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734099B1 - 몰드 클램핑 장치 - Google Patents

몰드 클램핑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34099B1
KR100734099B1 KR1020060013015A KR20060013015A KR100734099B1 KR 100734099 B1 KR100734099 B1 KR 100734099B1 KR 1020060013015 A KR1020060013015 A KR 1020060013015A KR 20060013015 A KR20060013015 A KR 20060013015A KR 100734099 B1 KR100734099 B1 KR 1007340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ld
mold clamping
movable
plate
movable di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130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92066A (ko
Inventor
신야 이타니
코이치 우사미
히로시 요코야마
마코토 츠지
Original Assignee
도시바 기카이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도시바 기카이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도시바 기카이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600920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9206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340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3409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33/00Moulds or cores; Detail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B29C33/20Opening, closing or clamp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64Mould opening, closing or clamping devices
    • B29C45/68Mould opening, closing or clamping devices hydro-mechanic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1748Retractable tie-ro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64Mould opening, closing or clamping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oulds For Moulding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간 절약형 구조를 가지며 몰드 교환을 쉽게 수행할 수 있는 몰드 클램핑 장치에 관한 것으로, 이는 베이스와; 이 베이스에 고정되고서 고정몰드를 장착시키기 위한 고정형판; 이 고정형판의 맞은 편에 위치하고서 상기 베이스에 이동가능하게 위치되며 가동몰드를 장착시키도록 된 가동형판; 이 가동형판을 고정
형판으로부터 멀리 또는 가깝게 멀리 움직이게 하는 몰드 개폐수단; 고정형판에 구비된 다수의 몰드 클램핑 실린더; 이 몰드 클램핑 실린더에 끼워지는 몰드 클램핑 피스톤; 한 끝이 각 몰드 클램핑 피스톤에 분리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고 가동형판을 관통하여 뻗어 있는 다수의 타이 바; 각각의 타이 바를 고정몰드의 두께와 가동몰드의 두께의 합에 따라 결정되는 위치에서 가동형판에 분리가능하게 결합시키는 커플링수단 및; 가동형판이 몰드 교환 작업을 위한 공간을 형성하도록 뒤쪽 위치에 있을 때, 몰드 교환작업에 방해가 되는 다수의 타이 바 중 적어도 하나를 후진시키는 타이 바 후퇴수단; 을 구비한다.
몰드 클램핑 장치, 베이스, 이동식 평판, 고정식 평판, 피니언, 커플링

Description

몰드 클램핑 장치 {MOLD CLAMPING APPRATUS}
도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몰드 클램핑 장치를 일부 절개하여 나타
낸 정면도이다.
도2는 도1의 Ⅱ-Ⅱ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3은 도2의 Ⅲ-Ⅲ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4는 도1에 상응하는 정면도로서, 도1에서 타이 바가 빠져나온 몰드 클램핑 장치를 도시한 것이다.
도5는 종래의 몰드 클램핑 장치를 일부 절개하여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6은 도5에 상응하는 정면도로서, 도5의 타이 바가 빠져나온 종래의 몰드 클램핑 장치를 도시한 것이다.
본 고안은 다이캐스팅 기계나 사출 성형 기계 등을 위한 몰드 클램핑 장치에 관한 것으로, 공간 절약형 구조를 가지며 몰드 교환을 쉽게 할 수 있도록 된 몰드 클램핑 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5와 도6은 소위 복합형 몰드 클램핑 장치를 도시한 것으로, 이는 예컨대 일본 특허 공개공보 제1998-296736호에 기재된 바와 같은 유압구동기구와 전기구동기구의 조합을 포함하고 있다. 이 몰드 클램핑 장치는 고정된 고정몰드(11)를 장착하기 위한 고정형판(12)과, 이동가능한 가동몰드(13)를 장착하기 위한 가동형판(12)을 구비한다. 가동형판(14)은 고정형판(12)의 맞은편에 위치하고, 베이스(15)에 구비되나 도시되지 않은 안내부를 따라 도5에서 좌우로 이동가능하다.
