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944854B1 - 복수의 발광층을 포함하는 발광 소자 - Google Patents

복수의 발광층을 포함하는 발광 소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44854B1
KR100944854B1 KR1020030033981A KR20030033981A KR100944854B1 KR 100944854 B1 KR100944854 B1 KR 100944854B1 KR 1020030033981 A KR1020030033981 A KR 1020030033981A KR 20030033981 A KR20030033981 A KR 20030033981A KR 100944854 B1 KR100944854 B1 KR 10094485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emitting
emitting layer
dopant
dopant material
oran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339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28479A (ko
Inventor
하마다유지
간노히로시
니시무라가즈끼
Original Assignee
산요덴키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산요덴키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산요덴키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400284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2847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448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4485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3/00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 H05B33/12Light sources with substantially two-dimensional radiating surfaces
    • H05B33/14Light sources with substantially two-dimensional radiating surfaces characterised by the chemical or physical composition or the arrangement of the electroluminescent material, or by the simultaneous addition of the electroluminescent material in or onto the light source
    • H05B33/145Arrangements of the electroluminescent material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3/00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 H05B33/12Light sources with substantially two-dimensional radiating surfaces
    • H05B33/14Light sources with substantially two-dimensional radiating surfaces characterised by the chemical or physical composition or the arrangement of the electroluminescent material, or by the simultaneous addition of the electroluminescent material in or onto the light source

Landscapes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Abstract

발광 효율 및 신뢰성(소자 수명)을 향상시킬 수 있는 복수의 발광층을 포함하는 발광 소자를 얻을 수 있다. 이 발광 소자는 기판 상에 형성된 제1 발광층과, 제1 발광층에 대하여 적층하도록 형성되고, 제1 발광층과는 다른 파장의 광을 발광하는 제2 발광층을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제1 발광층 및 제2 발광층 중 적어도 하나는 호스트 재료와, 발광하는 제1 도우펀트 재료와, 발광하지 않는 제2 도우펀트 재료를 포함한다.
발광, 도우펀트, 호스트, 유기 EL 소자

