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934612B1 - 비수전해액 2차전지용 양극활성물질, 그 제조법,비수전해액 2차전지, 및 양극의 제조법 - Google Patents

비수전해액 2차전지용 양극활성물질, 그 제조법,비수전해액 2차전지, 및 양극의 제조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34612B1
KR100934612B1 KR1020037016383A KR20037016383A KR100934612B1 KR 100934612 B1 KR100934612 B1 KR 100934612B1 KR 1020037016383 A KR1020037016383 A KR 1020037016383A KR 20037016383 A KR20037016383 A KR 20037016383A KR 100934612 B1 KR100934612 B1 KR 1009346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si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secondary battery
nonaqueous electrolyte
electrolyte secondary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370163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15266A (ko
Inventor
후지와라데츠
오노시게루
무로타다다토시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산도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산도쿠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산도쿠
Publication of KR200400152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1526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346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34612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36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 H01M4/48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of inorganic oxides or hydroxides
    • H01M4/52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of inorganic oxides or hydroxides of nickel, cobalt or iron
    • H01M4/525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of inorganic oxides or hydroxides of nickel, cobalt or iron of mixed oxides or hydroxides containing iron, cobalt or nickel for inserting or intercalating light metals, e.g. LiNiO2, LiCoO2 or LiCoOxF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36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 H01M4/48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of inorganic oxides or hydroxid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2Li-accumulators
    • H01M10/0525Rocking-chair batteries, i.e. batteries with lithium insertion or intercalation in both electrodes; Lithium-ion batteri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04Processes of manufacture in genera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13Electrodes for 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e.g. for lithium-accumulators; Processes of manufacture thereof
    • H01M4/139Processes of manufactu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36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 H01M4/48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of inorganic oxides or hydroxides
    • H01M4/50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of inorganic oxides or hydroxides of manganese
    • H01M4/505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of inorganic oxides or hydroxides of manganese of mixed oxides or hydroxides containing manganese for inserting or intercalating light metals, e.g. LiMn2O4 or LiMn2OxF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2004/021Physical characteristics, e.g. porosity, surface area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Battery Electrode And Active Subsutance (AREA)
  • Secondary Cells (AREA)

Abstract

비수전해액 2차전지에서의 부하 특성을 유효하게 개선하여, 고용량화가 가능한, 충전효율이 높고, 충전밀도가 큰 비수전해액 2차전지용 양극활성물질 및 그 제조법으로서, 이 양극활성물질은, Li과, Co, Ni, Mn 및 Fe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천이원소를 포함하는 복합산화물 입자로 이루어지고, 상기 복합산화물 입자가, 최장경을 D1, 최단경을 D2라고 했을 때의 D1/D2이 1.0∼2.0의 범위에 있는 구상 및/또는 타원구상의 입자를 90% 이상 포함한다.
복합산화물, 리튬 화합물, 천이원소, 비표면적, 비수전해액, 2차전지, 양극활성물질, 소성

Description

비수전해액 2차전지용 양극활성물질, 그 제조법, 비수전해액 2차전지, 및 양극의 제조법{NONAQUEOUS ELECTROLYTE SECONDARY BATTERY-USE ANODE ACTIVE MATTER, PRODUCTION METHOD THEREFOR, NONAQUEOUS ELECTROLYTE SECONDARY BATTERY, AND PRODUCTION METHOD FOR ANODE}
본 발명은, 비수용액을 전해질로 한 2차전지에 있어서의, 부하 특성을 유효하게 개선하고, 고용량화가 가능한 비수전해액 2차전지용 양극활성물질, 그 제조법, 이 양극활성물질을 사용한 비수전해액 2차전지, 및 이 비수전해액 2차전지용 양극의 제조법에 관한 것이다.
근년, 비디오 카메라, 휴대형 CD, 휴대전화, PDA, 노트북 등의 휴대용 전자기기의 소형화, 경량화, 고성능화가 진행되고 있다. 휴대용 전자기기의 전원에는, 고용량이고 또한 중부하 특성이 우수한 안정성이 높은 2차전지가 필요하게 되고 있다. 이러한 목적에 합치한 2차전지로서는, 시일연축전지, 니켈·카드뮴 축전지가 사용되어 왔는데, 보다 에너지 밀도가 높은 전지로서 니켈수소 축전지, 비수전해액 2차전지로서 리튬이온 2차전지가 실용화에 달하고 있다.
리튬이온 2차전지는, 양극활성물질로서, Li과, Co, Ni, Mn 등의 천이금속과의 복합산화물을 사용하고, 음극활성물질에 리튬이온을 삽입·탈삽입할 수 있는 탄 소 등의 탄소질 재료를 사용한 2차전지이며, 니켈수소 축전지 등에 비해 용량이 크고, 또 전압이 높다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그러나, 최근의 더한층의 고용량화나 대전류화의 요구에 대해 양극활성물질의 충전밀도를 올리는 것이나, 양극활성물질과 혼합하는 도전 조제의 양을 줄임으로써 양극활성물 중량을 증가시키는 등의 대책이 필요하게 되었다.
