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712111B1 - 보조 전극 라인을 구비하는 유기전계발광소자 및 그의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보조 전극 라인을 구비하는 유기전계발광소자 및 그의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12111B1
KR100712111B1 KR1020040105900A KR20040105900A KR100712111B1 KR 100712111 B1 KR100712111 B1 KR 100712111B1 KR 1020040105900 A KR1020040105900 A KR 1020040105900A KR 20040105900 A KR20040105900 A KR 20040105900A KR 100712111 B1 KR100712111 B1 KR 10071211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de
conductive pattern
light emitting
layer
organic light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401059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67049A (ko
Inventor
오상헌
Original Assignee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1059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12111B1/ko
Priority to US11/298,871 priority patent/US7728510B2/en
Priority to JP2005357464A priority patent/JP4181168B2/ja
Priority to CNB200510131469XA priority patent/CN100433359C/zh
Publication of KR200600670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6704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121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12111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10OLED displays
    • H10K59/12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 H10K59/131Interconnections, e.g. wiring lines or terminal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3/00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 H05B33/12Light sources with substantially two-dimensional radiating surfaces
    • H05B33/26Light sources with substantially two-dimensional radiating surface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or arrangement of the conductive material used as an electrode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3/00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 H05B33/1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to the manufacture of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05Electrodes
    • H10K50/81Anode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05Electrodes
    • H10K50/82Cathode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9/805Electrodes
    • H10K59/8051Anode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9/805Electrodes
    • H10K59/8052Cathode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10OLED displays
    • H10K59/12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 H10K59/122Pixel-defining structures or layers, e.g. bank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10OLED displays
    • H10K59/12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 H10K59/123Connection of the pixel electrodes to the thin film transistors [TFT]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9/805Electrodes
    • H10K59/8051Anodes
    • H10K59/80516Anodes combined with auxiliary electrodes, e.g. ITO layer combined with metal line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9/805Electrodes
    • H10K59/8052Cathodes
    • H10K59/80522Cathodes combined with auxiliary electrod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기전계발광소자의 보조 전극 라인 형성 시 제 2 전극 전원공급라인과 보조 전극 라인이 콘택(Contact)하도록 형성함으로써 상기 보조 전극 라인 상부의 유기막을 제거하고, 화소 영역 내에 존재하는 유기막을 최소화함으로써 상기 유기막으로부터의 아웃개싱(Out-gassing) 현상으로 인한 유기발광층의 열화에 의한 화소 수축(pixel shrinkage) 현상을 방지하여 제품의 신뢰성을 향상시키는 유기전계발광소자 및 그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유기전계발광소자, 보조 전극 라인, 화소 수축(pixel shrinkage)

