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520663B1 - 레거시 지원을 위한 프리엠블 전송 방법 - Google Patents

레거시 지원을 위한 프리엠블 전송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20663B1
KR101520663B1 KR1020080056805A KR20080056805A KR101520663B1 KR 101520663 B1 KR101520663 B1 KR 101520663B1 KR 1020080056805 A KR1020080056805 A KR 1020080056805A KR 20080056805 A KR20080056805 A KR 20080056805A KR 101520663 B1 KR101520663 B1 KR 10152066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eamble
legacy
repetition factor
mhz
sequenc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568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84991A (ko
Inventor
한승희
노민석
권영현
이현우
김동철
문성호
곽진삼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PCT/KR2009/000508 priority Critical patent/WO2009096756A2/ko
Priority to US12/810,283 priority patent/US9225571B2/en
Publication of KR200900849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8499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206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20663B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7/00Modulated-carrier systems
    • H04L27/26Systems using multi-frequency codes
    • H04L27/2601Multicarrier modulation systems
    • H04L27/2602Signal structure
    • H04L27/2603Signal structure ensuring backward compatibility with legacy syste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7/00Modulated-carrier systems
    • H04L27/26Systems using multi-frequency codes
    • H04L27/2601Multicarrier modulation systems
    • H04L27/2602Signal structure
    • H04L27/261Details of reference signals
    • H04L27/2613Structure of the reference signals
    • H04L27/26132Structure of the reference signals using repeti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7/00Modulated-carrier systems
    • H04L27/26Systems using multi-frequency codes
    • H04L27/2601Multicarrier modulation systems
    • H04L27/2602Signal structure
    • H04L27/261Details of reference signals
    • H04L27/2613Structure of the reference sig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7/00Modulated-carrier systems
    • H04L27/26Systems using multi-frequency codes
    • H04L27/2601Multicarrier modulation systems
    • H04L27/2602Signal structure
    • H04L27/261Details of reference signals
    • H04L27/2613Structure of the reference signals
    • H04L27/26134Pilot insertion in the transmitter chain, e.g. pilot overlapping with data, insertion in time or frequency domai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7/00Modulated-carrier systems
    • H04L27/32Carrier systems characterised by combinations of two or more of the types covered by groups H04L27/02, H04L27/10, H04L27/18 or H04L27/26
    • H04L27/34Amplitude- and phase-modulated carrier systems, e.g. quadrature-amplitude modulated carrier systems
    • H04L27/345Modifications of the signal space to allow the transmission of additional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7/00Modulated-carrier systems
    • H04L27/26Systems using multi-frequency cod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7/00Modulated-carrier systems
    • H04L27/26Systems using multi-frequency codes
    • H04L27/2601Multicarrier modulation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7/00Modulated-carrier systems
    • H04L27/32Carrier systems characterised by combinations of two or more of the types covered by groups H04L27/02, H04L27/10, H04L27/18 or H04L27/26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7/00Modulated-carrier systems
    • H04L27/32Carrier systems characterised by combinations of two or more of the types covered by groups H04L27/02, H04L27/10, H04L27/18 or H04L27/26
    • H04L27/34Amplitude- and phase-modulated carrier systems, e.g. quadrature-amplitude modulated carrier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7/00Modulated-carrier systems
    • H04L27/32Carrier systems characterised by combinations of two or more of the types covered by groups H04L27/02, H04L27/10, H04L27/18 or H04L27/26
    • H04L27/34Amplitude- and phase-modulated carrier systems, e.g. quadrature-amplitude modulated carrier systems
    • H04L27/3405Modifications of the signal space to increase the efficiency of transmission, e.g. reduction of the bit error rate, bandwidth, or average pow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레거시 지원을 위한 프리엠블 전송 방법이 개시된다. 본 방법은 레거시 시스템에 해당하는 제 1 시스템, 및 개선 시스템에 해당하는, 2 이상의 가변 대역폭을 지원하는 제 2 시스템 중 하나 이상을 지원하는 통신 시스템에서 상기 제 2 시스템용 프리엠블을 전송하는 방법으로 볼 수 있으며, 2 이상의 가변 대역폭 중 최소 대역폭을 기준으로 프리엠블 시퀀스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프리엠블 시퀀스를 상기 제 1 시스템용 프리엠블의 반복 계수(Repetition Factor)와 서로 소인 반복 계수를 가지도록 자원 영역에 매핑하여, 상기 자원 영역에 매핑된 프리엠블 시퀀스를 상기 제 2 시스템용 프리엠블로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Preamble, legacy support, repetition factor

Description

레거시 지원을 위한 프리엠블 전송 방법{METHOD FOR TRANSMITTING PREAMBLE FOR LEGACY SUPPORT}
이하의 설명은 이동통신 시스템을 위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 레거시 지원 (Legacy Support)을 위한 프리엠블 생성 및 전송 방법에 대한 것이다.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레거시 시스템(Legacy system)"이란 기존에 이미 정의되어 있는 시스템을 의미하며, "개선 시스템(evolved system)"이란 레거시 시스템에서 진화된 형태이거나 새로이 정의되는 시스템을 의미하는 것으로 가정한다.
한편, "레거시 지원(Legacy support)"이란 개선 시스템과의 송수신 관계에 있어서 레거시 시스템을 지원하는 것을 의미하며, 크게 다음의 두가지 조건을 만족하는 것으로 가정한다.
