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886142B1 - 위치확인시스템을 이용한 휴대 인터넷 서비스 지역 확인방법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위치확인시스템을 이용한 휴대 인터넷 서비스 지역 확인방법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86142B1
KR100886142B1 KR1020060087070A KR20060087070A KR100886142B1 KR 100886142 B1 KR100886142 B1 KR 100886142B1 KR 1020060087070 A KR1020060087070 A KR 1020060087070A KR 20060087070 A KR20060087070 A KR 20060087070A KR 100886142 B1 KR100886142 B1 KR 1008861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ion
area
terminal
service
inp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870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23063A (ko
Inventor
김형우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870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86142B1/ko
Priority to EP07003970A priority patent/EP1898655B1/en
Priority to US11/713,076 priority patent/US7894829B2/en
Priority to CN2007100885452A priority patent/CN101141760B/zh
Publication of KR200800230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2306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861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861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8/00Access restriction; Network selection; Access point selection
    • H04W48/18Selecting a network or a communication servic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7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GPS 를 이용하여 서비스 영역의 확인이 가능한 무선 휴대 통신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다수의 단말에 대해 망 접속 서비스를 제공하는 적어도 하나의 접속노드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의 단말은 상기 접속노드를 통해 동일한 통신 규격을 이용하는 타 단말과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통신 모듈과, 위치 파악 시스템을 통해 현재 단말의 위치 정보를 수신하기 위한 위치 파악 모듈과, 상기 접속 노드의 전파 도달 상태에 따라 결정된 통신 가/불가 지역이 명시되어 있는 서비스 맵을 포함하며 상기 단말의 위치 정보와 상기 서비스 맵을 이용하여 망 접속을 관리하는 망 접속 모듈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무선 휴대 통신 시스템 및 방법에서는 GPS와 단말에 저장되어 있는 WiBro 서비스 맵 정보를 이용하여 현재 위치가 WiBro 서비스 가/불가 지역인지 판단 할 수 있기 때문에 서비스 불가 지역에서의 불필요한 연결 시도에 의한 전력 낭비를 방지할 수 있다.
와이브로(WiBro), 위치 확인 시스템 (GPS), 휴대 통신

