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901683B1 - 퍼옥시좀 증식제 응답성 수용체 δ의 활성화제 - Google Patents

퍼옥시좀 증식제 응답성 수용체 δ의 활성화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01683B1
KR100901683B1 KR1020047002008A KR20047002008A KR100901683B1 KR 100901683 B1 KR100901683 B1 KR 100901683B1 KR 1020047002008 A KR1020047002008 A KR 1020047002008A KR 20047002008 A KR20047002008 A KR 20047002008A KR 100901683 B1 KR100901683 B1 KR 1009016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oup
isopropyl
methylphenoxy
compound
propiony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70020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23741A (ko
Inventor
사꾸마쇼고
야마까와도미오
간다다까시
마즈이세이이찌로
Original Assignee
닛뽕 케미파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닛뽕 케미파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닛뽕 케미파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400237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2374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016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01683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263/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1,3-oxazole or hydrogenated 1,3-oxazole rings
    • C07D263/5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1,3-oxazole or hydrogenated 1,3-oxazole rings condensed with carbocyclic rings or ring systems
    • C07D263/6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1,3-oxazole or hydrogenated 1,3-oxazole rings condensed with carbocyclic rings or ring systems having two or more ring systems containing condensed 1,3-oxazole ring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9/00Drugs for skeletal disorders
    • A61P19/08Drugs for skeletal disorders for bone diseases, e.g. rachitism, Paget's disease
    • A61P19/10Drugs for skeletal disorders for bone diseases, e.g. rachitism, Paget's disease for osteoporosi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1/00Drugs for disorders of the muscular or neuromuscular system
    • A61P21/04Drugs for disorders of the muscular or neuromuscular system for myasthenia gravi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5/00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 A61P25/28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for treating neurodegenerative disorders of the central nervous system, e.g. nootropic agents, cognition enhancers, drugs for treating Alzheimer's disease or other forms of dementi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7/00Drugs for disorders of the senses
    • A61P27/02Ophthalmic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9/00Non-central analgesic, antipyretic or antiinflammatory agents, e.g. antirheumatic agents; Non-steroidal antiinflammatory drugs [NSAI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00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00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 A61P3/04Anorexiants; Antiobesity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00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 A61P3/06Antihyperlipidemi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00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 A61P3/08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for glucose homeostasis
    • A61P3/10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for glucose homeostasis for hyperglycaemia, e.g. antidiabeti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1/00Antiinfectives, i.e. antibiotics, antiseptics, chemotherapeuti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5/00Antineoplastic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43/00Drugs for specific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61P1/00-A61P41/00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5/00Drugs for disorders of the endocrine system
    • A61P5/14Drugs for disorders of the endocrine system of the thyroid hormones, e.g. T3, T4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5/00Drugs for disorders of the endocrine system
    • A61P5/38Drugs for disorders of the endocrine system of the suprarenal hormon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9/00Drugs for disorders of the cardiovascular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9/00Drugs for disorders of the cardiovascular system
    • A61P9/10Drugs for disorders of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eating ischaemic or atherosclerotic diseases, e.g. antianginal drugs, coronary vasodilators, drugs for myocardial infarction, retinopathy, cerebrovascula insufficiency, renal arteriosclerosi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263/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1,3-oxazole or hydrogenated 1,3-oxazole rings
    • C07D263/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1,3-oxazole or hydrogenated 1,3-oxazole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 C07D263/3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1,3-oxazole or hydrogenated 1,3-oxazole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having two or three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 C07D263/3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1,3-oxazole or hydrogenated 1,3-oxazole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having two or three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with only hydrogen atoms, hydrocarbon or substituted hydrocarbon radicals, directly attached to ring carbon atom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277/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1,3-thiazole or hydrogenated 1,3-thiazole rings
    • C07D277/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1,3-thiazole or hydrogenated 1,3-thiazole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 C07D277/2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1,3-thiazole or hydrogenated 1,3-thiazole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having two or three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 C07D277/2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1,3-thiazole or hydrogenated 1,3-thiazole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having two or three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with only hydrogen atoms, hydrocarbon or substituted hydrocarbon radicals, directly attached to ring carbon atoms
    • C07D277/24Radicals substituted by oxygen atom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iabetes (AREA)
  • Hematology (AREA)
  • Obesity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Neurology (AREA)
  • Endocrinology (AREA)
  • Rheumat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Cardiology (AREA)
  • Neurosurger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Urology & Nephrology (AREA)
  • Hospice & Palliative Care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Psychiatry (AREA)
  • Onc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Communicable Diseases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Acyclic And Carbocyclic Compounds In Medicinal Compositions (AREA)
  • Heterocyclic Carbon Compounds Containing A Hetero Ring Having Nitrogen And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기 일반식 I 로 표시되는 화합물 혹은 그의 염, 그리고 이것을 유효성분으로서 함유하는 PPARδ의 활성화제에 관한 것이다:
Figure 112004005322291-pct00145
(식 중, R1 은 치환될 수도 있는 페닐기 등을, R2 는 탄소수 1∼8의 알킬기 등을, A 는 산소원자 등을, X 는 탄소수 1∼8의 알킬렌쇄 등을, Y 는 C(=O) 등을, R3, R4 및 R5 는 수소원자, 탄소수 1∼8 의 알킬기 등을, B 는 CH 등을, Z 는 산소원자 또는 황원자를, R6 및 R7 은 수소원자 등을, R8 은 수소원자 등을 나타낸다. 단, R3, R4 및 R5 의 적어도 하나는 수소원자가 아님).

Description

퍼옥시좀 증식제 응답성 수용체 δ의 활성화제{ACTIVATOR OF PEROXISOME PROLIFERATOR-ACTIVATED RECEPTOR δ}
본 발명은 퍼옥시좀 증식제 응답성 수용체 δ의 활성화제에 관한 것이다.
퍼옥시좀 (peroxisome) 은 동식물의 세포중에 관찰되는 소기관으로, 그 매트릭스에는 카탈라아제를 비롯한 각종 효소가 함유되어 있다. 퍼옥시좀 증식제 (peroxisome proliferator) 는, 이 퍼옥시좀의 증식을 유발하는 물질로 항지혈약 (피브레이트류), 제초제, 프탈산염 가소제 등의 다양한 화합물군이 알려져 있다.
이세만 (Isseman) 등에 의해 이 퍼옥시좀 증식제에 의해 활성화되는 핵내 수용체가 동정되어, 퍼옥시좀 증식제 응답성 수용체 (peroxisome proliferator activated receptor:PPAR) 로 명명되었다 (Nature, 347, p645-650, 1990).
PPAR 은 지금까지 PPARα, PPARγ및 PPARδ의 3종의 서브 타입의 존재가 확인되었다 (Proc. Natl. Acad. Sci. USA, 91, p7335-7359, 1994).
상기 서술한 피브레이트계 약제는 이 중 PPARα에 대해 리간드 효과를 가져, 임상에서는 강한 혈청 TG (트리글리세리드) 의 저하작용이 관찰되고 있다.
또 당뇨병 치료약인 티아졸리딘디온계 화합물 (Troglitazone, Rosiglitazone, Pioglitazone) 는 PPARγ의 리간드로서 알려져 있다.
PPARδ활성화능 (활성화작용) 을 갖는 약물로서는 예를 들어 다음 식,
Figure 112004005322291-pct00001
으로 표시되는 GW-2433 (Glaxo Wellcome), 다음 식,
Figure 112004005322291-pct00002
으로 표시되는 L-165041 (Merck) 혹은 다음 식,
Figure 112004005322291-pct00003
으로 표시되는 YM-16638 (야마노우찌 제약) 등이 알려져 있다.
GW-2433 은 아테롬 경화증의 예방 및 치료약으로서의 사용이 WO92/10468 에 기재되어 있고, L-165041 은 당뇨병 치료제나 항비만약으로서의 사용이 WO97/28115 에 기재되어 있고, 그리고 YM-16638 에 대해서는 WO99/04815 에 혈청 콜레스테롤 저하작용, LDL-콜레스테롤 저하작용을 갖는다는 내용이 기재되어 있다.
또한 최근 PPARδ의 리간드는 항암제나 항염증제로서의 응용을 촉구하는 것이 보고 (JBC, 272(6), p3406-3410, 1997;Cell, 99, p335-345, 1999) 되어 있다.
한편, 본 발명 화합물인 후기 일반식 I 로 표시되는 화합물과 유사한 구조를 갖는 화합물로서 다음 식으로 표시되는 화합물 A,
Figure 112004005322291-pct00004
가 유럽특허 558062호 공보에 기재되어 있고, 또 문헌 I (J. Immunol. Methods, 207(1), 23-31, 1997) 에는 다음 식으로 표시되는 화합물 B,
Figure 112004005322291-pct00005
가 기재되어 있다.
상기 화합물 A 및 B, 그리고 본 발명 화합물의 후기 일반식 I 로 표시되는 화합물은 모두 페녹시아세트산타입의 화합물인데, 이 페녹시기가 화합물 A 및 B 에서는 옥사졸릴기 치환 프로필기나 옥사졸릴 치환 에톡시기로 치환되어 있고, 한편 본 발명 화합물은, 옥사졸릴기 치환 프로피오닐기 등으로 치환되어 있으며, 또 옥 사졸환의 치환기가 화합물 A 및 B 에 있어서는 에틸기 또는 페닐기 중 어느 하나밖에 없어, 양방의 치환기를 갖는 본 발명 화합물과는 구조상 명확하게 상이하다.
또한 상기 유럽특허 558062호 공보에는 화합물 A 가 항트롬빈제, 혈압강하제 등으로서 유용하다는 내용이 기재되어 있으나, 이 화합물이 PPARδ의 리간드로서 유용하다는 내용의 구체적인 기재는 없다.
또한 상기 문헌 I 은 상기 화합물 B 의 혈당강하작용에 관련되는 것이지만, 이 화합물이 PPARδ의 리간드로서 유용하다는 내용의 구체적인 기재는 없다.
또, 최근 PPARα활성화능을 가진 치환 옥사(티아)졸 유도체에 관한 WO01/40207 이 국제공개되고, 또 PPAR 조절제로서 사용가능한 비아릴기로 치환된 옥사(티아)졸 유도체에 관한 WO01/16120 이 국제공개되어 있다.
이 중, WO01/40207 은 본원 화합물에서의 X 가 C(=O)NH 이고, Y 가 알킬렌쇄에 상당하고, WO01/16120 은 본 발명 화합물에서의 X 가 알킬렌쇄이고, Y 가 O, S 등에 상당하는 점에서 모두 본 발명 화합물과는 구조상 명확하게 상이하다.
또 하기 일반식
Figure 112004005322291-pct00006
으로 표시되는 GW-501516 이 선택성이 높은 PPARδ활성화능을 갖는다는 내용이 보고되어 있다 (Proc. Natl. Acad. Sci. U.S.A.2001, Apr.24 ; 98(9):5306-11 및 WO01/00603).
GW-501516 은 본원 화합물에서의 X 가 메틸기이고, Y 가 S 에 상당하는 점에서 본원 화합물과는 구조상 명확하게 상이하다.
또한 최근 퍼옥시좀 증식제 응답성 수용체의 활성화능을 가진 화합물이 WO02/14291 (닛뽕케미파) 및 WO02/50048 (GLAXO) 로서 국제공개되어 있다. 또한 WO02/50048 에는 합성중간체로서 에틸[2-메틸-4-(3-(4-메틸-2-[4-(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1,3-티아졸-5-일)프로파노일)페녹시]아세트산, 에틸[2-메틸-4-((4-메틸-2-[4-(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1,3-티아졸-5-일)아세틸)페녹시]아세트산, 에틸[4-(1-히드록시-3-(4-메틸-2-[4-(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1,3-티아졸-5-일)프로필)-2-메틸페녹시)아세트산, 에틸[4-(1-히드록시-2-(4-메틸-2-[4-(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1,3-티아졸-5-일)에틸)-2-메틸페녹시]아세트산이 기재되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퍼옥시좀 증식제 응답성 수용체 δ의 활성화능 (활성화작용) 을 가진 하기 일반식 I 로 표시되는 화합물 또는 그의 염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즉, 본 발명은 하기 일반식 I 로 표시되는 화합물 또는 그의 염에 관한 것이 다:
Figure 112004005322291-pct00007
(식 중, R1 은 치환기로서 탄소수 1∼8의 알킬기, 할로겐원자로 치환된 탄소수 1∼8의 알킬기, 탄소수 1∼8의 알콕시기, 할로겐원자로 치환된 탄소수 1∼8의 알콕시기, 탄소수 2∼8의 알케닐기, 탄소수 2∼8의 알키닐기, 할로겐원자, 탄소수 2∼7의 아실기, 벤조일기, 수산기, 니트로기, 아미노기, 페닐기 혹은 피리딜기에서 선택되는 기 또는 원자를 가질 수도 있는 페닐기, 나프틸기, 피리딜기, 티에닐기, 푸릴기, 퀴놀릴기 혹은 벤조티에닐기를 나타내고, R2 는 탄소수 1∼8의 알킬기, 할로겐원자로 치환된 탄소수 1∼8의 알킬기, 탄소수 2∼8의 알케닐기, 탄소수 2∼8의 알키닐기, 3∼7원 환의 시클로알킬기 혹은 3∼7원 환의 시클로알킬기로 치환된 탄소수 1∼8의 알킬기, 또는 치환기로서 탄소수 1∼8의 알킬기, 할로겐원자로 치환된 탄소수 1∼8의 알킬기, 탄소수 1∼8의 알콕시기, 할로겐원자로 치환된 탄소수 1∼8의 알콕시기, 탄소수 2∼8의 알케닐기, 탄소수 2∼8의 알키닐기, 할로겐원자, 탄소수 2∼7의 아실기, 벤조일기, 수산기, 니트로기, 아미노기, 페닐기 혹은 피리딜기에서 선택되는 기 또는 원자를 가질 수도 있는 페닐기, 나프틸기 혹은 피리딜기로 치환된 탄소수 1∼6개의 알킬기를 나타내고, A 는 산소원자, 황원자 또는 NR9 를 나 타내고, 여기에서 R9 는 수소원자 또는 탄소수 1∼8의 알킬기를 나타내고, X 는 치환기로서 탄소수 1∼8의 알킬기, 탄소수 1∼8의 알콕시기 또는 수산기에서 선택되는 기를 가질 수도 있고, 그리고 2중 결합을 함유할 수도 있는 탄소수 1∼8의 알킬렌쇄를 나타내고, Y 는 C(=O), C(=N-OR10), CH(OR11), CH=CH, C≡C 또는 C(=CH2 ) 를 나타내고, 여기에서 R10, R11 은 수소원자 또는 탄소수 1∼8의 알킬기를 나타내고, R3, R4 및 R5 는 수소원자, 탄소수 1∼8의 알킬기, 할로겐원자로 치환된 탄소수 1∼8의 알킬기, 탄소수 1∼8의 알콕시기, 할로겐원자로 치환된 탄소수 1∼8의 알콕시기, 탄소수 2∼8의 알케닐기, 탄소수 2∼8의 알키닐기, 할로겐원자, 탄소수 2∼7의 아실기, 벤조일기, 수산기, 니트로기, 아미노기, 페닐기 또는 피리딜기를 나타내고, B 는 CH 또는 질소원자를 나타내고, Z 는 산소원자 또는 황원자를 나타내고, R6 및 R7 은 수소원자, 탄소수 1∼8의 알킬기 또는 할로겐원자로 치환된 탄소수 1∼8의 알킬기를 나타내고, 그리고 R8 은 수소원자 또는 탄소수 1∼8의 알킬기를 나타낸다. 단, R3, R4 및 R5 의 적어도 하나는 수소원자가 아님).
또 본 발명은 상기 일반식 I 로 표시되는 화합물 또는 이들 염을 유효성분으로서 함유하는 퍼옥시좀 증식제 응답성 수용체 δ의 활성화제에 관한 것이다.
다음으로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상기 일반식 I 에서, 탄소수 1∼8의 알킬기로서는 메틸기, 에틸기, 프로필 기, 이소프로필기, 부틸기, i-부틸기, t-부틸기, 또는 펜틸기를 들 수 있다.