Description

보조 전극 라인을 구비하는 유기전계발광소자 및 그의 제조 방법{Organic Electroluminescence Display Device Having Auxiliary Electrode Line and Fabricating of the same}
도 1은 종래의 능동형 유기전계발광소자의 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능동형 유기전계발광소자의 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도전성 패턴 물성의 특성치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 1 도전성 패턴 물성의 온도에 따른 열용량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5는 유기전계발광소자의 막에 따른 큐어링 후 유기 절연막의 두께를 비교한 그래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300 : 기판 310 : 반도체층
320 : 게이트 절연막 330 : 게이트 전극
340 : 층간 절연막 341 : 콘택홀
345 : 소오스/드레인 전극 347 : 제 1 도전성 패턴
350 : 패시베이션막 및 평탄화막 355 : 비아홀
370 : 제 1 전극 371 : 제 2 도전성 패턴
373 : 보조 전극 라인 380 : 유기막층
390 : 제 2 전극
a : 화소 영역 b : 배선 영역
본 발명은 유기전계발광소자 및 그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자세하게는 유기전계발광소자의 보조 전극 라인 형성 시 제 2 전극 전원공급라인과 보조 전극 라인이 콘택(Contact)하도록 형성함으로써 상기 보조 전극 라인 상부의 유기막을 제거하고, 화소 영역 내에 존재하는 유기막을 최소화함으로써 상기 유기막으로부터의 아웃개싱(Out-gassing) 현상으로 인한 유기발광층의 열화에 의한 화소 수축(pixel shrinkage) 현상을 방지하여 제품의 신뢰성을 향상시키는 유기전계발광소자 및 그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평판표시소자(Flat Panel Display Device) 중에서 유기전계발광소자(Organic Electroluminescence Display Device)는 자발광이며, 시야각이 넓고, 응답 속도가 빠르고, 얇은 두께와 낮은 제작비용 및 높은 콘트라스트(Contrast) 등의 특성을 나타냄으로써 향후 차세대 평판표시소자로 주목받고 있다.
통상적으로, 유기전계발광소자는 애노드 전극과 캐소드 전극 사이에 유기발광층을 포함하고 있어 애노드 전극으로부터 공급받는 홀과 캐소드 전극으로부터 받 은 전자가 유기발광층 내에서 결합하여 정공-전자 쌍인 여기자를 형성하고 다시 상기 여기자가 바닥상태로 돌아오면서 발생되는 에너지에 의해 발광하게 된다.
일반적으로 유기전계발광소자는 매트릭스 형태로 배치된 N×M 개의 화소들을 구동하는 방식에 따라 수동 매트릭스(Passive matrix)방식과 능동 매트릭스(Active matrix)방식으로 나뉘어진다. 상기 수동 매트릭스방식은 애노드 전극과 캐소드 전극을 직교하도록 형성하고 라인을 선택하여 구동하며, 반면 능동 매트릭스방식은 표시 영역이 각 화소마다 박막트랜지스터와 커패시터를 각 화소 전극에 접속하여 커패시터 용량에 의해 전압을 유지하도록 하는 구동방식이다.
상기 능동 매트릭스 유기전계발광소자는 각 단위화소가 기본적으로 스위칭 트랜지스터, 구동 트랜지스터, 커패시터 및 EL소자를 구비하며, 상기 구동 트랜지스터 및 커패시터에는 전원공급라인으로부터 공통전원(Vdd)이 제공되며, 상기 전원공급라인은 구동 트랜지스터를 통해 EL소자로 흐르는 전류를 제어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보조 전극 라인은 보조 전원공급라인으로서 제 2 전극에 전원을 공급하여 소오스/드레인 간의 전압과 제 2 전극에 전위차를 형성시켜 전류를 흐르게 한다.
도 1은 종래의 능동형 유기전계발광소자 및 그의 제조 방법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종래의 능동형 유기전계발광소자는 화소 영역(a)과 배선 영역(b)를 포함하는 기판(100) 상에 버퍼층(105)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화소 영역(a)의 버퍼층(105) 상부에는 소오스/드레인 영역들(110a, 110c) 및 채널 영역 (110b)을 포함하는 반도체층(110)이 패터닝되어 형성되어 있다.
이어서, 상기 반도체층(110) 상부 전체에 걸쳐 게이트 절연막(120)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화소 영역(a)의 게이트 절연막(120) 상에 상기 채널 영역(110b)에 대응되도록 게이트 전극(130)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게이트 전극(130) 상부의 기판 전면에 걸쳐 층간 절연막(140)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화소 영역(a)의 층간 절연막(140) 내에 형성되어 있는 콘택홀(Contact Hole)(141)을 통하여 상기 반도체층(110)의 소오스/드레인 영역(110a, 110c)과 소오스/드레인 전극들(145)이 연결되어 있다. 상기 화소 영역(a)의 소오스/드레인 전극(145) 형성 시 상기 배선 영역(b)에도 상기 소오스/드레인 전극(145) 물질과 동일한 물질로 이루어진 제 1 도전성 패턴(147)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 1 도전성 패턴(147)은 보조 전극 라인이 된다. 이로써, 상기 반도체층(110), 게이트 전극(130) 및 소오스/드레인 전극들(145)로 이루어진 박막트랜지스터가 형성된다.
이어서, 상기 소오스/드레인 전극들(145) 및 제 1 도전성 패턴(147) 상부의 기판 전면에 걸쳐 패시베이션막 및/또는 평탄화막과 같은 절연막(150)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배선 영역(b)의 제 1 도전성 패턴(147) 상부에 형성된 절연막(150)은 제 1 도전성 패턴(147)의 상부가 노출되도록 식각을 통해 제거되어 있다.
상기 화소 영역(a)의 절연막(150) 내에 상기 소오스/드레인 전극들(145) 중 어느 하나를 노출시키는 비아홀(155)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비아홀(155)을 통하여 상기 소오스/드레인 전극들(145) 중 어느 하나에 콘택하고 절연막(150) 상으로 연장되도록 제 1 전극(170)이 패터닝되어 형성되어 있다.
이어서, 배선 영역(b)을 제외한 제 1 전극(170) 및 절연막(150) 상부에 개구부를 갖는 화소정의막(175)이 더욱 형성되어 있다. 이어서, 상기 화소 영역(a)의 개구부 내에 노출된 제 1 전극(170) 상에 최소한 유기발광층을 포함하는 유기막층(180)이 패터닝되어 형성되어 있으며, 기판 전면에 걸쳐 상기 유기막층(180) 상부에 제 2 전극(190)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배선 영역(b)의 제 2 전극(190)은 제 1 도전성 패턴(147)을 전기적으로 연결시킨다.
상기 제 1 도전성 패턴(147) 형성 물질은 텅스텐몰리브덴(MoW), 몰리브덴(Mo) 및 텅스텐(W) 등과 같은 물질 중에서 선택되는 1종으로 이루어진다. 이 때, 상기 물질이 갖는 초기 물성의 특성인 열용량이 실리콘 질화막(SiNx)보다 높아 그 차에 의해 실리콘 질화막(SiNx)에 열전달을 잘 시키지 못 하므로 열저항이 높아져 유기막 큐어링 시 영역별로 리플로우(Reflow)가 잘 되지 않고 영역별로 큐어링 효과가 달라져 큐어링 후 영역에 따라 유기막 두께가 달라진다. 이 때, 상기 제 1 도전성 패턴 주변부 및 근접 화소 영역 내에 존재하는 유기막 내 잔류 가스 성분으로 인해 유기발광층으로의 아웃개싱 현상으로 유기발광층의 열화를 통한 화소 수축 현상이 발생하는 문제점을 안고 있다.
또한, 상기 제 1 도전성 패턴 상부에 제 2 전극을 콘택하여 형성하는 경우 화소 영역의 제 1 전극 형성 시 배선 영역의 제 1 도전성 패턴의 금속 물질이 드러나 에천트(etchant)나 현상(develop)에 의해 배선 손상이 발생한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 하기 위한 것으로, 유기전계발광소자의 보조 전극 라인 형성 시 제 2 전극 전원공급라인과 보조 전극 라인이 콘택(Contact)하도록 형성함으로써 상기 보조 전극 라인 상부의 유기막을 제거하고, 화소 영역 내에 존재하는 유기막을 최소화함으로써 상기 유기막으로부터의 아웃개싱(Out-gassing) 현상으로 인한 유기발광층의 열화에 의한 화소 수축(pixel shrinkage) 현상을 방지하여 제품의 신뢰성을 향상시키고자 하는 것이다.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기판,