1) 레거시 기지국(Base Station; 이하 "BS")와 레거시 단말(Mobile Station; 이하 "MS")가 개선 시스템에 아무런 영향을 받지 않고 신호를 송수신하는 것이 가능하며, 레거시 BS와 개선 MS 간에 신호 송수신이 가능.
2) 레거시 시스템과 개선 시스템 모두 가능한 BS는 레거시 MS 및 개선 MS 모두와 신호 송수신이 가능.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레거시 시스템으로서 IEEE 802.16e 시스템을, 개선 시스템으로서 IEEE 802.16m 시스템을 가정하여 설명한다.
먼저, 레거시 시스템의 일례인 IEEE 802.16e 시스템에 대해 간단히 설명한다. 이때 IEEE 802.16e 시스템은 1024 FFT 모드, 즉 10 MHz 대역폭에 따른 것을 가정한다.
도 1은 IEEE 802.16e 시스템의 하향링크 부 프레임 구조를 나타낸다.
도 1에 도시된 하향링크 부 프레임 구조 중 본 발명과 관련된 프리엠블에 대해서만 설명한다. 프리엠블은 1 OFDM 심볼에 해당하며, 매 프레임 최상단에 전송된다. 이러한 프리엠블은 시간/주파수 동기, 셀 탐색, 채널 추정 등의 용도로 활용될 수 있다.
도 2는 IEEE 802.16e 시스템에서 0번째 세그먼트의 프리앰블 부반송파 집합을 나타낸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IEEE 802.16e 시스템에서는 주어진 대역폭 중 양쪽 일부를 보호 대역으로 사용하고, 나머지 영역에 각각의 세그먼트에 대응하는 3개의 섹터를 고려하여 부반송파 3간 간격으로 시퀀스를 삽입하며, 시퀀스가 삽입되지 않는 구간에는 0을 삽입한다. 참고로, 1번째 세그먼트의 프리앰블은 주파수 인덱스 1, 4, 7, 10,..., 844, 847, 849 번째에 삽입되며, 2번째 세그먼트의 프리앰블은 주파수 인덱스 2, 5, 8, 11,..., 845, 848 번째에 삽입된다. 주파수 영역에서 이와 같이 3개 부반송파 간격으로 시퀀스를 삽입하는 경우, 시간 영역에서는 동일 시퀀스를 3번 반복한 것과 동일한 효과를 가진다. 즉, 상술한 IEEE 802.16e 시스템은 프리엠블 반복 계수(Factor)가 3인 경우에 해당한다.
한편, 프리앰블에서 사용되는 시퀀스의 일부는 아래 표 1과 같다.
인덱스 IDcell 세그먼트 시퀀스 값 (16 진수)
0 0 0 A6F294537B285E1844677D133E4D53CCB1F182DE00489E53E6B6E77
065C7EE7D0ADBEAF
1 1 0 668321CBBE7F462E6C2A07E8BBDA2C7F7946D5F69E35AC8ACF7D6
4AB4A33C467001F3B2
2 2 0 1C75D30B2DF72CEC9117A0BD8EAF8E0502461FC07456AC906ADE0
3E9B5AB5E1D3F98C6E
... ... ... ...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프리엠블에 사용되는 시퀀스는 세그먼트 번호와 IDcell 파라미터 값에 의해 결정된다. 정의된 각 시퀀스는 오름차순으로 이진신호로 변환하여 BPSK 변조를 통해 부반송파에 매핑된다. 다시 말하면, 제시된 16진수 수열을 이진수 수열(Wk)로 변환시킨 다음, MSB(Most Significant Bit)부터 LSB(Least Significant Bit)로 Wk를 매핑한다. 이때, 0은 +1로, 1은 -1로 매핑한다. 예를 들면, 인덱스가 0인 0번째 세그먼트에서 Wk는 110000010010... 이므로, 변환된 이진 코드 값은 -1 -1 +1 +1 +1 +1 +1 -1 +1 +1 -1 +1 ... 이다.
IEEE 802.16e 시스템의 프리앰블에서 사용되는 시퀀스는 주파수 영역에서 삽입되는 이진 코드로 구성된다. 이는 이진 코드로 구성할 수 있는 시퀀스들 중 상관관계 특성을 어느 정도 유지하면서 시간 영역으로 변환 시 PAPR(Peak-to-Average Power Ratio)이 낮은 것들을 컴퓨터 탐색을 통해 발견한 시퀀스이다. 다만, 아직 IEEE 802.16e 시스템에 대한 개선 시스템, 즉 IEEE 802.16m 시스템용 프리엠블에 대해서는 구체적으로 제안된 바가 없다.
따라서, 레거시 시스템인 IEEE 802.16e 시스템에서의 상술한 프리엠블을 개선 시스템인 IEEE 802.16m용 프리엠블로 그대로 이용하는 방안을 생각해 볼 수 있으나, 이 경우 다음과 같은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먼저, IEEE 802.16e 시스템은 섹터 또는 세그먼트 기반으로 주파수 영역에서 3칸 간격으로 삽입되어 있다. 예를 들어 섹터 0는 3k, 섹터 1은 3k+1, 섹터 2는 3k+2(k는 정수)에 대응하는 부반송파를 통해 프리엠블을 전송하며, 나머지 부분은 0으로 전송하는 경우를 가정한다. 시간 영역에서 3회 반복 구조를 가지는 프리엠블 수신 신호는 자기 상관(Auto Correlation)을 통해 시간 동기를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한바, 이러한 반복 패턴이 수신단에서도 유지되어야 수신측의 시간 동기 획득에 유리하다. 다만, IEEE 802.16e 프리엠블은 상술한 바와 같이 섹터별로 서로 다른 주파수 위치를 사용하여 전송되는바, 만일 섹터 0, 1 및 2로부터의 프리엠블 신호가 중첩되어 수신되는 경우, 수신단에서는 3칸 간격의 시퀀스 삽입 구조가 파괴되어 수신 신호에서의 반복 파형이 유지되지 못하게 된다. 따라서, 셀 경계에 위치하는 단말의 경우 시간 동기 성능이 크게 열화되거나, 엄청난 복잡도(complexity)의 증가를 필요로 한다.
