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644312B1 - 표시 장치 - Google Patents

표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44312B1
KR100644312B1 KR1020040020813A KR20040020813A KR100644312B1 KR 100644312 B1 KR100644312 B1 KR 100644312B1 KR 1020040020813 A KR1020040020813 A KR 1020040020813A KR 20040020813 A KR20040020813 A KR 20040020813A KR 100644312 B1 KR100644312 B1 KR 1006443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sulating film
film
convex insulating
region
electrod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Lifetim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208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86574A (ko
Inventor
오다노부히꼬
야마다쯔또무
미야지마야스시
오가와신지
Original Assignee
산요덴키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산요덴키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산요덴키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400865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8657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443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44312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Lifetim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02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terminals of adjacent batteries; 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cells outside a battery casing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553Reflecting elements
    • G02F1/133555Transflector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6Liquid crystal cell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a semi-conducting layer or substrate, e.g. cells forming part of an integrated circuit
    • G02F1/1362Active matrix addressed cells
    • G02F1/136209Light shielding layers, e.g. black matrix, incorporated in the active matrix substrate, e.g.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switching elemen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2Li-accumulators
    • H01M10/0525Rocking-chair batteries, i.e. batteries with lithium insertion or intercalation in both electrodes; Lithium-ion batteri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8Construction or manufacture
    • H01M10/0587Construction or manufacture of accumulators having only wound construction elements, i.e. wound positive electrodes, wound negative electrodes and wound separa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31Electrode connections inside a battery casing
    • H01M50/538Connection of several leads or tabs of wound or folded electrode stack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43Terminal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43Electrodes
    • G02F1/13439Electrodes characterised by their electrical, optical, physical properties; materials therefor; method of making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6Liquid crystal cell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a semi-conducting layer or substrate, e.g. cells forming part of an integrated circuit
    • G02F1/1362Active matrix addressed cells
    • G02F1/136213Storage capacitors associated with the pixel electrode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6Liquid crystal cell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a semi-conducting layer or substrate, e.g. cells forming part of an integrated circuit
    • G02F1/1362Active matrix addressed cells
    • G02F1/136227Through-hole connection of the pixel electrode to the active element through an insulation lay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Liquid Crystal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Abstract

노광 시에 난반사된 빛에 기인하는 표시 품위의 저하를 억제하는 것이 가능한 표시 장치를 제공한다. 이 표시 장치는, 반사 영역과 투과 영역을 갖는 표시 장치로서, 기판 위의 반사 영역에 대응하는 영역에 형성된 볼록형의 절연막과, 볼록형의 절연막의 아래에 형성되어, 적어도 볼록형의 절연막의 측 단부가 위치하는 영역까지 연장되도록 형성된 차광막을 구비하고 있다.
표시 장치, 노광, 난반사, 볼록형 절연막, 차광막