이러한 요망에 응하기 위해 여러 연구가 행해지고 있는데, 그 중에 양극활성물질을 구형으로 해서 충전효율을 높이고, 충전효율의 향상에 의해 활성물질끼리의 접촉 면적을 늘림으로써 도전성을 향상시키고, 양극중의 도전 조제를 저감하여, 실질적으로 활성물 중량을 증가하는 시도가 행해지고 있다.
예를 들면, 일본특개평 10-74516호 공보에는, 양극활성물질을 중공구형으로 해서 충전효율을 향상시키는 동시에 비표면적을 증가하여, 전해액과의 접촉 면적을 늘려서 중부하시의 반응성을 높인다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 방법에서는, 활성물질이 중공구형이기 때문에, 구형에 의한 충전효율의 향상을 예상할 수 있다고 해도, 단위체적당에 충전할 수 있는 활성물질의 양은 저하해버려, 고용량은 기대할 수 없다.
일본특개평 11-273678호 공보에는, 코발트산 리튬 양극활성물질의 코발트원으로서, 구형 또는 타원구형의 옥시수산화 코발트를 사용하여, 옥시수산화 코발트와 리튬 화합물을 혼합, 소성해서 구형의 양극활성물질을 제조하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일본특개평 11-288716호 공보에는, 1차입자가 방사상으로 결집된 구형 또는 타원구형의 수산화니켈 코발트와 리튬 화합물을 혼합, 소성해서 구형의 양극 활성물질을 제조하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들 방법에서는, 양극활성물질을 생성하는 반응이 일어날 때에 리튬 화합물의 분해반응이나 천이금속 화합물의 분해반응이 동시에 일어난다. 이들 분해반응은 수증기나 탄산 가스 등의 기체의 생성을 동반하기 때문에, 생성한 활성물질은 구형을 유지하고 있지만 상당히 공극이 많은 것이 되고, 단위체적당에 충전할 수 있는 활성물질의 양은 저하해버려, 고용량은 기대할 수 없다.
(발명의 개시)
본 발명의 목적은, 비수전해액 2차전지에서의 부하 특성을 유효하게 개선하여, 고용량화가 가능한, 충전효율이 높고, 충전밀도가 큰 비수전해액 2차전지용 양극활성물질 및 그 제조법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우수한 방전용량을 얻을 수 있는 비수전해액 2차전지 및 이 비수전해액 2차전지용 양극의 제조법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Li과, Co, Ni, Mn 및 Fe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천이원소를 포함하는 복합산화물 입자로 이루어지고, 이 복합산화물 입자가, 최장경을 D1, 최단경을 D2라고 했을 때의 D1/D2가 1.0∼2.0의 범위에 있는 구상(球狀) 및/또는 타원구상의 입자를 90% 이상 포함하는 비수전해액 2차전지용 양극활성물질이 제공된다.
또 본 발명에 의하면, Co, Ni, Mn 및 Fe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천이원소의 화합물 입자와, 리튬 화합물을 포함하는 원재료를 혼합해 서 원료 혼합물을 준비하는 공정(A)과, 원료 혼합물 중의 리튬 화합물의 융점 이상의 온도에서 가소(假燒)하는 공정(B)과, 원료 혼합물 중의 리튬 화합물의 분해온도 이상에서 소성하는 공정(C)을 포함하는 비수전해액 2차전지용 양극활성물질의 제조법이 제공된다.
더욱이 본 발명에 의하면, 양극활성물질 분말을 갖는 양극과, 음극과, 전해액을 구비하고, 이 양극활성물질 분말이 상기 비수전해액 2차전지용 양극활성물질을 포함하는 비수전해액 2차전지가 제공된다.
더욱이 또 본 발명에 의하면, 복합산화물 입자를 포함하는 양극활성물질을 성형 가공하는, 상기 비수전해액 2차전지에 사용하는 양극의 제조법으로서, 주로 입경 2∼100㎛의 입자로 이루어지고, 또한 평균 입경이 5∼80㎛이며, Li과, Co, Ni, Mn 및 Fe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천이원소를 포함하고, 최장경을 D1, 최단경을 D2라고 했을 때의 D1/D2가 1.0∼2.0의 범위에 있는 구상 및/또는 타원구상의 입자를 90% 이상 포함하는 복합산화물 입자에서, 평균 입경이 10% 이상 다른 적어도 2종의 복합산화물 입자를 준비하는 공정(a)과, 공정(a)에서 준비한 복합산화물 입자를 혼합해서 양극활성물질을 얻는 공정(b)을 포함하는 비수전해액 2차전지용 양극의 제조법이 제공된다.
도 1은, 실시예1에서 조제한 양극활성물질의 1000배율의 SEM화상의 사진, 및
도 2는, 실시예1에서 조제한 양극활성물질의 5000배율의 SEM화상의 사진.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
이하,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비수전해액 2차전지용 양극활성물질(이하, 본 발명의 양극활성물질이라고 함)은, Li과, Co, Ni, Mn 및 Fe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천이원소를 포함하는 특정한 복합산화물 입자로 이루어진다.