또한, IEEE 802.16m과 같은 개선 시스템이 가변 대역폭 (scalable bandwidth)를 지원한다고 하면, IEEE 802.16e에서 사용되는 10 MHz에 기반한 프리엠블은 IEEE 802.16m에 적합하지 않게 된다. 예를 들어, 개선 시스템의 지원 가능 대역폭이 5 MHz, 10 MHz, 15 MHz 및 20 MHz라 하면, 최소 전송 대역폭인 5 MHz를 이용하는 시스템에서는 상기 IEEE 802.16e 프리엠블을 그대로 사용할 수가 없다.
또한, 레거시 시스템과 개선 시스템 모두를 동시에 지원해야 하는 경우, 두 시스템은 시분할다중화(이하 "TDM"), 코드분할다중화(이하 "CDM") 및 주파수분할다중화(이하 "FDM) 중 어느 하나로 다중화될 수 있다. 개선 BS는 레거시 BS 및 레거시 MS에 영향을 주지 않고, 개선 MS가 개선 영역(evolved zone) (또는 개선 시스템 지원 영역)이 있다는 것에 대해 인식하도록 하고, 개선 영역의 시작 위치(즉, 타이밍 동기)를 알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지만, 개선 프리엠블로서 레거시 프리엠블을 그대로 사용하거나, 레거시 프리엠블만 사용하면 이러한 기능을 지원하도록 설정하기 어렵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개선 MS에게 프레임내 개선 영역의 위치 및 시작 위치를 알려주지 않는 경우 불필요한 지연이 발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레거시 프리엠블을 전송하고 있는 BS가 있고, MS는 개선 프리엠블 탐색을 시도한 후 일정 시간 검출이 되지 않으면, 레거시 프리엠블 탐색을 시도한다고 가정한다. 이 경우, MS는 레거시 프리엠블이 전송된 시점에서 개선 프리엠블을 탐색하므로 상당히 오랜 시간 동안 무의미한 동작을 수행하게 된다.
아울러, 개선 프리엠블이 레거시 프리엠블과 동일한 반복 패턴을 가지고 있다면, MS는 심볼 동기를 수행한 곳의 프리엠블 지역에서 잘못된 알람(false alarm)을 일으킬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서는 가변 대역폭 지원이 용이하고, 레거시 시스템의 프리엠블과 혼동이 발생하지 않도록 개선 시스템용 프리엠블을 생성하여 전송하는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레거시 BS 및 레거시 MS의 통신에 영향을 주지 않고, 개선 MS가 프리엠블 내 개선 시스템용 영역의 존재 여부 및 개선 시스템용 영역의 시작 위치를 알 수 있도록하는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개선 MS가 레거시 프리앰블에 대한 인식 없이 초기 네트워크에 접속하는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서는 제 1 시스템 및 2 이상의 가변 대역폭을 지원하는 제 2 시스템 중 하나 이상을 지원하는 통신 시스템에서 상기 제 2 시스템용 프리엠블을 전송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방법은 상술한 2 이상의 가변 대역폭 중 최소 대역폭을 기준으로 프리엠블 시퀀스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생성된 프리엠블 시퀀스를 상기 제 1 시스템용 프리엠블의 반복 계수(Repetition Factor)와 서로 소인 반복 계수를 가지도록 자원 영역에 매핑하는 단계; 및 상기 자원 영역에 매핑된 프리엠블 시퀀스를 상기 제 2 시스템용 프리엠블로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제 2 시스템용 프리엠블은 상기 제 1 시스템용 프리엠블과 함께 전송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제 2 시스템용 프리엠블은 상기 제 2 시스템을 지원하는 단말에게 프레임 내에서 상기 제 2 시스템 지원 영역의 존재 및 상기 제 2 시스템 지원 영역의 시작 위치를 알려주는 지시 정보와 함께 전송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지시 정보는 상기 제 1 시스템 전용 기지국 및 상기 제 1 시스템 전용 단말이 판독하지 않는 필드 정보를 이용하여 전송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 지시 정보는 하향링크 프레임 프리픽스(Downlink Frame Prefix: DLFP)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자원 영역 매핑 단계에서, 상기 생성된 프리엠블 시퀀스의 이진 (binary) 형태를 상기 제 1 시스템용 프리엠블의 반복 계수와 서로 소인 반복 계수에 해당하는 간격 단위로 주파수 영역 부반송파에 매핑하는 것일 수 있다.
상술한 실시형태에서 상기 제 1 시스템은 IEEE 802.16e 시스템이고, 상기 제 2 시스템은 IEEE 802.16m 시스템인 경우를 가정해 본다.