Description

위치확인시스템을 이용한 휴대 인터넷 서비스 지역 확인 방법 및 시스템 {GPS―BASED SERVICE AREA CHECKING METHOD AND SYSTEM FOR WIRELESS BROADBAND}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휴대 통신 시스템을 보인 개략적인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휴대 통신 시스템의 단말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휴대 통신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휴대 통신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본 발명은 무선 휴대 통신에 관한 것으로, 특히 GPS 를 이용하여 서비스 영역의 확인이 가능한 무선 휴대 통신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휴대 인터넷 (Wireless Broadband: WiBro)은 광대역 무선 인터넷 기술로서 정지 상태는 물론 이동 중에도 언제 어디서나 초고속 인터넷 서비스를 지원한다. WiBro의 전송 속도는 약 1Mbps에 이르며, 실내에서 유선을 통한 초고속 인터넷 서 비스를 실외에서의 무선 이동 환경으로 확장한 개념이다.
WiBro 는 2.3GHz 의 주파수 대역에서 동작하며 셀 반경은 1Km 이내이다. WiBro 는 이동시 최소 60Km/H 이상의 이동 속도에서도 끊김 없는 무선 인터넷 서비스를 보장하며, 높은 전송 속도를 지원하기 때문에 타 셀룰러 망을 이용하는 경우보다 저렴하게 비용으로 인터넷 서비스를 제공한다.
와이브로 단말기가 초기 와이브로 시스템에 진입하는 경우 코드 레인징을 통해 상향 링크 동기 및 송신 전력 조절 등을 수행한다. 코드 레인징에 성공하면, 단말은 기지국으로부터 RNG_REQ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는 구간을 할당 받고, RNG□REQ/RSP 메시지 교환을 통해 망 접속을 수행하게 된다. RNG□REQ/RSP 메시지 교환을 통해 단말은 기본 연결 식별자 (basic connection identifier: Basic CID)와 우선 관리 연결 식별자 (Primary Management CID)를 할당 받게 된다. 이러한 CID들은 단말에게 고유하게 할당되는 값으로 기지국과 단말 간 접속 중 단말을 구분하는 정보가 된다. 이러한 값들을 이용하여 단말은 인증, 등록, 및 협상 절차를 수행하게 된다. 기지국과 연결된 상태에서 단말이 해당 기지국의 서비스 영역을 벗어나 다른 기지국의 서비스 영역으로 이동하게 되면, 제공받는 서비스를 유지하기 위해 핸드오프가 발생하게 된다.
그러나, 종래의 WiBro 시스템에서 단말이 레인징에 실패할 경우 레인징 과정을 반복하여 수행하게 된다. 특히 WiBro 서비스 영역을 벗어나 경우 단말은 반복적으로 레이징을 시도하기 때문에 전력 소모가 급격히 증가하게 되며, 배터리 전원을 사용하는 휴대 단말의 경우 배터리 수명이 현저히 감소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WiBro 시스템에서는 단말이 레인징에 성공하더라고 현재 단말의 위치가 서비스 영역의 가장자리에 위치하고 있거나 신호의 세기가 약한 지역에서 접속을 시도하는 경우 이후 수행되는 인증, 등록, IP할당 과정에서 해당 절차를 실패할 확률이 높다.
뿐만 아니라 WiBro 서비스 영역 내에서도 전파 음약 지역이 존재할 수 있으며, 단말이 이러한 전파 음영 지역에 머물러 있게 되면 기존에 연결되어 있던 접속이 끊어져 새로운 연결을 계속 시동하게 되기 때문에 불필요하게 소모 전력을 낭비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GPS를 이용하여 와이브로 서비스 가/불가 지역, WiBro 서비스 제공 지역 내의 음영 지역 등의 정보를 단말에 제공함으로써 불필요한 전력 소모를 줄일 수 있는 무선 휴대 통신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WiBro 모뎀이 꺼진 상태에서 와이브로 서비스 가/불가 지역에 대한 정보를 단말에 제공함으로써, 불필요한 WiBro 망 접속 시도에 의한 전력 소모를 방지하고 효율적인 전력 제어가 가능한 무선 휴대 통신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수행하기 위한 본 발명은 다수의 단말에 대해 망 접속 서비스를 제공하는 적어도 하나의 접속노드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의 단말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단말은 상기 접속노드를 통해 동일한 통신 규격을 이용하는 타 단말과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통신 모듈과, 위치 파악 시스템을 통해 현재 단말의 위치 정보를 수신하기 위한 위치 파악 모듈과, 그리고 상기 접속 노드의 전파 도달 상태에 따라 결정된 통신 가/불가 지역이 명시되어 있는 서비스 맵을 포함하며 상기 단말의 위치 정보와 상기 서비스 맵을 이용하여 망 접속을 관리하는 망 접속 모듈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통신 규격은 IEEE 802.16 표준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위치 파악 시스템은 위성 위치 확인 시스템(global positioning system: GPS)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서비스 맵은 통신 가능 지역, 통신 불가능 지역, 전파 음영 지역 등의 위치와 범위에 대한 정보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서비스 맵은 상기 위치파악 시스템으로부터 수신하는 위치 정보와 망 접속 시도 결과를 기반으로 갱신된다.
