으로 기록되는 ROM(52)이나 기억부(55) 등에 의해 구성된다. 기록 매체에의 프로그램의 기록은, 필요에 따라 라우터, 모뎀 등의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공중 회선망, 로컬 에어리어 네트워크, 또는 인터넷 등의 네트워크, 디지털 위성 방송이라는 유선 또는 무선의 통신 매체를 이용하여 행하여진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 기록 매체에 기록된 프로그램을 기술하는 스텝은, 기재된 순서에 따라 시계열적으로 행하여지는 처리는 물론, 반드시 시계열적으로 처리되지 않더라도, 병렬적 또는 개별적으로 실행되는 처리도 포함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화상 데이터를 다른 장치에 공급할 수 있다. 특히, 용이하게, 대량의 화상 데이터를 효율 좋게 다른 장치에 전송할 수 있다.

Claims (14)

  1. 피사체를 촬상하여 얻어진 화상 데이터를 전송하는 촬상 장치와,
    상기 촬상 장치로부터 전송된 화상 데이터를 취득하는 화상 처리 장치를 구비하는 화상 처리 시스템으로서,
    상기 촬상 장치는,
    상기 피사체를 촬상하고, 상기 화상 데이터를 생성하는 촬상 수단과,
    상기 촬상 수단에 의해 생성된 상기 화상 데이터를 대표하는 대표 화상 데이터를 생성하는 생성 수단과,
    상기 화상 데이터와 상기 대표 화상 데이터를, 네트워크를 통하여 접속된 상기 화상 처리 장치에 공급할 때, 상기 대표 화상 데이터를 상기 화상 데이터에 우선하여 공급하는 공급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화상 처리 장치는,
    상기 촬상 장치로부터 공급된 상기 대표 화상 데이터 및 상기 화상 데이터를 취득하는 취득 수단과,
    상기 취득 수단에 의해 취득된 상기 대표 화상 데이터를 표시하는 표시 수단과,
    상기 취득 수단에 의해 취득된 상기 대표 화상 데이터 및 상기 화상 데이터를 관련시켜 기억하는 기억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공급 수단은, 상기 화상 처리 장치에 대해 상기 화상 데이터를 공급중에, 상기 촬상 수단이 새로운 화상 데이터를 생성한 경우, 상기 생성 수단에 의해 생성된, 상기 새로운 화상 데이터를 대표하는 새로운 대표 화상 데이터를, 공급중의 상기 화상 데이터에 우선하여, 상기 화상 처리 장치에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처리 시스템.
  2. 피사체를 촬상하여 얻어진 화상 데이터를 전송하는 촬상 장치와,
    상기 촬상 장치로부터 전송된 상기 화상 데이터를 관리하는 화상 관리 장치와,
    상기 화상 관리 장치에 의해 관리되어 있는 상기 화상 데이터를 취득하는 화상 처리 장치를 구비하는 화상 처리 시스템으로서,
    상기 촬상 장치는,
    상기 피사체를 촬상하고, 상기 화상 데이터를 생성하는 촬상 수단과,
    상기 촬상 수단에 의해 생성된 상기 화상 데이터를 대표하는 대표 화상 데이터를 생성하는 생성 수단과,
    상기 화상 데이터와 상기 대표 화상 데이터를, 네트워크를 통하여 접속된 상기 화상 관리 장치에 공급할 때, 상기 대표 화상 데이터를 상기 화상 데이터에 우선하여 공급하는 제 1의 공급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화상 관리 장치는,
    상기 촬상 장치로부터 공급된 상기 화상 데이터와 상기 대표 화상 데이터를 취득하는 제 1의 취득 수단과,
    상기 제 1의 취득 수단에 의해 취득된 상기 화상 데이터와 상기 대표 화상 데이터를 관련시켜 관리하는 관리 수단과,
    상기 화상 데이터와 상기 대표 화상 데이터를, 상기 네트워크를 통하여 접속된 상기 화상 처리 장치에 공급할 때, 상기 대표 화상 데이터를 상기 화상 데이터에 우선하여 공급하는 제 2의 공급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화상 처리 장치는,
