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893318B1 - 커넥터 - Google Patents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93318B1
KR100893318B1 KR1020070038832A KR20070038832A KR100893318B1 KR 100893318 B1 KR100893318 B1 KR 100893318B1 KR 1020070038832 A KR1020070038832 A KR 1020070038832A KR 20070038832 A KR20070038832 A KR 20070038832A KR 100893318 B1 KR100893318 B1 KR 10089331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m
lever
housing
receptacle
moving plat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388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104286A (ko
Inventor
요시유키 이시카와
Original Assignee
스미토모 덴소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스미토모 덴소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스미토모 덴소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701042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10428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933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93318B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 H01R13/62933Comprising exclusively pivoting lever
    • H01R13/62938Pivoting lever comprising own camming mea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4Means for preventing access to live contacts
    • H01R13/447Shutter or cover plate
    • H01R13/453Shutter or cover plate opened by engagement of counterpart
    • H01R13/4538Covers sliding or withdrawing in the direction of engagemen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 H01R13/62933Comprising exclusively pivoting lever
    • H01R13/62955Pivoting lever comprising supplementary/additional locking means

Landscapes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목적은 하우징 및 이동판을 위한 2종의 캠 홈이 레버에 형성된 경우에, 캠 홈의 설계시의 자유도를 높이는 것이다.
제1 캠 종동자(13F, 13R)가 리셉터클(11)의 내주면에 형성되고, 이동판(14)에는 리셉터클(11)의 내주면을 향해 돌출하는 제2 캠 종동자(17F, 17R)가 형성되어 있으며, 레버(30)는 암형 하우징(20) 상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수형 하우징(10)의 캠 종동자(13F, 13R)와 맞물릴 수 있는 제1 캠 홈(34F, 34R)과 이동판(14)의 캠 종동자(17F, 17R)와 맞물릴 수 있는 제2 캠 홈(35F, 35R)이 아암부(31F, 31R)의 외표면 및 내표면에 별개로 형성되기 때문에, 캠 홈(34F, 34R, 35F, 35R)의 코스 설계시에 제1 및 제2 캠 홈(34F, 34R, 35F, 35R)의 간섭 방지를 고려할 필요가 없다.