상기 목적을 수행하기 위한 다른 발명은 다수의 단말에 대해 망 접속 서비스를 제공하는 적어도 하나의 접속노드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을 위한 무선 휴대 통신 방법에 의해 달성 된다.
본 발명의 무선 휴대 통신 방법은 별도의 채널을 통해서 단말의 위치 정보를 수신하는 과정과; 상기 접속노드로의 접속 요청 신호 입력이 있는지 판단하는 과정; 상기 접속 요청 신호 입력이 있으면, 상기 위치 정보와 미리 저장되어 있는 통신 가/불가 지역이 표시된 서비스 맵을 이용하여 망 접속 시도를 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위치 정보는 GPS 위성을 통해 수신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서비스 맵은 통신 가능 지역, 통신 불가능 지역, 전파 음영 지역 등의 위치와 범위에 대한 정보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망 접속 시도 과정은 현재 위치가 서비스 가능 지역인지를 판단하는 과정과 서비스 가능 지역이 아니면, 현재 지역이 서비스 불가 지역임을 안내하는 메시지를 출력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망 접속 시도 과정은 상기 서비스 불가 지역 안내 메시지 출력 후, 연결 재요청 신호가 입력되는지를 판단하는 과정과; 상기 연결 재요청 신호가 입력되면 통신 모뎀의 전원을 켜고 연결을 시도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망 접속 시도 과정은 현재 위치가 서비스 가능 지역이면, 통신 모뎀의 전원을 켜서 연결을 시도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망 접속 시도 과정은 연결이 성공 했는지를 판단하는 과정; 연결에 성공 했으면, 통신을 수행하는 과정과; 통신을 수행하는 동안 연결 해제 신호가 입력되는지를 판단하는 과정과; 연결 해제 신호가 입력되면 연결을 해제하고 통신 모뎀의 전원을 끄는 과정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망 접속 시도 과정은 연결에 실패 했으면, 상기 위치 정보와 연결 실패 결과를 반영하여 상기 서비스 맵을 갱신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의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동작을 이해하는데 필요한 부분만이 설명되며, 그 이외 부분의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흩트리지 않도록 생략될 것이라는 것을 유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앞서, 이하에서 설명되는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으로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실시 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휴대 통신 시스템을 보인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휴대 통신 시스템은, 송신 전력의 세기에 의해 정의 되는 서비스 영역을 형성하여 서비스 영역 내의 단말(120)에 망 접속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지국(Radio Access Station: RAS) (101), 상기 기지국(101)을 통해 망에 접속된 단말들(121, 123, 125)에 의해 발생되는 데이터를 목적지로 라우팅 하기 위한 라우터 (Access Control Router: ACR)(103), 망 관련 데이터를 수집하고 필요시 기지국(101) 또는 라우터 (103)에 수집된 데이터를 제공하는 데이터베이스 서버 (105)를 포함한다. 상기 단말은 WiBro 통신과 GPS 통신을 지원하는 휴대 인터넷 전용 단말, 랩탑 컴퓨터, 스마트 폰 등이 될 수 있으며, 각 단말은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WiBro 모듈(201), GPS 모듈(203), 그리고 연결 관리 장치 (205)를 포함한다.
서비스 가능 지역 및 음영 지역 등에 대한 데이터베이스(DB)는 WiBro 시스템 사업자에 의해 제공되거나 그렇지 않은 경우 상기 WiBro 연결 관리 장치(205)가 WiBro 망 접속 상태에 대한 정보를 GPS 모듈(203)의 GPS를 통해 수집하여 데이터베이스(DB)를 구축하고 이후 접속시 상기 DB를 이용하여 연결을 시도하게 된다. 시스템 사업자가 DB를 제공하는 경우 단말은 시스템 사업자로부터 수시로 DB를 수신하여 갱신한다.
WiBro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해 접속을 시도하기 전에 단말의 WiBro 연결 관리 장치 (205)는 GPS 모듈 (203)을 통해 수신된 현재 위치 정보와 DB로 저장된 맵 정보를 비교하여 현재 위치하고 있는 지역이 WiBro 서비스 가능 지역인지를 판단하고, 현재 위치가 서비스 가능 지역인 경우에는 연결 관리 장치 (205)를 통해 접속을 시도하게 된다. 반면, 현재 위치가 WiBro 서비스 불가능 지역으로 판단되면 사용자에게 현재 위치가 서비스 불가 지역임을 알리는 문구를 단말에서 표시를 한다. 만약, 서비스 불가 지역임에도 불구하고 사용자에 의해 계속 접속 요청 신호가 입력되면 접속을 시도한다.