상기 기판의 화소 영역 상에 형성되어 있으며 반도체층, 게이트 전극 및 소오스/드레인 전극을 포함하는 박막트랜지스터,
상기 기판의 배선 영역 상에 상기 게이트 전극과 동일층에 형성되어 있는 제 1 도전성 패턴,
상기 제 1 도전성 패턴의 일부를 노출시키도록 형성되어 있는 층간 절연막,
상기 기판의 배선 영역을 제외한 박막트랜지스터 상부에 형성되어 있는 패시베이션막 및 평탄화막,
상기 패시베이션막 및 평탄화막 내의 비아홀을 통해 형성되어 있는 제 1 전극 및 제 1 도전성 패턴과 콘택되어 형성되어 있는 제 2 도전성 패턴,
상기 기판의 배선 영역을 제외한 화소 영역 상에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 1 전극을 노출시키는 개구부를 갖는 화소정의막,
상기 노출된 제 1 전극 상부에 형성되어 있으며 유기발광층을 포함하는 유기막층, 및
상기 유기막층 상부에 형성되어 있는 제 2 전극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전계발광소자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기판을 제공하고,
상기 기판의 화소 영역 상에 반도체층, 게이트 전극 및 소오스/드레인 전극을 포함하는 박막트랜지스터를 형성하고,
상기 게이트 전극 형성 시 상기 기판의 배선 영역의 동일층에 제 1 도전성 패턴을 형성하고,
상기 제 1 도전성 패턴의 일부를 노출시키는 층간 절연막을 형성하고,
상기 기판의 배선 영역을 제외한 박막트랜지스터 상부에 패시베이션막 및 평탄화막을 식각하여 형성하고,
상기 패시베이션막 및 평탄화막 내의 비아홀을 통해 제 1 전극을 형성하고,
상기 제 1 전극 형성 시 제 1 도전성 패턴과 콘택되는 제 2 도전성 패턴을 형성하고,
상기 기판의 배선 영역을 제외한 화소 영역 상에 제 1 전극을 노출시키는 개구부를 갖는 화소정의막을 형성하고,
상기 노출된 제 1 전극 상부에 유기발광층을 포함하는 유기막층을 형성하고, 및
상기 유기막층 상부에 제 2 전극을 형성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전계발광소자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하는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능동형 유기전계발광소자의 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능동형 유기전계발광소자는 화소 영역(a)과 배선 영역(b)을 포함하고 있는 기판(300) 전면에 걸쳐 실리콘 질화막, 실리콘 산화막 및 이들의 이중층으로 된 버퍼층(305)이 형성된다. 상기 버퍼층(305) 상의 화소 영역(a)에 다결정 실리콘 또는 비정질 실리콘으로 막을 형성한 다음 패터닝하여 소오스/드레인 영역들(310a, 310c) 및 채널 영역(310b)을 포함하는 반도체층(310)이 형성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반도체층(310)은 다결정 실리콘으로 형성된다.
상기 반도체층(310)을 포함한 기판 상부 전체에 걸쳐 게이트 절연막(320)이 형성된다. 상기 게이트 절연막(320)은 실리콘 질화막, 실리콘 산화막 또는 이들의 이중층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화소 영역(a)의 게이트 절연막(320) 상에 게이트 금속 물질을 증착한 다음 패터닝하여 반도체층(310)의 소정 영역에 대응되는 게이트 전극(330)이 형성된다. 상기 게이트 전극(330)은 몰리브덴(Mo), 텅스텐(W), 텅스텐몰리브덴(MoW), 텅스텐 실리사이드(WSi2), 몰리브데늄 실리사이드(MoSi2) 및 알루미늄(Al) 중 선택되는 1종으로 형성된다. 상기 게이트 절연막(320)의 배선 영역(b) 상에 상기 게이 트 전극(330) 형성 시 동일층에 제 1 도전성 패턴(347)이 형성된다. 상기 제 1 도전성 패턴(347)은 상기 게이트 전극(330) 물질과 동일한 물질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 1 도전성 패턴(347) 형성 시 공통전원공급라인(Vdd) 및 데이터 라인(Vdata)을 동시에 형성하여 데이터 라인, 공통전원공급라인 및 보조 전극 라인 양단에 링크 홀(link hole)을 통해 연결한다.
이어서, 상기 제 1 도전성 패턴(347) 일부를 노출시키도록 상기 게이트 전극(330) 상부의 기판 전면에 걸쳐 층간 절연막(340)이 형성된다.
마스크를 이용하여 n형 또는 p형 불순물 중의 하나를 반도체층(310)으로 주입하여, 상기 반도체층(310)에 소오스/드레인 영역들(310a, 310c) 및 상기 소오스/드레인 영역들(310a, 310c) 사이에 개재된 채널 영역(310b)이 정의된다.
이어서, 상기 화소 영역(a)에는 상기 층간 절연막(340)내의 상기 소오스/드레인 영역을(310a, 310c)을 노출시키는 콘택홀(341)을 포함한 층간 절연막(340) 상에 금속 물질을 증착한 다음 패터닝하여 콘택홀(341)을 통해 상기 반도체층(310)의 소오스/드레인 영역(310a, 310c)과 각각 콘택되는 소오스/드레인 전극들(345)이 형성된다.
이상과 같이, 상기 반도체층(310), 게이트 전극(330) 및 소오스/드레인 전극들(345)은 박막트랜지스터를 형성한다.
이어서, 상기 화소 영역(a)의 박막트랜지스터 및 배선 영역(b)의 제 1 도전성 패턴(347) 상부에 패시베이션막 및 평탄화막(350)이 형성된다. 상기 패시베이션막 및 평탄화막(350)은 절연막 역할을 하며, 보다 자세하게는 상기 패시베이션막은 상부의 오염으로부터 상기 박막트랜지스터를 보호하기 위해 형성되며 실리콘 질화막, 실리콘 산화막 또는 이들의 이중층으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평탄화막은 상기 패시베이션막의 하부 단차를 상쇄시키기 위해 형성되며, 통상적으로 유기계로서 아크릴 수지(Acryl Resin), 벤조사이클로부텐(Benzo Cyclo Butene;BCB), 폴리이미드(polyimide;PI), 폴리아마이드(polyamide;PA) 및 페놀수지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으로 형성된다. 이어서, 상기 평탄화막은 경화를 위해 큐어링 된다.
큐어링 후 상기 배선 영역(b)에 상기 제 1 도전성 패턴(347) 상부의 패시베이션막 및 평탄화막(350)은 식각을 통해 모두 제거된다. 또한, 상기 화소 영역(a)과 배선 영역(b) 사이에 존재하는 패시베이션막 및 평탄화막(350)은 후속 공정에서 제 1 전극이 형성될 영역을 제외하고는 포토성 또는 에치성 식각을 통해 제거된다. 상기 기판의 배선 영역(b)을 제외한 박막트랜지스터 상부에 패시베이션막 및 평탄화막을 형성함으로써, 단차가 작은 균일한 두께의 유기막을 형성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후속 공정의 유기막층 증착 후 유기발광층 내로 상기 유기 평탄화막으로부터 아웃개싱 현상에 의한 유기발광층의 열화를 통한 화소 수축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제 1 도전성 패턴(347) 형성 시 공통전원공급라인(Vdd) 및 데이터 라인(Vdata)은 동시에 형성되며 데이터 라인, 공통전원공급라인 및 보조 전극 양단에 링크 홀(Link Hole)을 통해 연결된다.
이어서, 화소 영역(a)의 패시베이션막 및 평탄화막(350) 내에 상기 소오스 전극/드레인 전극(345) 중 어느 하나를 노출시키는 비아홀(355)이 형성된다. 상기 비아홀(355)을 통하여 상기 소오스/드레인 전극(345) 중 어느 하나와 콘택되는 제 1 전극(370)이 형성된다. 상기 제 1 전극(370)은 애노드 전극일 경우에는 일함수가 높은 ITO(Indium Tin Oxide) 또는 IZO(Indium Zinc Oxide)로 이루어진 투명 전극이거나 하부층에 알루미늄 또는 알루미늄 합금 등과 같은 고반사율의 특성을 갖는 금속으로 이루어진 반사막을 포함하는 투명전극일 수 있다. 상기 제 1 전극이 캐소드 전극인 경우에는 일함수가 낮은 도전성의 금속으로 Mg, Ca, Al, Ag 및 이들의 합금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의 물질로서 두꺼운 두께를 갖는 반사 전극이거나, 얇은 두께를 갖는 반사전극일 수 있다.
