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715204B1 - 광대역 무선통신시스템에서 고속 공통 제어 채널 통신 장치및 방법 - Google Patents

광대역 무선통신시스템에서 고속 공통 제어 채널 통신 장치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15204B1
KR100715204B1 KR1020050120344A KR20050120344A KR100715204B1 KR 100715204 B1 KR100715204 B1 KR 100715204B1 KR 1020050120344 A KR1020050120344 A KR 1020050120344A KR 20050120344 A KR20050120344 A KR 20050120344A KR 100715204 B1 KR100715204 B1 KR 1007152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ck
nack
repetition coefficient
information
nack repetition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501203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노선
문용석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1203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15204B1/ko
Priority to CNA2006101656174A priority patent/CN1992579A/zh
Priority to EP06125837A priority patent/EP1796303A3/en
Priority to US11/636,916 priority patent/US7949924B2/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152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15204B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12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 H04L1/16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in which the return channel carries supervisory signals, e.g. repetition request signals
    • H04L1/18Automatic repetition systems, e.g. Van Duuren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12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 H04L1/16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in which the return channel carries supervisory signals, e.g. repetition request signals
    • H04L1/18Automatic repetition systems, e.g. Van Duuren systems
    • H04L1/1829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the receiver end
    • H04L1/1858Transmission or retransmission of more than one copy of acknowledgement messag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12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 H04L1/16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in which the return channel carries supervisory signals, e.g. repetition request signals
    • H04L1/18Automatic repetition systems, e.g. Van Duuren systems
    • H04L1/1867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the transmitter end
    • H04L1/1896ARQ related signal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0001Systems modifying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ink quality, e.g. power backoff
    • H04L1/0002Systems modifying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ink quality, e.g. power backoff by adapting the transmission rate
    • H04L1/0003Systems modifying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ink quality, e.g. power backoff by adapting the transmission rate by switching between different modulation schem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0001Systems modifying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ink quality, e.g. power backoff
    • H04L1/0009Systems modifying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ink quality, e.g. power backoff by adapting the channel cod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0001Systems modifying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ink quality, e.g. power backoff
    • H04L1/0023Systems modifying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ink quality, e.g. power backoff characterised by the signalling
    • H04L1/0025Transmission of mode-switching ind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12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 H04L1/16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in which the return channel carries supervisory signals, e.g. repetition request signals
    • H04L1/18Automatic repetition systems, e.g. Van Duuren systems
    • H04L1/1812Hybrid protocols; Hybrid automatic repeat request [HARQ]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Detection And Prevention Of Errors In Transmiss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광대역 무선통신시스템에서 고속 공통 제어 채널 통신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복합 자동 재전송(HARQ)을 위한 제어정보를 송신하기 위한 방법은, 수신기로부터 피드백되는 ACK/NACK을 모니터링해서 ACK/NACK 반복계수의 조정이 필요한지 판단하는 과정과, 상기 조정이 필요하다고 판단된 경우, 상기 ACK/NACK 반복계수를 결정하는 과정과, 상기 결정된 ACK/NACK 반복계수에 따른 제어정보를 소정 제어채널을 통해 상기 수신기로 송신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상향링크 채널상황을 바로 알 수 있는 기지국에서 ACK/NACK 반복계수를 조정하여 단말로 신속하게 전송함으로써, 채널상황에 실시간 적으로 적응하여 원하는 정보를 필요한 시간에 획득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HS-SCCH, HSDPA, 채널화 코드 조합, ACK/NACK 반복계수