상기 복합산화물로서는, 예를 들면, LiCoO2, LiNiO2, LiMn2O4, LiFeO2나, LiCo0.8Ni0.2O2, LiCo0.5Ni0.5O2, LiCo 0.1Ni0.9O2 등의 LiCoXNi1-XO2(0≤X≤1)로 표시되는 산화물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양극활성물질은, 상기 조성에 더하여, 알칼리 금속, 알칼리 토류금속, Ti, Zr, Hf, Y, Sc 및 희토류 금속 등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이 포함되어 있어도 좋다. 이들 금속 원소는, 본 발명의 양극활성물질의 격자간격을 넓혀서 용량을 증가시키거나, 충방전 효율을 높이거나, 양극활성물질의 소결성을 향상해서 밀도를 올리는 등의 작용을 갖는다.
이들 첨가원소의 첨가량은, 전체의 1중량% 이하가 바람직하고, 특히, 0.5중량% 이하, 0.3중량% 이하가 더욱 바람직하다. 1중량%를 초과하여 첨가해도 밀도향상을 기대할 수 없고, 오히려 본 발명의 양극활성물질의 용량이 저하될 우려가 있으므로 바람직하지 않다.
본 발명의 양극활성물질로서의 복합산화물 입자의 형상은, 주로 구상 또는 타원구상이다. 침상이나 방추상, 판상, 부정형의 것으로는, 충전효율을 올릴 수 없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고, 타원구상이여도 애스펙트비가 크고, 방추상에 가깝게 되면 충전효율이 내려가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다.
따라서, 상기 복합산화물 입자는, 최장경을 D1, 최단경을 D2라고 했을 때의 D1/D2(애스펙트비)가 1.0∼2.0, 바람직하게는 1.0∼1.5의 범위에 있는 구상 및/또는 타원구상의 입자를 90% 이상 포함한다.
본 발명의 양극활성물질의 탭밀도는 높은 편이 좋다. 탭밀도가 낮으면 양극활성물질의 충전효율이 나빠지기 때문에, 한정된 극판의 체적내에 많은 활성물질을 충전할 수 없어, 용량이 저하되고 만다. 본 발명의 양극활성물질에서는, 바람직하게는 탭밀도 2.9g/cm3 이상, 특히 바람직하게는 3.0g/cm3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3.1g/cm3 이상이다. 탭밀도의 상한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보통 5.0g/cm3 정도이다.
상기 탭밀도의 향상에는, 입자의 입도 분포와 평균 입경이 중요한 역할을 갖는다. 입도 분포가 지나치게 넓거나, 지나치게 좁거나 하면 입자의 충전효율이 나빠지고, 평균 입경이 지나치게 작으면 입자의 표면 에너지가 커지기 때문에, 이러한 경우도 충전효율의 저하를 초래한다. 평균 입경이 지나치게 크면, 전극을 작성할 때에 집전체상에 활성물질을 균일하게 도포하는 것이 어렵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양극활성물질을 구성하는 복합산화물 입자의 입경은, 주로 2∼100㎛, 특히 10∼100㎛의 범위에 있는 것이 바람직하고, 특히, 그 80% 이상, 더욱 그 85% 이상, 더욱 또 90% 이상이 상기 범위에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평균 입경은 5∼80㎛, 특히 30∼80㎛, 더욱 30∼60㎛인 것이 바람직하다. 평균 입경이 5㎛ 미만이거나, 80㎛보다 크거나 하면, 가령 입경의 범위가 상술한 바람직한 범위에 있었다고 해도 입도 분포가 지나치게 좁아져서 충전효율이 저하되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다.
여기에서, 복합산화물의 입경은 레이저 회절식 입도 분포계(Honey Well사제, 마이크로 트랙 HRA)로 측정한 값으로, 평균 입경은 D50값이다.
상기 복합산화물의 비표면적은, 바람직하게는 0.05∼0.24m2/g, 특히 바람직하게는 0.1∼0.2m2/g이다. 비표면적이 0.05m2/g 미만에서는, 얻어지는 양극의 내부저항이 커지고, 고율방전 특성이 저하하므로 바람직하지 못하고, 한편, 0.24m2/g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전해액 등과의 반응성이 높아져, 얻어지는 양극의 열안정성이 저하되므로 바람직하지 않다.
또, 본 발명의 양극활성물질을 구성하는 복합산화물 입자를 사용해서 실제로 양극을 제조할 때는, 양극활성물질의 충전효율을 높이기 위해서, 상기 평균 입경이 다른 적어도 2종의 상기 복합산화물 입자의 혼합물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혼합되는 복합산화물 입자는, 평균 입경이 10% 이상 다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양극활성물질을 제조하는 방법은, 본 발명의 양극활성물질을 얻을 수 있으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리튬원이 되는 리튬 화합물과 천이금속원이 되는 천이원소의 화합물을 혼합하고, 적당한 조건을 설정하여 소성하는 방법 등에 의해 얻을 수 있다. 바람직한 방법으로서는, 이하에 나타내는 본 발명 의 제조법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제조법은, 우선, 특정한 천이금속원이 되는 천이원소의 화합물입자와, 리튬원이 되는 리튬 화합물을 포함하는 원재료를 혼합해서 원료 혼합물을 준비하는 공정(A)을 행한다.