Description

복수의 발광층을 포함하는 발광 소자{LIGHT EMITTING ELEMENT INCLUDING A PLURAL OF LIGHT EMITTING LAYER}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액티브 구동형의 풀컬러의 유기 EL 소자를 도시한 단면도.
도 2는 도 1에 도시한 제1 실시예에 따른 유기 EL 소자의 유기층의 구성을 도시한 단면도.
도 3은 도 2에 도시한 제1 실시예에 따른 유기 EL 소자의 오렌지색 발광층에 포함되는 호스트 재료, 발광 도우펀트 및 보조 도우펀트의 분자 구조를 나타낸 도면.
도 4는 도 2에 도시한 제1 실시예에 따른 유기 EL 소자의 청색 발광층에 포함되는 호스트 재료, 발광 도우펀트 및 보조 도우펀트의 분자 구조를 나타낸 도면.
도 5는 도 2에 도시한 제1 실시예에 따른 유기 EL 소자의 전자 수송층을 구성하는 Alq3의 분자 구조를 나타낸 도면.
도 6은 도 2에 도시한 제1 실시예에 따른 유기 EL 소자의 홀 주입층을 구성하는 CuPC의 분자 구조를 나타낸 도면.
도 7은 도 1에 도시한 유기 EL 소자에 의해 얻어지는 발광색(백색)을 설명하기 위한 특성도.
도 8은 도 1에 도시한 제1 실시예에 따른 유기 EL 소자의 효과를 설명하기 위한 특성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유기 EL 소자의 효과를 설명하기 위한 특성도.
도 10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유기 EL 소자의 효과를 설명하기 위한 특성도.
도 11은 오렌지색 발광층에 포함되는 호스트 재료의 다른 예의 분자 구조를 나타낸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3 : 유기층
21 : 홀 주입층
22 : 홀 수송층
23 : 오렌지색 발광층
24 : 청색 발광층
25 : 전자 수송층
26 : 전자 주입층
본 발명은 발광 소자에 관한 것으로, 특히 복수의 발광층을 포함하는 발광 소자에 관한 것이다.
최근, 정보 기기의 다양화에 수반하여, 종래부터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CRT에 비하여, 소비 전력이 적은 평면 표시 소자로서, 유기 일렉트로 루미네센스 소자(유기 EL 소자)를 이용한 디스플레이의 개발이 기대되고 있다. 또한, 유기 EL 소자는 형광등 대신에 무공해(수은 없음)의 조명 디바이스로서도 기대되고 있다.
유기 EL 소자에서는 전자 주입 전극과 홀 주입 전극으로부터 각각 전자와 홀을 발광층으로 주입함으로써, 전자와 홀을 발광층에서 재결합시켜 유기 분자를 여기 상태로 한다. 그리고, 이 여기된 유기 분자가 기저 상태로 되돌아갈 때에 발하는 형광에 의해 발광한다. 이 유기 EL 소자에서는 전자 수송성의 재료, 홀 수송성의 재료 및 발광성의 재료를 각각 다층 구조로서 적층함으로써, 발광 효율을 고효율화할 수 있는 것이 알려져 있다.
또한, 최근 발광 파장이 다른 복수의 발광층을 포함하는 유기 EL 소자가 특허 제3287344호 공보 등에 제안되어 있다. 이 특허 제3287344호 공보에는 모재(호스트 재료)에 오렌지색을 발광하는 제1 형광 재료(도우펀트 재료)가 함유된 제1 발광층과, 모재(호스트 재료)에 청색을 발광하는 제2 형광 재료(도우펀트 재료)가 함유된 제2 발광층을 포함하는 유기 EL 소자가 개시되어 있다. 이 청색의 발광과 오렌지색의 발광에 의해, 백색의 발광을 얻을 수 있다.
최근에는 실용화에 향하여, 유기 EL 소자의 발광 효율의 향상이 요구되고 있다. 특히, 백색의 발광을 컬러 필터에 의해 풀컬러로 하는 경우에는 컬러 필터의 광 손실을 고려하여, 발광 효율을 보다 향상시킬 필요가 있다.
그러나, 상기 특허 제3287344호 공보에 개시된 유기 EL 소자에서는 청색 발광을 행하는 제1 발광층 및 오렌지색 발광을 행하는 제2 발광층에는 도우펀트로서, 발광을 행하는 도우펀트(형광 재료)만 함유되어 있기 때문에, 발광 효율을 더욱 향상시키는 것이 곤란하다고 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발광 효율이 낮으면, 전류를 많이 흘릴 필요가 있기 때문에, 소자의 열화가 빨라진다. 그 경우, 신뢰성(소자 수명)이 저하된다. 따라서, 발광 효율을 향상시키는 것이 곤란한 경우에는 신뢰성(소자 수명)도 향상시키는 것이 곤란하게 된다.
본 발명의 하나의 목적은 발광 효율 및 신뢰성(소자 수명)을 향상시킬 수 있는 복수의 발광층을 포함하는 발광 소자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예의 검토한 결과, 본원 발명자는 발광층에, 호스트 재료와, 발광하는 제1 도우펀트 재료와, 발광하지 않는 제2 도우펀트 재료를 포함시킴으로써, 발광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을 발견하였다.
즉, 본 발명의 하나의 국면에 의한 발광 소자는 기판 상에 형성된 제1 발광층과, 제1 발광층에 대하여 적층하도록 형성되고, 제1 발광층과는 다른 파장의 광을 발광하는 제2 발광층을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제1 발광층 및 제2 발광층 중 적어도 하나는 호스트 재료와, 발광하는 제1 도우펀트 재료와, 발광하지 않는 제2 도우펀트 재료를 포함한다.
이 하나의 국면에 의한 발광 소자에서는 상기한 바와 같이 제1 발광층 및 제2 발광층 중 적어도 하나를, 호스트 재료와, 발광하는 제1 도우펀트 재료와, 발광하지 않는 제2 도우펀트 재료를 포함하도록 함으로써, 발광하지 않는 제2 도우펀트를, 캐리어의 수송을 보조하는 기능이나, 호스트 재료로부터 발광하는 제1 도우펀트로의 에너지의 이동을 행하는 기능 등의 발광을 서포트하는 기능을 갖도록 하면, 캐리어의 수송을 보조하는 기능에 의해 캐리어의 재결합 확률을 향상시킬 수 있음과 함께, 호스트 재료로부터 발광하는 제1 도우펀트로의 에너지의 이동을 행하는 기능에 의해 호스트 재료로부터 발광하는 제1 도우펀트로의 에너지의 이동을 효율적으로 행할 수 있다. 이에 의해, 발광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발광 효율의 향상에 의해, 소자에 많은 전류를 흘릴 필요가 없기 때문에, 소자의 열화를 억제할 수 있다. 그 결과, 소자의 신뢰성(소자 수명)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하나의 국면에 의한 발광 소자의 구성에 있어서, 바람직하게는 발광하지 않는 제2 도우펀트 재료는 캐리어의 수송을 보조하는 기능과, 호스트 재료로부터 발광하는 제1 도우펀트 재료로의 에너지의 이동을 행하는 기능 중, 적어도 하나를 갖는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용이하게 캐리어의 수송을 보조하는 기능에 의해 캐리어의 재결합 확률을 향상시킬 수 있음과 함께, 호스트 재료로부터 발광하는 제1 도우펀트로의 에너지의 이동을 행하는 기능에 의해 호스트 재료로부터 발광하는 제1 도우펀트로의 에너지의 이동을 효율적으로 행할 수 있다.