    상기 화상 관리 장치로부터 공급된 상기 화상 데이터와 상기 대표 화상 데이터를 취득하는 제 2의 취득 수단과,
    상기 제 2의 취득 수단에 의해 취득된 상기 대표 화상 데이터를 표시하는 표시 수단과,
    상기 제 2의 취득 수단에 의해 취득된 상기 대표 화상 데이터 및 상기 화상 데이터를 관련시켜 기억하는 기억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제 1의 공급 수단은, 상기 화상 관리 장치에 대해 상기 화상 데이터를 공급중에, 상기 촬상 수단이 새로운 화상 데이터를 생성한 경우, 상기 생성 수단에 의해 생성된, 상기 새로운 화상 데이터를 대표하는 새로운 대표 화상 데이터를, 공급중의 상기 화상 데이터에 우선하여, 상기 화상 관리 장치에 공급하고,
    상기 제 2의 공급 수단은, 상기 화상 처리 장치에 대해 상기 화상 데이터를 공급중에, 상기 촬상 수단이 새로운 화상 데이터를 생성한 경우, 상기 생성 수단에 의해 생성된, 상기 새로운 화상 데이터를 대표하는 새로운 대표 화상 데이터를, 공급중의 상기 화상 데이터에 우선하여, 상기 화상 처리 장치에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처리 시스템.
  3. 삭제
  4. 피사체를 촬상하고, 화상 데이터를 생성하는 촬상 수단과,
    상기 촬상 수단에 의해 생성된 상기 화상 데이터를 대표하는 대표 화상 데이터를 생성하는 생성 수단과,
    상기 화상 데이터 및 상기 대표 화상 데이터를, 네트워크를 통하여 접속된 화상 데이터 전송처에 공급할 때, 상기 대표 화상 데이터를 상기 화상 데이터에 우선하여 공급하는 공급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공급 수단은, 상기 화상 데이터 전송처에 대해 상기 화상 데이터를 공급중에, 상기 촬상 수단이 새로운 화상 데이터를 생성한 경우, 상기 생성 수단에 의해 생성된, 상기 새로운 화상 데이터를 대표하는 새로운 대표 화상 데이터를, 공급중의 상기 화상 데이터에 우선하여, 상기 화상 데이터 전송처에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 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 데이터의 공급에 관한 제어 정보를 접수하는 접수 수단을 또한 구비하고,
    상기 공급 수단은, 상기 접수 수단에 의해 접수된 상기 제어 정보에 의거하여, 상기 화상 데이터를 상기 화상 데이터 전송처에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 장치.
  6.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 수단은, 상기 대표 화상 데이터, 또는, 상기 새로운 대표 화상 데이터와 함께, 상기 화상 데이터에 관한 관련 정보를 상기 화상 데이터 전송처에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 장치.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 데이터 전송처가 공급한 제 1의 암호키를 접수하는 접수 수단과,
    상기 촬상 수단에 의해 생성된 상기 화상 데이터를 암호화하는 제 2의 암호키를 생성하는 암호키 생성 수단과,
    상기 촬상 수단에 의해 생성된 상기 화상 데이터를, 상기 제 2의 암호키로 암호화하고, 제 1의 암호 데이터를 생성하는 제 1의 암호화 수단과,
    상기 제 2의 암호키를 상기 제 1의 암호키로 암호화하고, 제 2의 암호 데이터를 생성하는 제 2의 암호화 수단을 또한 구비하고,
    상기 화상 데이터에 관한 관련 정보는, 상기 제 2의 암호 데이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 장치.