이 경우, 상기 2 이상의 가변 대역폭은 5 MHz, 10 MHz, 15 MHz 및 20 MHz이며, 상기 프리엠블 시퀀스는 5 MHz 대역폭을 기준으로 생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시스템용 프리엠블 반복 계수는 3이며, 상기 생성된 프리엠블 시퀀스는 반복계수 1 또는 2를 가지도록 자원 영역에 매핑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개선 시스템의 가변 대역폭을 지원 가능하도록 하며, 개선 시스템용 프리엠블이 레거시 시스템과 서로 소인 반복 계수를 가지도록 설정함으로써, 레거시 시스템의 프리엠블로 인하여 발생할 수 있는 잘못 된 알람 문제를 없애 검출 성능을 개선시킬 수 있다.
또한, 레거시 프리엠블이 가지고 있는 셀 경계에서의 검출 성능이 악화되는 내재적인 문제점을 해결하여, 개선 프리엠블에서는 그러한 문제를 해결하여 검출 성능을 개선 시킬 수 있다.
아울러, 레거시 영역과 개선 영역이 TDM되는 경우, 레거시 프리엠블과 개선 프리엠블을 동시에 전송하여 개선 영역 검출이 용이하도록 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형태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첨부된 도면과 함께 이하에 개시될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형태를 설명하고자 하는 것이며,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유일한 실시형태를 나타내고자 하는 것이 아니다.
이하의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의 완전한 이해를 제공하기 위해서 구체적 세부사항을 포함한다. 그러나, 당업자는 본 발명이 이러한 구체적 세부사항 없이도 실시될 수 있음을 안다. 몇몇 경우, 본 발명의 개념이 모호해지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공지의 구조 및 장치는 생략되거나, 각 구조 및 장치의 핵심기능을 중심으로 한 블록도 형식으로 도시된다. 또한, 본 명세서 전체에서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을 다음과 같은 3가지 측면에 비추어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서는 하나 이상의 가변 대역폭을 지원하는 개선 시스템에서 가장 작은 대역폭을 기준으로 프리엠블을 생성하여 전송하는 방법을 제안한 다. 예를 들어 개선 시스템이 5MHz, 10MHz, 15MHz 및 20MHz의 전송 대역폭을 지원하는 것이 가능하다고 가정하면, 개선 시스템용 프리엠블은 5 MHz를 기준으로 생성하는 것을 제안한다. 이때 실제 프리엠블은 시스템 대역폭 경계 부분의 보호 구간을 고려하여 5 MHz보다 다소 작은 대역폭에 대응하도록 생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통해 가변 대역폭을 지원하는 개선 시스템에서의 프리엠블 설계를 보다 유연하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측면에서는 레거시 지원 모드를 위해 개선 시스템용 프리엠블을 레거시 프리엠블의 반복 계수와 서로 소인 반복 계수를 가지도록 또는 반복 형태를 가지지 않도록 자원 영역에 매핑하는 것을 제안한다. 프리엠블 시퀀스의 자원 영역 매핑은 주파수 영역에서 반복 계수에 대응하는 간격 단위의 부반송파에 시퀀스를 매핑하거나 등간격이 아닌 부반송파에 시퀀스를 매핑하는 것을 생각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개선 프리엠블과 레거시 프리엠블의 반복 계수가 서로 다르기 때문에 MS에서 발생할 수 있는 상술한 잘못된 알람 가능성을 제거하고, MS의 프리엠블 검출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측면에서는 레거시 서비스와 개선 서비스를 동시에 제공하는 시스템에 있어서, 레거시 프리엠블과는 별도로 상기 제안된 개선 프리엠블을 같이 전송하는 것을 제안한다. 이때, 개선 BS는 레거시 MS가 그 정보를 무시하는 하향링크 프레임 프리픽스(Downlink Frame Prefix; 이하 "DLFP")에 유보된 4 bit 중 전부 또는 일부를 이용하여, 개선 영역의 존재 유무를 알릴 수 있다. 이를 통해 개선 BS는 레거시 BS 및 레거시 MS에 영향을 미치지 않고, 개선 MS가 효과적 으로 프레임 내 개선 시스템용 영역의 유무 및 시작 위치를 인지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특히, 상술한 DLFP에 개선 영역의 인식 정보를 알려주는 경우 개선 MS는 MS 구현 우선순위(MS implementation priority)에 관계없이 효과적으로 개선 영역 검색을 수행할 수 있다.
이하, 상술한 본 발명의 각 측면에 대해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제 1 측면 - 가변 대역폭 지원을 위한 프리엠블
본 실시형태에서는 개선 시스템에서 지원하는 대역폭들 중 최소 시스템 대역폭을 기준으로 개선 시스템용 프리엠블을 생성하여 전송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이 프리엠블은 모드 시스템 대역폭에서 동일하게 사용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라 가변 대역폭을 지원하는 개선 시스템용 프리엠블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즉, 도 3에서는 개선 시스템이 B[MHz], 2*B[MHz], 3*B[MHz], 4*B[MHz]의 네 가지 시스템 대역폭을 이용할 수 있다고 가정한다. 여기서 프리엠블은 각 대역폭의 중앙부를 통해 전송되는 것을 가정하며, K[MHz]에 해당하는 것을 가정하였다. 이 경우, 프리엠블은 인접한 주파수 대역에 다른 채널이 할당되는 것을 고려하여 최소 전송 대역폭인 B보다 작게 전송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개선 시스템용 프리엠블을 설계할 경우, 셀 탐색 중인 MS는 지원되는 시스템 대역폭에 관계 없이 K[MHz]만을 탐색하여 셀 탐색을 진행할 수 있으므로, 효율적으로 셀 탐색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제 2 측면 - 레거시 시스템용 프리엠블과 서로 소인 반복 계수를 가지도록 설정
상술한 바와 같이 어떤 신호를 주파수 영역에서 N칸의 등간격으로 삽입하는 것은 시간 영역에서 N번 반복되는 것과 같다. 예를 들어, N=2인 경우에는 시간 영역 신호는 2번 반복되는 형태를 보이고, N=3인 경우에는 3번 반복되는 형태를 보인다. 여기서, 주파수 영역에서 동일 신호가 N칸의 등 간격으로 삽입되고/삽입되거나, 시간 영역에서 신호가 그 신호의 진폭(amplitude) 관점에서 일정 블록 단위로 N번 반복될 때, N을 "반복 계수(repetition factor)"로 정의한다. 또한, 시간 영역에서 블록 단위로 위상은 다르고 진폭이 같은 형태 (예를 들어, A와 Aexp(j*2pi*n/M)의 형태) (여기서, "A"는 벡터(vector), 예를 들어, A=[a0 a1 a2 ... an-1]) 역시 반복 형태라고 정의한다.
