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06004B1 - Car clip mounting device - Google Patents
Car clip mounting devic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906004B1 KR100906004B1 KR1020070136166A KR20070136166A KR100906004B1 KR 100906004 B1 KR100906004 B1 KR 100906004B1 KR 1020070136166 A KR1020070136166 A KR 1020070136166A KR 20070136166 A KR20070136166 A KR 20070136166A KR 100906004 B1 KR100906004 B1 KR 100906004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lip
- mounting
- block
- coupled
- support
- Prior art date
Links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8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8
- 239000002994 raw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4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9
- 230000003028 elev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8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8000004873 anchoring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8901 benefi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547 de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605 extr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872 improvemen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2/00—Friction-grip releasable fastenings
- F16B2/20—Cli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solely by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P—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PERATIONS; UNIVERSAL MACHINE TOOLS
- B23P19/00—Machines for simply fitting together or separating metal parts or objects, or metal and non-metal parts, whether or not involving some deformation; Tools or devices therefor so far as not provided for in other classes
- B23P19/02—Machines for simply fitting together or separating metal parts or objects, or metal and non-metal parts, whether or not involving some deformation; Tools or devices therefor so far as not provided for in other classes for connecting objects by press fit or for detaching same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P—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PERATIONS; UNIVERSAL MACHINE TOOLS
- B23P19/00—Machines for simply fitting together or separating metal parts or objects, or metal and non-metal parts, whether or not involving some deformation; Tools or devices therefor so far as not provided for in other classes
- B23P19/04—Machines for simply fitting together or separating metal parts or objects, or metal and non-metal parts, whether or not involving some deformation; Tools or devices therefor so far as not provided for in other classes for assembling or disassembling part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P—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PERATIONS; UNIVERSAL MACHINE TOOLS
- B23P23/00—Machines or arrangements of machines for performing specified combinations of different metal-working operations not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 B23P23/04—Machines or arrangements of machines for performing specified combinations of different metal-working operations not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for both machining and other metal-working oper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65/00—Designing, manufacturing, e.g. assembling, facilitating disassembly, or structurally modifying motor vehicles or traile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65/02—Joining sub-units or components to, or positioning sub-units or components with respect to, body shell or other sub-units or component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9/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installation, removal, maintenance of electric discharge tubes, discharge lamps, or parts thereof; Recovery of material from discharge tubes or lamps
- H01J9/24—Manufacture or joining of vessels, leading-in conductors or bases
- H01J9/26—Sealing together parts of vess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Automatic Assembly (AREA)
- Automobile Manufacture Line, Endless Track Vehicle, Trail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용 클립 장착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클립장착부가 구비된 차량용 소재에 클립을 각각 조립 장착하기 위한 차량용 클립 장착장치에 있어서, 바닥에 지지되는 메인프레임, 상기 메인프레임의 상부에 설치되는 서브프레임, 상기 서브프레임의 상측에 설치되고, 앵커형 돌출부가 단부에 형성된 제1클립들을 정렬하여 연속공급하는 제1클립 공급수단, 상기 제1클립 공급수단에 의해 공급되는 제1클립들을 상기 소재에 구비된 제1클립장착부로 차례로 이송하는 제1클립 이송수단, 및 상기 제1클립 이송수단에 의해 이송된 제1클립을 상기 제1클립장착부에 각각 조립 장착하는 제1클립 장착수단을 포함하며, 클립 조립 공정이 자동으로 이루어질 수 있어 작업시간 단축과 인건비 절감 및 생산성 향상의 효과가 있는 차량용 클립 장착장치를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ehicle clip mounting apparatus,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vehicle clip mounting apparatus for assembling and mounting each clip on a vehicle material provided with at least one clip mounting portion, the main frame supported on the floor, Sub-frame is install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main frame, the upper side of the sub-frame, the first clip supply means for continuously supplying the first clips arranged in the end of the anchor-shaped projection formed at the end, by the first clip supply means A first clip conveying means for sequentially conveying the first clips supplied to the first clip mounting portion provided in the material, and assembling and mounting the first clips conveyed by the first clip conveying means to the first clip mounting portion, respectively; It includes the first clip mounting means, the clip assembly process can be made automatically, reducing the working time, labor costs and productivity Which provides a vehicle equipped with the clip device.
클립, 장착, 소재, 메인프레임, 서브프레임, 공급, 이송, 조립 Clip, Mount, Material, Mainframe, Subframe, Supply, Transfer, Assembly
Description
본 발명은 내장부품을 차량에 조립하는 작업이 용이하도록, 차량용 내장부품인 소재에 조립용 클립을 자동으로 장착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pparatus for automatically mounting an assembly clip on a material which is an interior component for a vehicle so as to easily assemble the interior component to a vehicle.
일반적으로 차량의 도어스커프, 인스트루먼트 패널, 웨더스트립, 헤드라이닝 등의 차량용 내장부품을 차량에 조립 장착함에 있어서, 볼트 또는 스크류를 사용하는 경우 조립시간이 많이 소요되어 생산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으므로, 최근에는 이러한 차량의 내장부품들을 차량 내부에 용이하게 장착할 수 있도록 고안된 클립이 주로 사용되고 있다.In general, when assembling and mounting vehicle interior parts such as vehicle door scuffs, instrument panels, weather strips, and headlinings to a vehicle, when the bolts or screws are used, assembly time is increased and productivity is deteriorated. In the clip, a clip designed to easily mount the interior parts of the vehicle may be used.