이 경우, 발광하지 않는 제2 도우펀트 재료는 호스트 재료로부터 발광하는 제1 도우펀트 재료로의 에너지의 이동을 행하는 기능을 갖는 나프타센 유도체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용이하게 호스트 재료로부터 발광 하는 제1 도우펀트 재료로의 에너지의 이동을 행하는 기능을 갖는 제2 도우펀트 재료를 얻을 수 있다. 또, 나프타센 유도체로 이루어지는 발광하지 않는 제2 도우펀트 재료는 tBuDPN이어도 된다. 이 경우, tBuDPN으로 이루어지는 제2 도우펀트 재료는 5중량% 이상 50중량% 미만 함유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이유는 5중량% 미만의 함유량에서는 호스트 재료로부터 발광하는 제1 도우펀트 재료로의 에너지의 이동을 행하는 기능을 충분히 얻을 수 없기 때문이다.
또한, 발광하지 않는 제2 도우펀트 재료는 호스트 재료로부터 발광하는 제1 도우펀트 재료로의 에너지의 이동을 행하는 기능을 갖는 루브렌 유도체를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용이하게 호스트 재료로부터 발광하는 제1 도우펀트 재료로의 에너지의 이동을 행하는 기능을 갖는 제2 도우펀트 재료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발광하지 않는 제2 도우펀트 재료는 캐리어의 수송을 보조하는 기능을 갖는 아민 유도체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페닐기와 질소와의 결합을 갖는 페닐 아민 유도체가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용이하게 캐리어의 수송을 보조하는 기능을 갖는 제2 도우펀트 재료를 얻을 수 있다. 또, 아민 유도체로 이루어지는 발광하지 않는 제2 도우펀트는 NPB이어도 된다. 이 경우, NPB로 이루어지는 제2 도우펀트 재료는 5중량% 이상 50중량% 미만 함유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이유는 5중량% 미만의 함유량에서는 캐리어의 수송을 보조하는 기능을 충분히 얻을 수 없기 때문이다.
상기 하나의 국면에 의한 발광 소자에 있어서, 제1 발광층 및 제2 발광층의 양방이 호스트 재료와, 발광하는 제1 도우펀트 재료와, 발광하지 않는 제2 도우펀트 재료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제1 발광층 및 제2 발광층의 양방의 발광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기 때문에, 보다 발광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에 의해, 신뢰성(소자 수명)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하나의 국면에 의한 발광 소자에 있어서, 바람직하게는 제1 발광층은 호스트 재료로부터 발광하는 제1 도우펀트 재료로의 에너지의 이동을 행하는 기능을 갖는 제2 도우펀트 재료를 함유하는 오렌지색 발광층을 포함하고, 제2 발광층은 캐리어의 수송을 보조하는 기능을 갖는 제2 도우펀트 재료를 함유하는 청색 발광층을 포함한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오렌지색 발광층과 청색 발광층에 의해, 백색의 발광을 얻을 수 있음과 함께, 오렌지색 발광층 및 청색 발광층에 포함되는 제2 도우펀트 재료에 의해, 백색 발광의 발광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에 의해, 백색 발광 소자의 신뢰성(소자 수명)도 향상시킬 수 있다.
이 경우, 오렌지색 발광층은 아민 유도체로 이루어지는 호스트 재료와, 나프타센 유도체로 이루어지는 발광하는 제1 도우펀트 재료와, 나프타센 유도체로 이루어져, 호스트 재료로부터 발광하는 제1 도우펀트 재료로의 에너지의 이동을 행하는 기능을 갖는 발광하지 않는 제2 도우펀트 재료를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이 경우, 오렌지색 발광층은 NPB로 이루어지는 호스트 재료와, DBzR로 이루어지는 발광하는 제1 도우펀트 재료와, tBuDPN으로 이루어지는 발광하지 않는 제2 도우펀트 재료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용이하게 호스트 재료로부터 발광하는 제1 도우펀트 재료로의 에너지의 이동을 행하는 기능을 갖는 오렌지색 발광 층을 얻을 수 있다.
또한, 청색 발광층은 안트라센 유도체로 이루어지는 호스트 재료와, 페리렌 유도체로 이루어지는 발광하는 제1 도우펀트 재료와, 아민 유도체로 이루어져, 캐리어의 수송을 보조하는 기능을 갖는 발광하지 않는 제2 도우펀트 재료를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이 경우, 청색 발광층은 TBADN으로 이루어지는 호스트 재료와, TBP로 이루어지는 발광하는 제1 도우펀트 재료와, NPB로 이루어지는 발광하지 않는 제2 도우펀트 재료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용이하게 캐리어의 수송을 보조하는 기능을 갖는 청색 발광층을 얻을 수 있다.
또한, 상기 하나의 국면에 의한 발광 소자에 있어서, 바람직하게는 제1 발광층은 발광면측에 배치된 오렌지색 발광층을 포함하고, 제2 발광층은 발광면과는 반대측에 배치된 청색 발광층을 포함한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정공 수송층 상에 오렌지색 발광층이 형성되기 때문에, 전자 이동도가 작은 NPB로 이루어지는 정공 수송층 상에 청색 발광층을 형성하는 경우에 발생하는 전자가 청색 발광층의 하면에 저장됨으로써 전자의 주입이 저해된다는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나의 국면에 의한 발광 소자에 있어서, 바람직하게는 기판 상에, 화소마다 형성된 박막 트랜지스터와, 박막 트랜지스터가 형성되지 않는 영역의 상측이며, 또한 제1 발광층 및 제2 발광층의 하측에 배치된 컬러 필터를 더 구비한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발광 효율 및 신뢰성(소자 수명)이 향상된 액티브 구동형의 풀컬러 디스플레이를 얻을 수 있다.