할로겐원자로 치환된 탄소수 1∼8의 알킬기로서는 1∼3개의 불소원자, 염소원자 혹은 브롬원자 등의 할로겐원자에 의해 치환된 메틸기, 에틸기, 프로필기, 이소프로필기, 부틸기, 또는 t-부틸기를 들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트리플루오로메틸기, 클로로메틸기, 2-클로로에틸기, 2-브로모에틸기, 2-플루오로에틸기 등을 들 수 있다.
탄소수 1∼8의 알콕시기로서는 메톡시기, 에톡시기, 프로폭시기, 이소프로폭시기, 부톡시기, i-부톡시기, t- 부톡시기, 또는 펜틸옥시기 등을 들 수 있다.
할로겐원자로 치환된 탄소수 1∼8의 알콕시기로서는 1∼3개의 불소원자, 염소원자 혹은 브롬원자 등의 할로겐원자에 의해 치환된 메톡시기, 에톡시기, 프로폭시기, 이소프로폭시기, 부톡시기, 또는 t-부톡시기를 들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트리플루오로메톡시기, 클로로메톡시기, 2-클로로에톡시기, 2-브로모에톡시기, 2-플루오로에톡시기 등을 들 수 있다.
탄소수 2∼8의 알케닐기로서는 비닐기, 알릴기를 들 수 있다.
탄소수 2∼8의 알키닐기로서는 프로파르길기를 들 수 있다.
3∼7원 환의 시클로알킬기로서는 시클로헥실기, 시클로펜틸기 등을 들 수 있다.
할로겐원자로서는 불소원자, 염소원자 또는 브롬원자 등을 들 수 있다.
탄소수 2∼7의 아실기로서는 아세틸기, 프로피오닐기 등을 들 수 있다.
3∼7원 환의 시클로알킬기로 치환된 탄소수 1∼8의 알킬기로서는 시클로헥실 메틸기, 시클로펜틸메틸기 등을 들 수 있다.
(1) 본 발명 화합물로서는 R1 이 치환기로서 탄소수 1∼8의 알킬기, 1∼3개의 할로겐원자로 치환된 탄소수 1∼8의 알킬기, 탄소수 1∼8의 알콕시기, 1∼3개의 할로겐원자로 치환된 탄소수 1∼8의 알콕시기, 탄소수 2∼8의 알케닐기, 탄소수 2∼8의 알키닐기, 할로겐원자, 탄소수 2∼7의 아실기, 벤조일기, 수산기, 니트로기, 아미노기, 페닐기 혹은 피리딜기에서 선택되는 기 또는 원자를 가질 수도 있는 페닐기인 상기 일반식 I 의 화합물 또는 그의 염이 바람직하다.
(2) 본 발명 화합물로서는 R2 가 탄소수 2∼8의 알킬기인 상기 일반식 I, 혹은 상기 (1) 에 기재된 화합물 또는 그의 염이 바람직하다.
(3) 본 발명 화합물로서는 상기 R1 의 치환위치가 2위치인 상기 일반식 I, 혹은 상기 (1) 또는 (2) 에 기재된 화합물, 또는 그의 염이 바람직하다.
(R1 의 치환위치가 2위치인 경우는, R2 의 치환위치가 4위치이고, 그리고 -X-Y- 의 치환위치가 5위치인 경우와 R2 의 치환위치가 5위치이고, -X-Y- 의 치환위치가 4위치인 경우가 있음).
(4) 본 발명 화합물로서는 A 가 산소원자 혹은 황원자인 상기 일반식 I, 혹은 상기 (1)∼(3) 에 기재된 화합물 또는 그의 염이 바람직하다.
(5) 본 발명 화합물로서는, X 가 탄소수 1∼8의 알킬렌쇄인 상기 일반식 I, 혹은 상기 (1)∼(4) 에 기재된 화합물 또는 그의 염이 바람직하다.
(6) 본 발명 화합물로서는 Y 가 C(=O) 인 상기 일반식 I, 혹은 상기 (1)∼(5) 에 기재된 화합물 또는 그의 염이 바람직하다.
(7) 본 발명 화합물로서는 R3, R4 및 R5 가 수소원자, 탄소수 1∼8의 알킬기 혹은 할로겐원자로 치환된 탄소수 1∼8의 알킬기인 상기 일반식 I, 혹은 상기 (1)∼(6) 에 기재된 화합물 또는 그의 염이 바람직하다.
(8) 본 발명 화합물로서는, B 가 CH 인 상기 일반식 I, 혹은 상기 (1)∼(7) 에 기재된 화합물 또는 그의 염이 바람직하다.
(9) 본 발명 화합물로서는, Z 가 산소원자인 상기 일반식 I, 혹은 상기 (1)∼(8) 에 기재된 화합물 또는 그의 염이 바람직하다.
(10) 본 발명 화합물로서는 R6 및 R7 이 수소원자 또는 탄소수 1∼4의 알킬기인 상기 일반식 I, 혹은 상기 (1)∼(9) 에 기재된 화합물 또는 그의 염이 바람직하다.
(11) 본 발명 화합물로서는, R8 이 수소원자인 상기 일반식 I 혹은 상기 (1)∼(10) 에 기재된 화합물 또는 그의 염이 바람직하다.
(12) 본 발명 화합물로서는 R1 이 치환기로서 탄소수 1∼8의 알킬기, 할로겐원자로 치환된 탄소수 1∼8의 알킬기, 탄소수 1∼8의 알콕시기, 할로겐원자로 치환된 탄소수 1∼8의 알콕시기, 탄소수 2∼8의 알케닐기, 탄소수 2∼8의 알키닐기, 할로겐원자, 탄소수 2∼7의 아실기, 벤조일기, 수산기, 니트로기, 아미노기, 페닐기 혹은 피리딜기에서 선택되는 기 또는 원자를 가질 수도 있는 페닐기 또는 나프틸기이고, R2 가 탄소수 2∼8의 알킬기이고, A 가 산소원자 또는 황원자이고, X 가 치환기로서 탄소수 1∼8의 알킬기를 가질 수도 있고, 그리고 2중 결합을 포함할 수도 있는 탄소수 1∼8의 알킬렌쇄이고, Y 가 C(=O), CH=CH 또는 C(=CH2) 이고, R3, R4 및 R5 가 수소원자, 탄소수 1∼8의 알킬기, 할로겐원자로 치환된 탄소수 1∼8의 알킬기, 탄소수 1∼8의 알콕시기, 할로겐원자로 치환된 탄소수 1∼8의 알콕시기, 탄소수 2∼8의 알케닐기, 탄소수 2∼8의 알키닐기, 할로겐원자, 탄소수 2∼7의 아실기, 벤조일기, 수산기, 니트로기, 아미노기, 페닐기 또는 피리딜기이고, B 가 CH 이고, Z 가 산소원자 또는 황원자이고, R6 및 R7 이 수소원자 또는 탄소수 1∼8의 알킬기이고, 그리고 R8 이 수소원자 또는 탄소수 1∼8의 알킬기인 상기 일반식 I 에 기재된 화합물 또는 그의 염이 바람직하다.
(13) 본 발명 화합물로서는 X 는 탄소수 1∼8의 알킬렌쇄인 상기 (12) 에 기재된 화합물 또는 그의 염이 바람직하다.
(14) 본 발명 화합물로서는, R1 의 치환위치가 2위치인 상기 (12) 또는 (13) 에 기재된 화합물 또는 그의 염이 바람직하다.
(15) 본 발명 화합물로서는 R8 이 수소원자인 상기 (12)∼(14) 에 기재된 화합물 또는 그의 염이 바람직하다.
(16) 본 발명 화합물로서는 R3, R4 및 R5 중, 수소원자 이외의 치환기가 -Z-CR6R7CO2R8 에 대해 오르토위치로 치환되어 있는 상기 (12)∼(15) 에 기재된 화합물 또는 그의 염이 바람직하다.
상기 일반식 I 로 표시되는 본 발명 화합물에는 시스, 트랜스의 기하이성체나 광학이성체 등도 존재하는 경우도 있으나, 이들의 이성체도 본 발명에 포함된다.
그리고 또 본 발명 화합물로서는 나트륨염, 칼륨염 등의 알칼리금속염 등의 제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도 포함된다.
다음으로 본 발명 화합물인 일반식 I 의 제조방법을 기재한다.
합성방법 1
Figure 112004005322291-pct00008
(식 중, Q 는 토실옥시기, 할로겐원자 (브롬원자 등) 등의 탈리기를 나타내고, 그리고 R1, R2, R3, R4, R5, R6, R7, R8, A, X, Y, B 및 Z 는 상기와 동일함)
상기 제법에 있어서, 본 발명 화합물인 일반식 I 로 표시되는 화합물은, 일반식 (a) 로 표시되는 페놀 또는 티오페놀 화합물과 일반식 (b) 로 표시되는 아세트산 유도체를 반응시킴으로써 얻을 수 있다.
반응은 에틸메틸케톤 등의 용매 중, 탄산칼륨 등의 염기의 존재하에 실행할 수 있다.
또한 원료인 일반식 (a) 로 표시되는 화합물은, 예를 들어 이하에 나타내는 합성도와 동일한 방법을 이용하여 제조할 수 있다.
<원료합성예 1>
Y=CO, Z=O 인 경우
Figure 112004005322291-pct00009
(식 중, n 은 1∼7의 정수를 나타내고, Bn 은 벤질기를 나타내고, 그리고 R1, R2, R3, R4, R5, A 및 B 는 상기와 동일함)
<원료합성예 2>
Z=S 인 경우
Figure 112004005322291-pct00010
(식 중, R1, R2, R3, R4, R5, A, B, X 및 Y 는 상기와 동일함)
페놀체를 트리에틸아민 등의 염기존재하, 염화디메틸티오카르바모일과 처리하여 디메틸티오카르바모일옥시체를 얻는다. 이 디메틸티오카르바모일옥시체를 n-테트라데칸 혹은 무용매중에서 가열처리함으로써 전위체인 디메틸카르바모일술파 닐체를 얻는다. 디메틸카르바모일기를 NaOH 혹은 MeONa 등으로 처리함으로써 티오페놀체로 변환할 수 있다.
<원료합성예 3>
Y=CO, Z=O 인 경우
Figure 112004005322291-pct00011
(식 중, m 은 0∼6의 정수를 나타내고, 그리고 R1, R2, R3, R4, R5, A, B 및 Bn 은 상기와 동일함)
아세토페논체와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합성한 알데히드체를 메탄올, 에탄올 혹은 무수벤젠 등의 용매중, 염기에 NaOH, KOH, MeONa, EtONa, 피페리딘 등을 사용 하여 탈수축합시켜 α,β-불포화케톤체를 얻는다. 이 α,β-불포화케톤체에 수소화접촉환원 등을 실행함으로써, 올레핀의 환원과 탈벤질화가 진행되어 목적물을 얻을 수 있다.
<원료합성예 4>
Y=CO, Z=O 인 경우
Figure 112004005322291-pct00012
(식 중, R1, R2, R3, R4, R5, A, B, n 및 Bn 은 상기와 동일함)
벤즈알데히드체를 저온조건하, 에테르 혹은 THF 등의 용매존재하, 통상적인 방법에 의해 얻은 그리니아 시약과 처리함으로써 알코올체를 얻었다. 이 알코 올체를 jones 시약 (산화크롬 (VI)-황산-아세톤) 혹은 산화크롬 (VI)-피리딘 착물 (클로로크롬산피리디늄, 2크롬산피리듐 등) 을 사용함으로써 케톤체로 변환할 수 있다. 또한 DMSO 산화 등을 사용하는 것에 의해서도 동일하게 케톤체로 변환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탈벤질화를 실행하여 목적물의 페놀체로 변환할 수 있다.
<원료합성예 5>
Z=O 인 경우
Figure 112004005322291-pct00013
(식 중, Ra 는 수소원자 또는 탄소수 1∼5의 알킬기를 나타내고, 그리고 R1, R2, A, X, Y 및 B 는 상기와 동일함)
페놀체를 통상적인 방법에 의해 알릴화한 후, 무용매 혹은 퀴놀린 등을 용매로 하여 가열 (150℃ 이상) 함으로써 오르토위치로 알릴기가 전위된 화합물을 얻는다.
<원료합성예 6>
Z=O 인 경우
Figure 112004005322291-pct00014
(식 중, Rb 는 탄소수 1∼6의 알킬기를 나타내고, 그리고 R1, R2, A, X, Y 및 B 는 상기와 동일함)
페놀체를 통상적인 방법에 의해 아실화한 후, AlCl3, ZnCl2 등의 루이스산 촉매하에서 가열처리함으로써 오르토위치로 아실기가 전위된 화합물을 얻는다.
<원료합성예 7>
Y 가 CH=CH인 경우
Figure 112004005322291-pct00015
(식 중, R1, R2, R3, R4, R5, A, B 및 n 은 상기와 동일함)
상기 원료합성예 1 에서 얻어진 페놀체를 수소화리튬알루미늄, 수소화붕소나트륨 등의 환원제를 사용함으로써 알코올체를 얻는다. 이어서 이 알코올체를 할로겐화시제, 술폰화제, 혹은 탈수제를 사용하는 탈수반응에 의해 올레핀체를 얻을 수 있다.
합성방법 2
R8=H 인 경우
Figure 112004005322291-pct00016
(식 중, Rc 는 탄소수 1∼8의 알킬기를 나타내고, R1, R2, R3, R4, R5, R6, R7, A, X, Y, B 및 Z 는 상기와 동일함)
상기 제법에 있어서, 본 발명 화합물인 일반식 I 로 표시되는 화합물 (R8=수소원자) 은, 일반식 (c) 로 표시되는 에스테르체를 에탄올-물 등의 용매중, 수산화나트륨, 수산화칼륨, 수산화리튬 등의 염기의 존재하, 가수분해반응함으로써 얻을 수 있다.
합성방법 3
Y=C (=C-OH) 의 경우
Figure 112004005322291-pct00017
(식 중, R1, R2, R3, R4, R5, R6, R 7, R8, A, X, B 및 Z 는 상기와 동일함)
상기 제법에 있어서, 본 발명 화합물인 일반식 I 로 표시되는 화합물 (Y 가 C(=N-OH)) 는 일반식 (d) 로 표시되는 케톤체에 히드록실아민을 작용시킴으로써 얻을 수 있다.
합성방법 4
Y 가 C=(CH2) 의 경우
Figure 112004005322291-pct00018
(식 중, R1, R2, R3, R4, R5, R6, R 7, R8, A, B, Z 및 n 는 상기와 동일함)
케톤화합물 (Y 가 C(=O)) 을 건조 에테르 혹은 THF 등의 용매중, t-BuOK, n-BuLi, sec-BuLi, EtONa 등의 염기의 존재하, 메틸트리페닐포스포늄브로미드와 처리 (Wittig반응) 함으로써 메틸렌쇄를 도입할 수 있다.
합성방법 5
X 가 알킬기로 치환된 알킬렌쇄의 경우
Figure 112004005322291-pct00019
(식 중, R10 은 탄소수 1∼8의 알킬기를 나타내고, R1, R2, R3, R4, R5, R6, R7, R8, A, B, Z 및 n 는 상기와 동일함)
케톤화합물 (Y 가 -C(=O)) 을 건조 에테르 혹은 THF 등의 용매중, t-BuOK, BuLi, EtONa, NaH 등의 염기의 존재하, 요오드메탄 등의 할로겐화알킬과 처리함으로써 카르보닐기의 α위치로 알킬쇄가 도입된다.
이렇게 하여 얻어진 본 발명 화합물의 대표 화합물예를 다음에 나타낸다.
