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670108B1 - 피부외용제 - Google Patents

피부외용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70108B1
KR100670108B1 KR1020017009262A KR20017009262A KR100670108B1 KR 100670108 B1 KR100670108 B1 KR 100670108B1 KR 1020017009262 A KR1020017009262 A KR 1020017009262A KR 20017009262 A KR20017009262 A KR 20017009262A KR 100670108 B1 KR100670108 B1 KR 10067010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tty acid
vitamin
lamellar structure
mixed
skin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170092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101644A (ko
Inventor
요시오 히라키
사토시 요시카와
타카시 키노시타
타츠토시 시라이시
토시로 소네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야쿠루트 혼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12524023&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100670108(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야쿠루트 혼샤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야쿠루트 혼샤
Publication of KR200101016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10164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701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70108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8Sphingolipids, e.g. ceramides, cerebrosides, gangliosi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0012Galenical forms characterised by the site of application
    • A61K9/0014Skin, i.e. galenical aspects of topical composi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045Hydroxy compounds, e.g. alcohols; Salts thereof, e.g. alcoholates
    • A61K31/07Retinol compounds, e.g. vitamin 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21Esters, e.g. nitroglycerine, selenocyanates
    • A61K31/215Esters, e.g. nitroglycerine, selenocyanates of carboxylic acids
    • A61K31/22Esters, e.g. nitroglycerine, selenocyanates of carboxylic acids of acyclic acids, e.g. pravastatin
    • A61K31/23Esters, e.g. nitroglycerine, selenocyanates of carboxylic acids of acyclic acids, e.g. pravastatin of acids having a carboxyl group bound to a chain of seven or more carbon ato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06Organic compounds, e.g. natural or synthetic hydrocarbons, polyolefins, mineral oil, petrolatum or ozokerite
    • A61K47/08Organic compounds, e.g. natural or synthetic hydrocarbons, polyolefins, mineral oil, petrolatum or ozokerite containing oxygen, e.g. ethers, acetals, ketones, quinones, aldehydes, peroxides
    • A61K47/14Esters of carboxylic acids, e.g. fatty acid monoglycerides, medium-chain triglycerides, parabens or PEG fatty acid est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3Liquid compositions with two or more distinct lay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14Liposomes; Vesic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7Esters of carboxylic acids
    • A61K8/375Esters of carboxylic acids the alcohol moiety containing more than one hydroxy group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7Vitami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7Vitamins
    • A61K8/671Vitamin A; Derivatives thereof, e.g. ester of vitamin A acid, ester of retinol, retinol, retina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06Ointments; Bases therefor; Other semi-solid forms, e.g. creams, sticks, ge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10Dispersions; Emulsions
    • A61K9/107Emulsions ; Emulsion preconcentrates; Micelles
    • A61K9/1075Microemulsions or submicron emulsions; Preconcentrates or solids thereof; Micelles, e.g. made of phospholipids or block copolym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7/00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7/00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 A61P17/16Emollients or protectives, e.g. against radi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8Anti-ageing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10Washing or bathing preparatio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Birds (AREA)
  • Dermatology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phys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Gerontology & Geriatric Medicine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Toxicology (AREA)
  • Cosmetics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지방산 모노글리세리드를 주성분으로 하는 라멜라 구조체 및 비타민 A 또는 그의 유도체를 함유하는 피부외용제에 관한 것이다. 이 피부외용제는 높은 거친 피부개선 효과, 주름 억제효과 등을 갖는 것과 동시에 이취 또는 끈적거림이 없으며 또한 제조시의 기포의 발생이 억제된 피부외용제이다.

Description

피부외용제 {SKIN PREPARATIONS FOR EXTERNAL USE}
본 발명은 높은 보습효과, 거친 피부 개선효과, 주름 억제효과를 갖는 동시에 이취, 끈적거림이 없어 상쾌한 사용감을 가지며, 제조시 발포가 적어 보존 안정성도 우수한 피부외용제에 관한 것이다.
피부는 나이가 들거나 온도, 습도, 자외선 등의 외부환경 등에 영향을 받아 피부의 여러 기능 감퇴나 피부의 노화를 초래하고 주름, 거친 피부 등의 각종 트러블을 발생한다. 이 피부 트러블을 개선하는 방법으로서, 합성 또는 천연의 보습성분이나 참기름 등의 천연물 유출물, 루틴당유도체, 세리신 등의 단백질, α-히드록시산 등, 각종의 거친 피부 개선효과나 노화방지효과를 갖는 성분을 화장료 등의 피부외용제에 배합하는 것이 행하여지고 있다.
예를 들면, 보습성분으로는 글리세롤, 프로필렌 글리콜 등의 다가 알코올류; 소르비톨, 말티톨 등의 당류; 아미노산, 히알루론산, 콘드로이틴산 등의 고분자 물질 등이 알려져 있다. 그러나 이러한 보습제를 사용하면 끈적거림이 생긴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본 출원인은 지방산 모노글리세리드를 주성분으로 하는 라멜라(lamellar) 구조체가 높은 보습효과를 갖는 다는 사실을 발견하고 이를 개시 하였다(일본 특허 제 2606761호 공보). 그러나 이 라멜라 구조체를 제조하는 경우에 기포의 발생을 피할 수가 없어 제조의 효율상에 문제가 되고 있으며 또한 보존 조건에 있어서도 라멜라 구조체 일부가 손상되어 버리는 경우도 있다는 문제도 가지고 있다.