서비스 지역 내에서 서비스를 받는 도중 단말이 전파 음영 지역으로 진입하게 되면, 단말은 현재 위치 정보와 DB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에게 현재 위치가 음영지역임을 알린다.
또한, 가입자가 단말의 배터리 소모를 방지하기 위해 WiBro 모듈(201)의 WiBro 모뎀의 전원을 끈 상태에서 다시 전원을 켜고, 접속을 시도하는 경우 연결 관리 장치 (205)가 WiBro 모듈(201)의 WiBro 모뎀 전원을 켜기 전에 위치 정보를 활용하여 서비스 가/불가 지역을 판단한 후 접속을 시도하도록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휴대 통신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먼저 단말의 전원이 켜지면 (S301), 단말은 주기적으로 GPS 모듈(203)을 통해 GPS 정보를 수신하여 (S303), 자신의 현재 위치를 파악하고 (S305), 사용자에 의해 WiBro 연결 요청 신호가 입력되는지를 판단한다(S307).
만약, 사용자로부터 연결 요청 신호가 입력되면, 단말은 WiBro 모듈(201)의 WiBro 모뎀의 전원을 켜고 (S309), WiBro 서비스 맵 DB로부터 단말의 현재 위치의 지역 정보를 탐색하고(S311), 현재 위치가 WiBro 서비스 가능 지역인지를 판단한다(S313).
현재 위치가 WiBro 서비스 가능 지역이면, 단말은 연결 관리 장치 (205)를 통해 WiBro 연결을 시도하고 (S315), 연결 성공 여부를 판단한다 (S317), 만약, 연결에 성공하지 못하면 단말은 WiBro 서비스 맵 DB를 갱신하고 (S319), S311 단계부터 다시 수행한다.
만약, S317 단계에서 연결에 성공하면, 단말은 WiBro 통신을 수행하고 (S321), WiBro 통신을 수행하는 동안 연결 해제 요청 신호가 입력되는지를 판단한다 (S323). 연결 해제 신호가 입력되면 단말은 연결 관리 장치 (205)를 통해 WiBro 연결을 해제하고 (S325), S307단계를 수행한다.
한편, S313 단계에서 WiBro 서비스 가능 지역이 아니라고 판단되면, 단말은 표시 장치를 통해 현재 위치가 WiBro 서비스 불가 지역임을 알리는 메시지를 출력하고 (S327), 연결 재요청 신호가 입력되는지를 판단한다(S329).
만약, 연결 재요청 신호가 입력되면 S315 단계를 수행하고, 연결 재요청 신호가 입력되지 않으면 WiBro모듈(201)의 WiBro 모뎀의 전원을 끄고 (S331), S307단계를 다시 수행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휴대 통신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단말의 전원이 켜지면 (S301), 단말의 WiBro모듈(201)의 WiBro모뎀의 전원은 오프되어 있으며, GPS 모듈(203)을 통해 주기적으로 GPS 정보를 수신하여 (S403) 자신의 현재 위치를 파악하고 (S405), 사용자에 의해 WiBro 연결 요청 신호가 입력되는지를 판단한다(S407).
만약, 사용자로부터 연결 요청 신호가 입력되면, WiBro 서비스 맵 DB로부터 단말의 현재 위치의 지역 정보를 탐색하고(S409), 현재 위치가 WiBro 서비스 가능 지역인지를 판단한다(S411).
현재 위치가 WiBro 서비스 가능 지역이면, 단말은 WiBro모뎀(201)의 WiBro 모뎀의 전원을 켜고 (S413), 연결관리장치(205)를 통해 WiBro 연결을 시도한다(S415). 계속 해서 단말은 연결 성공 여부를 판단하여 (S417), 만약, 연결에 성 공하지 못하면 단말은 WiBro 서비스 맵 DB를 갱신하고 (S427), S409 단계를 다시 수행한다.
만약, S417 단계에서 연결에 성공하면, 단말은 WiBro 통신을 수행하고 (S419), WiBro 통신을 수행하는 동안 연결 해제 요청 신호가 입력되는지를 판단한다 (S421). 연결 해제 신호가 입력되면, 단말은 WiBro 연결을 해제하고 (S423), WiBro모듈(201)의 WiBro 모뎀의 전원을 끈 후 (S425), S407단계를 수행한다.
한편, S411 단계에서 WiBro 서비스 가능 지역이 아니라고 판단되면, 단말은 표시 장치를 통해 현재 위치가 WiBro 서비스 불가 지역임을 알리는 메시지를 출력하고 (S429), 연결 재요청 신호가 입력되는지를 판단한다(S431).
만약, 연결 재요청 신호가 입력되면 단말은 S413 단계를 수행하고, 연결 재요청 신호가 입력되지 않으면 S407단계를 다시 수행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무선 휴대 통신 시스템 및 방법에서는 GPS와 단말에 저장되어 있는 WiBro 서비스 맵 정보를 이용하여 현재 위치가 WiBro 서비스 가/불가 지역인지 판단 할 수 있기 때문에 서비스 불가 지역에서의 불필요한 연결 시도에 의한 전력 낭비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무선 휴대 통신 시스템 및 방법에서는 WiBro 모뎀이 꺼져 있는 상태에서도 접속 시도 시 서비스 가/불가 지역을 미리 파악할 수 있기 때문에 불필요한 접속 요청을 줄여 전력 낭비를 막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자의 편의를 도모할 수 있다.

