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659904B1 - 액정 장치, 전자기기 및 액정 장치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액정 장치, 전자기기 및 액정 장치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59904B1
KR100659904B1 KR1020040034113A KR20040034113A KR100659904B1 KR 100659904 B1 KR100659904 B1 KR 100659904B1 KR 1020040034113 A KR1020040034113 A KR 1020040034113A KR 20040034113 A KR20040034113 A KR 20040034113A KR 100659904 B1 KR100659904 B1 KR 1006599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color
substrate
liquid crystal
space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Lifetim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341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98590A (ko
Inventor
다구치사토시
아사다고지
Original Assignee
세이코 엡슨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세이코 엡슨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세이코 엡슨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400985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9859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599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59904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Lifetim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509Filters, e.g. light shielding masks
    • G02F1/133512Light shielding layers, e.g. black matrix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9Gaskets; Spacers; Sealing of cell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9Gaskets; Spacers; Sealing of cells
    • G02F1/13394Gaskets; Spacers; Sealing of cells spacers regularly patterned on the cell subtrate, e.g. walls, pillar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9Gaskets; Spacers; Sealing of cells
    • G02F1/13396Spacers having different siz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Liquid Cryst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포토리소그래피 처리 등에 의해 형성되는 스페이서 및 컬러 필터를 구성하는 착색층을 갖는 액정 장치에 관한 것으로, 이 액정 장치의 표시 화면이 가압될 때의 내압을 높게 유지하면서, 기판의 조립 오차(assembly error)나, 정렬 시의 위치 편차(positional deviation) 등이 발생하는 경우에도 표시 품질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으로, 기판(4b) 상에 형성된 복수의 스페이서(14)와, 대향 기판에 형성된 복수의 R색 착색층(18(R)), G색 착색층(18(G)) 및 B색 착색층(18(B))과, 그들 착색층 사이에 마련된 차광층(17)을 갖는 액정 장치이다. 복수의 스페이서(14)는 각 착색층(18)의 주위에 마련되고, 각 색 착색층에 대응하여 치수가 Zg<Zb 및 Zg<Zr, 바람직하게는 Zg<Zr<Zb로 설정된다. 기판의 조립 오차가 생기더라도, 스페이서(14)가 G색 영역으로 들어가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Description