이어서, 상기 제 1 전극(370) 형성 시 상기 배선 영역(b)의 제 1 도전성 패턴(347) 상부에 제 2 도전성 패턴(371)이 형성된다. 상기 제 2 도전성 패턴(371)은 상기 제 1 전극(370) 물질과 동일한 물질이며, 상기 제 1 도전성 패턴(347)을 전기적으로 연결시킨다. 상기 제 2 도전성 패턴(371)과 제 1 도전성 패턴(347)은 제 2 전극의 보조 전극 라인을 형성하며, 제 2 전극에 전압을 공급함으로써 IR 드롭(drop)을 방지한다. 또한, 상기 제 2 도전성 패턴(371)의 형성은 상기 화소 영역(a)의 제 1 전극(370) 패터닝 시 에천트(etchant)나 현상(develop)에 의해 제 1 도전성 패턴(347)을 형성하는 금속물질이 드러나는 것을 방지하여 상기 배선 영역(b)의 배선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이어서, 상기 화소 영역(a)의 제 1 전극(370) 상부에 유기물을 적층 후 식각을 통해 개구부를 갖는 화소정의막(375)이 더욱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화소정의막(375)은 유기계로서 폴리이미드(PI), 폴리아마이드(PA), 아크릴 수지, 벤조사이클 로부텐(BCB) 및 페놀수지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으로 형성된다. 상기 제 2 도전성 패턴(371) 상부에 형성되는 화소정의막(375)은 개구부 형성 시 제거되어 형성된다.
이어서, 상기 화소 영역(a)의 개구부 내에 노출된 제 1 전극(370) 상에 최소한 유기발광층을 포함하는 유기막층(380)이 형성된다. 상기 유기막층(380)은 상기 유기발광층 이외에도 정공 주입층, 정공 수송층, 전자 수송층 및 전자 주입층 중 1 이상의 층이 더욱 포함될 수 있다.
이어서, 상기 유기막층(380)을 포함하는 기판 상부 전체에 걸쳐 제 2 전극(390)이 형성된다. 상기 제 2 전극(390)은 제 1 전극(370)이 애노드인 투명 전극이거나 반사막을 포함하는 투명 전극인 경우에는 일함수가 낮은 도전성의 금속으로 Mg, Ca, Al, Ag 및 이들의 합금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의 물질로서 반사 전극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 1 전극(370)이 캐소드 전극인 경우에는 ITO 또는 IZO와 같은 투명 전극으로 형성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능동형 유기전계발광소자의 제조 방법을 설명한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제조 방법은 유리, 플라스틱 또는 석영 등과 같은 기판(300)을 제공한다. 상기 기판은 화소 영역(a)과 배선 영역(b)을 구비한다. 이어서, 상기 기판(300) 상에 실리콘 질화막, 실리콘 산화막 및 이들의 이중층으로 된 버퍼층(305)을 형성한다. 상기 버퍼층은 플라즈마화학기상증착법(PECVD;Plasma-Enhanced Chemical Vapor Deposition) 또는 저압화학기상증착법(LPCVD;Low- Pressure Chemical Vapor Deposition) 등과 같은 방식을 수행하여 형성한다.
상기 버퍼층(305) 상의 상기 화소 영역(a)에 소오스/드레인 영역들(310a, 310c) 및 채널 영역(310b)를 구비하는 반도체층(310)을 형성한다. 상기 반도체층(310)은 비정질 실리콘을 화학기상증착법(CVD;Chemical Vapor Deposition) 방식을 이용하여 증착한 후 결정화법을 이용하여 폴리실리콘막으로 결정화시킨 후 패터닝하여 형성한다. 상기 CVD방식에는 PECVD, LPCVD와 같은 화학적기상증착법을 이용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비정질 실리콘을 PECVD 방식으로 수행할 경우에는 실리콘막 증착 후 열처리로 탈수소처리하여 수소의 농도를 낮추는 공정을 진행한다.
또한, 상기 비정질 실리콘막의 결정화법은 RTA(Rapid Thermal Annealing) 공정, MIC법(Metal Induced Crystallization), MILC법(Metal Induced Lateral Crystallization), SPC법(Solid Phase Crystallization), ELA법(Excimer Laser Crystallization) 또는 SLS법(Sequential Lateral Solidification)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이용할 수 있다.
이어서, 기판 전면에 걸쳐 상기 반도체층(310) 상부에 게이트 절연막(320)을 형성한다. 상기 게이트 절연막(320)은 PECVD 또는 LPCVD와 같은 방식을 수행하여 적층한다.
이어서, 상기 화소 영역(a)의 게이트 절연막(320) 상에 게이트 금속 물질을 증착한 다음 패터닝하여 반도체층(310)의 소정 영역에 대응되는 게이트 전극(330)을 형성한다. 상기 게이트 전극(330)은 몰리브덴(Mo), 텅스텐(W), 텅스텐 몰리브덴 (MoW), 텅스텐 실리사이드(WSi2), 몰리브데늄 실리사이드(MoSi2) 및 알루미늄(Al)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으로 형성하며, LPCVD 또는 PECVD 방식에 의해 증착 후 패터닝하여 형성한다.
상기 게이트 절연막(320)의 배선 영역(b)에 게이트 전극(330) 형성 시 제 1 도전성 패턴(347)을 형성한다. 상기 제 1 도전성 패턴(347)은 상기 게이트 전극(330) 물질과 동일한 물질로 이루어지며, LPCVD 또는 PECVD 방식에 의해 증착 후 패터닝하여 형성한다.
상기 제 1 도전성 패턴(347) 형성 시 공통전원공급라인(Vdd) 및 데이터 라인(Vdata)을 동시에 형성하여 데이터 라인, 공통전원공급라인 및 보조 전극 라인 양단에 링크 홀(link hole)을 통해 연결한다.
이어서, 상기 제 1 도전성 패턴(347) 일부를 노출시키도록 상기 게이트 전극(330) 상부의 기판 전면에 걸쳐 층간 절연막(340)을 형성한다. 상기 층간 절연막(340)은 실리콘 질화막, 실리콘 산화막 또는 이들의 이중층으로 형성하며, PECVD 또는 LPCVD와 같은 방식을 수행하여 적층한다.
이어서, 마스크를 이용하여 상기 반도체층(310)에 불순물을 주입함으로써, 상기 반도체층에 소오스/드레인 영역들(310a, 310c)을 형성함과 동시에 상기 소오스/드레인 영역들(310a, 310c) 사이에 개재된 채널 영역(310b)을 정의한다. 상기 불순물은 n형 또는 p형 불순물 중의 하나일 수 있으며, n형 불순물은 인(P), 비소(As), 안티몬(Sb), 비스무스(Bi) 등, p형 불순물은 붕소(B), 갈륨(Ga), 인듐(In), 알루미늄(Al), 티타늄(Ti) 등에서 선택되는 1종으로 형성한다.
이어서, 상기 화소 영역(a)의 층간 절연막(340) 내에 상기 반도체층(310)의 소오스/드레인 영역(310a, 310c)을 각각 노출시키는 콘택홀(341)을 형성한다.
이어서, 상기 화소 영역(a)에는 콘택홀(341)을 포함한 층간 절연막(340) 상에 금속 물질을 증착한 다음 패터닝하여 콘택홀(341)을 통해 상기 반도체층(310)의 소오스/드레인 영역(310a, 310c)과 각각 콘택되는 소오스/드레인 전극(345)을 형성한다. 상기 소오스/드레인 전극(345)은 몰리브덴(Mo), 텅스텐(W), 텅스텐몰리브덴(MoW), 텅스텐 실리사이드(WSi2), 몰리브데늄 실리사이드(MoSi2) 및 알루미늄(Al)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으로 형성하며, 스퍼터링법이나 진공증착법을 통해 적층 후 마스크를 이용한 식각을 통해 패터닝하여 형성한다.
이상과 같이, 상기 반도체층(310), 게이트 전극(330) 및 소오스/드레인 전극(345)은 박막트랜지스터를 형성한다.
상기 화소 영역(a)의 상기 박막트랜지스터 상부 및 배선 영역(b)의 상기 제 1 도전성 패턴(347) 상에 패시베이션막 및 평탄화막(350)을 형성한다. 본 발명에서는 하부 단차를 상쇄시키기 위해 평탄화막을 포함하여 절연막을 형성한다. 상기 패시베이션막은 실리콘 질화막, 실리콘 산화막 또는 이들의 이중층으로 형성한다. 상기 평탄화막은 통상적으로 유기계로서 아크릴 수지(Acryl Resin), 벤조사이클로부텐(Benzo Cyclo Butene;BCB), 폴리이미드(polyimide;PI), 폴리아마이드(polyamide;PA) 및 페놀수지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으로 형성하며, 스핀 코팅 방식을 통해 적층 후 상기 절연막(350)을 경화시키기 위해 큐어링 한다.