  8. 삭제
  9. 피사체를 촬상하여 얻어지는 화상 데이터를 생성하는 제 1의 생성 스텝과,
    상기 제 1의 생성 스텝의 처리에 의해 생성된 상기 화상 데이터를 대표하는 대표 화상 데이터를 생성하는 제 2의 생성 스텝과,
    상기 화상 데이터 및 상기 대표 화상 데이터를, 네트워크를 통하여 접속된 화상 데이터 전송처에 공급할 때, 상기 대표 화상 데이터를 상기 화상 데이터에 우선하여 공급하도록 공급을 제어하는 공급 제어 스텝을 포함하고,
    상기 공급 제어 스텝은, 상기 화상 데이터 전송처에 대해 상기 화상 데이터를 공급중에, 상기 제 1의 생성 스텝의 처리에 의해 새로운 화상 데이터가 생성된 경우, 상기 제 2의 생성 스텝의 처리에 의해 생성된, 상기 새로운 화상 데이터를 대표하는 새로운 대표 화상 데이터를, 공급중의 상기 화상 데이터에 우선하여, 상기 화상 데이터 전송처에 공급하도록 상기 공급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 방법.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 데이터의 공급에 관한 제어 정보의 접수를 제어하는 접수 제어 스텝을 또한 포함하고,
    상기 공급 제어 스텝은, 상기 접수 제어 스텝의 처리에 의해 접수된 상기 제어 정보에 의거하여, 상기 화상 데이터를 상기 화상 데이터 전송처에 공급하도록 상기 공급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 방법.
  11.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 제어 스텝은, 상기 대표 화상 데이터, 또는, 상기 새로운 대표 화상 데이터와 함께, 상기 화상 데이터에 관한 관련 정보를 상기 화상 데이터 전송처에 공급하도록 상기 공급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 방법.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 데이터 전송처가 공급한 제 1의 암호키의 접수를 제어하는 접수 제어 스텝과,
    상기 제 1의 생성 스텝의 처리에 의해 생성된 상기 화상 데이터를 암호화하는 제 2의 암호키를 생성하는 암호키 생성 스텝과,
    상기 제 1의 생성 스텝의 처리에 의해 생성된 상기 화상 데이터를, 상기 제 2의 암호키로 암호화하고, 제 1의 암호 데이터를 생성하는 제 1의 암호화 스텝과,
    상기 제 2의 암호키를 상기 제 1의 암호키로 암호화하고, 제 2의 암호 데이터를 생성하는 제 2의 암호화 스텝을 또한 포함하고,
    상기 화상 데이터에 관한 관련 정보는, 상기 제 2의 암호 데이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 방법.
  13. 피사체를 촬상하여 얻어지는 화상 데이터를 생성하는 제 1의 생성 스텝과,
    상기 제 1의 생성 스텝의 처리에 의해 생성된 상기 화상 데이터를 대표하는 대표 화상 데이터를 생성하는 제 2의 생성 스텝과,
    상기 화상 데이터 및 상기 대표 화상 데이터를, 네트워크를 통하여 접속된 화상 데이터 전송처에 공급할 때, 상기 대표 화상 데이터를 상기 화상 데이터에 우선하여 공급하도록 공급을 제어하는 공급 제어 스텝을 포함하고,
    상기 공급 제어 스텝은, 상기 화상 데이터 전송처에 대해 상기 화상 데이터를 공급중에, 상기 제 1의 생성 스텝의 처리에 의해 새로운 화상 데이터가 생성된 경우, 상기 제 2의 생성 스텝의 처리에 의해 생성된, 상기 새로운 화상 데이터를 대표하는 새로운 대표 화상 데이터를, 공급중의 상기 화상 데이터에 우선하여, 상기 화상 데이터 전송처에 공급하도록 상기 공급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가 판독 가능한 프로그램이 기록되어 있는 기록 매체.