(1) 다음의 일반식으로 표시되는 화합물 :
Figure 112004005322291-pct00020
(상기 일반식 I 로 표시되는 화합물로, R5=H, B=CH, R8=H 이고, 그리고 R1, R2, R3, R4, R6, R7, A, X, Y 및 Z 가 표 1∼4 에 기재된 화합물)
Figure 112004005322291-pct00021
Figure 112004005322291-pct00022
Figure 112004005322291-pct00023
Figure 112004005322291-pct00024
(2) 다음의 일반식으로 표시되는 화합물 :
(상기 일반식 I 로 표시되는 화합물로, R4=H, R5=H, B=CH, R8=H 이고, 그리고 R1, R2, R3, R6, R7, A, X, Y 및 Z 가 표 5 및 6 에 기재된 화합물)
Figure 112004005322291-pct00026
Figure 112004005322291-pct00027
(3) 다음의 일반식으로 표시되는 화합물 :
Figure 112004005322291-pct00028
(상기 일반식 I 로 표시되는 화합물로, R5=H, B=CH, R8=H 이고, 그리고 R1, R2, R3, R4, R6, R7, A, X, Y 및 Z 가 표 7 에 기재된 화합물)
Figure 112004005322291-pct00029
다음으로 본 발명의 약리효과에 대해 서술한다.
본 발명 화합물의 PPARδ활성화능은, CV-1 세포에 키메라 수용체 발현 플라스미드 (GAL4-hPPARδLBD), 리포터 플라스미드 (USAx4-TK-LUC) 및 β-갈락토시다아제 (β-GAL) 발현 플라스미드를 리포펙션(lipofection) 시약 DMRIE-C (Life Technologies) 에 의해 트랜스펙션한 후, 본 발명 화합물 또는 비교 화합물인 L-165041 의 존재하, 40시간 배양후, 가용화세포를 루시페라아제 활성 및 β-GAL 활성을 측정함으로써 구하였다.
또한 루시페라아제 활성은 β-GAL 활성으로 보정하고, L-165041 로 처리한 세포의 루시페라아제 활성을 100% 로 하여, 상대적인 PPAR 활성화능을 산출하였다. 동일한 방법에 의해 PPARα및 γ에 대해 상대적인 PPAR 활성화능을 산출하였다 (후기 실시예 51, 52).
표 8, 9 에 기재된 바와 같이 본 발명 화합물 (실시예 1∼50) 은 우수한 PPARδ활성화능을 갖는 것이 판명되었다.
또 후기 실시예 53 (표 10) 으로부터 본 발명 화합물 (실시예 4 및 10) 은 우수한 HDL 콜레스테롤 증가작용을 갖는 것도 밝혀졌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반식 I 로 표시되는 화합물은, 우수한 PPARδ활성화능을 갖는 점에서, 혈당강하제, 지질저하제, 비만, 신드롬X, 고콜레스테롤혈증, 고리포단백혈증 등의 대사이상질환, 고지혈증, 동맥경화증, 순환기계질환, 과식증, 허혈성질환, 폐암, 유방암, 결장암, 대장암, 난소암 등의 악성종양, 알츠하이머병, 염증성질환, 골다공증 (Mano H. et. Al., (2000) J. Biol. Chem., 275:8126-8132), 바세도우병 안증, 부신백질 디스트로피 등의 예방 혹은 치료제로서 기대된다.
본 발명 화합물은 인간에 대해 일반적인 경구투여 또는 비경구투여와 같은 적당한 투여방법에 의해 투여할 수 있다.
제제화하기 위해서는, 제제의 기술분야에 있어서의 통상적인 방법으로 정제, 과립제, 산제, 캡슐제, 현탁제, 주사제, 좌약 등의 제형으로 제조할 수 있다.
이들 조제에는 통상적인 부형제, 붕괴제, 결합제, 활택제, 색소, 희석제 등이 사용된다. 여기에서 부형제로서는 젖당, D-만니톨, 결정셀룰로오스, 포도당 등이, 붕괴제로서는 전분,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칼슘 (CMC-Ca) 등이, 활택제로서는 스테아르산마그네슘, 탤크 등이, 결합제로서는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 (HPC), 젤라틴, 폴리비닐피롤리돈 (PVP) 등을 들 수 있다.
투여량은 통상 성인에 있어서는, 주사제로는 유효성분인 본 발명 화합물을 1일 약 0.1㎎∼100㎎, 경구투여로는 1일 1㎎∼2000㎎이나, 연령, 증상 등에 따라 증감할 수 있다.
다음으로 실시예를 들어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는데 본 발명은 이 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2-[4-[3-[2-(2,4-디클로로페닐)-5-이소프로필-4-옥사졸릴]프로피오닐]-2-메틸페녹시]-2-메틸프로피온산
(1) 3-[2-(2,4-디클로로페닐)-5-이소프로필-4-옥사졸릴]-1-(3-메틸-4-히드록시페닐)프로판-1-온
빙냉시킨 THF (5㎖) 에 60% 수소화나트륨 (97㎎, 2.42m㏖) 을 첨가하였다. 이어서 2-[(3-메틸-4-벤질옥시)벤조일]아세트산에틸 (757㎎, 2.42m㏖) 의 THF (4㎖) 용액을 30분간 적하하였다. 실온으로 되돌려 30분 교반한 후, 4-요오드메틸-5-이소프로필-2-(2,4-디클로로페닐)옥사졸 (960㎎, 2.42m㏖) 을 첨가하고, 질소분위기하에서 20시간 가열환류하였다. 실온으로 되돌린 후, 반응용액의 THF 를 감압증류제거하고, 이 잔사에 아세트산 (6.4㎖)-진한염산 (1.6㎖) 을 첨가하고 다시 10시간 가열환류하였다. 반응종료를 확인한 후, 실온으로 되돌려, 빙냉수에 부어, 아세트산에틸을 첨가하여 유기층을 분취하였다. 유기층을 포화 탄산수소나트륨수용액, 물, 식염수로 세정한 후, 무수황산나트륨으로 건조시켰다. 아세트산에틸을 감압증류제거한 후, 잔사를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 (헥산/아세트산에틸=3/1) 로 정제하여 상기의 표제화합물을 미황백색 결정 (706㎎) 으로서 얻 었다 (수율 70%)
Figure 112004005322291-pct00030
(2) 2-[4-[3-[2-(2,4-디클로로페닐)-5-이소프로필-4-옥사졸릴]프로피오닐]-2-메틸페녹시]-2-메틸프로피온산에틸
상기 3-[2-(2,4-디클로로페닐]-5-이소프로필-4-옥사졸릴]-1-(3-메틸-4-히드록시페닐)프로판-1-온 (209㎎, 0.50m㏖), 2-브로모-2-메틸프로피온산에틸 (489㎎, 2.50m㏖), 탄산칼륨 (346㎎, 2.50m㏖) 을 메틸에틸케톤 (10㎖) 에 현탁시킨 후, 40시간 가열환류하였다. 실온으로 되돌린 후, 불용물을 여과, 다시 메틸에틸케톤으로 세정하여 용매를 증류제거하였다. 이 잔사를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 (헥산/아세트산에틸=7/1) 로 정제하여 상기 표제화합물을 무색 유상물 (272㎎) 으로서 얻었다. (정량적 수율)
Figure 112004005322291-pct00031
(3) 2-[4-[3-[2-(2,4-디클로로페닐)-5-이소프로필-4-옥사졸릴]프로피오닐]-2-메틸페녹시]-2-메틸프로피온산
상기 에스테르체 (270㎎, 0.51m㏖) 를 에탄올-물 (6㎖-3㎖) 의 혼합용매에 현탁시킨 후, 수산화리튬의 일수화물 (65㎎) 을 첨가하여 48시간 가열환류하였다. 원료의 소실을 확인한 후, 반응용액에 얼음을 첨가하고, 이어서 3N 염산을 첨가하여 중화하였다. 석출된 결정을 여과채취한 후, 수세한 후, 하룻밤 공기 건조시키고 다시 감압건조 (60℃) 함으로써 표제화합물 (170㎎) 을 얻었다. (수율 68%)
백색분말 mp 100-105℃
Figure 112004005322291-pct00032
실시예 2
[4-[3-[2-(2,4-디클로로페닐)-5-이소프로필-4-옥사졸릴]프로피오닐]-2-메틸페녹시]아세트산
(1) [4-[3-[2-(2,4-디클로로페닐)-5-이소프로필-4-옥사졸릴]프로피오닐]-2-메틸페녹시]아세트산에틸
실시예 1 의 합성중간체 3-[2-(2,4-디클로로페닐)-5-이소프로필-4-옥사졸릴]-1-(3-메틸-4-히드록시페닐)프로판-1-온 (105㎎, 0.25m㏖), 탄산칼륨 (103㎎, 0.75m㏖) 을 아세톤 (5.0㎖) 에 현탁시킨 후, 브로모아세트산에틸 (0.08㎖, 0.75m㏖) 을 빙냉하에서 첨가하였다. 실온으로 되돌려, 6시간 가열환류한 후, 불용물을 여과, 다시 아세톤으로 세정한 후, 용매를 증류제거하였다. 이 잔사를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 (헥산/아세트산에틸=7/1-4/1) 로 정제하여 상기 표제화합물을 무색 유상물 (117㎎) 로서 얻었다. (수율 92%)
Figure 112004005322291-pct00033
(2) [4-[3-[2-(2,4-디클로로페닐)-5-이소프로필-4-옥사졸릴]프로피오닐]-2-메틸페녹시]아세트산
상기 에스테르체 (110㎎, 0.22m㏖) 를 에탄올-물 (6㎖-3㎖) 의 혼합용매에 현탁시킨 후, 수산화리튬의 일수화물 (25㎎) 을 첨가하여 6시간 가열환류하였다. 원료의 소실을 확인한 후, 빙냉시켜 3N 염산을 첨가하여 중화하였다. 석출된 결정을 여과채취한 후, 수세하고, 하룻밤 공기 건조시켰다. 감압건조 (60℃) 를 실행하여 표제화합물 (85㎎) 을 얻었다. (수율 82%)
백색분말 mp 155-158℃
Figure 112004005322291-pct00034
실시예 3
[4-[3-[2-(4-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4-이소프로필-5-티아졸릴]프로피오닐]-2-메틸페녹시]아세트산
(1) 3-[2-(4-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4-이소프로필-5-티아졸릴]-1-(3-메틸-4-히드록시페닐)프로판-1-온
빙냉시킨 THF (5㎖) 에 60% 수소화나트륨 (27㎎, 0.67m㏖) 을 첨가하였다. 이어서 2-[(3-메틸-4-벤질옥시)벤조일]아세트산에틸 (190㎎, 0.61m㏖) 의 THF (3㎖) 용액을 30분간 적하하였다. 실온으로 되돌려 30분간 교반한 후, 5-요오드메틸-4-이소프로필-2-(4-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티아졸 (250㎎, 0.61m㏖) 을 첨가하고, 질소분위기하에서 20시간 가열환류하였다. 실온으로 되돌린 후, THF 를 감압증류제거하고, 잔사에 아세트산 (3.2㎖)-진한염산 (0.8㎖) 을 첨가하고 10시간 가열환류하였다. 반응용액을 빙냉수에 부어, 아세트산에틸을 첨가하여 추출, 유기층을 분취하였다. 유기층을 포화 탄산수소나트륨 수용액, 물, 식염수로 세정하여 무수황산나트륨으로 건조시켰다. 아세트산에틸을 감압증류제거한 후, 잔사를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 (헥산/아세트산에틸=3/1) 로 정제하여 상기 표제화합물을 미황백색 결정 (195㎎) 으로서 얻었다. (수율 73%)
Figure 112004005322291-pct00035
(2) [4-[3-[2-(4-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4-이소프로필-5-티아졸릴]프로피오 닐]-2-메틸페녹시]아세트산에틸
실시예 2 의 (1) 과 동일한 수법으로 표제화합물을 얻었다. (수율 80%)
무색 유상물
Figure 112004005322291-pct00036
(3) [4-[3-[2-(4-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4-이소프로필-5-티아졸릴]프로피오닐]-2-메틸페녹시]아세트산
상기에서 얻어진 에스테르체를 사용하여 실시예 2 의 (2) 와 동일한 수법으로 표제화합물을 얻었다 (수율 88%).
백색분말 mp 145-150℃
Figure 112004005322291-pct00037
실시예 4
2-[4-[3-[2-(4-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4-이소프로필-5-티아졸릴]프로피오닐]-2-메틸페녹시]-2-메틸프로피온산
(1) 2-[4-[3-[2-(4-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4-이소프로필-5-티아졸릴]프로피오닐]-2-메틸페녹시]-2-메틸프로피온산에틸
실시예 3 의 합성중간체 3-[2-(4-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4-이소프로필-5-티아졸릴]-1-(3-메틸-4-히드록시페닐)프로판-1-온을 사용하여 실시예 1 의 (2) 와 동일한 수법으로 표제화합물을 얻었다. (수율 74%)
무색 유상물
Figure 112004005322291-pct00038
(2) 2-[4-[3-[2-(4-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4-이소프로필-5-티아졸릴]프로피오닐]-2-메틸페녹시]-2-메틸프로피온산
상기 에스테르체를 사용하여 실시예 1의 (3) 과 동일한 수법으로 표제화합물을 얻었다. (수율 90%)
담황색 아모르퍼스(amorphous)
Figure 112004005322291-pct00039
실시예 5
[2-알릴-4-[3-[2-(2,4-디클로로페닐)-5-이소프로필-4-옥사졸릴]프로피오닐]페녹시]아세트산
(1) 3-[2-(2,4-디클로로페닐)-5-이소프로필-4-옥사졸릴]-1-(4-히드록시페닐) 프로판-1-온
빙냉시킨 THF (15㎖) 에 60% 수소화나트륨 (120㎎, 3.00m㏖) 을 첨가하였다. 이어서 2-[(4-벤질옥시)벤조일]아세트산에틸 (900㎎, 3.02m㏖) 의 THF (15㎖) 용매를 30분간 적하하였다. 실온으로 되돌려 30분 교반한 후, 4-요오드메틸-5-이소프로필-2-(2,4-디클로로페닐)옥사졸 (1.20g, 3.00m㏖) 을 첨가하였다. 질소분위기하에서 20시간 가열환류한 후, 실온으로 되돌려 THF 를 감압증류제거하였다. 잔사에 아세트산 (7.5㎖)-진한염산 (2.0㎖) 을 첨가하여 5시간 가열환류하였다. 실온으로 되돌려 반응용액을 빙냉수에 부어, 아세트산에틸을 첨가하여 유기층을 분취하였다. 유기층을 분취한 후, 포화 탄산수소나트륨수용액, 물, 식염수로 세정하여 무수황산나트륨으로 건조시켰다. 아세트산에틸을 감압증류제거한 후, 잔사를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 (헥산/아세트산에틸=3/1) 로 정제하여 상기 표제화합물을 미황백색결정 (650㎎) 으로서 얻었다. (수율 53%)
Figure 112004005322291-pct00040
(2) 3-[2-(2,4-디클로로페닐)-5-이소프로필-4-옥사졸릴]-1-(4-알릴옥시페닐)프로판-1-온
3-[2-(2,4-디클로로페닐)-5-이소프로필-4-옥사졸릴]-1-(4-히드록시페닐)프로판-1-온 (202㎎, 0.50m㏖), 탄산칼륨 (103㎎, 0.75m㏖) 을 아세톤 (5㎖) 에 현탁시 켰다. 빙냉하에 브롬화알릴 (91㎎, 0.75m㏖) 을 첨가한 후, 20시간 실온에서 교반하였다. 원료의 소실을 확인한 후, 반응물을 물에 부어, 아세트산에틸로 추출하였다. 유기층을 분취한 후, 물, 식염수로 세정하여 무수황산나트륨으로 건조시켰다. 아세트산에틸을 감압증류제거하여, 잔사에 미황색고체인 표제화합물 (205㎎) 을 얻었다. (수율 92%).