또한 일본 특표소 64-500355호 공보에는 비타민 A 또는 그의 유도체를 배합함으로써 피부의 나이듦, 일광 노출에 의한 변화 또는 장애를 방지, 개선하는 방법이 개시되었다. 그러나 이 비타민 A류는 거친 피부개선효과, 주름 억제 효과가 불충분한 것임과 동시에, 이취, 끈적거림의 원인이 된다는 문제를 가지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높은 거친피부 개선효과, 주름 억제효과 등을 가짐과 동시에 이취나 끈적거림이 없고, 제조시 기포의 발생이 억제된 피부외용제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자들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예의 연구를 행한 결과, 지방산 모노글리세리드를 주성분으로 하는 라멜라 구조체와 비타민 A 또는 그의 유도체와를 병용함으로써 비타민 A의 거친 피부개선효과, 주름억제효과 등을 향상시키고 또한 상쾌한 사용감을 얻을 수 있다는 것; 및 지방산 모노글리세리드 및 비타민 A를 함유하는 유상혼합물을 조제한 후, 당해 유상혼합물로부터 라멜라 구조체를 조제하면 보다 높은 거친 피부개선 효과 및 주름 억제효과가 얻어지는 것과 동시에, 비타민 A의 냄새 및 라멜라 구조체 제조시의 발포를 억제할 수 있으며 보존 안정성도 향상되는 것을 발견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즉 본 발명은 지방산 모노글리세리드를 주성분으로 하는 라멜라 구조체 및 바타민 A 또는 그의 유도체를 함유하는 피부외용제를 제공하는 것이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량의 형태]
본 발명에 사용되는 지방산 모노글리세리드로서는 탄소수 8∼18의 포화 또는 불포화 지방산의 모노글리세리드를 들 수 있으며, 이들 중에서도 미리스틴산 모노글리세리드, 팔미틴산 모노글리세리드, 스테아린산 모노글리세리드이가 바람직하다. 이들은 어느 하나를 단독 또는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라멜라 구조체는 지방산 모노글리세리드를 주성분으로 하는 것이나, 라멜라 구조의 구성성분으로서 지방산 모노글리세리드에 기타의 성분을 첨가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이러한 구성성분으로는 콜레스테롤 등을 들 수 있다. 콜레스테롤의 배합은 라멜라 구조체의 안정성을 항상시키기 때문에 특히 바람직하다. 콜레스테롤의 첨가량은 지방산 모노글리세리드 1 중량부에 대하여 콜레스테롤 0.01∼1중량부, 특히 0.05∼0.40중량부가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라멜라 구조체는 지방산 모노글리세리드 또는 이를 함유하는 유상 혼합물을 원료로 하여 조제된다. 예를 들면, 지방산 모노글리세리드 또는 이를 함유하는 유상 혼합물을 가열하여 용융 혼합하고 액정 상태로 한 후, 동정도의 온도로 유지된 수상을 첨가하고 물리적으로 교반하여 유상을 수상에 분산함으로써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라멜라 구조체의 분산액을 조제한다. 상기 가열 온도로서는 45∼100℃ 또는 45∼80℃ 특히 50∼70℃가 바람직하며 또한 여기에서의 물리적 교반으로는 예를 들면 초음파 유화장치, 고압 균일 분산장치, 나노미저(nanomizer), 호모믹서(homomixer), 호모제니저(homogenizer), 콜로이드밀, 고속교반기 등의 미립화 장치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다른 방법으로서 지방산 모노글리세리드 또는 이를 함유하는 유상혼합물을 디클로로메탄, 클로로포름 또는 아세톤 등의 유기용매에 용해한 후, 회전용기 중에서 용매를 증류하고 지질층을 침적시키고 이어서 물 또는 적당한 수용액을 첨가하여 혼합하는 것에 의해서도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라멜라 구조체를 조제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조제법 중 공업적 제조의 관점에서는 전자의 방법이 바람직하다.
라멜라 구조체의 형태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베시클(vesicle)과 동양의 형태, 즉 라멜라 구조가 닫힌 형태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이러한 닫혀진 형태의 라멜라 구조체는 유니라멜라 구조가 아니라 멀티라멜라 구조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비타민 A 또는 그의 유도체(이하「비타민 A류」라고 칭함)로서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레티놀, 알데히드형의 레티날, 카르복시산형의 레티노인산 및 아세트산레티놀 및 팔미틴산레티놀 등의 에스테르 등을 모두 적합하게 사용할 수 있는 것 외에, β-카로틴 등의 비타민 A 전구체나 히드로레티놀, 레트로레티놀, 이소안히드로레티놀 등의 비타민 A 분해물도 사용가능하다. 이들 중에서도 거친 피부개선효과, 주름억제효과 등의 점에서는 팔미틴산 레티놀, 레티놀, 레티노인산 및 아세트산 레티놀이 바람직하고 특히 팔미틴산 레티놀이 바람직하다. 상기 어느 하나를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피부외용제 중의 지방산 모노글리세리드와 비타민 A류의 함유량으 로는 지방산 글리세리드는 라멜라 구조의 안정성 점에서 0.1∼25 중량%, 특히 0.5∼10 중량%가 바람직하고 비타민 A류는 거친 피부개선효과, 주름억제효과, 가격면 및 작업성 점에서 0.001∼2 중량 %, 특히 0.01∼0.3 중량 %가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피부외용제는 상기 라멜라 구조체를 조제한 후, 비타민 A류 및 기타의 성분과 함께 피부외용제에 배합함으로서 조제될 수 있으나 지방산 모노글리세리드 및 비타민 A류를 함유하는 유상 혼합물을 조제한 후, 이 유상혼합물로부터 상기 방법에 따라 라멜라 구조체를 조제하고 기타의 성분과 함께 피부외용제에 배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어느 방법에 의해서도 비타민 A류의 거친 피부 개선효과, 주름 억제 효과는 향상되나, 지방산 모노글리세리드와 비타민 A류와의 혼합물에서 라멜라 구조체를 조제하면 특히 이러한 효과가 높아진다. 또한 이 방법에 의하면 비타민 A류에 기인하는 이취를 억제할 수 있고 또한 라멜라 구조체 제조시에 발생하는 발포를 억제하는 것과 동시에 라멜라 구조의 안정성도 향상되어 보존안정성이 우수한 것이 된다.