Claims (19)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다수의 단말에 대해 망 접속 서비스를 제공하는 적어도 하나의 접속노드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의 단말에 있어서,
    별도의 채널을 통해서 상기 단말의 위치 정보를 수신하는 과정과;
    상기 접속노드로의 접속 요청 신호 입력이 있는지 판단하는 과정과;
    상기 접속 요청 신호 입력이 있으면, 상기 위치 정보와 미리 저장되어 있는 통신 가/불가 지역, 전파 음영 지역의 위치와 범위에 대한 정보가 포함된 서비스 맵을 이용하여 망 접속을 시도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휴대 통신 방법.
  9. 다수의 단말에 대해 망 접속 서비스를 제공하는 적어도 하나의 접속노드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의 단말에 있어서,
    별도의 채널을 통해서 상기 단말의 위치 정보를 수신하는 과정과;
    상기 접속노드로의 접속 요청 신호 입력이 있는지 판단하는 과정과;
    상기 접속 요청 신호 입력이 있으면, 상기 위치 정보와 미리 저장되어 있는 통신 가/불가 지역이 표시된 서비스 맵을 이용하여 상기 단말의 위치가 서비스 가능 지역인지를 판단하고 망 접속을 시도하는 과정과;
    서비스 가능 지역이 아니면, 현재 지역이 서비스 불가 지역임을 안내하는 메시지를 출력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무선 휴대 통신 방법.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망 접속 시도 과정은:
    상기 서비스 불가 지역 안내 메시지 출력 후, 연결 재요청 신호가 입력되는지를 판단하는 과정과;
    상기 연결 재요청 신호가 입력되면 통신 모뎀의 전원을 켜고 연결을 시도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무선 휴대 통신 방법.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망 접속 시도 과정은:
    상기 단말의 위치가 서비스 가능 지역이면, 통신 모뎀의 전원을 켜서 연결을 시도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무선 휴대 통신 방법.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망 접속 시도 과정은:
    상기 연결이 성공 했는지를 판단하는 과정과;
    상기 연결에 성공 했으면, 통신을 수행하는 과정과;
    상기 통신을 수행하는 동안 연결 해제 신호가 입력되는지를 판단하는 과정과;
    상기 연결 해제 신호가 입력되면 연결을 해제하고 통신 모뎀의 전원을 끄는 과정을 포함하는 무선 휴대 통신 방법.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망 접속 시도 과정은:
    상기 연결에 실패 했으면, 상기 위치 정보와 연결 실패 결과를 반영하여 상기 서비스 맵을 갱신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무선 휴대 통신 방법.
  14. 다수의 단말에 대해 망 접속 서비스를 제공하는 적어도 하나의 접속노드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의 단말에 있어서,
    별도의 채널을 통해서 상기 단말의 위치 정보를 수신하는 과정과;
    상기 접속노드로의 접속 요청 신호 입력이 있는지 판단하는 과정과;
    상기 접속 요청 신호 입력이 있으면, 상기 위치 정보와 미리 저장되어 있는 통신 가/불가 지역이 표시된 서비스 맵을 이용하여 현재 위치가 서비스 가능 지역인지 판단하는 과정과;
    상기 현재 위치가 서비스 가능 지역이 아니면, 현재 지역이 서비스 불가 지역임을 안내하고 현재 위치가 서비스 가능 지역이면, 무선 통신 모뎀의 전원을 켜서 망 접속을 시도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무선 휴대 통신 방법.
  15.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망 접속 시도 과정은:
    상기 망 접속이 성공 했는지를 판단하는 과정과;
    상기 망 접속에 성공 했으면, 통신을 수행하는 과정;
    상기 통신을 수행하는 동안 연결 해제 신호가 입력되는지를 판단하는 과정과;
    상기 연결 해제 신호가 입력되면 연결을 해제하고 통신 모뎀의 전원을 끄는 과정을 포함하는 무선 휴대 통신 방법.
  16.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망 접속 시도 과정은:
    상기 망 접속에 실패 했으면, 상기 위치 정보와 연결 실패 결과를 반영하여 상기 서비스 맵을 갱신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무선 휴대 통신 방법.
  17. GPS를 가지며, 다수의 단말에 대해 망 접속 서비스를 제공하는 적어도 하나의 접속노드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의 단말에 있어서,
    상기 GPS를 통해 단말의 위치 정보를 수신하는 과정과;
    상기 접속노드로의 접속 요청 신호 입력이 있는지 판단하는 과정과;
    상기 접속 요청 신호 입력이 있으면, 상기 위치 정보와 미리 저장되어 있는 통신 가/불가 지역이 표시된 서비스 맵을 이용하여 현재 위치가 서비스 가능 지역인지 판단하는 과정과;
    상기 현재 위치가 서비스 가능 지역이 아니면, 현재 지역이 서비스 불가 지역임을 안내하는 과정과;
    상기 현재 위치가 서비스 가능 지역이면, 무선 통신 모뎀의 전원을 켜서 망 접속을 시도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무선 휴대 통신 방법.
  18.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망 접속 시도 과정은:
    상기 망 접속이 성공 했는지를 판단하는 과정과;
    상기 망 접속에 성공 했으면, 통신을 수행하는 과정과;
    상기 통신을 수행하는 동안 연결 해제 신호가 입력되는지를 판단하는 과정과;
    상기 연결 해제 신호가 입력되면 연결을 해제하고 통신 모뎀의 전원을 끄는 과정을 포함하는 무선 휴대 통신 방법.
  19. 제 18항에 있어서, 상기 망 접속 시도 과정은:
    상기 망 접속에 실패 했으면, 상기 위치 정보와 연결 실패 결과를 반영하여 상기 서비스 맵을 갱신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무선 휴대 통신 방법.
KR1020060087070A 2006-09-08 2006-09-08 위치확인시스템을 이용한 휴대 인터넷 서비스 지역 확인방법 및 시스템 KR1008861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87070A KR100886142B1 (ko) 2006-09-08 2006-09-08 위치확인시스템을 이용한 휴대 인터넷 서비스 지역 확인방법 및 시스템
EP07003970A EP1898655B1 (en) 2006-09-08 2007-02-27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and method for checking wireless broadband internet service area using position detection system
US11/713,076 US7894829B2 (en) 2006-09-08 2007-03-01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and method for checking wireless broadband internet service area using position detection system
CN2007100885452A CN101141760B (zh) 2006-09-08 2007-03-16 使用位置检测系统来检查服务区域的无线通信终端和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87070A KR100886142B1 (ko) 2006-09-08 2006-09-08 위치확인시스템을 이용한 휴대 인터넷 서비스 지역 확인방법 및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23063A KR20080023063A (ko) 2008-03-12
KR100886142B1 true KR100886142B1 (ko) 2009-02-27