상기 리튬원이 되는 리튬 화합물은, 융점이 800℃이하이고, 열분해온도가 110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예를 들면, 수산화 리튬, 염화 리튬, 질산 리튬, 탄산 리튬, 황산 리튬 등의 무기염; 포름산 리튬, 아세트산 리튬, 옥살산 리튬 등의 유기염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천이금속원이 되는 천이원소의 화합물 입자는, Co, Ni, Mn 및 Fe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천이원소의 화합물 입자이며, 열분해 온도가 110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예를 들면, 수산화물, 탄산염을 들 수 있는데, 탭밀도를 향상시킬 목적을 고려하면, 열분해하지 않는 천이금속의 산화물 입자가 바람직하다.
상기 천이금속원의 입자형상은, 구상 및/또는 타원구상의 구형입자가 바람직하다. 이러한 입자를 얻는 방법으로서는, 예를 들면, 부정형의 1차입자를 조립에 의해 구형으로 하는 방법이나, 액상 또는 슬러리상의 화합물을 분무 건조 또는 분무 소성법에 의해 구형으로 하는 방법, 균일침전법 등에 의해 구형의 입자를 직접 얻는 방법을 들 수 있다. 구형의 산화물 입자로 할 경우는, 이들 구형입자를 소성해서 얻을 수 있는데, 이때의 소성 온도가 낮으면 탭밀도도 낮아져버리기 때문에, 500℃ 이상의 온도에서 소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상 및/또는 타원구상의 천이금속원은, 이 단계에서 어느 정도의 탭밀도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단계에서의 탭밀도가 낮으면, 얻어지는 양극활성물질의 탭밀도도 낮아져버린다. 이러한 구상 및/또는 타원구상의 천이금속원의 탭밀도는, 바람직하게는 2.0g/cm3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2.2g/cm3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2.4g/cm3 이상이다. 탭밀도의 상한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통상 5.0g/cm3 정도이다.
본 발명의 제조법에 있어서, 상술한 리튬원과 천이금속원을 포함하는 원재료에는, 필요에 따라서, 상술한 첨가원소, 즉, 알칼리 금속, 알칼리 토류금속, Ti, Zr, Hf, Y, Sc 및 희토류 금속 등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금속화합물을 포함하고 있어도 좋다. 이들 원재료의 혼합은 공지의 방법으로 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조법에서는, 얻어지는 본 발명의 양극활성물질의 탭밀도를 향상시킬 목적으로, 공정(A)에서 준비한 원료 혼합물의 소성을, 특정한 가소 공정 및 특정한 소성 공정 2단계로 행한다.
특정한 가소 공정은, 공정(A)에서 원료 혼합물에 사용한 리튬 화합물의 융점 이상의 온도에서 가소하는 공정(B)이다. 이 가소 공정에서는, 원재료인 천이원소의 화합물 입자 중에 리튬 화합물을 함침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따라서, 유지 온도의 상한은, 리튬 화합물의 분해 온도 미만인 것이 바람직하고, 또한 300∼950℃, 특히 500∼800℃가 바람직하다. 유지 시간은 10∼300분간이 바람직하 다.
특정한 소성 공정은, 가소 공정을 거친, 예를 들면, 리튬 화합물을 함침한 천이원소의 화합물을, 공정(A)에서 원료 혼합물에 사용한 리튬 화합물의 분해 온도 이상에서 소성하는 공정(C)이다. 이 소성 공정에서는, 리튬 화합물과 천이원소의 화합물을 반응시켜, 목적으로 하는 본 발명의 양극활성물질을 생성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 때의 온도는, 리튬 화합물의 분해 온도 이상이면 좋은데, 리튬 화합물의 분해 온도가 낮을 경우에는 천이원소의 화합물 입자와의 반응에 시간을 요하는 경우가 있기 때문에, 바람직하게는 700∼1100℃, 보다 바람직하게는 800∼1100℃ 이다. 유지 시간은, 지나치게 짧으면 반응이 완결되지 않고, 지나치게 길면 고상반응이 너무 진행해서 입자끼리가 부착되어 버리는 일이 있기 때문에, 바람직하게는 10∼1800분간, 보다 바람직하게는 10∼900분간이다.
본 발명의 제조법에서는, 상기 공정에 의해 본 발명의 양극활성물질을 얻을 수 있는데, 필요에 따라서, 다른 공정을 포함하고 있어도 좋다.
본 발명의 비수전해액 2차전지는, 양극활성물질 분말을 갖는 양극과, 음극과, 전해액을 구비하고, 상기 양극활성물질로서 본 발명의 양극활성물질을 포함하는 것이면 좋고, 다른 구성, 및 다른 추가의 구성 등은 공지의 것 등으로부터 적당히 선택할 수 있다.