도 1은 도어스커프(10)를 차량에 장착할 때 사용되는 클립의 예를 도시한 것으로, 일측 단부에 앵커형 돌출부(21)가 형성된 제1클립(20)과, 하나의 직사각형 탄성부재를 반으로 접은 형태의 제2클립(30)이 각각 도어스커프(10)의 제1클립장착부(11)와 제2클립장착부(12)에 조립 장착되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FIG. 1 illustrates an example of a clip used when the
도 1에서 볼 수 있듯이, 도어스커프에 각각 다른 종류의 클립(20,30)이 다수 조립되고 특히, 제1클립(20)의 경우 제1클립장착부(11)에 조립을 위해 삽입되는 방향이 서로 반대 방향인 경우도 있어, 작업자가 수작업으로 각각의 클립을 조립하는 경우에는 조립시간이 많이 소요될 뿐만 아니라, 클립의 오조립 또는 일부 클립이 미조립되는 불량이 발생할 위험이 있으며, 품질 관리에 상당한 어려움을 초래하게 된다.As shown in FIG. 1, a plurality of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클립장착부가 구비된 차량용 소재에 클립을 각각 조립 장착하기 위한 차량용 클립 장착장치에 있어서, 바닥에 지지되는 메인프레임, 상기 메인프레임의 상부에 설치되는 서브프레임, 상기 서브프레임의 상측에 설치되고, 앵커형 돌출부가 단부에 형성된 제1클립들을 정렬하여 연속공급하는 제1클립 공급수단, 상기 제1클립 공급수단에 의해 공급되는 제1클립들을 상기 소재에 구비된 제1클립장착부로 차례로 이송하는 제1클립 이송수단, 및 상기 제1클립 이송수단에 의해 이송된 제1클립을 상기 제1클립장착부에 각각 조립 장착하는 제1클립 장착수단을 포함하며, 클립 조립 공정이 자동으로 이루어질 수 있어 작업시간 단축과 인건비 절감 및 생산성 향상의 효과가 있는 차량용 클립 장착장치와 관련된다.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problems as described above,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vehicle clip mounting apparatus for assembling and mounting each clip on a vehicle material provided with at least one clip mounting portion, which is supported on the floor A main frame, a subframe installed on an upper portion of the main frame, a first clip supply means installed on an upper side of the subframe, and aligning and continuously supplying first clips formed at an end thereof to an anchor-type protrusion, and supplying the first clip A first clip conveying means for sequentially conveying the first clips supplied by the means to a first clip mounting portion provided in the material, and a first clip conveyed by the first clip conveying means to the first clip mounting portion, respectively. It includes a first clip mounting means for assembling and mounting, clip assembly process can be made automatically, reducing work time, labor cost and productivity It relates to a vehicular clip mounting device having an effect of improvement.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의하면, 적어도 하나 이상의 클립장착부가 구비된 차량용 소재에 클립을 각각 조립 장착하기 위한 차량용 클립 장착장치에 있어서, 바닥에 지지되는 메인프레임, 상기 메인프레임의 상부에 설치되는 서브프레임, 상기 서브프레임의 상측에 설치되고, 앵커형 돌출부가 단부에 형성된 제1클립들을 정렬하여 연속공급하는 제1클립 공급수단, 상기 제1클립 공급수단에 의해 공급되는 제1클립들을 상기 소재에 구비된 제1클립장착부로 차례로 이송하는 제1클립 이송수단, 및 상기 제1클립 이송수단에 의해 이송된 제1클립을 상기 제1클립장착부에 각각 조립 장착하는 제1클립 장착수단을 포함하는 차량용 클립 장착장치가 제공된다.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vehicle clip mounting apparatus for assembling and mounting the clip on the vehicle material provided with at least one clip mounting portion, respectively, the main frame supported on the floor, which is installed on the top of the main frame Sub clip, the first clip supply means is installed on the upper side of the sub-frame, the anchor-type projection is arranged at the end of the first clip supplying means, the first clip supplied by the first clip supply means A first clip conveying means for sequentially conveying to a first clip mounting portion provided in the first clip mounting means, and first clip mounting means for assembling and mounting the first clip conveyed by the first clip conveying means, respectively, to the first clip mounting portion. A vehicle clip mounting device is provided.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제1클립 공급수단의 일측에 이격하여 설치되며, 두 개의 서로 마주보는 표면을 가지도록 절곡 형성된 제2클립들을 정렬하여 연속공급하는 제2클립 공급수단, 상기 제2클립 공급수단에 의해 공급되는 제2클립들을 상기 소재에 구비된 제2클립장착부로 차례로 이송하는 제2클립 이송수단, 및 상기 제2클립 이송수단에 의해 이송된 제2클립을 상기 제2클립장착부에 각각 조립 장착하는 제2클립 장착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cond clip supply means is provided spaced apart on one side of the first clip supply means, the second clip supply means for aligning and continuously supplying the second clips bent to have two facing surfaces, A second clip conveying means for sequentially conveying second clips supplied by the second clip supply means to a second clip mounting portion provided in the material, and a second clip conveyed by the second clip conveying means; It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second clip mounting means for assembling each of the two clip mounting portion.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제1클립 공급수단은 상기 서브프레임의 상측에 설치되며, 내부에 저장된 제1클립들이 진동에 의해 일렬로 정렬되면서 공급되도록 하는 제1보울피더와, 상기 제1보울피더와 연통하도록 일측에 설치되며, 상기 제1클립들의 공급경로를 가이드하는 제1공급파이프를 포함하되, 상기 제1공급파이프의 일측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개폐실린더가 설치되어 상기 제1클립의 공급량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clip supply means is installed on the upper side of the subframe, the first bowl feeder to be supplied while being aligned in a line by vibrating the first clips, and the It is installed on one side to communicate with the first bowl feeder, including a first supply pipe for guiding the supply path of the first clip, one side of the first supply pipe is installed at least one open and close cylinder is the first clip Characterized in that the amount of supply can be adjusted.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제1클립 이송수단은 상기 메인프레임의 일측에 설치되는 제1지지대와, 상기 제1지지대의 상측 양단에 길이 방향으로 설치되는 제1가이드레일과, 상기 제1가이드레일 사이에 설치되는 제1리드스크류와, 상기 제1리드스크류에 회전력을 제공하는 제1구동모터와, 상기 제1리드스크류에 결합되어 상기 제1리드스크류의 회전에 따라 좌우이동하는 제1스크류너트와, 상기 제1스크류너트의 일측에 결합되어 상기 제1가이드레일을 따라 좌우이동하는 제1지지블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clip conveying means includes a first support rail provided on one side of the main frame, first guide rails install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n both ends of the first support, and the A first lead screw installed between the first guide rail, a first drive motor for providing a rotational force to the first lead screw, and coupled to the first lead screw to move left and right according to the rotation of the first lead screw And a first supporting block coupled to one side of the first screw nut and moving left and right along the first guide rail.