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642707B1 - 광디스크 장치 - Google Patents

광디스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42707B1
KR100642707B1 KR1020050086637A KR20050086637A KR100642707B1 KR 100642707 B1 KR100642707 B1 KR 100642707B1 KR 1020050086637 A KR1020050086637 A KR 1020050086637A KR 20050086637 A KR20050086637 A KR 20050086637A KR 100642707 B1 KR100642707 B1 KR 1006427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tical disc
cover member
optical
disk
unit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866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101383A (ko
Inventor
히데유끼 오누마
세이지 하마이에
소오지로오 기리하라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히타치 엘지 데이터 스토리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히타치 엘지 데이터 스토리지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히타치 엘지 데이터 스토리지
Publication of KR200601013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0138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427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42707B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7/00Guiding record carriers not specifically of filamentary or web form, or of supports therefor
    • G11B17/02Details
    • G11B17/04Feeding or guiding single record carrier to or from transducer unit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7/00Guiding record carriers not specifically of filamentary or web form, or of supports therefor
    • G11B17/02Details
    • G11B17/04Feeding or guiding single record carrier to or from transducer unit
    • G11B17/05Feeding or guiding single record carrier to or from transducer unit specially adapted for discs not contained within cartridges
    • G11B17/053Indirect insertion, i.e. with external loading means
    • G11B17/054Indirect insertion, i.e. with external loading means with pivoting loading mea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7/00Guiding record carriers not specifically of filamentary or web form, or of supports therefor
    • G11B17/02Details
    • G11B17/04Feeding or guiding single record carrier to or from transducer unit
    • G11B17/05Feeding or guiding single record carrier to or from transducer unit specially adapted for discs not contained within cartridges
    • G11B17/051Direct insertion, i.e. without external loading mea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7/00Guiding record carriers not specifically of filamentary or web form, or of supports therefor
    • G11B17/02Details
    • G11B17/04Feeding or guiding single record carrier to or from transducer unit
    • G11B17/05Feeding or guiding single record carrier to or from transducer unit specially adapted for discs not contained within cartridges
    • G11B17/053Indirect insertion, i.e. with external loading means
    • G11B17/054Indirect insertion, i.e. with external loading means with pivoting loading means
    • G11B17/0545Indirect insertion, i.e. with external loading means with pivoting loading means adapted for discs of different sizes

Landscapes

  • Holding Or Fastening Of Disk On Rotational Shaft (AREA)
  • Feeding And Guiding Record Carriers (AREA)

Abstract

광디스크 장치에 있어서, 유닛 메카부를 덮는 커버 부재를 지지점 주위로 변위 가능한 구성으로 하고, 또한 광디스크가 장치 내로 삽입될 때에 상기 광디스크의 평면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경사져 있는 상기 커버 부재의 평면에, 상기 삽입되는 광디스크의 선단부를 접촉시키고 상기 커버 부재의 평면으로부터의 반력에 의해 상기 광디스크의 기록면의 높이 위치를 규제하여 소정의 높이를 확보하는 구성으로 한다.

Description

광디스크 장치{OPTICAL DISK APPARATUS}
본 발명은 광디스크에 대해 정보를 기록 또는 재생하는 광디스크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그 박형화 기술에 관한 것이다.
도9는 광디스크 장치의 종래 기술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9에 있어서, 광디스크(도시하지 않음)가 장치 내에 삽입될 때, 상기 광디스크는 전방면 패널(7')의 디스크 삽입·배출구로부터 삽입되고, 디스크 외주부를 지지점(131a) 주위로 회전시키는 레버(131) 상의 가이드(142)나 지지점(135a) 주위로 회전하는 레버(135) 상의 가이드(141)나, 지지점(133a) 주위로 회전하는 레버(133) 상의 가이드(144) 등에 의해 지지되어 센터링되면서 장치 내의 안쪽으로 진행한다. 광디스크가 장치 내의 소정 위치에 도달하면, 상기 위치에서 광디스크는 대물 렌즈(4a')를 포함하는 광픽업(4')이나 디스크 모터(2') 등이 탑재된 트래버스부(유닛 메카부)의 회전 변위에 의해 디스크 평면 지지부(2a') 상에 적재되어 소정의 척킹 상태가 된다. 가이드 샤프트(150)는 레버(131)가 회전할 때, 상기 레버(131)의 하면에 접촉하여 상기 레버(131)를 지지하고, 광디스크가 삽입 또는 배출될 때의 상기 광디스크의 기록면의 높이 위치를 규제하여 상기 기록면이 클램퍼부(3') 등에 접촉하여 손상되지 않도록 한다. 커버 부재(6')는 트래버스부 상에 고정 상태로 1개 설치되어, 광픽업(4')을 이동시키기 위한 기구 부분 등을 덮는다.