  14. 삭제
KR1020057004659A 2002-09-26 2003-07-28 화상 처리 시스템, 촬상 장치 및 방법, 기록 매체 및프로그램 KR10096564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2280709A JP4240973B2 (ja) 2002-09-26 2002-09-26 画像処理システム、画像処理装置および方法、記録媒体、並びにプログラム
JPJP-P-2002-00280709 2002-09-2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57440A KR20050057440A (ko) 2005-06-16
KR100965648B1 true KR100965648B1 (ko) 2010-06-23

Family

ID=320404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7004659A KR100965648B1 (ko) 2002-09-26 2003-07-28 화상 처리 시스템, 촬상 장치 및 방법, 기록 매체 및프로그램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7525571B2 (ko)
JP (1) JP4240973B2 (ko)
KR (1) KR100965648B1 (ko)
CN (1) CN100414988C (ko)
WO (1) WO200403035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50129385A1 (en) * 2003-09-16 2005-06-16 Jmz Llc Intelligent portable memory device with display
GB2406246B (en) * 2003-09-17 2006-05-31 Hewlett Packard Development Co Secure provision of image data
JP4208805B2 (ja) * 2004-09-15 2009-01-14 キヤノン株式会社 電子機器及びそ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3977834B2 (ja) * 2004-10-08 2007-09-19 京セラミタ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2006148731A (ja) 2004-11-24 2006-06-08 Sony Corp 記録装置および方法、再生装置および方法、プログラム、並びに記録媒体
JP2006212043A (ja) * 2005-01-05 2006-08-17 Palace Kogyo:Kk 遊技機及び遊技者監視・診断・解析・認識システム
US9124729B2 (en) 2005-01-31 2015-09-01 The Invention Science Fund I, Llc Shared image device synchronization or designation
US20070236505A1 (en) * 2005-01-31 2007-10-11 Searete Llc, A Limited Liability Corporation Of The State Of Delaware Resampling of transformed shared image techniques
US8606383B2 (en) * 2005-01-31 2013-12-10 The Invention Science Fund I, Llc Audio sharing
US8902320B2 (en) 2005-01-31 2014-12-02 The Invention Science Fund I, Llc Shared image device synchronization or designation
US20060174203A1 (en) 2005-01-31 2006-08-03 Searete Llc, A Limited Liability Corporation Of The State Of Delaware Viewfinder for shared image device
US20060171603A1 (en) * 2005-01-31 2006-08-03 Searete Llc, A Limited Liability Corporation Of The State Of Delaware Resampling of transformed shared image techniques
US7920169B2 (en) 2005-01-31 2011-04-05 Invention Science Fund I, Llc Proximity of shared image devices
US9082456B2 (en) 2005-01-31 2015-07-14 The Invention Science Fund I Llc Shared image device designation
US9489717B2 (en) 2005-01-31 2016-11-08 Invention Science Fund I, Llc Shared image device
US20060170956A1 (en) * 2005-01-31 2006-08-03 Jung Edward K Shared image devices
US9910341B2 (en) 2005-01-31 2018-03-06 The Invention Science Fund I, Llc Shared image device designation
US9001215B2 (en) 2005-06-02 2015-04-07 The Invention Science Fund I, Llc Estimating shared image device operational capabilities or resources
US10003762B2 (en) 2005-04-26 2018-06-19 Invention Science Fund I, Llc Shared image devices
US9819490B2 (en) 2005-05-04 2017-11-14 Invention Science Fund I, Llc Regional proximity for shared image device(s)
CN101198869A (zh) * 2005-04-27 2008-06-11 株式会社Umn制药 胰腺炎的预防及治疗剂
JP2006311271A (ja) * 2005-04-28 2006-11-09 Sanyo Electric Co Ltd 画像データ伝送システム、デジタルカメラ、画像サーバ及び通信プログラム
JP4947936B2 (ja) 2005-08-11 2012-06-06 ソニー株式会社 モニタリングシステムおよび管理装置
JP4822509B2 (ja) * 2005-09-02 2011-11-24 株式会社メガチップス ネットワークカメラによる映像配信方法
JP2007150781A (ja) * 2005-11-29 2007-06-14 Sony Corp 情報処理装置および情報処理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US20070220257A1 (en) * 2006-03-06 2007-09-20 Sandisk Il Ltd. Controlled-Access Recording Generator
JP4738233B2 (ja) * 2006-03-30 2011-08-03 三洋電機株式会社 電子カメラ
