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931262B1 - 차량용 트레이 잠금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용 트레이 잠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31262B1
KR100931262B1 KR1020080087392A KR20080087392A KR100931262B1 KR 100931262 B1 KR100931262 B1 KR 100931262B1 KR 1020080087392 A KR1020080087392 A KR 1020080087392A KR 20080087392 A KR20080087392 A KR 20080087392A KR 100931262 B1 KR100931262 B1 KR 10093126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cking
button
vehicle
tray
vehicle tr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873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호식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873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3126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312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3126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7/00Stowing or holding appliances inside vehicle primarily intended for personal property smaller than suit-cases, e.g. travelling articles, or maps
    • B60R7/04Stowing or holding appliances inside vehicle primarily intended for personal property smaller than suit-cases, e.g. travelling articles, or maps in driver or passenger space, e.g. using racks
    • B60R7/06Stowing or holding appliances inside vehicle primarily intended for personal property smaller than suit-cases, e.g. travelling articles, or maps in driver or passenger space, e.g. using racks mounted on or below dashboard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3/00Vehicle lock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types of wing or vehicle
    • E05B83/28Locks for glove compartments, console boxes, fuel inlet covers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01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 B60R2011/0003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inside the vehicle
    • B60R2011/0005Dashboar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4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 B60R2011/008Adjustable or movable supports
    • B60R2011/0085Adjustable or movable supports with adjustment by rotation in their operational posi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5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vehicles
    • E05Y2900/53Type of wing
    • E05Y2900/538Interior lid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292/00Closure fasteners
    • Y10S292/03Automobile multiple door latch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 Vehicle Step Arrangements And Article Stor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용 트레이를 개폐하는 커버를 고정·해제시키기 위한 잠금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복수의 걸림돌기와 걸림홈이 차량용 트레이 양측으로 형성되어 걸림돌기와 걸림홈의 외부 노출을 최소화하고, 사용자가 차량용 트레이에 물품을 수납하거나 인출할 때 걸림돌기에 의해 손등을 다치지 않도록 구성되는 차량용 트레이의 잠금장치이다.
본 발명에 의한 차량용 트레이 잠금장치를 이용하면, 차량용 트레이의 걸림돌기 및 걸림홈이 외부로 거의 노출되지 않아 미관상 보기 좋으며, 물품의 수납 또는 인출 시 손이 걸림돌기에 걸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차량용 트레이 잠금장치를 이용하면, 관성하중에 의한 버튼의 작동이 방지되며, 최소 안전율이 적용되어 적은 힘으로 버튼을 눌러도 부드럽게 잠금장치를 고정·해제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차량용 트레이, 잠금

Description

차량용 트레이 잠금장치{A locking system of a tray for a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용 트레이를 개폐하는 커버를 고정·해제시키기 위한 잠금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복수의 걸림돌기와 걸림홈이 차량용 트레이 양측으로 형성되어 걸림돌기와 걸림홈의 외부 노출을 최소화하고, 사용자가 차량용 트레이에 물품을 수납하거나 인출할 때 걸림돌기에 의해 손등을 다치지 않도록 구성되는 차량용 트레이의 잠금장치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의 실내에는 탑승자에게 편의를 제공하기 위해 필요한 물품을 수납할 수 있는 차량용 트레이가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차량용 트레이는 트레이 내부공간을 개폐할 수 있는 커버가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으며, 미사용시에는 커버에 의해 내부공간이 밀폐된 상태로 유지되다가, 사용시에는 전방으로 개방되어 내부에 수납중인 물품들이 간편하게 인출되어 사용될 수 있도록 하였다.
이러한 차량용 트레이는 커버를 고정시킴으로써 차량의 주행시에는 탑승객이 커버를 개방하지 않는 한 트레이 내부가 밀폐된 상태를 유지하여 수납된 물품들이 외부로 인출되는 것을 방지한다. 그러나 차량의 주행중 충격에 의해 커버가 임의로 개방되면 수납된 물품들이 외부로 인출되는 것 뿐 아니라 커버와 탑승객의 충돌이 발생할 수 있어 부상의 위험이 있다.