Figure 112004005322291-pct00041
(3) 3-[2-(2,4-디클로로페닐)-5-이소프로필-4-옥사졸릴]-1-(3-알릴-4-히드록시페닐)프로판-1-온
3-[2-(2,4-디클로로페닐)-5-이소프로필-4-옥사졸릴]-1-(4-알릴옥시페닐)프로판-1-온 (200㎎, 0.45m㏖) 을 180℃ 에서 5시간 가열하였다. 실온으로 되돌려, 반응혼합물을 직접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 (헥산/아세트산에틸=3/1) 로 정제함으로써 상기의 표제화합물을 미황색 유상물 (36㎎) 로서 얻었다. (수율 18%)
Figure 112004005322291-pct00042
(4) [2-알릴-4-[3-[2-(2,4-디클로로페닐)-5-이소프로필-4-옥사졸릴]프로피오닐]페녹시]아세트산에틸
실시예 2 의 (1) 과 동일한 수법으로 상기 표제화합물을 얻었다. (수율 84%)
무색 유상물
Figure 112004005322291-pct00043
(5) [2-알릴-4-[3-[2-(2,4-디클로로페닐)-5-이소프로필-4-옥사졸릴]프로피오닐]페녹시]아세트산
실시예 2 의 (2) 와 동일한 수법으로 상기 표제화합물을 얻었다. (수율 81%)
백색분말 mp 145-150℃
Figure 112004005322291-pct00044
실시예 6
[4-[3-[2-(2-히드록시-4-클로로페닐)-5-이소프로필-4-옥사졸릴]프로피오닐]- 2-메틸페녹시]아세트산
(1) 3-[2-(2-메톡시-4-클로로페닐)-5-이소프로필-4-옥사졸릴]-1-(3-메틸-4-히드록시페닐)프로판-1-온
빙냉시킨 THF (50㎖) 에 60% 수소화나트륨 (204㎎, 5.10m㏖) 을 첨가하였다. 이어서 2-[(3-메틸-4-벤질옥시)벤조일]아세트산에틸 (1.60g, 5.12m㏖) 의 THF (25㎖) 용매를 30분간 적하하였다. 실온으로 되돌려 30분 교반한 후, 4-요오드메틸-5-이소프로필-2-(2-메톡시-4-클로로페닐)옥사졸 (2.00g, 5.11m㏖) 을 첨가하여, 질소분위기하에서 20시간 가열환류하였다. 실온으로 되돌린 후 THF 를 감압증류제거하고, 잔사에 아세트산 (16㎖)-진한염산 (4㎖) 을 첨가하여 10시간 가열환류하였다. 반응종료를 확인한 후 실온으로 되돌려 빙냉수에 부어, 아세트산에틸을 첨가하여 유기층을 분취하였다. 유기층을 포화 탄산수소나트륨수용액, 물, 식염수로 세정하여 무수황산나트륨으로 건조시켰다. 아세트산에틸을 감압증류제거한 후, 얻어진 잔사를 여과채취하고, 다시 에테르, 헥산 세정을 하여 상기 표제화합물을 백색분말로서 얻었다. 이어서 세정액을 농축시켜, 동일하게 잔사를 여과채취한 후, 에테르, 헥산 세정을 실행하였다. 상기 서술한 분말과 합하여 감압건조시켜 표제화합물을 미황백결정 (1.80g) 으로서 얻었다. (수율 70%)
Figure 112004005322291-pct00045
(2) 3-[2-(2-히드록시-4-클로로페닐)-5-이소프로필-4-옥사졸릴]-1-(3-메틸-4-히드록시페닐)프로판-1-온
상기의 3-[2-(2-메톡시-4-클로로페닐)-5-이소프로필-4-옥사졸릴]-1-(3-메틸-4-히드록시페닐)프로판-1-온 (621㎎, 1.50m㏖) 을 염화메틸렌 (30㎖) 에 현탁시킨 후 빙냉하였다. 질소분위기하에서 삼염화붕소 (BCl3) 의 1M 염화메틸렌용액 (3.0㎖, 3.00m㏖) 을 1분간 적하하였다. 실온으로 되돌려 72시간 교반한 후, 빙냉수에 부어 클로로포름 및 포화 탄산수소나트륨을 첨가하였다. 유기층을 분취한 후, 물, 식염수로 세정하여 무수황산나트륨으로 건조시켰다. 클로로포름을 감압증류제거한 후, 잔사를 실리카겔컬럼크로마토그래피 (헥산/아세트산에틸=3/1) 로 정제하여 상기 표제화합물을 무색 유상물 (385㎎) 으 로서 얻었다. (수율 64%)
Figure 112004005322291-pct00046
(3) [4-[3-[2-(2-히드록시-4-클로로페닐)-5-이소프로필-4-옥사졸릴]프로피오닐]-2-메틸페녹시]아세트산에틸
상기 3-[2-(2-히드록시-4-클로로페닐)-5-이소프로필-4-옥사졸릴]-1-(3-메틸-4-히드록시페닐)프로판-1-온 (378㎎, 0.95m㏖) 을 아세톤 (20㎖) 에 용해시켰다. 빙냉하에서 탄산칼륨 (158㎎, 0.95m㏖), 브로모아세트산에틸 (158㎎, 0.95m㏖) 을 첨가하여, 실온으로 되돌려 20시간 교반하였다. 불용물을 여과한 후, 아세톤으로 세정하여 용매를 증류제거하였다. 잔사를 실리카겔컬럼크로마토그래피 (헥산/아세트산에틸=4/1) 로 정제하여 상기의 표제화합물을 백색 고체 (315㎎) 로서 얻었다. (수율 69%)
Figure 112004005322291-pct00047
(4) [4-[3-[2-(2-히드록시-4-클로로페닐)-5-이소프로필-4-옥사졸릴]프로피오 닐]-2-메틸페녹시]아세트산
실시예 2 의 (2) 와 동일한 수법으로 상기 표제화합물을 얻었다 (수율 87%)
백색 분말 mp159-161℃
Figure 112004005322291-pct00048
실시예 7
[4-[3-[2-(2,4-디클로로페닐)-5-이소프로필-4-옥사졸릴]프로피오닐]-2-메틸페닐술파닐]아세트산
(1) 3-[2-(2,4-디클로로페닐)-5-이소프로필-4-옥사졸릴]-1-[3-메틸-4-(디메틸티오카르바모일옥시)페닐]프로판-1-온
실시예 1 의 (1) 에서 얻어진 3-[2-(2,4-디클로로페닐)-5-이소프로필-4-옥사졸릴]-1-(3-메틸-4-히드록시페닐)프로판-1-온 (417㎎, 1.00m㏖), 4-디메틸아미노피리딘 (12㎎, 0.10m㏖), 트리에틸아민 (0.28㎖, 2.00m㏖) 을 건조 디옥산 (5㎖) 에 용해시킨 후, 빙냉하에서 염화디메틸티오카르바모일 (148㎎, 1.20m㏖) 을 첨가하였다. 반응온도를 올려 하룻밤 가열환류한 후, 실온으로 되돌려, 다시 4-디메틸아미노피리딘 (12㎎, 0.10m㏖) 및 염화디메틸티오카르바모일 (148㎎, 1.20m㏖) 을 첨가하여 20시간 가열환류하였다. 반응용액을 실온으로 되돌린 후, 빙냉수에 부어, 아세트산에틸을 첨가하여 유기층을 분취하였다. 유기층을 물, 식염수로 세정한 후, 무수황산나트륨으로 건조시켰다. 아세트산에틸을 감압증류제거한 후, 잔사를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 (헥산/아세트산에틸=3/1 및 클로로포름/메탄올=100/1) 로 정제함으로써 상기 표제화합물을 원료와의 혼합물 (170㎎) 로서 얻었다.
(2) 3-[2-(2,4-디클로로페닐)-5-이소프로필-4-옥사졸릴]-1-[3-메틸-4-(디메틸카르바모일술파닐)페닐]프로판-1-온
상기의 티오카르바모일체의 조체(crude compound) (160㎎) 를 n-테트라데칸 (10㎖) 에 용해시킨 후, 내온 250℃ 에서 8시간 가열환류하였다. 실온으로 되돌린 후, 반응용액을 직접,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 (헥산/아세트산에틸=3/1) 로 정제함으로써 상기 표제화합물을 미황색 유상물 (120㎎) 으로서 얻었다. (2 공정수율 24%)
Figure 112004005322291-pct00049
(3) 3-[2-(2,4-디클로로페닐)-5-이소프로필-4-옥사졸릴]-1-(3-메틸-4-메르캅토페닐)프로판-1-온
상기의 카르바모일체 (110㎎, 0.22m㏖) 를 건조 메탄올 (5㎖) 에 용해시킨 후, 0.5N MeONa (0.66㎖, 0.33m㏖) 을 첨가하여 20시간 가열환류하였다. 실온으로 되돌려, 반응용액을 빙냉하에 부었다. 3N 염산을 첨가하여 중화한 후, 아 세트산에틸을 첨가하여 유기층을 분취하였다. 유기층을 물, 식염수로 세정하여 무수황산나트륨으로 건조, 여과 채취하였다. 아세트산에틸을 감압증류제거하고, 잔사에 표제화합물을 미황색 유상물 (80㎎) 로서 얻었다. (수율 84%)
Figure 112004005322291-pct00050
(4) [4-[3-[2-(2,4-디클로로페닐)-5-이소프로필-4-옥사졸릴]프로피오닐]-2-메틸페닐술파닐]아세트산에틸
실시예 2 의 (1) 과 동일한 방법에 의해 표기화합물을 얻었다. (수율 89%)
무색 유상물
Figure 112004005322291-pct00051
(5) [4-[3-[2-(2,4-디클로로페닐)-5-이소프로필-4-옥사졸릴]프로피오닐]-2-메틸페닐술파닐]아세트산
상기 에스테르체를 사용하여, 실시예 2 의 (2) 와 동일한 방법에 의해 표기화합물을 얻었다. (수율 71%)
백색 분말 m.p 140-145℃
Figure 112004005322291-pct00052
실시예 8
2-[4-[3-[2-(2-히드록시-4-클로로페닐)-5-이소프로필-4-옥사졸릴]프로피오닐]-2-메틸페녹시]-2-메틸프로피온산
(1) 2-[4-[3-[2-(2-히드록시-4-클로로페닐)-5-이소프로필-4-옥사졸릴]프로피오닐]-2-메틸페녹시]-2-메틸프로피온산에틸
3-[2-(2-히드록시-4-클로로페닐)-5-이소프로필-4-옥사졸릴]-1-(3-메틸-4-히드록시페닐)프로판-1-온 (150㎎, 0.38m㏖), 2-브로모-2-메틸프로피온산에틸 (146㎎, 0.75m㏖), 탄산칼륨 (103㎎, 0.75m㏖) 을 메틸에틸케톤 (10㎖) 에 현탁시킨 후, 20시간 가열환류하였다. 실온으로 되돌린 후, 불용물을 여과, 다시 메틸에틸케톤으로 세정하여 용매를 증류제거하였다. 잔사를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 (헥산/아세트산에틸=8/1) 로 정제하여 상기 표시화합물을 무색 유상물 (83 ㎎) 로서 얻었다 (수율 43%)
Figure 112004005322291-pct00053
(2) 2-[4-[3-[2-(2-히드록시-4-클로로페닐)-5-이소프로필-4-옥사졸릴]프로피오닐]-2-메틸페녹시]-2-메틸프로피온산
상기 서술한 에스테르체를 사용하여 실시예 2 의 (3) 과 동일한 수법으로 표기화합물을 얻었다. (수율 33%)
미백색 아모르퍼스
Figure 112004005322291-pct00054
실시예 9
[4-[3-[2-(2,4-디클로로페닐)-5-이소프로필-4-옥사졸릴]-1-프로페닐]-2-메틸페녹시]아세트산
(1) 4-[3-[2-(2,4-디클로로페닐)-5-이소프로필옥사졸-4-일]-1-히드록시프로필]-2-메틸페놀
빙냉하, 수소화리튬알루미늄 (92㎎, 2.42m㏖) 의 건조 THF (20㎖) 용액에 3-[2-(2,4-디클로로페닐)-5-이소프로필옥사졸-4-일]-1-(4-히드록시-3-메틸페닐)프로판-1-온 (1.01g, 2.41m㏖) 을 조금씩 첨가하여, 1시간 교반한 후, 실온에서 다시 1시간 교반하였다. 반응용액을 다시 빙냉시켜, 고형물이 석출될 때까지 포화황산나트륨 수용액을 적하하였다. 불용물을 여과에 의해 제거하고, 감압하 용매를 증류제거한 후, 잔사를 아세트산에틸 (15㎖) 로 추출하였다. 소량의 1M 염산수용액을 첨가한 물 (15㎖) 로 세정하여, 무수황산나트륨으로 건조시킨 후, 감압하 용매를 증류제거하여 997㎎ (수율 98%) 의 표기화합물을 황토색 결정으로서 얻었다.
Figure 112004005322291-pct00055
(2) 4-[3-[2-(2,4-디클로로페닐)-5-이소프로필옥사졸-4-일]-1-프로페닐]-2-메틸페놀
상기의 페놀체 (840㎎, 2.00m㏖) 에 DMSO (8㎖) 를 첨가하고, 150℃ 에서 2시간 교반하였다. 실온까지 냉각시킨 후, 아세트산에틸 (20㎖) 을 첨가하고, 물 (20㎖) 및 포화식염수 (20㎖) 로 순차적으로 세정하였다. 무수황산나트륨으로 건조시킨 후, 감압하 용매를 증류제거하고, 잔사를 아세트산에틸/헥산=1/10 (6.6㎖) 으로부터 재결정하여 592㎎ 의 표기 화합물을 담황색 결정으로서 얻었다. 또 결정모핵으로부터 58㎎ 의 표기 화합물을 담황색 결정으로서 얻었다 (합계 수율 81%).
Figure 112004005322291-pct00056
(3) [4-[3-[2-(2,4-디클로로페닐)-5-이소프로필-4-옥사졸릴]-1-프로페닐]-2-메틸페녹시]아세트산에틸
실시예 2 의 (1) 과 동일한 수법으로 표기화합물을 얻었다.
Figure 112004005322291-pct00057
(4) [4-[3-[2-(2,4-디클로로페닐)-5-이소프로필-4-옥사졸릴]-1-프로페닐]-2-메틸페녹시]아세트산
실시예 2 의 (2) 와 동일한 수법으로 표기화합물을 얻었다.
담황색 결정 mp143-144℃
Figure 112004005322291-pct00058
실시예 10
[4-[3-[4-이소프로필-2-(4-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5-티아졸릴]-1-프로페닐]-2-메틸페녹시]아세트산
(1) [4-[3-[4-이소프로필-2-(4-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5-티아졸릴]-1-프로페닐]-2-메틸페녹시]아세트산에틸
실시예 9 와 동일한 수법에 의해 표기화합물을 얻었다.
Figure 112004005322291-pct00059
(2) [4-[3-[4-이소프로필-2-(4-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5-티아졸릴]-1-프로페닐]-2-메틸페녹시]아세트산
실시예 2 의 (2) 와 동일한 수법에 의해 표기화합물을 얻었다.
담황색 분말 mp125-128℃
Figure 112004005322291-pct00060
실시예 11
[4-[3-[4-헥실-2-(4-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5-티아졸릴]프로피오닐]-2-메틸페녹시]아세트산
(1) [4-[3-[4-헥실-2-(4-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5-티아졸릴]프로피오닐]-2-메틸페녹시]아세트산에틸
실시예 2 의 (1) 과 동일한 수법에 의해 표기화합물을 얻었다.
Figure 112004005322291-pct00061
(2) [4-[3-[4-헥실-2-(4-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5-티아졸릴]프로피오닐]-2-메틸페녹시]아세트산
실시예 2 의 (2) 와 동일한 수법에 의해 표기화합물을 얻었다.
황색 아모르퍼스
Figure 112004005322291-pct00062
실시예 12
2-[4-[3-[4-헥실-2-(4-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5-티아졸릴]프로피오닐]-2-메틸페녹시]-2-메틸프로피온산
(1) 2-[4-[3-[4-헥실-2-(4-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5-티아졸릴[프로피오닐]-2-메틸페녹시]-2-메틸프로피온산에틸
실시예 1 의 (2) 와 동일한 수법에 의해 표기화합물을 얻었다.
Figure 112004005322291-pct00063
(2) 2-[4-[3-[4-헥실-2-(4-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5-티아졸릴]프로피오닐]-2-메틸페녹시]-2-메틸프로피온산
실시예 1 의 (3) 과 동일한 수법에 의해 표기화합물을 얻었다.
황색 유상물
Figure 112004005322291-pct00064
실시예 13
2-[4-[3-[4-이소프로필-2-(4-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5-티아졸릴]-1-프로페닐]-2-메틸페녹시]-2-메틸프로피온산
(1) 2-[4-[3-[4-이소프로필-2-(4-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5-티아졸릴]-1-프로페닐]-2-메틸페녹시]-2-메틸프로피온산에틸
실시예 1 의 (2) 와 동일한 수법에 의해 표기화합물을 얻었다.