상기 보조 전극 라인(373)의 일부를 형성하는 제 1 도전성 패턴(347) 물질의 재료인 몰리브덴(Mo) 및 텅스텐(W)이 갖는 초기 물성 특성인 열용량이 실리콘 질화막(SiNx)보다 높아 그 차에 의해 실리콘 질화막(SiNx)에 열전달을 잘 시키지 못 한다.
표 1 및 도 3는 제 1 도전성 패턴 물질의 물성 특성치를 나타내고, 표 2 및 도 4은 제 1 도전성 패턴 물질의 온도에 따른 열용량을 나타낸 것이다.
물성 질량(g) 비열(cal/[g*℃]) 열용량(cal/℃) 열전도도(cal/cm*s)
Al 26.982 0.214 5.774 0.55
SiNx 32.064 0.168 5.387 0.36
W 183.85 0.033 6.067 0.35
Mo 95.54 0.072 6.879 0.33
물성 260℃ 기준
Q = 1778.54cal (Mo) Q = 1400cal (Si) ℃ = 260
Al 309.75℃ 242.46℃ 1501cal
SiNx 330.15℃ 259.88℃ 1400cal
W 293.14℃ 230.75℃ 1577cal
Mo 260.00℃ 203.51℃ 1788cal
상기 표 1 및 도 3은 제 1 도전성 패턴의 재료로 사용되는 물성의 특성치로서 실리콘 질화막(SiNx), 텅스텐(W) 및 몰리브덴(Mo)의 열전도도는 유의차를 보이지 않으나 알루미늄(Al)은 상기 실리콘 질화막(SiNx), 텅스텐(W) 및 몰리브덴(Mo)에 비해 0.2cal/cm*s 정도 높은 것을 알 수 있다. 그러나 열용량에 있어서는 텅스 텐(W) 및 몰리브덴(Mo)이 알루미늄(Al)이나 실리콘 질화막(SiNx)에 비해 높은 값을 갖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표 2 및 도 4을 참조하면 실리콘 질화막(SiNx), 1400cal, 260℃를 기준으로 했을 때, 몰리브덴(Mo), 텅스텐(W) 및 알루미늄(Al)의 열용량이 실리콘 질화막(SiNx)보다 높아 그 차에 의해 몰리브덴(Mo), 텅스텐(W) 및 알루미늄(Al)이 실리콘 질화막(SiNx)에 열전달을 잘 시키지 못하므로 유기막 큐어링 시 리플로우가 잘 되지 않는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도 5는 유기전계발광소자의 각 층에 따른 큐어링 후 유기 절연막의 두께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보조 전극 라인, 화소부 및 데이타 라인(Vdata)의 현상(Develop) 후 절연막의 두께는 화소부, 보조 전극 라인, 데이타 라인 순으로 낮다. 그러나 상기 현상한 막을 큐어링 후 절연막의 두께를 측정하면 화소부, 데이터 라인, 보조 전극 라인 순으로 큐어링이 잘 되며 큰 유의차는 보이지 않으나 보조 전극 라인부가 큐어링이 가장 잘 되지 않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유기막 큐어링(Curing) 시 영역별로 리플로우(Reflow)가 잘 되지 않으면 영역별로 큐어링 효과가 달라져 큐어링 후 영역에 따라 유기 절연막 두께가 달라지고 유기막 내 잔류 가스 성분이 존재하므로, 큐어링 후 상기 화소 영역(a)의 패시베이션막 및 평탄화막(350)은 포토성 및 에치성 식각을 통해 근접 화소 영역에 영향을 끼치지 않도록 최소화하여 형성하고, 상기 배선 영역(b)의 패시베이션막 및 평탄화막(350)은 식각을 통해 모두 제거한다. 이로 인해, 후속 공정의 유기막층 증착 후 유기발광층 내로 상기 유기 절연막으로부터 아웃개싱 현상에 의한 유기발광층의 열화를 통한 화소 수축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제 1 도전성 패턴(347) 형성 시 공통전원공급라인(Vdd) 및 데이터 라인(Vdata)을 동시에 형성하여 데이터 라인, 공통전원공급라인 및 보조 전극 라인 양단에 링크 홀을 통해 연결한다.
이어서, 패널 영역(a)의 패시베이션막 및 평탄화막(350) 내에 상기 소오스 전극/드레인 전극(345) 중 어느 하나를 노출시키는 비아홀(355)을 형성한다.
이어서, 상기 비아홀(355)을 통하여 상기 노출된 소오스/드레인 전극(345)에 접하고, 상기 패시베이션막 및 평탄화막(350) 상으로 연장된 제 1 전극(370)을 형성한다. 상기 제 1 전극(370)은 스퍼터링(Sputtering), 이온 플레이팅(Ion Plating) 또는 진공증착법과 같은 방법으로 형성한다. 바람직하게 제 1 전극(370)은 스퍼터링의 통상적인 방법으로 형성한다. 상기 제 1 전극(370)은 증착 후 사진공정에서 형성된 포토레지스트(PR)층의 패턴을 이용하여 선택적으로 제거하는 습식 식각 공정을 통해 패터닝한다.
이어서, 상기 배선 영역(b)의 제 1 도전성 패턴(347) 상부에 제 2 도전성 패턴(371)을 형성하여 제 2 전극의 보조 전극 라인(373)을 형성한다. 상기 제 2 도전성 패턴(371)은 상기 제 1 도전성 패턴(371)을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며 상기 제 1 전극(370) 물질과 동일한 물질로 형성하며, 스퍼터링, 이온 플레이팅 또는 진공증착법으로 증착 후 식각을 통해 패터닝하여 형성한다.
이어서, 상기 화소 영역(a)의 제 1 전극(370) 상부에 유기물을 적층 후 에칭 을 통해 개구부를 갖는 화소정의막(375)을 더욱 형성할 수 있다. 상기 화소정의막(375)은 유기계로서 폴리이미드(PI), 폴리아마이드(PA), 아크릴 수지, 벤조사이클로부텐(BCB) 및 페놀수지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으로 형성되며 스핀코팅 방식으로 적층된다.
이어서, 상기 화소 영역(a)의 개구부 내에 노출된 제 1 전극(370) 상에 최소한 유기발광층을 포함하는 유기막층(380)을 형성한다. 상기 유기막층(380)은 진공증착, 스핀코팅, 잉크젯 프린팅, 레이저 열전사법(LITI;Laser Induced Thermal Imaging) 등의 방법으로 적층한다. 바람직하게 스핀코팅 방식을 통해 적층한다. 또한 상기 유기막층(380)을 패터닝하는 것은 레이저 열전사법, 새도우 마스크를 사용한 진공증착등을 사용하여 구현할 수 있다.
상기 유기발광층으로는 저분자 물질 또는 고분자 물질 모두 가능하다. 상기 저분자 물질은 알루니 키노륨 복합체(Alq3), 안트라센(Anthracene), 시클로 펜타디엔(Cyclo pentadiene), BeBq2, Almq, ZnPBO, Balq, DPVBi, BSA-2 및 2PSP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으로 형성한다.
상기 고분자 물질은 폴리페닐렌 (PPP;polyphenylene) 및 그 유도체, 폴리(p-페닐렌비닐렌)(PPV;poly(p-phenylenevinylene)) 및 그 유도체, 및 폴리티오펜(PT;polythiophene) 및 그 유도체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으로 형성한다.
이어서, 기판 전면에 걸쳐 상기 유기막층(380) 상부에 제 2 전극(390)을 형성한다. 상기 제 2 전극(390)은 진공증착법으로 형성한다.
상기 제 2 전극(390)까지 형성된 기판을 상부 기판과 통상의 방법으로 봉지 함으로써 유기전계발광소자를 완성한다.
본 발명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일반적으로 탑 게이트(Top gate)형을 채용하는 박막트랜지스터를 구비하는 유기전계발광소자를 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은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유기전계발광소자의 보조 전극 라인 형성 시 제 2 전극 전원공급라인과 보조 전극 라인이 콘택(Contact)하도록 형성함으로써 상기 보조 전극 라인 상부의 유기막을 제거하고, 화소 영역 내에 존재하는 유기막을 최소화함으로써 상기 유기막으로부터의 아웃개싱(Out-gassing) 현상으로 인한 유기발광층의 열화에 의한 화소 수축(pixel shrinkage) 현상을 방지하여 제품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제 2 전극 보조 전극 라인을 형성함으로써 IR 드롭 및 배선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Claims (20)