도 4 내지 도 8은 신호 반복이 발생하는 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구체적으로, 도 4는 반복 계수(N)가 2이고, 부반송파 인덱스 2k (k은 자연수)에만 시퀀스를 매핑하는 경우를, 도 5는 N이 2이고, 부반송파 인덱스 2k+1(k은 자연수)에만 시퀀스를 매핑하는 경우를 도시하고 있다. 이 경우 시간 영역 신호는 동일 신호가 2회 반복되는 형태로 나타나게 되며,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진폭이 동일하고 위상만 다른 경우 역시 동일 신호의 반복으로 볼 수 있음은 상술한 바와 같다.
또한, 도 6은 N이 3이고 부반송파 인덱스 3k(k은 자연수)에만 시퀀스를 매핑 하는 경우를, 도 7은 N이 3이고 부반송파 인덱스 3k+1(k은 자연수)에만 시퀀스를 매핑하는 경우를, 도 8은 N이 3이고 부반송파 인덱스 3k+2(k은 자연수)에만 시퀀스를 매핑하는 경우를 도시하고 있다. 각각의 경우 모두 시간 영역에서 3회 반복된 형태(위상이 달라지는 경우 포함)를 가짐을 확인할 수 있다.
이러한 원리를 이용하여 개선 시스템용 프리엠블의 반복 계수 조건에 대해 설펴본다. 이하에서, 두 자연수 간의 서로 소는 공약수가 1만 존재하는 관계로서 정의한다.
예를 들어, 반복 계수가 3인 레거시 시스템용 프리엠블 (이하 간단히 "레거시 프리엠블"이라 표기하기도 한다)이 있고, 개선된 시스템용 프리엠블(이하 간단히 "개선 프리엠블"이라 표기하기도 한다)이 레거시 프리엠블을 그대로 사용한다고 가정한다. 이러한 경우, 레거시 프리엠블과 개선 프리엠블은 서로 소가 아닌 동일한 반복 계수를 갖게 된다.
만약, BS가 레거시 프리엠블을 전송하고 있고, 개선 MS는 개선 프리엠블의 탐색을 시도하고 있다고 가정한다. 이때, 개선 MS는 레거시 프리엠블을 마치 개선 프리엠블로 간주하고 해당 위치에서 개선 프리엠블을 찾기 위한 노력을 계속할 것이다. 이러한 잘못된 알람은 단말의 복잡도 및 베터리 소모를 증가시켜 부정적인 영향을 끼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잘못된 알람은 반드시 레거시 프리엠블과 개선 프리엠블이 동일 반복 계수를 가지는 경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반복 계수가 3인 레거시 프리엠블이 있고, 개선 프리엠블의 반복 계수가 3과 서로 소가 아닌 6을 가지는 경우를 가정한다. 이러한 경우에 대해 다음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9는 레거시 프리엠블과 개선 프리엠블의 반복 계수가 서로 소가 아닌 경우 발생 가능한 잘못된 알람의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구체적으로 상단에 도시된 패턴(901)은 반복계수 3을 가지는 레거시 프리엠블의 시간 영역 패턴을 도시한 것이며, 하단에 도시된 패턴(902)은 반복계수 6을 가지는 개선 프리엠블의 시간 영역 패턴을 도시한 것이다. 프리엠블의 시간 동기를 위해 자기 상관을 이용하는 경우,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2개의 윈도우(Window)를 이용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윈도우 0(window0)과 윈도우 1(window1)의 신호 값 사이의 상관(correlation)을 통해서(즉, 수신신호 내에서의 자기 상관을 통해서) 시간 동기를 수행할 수 있다. 이 때, 레거시 프리엠블과 개선 프리엠블의 반복 계수가 서로 소가 아닌 경우에는 각각의 반복 계수가 다르더라도 2개의 윈도우에 의해 검출되는 시퀀스가 동일한 것으로 판정되어 잘못된 알람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형태에서는 개선 프리엠블의 반복 계수를 레거시 프리엠블의 반복 계수와 서로 소가 되도록 설정함으로써, 상술한 바와 같은 모호성(ambiguity) 및 잘못된 알람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레거시 프리엠블의 반복 계수가 3이면, 개선 프리엠블의 반복 계수는 1 또는 2가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레거시 프리엠블이 도 6, 도 7 또는 도 8과 같을 때 (즉, 반복 계수 = 3), 개선 프리엠블의 반복 계수가 1이 되도록 설정한 경우를 도 10에, 개선 프리엠블의 반복 계수가 2가 되는 경우를 도 11 및 도 12에 도시하였다.