또, 상기 비수전해액 2차전지에 사용하는 양극을 제조하기 위해서는, 주로 입경 2∼100㎛의 입자로 이루어지고, 또한 평균 입경이 5∼80㎛이며, Li과, Co, Ni, Mn 및 Fe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천이원소를 포함하 고, 최장경을 D1, 최단경을 D2로 했을 때의 D1/D2가 1.0∼2.0의 범위에 있는 구상 및/또는 타원구상의 입자를 90% 이상 포함하는 상기 복합산화물 입자에서, 평균 입경이 10% 이상 다른 적어도 2종의 복합산화물 입자를 준비하는 공정(a)과, 공정(a)에서 준비한 복합산화물 입자를 혼합해서 양극활성물질을 얻는 공정(b)을 행함으로써 얻을 수 있다. 평균 입경이 10% 이상 다른 적어도 2종의 복합산화물 입자의 혼합 비율은, 예를 들면, 2종류의 경우, 중량비로 1:9∼9:1의 범위가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비수전해액 2차전지용 양극활성물질은, 구상 및/또는 타원구상 입자의 복합산화물이며, 이 입자의 애스펙트비가 1.0∼2.0의 범위에 있고, 탭밀도가 2.9g/cm3 이상이므로, 이것을 사용해서 전극을 작성했을 경우, 전극밀도를 3.4∼3.7g/cm3 정도로 할 수 있고, 비수전해액 2차전지에서의 체적당의 방전용량이나, 부하 특성을 유효하게 개선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제조법에서는, 이러한 양극활성물질을 용이하게 얻을 수 있다. 더욱이, 본 발명의 비수전해액 2차전지는, 본 발명의 양극활성물질을 사용하므로, 방전용량 및 부하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실시예)
이하,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순도 99.8%의 코발트 메탈 100g을 질산에 용해한 후, 순수로 희석하여, 1650ml로 했다. 잇따라서, 4N의 수산화나트륨 용액 820ml를 가하고 교반한 후에 여과하여, 구상 또는 타원구상의 입자에서 구성되는 수산화물의 케이크를 얻었다. 그 케이크를 850℃에서 4시간 소성하여, 137g의 구상 또는 타원구상의 입자인 코발트 산화물 입자를 얻었다. 얻어진 코발트 산화물 입자 137g과 탄산 리튬 65g을 균일하게 혼합한 후, 얻어진 혼합물을 700℃에서 240분간 가소성하고, 더욱, 850℃에서 300분간 본소성을 행하여, 구상 또는 타원구상의 입자를 얻었다.
얻어진 입자를 ICP 발광 분광분석 장치, X선회절장치, 전자현미경, 탭덴서 장치(세이신기업제, XYT-2000)을 사용해서 조사한 결과, 1차입자의 입경이 0.2∼10㎛이고, 2차입자의 입경이 10∼100㎛의 복합 입자이고, 애스펙트비 1∼1.5이고, 탭밀도 3.2g/cm3 이상인 형상을 갖는 LiCoO2의 입자인 것을 알았다. 또, 입자의 비표면적이 0.15m2/g인 것을 알았다.
또한, 탭밀도의 측정은, 얻어진 입자를 20ml 실린더에 10.0g 채취하고, 탭높이 2cm, 탭 회수 200회에서 측정했다. 또, 비표면적의 측정은, 얻어진 입자를 1g 채취하고, 200℃에서 20분간 탈기후, 칸타크롬사제의 상품명 「N0VA2000」을 사용해서 N2 흡착 BET법에 의해 행했다.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또 얻어진 양극활성물질로서의 입자의 1000배율의 SEM사진을 도 1에, 5000배율의 SEM사진을 도 2에 각각 도시한다.
더욱이, 얻어진 입자와, 도전 조제로서의 아세틸렌 블랙과, 결착제로서의 PTFE를 중량비로 50:40:10의 비율로 혼합하여 양극합제를 조제하고, 스테인레스 강판을 집전체로 한 양극을 제작했다. 또, 스테인레스 강판을 집전체로 한 리튬 금속의 음극을 제작했다. 더욱이 에틸렌카보네이트와 디메틸카보네이트를 체적비 1:1의 비율로 혼합한 용액에 과염소산 리튬을 1mo1/L의 비율로 용해해서 전해액을 조제했다. 얻어진 양극, 음극, 전해액을 사용하여 리튬이온 2차전지를 제작했다.
얻어진 전지를 충전 전류밀도 3mA/cm2이 되는 조건에서 충전 상한전압 4.3V, 방전 하한전압을 3V로 하여 초기 방전용량을 측정했다. 또, 얻어진 입자와, 도전 조제로서의 그래파이트와, 결착제로서의 PVDF를 중량비로 90:5:5의 비율로 혼합하고 닥터 블레이드법에 의해 두께 20㎛의 Al집전체에 도포하고, 압력 3t/cm2로 프레스해서 전극을 제작했다. 얻어진 전극의 체적 및 중량을 측정하여, Al집전체의 체적 및 중량을 공제하고, 전극밀도를 산출했다.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실시예 2∼5
실시예 1의 케이크 소성 온도를, 500℃, 700℃, 800℃ 또는 900℃, 가소성 시간을 240분간, 480분간, 360분간 또는 640분간, 본소성 온도를 800℃, 850℃, 900℃ 또는 950℃, 본소성 시간을 600분간, 1200분간, 60시간 또는 100시간으로 각각 하고, 탄산 리튬 대신에, 옥살산 리튬 47g, 질산 리튬 35g, 수산화 리튬 100g 또는 황산 리튬 44g으로 각각 한 이외는 실시예 1과 동일한 조작에 의해 1차입자의 입경이 0.2∼10㎛이며, 2차입자의 입경이 10∼100㎛인 복합 입자이고, 애스펙트비 1∼1.5의 구상 또는 타원구상 입자를 제작하여, 각 측정 및 평가를 행했다. 결과 를 표 1에 나타낸다.