Family

ID=388321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87070A KR100886142B1 (ko) 2006-09-08 2006-09-08 위치확인시스템을 이용한 휴대 인터넷 서비스 지역 확인방법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7894829B2 (ko)
EP (1) EP1898655B1 (ko)
KR (1) KR100886142B1 (ko)
CN (1) CN101141760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113467B2 (ja) * 2007-09-28 2013-01-09 日産自動車株式会社 移動体通信システム、移動体端末、情報提供装置及び情報送信方法
TW200926745A (en) * 2007-12-05 2009-06-16 Compal Communications Inc Mobile communication apparatus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KR101538523B1 (ko) 2009-10-05 2015-07-22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m2m 통신을 수행하는 단말의 지역 기반 접근 제어 방법
KR101682930B1 (ko) * 2009-11-26 2016-12-07 삼성전자 주식회사 통신 시스템에서 무선 단말의 지역 기반 접속 허용 리스트 생성 방법 및 장치
CN101848418A (zh) * 2010-06-04 2010-09-29 深圳市斯伦斯科技有限公司 一种手持终端智能服务提供方法
KR101115025B1 (ko) * 2011-09-01 2012-03-06 이에스파워 주식회사 통화 가능 지역 확인 장치
US8872701B2 (en) 2011-09-21 2014-10-28 Qualcomm Incorporated Location based determination to perform a ranging procedure
US8868102B1 (en) * 2012-10-30 2014-10-21 Onasset Intelligence,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tracking a transported item while accommodating communication gaps
US10924977B2 (en) * 2016-10-24 2021-02-16 Qualcomm Incorporated Forbidden area procedures and connection release management
EP3510813B1 (en) * 2017-03-24 2020-01-08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Validity time of system information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CN110830908B (zh) * 2019-11-07 2021-01-01 高新兴物联科技有限公司 车载tbox及其降低能耗的方法和计算机可读存储介质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320776A (ja) 2000-05-12 2001-11-16 Akesesu:Kk 携帯型無線端末機のセキュリティシステム、携帯型無線端末機、およびセキュリティ用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記録媒体
WO2002035874A1 (en) 2000-10-25 2002-05-02 Roke Manor Research Limited System for controlling the usage of mobile telephones in sensitive areas
JP2002191075A (ja) 2000-12-21 2002-07-05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移動体通信システム
KR20060039553A (ko) * 2004-11-03 2006-05-09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위치 식별 장치를 이용한 와이브로 단말의 위치 관리시스템 및 방법과 이를 위한 와이브로 단말
KR20070042039A (ko) * 2005-10-17 2007-04-20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무선 인터넷 기능을 갖는 이동통신 단말의 전력관리 방법과이를 위한 이동통신 단말