Figure 112004005322291-pct00065
(2) 2-[4-[3-[4-이소프로필-2-(4-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5-티아졸릴]-1-프로페닐]-2-메틸페녹시]-2-메틸프로피온산
실시예 1 의 (3) 과 동일한 수법에 의해 표기화합물을 얻었다.
황색 유상물
Figure 112004005322291-pct00066
실시예 14
[4-[3-[4-이소프로필-2-(4-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5-티아졸릴]프로피오닐]-3-메틸페녹시]아세트산
(1) [4-[3-[4-이소프로필-2-(4-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5-티아졸릴]프로피오닐]-3-메틸페녹시]아세트산에틸
실시예 2 의 (1) 과 동일한 수법에 의해 표기화합물을 얻었다.
Figure 112004005322291-pct00067
(2) [4-[3-[4-이소프로필-2-(4-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5-티아졸릴]프로피오닐]-3-메틸페녹시]아세트산
실시예 2 의 (2) 와 동일한 수법에 의해 표기화합물을 얻었다.
백색 결정 mp136-142℃
Figure 112004005322291-pct00068
실시예 15
[4-[3-[2-(2,4-디클로로페닐)-5-이소프로필-4-옥사졸릴]프로피오닐]-3-메틸페녹시]아세트산
(1) [4-[3-[2-(2,4-디클로로페닐)-5-이소프로필-4-옥사졸릴]프로피오닐]-3-메틸페녹시]아세트산에틸
실시예 2 의 (1) 과 동일한 수법에 의해 표기화합물을 얻었다.
Figure 112004005322291-pct00069
(2) [4-[3-[2-(2,4-디클로로페닐)-5-이소프로필-4-옥사졸릴]프로피오닐]-3-메틸페녹시]아세트산
실시예 2 의 (2) 와 동일한 수법에 의해 표기화합물을 얻었다.
백색결정 mp 97-102℃
Figure 112004005322291-pct00070
실시예 16
[4-[3-[4-이소프로필-2-(4-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5-티아졸릴]프로피오닐]-3-메틸페녹시]-2-메틸프로피온산
(1) [4-[3-[4-이소프로필-2-(4-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5-티아졸릴]프로피오닐]-3-메틸페녹시]-2-메틸프로피온산에틸
실시예 1 의 (2) 와 동일한 수법에 의해 표기화합물을 얻었다.
Figure 112004005322291-pct00071
(2) [4-[3-[4-이소프로필-2-(4-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5-티아졸릴]프로피오닐]-3-메틸페녹시]-2-메틸프로피온산
실시예 1 의 (3) 과 동일한 수법에 의해 표기화합물을 얻었다.
황색 아모르퍼스
Figure 112004005322291-pct00072
실시예 17
2-[4-[3-[2-(2,4-디클로로페닐)-5-이소프로필-4-옥사졸릴]프로피오닐]-3-메틸페녹시]-2-메틸프로피온산
(1) 2-[4-[3-[2-(2,4-디클로로페닐)-5-이소프로필-4-옥사졸릴]프로피오닐]-3-메틸페녹시]-2-메틸프로피온산에틸
실시예 1 의 (2) 와 동일한 수법에 의해 표기화합물을 얻었다.
Figure 112004005322291-pct00073
(2) 2-[4-[3-[2-(2,4-디클로로페닐)-5-이소프로필-4-옥사졸릴]프로피오닐]-3-메틸페녹시]-2-메틸프로피온산
실시예 1 의 (3) 과 동일한 수법에 의해 표기화합물을 얻었다.
백색결정 mp 98-100℃
Figure 112004005322291-pct00074
실시예 18
[4-[3-[4-이소프로필-2-(4-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5-티아졸릴]프로피오닐]-2-프로필페녹시]아세트산
(1) 2-알릴-4-[3-[4-이소프로필-2-(4-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5-티아졸릴]프로피오닐]페녹시아세트산에틸
실시예 5 의 (2) (3) (4) 와 동일한 수법에 의해 표기화합물을 얻었다.
Figure 112004005322291-pct00075
(2) [4-[3-[4-이소프로필-2-(4-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5-티아졸릴]프로피오 닐]-2-프로필페녹시]아세트산에틸
Figure 112004005322291-pct00076
(3) [4-[3-[4-이소프로필-2-(4-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5-티아졸릴]프로피오닐]-2-프로필페녹시]아세트산
실시예 2 의 (2) 와 동일한 수법에 의해 표기화합물을 얻었다.
회백색 결정 mp 145-150℃
Figure 112004005322291-pct00077
실시예 19
2-알릴-4-[3-[4-이소프로필-2-(4-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5-티아졸릴]프로피오닐]페녹시아세트산
실시예 2 의 (2) 와 동일한 수법에 의해 표기화합물을 얻었다.
담황색 결정
mp165-175℃
Figure 112004005322291-pct00078
실시예 20
[4-[4-[2-(2,4-디클로로페닐)-5-이소프로필-4-옥사졸릴-1-부텐-2-일]-2-메틸페녹시]아세트산
(1) [4-[4-[2-(2,4-디클로로페닐)-5-이소프로필-4-옥사졸릴-1-부텐-2-일]-2-메틸페녹시]아세트산에틸
칼륨 t-부톡시드 (120㎎, 1.07m㏖) 을 건조 에테르 (2㎖) 에 현탁하고, 메틸트리페닐포스포늄브로미드 (350㎎, 0.98m㏖) 를 첨가하여 실온에서 2시간 교반한 후, [4-[3-[2-(2,4-디클로로페닐)-5-이소프로필-4-옥사졸릴]프로피오닐]-2-메틸페녹시]아세트산에틸 (450㎎, 0.89m㏖) 및 건조 에테르 (1.5㎖) 를 첨가하고, 실온에서 16시간 교반하였다. 반응용액에 메틸트리페닐포스포늄브로미드 (175㎎, 0.49m㏖), 건조 에테르 (5㎖) 및 칼륨 t-부톡시드 (60㎎, 0.53m㏖) 를 첨가하고, 실온에서 30분 교반한 후, 4시간 가열환류하고, 실온까지 냉각시켰다. 반응용액에 아세트산에틸 (10㎖) 을 첨가하고, 물 (10㎖) 및 포화식염수 (10㎖) 로 세정한 후, 무수황산나트륨으로 건조시켰다. 감압하 용매를 증류제거하고, 잔사를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 (아세트산에틸/헥산=1/9) 로 정제하여, 131㎎ (수율 29%) 의 표기화합물을 무색 유상물로서 얻었다.
Figure 112004005322291-pct00079
(2) [4-[4-[2-(2,4-디클로로페닐)-5-이소프로필-4-옥사졸릴-1-부텐-2-일]-2-메틸페녹시]아세트산
실시예 2 의 (2) 와 동일한 수법에 의해 표기화합물을 얻었다.
담황색 유상물
Figure 112004005322291-pct00080
실시예 21
2-[4-[4-[2-(2,4-디클로로페닐)-5-이소프로필-4-옥사졸릴]-1-부텐-2-일]-2-메틸페녹시]-2-메틸프로피온산
(1) 2-[4-[4-[2-(2,4-디클로로페닐)-5-이소프로필-4-옥사졸릴]-1-부텐-2-일]-2-메틸페 녹시]-2-메틸프로피온산에틸
실시예 1 의 (2) 와 동일한 수법에 의해 표기화합물을 얻었다.
Figure 112004005322291-pct00081
(2) 2-[4-[4-[2-(2,4-디클로로페닐)-5-이소프로필-4-옥사졸릴]-1-부텐-2-일]-2-메틸페녹시]-2-메틸프로피온산
실시예 1 의 (3) 과 동일한 수법에 의해 표기화합물을 얻었다.
갈색 유상물
Figure 112004005322291-pct00082
실시예 22
[4-[3-[2-(2,4-디클로로페닐)-5-이소프로필-4-옥사졸릴]-2-메틸프로피오닐]-2-메틸페녹시]아세트산
(1) [4-[3-[2-(2,4-디클로로페닐)-5-이소프로필-4-옥사졸릴]-2-메틸프로피오닐]-2-메틸페녹시]아세트산에틸
[4-[3-[2-(2,4-디클로로페닐)-5-이소프로필-4-옥사졸릴]프로피오닐]-2-메틸페녹시]아세트산에틸 (450㎎, 0.89m㏖) 을 건조 THF (4㎖) 에 용해하고, 수소화나트륨 (40㎎, 1.00m㏖) 을 조금씩 첨가하고, 실온에서 30분간 교반한 후, 요오드화메틸 (0.07㎖, 1.12m㏖) 을 적하하여 실온에서 27시간 교반하였다. 반응용액에 수소화나트륨 (10㎎, 0.25m㏖) 및 요오드화메틸 (0.02㎖, 0.32m㏖) 을 추가하고, 실온에서 19시간 30분간 교반한 후, 감압하 용매를 증류제거하였다. 잔사에 에틸 (5㎖) 을 첨가하고, 포화식염수 (2㎖) 로 세정하고, 무수황산나트륨으로 건조시켰다. 감압하 용매를 증류제거하고, 잔사를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 (아세트산에틸/헥산=1/9) 으로 정제하여, 218㎎ (순도 97%, 수율 46%) 의 표기화합물을 무색 유상물로서 얻었다.
Figure 112004005322291-pct00083
(2) [4-[3-[2-(2,4-디클로로페닐)-5-이소프로필-4-옥사졸릴]-2-메틸프로피오닐]-2-메틸페녹시]아세트산
실시예 2 의 (2) 와 동일한 수법에 의해 표기화합물을 얻었다.
백색 아모르퍼스
Figure 112004005322291-pct00084
실시예 23
2-[4-[3-[2-(2,4-디클로로페닐)-5-이소프로필-4-옥사졸릴]-2-메틸프로피오닐]-2-메틸페녹시]-2-메틸프로피온산에틸
(1) 2-[4-[3-[2-(2,4-디클로로페닐)-5-이소프로필-4-옥사졸릴]-2-메틸프로피오닐]-2-메틸페녹시]-2-메틸프로피온산에틸
실시예 1 의 (2) 와 동일한 수법에 의해 표기화합물을 얻었다.
Figure 112004005322291-pct00085
(2) 2-[4-[3-[2-(2,4-디클로로페닐)-5-이소프로필-4-옥사졸릴]-2-메틸프로피오닐]-2-메틸페녹시]-2-메틸프로피온산
실시예 1 의 (3) 과 동일한 수법에 의해 표기화합물을 얻었다.
백색 아모르퍼스
Figure 112004005322291-pct00086
실시예 24
[4-[3-[4-이소프로필-2-(4-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5-티아졸릴]프로페노일-2-메틸페녹시]아세트산
(1) 3-[4-이소프로필-2-(4-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티아졸-5-일]-1-(4-메톡시메톡시-3-메틸페닐)프로페논
4-이소프로필-2-(4-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티아졸-5-카르보알데히드 (803㎎, 2.68m㏖), 1-(4-메톡시메톡시-3-메틸페닐)에타논 (521㎎, 2.68m㏖) 및 나트륨메톡시드 (9㎎, 0.13m㏖) 을 건조 MeOH (3㎖) 및 건조 THF (3㎖) 의 혼합용매에 첨가하고, 실온에서 14시간 교반하였다. 다시 나트륨메톡시드 (36㎎, 0.53m㏖) 및 건조 MeOH (3㎖) 를 첨가한 후, 실온에서 26시간 교반하고, 감압하 용매를 증류제거하였다. 잔사에 아세트산에틸 (30㎖) 을 첨가하고, 물 (40㎖) 로 세정한 후, 수층을 아세트산에틸 (30㎖, 20㎖) 로 추출하고, 유기층을 합하여, 포화식염수 (20 ㎖) 로 세정하였다. 무수황산나트륨으로 건조시킨 후, 감압하 용매를 증류제거하고, 잔사를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 (아세트산에틸/헥산=1/9) 로 정제하여, 1.04g (수율 81%) 의 표기화합물을 황색 결정으로서 얻었다.
Figure 112004005322291-pct00087
(2) 1-(4-히드록시-3-메틸페닐)-3-[4-이소프로필-2-(4-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티아졸-5-일]프로페논
3-[4-이소프로필-2-(4-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티아졸-5-일]-1-(4-메톡시메톡시-3-메틸페닐)프로페논 (1.04g, 순도 99.6%, 2.18m㏖) 을 이소프로판올 (4㎖) 및 THF (16㎖) 의 혼합용매에 용해하고, 1M 염산수용액 (2.6㎖) 을 첨가하여 실온에서 4시간 교반한 후, 65℃ 에서 19시간 30분 교반하였다. 감압하 용매를 증류제거하고, 잔사를 에탄올 (6㎖) 및 헥산 (2㎖) 의 혼합용매에 현탁한 후, 결정을 여과 채취하였다. 얻어진 결정을 에탄올 (2㎖) 및 헥산 (2㎖) 의 혼합용매, 이어서 헥산 (2㎖) 으로 세정하고, 감압하 실온에서 30분 건조시켜 908㎎ (수율 97%) 의 표기화합물을 황색 결정으로서 얻었다.
Figure 112004005322291-pct00088
(3) [4-[3-[4-이소프로필-2-(4-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5-티아졸릴]프로페노일]-2-메틸페녹시]아세트산에틸
실시예 2 의 (1) 과 동일한 수법에 의해 표기화합물을 얻었다.
Figure 112004005322291-pct00089
(4) [4-[3-[4-이소프로필-2-(4-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5-티아졸릴]프로페노일]-2-메틸페녹시]아세트산
실시예 2 의 (2) 와 동일한 수법에 의해 표기화합물을 얻었다.
황색 결정 mp 203-205℃ (dec.)
Figure 112004005322291-pct00090
실시예 25
2-[4-[3-[4-이소프로필-2-(4-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5-티아졸릴]프로페노일]-2-메틸페녹시]-2-메틸프로피온산
(1) 2-[4-[3-[4-이소프로필-2-(4-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5-티아졸]프로페노 일]-2-메틸페녹시]-2-메틸프로피온산에틸
실시예 1 의 (2) 와 동일한 수법에 의해 표기화합물을 얻었다.
Figure 112004005322291-pct00091
(2) 2-[4-[3-[4-이소프로필-2-(4-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5-티아졸]프로페노일]-2-메틸페녹시]-2-메틸프로피온산
실시예 1 의 (3) 과 동일한 수법에 의해 표기화합물을 얻었다.
황색 결정 mp : 187-189℃
Figure 112004005322291-pct00092
실시예 26
[4-[3-[4-이소프로필-2-(4-메톡시페닐)-5-티아졸릴]프로피오닐]-2-메틸페녹시]프로피온산
(1) [4-[3-[4-이소프로필-2-(4-메톡시페닐)-5-티아졸릴]프로피오닐]-2-메틸페녹시]프로피온산에틸
실시예 1 의 (2) 와 동일한 수법에 의해 표기화합물을 얻었다.
Figure 112004005322291-pct00093
(2) [4-[3-[4-이소프로필-2-(4-메톡시페닐)-5-티아졸릴]프로피오닐]-2-메틸페녹시]프로피온산
실시예 1 의 (3) 과 동일한 수법에 의해 표기화합물을 얻었다.
담황색 결정 mp 170-172℃
Figure 112004005322291-pct00094
실시예 27
[4-[3-[2-(3,5-디플루오로페닐)-4-이소프로필티아졸-5-일]프로피오닐]-2-메틸페녹시]아세트산
(1) [4-[3-[2-(3,5-디플루오로페닐)-4-이소프로필티아졸-5-일]프로피오닐]-2-메틸페녹시]아세트산에틸
실시예 2 의 (1) 과 동일한 수법에 의해 표기화합물을 얻었다.
Figure 112004005322291-pct00095
(2) [4-[3-[2-(3,5-디플루오로페닐)-4-이소프로필티아졸-5-일]프로피오닐]-2-메틸페녹시]아세트산
실시예 2 의 (2) 와 동일한 수법에 의해 표기화합물을 얻었다.