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제1클립 장착수단은 상기 제1클립 이송수단의 일측에 결합되고 상기 제1클립 공급수단으로부터 공급된 제1클립이 내부에 저장되는 제1클립 저장블록과, 상기 제1클립 저장블록의 하측에 포켓실린더에 의해 전후이동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포켓블록과, 상기 제1클립 저장블록의 일측에 결합되고 상단에 설치된 작동실린더에 의해 상하이동하며, 상기 포켓블록의 제1클립을 상기 소재의 제1클립장착부에 하나씩 조립 장착하는 제1클립 장착지그를 포함하되, 상기 제1클립 저장블록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개폐실린더가 설치되어 상기 제1클립 저장블록으로부터 상기 포켓블록으로 제1클립이 하나씩 공급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clip mounting means is coupled to one side of the first clip conveying means and the first clip storage block in which the first clip supplied from the first clip supply means is stored therein And a pocket block coupled to the front and rear movable by a pocket cylinder at a lower side of the first clip storage block, and moved by a working cylinder coupled to one side of the first clip storage block and installed at an upper side thereof. And a first clip mounting jig for assembling and mounting one clip of the first clip to the first clip mounting portion of the material, wherein the first clip storage block has at least one open / close cylinder installed therein from the first clip storage block. Characterized in that the first clip is supplied to the block one by one.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제2클립 공급수단은 상기 서브프레임의 상측에 설치되며, 내부에 저장된 제2클립들이 진동에 의해 일렬로 정렬되면서 공급되도록 하는 제2보울피더와, 상기 제2보울피더와 연통하도록 일측에 설치되며, 상기 제2클립들의 공급경로를 가이드하는 제2공급파이프를 포함하되, 상기 제2공급파이프의 일측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개폐실린더가 설치되어 상기 제2클립의 공급량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cond clip supply means is installed on the upper side of the sub-frame, the second bowl feeder to be supplied while the second clips stored therein are aligned in a line by vibration, and It is installed on one side so as to communicate with the second bowl feeder, and includes a second supply pipe for guiding the supply path of the second clips, at least one opening and closing cylinder is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second supply pipe is the second clip Characterized in that the amount of supply can be adjusted.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제2클립 이송수단은 상기 메인프레임의 일측에 설치되는 제2지지대와, 상기 제2지지대의 상측 양단에 길이 방향으로 설치되는 제2가이드레일과, 상기 제2가이드레일 사이에 설치되는 제2리드스크 류와, 상기 제2리드스크류에 회전력을 제공하는 제2구동모터와, 상기 제2리드스크류에 결합되어 상기 제2리드스크류의 회전에 따라 좌우이동하는 제2스크류너트와, 상기 제2스크류너트의 일측에 결합되어 상기 제2가이드레일을 따라 좌우이동하는 제2지지블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cond clip conveying means includes a second support provided on one side of the main frame, a second guide rail provid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t both ends of the second support, and A second lead screw installed between the second guide rails, a second driving motor providing a rotational force to the second lead screw, and coupled to the second lead screw to move left and right according to the rotation of the second lead screw. And a second support block coupled to one side of the second screw nut and moving left and right along the second guide rail.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제2클립 장착수단은 상기 제2클립 이송수단의 상측에 결합되는 지지플레이트와, 상기 지지플레이트의 일측에 결합되고 상기 제2클립 공급수단으로부터 공급된 제2클립이 내부에 저장되는 제2클립 저장블록과, 상기 제2클립 저장블록의 하측에 푸시실린더에 의해 좌우이동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푸시블록과, 상기 지지플레이트와 상기 제2클립 이송수단 사이에 설치되는 승강실린더와, 상기 승강실린더의 단부에 결합되며, 상기 지지플레이트의 양측에 구비된 가이드바를 따라 상하이동하는 승강블록과, 상기 승강블록의 일측에 결합되어 상기 푸시블록의 제2클립을 상기 소재의 제2클립장착부에 하나씩 조립 장착하는 제2클립 장착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cond clip mounting means is a support plate coupled to the upper side of the second clip conveying means, the first coupled to one side of the support plate and supplied from the second clip supply means A second clip storage block having two clips stored therein, a push block coupled to the left and right by a push cylinder at a lower side of the second clip storage block, and installed between the support plate and the second clip conveying means The elevating cylinder is coupled to the end of the elevating cylinder, the elevating block is moved along the guide bar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support plate, and coupled to one side of the elevating block, the second clip of the push block to the material I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second clip mounting tool for assembling and mounting one by one in the second clip mounting portion.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의하면, 작업중 상기 소재의 유동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메인프레임의 일측에 설치되는 지지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support means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main frame to prevent the flow of the material during operation.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지지수단은 상기 소재의 하측을 지지하는 지지부재와, 상기 소재의 일측에 설치된 가압실린더에 의해 상기 소재의 일측을 가압지지하는 가압부와, 상기 소재의 후방에 설치되는 회전축에 결합되어 상기 회전축의 회전에 따라 상기 소재의 상측을 가압지지하는 파지부를 포함하 되, 상기 회전축과 링크부재에 의해 연결된 회전축실린더가 상기 회전축의 후방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upport means is a support member for supporting the lower side of the material, the pressing portion for pressing and supporting one side of the material by a pressure cylinder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material, and It is coupled to the rotary shaft is installed in the rear including a gripping portion for supporting the upper side of the material according to the rotation of the rotary shaft, characterized in that the rotary shaft cylinder connected by the rotary shaft and the link member is installed at the rear of the rotary shaft do.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클립 장착장치에 의하면, 차량용 내장부품인 소재에 서로 다른 2가지 종류의 조립용 클립을 동시에 장착할 수 있고, 장착과정이 자동으로 이루어짐에 따라 클립 장착작업이 정확하고 신속하게 이루어지며, 작업시간 단축과 비용 절감에 따른 생산성 향상의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clip mounting device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wo different types of assembly clips can be simultaneously mounted on a material that is a vehicle interior part, and the clip mounting operation is accurate as the mounting process is automatically performed. It is made quickly and quickly, and it has the effect of improving productivity by reducing work time and cost.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클립 장착장치의 일실시예를 첨부된 도면과 함께 설명함에 있어서, 도어스커프에 클립을 장착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an embodiment of a clip mounting device for a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aking the case of mounting the clip to the door scuff as an example.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도어스커프에 장착되는 차량용 클립을 도시한 사시도로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클립 장착장치(100)는 서로 다른 두 종류의 클립(20,30)을 도어스커프(10)에 장착하게 된다.1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vehicle clip mounted to a door scuff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vehicle