실시예 6∼11
구상 또는 타원구상 입자인 수산화물 대신에, 니켈 원자와 코발트 원자의 몰비가, 8:2, 5:5, 1:9 또는 10:0인 공침 수산화물, 혹은 코발트 원자와 망간 원자와의 몰비가 5:1인 공침 수산화물, 망간 원자와 니켈 원자와의 몰비가 1:1인 공침수산화물을 사용한 이외는 실시예 1과 동일한 조작에 의해 1차입자의 입경이 0.2∼10㎛이고, 2차입자의 입경이 10∼100㎛인 복합 입자이고, 애스펙트비 1∼1.5인 구상 또는 타원구상 입자를 제작하여, 각 측정 및 평가를 행했다.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비교예 1 및 2
구상 또는 타원구상 입자인 수산화물 대신에, 침상 또는 부정형인 수산화물을 사용한 이외는 실시예 1과 동일한 조작에 의해 침상 또는 부정형의 복합산화물을 제작하여, 측정 및 평가를 행했다.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Figure 112003047699428-pct00001
실시예 12∼14
실시예 1에서 조제한 입자를 분급하고, 평균 입경 10㎛인 소입자군과, 평균 입경 70㎛인 대입자군으로 나누고, 각각을 중량비로 1:1(실시예 12), 3:7(실시예 13) 또는 1:9(실시예 14)로 혼합하여 양극활성물질을 얻고, 더욱,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전극을 제작해서 각 측정 및 평가를 행했다. 결과를 표 2에 나타낸다.
Figure 112003047699428-pct00002

Claims (10)

  1. Co, Ni, Mn 및 Fe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천이원소의 화합물 입자로서, 입자 형상이 구상 및 타원구상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인 화합물 입자를 500~900℃에서 소성한 천이원소의 산화물 입자 및 리튬 화합물을 포함하는 원재료를 혼합하여 원료 혼합물을 준비하는 공정 (A);
    원료 혼합물 중의 리튬 화합물의 융점 이상의 온도에서 가소하는 공정 (B); 및
    원료 혼합물 중의 리튬 화합물의 분해 온도 이상에서 소성하는 공정 (C)를 포함하는 양극활성물질의 제조방법으로서,
    최장경을 D1, 최단경을 D2라고 했을 때 D1/D2가 1.0~1.5의 범위에 있는 구상 및 타원구상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입자를 포함하고, 탭밀도가 2.9~3.3 g/㎤인 비수전해액 2차 전지용 양극활성물질의 제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공정(B)에서의 온도가 300∼950℃이고, 유지 시간이 10∼300분이며, 상기 공정(C)에서의 온도가 700∼1100℃이고, 유지 시간이 10∼1800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수전해액 2차 전지용 양극활성물질의 제조방법.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KR1020037016383A 2001-06-27 2002-06-27 비수전해액 2차전지용 양극활성물질, 그 제조법,비수전해액 2차전지, 및 양극의 제조법 Expired - Fee Related KR10093461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1195157A JP5079951B2 (ja) 2001-06-27 2001-06-27 非水電解液2次電池用正極活物質、その製造方法、非水電解液2次電池、並びに正極の製造方法
JPJP-P-2001-00195157 2001-06-27
PCT/JP2002/006473 WO2003003489A1 (en) 2001-06-27 2002-06-27 Nonaqueous electrolyte secondary battery-use anode active matter, production method therefor, nonaqueous electrolyte secondary battery, and production method for anod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15266A KR20040015266A (ko) 2004-02-18
KR100934612B1 true KR100934612B1 (ko) 2009-12-31

Family

ID=190331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7016383A Expired - Fee Related KR100934612B1 (ko) 2001-06-27 2002-06-27 비수전해액 2차전지용 양극활성물질, 그 제조법,비수전해액 2차전지, 및 양극의 제조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5079951B2 (ko)
KR (1) KR100934612B1 (ko)
CN (1) CN1311574C (ko)
WO (1) WO200300348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472638A3 (en) * 2003-12-15 2013-09-11 Mitsubishi Chemical Corporation Nonaqueous-Electrolyte Secondary Battery
JP5428125B2 (ja) * 2005-11-24 2014-02-26 日産自動車株式会社 非水電解質二次電池用正極活物質、および、これを用いた非水電解質二次電池
JP5448005B2 (ja) * 2009-12-14 2014-03-19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リチウム二次電池用正極活物質およびその利用
JP5661646B2 (ja) 2009-12-18 2015-01-28 Jx日鉱日石金属株式会社 リチウムイオン電池用正極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リチウムイオン電池
KR20120061943A (ko) 2009-12-22 2012-06-13 제이엑스 닛코 닛세키 킨조쿠 가부시키가이샤 리튬 이온 전지용 정극 활물질, 리튬 이온 전지용 정극 및 그것을 사용한 리튬 이온 전지, 그리고 리튬 이온 전지용 정극 활물질 전구체
KR101456344B1 (ko) 2010-02-05 2014-11-03 제이엑스 닛코 닛세키 킨조쿠 가부시키가이샤 리튬 이온 전지용 정극 활물질, 리튬 이온 전지용 정극, 및, 리튬 이온 전지
JP5149920B2 (ja) 2010-02-05 2013-02-20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リチウム二次電池用電極の製造方法
KR101450416B1 (ko) 2010-02-05 2014-10-14 제이엑스 닛코 닛세키 킨조쿠 가부시키가이샤 리튬 이온 전지용 정극 활물질, 리튬 이온 전지용 정극, 및 리튬 이온 전지