담황색 결정 mp 125-128℃
Figure 112004005322291-pct00096
실시예 28
2-[4-[3-[2-(3,5-디플루오로페닐)-4-이소프로필-5-티아졸릴]프로피오닐]-2-메틸페녹시]-2-메틸프로피온산
(1) 2-[4-[3-[2-(3,5-디플루오로페닐)-4-이소프로필-5-티아졸릴]프로피오닐]-2-메틸페녹시]-2-메틸프로피온산에틸
실시예 1 의 (2) 와 동일한 수법에 의해 표기화합물을 얻었다.
Figure 112004005322291-pct00097
(2) 2-[4-[3-[2-(3,5-디플루오로페닐)-4-이소프로필티아졸-5-일]프로피오닐]-2-메틸페녹시]-2-메틸프로피온산
실시예 1 의 (3) 과 동일한 수법에 의해 표기화합물을 얻었다.
백색결정 mp 132-133℃
Figure 112004005322291-pct00098
실시예 29
[4-[3-[4-이소프로필-2-(2-나프틸)-5-티아졸릴]프로피오닐]-2-메틸페녹시]아세트산
(1) [4-[3-[4-이소프로필-2-(2-나프틸)-5-티아졸릴]프로피오닐]-2-메틸페녹시]아세트산에틸
실시예 2 의 (1) 과 동일한 수법에 의해 표기화합물을 얻었다.
Figure 112004005322291-pct00099
(2) [4-[3-[4-이소프로필-2-(2-나프틸)-5-티아졸릴]프로피오닐]-2-메틸페녹시]아세트산
실시예 2 의 (2) 와 동일한 수법에 의해 표기화합물을 얻었다.
담황색 결정 mp97-100℃
Figure 112004005322291-pct00100
실시예 30
2-[4-[3-[4-이소프로필-2-(2-나프틸)-5-티아졸릴]프로피오닐]-2-메틸페녹시]-2-메틸프로피온산
실시예 1 의 (3) 과 동일한 수법에 의해 표기화합물을 얻었다.
백색 결정 mp 164-166℃
Figure 112004005322291-pct00101
실시예 31
[4-[3-[2-(4-부틸페닐)-4-이소프로필-5-티아졸릴]프로피오닐]-2-메틸페녹시]아세트산
(1) [4-[3-[2-(4-부틸페닐)-4-이소프로필-5-티아졸릴]프로피오닐]-2-메틸페녹시]아세트산에틸
실시예 2 의 (1) 과 동일한 수법에 의해 표기화합물을 얻었다.
Figure 112004005322291-pct00102
(2) [4-[3-[2-(4-부틸페닐)-4-이소프로필-5-티아졸릴]프로피오닐]-2-메틸페녹시]아세트산
실시예 2 의 (2) 와 동일한 수법에 의해 표기화합물을 얻었다.
담황색 아모르퍼스
Figure 112004005322291-pct00103
실시예 32
2-[4-[3-[2-(4-부틸페닐)-4-이소프로필-5-티아졸릴]프로피오닐]-2-메틸페녹시]-2-메틸프로피온산
(1) 2-[4-[3-[2-(4-부틸페닐)-4-이소프로필-5-티아졸릴]프로피오닐]-2-메틸페녹시]-2-메틸프로피온산에틸
실시예 1 의 (2) 와 동일한 수법에 의해 표기화합물을 얻었다.
Figure 112004005322291-pct00104
(2) 2-[4-[3-[2-(4-부틸페닐)-4-이소프로필-5-티아졸릴]프로피오닐]-2-메틸페녹시]-2-메틸프로피온산
실시예 1 의 (3) 과 동일한 수법에 의해 표기화합물을 얻었다.
백색결정 mp121-122℃
Figure 112004005322291-pct00105
실시예 33
[4-[3-[4-이소프로필-2-(4-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5-티아졸릴]프로피오닐]-2-클로로페녹시]아세트산
(1) [4-[3-[4-이소프로필-2-(4-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5-티아졸릴]프로피오닐]-2-클로로페녹시]아세트산에틸
실시예 2 의 (1) 과 동일한 수법에 의해 표기화합물을 얻었다.
Figure 112004005322291-pct00106
(2) [4-[3-[4-이소프로필-2-(4-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5-티아졸릴]프로피오닐]-2-클로로페녹시]아세트산
실시예 2 의 (2) 와 동일한 수법에 의해 표기화합물을 얻었다.
백색결정 mp 149-151℃
Figure 112004005322291-pct00107
실시예 34
[4-[3-[2-(4-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4-이소프로필-5-티아졸릴]프로피오닐]-2-클로로페녹시]-2-메틸프로피온산
(1) [4-[3-[2-(4-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4-이소프로필-5-티아졸릴]프로피오닐]-2-클로로페녹시]-2-메틸프로피온산에틸
실시예 1 의 (2) 와 동일한 수법에 의해 표기화합물을 얻었다.
Figure 112004005322291-pct00108
(2) [4-[3-[2-(4-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4-이소프로필-5-티아졸릴]프로피오닐]-2-클로로페녹시]-2-메틸프로피온산
실시예 1 의 (3) 과 동일한 수법에 의해 표기화합물을 얻었다.
담황색 아모르퍼스
Figure 112004005322291-pct00109
실시예 35
[4-[3-[2-(2,4-디클로로페닐)-5-이소프로필-4-옥사졸릴]프로피오닐]-2-클로로페녹시]아세트산
(1) [4-[3-[2-(2,4-디클로로페닐)-5-이소프로필-4-옥사졸릴]프로피오닐]-2-클로로페녹시]아세트산에틸
실시예 2 의 (1) 과 동일한 수법에 의해 표기화합물을 얻었다.
Figure 112004005322291-pct00110
(2) [4-[3-[2-(2,4-디클로로페닐)-5-이소프로필-4-옥사졸릴]프로피오닐]-2-클로로페녹시]아세트산
실시예 2 의 (2) 와 동일한 수법에 의해 표기화합물을 얻었다.
백색결정 mp134-137℃
Figure 112004005322291-pct00111
실시예 36
2-[4-[3-[2-(2,4-디클로로페닐)-5-이소프로필-4-옥사졸릴]프로피오닐]-2-클로로페녹시]-2-메틸프로피온산
(1) 2-[4-[3-[2-(2,4-디클로로페닐)-5-이소프로필-4-옥사졸릴]프로피오닐]-2-클로로페녹시]-2-메틸프로피온산에틸
실시예 1 의 (2) 와 동일한 수법에 의해 표기화합물을 얻었다.
Figure 112004005322291-pct00112
(2) 2-[4-[3-[2-(2,4-디클로로페닐)-5-이소프로필-4-옥사졸릴]프로피오닐]-2-클로로페녹시]-2-메틸프로피온산
실시예 1 의 (2) 와 동일한 수법에 의해 표기화합물을 얻었다.
백색결정 mp76-79℃
Figure 112004005322291-pct00113
실시예 37
[4-[3-[5-이소프로필-2-(4-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4-티아졸릴]프로피오닐]-2-메틸페녹시]아세트산
(1) [4-[3-[5-이소프로필-2-(4-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4-티아졸릴]프로피오닐]-2-메틸페녹시]아세트산에틸
실시예 2 의 (1) 과 동일한 수법에 의해 표기화합물을 얻었다.
Figure 112004005322291-pct00114
(2) [4-[3-[2-(4-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5-이소프로필-4-티아졸릴]프로피오닐]-2-메틸페녹시]아세트산
실시예 2 의 (1) 과 동일한 수법에 의해 표기화합물을 얻었다.
백색결정 mp125-132℃
Figure 112004005322291-pct00115
실시예 38
2-[4-[3-[5-이소프로필-2-(4-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4-티아졸릴]프로피오닐]-2-메틸페녹시]-2-메틸프로피온산
(1) [4-[3-[5-이소프로필-2-(4-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4-티아졸릴]프로피오닐]-2-메틸페녹시]-2-메틸프로피온산에틸
실시예 1 의 (2) 와 동일한 수법에 의해 표기화합물을 얻었다.
Figure 112004005322291-pct00116
(2) 2-[4-[3-[5-이소프로필-2-(4-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4-티아졸릴]프로피오닐]-2-메틸페녹시]-2-메틸프로피온산
실시예 1 의 (3) 과 동일한 수법에 의해 표기화합물을 얻었다.
백색결정 mp 89-93℃
Figure 112004005322291-pct00117
실시예 39
[4-[3-[2-(2,4-디클로로페닐)-5-이소프로필-4-티아졸릴]프로피오닐]-2-메틸페녹시]아세트산
(1) [4-[3-[2-(2,4-디클로로페닐)-5-이소프로필-4-티아졸릴]프로피오닐]-2-메틸페녹시]아세트산
실시예 2 의 (2) 와 동일한 수법에 의해 표기화합물을 얻었다.
백색결정 mp158-161℃
Figure 112004005322291-pct00118
실시예 40
2-[4-[3-[2-(2,4-디클로로페닐)-5-이소프로필-4-티아졸릴]프로피오닐]-2-메틸페녹시]-2-메틸프로피온산
(1) 2-[4-[3-[2-(2,4-디클로로페닐)-5-이소프로필-4-티아졸릴]프로피오닐]-2-메틸페녹시]-2-메틸프로피온산에틸
실시예 1 의 (2) 와 동일한 수법에 의해 표기화합물을 얻었다.
Figure 112004005322291-pct00119
(2) 2-[4-[3-[2-(2,4-디클로로페닐)-5-이소프로필-4-티아졸릴]프로피오닐]-2-메틸페녹시]-2-메틸프로피온산
실시예 1 의 (3) 과 동일한 수법에 의해 표기화합물을 얻었다.
백색 아모르퍼스
Figure 112004005322291-pct00120
실시예 41
[5-[3-[4-이소프로필-2-(4-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5-티아졸릴]프로피오닐]-2-메틸페녹시]아세트산
(1) [5-[3-[4-이소프로필-2-(4-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5-티아졸릴]프로피오닐]-2-메틸페녹시]아세트산에틸
실시예 2 의 (1) 과 동일한 수법에 의해 표기화합물을 얻었다.
Figure 112004005322291-pct00121
(2) [5-[3-[4-이소프로필-2-(4-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5-티아졸릴]프로피오닐]-2-메틸페녹시]아세트산
실시예 2 의 (2) 와 동일한 수법에 의해 표기화합물을 얻었다.
담황색 결정 mp130-133℃
Figure 112004005322291-pct00122
실시예 42
2-[5-[3-[4-이소프로필-2-(4-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5-티아졸릴]프로피오닐]-2-메틸페녹시]-2-메틸프로피온산
(1) 2-[5-[3-[4-이소프로필-2-(4-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5-티아졸릴]프로피오닐]-2-메틸페녹시]-2-메틸프로피온산에틸
실시예 1 의 (2) 와 동일한 수법에 의해 표기화합물을 얻었다.
Figure 112004005322291-pct00123
(2) 2-[5-[3-[4-이소프로필-2-(4-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5-티아졸릴]프로피오닐]-2-메틸페녹시]-2-메틸프로피온산
실시예 1 의 (3) 과 동일한 수법에 의해 표기화합물을 얻었다.
백색결정 mp124-126℃
Figure 112004005322291-pct00124
실시예 43
2-[4-[3-[4-이소프로필-2-(4-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5-티아졸릴]프로피오닐]-2-메틸페녹시]프로피온산
(1) 2-[4-[3-[4-이소프로필-2-(4-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5-티아졸릴]프로피 오닐]-2-메틸페녹시]프로피온산에틸
실시예 3 의 중간체 3-[2-(4-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4-이소프로필-5-티아졸릴]-1-(3-메틸-4-히드록시페닐)프로판-1-온 (433㎎, 1.00m㏖), 탄산칼륨 (166㎎, 1.20m㏖) 을 아세톤 (10㎖) 에 현탁시킨 후, 2-브로모프로피온산에틸 (216㎎, 1.20m㏖) 을 빙냉하에서 첨가하였다. 실온에서 20시간 교반한 후, 반응용액을 빙냉수에 부어, 아세트산에틸로 추출하였다. 유기층을 물 (20㎖) 및 포화식염수 (20㎖) 로 순차적으로 세정한 후, 무수황산나트륨으로 건조시킨 후, 감압하 용매를 증류제거하였다. 잔사를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 (헥산/아세트산에틸=5/1) 로 정제하여 상기 표기화합물을 무색 유상물 (534㎎) 으로서 얻었다. (정량적 수율)
Figure 112004005322291-pct00125
(2) 2-[4-[3-[4-이소프로필-2-(4-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5-티아졸릴]프로피오닐]-2-메틸페녹시]프로피온산
실시예 2 의 (2) 와 동일한 수법에 의해 표기화합물을 얻었다.
백색결정 mp120-123℃
Figure 112004005322291-pct00126
실시예 44
[4-[3-[4-메틸-2-(4-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5-티아졸릴]프로피오닐]-2-메틸페녹시]아세트산
(1) [4-[3-[4-메틸-2-(4-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5-티아졸릴]프로피오닐]-2-메틸페녹시]아세트산에틸
실시예 2 의 (1) 과 동일한 수법에 의해 표기화합물을 얻었다.
Figure 112004005322291-pct00127
(2) [4-[3-[4-메틸-2-(4-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5-티아졸릴]프로피오닐]-2-메틸페녹시]아세트산
실시예 2 의 (1) 과 동일한 수법에 의해 표기화합물을 얻었다.
백색결정 mp194-195℃
Figure 112004005322291-pct00128
실시예 45
2-[4-[3-[4-헥실-2-(4-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5-티아졸릴]-1-프로페닐]-2-메틸페녹시]-2-메틸프로피온산
(1) 2-[4-[3-[4-헥실-2-(4-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5-티아졸릴]-1-프로페닐]-2-메틸페녹시]-2-메틸프로피온산에틸
실시예 1 의 (2) 와 동일한 수법에 의해 표기화합물을 얻었다.
Figure 112004005322291-pct00129
(2) 2-[4-[3-[4-헥실-2-(4-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5-티아졸릴]-1-프로페닐]-2-메틸페녹시]-2-메틸프로피온산
실시예 1 의 (3) 과 동일한 수법에 의해 표기화합물을 얻었다.
담갈색 분말 mp152-155℃
Figure 112004005322291-pct00130
실시예 46
2-[5-[3-[4-헥실-2-(4-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5-티아졸릴]프로피오닐]-2-메틸페녹시]-2-메틸프로피온산
(1) 2-[5-[3-[4-헥실-2-(4-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5-티아졸릴]프로피오닐]-2-메틸페녹시]-2-메틸프로피온산에틸
실시예 1 의 (2) 와 동일한 수법에 의해 표기화합물을 얻었다.
Figure 112004005322291-pct00131
(2) 2-[5-[3-[4-헥실-2-(4-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5-티아졸릴]프로피오닐]-2-메틸페녹시]-2-메틸프로피온산
실시예 1 의 (3) 과 동일한 수법에 의해 표기화합물을 얻었다.
황색 유상물
Figure 112004005322291-pct00132
실시예 47
[4-[3-[4-에틸-2-(4-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5-티아졸릴]프로피오닐]-2-메틸페녹시]아세트산
(1) [4-[3-[4-에틸-2-(4-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5-티아졸릴]프로피오닐]-2-메틸페녹시]아세트산에틸
실시예 2 의 (1) 과 동일한 수법에 의해 표기화합물을 얻었다.
Figure 112004005322291-pct00133
(2) [4-[3-[4-에틸-2-(4-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5-티아졸릴]프로피오닐]-2-메틸페녹시]아세트산
실시예 2 의 (2) 와 동일한 수법에 의해 표기화합물을 얻었다.
백색결정 mp165-167℃
Figure 112004005322291-pct00134
실시예 48
2-[4-[3-[4-에틸-2-(4-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5-티아졸릴]프로피오닐]-2-메틸페녹시]-2-메틸프로피온산
(1) 2-[4-[3-[4-에틸-2-(4-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5-티아졸릴]프로피오닐]-2-메틸페녹시]-2-메틸프로피온산에틸
실시예 1 의 (2) 와 동일한 수법에 의해 표기화합물을 얻었다.
Figure 112004005322291-pct00135
(2) 2-[4-[3-[4-에틸-2-(4-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5-티아졸릴]프로피오닐]-2-메틸페녹시]-2-메틸프로피온산
실시예 1 의 (3) 과 동일한 수법에 의해 표기화합물을 얻었다.