  1. 기판;
    상기 기판의 화소 영역 상에 형성되어 있으며 반도체층, 게이트 전극 및 소오스/드레인 전극을 포함하는 박막트랜지스터;
    상기 기판의 배선 영역 상에 상기 게이트 전극과 동일층에 형성되어 있는 제 1 도전성 패턴;
    상기 제 1 도전성 패턴의 일부를 노출시키도록 형성되어 있는 층간 절연막;
    상기 기판의 배선 영역을 제외한 박막트랜지스터 상부에 형성되어 있는 패시베이션막 및 평탄화막;
    상기 패시베이션막 및 평탄화막 내의 비아홀을 통해 형성되어 있는 제 1 전극 및 제 1 도전성 패턴과 콘택되어 형성되어 있는 제 2 도전성 패턴;
    상기 기판의 배선 영역을 제외한 화소 영역 상에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 1 전극을 노출시키는 개구부를 갖는 화소정의막;
    상기 노출된 제 1 전극 상부에 형성되어 있으며 유기발광층을 포함하는 유기막층; 및
    상기 유기막층 상부에 형성되어 있는 제 2 전극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전계발광소자.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도전성 패턴은 몰리브덴(Mo), 텅스텐(W), 텅스텐몰리브덴(MoW), 텅스텐실리사이드(WSi2), 몰리브데늄 실리사이드(MoSi2), 알루미늄(Al)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전계발광소자.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도전성 패턴은 스퍼터링법 또는 진공증착법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전계발광소자.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도전성 패턴은 제 1 전극 물질과 동일한 물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전계발광소자.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전극 물질은 ITO 또는 IZO로 이루어진 투명전극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전계발광소자.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도전성 패턴 및 제 2 도전성 패턴은 제 2 전극 보조 전극 라인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전계발광소자.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전극은 애노드 전극 또는 캐소드 전극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전계발광소자.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도전성 패턴은 공통전원공급라인(Vdd) 또는 데이터 라인(Vdata) 전극 물질과 동일한 물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전계발광소자.
  9. 기판을 제공하고;
    상기 기판의 화소 영역 상에 반도체층, 게이트 전극 및 소오스/드레인 전극을 포함하는 박막트랜지스터를 형성하고;
    상기 게이트 전극 형성 시 상기 기판의 배선 영역의 동일층에 제 1 도전성 패턴을 형성하고;
    상기 제 1 도전성 패턴의 일부를 노출시키는 층간 절연막을 형성하고;
    상기 기판의 배선 영역을 제외한 박막트랜지스터 상부에 패시베이션막 및 평탄화막을 식각하여 형성하고;
    상기 패시베이션막 및 평탄화막 내의 비아홀을 통해 제 1 전극을 형성하고;
    상기 제 1 전극 형성 시 제 1 도전성 패턴과 콘택되는 제 2 도전성 패턴을 형성하고;
    상기 기판의 배선 영역을 제외한 화소 영역 상에 제 1 전극을 노출시키는 개구부를 갖는 화소정의막을 형성하고;
    상기 노출된 제 1 전극 상부에 유기발광층을 포함하는 유기막층을 형성하고; 및
    상기 유기막층 상부에 제 2 전극을 형성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전계발광소자의 제조 방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도전성 패턴은 게이트 전극 물질과 동일한 물질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전계발광소자의 제조 방법.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게이트 전극은 몰리브덴(Mo), 텅스텐(W), 텅스텐몰리브덴(MoW), 텅스텐실리사이드(WSi2), 몰리브데늄 실리사이드(MoSi2), 알루미늄(Al)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으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전계발광소자의 제조 방법.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게이트 전극은 스퍼터링법, 이온 플레이팅 또는 진공증착법으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전계발광소자의 제조 방법.
  13.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평탄화막은 유기계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전계발광소자의 제조 방법.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평탄화막은 아크릴 수지(Acryl Resin), 벤조사이클로부텐(Benzo Cyclo Butene;BCB), 폴리이미드(polyimide;PI),폴리아마이드(polyamide;PA) 및 페놀수지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으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전계발광소자의 제조 방법.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평탄화막은 포토성 또는 에치성 식각을 통해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전계발광소자의 제조 방법.
  16.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도전성 패턴은 제 1 전극 물질과 동일한 물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전계발광소자의 제조 방법.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전극 물질은 ITO 또는 IZO로 이루어진 투명전극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전계발광소자의 제조 방법.
  18.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도전성 패턴 및 제 2 도전성 패턴은 제 2 전극 보조 전극 라인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전계발광소자의 제조 방법.
  19.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전극은 애노드 전극 또는 캐소드 전극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전계발광소자의 제조 방법.
  2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도전성 패턴 형성 시 공통전원공급라인(Vdd) 및 데이터 라인(Vdata)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전계발광소자의 제조 방법.
KR1020040105900A 2004-12-14 2004-12-14 보조 전극 라인을 구비하는 유기전계발광소자 및 그의제조 방법 Expired - Fee Related KR1007121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105900A KR100712111B1 (ko) 2004-12-14 2004-12-14 보조 전극 라인을 구비하는 유기전계발광소자 및 그의제조 방법
US11/298,871 US7728510B2 (en) 2004-12-14 2005-12-09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with auxiliary electrode line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JP2005357464A JP4181168B2 (ja) 2004-12-14 2005-12-12 有機電界発光素子及びその製造方法
CNB200510131469XA CN100433359C (zh) 2004-12-14 2005-12-14 具有辅助电极线的有机发光显示器及其制造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105900A KR100712111B1 (ko) 2004-12-14 2004-12-14 보조 전극 라인을 구비하는 유기전계발광소자 및 그의제조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67049A KR20060067049A (ko) 2006-06-19
KR100712111B1 true KR100712111B1 (ko) 2007-04-27