액정 장치, 전자기기 및 액정 장치의 제조 방법{LIQUID CRYSTAL DEVICE, ELECTRONIC APPARATUS,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LIQUID CRYSTAL DEVICE}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전기 광학 장치의 일 실시예를 분해 상태로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전기 광학 장치의 주요부의 단면 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3은 도 1의 전기 광학 장치에서 사용되는 TFD 소자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4는 소자가 형성되는 기판의 일부의 평면도,
도 5는 착색층이 형성되는 기판의 일부의 평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전기 광학 장치의 다른 실시예의 주요부로서, 착색층이 형성되는 기판의 일부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전기 광학 장치의 또 다른 실시예의 주요부로서, 착색층이 형성되는 기판의 일부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전기 광학 장치의 또 다른 실시예의 주요부로서, 착색층이 형성되는 기판의 일부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전기 광학 장치의 제조 방법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공정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전자기기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블록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전자기기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전자기기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전자기기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전자기기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전자기기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액정 장치 2 : 액정 패널
3 : 조명 장치 4a, 4b : 기판
11a, 11b : 기재 13 : 액정층
14 : 스페이서 18 : 착색층
21a, 21b : 전극 27 : TFD 소자
110 : 퍼스널 컴퓨터(전자기기) 120 : 휴대 전화기(전자기기)
130 : 카메라(전자기기) 140 : 손목 시계형 전자기기
150 : PDA(전자기기)
본 발명은 R, G, B의 각 색 착색층에 의해 구성되는 컬러 필터와, 포토리소그래피 처리 등과 같은 패턴 형성법을 이용하여 형성되는 복수의 스페이서를 갖는 전기 광학 장치 및 전자기기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그 전기 광학 장치를 제조하기 위한 전기 광학 장치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액정 장치는, 일반적으로, 한 쌍의 기판 사이에 액정층을 개재시켜, 그 액정층 내에 존재하는 액정 분자의 배향을 표시의 최소 단위인 표시 도트마다 제어하고, 액정층을 통과하는 광을 그 액정 분자에 의해 표시 도트마다 변조함으로써 광의 진행 방향에 따른 액정층의 하류 측 위치에 문자, 숫자, 도형 등과 같은 이미지를 표시한다.
이 액정 장치에 있어서는, 액정층을 형성하기 위해, 한 쌍의 기판 사이에 간극, 이른바 셀 갭을 형성해야 한다. 이 셀 갭을 형성하기 위해, 종래, 한 쌍의 기판의 한쪽에 구상(球狀) 부재인 스페이서를 산재시킨 후에, 한 쌍의 기판을 접합하는 구조가 알려져 있다.
또한, 최근에는, 포토리소그래피 처리 등을 이용한 패턴 형성법에 의해 한쪽 기판 상에 복수의 돌기 형상의 스페이서를 형성하고, 이 스페이서를 사이에 개재하여 한 쌍의 기판을 접합한다고 하는 구조가 제안되어 있다. 이러한 스페이서는 주상(柱狀) 스페이서라고 불리는 것도 있다.
이와 같이, 포토리소그래피 처리 등에 의해 스페이서를 형성하는 경우, 그 스페이서의 주위에는 액정 분자의 배향이 흐트러지므로, 광 누출 등과 같은 표시 불량이 발생하기 쉽고, 따라서, 스페이서는 비표시 영역인 차광 영역, 이른바 블랙 마스크 영역(black mask region)에 형성되는 경우가 많다.
또, 포토리소그래피 처리 등에 의해 형성된 스페이서를 갖는 액정 장치에 있어서는, 액정 분자의 배향을 정하기 위한 배향막은, 일반적으로, 기판 상에 복수의 스페이서를 형성한 후에, 그 스페이서의 위에 인쇄 등에 의해 마련된다. 그리고 그 배향막에 대하여 배향 처리, 예컨대, 러빙 처리가 실시된다. 이 러빙 처리를 행하는 경우, 배향막이 스페이서 위치에서 돌출하고 있으면, 균일한 러빙 처리를 행하는 것이 어렵다. 예컨대, 러빙 방향으로 보아 스페이서의 하류 측에 러빙 처리가 불충분하게 되는 영역이 발생한다.
이와 같이, 스페이서의 존재에 관련되어 러빙 처리가 불충분하게 되는 영역이 발생한 경우에도 콘트라스트가 높은 표시를 확보하기 위해, 여러 가지 방법이 제안되고 있다. 예컨대, 표시에 기여하지 않는 영역인 블랙 마스크를 러빙 처리가 불충분하게 되는 영역에 일치시켜 형성함으로써, 표시 품질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하는 기술이 알려져 있다. 또한, 러빙 방향으로 보아 스페이서의 하류 측에 R의 화소 또는 B의 화소가 오도록 스페이서를 형성하도록 한 액정 장치도 알려져 있다.
그런데, 액정 장치의 표시 화면이 가압되면 셀 갭이 변화되어 표시가 흐트러 질 우려가 있다. 또한, 경우에 따라서는, 액정 장치의 패널 구조가 파손될 우려가 있다. 이것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스페이서의 수를 많게 하거나, 개개의 스페이서의 평면 단면 치수를 크게 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그러나, 스페이서의 수를 무제한으로 많게 하거나, 개개의 스페이서의 평면 단면 치수를 무제한으로 크게 하면, 이하의 사태가 큰 문제로 된다.
액정 장치를 제조할 때에는, 예컨대, 한 쌍의 기판의 한쪽에 컬러 필터를 형성하고, 다른 쪽에 스페이서를 형성하고, 양쪽 기판을 스페이서를 사이에 개재하여 접합하며, 스페이서에 의해 유지되는 기판 간극에 액정을 주입하여 액정층을 형성한다고 하는 일련의 공정이 실시된다. 이 경우, 한 쌍의 기판을 접합할 때에, 그들 기판의 상대적인 위치가 평면적으로 어긋나는 경우가 있다. 이와 같이 되면, 본래라면 블랙 마스크의 위치, 즉 차광 영역에 있어야될 스페이서가 컬러 필터의 착색층 부분에 위치한다고 하는 사태가 발생하고, 이 때문에, 콘트라스트가 저하되는 등과 같은 표시 품질의 저하가 발생할 우려가 있다.
또한, 다른 구조의 액정 장치로서, 한 쌍의 기판의 한쪽에 컬러 필터를 형성하고, 그 동일 기판에 스페이서도 형성하는 액정 장치가 있다. 이 액정 장치를 제조할 때에는, 기판 상의 적소(適所)에 형성한 정렬 마크를 기준으로 해서 소정 위치에 컬러 필터를 형성하고, 또한 그 후, 동일 정렬 마크 또는 별도의 정렬 마크를 기준으로 해서 소정 위치에 스페이서를 형성한다. 이 경우, 정렬 마크를 기준으로 하는 위치 결정 시에 그 위치가 어긋나는 경우가 있다. 이와 같이 되면, 본래라면 블랙 마스크 영역에 있어야될 스페이서가 컬러 필터의 착색층 부분에 위치한다고 하는 사태가 발생하고, 이 때문에, 콘트라스트가 저하하는 등과 같은 표시 품질의 저하가 발생할 우려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에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포토리소그래피 처리 등에 의해 형성되는 스페이서 및 컬러 필터를 구성하는 착색층을 갖는 액정 장치를 비롯한 전기 광학 장치에 관해서, 이 전기 광학 장치의 표시 화면이 가압될 때의 내압을 높게 유지하면서, 기판의 조립 오차(assembly error)나, 정렬 시의 위치 편차 등이 발생하는 경우에도 표시 품질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1)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전기 광학 장치는 서로 대향하는 한 쌍의 기판과, 해당 한 쌍의 기판 중 어느 한쪽에 마련되고, 평면적으로 소정 배열로 배열된 복수의 R색 착색층, 복수의 G색 착색층 및 복수의 B색 착색층과, 상기 복수의 R색 착색층, G색 착색층 및 B색 착색층의 사이에 마련된 차광층과, 상기 한 쌍의 기판의 어느 하나에 마련되고, 대향하는 기판을 향하여 돌출하는 복수의 스페이서를 갖고, 상기 복수의 스페이서는,
① 상기 G색 착색층 주위의 상기 차광층 내 및 상기 B색 착색층 주위의 상기 차광층 내에 마련되든지, 또는
② 상기 G색 착색층 주위의 상기 차광층 내 및 상기 R색 착색층 주위의 상기 차광층 내에 마련되든지, 또는
③ 상기 G색 착색층 주위의 상기 차광층 내, 상기 B색 착색층 주위의 상기 차광층 내 및 상기 R색 착색층 주위의 상기 차광층 내에 마련되고, 또한
상기 G색 착색층 주위에 있는 스페이서의 상기 차광층의 폭 방향의 치수를 Zg로 하고, 상기 B색 착색층의 상기 차광층의 폭 방향의 치수를 Zb로 하고, 상기 R색 착색층의 상기 차광층의 폭 방향의 치수를 Zr이라 할 때,
Zg<Zb 및 Zg<Zr
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전기 광학 장치에 따르면, 2색의 착색층 주위 또는 3색의 착색층 주위에 스페이서가 마련되므로, 1색의 착색층 주위에만 스페이서가 마련되는 경우와 비교하여, 전기 광학 장치의 패널 구조 부분의 내압을 높게 유지할 수 있다.
또, 이 전기 광학 장치에 따르면, G색 착색층의 주위에 마련되는 스페이서가 B색 착색층 및/또는 R색 착색층의 주위에 마련되는 스페이서보다도 작게 형성되므로, 가령, 전기 광학 장치의 제조 시에 기판의 조립 오차나, 정렬 시의 위치 편차 등이 발생한 경우에는, 스페이서가 B색 착색층이나 R색 착색층의 영역에 들어가는 경우가 있더라도, G색 착색층의 영역에는 들어가지 않도록 할 수 있다.
그런데, 인간이 R, G, B의 각 색의 광을 보는 경우, 그들 광의 에너지량이 같더라도, 느끼는 밝기는 파장에 따라 다른 것이 알려져 있다. 구체적으로는, R, G, B의 각 색의 광의 에너지가 같아도, 그들의 밝기는 G>R>B이다. 이것은 G색 영역에 어떤 변화가 있는 경우에는, R색 영역이나 B색 영역에 어떤 변화가 있는 경우와 비교하여, 인간이 느끼는 밝기의 변화는 매우 크다는 것이다.
이상에 기재한 본 발명에 따른 전기 광학 장치에서는, 기판의 조립 오차 등에 따라 스페이서의 위치가 어긋나는 경우에도, 스페이서는 밝기의 변화가 큰 G색 영역으로 들어가는 일은 없고, 착색 영역으로 들어갔다고 해도 그 착색 영역은 B색 또는 R색으로 한정되므로, 밝기가 크게 변화되는 일이 없어진다. 이 때문에, 콘트라스트의 저하를 억제할 수 있다. 또한, B색 착색층 및 R색 착색층 주위의 스페이서의 평면 단면 크기는 될 수 있는 한 크게 설정하므로, 패널 구조의 내압을 높게 유지할 수 있다.
(2) 상기 구성의 전기 광학 장치에 있어서, R색 착색층 주위의 스페이서의 평면 단면 치수 Zr은 B색 착색층 주위의 평면 단면 치수 Zb보다도 작게 설정하는 것, 즉 Zr<Zb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광의 3원색 R, G, B에 대해서는, 각 색의 광의 에너지가 같아도, 그들의 밝기는 G>R>B이다. 따라서, B색 착색층에 스페이서가 들어가는 경우와 비교하여, R색 착색층에 스페이서가 들어가는 경우 쪽이, 표시에 있어서의 콘트라스트가 저하될 가능성이 높다. 이 때문에, Zr<Zb로 설정하면, 기판의 조립 오차 등이 있었을 때에 스페이서가 R색 착색층에 들어갈 가능성을 보다 작게 할 수 있게 되므로, 기판의 조립 오차 등에 대한 표시 열화를 방지하는 것에 관해 유리하다.
(3) 상기한 구성의 전기 광학 장치에 있어서, R, G, B의 세 개의 표시 도트의 집합인 1화소의 면적을 A로 하고, 상기 스페이서의 하나의 평면 단면적을 S로 하고, 1화소 내에 존재하는 상기 스페이서의 수를 ρ라고 할 때, 화소에 대한 스페이서의 면적비 R은,
R=(ρ×S)/A>2×10-3
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전기 광학 장치의 패널 구조의 가압에 대한 내압을 실용상 충분한 크기로 유지할 수 있다.
(4) 상기 구성의 전기 광학 장치에 있어서, 상기 차광층의 폭이 약 10㎛일 때,
Zg≒6㎛, Zr≒10㎛, Zb≒14㎛