베이스(15)는 가동형판(14)의 양쪽(도5에서 가동 형판(14)의 가까운 쪽과 먼쪽)에 예컨대 각각 서보모터를 갖춘 한 쌍의 구동부(16)와, 예컨대 각각 볼 스크루 샤프트(17)를 갖춘 한 쌍의 몰드 개폐 수단을 구비하는데, 상기 볼 스크루 샤프트(17)는 정방향과 역방향으로 구동부(16)에 의해 회전될 수 있다. 참조부호 18은 볼 스크루 사프트(17)의 앞쪽 끝을 회전하면서 지지하는 베어링을 나타낸 것이다. 가동형판(14)에 장착된 볼 스크루 너트(19)는 볼 스크루 샤프트(17)에 나선이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가동형판(14)은 볼 스크루 샤프트(17)의 정회전에 의해 고정형판(12)에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움직이는 한편, 가동형판(14)은 볼 스크루 샤프트(17)의 역회전에 의해 고정형판(12)으로부터 멀리 이동되어서, 몰드가 열리고 닫히게 되는 것이다.
몰드 클램핑 실린더(20)는 고정형판(12)의 네 군데의 모서리에 구비되고, 몰드 클램핑 피스톤(21)은 각각의 몰드 클램핑 실린더(20)에 끼워진다. 도5에서 타이 바(22)의 오른쪽 끝은 몰드 클램핑 피스톤(21)에 제거가능하게 삽입되어 있다. 홈 (23)은 타이 바(22)의 오른쪽 끝에 형성되어있고, 개폐가능하며 몰드 클램핑 피스톤(21)의 오른쪽 끝에 구비되어 있는 클램프(24)는 상기 홈(23)에 분리가능하게 맞물리게 된다.
타이 바(22)는 가동형판(14)을 관통하여 도5의 왼쪽으로 뻗어 있고, 다수의 홈(25;스크루로 될 수 있음)이, 가동형판(14)으로부터 돌출되어 나온 타이 바(22)의 외주면에 동일한 피치로 형성되어 있다. 가동형판(14)에 장착된 하프 너트(26)는 각각 고리모양의 홈에 분리가능하게 맞물리고, 도시되지 않은 구동장치에 의해 개폐되며, 가동평판(14)에 타이 바(22)를 해제가능하게 결합시키는 커플링 수단을 구성하게 된다.
이 몰드 클램핑 장치는 다음과 같이 몰드 개폐 작동과 몰드 클램핑 작동을 수행하는데, 고정몰드(11)는 고정형판(12)에 장착되고, 가동몰드(13)는 가동형판(14)에 장착되어 있다.
몰드가 닫힐 때, 하프 너트(26)는 타이 바(22)와 가동형판(14) 사이의 결합을 해제하도록 개방된다. 그 후에, 볼 스크루 샤프트(17)는 회전하면서, 고정몰드(11)와 가동몰드(13)가 완전히 닫히기 바로 전의 위치로 가동형판(14)을 이동시키게 된다. 다음으로, 하프 너트(26)가 닫히고 몰드 클램핑 실린더(20)가 피스톤(21)을 오른쪽으로 이동시킴으로써, 타이 바(22)는 도5에서 오른쪽으로 당겨지게 되며. 고정몰드(11)와 가동몰드(13)는 단단하게 조여진다. 반대로 몰드가 열릴 때에는, 몰드 클램핑 실린더(20)의 몰드 클램핑 피스톤(21)이 왼쪽으로 이동하여 도5에서 타이 바(22)를 왼쪽으로 소정의 거리만큼 밀어내어서, 몰드의 조임을 풀어주게 된 다. 그 후에, 하프 너트(26)는 타이 바(22)와 가동형판(14) 사이의 결합을 해제하도록 열리게 되며, 볼 스크루 샤프트(17)가 회전함으로써 가동형판(14)을 뒤쪽으로 이동시킨다.