도어스커프(10)에는 각각의 클립이 삽입 결합되도록 클립장착부가 구비되며, 제1클립(20)이 삽입 결합되는 제1클립장착부(11)와, 제2클립(30)이 삽입 결합되는 제2클립장착부(12)로 구분할 수 있다.The
여기서, 제1클립장착부(11)는 제1클립(20)이 수평방향으로 삽입 결합되도록, 일측에 개구부(11a)를 가지고 상측면에 슬라이드홈(11b)이 형성된 홀더의 형상을 하며, 제2클립장착부(12)는 제2클립(30)이 수직방향으로 삽입 결합되도록 두 개의 돌출부(12a)가 그 사이에 빈 공간이 형성되도록 이격하여 형성된다.Here, the first
이때, 제1클립(20)은 앵커형 돌출부(21)가 일측 단부에 형성된 형태로서, 타측에는 제1클립장착부(11)에 삽입 결합되는 원형의 지지부(22)가 형성된다.At this time, the
또한, 제2클립(30)은 하나의 탄성부재를 반으로 접어서 두 개의 서로 마주보는 표면을 가지도록 절곡 형성되고, 제2클립장착부(12)의 돌출부(12a) 사이에 삽입 결합된다.In addition, the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클립 장착장치의 전체적인 모습을 도시한 것이다. 좀 더 구체적으로는, 도 2a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클립 장착장치의 정면도, 도 2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클립 장착장치의 평면도, 도 2c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클립 장착장치의 측면도이다.Figure 2 shows the overall appearance of the clip mounting device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ore specifically, Figure 2a is a front view of a vehicle clip mount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b is a plan view of a vehicle clip mount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c is one of the present invention Side view of the clip mounting device for a vehicl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클립 장착장치(100)는 작업장의 바닥에 지지되는 메인프레임(110), 메인프레임(110)의 상부에 설치되는 서브프레임(120), 그리고 클립 공급수단(200,500), 클립 이송수단(300,600), 클립 장착수단(400,70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데, 도어스커프(10)는 메인프레임(110)의 전방 상측에 구비되는 소재지지부(111)에 안착된다.Vehicle
클립 공급수단(200,500)에 의해 클립(20,30)은 자동으로 일렬로 위 아래가 일정하게 정렬되어 클립 장착수단(400,700)으로 공급되고, 클립 이송수단(300,600)이 클립 장착수단(400,700)을 도어스커프(10)의 클립장착부(11,12)로 차례로 이송함으로써, 클립 장착수단(400,700)이 클립(20,30)을 도어스커프(10)에 장착하게 된다. 이때, 제1클립(20)의 장착과 제2클립(30)의 장착이 동시에 자동으로 진행된다.The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클립 장착장치의 제1클립 공급수단을 도시한 것으로, 좀 더 구체적으로는, 도 3a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1클립 공급수단의 정면도, 도 3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1클립 공급수단의 평면도, 도 3c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1클립 공급수단의 측면도이다.Figure 3 shows a first clip supply means of the clip mounting device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ore specifically, Figure 3a is a front view of the first clip supply mean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b is a plan view of the first clip supply mean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c is a side view of the first clip supply mean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1클립 공급수단(200)은 제1보울피더(210)와, 제1공급파이프(2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The first clip supply means 2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여기서, 제1보울피더(210)는 서브프레임(120)의 상측에 설치되며, 내부의 제1클립 저장부(211)에는 제1클립(20)이 다수 저장된다. Here, the
제1클립 저장부(211)의 제1클립(20)들은 진동자(212)의 진동에 따라, 제1클립 저장부(211)의 내측벽을 따라 형성되어 있는 나선형 가이드(213)를 따라 서서히 올라가면서 일렬로 정렬되며, 제1보울피더(210)의 일측에서 제1보울피더(210)와 연통하게끔 상하 방향으로 설치된 제1공급파이프(220)를 통해 아래로 떨어지게 된다.The
이때, 제1공급파이프(220)의 하부 일측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개폐실린더(221)가 설치되어 제1공급파이프(220)를 개폐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 다. 이는, 제1클립 장착수단(400)으로 공급되는 제1클립(20)의 개수를 조절하기 하기 위한 것으로, 한번에 도어스커프(10)의 제1클립장착부(11)의 개수만큼 공급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hat at least one opening
즉, 예를 들어 도어스커프(10)의 제1클립장착부(11)의 개수가 4개이면, 4개의 제1클립(20)이 제1공급파이프(220)를 통해 제1클립 장착수단(400)으로 공급된 후에 제1공급파이프(220)를 폐쇄하여, 더 이상의 제1클립(20) 공급이 이루어지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That is, for example, if the number of the first
이때, 제1공급파이프(220)의 일측에 상하로 이격하여 소정 간격을 두고 각각 개폐실린더(221)를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o install the opening and
이 경우, 아래쪽의 개폐실린더(221)가 제1공급파이프(220)를 폐쇄한 상태에서 제1클립(20)의 공급이 이루어지고, 원하는 개수만큼 제1클립(20)이 적체되면, 위쪽의 개폐실린더(221)가 작동하여 제1공급파이프(220)를 폐쇄한 후에 아래쪽의 개폐실린더(221)가 개방되면서 각각의 개폐실린더(221) 사이에 적체되어 있던 제1클립(20)이 제1클립 장착수단(400)으로 공급되며, 이후에는 아래쪽의 개폐실린더(221)가 작동하여 제1공급파이프(220)를 폐쇄하고, 위쪽의 개폐실린더(221)가 개방되면서 전술한 과정이 다시 되풀이된다.In this case, when the lower opening / closing
아울러, 개폐실린더(221)의 작동은 제1공급파이프(220)의 일측에 설치되는 센서(미도시)가 제1클립(20)의 공급 개수를 감지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operation of the opening and closing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클립 장착장치의 제1클립 이송수 단을 도시한 것으로, 좀 더 구체적으로는, 도 4a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1클립 이송수단의 정면도, 도 4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1클립 이송수단의 평면도, 도 4c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1클립 이송수단의 측면도이다.Figure 4 shows a first clip feed end of the clip mounting device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ore specifically, Figure 4a is a first clip of the transfer mean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B is a plan view of a first clip conveying mean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4C is a side view of a first clip conveying mean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여기서, 제1클립 이송수단(300)은 후술하는 제1클립 장착수단(400)을 도어스커프(10)의 제1클립장착부(11) 위치로 순차적으로 이송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제1지지대(310), 제1가이드레일(320), 제1리드스크류(330), 제1구동모터(340), 제1스크류너트(350), 제1지지블록(36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Here, the first clip conveying means 300 serves to sequentially convey the first clip mounting means 400 to be described later to the position of the first
이때, 제1지지대(310)는 메인프레임(110)의 중앙부 일측에 설치되고, 제1지지대(310)의 상단 양측에는 제1가이드레일(320)이 구비되며, 제1가이드레일(320) 사이에는 길이방향으로 제1리드스크류(330)가 설치된다.At this time, the
제1리드스크류(330)의 회전은 제1구동모터(340)에 의해 이루어지고, 제1리드스크류(330)에 결합된 제1스크류너트(350)가 제1리드스크류(330)의 회전에 따라 좌우이동하며, 이때 제1스크류너트(350)의 일측에 결합된 제1지지블록(360)이 함께 이동하게 된다. 이 제1지지블록(360)의 일측에는 후술하는 제1클립 장착수단(400)이 브래킷(361)에 의해 결합된다.Rotation of the