또한, 피부외용제 중의 비타민 A류의 상태의 측면에서 보면, 비타민 A류가 라멜라 구조체에 내포 내지 피복되어 있는 것이 상기의 관점에서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지방산 모노글리세리드와 비타민 A류를 함유하는 유상 혼합물에서 라멜라 구조체를 조제한 경우, 지방산 모노글리세리드와 비타민 A류와의 배합비는 발포의 억제도, 보존시의 안정성 등의 점에서 비타민 A류 1중량부에 대하여 지방산 모노글리세리드 2∼100중량부, 특히 5∼50중량부가 바람직하다. 즉 지방산 모노글리세리드량이 이 범위보다도 많아지면 제조시의 발포 억제 효과가 감소하고 이 범위보다 적어지면 라멜라 구조의 안정성이 저하된다.
이렇게 하여 얻어진 본 발명의 피부외용제는 화장료, 의약품, 의약부외품, 치료용 외용제 등으로서 사용될 수 있다. 이 중에서도 거친 피부개선용, 주름 억제용 또는 노화방지용의 화장료 등으로서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화장료의 형태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화장수, 유액, 보습 크림, 클렌싱 크림, 마사지 크림, 세안 크림, 팩, 미용액, 모발용 화장료, 구강내용 화장료 등, 각종 형태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피부외용제에는 본 발명의 효과를 방해하지 않는 범위에서 공지의 화장료 성분이나 의약품 성분, 예를 들면 물, 알코올류, 유성분, 계면활성제, 방부제, 향료, 색소, 각종 약효성분 등을 배합한 것이 가능하다.
이하, 실시예를 들어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나,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시험예 1: 주름 형성 억제시험
이하에 나타낸 샘플이 자외선 조사에 의한 헤어리스 마우스(hairless mouse)의 거친 피부, 주름형성에 미치는 영향을 검사하였다.
(샘플제조)
본 발명품 1:
(1) A 상 : 표 1에 나타낸 1A의 지방산 모노글리세리드(d) 및 콜레스테롤(e)을 80 ℃에서 가열, 혼합, 용해하고 65 ℃까지 냉각 후, 이를 정제수(c)에 염화칼 슘(a) 및 메틸파라벤(b)를 60 ℃에서 용해한 용액에 첨가하고 호모믹서로 교반혼합하여 라멜라 구조체 분산액을 얻었다.
(2) B 상 : 표 1에 나타낸 1B의 염화칼슘(a), 메틸파라벤(b) 및 정제수(c)를 80 ℃에서 가열, 혼합, 용해하고 다른 쪽에서는 팔라틴산레티놀 (f), 유동 파라핀 (g) 및 계면활성제(h, i)도 80 ℃에서 가열, 혼합, 용해하여, 이 두 용액을 교반혼합한 후, 냉각하여 유화물을 얻었다.
(3) A상과 B상을 실온에서 교반혼합하여 유액(본 발명품 1)을 얻었다.
본 발명품 2:
(1) A 상 : 표 1에 나타낸 2A상의 지방산 모노글리세리드(d), 콜레스테롤(e) 및 팔라틴산 레티놀 (f)를 80 ℃에서 가열, 혼합, 용해하고 65 ℃까지 냉각 후, 이를 정제수(c)에 염화칼슘(a) 및 메틸파라벤(b)를 60 ℃에서 용해한 용액에 첨가하고, 호모믹서로 교반혼합하여 라멜라 구조체 분산액을 얻었다.
(2) B 상 : 표 1에 나타낸 2B의 염화칼슘(a), 메틸파라벤(b) 및 정제수(c)를 80 ℃에서 가열, 혼합, 용해하고, 다른 쪽에서는 유동 파라핀 (g) 및 계면활성제(h, i)도 80 ℃에서 가열, 혼합, 용해하여, 이 두 용액을 교반혼합한 후 냉각하여 유화물을 얻었다.
(3) A상과 B상을 실온에서 교반혼합하여 유액(본 발명품 2)를 얻었다.
비교품 1:
표 1에 나타낸 3A의 염화칼슘(a), 메틸파라벤(b) 및 정제수(c)를 80 ℃에서 가열, 혼합, 용해하고, 다른 쪽에서는 팔미틴산 레티놀 (f), 유동 파라핀 (g) 및 계면활성제(h, i)도 80 ℃에서 가열, 혼합, 용해하여, 이 두 용액을 교반혼합한 후, 냉각하여 유액(비교품 1)을 얻었다.
본 발명품 1 본 발명품 2 비교품 1
1A(라멜라) 1B(유화물) 2A(라멜라) 2B(유화물) 3A(유화물)
a. 염화칼슘 0.05 0.05 0.05 0.05 0.1
b. 메틸파라벤 0.05 0.05 0.05 0.05 0.1
c. 정제수 43.4 34.9 42.4 35.9 84.8
d. 포엠 s-1001) 5.0 - 5.0 - -
e. 콜레스테롤 1.5 - 1.5 - -
f. 팔미틴산 레티놀 - 1.0 1.0 - 1.0
g. 유동 파라핀 - 10.0 - 10.0 10.0
h. TS-102) - 2.0 - 2.0 2.0
i. SS-103) - 2.0 - 2.0 2.0
1) 글리세릴 모노스테아레이트와 글리세릴 모노팔미테이트의 혼합물(이연 비타민사제)
2)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모노스테아레이트 (일광 케미칼스사제)
3) 소르비탄 모노스테아레이트 (일광 케미칼스사제)
(시험방법)
24±2℃, 습도 55±10%의 항온항습 사육실에서 통상 고형 사료 및 물을 자유롭게 섭취시켜 사육한 6주령의 hr-1계 암컷 헤어리스 마우스 40 마리를 1군에 10마리씩 4군으로 나누어 사용하였다.