Description

광대역 무선통신시스템에서 고속 공통 제어 채널 통신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COMMUNICATING HIGH SPEED SHARED CONTROL CHANNEL IN WIDEBAND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도 1은 전형적인 HSDPA 통신시스템에서 사용되는 HS-SCCH와 HS-PDSCH의 구조를 도시하는 도면.
도 2는 전형적인 HSDPA 통신시스템에서 OVSF 코드 트리(code tree)를 도시하는 도면.
도 3은 종래기술에 따른 HSDPA 통신시스템에서 HS-PDSCH 전송에 사용되는 코드 개수와 코드 트리 상의 위치를 결정하기 위한 CCS 결정 테이블을 도시하는 도면.
도 4는 전형적인 HSDPA 통신시스템에서 제어정보를 교환하는 절차를 도시하는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HSDPA 통신시스템에서 HS-PDSCH 전송에 사용되는 코드 개수와 코드 트리 상의 위치를 결정하기 위한 CCS(Channelized Code Set) 결정 테이블을 도시하는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고속 하향링크 패킷 접속(HSDPA) 통신시스 템에서 고속 공통 제어 채널(HS-SCCH)을 전송하기 위한 송신기의 구조를 도시하는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고속 하향링크 패킷 접속(HSDPA) 통신시스템에서 기지국의 동작 절차를 도시하는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고속 하향링크 패킷 접속(HSDPA) 통신시스템에서 고속 공통 제어 채널(HS-SCCH)을 수신하기 위한 수신기의 구조를 도시하는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고속 하향링크 패킷 접속(HSDPA) 통신시스템에서 단말의 동작 절차를 도시하는 도면.
본 발명은 광대역(Wideband) 부호분할다중접속(CDMA: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무선통신시스템에서 고속 공통 제어 채널(HS-SCCH : High Speed Shared Control Channel) 송수신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고속 공통 제어 채널을 통해 ACK/NACK 반복계수(Repetition Factor)를 송수신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동 통신 시스템은 음성 위주의 서비스 제공에서 벗어나 데이터 서비스 및 멀티미디어 서비스 제공을 위해 고속, 고품질의 무선 데이터 패킷 통신시스템으로 발전해 가고 있다.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및 3GPP2를 중심으로 진행된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및 1xEV-DV(Evolution in Data and Voice)에 대한 개발 추세는 3세대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2Mbps 이상의 고속, 고품질의 무선 데이터 패킷 전송 서비스에 대한 해법을 찾기 위한 노력의 대표적인 반증이라 볼 수 있다.
무선 통신에서 고속, 고품질의 데이터 서비스를 저해하는 요인은 대체적으로 무선 채널 환경에 기인한다. 무선통신 채널은 백색 잡음 외에도 페이딩에 의한 신호 전력의 변화, 쉐도잉(Shadowing), 단말기의 이동 및 빈번한 속도 변화에 따른 도플러 효과, 타 사용자 및 다중경로 신호에 의한 간섭 등으로 인해 채널 환경이 자주 변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의 고속 무선 데이터 패킷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기존 2세대 혹은 3세대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제공되던 일반적인 기술 외에 채널 변화에 대한 적응 능력을 높일 수 있는 다른 진보된 기술이 필요하다. 기존 시스템에서 채택하고 있는 고속 전력 제어 방식도 채널 변화에 대한 적응력을 높여주지만, 고속 데이터 패킷 전송 시스템 표준을 진행하고 있는 3GPP, 3GPP2에서는 적응 변조/코드(AMC : Adaptive Modulation and Coding) 기법 및 복합 재전송(HARQ: Hybrid Automatic Repeat Request) 기법이 공통적으로 언급되고 있다.
상기 적응 변조/코드 기법은 하향링크(Downlink)의 채널 환경의 변화에 따라 변조 방식과 채널 부호기의 부호율을 변화 시켜주는 방법이다. 일반적으로, 단말에서는 하향링크의 신호 대 잡음 비(SNR : Signal to Noise Ratio)를 측정하여 이에 대한 정보를 상향링크를 통해 기지국으로 전송하고, 기지국은 이 정보를 바탕으로 하향채널의 환경을 예측하고 그 예측된 값을 바탕으로 적절한 변조방식과 채널 부호화기의 부호율을 지정한다.
또한, 상기 복합재전송(Hybrid ARQ) 기법은 초기에 전송된 데이터 패킷에 에러가 발생했을 경우, 상기 오류 패킷을 보상해 주기 위해 패킷을 재전송하는 기법이다. 상기 복합재전송 기법은 체이스 컴바이닝(CC : Chase Combining) 기법, 전체 리던던시 증가(FIR : Full Incremental Redundancy) 기법 및 부분적 리던던시 증가(PIR : Partial Incremental Redundancy) 기법으로 구분할 수 있다. 간단히 살펴보면, 상기 CC 기법은 재전송 시 초기 전송과 동일한 전체 패킷을 단순 전송하는 방식이고, 상기 FIR 방식은 동일한 패킷 대신에 채널부호기에서 발생하는 잉여비트(redundancy bits)로만 이루어진 패킷을 재전송하는 방식이며, 상기 PIR 기법은 정보비트(information bites)와 새로운 잉여비트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패킷을 재전송하는 방식이다.
상기 적응 변조/코드 기법과 복합재전송 기법은 링크의 변화에 대한 적응능력을 높여주기 위한 독립적인 기술이지만 상기 두 방식을 결합해서 사용하면 시스템의 성능을 크게 개선시킬 수 있다. 즉, 상기 적응 변조/코드 방식에 의해 하향채널 상황에 적합한 변조방식 및 채널 부호 화기의 부호율이 결정되면 이에 대응하는 데이터 패킷이 전송되고, 수신단에서는 상기 전송된 데이터 패킷에 대한 복호화에 실패할 경우 재전송을 요구한다. 그러면, 기지국은 상기 수신단의 재전송 요구를 받아들여 미리 정해진 복합재전송 방식에 의거 소정의 데이터 패킷을 재전송한다.
상술한 기법들을 지원하기 위해서, 사용자 단말과 기지국간에 해당 관련 제 어신호들을 교환할 필요가 있다. 특히, 상기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통신시스템에서 이러한 제어신호들을 운반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제어채널을 고속 공통 제어채널(HS-SCCH : High Speed Shared Control Channel)이라 한다. 즉, 상기 HS-SCCH는 사용자 데이터를 운반하는 고속 하향링크 공통채널(HS-PDSCH : High Speed Physical Downlink Shared Channel)에 관련된 제어신호들을 운반한다.
도 1은 HSDPA 통신시스템에서 사용되는 HS-SCCH와 HS-PDSCH의 구조를 도시하고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HS-SCCH(110)는 HS-PDSCH(120)보다 2 슬롯 이전에 전송되며, HS-PDSCH(120)의 복조를 위해 필요한 제어정보를 운반한다.
상기 HS-PDSCH(120)의 복조를 지원하기 위한 제어정보의 종류는 하기 <표 1>과 같다.
1st part 2nd part
채널화 코드 조합 정보(7비트) 전송블럭(TB) 크기 정보(6비트)
변조방식 정보(1비트) HARQ 프로세스 아이디(3비트)