이때, 제1지지블록(360)의 이동거리 및 제1구동모터(340)의 정·역회전은 센서(미도시)에 의해 제어되는 것이 바람직하다.At this time, the moving distance of the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클립 장착장치의 제1클립 장착수단을 도시한 것으로, 좀 더 구체적으로는, 도 5a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1 클립 장착수단의 정면도, 도 5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1클립 장착수단의 평면도, 도 5c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1클립 장착수단의 측면도이다.Figure 5 shows a first clip mounting means of the vehicle clip mount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ore specifically, Figure 5a is a front of the first clip mounting mean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b is a plan view of the first clip mounting mean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c is a side view of the first clip mounting mean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여기서, 제1클립 장착수단(400)은 제1클립 공급수단(200)으로부터 공급받은 제1클립(20)을 도어스커프(10)의 제1클립장착부(11)에 하나씩 조립 장착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초기에는 제1클립 공급수단(200)의 하부에 위치되고, 제1클립 이송수단(300)에 의해 제1클립장착부(11) 위치로 차례로 수평 이송되면서 제1클립(20)의 조립 장착을 실시하게 된다.Here, the first clip mounting means 400 serves to assemble and mount the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1클립 장착수단(400)은 제1클립 저장블록(410), 포켓블록(420), 제1클립 장착지그(4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first clip mounting means 4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first
여기서, 제1클립 저장블록(410)은 제1공급파이프(220)를 통해 공급되는 제1클립(20)을 받아서 저장하는 것으로, 내부에 중공을 가진 직육면체 형상이고, 제1지지블록(360, 도 4)의 전방에 브래킷(361, 도 4)에 의해 결합된다.Here, the first
아울러, 제1클립 이송수단(300)이 초기 위치에 있을 때 제1공급파이프(220)의 하단으로부터 소정간격 이격하여 서로 연통되도록 제1클립 저장블록(410)의 중공이 위치함으로써, 제1클립(20)은 제1공급파이프(220)를 통해 제1클립 저장블록(410)의 중공으로 들어가게 되는 것이다.In addition, when the first clip feed means 300 is in the initial position, the hollow of the first
또한, 제1클립 저장블록(410)의 일측에는 제1클립 저장블록(410)의 중공을 개폐하는 개폐실린더(411)가 설치되는데, 이는 후술하는 포켓블록(420)으로 한번에 하나씩 제1클립(20)을 공급하기 위함이다.In addition, an opening and
이때, 제1클립 저장블록(410)의 일측에 상하로 이격하여 소정 간격을 두고 각각 개폐실린더(411)를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각 개폐실린더(411)의 작동은 일측에 설치된 센서(미도시)에 의해 포켓블록(420)에 제1클립(20)의 수용 여부를 감지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o install the opening and closing
포켓블록(420)은 제1클립 저장블록(410)의 하부에 전후이동 가능하도록 결합된다.The
이 포켓블록(420)은 후술하는 제1클립 장착지그(430)가 제1클립(20)을 하나씩 집을 수 있도록, 제1클립 저장블록(410) 내부의 제1클립(20)을 하나씩 외부로 배출하는 역할을 하며, 상측이 개구된 함체형으로 한번에 하나의 제1클립(20)만이 수용될 수 있도록 내부에 공간부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이때, 포켓블록(420)의 전후이동은 포켓블록(420) 후방에 설치되는 포켓실린더(421)에 의해 이루어진다.At this time, the front and rear movement of the
포켓블록(420)에 수용되어 외부로 배출된 제1클립(20)은 제1클립 장착지그(430)에 의해 도어스커프(10)의 제1클립장착부(11)에 조립 장착된다.The
여기서, 제1클립 장착지그(430)는 가이드 블록(431)과, 슬라이드 부재(432)와, 지그(433)를 포함하여 구성되는데, 가이드 블록(431)은 제1클립 저장블록(410)의 일측에 결합되고, 내부에는 상하방향으로 승강홈(431a)이 형성되며, 상부에는 작동실린더(435)가 설치된다.Here, the first
이 작동실린더(435)의 단부에 슬라이드 부재(432)가 결합되어 가이드 블록(431)의 승강홈(431a)을 따라 상하 이동하게 되며, 슬라이드 부재(432)의 전면에 지그(433)가 결합된다.The
이때, 지그(433)에는 제1클립(20)을 집을 수 있도록, 중공을 가진 원통형 집게(434)가 구비되는데, 이 집게(434)는 포켓블록(420)이 전방으로 이동하여 제1클립(20)을 외부로 배출하였을 때 집게(434)의 중공이 제1클립(20)의 앵커형 돌출부(21) 상측에 위치되도록, 이 위치에 해당하는 지그(433) 하단부에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At this time, the
따라서, 작동실린더(435)가 작동하여 슬라이드 부재(432)가 승강홈(431a)을 따라 하강하면, 슬라이드 부재(432)에 결합된 지그(433) 역시 아래로 하강하며, 집게(434)의 중공에 제1클립(20)의 앵커형 돌출부(21)가 삽입 결합되는 것이다.Therefore, when the
이후, 슬라이드 부재(432)가 상승하면서 제1클립(20)은 집게(434)의 중공에 삽입 결합된 상태로 포켓블록(420)의 상부로 집어 올려지고, 포켓블록(420)이 후방으로 원위치된 후에 다시 하강하여 제1클립(20)의 지지부(22)를 제1클립장착부(11)의 개구부(11a) 옆에 위치시키며, 이어서 제1클립 이송수단(300)이 제1클립장착부(11)의 슬라이드홈(11b) 길이만큼 제1클립 장착수단(400)을 이동시킴으로써, 제1클립(20)이 제1클립장착부(11)에 삽입 장착된다. Thereafter, as the
이때, 집게(434)의 일측에 제1클립(20)이 제대로 집어 올려졌는지를 감지하는 센서(미도시)를 설치하여, 작업과정의 정확한 진행을 체크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o install a sensor (not shown) for detecting whether the
제1클립(20)이 제1클립장착부(11)에 장착된 후에는 집게(434)가 상승하여 원위치되는데, 이때 제1클립(20)의 지지부(22)가 제1클립장착부(11)의 슬라이드 홈(11b)에 걸려서 이탈이 방지되므로, 제1클립(20)은 집게(434)로부터 분리되어 제1클립장착부(11)에 장착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며, 이로써 제1클립(20)의 도어스커프(10) 장착작업이 완료되는 것이다.After the
한편, 한번에 하나씩 제1클립(20)이 포켓블록(420)에 수용되도록 하기 위해, 제1클립 저장블록(410)과 포켓블록(420) 사이에, 중공을 가진 중간블록(미도시)을 개재하는 방법이 대안적으로 사용될 수도 있다.On the other hand, in order to accommodate the
이때는, 제1클립 저장블록(410)의 중공과 포켓블록(420)의 공간부가 바로 연통되지 않고 수평으로 소정거리 이격하게끔 형성되고, 중간블록의 중공은 초기에 제1클립 저장블록(410)의 중공과 연통되었다가, 이동하여 다시 포켓블록(420)의 공간부와 연통된다.In this case, the hollow of the first
즉, 제1클립 저장블록(410)의 중공을 통해 중간블록의 중공으로 하나의 제1클립(20)이 공급되면, 개폐실린더(411)에 의해 중간블록이 이동하여, 중간블록의 중공과 포켓블록(420)의 공간부가 연통되면서 제1클립(20)이 포켓블록(420)으로 수용된다. That is, when one
이때, 중간블록의 중공은 하나의 제1클립(20)만이 수용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중간블록이 이동하는 과정에서 중간블록의 중공 외주 상측면이 제1클립 저장블록(410)의 중공 하단을 폐쇄하게 되므로, 제1클립(20)은 한번에 하나씩 순차적으로 포켓블록(420)에 수용되는 것이다.At this time, the hollow of the intermediate block is preferably formed so that only one
이하에서는, 제2클립을 도어스커프에 장착하는 과정을 도면의 실시예에 따라 설명하기로 한다. 제2클립의 장착작업은 전술한 제1클립의 장착작업과 함께 동시에 진행된다.Hereinafter, a process of attaching the second clip to the door scuff will be described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drawings. The mounting work of the second clip proceeds simultaneously with the mounting work of the first clip described above.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클립 장착장치의 제2클립 공급수단을 도시한 것으로, 좀 더 구체적으로는, 도 6a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2클립 공급수단의 정면도, 도 6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2클립 공급수단의 측면도이다.Figure 6 shows a second clip supply means of the vehicle clip mount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ore specifically, Figure 6a is a front of the second clip supply mean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b is a side view of the second clip supply mean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2클립 공급수단(500)의 구성과 작동은 전술한 제1클립 공급수단(200)과 전체적으로 유사하며 다만, 공급하는 클립의 형상이 다르다는 차이가 있다.Configuration and operation of the second clip supply means 5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imilar to the overall first clip supply means 200 described above, except that the shape of the supplied clip is different.