이 마우스에 자외선(UVB)을 40∼160 mJ/cm2 조건에서 1주에 3회 조사하고 각 군에 표 1의 샘플을 10 ㎕/cm2 연일 도포하고, 14일 후, 28일 후 및 42일 후의 주름 을 측정하였다. 또한 기간 중의 자외선 조사량은 상기 범위내에서 단계적으로 증대하였다.
주름의 측정은 그 형상을 레플리카(replica)로서 채취하고, 이 요철을 화상 해석장치를 사용하여 컴퓨터 처리하여, 전면적 중 주름의 면적 비율(주름비)을 측정하였다. 이어서 각 군의 14일 후, 28일 후 및 42일 후의 각 주름비와 자외선 조사 전의 주름비와의 차(주름비 증가량)의 평균치로부터 샘플무도포의 콘트롤군을 100으로 한 경우의 샘플 도포군의 상대치를 산출하고 평균 주름형성비로 하였다.
(결과)
그 결과, 표 2에 나타낸 것과 같이, 본 발명의 피부외용제는 라멜라 구조체를 함유하지 않는 팔미틴산 레티놀 단독 도포(비교품 1)보다도 높은 주름 형성 억제효과를 나타내고, 특히 팔미틴산 레티놀과 함께 라멜라 주조체를 조제한 본 발명품 2에서 현저하였다.
14,28,42일 후의 주름비 증가량의 평균치 평균 주름 형성비
콘트롤 (무도포) 1.827 100
비교품 1 1.472 80.6
본 발명품 1 1.386 75.9
본 발명품 2 0.922 50.5
시험예 2: 발포성 시험 및 보존안정성 시험
비타민 A류 및 지방산 모노글리세리드의 첨가량을 여러 다양한 조합으로 한 것 이외는 시험예 1의 본 발명품 2와 동양의 처방 및 제법으로 라멜라 구조체 분산액을 제조하고, 제조시의 발포성 및 보존시의 안정성을 확인하였다.
(평가의 방법 및 기준)
발포성:
조제시의 발포를 눈으로 관찰하고, 이하의 기준으로 판정하였다.
0 : 발포 없음
1 : 적은 발포
2 : 발포있음
3 : 상당한 발포
안정성:
라멜라 구조체 분산액을 40 ℃에서 2주간 또는 4주간 정치 보존한 후의 베시클의 열화(劣化)상태를 현미경으로 관찰하고, 이하의 판정 기준으로 판정하였다.
0 : 이상없음
1 : 약간 저하됨
2 : 저하됨
3 : 상당히 저하됨
(결과)
그 결과, 발포성은 비타민 A류에 대하여 지방산 모노글리세리드가 100 중량배 이하, 특히 50중량배 이하 배합된 경우에 억제되었다(표 3). 또한 보존시의 안정성은 비타민 A류에 대하여 지방산 모노글리세리드가 2중량배 이상, 특히 5중량배 이상 배합된 경우에 양호하였다(표 4).
발포성
지방산 모노글리세리드 농도 (중량 %)
0.1 0.2 0.5 1.0 5.0 10.0 20.0 25.0 30.0
비타민 A 농도 (중량 %) 0 1 2 3 3 3 3 3 3 3
0.005 1 2 3 3 3 3 3 3 3
0.01 1 1 2 2 2 2 3 3 3
0.05 0 0 1 1 2 2 2 2 2
0.1 0 0 1 1 1 2 2 2 2
0.2 0 0 1 1 1 1 2 2 2
0.5 0 0 0 0 1 1 2 2 2
1.0 0 0 0 0 1 1 1 2 2
2.0 0 0 0 0 1 1 1 1 1
5.0 0 0 0 0 0 0 1 1 1
10.0 0 0 0 0 0 0 0 0 0
20.0 0 0 0 0 0 0 0 0 0
안정성
지방산 모노글리세리드 농도 (중량 %)
0.1 0.2 0.5 1.0 5.0 10.0 20.0 25.0 30.0
비타민 A 농도 (중량 %) 0 0 0 0 0 0 0 0 0 1
0.005 0 0 0 0 0 0 0 1 1
0.01 1 0 0 0 0 0 0 1 1
0.05 2 1 0 0 0 0 0 1 1
0.1 3 2 1 0 0 0 0 1 1
0.2 3 3 2 0 0 0 0 1 1
0.5 3 3 3 1 0 0 0 1 1
1.0 3 3 3 3 0 0 1 1 1
2.0 3 3 3 3 1 1 1 1 1
5.0 3 3 3 3 3 3 2 2 2
10.0 3 3 3 3 3 3 3 3 3
20.0 3 3 3 3 3 3 3 3 3
시험예 3: 이취(異臭)억제시험
하기 제조 방법에 따라서 조제된 조성물에 대하여, 화장품으로서 그다지 바람직하지 않은 비타민 A류의 냄새 정도를, 전문 패널 10명에 의해 하기 기준에 따 라 평가하였다.