Family Cites Families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055426A (en) 1997-06-17 2000-04-25 Highwaymaster Communications, Inc. Notification of a mobile unit out of coverage
EP1617391A3 (en) * 1999-03-17 2012-02-22 Komatsu Ltd. Apparatus for presenting information on mobile bodies
JP2002015215A (ja) * 2000-06-30 2002-01-18 Hitachi Ltd マルチメデア情報配信システムおよび携帯情報端末装置
CN1130879C (zh) 2000-11-06 2003-12-10 郝立华 一种远程接入局域网的方法和系统
JP3841401B2 (ja) * 2001-09-26 2006-11-01 株式会社東芝 構内案内装置、サーバ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GB0130801D0 (en) 2001-12-22 2002-02-06 Koninkl Philips Electronics Nv Mobile device power saving
US8539232B2 (en) * 2002-06-26 2013-09-17 Sony Corporation Information terminal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information communication system
JP3919654B2 (ja) * 2002-11-29 2007-05-30 株式会社東芝 携帯端末
KR100493235B1 (ko) * 2002-12-02 2005-06-02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무선랜 액세스 포인트 자동 탐색 기능을 가지는 접속 장치및 그 접속 방법
US7123601B2 (en) * 2003-02-27 2006-10-17 Nokia Corporation Fast mobile originated call in slotted mode
US7706772B2 (en) 2003-04-24 2010-04-27 Lenovo Singapore Pte. Ltd Power saving system and method for mobile wireless network device using historical periods of signal intermittence and reliability
DE10325339A1 (de) * 2003-06-04 2005-02-24 Siemens Ag Verfahren zum Reduzieren des Stromverbrauchs eines mobilen Endgeräts
KR100585724B1 (ko) * 2003-08-18 2006-06-07 엘지전자 주식회사 일반 패킷 무선 서비스 시스템의 망 상태 알림 서비스 방법
JP4558729B2 (ja) * 2003-09-04 2010-10-06 サムスン エレクトロニクス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 広帯域無線接続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移動加入者端末のドロップの発生によるサービング基地局の選択システム及び方法
JP2005210241A (ja) * 2004-01-21 2005-08-04 Nec Corp 移動無線通信システム、移動無線通信端末及びそれに用いる圏外位置情報送信方法並びにそのプログラム
US8019352B2 (en) * 2004-07-23 2011-09-13 Wireless Valley Communications, Inc. System,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rmining and using the position of wireless devices or infrastructure for wireless network enhancements
US8145219B2 (en) * 2004-07-28 2012-03-27 Broadcom Corporation Handoff of a multimedia call session using background network scanning
KR100665426B1 (ko) * 2005-01-10 2007-01-04 삼성전자주식회사 통신 시스템에서 아이들 모드 상태 제어 시스템 및 방법
EP1864406B1 (en) * 2005-03-24 2013-05-08 LG Electronics Inc. A method of ranging for a broadband wireless access system
KR101075625B1 (ko) * 2005-03-24 2011-10-21 엘지전자 주식회사 광대역 무선 접속 시스템에서 이동단말 관리 방법
US20060276189A1 (en) * 2005-04-01 2006-12-07 Interdigital Technology Corporation Supporting inter-technology handover using IEEE 802.16 handover procedures
US20060246887A1 (en) * 2005-05-02 2006-11-02 Barclay Deborah L Mapping of weak RF signal areas in a wireless telecommunication system using customers' mobile units
JP2007028824A (ja) * 2005-07-19 2007-02-01 Asmo Co Ltd 整流子及び電機子
US8064948B2 (en) * 2006-01-09 2011-11-22 Cisco Technology, Inc. Seamless roaming for dual-mode WiMax/WiFi stations
US7761119B2 (en) * 2006-07-05 2010-07-20 Kyocera Corporation Signal strength annunciators for multi-mode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s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320776A (ja) 2000-05-12 2001-11-16 Akesesu:Kk 携帯型無線端末機のセキュリティシステム、携帯型無線端末機、およびセキュリティ用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記録媒体
WO2002035874A1 (en) 2000-10-25 2002-05-02 Roke Manor Research Limited System for controlling the usage of mobile telephones in sensitive areas
JP2002191075A (ja) 2000-12-21 2002-07-05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移動体通信システム
KR20060039553A (ko) * 2004-11-03 2006-05-09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위치 식별 장치를 이용한 와이브로 단말의 위치 관리시스템 및 방법과 이를 위한 와이브로 단말
KR20070042039A (ko) * 2005-10-17 2007-04-20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무선 인터넷 기능을 갖는 이동통신 단말의 전력관리 방법과이를 위한 이동통신 단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80064411A1 (en) 2008-03-13
US7894829B2 (en) 2011-02-22
CN101141760B (zh) 2013-01-02
CN101141760A (zh) 2008-03-12
EP1898655B1 (en) 2012-05-23
KR20080023063A (ko) 2008-03-12
EP1898655A1 (en) 2008-03-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86142B1 (ko) 위치확인시스템을 이용한 휴대 인터넷 서비스 지역 확인방법 및 시스템
KR101634214B1 (ko) 휴대 단말기의 공중 이동 통신망 선택 방법 및 장치
KR101124482B1 (ko) 듀얼 모드를 지원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동작 방법 및 장치
TWI362891B (en) Method for a radiotelephone to search for higher priority networks
EP3240331B1 (en) Network access method and mobile communications terminal
KR100844349B1 (ko) 휴대용 단말기에서 무선랜 검색 방법 및 장치
KR100493109B1 (ko) 공중 육상 이동통신망 선택을 위한 통신 시스템 및 방법
JP5969312B2 (ja) 移動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アクセスクラス制限リストを用いるサービス状態提供装置及び方法
EP3247140A1 (en) Network access method and mobile communications terminal
CN102413544A (zh) Lte网络的搜索方法和系统
CN102215539A (zh) 在宽带无线通信系统中支持协同切换的设备和方法
CN103548390A (zh) 电信系统中的方法和布置
WO2018141117A1 (zh) 一种数据处理方法、装置及系统
EP2549808A1 (e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communication control method, mobility management device, mobile terminal, and base station
EP2134125B1 (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mobile communication control method
EP2523507A1 (en) Method for triggering wake-up of dormant base station(s) located in the vicinity of a mobile communication equipment, and associated network entities
JP2007005892A (ja) 情報配信システム、情報配信方法、無線lan端末、無線lan端末の情報取得方法、アクセスポイント
JP2005086451A (ja) 無線移動端末、無線lanエリア通知サーバ及び無線通信システム
KR20100076264A (ko) 이동통신에서의 망 등록 시스템 및 방법
CN102281613B (zh) 入网控制方法、终端、入网控制系统和基站
KR100492414B1 (ko) Cdma 시스템의 인접기지국 정보 관리방법
KR100269135B1 (ko) 지리정보서비스장치및그방법
CN103379463B (zh) Cdma移动终端的漫游选网方法及cdma移动终端
JP3590730B2 (ja) 移動通信システム
EP1569487B1 (en) Intelligent paging in multiple network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60908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7100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080229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071009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PJ0201 Trial against decision of rejection