상기 하나의 국면에 의한 발광 소자에 있어서, 바람직하게는 제1 발광층은 호스트 재료로부터 발광하는 제1 도우펀트 재료로의 에너지의 이동을 행하는 기능을 갖는 제2 도우펀트 재료를 함유하는 오렌지색 발광층을 포함한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호스트 재료로부터 발광하는 제1 도우펀트로의 에너지의 이동을 행하는 기능에 의해 호스트 재료로부터 발광하는 제1 도우펀트로의 에너지의 이동을 효율적으로 행할 수 있기 때문에, 용이하게 오렌지색 발광층의 발광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하나의 국면에 의한 발광 소자에 있어서, 바람직하게는 제2 발광층은 캐리어의 수송을 보조하는 기능을 갖는 제2 도우펀트 재료를 함유하는 청색 발광층을 포함한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캐리어의 수송을 보조하는 기능에 의해 캐리어의 재결합 확률을 향상시킬 수 있기 때문에, 용이하게 청색 발광층의 발광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하나의 국면에 의한 발광 소자에 있어서, 바람직하게는 발광하지 않는 제2 도우펀트는 적어도 2개의 제2 도우펀트를 포함하고, 그 적어도 2개의 제2 도우펀트는 캐리어의 수송을 보조하는 도우펀트와, 호스트 재료로부터 발광하는 제1 도우펀트 재료로의 에너지의 이동을 행하는 도우펀트를 포함한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캐리어의 수송을 보조하는 기능에 의해 캐리어의 재결합 확률을 향상시킬 수 있음과 함께, 호스트 재료로부터 발광하는 제1 도우펀트로의 에너지의 이동을 행하는 기능에 의해 호스트 재료로부터 발광하는 제1 도우펀트로의 에너지의 이동을 효율적으로 행할 수 있기 때문에, 보다 발광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구체화한 실시예를 도면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제1 실시예〉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제1 실시예에 따른 유기 EL 소자의 구조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1 실시예에 따른 유기 EL 소자에서는 유리 기판(1) 상에, SiNx막과 SiO2막과의 적층막으로 이루어지는 약 130㎚의 막 두께를 갖는 보호막(2)이 형성되어 있다. 또, 유리 기판(1)은 본 발명의 「기판」의 일례이다. 보호막(2) 상에는 소정의 간격을 사이에 두고 섬 형상화된 폴리실리콘막(3)이 형성되어 있다. 폴리실리콘막(3) 및 보호막(2) 상에는 SiO2막과 SiNx막과의 적층막으로 이루어지는 약 100㎚의 두께를 갖는 게이트 절연막(4)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게이트 절연막(4) 상의 폴리실리콘막(3)의 상측에 위치하는 영역에는 게이트 전극(5)이 형성되어 있다. 폴리실리콘막(3)과, 게이트 절연막(4)과, 게이트 전극(5)에 의해, 박막 트랜지스터(TFT)가 형성되어 있다. 이 TFT는 화소마다 형성되어 있다.
또한, 게이트 전극(5) 및 게이트 절연막(4)을 덮도록, SiNx막과 SiO2막과의 적층막으로 이루어지는 약 500㎚의 두께를 갖는 층간 절연막(6)이 형성되어 있다. 층간 절연막(6) 상에는 소정의 간격을 사이에 두고, 신호 라인(7)이 형성되어 있다. 신호 라인(7) 및 층간 절연막(6)을 덮도록, SiNx막으로 이루어지는 약 300㎚의 두께를 갖는 층간 절연막(8)이 형성되어 있다. 층간 절연막(8) 상에는 소정의 간격을 사이에 두고, 약 1600㎚의 두께를 갖는 적색 필터(9a)와, 약 1650㎚의 두께를 갖는 녹색 필터(9b)와, 약 1700㎚의 두께를 갖는 청색 필터(9c)가 형성되어 있다. 적색 필터(9a), 녹색 필터(9b) 및 청색 필터(9c)는 TFT가 형성되는 영역 이외의 영역의 상측에 형성되어 있다. 적색 필터(9a)와 녹색 필터(9b)와 청색 필터(9c)에 의해, 컬러 필터가 구성되어 있다.
적색 필터(9a), 녹색 필터(9b) 및 청색 필터(9c)를 덮도록, 약 1100㎚의 두께를 갖는 레지스트로 이루어지는 평탄화막(10)이 형성되어 있다. 평탄화막(10) 상에는 소정의 간격을 사이에 두고, 화소 전극을 구성하는 약 85㎚의 두께를 갖는 ITO(Indium Tin Oxide)막으로 이루어지는 투명 양극(11)이 형성되어 있다. 투명 양극(11) 사이에 위치하는 평탄화막(10)의 상면과, 투명 양극(11)의 단부를 덮도록, 약 100㎚의 두께를 갖는 레지스트로 이루어지는 화소 분리 구조체(12)가 형성되어 있다.
투명 양극(11) 및 화소 분리 구조체(12)를 덮도록, 유기층(13)이 형성되어 있다. 유기층(13) 상에는 Al로 이루어지는 음극(공통 전극)(14)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유기층(13)은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홀 주입층(21)과, 홀 주입층(21) 상에 형성된 홀 수송층(22)과, 홀 수송층(22) 상에 형성된 오렌지색 발광층(23)과, 오렌지색 발광층(23) 상에 형성된 청색 발광층(24)과, 청색 발광층(24) 상에 형성된 전자 수송층(25)과, 전자 수송층(25) 상에 형성된 전자 주입층(26)을 포함하고 있다, 홀 주입층(21)은 투명 양극(11)(도 1 참조) 상에 접하도록 형성된 약 10㎚의 두께를 갖는 CuPC막과, CuPC막 상에 형성된 약 1㎚의 두께를 갖는 CFx막(플루오로 카본 중합막)과의 적층막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홀 수송 층(22)은 약 140㎚의 두께를 갖는 NPB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제1 실시예에서는 오렌지색 발광층(23)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호스트 재료인 NPB(N, N'-Di(naphthalene-1-yl)-N, N'-diphenyl benzidine)와, 발광 도우펀트인 DBzR(5, 12-Bis(4-(6-methylbenzothiazol-2-yl)phenyl)-6, 11-diphenylnaphthacene)와, 발광하지 않는 보조 도우펀트인 tBuDPN(5, 12-Bis(4-tert-butylphenyl)naphthacene)를 포함하고 있다. 발광 도우펀트인 DBzR은 약 0.1중량%∼약 20중량% 함유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DBzR의 함유율이 약 0.1중량% 미만에서는 유효한 발광이 얻어지지 않음과 함께, DBzR의 함유율이 약 20중량%을 초과하면, 농도 소광에 의해 발광 강도가 작아지기 때문이다. 이 점을 고려하여, 제1 실시예에서는 DBzR의 함유율을 약 3중량%로 하고 있다. 이 발광 도우펀트인 DBzR은 나프타센 유도체로, 오렌지색을 발광하는 기능을 갖는다. 이 발광 도우펀트인 DBzR에 의해, 오렌지색 발광층(23)은 약 550㎚∼약 650㎚의 발광 파장을 갖는 광을 발광한다.