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 치수는 전기 광학 장치의 제조 시의 기판의 조립 오차가 4㎛ 정도 또는 그 이하로 억제할 수 있을 때에 바람직한 치수이다.
(5) 상기 구성의 전기 광학 장치에 있어서, 상기 스페이서는 상기 R색 착색층, 상기 G색 착색층 및 상기 B색 착색층이 마련된 기판에 대향하는 기판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전기 광학 장치에 있어서는, 한 쌍의 기판을 접합했을 때에, 스페이서와 각 색 착색층 사이의 상대적인 위치 관계가 결정된다. 기판의 접합 시에 위치 편차가 생긴 경우, 스페이서는 B색 착색층의 영역 및 R색 착색층의 영역으로 들어갈 가능성은 높아도, G색 착색층의 영역으로 들어갈 가능성은 낮게 억제된다.
이에 따라, 기판의 조립 오차가 발생한 경우의 콘트라스트의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6) 상기 구성의 전기 광학 장치에 있어서, 상기 스페이서는 상기 R색 착색층, 상기 G색 착색층 및 상기 B색 착색층이 마련된 기판과 같은 기판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전기 광학 장치에 있어서는, 하나의 기판의 적소에 미리 정렬 마크를 마련해 두고, R, G, B의 각 색 착색층을 희망 위치에 형성할 때에는, 그 정렬 마크를 기준으로 해서 위치 결정을 행한다. 또한, 착색층의 형성이 끝나고, 그 후에, 스페이서를 포토리소그래피 처리 등에 의해 형성할 때에는, 동일 정렬 마크 또는 별도의 정렬 마크를 이용해서 스페이서의 위치 결정이 행해진다. 이와 같이, 스페이서를 위치 결정한 시점에서, 스페이서와 각 색 착색층 사이의 상대적인 위치 관계가 결정된다. 정렬 시에 위치 편차가 생긴 경우, 스페이서는 B색 착색층의 영역 및 R색 착색층의 영역으로 들어갈 가능성은 높지만, G색 착색층의 영역으로 들어갈 가능성은 낮게 억제된다. 이 때문에, 콘트라스트의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7) 다음에, 본 발명에 따른 전자기기는, 이상에서 기재한 구성의 전기 광학 장치와, 상기 전기 광학 장치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 수단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전자기기에 있어서, 전기 광학 장치는, 예컨대, 전자기기에 관한 여러 가지의 표시를 할 때에 사용된다. 본 전기 광학 장치에 따르면, 콘트라스트의 저하를 방지하여, 높은 표시 품질을 달성할 수 있으므로, 전자기기에 있어서의 표시도 높은 표시 품질로 행할 수 있다.
이러한 전자기기로는, 퍼스널 컴퓨터, 휴대 전화기, 디지털 스틸 카메라, 손목 시계형 정보기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액정 텔레비전, 뷰파인더형 또는 모니터 직시형의 비디오 테이프 레코더, 카 네비게이션 장치, 호출기, 전자 수첩, 전자 계산기, 워드 프로세서, 워크 스테이션, 화상 전화기, POS 단말기 등이 있다.
(8) 다음에, 본 발명에 따른 전기 광학 장치의 제조 방법은, 이상에서 기재한 구성의 전기 광학 장치로서, 스페이서가, R색 착색층, G색 착색층 및 B색 착색층이 마련된 기판에 대향하는 기판에 형성되는 구조의 전기 광학 장치를 제조하기 위한 제조 방법에 있어서, 상기 스페이서가 형성된 기판과, 상기 R색 착색층, 상기 G색 착색층 및 상기 B색 착색층이 형성된 기판을 접합하는 공정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전기 광학 장치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는, 한 쌍의 기판을 접합했을 때에, 스페이서와 각 색 착색층 사이의 상대적인 위치 관계가 결정된다. 기판의 접합 시에 위치 편차가 생긴 경우, 스페이서는 B색 착색층의 영역 및 R색 착색층의 영역으로 들어갈 가능성은 높지만, G색 착색층의 영역으로 들어갈 가능성은 낮다. 이에 따라, 콘트라스트의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9) 다음에, 본 발명에 따른 전기 광학 장치의 제조 방법은, 이상에서 기재한 구성의 전기 광학 장치로서, 스페이서가 R색 착색층, G색 착색층 및 B색 착색층이 마련된 기판과 같은 기판에 형성되는 구조의 전기 광학 장치를 제조하기 위한 제조 방법에 있어서, 상기 R색 착색층, 상기 G색 착색층 및 상기 B색 착색층이 마련된 기판 상에 정렬 마크를 기준으로 해서 상기 스페이서를 형성하는 공정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전기 광학 장치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는, 하나의 기판의 적소에 미리 정렬 마크를 마련하여 두고, R, G, B의 각 색 착색층을 희망 위치에 형성할 때에는, 그 정렬 마크를 기준으로 해서 위치 결정을 행한다. 또한, 착색층의 형성이 끝나고, 그 후에, 스페이서를 포토리소그래피 처리 등에 의해 형성할 때에는, 같은 정렬 마크 또는 별도의 정렬 마크를 이용하여 스페이서의 위치 결정이 행해진다. 이와 같이 스페이서를 위치 결정한 시점에서, 스페이서와 각 색 착색층 사이의 상대적인 위치 관계가 결정된다. 정렬 시에 위치 편차가 생긴 경우, 스페이서는 B색 착색층의 영역 및 R색 착색층의 영역으로 들어갈 가능성은 높지만, G색 착색층의 영역으로 들어갈 가능성은 낮다. 이에 따라, 콘트라스트의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및 그 밖의 목적, 특징, 국면 및 이익 등은 첨부 도면을 참조로 하여 설명하는 이하의 상세한 실시예로부터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전기 광학 장치의 실시예 1)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전기 광학 장치를, TFD 소자를 액티브 소자로서 이용하는 구조의 반투과 반사 방식의 액정 장치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여기서, 반투과 반사 방식이란, 태양광, 실내광 등과 같은 외부광을 반사층으로 반사시켜 표시를 행하는 반사형 표시와, 백라이트로부터 방사되어 기판을 투과한 광을 이용하여 표시를 행하는 투과형 표시의 양쪽을 실현할 수 있는 표시 방식이다. 또, 본 발명을 적용할 수 있는 전기 광학 장치가 본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닌 것은 물론 이다.
도 1에서, 액정 장치(1)는 액정 패널(2)과, 그것에 조합되는 조명 장치(3)를 갖는다. 액정 패널(2)은 제 1 기판(4a)과 제 2 기판(4b)을 고리 형상의 밀봉재(6)에 의해 접합함으로써 형성되어 있다. 제 1 기판(4a)과 제 2 기판(4b) 사이에는,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스페이서(14)에 의해 유지되는 간극, 이른바 셀 갭(12)이 형성되고, 이 셀 갭(12) 내에 액정이 밀봉되어 액정층(13)이 형성되어 있다.
도 2에서, 제 1 기판(4a)은 투광성의 유리, 투광성의 플라스틱 등에 의해 형성된 제 1 기재(11a)를 갖는다. 그 제 1 기재(11a)의 액정측 표면에는 수지층(15)이 형성되고, 그 위에 반사층(16)이 형성된다. 또한, 반사층(16)의 위에는 차광층(17)이 형성되고, 또한, 화살표 A 방향으로부터 평면적으로 보아 그들 차광층(17) 사이에 복수의 착색층(18)이 형성된다.
도 2에 나타내는 단면 구조에서는, 착색층(18)은 가법혼색(加法混色)의 3원색의 하나인 B(청)색의 착색층만을 나타내고 있지만, 실제로는, 그 밖의 2색인 R(적)색 및 G(녹)색의 착색층(18)이 화살표 A 방향으로부터 보아 B색 착색층(18)과 다른 평면 위치에 마련된다. 이들 R, G, B의 각 색의 복수의 착색층(18)은 적절한 평면적인 배열 상태로 배치되지만, 본 실시예에서는, 예컨대,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스트라이프 배열로 배치되어 있다.
이 스트라이프 배열은 도 5의 세로 방향으로 동색이 1열로 배열되고, 가로 방향으로 R, G, B가 교대로 반복해서 배열된다. 또한, 차광층(17)은,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각 착색층(18)을 둘러싸도록 격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 각 착색층(18)의 좌상 코너 부분이 절결되어 차광층(17)의 영역이 넓게 되어 있는 것은 이 부분에 대응하여 액티브 소자를 배치시키기 위함이다. 차광층(17)은, 본 실시예에서는 R, G, B의 각 색 착색층(18)을 둘러싸도록 격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러나, 이 차광층(17)은 적절한 차광성 재료, 예컨대, Cr을 적절한 패터닝 수법, 예컨대, 포토리소그래피 처리를 이용한 방법 등에 의해 격자 형상으로 패터닝함으로써 형성할 수도 있다.
도 2로 되돌아가, 차광층(17) 및 착색층(18)의 위에는 오버코팅층(19)이 형성되고, 그 위에, 띠 형상의 투명 전극(21a)이 형성되며, 그 위에 배향막(22a)이 형성된다. 배향막(22a)에는 배향 처리, 예컨대, 러빙 처리가 실시되고, 그에 따라, 그 배향막(22a) 근방의 액정 분자의 배향을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제 1 기재(11a)의 외측 표면에는, 도 1에서, 편광판(23a)이 점착 등에 의해 장착되어 있다. 한 개의 띠 형상의 투명 전극(21a)은, 도 2에서 지면에 대해 직각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고, 인접하는 전극(21a) 사이에 차광층(17)이 위치하고 있다. 이에 따라, 복수의 전극(21a)은 화살표 A 방향으로부터 보아 스트라이프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도 2에서, 수지층(15)은 제 1 층(15a) 및 그 위에 적층된 제 2 층(15b)을 갖는다. 이들 층은 동일 재료로 형성할 수 있다. 제 1 층(15a)의 표면에는 도트부로서의 복수의 오목부(24)가 화살표 A 방향으로부터 보아 평면적으로 불규칙, 즉 랜덤하게 배치되어 있다. 이 때문에, 제 1 층(15a) 위에 적층된 제 2 층(15b)의 표면에는, 이들 오목부(24) 및 그것에 인접하는 볼록부에 대응하여 요철이 형성되어 있다. 제 1 층(15a)의 표면에 형성되는 요철은 거친 상태이며, 이것에 제 2 층(15b)을 적층함으로써 매끄러운 요철이 얻어진다. 제 2 층(15b)의 표면, 즉 수지층(15)의 표면에 요철을 마련함으로써, 그 수지층(15)에 적층된 반사층(16)의 표면에도 요철이 형성된다. 이 요철의 존재에 의해, 반사층(16)으로 입사된 광은 산란광으로 되어 반사한다.
도 2에서, 제 1 기판(4a)에 대향하는 제 2 기판(4b)은 투광성 유리, 투광성 플라스틱 등에 의해 형성된 제 2 기재(11b)를 갖는다. 그 제 2 기재(11b)의 액정측 표면에는, 도면의 좌우 방향으로 연장하는 선 형상의 라인 배선(26)과, 액티브 소자로서의 복수의 TFD 소자(27)와, 복수의 투명한 도트 전극(21b)이 형성된다. 또한, 개개의 도트 전극(21b) 사이로서 차광층(17)에 대응하는 위치에 복수의 스페이서(14)가 마련되고, 또한, 이상의 각 요소의 위에 배향막(22b)이 형성되어 있다. 배향막(22b)에 배향 처리, 예컨대, 러빙 처리가 실시되고, 이에 따라, 그 배향막(22b) 근방의 액정 분자의 배향을 결정할 수 있다. 제 1 기판(4a) 측의 배향막(22a)의 러빙 방향과 제 2 기판(4b) 측의 배향막(22b)의 러빙 방향은 액정의 특성에 따라 적절한 각도로 교차하게 되어 있다. 또한, 제 2 기재(11b)의 외측 표면에는, 도 1에서 편광판(23b)이 점착 등에 의해 장착되어 있다.
또한, 도 1(a)는 액정 패널(2)의 내부에서의 미소 영역의 평면 구조로서, 제 2 기판(4b) 측에 형성되는 도트 전극(21b) 및 TFD 소자(27)를 제 2 기재(11b)를 생략한 상태에서 실선으로 나타내고, 또한, 제 1 기판(4a) 측에 형성되는 띠 형상 전극(21a)을 쇄선으로 나타내고 있다. 도트 전극(21b)은, 도시한 바와 같이, 정방형 또는 장방형에 가까운 도트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TFD 소자(27)를 통해서 라인 배선(26)에 접속되어 있다. 또, 도 2는 도 1(a)의 B-B선 단면도에 상당한다.
도 1(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기판(4a) 측의 띠 형상 전극(21a)은 제 2 기판(4b) 측의 라인 배선(26)과 직각 방향으로 연장하고, 또한 그것과 직각인 방향으로 상호 간격을 두고 평행하게, 즉 전체로서 스트라이프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개개의 띠 형상 전극(21a)은 라인 배선(26)과 직각인 방향으로 열 형상으로 배열되는 복수의 도트 전극(21b)에 대향하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도트 전극(21b)과 띠 형상 전극(21a)이 겹치는 영역이 표시의 최소 단위인 표시 도트 D를 구성한다.