즉, 제2클립 공급수단(500)은 서브프레임(120)의 상측에 설치되는 제2보울피더(510)와, 제2보울피더(510)의 일측에 설치되는 제2공급파이프(520)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제2클립 저장부(511)의 클립들은 일렬로 정렬되어, 제2공급파이프(520)를 통해 아래로 떨어지게 된다.That is, the second clip supply means 500 includes a
또한, 제2공급파이프(520)의 하부 일측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개폐실린더(521)가 설치되어 공급되는 제2클립(30)의 개수를 조절하게 되고, 제2공급파이프(520)의 일측에 상하로 이격하여 소정 간격을 두고 각각 개폐실린더(521)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개폐실린더(521)의 작동은 제2공급파이프(520)의 일측에 설치되는 센서(미도시)가 제2클립(30)의 공급 개수를 감지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at least one opening /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클립 장착장치의 제2클립 이송수단을 도시한 것으로, 좀 더 구체적으로는, 도 7a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2클립 이송수단의 정면도, 도 7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2클립 이송수단의 평면도, 도 7c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2클립 이송수단의 측면도이다.Figure 7 shows a second clip conveying means of the vehicle clip mount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ore specifically, Figure 7a is a front of the second clip conveying mean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7b is a plan view of the second clip conveying mean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7c is a side view of the second clip conveying mean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여기서, 제2클립 이송수단(600)은 후술하는 제2클립 장착수단(700)을 도어스커프(10)의 제2클립장착부(12) 위치로 순차적으로 이송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제2지지대(610), 제2가이드레일(620), 제2리드스크류(630), 제2구동모터(640), 제2스크류너트(650), 제2지지블록(66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등 전술한 제1클립 이송수단(300)과 전체적으로 유사한 구성과 작동을 한다. Here, the second clip transfer means 600 serves to sequentially transfer the second clip mounting means 700 to be described later to the second
다만, 제2지지대(610)가 메인프레임(110)의 전방 일측, 더욱 상세하게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지지대(310)의 전방 하부에 설치되고, 후술하는 제2클립 장착수단(700)을 제2클립 이송수단(600)에 결합시키기 위해 제2지지블록(660)의 일측에 구비되는 브래킷(661)이 상측으로 길게 형성된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However, the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클립 장착장치의 제2클립 장착수단을 도시한 것으로, 좀 더 구체적으로는, 도 8a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2클립 장착수단의 정면도, 도 8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2클립 장착수단의 평면도, 도 8c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2클립 장착수단의 측면도이다.Figure 8 shows a second clip mounting means of the vehicle clip mount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ore specifically, Figure 8a is a front of the second clip mounting mean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8b is a plan view of the second clip mounting mean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8c is a side view of the second clip mounting mean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여기서, 제2클립 장착수단(700)은 제2클립 공급수단(500)으로부터 공급받은 제2클립(30)을 도어스커프(10)의 제2클립장착부(12)에 하나씩 조립 장착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초기에는 제2클립 공급수단(500)의 하부에 위치하고 있다가, 제2클립 이송수단(600)에 의해 제2클립장착부(12) 위치로 차례로 수평 방향 이송되면서 제2클립(30)의 조립 장착을 실시하게 된다.Here, the second clip mounting means 700 serves to assemble and mount the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2클립 장착수단(700)은 지지플레이트(710), 승강실린더(720), 승강블록(730), 제2클립 저장블록(740), 푸시블록(750), 제2클립 장착툴(77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cond clip mounting means 700 includes a
여기서, 지지플레이트(710)는 제2클립 이송수단(600)의 브래킷(661, 도 7) 상측에 수평하게 결합되고, 지지플레이트(710)의 하부에는 승강실린더(720)가 설치되며, 상측에는 두 개의 가이드바(711)가 전후방향으로 서로 이격하여 구비된다.Here, the
아울러, 지지플레이트(710)의 중앙에는 관통공이 형성되는데, 이 관통공을 통해 승강실린더(720)의 단부가 지지플레이트(710)의 상부에 이격하여 설치되는 승강블록(730)에 결합되며, 승강실린더(720)의 작동에 의해 이 승강블록(730)이 상하 이동하는 방향을 가이드하도록, 승강블록(730)에는 두 개의 가이드공이 전후방향으로 서로 이격하여 형성되고, 이 가이드공에 전술한 가이드바(711)가 각각 삽입된다.In addition, the through hole is formed in the center of the
즉, 승강실린더(720)의 작동에 의해 승강블록(730)이 가이드바(711)를 따라 상하로 승강하게 되는 것이다.That is, the
제2클립 저장블록(740)은 제2공급파이프(520)를 통해 공급되는 제2클립(30)을 받아서 저장하는 것으로, 내부에 중공이 형성되고, 지지플레이트(710)의 후방 일측에 결합된다.The second
아울러, 제2클립 이송수단(600)이 초기 위치에 있을 때 제2공급파이프(520)의 하단으로부터 소정간격 하부로 이격하여 서로 연통되도록 위치함으로써, 제2클립(30)은 제2공급파이프(520)를 통해 제2클립 저장블록(740)의 중공으로 들어가게 된다.In addition, when the second clip feed means 600 is located in the initial position so as to communicate with each other spaced apart from the lower end of the
푸시블록(750)은 제2클립 저장블록(740)의 하부 일측에 좌우이동 가능하도록 결합된다.