Description

커넥터{A CONNECTOR}
도 1은 제1 실시예에 따른 수형 하우징과 암형 하우징의 분리된 상태를 도시하는 배면도.
도 2는 수형 하우징의 리셉터클, 이동판 및 레버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3은 리셉터클과 레버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4는 이동판과 레버를 도시하는 일부 절취 사시도.
도 5는 2개의 하우징이 결합되기 전의 상태를 도시하는 단면도.
도 6은 캠 홈의 입구에 캠 종동자를 배치하도록 2개의 하우징이 살짝 끼워진 상태를 도시하는 단면도.
도 7은 2개의 하우징이 적절하게 결합된 상태를 도시하는 단면도.
도 8은 2개의 하우징이 결합되기 전의 상태를 도시하는 단면도.
도 9는 캠 홈의 입구에 캠 종동자를 배치하도록 2개의 하우징이 살짝 끼워진 상태를 도시하는 단면도.
도 10은 2개의 하우징이 적절하게 결합된 상태를 도시하는 단면도.
도 11은 제2 실시예에 따른 2개의 하우징이 결합되기 전의 상태를 도시하는 단면도.
도 12는 제2 실시예에 따른 2개의 하우징이 적절하게 결합된 상태를 도시하 는 단면도.
도 13은 제2 실시예에 따른 2개의 하우징이 서로 살짝 끼워진 상태를 도시하는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수형 하우징(제1 하우징) 11: 리셉터클
12: 수형 단자 피팅(제1 단자 피팅)의 탭
13F, 13R: 제1 캠 종동자 14: 이동판
17F, 17R: 제2 캠 종동자 20: 암형 하우징(제2 하우징)
30: 레버(가동 부재) 31F, 31R: 아암부
34F, 34R: 제1 캠 홈 35F, 35R: 제2 캠 홈
본 발명은 가동 부재식 커넥터, 특히 레버식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기지의 레버식 커넥터는 암형 하우징이 수형 하우징에 형성된 리셉터클에 끼워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수형 하우징의 외표면을 따라 배치된 한쌍의 아암부를 작동부에 의해 결합함으로써 레버가 형성되고, 아암부는 수형 하우징의 외표면 상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캠 홈은 아암부의 내표면에 형성되고, 2개의 하우징은 암형 하우징의 외표면으로부터 돌출하는 캠 종동자와 맞물리는 캠 홈이 있는 레버를 회전시킴으로써 결합 및 분리된다. 리셉터클에는 캠 종동자와의 간섭을 피하기 위한 탈출 홈이 형성되어 있다.
리셉터클에는 이동판이 마련되고, 리셉터클 내로 돌출하는 수형 단자 피팅의 선단부는 2개의 하우징이 결합되기 전에 이동판의 위치 결정 홀을 통해 삽입됨으로써 정렬된다. 이 이동판은 2개의 하우징을 레버를 이용하여 결합함에 따라 리셉터클의 후방측을 향해 이동되고, 2개의 하우징이 분리됨에 따라 리셉터클의 개구 근처의 위치로 복귀된다.
일본 공개 특허 제H11-97105호에 개시된 커넥터는 그러한 레버식 커넥터로서 공지된 것이다.
2개의 하우징을 결합하기 위한 레버를 이용하여 이동판을 이동시키기 위해, 이동판의 외측면 가장자리에 형성된 캠 종동자는 리셉터클의 절취 홈을 통해 리셉터클로부터 외측을 향해 돌출하게 되어 있고, 이들 캠 종동자는 아암부의 내표면에 형성된 캠 홈에 맞물린다.
그러나, 그러한 구성에 있어서는, 2종의 캠 홈, 즉 암형 하우징의 캠 종동자와 맞물릴 수 있는 캠 홈 및 이동판의 캠 종동자와 맞물릴 수 있는 캠 홈이 리셉터클의 내표면에 존재한다. 따라서, 캠 홈의 코스를 설계할 때에, 캠 홈들의 간섭(중첩 및/또는 교차)을 피할 필요가 있어, 설계상의 자유도가 감소된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의 관점에서 개발된 것으로, 그 목적은 하우징 및 이동판을 위한 2종의 캠 홈이 레버에 형성된 경우에 캠 홈 설계시의 자유도를 증대시키는 것이다.
이 목적은 독립항의 특징에 의해 본 발명에 따라 해결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종속항의 주제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가동 부재를 이용하여 제1 하우징과 제2 하우징을 결합 및 분리하거나 그 가동 부재가 그 결합 및 분리를 보조하도록 구성된 가동 부재식 커넥터로서,
상기 제1 하우징은 하나 이상의 제1 단자 피팅과, 제1 하우징 내에서 또는 제1 하우징 상에서 이동 가능하고 제1 단자 피팅이 통과되게 하는 이동판을 포함하며,
제1 하우징에는 하나 이상의 제1 캠 종동자가 형성되고,
이동판에는 하나 이상의 제2 캠 종동자가 형성되며,
가동 부재는 실질적으로 제2 하우징의 외표면을 따라 이동하도록 제2 하우징 상에 지지되고,
상기 제1 캠 종동자와 맞물릴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제1 캠 홈이 작동 부재의 일표면에 또는 일표면 상에 형성되며,
상기 제2 캠 종동자와 맞물릴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제2 캠 홈은 제1 캠 홈이 마련되는 일표면의 실질적으로 반대측인 작동 부재의 다른 표면에 또는 다른 표면 상에 형성되는 것인 커넥터가 제공된다.
제2 하우징의 캠 종동자와 맞물릴 수 있는 제1 캠 홈과 이동판의 캠 종동자와 맞물릴 수 있는 제2 캠 홈이 가동 부재의 별도의 표면에 또는 그 표면 상에 별 개로 형성되기 때문에, 캠 홈의 코스 설계시에 양 캠 홈의 간섭 방지를 고려할 필요가 없어, 설계시의 자유도가 높아진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1 하우징은 제1 단자 피팅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둘러싸는 리셉터클을 포함하고, 상기 이동판은 리셉터클에서 또는 그 내에서 이동 가능한 동시에 제1 단자 피팅이 통과되게 한다.