Description

표시 장치{DISPLAY DEVICE}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반투과형 액정 표시 장치의 구조를 도시하는 평면도.
도 2는 도 1에 도시한 제1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게이트선의 형성 영역을 도시한 평면도.
도 3은 도 1에 도시한 제1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보조 용량선의 형성 영역을 도시한 평면도.
도 4는 도 1에 도시한 제1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게이트선 및 보조 용량선의 형성 영역을 도시한 평면도.
도 5는 도 1에 도시한 제1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90-90선을 따른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제조 프로세스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제조 프로세스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제조 프로세스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제조 프로세스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제조 프로세스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제조 프로세스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도 1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제조 프로세스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도 13은 제1 실시예의 제1 변형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
도 14는 제1 실시예의 제2 변형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
도 1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반투과형 액정 표시 장치의 구조를 도시한 평면도.
도 16은 제2 실시예의 변형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구조를 도시한 평면도.
도 17은 종래의 볼록형의 절연막(평탄화막)을 갖는 반투과형 액정 표시 장치의 구조를 도시한 평면도.
도 18은 도 17에 도시한 종래의 표시 장치의 190-190선을 따른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유리 기판
1a : 버퍼층
2 : 능동층
2a : 소스 영역
2b : 드레인 영역
2c : 채널 영역
3 : 게이트 절연막
4 : 게이트 전극
4a : 게이트선
10 : 반사 전극
60a : 반사 영역
60b : 투과 영역
본 발명은, 표시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반사 영역과 투과 영역을 갖는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액정층에 입사된 빛을 한쪽 방향으로만 통과시키는 투과형과 액정층에 입사된 빛을 반사시키는 반사형과의 2가지 기능을 갖는 반투과형 액정 표시 장치가 알려져 있다. 이것은, 예를 들면, 일본 특개2002-98951호 공보에 개시되어 있다.
도 17은, 종래의 볼록형의 절연막(평탄화막)을 갖는 반투과형 액정 표시 장 치의 구조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18은, 도 17에 도시한 종래의 표시 장치의 190-190선을 따른 단면도이다.
종래의 반투과형 액정 표시 장치에서는, 도 1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버퍼층(101a)을 구비한 유리 기판(101) 상의 반사 영역(160a)에 대응하는 소정 영역에, 능동층(102)이 형성되어 있다. 이 능동층(102)에는, 채널 영역(102c)을 사이에 두고, 소스 영역(102a) 및 드레인 영역(102b)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채널 영역(102c) 상에는, 게이트 절연막(103)을 개재하여, 게이트 전극(104)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반사 영역(160a)에 대응하는 게이트 절연막(103) 상의 소정 영역에는, 보조 용량선(105)이 형성되어 있다. 능동층(102)의 보조 용량 영역(102d)과, 게이트 절연막(103)과, 보조 용량선(105)으로, 보조 용량이 구성되어 있다. 도 17에 도시한 바와 같이, 게이트 전극(104)은, 게이트선(104a)에 접속되어 있다.
도 1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박막 트랜지스터 및 보조 용량을 피복하도록, 컨택트홀(106a) 및 컨택트홀(106b)을 갖는 층간 절연막(106)이 형성되어 있다. 층간 절연막(106) 상에는, 컨택트홀(106a) 및 컨택트홀(106b)을 개재하여, 소스 영역(102a) 및 드레인 영역(102b)에 각각 전기적으로 접속하도록, 소스 전극(107) 및 드레인 전극(108)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드레인 전극(108)은, 도 1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드레인선(108a)에 접속되어 있다. 도 1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층간 절연막(106) 상에는, 개구부(109a) 및 개구부(109b)를 갖는 평탄화막(109)이, 단면 형상이 볼록형이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한, 개구부(109a)는, 도 17에 도시한 바와 같이, 투과 영역(160b)을 둘러싸도록 형성되고, 개구부(109b)는, 소스 전극(107)에 대응하는 영역에 형성되어 있다. 상기한 게이트선(104a)의 측 단부(104b) 및 보조 용량선(105)의 측 단부(105a)는, 개구부(109a)의 측 단부(109c)가 위치하는 영역으로부터 소정의 간격을 사이에 둔 평탄화막(109)의 하방의 영역에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도 1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반사 영역(160a)에 대응하는 영역에는, 개구부(109b)를 개재하여 소스 전극(107)에 전기적으로 접속함과 함께, 평탄화막(109)의 상면 및 개구부(109a)의 측면에 따라서 연장되도록, 반사 전극(110)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반사 전극(110)의 투과 영역(160b)에 대응하는 영역에는, 개구부(110a)가 형성되어 있다. 이 반사 전극(110) 및 개구부(110a)에 위치하는 층간 절연막(106) 상에, 투명 전극(111)이 형성되어 있다. 이 투명 전극(111)과 반사 전극(110)으로, 화소 전극이 구성되어 있다.
