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273654B1 - 유기 발광 표시 장치 - Google Patents

유기 발광 표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73654B1
KR102273654B1 KR1020140136207A KR20140136207A KR102273654B1 KR 102273654 B1 KR102273654 B1 KR 102273654B1 KR 1020140136207 A KR1020140136207 A KR 1020140136207A KR 20140136207 A KR20140136207 A KR 20140136207A KR 102273654 B1 KR102273654 B1 KR 10227365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electrode
light emitting
organic light
auxiliary conductiv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362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42365A (ko
Inventor
김세일
이영신
이재구
Original Assignee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1362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73654B1/ko
Priority to US14/722,649 priority patent/US20160104859A1/en
Publication of KR201600423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4236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736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73654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10OLED displays
    • H10K59/12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 H10K59/122Pixel-defining structures or layers, e.g. bank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10OLEDs or polymer light-emitting diodes [PLED]
    • H10K50/17Carrier injection layers
    • H10K50/171Electron injection layer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05Electrodes
    • H10K50/82Cathodes
    • H10K50/824Cathodes combined with auxiliary electrode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9/805Electrodes
    • H10K59/8052Cathodes
    • H10K59/80522Cathodes combined with auxiliary electrode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2102/00Constructional details relating to the organic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2102/00Constructional details relating to the organic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10K2102/10Transparent electrodes, e.g. using graphene
    • H10K2102/101Transparent electrodes, e.g. using graphene comprising transparent conductive oxides [TCO]
    • H10K2102/102Transparent electrodes, e.g. using graphene comprising transparent conductive oxides [TCO] comprising tin oxides, e.g. fluorine-doped SnO2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2102/00Constructional details relating to the organic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10K2102/10Transparent electrodes, e.g. using graphene
    • H10K2102/101Transparent electrodes, e.g. using graphene comprising transparent conductive oxides [TCO]
    • H10K2102/103Transparent electrodes, e.g. using graphene comprising transparent conductive oxides [TCO] comprising indium oxides, e.g. ITO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2102/00Constructional details relating to the organic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10K2102/301Details of OLEDs
    • H10K2102/302Details of OLEDs of OLED structures
    • H10K2102/3023Direction of light emission
    • H10K2102/3026Top emission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Abstract

유기 발광 표시 장치는 기판, 상기 기판 상에 위치하는 박막 트랜지스터, 상기 박막 트랜지스터와 연결된 제1 전극, 상기 제1 전극 상에 위치하며, 상기 제1 전극의 일부인 발광 영역을 노출하는 화소 정의층, 상기 발광 영역에 대응하여 상기 제1 전극 상에 위치하는 유기 발광층, 상기 발광 영역과 비중첩하며, 상기 화소 정의층 상에 위치하는 보조 도전 패턴, 상기 유기 발광층 및 상기 화소 정의층을 덮으며, 상기 보조 도전 패턴과 접하는 버퍼층, 및 상기 버퍼층 상에 위치하는 제2 전극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유기 발광 표시 장치{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본 발명은 유기 발광 표시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양 전극과 양 전극 사이에 위치하는 유기 발광층을 포함하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표시 장치는 이미지를 표시하는 장치로서, 최근 유기 발광 표시 장치(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가 주목 받고 있다.
종래의 유기 발광 표시 장치는 빛을 발광하여 이미지(image)를 표시하는 유기 발광 소자(organic light emitting diode)를 포함한다. 유기 발광 소자는 순차적으로 적층된 제1 전극, 유기 발광층 및 제2 전극을 포함한다.
최근, 유기 발광 표시 장치가 전면 발광형으로 구현됨으로써, 제2 전극이 인듐틴옥사이드(ITO) 등의 투명 도전성 산화물로 형성되었다. 유기 발광층은 유기 재료 고유의 특성을 고려하여 증착 공정에 의해 형성되며, 제2 전극은 투명 도전성 산화물 고유의 특성을 고려하여 스퍼터링 공정에 의해 유기 발광 소자가 형성되는 기판 전체에 걸쳐서 형성되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제2 전극의 형성 공정에 의해 유기 발광층에 데미지(damage)가 발생되는 것이 억제된 유기 발광 표시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유기 발광층으로부터 발광되는 빛의 발광 효율이 저하되는 것이 억제된 유기 발광 표시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유기 발광층의 발광을 제어하는 구동 전압을 낮추어 구동 효율이 향상되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은 기판, 상기 기판 상에 위치하는 박막 트랜지스터, 상기 박막 트랜지스터와 연결된 제1 전극, 상기 제1 전극 상에 위치하며, 상기 제1 전극의 일부인 발광 영역을 노출하는 화소 정의층, 상기 발광 영역에 대응하여 상기 제1 전극 상에 위치하는 유기 발광층, 상기 발광 영역과 비중첩하며, 상기 화소 정의층 상에 위치하는 보조 도전 패턴, 상기 유기 발광층 및 상기 화소 정의층을 덮으며, 상기 보조 도전 패턴과 접하는 버퍼층, 및 상기 버퍼층 상에 위치하는 제2 전극을 포함하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보조 도전 패턴은 상기 버퍼층과 상기 화소 정의층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보조 도전 패턴은 상기 화소 정의층과 접할 수 있다.
상기 보조 도전 패턴은 상기 버퍼층과 상기 제2 전극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보조 도전 패턴은 상기 제2 전극과 접할 수 있다.
상기 보조 도전 패턴은 상기 제2 전극 대비 일함수(work function)가 작을 수 있다.
상기 보조 도전 패턴은 상기 제2 전극 대비 낮은 전기저항을 가질 수 있다.