잉여 및 성상 버전 정보(3비트)
신규데이터 지시자(1비트)
사용자 식별자(16비트)
상기 HS-SCCH(110)은 3개의 슬롯들로 구성되는데, 첫 번째 슬롯은 채널화 코드 조합 정보와 변조방식 정보를 운반하고, 이후 두 슬롯들은 전송블럭 크기 정보, HARQ 프로세스 아이디, 잉여 및 성상 버전 정보, 신규데이터 지시자, 사용자 식별자 등을 운반한다. 이와 같이, 두 개의 부분으로 나누는 이유는 상기 HS-PDSCH(120)를 복조하기 위해 가장 기본이 되는 정보(채널화 코드 조합 정보, 변조방식 정보)를 신속히 획득하기 위해서이다.
상기 HS-SCCH를 통해 전송되는 제어정보에 대해 보다 자세히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우선, 채널화 코드 조합(CCS : Channelized Code Set) 정보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HSDPA 통신시스템은 확산계수(SF : Spreading Factor)가 16인 최대 15개의 OVSF(Orthogonal Variable Spreading Factor) 코드들을 사용한다. 상기 채널 코드화 조합 정보는 HS-PDSCH가 몇 개의 채널화 코드들을 이용해 전송되는지를 알려주는 정보이다. 상기 CCS 정보는 상기 표 1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이 7비트로 전송되며, 단말은 상기 CCS 정보를 통해 역확산 수행에 필요한 채널화 코드의 개수와 코드의 종류를 획득한다.
도 2는 HSDPA 통신시스템에서 OVSF 코드 트리(code tree)를 도시하고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각 채널화 코드(OVSF 코드)는 코드 트리의 위치에 따라 C(i,j)로 나타낼 수 있다. 상기 C(i,j)에서 변수 i는 확산 계수를 나타내고, 변수 j는 코드 트리에서 맨 좌측으로부터의 순서를 나타낸다. 일 예로, C(16,0)는 확산계수가 16이며, 좌측으로부터 첫 번째에 위치하는 OVSF 코드를 의미한다.
상기 도 2는 확산계수 16을 기준으로 7번째부터 16번째까지, 즉 C(16,6)에서 C(16,15)까지 10개의 OVSF 코드들을 HS-PDSCH를 위해 할당한 예를 도시한 것이다. 여기서, 사용 가능한 다수개의 OVSF 코드들은 다수의 단말들에게 다중화될 수 있다. 각 단말에게 할당할 코드 개수와 코드 트리 상의 위치는 기지국에서 결정되며, HS-SCCH의 CCS를 통해 사용자들에게 전송된다.
도 3은 종래기술에 따른 HSDPA 통신시스템에서 HS-PDSCH 전송에 사용되는 코드 개수와 코드 트리 상의 위치를 결정하기 위한 CCS결정 테이블을 도시하고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테이블의 세로축 인덱스는 클러스터 코드 지시자(3비트)를 나타내고, 가로축 인덱스는 트리 오프셋 지시자(4비트)를 나타낸다. 상기 클러스터 코드 지시자와 상기 트리 오프셋 지시자를 연접하여 CCS 정보를 구성한다. 단위 사각형에서 위 숫자 m은 할당된 코드의 개수를 나타내고, 아래 숫자 Δ는 코드 트리의 왼쪽/오른쪽으로부터 오프셋(offset)을 나타낸다. 예를들어, 1/1은 1번 채널화 코드를 하나 할당한 경우이고, 3/2는 2번부터 3개의 채널화 코드들(2번, 3번, 4번)을 할당한 경우이다.
기지국과 단말 모두 도 3과 같은 CCS결정 테이블을 관리하고 있다. 기지국은 상기 CCS결정 테이블을 이용해서 CCS 정보를 구성하여 단말로 전송하고, 상기 단말은 수신된 CCS 정보를 가지고 상기 CCS 결정 테이블을 접근하여 할당받은 채널화 코드들(확산 코드들)을 획득한다.
다음으로, 변조방식(MS : Modulation Scheme) 정보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적응 변조/코드(AMC) 기법은 채널환경에 따라 채널 부호기의 부호율과 변조기의 변조방식을 적응적으로 변경하는 방법이다. QPSK(Quadrature Phase Shift Keying)와 16QAM(16-ary Quadrature Amplitude Modulation)의 두 가지 변조 방식이 사용되는 경우, 기지국은 매 패킷의 전송시마다 단말에게 현재 전송되는 패킷의 변조방식과 부호율에 대한 정보를 전송해 주어야 한다. 여기서, 부호율은 전송블록(TB) 조합과 HS-PDSCH 채널화 코드 조합, 변조 방식 등의 정보에 의해 알 수 있으므로, 기지국은 단말에게 변조 방식에 대한 정보만 제공한다.
다음으로, 전송블럭 크기 정보는 논리채널인 전송채널에서 물리채널로 전송되는 전송블록(TB : Transport Block)의 크기에 대한 정보이다.
다음으로, HARQ 프로세스 아이디(HAP)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HARQ 방식은 ARQ(Automation Retransmission Request) 방식의 전송 효율을 증가시키기 위해 다음과 같은 2가지 방안을 새롭게 적용한 것이다. 첫 번째 방안은 사용자 단말과 기지국 사이에서 재전송 요구 및 응답을 수행하는 것이고, 두 번째 방안은 수신측에서 오류가 발생한 데이터를 일시적으로 저장하였다가 해당 데이터를 재전송 데이터와 결합(combining)하는 것이다.
한편, 전형적인 멈춤-대기(SAW : Stop and Wait) ARQ 방식은 이전 패킷에 대한 ACK를 수신하여야만 다음 패킷을 전송한다. 이와 같이 이전 패킷에 대한 ACK를 수신한 후에 다음 패킷을 전송하면, 전송해야되는 패킷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ACK를 대기하고 있어야 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단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제안된 n-채널 SAW ARQ는 이전 패킷에 대한 ACK를 받지 않은 상태에서 다수의 패킷들을 연속적으로 전송해서 채널의 사용 효율을 높일 수 있다. 즉, 사용자 단말과 기지국 간에 n개의 시분할(time division) 논리채널들(Logical Channels)을 설정하고, 기지국은 HARQ 처리정보에 특정시간 또는 채널번호를 사용하여 해당 패킷이 어느 시분할 채널을 통해 전송되는지를 알린다. 사용자 단말은 상기 HARQ 처리정보를 이용하여 임의의 시점에서 수신한 패킷을 원래의 순서대로 재구성하거나 해당 패킷을 연성 결합(soft combing)할 수 있다. 이와 같이, n개의 논리채널들중 어떤 채널을 통해 데이터 패킷이 전송되는지를 나타내는 것이 HARQ 프로세스 아이디(process ID)이다.
다음으로, 잉여 및 성상 버전 정보(RV : Redundancy Version)에 대해 살펴보기로 한다.
상기 잉여 및 성상 버전 정보는 하기 표 2(RV coding for 16QAM)와 표 3(RV coding for QPSK)에 보여지는 바와 같이, 16QAM과 QPSK에 따라 다르며, s파라미터와 r파라미터와 b파라미터를 포함한다. 여기서, s파라미터와 r파라미터는 레이트 매칭(rate matching)에 이용되는 값이다.
그리고, b파라미터는 표 4에 보여지는 바와 같이 성상도 재배열(constellation rearrangement)에 대한 정보이며, 송신기는 표 4와 같은 4가지 성상도들중 하나를 이용해서 신호를 전송한다.
Xrv (value) s r b
0 1 0 0
1 0 0 0
2 1 1 1
3 0 1 1
4 1 0 1
5 1 0 2
6 1 0 3
7 1 1 0
Xrv(value) s r
0 1 0
1 0 0
2 1 1
3 0 1
4 1 2
5 0 2
6 1 3
7 0 3
b Output bit sequence Operation
0 s1,s2,s3,s4 None
1 s3,s4,s1,s2 Swapping MSBs with LSBs
2
Figure 112005071954319-pat00001
Inversion of the logical values of LSBs
3
Figure 112005071954319-pat00002
1 & 2
다음으로, 신규데이터 지시자(NI : New data Indicator)는 패킷이 초기 전송된 패킷인지 재전송되는 패킷인지를 알려주는 지시자이며, 1비트가 할당된다.