Patent event date: 20080328

Comment text: Request for Trial against Decision on Refusal

Patent event code: PJ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080229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J02011S01I

Appeal kind category: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Decision date: 20081128

Appeal identifier: 2008101002678

Request date: 20080328

AMND Amendment
PB0901 Examination by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date: 20080424

Patent event code: PB09011R02I

Comment text: Request for Trial against Decision on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80328

Patent event code: PB09011R01I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date: 20071129

Patent event code: PB09011R02I

B601 Maintenance of original decis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E801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
PB0601 Maintenance of original decis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Comment text: Report of Result of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Patent event code: PB06011S01D

Patent event date: 20080523

PE0801 Dismissal of amendment

Patent event code: PE08012E01D

Comment text: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

Patent event date: 20080523

Patent event code: PE08011R01I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date: 20080424

Patent event code: PE08011R01I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date: 20071129

PJ1301 Trial decision

Patent event code: PJ13011S01D

Patent event date: 20081201

Comment text: Trial Decision on Objection to Decision on Refusal

Appeal kind category: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 date: 20080328

Decision date: 20081128

Appeal identifier: 2008101002678

PS0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S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8120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PS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after remand of revocation

Patent event date: 20090220

Patent event code: PS07012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81201

Patent event code: PS07011S01I

Comment text: Notice of Trial Decision (Remand of Revoc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90223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90224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0130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30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0130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28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0128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29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0129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28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128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25

Year of fee payment: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125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30

Year of fee payment: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130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