JP4819892B2 (ja) 2006-06-23 2011-11-24 シャープ株式会社 画像表示装置、画像表示方法、画像表示システム、画像データ送信装置、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JP4102847B2 (ja) * 2006-06-30 2008-06-18 シャープ株式会社 画像データ提供装置、画像表示装置、画像表示システム、画像データ提供装置の制御方法、画像表示装置の制御方法、制御プログラム、および、記録媒体
JP4724107B2 (ja) * 2006-12-21 2011-07-13 レノボ・シンガポール・プライベート・リミテッド リムーバブル・デバイスを用いたユーザの認証方法およびコンピュータ
JP4416017B2 (ja) * 2007-07-18 2010-02-17 ソニー株式会社 撮像システム
JP2009027674A (ja) * 2007-07-24 2009-02-05 Sony Corp サムネイル登録装置およびサムネイル登録プログラム
JP5088472B2 (ja) * 2007-08-02 2012-12-05 株式会社ニコン 情報処理装置
JP5034775B2 (ja) * 2007-08-21 2012-09-26 株式会社ニコン 画像転送プログラム
US9699242B2 (en) * 2007-12-07 2017-07-04 Dan Atsmon Multimedia file upload
US20090164804A1 (en) * 2007-12-25 2009-06-25 Sandisk Il Ltd. Secured storage device
JP4798172B2 (ja) * 2008-05-20 2011-10-19 コニカミノルタビジネステクノロジーズ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画像出力方法および画像出力プログラム
KR100920171B1 (ko) * 2008-12-09 2009-10-06 (주) 두전네트 영상 감시 시스템 및 방법
JP2010185990A (ja) * 2009-02-12 2010-08-26 Brother Ind Ltd 表示装置、及びデータ送信システム
US20100223466A1 (en) * 2009-02-27 2010-09-02 Third Iris Corp Shared scalable server to control confidental event traffic among recordation terminals, analysis engines, and a storage farm coupled via a public network
US20110149086A1 (en) * 2009-12-23 2011-06-23 Winbush Iii Amos Camera user content synchronization with central web-based records and information sharing system
JP2011211696A (ja) * 2010-03-10 2011-10-20 Nikon Corp 画像データ処理システム、画像データ処理プログラム、及び画像データ処理装置
CN102542750A (zh) * 2010-12-10 2012-07-04 上海卫星工程研究所 低轨光学成像卫星的数据传输系统
JP5502148B2 (ja) * 2012-06-18 2014-05-28 オリンパスイメージング株式会社 カメラ及び画像送信方法
US8743224B2 (en) 2012-07-13 2014-06-03 Intel Corporation Context based management for secure augmented reality applications
US9729695B2 (en) 2012-11-20 2017-08-08 Dropbox Inc. Messaging client application interface
US9935907B2 (en) 2012-11-20 2018-04-03 Dropbox, Inc. System and method for serving a message client
JP2014170471A (ja) * 2013-03-05 2014-09-18 Canon Inc 情報提供装置、情報提供方法及びプログラム、情報処理端末とそ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情報提供システム
JP6658504B2 (ja) * 2014-02-19 2020-03-04 ソニー株式会社 撮像装置、撮像方法および撮像システム
JP6570282B2 (ja) * 2014-03-31 2019-09-04 キヤノン株式会社 放射線撮影システム、放射線撮像装置、制御装置、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US9451178B2 (en) * 2014-05-22 2016-09-20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Automatic insertion of video into a photo story
US9479672B2 (en) * 2014-07-18 2016-10-25 Sony Mobile Communications Inc. Method and system for efficient transfer of digital images captured by a lifelog camera
EP4167577A4 (en) * 2020-06-10 2023-09-27 Sony Group Corporatio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IMAGING DEVICE AND IMAGE TRANSFER SYSTEM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09991A (ja) * 2000-06-19 2002-01-11 Canon Inc 情報処理装置およびシステムとそれらの方法及び記憶媒体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556265B2 (ja) * 1994-03-04 2004-08-18 オリンパス株式会社 画像取扱装置及びカメラ
JP3873339B2 (ja) * 1996-10-18 2007-01-24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ダイレクトプリントアダプタ
JPH10164483A (ja) 1996-12-04 1998-06-19 Aqueous Res:Kk 画像データ格納装置
JP3872886B2 (ja) 1998-01-14 2007-01-24 オリンパス株式会社 画像読取りシステム
US6833863B1 (en) * 1998-02-06 2004-12-21 Intel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still image capture during video streaming operations of a tethered digital camera
US6784925B1 (en) * 1998-03-24 2004-08-31 Canon Kabushiki Kaisha System to manage digital camera images
JP2000134531A (ja) * 1998-10-27 2000-05-12 Canon Inc 撮像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及び記憶媒体
JP3550509B2 (ja) 1999-05-26 2004-08-04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画像記録再生装置と画像再生装置と不正利用防止方法