마지막으로, 사용자 식별자(UE ID)는 각 사용자마다 할당받는 고유한 식별자로 단말은 UE ID를 이용하여 매 시간슬롯마다 HS-SCCH 및 HS-PDSCH가 자신에게 할당되어 있는지 여부를 검출한다.
상술한 HS-SCCH를 통해 전송되는 제어정보들은 수신기로부터 피드백되는 정보인 ACK/NACK과 채널품질정보(CQI : Channel Quality Indicator)에 의존하여 결정된다. 즉, 수신기로부터 ACK이 피드백되어 새로운 패킷을 전송하는 경우, 신규 데이터 지시자(NI)를 새로운 데이터(NEW)로 결정한다. 또한, 변조방식(MS)과 채널화 코드 조합(CCS)은 수신기로부터 피드백되는 채널품질정보를 이용해 결정한다.
도 4는 전형적인 HSDPA 통신시스템에서 제어정보를 교환하는 절차를 도시하고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초기에 패킷을 전송하는 경우, 송신단은 신규 데이터임을 수신단에 알려주기 위해 신규데이터 지시자(NI)를 'New'로 세팅하여 전송한다. 또한, Xrv를 이용해 패킷 전송에 사용된 s 파라미터, r 파라미터, b 파라미터를 수신단으로 알려준다.
수신단은 수신되는 제어정보에 근거해서 수신되는 패킷을 디코딩하고, 디코딩 결과 ACK/NACK를 결정하여 상향링크 제어채널(HS-DPCCH : High-Speed Dedicated Physical Control Channel)을 통해 송신단으로 전송한다.
만약, NACK이 피드백되는 경우, 송신단은 해당 패킷을 재전송해야 하므로, 신규데이터 지시자를 "CONTINUE"로 세팅하고, Xrv를 0∼7 중 하나로 설정하여 전송한다. 만약, ACK이 피드백되는 경우, 송신단은 새로운 패킷을 전송해야 하므로, 신규 데이터 지시자를 "NEW"로 세팅하고, Xrv를 0∼7 중 하나로 설정하여 전송한다.
또한, 수신단은 미리 결정된 CQI 피드백 사이클 주기로 하향링크 채널을 측정하여 채널품질정보(CQI)를 송신기로 피드백한다. 이렇게 피드백된 채널품질정보는 변조방식(MS)과 채널화 코드 조합(CCS)을 결정하는데 사용된다.
이하, 송신단에서 전송되는 ACK/NACK에 대해 좀더 자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현재 3GPP 표준에서는 ACK/NACK을 최대 4번까지 반복하여 전송하는 것을 허용한다. 이러한 반복회수를 ACK/NACK 반복계수라 하는데, 단말은 HS-PDSCH 패킷을 수신하고, 수신된 패킷의 오류여부에 따라 ACK 또는 NACK를 상기 반복계수만큼 반복하여 전송한다. 예를들어, 상기 반복계수가 '4'이고, 수신된 패킷의 CRC(Cyclic Redundancy Check) 결과가 ACK인 경우, 단말은 해당 TTI(Transmission Time Interval)와 이후 연속되는 3개의 TTI동안 ACK를 4번 전송한다.
종래기술에 따르면, 상기 ACK/NACK의 반복계수는 단말의 RRC(Radio Resource Control)계층에서 단말의 물리계층으로 전달되는 값으로, 기지국에서의 수신상황을 반영하는데 많은 지연을 겪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상향링크에서의 간섭증가 및 무선채널의 왜곡 등에 의한 ACK/NACK 정보 손실 또는 ACK/NACK 에러 등을 ACK/NACK 반복계수 조정에 보다 빠르게 적용할 수 있는 방안이 필요하다. ACK/NACK 반복계수를 보다 실시간적으로 조정하기 위해서는, 단말보다는 상향링크 채널상태를 바로 알 수 있는 기지국에서 ACK/NACK 반복계수를 조정하는 것이 보다 합리적이라 할 수 있다. 즉, 기지국에서 채널상태에 따라 ACK/NACK 반복계수를 조정하고, 상기 ACK/NACK 반복계수를 보다 빠르게 단말기에게 전송할 수 있는 방안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HARQ 통신시스템에서 제어정보를 효율적으로 전송하여 패킷의 손실을 사전에 방지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HARQ 통신시스템에서 채널상태를 신속히 반영하여 ACK/NACK 반복계수를 결정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HARQ 통신시스템에서 송신단에서 수신단으로 ACK/NACK 반복계수의 조정을 요청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HARQ 통신시스템에서 채널화 코드 조합(CCS)의 예약된(reserves)된 값들을 이용해서 송신단에서 수신단으로 ACK/NACK 반복계수의 조정을 요청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견지에 따르면, 복합자동재전송(HARQ : Hybrid Automatic Repeat Request) 무선통신시스템에서 제어정보를 송신하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 채널상황에 근거해서 ACK/NACK 반복계수를 결정하여 출력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로부터의 ACK/NACK 반복계수를 소정 제어채널을 통해 수신기로 송신하는 채널송신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기로, 상기 ACK/NACK 반복계수를 나타내는 정보는 채널화 코드 조합(CCS: Channelized Code Set)의 예약된(reserved) 값들 중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기로, 상기 소정 제어채널은 하향링크 고속 공통 제어채널(HS-SCCH : High Speed Shared Common Control Channel)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견지에 따르면, 복합자동재전송(HARQ : Hybrid Automatic Repeat Request) 무선통신시스템에서 제어정보를 송신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수신기로부터 피드백되는 ACK/NACK을 모니터링해서 ACK/NACK 반복계수의 조정이 필요 한지 판단하는 과정과, 상기 조정이 필요하다고 판단된 경우, 상기 ACK/NACK 반복계수를 결정하는 과정과, 상기 결정된 ACK/NACK 반복계수에 따른 제어정보를 소정 제어채널을 통해 상기 수신기로 송신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동작 원리를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은 복합 자동 재전송 요구(HARQ : Hybrid Automatic Repeat Request) 통신시스템에서, 송신단에서 수신단으로 ACK/NACK 반복계수(repetition factor)의 조정을 요청하기 위한 방안에 대해 살펴보기로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HSDPA 통신시스템에서 HS-PDSCH 전송에 사용되는 코드 개수와 코드 트리 상의 위치를 결정하기 위한 CCS(Channelized Code Set) 결정 테이블을 도시하고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테이블의 세로축 인덱스는 클러스터 코드 지시자(3비트) 를 나타내고, 가로축 인덱스는 트리 오프셋 지시자(4비트)를 나타낸다. 상기 클러스터 코드 지시자와 상기 트리 오프셋 지시자를 연접하여 CCS 정보를 구성한다. 단위 사각형에서 위 숫자 m은 할당된 코드의 개수를 나타내고, 아래 숫자 Δ는 코드 트리의 왼쪽/오른쪽으로부터 오프셋(offset)을 나타낸다. 예를들어, 1/1은 1번 채널화 코드를 하나 할당한 경우이고, 3/2는 2번부터 3개의 채널화 코드들(2번, 3번, 4번)을 할당한 경우이다.
기지국과 단말 모두 도 5와 같은 CCS결정 테이블을 관리하고 있다. 기지국은 상기 CCS결정 테이블을 이용해서 CCS 정보를 구성하여 단말로 전송하고, 상기 단말은 수신된 CCS 정보를 가지고 상기 CCS결정 테이블을 접근하여 할당받은 채널화 코드들(확산 코드들)을 획득한다.