리셉터클에는 그 내주면에서 돌출하는 제1 캠 종동자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 바람직하게는, 이동판에는 실질적으로 리셉터클의 내주면을 향해 돌출하는 하나 이상의 제2 캠 종동자가 형성되어 있다.
가장 바람직하게는, 제1 캠 종동자와 맞물릴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제1 캠 홈은 작동 부재의 외표면 상에 형성되고, 및/또는 제2 캠 종동자와 맞물릴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제2 캠 홈은 작동 부재의 내표면에 형성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수형 하우징과 암형 하우징을 레버를 이용하여 결합 및 분리하도록 구성된 레버식 커넥터로서,
수형 하우징은 수형 단자 피팅과, 이 수형 단자 피팅을 둘러싸는 리셉터클과, 리셉터클에서 이동 가능하고 수형 단자 피팅이 통과되게 하는 이동판을 포함하며,
리셉터클에는 그 내주면으로부터 돌출하는 제1 캠 종동자가 형성되고,
이동판에는 리셉터클의 내주면을 향해 돌출하는 제2 캠 종동자가 형성되며,
레버는 암형 하우징의 외표면을 따라 이동하도록 암형 하우징 상에 지지되 고,
제1 캠 종동자와 맞물릴 수 있는 제1 캠 홈이 레버의 외표면 상에 형성되며,
제2 캠 종동자와 맞물릴 수 있는 제2 캠 홈이 레버의 내표면에 형성되는 것인 커넥터가 또한 제공된다.
암형 하우징의 캠 종동자와 맞물릴 수 있는 제1 캠 홈과 이동판의 캠 종동자와 맞물릴 수 있는 제2 캠 홈이 레버의 외표면 및 내표면에 별개로 형성되기 때문에, 캠 홈의 코스 설계시에 양 캠 홈의 간섭 방지를 고려할 필요가 없어, 설계시의 자유도가 높아진다.
바람직하게는, 작동 부재는 제2 하우징을 사이에 유지하거나 걸치게 하도록 배치되는 한쌍의 아암부를 포함하고, 제2 캠 홈은 한쌍의 아암부 각각의 내표면에 형성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이동판 상에 형성된 한쌍의 제2 캠 종동자는 바람직하게는 폭 방향 중간 위치로부터 서로 반대 방향으로 편향된 위치에 배치된다.
더 더욱 바람직하게는, 레버는 암형 하우징을 사이에 유지하도록 배치되는 한쌍의 아암부를 포함하고, 제2 캠 홈은 한쌍의 아암부 각각의 내표면에 형성되며, 이동판 상에 형성된 한쌍의 제2 캠 종동자는 폭 방향 중간 위치로부터 반대 방향으로 편향된 위치에 배치된다.
이동판 상에 형성된 한쌍의 제2 캠 종동자가 폭 방향 중간 위치로부터 반대 방향으로 편향된 위치에 배치되기 때문에, 이동판이 제2 캠 홈과 제2 캠 종동자의 결합 위치 둘레에서 기울어질 가능성이 없다.
더 바람직하게는, 유체 유입 방지를 위한 밀봉링이 상기 이동판 상에 마련되거나 이동판에 고정된다.
더 더욱 바람직하게는, 제1 캠 종동자 및/또는 제2 캠 종동자는 폭 방향에 대해 비대칭으로 배치된다.
가장 바람직하게는, 제2 캠 홈의 입구는 작동 부재, 바람직하게는 이 작동 부재의 아암부의 외주 가장자리에서 개구되고, 가동 부재의 작동 방향을 따라 보았을 때에 다른 위치에 배치된다.
본 발명의 이들 및 다른 목적, 특징 및 이점은 이하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상세한 설명과 첨부 도면을 참조하면 명백할 것이다. 실시예들을 별개로 설명하지만, 그 단일의 특징이 추가 실시예에도 조합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예를 도 1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이 실시예의 (바람직한 가동 부재식 커넥터로서의) 레버식 커넥터는 적어도 수형 하우징(10)과 암형 하우징(20)이 (바람직한 가동 부재 또는 작동 부재로서의) 레버(30)를 이용하여 결합 및 분리되거나, 그 결합이 레버(30)의 동작에 의해 보조되도록 구성된다. 수형 하우징(10) 및 암형 하우징(20)의 정밀한 측면도가 도 1에 도시되어 있지만, 도 2 내지 도 10에는 암형 하우징(20)을 생략하고 레버(30)만이 도시되어 있고 수형 하우징(10)의 형태가 간소화되어 있다. 이하, 하우징(10, 20)의 결합측을 정면 또는 정면측이라 한다.
수형 하우징(10)은 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상방으로(정면측을 향해) 연장되는 장방형 튜브 형태의 리셉터클(11)을 구비하고, 하나 이상의, 바람직하게는 복 수 개의 수형 단자 피팅의 상단부(선단부)에서 하나 이상의 (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좁고/좁거나 긴) 탭(12)이 상방을 향해[2개의 하우징(10, 20)의 결합 및 분리 방향(CSD)에 거의 평행한 방향으로) 및/또는 리셉터클(11)의 후방 단부면(내측 바닥면)으로부터 서로 거의 평행하게 돌출되고, 이들 탭(12)은 리셉터클(11)에 의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둘러싸여 있다. 하나 이상의, 바람직하게는 한쌍의 (바람직하게는 전방 및/또는 후방의) 제1 캠 종동자(13F, 13R)는 리셉터클(11)의 전방판(11F) 및/또는 후방판(11R) 상에서 리셉터클(11)의 개구에 인접한 폭 방향 중간 위치에[바람직하게는 거의 폭 방향(횡방향) 중앙 위치]에 형성된다. 