또한, 본 발명에 관련된 종래 기술이며 문헌에 기재된 것으로서는, 예를 들어 일본 특허 공개 제2002-352498호 공보 및 일본 특허 공개 제2004-39193호 공보에 기재된 것이 있다. 일본 특허 공개 제2002-352498호 공보에는, 박형화와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는 디스크 장치로서 스핀들 모터와, 픽업과, 상기 픽업을 이동시키는 구동 수단을 트래버스에 의해 보유 지지하고, 스핀들 모터를 베이스 본체부의 중앙부에 배치하고, 또한 상기 트래버스를 지지점 주위의 회전 가능한 구성으로서 디스크 삽입구측에 배치하는 것으로 한 구성이 기재되고, 디스크를 장치 내에 삽입할 때의 상기 디스크의 지지는 베이스 본체부측에 고정된 디스크 가이드(17, 81)나 규제 레버(110) 상에 설치된 가이드(112)나 배출 레버(100) 상에 설치된 가이드(101)로 행하게 된다. 또한, 일본 특허 공개 제2004-39193호 공보에는 소형화 및 박형화를 실현하기 위한 디스크 드라이브 장치의 디스크 릴리스 기구로서, 릴리스시에 디스크를 계지하여 보유 지지하는 디스크 커버를, 디스크에 대해 디스크 스핀들과 같은 측에 설치하는 것으로 한 구성이 기재되고, 디스크를 장치 내에 삽입할 때의 상기 디스크의 지지는 디스크 슬라이더(19) 상에 설치된 핀(A)이나, 디스크 아암(20) 상에 설치된 핀(B)이나, 센서 링크(24) 상에 설치된 핀(C) 등에 의해 행하게 된다.
상기 종래 기술 중, 도9에 도시한 구성에 있어서는 광디스크의 높이 위치를 확보하기 위한 가이드 샤프트(150)가 필요하므로, 장치의 두께 치수가 증대되기 쉬워 박형화를 도모하기 어렵다. 또한, 일본 특허 공개 제2002-352498호 공보 기재의 기술은, 장치 내에 삽입될 때의 디스크 지지를 규제 레버(110) 상의 가이드(112)나 배출 레버(100) 상의 가이드(101) 등으로 행하는 구성을 위해, 상기 규제 레버(110)나 상기 배출 레버(100)가 높이 방향으로 변위된 상태로 회전한 경우에는 광디스크의 소정의 높이 위치를 확보하는 것이 곤란해진다. 또한, 일본 특허 공개 제2004-39193호 공보 기재의 기술도 장치 내에 삽입될 때의 디스크의 지지를 디스크 슬라이더(19) 상의 핀(A)이나, 디스크 아암(20) 상의 핀(B)이나, 센서 링크(24) 상의 핀(C) 등에 의해 행하는 구성이므로, 상기 디스크 슬라이더(19)나 상기 디스크 아암(20)이나 상기 센서 링크(24) 등이 높이 방향으로 변위된 상태로 회전한 경우에는 디스크의 소정의 높이 위치의 확보가 어렵다.
[문헌 1] 일본 특허 공개 제2002-352498호 공보
[문헌 2] 일본 특허 공개 제2004-39193호 공보
본 발명의 과제점은, 상기 종래 기술의 상황에 비추어 예를 들어 슬롯 인 타입, 즉 기록 매체로서의 디스크 단일 부재를 트레이나 케이스 등을 이용하지 않고 직접 장치 내에 삽입하는 타입, 특히 슬림 슬롯 타입 등의 광디스크 장치에 있어서, 광디스크의 장치로의 삽입시나 배출시에도 디스크면의 높이 위치를 확보하여, 디스크면을 손상시키지 않는 안전한 구조하에서 장치의 소형화, 특히 박형화를 한층 도모하여, 예를 들어 장치 두께가 9.5 × 10-3 m 이하인 광디스크 장치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이러한 과제점을 해결한 광디스크 장치이다.
즉 본 발명의 광디스크 장치에 있어서는, 기본적으로 (1) 유닛 메카부를 덮는 커버 부재를 지지점 주위로 변위 가능한 구성으로 하고, 또한 광디스크가 장치 내에 삽입될 때 상기 광디스크의 평면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경사져 있는 상기 커버 부재의 평면에 상기 삽입되는 광디스크의 선단부를 접촉시키고, 상기 커버 부재를 변위시키면서 상기 커버 부재의 평면으로부터의 반력에 의해 상기 광디스크의 기록면의 높이 위치를 규제하여 소정의 높이 위치를 확보하는 구성으로 한다.
(2) 유닛 메카부를 덮는 커버 부재를 지지점 주위로 변위 가능한 구성으로 하고, 또한 척킹에 앞서 광디스크가 장치 내의 적어도 소정의 삽입 도중 위치에 있을 때 상기 커버 부재에 힘을 작용시키고, 상기 커버 부재를 상기 지지점 주위로 변위시키는 승강 기구를 구비한 구성으로 하고, 상기 광디스크가 장치 내에 삽입될 때 상기 광디스크의 평면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경사진 상기 커버 부재의 평면에 상기 광디스크의 선단부를 접촉시키고, 상기 커버 부재의 평면으로부터의 반력에 의해 상기 광디스크의 기록면의 높이 위치를 규제하는 동시에, 상기 광디스크가 소정의 삽입 위치에 있을 때 상기 승강 기구에 의해 상기 커버 부재를, 그 평면이 상기 광디스크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변위시키는 구성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슬롯 인 타입 등의 광디스크 장치에 있어서 장치의 소형화, 특히 박형화가 한층 가능해진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도면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1 내지 도8은 본 발명의 일실시 형태의 설명도이다. 도1은, 본 발명의 일실시 형태로서의 슬롯 인 타입의 광디스크 장치의 구성예 도면이며, 상부 커버 부재를 떼어낸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2는 도1의 광디스크 장치의 내부 구성의 평면도, 도3은 도1의 광디스크 장치에 있어서의 유닛 메카부의 구성을 도시한 평면도, 도4는 도1의 광디스크 장치에 있어서의 장치 내로의 디스크 삽입시의 설명도, 도5는 도4의 디스크 삽입 동작에 있어서의 각부의 높이 위치의 관계를 나타낸 도면, 도6은 도1의 광디스크 장치에 있어서 유닛 메카부를 덮는 커버 부재를 승강 변위시키는 승강 기구의 확대도, 도7은 도6의 승강 기구의 동작 설명도, 도8은 도1의 광디스크 장치에 있어서의 디스크 척킹시의 설명도이다.