상기 보조 도전 패턴은 은(Ag)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전극은 제1 산화물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산화물은 인듀틴옥사이드(ITO), 인듐징크옥사이드(IZO), 아연 산화물(ZnO)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전극은 스퍼터링(sputtering) 공정을 이용해 상기 버퍼층 상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버퍼층은 제2 산화물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산화물은 텅스텐 산화물(WO3) 및 몰리브덴 산화물(MoOx)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기 발광층은, 상기 제1 전극 상에 위치하는 제1 유기층, 상기 제1 유기층 상에 위치하는 주발광층, 및 상기 주발광층 상에 위치하는 제2 유기층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은 기판, 상기 기판 상에 위치하는 박막 트랜지스터, 상기 박막 트랜지스터와 연결된 제1 전극, 상기 제1 전극 상에 위치하는 유기 발광층, 상기 유기 발광층 상에 위치하는 보조 도전층, 상기 유기 발광층 상에 위치하며, 상기 보조 도전층과 접하는 버퍼층, 및 상기 버퍼층 상에 위치하는 제2 전극을 포함하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보조 도전층은 상기 버퍼층과 상기 유기 발광층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보조 도전층은 상기 유기 발광층과 접할 수 있다.
상기 보조 도전층은 상기 버퍼층과 상기 제2 전극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보조 도전층은 상기 제2 전극과 접할 수 있다.
상기 보조 도전층은 상기 제2 전극 대비 일함수(work function)가 작을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의 일부 실시예 중 하나에 의하면, 제2 전극의 형성 공정에 의해 유기 발광층에 데미지(damage)가 발생되는 것이 억제된 유기 발광 표시 장치가 제공된다.
또한, 유기 발광층으로부터 발광되는 빛의 발광 효율이 저하되는 것이 억제된 유기 발광 표시 장치가 제공된다.
또한, 유기 발광층의 발광을 제어하는 구동 전압을 낮추어 구동 효율이 향상된 유기 발광 표시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일 부분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효과를 설명하기 위한 그래프이다.
도 4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일 부분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일 부분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6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일 부분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들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붙이도록 한다.
또한,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내었으므로, 본 발명이 반드시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여러 층 및 영역을 명확하게 표현하기 위하여 두께를 확대하여 나타내었다. 그리고 도면에서, 설명의 편의를 위해, 일부 층 및 영역의 두께를 과장되게 나타내었다. 층, 막, 영역, 판 등의 부분이 다른 부분 "상에" 있다고 할 때, 이는 다른 부분 "바로 상에"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또 다른 부분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 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서, "~상에"라 함은 대상 부분의 위 또는 아래에 위치함을 의미하는 것이며, 반드시 중력 방향을 기준으로 상 측에 위치하는 것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이하,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일 부분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는 기판(100), 박막 트랜지스터(200), 제1 전극(300), 화소 정의층(PDL), 유기 발광층(400), 보조 도전 패턴(500), 버퍼층(600), 제2 전극(700), 봉지부(800)를 포함한다.
기판(100)은 유리, 폴리머 또는 스테인리스 강 등을 포함하는 절연성 기판이다. 기판(100)은 플렉서블(flexible)하거나, 스트렛쳐블(stretable)하거나, 폴더블(foldable)하거나, 벤더블(bendable)하거나, 롤러블(rollable)할 수 있다. 기판(100)이 플렉서블(flexible)하거나, 스트렛쳐블(stretable)하거나, 폴더블(foldable)하거나, 벤더블(bendable)하거나, 롤러블(rollable)함으로써, 유기 발광 표시 장치 전체가 플렉서블(flexible)하거나, 스트렛쳐블(stretable)하거나, 폴더블(foldable)하거나, 벤더블(bendable)하거나, 롤러블(rollable)할 수 있다.
박막 트랜지스터(200)는 기판(100) 상에 위치하며, 유기 발광 표시 장치에 포함된 복수의 박막 트랜지스터 중 구동 박막 트랜지스터로서 기능하거나 또는 스위칭 박막 트랜지스터로서 기능할 수 있다. 도 1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하나의 박막 트랜지스터만을 도시하였으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는 2개, 3개, 4개, 5개, 6개, 또는 7개 이상의 복수의 박막 트랜지스터 및 하나 이상의 커패시터(capacitor)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복수의 박막 트랜지스터 및 하나 이상의 커패시터는 공지된 다양한 형태로 연결될 수 있다.
박막 트랜지스터(200), 액티브층(210), 게이트 전극(220), 소스 전극(230), 드레인 전극(240)을 포함한다.
액티브층(210)은 기판(100) 상에 위치하며, 폴리 실리콘 또는 산화물 반도체로 이루어질 수있다. 산화물 반도체는 아연(Zn), 갈륨(Ga), 주석(Sn) 또는 인듐(In)을 기본으로 하는 산화물, 이들의 복합 산화물인 산화아연(ZnO), 인듐-갈륨-아연 산화물(InGaZnO4), 인듐-아연 산화물(Zn-In-O), 또는 아연-주석 산화물(Zn-Sn-O)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액티브층(210)은 불순물이 도핑되지 않거나 불순물이 도핑된 채널 영역(211)과, 채널 영역(211)의 양 옆으로 불순물이 도핑되어 형성된 소스 영역(212) 및 드레인 영역(213)을 포함한다. 여기서, 불순물은 박막 트랜지스터의 종류에 따라 달라지며, N형 불순물 또는 P형 불순물이 가능하다. 액티브층(210)이 산화물 반도체로 이루어지는 경우에는 고온에 노출되는 등의 외부 환경에 취약한 산화물 반도체를 보호하기 위해 별도의 보호층이 액티브층(210) 상에 추가될 수 있다.
게이트 전극(220)은 액티브층(210)의 채널 영역(211) 상에 위치하며, 소스 전극(230) 및 드레인 전극(240) 각각은 절연층에 형성된 컨택홀(contact hole)을 통해 액티브층(210)의 소스 영역(212) 및 드레인 영역(213) 각각에 연결되어 있다.