또한, 기판(101)과 대향하는 위치에는, 기판(대향 기판)(112)이 설치되어 있다. 기판(112) 상에는, 적색, 녹색 및 청색의 각 색을 나타내는 컬러 필터(113)가 형성되고, 그 사이를 매립하도록 블랙 매트릭스(114)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컬러 필터(113) 및 블랙 매트릭스(114) 상에는, 대향 전극(115)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투명 전극(111) 및 대향 전극(115) 상에는, 각각, 배향막(도시 생략)이 형성되고, 2개의 배향막의 사이에는, 액정층(116)이 충전되어 있다.
상기한 종래의 반투과형 액정 표시 장치에서, 포토리소그래피 기술을 이용하여 투과 영역(160b)에 대응하는 영역에 개구부(109a)를 형성하는 경우에, 평탄화막(109)을 노광할 때에, 기판(101)을 투과한 빛이 노광 장치의 기판 설치대(도시 생략)에 의해 난반사되는 경우가 있다. 이 경우, 노광 시에, 개구부(109a)의 측 단부(109c)의 형성 영역에 난반사된 빛이 조사되기 때문에, 그 난반사된 빛이 입사된 부분이, 현상할 때에 제거되게 된다. 이에 의해, 개구부(109a)의 측 단부(109c)에, 도 1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난반사된 빛에 기인하는 오목부(109d)가 형성되기 때문에, 평탄화막(109)의 측 단부(109c) 상에 형성되는 반사 전극(110)의 부분도 오목부를 갖는 형상으로 된다고 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그 결과, 반사 전극(110)의 오목부를 반영한 상이 화면에 표시되기 때문에, 표시 품위가 저하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노광 시에 난반사된 빛에 기인하는 표시 품위의 저하를 억제하는 것이 가능한 표시 장치를 제공하기 위해서 이루어진 것이다.
본 발명의 제1 국면에 따른 표시 장치는, 반사 영역과 투과 영역을 갖는 표시 장치로서, 기판 위의 반사 영역에 대응하는 영역에 형성된 볼록형의 절연막과, 볼록형의 절연막의 아래에 형성되어, 적어도 볼록형의 절연막의 측 단부가 위치하는 영역까지 연장되도록 형성된 차광막을 구비하고 있다.
본 발명의 제2 국면에 따른 표시 장치는, 기판과, 기판 위의 볼록형의 절연막과, 기판 위의 제1 전극과, 제1 전극 상의 제2 전극을 갖고, 제1 전극과 제2 전극과의 사이에 액정층이 협지된 표시 장치에 있어서, 제1 전극이 투명 물질로 이루어지고, 제1 전극과 제2 전극과의 거리가 제1 거리인 투과 영역과, 볼록형의 절연 막 위에 반사체를 포함하며, 볼록형의 절연막에 의해서 제1 전극과 제2 전극과의 거리가 제1 거리보다도 짧은 제2 거리인 반사 영역과, 기판과 볼록형의 절연막과의 사이에 배치되는 차광막을 구비하고, 차광막이 적어도 볼록형의 절연막의 투과 영역측의 단부까지 연장하고 있다.
이들 제1 및 제2 국면에 따른 표시 장치에서는, 상기한 바와 같이, 기판 위의 반사 영역에 대응하는 영역에 형성된 볼록형의 절연막의 측 단부가 위치하는 영역까지 연장되도록, 볼록형의 절연막의 아래에 차광막을 형성함으로써, 포토리소그래피 기술을 이용하여 기판 위의 반사 영역에 대응하는 영역에 볼록형의 절연막을 형성하는 경우에, 감광성의 절연막을 노광할 때에, 기판을 투과하여 기판 설치대에 의해 난반사된 빛이, 볼록형의 절연막의 측 단부의 형성 영역에 조사되는 것을 차광막에 의해 억제할 수 있다. 이에 의해, 현상할 때에, 볼록형의 절연막의 측 단부의 일부가 제거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으므로, 볼록형의 절연막의 측 단부에, 난반사된 빛에 기인하는 오목부가 형성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이 때문에, 볼록형의 절연막의 측 단부 상에 형성되는 반사막의 부분이, 난반사된 빛에 기인하는 오목부를 갖는 형상으로 되는 것이 억제되기 때문에, 그 반사막의 오목부를 반영한 상이 화면에 표시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그 결과, 노광 시의 난반사된 빛에 기인하는 표시 품위의 저하를 억제할 수 있다.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면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제1 실시예)
도 1∼도 5를 참조하여, 이 제1 실시예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는, 1 화소 내에, 반사 영역(60a)과 투과 영역(60b)과의 2개의 영역을 갖고 있다. 그리고, 반사 영역(60a)에는, 반사 전극(10)이 형성되어 있음과 함께, 투과 영역(60b)에는, 반사 전극(10)이 형성되어 있지 않다. 이에 의해, 반사 영역(60a)에서는, 도 5의 화살표 A 방향의 빛을 반사시키는 것에 의해 화상이 표시된다. 그 한편, 투과 영역(60b)에서는, 도 5의 화살표 B 방향의 빛을 투과시키는 것에 의해 화상이 표시된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SiNx막 및 SiO2막으로 이루어지는 버퍼층(1a)을 구비한 유리 기판(1) 상의 반사 영역(60a)에 대응하는 소정 영역에, 약 30 ㎚∼약 50 ㎚의 두께를 갖는 비단결정 실리콘 또는 비정질 실리콘으로 이루어지는 능동층(2)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유리 기판(1)은, 본 발명의 「기판」의 일례이다. 그리고, 능동층(2)에는, 채널 영역(2c)을 협지하도록, 소스 영역(2a) 및 드레인 영역(2b)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채널 영역(2c) 상에는, 약 80 ㎚∼약 150 ㎚의 두께를 가짐과 함께, SiNx막과 SiO2막과의 적층막으로 이루어지는 게이트 절연막(3)을 개재하여, 약 200 ㎚∼약 250 ㎚의 두께를 갖는 Mo층으로 이루어지는 게이트 전극(4)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소스 영역(2a)과, 드레인 영역(2b)과, 채널 영역(2c)과, 게이트 절연막(3)과, 게이트 전극(4)으로, 톱 게이트형의 박막 트랜지스터(TFT)가 구성되어 있다. 또한,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게이트 전극(4)은, 게이트 전극(4)과 동일층으로 이루어지는 게이트선(4a)에 접속되어 있 다.