도1에 있어서, 부호 1은 광디스크 장치, 2는 광디스크(도시하지 않음)를 회전시키는 디스크 모터, 3은 디스크 모터(2)의 회전부 상에 배치되어 볼록 형상의 구성을 갖고 척킹시 상기 볼록 형상 부분이 광디스크의 중심 구멍 내에 삽입되어 상기 광디스크를 그 반경 방향으로 지지하여 척킹하는 클램퍼부, 2a는 상기 디스크 모터(2)의 회전부 상에 있고 상기 클램퍼부(3)와 동심 형상으로 배치되고, 상기 클램퍼부(3)가 광디스크의 중심 구멍 내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광디스크의 기록면측의 평면부이며 중심 구멍 주위의 평면부를 지지하는 디스크 평면 지지부, 4는 레이저를 광디스크의 기록면에 조사하여 정보의 기록이나 재생을 행하는 광픽업, 4a는 대물 렌즈, 5, 6은 장치 내부의 유닛 메카부에 있어서 디스크 모터(2), 클램퍼부(3), 디스크 평면 지지부(2a) 등의 주위의 영역을 덮어, 상기 영역에 있어서 광디스크의 기록면측의 평면부와 장치 부품·기구 사이를 공간적으로 차단하는 커버 부재, 6a, 6b는 커버 부재(6)의 회전 지지점, Q는 2개의 지지점(6a, 6b)을 지나는 직선(이하, 지지점선이라 함), 7은 광디스크 장치(1)의 전방면 패널, 8은 상기 클램퍼부(3)의 상방에 배치되고 광디스크 장치(1)의 표면측에 있어 장치를 덮는 상부 커버 부재, 8a는 상부 커버 부재(8)의 외측의 평면부(외측 평면부), 8b는 상부 커버 부재(8) 상에 있어서 상기 클램퍼부(3)와의 대향 위치에 마련된 관통 구멍, 8c는 관통 구멍(8b)의 주위에 마련된 오목부, 10은 광디스크 장치(1)의 이면측에 있어 장치를 덮는 하부 커버 부재, 11은 장치 기반을 구성하여 하부 커버 부재(10)와 결합되는 제1 베이스로서의 베이스 부재, 12는 상기 디스크 모터(2), 클램퍼부(3), 디스크 평면 지지부(2a), 광픽업(4) 등이 설치된 제2 베이스로서의 유닛 메카 데크 부재이다.
대물 렌즈(4a)가 탑재된 광픽업(4)은 이송 모터(도시하지 않음)로 회전 구동되는 리드 스크류 부재(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척킹된 상태의 광디스크에 대해 대략 반경 방향으로 이동된다. 커버 부재(5, 6) 중 커버 부재(6)는 가동형 구성을 갖고, 광디스크의 삽입시 및 배출시에 지지점(제2 지지점)(6a, 6b)의 주위[또는 지지점선(Q)의 주위]로 회전 변위한다. 지지점(6a, 6b)은 전방면 패널(7)의 근방에 있고, 척킹된 광디스크(도시하지 않음)의 반경 방향의 중점 위치(광디스크의 반경의 중간 위치 또는 광디스크의 내경과 외경 사이의 중간점 위치)보다도 디스크 외주측의 위치에 배치된다. 또한, 상기 지지점(6a, 6b)은 본 실시예 구성에 있어서는 유닛 메카 데크 부재(12) 상에 마련되는 것으로 하지만, 특별히 이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베이스 부재(11) 상 등에 마련되어도 좋다.