제1 전극(300)은 기판(100) 상에 위치한다. 제1 전극(300)은 절연층에 형성된 컨택홀을 통해 박막 트랜지스터(200)의 드레인 전극(240)과 연결되어 있다. 제1 전극(300)은 정공 주입 전극인 양극이며, 광 반사성 전극이다. 제1 전극(300)은 하나 이상의 도전층을 포함할 수 있다. 일례로, 제1 전극(300)은 인듐틴옥사이드(indium tin oxide, ITO), 인듐징크옥사이드(indium zinc oxide, IZO), 마그네슘은(MgAg), 알루미늄(Al) 및 은(Ag) 등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단층 또는 복층의 도전층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전극(300)은 유기 발광층(400)에 대한 정공 주입 능력이 높도록 제2 전극(700) 대비 일 함수(work function)가 높은 도전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화소 정의층(PDL)은 제1 전극(300) 상에 위치하며, 제1 전극(300)의 단부를 덮고 있다. 화소 정의층(PDL)은 제1 전극(300)의 일부인 중앙 부분을 노출하는 개구부(OA)를 포함한다. 화소 정의층(PDL)의 개구부(OA)는 제1 전극(300)의 일부인 발광 영역(EA)을 노출하며, 개구부(OA)에 의해 노출된 제1 전극(300)의 발광 영역(EA)에 대응하여 유기 발광층(400)이 발광할 수 있다.
유기 발광층(400)은 제1 전극(300)의 발광 영역(EA)에 대응하여 제1 전극(300) 상에 위치하고 있다. 유기 발광층(400)은 저분자 유기물 또는 PEDOT(Poly 3,4-ethylenedioxythiophene) 등의 고분자 유기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유기 발광층(400)은 제1 전극(300) 상에 위치하는 제1 유기층(410), 제1 유기층(410) 상에 위치하는 주발광층(420), 주발광층(420) 상에 위치하는 제2 유기층(430)을 포함한다.
제1 유기층(410)은 정공 주입층(hole injection layer, HIL) 및 정공 수송층(hole transporting layer, HTL) 중 하나 이상의 층을 포함하는 다중막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제2 유기층(430)은 전자 수송층(electron transporting layer, ETL) 및 전자 주입층(electron injection layer, EIL)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다중막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제1 유기층(410) 및 제2 유기층(430) 각각은 발광 영역(EA)을 지나 기판(100) 전체에 걸쳐서 형성될 수 있다.
주발광층(420)은 적색을 발광하는 적색 유기 발광층, 녹색을 발광하는 녹색 유기 발광층 및 청색을 발광하는 청색 유기 발광층을 포함할 수 있으며, 적색 유기 발광층, 녹색 유기 발광층 및 청색 유기 발광층은 각각 적색 화소, 녹색 화소 및 청색 화소에 형성되어 컬러 화상을 구현하게 된다. 주발광층(420)은 적색 유기 발광층, 녹색 유기 발광층 및 청색 유기 발광층을 적색 화소, 녹색 화소 및 청색 화소에 모두 함께 적층하고, 각 화소별로 적색 색필터, 녹색 색필터 및 청색 색필터를 형성하여 컬러 화상을 구현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주발광층(420)으로서 백색을 발광하는 백색 유기 발광층을 적색 화소, 녹색 화소 및 청색 화소 모두에 형성하고, 각 화소별로 각각 적색 색필터, 녹색 색필터 및 청색 색필터를 형성하여 컬러 화상을 구현할 수도 있다. 주발광층(420)으로서 백색 유기 발광층과 색필터를 이용하여 컬러 화상을 구현하는 경우, 적색 유기 발광층, 녹색 유기 발광층 및 청색 유기 발광층을 각각의 개별 화소 즉, 적색 화소, 녹색 화소 및 청색 화소에 증착하기 위한 증착 마스크를 사용하지 않아도 된다. 다른 예에서 설명한 주발광층(420)으로서 백색 유기 발광층은 하나의 유기 발광층으로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고, 복수 개의 유기 발광층을 적층하여 백색을 발광할 수 있도록 한 구성까지 포함한다. 일례로, 주발광층(420)은 적어도 하나의 옐로우 유기 발광층과 적어도 하나의 청색 유기 발광층을 조합하여 백색 발광을 가능하게 한 구성, 적어도 하나의 시안 유기 발광층과 적어도 하나의 적색 유기 발광층을 조합하여 백색 발광을 가능하게 한 구성, 적어도 하나의 마젠타 유기 발광층과 적어도 하나의 녹색 유기 발광층을 조합하여 백색 발광을 가능하게 한 구성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유기 발광층(400)은 유기 재료 특성상 FMM(fine metal mask) 등의 마스크를 이용한 증착 공정을 이용해 제1 전극(300)의 발광 영역(EA) 상에 형성될 수 있다.
보조 도전 패턴(500)은 화소 정의층(PDL)의 개구부(OA)에 의해 노출된 제1 전극(300)의 발광 영역(EA)과 비중첩하며, 화소 정의층(PDL) 상에 위치하고 있다. 보조 도전 패턴(500)은 화소 정의층(PDL)의 최상층에 위치할 수 있다. 보조 도전 패턴(500)은 화소 정의층(PDL)과 버퍼층(600) 사이에 위치하고 있으며, 화소 정의층(PDL) 및 버퍼층(600)과 접하고 있다. 보조 도전 패턴(500)은 제2 전극(700) 대비 일함수(work function)이 작은 재료로 형성될 수 있으며, 제2 전극(700) 대비 낮은 전기저항을 가진다. 보조 도전 패턴(500)은 은(Ag)을 포함하는 재료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일례로, 보조 도전 패턴(500)은 마그네슘은(MgAg), 은(Ag), 은마그네슘(AgMg)로 형성될 수 있다. 보조 도전 패턴(500)은 프린팅(printing) 공정 또는 발광 영역(EA)을 가리는 마스크를 이용한 증착 공정을 이용해 화소 정의층(PDL) 상에 형성될 수 있다.
버퍼층(600)은 유기 발광층(400) 및 화소 정의층(PDL)을 덮으며, 보조 도전 패턴(500)과 접하고 있다. 버퍼층(600)은 보조 도전 패턴(500)과 제2 전극(700) 사이에 위치하고 있으며, 보조 도전 패턴(500) 및 제2 전극(700) 각각과 접하고 있다. 버퍼층(600)은 제1 전극(300)의 발광 영역(EA) 상에 위치하는 유기 발광층(400)을 덮는 동시에 기판(100) 전체에 걸쳐서 형성될 수 있다. 버퍼층(600)은 산화물을 포함하며, 일례로 텅스텐 산화물(WO3) 및 몰리브덴 산화물(MoOx)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버퍼층(600)은 증착 공정을 이용하여 유기 발광층(400) 상에 형성될 수 있다.