또한,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반사 영역(60a)에 대응하는 게이트 절연막(3) 상의 소정 영역에는, 약 200 ㎚∼약 250 ㎚의 두께를 갖는 Mo층으로 이루어지는 보조 용량선(5)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능동층(2)의 보조 용량 영역(2d)과, 게이트 절연막(3)과, 보조 용량선(5)으로, 보조 용량이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TFT 및 보조 용량을 피복하도록, 약 500 ㎚∼약 700 ㎚의 두께를 가짐과 함께, SiO2막과 SiNx막과의 적층막으로 이루어지는 컨택트홀(6a) 및 컨택트홀(6b)을 갖는 층간 절연막(6)이 형성되어 있다. 층간 절연막(6) 상에는, 컨택트홀(6a) 및 컨택트홀(6b)을 개재하여, 소스 영역(2a) 및 드레인 영역(2b)에 각각 전기적으로 접속하도록, 소스 전극(7) 및 드레인 전극(8)이 형성되어 있다. 이 소스 전극(7) 및 드레인 전극(8)은, 각각, 하층으로부터 상층을 향하여, Mo층과 Al층과 Mo층으로 이루어짐과 함께, 약 400 ㎚∼약 800 ㎚의 두께를 갖는다. 또한, 드레인 전극(8)은,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드레인선(8a)에 접속되어 있다.
또한,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층간 절연막(6) 상에는, 측면이 소정의 각도 경사진 개구부(9a) 및 개구부(9b)를 가짐과 함께, 약 2㎛∼약 3㎛의 두께를 갖는 아크릴 수지로 이루어지는 평탄화막(9)이, 단면 형상이 볼록형이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평탄화막(9)의 개구부(9a)는, 투과 영 역(60b)을 둘러싸도록, 평면적으로 보아 사각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개구부(9b)는, 소스 전극(7)에 대응하는 영역에 형성되어 있다. 또한, 평탄화막(9)은, 본 발명의 「절연막」의 일례이다.
제1 실시예에서는, 본 발명의 「차광막」의 일례로서, 게이트선(4a) 및 보조 용량선(5)을 차광막으로서 기능시킨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게이트선(4a)의 측 단부(4b)를, 개구부(9a)의 측 단부(9c)의 내의 1 변이 위치하는 영역을 넘어서 투과 영역(60b) 측에까지 연장되도록 형성한다. 또한,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보조 용량선(5)의 측 단부(5a)를, 측 단부(9c)의 남은 3 변이 위치하는 영역을 넘어서 투과 영역(60b) 측에까지 연장되도록 형성한다. 이와 같이 형성된 게이트선(4a) 및 보조 용량선(5)은, 후술하는 제조 프로세스에 있어서, 아크릴 수지로 이루어지는 평탄화막(9)을 노광할 때에, 난반사된 광이 평탄화막(9)의 개구부(9a)의 측 단부(9c)의 형성 영역에 조사되는 것을 억제하기 위한 차광막으로서 기능한다. 또한, 이 제1 실시예에서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게이트선(4a)과 보조 용량선(5)을 전기적으로 분리하기 위해서, 보조 용량선(5)의 근방에 위치하는 게이트선(4a)의 측 단부(4b)의 일부는, 측 단부(9c)가 위치하는 영역을 넘지 않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한, 보조 용량선(5)은, 각 행의 화소로 공통되고 사용되어 있다.
또한,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평탄화막(9) 상의 반사 영역(60a)에 대응하는 영역에는, 개구부(9b)를 개재하여 소스 전극(7)에 전기적으로 접속함과 함께, 평탄화막(9)의 상면 및 개구부(9a)의 측면을 따라서 연장되도록, 개구부(10a)를 갖 는 반사 전극(10)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반사 전극(10)과 게이트선(4a)과의 사이의 일부 영역에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평면적으로 보아, 소정의 간격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반사 전극(10)은, 약 80 ㎚∼약 200 ㎚의 두께를 갖는 AlNd로 이루어진다. 또한, 반사 전극(10)은, 본 발명의 「반사막」의 일례이다.
또한, 반사 전극(10) 상 및 개구부(10a)에 위치하는 층간 절연막(6) 상에는, 약 100 ㎚∼약 150 ㎚의 두께를 갖는 IZO(Indium Zinc Oxide)로 이루어지는 투명 전극(11)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 투명 전극(11)과 반사 전극(10)으로, 화소 전극이 구성되어 있다. 또한, 투명 전극(11)은, 본 발명의 「제1 전극」의 일례이다.
또한, 유리 기판(1)과 대향하는 위치에는, 유리 기판(12)이 설치되어 있다. 유리 기판(12) 상에는, 적색, 녹색 및 청색의 각 색을 나타내는 컬러 필터(13)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유리 기판(12) 상의 화소 사이에 대응하는 영역에는, 화소 사이의 빛의 누설을 방지하기 위한 블랙 매트릭스(14)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컬러 필터(13) 및 블랙 매트릭스(14) 상에는, 약 100 ㎚∼약 150 ㎚의 두께를 갖는 IZO로 이루어지는 대향 전극(15)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대향 전극(15)은, 본 발명의 「제2 전극」의 일례이다.
또한, 투명 전극(11) 및 대향 전극(15) 상에는, 각각, 배향막(도시 생략)이 형성되고, 2개의 배향막의 사이에는, 액정층(16)이 충전되어 있다. 여기서, 평탄화막(9)의 투과 영역(60b)에 대응하는 영역에 개구부(9a)를 형성함으로써, 반사 영역(60a)과 투과 영역(60b)에 있어서 화소 전극과 대향 전극과의 사이의 거리를 서 로 다르게 하고 있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반사 영역(60a)에서의 액정층(16)의 두께가, 투과 영역(60b)에서의 액정층(16)의 두께의 1/2로 되도록 한다. 이에 의해, 반사 영역(60a)에서는 빛이 2회 액정층(16)을 통과하는 데 대하여, 투과 영역(60b)에서는 빛이 1회만 액정층(16)을 통과하기 때문에, 반사 영역(60a)의 액정층(16)의 두께를, 투과 영역(60b)의 액정층(16)의 두께의 1/2로 함으로써, 반사 영역(60a) 및 투과 영역(60b)에서의 광로 길이가 같게 된다. 이에 의해, 투과 표시인 경우와 반사 표시인 경우와의 사이의 표시 품위의 변동을 저감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제1 실시예에서는, 상기한 바와 같이, 측 단부(9c)가 위치하는 영역을 넘어서 투과 영역(60b) 측으로 연장되도록, 측 단부(4b) 및 측 단부(5a)를 형성함으로써, 개구부(9a)를 형성하기 위한 노광 공정 시에, 유리 기판(1)을 투과하여 기판 설치대에 의해 난반사된 광이, 측 단부(9c)의 형성 영역에 조사되는 것을, 게이트선(4a) 및 보조 용량선(5)에 의해 억제할 수 있다. 이에 의해, 현상할 때에, 측 단부(9c)의 일부가 제거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으므로, 노광 장치에 있어서 난반사된 빛에 기인하는 오목부가 형성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측 단부(9c) 근방의 반사 전극(10)의 부분에 노광 시의 난반사된 빛에 기인하는 오목부가 형성되는 것이 억제되기 때문에, 그 오목부를 반영한 상이 화면에 표시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는 결과, 표시 품위의 저하를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제1 실시예에서는, 게이트선(4a) 및 보조 용량선(5)이, 차광막으로서의 기능도 갖도록 형성할 수 있으므로, 차광막을 형성하는 공정을 새롭게 추가할 필요가 없는 결과, 제조 프로세스가 복잡화하지 않는다.