또한, 도2에 있어서 부호 71은 표면에 이송 나사가 설치되어 회전에 의해 상기 광픽업(4)측에 대해 광디스크의 대략 반경 방향의 이동력을 부여하는 리드 스크류 부재, 60은 그 모터 회전축을 리드 스크류 부재(71)에 직결하여 상기 리드 스크류 부재(71)를 회전 구동하는 스테핑 모터 등의 이송 모터, 72, 73은 광픽업(4)의 양측에서 상기 광픽업(4)의 대략 디스크 반경 방향의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 부재, 4b는 선단부가 상기 리드 스크류 부재(71)의 이송 나사에 걸어 맞추어지고, 상기 리드 스크류 부재(71)의 회전력을 직선적 이동력으로서 광픽업(4)측에 전달하는 래크부, 31, 32, 33은 광디스크가 전방면 패널(7)측으로부터 장치 내에 삽입되었을 때 및 광디스크가 장치 내로부터 전방면 패널(7)측으로 배출될 때에 상기 삽입·배출 동작을 위한 구동력의 전달을 행하는 레버, 31a는 레버(31)의 회전 동작의 지지점 부재, 41, 42는 상기 삽입된 광디스크의 외주에 접촉하여 상기 광디스크의 센터링을 행하는 롤러, 43은 아암, 80은 모터, 50은 모터(80)로의 구동 입력의 공급을 온·오프(ON·OFF)하는 스위치, 21은 레버(32)에 모터(80)의 회전 구동력을 전달하는 전달 기구, 22는 제1 베이스로서의 상기 베이스 부재(11)측에 설치되어 광디스크의 척킹시, 상기 광디스크가 장치 내의 소정 위치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유닛 메카 데크 부재(12)에 회전력을 부여하여 상기 유닛 메카 데크 부재(12)를 승강 변위시키는 승강 기구(제1 승강 기구), 25, 26은 상기 유닛 메카 데크 부재(12)의 승강 변위의 지지점(제1 지지점)이다. 다른 부호는, 상기 도1의 경우와 동일하다.
G의 부분에는, 상기 레버(32)에 의해 작동되어 커버 부재(6)를 지지점(제2 지지점)(6a, 6b) 주위[또는 지지점선(Q) 주위]로 승강 변위시키는 승강 기구(제2 승강 기구)(도시하지 않음)가 배치되어 있다. 상기 유닛 메카 데크 부재(12)는, 지지점(25, 26)의 주위로 회전함으로써 승강 변위한다. 상기 이송 모터(60), 리드 스크류 부재(71), 가이드 부재(72, 73) 등도 디스크 모터(2), 클램퍼부(3)와 함께 유닛 메카 데크 부재(12) 상에 설치되어 있으므로, 상기 유닛 메카 데크 부재(12)의 상기 승강 동작에 의해 상기 유닛 메카 데크 부재(12)와 함께 승강 변위(회전 변위)한다. 전달 기구(21)는 기어 열을 구비하여 구성된다. 또한, 롤러(42)는 레버(31) 상에 설치되어 있다. 상기 리드 스크류 부재(71), 상기 래크부(4b) 및 상기 가이드 부재(72, 73)는 상기 광픽업(4)을 상기 광디스크의 대략 반경 방향으로 안내하여 이동시키는 이동·안내 기구를 구성한다. 상기 유닛 메카 데크 부재(12)와 이에 탑재되는 상기 디스크 모터(2), 상기 클램퍼부(3), 상기 광픽업(4), 상기 이동·안내 기구, 상기 이송 모터(60) 등은 전체적으로 유닛 메카부를 구성한다.
상기에 있어서, 직결 구동형 이송 모터(60)는 유닛 메카 데크 부재(12) 상에 있어서, 척킹 상태에 있는 광디스크의 투영 영역 내(광디스크를 디스크 평면에 직각인 방향으로 정투영하였을 때에 그 그림자가 되는 영역 내. 이하, 투영 영역 내 또는 디스크 투영 영역 내라 함)에 있고 상기 광디스크의 반경 방향의 중점 위치(광디스크의 반경의 중간 위치 또는 광디스크의 내경과 외경 사이의 중간점 위치)보다도 외주측의 위치에 배치된다. 즉, 이송 모터(60) 본체부의 회전 반경 방향 길이의 약 1/2의 위치의 점이, 상기 광디스크의 반경 방향의 중점 위치보다도 외주측의 위치에 있게 된다. 또한, 지지점(25, 26)은 척킹 상태에 있는 광디스크의 반경 방향의 중점 위치(광디스크의 반경의 중간 위치 또는 광디스크의 내경과 외경 사이의 중간점 위치)보다도 디스크 외주측의 위치에 배치되고, 이송 모터(60)를 상기 광디스크의 상기 투영 영역 내에 있고 상기 광디스크의 반경 방향의 중점 위치(광디스크의 반경의 중간 위치 또는 광디스크의 내경과 외경 사이의 중간점 위치)보다도 상기 지지점(25, 26)측의 위치에 배치하는 구성, 즉 이송 모터(60) 본체부의 회전 반경 방향 길이의 약 1/2의 위치의 점이, 상기 광디스크의 반경 방향의 중점 위치보다도 상기 지지점(25, 26)측의 위치에 있는 구성으로 하면 소형화, 특히 박형화에 대해 보다 유효해진다.
상기 도1 및 도2의 구성에 있어서, 광디스크가 장치 내에 삽입되어 척킹될 때에는 상기 승강 기구(제1 승강 기구)(22)가 제2 베이스로서의 상기 유닛 메카 데크 부재(12)를 지지점(25, 26)의 주위로 회전시켜 소정 위치까지 상승시키고, 광디스크를 상기 상부 커버 부재(8)의 오목부(8c)의 디스크측의 대향면에 접촉시킨 상태에 있어서 상기 클램퍼부(3)의 선단부면이 상기 상부 커버 부재(8)의 관통 구멍(8b)으로부터 돌출되고, 상기 상부 커버 부재(8)의 오목부(8c)와 디스크 평면 지지부(2a) 사이에 광디스크를 끼우고 클램퍼부(3)에 상기 광디스크를 장착시킨다. 유닛 메카 데크 부재(12)가 상기 상승 변위될 때, 이송 모터(60)도 그 위치[광디스크의 외주측의 위치 또는 지지점(25, 26)측의 위치]에서 상기 유닛 메카 데크 부재(12)와 함께 상승 변위한다.