또한, 보조 도우펀트인 tBuDPN은 약 5중량%∼약 50중량% 함유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tBuDPN의 함유율이 약 5중량% 미만에서는 후술하는 보조 도우펀트로서의 기능을 충분히 얻을 수 없기 때문이다. 이 점을 고려하여, 제1 실시예에서는 tBuDPN의 함유율을 약 10중량%로 하고 있다. 이 보조 도우펀트인 tBuDPN은 나프타센 유도체로, 호스트 재료인 NPB로부터 발광 도우펀트인 DBzR로 에너지의 이동을 행하는 기능을 갖는다.
또, 호스트 재료인 NPB는 아민 유도체이다. 또한, 오렌지색 발광층(23)에 포함되는 호스트 재료인 NPB, 발광 도우펀트인 DBzR 및 보조 도우펀트인 tBuDPN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은 분자 구조를 갖는다. 또, 오렌지색 발광층(23)은 본 발명의 「제1 발광층」의 일례이고, 발광 도우펀트인 DBzR은 본 발명의 「제1 도우펀트 재료」의 일례이다. 또한, 보조 도우펀트인 tBuDPN은 본 발명의 「제2 도우펀트 재료」의 일례이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청색 발광층(24)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호스트 재료인 TBADN(2-tert Butyl-9, 10-di(2-naphtyl)anthracene)와, 발광 도우펀트인 TBP(1, 4, 7, 10-Tetra-tert butyl perylene)와, 보조 도우펀트인 NPB를 포함하고 있다. 발광 도우펀트인 TBP는 약 0.1중량%∼약 10중량% 함유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TBP의 함유율이 약 0.1중량% 미만에서는 유효인 발광이 얻어지지 않음과 함께, TBP의 함유율이 약 10중량%을 초과하면, 농도 소광에 의해 발광 강도가 작아지기 때문이다. 이 점을 고려하여, 제1 실시예에서는 TBP의 함유율을 약 2중량%로 하고 있다. 이 발광 도우펀트인 TBP는 페리렌 유도체로, 청색을 발광하는 기능을 갖는다. 이 발광 도우펀트인 TBP에 의해, 청색 발광층(24)은 약 420㎚∼약 550㎚의 발광 파장을 갖는 광을 발광한다.
또한, 보조 도우펀트인 NPB는 약 5중량%∼약 50중량% 함유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NPB의 함유율이 약 5중량% 미만에서는 후술하는 보조 도우펀트로서의 기능을 충분히 얻을 수 없기 때문이다. 이 점을 고려하여, 제1 실시예에서는 NPB의 함유율을 약 10중량%로 하고 있다. 이 보조 도우펀트인 NPB는 아민 유도체로, 캐리어(홀)의 수송을 보조하는 기능을 갖는다. 또, 호스트 재료인 TBADN은 안트라센 유도체이다. 또한, 청색 발광층(24)을 구성하는 호스트 재료인 TBADN, 발광 도우펀트인 TBP 및 보조 도우펀트인 NPB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은 분자 구조를 갖는다.
또, 청색 발광층(24)은 본 발명의 「제2 발광층」의 일례이고, 발광 도우펀트인 TBP는 본 발명의 「제1 도우펀트 재료」의 일례이다. 또한, 보조 도우펀트인 NPB는 본 발명의 「제2 도우펀트 재료」의 일례이다.
또한, 전자 수송층(25)은 약 10㎚의 두께를 갖는 Alq3(Tris(8-hydroxyquinolinato)aluminum)으로 이루어진다. 이 전자 수송층을 구성하는 Alq3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은 분자 구조를 갖는다. 또한, 전자 주입층(26)은 약 1㎚의 두께를 갖는 LiF로 이루어진다. 또, 상술한 홀 주입층(21)을 구성하는 CuPC(Copper(Ⅱ)phthalocyanine)은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은 분자 구조를 갖는다.
또한, 제1 실시예에서는 오렌지색 발광층(23)에 의한 오렌지색의 발광과, 청색 발광층(24)에 의한 청색의 발광에 따라,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백색 발광이 얻어진다. 그리고, 이 백색 발광이 컬러 필터(적색 필터(9a), 녹색 필터(9b) 및 청색 필터(9c))를 통하여, 유리 기판(1)으로부터 출사된다.
제1 실시예에서는 상기한 바와 같이 오렌지색 발광층(23)에, 호스트 재료인 NPB로부터 발광 도우펀트인 DBzR로의 에너지의 이동을 행하는 기능을 갖는 보조 도우펀트인 tBuDPN을 함유시킴으로써, 호스트 재료인 NPB로부터 발광 도우펀트인 DBzR로의 에너지의 이동을 효율적으로 행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오렌지색 발광층(23)의 발광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청색 발광층(24)에, 홀의 수 송을 보조하는 기능을 갖는 보조 도우펀트인 NPB를 함유시킴으로써, 캐리어(정공 및 전자)의 재결합 확률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에 의해, 청색 발광층(24)의 발광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오렌지색 발광층(23)과 청색 발광층(24)과의 양방의 발광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기 때문에, 백색 발광의 발광 효율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발광 효율을 향상할 수 있으므로, 소자에 많은 전류를 흘릴 필요가 없다. 그 결과, 소자의 열화를 억제할 수 있으므로, 소자의 신뢰성(소자 수명)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8에는 오렌지색 발광층(23)에 보조 도우펀트로서 tBuDPN을 함유시킴과 함께, 청색 발광층(24)에 보조 도우펀트로서 NPB를 함유시킨 제1 실시예에 따른 유기 EL 소자의 EL 강도와, 이들의 보조 도우펀트를 함유시키지 않은 종래의 유기 EL 소자의 EL 강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8을 참조하여, 제1 실시예에서는 청색에 대응하는 EL 강도 및 오렌지색에 대응하는 EL 강도의 양방으로, 종래보다 커지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본원 발명자가 실제로 발광 효율을 측정한 바, 종래에 의한 유기 EL 소자에서는 발광 효율이 7∼8cd/A인 반면, 제1 실시예에 따른 유기 EL 소자에서는 약 10∼15cd/A의 발광 효율을 얻을 수 있었다.