Family

ID=365830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105900A Expired - Fee Related KR100712111B1 (ko) 2004-12-14 2004-12-14 보조 전극 라인을 구비하는 유기전계발광소자 및 그의제조 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7728510B2 (ko)
JP (1) JP4181168B2 (ko)
KR (1) KR100712111B1 (ko)
CN (1) CN100433359C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159946B2 (en) 2013-10-15 2015-10-13 Samsung Display Co., Ltd.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having auxiliary electrode
US12010906B2 (en) 2018-10-23 2024-06-11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including through hole connecting organic layer to substrat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4544B1 (ko) * 2006-04-12 2007-12-11 엘지전자 주식회사 전계 발광 표시 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100708750B1 (ko) * 2006-04-21 2007-04-17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조방법 및 유기 발광디스플레이 장치
JP2007333808A (ja) * 2006-06-12 2007-12-27 Mitsubishi Electric Corp アクティブマトリクス表示装置
KR101386055B1 (ko) * 2006-06-19 2014-04-16 소니 주식회사 발광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JP4438782B2 (ja) * 2006-08-23 2010-03-24 ソニー株式会社 表示装置の製造方法および表示装置
US7985609B2 (en) * 2006-11-17 2011-07-26 Canon Kabushiki Kaisha Light-emitting apparatus and production method thereof
US7915816B2 (en) * 2007-05-14 2011-03-29 Sony Corporation Organic electroluminescence display device comprising auxiliary wiring
JP2009021213A (ja) * 2007-06-12 2009-01-29 Canon Inc 有機発光装置
KR100875102B1 (ko) 2007-09-03 2008-12-19 삼성모바일디스플레이주식회사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장치
KR101016759B1 (ko) * 2007-11-06 2011-02-25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발광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100875103B1 (ko) 2007-11-16 2008-12-19 삼성모바일디스플레이주식회사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장치
US7936122B2 (en) * 2007-12-14 2011-05-03 Canon Kabushiki Kaisha Organic EL display apparatus
US8692455B2 (en) 2007-12-18 2014-04-08 Sony Corporation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production thereof
US7977678B2 (en) * 2007-12-21 2011-07-12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Semiconductor display device
KR101532590B1 (ko) * 2008-03-28 2015-06-30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발광 기판,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갖는 유기발광표시장치
KR101572084B1 (ko) 2008-07-16 2015-11-26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KR100965259B1 (ko) * 2008-12-18 2010-06-22 삼성모바일디스플레이주식회사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 및 그의 제조방법
KR101652995B1 (ko) * 2009-03-06 2016-09-01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발광다이오드 표시장치와 그의 제조방법
JP5435260B2 (ja) * 2009-04-03 2014-03-05 ソニー株式会社 表示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1073552B1 (ko) * 2009-10-09 2011-10-17 삼성모바일디스플레이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JP5593676B2 (ja) * 2009-10-22 2014-09-24 ソニー株式会社 表示装置および表示装置の製造方法
CN101777576B (zh) * 2010-01-15 2012-01-25 友达光电股份有限公司 像素结构及电致发光装置
JP2012018895A (ja) * 2010-07-09 2012-01-26 Toshiba Mobile Display Co Ltd 有機el照明装置
KR101193199B1 (ko) 2010-07-13 2012-10-19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 장치
KR20120043438A (ko) 2010-10-26 2012-05-04 삼성모바일디스플레이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 장치
WO2012078759A2 (en) * 2010-12-07 2012-06-14 University Of Florida Research Foundation, Inc. Active matrix dilute source enabled vertical organic light emitting transistor
KR101802860B1 (ko) 2010-12-14 2017-11-30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KR101889918B1 (ko) * 2010-12-14 2018-09-2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KR20120078954A (ko) 2011-01-03 2012-07-11 삼성모바일디스플레이주식회사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101890876B1 (ko) 2011-03-23 2018-08-22 가부시키가이샤 한도오따이 에네루기 켄큐쇼 발광 장치 및 발광 장치의 제작 방법
KR101811027B1 (ko) 2011-07-07 2017-12-2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장치
JP6232655B2 (ja) * 2011-09-02 2017-11-22 株式会社Joled 有機el表示パネル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1881083B1 (ko) 2011-11-09 2018-07-24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 장치
US8912547B2 (en) * 2012-01-20 2014-12-16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Light-emitting device, display device, and semiconductor device
CN103296052B (zh) * 2012-02-29 2015-11-04 群康科技(深圳)有限公司 显示面板及显示装置
CN103311265B (zh) * 2012-03-08 2016-05-18 群康科技(深圳)有限公司 有机发光二极管显示面板及其制造方法
US9178174B2 (en) * 2012-03-27 2015-11-03 Sony Corporation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method of repairing display device, and electronic apparatus
KR101930847B1 (ko) * 2012-05-16 2018-12-20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그 제조방법
JP5935557B2 (ja) * 2012-07-09 2016-06-15 ソニー株式会社 実装基板および光学装置
WO2014071343A1 (en) 2012-11-05 2014-05-08 University Of Florida Research Foundation, Inc. Brightness compensation in a display
KR20140074674A (ko) 2012-12-10 2014-06-1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2000932B1 (ko) 2012-12-18 2019-07-26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및 그의 제조 방법
KR102100880B1 (ko) * 2013-06-26 2020-04-14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발광 다이오드 표시장치
KR102117607B1 (ko) * 2013-07-23 2020-06-02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JP6223070B2 (ja) * 2013-08-29 2017-11-01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 有機el表示装置及び有機el表示装置の製造方法
KR102227455B1 (ko) * 2013-10-08 2021-03-11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CN104576688B (zh) * 2013-10-10 2018-11-09 精工爱普生株式会社 发光装置以及电子设备
KR102126380B1 (ko) * 2013-10-11 2020-06-25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발광표시장치
CN104752458B (zh) * 2013-12-25 2017-12-22 清华大学 有机发光二极管阵列的制备方法
KR102210210B1 (ko) 2014-01-06 2021-02-02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 장치
KR102214476B1 (ko) * 2014-03-17 2021-02-10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KR20150137214A (ko) * 2014-05-28 2015-12-09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발광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조방법
CN104022139B (zh) 2014-05-30 2016-03-30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有机电致发光显示面板及显示装置
KR102360783B1 (ko) * 2014-09-16 2022-02-10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KR102284756B1 (ko) 2014-09-23 2021-08-0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KR102273654B1 (ko) * 2014-10-08 2021-07-06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 장치
CN104576705B (zh) * 2015-01-27 2018-03-30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阵列基板及制作方法、显示装置
KR102391347B1 (ko) 2015-04-09 2022-04-2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박막트랜지스터 어레이 기판 및 이를 구비한 디스플레이 장치
KR102332567B1 (ko) 2015-04-24 2021-11-30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
KR102540372B1 (ko) * 2015-05-28 2023-06-05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KR102748006B1 (ko) 2015-10-26 2024-12-31 오티아이 루미오닉스 인크. 표면 상에 코팅을 패턴화하는 방법 및 패턴화된 코팅을 포함하는 디바이스
KR102469949B1 (ko) * 2015-11-30 2022-11-22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 장치
KR102615113B1 (ko) * 2016-05-10 2023-12-19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KR102627284B1 (ko) * 2016-05-12 2024-01-22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캐소드 전극과 보조 캐소드 전극의 접속구조 형성 방법과 그를 이용한 유기발광 다이오드 표시장치
CN105742299B (zh) * 2016-05-16 2019-11-29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像素单元及其制作方法、阵列基板及显示装置
KR102654924B1 (ko) * 2016-06-16 2024-04-05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
CN107644937B (zh) * 2016-07-22 2021-06-15 元太科技工业股份有限公司 电子组件封装体
TWI607595B (zh) * 2016-07-22 2017-12-01 元太科技工業股份有限公司 電子元件封裝體
KR102717563B1 (ko) * 2016-09-29 2024-10-17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발광 표시장치
CN110301053B (zh) 2016-12-02 2024-05-10 Oti照明公司 包括设置在发射区域上面的导电涂层的器件及其方法
KR102563713B1 (ko) 2017-04-26 2023-08-07 오티아이 루미오닉스 인크. 표면의 코팅을 패턴화하는 방법 및 패턴화된 코팅을 포함하는 장치
JP7264488B2 (ja) 2017-05-17 2023-04-25 オーティーアイ ルミオニクス 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パターン化コーティングにわたって伝導性コーティングを選択的に堆積させるための方法および伝導性コーティングを含むデバイス
KR20180131679A (ko) * 2017-05-30 2018-12-1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CN107146858B (zh) * 2017-07-12 2019-02-26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有机发光组件及其制备方法、显示装置
KR102441681B1 (ko) * 2017-12-05 2022-09-07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조명 장치용 oled 패널 및 그 제조 방법
KR102482990B1 (ko) * 2017-12-27 2022-12-29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상부 발광형 유기발광 다이오드 표시장치
CN108336109B (zh) * 2018-01-02 2021-02-02 厦门天马微电子有限公司 有机发光显示面板、显示装置和有机发光显示母板
US11751415B2 (en) 2018-02-02 2023-09-05 Oti Lumionics Inc. Materials for forming a nucleation-inhibiting coating and devices incorporating same
CN108470843A (zh) * 2018-03-23 2018-08-31 固安翌光科技有限公司 一种oled面板、器件及其制作工艺
WO2019187121A1 (ja) * 2018-03-30 2019-10-03 シャープ株式会社 表示装置
CN108461530B (zh) * 2018-03-30 2021-08-06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阵列基板和显示装置
JP6754798B2 (ja) * 2018-04-24 2020-09-16 株式会社Joled 有機el表示パネル
US11489136B2 (en) 2018-05-07 2022-11-01 Oti Lumionics Inc. Method for providing an auxiliary electrode and device including an auxiliary electrode
CN109166902A (zh) * 2018-06-22 2019-01-08 友达光电股份有限公司 有机发光显示器
KR102724703B1 (ko) * 2018-10-23 2024-11-0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조하기 위한 마스크
JP2022508040A (ja) 2018-11-23 2022-01-19 オーティーアイ ルミオニクス 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光透過領域を含むオプトエレクトロニクスデバイス
KR20210149058A (ko) 2019-03-07 2021-12-08 오티아이 루미오닉스 인크. 핵생성 억제 코팅물 형성용 재료 및 이를 포함하는 디바이스
WO2020212953A1 (en) 2019-04-18 2020-10-22 Oti Lumionics Inc. Materials for forming a nucleation-inhibiting coating and devices incorporating the same
KR20220017918A (ko) 2019-05-08 2022-02-14 오티아이 루미오닉스 인크. 핵 생성 억제 코팅 형성용 물질 및 이를 포함하는 디바이스
KR20240134240A (ko) 2019-06-26 2024-09-06 오티아이 루미오닉스 인크. 광 회절 특성을 갖는 광 투과 영역을 포함하는 광전자 디바이스
US11832473B2 (en) 2019-06-26 2023-11-28 Oti Lumionics Inc. Optoelectronic device including light transmissive regions, with light diffraction characteristics
KR20250090366A (ko) 2019-08-09 2025-06-19 오티아이 루미오닉스 인크. 보조 전극 및 파티션을 포함하는 광전자 디바이스
JP2023553379A (ja) 2020-12-07 2023-12-21 オーティーアイ ルミオニクス 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核形成抑制被膜及び下地金属被膜を用いた導電性堆積層のパターニング
CN114203778A (zh) * 2021-11-30 2022-03-18 长沙惠科光电有限公司 有源矩阵oled显示面板及其制备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99183A (ja) 1999-04-16 2000-10-24 Alps Electric Co Ltd 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ト素子
JP2004062164A (ja) 2002-06-07 2004-02-26 Seiko Epson Corp 電気光学装置及び電子機器