(제조방법)
표 5에 나타낸 처방의 a 또는 b, c 및 d를 혼합하여 80 ℃까지 가열하여 용해하였다. 이어서 g에 e와 f를 혼합하고 가열용해하여 60 ℃로 하였다. 이를 고속회전하는 호모믹서가 부착된 패들교반혼합기에 넣고 교반하면서 상기의 a 또는 b, c 및 d의 혼합물을 첨가하였다. 50∼65 ℃에서 충분히 고속교반 한 후, 실온으로 서서히 냉각하였다.
(평가 기준)
0 : 냄새 없음
1 : 냄새 약간 있음
2 : 냄새 있음
3 : 냄새 상당히 있음
(결과)
이 결과를 표 5에 평균치로 나타낸다.
본 발명품 3 비교품 2
처방 (중량 %) a 대두 레시틴 - 6.0
b 글리세릴 모노팔미테이트 6.0 -
c 콜레스테롤 0.6 0.6
d 팔미틴산 레티놀 0.3 0.3
e 염화나트륨 0.1 0.1
f 메틸파라벤 0.1 0.1
g 정제수 92.9 92.9
냄새 평균 평가점 조제 직후의 냄새 0.44 1.24
40 ℃ 2주간 후의 냄새 0.92 2.18
40 ℃ 4주간 후의 냄새 1.30 2.68
표 5에서 밝혀진 바와 같이, 대두인지질인 레시틴으로 조제된 비교품 리포좀 제제에 비하여, 본 발명품의 지방산 모노글리세리드로 조제된 라멜라 구조체는 조제 시 및 몇 일 경과 후 비타민 A류의 냄새가 현저히 억제되었다.
제조예
표 6에 나타낸 원료 1∼8을 60∼85 ℃에서 가열혼합하였다. 한편, 원료 9∼12 및 정제수 (13)의 일부를 60 ℃로 가열혼합하였다. 상기의 원료 1∼8의 용해 혼합물을 첨가하고 조성물 1은 호모믹서에서, 조성물 2는 고압 호모믹서에서, 조성물 3은 고속교반기에서, 조성물 4는 초음파 분산기에서, 각각 혼합처리 한 후, 냉각 중에 원료 14∼16와 정제수 (13)의 잔여분을 함께 혼합하고 실온으로 하여 각 조성물을 얻었다.
(중량 %)
조성물
1 2 3 4
1 글리세릴 모노스테아레이트 - - 2.0 5.0
2 글리세릴 모노팔미테이트 0.5 2.0 - 5.0
3 모노스테아릴 글리세릴 에테르 0.1 - 0.3 -
4 모노팔미틸 글리세릴 에테르 - 0.5 - 3.0
5 콜레스테롤 0.05 0.1 0.2 3.0
6 팔미탄산 레티놀 0.1 - - 2.0
7 레티놀 - 0.2 - -
8 레티노인산 - - 0.5 -
9 염화칼슘 0.1 0.01 0.1 0.2
10 메틸파라벤 0.1 0.1 0.1 0.2
11 글리세롤 1.0 1.0 - -
12 1,3 - 부틸렌 글리콜 - - 2.0 2.0
13 정제수 잔량 잔량 잔량 잔량
14 폴리비닐 피롤리돈 1.0 0.5 - -
15 키산탄 검 - - 0.1 -
16 히알루론산 - - - 0.1
실시예 1: 화장수
하기 성분을 일반적인 방법에 따라 혼합하여 화장수를 제조하였다.
조성물 1 80(중량 %)
에탄올 5
글리세롤 5
1,3-부틸렌 글리콜 5
메틸파라벤 0.05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모노올레이트 0.5
카르복시비닐 폴리머 0.1
히알루론산 나트륨 0.01
향료 0.05
정제수 잔부
실시예 2: 유액
하기 성분을 일반적인 방법에 따라 혼합하여 유액을 제조하였다.
조성물 2 50(중량 %)
스테아린산 2
세타놀 1
바세린 5
유동 파라핀 10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모노올레이트 2
소르비탄 모노스테아레이트 2
부틸파라벤 0.1
1, 3-부틸렌 글리콜 5
카르복시메틸 셀룰로오즈 0.1
수산화 나트륨 0.05
메틸파라벤 0.1
향료 0.05
정제수 잔부
실시예 3: 크림
하기 성분을 일반적인 방법에 따라 혼합하여 크림을 제조하였다.
조성물 4 50 (중량%)
스테아린산 4
세타놀 2
바세린 5
유동 파라핀 10
조조바유 5
폴리옥시에틸렌 베헤닐 에테르 3
소르비탄 모노스테아레이트 3
부틸파라벤 0.1
1, 3-부틸렌 글리콜 2
수산화 나트륨 0.05
메틸파라벤 0.1
향료 0.05
정제수 잔부
실시예 4: 미용액
하기 성분을 일반적인 방법에 따라 혼합하여 미용액을 제조하였다.
조성물 3 20 (중량 %)
키산탄 검 0.4
히알루론산 나트륨 0.05
에탄올 5
글리세롤 2
파라벤 0.05
소르비탄 폴리옥시에틸렌 모노올레이트 0.5
향료 0.05
정제수 잔부
실시예 5: 세안 크림
하기 성분을 일반적인 방법에 따라 혼합하여 세안 크림을 제조하였다.
조성물 2 5 (중량 %)
스테아린산 10
팔미틴산 10
미리스틴산 12
라우린산 4
오레일 알코올 1.5
부틸파라벤 0.1
메틸파라벤 0.1
향료 0.5
글리세롤 18
수산화칼륨 6
정제수 잔부
실시예 6: 팩
하기 성분을 일반적인 방법에 따라 혼합하여 팩을 제조하였다.
조성물 4 1 (중량 %)
폴리비닐 알코올 15
카르복시메틸 셀룰로오즈 나트륨 5
프로필렌 글리콜 3
에탄올 10
메틸파라벤 0.1
정제수 잔부
실시예 7: 클렌징 크림
하기 성분을 일반적인 방법에 따라 혼합하여 클렌징 크림을 제조하였다.