종래기술에 따른 CCS결정 테이블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맨 마지막 행(row)의 2번째 영역에서 8번째 영역(총 7개의 영역들)을 예비(Reserved) 영역으로 지정하고 있다. 본 발명은 CCS정보 전송에 사용되지 않은 예비 영역을 이용해서 ACK/NACK 반복계수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예를들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5개의 영역들을 이용해서 다음과 같은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 R0 : 현재의 ACK/NACK 반복계수를 유지하면서 ACK/NACK 한번 재전송 요청
- R1 : ACK/NACK 반복계수를 1로 변경
- R2 : ACK/NACK 반복계수를 2로 변경
- R3 : ACK/NACK 반복계수를 3으로 변경
- R4 : ACK/NACK 반복계수를 4로 변경
만약, 현재 ACK/NACK 반복계수가 '1'이고, 상기 채널화 코드 조합(CCS) 정보가 전송되는 일반적인 경우를 가정하면, 기지국은 패킷을 수신할 때마다 이에 상응하는 ACK 또는 NACK을 한번씩 전송한다. 이후, 기지국에서 소정 시간 동안 ACK/NACK의 에러 또는 ACK/NACK 정보비트의 손실을 감지하면, 기지국은 상기 CCS 정보가 전송되던 필드를 이용해서 R2 내지 R4 중 하나를 단말로 전송한다. 한편, 단말은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된 CCS정보를 ACK/NACK 반복계수로 인식하여 이후 ACK/NACK의 반복 전송 횟수를 조정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고속 하향링크 패킷 접속(HSDPA) 통신시스템에서 고속 공통 제어 채널(HS-SCCH)을 전송하기 위한 송신기의 구조를 도시하고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송신기는, 채널화 코드 조합 결정부(602), 변조정보 결정부(604), HARQ 제어부(606), TB크기 결정부(608), 다중화기(622), CRC코더(624), 직렬/병렬 변환기(626), 확산기(628), 합산기(630), 스크램블러(632), 이득조절기(634), 변조부(636) 및 RF처리부(638)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CRC코더(624) 내지 RF처리부(638)는 물리계층에 해당하는 것으로 '채널송신기'로 통칭할 수 있으며, 채널화코드 코드 조합 결정부(602) 내지 다중화기(622)는 물리계층의 상위 계층에 해당하는 것으로 '제어부'로 통칭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먼저 채널화 코드 조합 결정부(602)는 상술한 도 5와 같은 CCS결정 테이블을 구비하며, 고속 하향링크 공통 채널(HS-PDSCH)을 통해 전송될 패 킷의 채널화에 사용될 코드 조합을 결정하고, 상기 코드 조합에 따른 CCS 정보를 CCS결정 테이블에 근거해서 발생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라 상기 채널화 코드 조합 결정부(602)는 HARQ 제어부(606)로부터의 제어신호에 따라 ACK/NACK 반복계수를 지정하기 위한 반복계수 정보를 상기 CCS결정 테이블에 근거해서 발생한다.
변조정보 결정부(604)는 상기 고속 하향링크 공통 채널(HS-PDSCH)을 통해 전송될 패킷에 사용될 변조방식(Modulation Scheme)을 결정하여 출력한다. 상기 변조방식(MS) 정보는 단말로부터 피드백되는 채널품질정보(CQI)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상기 HARQ 제어부(606)는 단말로부터 피드백되는 ACK/NACK를 처리하며, HARQ 서비스에 관련된 신규데이터 지시자(NI), 잉여 및 성상 버전 정보(RV), HARQ 프로세스 아이디 등을 결정하여 출력한다. 본 발명에 따라 상기 HARQ 제어부(606)는 소정 기간동안 ACK/NACK의 에러(또는 손실) 빈도가 소정 임계값(Threshold) 이상일 때 혹은 연속해서 소정 개수의 ACK/NACK 정보들에서 에러(또는 손실)가 감지될 때, ACK/NACK 반복계수를 변경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상기 채널화 코드 조합 결정부(602)로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단말로부터 피드백되는 ACK/NACK의 에러정도에 따라 반복계수를 조정하는 것으로 설명하지만, 다른 실시예로 단말로부터 피드백되는 채널품질정보(CQI)를 이용해서 반복계수를 조정할 수도 있다.
TB 크기 결정부(608)는 상기 고속 하향링크 공통 채널(HS-PDSCH)을 통해 전송될 패킷에 사용될 전송블럭(TB) 크기를 결정하여 출력한다.
다중화기(622)는 상기 채널화 코드 조합 결정부(602)로부터의 채널화 코드 조합 정보(또는 ACK/NACK 반복계수 정보), 상기 변조정보 결정부(604)로부터의 변조방식(MS) 정보, 상기 HARQ 제어부(606)로부터의 NI, RV, HARQ 프로세스 아이디, 상기 TB크기 결정부(608)로부터의 전송블럭 크기(TB size) 정보 등을 다중화하여 슬롯 포맷에 준하는 비트 스트림을 생성하여 출력한다.
CRC코더(624)는 상기 다중화기(622)로부터의 비트 스트림에 CRC를 부가하여 출력한다. 여기서, 상기 CRC는 사용자 식별자(UE ID)에 의해 마스킹될수 있다. 직렬/병렬 변환기(626)는 상기 CRC코더(622)로부터의 비트 스트림을 실수부와 허수부로 구분하여 병렬로 출력한다.
확산기(628)는 상기 직렬/병렬 변환기(626)로부터의 신호들을 미리 설정된 확산코드 Covsf로 확산하고, 동위상 신호와 직교위상 신호로 생성하여 출력한다. 합산기(230)는 상기 확산기(628)로부터의 상기 동위상 신호와 상기 직교위상 신호를 합산하여 출력한다.
스크램블러(632)는 상기 합산기(230)로부터의 신호를 미리 설정된 스크램블링 코드 Cscramble 로 스크램블링하여 출력한다. 이득조정기(643)는 상기 스크램블러(632)로부터의 신호에 소정 채널이득(channel gain)을 곱하여 출력한다.
변조부(636)는 상기 이득조정기(643)로부터의 신호를 미리 설정된 변조방식으로 변조(modulation)하여 출력한다. RF처리부(638)는 변조부(636)로부터의 기저대역 신호를 RF(Radio Frequency)대역 신호로 변환하여 안테나(antenna)를 통해 송신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고속 하향링크 패킷 접속(HSDPA) 통신시스템에서 기지국의 동작 절차를 도시하고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먼저 기지국은 701단계에서 단말로부터 피드백되는 ACK/NACK를 모니터링한다. 그리고 상기 기지국은 703단계에서 상향링크 채널상태에 근거해서 ACK/NACK 반복계수 조정이 필요한지 판단한다. 일 예로, 소정 기간동안 ACK/NACK의 에러(또는 손실) 빈도가 소정 임계값(Threshold) 이상일 때 AC/NACK 반복계수의 조정이 필요하다고 판단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연속해서 소정 개수의 ACK/NACK 정보들에서 에러(또는 손실)가 감지될 때 ACK/NACK 반복계수를 조정할 수 있다. 상술한 예들은 채널상태가 좋지 않아 반복계수를 조정하는 경우를 설명하였지만, 역으로 채널상태가 양호할 경우에도 반복계수를 조정할 수도 있다.
상기 ACK/NACK 반복계수의 조정이 필요하다고 판단되면, 상기 기지국은 705단계로 진행하여 단말로 요청할 ACK/NACK 반복계수를 결정한다. 예를들어, 피드백되는 ACK/NACK 모니터링 결과 채널상태가 나쁘다고 판단되면 상기 반복계수를 현재보다 큰 값으로 조정하고, 채널상태가 양호하다고 판단되면 상기 반복계수를 현재보다 작은 값으로 조정할 수 있다.