이 한쌍의 제1 캠 종동자(13F, 13R)는 바람직하게는 거의 원통 형태를 갖고 전방판(11F)의 내표면으로부터 후방으로 돌출되는 동시에, 후방판(11F)의 내표면으로부터 전방으로 돌출된다. 또한, 제1 캠 종동자(13F, 13R)는 거의 동축으로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동판(14)은 실질적으로 수직 방향[즉, 하우징(10, 20)의 결합 및 분리 방향(CSD)과 거의 평행한 방향]을 따라 이동될 수 있도록 리셉터클(11) 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수용된다. 이동판(14)은 0°또는 180°가 아닌 각도인, 바람직하게는 2개의 하우징(10, 20)의 결합 및 분리 방향(CSD)에 대해 거의 직각인 주요부(15)(바람직하게는 거의 장방형의 판 형태)와, 0°또는 180°가 아닌 각도로, 바람직하게는 주요부(15)의 외주 가장자리로부터 거의 수직 또는 상방으로[즉, 2개의 하우징(10, 20)의 결합 및 분리 방향(CSD)과 거의 평행한 방향으로] 적어도 일부 주변에 걸쳐, 바람직하게는 거의 전체 주변에 걸쳐 연장되는 둘레 벽부(16)(바람직 하게는, 장방형 튜브 형태)로 구성된다. 탭(12)에 실질적으로 대응하는 하나 이상의, 바람직하게는 복수 개의 위치 결정 홀(15H)이 주요부(15)를 수직 방향으로 관통하도록 형성된다. 이동판(14)은 바람직하게는 둘레 벽부(16)의 외주면과 리셉터클(11)의 내주면 상에 형성된 안내 수단(도시 생략)에 의해 안내되어 리셉터클(11)의 전방판(11F)과 후방판(11R)에 형성된 특정한(미리 정해지거나 미리 정해질 수 있는) 간극에서 2개의 하우징(10, 20)의 결합 및 분리 방향(CSD)과 거의 평행하게 이동될 수 있다. 리브 및 홈의 결합과 같은 기지의 구성이 안내 수단으로서 이용될 수 있다는 것을 유념해야 한다.
둘레 벽부(16)의 전방벽(16F) 및/또는 후방벽(16R) 상에 또는 그 벽에 또는 그 근처에 하나 이상의 제2 캠 종동자(17F, 17R)가 형성된다. 제2 캠 종동자(17F, 17R)는 둘레 벽부(16)의 개구 가장자리[전방벽(16F) 및/또는 후방벽(16R)의 상측 또는 전방 가장자리]의 약간 상부 위치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축선이 제1 캠 종동자(13F, 13R)의 축선과 거의 평행한 실질적으로 원통 형태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방벽(16F) 상에 형성된 제2 캠 종동자(17F)는 바람직하게는 폭 방향 중앙으로부터 측방으로(예컨대, 우측으로) 벗어난 위치에서 리셉터클(11)의 내주면[전방판(11F)의 내표면]을 향한 일방향으로(예컨대, 전방으로) 돌출되는 반면, 후방벽(16R) 상에 형성된 제2 캠 종동자(17R)는 바람직하게는 폭 방향 중앙으로부터 측방으로(예컨대, 좌측으로) 벗어난 위치에서 리셉터클(11)의 내주면[예컨대, 후방판(11R)의 내표면]을 향해 거의 반대 방향으로(예컨대, 후방으로) 돌출된다. 따라서, 제1 캠 종동자(13F, 13R) 및 제2 캠 종동자(17F, 17R)는 폭 방향(WD)[0° 또는 180°가 아닌 각도의 방향, 바람직하게는 2개의 하우징(10, 20)의 결합 및 분리 방향(CSD)에 대해 거의 직각 방향]에 대해 비대칭으로 배치된다.
암형 하우징(20)은 리셉터클(11)[즉, 이동판(14)의 둘레 벽부(16)에 의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폐쇄되는 공간] 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끼워짐으로써 수형 하우징(10)과 결합된다. 축선이 실질적으로 전후 방향[0°또는 180°가 아닌 각도의 방향, 바람직하게는 2개의 하우징(10, 20)의 결합 및 분리 방향(CSD) 및/또는 폭 방향(WD)에 대해 거의 직각 방향]으로 연장되는 하나 이상의, 바람직하게는 한쌍의 거의 원통형 축부(21)는 암형 하우징(20)의 외표면(전방면 및/또는 후방면)으로부터 돌출되고, (바람직한 작동 부재로서의) 레버(30)는 축부(21) 상에 작동 가능하게 또는 이동 가능하게(바람직하게는 회전 가능하게 또는 피봇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레버(30; 작동 부재)는 판형으로 된 한쌍의 전방 아암부(31F) 및 후방 아암부(31R)가 작동부(32)에 의해 결합되고, 베어링 홀(33)이 각 아암부(31F, 31R)를 전후 방향으로 관통하거나 각 아암부에 홈을 형성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한 레버(30)는 베어링 홀(33)을 축부(21)에 결합하고 2개의 아암부(31F, 31R)를 암형 하우징(20)의 전방면 및 후방면을 따라 배치(위치)시킴으로써 조립된다. 레버(30)는 초기 위치(IP)와 결합 위치(CP) 사이에서 축부(21) 상에 이동 가능하게(바람직하게는, 축부를 중심으로 회전 및 피봇 가능하게) 지지된다.