US9090481B2 (en) 2010-03-04 2015-07-28 Jx Nippon Mining & Metals Corporation Posi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for lithium-ion battery, positive electrode for lithium-ion battery, and lithium-ion battery
EP2544274B1 (en) 2010-03-04 2019-02-20 JX Nippon Mining & Metals Corporation Positive electrode active substance for lithium ion batteries, positive electrode for lithium ion batteries, and lithium ion battery
CN102782909B (zh) 2010-03-04 2015-01-14 Jx日矿日石金属株式会社 锂离子电池用正极活性物质、锂离子电池用正极及锂离子电池
CN102782911B (zh) 2010-03-04 2015-06-24 Jx日矿日石金属株式会社 锂离子电池用正极活性物质、锂离子电池用正极及锂离子电池
CN105514420A (zh) 2010-12-03 2016-04-20 Jx日矿日石金属株式会社 锂离子电池用正极活性物质、锂离子电池用正极及锂离子电池
KR20120099411A (ko) * 2011-01-21 2012-09-10 제이엑스 닛코 닛세키 킨조쿠 가부시키가이샤 리튬 이온 전지용 정극 활물질의 제조 방법 및 리튬 이온 전지용 정극 활물질
CN102812583B (zh) 2011-03-29 2015-02-11 Jx日矿日石金属株式会社 锂离子电池用正极活性物质的制造方法及锂离子电池用正极活性物质
US9214676B2 (en) 2011-03-31 2015-12-15 Jx Nippon Mining & Metals Corporation Posi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for lithium ion batteries, positive electrode for lithium ion batteries, and lithium ion battery
KR101295974B1 (ko) * 2011-05-02 2013-08-13 삼성정밀화학 주식회사 리튬이온 이차전지용 리튬망간옥사이드 양극 활물질의 제조방법, 이에 의해 제조된 양극 활물질 및 이것을 포함하는 리튬이온 이차전지
CN103748711B (zh) 2011-11-09 2016-07-06 株式会社杰士汤浅国际 非水电解质二次电池用活性物质、该活性物质的制造方法、非水电解质二次电池用电极以及非水电解质二次电池
JP6292739B2 (ja) 2012-01-26 2018-03-14 Jx金属株式会社 リチウムイオン電池用正極活物質、リチウムイオン電池用正極、及び、リチウムイオン電池
JP6292738B2 (ja) 2012-01-26 2018-03-14 Jx金属株式会社 リチウムイオン電池用正極活物質、リチウムイオン電池用正極、及び、リチウムイオン電池
US9911518B2 (en) 2012-09-28 2018-03-06 Jx Nippon Mining & Metals Corporation Cathode active material for lithium-ion battery, cathode for lithium-ion battery and lithium-ion battery
CN103367739A (zh) * 2013-07-18 2013-10-23 桂林电子科技大学 椭球形多孔结构的锰酸锂或镍锰酸锂正极材料及制备方法
JP7530701B2 (ja) * 2018-08-29 2024-08-08 株式会社田中化学研究所 二次電池用正極活物質粒子及び二次電池用正極活物質粒子の製造方法
KR102080310B1 (ko) * 2019-02-28 2020-02-21 한화시스템 주식회사 위상 배열 레이더의 표적 탐지 방법 및 기록 매체
KR102300282B1 (ko) * 2019-12-04 2021-09-10 (주)이엠티 고온 저장 특성이 우수한 리튬이온 이차전지용 양극 활물질, 이를 포함하는 리튬이온 이차전지 및 그 제조 방법
CN114050264A (zh) * 2021-11-15 2022-02-15 珠海冠宇电池股份有限公司 一种负极材料及包含该负极材料的负极片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308218A (ja) * 1997-03-07 1998-11-17 Nichia Chem Ind Ltd リチウムイオン二次電池用正極活物質及びその製造方法
JPH11219706A (ja) * 1998-01-30 1999-08-10 Dowa Mining Co Ltd リチウムイオン二次電池用正極活物質とその製造方法およびリチウムイオン二次電池
JP2000082466A (ja) * 1998-07-02 2000-03-21 Nippon Chem Ind Co Ltd 正極活物質及び非水電解質二次電池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203867B2 (ja) * 1993-04-02 2001-08-27 三菱電機株式会社 リチウム二次電池
JPH09251854A (ja) * 1996-03-14 1997-09-22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非水電解液二次電池用正極活物質の製造方法
JPH101316A (ja) * 1996-06-10 1998-01-06 Sakai Chem Ind Co Ltd リチウムコバルト複合酸化物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リチウムイオン二次電池
JPH11135119A (ja) * 1997-10-27 1999-05-21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非水電解液二次電池用活物質と正極板および非水電解液二次電池
DE19849343A1 (de) * 1997-10-30 1999-06-02 Samsung Display Devices Co Ltd Lithiumcompositoxid, dessen Herstellung und sekundäre Lithiumionzelle mit Lithiumcompositoxid als aktives Material der positiven Elektrode
JP4007439B2 (ja) * 1998-11-17 2007-11-14 日立マクセル株式会社 非水二次電池
KR100280998B1 (ko) * 1998-12-10 2001-03-02 김순택 리튬 이차 전지용 양극 활물질
JP3110728B1 (ja) * 1999-05-06 2000-11-20 同和鉱業株式会社 非水系二次電池用正極活物質および正極
JP2001135313A (ja) * 1999-11-02 2001-05-18 Sumitomo Metal Mining Co Ltd 非水系電解質二次電池用正極活物質および該正極活物質を用いた非水系電解質二次電池
JP2001155729A (ja) * 1999-11-24 2001-06-08 Sumitomo Metal Mining Co Ltd 非水系電解質二次電池用正極活物質および該正極活物質を用いた非水系電解質二次電池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308218A (ja) * 1997-03-07 1998-11-17 Nichia Chem Ind Ltd リチウムイオン二次電池用正極活物質及びその製造方法