이에 따라 세계 각국 및 국내의 자동차 안전 기준에 따르면, 일정 강도 이상의 충격에 의해서도 커버가 개방되지 않도록 규제하는 안전 기준이 마련되어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종래 기술에 따라 차량용 트레이의 커버를 고정하는 잠금장치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차량용 트레이의 사시도이고, 도 2는 종래기술에 따른 차량용 트레이 잠금장치의 동작 전 단면도이고, 도 3은 종래기술에 따른 차량용 트레이 잠금장치의 동작 후 단면도이다.
종래 기술에 따른 차량용 트레이 잠금장치는 걸림홈(111)이 구비된 커버(110), 걸림홈(111)과 연통되기 위한 구멍(121)이 형성되며, 전면으로는 조작공(122)이 구비된 장착부재(120), 장착부재(120)의 조작공(122)을 통하여 일부가 외측으로 돌출 형성되며, 사용자의 조작에 의하여 조작공 내측으로 직선운동하는 버튼(130), 버튼(130)에 의하여 회전동작이 이루어지도록 장착부재(120)에 힌지축이 연결된 회전부재(140), 회전부재(140)가 원위치로 복귀하도록 장착부재(120)에 일측이 지지되고 회전부재(140)에 타측이 지지되어 탄성적 복원력을 제공하는 제1탄성부재(150), 제1탄성부재(150)가 장착된 회전부재(140)의 일단이 몸체에 걸림으로 상측으로 이동되어 걸림홈(111)에 걸림이 해제되는 래치부재(160) 및 래치부재(160)가 구멍(121)을 통하여 하측으로 복귀하도록 래치부재(160)와 장착부 재(120) 사이에 설치되어 탄성적 복원력을 제공하는 제2탄성부재(170)로 구성된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버튼(130)을 조작공(122) 내측으로 누르면(①), 회전부재(140)가 버튼(130)에 의해 힌지축을 중심으로 회전하고(②), 회전부재(140)는 래치부재(160)를 들어올림(③)으로써 래치부재(160)의 걸림돌기(161)가 커버(110)의 걸림홈(111)에서 인출되며, 걸림돌기(161)가 인출됨과 동시에 커버가 개방(④)된다. 걸림돌기(161)가 걸림홈(111)에서 인출된 후 래치부재(160)는 제2탄성부재(170)에 의해 걸림돌기(161) 방향으로 힘을 받아 원래의 위치로 돌아오며, 회전부재(140) 역시 제1 탄성부재(150) 및 래치부재(160)에 의해 버튼을 누르기 전의 상태로 돌아온다.
이러한 종래기술은 커버(110)를 개방했을 때 걸림돌기(161) 및 걸림홈(111)이 장착부재(160) 및 커버(110)의 중앙에 구비되고, 걸림돌기가 상·하로 이동하여 차량 탑승객의 눈에 잘 띄기 때문에 미관상 보기에 좋지 않으며, 차량용 트레이에 물품을 수납하거나 인출할 때 걸림돌기(161)가 손등에 걸리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또한, 걸림돌기(161)와 걸림홈(111)이 하나로 구성되고 탄성부재(150, 170)의 스프링 상수가 적절하게 설정되지 않아 일정 강도 이상의 충격에 의해 커버가 개방되지 않도록 규제하는 안전기준에 미치지 못하거나, 안전율을 너무 높게 설정하여 버튼을 누를 때 많은 힘을 들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걸림돌기 및 걸림홈이 각각 쌍으로 구비되어 차량용 트레이의 중앙을 벗어난 곳에 위치하여 물품의 수납 또는 인출 시 손 걸림이 방지되며, 걸림돌기가 좌·우로 이동되어 걸림돌기 및 걸림홈의 외부 노출을 최소화한 차량용 트레이 잠금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차량용 트레이의 커버를 잠금 및 잠금해제하기 위한 차량용 트레이 잠금장치에 있어서,
상기 차량용 트레이 상부에 위치되어 사용자에 의해 누름 작동되며, 양측에 경사진 면이 형성된 버튼;
상기 버튼의 양측에 대칭되도록 형성되며, 일측은 상기 버튼의 경사진 면과 접촉된 상태가 유지되어 상기 버튼이 누름 작동되었을 때, 각각 상기 차량용 트레이의 좌·우 방향으로 이동되고, 타측에는 걸림돌기가 형성되는 잠금부재; 및
상기 버튼이 누름작동될 때 상기 걸림돌기가 이탈되고 상기 버튼이 눌러지지 않을 때 상기 걸림돌기가 삽입되도록 상기 커버에 형성되는 한 쌍의 걸림홈
을 포함한다.