또한, 제1 실시예에서는, 평탄화막(9)의 상면 및 평탄화막(9)의 개구부(9a)의 측면에 따라서 연장되도록, 반사 전극(10)을 형성함으로써, 반사 영역(60a)을 용이하게 크게 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6∼도 12를 참조하여, 제1 실시예에 따른 반투과형 액정 표시 장치의 제조 프로세스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SiNx막 및 SiO2막으로 이루어지는 버퍼층(1a)을 구비한 유리 기판(1) 상의 소정 영역에, 약 30 ㎚∼약 50 ㎚의 두께를 갖는 비단결정 실리콘 또는 비정질 실리콘으로 이루어지는 능동층(2)을 형성한다. 다음으로, 능동층(2)을 피복하도록, 약 80 ㎚∼약 150 ㎚의 두께를 가짐과 함께, SiNx막과 SiO2막과의 적층막으로 이루어지는 게이트 절연막(3)을 형성한다. 이 후, 전면에, 약 200 ㎚∼약 250 ㎚의 두께를 갖는 Mo층(45)을 형성한다.
다음으로, 포토리소그래피 기술과 드라이 에칭 기술을 이용하여, Mo층(45)을 패터닝함으로써,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게이트 전극(4)을 포함함과 함께 차광막으로서도 기능하는 게이트선(4a)(도 1 참조)과, 차광막으로서도 기능하는 보조 용량선(5)을 형성한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게이트선(4a)의 측 단부(4b)(도 2 참조)가, 후술하는 평탄화막(9)의 개구부(9a)의 측 단부(9c)의 내의 1 변이 위치하는 영역을 넘어서 투과 영역(60b) 측으로 연장되도록 형성한다. 또한, 보조 용량선(5)a의 측 단부(5a)(도 3 참조)가, 측 단부(9c)의 남은 3 변이 위치하는 영역을 넘어서 투과 영역(60b) 측으로 연장되도록 형성한다. 또한,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게이트선(4a)과 보조 용량선(5)을 전기적으로 분리하기 위해서, 보조 용량선(5)의 근방에 위치하는 측 단부(4b)의 일부를, 측 단부(9c)가 위치하는 영역을 넘지 않도록 형성한다.
이 후, 게이트 전극(4)을 마스크로 하여 불순물 이온을 주입함으로써, 소스 영역(2a) 및 드레인 영역(2b)을 형성한다. 이 소스 영역(2a)과 드레인 영역(2b)과의 사이가, 채널 영역(2c)이 된다.
다음으로,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면을 피복하도록, 약 500 ㎚∼약700 ㎚의 두께를 가짐과 함께, SiO2막과 SiNx막과의 적층막으로 이루어지는 층간 절연막(6)을 형성한다. 이 후, 층간 절연막(6)의 소스 영역(2a) 및 드레인 영역(2b)에 대응하는 영역에, 각각, 컨택트홀(6a) 및 컨택트홀(6b)을 형성한다. 그리고, 컨택트홀(6a) 및 컨택트홀(6b)을 개재하여, 소스 영역(2a) 및 드레인 영역(2b)에 각각 전기적으로 접속하도록, 하층으로부터 상층을 향하여, Mo층과 Al층과 Mo층으로 이루어짐과 함께, 약 400 ㎚∼약 800 ㎚의 두께를 갖는 소스 전극(7) 및 드레인 전극(8)을 형성한다. 이 때, 드레인 전극(8)과 동일층으로 이루어지는 드레인선(8a)(도 1 참조)도 형성한다. 이 후, 전면을 피복하도록, 약 2㎛∼약 3㎛의 두께를 갖는 아크릴 수지로 이루어지는 평탄화막(9)을 형성한다.
다음으로,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유리 기판(1)을 노광 장치의 기판 설치 베이스(도시 생략)에 설치한다. 또한, 평탄화막(9)의 상측에, 투과 영역(60b)(도 1 참조)에 대응하는 영역 및 소스 전극(7)에 대응하는 영역에, 각각, 개구부(20a) 및 개구부(20b)를 갖는 포토마스크(20)를 설치한다. 그리고, 포토마스크(20)를 통하여 평탄화막(9)의 소정 부분을 노광한 후, 현상함으로써,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투과 영역(60b)에 대응하는 영역 및 소스 전극(7)에 대응하는 영역에, 각각, 개구부(9a) 및 개구부(9b)를 형성한다. 이 때, 노광 공정 시에 기판 설치대에 의해 난반사된 빛이, 게이트선(4a)(도 1 참조) 및 보조 용량선(5)에 의해 차단되기 때문에, 평탄화막(9)의 개구부(9a)의 측 단부(9c)의 형성 영역에 빛이 조사되는 것이 억제된다. 이에 의해, 측 단부(9c)에 오목부가 형성되는 것이 억제된다.
다음으로, 약 200 ℃에서, 약 30분간의 열처리를 행함으로써,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평탄화막(9)의 개구부(9a) 및 개구부(9b)의 측면에, 소정의 각도의 경사를 형성한다.
다음으로, 전면을 피복하도록, 약 80 ㎚∼약 200 ㎚의 두께를 갖는 AlNd막(도시 생략)을 형성한 후, AlNd막의 소정 영역을 제거한다. 이에 의해,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개구부(9b)를 개재하여 소스 전극(7)에 전기적으로 접속함과 함께, 평탄화막(9)의 상면 및 개구부(9a)의 측면에 따라서 연장되어, 투과 영역(60b)에 대응하는 영역에 개구부(10a)를 갖는 반사 전극(10)을 형성한다. 이와 같이 하여, 반사 전극(10)이 형성된 반사 영역(60a)과, 반사 전극(10)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투과 영역(60b)이 형성된다. 이 후, 반사 전극(10) 상 및 개구부(10a)에 대응하는 층간 절연막(6) 상에, 약 100 ㎚∼약 150 ㎚의 두께를 갖는 IZO로 이루어지는 투명 전극(11) 및 배향막(도시 생략)을 순차 형성한다.
마지막으로, 유리 기판(1)과 대향하도록 설치된 유리 기판(대향 기판)(12) 상에, 컬러 필터(13)를 형성함과 함께, 유리 기판(12) 상의 화소 사이에 대응하는 영역에, 블랙 매트릭스(14)를 형성한다. 다음으로, 컬러 필터(13) 및 블랙 매트릭스(14) 상에, 약 100 ㎚∼약 150 ㎚의 두께를 갖는 IZO로 이루어지는 대향 전극(15), 및, 배향막(도시 생략)을 순차 형성한다. 마지막으로, 유리 기판(1)측의 배향막과 유리 기판(12) 측의 배향막과의 사이에, 액정층(16)을 충전함으로써, 도 5에 도시한 액정 표시 장치가 형성된다.