상기 광디스크 장치(1)에 있어서, 광디스크가 전방면 패널(7)측의 삽입·배출구(도시하지 않음)로부터 장치 내에 삽입될 때, 가동형의 커버 부재(6)는 미리 상기 광디스크의 평면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경사진 상태에서 탄성 부재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상기 경사각이 증대되는 방향으로 압박되어 있는 것으로 한다. 삽입·배출구로부터 삽입된 광디스크는 그 선단부가 소정의 삽입 거리의 위치에서 상기 커버 부재(6)의 평면에 접촉하고, 상기 탄성 복원력에 저항하여 상기 커버 부재(6)의 평면을 누름으로써 상기 커버 부재(6)의 평면으로부터 반력을 받아 기록면의 높이 위치가 규제된다. 또한, 삽입·배출구로부터 삽입되었을 때 상기 광디스크는 그 외주가 롤러(41, 42) 및 아암(43)에 대해 롤러(41, 42) 및 아암(43)의 순으로 접촉하고, 레버(31, 32, 33)를 변위시키면서 센터링된다. 이 때, 롤러(42)는 광디스크의 삽입 이동에 수반하여 상기 광디스크의 외주에 압박되어 레버(31)를 지지점 부재(31a) 상의 지지점 주위로 화살표 E의 방향으로 회전시킨다.
레버(31)는 상기 화살표(E) 방향의 회전 변위량이 소정량에 도달하였을 때, 스위치(50)를 온 상태로 한다. 스위치(50)가 온 상태가 됨으로써 모터(80)에 대해 구동 회로(도시하지 않음)로부터 소정의 구동 입력이 공급되어 상기 모터(80)가 회전한다. 상기 모터(80)가 회전하면 그 회전 구동력이 전달 기구(21)에 의해 레버(32)에 전달된다. 레버(32)는 상기 전달된 힘을 승강 기구(제1 승강 기구)(22)에 전달한다.
레버(32)는 광디스크가 삽입 도중 위치에 있을 때 전달 기구(21)측으로부터 전달된 힘에 의해 작동하고, G의 부분에 배치된 제2 승강 기구(도시하지 않음)를 구동한다. 상기 제2 승강 기구는 커버 부재(6)를 지지점(제2 지지점)(6a, 6b) 또는 지지점선(Q)의 주위로 광디스크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탄성 부재의 복원력에 저항하여 변위시켜, 상기 광디스크의 선단부와의 상기 접촉 상태를 해제한다. 커버 부재(6)와의 상기 접촉 상태가 해제된 광디스크는 더욱 장치 내의 내측으로 삽입 이동된다. 커버 부재(6)의 상기 제2 승강 기구에 의한 상기 변위 동작과, 광디스크의 상기 삽입 이동 동작은 서로 병행하여 행해진다.
한편, 승강 기구(22)는 상기 레버(32)로부터 전달된 힘으로 작동하고, 유닛 메카 데크 부재(12)의 걸어 맞춤부를 누르는 등 상기 유닛 메카 데크 부재(12)에 대해 지지점(25, 26) 주위의 회전력을 부여하고, 상기 유닛 메카 데크 부재(12)를 상부 커버 부재(8)측으로 회전 변위(상승 변위)시킨다. 상기 유닛 메카 데크 부재(12)가 상승 변위하면 디스크 모터(2), 클램퍼부(3), 디스크 평면 지지부(2a)도 함께 상승 변위하고, 즉 유닛 메카부 전체가 상승 변위하고 볼록 형상의 상기 클램퍼부(3)가 삽입 이동을 종료하여 소정 위치에 있는 광디스크의 중심 구멍에 삽입되고, 디스크 평면 지지부(2a)가 예를 들어 광디스크의 중심 구멍 주위의 평면부에 일부 접촉한 상태가 된다. 상기 상태에서 또한, 유닛 메카 데크 부재(12)가 상승 변위하면 광디스크도 상승 변위하고, 상기 광디스크는 상부 커버 부재(8)의 오목부(8c)의 디스크측의 대향면에 접촉하여 상기 대향면으로부터의 반력에 의해 클램퍼부(3)가 거의 완전히 광디스크의 중심 구멍 내로 들어가 디스크 평면 지지부(2a)도 예를 들어 그 전체 둘레의 부분에서 광디스크의 중심 구멍 주위의 평면부에 접촉한 상태가 된다. 이에 의해, 광디스크는 상기 클램퍼부(3)와 상기 디스크 평면 지지부(2a)에 의해 척킹된 상태가 된다. 상기 척킹 상태에 있어서, 클램퍼부(3)의 선단부면은 상기 상부 커버 부재(8)의 관통 구멍(8b)으로부터 돌출되어, 상부 커버 부재(8)의 외측 평면부(8a)의 디스크 투영 영역 내에 있어서의 평면부의 높이 위치 이상으로 높은 위치가 된다. 유닛 메카 데크 부재(12)가 상기 상승 변위될 때, 이송 모터(60)도 상기 유닛 메카 데크 부재(12)와 함께 상승 변위한다. 상기 척킹시, 이송 모터(60)의 구동 입력은 오프 상태가 된다. 유닛 메카 데크 부재(12) 또는 그것을 포함하는 유닛 메카부의, 상기 제1 승강 기구에 의한 광디스크의 삽입 종료점까지의 상기 상승 변위 동작은 상기 제2 승강 기구에 의한 커버 부재(6)의 상기 변위 동작에 병행하여 행해진다.