도 10 내지 도 12는 레거시 프리엠블의 반복계수가 3일 경우, 본 실시형태에 따른 개선 프리엠블의 바람직한 실시형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구체적으로 도 10은 모든 부반송파에 시퀀스를 매핑시키는 경우, 즉 반복 계수가 1인 경우를 도시하고 있으며, 도 11은 반복 계수가 2가 되도록 부반송파 인덱스 2k (k는 정수)에 시퀀스를 매핑한 예를 도시하고 있다. 또한, 도 12는 반복 계수가 2가 되도록 부반송파 인덱스 2k+1 (k는 정수)에 시퀀스를 매핑한 예를 도시하고 있다. 특히 도 10 및 도 11에서는 DC 구간이 펑처링된 형태를 도시하고 있으며, 이는 DC 부반송파에 매핑되는 신호를 버리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제 3 측면 - 레거시 시스템용 프리엠블과 개선 시스템용 프리엠블의 동시 전송
본 실시형태에서는 레거시 서비스와 개선 서비스를 동시에 제공하는 시스템에서, 개선 시스템의 가변 대역폭 문제를 해결하고, 프레임 내 개선 영역의 존재 및 시작점 인지를 위해 레거시 프리엠블과 개선 프리엠블 모두를 함께 전송하는 것을 제안한다. 이때, 개선 BS는 레거시 MS가 그 정보를 무시하는 특정 제어 필드 정보를 이용하여 프레임 내 개선 서비스 영역의 존재 여부 및/또는 개선 서비스 영역의 시작점 위치 정보를 개선 MS를 위해 알려 줄 수 있다. 상술한 특정 제어 필드로는 레거시 MS가 그 정보를 무시하는 DLFP에 유보된 4 bit의 전부 또는 일부를 이용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될 필요는 없다.
한편, 레거시 시스템과 개선 시스템 모두를 지원해야 하는 경우, 두 시스템 은 TDM/CDM/FDM으로 다중화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용이함을 위해 편의상 각 시스템이 TDM으로 다중화되는 것을 가정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개선 시스템과 레거시 시스템이 TDM으로 다중화되는 경우, 개선 MS는 레거시 BS 및 레거시 MS에 영향을 주지 않고, 프레임 내에서 개선 영역이 있다는 것에 대해 인지하는 것과 함께 개선 영역의 시작 위치(타이밍 동기)를 아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지만 레거시 프리엠블을 개선 프리엠블로서 그대로 이용하거나, 개선 시스템과 레거시 시스템을 동시에 지원하는 경우에도 레거시 프리엠블만을 전송하는 경우, 상술한 바와 같이 개선 MS가 개선 영역의 존재 여부 및 시작점 위치를 알도록 하는 것이 어렵게 된다.
예를 들어, 개선 프리엠블을 같이 전송하지 않고, 개선 영역의 위치를 알아내기 위해 레거시 영역에서 DL-MAP과 같은 제어 시그널링(control signaling)을 통해 상술한 정보를 알려주는 것을 생각할 수 있다. 하지만, 이러한 방법은 레거시 MS의 동작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적합하지 않다.
따라서, 본 실시형태에서는 레거시 MS에 전혀 영향을 주지 않고, 프레임 내 개선 영역의 존재 여부 및 시작점 위치를 개선 MS에게 알려주기 위해, 양 시스템이 동시에 지원되는 경우 레거시 프리엠블과 함께 개선 프리엠블을 동시에 전송하며, 개선 MS에게 레거시 MS가 그 정보를 무시하는 특정 제어 필드를 이용하여 프레임 내 개선 영역의 존재 여부 및 시작점 위치를 알려주는 방식을 제안한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라 레거시 프리엠블과 개선 프리엠블을 동시에 전송하는 형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먼저 도 13에서 좌측은 레거시 영역을 우측은 개선 영역을 나타내었다. 또한, 레거시 시스템의 대역폭은 2B [MHz]로 고정된 것을 가정하며, 개선 시스템은 B, 2B, 3B 및 4B [MHz]가 이용될 수 있는 것을 가정하였다.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경우에 대해 레거시 프리엠블과 동시에 개선 프리엠블이 전송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개선 프리엠블은 개선 시스템의 대역폭 B, 2B, 3B 및 4B [MHz] 중 가장 작은 B [MHz]를 기준으로 생성 및 전송되는 것을 도시하였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개선 시스템용 프리엠블을 새로이 정의하지 않고, 레거시 시스템용 프리엠블을 그대로 사용하는 것이 가지고 있는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개선 시스템의 가변 대역폭을 지원 가능하도록 하며, 개선 시스템용 프리엠블이 레거시 시스템과 서로 소인 반복 계수를 가지도록 설정함으로써, 레거시 시스템의 프리엠블로 인하여 발생할 수 있는 잘못된 알람 문제를 없애 검출 성능을 개선시킬 수 있다.
또한, 레거시 프리엠블이 가지고 있는 셀 경계에서의 검출 성능이 악화되는 내재적인 문제점을 해결하여, 개선 프리엠블에서는 그러한 문제를 해결하여 검출 성능을 개선 시킬 수 있다.