도 2의 반사층(16)에는,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개개의 표시 도트 D에 대응하여 광 통과용 개구(28)가 마련되어 있다. 이들 개구(28)는 반사층(16)에 광을 투과시키는 기능을 갖게 하기 위한 구성이지만, 이 개구(28)를 마련하는 대신 반사층(16)의 두께를 얇게 하여, 광을 반사시키는 기능과 광을 투과시키는 기능의 양쪽을 갖도록 할 수도 있다. 도 2에서, 개구(28)에 대응하는 영역이 광 투과 영역 T이며, 그 주위의 반사층(16)이 존재하는 영역이 광 반사 영역 R이다.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개개의 착색층(18)은 표시 도트 D에 대응하여 마련되어 있다. 착색층(18)을 이용하지 않는 흑백 표시의 경우에는 하나의 표시 도트 D에 의해 하나의 화소가 형성되지만, 본 실시예와 같이 3색의 착색층(18)을 이용하여 컬러 표시를 행하는 구조의 경우에는, R, G, B의 3색에 대응하는 세 개의 착색층(18)의 집합에 의해 하나의 화소가 형성된다.
TFD 소자(27)는,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TFD 요소(27a)와 제 2 TFD 요소(27b)를 직렬로 접속함으로써 형성되어 있다. 이 TFD 소자(27)는, 예컨대, 다음과 같이 하여 형성된다. 즉, 우선, Ta(탄탈)에 의해 라인 배선(26)의 제 1 층(26a) 및 TFD 소자(27)의 제 1 금속(31)을 형성한다. 다음에, 양극산화 처리에 의해 라인 배선(26)의 제 2 층(26b) 및 TFD 소자(27)의 절연막(32)을 형성한다. 다음에, 예컨대, Cr(크롬)에 의해 라인 배선(26)의 제 3 층(26c) 및 TFD 소자(27)의 제 2 금속(33)을 형성한다.
제 1 TFD 요소(27a)의 제 2 금속(33)은 라인 배선(26)의 제 3 층(26c)으로부터 연장되고 있다. 또한, 제 2 TFD 요소(27b)의 제 2 금속(33)의 선단에 겹치도록 도트 전극(21b)이 형성된다. 라인 배선(26)으로부터 도트 전극(21b)을 향해서 전기 신호가 흐르는 것을 생각하면, 그 전류 방향을 따라, 제 1 TFD 요소(27a)에서는 제 2 전극(33)→절연막(32)→제 1 금속(31)의 순서로 전기 신호가 흐르고, 한편, 제 2 TFD 요소(27b)에서는 제 1 금속(31)→절연막(32)→제 2 금속(33)의 순서로 전기 신호가 흐른다.
즉, 제 1 TFD 요소(27a)와 제 2 TFD 요소(27b) 사이에서는 전기적으로 역방향인 한 쌍의 TFD 요소가 서로 직렬로 접속되어 있다. 이러한 구조는, 일반적으로, Back-to-Back 구조라고 불리고, 이 구조의 TFD 소자는 TFD 소자를 한 개의 TFD 요소만으로 구성하는 경우에 비해, 안정한 특성을 얻을 수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도 1에서, 제 2 기판(4b)은 제 1 기판(4a)의 외측으로 돌출하는 돌출부(36)를 갖고, 그 돌출부(36)의 제 1 기판(4a) 측의 표면에는 배선(37) 및 단자(38)가 형성되어 있다. 이들 배선(37) 및 단자(38)가 모이는 영역에 하나의 구동용 IC(39a) 및 두 개의 구동용 IC(39b)가 도시하지 않는 ACF(Anisotropic Conductive Film : 이방성 도전막)에 의해 실장되어 있다.
배선(37) 및 단자(38)는 제 2 기판(4b) 상에 라인 배선(26)이나 도트 전극(21b)을 형성할 때에 동시에 형성된다. 또, 라인 배선(26)은 돌출부(36)의 위에 그대로 연장되어 배선(37)으로 되어, 구동용 IC(39a)에 접속되어 있다. 또한, 제 1 기판(4a)과 제 2 기판(4b)을 접착하는 밀봉재(6)의 내부에는 구형(球形) 또는 원통형의 도통재(도시하지 않음)가 혼입되어 있다. 제 1 기판(4a) 상에 형성된 띠 형상 전극(21a)은 제 1 기판(4a)의 위에서 밀봉재(6)의 위치까지 레이아웃된 후, 밀봉재(6) 중 도통재를 통해 제 2 기판(4b) 상의 배선(37)에 접속되어 있다. 이에 따라, 제 1 기판(4a) 상의 띠 형상 전극(21a)은 제 2 기판(4b) 상의 구동용 IC(39b)에 접속되어 있다.
도 1에서, 액정 패널(2)을 구성하는 제 1 기판(4a)의 외측 표면에 대향하여 배치된 조명 장치(3)는, 예컨대, 투명한 플라스틱에 의해 형성된 판 형상의 도광체(41)와, 점 형상 광원으로서의 LED(42)를 갖는다. 도광체(41)중 액정 패널(2)과 반대측의 면에는 광 반사 시트(도시하지 않음)를 장착할 수 있다. 또한, 도광체(41) 중 액정 패널(2)에 대향하는 면에는 광 확산 시트(도시하지 않음)를 장착할 수 있다. 또한, 광 확산 시트의 위에, 또한, 프리즘 시트(도시하지 않음)를 장착할 수도 있다.
LED(42)는 본 실시예에서는 세 개 사용되고 있지만, LED(42)는 필요에 따라 한 개로 할 수도 있고, 또는, 세 개 이외의 복수개로 할 수도 있다. 또한, LED 등과 같은 점 형상 광원 대신, 냉음극관 등과 같은 선 형상 광원을 이용할 수도 있다.
이하, 상기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액정 장치에 대해 그 동작을 설명한다.
태양광, 실내광 등과 같은 외부광이 충분한 경우, 도 2에 화살표 F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외부광이 제 2 기판(4b)을 통해 액정 패널(2)의 내부로 취입되고, 이 외부광이 액정층(13)을 통과한 후에 반사막(16)에서 반사되어 액정층(13)에 공급된다.
한편, 외부광이 불충분한 경우에는, 조명 장치(3)를 구성하는 LED(42)(도 1 참조)를 점등한다. 이 때, LED(42)로부터 점 형상으로 나온 광은 도광체(41)의 입광면(41a)으로부터 해당 도광체(41)의 내부로 도입되고, 그 후, 액정 패널(2)에 대향하는 면, 즉, 광출사면(41b)으로부터 면 형상으로 출사된다. 이와 같이 하여 광출사면(41b)의 각 위치로부터 출사되는 광이, 도 2에서 화살표 G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반사막(16)에 형성한 개구(28)를 통해 면 형상의 광으로서 액정층(13)에 공급된다.
이상과 같이 하여 액정층(13)으로 광이 공급되는 동안, 액정 패널(2)에 대해서는, 구동용 IC(39a, 39b)(도 1참조)에 의해 제어되고, 라인 배선(26)에, 예컨대, 주사 신호가 공급되고, 또한, 띠 형상 전극(21a)에, 예컨대, 데이터 신호가 공급된다. 이 때, 주사 신호와 데이터 신호의 전위차에 따라 특정 표시 도트에 부속되는 TFD 소자(27)가 선택 상태(즉, 온 상태)로 되면, 그 표시 도트 내의 액정 용량에 영상 신호가 기입되고, 그 후, 당해 TFD 소자(27)가 비선택 상태(즉, 오프 상태)로 되면, 그 신호는 상기 표시 도트에 축적되어 상기 표시 도트 내의 액정층을 구동한다.
이와 같이 하여, 액정층(13) 내의 액정 분자가 표시 도트마다 제어되고, 그 때문에, 액정층(13)을 통과하는 광이 표시 도트 D마다 변조된다. 그리고, 이와 같이 변조된 광이 제 2 기판(4b) 측의 편광판(23b)을 통과함으로써, 액정 패널(2)의 유효 표시 영역 내에 문자, 숫자, 도형 등과 같은 이미지가 표시된다. 반사층(16)에서 반사되는 외부광을 이용하여 행해지는 표시가 반사형 표시이다. 또한, 조명 장치(3)로부터의 광을 이용하여 행해지는 표시가 투과형 표시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그들 반사형 표시 및 투과형 표시를 사용자의 희망에 따라, 또는 외부 환경의 변화에 따라 자동적으로 선택한다.
이상의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액정 장치에 있어서, 스페이서(14)는, 예컨대, 감광성 수지 등을 재료로서, 예컨대, 포토리소그래피 처리 등을 이용한 패터닝 처리에 의해, 예컨대, 정부(頂部)가 없는 원추 형상, 정부가 없는 각추(角錐) 형상, 기타 임의의 형상으로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정부가 없는 각추 형상으로, 제 1 기판(4a) 측이 면적이 좁은 정부 측이며, 제 2 기판(4b) 측이 면적이 넓은 저면 측인 형상으로 형성하는 경우를 나타내고 있다.
또, 스페이서(14)는,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스트라이프 배열로 배치된 R, G, B의 각 색 착색층(18(R), 18(G), 18(B)) 각각의 주위에 형성되어 있다. 또, 도면에서는 각 착색층의 한 변에 대하여 스페이서(14)가 하나씩 마련되어 있지만, 스페이서(14)는 각 착색층간에 복수개씩 마련하도록 하여도 좋다.
또, G색 착색층(18(G))의 주위에 있는 스페이서(14)의 차광층(17)의 폭 방향의 치수를 Zg로 하고, B색 착색층(18(B))의 차광층(17)의 폭 방향의 치수를 Zb로 하며, R색 착색층(18(R))의 차광층(17)의 폭 방향의 치수를 Zr이라고 할 때,
Figure 112004020309462-pat00001
바람직하게는,
Figure 112004020309462-pat00002
로 설정된다.
본 실시예의 액정 장치를 제조할 때에는, 도 5의 제 1 기판(4a)과 도 4의 제 2 기판(4b)을 밀봉재(6)(도 1 참조)에 의해 접합한다. 이 때에는, 예컨대, 제 1 기판(4a) 측의 적소에 마련한 제 1 마크와, 제 2 기판(4b) 측의 적소에 마련한 제 2 마크를 비교하면서, 그들이 일정한 위치 관계로 되도록, 양 기판(4a, 4b)을 접합한다. 양 기판이 정규의 상태로 접합된 경우에는,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각 스페이서(14)는 각 착색층(18) 주위의 차광층(17) 내에 위치하게 된다.
그러나, 액정 장치의 제조 시, 제 1 기판(4a)과 제 2 기판(4b)의 접합은 항상 양자의 상대 위치가 어긋나는 일없이 행해지는 것만이 아니라, 양자간에 허용 범위 내에서 위치 편차가 발생하는 것은 어쩔 수 없다. 이러한 기판의 위치 편차가 생기는 경우에는, 스페이서(14)가 차광층(17)으로부터 벗어나 착색층(18)의 영 역 내로 들어갈 가능성이 있다.
그러나, 인간이 R, G, B의 각 색의 광을 보는 경우, 그들 광의 에너지량이 같더라도, 느끼는 밝기는 파장에 따라 다른 것이 알려져 있다. 구체적으로는, R, G, B의 각 색의 광의 에너지가 같아도, 그들의 밝기는 G>R>B이다. 이것은 G색 영역에 어떤 변화가 있는 경우에는, R색 영역이나 B색 영역에 어떤 변화가 있는 경우와 비교하여, 인간이 느끼는 밝기의 변화는 매우 크다는 것이다. 예컨대, 스페이서(14)가 G색 영역으로 들어 간 경우에는, 광 누출의 영향이 R색 영역이나 B색 영역에 비해 크게 나타나고, 콘트라스트가 크게 저하되는 것이 생각된다.
이에 관하여,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수학식 1과 같이,
Zg<Zb 및 Zg<Zr
로 설정했으므로, 기판의 조립 오차가 생기는 경우, 스페이서(14)는 B색 착색층(18(B))이나 R색 착색층(18(R))에 들어갈 가능성은 높지만, G색 착색층(18(G))에 들어갈 가능성은 낮게 억제된다. 따라서, 기판의 조립 오차에 의해 스페이서(14)의 위치에 변동이 생기는 경우에도, 콘트라스트의 저하를 극력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한 수학식 2와 같이,
Zg<Zr<Zb
로 설정했으므로, 스페이서(14)가 R색 영역으로 들어갈 가능성을 B색 영역으로 들어갈 가능성보다도 낮게 되도록 했다. 이에 따라, 기판의 조립 오차에 의해 스페이서(14)의 위치에 변동이 생기는 경우의 콘트라스트의 저하를, 한층 더 낮게 억제할 수 있다.
그런데, 일반적으로, R, G, B의 세 개의 표시 도트 D의 집합인 1화소의 면적을 A로 하고, 하나의 스페이서(14)의 제 2 기재(11b)에 접하는 위치의 평면 단면적을 S로 하고, 1화소 내에 존재하는 스페이서(14)의 수를 ρ로 할 때, 화소에 관한 스페이서(14)의 면적비 R은,
Figure 112004020309462-pat00003
로 나타낼 수 있다. 액정 장치의 표시 화면이 가압되는 경우, 그 가압력이 임의 값을 초과하면 액정 장치에 의한 정상 표시를 할 수 없게 된다. 액정 장치가 정상 기능을 유지할 수 있는 가압력의 최대값이 내압이다. 본 발명자는, 도 2에 나타내는 구조의 액정 패널(2)에 대해, 상기한 수학식 3에서 나타내는 R값과 당해 액정 패널(2)의 내압의 관계를 조사했다. 그 결과,
Figure 112004020309462-pat00004
로 되도록 스페이서(14)를 형성하는 것이 실용적으로 가장 바람직한 것을 알 수 있었다.