제2 전극(700)은 버퍼층(600) 상에 위치하고 있다. 제2 전극(700)은 전자 주입 전극인 음극(cathode)이며, 광 투과성 전극이다. 제2 전극(700)은 버퍼층(600)을 덮도록 기판(100) 전체에 걸쳐서 위치하고 있다. 제2 전극(700)은 하나 이상의 투명 도전성 산화물을 포함할 수 있다. 일례로, 제2 전극(700)은 인듐틴옥사이드(indium tin oxide, ITO), 인듐징크옥사이드(indium zinc oxide, IZO), 아연 산화물(ZnO)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단층 또는 복층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2 전극(700)은 투명 도전성 산화물의 특성상 스퍼터링(sputtering) 공정을 이용해 버퍼층(600) 상에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에서 유기 발광층(400)으로부터 발광된 빛은 광 반사성 전극인 제1 전극(300)에 의해 반사되고, 광 투과성 전극인 제2 전극(700)을 투과하여 봉지부(800) 방향으로 빛을 발광한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는 전면 발광형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이다
봉지부(800)는 제2 전극(700) 상에 위치하고 있으며, 기판(100)과 함께 기판(100)과 봉지부(800) 사이에 위치하는 유기 발광층(400) 등의 구성들을 외부로부터 밀봉하고 있다. 봉지부(800)는 하나 이상의 유기층과 하나 이상의 무기층이 상호 교번하여 적층 형성될 수 있다. 봉지부(800)의 유기층은 고분자로 형성되며, 바람직하게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이미드, 폴라카보네이트, 에폭시, 폴리에틸렌 및 폴리아크릴레이트 중 어느 하나로 형성되는 단일막 또는 적층막일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봉지부(800)의 유기층은 폴리아크릴레이트로 형성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는 디아크릴레이트계 모노머와 트리아크릴레이트계 모노머를 포함하는 모노머 조성물이 고분자화된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봉지부(800)의 무기층은 금속 산화물 또는 금속 질화물을 포함하는 단일막 또는 적층막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봉지부(800)의 무기층은 실리콘 질화물(SiNx), 알루미나(Al2O3), 실리콘 산화물(SiO2), 티타늄 산화물(TiO2)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봉지부(800)의 외부로 노출된 최상층은 외부의 투습을 방지하기 위하여 무기층으로 형성될 수 있다. 봉지부(800)는 적어도 2개의 무기층 사이에 적어도 하나의 유기층이 삽입된 샌드위치 구조를 적어도 하나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봉지부(800)는 봉지 기판으로서 형성될 수 있으며, 이 경우 봉지부(800)는 프릿(frit) 등의 실런트(sealant)를 이용하여 기판(100)과 합착되어 기판(100)과 함께 유기 발광층(400)을 밀봉할 수 있다.
이하,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효과를 설명한다.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효과를 설명하기 위한 그래프이다. 도 2는 비교예로서 제1 전극, 유기 발광층, 제2 전극이 순차적으로 적층된 종래의 유기 발광 표시 장치에 대한 그래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에 대한 그래프이다.
일반적으로, 제2 전극을 인듐틴옥사이드(ITO)로 형성할 경우, 제2 전극을 스퍼터링 공정을 이용해 형성해야 하는데, 스퍼터링 공정 중 챔버 내에서 발생하는 인듐(In) 이온 및 주석(Sn) 이온에 의해 이미 증착되어 있는 유기 발광층에 데미지(damage)가 발생되어 전체적인 유기 발광층의 발광 특성이 저하된다.
도 2 및 도 3 각각은 유기 발광층의 데미지(damage)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SIMS 분석 프로파일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유기 발광층 분석 결과, 종래의 유기 발광 표시 장치는 제2 유기층인 전자 수송층(L201) 내에 인듐 이온(In+ ion) 성분이 존재함을 나타내고 있으며, 이는 전자 수송층(L201)에 제2 전극인 인듐틴옥사이드 스퍼터링 시 전자 수송층(L201)에 데미지가 가해진다고 판단할 수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는 유기 발광층(400) 상에 버퍼층(600)을 형성하였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유기 발광층(400) 분석 결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는 제2 유기층(430)인 전자 수송층(L201) 내에 인듐 이온(In+ ion) 성분이 비교예인 도 2 대비 현저하게 저하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즉, 스퍼터링 공정을 이용해 유기 발광층(400) 상에 ITO인 제2 전극(700)을 형성하더라도 WO3인 버퍼층(600)이 유기 발광층(400) 상에 이미 존재함으로써, 제2 전극(700)의 형성 공정에 의해 유기 발광층(400)에 데미지가 가해지는 것이 억제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는 제2 전극(700)을 스퍼터링 공정을 이용해 형성하더라도, 유기 발광층(400) 상에 버퍼층(600)이 위치함으로써, 제2 전극(700)을 형성하는 이온들에 의해 유기 발광층(400)에 데미지가 발생되는 것이 억제된다.
이와 같이, 버퍼층(600)을 포함함으로써, 제2 전극(700)의 형성 공정에 의해 유기 발광층(400)에 데미지(damage)가 발생되는 것이 억제된 유기 발광 표시 장치가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는 제2 전극(700)과 유기 발광층(400) 사이에 버퍼층(600)이 위치함으로써, 제2 전극(700)의 전기저항이 상승할 우려가 있으나, 제2 전극(700) 대비 전기저항이 낮은 보조 도전 패턴(500)이 버퍼층(600)과 접하고 있기 때문에, 버퍼층(600)에 의한 전기저항의 상승이 억제된다. 또한, 보조 도전 패턴(500)이 제2 전극(700) 대비 일함수가 작기 때문에, 유기 발광층(400)에 대한 제2 전극(700)의 정공 주입 능력이 향상된다. 이로 인해, 유기 발광층(400) 발광을 제어하는 구동 전압을 낮출 수 있다.