도 13을 참조하여, 이 제1 실시예의 제1 변형예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에서는, 상기한 제1 실시예의 구성에 있어서, 평탄화막(9)의 상면에, 미세한 요철 형상의 확산 영역(9d)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확산 영역(9d)에 대응하는 영역에 위치하는 반사 전극(30) 및 투명 전극(31)도, 확산 영역(9d)의 미세한 요철 형상을 반영한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에 의해, 반사 영역(60a)에 입사된 빛이 확산되기 때문에, 반사 표시의 경우의 표시 품위를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4를 참조하여, 이 제1 실시예의 제2 변형예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에서는, 상기한 제1 실시예의 구성에 있어서, 개구부(9a)의 경사진 측면 상에 반사 전극(40)이 형성되지 않고, 평탄화막(9)의 상면 위의 소정 영역에만 반사 전극(40)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반사 전극(40) 상, 평탄화막(9)의 측면 상 및 투과 영역(60b)에 위치하는 층간 절연막(6) 상에, 투명 전극(41)이 형성되어 있다. 개구부(9a)의 경사진 측면 근방의 액정 분자는, 그 배열이 흐트러지기 쉽기 때문에, 평탄화막(9)의 상면 위에만 반사 전극(40)을 형성함으로써, 반사 영역(60a)에 입사 된 빛이 개구부(9a)의 경사진 측면에서 반사되는 것이 방지된다. 이에 의해, 경사진 측면에 위치하는 액정층(16)에, 반사된 빛이 통과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는 결과, 콘트라스트의 저하를 억제할 수 있다.
(제2 실시예)
도 15를 참조하여, 이 제2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1 실시예와 달리, 유리 기판(도시 생략) 위, 또는, 유리 기판과 버퍼층(도시 생략)과의 사이에도 블랙 매트릭스막(50)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블랙 매트릭스막(50)의 투과 영역(60b)에 대응하는 영역에는, 투과 영역(60b)을 둘러싸도록, 평면적으로 보아 사각 형상의 개구부(50a)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이 개구부(50a)의 측 단부(50b)는, 평탄화막(9)의 개구부(9a)의 측 단부(9c)가 위치하는 영역을 넘어서 투과 영역(60b) 측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즉, 이 블랙 매트릭스막(50)은, 통상의 각 화소 사이의 차광 기능 외에, 평탄화막(9)의 노광 공정 시에, 난반사된 빛이 측 단부(9c)의 형성 영역에 조사되는 것을 억제하기 위한 차광막으로서도 기능한다.
또한, 상기 제1 실시예와 달리, 게이트 전극(54)의 게이트선(54a) 및 보조 용량선(55)을 차광막으로서 기능시킬 필요가 없기 때문에, 게이트선(54a)의 측 단부(54b) 및 보조 용량선(55)의 측 단부(55a)는, 측 단부(9c)가 위치하는 영역을 넘어서 투과 영역(60b) 측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되어 있지 않다. 또한, 반사 전극(10)과 게이트선(54a)과의 사이에는, 평면적으로 보아, 소정의 간격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블랙 매트릭스막(50)이 금속 등의 도전체로 이루어지는 경우에는, 블랙 매트릭스막(50)과 능동층(2)과의 사이에 절연막(도시 생략)을 설치한다. 또한, 그 밖의 구성은, 상기 제1 실시예와 마찬가지이다.
제2 실시예에서는, 상기한 바와 같이, 차광막으로서 기능하는 막을, 블랙 매트릭스막(50)만으로 구성함으로써, 평탄화막(9)의 개구부(9a)의 측 단부(9c)가 위치하는 모든 영역을 넘어서 투과 영역(60b) 측으로 연장되도록, 차광막(블랙 매트릭스막(50))을 형성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상기 제1 실시예와 달리, 측 단부(9c)가 위치하는 영역의 하방에는, 반드시 차광막(블랙 매트릭스막(50))이 존재하게 된다. 따라서, 개구부(9a)를 형성하기 위한 노광 공정 시에, 난반사된 빛이 측 단부(9c)의 형성 영역에 조사되는 것을 보다 억제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측 단부(9c)의 일부가 제거되는 것을 보다 억제할 수 있으므로, 측 단부(9c)에, 난반사된 빛에 기인하는 오목부가 형성되는 것을 보다 억제할 수 있다. 이 때문에, 반사 전극(10)의 오목부를 반영한 상이 화면에 표시되는 것을 보다 억제할 수 있는 결과, 표시 품위의 저하를 보다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제2 실시예에서는, 통상의 각 화소 사이를 차광하기 위한 블랙 매트릭스막(50)이, 평탄화막(9)의 노광 시의 빛의 난반사를 억제하기 위한 차광막으로서도 기능하기 때문에, 이 차광막을 형성하는 공정을 새롭게 추가할 필요가 없다. 따라서, 제조 프로세스가 복잡화하지 않는다.
또한, 금회 개시된 실시예는, 모든 점에서 예시이고 제한적인 것이 아니라고 생각되야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한 실시예의 설명이 아니라 특허 청구의 범위에 의해서 기술되고, 또한 특허 청구의 범위와 균등의 의미 및 범위 내에서의 모 든 변경이 포함된다.
본 발명은, 박막 트랜지스터(TFT)를 이용한 액티브 매트릭스형의 액정 표시 장치 이외의 액정 표시 장치에도 적용 가능하다. 예를 들면, 패시브 매트릭스형의 액정 표시 장치나 세그먼트형의 액정 표시 장치 등이 있다. 또한, 액정 표시 장치 이외의 표시 장치에도 적용 가능하다.
또한, 차광막이, 적어도 평탄화막의 개구부의 측 단부까지 연장되어 있으면 된다. 또한, 반사 전극과 게이트선과의 사이에 간격이 형성하지 않도록, 반사 전극을 게이트선에까지 연장되도록 형성해도 된다. 또한, 도 1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반사 전극(10)과 게이트선(54a) 과의 사이에 간격이 형성하지 않도록, 블랙 매트릭스(70)를 게이트선(54a)에까지 연장되도록 형성해도 된다. 이에 의해, 백 라이트로부터의 빛이, 반사 전극(10)과 게이트선(54a) 과의 사이에서 누설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게이트선 및 보조 용량선 중 어느 한쪽만으로, 차광막을 구성하도록 해도 된다.
또한, 유리 기판 대신에 석영 및 플라스틱 등으로 이루어지는 투명 기판을 이용하도록 해도 된다. 또한, 기판에 버퍼층을 설치하지 않아도 된다.
또한, IZO 대신에 ITO(Indium Tin Oxide) 등의 투명 도전체(소위 반투명체도 포함함으로 이루어지는 투명 전극을 이용하도록 해도 된다.
또한, 평탄화막에, 개구부(9a)에 대응하는 오목부를 형성하도록 하여도 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노광 시에 난반사된 빛에 기인하는 표시 품위의 저하를 억제하는 것이 가능한 표시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Claims (23)