또, 본 발명자는 스페이서(14)의 치수를 실제로 어떻게 설정하는 것이 좋은 가를 검토했다. 그 결과, 도 4에서 차광층(17)의 폭을 W≒10㎛로 설정하는 동시에, 도 1의 액정 장치(1)의 제조 시에, 제 1 기판(4a)과 제 2 기판(4b)을 접합할 때의 허용 오차를 4㎛ 이하로 하는 경우에는,
Zg≒6㎛, Zr≒10㎛, Zb≒14㎛
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한 것을 알 수 있었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예의 액정 장치에서는, R, G, B의 모든 착색층(18)에 대하여 스페이서(14)를 설치했으므로, 액정 패널의 내압을 높게 유지할 수 있다. 또한, G색 착색층(18(G)) 주위의 스페이서(14)의 단면 치수를 작게 했으므로, 기판의 조립 오차가 발생하여도 콘트라스트의 저하를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콘트라스트의 저하에 그다지 크게 영향을 미치지 않는 R색 착색층(18(R)) 및 B색 착색층(18(B)) 주위에 마련되는 스페이서(14)는 될 수 있는 한 크게 형성했으므로, 액정 패널의 내압을 크게 할 수 있다.
또, 이상의 실시예에서는,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스페이서(14)의 평면 단면 형상을 정방형으로 했지만, 그 대신, 원형, 장방형, 마름모꼴, 타원형, 장원형, 기타 임의의 단면 형상으로 할 수 있다.
(전기 광학 장치의 실시예 2)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전기 광학 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고 있고, 특히, 스페이서(14)와 착색층(18)의 상호 위치 관계를 나타내고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R, G, B의 각 색 착색층(18)이 경사 모자이크 배열(oblique mosaic arrangement), 즉 사선 배열(diagonal arrangement)로 배치되어 있다. 이 경사 모자이크 배열에서는, 좌상으로부터 우하로의 경사 방향을 따라 R, G, B의 동색(同色)이 배열되고, 가로열 방향을 따라 R, G, B가 교대로 배열된다.
이 경사 모자이크 배열에 대하여, 스페이서(14)는 R, G, B의 각 색 착색층(18) 주위에 마련되어 있다. 또한, G색 착색층(18(G)) 주위의 스페이서(14)의 단면 치수는 작고, 또한, B색 착색층(18(B)) 또는 R색 착색층(18(R)) 주위의 스페이서(14)의 단면 치수는 크게 설정되어 있다. 스페이서(14)를 착색층(18)에 대하여 이와 같이 마련했으므로, 가령, 한 쌍의 대향 기판 사이에 상대적인 위치 편차가 발생하여도, 스페이서(14)가 G색 영역으로 들어갈 가능성을 낮게 억제할 수 있고, 따라서, 표시에 있어서의 콘트라스트의 저하를 억제할 수 있다. 더구나, G색 영역이외에서는 스페이서(14)의 단면 치수를 크게 했으므로, 액정 패널의 내압을 크게 유지할 수 있다.
또, 도 6의 실시예에서는, 각 착색층(18) 사이에 스페이서(14)를 하나씩 형성했지만, 각 착색층(18) 사이에 복수의 스페이서(14)를 형성하여도 좋다.
(전기 광학 장치의 실시예 3)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전기 광학 장치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고 있고, 특히, 스페이서(14)와 착색층(18) 상호의 위치 관계를 나타내고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R, G, B의 각 색 착색층(18)이 펜타일 배열(Pentile arrangement)로 배치되어 있다. 이 펜타일 배열에서는, B색 착색층(18(B))이 세로 방향으로 1열로 배열되고, 한 쌍의 B색 착색층(18(B))의 세로 열 사이에서 R색 착색층(18(R))과 G색 착색층(18(G))이 서로 다르게 배열되어 있다.
이 펜타일 배열에 대하여, 스페이서(14)는 R, G, B의 각 색 착색층(18)의 주 위에 마련되어 있다. 또한, G색 착색층(18(G))의 주위의 스페이서(14)의 단면 치수는 작고, 또한, B색 착색층(18(B))끼리의 사이의 스페이서(14)의 단면 치수는 크게 설정되어 있다. 스페이서(14)를 착색층(18)에 대하여 이와 같이 마련했으므로, 가령, 한 쌍의 대향 기판 사이에 상대적인 위치 편차가 발생하여도, 스페이서(14)가 G색 영역에 들어갈 가능성을 낮게 억제할 수 있고, 따라서, 표시에 있어서의 콘트라스트의 저하를 억제할 수 있다. 또한, G색 영역 이외에는 스페이서(14)의 단면 치수를 크게 했으므로, 액정 패널의 내압을 크게 유지할 수 있다.
또, 도 7의 실시예에서는, 각 착색층(18) 사이에 스페이서(14)를 하나씩 형성했지만, 각 착색층(18) 사이에 복수의 스페이서(14)를 형성하여도 좋다.
(전기 광학 장치의 실시예 4)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전기 광학 장치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고 있고, 특히, 스페이서(14)와 착색층(18) 상호의 위치 관계를 나타내고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R, G, B의 각 색 착색층(18)이 펜타고날 배열(pentagonal arrangement)로 배치되어 있다. 이 펜타고날 배열에서는, 가로 열 방향을 따라 R, G, B가 교대로 반복하여 배열되고, 세로 열 방향을 따라 R, G, R, G, ……의 1열, G, B, G, B, ……의 1열, 그리고 B, R, B, R, ……의 1열이 각각 배열되고 있다.
이 펜타고날 배열에 대하여, 스페이서(14)는 R, G, B의 각 색 착색층(18) 주위에 마련되고 있다. 또한, G색 착색층(18(G)) 주위의 스페이서(14)의 단면 치수는 작고, 또한, B색 착색층(18(B))과 R색 착색층(18(R)) 사이의 스페이서(14)의 단 면 치수는 크게 설정되어 있다. 스페이서(14)를 착색층(18)에 대하여 이와 같이 마련했으므로, 가령, 한 쌍의 대향 기판 사이에 상대적인 위치 편차가 발생하여도, 스페이서(14)가 G색 영역으로 들어갈 가능성을 낮게 억제할 수 있고, 따라서, 표시에 있어서의 콘트라스트의 저하를 억제할 수 있다. 또한, G색 영역 이외에는 스페이서(14)의 단면 치수를 크게 했으므로, 액정 패널의 내압을 크게 유지할 수 있다.
또, 도 8의 실시예에서는, 각 착색층(18) 사이에 스페이서(14)를 하나씩 형성했지만, 각 착색층(18) 사이에 복수의 스페이서(14)를 형성하여도 좋다.
(변형예)
상기 실시예에서는,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착색층(18)이 제 1 기판(4a)에 마련되고, 스페이서(14)가 제 2 기판(4b)에 마련되었다. 즉, 착색층(18)과 스페이서(14)가 서로 다른 기판 상에 마련되어 있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 구성 대신, 착색층(18)과 스페이서(14)가 동일 기판 상에 마련되는 패널 구조도 포함하는 것이다.
이 구조의 경우, 한 쌍의 기판을 접합할 때의 조립 오차에 의해 착색층(18)과 스페이서(14) 사이의 상대 위치가 어긋날 우려는 없다. 그러나, 이 경우에는, 하나의 기판 상에 착색층(18)을 형성한 후, 그 위에 스페이서(14)를 형성할 때에, 양자의 상대적인 위치가 정규 위치로부터 어긋나는 경우가 있다. 이러한 편차는 정렬 편차(alignment deviation)이라 불리는 경우가 있다.
본 발명에서는, 착색층(18)과 스페이서(14)를 동일 기판 상에 거듭 형성하는 경우에도 적용할 수 있는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양자를, 도 5, 도 6, 도 7, 도 8에 나타내는 것과 같은 상대적인 위치 관계로 마련할 수 있다.
다음에, 상기 실시예에서는, 2단자형 스위칭 소자인 TFD 소자(27)를 이용한 액티브 매트릭스형 액정 장치에 본 발명을 적용했지만, 본 발명은 TFD 소자 이외의 2단자형 스위칭 소자를 이용하는 경우에도 적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TFT(Thin Film Transistor) 등과 같은 3단자형 스위칭 소자를 이용한 액티브 매트릭스형 액정 장치에도 적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스위칭 소자를 이용하지 않는 구조인 단순 매트릭스형 액정 장치에도 적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액정 장치에 한정되지 않고, 유기 EL 장치,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전기 영동 장치 등의 전기 광학 장치에도 적용할 수 있다.
(전기 광학 장치의 제조 방법의 실시예 1)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전기 광학 장치의 제조 방법을, 도 1에 나타내는 액정 장치를 제조하는 경우를 예로 들어, 도 9의 흐름도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9에서, 공정 P1 내지 공정 P5가 도 1의 제 2 기판(4b)을 형성하기 위한 공정이다. 또한, 공정 P11 내지 공정 P17이 도 1의 제 1 기판(4a)을 형성하기 위한 공정이다. 또한, 공정 P21 내지 공정 P28이 그들 기판을 조합시켜 액정 장치를 완성시키기 위한 공정이다.
또, 본 실시예의 제조 방법에서는, 도 1에 나타내는 제 1 기판(4a) 및 제 2 기판(4b)을 하나씩 형성하는 것이 아니라, 제 1 기판(4a)에 대해서는, 복수의 제 1 기판(4a)을 형성할 수 있는 크기의 면적을 갖는 제 1 마더 기재를 이용하여 복수의 제 1 기판(4a)을 동시에 형성한다. 또한, 제 2 기판(4b)에 대해서는, 복수의 제 2 기판(4b)을 형성할 수 있는 크기의 면적을 갖는 제 2 마더 기재를 이용하여 복수의 제 2 기판(4b)을 동시에 형성한다. 제 1 마더 기재 및 제 2 마더 기재는, 예컨대, 투명한 유리, 투명한 플라스틱 등에 의해 형성된다.
우선, 도 9의 공정 P1에서, 제 2 마더 기재의 표면에 도 1(a)의 TFD 소자(27) 및 라인 배선(26)을 형성한다. 다음에, 공정 P2에서, 도 1(a)의 도트 전극(21b)을 ITO를 재료로 하여 포토리소그래피 처리 및 에칭 처리에 의해 형성한다.
다음에, 공정 P3에서, 도 2의 스페이서(14)를 감광성 수지를 재료로 하여 적절한 패터닝 처리, 예컨대, 포토리소그래피 처리에 의해 형성한다. 이 때, 복수의 스페이서(14)는,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모든 착색층(18)의 주위에 마련되고, 또한 그들의 치수가 Zb>Zr>Zg로 되도록 형성된다.
다음에, 공정 P4에서, 도 2의 배향막(22b)을 도포나 인쇄 등에 의해 형성하고, 또한 공정 P5에서, 그 배향막(22b)에 배향 처리, 예컨대, 러빙 처리를 실시한다. 이상으로부터, 제 2 마더 기재의 위에 제 2 기판(4b)의 복수개 분량의 패널 요소가 형성된다. 이하, 이 평판 구조체를 제 2 마더 기판이라 한다. 또, 실제 공정에서는, 열 처리나, 그 밖의 처리가 필요에 따라 실시되는 경우가 있지만, 상기 설명에서는 그것들을 생략했다.
다음에, 도 9의 공정 P11에서, 제 1 마더 기판의 표면 상에 도 2의 수지층(15)의 제 1 층(15a)을, 예컨대, 감광성 수지를 재료로서 포토리소그래피 처 리에 의해 형성한다. 그 제 1 층(15a)의 표면에는 미세한 요철이 형성된다. 그 후, 제 1 층(15a)의 위에 같은 재료의 제 2 층(15b)을 얇게 도포하여, 수지층(15)을 형성한다.
다음에, 도 9의 공정 P12에서, 도 2의 반사층(16)을, 예컨대, Al이나 Al 합금 등과 같은 광 반사성 물질을 재료로 하여 포토리소그래피 처리 및 에칭 처리에 의해 형성한다. 이 때, 표시 도트 D마다 개구(28)를 형성함으로써 광 반사부 R과 투광부 T를 형성한다. 다음에, 공정 P13에서, 도 2의 착색층(18)을 R, G, B의 각 색마다 순차로 형성한다. 예컨대, 각 색의 안료나 염료를 감광성 수지로 분산시켜 이루어지는 착색 재료를 포토리소그래피 처리에 의해 소정의 배열, 예컨대, 도 5의 스트라이프 배열로 형성한다. 이 때, R, G, B의 각 색의 적층에 의해, 차광층(17)이 각 착색층의 주위, 즉 복수의 표시 도트 D의 주위를 메우는 격자 형상 패턴으로 형성된다.
다음에, 공정 P14에서, 도 2의 오버코팅층(19)을, 예컨대, 아크릴 수지, 폴리이미드 수지 등과 같은 감광성 수지를 재료로서 포토리소그래피 처리에 의해 형성한다. 다음에, 도 9의 공정 P15에서, 도 2의 띠 형상 전극(21a)을 ITO를 재료로 하여 포토리소그래피 처리 및 에칭 처리에 의해 형성한다. 또한, 공정 P16에서 도 2의 배향막(22a)을 형성하고, 또한 공정 P17에서 배향 처리로서의 러빙 처리를 행한다.