상기 척킹이 종료하면, 상기 승강 기구(22)는 모터(80)의 구동 입력을 기초로 하여 유닛 메카 데크 부재(12)를 지지점(제1 지지점)(25, 26) 주위로 상기 상승 변위한 경우와는 반대 방향으로 회전시켜 하강 변위시키고, 광디스크를 상부 커버 부재(8)의 오목부(8c)의 디스크측의 대향면으로부터 이격되어 소정의 위치까지 하강 변위시킨다. 광디스크가 상기 소정의 위치, 즉 정보의 기록 또는 재생을 위해 회전 가능한 위치까지 하강 변위한 상태에서는, 클램퍼부(3)의 선단부면은 예를 들어 디스크 투영 영역 내에 있어서의 상기 상부 커버 부재(8)의 외측 평면부의 높이 위치보다도 낮아지게 된다. 유닛 메카 데크 부재(12)가 상기 하강 변위될 때, 이송 모터(60)도 상기 유닛 메카 데크 부재(12)와 함께 하강 변위한다. 또한, 광디스크가 상기 소정의 위치로 하강 변위하였을 때 모터(80)의 구동 입력은 오프 상태가 되고, 디스크 모터(2) 및 이송 모터(60)는 각각 회전 가능 상태가 되어 디스크 모터(2)에 의한 광디스크의 회전 구동과, 이송 모터(60)에 의한 광픽업(4)의 이동이 가능해진다. 이송 모터(60)는, 예를 들어 구동 입력으로서 구동 펄스가 입력되면, 소정의 회전각 또는 회전수로 회전하여 모터 회전축에 직결된 리드 스크류 부재(71)를 회전시킨다. 리드 스크류 부재(71)가 회전하면, 그 표면의 이송 나사에 걸어 맞추어진 래크부(4b)가 상기 리드 스크류 부재(71)의 회전력을 직선적 이동력으로서 광픽업(4)측에 전달하고, 상기 광픽업(4)이 가이드 부재(72, 73)에 안내되어 광디스크의 대략 반경 방향으로 소정 속도로 소정 거리 이동된다. 광픽업(4)은 상기 이동 동작을 하면서 대물 렌즈(4b)로부터 레이저를 광디스크의 기록면에 조사하여 정보의 기록 또는 재생을 행한다.
이하의 설명 중에서 사용하는 광디스크 장치(1)의 구성 요소에는, 상기 도1, 도2의 경우와 같은 부호를 붙여 사용하는 것으로 한다.
도3은 도1의 광디스크 장치에 있어서의 유닛 메카부의 구성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3에 있어서, 부호 100은 클램퍼부(3) 및 디스크 평면 지지부(2a)에서 장치 내에 척킹된 광디스크, P-P'는 2개의 지지점(25, 26)을 지나는 직선(이하, 지지점선이라 함)이다. 다른 부호는, 상기 도1, 도2의 경우와 동일하다. 유닛 메카 데크 부재(12)는 그 단부(T)를 작용점으로 하여 승강 기구(22)에 의해 승강 변위할 때 지지점(25, 26) 주위, 즉 지지점선(P-P') 주위로 Z축 방향의 면 내에서 회전한다. 상기 회전에 의한 변위량(회전 변위량)은 지지점(25, 26)으로부터 먼 위치, 즉 지지점선(P-P')으로부터 먼 위치일수록 크다. 부호 Y'는 XY 평면 내에서 지지점선(P-P')에 직각인 좌표축, X'는 XY 평면 내에서 Y'에 수직인 좌표축이다. 본 발명에서는 장치의 소형화, 특히 박형화를 위해 이송 모터(60)의 회전 변위량도 적게 억제하도록 되어 있다. 이로 인해, 이송 모터(60)를 척킹 상태에 있는 광디스크(100)의 투영 영역 내에 있고 상기 광디스크(100)의 반경 방향의 중점 위치[광디스크(100)의 반경의 중간 위치 또는 광디스크(100)의 내경과 외경 사이의 중간점 위치]보다도 외주측의 위치에 배치한다. 즉, 이송 모터(60) 본체부의 회전 반경 방향 길이의 약 1/2의 위치의 점이, 상기 광디스크의 반경 방향의 중점 위치보다도 외주측의 위치에 있도록 한다. 또한, 지지점(25, 26)을 척킹 상태에 있는 광디스크(100)의 반경 방향의 중점 위치[광디스크(100)의 반경의 중간 위치 또는 광디스크(100)의 내경과 외경 사이의 중간점 위치]보다도 외주측의 위치에 배치하고, 이송 모터(60)를 상기 광디스크(100)의 상기 투영 영역 내에 있고 상기 광디스크(100)의 반경 방향의 중점 위치[광디스크(100)의 반경의 중간 위치 또는 광디스크(100)의 내경과 외경 사이의 중간점 위치]보다도 상기 지지점(25, 26)측의 위치, 즉 상기 지지점선(P-P')측의 위치에 배치하는 구성, 즉 이송 모터(60) 본체부의 회전 반경 방향 길이의 약 1/2의 위치의 점이, 상기 광디스크의 반경 방향의 중점 위치보다도 상기 지지점(25, 26)측의 위치에 있도록 한 구성으로 하면 소형화, 특히 박형화에 대해 보다 유효하다. 도3의 구성에서는, 이송 모터(60)는 일부가 지지점선(P-P')에 걸리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도4는 도1의 광디스크 장치에 있어서의 장치 내로의 디스크 삽입시의 설명도로, 도4의 (a)는 광디스크가 삽입 도중 위치에 있을 때의 장치 평면도, 도4의 (b)는 상기 상태시의 장치 측면도이다.