이와 같이, 버퍼층(600) 및 보조 도전 패턴(500)을 포함함으로써, 유기 발광층(400)의 발광을 제어하는 구동 전압을 낮출 수 있기 때문에, 전체적인 구동 효율이 향상된 유기 발광 표시 장치가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는 보조 도전 패턴(500)이 발광 영역(EA)과 비중첩되어 화소 정의층(PDL) 상에만 위치하기 때문에, 유기 발광층(400)으로부터 발광되는 빛의 휘도가 보조 도전 패턴(500)에 의해 저하되는 것이 억제된다.
이와 같이, 보조 도전 패턴(500)이 유기 발광층(400)의 빛이 발광되는 발광 영역(EA)과 비중첩하여 위치하기 때문에, 보조 도전 패턴(500)을 포함하더라도 유기 발광층(400)으로부터 발광되는 빛의 발광 효율이 저하되는 것이 억제된 유기 발광 표시 장치가 제공된다.
이하,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를 설명한다. 이하에서는, 상술한 일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와 다른 구성에 대해서만 설명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보조 도전 패턴(500)은 화소 정의층(PDL)의 개구부(OA)에 의해 노출된 제1 전극(300)의 발광 영역(EA)과 비중첩하며, 화소 정의층(PDL) 상에 위치하고 있다. 보조 도전 패턴(500)은 버퍼층(600)과 제2 전극(700) 사이에 위치하고 있으며, 제2 전극(700) 및 버퍼층(600)과 접하고 있다. 보조 도전 패턴(500)은 제2 전극(700) 대비 일함수(work function)이 작은 재료로 형성될 수 있으며, 제2 전극(700) 대비 낮은 전기저항을 가진다. 보조 도전 패턴(500)은 은(Ag)을 포함하는 재료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일례로, 보조 도전 패턴(500)은 마그네슘은(MgAg), 은(Ag), 은마그네슘(AgMg)로 형성될 수 있다. 보조 도전 패턴(500)은 프린팅(printing) 공정 또는 발광 영역(EA)을 가리는 마스크를 이용한 증착 공정을 이용해 버퍼층(600) 상에 형성될 수 있다.
버퍼층(600)은 유기 발광층(400) 및 화소 정의층(PDL)을 덮으며, 보조 도전 패턴(500)과 접하고 있다. 버퍼층(600)은 보조 도전 패턴(500)과 화소 정의층(PDL) 사이에 위치하고 있으며, 보조 도전 패턴(500) 및 화소 정의층(PDL) 각각과 접하고 있다. 버퍼층(600)은 제1 전극(300)의 발광 영역(EA) 상에 위치하는 유기 발광층(400)을 덮는 동시에 기판(100) 전체에 걸쳐서 형성될 수 있다. 버퍼층(600)은 산화물을 포함하며, 일례로 텅스텐 산화물(WO3) 및 몰리브덴 산화물(MoOx)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버퍼층(600)은 증착 공정을 이용하여 유기 발광층(400) 상에 형성될 수 있다.
제2 전극(700)은 버퍼층(600) 및 보조 도전 패턴(500) 상에 위치하고 있다. 제2 전극(700)은 전자 주입 전극인 음극(cathode)이며, 광 투과성 전극이다. 제2 전극(700)은 버퍼층(600) 및 보조 도전 패턴(500)을 덮도록 기판(100) 전체에 걸쳐서 위치하고 있다. 제2 전극(700)은 하나 이상의 투명 도전성 산화물을 포함할 수 있다. 일례로, 제2 전극(700)은 인듐틴옥사이드(indium tin oxide, ITO), 인듐징크옥사이드(indium zinc oxide, IZO), 아연 산화물(ZnO)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단층 또는 복층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2 전극(700)은 투명 도전성 산화물의 특성상 스퍼터링(sputtering) 공정을 이용해 버퍼층(600) 및 보조 도전 패턴(500) 상에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버퍼층(600)을 포함함으로써, 제2 전극(700)의 형성 공정에 의해 유기 발광층(400)에 데미지(damage)가 발생되는 것이 억제된 유기 발광 표시 장치가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는 제2 전극(700)과 유기 발광층(400) 사이에 버퍼층(600)이 위치함으로써, 제2 전극(700)의 전기저항이 상승할 우려가 있으나, 제2 전극(700) 대비 전기저항이 낮은 보조 도전 패턴(500)이 버퍼층(600) 및 제2 전극(700)과 접하고 있기 때문에, 버퍼층(600)에 의한 전기저항의 상승이 억제된다. 또한, 보조 도전 패턴(500)이 제2 전극(700) 대비 일함수가 작기 때문에, 유기 발광층(400)에 대한 제2 전극(700)의 정공 주입 능력이 향상된다. 이로 인해, 유기 발광층(400) 발광을 제어하는 구동 전압을 낮출 수 있다.
이와 같이, 버퍼층(600) 및 보조 도전 패턴(500)을 포함함으로써, 유기 발광층(400)의 발광을 제어하는 구동 전압을 낮출 수 있기 때문에, 전체적인 구동 효율이 향상된 유기 발광 표시 장치가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는 보조 도전 패턴(500)이 발광 영역(EA)과 비중첩되어 화소 정의층(PDL) 상에 위치하는 버퍼층(600) 상에만 위치하기 때문에, 유기 발광층(400)으로부터 발광되는 빛의 휘도가 보조 도전 패턴(500)에 의해 저하되는 것이 억제된다.
이와 같이, 보조 도전 패턴(500)이 유기 발광층(400)의 빛이 발광되는 발광 영역(EA)과 비중첩하여 위치하기 때문에, 보조 도전 패턴(500)을 포함하더라도 유기 발광층(400)으로부터 발광되는 빛의 발광 효율이 저하되는 것이 억제된 유기 발광 표시 장치가 제공된다.
이하,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를 설명한다. 이하에서는, 상술한 일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와 다른 구성에 대해서만 설명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는 기판(100), 박막 트랜지스터(200), 제1 전극(300), 화소 정의층(PDL), 유기 발광층(400), 보조 도전층(550), 버퍼층(600), 제2 전극(700), 봉지부(800)를 포함한다.