종래의 전기 및 유압구동기구를 구비하는 복합형 몰드 클램핑 장치는, 가동형판(14)에 직접 결합된 실린더나 연결 메커니즘에 의해 가동형판(14)을 움직이게함으로써 몰드를 조이거나 개폐시키는 유압구동형의 몰드 클램핑 장치와 비교하여 구조를 축소시킬 수 있는 특징을 가진다.
그러나, 종래의 복합형 몰드 클램핑 장치는 몰드 교환 작업과 관련되어 다음과 같은 문제점을 갖는바, 도6은 몰드 교환시 가동형판(14)의 위치를 나타낸 것으로, 도6에 도시된 것과 같이 몰드 교환 작업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고정형판(12)의 밖으로 타이 바(22)의 오른쪽 끝을 당겨서 고정형판(12)의 몰드가 장착되는 쪽에 몰드 교환을 위한 공간을 확보해야 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종래의 몰드 클램핑 장치를 이용하여 몰드 교환을 원활하게 실행하기 위하여, 상기 장치는 가동형판(14)을 몰드의 통상적인 개폐의 최대 후방 한계위치로부터 도6에 도시된 위치로 더욱 뒤쪽으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되어야 한다. 그러므로, 종래의 장치는 타이 바(22)가 고정형판(12)으로부터 충분히 멀리 이동할 수 있도록 가동몰드(14)의 왕복운동하는 이동거리(行程)가 길게 되어서, 원활한 몰드 교환이 이루어질 수 있게 작동 공간을 확보하게 된다. 따라서, 단지 몰드 교환을 위해 긴 베이스(15), 긴 이동거리를 가진 볼 스크루 샤프트(17) 등을 사용해야 하는데, 이것은 장치의 소형화에 방해가 된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공간 절약형 구조를 가지며 몰드 교환을 쉽게 할 수 있는 몰드 클램핑 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몰드 클램핑 장치를 제공하는 바,이는 베이스와; 이 베이스에 고정되고서 고정몰드를 장착시키기 위한 고정형판; 이 고정형판의 맞은 편에 위치하고서 상기 베이스에 이동가능하게 위치되며 가동몰드를 장착시키도록 된 가동형판; 이 가동형판을 고정형판으로부터 멀리 또는 가깝게 멀리 움직이게 하는 몰드 개폐수단; 상기 고정형판에 구비된 다수의 몰드 클램핑 실린더; 이 몰드 클램핑 실린더에 끼워지는 몰드 클램핑 피스톤; 한 끝이 각 몰드 클램핑 피스톤에 분리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고 가동형판을 관통하여 뻗어 있는 다수의 타이 바; 각각의 타이 바를 고정몰드의 두께와 가동몰드의 두께의 합에 따라 결정되는 위치에서 가동형판에 분리가능하게 결합시키는 커플링수단 및; 가동형판이 몰드 교환 작업을 위한 공간을 형성하도록 뒤쪽 위치에 있을 때, 몰드 교환작업에 방해가 되는 다수의 타이 바 중 적어도 하나를 후진시키는 타이 바 후퇴수단;을 구비한다.
본 발명에 따른 몰드 클램핑 장치는, 고정형판과 가동형판 사이의 몰드 교환 작업을 위한 공간을 확보하기 위해서, 고정형판의 밖으로 타이 바를 당기는 타이 바 후퇴수단을 구비한다. 이 타이 바 후퇴수단을 구비함으로써, 몰드 교환시 타이 바만 뒤쪽으로 이동할 수 있으면서, 가동형판을 몰드의 통상적인 개폐의 최대 후방한계위치에, 즉 가동형판이 최대후방 한계위치로부터 더 뒤쪽으로 이동되지 않고 보유지지될 수 있게 된다. 이는 가동형판의 이동범위를 최소화시키며, 원활한 몰드 교환이 이루어질 수 있는 작업공간을 확보함과 더불어, 장치를 소형화시킬 수 있게 한다.
이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도1에서부터 도4를 참조로 하여 설명한다. 도1 내지 도4까지에 도시된 몰드 클램핑 장치에서, 도5와 도6에 도시된 종래의 장치의 같은 구성요소에는 같은 참조부호를 부여한다.