백색결정 mp168-170℃
Figure 112004005322291-pct00136
실시예 49
[4-[3-[4-이소프로필-2-(4-메틸페닐)-5-티아졸릴]프로피오닐]-2-메틸페녹시]아세트산
(1) [4-[3-[4-이소프로필-2-(4-메틸페닐)-5-티아졸릴]프로피오닐]-2-메틸페녹시]아세트산에틸
실시예 2 의 (1) 과 동일한 수법에 의해 표기화합물을 얻었다.
Figure 112004005322291-pct00137
(2) [4-[3-[4-이소프로필-2-(4-메틸페닐)-5-티아졸릴]프로피오닐]-2-메틸페녹시]아세트산
실시예 2 의 (2) 와 동일한 수법에 의해 표기화합물을 얻었다.
백색결정 mp188-190℃
Figure 112004005322291-pct00138
실시예 50
2-[4-[3-[4-이소프로필-2-(4-메틸페닐)-5-티아졸릴]프로피오닐]-2-메틸페녹시]-2-메틸프로피온산
(1) 2-[4-[3-[4-이소프로필-2-(4-메틸페닐)-5-티아졸릴]프로피오닐]-2-메틸페녹시]-2-메틸프로피온산에틸
실시예 1 의 (2) 와 동일한 수법에 의해 표기화합물을 얻었다.
Figure 112004005322291-pct00139
(2) 2-[4-[3-[4-이소프로필-2-(4-메틸페닐)-5-티아졸릴]프로피오닐]-2-메틸페녹시]-2-메틸프로피온산
실시예 1 의 (3) 과 동일한 수법에 의해 표기화합물을 얻었다.
황색 아모르퍼스
Figure 112004005322291-pct00140
실시예 51
(약리실험 1)
I. 측정방법
(1) PPARα,γ,δ활성화능의 측정
시험화합물 [실시예 1∼8 및 이미 공지된 PPARα어고니스트의 L-165041 (Berger, J. 외, (1999) J. Biol. Chem., 274:6718-6725)] 의 PPARα, γ및 δ의 활성화능을 이하와 같이 측정하였다.
1) 재료
아프리카 녹색 원숭이 신장 선유아세포 (CV-1) 는, 토호쿠대학 가령의학연구소 의용세포자원센터에서 입수하였다. 모든 시험화합물은, 디메틸술폭시드 (DMSO) 에 용해하여, 최종 DMSO 농도 0.1% 로 시험에 사용하였다.
2) 플라스미드
수용체 발현 플라스미드 (GAL4-hPPARαLBD, GAL4-hPPARγLBD, GAL4-hPPARδLBD), 리포터 플라스미드 (UASx4-TK-LUC), β-갈락토시다아제 발현 플라스미드 (βGAL) 은 KLiewer, S. A. 외 ((1992) Nature, 358:771-774) 와 동일한 것을 사용하였다.
3) 트랜스펙션
CV-1 세포를 1웰당 2×105개의 세포농도로, 24웰 배양 플레이트에 뿌려, 24시간, 4% 태아 소 혈청 (FCS) 첨가 OPTI-MEM I Reduced Serum Medium (Life Technologies) 500㎕/well 에서 배양하였다. 그 후, 혈청 무첨가의 OPTI-MEM 으로 세포를 세정하여, DNA 함유용액 [1웰 (250㎕ 첨가용액) 당, 이하의 성분을 함유하는 것 ; 0.03㎍ 의 GAL4-hPPARδ LBD, 0.25㎍ 의 UASx4-TK-LUC, 0.35㎍ 의 βGAL, 2㎕ 의 리포펙션 시약 DMRIE-C (Life Technologies), 이들을 OPTI-MEM 에 용해하고, 실온에서 30분간 정치한 것] 을 첨가하여, 37℃ 에서 5시간 배양하였다.
4) 시험화합물 첨가에 의한 세포처리
DNA 함유용액을 제거하고, 시험화합물 (종농도:10-7M 혹은 10-6M 이 되도록 100% DMSO 에 용해한 것) 을 함유하는 4% FCS-OPTI-MEM 500㎕ 로 새로 교환하여 다시 40시간, 37℃ 에서 배양하였다.
5) 리포터 유전자 발현 레벨의 측정
배지를 제거하고, PBS 에서 2회 세정한 후, 동결융해를 1회 실행하고, 1웰당, 루시페라아제 활성 측정용 가용화 완충액 (25mM Tris-PO4 (pH7.8), 15%v/v Glyserol, 2% CHAPS, 1% Lecithin, 1% BSA, 4mM EGTA (pH 8.0), 8mM MgCl2, 1mM DTT) 100㎕ 을 첨가하여, 실온에서 10분간 방치하였다. 이 중의 20㎕을 96웰 측정용 플레이트에 분취하여, 루시페라아제 기질 용액 100㎕ (피커진 ; 닛뽕진사 제조) 를 첨가하고, MLR-100형 마이크로루미노리더 (microluminoreader; 코로나전기사 제조) 를 사용하여, 1초간의 발광량 (루시페라아제 활성) 을 구하였다. 루시페라아제 유전자의 첨가와 동시에 첨가하여 둔 βGAL 의 세포내 도입에 의한 활성발현량을 측정하여, 화합물 첨가에 의한 루시페라아제 활성의 변동을 도입 유전자의 트랜스펙션 효율로 보정하였다. β-갈락토시다아제 활성의 측정방법은, 50㎕ 의 가용화시료를 다른 96웰 플레이트에 분취하여, ONPG(2-니트로페닐-β-D-갈락토피라노시드) 용액 100㎕ 을 첨가하여, 실온에서 5분간 인큐베이트하였다. 반응정지액 (1M 탄산나트륨 용액) 50㎕ 을 첨가하고, 414㎚ 의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용매로서 사용한 DMSO (0.1% 농도) 만으로 처리한 세포의 루시페라아제 활성치 (대조군 값) 를 0% 로, 대조약 (PPARα:10-4M WY-165041, PPARγ:10-5M Rosiglitazone, PPARδ:10-4M L-165041) 으로 처리한 세포의 루시페라아제 활성치를 100% 로 하고, 상대적인 PPAR 활성화능을 산출하였다.
II. 시험결과
시험결과를 표 8 에 나타낸다.
Figure 112004005322291-pct00141
PPAR 활성화능 : 대조약을 100%로 했을 때의 상대치
PPARα, γ, δ활성화능의 측정은 시험화합물 농도가 10-7M 의 값, 단 실시예 1만 시험화합물농도가 10-6M의 값
대조약
α: WY-14643 10-4M
γ: Rosiglitazone 10-5M
δ: L-165041 10-4M
표 8 로부터 명확한 바와 같이 실시예 화합물은 L-165041 과 비하여, 동등하거나 그 이상의 강력한 PPARα의 활성화능을 갖는 것이 밝혀졌다.
실시예 52
(약리실험 2)
실시예 9∼50 의 화합물에 관하여, 실시예 51 과 동일한 방법으로 PPARα, γ, δ활성화능을 측정하여, 그 결과를 표 9 에 나타낸다.
Figure 112004005322291-pct00142
Figure 112004005322291-pct00143
PPAR 활성화능 : 대조약을 100%로 했을 때의 상대치
PPARα, γ, δ활성화능의 측정은 시험화합물 농도가 10-7M 의 값,
단, 숫자가 () 안에 있는 화합물 (에를 들면 실시예 44 외) 의 시험화합물 농도는 10-6M의 값
NT 또는 (NT) 는 미시험을 표시한다.
대조약
α: WY-14643 10-4M
γ: Rosiglitazone 10-5M
δ: L-165041 10-4M
표 9 로부터 실시예 9∼50 에 기재된 화합물이 우수한 PPAR δ활성화능을 갖는 것이 밝혀졌다. 또 표 8 및 표 9 로부터 일반식 I 로 표시되는 화합물로, R2 가 메틸기인 실시예 44 의 화합물은, R2 가 에틸기 (실시예 47 외), 이소프로필기 (실시예 3 외), 헥실기 (실시예 11 외) 의 화합물에 비하여 PPAR δ활성화능이 약한 것이 밝혀졌다. 따라서 R2 의 알킬기의 탄소수는 2 이상이 바람직하다.
실시예 53
(약리실험 3)
HDL 콜레스테롤 증가작용의 측정
(시험방법)
HDL 콜레스테롤 증가작용을 유전적 비만 마우스인 db/db 마우스를 사용하여 검토하였다. db/db 마우스 (생후 10주) 를 혈청중 HDL 콜레스테롤량을 기준으로 군으로 나누어, 1% 메틸셀룰로오스 용액에 현탁한 본 발명 화합물 (후기의 각 실시예에 의해 합성한 화합물) 및 GW-501516 을 1일 2회, 1주간 경구투여하였다. 대조군 (약물비투여군) 에는 1% 메틸셀룰로오스 용액을 동일하게 경구투여하였다. 최종 투여 16시간 후에 채혈하고, 혈청중 HDL 콜레스테롤량을 측정하였다. 측정은 콜레트리콤보 (가부시끼가이샤 헤레나연구소) 를 사용한 아가로스 전기영동법 으로 구한 아포 단백 콜레스테롤 비율을, 퓨어오토 TCHO (다이이찌화학약품) 를 사용한 효소법에 의해, 자동분석장치 (7060E형, 가부시까가이샤 히따찌 제작소 제조) 로 구한 총 콜레스테롤량에 대입하여 계산하였다.
(결과)
각 화합물 투여군의 혈청중 HDL 콜레스테롤량을 구하고, 그 값의 대조군에 대한 비율 (퍼센트) 를 계산하여 그 결과를 표 10 에 나타낸다.
시험화합물 투여량 (mg/kg/b.i.d.) HDL 콜레스테롤 증가율 (대조군에 대한 %)
실시예 4 10 176
실시예 10 10 134
GW-501516 10 149
표 10 으로부터 본 발명 화합물은, 대조군에 비교하여 유의하게 HDL 콜레스테롤량이 증가되어, 우수한 HDL 콜레스테롤 증가작용을 갖는 것이 밝혀졌다.
따라서 본 발명 화합물은 우수한 HDL 콜레스테롤 증가작용을 갖고, 지질개선제로서 유용하다.

Claims (20)

  1. 하기 일반식 I 로 표시되는 화합물 또는 그의 염:
    Figure 112009002944158-pct00144
    (식 중, R1 은 치환기로서 탄소수 1∼8의 알킬기, 할로겐원자로 치환된 탄소수 1∼8의 알킬기, 탄소수 1∼8의 알콕시기, 할로겐원자로 치환된 탄소수 1∼8의 알콕시기, 탄소수 2∼8의 알케닐기, 탄소수 2∼8의 알키닐기, 할로겐원자, 탄소수 2∼7의 아실기, 벤조일기, 수산기, 니트로기, 아미노기, 페닐기 혹은 피리딜기에서 선택되는 기 또는 원자를 가질 수도 있는 페닐기 혹은 나프틸기를 나타내고, R2 는 탄소수 2∼8의 알킬기를 나타내고, A 는 산소원자 혹은 황원자를 나타내고, X 는 치환기로서 탄소수 1∼8의 알킬기를 가질 수도 있고, 그리고 2중 결합을 함유할 수도 있는 탄소수 1∼8의 알킬렌쇄를 나타내고, Y 는 C(=O), CH=CH, 또는 C(=CH2) 를 나타내고, R3, R4 및 R5 는 수소원자, 탄소수 1∼8의 알킬기, 할로겐원자로 치환된 탄소수 1∼8의 알킬기, 탄소수 1∼8의 알콕시기, 할로겐원자로 치환된 탄소수 1∼8의 알콕시기, 탄소수 2∼8의 알케닐기, 탄소수 2∼8의 알키닐기, 할로겐원자, 탄소수 2∼7의 아실기, 벤조일기, 수산기, 니트로기, 아미노기, 페닐기 또는 피리딜기를 나타내고, B 는 CH 를 나타내고, Z 는 산소원자 또는 황원자를 나타내고, R6 및 R7 은 수소원자 또는 탄소수 1∼8의 알킬기를 나타내고, 그리고 R8 은 수소원자 또는 탄소수 1∼8의 알킬기를 나타낸다. 단, R3, R4 및 R5 의 적어도 하나는 수소원자가 아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 1 항에 있어서, X 가 탄소수 1∼8의 알킬렌쇄인 화합물 또는 그의 염.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제 6 항에 있어서, R1 의 치환위치가 2위치인 화합물 또는 그의 염.
  16. 제 1 항 또는 제 6 항에 있어서, R8 이 수소원자인 화합물 또는 그의 염.
  17. 제 1 항 또는 제 6 항에 있어서, R3, R4 및 R5 중, 수소원자 이외의 치환기가 -Z-CR6R7CO2R8 에 대해 오르토위치로 치환되어 있는 화합물 또는 그의 염.
  18. 제 1 항 또는 제 6 항에 기재된 화합물 또는 그의 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혈당강하제, 지질저하제, 비만, 신드롬X, 고콜레스테롤혈증 또는 고리포단백혈증으로부터 선택되는 대사이상질환, 고지혈증, 동맥경화증, 순환기계질환, 과식증, 허혈성질환, 폐암, 유방암, 결장암, 대장암 또는 난소암으로부터 선택되는 악성종양, 또는 알츠하이머병, 염증성질환, 골다공증, 바세도우병 안증 또는 부신백질 디스트로피로부터 선택되는 질병의 예방 또는 치료제.
  19. 제 1 항에 있어서, [4-[3-[2-(4-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4-이소프로필-5-티아졸릴]프로피오닐]-2-메틸페녹시]아세트산인 화합물.
  20. 제 1 항에 있어서, [4-[3-[2-(2-히드록시-4-클로로페닐)-5-이소프로필-4-옥사졸릴]프로피오닐]-2-메틸페녹시]아세트산인 화합물.
KR1020047002008A 2001-08-10 2002-08-02 퍼옥시좀 증식제 응답성 수용체 δ의 활성화제 KR10090168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1-00243734 2001-08-10
JP2001243734 2001-08-10
PCT/JP2002/007897 WO2003016291A1 (fr) 2001-08-10 2002-08-02 Activateur du recepteur $g(d) sensible au proliferateur de peroxysom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23741A KR20040023741A (ko) 2004-03-18
KR100901683B1 true KR100901683B1 (ko) 2009-06-08

Family

ID=190737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7002008A KR100901683B1 (ko) 2001-08-10 2002-08-02 퍼옥시좀 증식제 응답성 수용체 δ의 활성화제

Country Status (16)

Country Link
US (3) US7265137B2 (ko)
EP (1) EP1424330B1 (ko)
JP (3) JP4421895B2 (ko)
KR (1) KR100901683B1 (ko)
CN (1) CN1330641C (ko)
AT (1) ATE526319T1 (ko)
AU (1) AU2002323776B2 (ko)
BR (1) BRPI0211844B8 (ko)
CA (1) CA2457054C (ko)
CY (1) CY1112130T1 (ko)
DK (1) DK1424330T3 (ko)
ES (1) ES2372813T3 (ko)
IL (2) IL160304A0 (ko)
MX (1) MXPA04001258A (ko)
PT (1) PT1424330E (ko)
WO (1) WO200301629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105551B2 (en) * 2000-12-20 2006-09-12 Smithkline Beecham Corporation Thiazole derivatives for treating PPAR related disorders
PT1424330E (pt) 2001-08-10 2011-12-22 Nippon Chemiphar Co Activador do receptor ä responsivo a proliferadores peroxissomais
ES2326411T3 (es) * 2001-10-12 2009-10-09 Nippon Chemiphar Co., Ltd. Activador del receptor delta activado por proliferadores de peroxisomas.