또한, 제1 실시예에서는 오렌지색 발광층(23)을, 발광면측의 홀 수송층(22) 상에 배치함으로써, 보다 발광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NPB로 이루어지는 홀 수송층(22) 상에, 직접 청색 발광층(24)을 배치하면, 청색 발광층(24)에 들어 온 전자가 전자 이동도가 작은 NPB로 이루어지는 홀 수송층(22)으로 들어가기 때문에, 청색 발광층(24)의 하면에 전자가 축적된다. 이 경우, 청색 발광층(24)에 전자가 주입되는 것이 저해되므로, 발광 효율 및 수명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대하여, 청색 발광층(24)과 NPB로 이루어지는 홀 수송층(22) 사이에, 오렌지색 발광층(23)을 배치하면, 오렌지색 발광층(23)을 구성하는 보조 도우펀트인 tBuDPN에 의해, 청색 발광층(24) 내의 전자가 오렌지색 발광층(23)에 들어가기 쉬워진다. 이에 의해, 청색 발광층(24)의 하면에 전자가 저장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으므로, 청색 발광층(24)의 발광 효율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 결과, 발광 효율 및 수명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제1 실시예에서는 상기한 바와 같이 발광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기 때문에, 도 1에 도시한 TFT 및 컬러 필터(적색 필터(9a), 녹색 필터(9b) 및 청색 필터(9c))를 이용한 경우에, TFT에 의한 개구율에 기인하는 광 손실이나 컬러 필터에 기인하는 광 손실이 있었다고 해도, 양호한 발광을 얻을 수 있다. 이에 의해, 발광 효율 및 신뢰성(소자 수명)이 향상된 액티브 구동형의 풀컬러 유기 EL 디스플레이를 얻을 수 있다.
〈제2 실시예〉
제2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1 실시예에서, 청색 발광층(24)에만 홀의 수송을 보조하는 기능을 갖는 보조 도우펀트인 NPB를 함유시키고, 오렌지색 발광층(23)에는 보조 도우펀트인 tBuDPN을 함유시키지 않은 경우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9를 참조하여, 제2 실시예에서는 청색 발광만 EL 강도가 증가하고, 오렌지색 발광에 대해서는 종래(도 8 참조)와 마찬가지이다. 이 경우에도, 청색 발광층(24)에 의한 발광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기 때문에, 그 만큼 종래에 비하여, 백색 발광의 발광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발광 효율의 향상에 의해, 소자의 신뢰성(소자 수명)도 향상시킬 수 있다.
〈제3 실시예〉
제3 실시예에서는 제1 실시예의 구성에서, 오렌지색 발광층(23)에만, 호스트 재료로부터 발광 도우펀트 재료로의 에너지의 이동을 행하는 보조 도우펀트인 tBuDPN을 함유시킴과 함께, 청색 발광층(24)에는 보조 도우펀트인 NPB를 함유시키지 않는 경우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0을 참조하여, 제3 실시예에서는 오렌지색의 EL 강도만이 증가하고, 청색의 EL 강도는 종래(도 8 참조)와 마찬가지이다. 이 경우에도, 오렌지색 발광층(23)의 발광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기 때문에, 그 만큼 종래에 비하여, 백색 발광의 발광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발광 효율의 향상에 의해, 소자의 신뢰성(소자 수명)도 향상시킬 수 있다.
또, 금회 개시된 실시예는 모든 점에서 예시로 제한적인 것이 아니라고 생각되어야 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한 실시예의 설명이 아니라 특허 청구의 범위에 의해 설명되고, 또한 특허 청구의 범위와 균등의 의미 및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이 포함된다.
예를 들면, 상기 실시예에서는 1개의 호스트 재료에, 1개의 발광 도우펀트와 1개의 보조 도우펀트를 함유시키는 예를 나타내었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하지 않고, 2개 이상의 보조 도우펀트를 함유하도록 해도 된다. 또, 2개 이상의 보조 도우펀트를 함유시키는 경우에는 에너지의 이동을 돕는 보조 도우펀트와 캐리어의 수송을 돕는 보조 도우펀트와의 양방을 함유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2개의 호스트 재료에 복수의 도우펀트를 함유시키도록 해도 된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서는 액티브 구동형의 풀컬러 유기 EL 소자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풀컬러가 아닌 백색 발광의 유기 EL 소자에도 적용 가능하다. 또한, 유기 EL 소자 이외의 발광 소자에도 적용 가능하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서는 호스트 재료로부터 발광 도우펀트 재료로의 에너지의 이동을 행하는 보조 도우펀트로서 tBuDPN을 이용하는 경우에 대해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호스트 재료로부터 발광 도우펀트로의 에너지를 이동을 하는 기능을 갖는 도우펀트이면, 루브렌 유도체 등의 다른 보조 도우펀트를 이용해도 된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서는 캐리어의 수송을 돕는 보조 도우펀트로서 NPB를 이용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캐리어의 수송을 돕는 기능을 갖는 다른 보조 도우펀트를 이용해도 된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서는 오렌지색 발광층의 호스트 재료로서, 아민 유도체인 NPB를 이용한 예를 나타내었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NPB 이외의 아민 유도체로 이루어지는 호스트 재료를 이용해도 된다. 예를 들면,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은 아민 유도체인 mTPD(N, N'-(3-methylphenyl)-1, 1'-biphenyl-4, 4'-diamine)이나 pTPD(N, N'-(4-methylphenyl)-1, 1'-biphenyl-4, 4-diamine)을, 오렌지색 발광층의 호스트 재료로서 이용해도 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발광 효율 및 신뢰성(소자 수명)을 향상시킬 수 있는 복수의 발광층을 포함하는 발광 소자를 제공할 수 있다.