JPH11219706A (ja) * 1998-01-30 1999-08-10 Dowa Mining Co Ltd リチウムイオン二次電池用正極活物質とその製造方法およびリチウムイオン二次電池
JP2000082466A (ja) * 1998-07-02 2000-03-21 Nippon Chem Ind Co Ltd 正極活物質及び非水電解質二次電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520621A (zh) 2004-08-11
JP5079951B2 (ja) 2012-11-21
CN1311574C (zh) 2007-04-18
JP2003017050A (ja) 2003-01-17
KR20040015266A (ko) 2004-02-18
WO2003003489A1 (en) 2003-01-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34612B1 (ko) 비수전해액 2차전지용 양극활성물질, 그 제조법,비수전해액 2차전지, 및 양극의 제조법
JP7157252B2 (ja) リチウム二次電池用正極添加剤、その製造方法、それを含むリチウム二次電池用正極およびそれを含むリチウム二次電池
KR101746187B1 (ko) 리튬 이차 전지용 양극 활물질,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 전지
US7410511B2 (en) Production method of posi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for non-aqueous electrolyte secondary battery and posi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KR101562686B1 (ko) 옥시수산화코발트 입자 분말 및 그의 제조법 및 코발트산리튬 입자 분말, 그의 제조법, 및 그것을 사용한 비수전해질 이차 전지
US20050250013A1 (en) Positive electrode material for lithium secondary battery and process for producing the same
JP4767484B2 (ja) 非水電解質二次電池用正極活物質の製造法および正極活物質
KR20220040889A (ko) 리튬 이차 전지용 양극 활물질 및 이의 제조 방법
WO2015001957A1 (ja) リチウムイオン二次電池用正極活物質、リチウムイオン二次電池用正極、リチウムイオン二次電池及びこれらの製造方法
KR102182561B1 (ko) 공침법으로 합성한 중공 구조를 갖는 양극 활물질,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리튬 이차전지
JP2005332713A (ja) リチウム二次電池及び該二次電池用正極活物質
JP2024545107A (ja) リチウム二次電池の製造方法およびこれにより製造されたリチウム二次電池
JP2008235157A (ja) リチウム二次電池用正極活物質
KR20220136718A (ko) 리튬 이차 전지용 양극 활물질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 전지
KR20220117639A (ko) 리튬 이차 전지용 양극 활물질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 전지
JP6624631B2 (ja) リチウム遷移金属複合酸化物及びその製造方法
JPH09120815A (ja) 非水電解液二次電池及びその製造方法
US20240282951A1 (en) Cathode active material precursor for lithium secondary battery, cathode active material for lithium secondary battery and lithium secondary battery
KR101224618B1 (ko) 리튬 이차전지용 양극 활물질, 리튬 이차전지용 양극, 리튬 이차전지 및 이들의 제조방법
KR100570417B1 (ko) 니켈계 양극 활물질이 첨가된 스피넬형리튬사산화이망간을 양극 활물질로 하는 리튬 이온전지
JP5658058B2 (ja) リチウムイオン二次電池
JP2011222460A (ja) 電池
CN117096263A (zh) 锂二次电池用正极、锂二次电池及锂二次电池用正极活性物质的制造方法
KR20230159139A (ko) 리튬 이차전지용 양극 활물질 및 그 제조 방법
KR20220133512A (ko) 리튬 이차 전지용 양극 활물질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 전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5 International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31215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070615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8103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Final Notice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90504

Patent event code: PE09021S02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91130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91222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91223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14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1214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13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1213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12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1212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11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1211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09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1209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010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