  1. 반사 영역과 투과 영역을 갖는 표시 장치에 있어서,
    기판 위의 상기 반사 영역에 대응하는 영역에 형성된 볼록형의 절연막과,
    상기 볼록형의 절연막의 아래에 형성되어, 적어도 상기 볼록형의 절연막의 측 단부가 위치하는 영역까지 연장되도록 형성된 차광막을 구비하고,
    상기 차광막의 일부는 상기 볼록형의 절연막의 단부보다 투과 영역측이면서 상기 볼록형의 절연막이 형성되지 않은 영역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볼록형의 절연막은, 평면적으로 보아, 상기 투과 영역을 둘러싸도록 형성되어 있고,
    상기 차광막은, 상기 볼록형의 절연막의 측 단부가 위치하는 영역을 넘어서 상기 투과 영역 측에까지 연장되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볼록형의 절연막과 상기 기판과의 사이에 형성되어, 한 쌍의 소스/드레인 영역 및 게이트 전극을 갖는 박막 트랜지스터를 더 구비하며,
    상기 차광막은 상기 게이트 전극을 구성하는 층과 동일한 층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보조 용량선을 갖는 보조 용량을 더 구비하며,
    상기 차광막은 상기 보조 용량의 보조 용량선을 구성하는 층과 동일한 층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볼록형의 절연막과 상기 기판과의 사이에 형성된 블랙 매트릭스막을 더 구비하며,
    상기 차광막은 상기 블랙 매트릭스막을 구성하는 층과 동일한 층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볼록형의 절연막과 상기 기판과의 사이에 형성되어, 한 쌍의 소스/드레인 영역 및 게이트선이 접속되는 게이트 전극을 갖는 박막 트랜지스터를 더 구비하며,
    상기 블랙 매트릭스막을 구성하는 층과 동일한 층으로 형성된 차광막은, 상기 게이트선에까지 연장되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볼록형의 절연막의 상면은 미세한 요철 형상의 확산 영역을 갖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볼록형의 절연막의 측 단부는 경사진 측면을 갖고 있고,
    상기 볼록형의 절연막의 측면 상에는 형성되지 않고서, 상기 볼록형의 절연막의 상면 위에 형성된 반사막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볼록형의 절연막의 측 단부는 경사진 측면을 갖고 있고,
    상기 절연막의 상면 위 및 측면 상에 형성된 반사막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볼록형의 절연막과 상기 기판과의 사이에 형성되어, 한 쌍의 소스/드레인 영역 및 게이트 전극을 갖는 박막 트랜지스터와, 보조 용량선을 갖는 보조 용량을 더 구비하며,
    상기 차광막은, 상기 게이트 전극을 구성하는 층과 상기 보조 용량선을 구성하는 층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게이트 전극을 구성하는 층과 상기 보조 용량선을 구성하는 층과는, 동일 층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12. 기판과, 상기 기판 위의 볼록형의 절연막과, 상기 기판 위의 제1 전극과, 상기 제1 전극 상의 제2 전극을 갖고 상기 제1 전극과 상기 제2 전극과의 사이에 액정층이 끼워진 표시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 전극이 투명 물질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 전극과 상기 제2 전극과의 거리가 제1 거리인 투과 영역과,
    상기 볼록형의 절연막 위에 반사체를 포함하며, 상기 볼록형의 절연막에 의해서 상기 제1 전극과 상기 제2 전극과의 거리가 상기 제1 거리보다도 짧은 제2 거리인 반사 영역과,
    상기 기판과 상기 볼록형의 절연막과의 사이에 배치되는 차광막을 구비하고,
    상기 차광막의 일부는 상기 볼록형의 절연막의 단부보다 상기 투과 영역측이면서 상기 볼록형의 절연막이 형성되지 않은 영역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볼록형의 절연막은, 평면적으로 보아, 상기 투과 영역을 둘러싸도록 형성되어 있고,
    상기 차광막은, 상기 볼록형의 절연막의 측 단부가 위치하는 영역을 넘어서 상기 투과 영역 측에까지 연장되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볼록형의 절연막과 상기 기판과의 사이에 형성되어, 한 쌍의 소스/드레인 영역 및 게이트 전극을 갖는 박막 트랜지스터를 더 구비하며,
    상기 차광막은, 상기 게이트 전극을 구성하는 층과 동일한 층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15. 제12항에 있어서,
    보조 용량선을 갖는 보조 용량을 더 구비하며,
    상기 차광막은 상기 보조 용량의 보조 용량선을 구성하는 층과 동일한 층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16.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볼록형의 절연막과 상기 기판과의 사이에 형성된 블랙 매트릭스막을 더 구비하며,
    상기 차광막은 상기 블랙 매트릭스막을 구성하는 층과 동일한 층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볼록형의 절연막과 상기 기판과의 사이에 형성되어, 한 쌍의 소스/드레인 영역 및 게이트선이 접속되는 게이트 전극을 갖는 박막 트랜지스터를 더 구비하며,
    상기 블랙 매트릭스막을 구성하는 층과 동일한 층으로 형성된 차광막은, 상기 게이트선에까지 연장되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18.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볼록형의 절연막의 상면은 미세한 요철 형상의 확산 영역을 갖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19.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볼록형의 절연막의 측 단부는 경사진 측면을 갖고 있고,
    상기 볼록형의 절연막의 측면 상에는 형성되지 않고서, 상기 볼록형의 절연막의 상면 위에 형성된 반사막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20.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볼록형의 절연막의 측 단부는 경사진 측면을 갖고 있고,
    상기 절연막의 상면 위 및 측면 상에 형성된 반사막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21.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볼록형의 절연막과 상기 기판과의 사이에 형성되어, 한 쌍의 소스/드레인 영역 및 게이트 전극을 갖는 박막 트랜지스터와, 보조 용량선을 갖는 보조 용량을 더 구비하며,
    상기 차광막은, 상기 게이트 전극을 구성하는 층과 상기 보조 용량선을 구성하는 층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게이트 전극을 구성하는 층과 상기 보조 용량선을 구성하는 층과는, 동일한 층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2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 영역의 상기 제2 거리는, 상기 투과 영역의 상기 제1 거리의 실질적으로 1/2의 거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KR1020040020813A 2003-03-28 2004-03-26 표시 장치 Expired - Lifetime KR10064431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3090158A JP4334258B2 (ja) 2003-03-28 2003-03-28 表示装置
JPJP-P-2003-00090158 2003-03-2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86574A KR20040086574A (ko) 2004-10-11
KR100644312B1 true KR100644312B1 (ko) 2006-11-10