조성물 3 5 (wt. %)
파라핀 10
밀랍(beeswax) 3
바세린 15
유동 파라핀 41
소르비탄 세스퀴올레이트 4.2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모노올레인산
에스테르(20E.O.) 0.8
부틸파라벤 0.1
메틸파라벤 0.1
향료 0.5
정제수 잔부
실시예 8: 마사지 크림
하기 성분 중, 원료 1∼4를 85 ℃에서 가열혼합한 것과 원료 5 ,6 및 정제수 18의 일부를 60 ℃로 가열혼합한 것을 혼합하고 호모지나이저로 처리하였다.
한편, 원료 7∼14를 80 ℃에서 가열혼합한 것과 원료 15, 16 및 18의 잔여분을 80 ℃로 가열혼합한 것을 혼합, 교반 후 냉각하였다. 이 혼합용해물(원료 7∼16 및 18)이 50 ℃가 된 시점에서 원료 17을 첨가하고, 이 혼합물과 40 ℃에서 상기 용해혼합물(원료 1∼6 및 18)을 혼합하여 마사지 크림을 제조하였다.
1 글리세릴 모노스테아레이트 0.5(중량%)
2 글리세릴 모노팔미테이트 0.5
3 모노팔미틸 글리세릴 에테르 0.3
4 콜레스테롤 0.3
5 염화칼슘 0.02
6 1, 3-부틸렌 글리콜 0.02
7 파라핀 4
8 마이크로크리스탈린 왁스 6
9 밀랍 6
10 바세린 14
11 유동 파라핀 42.5
12 소르비탄 세스퀴올레인산 에스테르 3.7
13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모노올레인산
에스테르(20E. O.) 0.8
14 부틸파라벤 0.1
15 메틸파라벤 0.1
16 비누 분말 0.3
17 향료 0.5
18 정제수 잔부
본 발명의 피부외용제는 지방산 모노글리세리드를 주체로 하는 라멜라 구조체와 비타민 A류를 병용함으로서 우수한 거친 피부개선 효과 및 주름억제 효과를 갖는 것이며 또한 지방산 모노글리세리드와 비타민 A류를 함유하는 유상혼합물로부터 라멜라 구조체를 조제하는 것에 의해, 거친 피부개선효과 및 주름억제 효과가 보다 향상되는 것과 동시에 라멜라 구조체 제조시에 발생하는 발포와 비타민 A류의 화장료로서 바람직하지 않은 취기를 억제할 수 있고 보존안정성도 향상되는 것이 가능하다.

Claims (5)

  1. 지방산 모노글리세리드를 비타민 A 또는 그의 유도체에 대해 5∼50중량비, 콜레스테롤을 지방산 모노글리세리드에 대해 0.05∼0.40중량비로 함유하는 라멜라 구조체로 이루어진 화장료인 피부외용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017009262A 1999-02-17 2000-02-16 피부외용제 Expired - Fee Related KR10067010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03839299A JP3641152B2 (ja) 1999-02-17 1999-02-17 皮膚外用剤
JPJP-P-1999-00038392 1999-02-1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101644A KR20010101644A (ko) 2001-11-14
KR100670108B1 true KR100670108B1 (ko) 2007-01-17

Family

ID=125240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7009262A Expired - Fee Related KR100670108B1 (ko) 1999-02-17 2000-02-16 피부외용제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7081254B1 (ko)
EP (1) EP1153601B1 (ko)
JP (1) JP3641152B2 (ko)
KR (1) KR100670108B1 (ko)
BR (1) BR0010113B1 (ko)
DE (1) DE60042964D1 (ko)
WO (1) WO200004856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512718B2 (en) 2000-07-03 2013-08-20 Foamix Ltd.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topical application
JP3807926B2 (ja) * 2000-11-02 2006-08-09 株式会社ヤクルト本社 アスコルビン酸類を含む皮膚外用剤
BRPI0101486B1 (pt) * 2001-04-17 2017-09-19 Cristália Produtos Químicos Farmacêuticos Ltda.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topic use containing heparin for the treatment of skin or mucosal injuries caused by burns
KR100439068B1 (ko) * 2001-09-07 2004-07-05 주식회사 코리아나화장품 레티놀을 3중으로 안정화한 화장료
IL152486A0 (en) 2002-10-25 2003-05-29 Meir Eini Alcohol-free cosmetic and pharmaceutical foam carrier
MXPA05004278A (es) 2002-10-25 2005-10-05 Foamix Ltd Espuma cosmetica y farmaceutica.