이상으로부터, 제 1 마더 기재의 위에 제 1 기판(4a)의 복수개 분량의 패널 요소가 형성된다. 이하, 이 평판 구조체를 제 1 마더 기판이라고 한다. 또, 실제 공정에서는, 열 처리나, 그 밖의 처리가 필요에 따라 실시되는 경우가 있지만, 상기 설명에서는 그것들을 생략했다.
그 후, 도 9의 공정 P21에서, 제 1 마더 기판과 제 2 마더 기판을 접합한다. 이에 따라, 제 1 마더 기판과 제 2 마더 기판이 개개의 액정 장치의 영역에서 도 1의 밀봉재(6)를 개재하여 접합시킨 구조의 대면적의 패널 구조체가 형성된다.
또, 제 1 마더 기판을 구성하는 제 1 마더 기재 및 제 2 마더 기판을 구성하는 제 2 마더 기재 각각의 대응하는 위치에는, 미리, 그들 기판의 상호 위치를 정하기 위한 정렬 마크가 형성되어 있다. 공정 P21의 접합을 행할 때에는, 쌍방의 정렬 마크가 일정한 위치 관계가 되도록 하고, 예컨대, 한쪽의 정렬 마크가 다른 쪽의 정렬 마크 내로 들어가도록 하여, 제 1 마더 기판과 제 2 마더 기판을 위치 결정한다.
이 때, 경우에 따라서는, 제 1 마더 기판과 제 2 마더 기판의 위치 관계, 즉, 각 액정 장치에 있어서의 제 1 기판(4a)과 제 2 기판(4b)의 위치 관계가 어긋나는 경우가 있다. 이 경우, 본 실시예에서는, 공정 P3에서, 도 4와 같이 복수의 스페이서(14)를 Zb>Zr>Zg의 치수를 만족하도록 형성했으므로, 가령, 마더 기판 사이에 위치 편차가 생기더라도 스페이서(14)는 G색 착색층(18(G))의 영역 내로 들어갈 가능성이 작게 되고, 이 때문에, 콘트라스트가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다음에, 이상과 같이 하여 형성된 대면적의 패널 구조체에 포함되는 밀봉재(6)(도 1 참조)를, 공정 P22에서 경화시켜 양 마더 기판을 접착한다. 다음에, 공정 P23에서, 패널 구조체를 1차 절단, 즉 1차 브레이크하여, 도 1의 액정 패 널(2)의 복수가 1열로 배열된 상태에서 포함되는 중(中) 면적의 패널 구조체, 이른바 스트라이프 형상의 패널 구조체를 복수 형성한다. 밀봉재(6)에는 미리 적소에 개구(6a)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한 1차 브레이크에 의해 스트라이프 형상(strip-shaped)의 패널 구조체가 형성될 때, 그 밀봉재(6)의 개구(6a)가 외부로 노출된다.
다음에, 도 9의 공정 P24에서, 상기한 밀봉재의 개구(6a)를 통해 각 액정 패널 부분의 내부에 액정을 주입하고, 그 주입 완료 후, 그 개구(6a)를 수지에 의해 밀봉한다. 다음에, 공정 P25에서, 2회째의 절단, 즉 2차 브레이크를 행하여, 스트라이프 형상의 패널 구조체로부터 도 1에 나타내는 개개의 액정 패널(2)을 잘라낸다.
다음에, 도 9의 공정 P26에서, 도 1의 액정 패널(2)에 편광판(23a, 23b)을 점착에 의해 장착한다. 다음에, 공정 P27에서, 도 1의 구동용 IC(39a, 39b)를 실장하고, 또한 공정 P28에서, 도 1의 조명 장치(3)를 부착한다. 이에 따라, 액정 장치(1)가 완성된다.
또, 상기 실시예에서는, 공정 P3에서 스페이서(14)를 도 5에 나타내는 위치에 형성했지만, 그 대신, 도 6, 도 7,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위치에 스페이서(14)를 마련할 수 있다.
(전기 광학 장치의 제조 방법의 실시예 2)
이상의 실시예에서는, 도 9의 공정 P3에서 스페이서(14)를 제 2 기판(4b) 측에 형성하고, 공정 P13에서 착색층(18)을 제 1 기판(4a) 측에 형성했다. 즉, 스페 이서(14)와 착색층(18)을 다른 기판 상에 설치하였다. 그러나, 다른 액정 장치의 제조 방법을 고려하는 경우에는, 스페이서(14) 및 착색층(18)은 하나의 같은 기판 상에 형성할 수도 있다. 이 경우에는, 한 쌍의 마더 기판을 접합할 때에 스페이서(14)와 착색층(18) 사이에서 위치 편차가 발생한다고 하는 현상은 생각되지 않는다.
그런데, 하나의 마더 기판 상에 착색층(18), 스페이서(14), 전극, 배향막, 그 밖의 요소를 순서대로 형성하는 경우에는, 통상, 상기 하나의 마더 기판 상의 적절한 위치에 정렬 마크를 형성해 두고, 이 정렬 마크를 기준으로 한 소정 위치에 상기한 각 요소를 거듭 형성해 간다. 이 때, 경우에 따라서는 각 요소 사이에서 정렬 편차가 발생하는 경우가 있고, 또한, 경우에 따라서는 착색층(18)과 스페이서(14) 사이에서도 정렬 편차가 생기는 경우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스페이서(14)는 착색층(18)에 대하여 도 5, 도 6, 도 7,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위치 관계로 형성되므로, 상기한 바와 같이, 착색층(18)과 스페이서(14) 사이에 정렬 편차가 생기는 경우에도, 스페이서(14)는 G색 착색층(18(G))의 영역 내로 들어갈 가능성이 낮다. 그 때문에, 제조된 액정 장치에 있어서의 표시에 대해 콘트라스트가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전자기기의 실시예)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전자기기를 실시예를 들어 설명한다. 또,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일례를 나타내는 것으로, 본 발명은 본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 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전자기기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고 있다. 여기에 나타내는 전자기기는 표시 정보 출력원(101), 표시 정보 처리 회로(102), 전원 회로(103), 타이밍 생성기(104) 및 액정 장치(105)에 의해 구성된다. 그리고, 액정 장치(105)는 액정 패널(107) 및 구동 회로(106)를 갖는다.
표시 정보 출력원(101)은 RAM(Random Access Memory) 등과 같은 메모리나, 각종 디스크 등과 같은 저장 유닛이나, 디지털 화상 신호를 동조 출력하는 동조 회로 등을 구비하고, 타이밍 생성기(104)에 의해 생성되는 각종 클록 신호에 따라, 소정 포맷의 화상 신호 등과 같은 표시 정보를 표시 정보 처리 회로(102)로 공급한다.
다음에, 표시 정보 처리 회로(102)는 증폭·반전 회로나, 로테이션 회로나, 감마 보정 회로나, 클램프 회로 등과 같은 주지의 회로를 다수 구비하여, 입력한 표시 정보의 처리를 실행하고, 화상 신호를 클록 신호 CLK와 함께 구동 회로(106)로 공급한다. 여기서, 구동 회로(106)는 주사선 구동 회로(도시하지 않음)나 데이터선 구동 회로(도시하지 않음)와 함께, 검사 회로 등을 총칭한 것이다. 또한, 전원 회로(103)는 상기한 각 구성 요소에 소정의 전원 전압을 공급한다. 액정 장치(105)는, 예컨대, 도 1에 나타낸 액정 장치(1)와 마찬가지로 구성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전자기기의 다른 실시예인 모바일형 퍼스널 컴퓨터를 나타내고 있다. 여기에 나타내는 퍼스널 컴퓨터(110)는 키보드(112)를 구비한 본체부(114)와, 액정 표시 유닛(116)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 액정 표시 유닛(116) 은, 예컨대, 도 1에 나타낸 액정 장치(1)를 표시부로 이용해서 구성할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을 전자기기의 일례인 휴대 전화기에 적용한 경우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고 있다. 여기에 나타내는 휴대 전화기(120)는 본체부(121)와, 이것에 개폐 가능하게 마련된 표시부(122)를 갖는다. 액정 장치 등과 같은 전기 광학 장치에 의해 구성된 표시 장치(123)는 표시부(122)의 내부에 배치되고, 전화 통신에 관한 각종 표시는 표시부(122)에서 표시 화면(124)에 의해 시인(視認)할 수 있다. 본체부(121)의 전면(前面)에는 조작 버튼(126)이 배열되어 마련된다.
표시부(122)의 일단부로부터 안테나(127)가 출몰이 자유롭게 부착되어 있다. 수화부(128)의 내부에는 스피커가 배치되고, 송화부(129)의 내부에는 마이크로폰이 내장되어 있다. 표시 장치(123)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는 휴대 전화기의 전체를 제어하는 제어부의 일부로서, 또는 그 제어부와는 별도로, 본체부(121) 또는 표시부(122)의 내부에 내장된다.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전자기기의 또 다른 실시예인 디지털 스틸 카메라로서, 액정 장치를 파인더로 이용하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이 디지털 스틸 카메라(130)에 있어서의 케이스(131)의 배면에는 액정 표시 유닛(132)이 마련된다. 이 액정 표시 유닛(132)은 피사체를 표시하는 파인더로서 기능한다. 이 액정 표시 유닛(132)은, 예컨대, 도 1에 나타내는 액정 장치(1)를 이용하여 구성할 수 있다.
케이스(131)의 전면 측(도면에서는 이면 측)에는, 광학 렌즈나 CCD 등을 포함한 수광 유닛(133)이 마련되어 있다. 촬영자가 액정 표시 유닛(132)에 표시된 피사체 이미지를 확인하여, 셔터 버튼(134)을 누르면, 그 시점에서의 CCD의 촬상 신호가 회로 기판(135)의 메모리에 전송되어 거기에 저장된다.
케이스(131)의 측면에는, 비디오 신호 출력 단자(136)와, 데이터 통신용 입 출력 단자(137)가 마련되어 있다. 비디오 신호 출력 단자(136)에는 텔레비전 모니터(138)가 필요에 따라 접속되고, 또한, 데이터 통신용 입출력 단자(137)에는 퍼스널 컴퓨터(139)가 필요에 따라 접속된다. 회로 기판(135)의 메모리에 저장된 촬상 신호는 소정 조작에 의해 텔레비전 모니터(138)나, 퍼스널 컴퓨터(139)로 출력된다.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전자기기의 또 다른 실시예인 손목 시계형 전자기기를 나타내고 있다. 여기에 나타내는 손목 시계형 전자기기(140)는 시계 본체(141)에 지지된 표시부로서의 액정 표시 유닛(142)을 갖고, 이 액정 표시 유닛(142)은 시계 본체(141)의 내부에 설치한 제어 회로(143)에 의해 제어되어, 시각, 날짜 등을 정보로서 표시한다. 이 액정 표시 유닛(142)은, 예컨대, 도 1에 나타낸 액정 장치(1)를 이용하여 구성할 수 있다.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전자기기의 또 다른 실시예인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 휴대형 정보 단말 장치)를 나타내고 있다. 여기에 나타내는 PDA(150)는, 접촉 방식, 이른바 터치 패널 방식의 입력 장치(151)를 그 정면 패널 상에 갖는다. 이 입력 장치(151)는 투명하며, 그 아래에는 표시부로서의 액정 장치(152)가 배치되어 있다.
사용자는 부속의 펜형 입력구(153)를 입력 장치(151)의 입력면에 접촉시킴으로써, 액정 장치(152)에 표시된 버튼, 그 밖의 표시를 선택하거나, 문자, 도형 등 을 그려, 필요한 정보를 입력한다. 이 입력 정보에 대하여 PDA(150) 내의 컴퓨터에 의해 소정 연산이 행해지고, 그 연산 결과가 액정 장치(152)에 표시된다. 액정 장치(152)는, 예컨대, 도 1에 나타내는 액정 장치(1)를 이용해서 구성할 수 있다.
(변형예)
전자기기로는, 이상에서 설명한 퍼스널 컴퓨터나, 휴대 전화기나, 디지털 스틸 카메라나, 손목 시계형 전자기기나, PDA 외에도, 액정 텔레비전이나, 뷰파인더형 또는 모니터 직시형의 비디오 테이프 레코더나, 카 네비게이션 장치나, 호출기나, 전자 수첩이나, 전자 계산기나, 워드프로세서나, 워크스테이션이나, 화상 전화기나, POS 단말기 등을 들 수 있다.
이상에 기재한 본 발명에 따른 전기 광학 장치에서는, 기판의 조립 오차 등에 따라 스페이서의 위치가 어긋나는 경우에도, 스페이서는 밝기의 변화가 큰 G색 영역으로 들어가는 일은 없고, 착색 영역으로 들어갔다고 해도 그 착색 영역은 B색 또는 R색으로 한정되므로, 밝기가 크게 변화되는 일이 없어진다. 이 때문에, 콘트라스트의 저하를 억제할 수 있다. 또한, B색 착색층 및 R색 착색층 주위의 스페이서의 평면 단면 크기는 될 수 있는 한 크게 설정하므로, 패널 구조의 내압을 높게 유지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자에 의해서 이루어진 발명을 상기 실시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그 요지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로 변경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Claims (9)