아울러, 레거시 영역과 개선 영역이 TDM되는 경우, 레거시 프리엠블과 개선 프리엠블을 동시에 전송하여 개선 영역 검출이 용이하도록 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개시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당업자가 본 발명을 구현하고 실시할 수 있도록 제공되었다. 상기에서는 본 발 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여기에 나타난 실시형태들에 제한되려는 것이 아니라, 여기서 개시된 원리들 및 신규한 특징들과 일치하는 최광의 범위를 부여하려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프리엠블 전송 방법은 레거시 시스템으로서 IEEE 802.16e 시스템을, 개선 시스템으로서 IEEE 802.16m 시스템을 가정하여 중점적으로 설명하였다. 다만, 본 발명의 적용 범위를 상술한 경우에 한정할 필요는 없으며, 2종 시스템이 동시에 지원 가능한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공통적으로 적용될 수 있다.
도 1은 IEEE 802.16e 시스템의 하향링크 부 프레임 구조를 나타낸다.
도 2는 IEEE 802.16e 시스템에서 0번째 세그먼트의 프리앰블 부반송파 집합을 나타낸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라 가변 대역폭을 지원하는 개선 시스템용 프리엠블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 내지 도 8은 신호 반복이 발생하는 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는 레거시 프리엠블과 개선 프리엠블의 반복 계수가 서로 소가 아닌 경우 발생 가능한 잘못된 알람의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 내지 도 12는 레거시 프리엠블의 반복계수가 3일 경우, 본 실시형태에 따른 개선 프리엠블의 바람직한 실시형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라 레거시 프리엠블과 개선 프리엠블을 동시에 전송하는 형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Claims (14)

  1. 제 1 시스템을 지원하는 제 2 시스템에서 프리엠블을 전송하는 방법에 있어서,
    기결정된 대역폭에 기반하여 생성된 프리엠블 시퀀스를, 상기 제 1 시스템용 프리엠블의 제 1 반복 계수(Repetition Factor)와 서로 소인 제 2 반복 계수를 가지는 다수의 부반송파들에 매핑하는 단계; 및
    상기 제 2 시스템용 제 2 반복계수를 가지도록 매핑된 프리앰블 시퀀스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프리엠블 전송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시스템용 프리엠블은,
    반복 파형(repetition waveform)을 이용한 자기 상관(auto-correlation)을 통한 시간 동기화를 지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엠블 전송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생성된 프리엠블 시퀀스를 위한 이진 값(binary value) 형태는,
    상기 다수의 부반송파들에 매핑된 프리앰블 시퀀스 내에서 상기 제 2 반복 계수에 대응되는 주파수 도메인상의 부반송파 간격 단위로 매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엠블 전송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반복 계수는 3이며, 상기 제 2 반복 계수는 1 또는 2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엠블 전송 방법.
  5. 삭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시스템을 위한 프리앰블은,
    상기 제 1 시스템을 위한 프리엠블과 함께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엠블 전송 방법.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시스템은 IEEE 802.16e 시스템이며, 상기 제 2 시스템은 IEEE 802.16m 시스템인, 프리엠블 전송 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시스템이 지원하는 대역폭은 5 MHz, 10 MHz, 15 MHz 및 20 MHz이며, 상기 프리엠블 시퀀스는 5 MHz 대역폭을 기준으로 생성되는, 프리엠블 전송 방법.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시스템을 위한 프리엠블은,
    프라이머리 동기화 채널(Primary synchronization channel, P-SCH)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엠블 전송 방법.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시스템과 상기 제 2 시스템이 공존하는지 여부를 지시하는 지시 정보를 더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엠블 전송 방법.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지시 정보는,
    하향링크 프레임 프리픽스(Downlink Frame Prefix: DLFP)를 이용하여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엠블 전송 방법.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시스템용 프리엠블은, 상기 제 1 시스템용 프리엠블과 TDM(Time Division Multiplexing) 방식으로 다중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엠블 전송 방법.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리엠블 시퀀스는 DC 부반송파에 할당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엠블 전송 방법.
  14. 삭제
KR1020080056805A 2008-02-03 2008-06-17 레거시 지원을 위한 프리엠블 전송 방법 Expired - Fee Related KR101520663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09/000508 WO2009096756A2 (ko) 2008-02-03 2009-02-02 레거시 지원을 위한 프리엠블 전송 방법
US12/810,283 US9225571B2 (en) 2008-02-03 2009-02-02 Method for transmitting preamble for legacy suppor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581008P 2008-02-03 2008-02-03
US61/025,810 2008-02-0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84991A KR20090084991A (ko) 2009-08-06
KR101520663B1 true KR101520663B1 (ko) 2015-05-15

Family

ID=412052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56805A Expired - Fee Related KR101520663B1 (ko) 2008-02-03 2008-06-17 레거시 지원을 위한 프리엠블 전송 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9225571B2 (ko)
KR (1) KR101520663B1 (ko)
WO (1) WO2009096756A2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026851A1 (ko) * 2015-08-13 2017-02-16 삼성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전자장치의 전력 절감 방법 및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148785B (zh) * 2010-02-05 2014-03-12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lte系统中主同步信号检测与序列生成方法及装置
ES2396019T3 (es) * 2010-12-02 2013-02-18 Kapsch Trafficcom Ag Estimación de canales en un sistema de transmisión OFDM
KR102384606B1 (ko) * 2012-10-05 2022-04-08 인터디지탈 패튼 홀딩스, 인크 Mtc(machine type communication) 디바이스의 커버리지를 향상시키는 방법 및 장치
TW201434287A (zh) * 2013-02-26 2014-09-01 Novatek Microelectronics Corp 時脈內嵌資料的產生裝置及傳輸方法
KR101876361B1 (ko) * 2014-05-23 2018-07-09 후아웨이 테크놀러지 컴퍼니 리미티드 시퀀스 생성 방법과, 시퀀스 생성을 위한 단말기 및 기지국
KR102131654B1 (ko) 2014-08-25 2020-07-08 주식회사 윌러스표준기술연구소 무선 통신 방법 및 이를 이용한 무선 통신 단말
CN114499803B (zh) * 2019-04-04 2024-06-28 华为技术有限公司 发送数据的方法、通信装置、计算机存储介质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29246A (ko) * 2003-06-30 2006-04-05 에이저 시스템즈 인크 데이터 송신 방법, 데이터 수신 방법, 송신기 및 수신기