US7700076B2 (en) 2002-10-25 2010-04-20 Foamix, Ltd. Penetrating pharmaceutical foam
US9211259B2 (en) 2002-11-29 2015-12-15 Foamix Pharmaceuticals Ltd. Antibiotic kit and composition and uses thereof
US8119109B2 (en) 2002-10-25 2012-02-21 Foamix Ltd. Foamable compositions, kits and methods for hyperhidrosis
US8486376B2 (en) 2002-10-25 2013-07-16 Foamix Ltd. Moisturizing foam containing lanolin
US10117812B2 (en) 2002-10-25 2018-11-06 Foamix Pharmaceuticals Ltd. Foamable composition combining a polar solvent and a hydrophobic carrier
US20080138296A1 (en) 2002-10-25 2008-06-12 Foamix Ltd. Foam prepared from nanoemulsions and uses
US7704518B2 (en) 2003-08-04 2010-04-27 Foamix, Ltd. Foamable vehicle and pharmaceutical compositions thereof
US8900554B2 (en) 2002-10-25 2014-12-02 Foamix Pharmaceuticals Ltd. Foamable composition and uses thereof
US9668972B2 (en) 2002-10-25 2017-06-06 Foamix Pharmaceuticals Ltd. Nonsteroidal immunomodulating kit and composition and uses thereof
US8119150B2 (en) 2002-10-25 2012-02-21 Foamix Ltd. Non-flammable insecticide composition and uses thereof
US9265725B2 (en) 2002-10-25 2016-02-23 Foamix Pharmaceuticals Ltd. Dicarboxylic acid foamable vehicle and pharmaceutical compositions thereof
US7820145B2 (en) 2003-08-04 2010-10-26 Foamix Ltd. Oleaginous pharmaceutical and cosmetic foam
US7575739B2 (en) 2003-04-28 2009-08-18 Foamix Ltd. Foamable iodine composition
JP4592347B2 (ja) * 2003-07-14 2010-12-01 株式会社ヤクルト本社 外用剤組成物
JP5329489B2 (ja) * 2003-07-14 2013-10-30 株式会社ヤクルト本社 外用剤組成物
US8486374B2 (en) 2003-08-04 2013-07-16 Foamix Ltd. Hydrophilic, non-aqueous pharmaceutical carriers and compositions and uses
US8795693B2 (en) 2003-08-04 2014-08-05 Foamix Ltd. Compositions with modulating agents
DE10340417C5 (de) * 2003-09-02 2011-05-05 Sebapharma Gmbh & Co. Kg Kosmetische oder dermatologische Zubereitung mit Phytosterolen in Form einer W/O-Emulsion
DE102005051889A1 (de) * 2005-10-29 2007-05-03 Apotheker Walter Bouhon Gmbh Kosmetische oder dermatologische Zubereitung zum Schutz vor Lichtalterung
US20070172520A1 (en) * 2005-11-18 2007-07-26 University Of South Florida Immunotargeting of Nonionic Surfactant Vesicles
US20080260655A1 (en) 2006-11-14 2008-10-23 Dov Tamarkin Substantially non-aqueous foamable petrolatum based pharmaceutical and cosmetic compositions and their uses
JP5090143B2 (ja) * 2006-11-29 2012-12-05 富士化学工業株式会社 皮膚外用組成物
CN103445039A (zh) * 2006-12-01 2013-12-18 三菱化学株式会社 食品用品质改良剂和食品
JP2008266324A (ja) * 2007-03-29 2008-11-06 Kose Corp リポソーム組成物及び該リポソーム組成物を含有した皮膚外用剤
US20100298259A1 (en) * 2007-05-11 2010-11-25 Marc Moutet Pharmaceutical or cosmetic preparations for topical and/or parenteral application, preparation methods thereof and use of same
US8636982B2 (en) 2007-08-07 2014-01-28 Foamix Ltd. Wax foamable vehicle and pharmaceutical compositions thereof
AU2008306317B2 (en) * 2007-10-02 2012-04-26 Lg Household & Health Care Ltd. Cosmetic or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topical application
JP4970546B2 (ja) * 2007-10-03 2012-07-11 アサヒグループ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顆粒、錠剤およびそれらの製造方法
WO2009069006A2 (en) 2007-11-30 2009-06-04 Foamix Ltd. Foam containing benzoyl peroxide
WO2010041141A2 (en) 2008-10-07 2010-04-15 Foamix Ltd. Oil-based foamable carriers and formulations
WO2009090495A2 (en) 2007-12-07 2009-07-23 Foamix Ltd. Oil and liquid silicone foamable carriers and formulations
AU2009205314A1 (en) 2008-01-14 2009-07-23 Foamix Ltd. Poloxamer foamable pharmaceutical compositions with active agents and/or therapeutic cells and uses
JP5483864B2 (ja) * 2008-11-17 2014-05-07 株式会社ヤクルト本社 保湿剤及びこれを含有する化粧料
JP5483865B2 (ja) * 2008-11-19 2014-05-07 株式会社ヤクルト本社 皮膚外用剤
CA2760186C (en) 2009-04-28 2019-10-29 Foamix Ltd. Foamable vehicle and pharmaceutical compositions comprising aprotic polar solvents and uses thereof
CA2769625C (en) 2009-07-29 2017-04-11 Foamix Ltd. Non surfactant hydro-alcoholic foamable compositions, breakable foams and their uses
CA2769677A1 (en) 2009-07-29 2011-02-03 Foamix Ltd. Non surface active agent non polymeric agent hydro-alcoholic foamable compositions, breakable foams and their uses
US9849142B2 (en) 2009-10-02 2017-12-26 Foamix Pharmaceuticals Ltd. Methods for accelerated return of skin integrity and for the treatment of impetigo
US10029013B2 (en) 2009-10-02 2018-07-24 Foamix Pharmaceuticals Ltd. Surfactant-free, water-free formable composition and breakable foams and their uses
JP5602084B2 (ja) * 2010-05-13 2014-10-08 株式会社ヤクルト本社 保湿剤およびそれを含有する化粧料
JP5539785B2 (ja) * 2010-05-13 2014-07-02 株式会社ヤクルト本社 保湿剤とこれを含有する化粧料
JP2011241228A (ja) * 2011-08-23 2011-12-01 Kishohin Kagaku Kaiho Kenkyusho:Kk 皮膚外用剤
KR101917201B1 (ko) 2011-10-07 2018-11-09 (주)아모레퍼시픽 고보습 세정제 조성물
MX377365B (es) 2016-09-08 2025-03-10 Journey Medical Corp Composiciones y métodos para tratar rosácea y acné.