전방 및 후방 아암부(31F, 31R)의 외표면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베어링 홀(33) 둘레에서 만곡된 하나 이상의 제1 캠 홈(34F, 34R)을 형성하도록 오목하게 되거나 절취된다. 전방 및 후방 제1 캠 홈(34F, 34R)은 그 폭 및 코스가 전후 방향에서 보았을 때에 일치하도록 실질적으로 동일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방 및 후방 아암부(31F, 31R)의 내표면[실질적으로 제1 캠 홈(34F, 34R)의 반대측 표면]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베어링 홀(33) 둘레에서 만곡되는 하나 이상의 제2 캠 홈(35F, 35R)을 형성하도록 오목하게 된다. 전방 및 후방 제2 캠 홈(35F, 35R)은 실질적으로 동일하게 형성되지만, 그 폭 및 코스는 전후 방향에서 보았을 때에 일치하지 않는다. 바꿔 말하면, 2개의 전방 및 후방 제2 캠 홈(35F, 35R)은 베어링 홀(33)의 둘레에서 특정한(미리 결정되거나 미리 결정될 수 있는) 각도만큼 원주 방향으로 이동된 위치 관계에 있다. 따라서, 아암부(31F, 31R)의 외주 가장자리에서 개구된 전방 및 후방 제2 캠 홈(35F, 35R)의 입구는 레버(30)의 동작 방향을 따라 보았을 때에 상이한 위치[바람직하게는 축부(21) 및/또는 베어링 홀(33)의 축선에 대해 보았을 때에 소정 각도의 위치]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이 실시예의 작용을 설명한다.
2개의 하우징(10, 20)이 결합되기 전에, 이동판(14)은 바람직하게는 도시하지 않은 기지의 로킹 수단에 의해 정렬 위치(AP; 도 8 및 도 9 참조)에 일시적으로 위치 또는 유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상태에서, 탭(12)의 선단부(상단부)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위치 결정 홀(15H) 내에 배치됨으로써, 복수 개의 탭(12)은 암형 하우징(20) 내에 장착된 수형 단자 피팅(도시 생략)에 실질적으로 대응하도록 정렬된다. 또한, 레버(30)는 바람직하게는 도시하지 않은 로킹 수단에 의해 암형 하우징(20)에 대해 초기 위치(IP; 도 8 및 도 9 참조)에 일시적으로 위치 또는 유 지된다. 레버(30)가 초기 위치(IP)에 위치 또는 배치된 경우에, 제1 캠 홈(34F, 34R)과 제2 캠 홈(35F, 35R)의 입구는 제1 캠 종동자(13F, 13R)와 제2 캠 종동자(17F, 17R)와 실질적으로 대응하게 배치된다.
이 상태에서 암형 하우징(20)의 저단부가 리셉터클(11) 내로[이동판(14) 내로] 살짝 끼워지면, 도 6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아암부(31F, 31R)의 저단부는 리셉터클(11)의 전방판(11F)과 이동판(11)의 전방벽(16F) 사이 및 후방판(11R)과 후방벽(16F) 사이의 간극 내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삽입되고, 제1 캠 종동자(13F, 13R)는 제1 캠 홈(34F, 34R)의 입구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진입하고, 제2 캠 종동자(17F, 17R)는 제2 캠 홈(35F, 35R)의 입구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진입한다.
이 상태에서 레버(30)가 결합 위치(CP)를 향해 또는 그 위치에 대해 동작 또는 이동되면(바람직하게는, 회전 또는 피봇되면), 2개의 하우징(10, 20)은 제1 캠 홈(34F, 34R)과 제1 캠 종동자(13F, 13R)의 결합에 의해 서로를 향해 풀링됨으로써, 2개의 하우징(10, 20)의 결합 동작이 진전되거나 전개된 캠 작용에 의해 보조된다. 암형 하우징(20)이 레버(30)의 동작 또는 이동(바람직하게는, 회전)에 의해 수형 하우징(10)을 향해 이동함에 따라, 암형 하우징(20)과 이동판(14)은 리셉터클(11)의 후방측(도 5 내지 도 10에서 하방)을 향해 거의 일체적으로 이동하는 한편, 서로를 향해 또는 서로로부터 멀어지게 약간 이동한다. 이 이동판(14)의 이동에 따라, 탭(12)의 위치 결정 홀(15H)의 위치는 탭(12)의 선단부측으로부터 기단부측(저단부측)을 향해 이동한다.
레버(30)가 실질적으로 결합 위치(CP)를 향해 이동되면, 2개의 하우징(10, 20)은 실질적으로 적절하게 결합되고, 이동판(14)은 위치 결정 홀(15H)이 탭(12)의 기단부와 맞물리는 삽입 위치(도 10 참조)에 도달한다.
서로 적절하게 결합된 2개의 하우징(10, 20)을 분리할 때에, 레버(30)는 결합 위치(CP)로부터 초기 위치(IP)를 향해 또는 그 위치에 대해 동작 또는 이동된다(바람직하게는, 회전 또는 피봇된다). 레버(30)가 회전됨에 따라, 2개의 하우징(10, 20)은 제1 캠 홈(34F, 34R)과 제1 캠 종동자(13F, 13R)의 맞물림에 의해 서로로부터 점차 분리되고(또는 그 분리가 보조되고), 이동판(14)과 암형 하우징(20)은 제2 캠 홈(35F, 35R)과 제2 캠 종동자(17F, 17R)의 맞물림에 의해 리셉터클(11)의 입구를 향해 거의 일체적으로 이동한다. 레버(30)가 실질적으로 초기 위치(IP)에 도달한 경우에, 제1 캠 종동자(13F, 13R)는 실질적으로 제1 캠 홈(34F, 34R)의 입구에 또는 그 입구에 대응하게 배치되고, 제2 캠 종동자(17F, 17R)는 실질적으로 제2 캠 홈(35F, 35R)의 입구에 또는 그 입구에 대응하게 배치됨으로써, 암형 하우징(20) 및/또는 레버(30)는 리셉터클(11)과 이동판(14)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그후, 레버(30)는 암형 하우징(20)과 함께 수형 하우징(10)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이 실시예에 있어서, 암형 하우징(20)의 제1 캠 종동자(13F, 13R)와 맞물릴 수 있는 제1 캠 홈(34F, 34R) 및 이동판(14)의 제2 캠 종동자(17F, 17R)와 맞물릴 수 있는 제2 캠 홈(35F, 35R)은 레버(30)의 아암부(31F, 31R)의 외표면 및 내표면에 별개로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캠 홈의 코스를 설계 할 때에, 2종의 캠 홈의 간섭 방지를 고려할 필요가 없다. 이에 따라, (특히, 하우징과 이동판을 이동시키는 각 캠 작용의 전개에 대한) 설계시의 자유도가 높아진다.