상기 단말로 요청할 ACK/NACK 반복계수를 결정한후, 상기 기지국은 707단계로 진행하여 도 5와 같은 CCS결정 테이블을 이용해서 상기 결정된 ACK/NACK 반복계수에 따른 CCS정보(7비트)를 결정한다.
그리고, 상기 기지국은 709단계에서 상기 결정된 CCS 정보를 하향링크 고속 공통제어 채널(HS-SCCH)을 통해 전송될 다른 제어정보들(예 : MS, NI, RV, HAP, TB size 등)과 다중하여 채널 데이터를 생성한다. 이후, 상기 기지국은 711단계에서 상기 채널 데이터를 정해진 규격에 따라 가공하여 상기 고속 공통제어 채널(HS-SCCH)을 통해 단말로 전송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고속 하향링크 패킷 접속(HSDPA) 통신시스템에서 고속 공통 제어 채널(HS-SCCH)을 수신하기 위한 수신기의 구조를 도시하고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수신기는, RF처리부(802), 복조부(804), 디스크램블러(806), I/Q스트림 생성부(808), 곱셈기들(810,812), 채널보상기(814), 병렬/직렬 변환기(816), CRC디코더(818), 역다중화기(820), 제어정보 해석부(82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RF처리부(802) 내지 상기 CRC디코더(818)은 물리계층에 해당하는 것으로 '채널 수신기'로 통칭할 수 있으며, 상기 역다중화기(820) 내지 상기 제어정보 해석부(822)는 물리계층의 상위 계층에 해당하는 것으로 '제어부'로 통칭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먼저 RF처리부(802)는 안테나를 통해 수신되는 RF대역 신호를 기저대역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한다. 복조부(804)는 상기 RF처리부(802)로부터의 신호를 송신측(기지국)에서 사용한 변조방식에 대응하는 방식으로 복조(de-modulation)하여 출력한다.
디스크램블러(806)는 상기 복조부(804)로부터의 신호를 미리 설정된 스크램 블링 코드 Cscramble 로 디스크램블링하여 출력한다. I/Q 스트림 생성부(808)는 상기 디스크램블러(806)로부터의 복소(complex) 형태의 신호를 I비트 스트림과 Q비트 스트림으로 분리하여 출력한다.
곱셈기(810)는 상기 I/Q 스트림 생성부(808)로부터의 I 비트 스트림을 미리 설정된 확산코드 Covsf로 역확산하여 출력한다. 곱셈기(812)는 상기 I/Q 스트림 발생부(812)로부터의 Q 비트 스트림을 미리 설정된 확산코드 Covsf로 역확산하여 출력한다.
채널보상기(814)는 상기 곱셈기들(810,812)로부터의 신호들에 대하여 무선채널을 통과함으로써 발생하는 왜곡(distortion)을 보상하여 출력한다. 병렬/직렬 변환기(816)는 상기 채널보상기(814)로부터의 병렬 신호를 직렬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한다.
CRC디코더(818)는 상기 병렬/직렬 변환기(814)로부터의 신호에 대하여 CRC를 이용해 오류를 검사하고, 오류가 발생하지 않았을 경우 CRC코드가 제거된 신호를 역다중화기(820)로 제공한다. 상기 역다중화기(820)는 상기 CRC디코더(818)로부터의 비트열을 정해진 방식에 따라 역다중화하여 채널화 코드 조합 정보(또는 ACK/NACK 반복계수 정보), 변조방식(MS) 정보, 신규데이터 지시자(NI) 정보, 잉여 및 성상 버전 정보(RV), HARQ 프로세스 아이디, 전송블럭 크기(TB size) 정보를 출력한다.
제어정보 해석부(822)는 상기 역다중화기(820)로부터의 제어정보들을 해석하 여 해당 데이터 패킷을 수신하는데 이용한다. 본 발명에 따라 상기 제어정보 해석부(822)는 수신된 채널화 코드 조합 정보(7비트)를 가지고 상기 도 5와 같은 테이블을 이용해서 수신된 정보가 채널화 코드 조합 정보인지 아니면 ACK/NACK 반복계수 정보인지를 판단한다. 만일, 채널화 코드 조합 정보이면, 상기 데이터 패킷의 역확산에 사용될 확산코드들의 정보를 결정하여 고속 하향링크 공통채널(HS-PDSCH) 수신기로 제공한다. 만일, ACK/NACK 반복계수 정보이면, ACK/NACK 반복계수를 결정하여 상향링크 제어채널(HS-DPCCH) 송신기로 제공한다. 그러면, HS-DPCCH 송신기는 패킷의 오류여부에 따라 ACK 또는 NACK을 상기 반복계수에 따라 소정 횟수 반복하여 기지국으로 전송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고속 하향링크 패킷 접속(HSDPA) 통신시스템에서 단말의 동작 절차를 도시하고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먼저 단말은 901단계에서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되는 고속 공통제어채널(HS-SCCH)을 복조하여 정보데이터를 획득한다. 그리고 상기 단말은 903단계에서 상기 정보데이터의 소정 정보(UE ID)를 검사하여 수신된 제어정보의 해석이 필요한지 검사한다. 이때, 수신된 정보데이터가 자신의 식별자(UE ID)를 포함하고 있을 경우, 수신된 제어정보의 해석이 필요하다고 판단한다.
만일, 상기 제어정보의 해석이 필요 없다면, 상기 단말은 913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수신된 제어정보를 폐기(discard)한다. 만일, 상기 제어정보의 해석이 필요하면, 상기 단말은 905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수신된 제어정보를 해석한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HS-SCCH을 통해 채널화 코드 조합 정보(또는 ACK/NACK 반복계수 정보), 변조방식(MS) 정보, 신규데이터 지시자(NI) 정보, 잉여 및 성상 버전 정보(RV), HARQ 프로세스 아이디, 전송블럭 크기(TB size) 정보 등이 수신되며, 상기 단말은 상술한 제어정보들을 해석하여 해당 제어(또는 처리)를 수행한다.
상기 제어정보를 해석한후, 상기 단말은 907단계에서 상기 해석된 CCS정보가 패킷에 사용된 확산코드가 아닌 ACK/NACK 반복계수를 지정하는지를 판단한다. 만일, 상기 ACK/NACK 반복계수를 지정하는 경우, 상기 단말은 909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CCS정보가 가리키는 ACK/NACK 반복계수를 상향링크 제어채널(HS-DPCCH) 송신기로 전달한다. 그러면, 상기 HS-DPCCH 송신기는 패킷의 오류여부에 따라 ACK 또는 NACK을 상기 반복계수에 따라 소정 횟수 반복하여 기지국으로 전송한다.
만일, 상기 CCS정보가 확산코드 조합을 지정하는 경우, 상기 단말은 911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확산코드 조합을 고속 하향링크 공통채널(HS-PDSCH) 수신기로 전달한다. 그러면, 상기 HS-PDSCH 수신기는 수신되는 패킷을 상기 확산코드 조합에 따른 확산코드들(OVSF 코드들)로 역확산한다.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예를들어, 상술한 실시예에 따른 송신기 및 수신기 구조는 표준 규격 또는 설계자의 의도에 따라 변형이 가능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 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상향링크 채널상황을 바로 알 수 있는 기지국에서 ACK/NACK 반복계수를 조정하여 단말로 빠르게 전송함으로써, 채널상황에 실시간 적으로 적응하여 원하는 정보를 필요한 시간에 획득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시스템 전체 성능을 개선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표준에서 규정한 제어채널의 구조 또는 정보비트의 수 변경 없이 추가적인 정보(ACK/NACK 반복계수) 전송이 가능한 이점이 있다.