상기 잠금부재에 대하여 상기 버튼 방향으로 힘을 가하는 한 쌍의 제2탄성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잠금부재의 이동범위를 제한하는 연결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연결부재는
회전 가능한 구조로 상기 버튼과 결합되는 베이스와,
양단이 상기 베이스와 상기 잠금부재에 회전 가능한 구조로 결합되는 링크로 구성된다.
상기 버튼은 차량용 트레이 전면부 방향으로 힘을 받도록 일단에 제1탄성부재가 구비된다.
본 발명에 의한 차량용 트레이 잠금장치를 이용하면, 차량용 트레이의 걸림돌기 및 걸림홈이 외부로 거의 노출되지 않아 미관상 보기 좋으며, 물품의 수납 또는 인출 시 손이 걸림돌기에 걸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차량용 트레이 잠금장치를 이용하면, 관성하중에 의한 버튼의 작동이 방지되며, 최소 안전율이 적용되어 적은 힘으로 버튼을 눌러도 부드럽게 잠금장치를 고정·해제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차량용 트레이 잠금장치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트레이의 사시도이며, 도 5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트레이 잠금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차량용 트레이 잠금장치의 작동 전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차량용 트레이 잠금장치의 작동 후의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트레이 잠금장치는 차량의 인스트루먼트 패널상에 설치되는 차량용 트레이(200)를 개폐하는 커버(210)의 고정·해제를 위한 장치로 버튼(220), 잠금부재(300), 연결부재(400) 및 탄성부재(230, 312, 322)로 구성된다.
버튼(220)은 차량용 트레이(200)의 전면상부에 위치하여 사용자에 의해 누름 작동되며, 버튼(220)의 일부는 외부로 돌출되어 있다. 버튼(220)의 타단에는 제1탄성부재(230)가 삽입되는 바(221)가 형성되어 있으며, 양측에는 경사면이 형성되어 있다. 제1탄성부재(230)는 바(221)가 관통되는 홀이 형성된 격벽(240)에 지지되어 버튼(220)을 차량용 트레이(200)의 전면부 방향으로 밀어낸다. 버튼(220)이 사용자에 의해 누름 작동되어 차량용 트레이(200)의 후면부 방향으로 이동된 상태에서 버튼(220)의 누름 작동이 멈추게 되면 제1탄성부재(230)에 의해 버튼(220)이 차량용 트레이(200)의 전면부 방향으로 이동한다.
잠금부재(300)는 버튼(220)을 중심으로 양측에 대칭되도록 형성된 좌측 잠금부재(310)와 우측 잠금부재(320)로 구성된다. 좌·우측 잠금부재(310, 320)의 일측 은 버튼(220)의 경사면에 대응되는 경사면이 형성되어 있으며, 좌·우측 잠금부재(310, 320)의 경사면과 버튼(220)의 경사면은 서로 접촉되어 있다. 버튼(220)이 누름 작동에 의해 차량용 트레이(200)의 후면부 방향으로 이동될 때 버튼(220)의 경사면을 따라 좌측 잠금부재(310)는 좌측으로 우측 잠금부재(320)는 우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또한, 좌·우측 잠금부재(310, 320)의 타측에는 차량용 트레이(200)가 개방된 상태에서 외부로 노출되는 걸림돌기(311, 321)가 형성되어 있다. 걸림돌기(311, 321)는 차량용 트레이(200)를 개방하고 밀폐하는 커버(210)에 형성된 한 쌍의 걸림홈(211, 212)에 삽입되고 이탈된다. 걸림돌기(311, 321)가 걸림홈(211, 212)에 삽입된 상태에는 커버(210)가 차량용 트레이(200)를 밀폐시키며, 걸림돌기(311, 321)가 걸림홈(211, 212)에서 이탈된 상태에는 커버(210)가 차량용 트레이(200)를 개방시킨다.