도1을 참조하면, 고정몰드(11)는 베이스(15)의 한쪽 끝에 고정된 고정형판(12)에 장착되며, 가동몰드(13)는 고정형판(12)의 반대편에 있는 가동형판(14)에 장착된다. 가동형판(14)은 베이스(15)에 구비되나 도시되지 않은 안내부를 따라 좌우로 움직일 수 있게 되어 있다.
베이스(15)에서 가동형판(14)의 양쪽(도1에서 가동형판(14)의 가까운 쪽과 먼 쪽, 도1에는 가까운 쪽이 도시됨)은, 예컨대 각각 서보모터를 갖춘 한 쌍의 몰드 개폐수단을 구비하는데, 상기 볼 스크루 샤프트(17)는 정방향과 역방향으로 구동부에 의해 회전될 수 있다. 참조부호 18은 볼 스크루 샤프트(17)의 앞쪽 끝을 회전하면서 지지하는 베어링을 나타낸 것이다. 가동형판(14)에 장착된 볼 스크루 너트(19)는 볼 스크루 샤프트(17)에 나선이동가능하게 결합된다. 가동형판(14)은 볼 스크루 샤프트(17)의 정회전에 의해 고정형판(12)에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움직이는 한편, 가동형판(14)은 볼 스크루 샤프트(17)의 역회전에 의해 고정형판(12)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되어서, 몰드가 열리고 닫히게 되는 것이다.
몰드를 조인 후 몰드 조임력을 발생시키는 몰드 클램핑 실린더(20)는 고정형판(12)의 네 모서리에 구비되어 있고, 몰드 클램핑 피스톤(21)은 각각의 몰드 클램핑 실린더(20)에 미끄럼이동가능하게 끼워진다. 도 1에서 타이 바(22A)의 오른쪽 끝은 4개의 몰드 클램핑 피스톤(21)에 제거가능하게 삽입되어 있다. 홈(23)은 타이 바(22A)의 오른쪽 끝에 형성되어 있고, 개폐가능하고 몰드 클램핑 피스톤(21)의 오른쪽 끝에 구비되어 있는 클램프(24)는 상기 홈(23)에 분리가능하게 맞물리게 된다.
타이 바(22A)는 가동형판(14)을 관통하여 도1의 왼쪽으로 뻗어 있고, 다수의 홈(25;스크루로 될 수 있음)이 가동형판(14)으로부터 돌출되어 나온 타이 바(22)의 끝부분에 동일한 피치로 형성되어 있다. 가동형판(14)에 장착된 하프 너트(26)는 고리모양의 홈(26)에 각각 분리가능하게 맞물리게 된다. 각각의 하프 너트(26)는 도시되지 않은 구동장치에 의해 개폐되며, 가동형판(14)에 타이 바(22A)를 해제가능하게 결합시키는 커플링 수단을 구성하게 된다.
도1과 도5를 비교해 보면, 본 발명에 따른 몰드 클램핑 장치의 베이스(15A)는 도5에 도시된 종래의 몰드 클램핑 장치의 베이스(15)보다 더 짧다. 특히, 가동형판(14)은 도1에서 베이스(15A)의 왼쪽 끝까지 후진하여 움직일 수 있고, 도4에서 도시된 가동형판(14)의 위치는 몰드의 통상적인 개폐에서 가동형판의 최대 후방 한계위치(최대 이동거리 S)에 상응하게 되어 결국 볼 스크루 샤프트(17A)도 도5의 볼 스크루 샤프트(17)보다 더 짧게 된다.
본 발명의 몰드 클램핑 장치에서, 타이 바(22A)는 도3에 도시된 것과 같이 타이 바(22A)의 거의 전체 길이에 걸쳐서 길이 방향으로 뻗어있는 랙(30)을 구비한다. 피니언(32)과 함께 이 랙(30)은 타이 바(22A)를 예정된 후퇴위치로 후진시키는타이 바의 후퇴수단을 구성한다.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 실시예에서, 두 개의 평행한 샤프트(31)는 가동 형판(14)에 장착된다. 각각의 타이 바(22A)의 랙(30)에 맞물리는 피니언(32)은 샤프트(31)에 부착되어 있다. 샤프트(31)는 클러치(33)를 통하여 서보모터와 같은 구동부(34)에 연결되어서 정방향 혹은 역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피니언(32)은 랙(30)에 맞물리면서 회전하여, 소정의 거리만큼 타이 바(22A)를 길이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도2에서 참조부호 27은 고정형판(12)으로부터 가깝거나 먼 방향으로 가동형판이 움직일 수 있도록 가동형판(14)을 지지하는 가이드 레일을 나타낸 것이다.