JP2001016568A (ja) * 1999-06-30 2001-01-19 Fuji Photo Film Co Ltd 画像通信システム
JP4616500B2 (ja) 2000-04-14 2011-01-19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画像送信装置、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4258956B2 (ja) * 2000-06-08 2009-04-30 株式会社ニコン 撮像装置
US6701351B1 (en) * 2000-07-27 2004-03-02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Method and system for remotely uploading digital memory
JP2002063120A (ja) * 2000-08-23 2002-02-28 Sony Corp データ通信システム及びデータ通信方法
JP2002111530A (ja) 2000-10-04 2002-04-12 Fuji Photo Film Co Ltd 通信機器及び通信システム
US7418599B2 (en) * 2002-06-03 2008-08-26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Deterring theft of media recording devices by encrypting recorded media files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09991A (ja) * 2000-06-19 2002-01-11 Canon Inc 情報処理装置およびシステムとそれらの方法及び記憶媒体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4030357A1 (ja) 2004-04-08
US7525571B2 (en) 2009-04-28
KR20050057440A (ko) 2005-06-16
CN1685718A (zh) 2005-10-19
JP4240973B2 (ja) 2009-03-18
CN100414988C (zh) 2008-08-27
US20060112413A1 (en) 2006-05-25
JP2004120329A (ja) 2004-04-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65648B1 (ko) 화상 처리 시스템, 촬상 장치 및 방법, 기록 매체 및프로그램
US9253340B2 (en) Wireless camera with image sharing prioritization
US8319835B2 (en) Image transfer system for a network
JP5965708B2 (ja) 無線通信装置、メモリ装置、無線通信システム、無線通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US8978120B2 (en) Communication control system and method, and communication device and method
US8477202B2 (en) Photographing apparatus and communication establishing method and program
US20130120592A1 (en) Method for wireless sharing of images
JP5469628B2 (ja) 機器登録方法及び機器登録システム
US20070239877A1 (en) Function setting system, setting machine, function setting method, program,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US9377848B2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control method thereof, and recording medium for performing data transmission
JP5952670B2 (ja) 電子機器及びその制御方法
JP6504768B2 (ja) 電子機器およびその制御方法
JP4300504B2 (ja) 通信機器及び通信システム
US9563255B2 (en) Method for terminating or powering a wireless connection to image processing apparatus based on type of connection mode
JP2002259332A (ja) 電子機器、サーバ、画像提供システム及びその方法
JP6620884B2 (ja) サービス提供システム、サービス授受システム、サービス提供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6620883B2 (ja) サービス提供システム、サービス授受システム、サービス提供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4103062B2 (ja) データ通信システム及び携帯端末装置
JP6638808B2 (ja) サービス提供システム、サービス授受システム、サービス提供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10118825A (ja) 無線機能付きカメラ及びサービス提供システム
JP2007104427A (ja) 通信装置
JP2020091787A (ja) 通信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
JP4761312B2 (ja) 画像の転送制御方法および画像転送装置
JP7319777B2 (ja) 認証を行う情報処理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ならびにプログラム
JP2019176471A (ja) 通信システム、及び通信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5 International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50318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080513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91014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00409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00615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00614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07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0607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10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0610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605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