이 푸시블록(750)은 후술하는 제2클립 장착툴(770)이 한번에 하나씩 제2클립(30)을 장착하는 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제2클립 저장블록(740) 내부의 제2클립(30)을 하나씩 외부로 배출하는 역할을 하며, 상측과 하측이 개구된 육면체형으로 한번에 하나의 제2클립(30)만이 수용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또한, 제2클립 장착툴(770)은 제2클립(30)의 서로 마주보는 표면 사이의 간격보다 작은 폭을 가진 플레이트 형상이며, 승강블록(730)의 후방 일측에 브래킷에 의해 결합되어, 승강실린더(720)의 작동에 의해 승강블록(730)과 함께 상하 이동한다. In addition, the second
이때, 푸시블록(750)의 좌우이동은 푸시블록(750)의 일측에 설치되는 푸시실린더(760)에 의해 이루어지고, 푸시블록(750)이 전진하여 제2클립(30)을 집은 후 다시 후진하여 제2클립장착부(12)의 상측에 제2클립(30)을 위치시킨다.At this time, the left and right movement of the
이어서, 제2클립 장착툴(770)이 하강하여 제2클립장착부(12)에 제2클립(30)을 삽입 장착시키게 되며, 승강실린더(720)에 의해 제2클립 장착툴(770)이 상승하 여 다시 원위치되는 것으로 제2클립(30)의 장착이 완료되는 것이다.Subsequently, the second
이때, 푸시블록(750)에 제2클립(30)의 수용 여부를 감지하는 센서(미도시)를 설치하여, 작업과정의 정확한 진행을 체크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is case, it is preferable to install a sensor (not shown) for detecting whether the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클립 장착장치의 지지수단과 취출수단을 도시한 것으로, 좀 더 구체적으로는, 도 9a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지지수단과 취출수단의 정면도, 도 9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지지수단과 취출수단의 평면도, 도 9c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지지수단과 취출수단의 측면도이다.Figure 9 shows a support means and a take-out means of the clip mounting device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ore specifically, Figure 9a is a front view of the support means and the take-out mean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B is a plan view of the support means and the take-out mean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9C is a side view of the support means and the take-out mean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여기서, 지지수단(800)은 소재지지부(111)에 지지된 도어스커프(10)가 클립 장착작업중 유동하는 것을 방지하고, 클립이 정확한 위치에 조립되도록, 도어스커프(10)를 작업위치에 정확히 고정하는 역할을 한다.Here, the support means 800 prevents the
또한, 취출수단(900)은 클립 장착작업이 모두 완료된 도어스커프(10)를 소재지지부(111)에서 이탈시켜 차량용 클립 장착장치(100)의 전방에 구비된 보조대(950)로 이동시키는 역할을 한다.In addition, the take-out means 900 serves to move the
지지수단(800)은 도어스커프(10)의 일측을 가압하여 지지하는 지지실린더(810)와, 도어스커프(10)의 후방에 길이방향으로 수평하게 설치되는 회전축(820)과, 회전축(820)에 결합되어 도어스커프(10)의 표면을 가압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가압부(830)와, 회전축(820)과 링크부재(840)로 연결되어 회전축(820)에 회전력을 제공하는 가압실린더(8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support means 800 includes a
즉, 도어스커프(10)는 저면이 소재지지부(111)에 지지되는 상태에서 일측이 소재지지부(111)의 일측에 구비되는 사이드브래킷(111a)에 의해 지지되고, 타측은 지지실린더(810)에 의해 가압 지지되며, 가압실린더(850)의 작동에 의해 회전축(820)이 회전하면서 가압부(830)가 도어스커프(10)의 표면을 가압하여, 작업중에 유동하지 못하도록 지지된다.That is, the
취출수단(900)은 도어스커프(10)의 하부에 이격하여 구비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취출부재(910)와, 각 취출부재(910)를 승강시키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취출실린더(920)와, 각 취출실린더(920)가 결합 지지되는 취출플레이트(930)와, 취출플레이트(930)를 전방으로 이동시키는 이송실린더(9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dispensing means 900 includes at least one
즉, 도어스커프(10)에 클립을 장착하는 작업이 모두 완료되면, 취출실린더(920)가 작동하여 취출부재(910)를 상승시키며, 이 취출부재(910)는 도어스커프(10)의 저면을 밀어올려서 소재지지부(111)로부터 도어스커프(10)가 분리되도록 한다.That is, when all of the work to attach the clip to the
이후, 이송실린더(940)가 작동하여 취출플레이트(930)가 전방으로 이동하면, 취출부재(910)에 지지된 도어스커프(10)가 차량용 클립 장착장치(100)의 전방으로 이동하여 보조대(950)의 상측에 위치되고, 이후 취출부재(910)가 하강하면서 도어스커프(10)는 보조대(950)에 남겨지고, 취출플레이트(930)가 후진하여 원위치로 돌아가게 되는 것이다.Thereafter, when the
미설명된 도면부호 112는 전체 작업과정을 제어하는 컨트롤패널을 가리킨다.
이상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클립 장착장치에 의하면, 두 종류의 클립을 일정 개수(예컨대 4개, 6개, 8개 또는 10개)만큼 자동으로 정렬시켜 차량용 내장부품(예컨대 도어스커프)에 자동으로 조립할 수 있고, 각 단계마다 센서에 의해 자동으로 작업과정이 체크될 수 있으므로, 클립 장착작업이 자동화되어 신속하고 정확하게 이루어질 수 있어, 생산성이 증가되는 장점이 있다.According to the vehicular clip mount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two kinds of clips are automatically aligned by a predetermined number (for example, 4, 6, 8 or 10) to the vehicle interior parts (for example Door scuff) can be automatically assembled, and the work process can be automatically checked by the sensor at each step, the clip mounting work can be automated quickly and accurately,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productivity is increased.