US20070150787A1 (en) * 2005-12-09 2007-06-28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transmitting/receiving high speed shared control channel in wideband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7289774B2 (en) * 2001-06-22 2007-10-30 Interlego Ag Communications method, apparatus and signal
US20080095195A1 (en) * 2006-10-17 2008-04-24 Sassan Ahmadi Device, system, and method for partitioning and framing communication signals in broadband wireless access networks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388923B2 (en) * 2005-06-07 2008-06-17 Motorola, Inc. Method and system for adaptive control of sub-carriers
KR20070093767A (ko) * 2006-03-15 2007-09-19 삼성전자주식회사 직교주파수분할다중 통신 시스템의 초기 동기 검출 장치 및방법
KR20070065764A (ko) * 2006-03-21 2007-06-25 장승연 다용도 코크
KR100852152B1 (ko) * 2006-12-08 2008-08-13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 접속 시스템의 주파수 오프셋 보상장치 및 그 방법
US8331480B2 (en) * 2007-07-13 2012-12-11 Industrial Technology Research Institute Method of and generator for generating preamble sequences in communication systems
US20100278123A1 (en) * 2007-12-10 2010-11-04 Nortel Networks Limited Wireless communication frame structure and apparatus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289774B2 (en) * 2001-06-22 2007-10-30 Interlego Ag Communications method, apparatus and signal
KR20060029246A (ko) * 2003-06-30 2006-04-05 에이저 시스템즈 인크 데이터 송신 방법, 데이터 수신 방법, 송신기 및 수신기
US20070150787A1 (en) * 2005-12-09 2007-06-28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transmitting/receiving high speed shared control channel in wideband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20080095195A1 (en) * 2006-10-17 2008-04-24 Sassan Ahmadi Device, system, and method for partitioning and framing communication signals in broadband wireless access networks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026851A1 (ko) * 2015-08-13 2017-02-16 삼성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전자장치의 전력 절감 방법 및 장치
KR20170020073A (ko) * 2015-08-13 2017-02-22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전자장치의 전력 절감 방법 및 장치
US10362539B2 (en) 2015-08-13 2019-07-23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device for saving power of electronic device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KR102246464B1 (ko) 2015-08-13 2021-04-30 삼성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전자장치의 전력 절감 방법 및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84991A (ko) 2009-08-06
US9225571B2 (en) 2015-12-29
WO2009096756A3 (ko) 2010-10-14
WO2009096756A2 (ko) 2009-08-06
US20100284358A1 (en) 2010-11-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20663B1 (ko) 레거시 지원을 위한 프리엠블 전송 방법
KR101443633B1 (ko) 새로운 레인징 구조를 이용한 레인징 수행 방법
AU2005275566B2 (en) Method for detecting initial operation mode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employing OFDMA scheme
CN101228727B (zh) 基站、移动台以及方法
US8315330B2 (en) Method of transmitting data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KR101895980B1 (ko)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셀 탐색을 위한 송수신 방법 및 장치
US8638777B2 (en) Method for performing ranging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supporting two wireless communication schemes
CN108270710A (zh) 一种信号传输方法、装置及系统
KR101527613B1 (ko) 다중안테나 시스템에서 동기신호의 전송장치
EP3342229A1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decoding dl phy channels in a narrow band system
KR101578010B1 (ko) 레거시 지원 모드에서 단말의 레인징
US20050281316A1 (en) Method for transmitting/receiving operation mode information in a broadband wireless access communication system
KR101604684B1 (ko) 순환전치길이 정보 전송방법
KR101607846B1 (ko) 무선통신시스템에서 동기 채널 생성 장치 및 방법
EP2308207B1 (en) Unified synchronous ranging channel design and allocation in wireless ofdma systems
JP5490141B2 (ja) 広帯域無線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副同期チャネルの送受信装置及び方法
CN102160408B (zh) 接收下行链路数据帧中的数据的方法、移动台、基站和中继站
KR101497615B1 (ko) 주파수 오버레이를 지원하는 통신시스템에서 보호 대역을데이터 부반송파로 사용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KR20100095991A (ko) 동기 채널의 전송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KR20170049379A (ko) 협대역 무선통신 셀률러 시스템을 위한 동기신호를 구성하는 방법 및 장치, 그리고 이를 송신하는 방법 및 장치
KR101443640B1 (ko) 레거시 정보의 재사용 방법
KR20100003771A (ko) 광대역 무선통신시스템에서 공존모드를 위한 셀 아이디매핑 장치 및 방법
KR20100069541A (ko) 동기 채널 상에서 효과적인 정보 전송 방법
KR20100069557A (ko) 동기 채널 상에서 효과적인 정보 전송 방법
KR20100002589A (ko) 주파수 오버레이를 지원하는 통신시스템에서 보호 대역을데이터 부반송파로 사용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80617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30325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080617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4022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Final Notice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40825

Patent event code: PE09021S02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50305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5051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50512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902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