KR102122839B1 (ko) 2019-09-30 2020-06-15 주식회사 다른코스메틱스 레티날 함유 멀티라멜라 소포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98014167A1 (en) * 1996-10-03 1998-04-09 Johnson & Johnson Consumer Companies, Inc. Cosmetic compositions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877805A (en) 1985-07-26 1989-10-31 Kligman Albert M Methods for treatment of sundamaged human skin with retinoids
US4603146A (en) 1984-05-16 1986-07-29 Kligman Albert M Methods for retarding the effects of aging of the skin
US4888342A (en) 1984-05-16 1989-12-19 Kligman Albert M Methods for treatment of sundamaged human skin with retinoids
FR2591105B1 (fr) 1985-12-11 1989-03-24 Moet Hennessy Rech Composition pharmaceutique, notamment dermatologique, ou cosmetique, a base de phases lamellaires lipidiques hydratees ou de liposomes contenant un retinoide ou un analogue structural dudit retinoide tel qu'un carotenoide.
US5013497A (en) * 1988-03-03 1991-05-07 Micro-Pak,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producing lipid vesicles
JP2846364B2 (ja) * 1989-09-29 1999-01-13 三省製薬株式会社 肌あれ防止用外用剤
JP2606761B2 (ja) * 1991-05-16 1997-05-07 株式会社ヤクルト本社 保湿剤
US5260065A (en) * 1991-09-17 1993-11-09 Micro Vesicular Systems, Inc. Blended lipid vesicles
JPH07118134A (ja) * 1992-04-17 1995-05-09 Koichi Shudo 皮膚外用剤
FR2709666B1 (fr) * 1993-09-07 1995-10-13 Oreal Composition cosmétique ou dermatologique constituée d'une émulsion huile dans eau à base de globules huileux pourvus d'un enrobage cristal liquide lamellaire.
DE4444237C2 (de) 1994-12-13 2000-08-24 Beiersdorf Ag Verwendung von Wirkstoffkombinationen zur Bekämpfung durch Propionibacterium acnes hervorgerufener unreiner Haut sowie leichter Formen der Akne
CZ311997A3 (cs) 1995-04-03 1998-01-14 Johnson & Johnson Consumer Products, Inc. Kompozice určená k péči o pleť obsahující retinoidy a liposomy
FR2742677B1 (fr) * 1995-12-21 1998-01-16 Oreal Nanoparticules enrobees d'une phase lamellaire a base de tensioactif silicone et compositions les contenant
US5643587A (en) 1996-02-15 1997-07-01 Avon Products, Inc. Composition and method for under-eye skin lightening
GB9620504D0 (en) 1996-10-02 1996-11-20 Boehringer Ingelheim Ltd Compositions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98014167A1 (en) * 1996-10-03 1998-04-09 Johnson & Johnson Consumer Companies, Inc. Cosmetic compositions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1020017009262 - 686193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0239140A (ja) 2000-09-05
US7081254B1 (en) 2006-07-25
EP1153601B1 (en) 2009-09-16
EP1153601A4 (en) 2004-06-09
EP1153601A1 (en) 2001-11-14
KR20010101644A (ko) 2001-11-14
JP3641152B2 (ja) 2005-04-20
DE60042964D1 (de) 2009-10-29
WO2000048566A1 (fr) 2000-08-24
BR0010113A (pt) 2001-12-26
BR0010113B1 (pt) 2013-12-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70108B1 (ko) 피부외용제
KR101052493B1 (ko) 베시클 분산물 및 이를 함유하는 화장료
JP6231624B2 (ja) オレアノール酸が捕集された化粧料用ナノリポソームの製造方法
KR20130055069A (ko) 재결정 입자를 갖는 수중유 유화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070081192A (ko) 오리자놀, 미강유 및 인지질이 내포된 리포좀을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JP3563413B2 (ja) 安定化白化組成物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3048846A (ja) コラゲナーゼ阻害剤及び抗老化用化粧料
JPS58121209A (ja) 乳化型外用組成物
KR102236418B1 (ko) 청량감을 갖는 세라마이드 함유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JP2005179313A (ja) 皮膚化粧料用基剤の製造方法および皮膚化粧料
JP3987793B2 (ja) 皮膚外用剤
KR101176530B1 (ko) 슬리밍 화장료 조성물
KR102551901B1 (ko) 퀘세틴, 테트라하이드로커큐민을 나노 리포좀 베지클과 액정 드롭렛에 이중 봉입하여 안정성이 향상되고 다기능의 효능을 가지는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JP2009203190A (ja) 細胞賦活剤及び老化防止用皮膚外用剤
JP4842553B2 (ja) ヒドロキシカルボン酸エステルを用いてナノ乳化粒子を安定化させる方法及びナノ乳化粒子を含有する皮膚外用剤
JP4592347B2 (ja) 外用剤組成物
JP2018203660A (ja) アシルプロリンを含むベシクルを有する組成物
JP5641665B2 (ja) 皮膚外用剤及びその製造方法
JPH09132512A (ja) ステロール脂肪酸エステルのラメラ構造体
JP5329489B2 (ja) 外用剤組成物
CN110652460B (zh) 含有亚油酸的组合物
JP2019142805A (ja) リノール酸を含有する組成物
JP2009203192A (ja) インボルクリン産生促進剤、及び肌荒れ防止又は改善用皮膚外用剤
JP2003095860A (ja) 抗老化化粧料
KR20050080893A (ko) 녹용을 포함하는 한방 생약 복합 추출물이 내포된나노리포좀을 포함하는 피부노화 방지용 화장료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5 International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10724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050121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6062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61129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70110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7011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91224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1222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1216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27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1227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18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1218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30

Year of fee payment: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1230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17

Year of fee payment: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1217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710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