이와 같이 걸림돌기(311, 321)가 한 쌍으로 구성되어 차량용 트레이(200)의 양쪽에 위치함으로써 사용자가 차량용 트레이(200) 내부에 손을 넣어 물품을 인출 할 때 손등에 걸림돌기(311, 321)가 걸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걸림돌기(311, 321)가 상·하이동이 아닌 좌·우이동을 함으로써 걸림돌기(311, 321)의 외부 노출을 최소화 하였으며, 걸림홈(211, 212) 또한 커버(220)의 상부가 아닌 내측면에 위치하여 외부로 거의 노출되지 않는다.
한편, 좌·우측 잠금부재(310, 320)와 격벽(270) 사이에 제2탄성부재(312, 322)가 구비되어 좌·우측 잠금부재(310, 320)가 제2탄성부재(312, 322)에 의해 항 상 버튼(220)이 위치한 방향으로 힘을 받는다. 잠금부재(300)가 버튼(220)의 누름 작동으로 각각 좌·우측으로 이동된 후, 버튼(220)의 누름 작동이 멈추면 제2탄성부재(312, 322)에 의해 원래의 위치로 복귀되며, 제2탄성부재(312, 322)의 탄성력에 의해 걸림돌기(311, 321)가 걸림홈(211, 212)에 삽입된 상태가 유지될 수 있다. 여기서, 제2탄성부재(312, 322)는 잠금부재(300)의 돌출부(313, 323)에 끼워져 고정되는 코일스프링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연결부재(400)는 베이스(430)와 링크(410, 420)로 구성된다. 베이스(430)는 원반형상으로 버튼(220)의 상부면에 형성된 제1축(222)에 결합되며, 베이스(430) 상부면에는 링크(410, 420)와 결합되는 제2축(431) 및 제3축(432)이 형성되어 있다. 링크(410, 420)의 일단은 베이스(430)의 상부면에 형성된 제2축(431) 및 제3축(432)에 결합되고 타단은 좌·우측 잠금부재(310, 320)의 상부면에 형성된 제4축(314) 및 제5축(324)에 결합된다.
링크(410, 420)는 잠금부재(300)가 링크(410, 420)의 길이 이상으로 이동되는 것을 방지하여 잠금부재(300)의 이동범위를 제한하며, 링크(410, 420)의 움직임에 의해 베이스(430)는 회전운동한다.
도 6과 도 7을 참조하여 차량용 트레이 잠금장치의 작동을 살펴보면, 차량용 트레이(200)가 커버(210)에 의해 밀폐되어 있는 상태에서는 걸림돌기(311, 321)가 걸림홈(211, 212)에 삽입되어 있으며, 좌·우측 잠금부재(310, 320)에 끼워진 탄성부재(312, 322)의 탄성력에 의해 걸림돌기(311, 321)가 걸림홈(211, 212)에 삽입된 상태로 유지되어 커버(210)가 고정된다.
버튼(220)이 사용자에 의해 누름작동 되면, 버튼(220)은 차량용 트레이(200) 후면부 방향으로 이동(①')한다. 버튼(220)이 이동하면서 버튼(220)의 일단에 형성된 바(221)는 격벽(240)의 홀을 관통하여 격벽(240) 이편으로 돌출되며, 바(221)에 삽입된 제1탄성부재(230)가 압축된다. 버튼(220)의 이동에 의해 잠금부재(310, 320)가 버튼(220)의 경사면을 따라 차량용 트레이(200)의 좌측, 우측 방향으로 각각 이동(②')한다.