  1. 서로 대향하는 한 쌍의 기판과,
    해당 한 쌍의 기판 중 어느 한 쪽에 마련되고, 평면적으로 사전결정된 배열로 나열된 복수의 R색 착색층, 복수의 G색 착색층 및 복수의 B색 착색층과,
    상기 복수의 R색 착색층, G색 착색층 및 B색 착색층 사이에 마련된 차광층과,
    상기 한 쌍의 기판 중 어느 하나에 마련되고, 대향하는 기판을 향해 돌출되는 복수의 스페이서를 갖되,
    상기 복수의 스페이서는,
    (a) 상기 G색 착색층 주위의 상기 차광층 내 및 상기 B색 착색층 주위의 상기 차광층 내에 마련되든지, 또는
    (b) 상기 G색 착색층 주위의 상기 차광층 내 및 상기 R색 착색층 주위의 상기 차광층 내에 마련되든지, 또는
    (c) 상기 G색 착색층 주위의 상기 차광층 내, 상기 B색 착색층 주위의 상기 차광층 내 및 상기 R색 착색층 주위의 상기 차광층 내에 마련되고,
    상기 G색 착색층 주위에 있는 스페이서의 상기 차광층의 폭 방향의 치수를 Zg로 하고, 상기 B색 착색층의 상기 차광층의 폭 방향의 치수를 Zb로 하고, 상기 R색 착색층의 상기 차광층의 폭 방향의 치수를 Zr로 할 때,
    Zg〈Zb 및 Zg〈Zr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Zr〈Zb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R, G, B 세 가지 표시 도트의 집합인 1화소의 면적을 A로 하고, 상기 스페이서의 하나의 평면 단면적을 S로 하고, 1화소 내에 존재하는 상기 스페이서의 수를 ρ로 할 때, 화소에 대한 스페이서의 면적비 R은,
    R=(ρ×S)/A〉2×10-3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장치.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차광층의 폭이 10㎛일 때,
    Zg=6㎛, Zr=10㎛, Zb=14㎛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장치.
  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스페이서는, 상기 R색 착색층, 상기 G색 착색층 및 상기 B색 착색층이 마련된 기판에 대향하는 기판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장치.
  6.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스페이서는, 상기 R색 착색층, 상기 G색 착색층 및 상기 B색 착색층이 마련된 기판과 동일한 기판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장치.
  7.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기재된 액정 장치와, 해당 액정 장치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 수단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8. 청구항 5에 기재된 액정 장치를 제조하기 위한 제조 방법에 있어서,
    상기 한쌍의 기판중 한쪽 기판에, 해당 한쪽 기판 상에 형성된 정렬 마크를 기준으로 하여 상기 R색 착색층, 상기 G색 착색층 및 상기 B색 착색층을 형성하는 공정과,
    상기 한쌍의 기판중 다른쪽 기판에, 해당 다른쪽 기판 상에 형성된 정렬 마크를 기준으로 하여 스페이서를 형성하는 공정과,
    상기 한쪽 기판과 상기 다른쪽 기판을 접착하는 공정
    을 포함하되,
    상기 접착 공정에서, 상기 한쪽 기판과 상기 다른쪽 기판은, 각각의 기판 상에 형성된 상기 정렬 마크에 의해 위치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장치의 제조 방법.
  9. 삭제
KR1020040034113A 2003-05-15 2004-05-14 액정 장치, 전자기기 및 액정 장치의 제조 방법 Expired - Lifetime KR10065990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3-00137530 2003-05-15
JP2003137530A JP3912325B2 (ja) 2003-05-15 2003-05-15 電気光学装置、電子機器、及び電気光学装置の製造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98590A KR20040098590A (ko) 2004-11-20
KR100659904B1 true KR100659904B1 (ko) 2006-12-21