Family

ID=328215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20813A Expired - Lifetime KR100644312B1 (ko) 2003-03-28 2004-03-26 표시 장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7196756B2 (ko)
EP (1) EP1462843B1 (ko)
JP (1) JP4334258B2 (ko)
KR (1) KR100644312B1 (ko)
CN (1) CN1534352A (ko)
DE (1) DE602004002974T2 (ko)
TW (1) TWI324272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258410A (ja) * 2004-03-08 2005-09-22 Samsung Electronics Co Ltd 液晶表示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KR101125248B1 (ko) * 2004-12-23 2012-03-21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반투과형 컬러필터 기판 및 그 제조방법
JP2007072016A (ja) * 2005-09-05 2007-03-22 Toshiba Matsushita Display Technology Co Ltd 液晶表示装置
KR101358220B1 (ko) * 2007-02-20 2014-02-06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의 제조방법
DE102011113483B4 (de) 2011-09-13 2023-10-19 OSRAM Opto Semiconductors Gesellschaft mit beschränkter Haftung Verfahren zum Herstellen einer Mehrzahl von optoelektronischen Bauelementen und optoelektronisches Bauelement
JP6242121B2 (ja) * 2013-09-02 2017-12-06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 発光素子表示装置及び発光素子表示装置の製造方法
KR102370035B1 (ko) * 2015-02-05 2022-03-07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투명 표시 기판, 투명 표시 장치 및 투명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TWI873904B (zh) * 2023-10-11 2025-02-21 瀚宇彩晶股份有限公司 顯示面板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195140B1 (en) * 1997-07-28 2001-02-27 Sharp Kabushiki Kaisha Liquid crystal display in which at least one pixel includes both a transmissive region and a reflective region
US6330047B1 (en) * 1997-07-28 2001-12-11 Sharp Kabushiki Kaisha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fabricating the same
JP3085530B2 (ja) * 1998-11-18 2000-09-11 日本電気株式会社 液晶表示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KR200214993Y1 (ko) 1998-11-19 2001-03-02 조필휘 튀김장치
JP4815659B2 (ja) 2000-06-09 2011-11-16 ソニー株式会社 液晶表示装置
KR100641628B1 (ko) * 2000-08-21 2006-11-02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블랙레진을 이용한 반사형 및 반투과형 액정표시장치
JP4543530B2 (ja) * 2000-09-22 2010-09-15 ソニー株式会社 半透過型液晶表示装置の製造方法
JP3496644B2 (ja) * 2001-01-12 2004-02-16 シーシーエス株式会社 検査用照明装置
JP2003057640A (ja) 2001-06-05 2003-02-26 Seiko Epson Corp 電気光学装置、電子機器、および電気光学装置の製造方法
JP3873827B2 (ja) * 2001-07-26 2007-01-31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液晶装置及び電子機器
KR200292824Y1 (ko) 2002-05-17 2002-10-25 최희교 차량용 시트커버의 직물
JP2004252047A (ja) * 2003-02-19 2004-09-09 Sharp Corp 半透過型表示装置
KR100945442B1 (ko) * 2003-02-28 2010-03-05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씨오티 구조 반투과형 액정표시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7196756B2 (en) 2007-03-27
CN1534352A (zh) 2004-10-06
TW200419235A (en) 2004-10-01
DE602004002974D1 (de) 2006-12-14
TWI324272B (en) 2010-05-01
EP1462843B1 (en) 2006-11-02
JP2004294980A (ja) 2004-10-21
US20040189905A1 (en) 2004-09-30
DE602004002974T2 (de) 2007-06-21
JP4334258B2 (ja) 2009-09-30
EP1462843A1 (en) 2004-09-29
KR20040086574A (ko) 2004-10-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639331B2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US6750932B2 (en) Transflective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and method of using the same
US7391487B2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comprising a black matrix having a first sloped side less steep than a second sloped side
US7119871B2 (en) Liquid crystal display having insulating film overlapping and extending in direction of drain signal line
KR100838093B1 (ko) 액정 표시 장치
US20100182527A1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US5760861A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nd a method for fabricating black matrix thereto
KR100644312B1 (ko) 표시 장치
KR100576673B1 (ko) 표시 장치
JP4034470B2 (ja) 液晶表示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4543530B2 (ja) 半透過型液晶表示装置の製造方法
KR20100059448A (ko) 박막 트랜지스터 표시판 및 그 제조 방법
JP4145544B2 (ja) 半透過型液晶表示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0854948B1 (ko) 블랙매트릭스의 구조를 개선한 투과형 액정표시장치와 그제조방법
KR101131608B1 (ko) 반투과형 액정표시장치용 어레이 기판 및 그 제조방법
KR100995581B1 (ko) 컬러필터기판, 이를 갖는 액정표시장치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685534B1 (ko) 표시 장치
KR100247269B1 (ko) 액정 표시 장치
KR100909415B1 (ko) 반투과형 액정표시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CN118033951A (zh) 阵列基板、液晶显示面板及制备方法
JP3818085B2 (ja) 液晶表示装置、その製造方法および電子機器
JP2004361598A (ja) 表示装置
JPH07306400A (ja) 液晶表示装置及び液晶表示装置の製造方法
JP2004258350A (ja) アクティブマトリクス基板及びその製造方法、液晶装置、電子機器
JP2006030830A (ja) 半導体装置用基板、半導体装置用基板の製造方法及び製造装置、並びに電気光学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40326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5120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060519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051201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PJ0201 Trial against decision of rejection

Patent event date: 20060821

Comment text: Request for Trial against Decision on Refusal

Patent event code: PJ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060519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J02011S01I

Appeal kind category: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Decision date: 20061019

Appeal identifier: 2006101007327

Request date: 20060821

AMND Amendment
PB0901 Examination by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date: 20060920

Patent event code: PB09011R02I

Comment text: Request for Trial against Decision on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60821

Patent event code: PB09011R01I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date: 20060201

Patent event code: PB09011R02I

B701 Decision to grant
PB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Patent event date: 20061019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B07012S01D

Patent event date: 20061004

Comment text: Transfer of Trial File fo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Patent event code: PB07011S01I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61102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61103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91022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1027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1019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19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1019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18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1018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16

Year of fee payment: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1016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20

Year of fee payment: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1020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18

Year of fee payment: 12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1018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22

Year of fee payment: 13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1022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928

Start annual number: 15

End annual number: 1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917

Start annual number: 16

End annual number: 1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919

Start annual number: 17

End annual number: 1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919

Start annual number: 18

End annual number: 18

PC1801 Expiration of term

Termination date: 20240926

Termination category: Expiration of du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