도4에 있어서, 부호 100a는 삽입된 광디스크(100)의 기록면, 100c는 광디스크(100)의 선단부, 6c는 커버 부재(6)의 표면측의 평면이다. 다른 부호는, 상기 도1 내지 도3의 경우와 동일하다. 전방면 패널(7)측의 삽입·배출구로부터 삽입된 광디스크(100)는 그 선단부(100c)가 소정 거리 삽입된 위치에서, 광디스크(100)의 기록면(100a)에 대해 소정각(θ)(이하, 경사각이라 함)만큼 경사져 있는 커버 부재(6)의 평면(6c)에 접촉하고, 상기 커버 부재(6)에 작용하고 있는 탄성 복원력에 저항하여 상기 커버 부재(6)의 상기 평면(6c)을 화살표 J의 방향으로 압박한다. 상기 평면(6c)을 화살표 J1의 방향으로 압박함으로써 상기 광디스크(100)는 상기 커버 부재(6)의 평면으로부터 반력을 받고, 상기 반력은 상기 광디스크(100)의 기록면(100a)의 높이 위치가 소정치 이상이 되도록 규제한다. 상기 광디스크(100)는 선단부(100c)가 대략 일정한 높이 위치에서 커버 부재(6)의 평면(6c)에 접촉된 상태로 상기 평면(6c) 상을 미끄럼 이동하여, 장치의 안쪽을 향해 삽입 이동한다. 상기 삽입 이동시에 상기 광디스크(100)는 센터링도 행해진다. 광디스크(100)[또는 그 선단부(100c)]의 상기 삽입 이동에 수반되어, 커버 부재(6)는 지지점[제2 지지점(6a, 6b)]의 주위로 변위하여 화살표 J1 방향으로 회전한다. 상기 회전에 의해 경사각(θ)은 감소한다. 소정의 삽입 이동 위치에서 스위치(50)(도2)가 온 상태가 되고, 모터(80)(도2)에 구동 입력이 공급되어 상기 모터(80)가 회전한다. 상기 모터(80)가 회전함으로써, 승강 기구(제1 승강 기구)(22)와 레버(32)에 걸어 맞추어진 제2 승강 기구(도시하지 않음)가 작동된다. 제2 승강 기구는 커버 부재(6)를 지지점(제2 지지점)(6a, 6b) 또는 지지점선(Q)(도1)의 주위에, 광디스크(100)의 기록면(100a)으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회전 변위시킨다. 한편, 승강 기구(제1 승강 기구)(22)는 유닛 메카 데크 부재(12)에 대해, 지지점(25, 26) 또는 지지점선(P-P')의 주위의 회전력을 부여하여 상기 유닛 메카 데크 부재(12)를 화살표 F의 방향, 즉 상부 커버 부재(8)측으로 회전 변위(상승 변위)시킨다. 상기 제2 승강 기구에 의한 커버 부재(6)의 변위 동작과 상기 승강 기구(제1 승강 기구)(22)에 의한 유닛 메카 데크 부재(12)의 변위 동작은 서로 대략 병행되어 행해진다.
도5는 도4의 디스크 삽입 동작에 있어서의 각부의 높이 위치의 관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5에 있어서, 횡축은 시간, 종축은 이동하는 각부의 높이 위치를 나타내고, 또한 A는, 시간에 대한 커버 부재(6)의 선단부의 높이 위치의 변화를 나타내는 곡선, B는 시간에 대한 광디스크(100)의 기록면(100a)의 높이 위치를 나타내는 곡선, C는 시간에 대한 유닛 메카 데크 부재(12)의 높이 위치의 변화를 나타내는 곡선, (가)는 광디스크(100)가 장치 내에 삽입 개시되는 디스크 삽입 개시 시점, (나)는 광디스크(100)의 선단부(100c)와 커버 부재(6)의 평면(6c)이 접촉을 개시하는 디스크·커버 접촉 개시 시점, (다)는 유닛 메카 데크 부재(12)가 승강 기구(제1 승강 기구)(22)에 의해 상승 변위를 개시하는 유닛 메카 데크 부재 상승 개시 시점, (라)는 광디스크(100)가 유닛 메카 데크 부재(12)에 의해 척킹을 위해 상승 변위를 개시하는 디스크 상승 개시 시점, (마)는 상승 변위를 개시한 광디스크가 커버 부재(6)의 평면(6c)으로부터 이격되기 시작하는[= 커버 부재(6)의 평면(6c)과의 접촉 상태를 해제함] 디스크·커버 접촉 해제 시점, (바)는 커버 부재(6)가 제2 승강 기구에 의해 변위를 개시하는 커버 부재 인입 개시 시점, (사)는 광디스크(100)가 척킹되어 회전 가능한 상태가 되는 디스크 회전 가능 시점이다. 본 도5에서는, 유닛 메카 데크 부재(12)는 커버 부재(6)가 제2 승강 기구에 의한 회전 변위를 개시하는 데 앞서, 승강 기구(제1 승강 기구)(22)에 의해 상승 변위를 개시하는 것으로 한다.