EP1637161A4 (en) * 2003-04-22 2007-06-27 Astellas Pharma Inc MEANS FOR THE TREATMENT OF NEURODEGENERATIVE ILLNESSES OF THE BRAIN WITH PPAR [delta] AGONIST
DE602004022179D1 (de) 2003-09-19 2009-09-03 Janssen Pharmaceutica Nv 4-((phenoxyalkyl)thio)-phenoxyessigsäuren und analoga
WO2005060958A1 (en) * 2003-12-19 2005-07-07 Kalypsys, Inc. (5- (2-phenyl)-thiazol-5-ylmethoxy)-indol-1-yl) -acetic acid derivatives and related compounds as modulators of the human ppar-delta receptor for the treatment of metabolic disorders such as type 2 diabetes
US7554974B2 (en) * 2004-03-09 2009-06-30 Tekelec Systems and methods of performing stateful signaling transactions in a distributed processing environment
EP2305352A1 (en) 2004-04-02 2011-04-06 Merck Sharp & Dohme Corp. 5-alpha-reductase inhibitors for use in the treatment of men with metabolic and anthropometric disorders
EP1745003B1 (en) 2004-05-05 2010-10-27 High Point Pharmaceuticals, LLC Novel compounds, their preparation and use
EP1745014B1 (en) 2004-05-05 2011-07-06 High Point Pharmaceuticals, LLC Novel compounds, their preparation and use
WO2006041197A1 (ja) * 2004-10-14 2006-04-20 Nippon Chemiphar Co., Ltd. ペルオキシソーム増殖剤活性化受容体δの活性化剤
RU2007135745A (ru) * 2005-02-28 2009-04-10 Ниппон Кемифар Ко., Лтд. (JP) АКТИВАТОР δ- РЕЦЕПТОРА, АКТИВИРУЕМОГО ПРОЛИФЕРАТОРОМ ПЕРОКСИСОМЫ
BRPI0610177A2 (pt) * 2005-05-25 2016-11-29 Nippon Chemiphar Co composto ou um sal do mesmo, e, ativador para receptor ativado por proliferador de peroxissomo
EP2298742B1 (en) 2005-06-30 2014-01-08 High Point Pharmaceuticals, LLC phenoxy acetic acids as PPAR delta activators
AU2006287521A1 (en) * 2005-09-07 2007-03-15 Plexxikon, Inc. PPARactive compounds
JO3006B1 (ar) 2005-09-14 2016-09-05 Janssen Pharmaceutica Nv املاح ليسين مبتكرة من مشتقات حامض 4-((فينوكسي الكيل)ثيو) فينوكسي الخليك
NZ566878A (en) * 2005-09-29 2010-07-30 Sanofi Aventis Phenyl-and pyridinyl-1,2,4-oxadiazolone derivatives with phenyl group, processes for their preparation and their use as pharmaceuticals
WO2007039177A2 (en) 2005-09-29 2007-04-12 Sanofi-Aventis Phenyl- and pyridinyl- 1, 2 , 4 - oxadiazolone derivatives, processes for their preparation and their use as pharmaceuticals
CA2631390C (en) 2005-12-22 2014-03-11 Per Sauerberg Phenoxy acetic acids as ppar delta activators
US7649098B2 (en) * 2006-02-24 2010-01-19 Lexicon Pharmaceuticals, Inc. Imidazole-based compounds, compositions comprising them and methods of their use
JP2009529512A (ja) 2006-03-09 2009-08-20 ハイ ポイント ファーマシューティカルズ,リミティド ライアビリティ カンパニー 新規な化合物、それらの製造法、及び使用法
KR101507173B1 (ko) * 2006-04-18 2015-03-30 닛뽕 케미파 가부시키가이샤 페록시좀 증식제 활성화 수용체 δ 의 활성화제
UY30288A1 (es) * 2006-04-18 2007-08-31 Janssen Pharmaceutica Nv Derivados del ácido benzoazepin-oxi-acético como agonistas de ppar-delta usados para aumentar hdl-c. reducir ldl-c y reducir colesterol
AU2013202514B2 (en) * 2006-04-18 2015-09-17 Nippon Chemiphar Co., Ltd. Activating agent for peroxisome proliferator activated receptor delta
WO2007122970A1 (ja) * 2006-04-20 2007-11-01 Osaka University 核内受容体に結合するリガンド
CA2664794A1 (en) 2006-10-20 2008-05-02 Merck & Co., Inc. Substituted imidazoles as bombesin receptor subtype-3 modulators
CA2667003A1 (en) 2006-10-20 2008-05-02 Merck & Co., Inc. Substituted imidazoles as bombesin receptor subtype-3 modulators
MX2009004112A (es) 2006-10-20 2009-05-11 Merck & Co Inc Imidazoles sustituidos como moduladores del receptor de bombesina subtipo-3.
FR2910893A1 (fr) * 2006-12-29 2008-07-04 Genfit Sa Derives de (phenylthiazolyl)-phenyl-propan-1-one et de (phenyloxazolyl)-phenyl-propan-1-one substitues, preparations et utilisations.
CA2687957C (en) 2007-05-21 2014-11-25 Senju Pharmaceutical Co., Ltd. Pharmaceutical containing ppar.delta. agonist
TW200920355A (en) * 2007-09-06 2009-05-16 Lexicon Pharmaceuticals Inc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treating immunological and inflammatory diseases and disorders
CA2708391A1 (en) * 2007-12-13 2009-06-25 Sri International Ppar-delta ligands and methods of their use
EP3424917A1 (en) 2008-04-15 2019-01-09 Nippon Chemiphar Co., Ltd. Activator for peroxisome proliferator-activated receptor
EP2348857B1 (en) 2008-10-22 2016-02-24 Merck Sharp & Dohme Corp. Novel cyclic benzimidazole derivatives useful anti-diabetic agents
US8329914B2 (en) 2008-10-31 2012-12-11 Merck Sharp & Dohme Corp Cyclic benzimidazole derivatives useful as anti-diabetic agents
WO2010064633A1 (ja) * 2008-12-01 2010-06-10 田辺三菱製薬株式会社 チアゾール環を含むカルボン酸誘導体およびその医薬用途
JP2012116753A (ja) * 2009-03-26 2012-06-21 Nippon Chemiphar Co Ltd ペルオキシソーム増殖剤活性化受容体の活性化剤
RU2012109545A (ru) * 2009-08-14 2013-09-20 Серенис Терапьютикс С.А. Использование лигандов ppar дельта для лечения или предотвращения воспалений или заболеваний, связанных с метаболизмом/выработкой энергии
WO2011106273A1 (en) 2010-02-25 2011-09-01 Merck Sharp & Dohme Corp. Novel cyclic benzimidazole derivatives useful anti-diabetic agents
WO2012027331A1 (en) 2010-08-27 2012-03-01 Ironwood Pharmaceuticals, Inc.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treating or preventing metabolic syndrome and related diseases and disorders
CN103476258B (zh) 2011-02-25 2017-04-26 默沙东公司 用作抗糖尿病药剂的新的环状氮杂苯并咪唑衍生物
BR112015002080A2 (pt) 2012-08-02 2017-07-04 Merck Sharp & Dohme composto, composição farmacêutica, uso de um composto, e, método de tratamento ou de prevenção de um transtorno, de uma condição ou de uma doença
US9840512B2 (en) 2013-02-22 2017-12-12 Merck Sharp & Dohme Corp. Antidiabetic bicyclic compounds
US9650375B2 (en) 2013-03-14 2017-05-16 Merck Sharp & Dohme Corp. Indole derivatives useful as anti-diabetic agents
CA2923422C (en) 2013-09-09 2021-09-07 Vtv Therapeutics Llc Use of a ppar-delta agonist for treating muscle atrophy
WO2015051496A1 (en) 2013-10-08 2015-04-16 Merck Sharp & Dohme Corp. Antidiabetic tricyclic compounds
CN105237487B (zh) * 2015-10-19 2017-10-10 安徽中医药大学 含川芎嗪基查尔酮芳氧烷酸类化合物、制备方法及其应用
WO2017195875A1 (ja) * 2016-05-12 2017-11-16 日本ケミファ株式会社 創傷治療剤
WO2018106518A1 (en) 2016-12-06 2018-06-14 Merck Sharp & Dohme Corp. Antidiabetic heterocyclic compounds
EP3558298A4 (en) 2016-12-20 2020-08-05 Merck Sharp & Dohme Corp. ANTIDIABETIC SPIROCHROMAN COMPOUNDS
US11634387B2 (en) 2019-09-26 2023-04-25 Abionyx Pharma Sa Compounds useful for treating liver diseases
WO2022189856A1 (en) 2021-03-08 2022-09-15 Abionyx Pharma Sa Compounds useful for treating liver diseases
WO2023147309A1 (en) 2022-01-25 2023-08-03 Reneo Pharmaceuticals, Inc. Use of ppar-delta agonists in the treatment of disease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1000603A1 (en) * 1999-06-25 2001-01-04 Glaxo Group Limited Thiazole and oxazole derivatives and their pharmaceutical use
WO2001016120A1 (en) * 1999-08-27 2001-03-08 Eli Lilly And Company Biaryl-oxa(thia)zole derivatives and their use as ppars modulators
WO2001040207A1 (en) * 1999-12-02 2001-06-07 Glaxo Group Limited Substituted oxazoles and thiazoles derivatives as hppar alpha activators

Family Cites Families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089514A (en) * 1990-06-14 1992-02-18 Pfizer Inc. 3-coxazolyl [phenyl, chromanyl or benzofuranyl]-2-hydroxypropionic acid derivatives and analogs as hypoglycemic agents
GB9027023D0 (en) 1990-12-12 1991-01-30 Wellcome Found Anti-atherosclerotic aryl compounds
HUT64023A (en) 1991-03-22 1993-11-29 Sandoz Ag Process for producing aminoguanidine derivatives and pharmaceutical compositions comprising such compounds
CA2090283A1 (en) * 1992-02-28 1993-08-29 Nobuyuki Hamanaka Phenoxyacetic acid derivatives
JP3722855B2 (ja) * 1993-09-14 2005-11-30 武田薬品工業株式会社 2,4−オキサゾリジンジオン誘導体およびそれを含んでなる医薬
GB9426448D0 (en) 1994-12-30 1995-03-01 Wellcome Found Process
KR100436812B1 (ko) * 1995-01-06 2004-08-31 도레이 가부시끼가이샤 벤젠축합헤테로환유도체및그유도체를유효성분으로함유하는의약조성물
CA2171702A1 (en) 1995-03-14 1996-09-15 Takashi Sohda Benzofuran compounds and their use
AU5121796A (en) 1995-05-08 1996-11-29 Nippon Chemiphar Co. Ltd. 2,4-thiazolidinedione or oxazolidinedione derivatives and hy poglycemic agent
EP0880519B1 (en) 1996-01-22 2002-04-17 Fujisawa Pharmaceutical Co., Ltd. Thiazolylbenzofuran derivatives and pharmaceutical compositions containing them
EP0888278B1 (en) 1996-02-02 2003-07-23 Merck & Co., Inc. Antidiabetic agents
US20020032330A1 (en) * 1996-12-24 2002-03-14 Yutaka Nomura Propionic acid derivatives
DE69840510D1 (de) * 1997-07-24 2009-03-12 Astellas Pharma Inc Medizinische zusammensetzungen mit cholesterin erniedrigender wirkung
US6589969B1 (en) 1998-10-16 2003-07-08 Ono Pharmaceutical Co., Ltd. Carboxylic acid derivatives and drugs containing the same as the active ingredient
TW200514783A (en) * 1999-09-22 2005-05-01 Bristol Myers Squibb Co Substituted acid derivatives useful as antiodiabetic and antiobesity agents and method
JP2001354671A (ja) 2000-04-14 2001-12-25 Nippon Chemiphar Co Ltd ペルオキシソーム増殖剤応答性受容体δの活性化剤
ATE542805T1 (de) * 2000-08-11 2012-02-15 Nippon Chemiphar Co Ppar-delta aktivatoren
GB0031109D0 (en) * 2000-12-20 2001-01-31 Glaxo Group Ltd Chemical compounds
EP1371650A4 (en) * 2001-03-23 2005-05-04 Nippon Chemiphar Co ACTIVATED RECEPTOR ACTIVATOR BY PEROXYSOME PROLIFIERS
GB0111523D0 (en) 2001-05-11 2001-07-04 Glaxo Group Ltd Chemical compounds
PT1424330E (pt) * 2001-08-10 2011-12-22 Nippon Chemiphar Co Activador do receptor ä responsivo a proliferadores peroxissomais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1000603A1 (en) * 1999-06-25 2001-01-04 Glaxo Group Limited Thiazole and oxazole derivatives and their pharmaceutical use
WO2001016120A1 (en) * 1999-08-27 2001-03-08 Eli Lilly And Company Biaryl-oxa(thia)zole derivatives and their use as ppars modulators
WO2001040207A1 (en) * 1999-12-02 2001-06-07 Glaxo Group Limited Substituted oxazoles and thiazoles derivatives as hppar alpha activator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23741A (ko) 2004-03-18
JP2009102442A (ja) 2009-05-14
IL160304A0 (en) 2004-07-25
JP5097180B2 (ja) 2012-12-12
CN1568316A (zh) 2005-01-19
CA2457054A1 (en) 2003-02-27
CA2457054C (en) 2011-10-11
CY1112130T1 (el) 2015-11-04
MXPA04001258A (es) 2005-06-06
US7652045B2 (en) 2010-01-26
BRPI0211844B1 (pt) 2019-08-27
JP4421895B2 (ja) 2010-02-24
US20080009525A1 (en) 2008-01-10
ATE526319T1 (de) 2011-10-15
DK1424330T3 (da) 2012-01-16
BRPI0211844B8 (pt) 2021-05-25
WO2003016291A1 (fr) 2003-02-27
JP2009280622A (ja) 2009-12-03
EP1424330B1 (en) 2011-09-28
US7648999B2 (en) 2010-01-19
IL160304A (en) 2010-12-30
US7265137B2 (en) 2007-09-04
CN1330641C (zh) 2007-08-08
PT1424330E (pt) 2011-12-22
AU2002323776B2 (en) 2008-07-31
ES2372813T3 (es) 2012-01-26
EP1424330A1 (en) 2004-06-02
JPWO2003016291A1 (ja) 2004-12-02
US20080009631A1 (en) 2008-01-10
EP1424330A4 (en) 2004-10-27
US20050054674A1 (en) 2005-03-10
BR0211844A (pt) 2004-08-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01683B1 (ko) 퍼옥시좀 증식제 응답성 수용체 δ의 활성화제
JP4790969B2 (ja) ペルオキシソーム増殖剤応答性受容体δの活性化剤
JP4157381B2 (ja) ペルオキシソーム増殖剤応答性受容体の活性化剤
JP4226005B2 (ja) Ppar活性化化合物及びこれを含有する医薬組成物
US6498174B1 (en) Substituted oxazoles and thiazoles derivatives as hPPARγ and hPPARα activators
KR101507173B1 (ko) 페록시좀 증식제 활성화 수용체 δ 의 활성화제
KR100933652B1 (ko) 페록시좀 증식제 응답성 수용체 δ의 활성화제
CZ20033037A3 (cs) Karboxylové kyselinou odvozené od substituovaných oxazolových derivátů pro použití jako PPAR-alfa a -gama aktivátory při léčbě diabetu
JP2006516254A (ja) Pparモジュレータとしての縮合ヘテロ環誘導体
CZ300654B6 (cs) Thiazolové a oxazolové deriváty a jejich farmaceutické použití
JPWO2002046176A1 (ja) ペルオキシソーム増殖剤応答性受容体の活性化剤
KR20010034586A (ko) 카르복실산 유도체와 그 유도체를 유효 성분으로서함유하는 약제
WO2006046779A1 (ja) カルバゾール誘導体、その溶媒和物、又は薬学的に許容されるその塩
KR20100132070A (ko) 퍼옥시좀 증식제 활성화 수용체의 활성화제
CZ20033252A3 (en) Oxazol/ thiazol-derivatives activators of the hppar-alpha receptor
US20080207685A1 (en) Heterocyclic Compounds As Modulators Of Peroxisome Proliferator Activated Receptors, Useful For The Treatment And/Or Prevention Of Disorders Modulated By A Ppar
JPWO2006126714A1 (ja) ペルオキシソーム増殖剤活性化受容体の活性化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5 International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40209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070627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8071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9050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90602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90602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0525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24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0524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23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0523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26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0526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20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520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26

Year of fee payment: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526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29

Year of fee payment: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529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521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525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303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