Claims (15)

  1. 삭제
  2. 복합자동재전송(HARQ : Hybrid Automatic Repeat Request) 무선통신시스템에서 제어정보를 송신하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
    채널상황에 근거해서 ACK/NACK 반복계수를 결정하며, 상기 결정된 반복계수를 나타내는 정보를 CCS(Channelized Code Set) 테이블로부터 획득하여 출력하는 제어부와,
    상기 ACK/NACK 반복계수를 나타내는 정보는 상기 CCS테이블의 예약된(reserved) 값들 중 하나이며,
    상기 제어부로부터의 ACK/NACK 반복계수를 나타내는 정보를 소정 제어채널을 통해 수신기로 송신하는 채널송신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3. 복합자동재전송(HARQ : Hybrid Automatic Repeat Request) 무선통신시스템에서 제어정보를 송신하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
    채널상황에 근거해서 ACK/NACK 반복계수를 결정하며, 상기 결정된 반복계수를 나타내는 정보를 CCS(Channelized Code Set) 테이블로부터 획득하여 출력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로부터의 ACK/NACK 반복계수를 나타내는 정보를 하향링크 고속 공통 제어채널(HS-SCCH : High Speed Shared Common Channel)을 통해 수신기로 송신하는 채널송신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4. 복합자동재전송(HARQ : Hybrid Automatic Repeat Request) 무선통신시스템에서 제어정보를 송신하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
    수신기로부터 피드백되는 ACK/NACK의 에러를 모니터링하여 채널상황을 판단하며, 상기 채널상황에 근거해서 ACK/NACK 반복계수를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반복계수를 나타내는 정보를 CCS(Channelized Code Set) 테이블로부터 획득하여 출력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로부터의 ACK/NACK 반복계수를 나타내는 정보를 소정 제어채널을 통해 상기 수신기로 송신하는 채널송신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5. 삭제
  6. 복합자동재전송(HARQ : Hybrid Automatic Repeat Request) 무선통신시스템에서 제어정보를 수신하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
    소정 제어채널을 통해 수신되는 CCS(Channelized Code Set)정보를 복조하는 채널수신기와,
    상기 채널수신기로부터의 CCS 정보가 ACK/NACK 반복계수 정보인지 검사하고, 상기 ACK/NACK 반복계수 정보는 상기 CCS 테이블의 예약된(reserved) 값들 중 하나이며, 상기 반복계수 정보일 경우 상기 반복계수 정보에 따라 수신 패킷의 오류여부에 따른 ACK 또는 NACK의 반복 전송 횟수를 결정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7. 복합자동재전송(HARQ : Hybrid Automatic Repeat Request) 무선통신시스템에서 제어정보를 수신하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
    하향링크 고속 공통 제어채널(HS-SCCH : High Speed Shared Common Control Channel)을 통해 수신되는 CCS(Channelized Code Set)정보를 복조하는 채널수신기와,
    상기 채널수신기로부터의 CCS 정보가 ACK/NACK 반복계수를 나타내는지 검사하고, 상기 반복계수를 나타낼 경우 상기 반복계수에 따라 수신 패킷의 오류여부에 따른 ACK 또는 NACK의 반복 전송 횟수를 결정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8. 삭제
  9. 복합자동재전송(HARQ : Hybrid Automatic Repeat Request) 무선통신시스템에서 제어정보를 송신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수신기로부터 피드백되는 ACK/NACK을 모니터링하는 과정과,
    상기 ACK/NACK의 에러 빈도와 임계값(Threshold)을 비교하며, 상기 에러 빈도가 상기 임계값 이상일 때 ACK/NACK 반복계수의 조정이 필요하다고 판단하는 과정과,
    상기 조정이 필요하다고 판단된 경우, 상기 ACK/NACK 반복계수를 결정하는 과정과,
    상기 결정된 ACK/NACK 반복계수에 따른 제어정보를 CCS(Channelized Code Set) 테이블로부터 획득하는 과정과,
    상기 ACK/NACK 반복계수에 따른 제어정보를 소정 제어채널을 통해 상기 수신기로 송신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0. 복합자동재전송(HARQ : Hybrid Automatic Repeat Request) 무선통신시스템에서 제어정보를 송신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수신기로부터 피드백되는 ACK/NACK을 모니터링하는 과정과,
    상기 모니터링 결과 연속해서 특정 개수의 ACK/NACK 정보들에서 에러가 감지될 경우, 상기 ACK/NACK 반복계수의 조정이 필요하다고 판단하는 과정과,
    상기 조정이 필요하다고 판단된 경우, 상기 ACK/NACK 반복계수를 결정하는 과정과,
    상기 결정된 ACK/NACK 반복계수에 따른 제어정보를 CCS(Channelized Code Set) 테이블로부터 획득하는 과정과,
    상기 ACK/NACK 반복계수에 따른 제어정보를 소정 제어채널을 통해 상기 수신기로 송신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1. 복합자동재전송(HARQ : Hybrid Automatic Repeat Request) 무선통신시스템에서 제어정보를 송신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수신기로부터 피드백되는 ACK/NACK을 모니터링해서 ACK/NACK 반복계수의 조정이 필요한지 판단하는 과정과,
    상기 조정이 필요하다고 판단된 경우, 상기 ACK/NACK 반복계수를 결정하는 과정과,
    상기 ACK/NACK 반복계수에 따른 제어정보는 상기 CCS 테이블의 예약된(reserved) 값들 중 하나이며, 상기 결정된 ACK/NACK 반복계수에 따른 제어정보를 CCS(Channelized Code Set) 테이블로부터 획득하는 과정과,
    상기 ACK/NACK 반복계수에 따른 제어정보를 소정 제어채널을 통해 상기 수신기로 송신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2. 복합자동재전송(HARQ : Hybrid Automatic Repeat Request) 무선통신시스템에서 제어정보를 송신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수신기로부터 피드백되는 ACK/NACK을 모니터링해서 ACK/NACK 반복계수의 조정이 필요한지 판단하는 과정과,
    상기 조정이 필요하다고 판단된 경우, 상기 ACK/NACK 반복계수를 결정하는 과정과,
    상기 결정된 ACK/NACK 반복계수에 따른 제어정보를 CCS(Channelized Code Set) 테이블로부터 획득하는 과정과,
    상기 ACK/NACK 반복계수에 따른 제어정보를 하향링크 고속 공통 제어채널(HS-SCCH : High Speed Shared Common Control Channel)을 통해 상기 수신기로 송신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3. 삭제
  14. 복합자동재전송(HARQ : Hybrid Automatic Repeat Request) 무선통신시스템에서 제어정보를 수신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하향링크 고속 공통 제어채널(HS-SCCH : High Speed Shared Common Control Channel)을 통해 수신되는 CCS(Channelized Code Set)정보를 복조하는 과정과,
    상기 CCS 정보가 ACK/NACK 반복계수를 나타내는지 검사하는 과정과,
    상기 ACK/NACK 반복계수를 나타낼 경우, 상기 ACK/NACK 반복계수에 따라 수신 패킷의 오류여부에 따른 ACK 또는 NACK의 반복 전송 횟수를 결정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5. 복합자동재전송(HARQ : Hybrid Automatic Repeat Request) 무선통신시스템에서 제어정보를 수신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소정 제어채널을 통해 수신되는 CCS(Channelized Code Set)정보를 복조하는 과정과,
    ACK/NACK 반복계수 정보는 상기 CCS 테이블의 예약된(reserved) 값들 중 하나이며, 상기 복조된 CCS 정보가 ACK/NACK 반복계수 정보인지 검사하는 과정과,
    상기 ACK/NACK 반복계수 정보일 경우, 상기 ACK/NACK 반복계수 정보에 따라 수신 패킷의 오류여부에 따른 ACK 또는 NACK의 반복 전송 횟수를 결정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KR1020050120344A 2005-12-09 2005-12-09 광대역 무선통신시스템에서 고속 공통 제어 채널 통신 장치및 방법 Expired - Fee Related KR100715204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20344A KR100715204B1 (ko) 2005-12-09 2005-12-09 광대역 무선통신시스템에서 고속 공통 제어 채널 통신 장치및 방법
CNA2006101656174A CN1992579A (zh) 2005-12-09 2006-12-08 在高速共享控制信道上进行发送/接收的设备和方法
EP06125837A EP1796303A3 (en) 2005-12-09 2006-12-11 Apparatus and method for transmitting/receiving high speed shared control channel in wideband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11/636,916 US7949924B2 (en) 2005-12-09 2006-12-11 Apparatus and method for transmitting/receiving high speed shared control channel in wideband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20344A KR100715204B1 (ko) 2005-12-09 2005-12-09 광대역 무선통신시스템에서 고속 공통 제어 채널 통신 장치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15204B1 true KR100715204B1 (ko) 2007-05-07