여기서, 상술한 본 발명은 소재 즉, 차량용 내장부품의 일 예로서 도어스커프에 관해 설명하였지만, 차량 내부에 조립되는 인스트루먼트 패널, 웨더스트립, 헤드라이닝 등 기타 내장부품에 클립을 조립 장착함에 있어서도 모두 적용 가능한 것은 당업자라면 주지할 수 있는 사실이다. Here, 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spect to the door scuff as an example of the material, that is, the vehicle interior parts, it is also applied to the assembly of the clip to the other interior parts, such as instrument panels, weather strips, headlinings that are assembled inside the vehicle. What is possible is a fact know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또한,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될 수 있음은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In addition, it is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escribed embodiments, and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changes can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such modifications or variations will have to be belong to the claims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도어스커프에 장착되는 차량용 클립을 도시한 사시도.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vehicle clip mounted to the door scuff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클립 장착장치의 개략도.Figure 2 is a schematic diagram of a clip mounting device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1클립 공급수단을 도시한 개략도.Figure 3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 first clip supply mean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1클립 이송수단을 도시한 개략도.Figure 4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 first clip transport mean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1클립 장착수단을 도시한 개략도.Figure 5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 first clip mounting mean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2클립 공급수단을 도시한 개략도.Figure 6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 second clip supply mean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2클립 이송수단을 도시한 개략도.Figure 7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 second clip conveying mean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2클립 장착수단을 도시한 개략도.8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 second clip mounting mean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지지수단과 취출수단을 도시한 개략도.9 is a schematic view showing the support means and the take-out mean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on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 : 도어스커프 11 : 제1클립장착부10
12 : 제2클립장착부 20 : 제1클립12: second clip mounting portion 20: the first clip
30 : 제2클립 100 : 차량용 클립 장착장치30: second clip 100: vehicle clip mounting device
110 : 메인프레임 111 : 소재지지부110: main frame 111: material support
120 : 서브프레임 200 : 제1클립 공급수단120: subframe 200: first clip supply means
300 : 제1클립 이송수단 400 : 제1클립 장착수단300: first clip conveying means 400: first clip mounting means
500 : 제2클립 공급수단 600 : 제2클립 이송수단500: second clip feed means 600: second clip feed means
700 : 제2클립 장착수단 800 : 지지수단700: second clip mounting means 800: support means
900 : 취출수단 950 : 보조대900: extraction means 950: auxiliary support
Claims (10)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70136166A KR100906004B1 (en) | 2007-12-24 | 2007-12-24 | Car clip mounting devic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70136166A KR100906004B1 (en) | 2007-12-24 | 2007-12-24 | Car clip mounting device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90068512A KR20090068512A (en) | 2009-06-29 |
KR100906004B1 true KR100906004B1 (en) | 2009-07-06 |
Family
ID=409959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70136166A KR100906004B1 (en) | 2007-12-24 | 2007-12-24 | Car clip mounting devic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906004B1 (en)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085313B1 (en) | 2018-10-26 | 2020-03-05 | (주)우성티오티 | Automobile automatic clip mounting machine for arrange and push-in Apparatus |
KR20210144500A (en) | 2020-05-23 | 2021-11-30 | 주식회사 우성티오티 | Push-in Tool of Automobile automatic clip mounting machine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940928B1 (en) * | 2009-07-30 | 2010-02-08 | 유한회사 희진 | Apparatus for automatic assembling of clips |
KR102563858B1 (en) * | 2021-04-22 | 2023-08-09 | 한국소니전자(주) | Clip supply apparatus for fixing packing of doorframe of car |
KR102563867B1 (en) * | 2021-04-22 | 2023-08-09 | 한국소니전자(주) | Clip inserting apparatus for fixing packing of doorframe of car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57145725A (en) | 1981-03-04 | 1982-09-08 | Toukiyouto Gijutsu Kenkyusho | Feeder for blank clip in packing device |
US4686750A (en) | 1984-12-21 | 1987-08-18 | Toyoda Gosei Co., Ltd. | Automatic clip mounting device |
JP2005144636A (en) * | 2003-11-19 | 2005-06-09 | Nec Engineering Ltd | Clip installing device |
-
2007
- 2007-12-24 KR KR1020070136166A patent/KR100906004B1/en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57145725A (en) | 1981-03-04 | 1982-09-08 | Toukiyouto Gijutsu Kenkyusho | Feeder for blank clip in packing device |
US4686750A (en) | 1984-12-21 | 1987-08-18 | Toyoda Gosei Co., Ltd. | Automatic clip mounting device |
JP2005144636A (en) * | 2003-11-19 | 2005-06-09 | Nec Engineering Ltd | Clip installing device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085313B1 (en) | 2018-10-26 | 2020-03-05 | (주)우성티오티 | Automobile automatic clip mounting machine for arrange and push-in Apparatus |
KR20210144500A (en) | 2020-05-23 | 2021-11-30 | 주식회사 우성티오티 | Push-in Tool of Automobile automatic clip mounting machine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90068512A (en) | 2009-06-29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906004B1 (en) | Car clip mounting device | |
KR101371489B1 (en) | Automatic system for mounting door hinge t0 vehicle | |
KR100622412B1 (en) | Tray Feeder | |
KR101617240B1 (en) | apparatus for automatic clip assembly | |
CN101905418A (en) | Bolt automatic mounting device and mounting method thereof | |
KR20140148084A (en) | Auto supply equipment of flange | |
KR101098906B1 (en) | Insert installation of nuts | |
CN113070678B (en) | Full-automatic production line for door and window hinges | |
KR101037220B1 (en) | Fastening device for car window bracket | |
CN211759612U (en) | Automatic assembly line of active-standby type double-tire pressure sensor | |
KR100935021B1 (en) | Clip Mounting Device for Automobile Molding | |
KR100434614B1 (en) | Nut auto insert device for base panel | |
KR100598027B1 (en) | Euroform automatic assembly device | |
KR101079767B1 (en) | A nut auto insert device for base panel | |
CN215200598U (en) | Full-automatic production line for door and window hinges | |
CN107336007B (en) | Assembling equipment for motorcycle instrument movement with shaft lever clamp spring assembly | |
CN211438889U (en) | Revolving fragment material loading connector riveting device of door lock panel assembly machine | |
CN213033826U (en) | Automatic tooth machine of attacking in duplex position | |
KR200372300Y1 (en) | Auto-Constructing Equipments of Euro Form Pannel | |
KR100666248B1 (en) | Shuttleline system of the vehicle body | |
KR100984161B1 (en) | Apparatus for Mounting Clip on Car Molding | |
CN112692217A (en) | Automatic riveting machine for movable sheet contact of iron sheet | |
KR101925749B1 (en) | Automobile door weather strip manufacturing equipment | |
CN113996965B (en) | Automatic welding machine and welding process | |
KR100774648B1 (en) | Fuel Tank Transport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71224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9042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90623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90626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090629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20619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0620 Year of fee payment: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30620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0522 Year of fee payment: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40522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605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