보조 도전층(550)은 유기 발광층(400) 상에 위치하고 있다. 보조 도전층(550)은 버퍼층(600)과 유기 발광층(400) 사이에 위치하고 있으며, 유기 발광층(400) 및 버퍼층(600)과 접하고 있다. 보조 도전층(550)은 제2 전극(700) 대비 일함수(work function)이 작은 재료로 형성될 수 있으며, 제2 전극(700) 대비 낮은 전기저항을 가진다. 보조 도전층(550)은 은(Ag)을 포함하는 재료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일례로, 보조 도전층(550)은 마그네슘은(MgAg), 은(Ag), 은마그네슘(AgMg)로 형성될 수 있다. 보조 도전층(550)은 프린팅(printing) 공정을 이용해 유기 발광층(400) 및 화소 정의층(PDL) 상에 형성될 수 있다. 보조 도전층(550)은 5Å 내지 20Å의 두께를 가질 수 있다.
버퍼층(600)은 보조 도전층(550)을 덮으며, 보조 도전층(550)과 접하고 있다. 버퍼층(600)은 보조 도전층(550)과 제2 전극(700) 사이에 위치하고 있으며, 보조 도전층(550) 및 제2 전극(700)과 접하고 있다. 버퍼층(600)은 제1 전극(300)의 발광 영역(EA) 상에 위치하는 유기 발광층(400)을 덮는 동시에 기판(100) 전체에 걸쳐서 형성될 수 있다. 버퍼층(600)은 산화물을 포함하며, 일례로 텅스텐 산화물(WO3) 및 몰리브덴 산화물(MoOx)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버퍼층(600)은 증착 공정을 이용하여 유기 발광층(400) 상에 형성될 수 있다. 버퍼층(600)은 700Å 내지 900Å의 두께를 가질 수 있다.
제2 전극(700)은 버퍼층(600) 상에 위치하고 있다. 제2 전극(700)은 전자 주입 전극인 음극(cathode)이며, 광 투과성 전극이다. 제2 전극(700)은 버퍼층(600)을 덮도록 기판(100) 전체에 걸쳐서 위치하고 있다. 제2 전극(700)은 하나 이상의 투명 도전성 산화물을 포함할 수 있다. 일례로, 제2 전극(700)은 인듐틴옥사이드(indium tin oxide, ITO), 인듐징크옥사이드(indium zinc oxide, IZO), 아연 산화물(ZnO)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단층 또는 복층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2 전극(700)은 투명 도전성 산화물의 특성상 스퍼터링(sputtering) 공정을 이용해 버퍼층(600) 상에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버퍼층(600)을 포함함으로써, 제2 전극(700)의 형성 공정에 의해 유기 발광층(400)에 데미지(damage)가 발생되는 것이 억제된 유기 발광 표시 장치가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는 제2 전극(700)과 유기 발광층(400) 사이에 버퍼층(600)이 위치함으로써, 제2 전극(700)의 전기저항이 상승할 우려가 있으나, 제2 전극(700) 대비 전기저항이 낮은 보조 도전층(550)이 버퍼층(600)과 접하고 있기 때문에, 버퍼층(600)에 의한 전기저항의 상승이 억제된다. 또한, 보조 도전층(550)이 제2 전극(700) 대비 일함수가 작기 때문에, 유기 발광층(400)에 대한 제2 전극(700)의 정공 주입 능력이 향상된다. 이로 인해, 유기 발광층(400) 발광을 제어하는 구동 전압을 낮출 수 있다.
이와 같이, 버퍼층(600) 및 보조 도전층(550)을 포함함으로써, 유기 발광층(400)의 발광을 제어하는 구동 전압을 낮출 수 있기 때문에, 전체적인 구동 효율이 향상된 유기 발광 표시 장치가 제공된다.
이하,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를 설명한다. 이하에서는, 상술한 일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와 다른 구성에 대해서만 설명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는 기판(100), 박막 트랜지스터(200), 제1 전극(300), 화소 정의층(PDL), 유기 발광층(400), 보조 도전층(550), 버퍼층(600), 제2 전극(700), 봉지부(800)를 포함한다.
보조 도전층(550)은 유기 발광층(400) 상에 위치하고 있다. 보조 도전층(550)은 버퍼층(600)과 제2 전극(700) 사이에 위치하고 있으며, 제2 전극(700) 및 버퍼층(600)과 접하고 있다. 보조 도전층(550)은 제2 전극(700) 대비 일함수(work function)이 작은 재료로 형성될 수 있으며, 제2 전극(700) 대비 낮은 전기저항을 가진다. 보조 도전층(550)은 은(Ag)을 포함하는 재료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일례로, 보조 도전층(550)은 마그네슘은(MgAg), 은(Ag), 은마그네슘(AgMg)로 형성될 수 있다. 보조 도전층(550)은 프린팅(printing) 공정을 이용한 증착 공정을 이용해 버퍼층(600) 상에 형성될 수 있다. 보조 도전층(550)은 5Å 내지 20Å의 두께를 가질 수 있다.
버퍼층(600)은 유기 발광층(400) 및 화소 정의층(PDL)을 덮으며, 보조 도전층(550)과 접하고 있다. 버퍼층(600)은 보조 도전층(550)과 유기 발광층(400) 사이에 위치하고 있으며, 보조 도전층(550) 및 유기 발광층(400) 각각과 접하고 있다. 버퍼층(600)은 제1 전극(300)의 발광 영역(EA) 상에 위치하는 유기 발광층(400)을 덮는 동시에 기판(100) 전체에 걸쳐서 형성될 수 있다. 버퍼층(600)은 산화물을 포함하며, 일례로 텅스텐 산화물(WO3) 및 몰리브덴 산화물(MoOx)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버퍼층(600)은 증착 공정을 이용하여 유기 발광층(400) 상에 형성될 수 있다. 버퍼층(600)은 700Å 내지 900Å의 두께를 가질 수 있다.