Family

ID=378757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20344A Expired - Fee Related KR100715204B1 (ko) 2005-12-09 2005-12-09 광대역 무선통신시스템에서 고속 공통 제어 채널 통신 장치및 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7949924B2 (ko)
EP (1) EP1796303A3 (ko)
KR (1) KR100715204B1 (ko)
CN (1) CN1992579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025237A1 (ko) * 2012-08-09 2014-02-13 엘지전자 주식회사 수신 확인 전송 방법 및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080882B (zh) * 2004-10-20 2013-08-21 日本电气株式会社 无线通信系统、移动站、基站以及其中使用的无线通信系统控制方法及其程序
US8743909B2 (en) * 2008-02-20 2014-06-03 Qualcomm Incorporated Frame termination
US8611305B2 (en) * 2005-08-22 2013-12-17 Qualcomm Incorporated Interference cancellation for wireless communications
US9014152B2 (en) 2008-06-09 2015-04-21 Qualcomm Incorporated Increasing capacity in wireless communications
US8594252B2 (en) * 2005-08-22 2013-11-26 Qualcomm Incorporated Interference cancellation for wireless communications
US9071344B2 (en) 2005-08-22 2015-06-30 Qualcomm Incorporated Reverse link interference cancellation
US8630602B2 (en) * 2005-08-22 2014-01-14 Qualcomm Incorporated Pilot interference cancellation
MX2009009245A (es) * 2007-03-01 2009-09-08 Ntt Docomo Inc Dispositivo de estacion de base y metodo de control de comunicacion.
JP4978327B2 (ja) * 2007-06-19 2012-07-18 富士通株式会社 再送制御方法及びその装置
CN101399644B (zh) * 2007-09-26 2012-05-30 电信科学技术研究院 实现混合自动请求重传反馈机制的方法、系统及设备
WO2009084927A1 (en) * 2008-01-03 2009-07-09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packet retransmission employing feedback information
US9203663B2 (en) * 2008-02-01 2015-12-01 Google Technology Holdings LLC Method for signaling a modulation scheme to user equipment in a communication system
KR101520663B1 (ko) * 2008-02-03 2015-05-15 엘지전자 주식회사 레거시 지원을 위한 프리엠블 전송 방법
EP2086267B1 (en) * 2008-02-04 2015-09-30 Samsung Electronics Co., Ltd. Autonomous user equipment transmission power control in communications systems
CN101505208A (zh) * 2008-02-04 2009-08-12 三星电子株式会社 分配上行ack/nack信道的方法
JP5172943B2 (ja) 2008-03-12 2013-03-27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無線通信装置、無線通信システム及び無線通信方法
US9237515B2 (en) 2008-08-01 2016-01-12 Qualcomm Incorporated Successive detection and cancellation for cell pilot detection
US9277487B2 (en) 2008-08-01 2016-03-01 Qualcomm Incorporated Cell detection with interference cancellation
US8392781B2 (en) * 2009-01-13 2013-03-05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Hybrid-ARQ (HARQ) with scrambler
CN101814980B (zh) * 2009-02-25 2013-08-07 电信科学技术研究院 一种实现重复ack/nack传输的方法和装置
US9160577B2 (en) 2009-04-30 2015-10-13 Qualcomm Incorporated Hybrid SAIC receiver
US8539296B2 (en) * 2009-05-11 2013-09-17 Empire Technology Development Llc Coordination of packet and acknowledgment retransmissions
US8787509B2 (en) 2009-06-04 2014-07-22 Qualcomm Incorporated Iterative interference cancellation receiver
CN101997659B (zh) * 2009-08-25 2012-12-26 电信科学技术研究院 配置上行控制资源以及上行控制信息的传输方法及装置
US8831149B2 (en) 2009-09-03 2014-09-09 Qualcomm Incorporated Symbol estimation methods and apparatuses
CA2781588C (en) * 2009-11-23 2015-06-23 Lg Electronics Inc. Ack/nack transmission method and apparatus therefor
WO2011063569A1 (en) 2009-11-27 2011-06-03 Qualcomm Incorporated Increasing capacity in wireless communications
JP6091895B2 (ja) 2009-11-27 2017-03-08 クゥアルコム・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Qualcomm Incorporated 無線通信における容量の増加
CN102237927B (zh) * 2010-04-23 2016-01-20 电信科学技术研究院 接入链路上的信息发送及应答反馈方法、系统和设备
JP5533322B2 (ja) * 2010-06-18 2014-06-25 富士通株式会社 データ転送装置、データ転送方法及びデータ転送プログラム
US8904246B2 (en) * 2012-04-27 2014-12-02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Variable acknowledge rate to reduce bus contention in presence of communication errors
CN103609054B (zh) * 2012-06-01 2016-09-14 华为技术有限公司 多流传输下实现反馈信息重复的方法及装置
CN103595512B (zh) * 2012-08-13 2018-06-22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调度终端的方法及装置、基站
TW201519596A (zh) * 2013-07-11 2015-05-16 Interdigital Patent Holdings 智慧HARQ WiFi系統及方法
US9071431B1 (en) * 2013-09-30 2015-06-30 Sprint Spectrum L.P. Dynamic provision of hybrid-ARQ repetition factor based on subscription service class
CN104811283A (zh) * 2014-01-23 2015-07-29 夏普株式会社 物理上行链路信道配置方法以及基站和用户设备
CN107113118B (zh) * 2015-04-27 2020-01-31 华为技术有限公司 应答消息传输方法和网络设备
CN106452661B (zh) * 2015-08-10 2020-05-22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应答信息的传输方法、装置、基站及终端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3338A (ja) 1996-06-20 1998-01-16 Nippon Denki Ido Tsushin Kk 無線通信機の送信電力自動制御方式
KR20000077141A (ko) * 1999-05-06 2000-12-26 루센트 테크놀러지스 인크 무선 링크를 통한 전송 방법
KR20050004082A (ko) * 2003-07-01 2005-01-12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의 역방향 패킷 데이터 전송 장치 및방법
KR20050098131A (ko) * 2004-04-06 2005-10-11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패킷 통신 시스템에서의 ack/nack 전송 방법및 ack/nack 판정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I20001975A7 (fi) * 2000-09-07 2002-03-08 Nokia Corp Ohjaustietojen signalointimenetelmä
US7564827B2 (en) * 2001-10-19 2009-07-21 Alcatel-Lucent Usa Inc. Adaptive hybrid retransmission method for wireless communications
US7292854B2 (en) * 2002-02-15 2007-11-06 Lucent Technologies Inc. Express signaling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KR100837351B1 (ko) * 2002-04-06 2008-06-12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 시스템의 무선링크 파라미터 갱신 방법
ATE383005T1 (de) * 2002-04-10 2008-01-15 Koninkl Philips Electronics Nv Kommunikationssystem mit arq
US7352722B2 (en) * 2002-05-13 2008-04-01 Qualcomm Incorporated Mitigation of link imbalance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6901063B2 (en) * 2002-05-13 2005-05-31 Qualcomm, Incorporated Data delivery in conjunction with a hybrid automatic retransmission mechanism in CDMA communication systems
AU2003263456A1 (en) * 2002-09-20 2004-04-08 Nokia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indicating hsdpa activity information
MXPA05008613A (es) * 2003-02-13 2005-11-04 Nokia Corp Sistema y metodo para la deteccion de senales de enlace ascendente mejorada y potencia de senales de enlace ascendente reducida.
EP1628428A4 (en) * 2003-05-27 2011-10-19 Fujitsu Ltd RECEIVER AND HYBRID APQ COMMUNICATION SYSTEM
CN1679364A (zh) * 2003-06-27 2005-10-05 三菱电机株式会社 通信系统以及发送台和接收台
JP2005064751A (ja) * 2003-08-08 2005-03-10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移動局装置および移動局装置における受信方法
US20050250497A1 (en) * 2004-05-05 2005-11-10 Amitava Ghosh Acknowledgement method for ACK/NACK signaling to facilitate UE uplink data transfer
WO2005119959A1 (en) * 2004-06-02 2005-12-15 Nokia Corporation Acknowledgement signaling for automatic repeat request mechanisms in wireless networkds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3338A (ja) 1996-06-20 1998-01-16 Nippon Denki Ido Tsushin Kk 無線通信機の送信電力自動制御方式
KR20000077141A (ko) * 1999-05-06 2000-12-26 루센트 테크놀러지스 인크 무선 링크를 통한 전송 방법
KR20050004082A (ko) * 2003-07-01 2005-01-12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의 역방향 패킷 데이터 전송 장치 및방법
KR20050098131A (ko) * 2004-04-06 2005-10-11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패킷 통신 시스템에서의 ack/nack 전송 방법및 ack/nack 판정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025237A1 (ko) * 2012-08-09 2014-02-13 엘지전자 주식회사 수신 확인 전송 방법 및 장치
US9515781B2 (en) 2012-08-09 2016-12-06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acknowledgemen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796303A2 (en) 2007-06-13
US20070150787A1 (en) 2007-06-28
CN1992579A (zh) 2007-07-04
US7949924B2 (en) 2011-05-24
EP1796303A3 (en) 2011-12-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15204B1 (ko) 광대역 무선통신시스템에서 고속 공통 제어 채널 통신 장치및 방법
KR100754552B1 (ko) 고속 순방향 패킷 접속 방식을 사용하는 통신 시스템에서고속 공통 제어 채널 송수신 장치 및 방법
US11765726B2 (en) Radio transmission device and radio transmission method
KR100754727B1 (ko) 복합 자동반복 요구 시스템에서 고속 공통 제어 채널을통한 제어신호의 송수신 방법 및 장치
KR100494251B1 (ko) Arq 송신기, arq 수신기 및 arq 방법
JP4022424B2 (ja) 符号分割多重接続移動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制御データ伝送方法
JP3943040B2 (ja) 高速順方向パケット接続方式を使用する移動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逆方向の送信電力オフセット情報を送受信する装置及び方法
US7450611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TBS information in an HSDPA communication system
EP1408712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electing a modulation scheme.
KR100811843B1 (ko) 광대역 부호분할 다중접속 통신시스템에서 고속공통제어채널 통신 장치 및 방법
JP6472173B2 (ja) マルチセルhsdpaを支援する移動通信システムのためのチャネル品質認識子伝送電力制御方法及び装置
JP4971446B2 (ja) 低オーバーヘッドのパケットデータ伝送および受信モードの制御のための方法および装置
JP3964887B2 (ja) 移動通信システムでの多重アンテナダイバーシティ方式を使用してデータを送受信する装置及び方法
CN100449979C (zh) 控制高速下行分组接入系统支持多阶调制方式的方法
EP1594247A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rmining rate matching parameters for a transport channel in a mobile telecommunication system
EP1566913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transmitting control information for transmission of high-speed packet data in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KR100678156B1 (ko) 무선 패킷 데이터 송신기 및 수신기와 송신 및 수신방법
JPWO2006114855A1 (ja) 送信局、受信局および無線通信方法
KR20030077733A (ko) 고속 순방향 패킷 접속 방식을 사용하는 통신 시스템에서순방향 채널 품질을 보고하기 위한 채널 품질 보고 패턴결정 장치 및 방법
KR20030046539A (ko) 고속 순방향 패킷 접속 방식을 사용하는 통신 시스템에서채널화 코드 할당 정보를 전송하는 장치 및 방법
Assaad et al. High-Speed Downlink Packet Access
JP2010098745A (ja) Cdma無線通信方法
HK1134183B (en) Method and apparatus for low-overhead packet data transmission and control of reception mod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51209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6110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070220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061107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PJ0201 Trial against decision of rejection

Patent event date: 20070319

Comment text: Request for Trial against Decision on Refusal

Patent event code: PJ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070220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J02011S01I

Appeal kind category: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Decision date: 20070427

Appeal identifier: 2007101003009

Request date: 20070319

AMND Amendment
PB0901 Examination by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date: 20070418

Patent event code: PB09011R02I

Comment text: Request for Trial against Decision on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70319

Patent event code: PB09011R01I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date: 20061229

Patent event code: PB09011R02I

B701 Decision to grant
PB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Patent event date: 20070427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B07012S01D

Patent event date: 20070425

Comment text: Transfer of Trial File fo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Patent event code: PB07011S01I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70430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70430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0329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0330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0329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0328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0328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0330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30

Year of fee payment: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330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30

Year of fee payment: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330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29

Year of fee payment: 12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329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