이제, 위와 같은 구성을 가진 몰드 클램핑 장치의 작동이 설명된다. 몰드의 개폐나 몰드의 조임을 위한 통상의 작동은 전술한 종래의 장치의 작동과 같으므로 그 설명은 생략하고, 몰드 교환 작업에 관한 설명만 하기로 한다.
먼저, 클러치(33)가 구동부(34)로부터 샤프트(31)를 분리하도록 연결이 떨어지고, 하프 나사(26)는 타이 바(22A)가 고리모양의 홈(25A)과 연결되어 있는 것을해제하도록 개방된다. 다음으로, 구동부(16)의 서보모터가 작동되면서 볼 스크루 샤프트(17A)를 회전시켜서, 가동형판(14)을 도4에 도시된 것과 같이 최대 후방 한 계위치로 움직이게 한다.
이어서, 클램프(24)는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열리고, 클러치(33)는 구동부(34)를 샤프트(31)에 연결시키도록 맞물리게 된다. 그 후에 구동부(34)의 서보 모터는 작동을 시작하여 각 서보 모터의 회전이 샤프트(31)를 통해 피니온(32)으로 전달된다. 피니온(32)이 회전하면서 타이 바(22A)에 구비된 랙(30)과 맞물리게 되어, 타이 바(22A)를 도4의 왼쪽으로 움직이게 한다. 이러한 작동이 이루어지는 동안, 타이 바(22A)만 후진하며 가동형판(14)은 최대 후방 한계위치에 고정된 채로 남아있게 된다. 도4에서 타이 바(22A)의 오른쪽 끝은 몰드 클램핑 피스톤(21)의 밖으로 이동하여 마침내 고정형판(12)으로부터 소정 거리의 위치에 다다르게 되는데, 도4에 도시된 것과 같이 고정형판(12)의 왼쪽에 몰드 교환을 위한 공간이 형성되게 된다.
그 후에 도1에 나타난 것과 같이, 고정몰드(11)와 가동몰드(13)는 고정형판(12)의 왼쪽으로 이동된다. 구동부(16)가 작동되고, 볼 스크루 샤프트(17A)에 의해 가동형판(14)을 고정형판(12)쪽으로 전진시켜서, 고정몰드(11)와 가동몰드(13)가 고정형판(12)과 가동형판(14)사이에 유지되어, 몰드들(11,13)이 각각 평판들(12,14)에 장착될 수 있다.
다음에는, 구동부(34)의 서보 모터가 반대로 작동되며, 각 서보모터의 회전이 샤프트(31)로부터 피니온(32)으로 전달된다. 피니온(32)은 랙(30)과 맞물리면서 회전하여 타이 바(22A)를 도4의 오른쪽으로 이동시켜서, 타이 바(22A)의 오른쪽 끝이 몰드 클램핑 피스톤(21)에 끼워지게 된다. 클램프(24)는 도1에 도시된 바와 같 이 닫혀지며 타이 바(22A)를 몰드 클램핑 피스톤(21)에 결합시키게 된다. 그 후에 클러치(33)는 구동부(34)로부터 샤프트(31)를 분리하도록 연결이 해제된다. 압축 오일은 몰드 클램핑 실린더(20)의 몰드 개방쪽에 있는 오일챔버로 공급되어서, 몰드 클램핑 피스톤(21)이 도1의 왼쪽으로 조금 움직이게 된다. 이때, 가동형판(13)은 고정형판(11)으로부터 약간 떨어지게 된다. 각각의 하프 너트(26)가 닫히며, 몰드들(11,13)의 두께에 상응하는 위치에서 고리모양의 홈(25)과 맞물리게 되어서 몰드 교환이 완료된다. 통상의 몰드 개폐와 몰드 클램핑의 작동이 그 후에 이루어지며, 매 작동마다 하프 너트(26)가 열리고 닫히게 된다.