제2 전극(700)은 보조 도전층(550) 상에 위치하고 있다. 제2 전극(700)은 전자 주입 전극인 음극(cathode)이며, 광 투과성 전극이다. 제2 전극(700)은 보조 도전층(550)을 덮도록 기판(100) 전체에 걸쳐서 위치하고 있다. 제2 전극(700)은 하나 이상의 투명 도전성 산화물을 포함할 수 있다. 일례로, 제2 전극(700)은 인듐틴옥사이드(indium tin oxide, ITO), 인듐징크옥사이드(indium zinc oxide, IZO), 아연 산화물(ZnO)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단층 또는 복층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2 전극(700)은 투명 도전성 산화물의 특성상 스퍼터링(sputtering) 공정을 이용해 보조 도전층(550) 상에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버퍼층(600)을 포함함으로써, 제2 전극(700)의 형성 공정에 의해 유기 발광층(400)에 데미지(damage)가 발생되는 것이 억제된 유기 발광 표시 장치가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는 제2 전극(700)과 유기 발광층(400) 사이에 버퍼층(600)이 위치함으로써, 제2 전극(700)의 전기저항이 상승할 우려가 있으나, 제2 전극(700) 대비 전기저항이 낮은 보조 도전층(550)이 버퍼층(600) 및 제2 전극(700)과 접하고 있기 때문에, 버퍼층(600)에 의한 전기저항의 상승이 억제된다. 또한, 보조 도전층(550)이 제2 전극(700) 대비 일함수가 작기 때문에, 유기 발광층(400)에 대한 제2 전극(700)의 정공 주입 능력이 향상된다. 이로 인해, 유기 발광층(400) 발광을 제어하는 구동 전압을 낮출 수 있다.
이와 같이, 버퍼층(600) 및 보조 도전층(550)을 포함함으로써, 유기 발광층(400)의 발광을 제어하는 구동 전압을 낮출 수 있기 때문에, 전체적인 구동 효율이 향상된 유기 발광 표시 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을 앞서 기재한 바에 따라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해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다음에 기재하는 특허청구범위의 개념과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 종사하는 자들은 쉽게 이해할 것이다.
제1 전극(300), 화소 정의층(PDL), 유기 발광층(400), 보조 도전 패턴(500), 버퍼층(600), 제2 전극(700)

Claims (20)

  1. 기판;
    상기 기판 상에 위치하는 박막 트랜지스터;
    상기 박막 트랜지스터와 연결된 제1 전극;
    상기 제1 전극 상에 위치하며, 상기 제1 전극의 일부인 발광 영역을 노출하는 화소 정의층;
    상기 발광 영역에 대응하여 상기 제1 전극 상에 위치하는 유기 발광층;
    상기 화소 정의층 및 상기 유기 발광층 상에 위치하며, 상기 발광 영역과 중첩하는 보조 도전 패턴;
    상기 유기 발광층 및 상기 화소 정의층을 덮으며, 상기 보조 도전 패턴과 접하는 버퍼층; 및
    상기 버퍼층 상에 위치하는 제2 전극
    을 포함하며,
    상기 보조 도전 패턴은 상기 버퍼층보다 얇은 두께를 가지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
  2. 제1항에서,
    상기 보조 도전 패턴은 상기 버퍼층과 상기 화소 정의층 사이에 위치하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
  3. 제2항에서,
    상기 보조 도전 패턴은 상기 화소 정의층과 접하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
  4. 제1항에서,
    상기 보조 도전 패턴은 상기 버퍼층과 상기 제2 전극 사이에 위치하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
  5. 제4항에서,
    상기 보조 도전 패턴은 상기 제2 전극과 접하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
  6. 제1항에서,
    상기 보조 도전 패턴은 상기 제2 전극 대비 일함수(work function)가 작은 유기 발광 표시 장치.
  7. 제1항에서,
    상기 보조 도전 패턴은 상기 제2 전극 대비 낮은 전기저항을 가지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
  8. 제1항에서,
    상기 보조 도전 패턴은 은(Ag)을 포함하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
  9. 제1항에서,
    상기 제2 전극은 제1 산화물을 포함하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
  10. 제9항에서,
    상기 제1 산화물은 인듀틴옥사이드(ITO), 인듐징크옥사이드(IZO), 아연 산화물(ZnO)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
  11. 제9항에서,
    상기 제2 전극은 스퍼터링(sputtering) 공정을 이용해 상기 버퍼층 상에 형성되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
  12. 제1항에서,
    상기 버퍼층은 제2 산화물을 포함하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
  13. 제12항에서,
    상기 제2 산화물은 텅스텐 산화물(WO3) 및 몰리브덴 산화물(MoOx)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
  14. 제1항에서,
    상기 유기 발광층은,
    상기 제1 전극 상에 위치하는 제1 유기층;
    상기 제1 유기층 상에 위치하는 주발광층; 및
    상기 주발광층 상에 위치하는 제2 유기층
    을 포함하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
  15. 삭제
  16. 삭제
  17. 삭제
  18. 삭제
  19. 삭제
  20. 삭제
KR1020140136207A 2014-10-08 2014-10-08 유기 발광 표시 장치 Active KR102273654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36207A KR102273654B1 (ko) 2014-10-08 2014-10-08 유기 발광 표시 장치
US14/722,649 US20160104859A1 (en) 2014-10-08 2015-05-27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36207A KR102273654B1 (ko) 2014-10-08 2014-10-08 유기 발광 표시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42365A KR20160042365A (ko) 2016-04-19
KR102273654B1 true KR102273654B1 (ko) 2021-07-06

Family

ID=556560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36207A Active KR102273654B1 (ko) 2014-10-08 2014-10-08 유기 발광 표시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20160104859A1 (ko)
KR (1) KR10227365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953044B (zh) * 2015-05-06 2017-11-07 深圳市华星光电技术有限公司 柔性oled及其制作方法
KR102334240B1 (ko) * 2015-07-31 2021-12-01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폴더블 유기발광표시장치
KR102412043B1 (ko) * 2015-10-13 2022-06-2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 패널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2748006B1 (ko) 2015-10-26 2024-12-31 오티아이 루미오닉스 인크. 표면 상에 코팅을 패턴화하는 방법 및 패턴화된 코팅을 포함하는 디바이스
KR102491880B1 (ko) 2016-06-16 2023-01-27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CN110301053B (zh) 2016-12-02 2024-05-10 Oti照明公司 包括设置在发射区域上面的导电涂层的器件及其方法
KR102563713B1 (ko) 2017-04-26 2023-08-07 오티아이 루미오닉스 인크. 표면의 코팅을 패턴화하는 방법 및 패턴화된 코팅을 포함하는 장치
JP7264488B2 (ja) 2017-05-17 2023-04-25 オーティーアイ ルミオニクス 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パターン化コーティングにわたって伝導性コーティングを選択的に堆積させるための方法および伝導性コーティングを含むデバイス
US11751415B2 (en) 2018-02-02 2023-09-05 Oti Lumionics Inc. Materials for forming a nucleation-inhibiting coating and devices incorporating same