Family Cites Families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431033B2 (ja) 1993-10-29 2003-07-28 株式会社半導体エネルギー研究所 半導体作製方法
JP3541026B2 (ja) * 1995-08-11 2004-07-07 シャープ株式会社 液晶表示装置、およびアクティブマトリクス基板
JP3830238B2 (ja) 1997-08-29 2006-10-04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アクティブマトリクス型装置
JP4075028B2 (ja) * 1999-06-14 2008-04-16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回路基板、表示装置、および電子機器
US6608449B2 (en) 2000-05-08 2003-08-19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Luminescent apparatus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JP2002318556A (ja) * 2001-04-20 2002-10-31 Toshiba Corp アクティブマトリクス型平面表示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4094863B2 (ja) * 2002-02-12 2008-06-04 三星エスディアイ株式会社 有機el表示装置
US7045861B2 (en) * 2002-03-26 2006-05-16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Light-emitting device, liquid-crystal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JP4027149B2 (ja) 2002-04-30 2007-12-26 三洋電機株式会社 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表示装置
US7230271B2 (en) * 2002-06-11 2007-06-12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Light emitting device comprising film having hygroscopic property and transparency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JP4001066B2 (ja) * 2002-07-18 2007-10-31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電気光学装置、配線基板及び電子機器
SG130013A1 (en) 2002-07-25 2007-03-20 Semiconductor Energy Lab Method of fabricating light emitting device
KR20040025383A (ko) * 2002-09-19 2004-03-24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유기 전계 발광 표시 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100544436B1 (ko) * 2002-11-26 2006-01-23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유기전계 발광소자와 그 제조방법
JP4711595B2 (ja) * 2002-12-10 2011-06-29 株式会社半導体エネルギー研究所 Elディスプレイ及び電子機器
JP2004207084A (ja) * 2002-12-25 2004-07-22 Semiconductor Energy Lab Co Ltd 発光装置およびその作製方法
JP4373086B2 (ja) * 2002-12-27 2009-11-25 株式会社半導体エネルギー研究所 発光装置
JP4526776B2 (ja) * 2003-04-02 2010-08-18 株式会社半導体エネルギー研究所 発光装置及び電子機器
EP1486551B1 (en) * 2003-06-13 2016-03-16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Light emitting element and light emitting device
US7221095B2 (en) * 2003-06-16 2007-05-22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Light emitting device and method for fabricating light emitting device
US8350466B2 (en) * 2004-09-17 2013-01-08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Display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99183A (ja) 1999-04-16 2000-10-24 Alps Electric Co Ltd 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ト素子
JP2004062164A (ja) 2002-06-07 2004-02-26 Seiko Epson Corp 電気光学装置及び電子機器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159946B2 (en) 2013-10-15 2015-10-13 Samsung Display Co., Ltd.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having auxiliary electrode
US9425426B2 (en) 2013-10-15 2016-08-23 Samsung Display Co., Ltd.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having auxiliary electrode
US12010906B2 (en) 2018-10-23 2024-06-11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including through hole connecting organic layer to substrat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4181168B2 (ja) 2008-11-12
KR20060067049A (ko) 2006-06-19
CN1812119A (zh) 2006-08-02
US7728510B2 (en) 2010-06-01
US20060125390A1 (en) 2006-06-15
CN100433359C (zh) 2008-11-12
JP2006171745A (ja) 2006-06-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12111B1 (ko) 보조 전극 라인을 구비하는 유기전계발광소자 및 그의제조 방법
KR100700643B1 (ko) 보조 전극 라인을 구비하는 유기전계발광소자 및 그의제조 방법
US8283860B2 (e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KR100712295B1 (ko) 유기 전계 발광 소자 및 그 제조 방법
KR100731739B1 (ko) 유기전계발광소자 및 그의 제조 방법
EP1587154B1 (en) Organic electro-luminescent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US8847231B2 (e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for the same
KR100700644B1 (ko) 제 2 전극 전원공급라인을 갖는 유기전계발광소자 및 그의 제조 방법
US8643019B2 (e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for the same
JP2016048696A (ja) 有機発光ディスプレイ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US9202856B2 (e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KR100700005B1 (ko) 유기전계발광소자
KR100666565B1 (ko) 유기전계발광표시소자 및 그의 제조방법
KR100810630B1 (ko) 유기전계발광소자 및 그의 제조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41214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6063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70212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70420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70423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0326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0405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0330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29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0329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01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0401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29

Year of fee payment: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329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03

Year of fee payment: 12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403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01

Year of fee payment: 13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401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402

Start annual number: 14

End annual number: 1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401

Start annual number: 15

End annual number: 1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323

Start annual number: 16

End annual number: 16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502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