또한, 이동판(14) 상에 형성된 한쌍의 전방 및 후방 제2 캠 종동자(17F, 17R)가 [바람직하게는, 폭 방향(횡방향) 중간 지점으로부터] 서로에 대해 폭 방향(WD)을 따라 반대 방향으로 편향된 위치에 배치되기 때문에, 이동판(14)이 제2 캠 홈(35F, 35R)과 제2 캠 종동자(17F, 17R)의 결합 위치를 중심으로 기울어질 가능성이 없다.
<제2 실시예>
다음에,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 실시예에 관하여 도 11 내지 도 1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이 제2 실시예에 있어서는, 유체 또는 물 유입 방지 목적을 위한 밀봉링(40)이 이동판(14)의 둘레 벽부(16)의 내주에 마련되거나 그 내주에 고정됨으로써, 바람직하게는 밀봉링(40)의 후단부와 주요부(15) 사이에서 둘레 벽부(16)의 내주를 따라 오목부(41)를 형성하고, 이 오목부(41)와 맞물릴 수 있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원주 방향으로 연장하는) 돌출부(42)가 결합 방향에 대해 암형 하우징(20)의 선단부의 외주 상에 형성된다. 돌출부(42)는 암형 하우징(20)의 선단부의 거의 전체 외주 둘레에 또는 그 일부에만 마련될 수 있다.
2개의 하우징(10, 20)이 서로에 대해 살짝 끼워져 제1 캠 종동자(13F, 13R)를 제1 캠 홈(34F, 34R)의 입구 내로 삽입하고 제2 캠 종동자(17F, 17R)를 제2 캠 홈(35F, 35R)의 입구 내로 삽입하는 정렬 위치(AP; 도 11 참조)에 배치되면, 돌출 부(42)는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오목부(41)와 맞물림으로써, 결합 및 분리 방향(CSD)으로 암형 하우징(20)과 이동판(14)의 상대 이동을 방지한다. 따라서, 암형 하우징(20)과 수형 하우징(10)은 살짝 끼워진 상태에서 일시적으로 위치 또는 유지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암형 하우징(20)을 레버(30)에 대해 유지하는 손을 이동시키는 후속 동작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오목부(41)와 돌출부(42)가 서로 맞물린 상태에서, 이동판(14)과 암형 하우징(20)은 어떠한 상대 이동없이 리셉터클(11) 내에서 일체적으로 이동하는 동시에, 레버(30)가 이동 또는 동작된다(바람직하게는, 회전 또는 피봇된다).
다른 구성은 제1 실시예와 유사하거나 동일하기 때문에, 동일한 참조 번호로 동일시하고 그 구조, 작용 및 효과에 대해서는 설명하지 않는다.
따라서, 하우징용 및 이동판용의 2종의 캠 홈이 레버와 같은 가동 부재에 형성된 경우에 특히 캠 홈이 설계시에 자유도를 높여 조작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하나 이상의 제1 캠 종동자(13F, 13R)가 리셉터클(11)의 내주면에 형성되고, 이동판(14)에는 리셉터클(11)의 내주면을 향해 돌출하는 하나 이상의 제2 캠 종동자(17F, 17R)가 형성되며, 레버(30)와 같은 가동 부재는 하우징들 중 하나, 바람직하게는 암형 하우징(20) 상에 이동 또는 동작 가능하게(바람직하게는, 회전 또는 피봇 가능하게) 지지된다. 수형 하우징(10)의 캠 종동자(13F, 13R)와 맞물릴 수 있는 제1 캠 홈(34F, 34R)과 이동판(14)의 캠 종동자(17F, 17R)와 맞물릴 수 있는 제2 캠 홈(35F, 35R)이 적어도 하나의 아암부의 외표면 및 내표면 각각에 또는 아암부(31F, 31R)에 별개로 형성되기 때문에, 캠 홈(34F, 34R, 35F, 35R)의 코스 설 계시에 제1 및 제2 캠 홈(34F, 34R, 35F, 35R)의 간섭 방지를 고려할 필요가 없다.
<그 외의 실시예>
본 발명은 전술하고 도시한 실시예로 제한되지 않는다. 예컨대, 청구범위에 의해 한정되는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에서 다음의 실시예가 구현된다.
(1)전술한 실시예들에서, 레버는 한쌍의 아암부를 포함하지만, 레버는 본 발명에 따라 단일의 판 형태일 수도 있다.
(2)전술한 실시예들에서, 이동판에 형성된 한쌍의 제2 캠 종동자는 (바람직하게는, 폭 방향에서 거의 중간 위치로부터) 폭 방향을 따라 반대 방향으로 편향된 위치에 배치되지만, 한쌍의 제2 캠 종동자는 본 발명에 따라 폭 방향 중간 위치에 배치될 수도 있다.
(3)전술한 실시예에서, 작동 부재는 커넥터 하우징 중 하나에 회전 또는 피봇 가능하게 마련된 레버이지만, 실질적으로 선형으로[바람직하게는 0°또는 180°가 아닌 각도의 방향, 바람직하게는 결합 및 분리 방향(CSD)에 대해 거의 직각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거나 거의 타원형 경로와 같은 임의의 다른 경로를 따라 이동될 수 있는 슬라이더 등의 임의의 다른 작동 또는 가동 부재일 수도 있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4)전술한 실시예에서, 레버는 커넥터의 암형 하우징에 마련되지만, 커넥터의 수형 하우징에 마련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하우징 및 이동판을 위한 2종의 캠 홈이 레버에 형성된 경우에 캠 홈 설계시의 자유도를 증대시킬 수 있다.