Family

ID=335271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34113A Expired - Lifetime KR100659904B1 (ko) 2003-05-15 2004-05-14 액정 장치, 전자기기 및 액정 장치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6999151B2 (ko)
JP (1) JP3912325B2 (ko)
KR (1) KR100659904B1 (ko)
CN (1) CN1550845B (ko)
TW (1) TWI289710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283142B2 (en) 2000-07-28 2007-10-16 Clairvoyante, Inc. Color display having horizontal sub-pixel arrangements and layouts
US7307646B2 (en) * 2001-05-09 2007-12-11 Clairvoyante, Inc Color display pixel arrangements and addressing means
US7123277B2 (en) * 2001-05-09 2006-10-17 Clairvoyante, Inc. Conversion of a sub-pixel format data to another sub-pixel data format
US20030117423A1 (en) * 2001-12-14 2003-06-26 Brown Elliott Candice Hellen Color flat panel display sub-pixel arrangements and layouts with reduced blue luminance well visibility
AU2002353139A1 (en) 2001-12-14 2003-06-30 Clairvoyante Laboratories, Inc. Improvements to color flat panel display sub-pixel arrangements and layouts with reduced visibility of a blue luminance well
US7046256B2 (en) * 2003-01-22 2006-05-16 Clairvoyante, Inc System and methods of subpixel rendering implemented on display panels
US20040196302A1 (en) * 2003-03-04 2004-10-07 Im Moon Hwan Systems and methods for temporal subpixel rendering of image data
US20040233308A1 (en) * 2003-05-20 2004-11-25 Elliott Candice Hellen Brown Image capture device and camera
US7230584B2 (en) * 2003-05-20 2007-06-12 Clairvoyante, Inc Projector systems with reduced flicker
US7268748B2 (en) * 2003-05-20 2007-09-11 Clairvoyante, Inc Subpixel rendering for cathode ray tube devices
US7209105B2 (en) * 2003-06-06 2007-04-24 Clairvoyante, Inc System and method for compensating for visual effects upon panels having fixed pattern noise with reduced quantization error
US8035599B2 (en) 2003-06-06 2011-10-11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panel having crossover connections effecting dot inversion
US7187353B2 (en) * 2003-06-06 2007-03-06 Clairvoyante, Inc Dot inversion on novel display panel layouts with extra drivers
US7397455B2 (en) * 2003-06-06 2008-07-08 Samsung Electronics Co., Ltd. Liquid crystal display backplane layouts and addressing for non-standard subpixel arrangements
US20040246280A1 (en) * 2003-06-06 2004-12-09 Credelle Thomas Lloyd Image degradation correction in novel liquid crystal displays
US7525526B2 (en) * 2003-10-28 2009-04-28 Samsung Electronics Co., Ltd. System and method for performing image reconstruction and subpixel rendering to effect scaling for multi-mode display
US7084923B2 (en) * 2003-10-28 2006-08-01 Clairvoyante, Inc Display system having improved multiple modes for displaying image data from multiple input source formats
US7590299B2 (en) * 2004-06-10 2009-09-15 Samsung Electronics Co., Ltd. Increasing gamma accuracy in quantized systems
JP2006053378A (ja) * 2004-08-12 2006-02-23 Seiko Epson Corp 電気光学装置、電気光学装置の製造方法及び電子機器
JP2006119270A (ja) * 2004-10-20 2006-05-11 Sharp Corp 表示装置用基板
KR101192770B1 (ko) * 2005-06-30 2012-10-18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표시패널 및 그 제조방법
US7439679B2 (en) * 2006-03-16 2008-10-21 Motorola,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illuminating light sources within an electronic device
US8089179B2 (en) * 2009-03-19 2012-01-03 Hamilton Sundstrand Corporation Hybrid aircraft electrical architecture with both variable and constant frequency generators
US8018086B2 (en) * 2009-05-18 2011-09-13 Hamilton Sundstrand Corporation Hybrid constant/variable frequency starter drive
JP5625424B2 (ja) * 2010-03-24 2014-11-19 大日本印刷株式会社 カラーフィルタ、カラーフィルタの製造方法およびそれを備える液晶表示装置
WO2011132439A1 (ja) 2010-04-19 2011-10-27 シャープ株式会社 液晶表示装置
CN103728786B (zh) * 2012-10-12 2016-08-31 群创光电股份有限公司 液晶显示装置及其制造方法
TWI530736B (zh) * 2014-04-09 2016-04-21 友達光電股份有限公司 顯示面板
CN104516158A (zh) * 2015-01-23 2015-04-15 合肥京东方光电科技有限公司 一种隔垫物的设计方法及显示装置
WO2016121799A1 (ja) * 2015-01-28 2016-08-04 シャープ株式会社 カラーフィルター基板および表示装置
CN106773360B (zh) * 2017-02-24 2021-07-30 厦门天马微电子有限公司 液晶显示面板及显示器
WO2020054039A1 (ja) * 2018-09-13 2020-03-19 シャープ株式会社 表示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CN109637362B (zh) * 2019-01-31 2021-07-09 厦门天马微电子有限公司 一种显示面板和显示装置
KR102805263B1 (ko) * 2019-11-19 2025-05-09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86374A (ja) 1996-12-26 1998-07-14 Toshiba Corp 液晶表示装置
JPH10339878A (ja) 1997-06-05 1998-12-22 Sekisui Finechem Co Ltd 液晶表示装置の製造方法
KR20020018087A (ko) * 2000-08-30 2002-03-07 마찌다 가쯔히꼬 액정 표시 장치
JP2002214621A (ja) 2001-01-17 2002-07-31 Toshiba Corp 液晶表示装置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04606A (ja) * 1996-09-27 1998-04-24 Toray Ind Inc 液晶表示装置
JPH10123534A (ja) * 1996-10-23 1998-05-15 Toshiba Corp 液晶表示素子
CN1223385A (zh) * 1998-01-16 1999-07-21 三菱电机株式会社 液晶显示装置及其制造方法
JP4215905B2 (ja) * 1999-02-15 2009-01-28 シャープ株式会社 液晶表示装置
JP2001159755A (ja) 1999-05-10 2001-06-12 Citizen Watch Co Ltd 液晶表示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JP4771038B2 (ja) * 2001-09-13 2011-09-14 ゲットナー・ファンデーション・エルエルシー 液晶表示装置
JP4059676B2 (ja) * 2002-01-22 2008-03-12 株式会社日立製作所 液晶表示装置
JP3891865B2 (ja) * 2002-02-07 2007-03-14 奇美電子股▲ふん▼有限公司 液晶表示装置及びそのカラーフィルタ基板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86374A (ja) 1996-12-26 1998-07-14 Toshiba Corp 液晶表示装置
JPH10339878A (ja) 1997-06-05 1998-12-22 Sekisui Finechem Co Ltd 液晶表示装置の製造方法
KR20020018087A (ko) * 2000-08-30 2002-03-07 마찌다 가쯔히꼬 액정 표시 장치
JP2002214621A (ja) 2001-01-17 2002-07-31 Toshiba Corp 液晶表示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3912325B2 (ja) 2007-05-09
CN1550845A (zh) 2004-12-01
US6999151B2 (en) 2006-02-14
CN1550845B (zh) 2010-04-28
TW200508750A (en) 2005-03-01
TWI289710B (en) 2007-11-11
US20050007539A1 (en) 2005-01-13
KR20040098590A (ko) 2004-11-20
JP2004341213A (ja) 2004-12-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59904B1 (ko) 액정 장치, 전자기기 및 액정 장치의 제조 방법
KR100679773B1 (ko) 액정 장치, 전자 기기, 및 액정 장치의 제조 방법
JP4142058B2 (ja) 電気光学装置および電子機器
KR100742146B1 (ko) 액정 표시 장치, 액정 표시 장치의 제조방법 및 휴대 전화기
JP2003262856A (ja) カラーフィルタ基板、電気光学装置及び電子機器、並びにカラーフィルタ基板の製造方法及び電気光学装置の製造方法
US7483099B2 (en) Liquid crystal device and electronic apparatus
JP4305051B2 (ja) 電気光学装置、電子機器、及び電気光学装置の製造方法
JP2004341214A (ja) 電気光学装置、電子機器、及び電気光学装置の製造方法
JP2006140078A (ja) 照明装置、電気光学装置及び電子機器
JP4645327B2 (ja) 液晶表示装置及び電子機器
JP2004226712A (ja) 電気光学装置用マザー基板、電気光学装置用基板、電気光学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電子機器
JP2006162922A (ja) 電気光学装置および電子機器
JP2004094099A (ja) 導光体、照明装置、電気光学装置、電子機器、及び導光体の製造方法
JP4329440B2 (ja) マスク、カラーフィルタ基板、カラーフィルタ基板の製造方法、電気光学装置、電気光学装置の製造方法、及び電子機器
JP2006267782A (ja) 電気光学装置及び電子機器
JP2005049580A (ja) マスク、カラーフィルタ基板、カラーフィルタ基板の製造方法、電気光学装置、電気光学装置の製造方法、及び電子機器
JP2006215226A (ja) 電気光学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電気光学装置用基板の製造方法、並びに電子機器
JP2005346113A (ja) 電気光学装置、電子機器、及び電気光学装置の製造方法
JP2006078723A (ja) 電気光学装置、電気光学装置用基板、電気光学装置の製造方法および電子機器
JP2004094166A (ja) カラーフィルタ基板、カラーフィルタ基板の製造方法、電気光学パネル、電気光学パネルの製造方法、電気光学装置及び電子機器
JP2005195744A (ja) 電気光学装置用基板、電気光学装置、電気光学装置の製造方法、及び電子機器
JP2004101745A (ja) 電気光学装置及び電子機器
JP2003262718A (ja) カラーフィルタ基板、電気光学装置及び電子機器、並びにカラーフィルタ基板の製造方法及び電気光学装置の製造方法
JP2003302518A (ja) 電気光学パネル用基板及びその製造方法、電気光学パネル並びに電子機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40514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60414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60914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61214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61215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91210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1124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1118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21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1121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19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1119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20

Year of fee payment: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1120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18

Year of fee payment: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1118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23

Year of fee payment: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1123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20

Year of fee payment: 12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1120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29

Year of fee payment: 13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1129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02

Year of fee payment: 1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1202

Start annual number: 14

End annual number: 1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1117

Start annual number: 15

End annual number: 1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1118

Start annual number: 16

End annual number: 16

PC1801 Expiration of term

Termination date: 20241114

Termination category: Expiration of du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