Claims (20)

  1. 기판 상에 형성된 제1 발광층과,
    상기 제1 발광층에 대하여 적층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1 발광층과는 다른 파장의 광을 발광하는 제2 발광층을 구비한 발광 소자에 있어서,
    상기 제1 발광층은, 호스트 재료와, 발광하는 제1 도우펀트 재료와, 상기 호스트 재료로부터 상기 발광하는 제1 도우펀트 재료로의 에너지의 이동을 행하는 제2 도우펀트 재료를 함유하는 오렌지색 발광층을 포함하고,
    상기 제2 발광층은, 호스트 재료와, 발광하는 제1 도우펀트 재료와, 캐리어의 수송을 보조하는 제2 도우펀트 재료를 함유하는 청색 발광층을 포함하는 발광 소자.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오렌지색 발광층의 상기 제2 도우펀트 재료는 나프타센 유도체를 포함하는 발광 소자.
  4. 제3항에 있어서,
    나프타센 유도체를 포함하는 상기 오렌지색 발광층의 상기 제2 도우펀트 재료는 tBuDPN인 발광 소자.
  5. 제4항에 있어서,
    tBuDPN으로 이루어지는 상기 오렌지색 발광층의 상기 제2 도우펀트 재료는 5중량% 이상 50중량% 미만으로 함유되어 있는 발광 소자.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오렌지색 발광층의 상기 제2 도우펀트 재료는 루브렌 유도체를 포함하는 발광 소자.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청색 발광층의 상기 제2 도우펀트 재료는 아민 유도체를 포함하는 발광 소자.
  8. 제7항에 있어서,
    아민 유도체를 포함하는 상기 청색 발광층의 상기 제2 도우펀트는 NPB인 발광 소자.
  9. 제8항에 있어서,
    NPB로 이루어지는 상기 청색 발광층의 상기 제2 도우펀트 재료는 5중량% 이상 50중량% 미만으로 함유되어 있는 발광 소자.
  10. 삭제
  11. 삭제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오렌지색 발광층의 상기 호스트 재료는 아민 유도체로 이루어지고,
    상기 오렌지색 발광층의 상기 제1 도우펀트 재료는 나프타센 유도체로 이루어지며,
    상기 오렌지색 발광층의 상기 제2 도우펀트 재료는 나프타센 유도체로 이루어지는 발광 소자.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오렌지색 발광층의 상기 호스트 재료는 NPB로 이루어지고,
    상기 오렌지색 발광층의 상기 제1 도우펀트 재료는 DBzR로 이루어지며,
    상기 오렌지색 발광층의 상기 제2 도우펀트 재료는 tBuDPN으로 이루어지는 발광 소자.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청색 발광층의 상기 호스트 재료는 안트라센 유도체로 이루어지고,
    상기 청색 발광층의 상기 제1 도우펀트 재료는 페리렌 유도체로 이루어지며,
    상기 청색 발광층의 상기 제2 도우펀트 재료는 아민 유도체로 이루어지는 발광 소자.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청색 발광층의 상기 호스트 재료는 TBADN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청색 발광층의 상기 제1 도우펀트는 TBP로 이루어지며,
    상기 청색 발광층의 상기 제2 도우펀트 재료는 NPB로 이루어지는 발광 소자.
  1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오렌지색 발광층은 발광면측에 배치되고,
    상기 청색 발광층은 상기 발광면과는 반대측에 배치되는 발광 소자.
  1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 상에, 화소마다 형성된 박막 트랜지스터와,
    상기 박막 트랜지스터가 형성되지 않은 영역의 상측이며, 또한 상기 제1 발광층 및 상기 제2 발광층의 하측에 배치된 컬러 필터를 더 포함하는 발광 소자.
  18. 삭제
  19. 삭제
  20. 삭제
KR1020030033981A 2002-09-30 2003-05-28 복수의 발광층을 포함하는 발광 소자 KR10094485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2-00287425 2002-09-30
JP2002287425 2002-09-30
JPJP-P-2003-00144278 2003-05-22
JP2003144278A JP2004179142A (ja) 2002-09-30 2003-05-22 発光素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28479A KR20040028479A (ko) 2004-04-03
KR100944854B1 true KR100944854B1 (ko) 2010-03-04