잠금부재(310, 320)의 이동에 의해 돌출부(313, 323)에 끼워진 탄성부재(312, 322)가 격벽(240)과 잠금부재(310, 320) 사이에서 압축되고, 걸림돌기(311, 321)가 걸림홈(211, 212)에서 이탈되어 커버(210)의 잠금이 해제(③')된다. 연결부재(400)는 버튼(220)과 잠금부재(300)의 이동에 따라 함께 움직이되, 링크(410, 420)는 잠금부재(300)가 움직이는 방향으로 이동하며 베이스(430)는 링크(410, 420)에 의해 회전된다.
걸림돌기(311, 321)가 걸림홈(211, 212)에서 이탈되어 커버(210)의 잠금이 해제된 후, 좌측 잠금부재(310)는 좌측 제2탄성부재(312)의 탄성력에 의해 우측으로 이동되고, 우측 잠금부재(320)는 우측 제2탄성부재(322)의 탄성력에 의해 좌측으로 이동되어 원래의 위치로 복귀된다. 버튼(220) 또한 잠금부재(300)의 이동과 제1탄성부재(230)의 탄성력에 의해 차량용 트레이(200) 전면부 방향으로 이동하여 원래의 위치로 복귀된다.
이와 같이 버튼(220) 및 잠금부재(300)를 복귀시키려는 제1 및 제2탄성부재(230, 312, 322)에 의해 차량에 가해진 외부 충격으로 버튼(220)에 임의의 하중 이 가해지더라도 차량용 트레이(220)가 개방되지 않는다. 또한, 제1 및 제2탄성부재(230, 312, 322)가 버튼(220) 작동력에 최소 안전율이 적용될 수 있는 스프링 상수를 갖도록 구비되어 버튼(220)의 누름 작동시 많은 힘을 주지 않아도 유연하게 작동시킬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 예를 사용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특정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습득한 자라면,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도 많은 수정과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차량용 트레이의 사시도이다.
도 2는 종래기술에 따른 차량용 트레이의 잠금장치 동작 전 단면도이다.
도 3은 종래기술에 따른 차량용 트레이의 잠금장치 동작 후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트레이의 사시도이다.
도 5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트레이 잠금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차량용 트레이 잠금장치의 작동 전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차량용 트레이 잠금장치의 작동 후의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10: 커버 211, 212: 걸림홈
220: 버튼 230: 제1탄성부재
240: 격벽 310: 좌측 잠금부재
320: 우측 잠금부재 311, 321: 걸림돌기
312, 322: 제2탄성부재 400: 연결부재

Claims (4)

  1. 삭제
  2. 삭제
  3. 차량용 트레이의 커버를 잠금 및 잠금해제하기 위한 차량용 트레이 잠금장치에 있어서,
    상기 차량용 트레이 상부에 위치되어 사용자에 의해 누름 작동되며, 양측에 경사진 면이 형성된 버튼;
    상기 버튼의 양측에 대칭되도록 형성되며, 일측은 상기 버튼의 경사진 면과 접촉된 상태가 유지되어 상기 버튼이 누름 작동되었을 때, 각각 상기 차량용 트레이의 좌·우 방향으로 이동되고, 타측에는 걸림돌기가 형성되는 잠금부재;
    상기 버튼이 누름작동될 때 상기 걸림돌기가 이탈되고 상기 버튼이 눌러지지 않을 때 상기 걸림돌기가 삽입되도록 상기 커버에 형성되는 한 쌍의 걸림홈;
    상기 잠금부재에 대하여 상기 버튼 방향으로 힘을 가하는 한 쌍의 제2탄성부재; 및
    상기 잠금부재의 이동범위를 제한하는 연결부재;
    를 포함하며, 상기 연결부재는, 회전 가능한 구조로 상기 버튼과 결합되는 베이스와, 양단이 상기 베이스와 상기 잠금부재에 회전 가능한 구조로 결합되는 링크로 구성되는 차량용 트레이 잠금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버튼은 차량용 트레이 전면부 방향으로 힘을 받도록 일단에 제1탄성부재가 구비되는 차량용 트레이 잠금장치.