본 발명이 특히 상기 실시예를 참조로 하여 도시되고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은 특정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하게 변화 또는 수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위에 설명된 실시예에서는 네 개의 타이 바(22A)가 고정형판(12)의 밖으로 모두 당겨지도록 되어 있지만, 예를 들어 몰드교환을 방해할 수 있는 단지 하나 또는 두 개의 상부 타이 바(22A)만 당겨질 수도 있다. 몰드의 통상의 개폐에서 타이 바(22A)에 의해 안내되어 가동형판(14)이 움직일 때, 피니언(32)은 랙(30)과 맞물리면서 회전을 한다. 상기 실시예에 따른 샤프트(31)와 구동부(34) 사이에 클러치(33)가 구비됨으로써 구동부(34)가 헛돌게 되는 것을 막아주고 부수적인 로드가 증가되는 것도 방지한다. 로드가 무시될 수 있는 경우에 클러치(33)는 생략되고 구동부(34)는 샤프트(31)에 직접 연결될 수 있다. 게다가, 샤프트(31)와 피니온(32) 사이에 클러치를 끼우는 것도 가능하다. 또 피니언(32)을 랙(30)에 분리가능하게 할 수도 있다. 또한, 서보모터와 같은 구동부(16)에 의해 회전되게 구동되는 볼 스크 루 샤프트(17A)와 볼 스크루 너트(19)로 이루어진 전기구동식 기구를 몰드개폐수단으로 이용하는 것 대신에, 유압실린더와 피스톤으로 이루어진 유압구동식 기구를 사용할 수도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가동형판의 이동범위를 최소화시키며, 원활한 몰드 교환이 이루어질 수 있는 작업공간을 확보함과 더불어, 장치를 소형화시킬 수 있게 된다.

Claims (8)

  1. 베이스와; 이 베이스에 고정되고서 고정몰드를 장착시키기 위한 고정형판; 이 고정형판의 맞은 편에 위치하고서 상기 베이스에 이동가능하게 위치되며 가동몰드를 장착시키도록 된 가동형판; 이 가동형판을 고정형판으로부터 멀리 또는 가깝게 움직이게 하는 몰드 개폐수단; 상기 고정형판에 구비된 다수의 몰드 클램핑 실린더; 이 몰드 클램핑 실린더에 끼워지는 몰드 클램핑 피스톤; 한 끝이 각 몰드 클램핑 피스톤에 분리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고 상기 가동형판을 관통하여 뻗어 있는 다수의 타이 바; 각각의 타이 바를 고정몰드의 두께와 가동몰드의 두께의 합에 따라 결정되는 위치에서 가동형판에 분리가능하게 결합시키는 커플링수단 및; 상기 가동형판이 몰드 교환 작업을 위한 공간을 형성하도록 뒤쪽 위치에 있을 때, 몰드 교환작업에 방해가 되는 다수의 타이 바 중 적어도 하나를 후진시키는 타이 바 후퇴수단;을 구비하는 몰드 클램핑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타이 바 후퇴수단은, 길이방향을 따라 각 타이 바에 구비되는 랙과, 이 랙과 맞물리고서 가동형판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된 피니언 및, 양방향으로 피니언을 회전시키되 상기 몰드 개폐수단과 별개의 구동시스템을 구성하는 구동부로 이루어지는 몰드 클램핑 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타이 바 후퇴 수단을 상부 및 하부 타이 바의 랙과 맞물림과 동시에 피니언에 회전을 전달하는 전달용 샤프트를 구비하는 몰드 클램핑 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전달용 샤프트에서 피니언으로 회전을 전달하거나, 이 회전전달을 차단시키는 클러치를 추가로 구비하는 몰드 클램핑 장치.