Family

ID=320446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33981A KR100944854B1 (ko) 2002-09-30 2003-05-28 복수의 발광층을 포함하는 발광 소자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6936962B2 (ko)
JP (1) JP2004179142A (ko)
KR (1) KR100944854B1 (ko)
CN (1) CN100466324C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933520B2 (en) * 2002-02-13 2005-08-23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Light emitting device
JP2004288624A (ja) * 2003-03-03 2004-10-14 Sanyo Electric Co Ltd 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表示装置
JP3877692B2 (ja) * 2003-03-28 2007-02-07 三洋電機株式会社 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素子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05105187A (ja) * 2003-09-30 2005-04-21 Sanyo Electric Co Ltd 発光材料及び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ト素子
JP2005108729A (ja) * 2003-09-30 2005-04-21 Sanyo Electric Co Ltd 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ト素子
US7368178B2 (en) * 2004-01-08 2008-05-06 Eastman Kodak Company Stable 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using aminoanthracenes
KR100657892B1 (ko) * 2004-02-11 2006-12-14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유기 전계 발광 소자
JP2005310742A (ja) * 2004-03-25 2005-11-04 Sanyo Electric Co Ltd 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素子
JP4090447B2 (ja) * 2004-03-29 2008-05-28 三洋電機株式会社 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素子
JP4393249B2 (ja) * 2004-03-31 2010-01-06 株式会社 日立ディスプレイズ 有機発光素子,画像表示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CN100405440C (zh) * 2004-05-25 2008-07-23 日本胜利株式会社 显示装置
US7196469B2 (en) * 2004-06-18 2007-03-27 Eastman Kodak Company Reducing undesirable absorption in a microcavity OLED
US7288330B2 (en) 2004-07-01 2007-10-30 Eaastman Kodak Company High performance white light-emitting OLED device
US7504163B2 (en) * 2004-07-12 2009-03-17 Eastman Kodak Company Hole-trapping materials for improved OLED efficiency
US20060019116A1 (en) * 2004-07-22 2006-01-26 Eastman Kodak Company White electroluminescent device with anthracene derivative host
TWI382079B (zh) 2004-07-30 2013-01-11 Sanyo Electric Co 有機電場發光元件及有機電場發光顯示裝置
JP4785386B2 (ja) * 2005-01-31 2011-10-05 三洋電機株式会社 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ト素子及び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ト表示装置
JP4565921B2 (ja) * 2004-07-30 2010-10-20 三洋電機株式会社 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ト素子及び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ト表示装置
JP4578215B2 (ja) * 2004-11-30 2010-11-10 三洋電機株式会社 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ト素子及び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ト表示装置
JP4434872B2 (ja) * 2004-07-30 2010-03-17 三洋電機株式会社 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ト素子及び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ト表示装置
JP4565922B2 (ja) * 2004-07-30 2010-10-20 三洋電機株式会社 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ト素子及び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ト表示装置
US20060040131A1 (en) * 2004-08-19 2006-02-23 Eastman Kodak Company OLEDs with improved operational lifetime
US20060141287A1 (en) * 2004-08-19 2006-06-29 Eastman Kodak Company OLEDs with improved operational lifetime
US7767316B2 (en) * 2004-09-20 2010-08-03 Global Oled Technology Llc Organic electroluminescent devices and composition
JP2006173050A (ja) * 2004-12-20 2006-06-29 Nippon Seiki Co Ltd 有機el素子
US7471041B2 (en) * 2005-04-25 2008-12-30 Eastman Kodak Company OLED multicolor displays
US7531959B2 (en) * 2005-06-29 2009-05-12 Eastman Kodak Company White light tandem OLED display with filters
JP4999291B2 (ja) 2005-06-30 2012-08-15 三洋電機株式会社 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素子およびそれを備える表示装置又は発光装置
US7622619B2 (en) 2005-07-20 2009-11-24 Lg Display Co., Ltd. Synthesis process
JP4785509B2 (ja) * 2005-11-30 2011-10-05 三洋電機株式会社 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ト素子及び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ト表示装置
US20070126347A1 (en) * 2005-12-01 2007-06-07 Eastman Kodak Company OLEDS with improved efficiency
KR101202344B1 (ko) * 2005-12-28 2012-11-16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소자 및 이를 구비한 평판 표시 장치
KR100670383B1 (ko) 2006-01-18 2007-01-16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소자 및 이를 구비한 평판 표시 장치
KR100751366B1 (ko) * 2006-02-10 2007-08-22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백색-발광 유기 발광 소자 및 이를 구비한 평판 표시 장치
US8945722B2 (en) * 2006-10-27 2015-02-03 The University Of Southern California Materials and architectures for efficient harvesting of singlet and triplet excitons for white light emitting OLEDs
JP5194700B2 (ja) * 2007-10-11 2013-05-08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装置及び電子機器
WO2010026859A1 (en) * 2008-09-05 2010-03-11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Light-emitting element, light-emitting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US8147989B2 (en) * 2009-02-27 2012-04-03 Global Oled Technology Llc OLED device with stabilized green light-emitting layer
JP2010225563A (ja) * 2009-03-25 2010-10-07 Panasonic Electric Works Co Ltd 有機el素子
KR101657222B1 (ko) * 2010-05-14 2016-09-19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소자
US8456081B2 (en) * 2010-06-03 2013-06-04 The University Of Southern California Ultrabright fluorescent OLEDS using triplet sinks
US8654806B2 (en) 2011-10-27 2014-02-18 The Regents Of The University Of Michigan Organic semiconductor lasers by triplet managers
KR101945930B1 (ko) * 2012-01-05 2019-02-1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소자
JP6386136B2 (ja) * 2012-04-13 2018-09-05 株式会社半導体エネルギー研究所 発光素子、発光装置、電子機器および照明装置
JP6468689B2 (ja) 2012-04-13 2019-02-13 株式会社半導体エネルギー研究所 発光素子、発光装置、電子機器及び照明装置
CN104269429B (zh) 2014-09-19 2017-05-31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有机电致发光显示器件、其驱动方法及显示装置
KR102288348B1 (ko) * 2014-09-24 2021-08-1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소자
KR102321379B1 (ko) * 2014-09-24 2021-11-04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소자
CN105679957B (zh) * 2016-04-20 2017-12-05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有机发光器件及其制备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64362A (ja) * 1998-05-19 2000-06-16 Sanyo Electric Co Ltd 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素子
JP2002108285A (ja) * 2000-07-27 2002-04-10 Semiconductor Energy Lab Co Ltd 表示装置の駆動方法
JP2002117980A (ja) 2001-08-06 2002-04-19 Sanyo Electric Co Ltd 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素子
JP2002216971A (ja) * 2001-01-19 2002-08-02 Toyota Central Res & Dev Lab Inc 有機電界発光素子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339290B1 (en) * 1998-08-21 2002-01-15 Tdk Corporation Organic electroluminescent device and making method
JP3287344B2 (ja) 1998-10-09 2002-06-04 株式会社デンソー 有機el素子
KR20010104215A (ko) * 2000-05-12 2001-11-24 야마자끼 순페이 발광장치 제작방법
SG118118A1 (en) * 2001-02-22 2006-01-27 Semiconductor Energy Lab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and display using the same
EP1374320B1 (en) * 2001-03-14 2020-05-06 The Trustees Of Princeton University Materials and devices for blue phosphorescence based 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64362A (ja) * 1998-05-19 2000-06-16 Sanyo Electric Co Ltd 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素子
JP2002108285A (ja) * 2000-07-27 2002-04-10 Semiconductor Energy Lab Co Ltd 表示装置の駆動方法
JP2002216971A (ja) * 2001-01-19 2002-08-02 Toyota Central Res & Dev Lab Inc 有機電界発光素子
JP2002117980A (ja) 2001-08-06 2002-04-19 Sanyo Electric Co Ltd 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素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498044A (zh) 2004-05-19
US6936962B2 (en) 2005-08-30
JP2004179142A (ja) 2004-06-24
KR20040028479A (ko) 2004-04-03
US20040066139A1 (en) 2004-04-08
CN100466324C (zh) 2009-03-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44854B1 (ko) 복수의 발광층을 포함하는 발광 소자
US6876144B2 (en) Organic electroluminescent device having host material layer intermixed with luminescent material
US6750472B2 (en) Organic electroluminescent device
KR100886976B1 (ko) 다색 발광 장치 및 그의 제조 방법
KR101262758B1 (ko) 발광소자
EP1056141B1 (en) Electroluminescent device having a very thin emission layer
KR100626975B1 (ko) 유기 일렉트로루미네선스 소자
US6759145B2 (en) White light emitting organic electroluminescent device and method for fabricating the same
JP4785386B2 (ja) 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ト素子及び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ト表示装置
US20090242911A1 (en) Organic light-emitting display device
US20060066231A1 (en) Electroluminescence element
US6287712B1 (en) Color-tunable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s
JPH09199276A (ja) 有機薄膜el素子
TWI407613B (zh) 有機電致發光裝置及顯示元件
JP4565922B2 (ja) 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ト素子及び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ト表示装置
KR100751464B1 (ko) 유기 전계 발광 소자
JP2007011063A (ja) 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表示装置
JP2006066380A (ja) 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ト素子及び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ト表示装置
KR100594775B1 (ko) 백색 유기발광소자
KR101101940B1 (ko) 이중 도핑을 이용한 고효율 진적색 인광 유기발광소자 및 그 제조 방법
JP4434872B2 (ja) 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ト素子及び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ト表示装置
JP2006108190A (ja) 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素子
JP2006073642A (ja) 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素子およびそれを備える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装置
US20060166036A1 (en) Organic light-emitting diodes and displays incorporating the same
CN100539785C (zh) 有机电致发光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30528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080421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030528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90624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00125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00222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00222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30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0130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04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0204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20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0120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05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105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03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103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19

Year of fee payment: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119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119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106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105

Start annual number: 14

End annual number: 14

PC1801 Expiration of term

Termination date: 20231128

Termination category: Expiration of du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