KR1020080087392A 2008-09-04 2008-09-04 차량용 트레이 잠금장치 KR10093126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87392A KR100931262B1 (ko) 2008-09-04 2008-09-04 차량용 트레이 잠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87392A KR100931262B1 (ko) 2008-09-04 2008-09-04 차량용 트레이 잠금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31262B1 true KR100931262B1 (ko) 2009-12-11

Family

ID=416841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87392A KR100931262B1 (ko) 2008-09-04 2008-09-04 차량용 트레이 잠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3126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36197A (ko) * 2010-10-07 2012-04-17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로드 연동장치
CN103085723A (zh) * 2011-10-27 2013-05-08 现代摩比斯株式会社 杂物箱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16457U (ko) 1980-06-23 1982-01-27
JPS5839347U (ja) 1981-09-09 1983-03-15 ダイハツ工業株式会社 グロ−ブボツクスのリツドロツク装置
JPS5839348U (ja) * 1981-09-09 1983-03-15 ダイハツ工業株式会社 グロ−ブボツクスのリツド
JP2007056613A (ja) * 2005-08-26 2007-03-08 Nifco Inc 開閉体のロック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16457U (ko) 1980-06-23 1982-01-27
JPS5839347U (ja) 1981-09-09 1983-03-15 ダイハツ工業株式会社 グロ−ブボツクスのリツドロツク装置
JPS5839348U (ja) * 1981-09-09 1983-03-15 ダイハツ工業株式会社 グロ−ブボツクスのリツド
JP2007056613A (ja) * 2005-08-26 2007-03-08 Nifco Inc 開閉体のロック装置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36197A (ko) * 2010-10-07 2012-04-17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로드 연동장치
KR101631088B1 (ko) * 2010-10-07 2016-06-16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로드 연동장치
CN103085723A (zh) * 2011-10-27 2013-05-08 现代摩比斯株式会社 杂物箱
CN103085723B (zh) * 2011-10-27 2015-11-18 现代摩比斯株式会社 杂物箱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381831B2 (ja) 扉用ロック機構及び扉用ロックユニット
KR101172576B1 (ko) 이동체의 로크기구
KR100683225B1 (ko) 자동차의 트레이 록킹 구조
US9771744B2 (en) Glove box for vehicle
CN105134730A (zh) 一种按压式锁止与解锁机构
KR100931262B1 (ko) 차량용 트레이 잠금장치
CN110670987B (zh) 双向开合装置、扶手箱及车辆
KR100381482B1 (ko) 자동차의 콘솔 록킹 장치
KR20140071525A (ko) 차량용 수납박스의 잠금장치
CZ35175U1 (cs) Západka a integrovaný zámek opěradla sedadla automobilu s touto západkou
JP2018204319A (ja) リッドロック機構およびコンソールボックス
CN213359682U (zh) 锁和车辆
KR101182458B1 (ko) 사물함 손잡이
KR101349045B1 (ko) 푸시 방식 글로브 박스 록킹 장치
KR100683227B1 (ko) 돌출형 글로브 박스의 개폐장치
KR101348958B1 (ko) 테일게이트 래치용 범퍼 부품
KR101823383B1 (ko) 글로브박스
KR101095230B1 (ko) 러기지 박스용 커버의 잠금장치
KR20130106099A (ko) 글로브박스의 잠금 장치
KR20090131482A (ko) 글로브박스개폐장치
KR100698673B1 (ko) 차량의 슬라이딩 트레이
KR20120041353A (ko) 자동차용 글로브박스의 핸들 시스템
KR20110082382A (ko) 자동차
KR20120017979A (ko) 자동차 측면 보호장치
KR20110005402U (ko) 차량용 수납상자 록킹 어셈블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80904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9092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91124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91203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91203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30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1130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29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1129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28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1128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29

Year of fee payment: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1129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27

Year of fee payment: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1127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109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