  5. 제 2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랙은 타이 바의 전체 길이에 걸쳐 구비되는 몰드 클램핑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는 몰드의 통상적인 개폐시 가동형판의 최대 이동거리(最大行程, maximum stroke)에 상응하는 길이를 갖는 몰드 클램핑 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몰드 개폐수단은 가동형판을 앞뒤로 움직이게 하는 볼 스크루 기구와, 이 볼 스크루 기구를 구동시키는 서보모터를 구비하는 전기구동식 몰드 개폐기구로 이루어지는 몰드 클램핑 장치.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볼 스크루 기구의 볼 스크루 샤프트는 몰드의 통상적인 개폐시 가동형판의 최대 이동거리에 상응하는 길이를 갖는 몰드 클램핑 장치.
KR1020060013015A 2005-02-15 2006-02-10 몰드 클램핑 장치 KR10073409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5-00037016 2005-02-15
JP2005037016A JP4684675B2 (ja) 2005-02-15 2005-02-15 型締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92066A KR20060092066A (ko) 2006-08-22
KR100734099B1 true KR100734099B1 (ko) 2007-06-29

Family

ID=368159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13015A KR100734099B1 (ko) 2005-02-15 2006-02-10 몰드 클램핑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7316260B2 (ko)
JP (1) JP4684675B2 (ko)
KR (1) KR100734099B1 (ko)
CN (1) CN100344429C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K2324941T4 (da) * 2008-08-07 2020-05-18 Loramendi S Coop Indretning til at aktivere en lukkeplade i en vertikal, kasseløs formstøbemaskine og maskine omfattende nævnte indretning
AT507717A1 (de) * 2008-12-16 2010-07-15 Engel Austria Gmbh Schliesseinheit für eine spritzgiessmaschine
DK2357050T3 (da) * 2010-02-10 2013-01-02 Loramendi S Coop Formemaskine til kasseløs formning
CN102398339B (zh) * 2010-09-17 2014-07-23 和硕联合科技股份有限公司 模具传递装置及模具系统
KR101813549B1 (ko) * 2011-05-06 2018-01-02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분할 마스크와 그 분할 마스크를 포함한 마스크 프레임 조립체의 조립장치
US20130287885A1 (en) * 2012-04-27 2013-10-31 Athena Automation Ltd. Two-platen hybrid injection molding machine
CN103029235B (zh) * 2012-12-07 2015-04-22 上海龙腾科技股份有限公司 夹紧送模机构
KR101442540B1 (ko) * 2012-12-31 2014-09-30 주식회사 우레아텍 몰드캐리어의 클램퍼 구동방법
KR101432505B1 (ko) * 2012-12-31 2014-08-22 주식회사 우레아텍 몰드 캐리어
AT14944U1 (de) * 2015-02-27 2016-09-15 Engel Austria Gmbh Schließeinheit einer Formgebungsmaschine
CN108044051A (zh) * 2017-12-14 2018-05-18 重庆同益机械有限公司 一种变速箱箱体的铸造模具
CN110744778B (zh) * 2019-12-03 2020-06-26 上海金通塑料模具制品有限公司 一种注塑机加工用换模结构
CN111496216B (zh) * 2020-04-21 2024-08-06 宁波铝台精机有限公司 一种具有锁模力测试功能的压铸装置
CN112140486A (zh) * 2020-09-09 2020-12-29 苏州锦珂塑胶科技有限公司 二板式注塑机的电动开合模系统
CN112223641A (zh) * 2020-09-24 2021-01-15 安徽安缆模具有限公司 一种注塑模具开模装置
CN112207255B (zh) * 2020-10-20 2021-11-09 临沂天阔铸造有限公司 一种高效率压铸模具
CN113478764A (zh) * 2021-07-02 2021-10-08 伯乐智能装备有限公司 一种注塑机拉杆的防折断结构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94632A (ko) * 2003-05-01 2004-11-10 도시바 기카이 가부시키가이샤 형체결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4429053Y1 (ko) * 1967-01-24 1969-12-02
JPS5555255U (ko) * 1978-10-09 1980-04-14
CH654780A5 (en) * 1982-03-25 1986-03-14 Netstal Ag Maschf Giesserei Apparatus for advancing and withdrawing units to be exchanged of a machine
JPS60132708A (ja) * 1983-12-21 1985-07-15 Nissei Plastics Ind Co 成形機の型締装置
JPS61193821A (ja) * 1985-02-22 1986-08-28 Fanuc Ltd 射出成形機の型締装置
DE3821312A1 (de) * 1988-06-24 1989-12-28 Zimmermann Wolfgang Das spritzgusswerkzeug mit auswechselbarem formnesteinsatz
JPH084911B2 (ja) * 1989-01-30 1996-01-24 宇部興産株式会社 成形機用型締装置
US5542465A (en) * 1994-11-10 1996-08-06 Wolniak; Robert T. Die space access system for tie-bar style die-casting machines