US11489136B2 (en) 2018-05-07 2022-11-01 Oti Lumionics Inc. Method for providing an auxiliary electrode and device including an auxiliary electrode
KR102526507B1 (ko) * 2018-07-17 2023-04-26 티씨엘 차이나 스타 옵토일렉트로닉스 테크놀로지 컴퍼니 리미티드 배선 기판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CN110416437B (zh) * 2018-07-25 2021-01-26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显示面板及其制造方法、显示装置
JP2022508040A (ja) 2018-11-23 2022-01-19 オーティーアイ ルミオニクス 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光透過領域を含むオプトエレクトロニクスデバイス
CN111244317B (zh) * 2018-11-27 2022-06-07 海思光电子有限公司 一种光发射器件、终端设备
CN109742122B (zh) 2019-01-10 2021-08-06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显示基板及其制作方法、显示面板
KR20210149058A (ko) 2019-03-07 2021-12-08 오티아이 루미오닉스 인크. 핵생성 억제 코팅물 형성용 재료 및 이를 포함하는 디바이스
WO2020212953A1 (en) 2019-04-18 2020-10-22 Oti Lumionics Inc. Materials for forming a nucleation-inhibiting coating and devices incorporating the same
KR20220017918A (ko) 2019-05-08 2022-02-14 오티아이 루미오닉스 인크. 핵 생성 억제 코팅 형성용 물질 및 이를 포함하는 디바이스
KR20240134240A (ko) 2019-06-26 2024-09-06 오티아이 루미오닉스 인크. 광 회절 특성을 갖는 광 투과 영역을 포함하는 광전자 디바이스
US11832473B2 (en) 2019-06-26 2023-11-28 Oti Lumionics Inc. Optoelectronic device including light transmissive regions, with light diffraction characteristics
KR20250090366A (ko) 2019-08-09 2025-06-19 오티아이 루미오닉스 인크. 보조 전극 및 파티션을 포함하는 광전자 디바이스
CN111834396A (zh) * 2019-12-13 2020-10-27 云谷(固安)科技有限公司 透光显示面板、显示面板及显示装置
JP2023553379A (ja) 2020-12-07 2023-12-21 オーティーアイ ルミオニクス 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核形成抑制被膜及び下地金属被膜を用いた導電性堆積層のパターニング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287354A (ja) * 2006-04-12 2007-11-01 Hitachi Displays Ltd 有機el表示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52972B1 (ko) * 2003-10-09 2006-02-15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평판표시장치 및 그의 제조방법
KR100997971B1 (ko) * 2003-11-19 2010-12-02 삼성전자주식회사 결정화용 마스크, 이를 이용한 결정화 방법 및 이를포함하는 박막 트랜지스터 표시판의 제조 방법
KR101026812B1 (ko) * 2003-11-28 2011-04-04 삼성전자주식회사 박막 트랜지스터 표시판 및 그의 제조 방법
JP4628690B2 (ja) * 2004-03-24 2011-02-09 株式会社 日立ディスプレイズ 有機発光表示装置
KR100984362B1 (ko) * 2004-04-02 2010-09-30 삼성전자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판
US7427783B2 (en) * 2004-04-07 2008-09-23 Samsung Sdi Co., Ltd. Top emissio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using auxiliary electrode to prevent voltage drop of upper electrode
KR100712111B1 (ko) * 2004-12-14 2007-04-27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보조 전극 라인을 구비하는 유기전계발광소자 및 그의제조 방법
US7994711B2 (en) * 2005-08-08 2011-08-09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Light emitting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101157262B1 (ko) * 2005-12-14 2012-06-15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전계 발광 표시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JP2008192477A (ja) * 2007-02-06 2008-08-21 Seiko Epson Corp 有機el装置、有機el装置の製造方法、及び電子機器
JP4678421B2 (ja) * 2008-05-16 2011-04-27 ソニー株式会社 表示装置
JP5809234B2 (ja) * 2011-02-25 2015-11-10 株式会社Joled 有機el表示パネルおよび有機el表示装置
KR20150006125A (ko) * 2013-07-08 2015-01-16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장치 및 유기 발광 표시장치의 제조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287354A (ja) * 2006-04-12 2007-11-01 Hitachi Displays Ltd 有機el表示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42365A (ko) 2016-04-19
US20160104859A1 (en) 2016-04-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73654B1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
KR102051103B1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
KR102060622B1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
KR102639567B1 (ko) 디스플레이 장치
KR102391361B1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
US9570706B2 (en) Organic light-emitting diode (OLED) display having a plurality of spacers covering one or more via holes
JP6381878B2 (ja) 有機発光表示装置
KR102399416B1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
KR102090200B1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
KR102101362B1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
KR102435391B1 (ko) 표시 장치
US10505145B2 (en) Display device
KR102091835B1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
KR102359349B1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
KR20150029158A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
US11574975B2 (en)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device with channel region covered by drain electrode
US9806275B2 (e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KR102367250B1 (ko) 유기 발광 소자
KR101901758B1 (ko) 유기발광다이오드소자
KR102110471B1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
KR102065587B1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41008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91004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41008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00926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10329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10630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10630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