Claims (10)

  1. 제1 단자 피팅(12)을 갖고 하나 이상의 제1 캠 종동자(13F, 13R)가 형성된 제1 하우징(10)과,
    제1 하우징(10)과 접속 가능한 제2 하우징(20)과,
    제1 하우징(10) 내에서 이동 가능하고 제1 단자 피팅(12)이 관통되며 하나 이상의 제2 캠 종동자(17F, 17R)가 형성된 이동판(14)과,
    제2 하우징(20)에 지지되어 제2 하우징(20)의 외표면을 따라 이동하는 레버(30)를 포함하고,
    상기 레버(30)는 하나 이상의 내표면과, 내표면에 반대측인 하나 이상의 외표면을 갖고, 상기 레버(30)의 외표면 상에는 제1 캠 종동자(13F, 13R)와 결합 가능한 하나 이상의 제1 캠 홈(34F, 34R)이 형성되고, 상기 레버(30)의 내표면 상에는 제2 캠 종동자(17F, 17R)와 결합 가능한 하나 이상의 제2 캠 홈(35F, 35R)이 형성되고, 상기 제1 캠 홈(34F, 34R) 및 제2 캠 홈(35F, 35R)의 입구들은 레버(30)의 회전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고, 제2 캠 홈(35F, 35R)의 입구들은 레버(30)의 작동 방향을 따라 보았을 때에 레버(30)의 외주 가장자리의 서로 다른 위치에서 개구되며, 상기 레버(30)의 이동은 제2 하우징(20)과 이동판(14)을 제1 하우징(10) 쪽으로 또는 제1 하우징(10)으로부터 이동시키는 것인 커넥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하우징(10)은 제1 단자 피팅(12)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둘러싸는 리셉터클(11)을 포함하고, 상기 이동판(14)은 리셉터클(11) 내에서 이동 가능하고 제1 단자 피팅(12)이 통과되게 하는 것인 커넥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리셉터클(11)에는 그 내주면에서 돌출하는 제1 캠 종동자(13F, 13R)가 형성되어 있는 것인 커넥터.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판(14)에는 리셉터클(11)의 내주면을 향해 돌출하는 하나 이상의 제2 캠 종동자(17F, 17R)가 형성되어 있는 것인 커넥터.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캠 종동자(13F, 13R)와 맞물릴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제1 캠 홈(34F, 34R)은 레버(30)의 외표면 상에 형성되고, 상기 제2 캠 종동자(17F, 17R)와 맞물릴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제2 캠 홈(35F, 35R)은 레버(30)의 내표면에 형성되는 것인 커넥터.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레버(30)는 제2 하우징(20)을 사이에 유지하거나 걸치게 하도록 배치되는 한쌍의 아암부(31F, 31R)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캠 홈(35F, 35R)은 한쌍의 아암부(31F, 31R) 각각의 내표면에 형성되는 것인 커넥터.
  7.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판(14) 상에 형성된 한쌍의 제2 캠 종동자(17F, 17R)는 폭 방향 중간 위치로부터 서로 반대 방향으로 편향된 위치에 배치되는 것인 커넥터.
  8.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유체 유입 방지를 위한 밀봉링(40)이 상기 이동판(14)에 형성되는 것인 커넥터.
  9.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캠 종동자(13F, 13R) 또는 제2 캠 종동자(17F, 17R)는 폭 방향(WD)에 대해 비대칭으로 배치되는 것인 커넥터.
  10. 삭제
KR1020070038832A 2006-04-20 2007-04-20 커넥터 Expired - Fee Related KR10089331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6116531A JP4622930B2 (ja) 2006-04-20 2006-04-20 レバー式コネクタ
JPJP-P-2006-00116531 2006-04-2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104286A KR20070104286A (ko) 2007-10-25
KR100893318B1 true KR100893318B1 (ko) 2009-04-15