JPH09201857A (ja) * 1996-01-30 1997-08-05 Toshiba Mach Co Ltd 射出成形機
JP3562209B2 (ja) 1997-04-23 2004-09-08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インサート成形機構
JP3481820B2 (ja) * 1997-04-30 2003-12-22 東芝機械株式会社 射出成形機等の複合型締装置
CN2432037Y (zh) * 2000-06-29 2001-05-30 凯美塑胶机械股份有限公司 中空成型机的塑料胚胎夹持定位及吹制成型装置
US6439876B1 (en) * 2000-10-30 2002-08-27 Husky Injection Molding Systems, Ltd. Injection molding machine having a platen for uniform distribution of clamping forces
US6866500B2 (en) * 2001-10-17 2005-03-15 Sony Corporation Clamping apparatus
US20030217829A1 (en) * 2002-05-21 2003-11-27 Baron Frank D.R. Clamping assembly for two platen die cast machin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94632A (ko) * 2003-05-01 2004-11-10 도시바 기카이 가부시키가이샤 형체결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6224303A (ja) 2006-08-31
CN100344429C (zh) 2007-10-24
KR20060092066A (ko) 2006-08-22
US20060182844A1 (en) 2006-08-17
JP4684675B2 (ja) 2011-05-18
US7316260B2 (en) 2008-01-08
CN1820924A (zh) 2006-08-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34099B1 (ko) 몰드 클램핑 장치
JP4489509B2 (ja) 型締装置
JP5803939B2 (ja) 型締装置及び成形品押出方法
JP5382137B2 (ja) 押出プレス
US7179409B2 (en) Die clamping apparatus and die clamping method
JPH084911B2 (ja) 成形機用型締装置
JP5637447B2 (ja) 射出成形機の型締装置と押出方法
JP2016013565A (ja) 成形装置
JP3582826B2 (ja) 型締装置における型締連係装置
JP3927066B2 (ja) 型締装置
JP3886730B2 (ja) 電動式トグル型締装置及び電動式ハーフナット開閉装置
JP3530232B2 (ja) 型締装置におけるタイバー抜取り装置
JP2001088181A (ja) 射出成形機の型締装置
JP2000185345A (ja) 複合直圧式型締装置のタイバーロック装置
JP4435935B2 (ja) 射出成形機の型締装置
JP2003136572A (ja) 型締装置
JP3657563B2 (ja) エジェクタ装置
JP2003340827A (ja) 型締装置
CN219648660U (zh) 一种新型的调模结构、压铸机及注塑机
JPH05169454A (ja) 成形機の型締装置
JP3562717B2 (ja) 牽引式電動射出成形機
JPH0692105B2 (ja) 射出成形機における型締装置
JPS62124062A (ja) 加圧成形用型締装置
JP3570528B2 (ja) 射出圧縮成形装置
JPH0428202B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60210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6111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70330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70625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70625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0610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0527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0611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31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0531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03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0603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01

Year of fee payment: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0601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27

Year of fee payment: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527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30

Year of fee payment: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530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18

Year of fee payment: 12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618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18

Year of fee payment: 13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618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621

Start annual number: 15

End annual number: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