Family

ID=384577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38832A Expired - Fee Related KR100893318B1 (ko) 2006-04-20 2007-04-20 커넥터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7329133B2 (ko)
EP (1) EP1848069B1 (ko)
JP (1) JP4622930B2 (ko)
KR (1) KR100893318B1 (ko)
CN (1) CN100568633C (ko)
DE (1) DE602007000189D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218119A (ja) * 2007-03-02 2008-09-18 Sumitomo Wiring Syst Ltd レバー式コネクタ
JP5211929B2 (ja) * 2008-08-19 2013-06-12 住友電装株式会社 レバー式コネクタ
JP2011238407A (ja) 2010-05-07 2011-11-24 Sumitomo Wiring Syst Ltd コネクタ
FR2966649B1 (fr) * 2010-10-26 2013-06-28 Tyco Electronics France Sas Connecteur a engagement sur
JP2013246897A (ja) * 2012-05-23 2013-12-09 Yazaki Corp レバー式コネクタ
JP5965789B2 (ja) * 2012-08-31 2016-08-10 矢崎総業株式会社 コネクタ
DE102012218154A1 (de) * 2012-10-04 2014-06-12 Bayerische Motoren Werke Aktiengesellschaft Kabel und Anordnung mit Kabel und Gegenelement
DE102013022011A1 (de) 2013-12-20 2015-06-25 Kostal Kontakt Systeme Gmbh Steckverbinderanordnung
US9520669B2 (en) 2014-05-19 2016-12-13 Yazaki North America, Inc. Connector assembly with male terminal protector
US9455521B2 (en) * 2014-12-03 2016-09-27 Hyundai Motor Company Lever type connector
US9520675B2 (en) * 2014-12-04 2016-12-13 Hyundai Motor Company Lever type connector
JP6645360B2 (ja) * 2016-05-30 2020-02-14 住友電装株式会社 コネクタ
JP6574798B2 (ja) * 2017-02-28 2019-09-11 矢崎総業株式会社 レバー式コネクタ
US9948030B1 (en) 2017-09-15 2018-04-17 Phoenix Contact Development and Manufacturing, Inc. Lever-type electrical connector body and related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JP2019091608A (ja) * 2017-11-14 2019-06-13 住友電装株式会社 コネクタ
JP6924386B2 (ja) * 2018-01-25 2021-08-25 住友電装株式会社 レバー式コネクタ
EP3544125B1 (en) * 2018-03-19 2022-12-07 Tyco Electronics AMP Korea Co., Ltd. Connector assembly comprising a male connector
US10806066B2 (en) * 2018-05-18 2020-10-20 Deere & Company Implement multi-coupler with breakaway feature
JP6933191B2 (ja) * 2018-06-06 2021-09-08 住友電装株式会社 レバー式コネクタ
CN118605697A (zh) * 2023-03-06 2024-09-06 英业达科技有限公司 服务器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64228A (ja) * 1995-03-24 1996-10-11 Sumitomo Wiring Syst Ltd レバー式コネクタ
JPH1154204A (ja) 1997-07-30 1999-02-26 Sumitomo Wiring Syst Ltd レバー式コネクタ
US5975928A (en) * 1996-07-24 1999-11-02 Yazaki Corporation Lever-type connector
US6095833A (en) * 1997-08-18 2000-08-01 Sumitomo Wiring Systems, Ltd. Lever-type connector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624049B2 (ja) * 1991-09-13 1997-06-25 住友電装株式会社 コネクタ
JPH08330023A (ja) * 1995-05-29 1996-12-13 Amp Japan Ltd レバー式コネクタ
JP3244034B2 (ja) * 1997-08-27 2002-01-07 住友電装株式会社 レバー式コネクタ
JP3603562B2 (ja) * 1997-09-19 2004-12-22 住友電装株式会社 コネクタ
JP3319387B2 (ja) * 1998-05-01 2002-08-26 住友電装株式会社 レバー式コネクタ
JP3800495B2 (ja) 2000-04-25 2006-07-26 住友電装株式会社 コネクタ
JP3743555B2 (ja) * 2001-05-07 2006-02-08 住友電装株式会社 レバー式コネクタ
JP4066965B2 (ja) * 2004-02-24 2008-03-26 住友電装株式会社 コネクタ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64228A (ja) * 1995-03-24 1996-10-11 Sumitomo Wiring Syst Ltd レバー式コネクタ
US5975928A (en) * 1996-07-24 1999-11-02 Yazaki Corporation Lever-type connector
JPH1154204A (ja) 1997-07-30 1999-02-26 Sumitomo Wiring Syst Ltd レバー式コネクタ
US6095833A (en) * 1997-08-18 2000-08-01 Sumitomo Wiring Systems, Ltd. Lever-type connect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70249206A1 (en) 2007-10-25
DE602007000189D1 (de) 2008-12-04
CN100568633C (zh) 2009-12-09
EP1848069B1 (en) 2008-10-22
JP4622930B2 (ja) 2011-02-02
CN101064395A (zh) 2007-10-31
JP2007287614A (ja) 2007-11-01
US7329133B2 (en) 2008-02-12
KR20070104286A (ko) 2007-10-25
EP1848069A1 (en) 2007-10-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93318B1 (ko) 커넥터
JP5029872B2 (ja) レバー式コネクタ
JP4941064B2 (ja) レバー式コネクタ
KR100220352B1 (ko) 개선된 캠 장치를 갖춘 전기 커넥터 조립체
JP3601474B2 (ja) レバー式コネクタ
US7938655B2 (en) Lever-type connector
JP5407959B2 (ja) コネクタ
JP5343902B2 (ja) コネクタ
JP2005203163A (ja) レバー式コネクタ
US7481661B2 (en) Connector
US10381777B2 (en) Lever-type connector
US10090620B2 (en) Lever-type connector having a lever with two arms with one ends of the arms joined by an operating portion and other ends joined by a coupling
US20180331470A1 (en) Lever-type connector
JP2012018874A (ja) コネクタ
US10644445B2 (en) Lever-type connector
US10644446B2 (en) Lever-type connector
US10594079B2 (en) Lever-type connector
US10498078B2 (en) Lever-type connector
CN101218716B (zh) 电连接器
US11088493B2 (en) Lever-type connector
US11322888B2 (en) Lever-type connector
JP2006086093A (ja) コネク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70420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8062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081222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080627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PJ0201 Trial against decision of rejection

Patent event date: 20090122

Comment text: Request for Trial against Decision on Refusal

Patent event code: PJ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081222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J02011S01I

Appeal kind category: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Decision date: 20090227

Appeal identifier: 2009101000537

Request date: 20090122

PB0901 Examination by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date: 20090122

Patent event code: PB09011R02I

Comment text: Request for Trial against Decision on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90122

Patent event code: PB09011R01I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date: 20080827

Patent event code: PB09011R02I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date: 20070423

Patent event code: PB09011R02I

B701 Decision to grant
PB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Patent event date: 20090227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B07012S01D

Patent event date: 20090224

Comment text: Transfer of Trial File fo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Patent event code: PB07011S01I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90407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90408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322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0322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21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0321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503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