도5에 있어서, 광디스크(100)가 디스크 삽입 개시 시점(가)에 있어서 선단부(100c)를 높이 위치(ZB1)에서 장치 내에 삽입되고, 디스크·커버 접촉 개시 시점(나)에서 상기 광디스크(100)의 선단부(100c)가 커버 부재(6)의 평면(6c)에 접촉하여 상기 평면(6c)을 압박한다. 커버 부재(6)는 그 선단부[커버 부재(6)의 선단부]가 제2 승강 기구에 걸어 맞추어져 있으므로, 상기 압박됨으로써 상기 선단부[커버 부재(6)의 선단부]의 높이 위치는 대략 일정하게 유지된 상태에서 상기 선단부 이외의 부분이 상기 광디스크(100)의 선단부(100c)가 접촉된 부분을 주체로 휘고, 상기 휨이 발생된 상태에서 상기 커버 부재(6)는 제2 지지점(6a, 6b) 주위로 도4의 화살표 J1의 방향으로 회전한다.
광디스크(100)의 선단부(100c)가 장치의 안쪽에 삽입되어 유닛 메카 데크 부재 상승 개시 시점(다)이 되면, 유닛 메카 데크 부재(12)는 승강 기구(제1 승강 기구)(22)에 의한 제1 지지점(25, 26) 주위의 회전 변위[모터(80)의 구동력을 기초로 하는 변위]를 개시하고, 그 높이 위치(ZC1)로부터 서서히 상부 커버 부재(8)측을 향해 상승한다. 이 때, 디스크 모터(2), 클램퍼부(3), 디스크 평면 지지부(2a) 등도 상기 유닛 메카 데크 부재(12)와 함께 상승한다.
디스크 상승 개시 시점(라)에서는, 상기 유닛 메카 데크 부재(12)와 함께 상승 변위하는 상기 클램퍼부(3)나 상기 디스크 평면 지지부(2a)가 이미 소정의 삽입 위치에 도달되어 있는 광디스크(100)에 걸어 맞추어지고, 상기 광디스크(100)를 척킹을 위해 그 기록면(100a)의 높이 위치(ZB1)를 상부 커버 부재(8)측을 향해 상승시킨다. 상기 광디스크(100)의 기록면(100a)의 높이 위치(ZB1)로부터의 상승 변위에 의해, 커버 부재(6)의 상기 휨은 서서히 감소하여 디스크·커버 접촉 해제 시점(마)이 되면 상기 휨은 없어지고, 상기 광디스크(100)의 선단부(100c)는 커버 부재(6)의 평면(6c)으로부터 이격되어 상기 평면(6c)과의 접촉 상태가 해제된다.
또한, 커버 부재 인입 개시 시점(바)이 되면 커버 부재(6)가 제2 승강 기구에 의한 변위[모터(80)의 구동력을 기초로 하는 자동 인입에 의한 변위]를 개시하고, 상기 커버 부재(6)는 제2 지지점(6a, 6b) 주위로 도4의 화살표 J2의 방향으로 회전하여 그 선단부의 높이 위치도 높이(ZA1)의 위치로부터 상기 유닛 메카 데크 부재(12)측을 향해 내려간다. 상기 자동 인입에 의한 상기 커버 부재(6)의 하강 변위와, 상기 광디스크(100)의 상승 변위에 의해 커버 부재(6)의 평면(6c)과 광디스크(100)의 선단부(100c)의 이격 거리는 증대한다.
한편, 유닛 메카 데크 부재(12)는 상승 변위에 의해 높이 위치(ZC2)에 도달하였을 때, 광디스크(100)의 기록면(100a)을 높이 위치(ZB2)로 하여 상기 광디스크(100)를 클램퍼부(3)나 디스크 평면 지지부(2a)에 척킹된 상태로 한다. 그 후, 유닛 메카 데크 부재(12)는 승강 기구(제1 승강 기구)(22)에 의해 자동적으로 제1 지지점(25, 26) 주위로 회전하여 하강 변위하고, 디스크 회전 가능 시점(사)에서 높이 위치(ZC3)가 되어 광디스크(100)의 기록면(100a)을 높이 위치(ZB1)로 하여 회전 가능한 상태로 한다. 상기 디스크 회전 가능 시점(사)에서는 커버 부재(6)의 선단부의 높이 위치는 높이(ZA2)의 위치가 되어, 광디스크(100)의 기록면(100a)의 높이 위치(ZB1)보다도 낮은 위치가 된다. 유닛 메카 데크 부재(12)의 높이 위치(ZC3)도 역시 광디스크(100)의 기록면(100a)의 높이 위치(ZB1)보다도 낮은 위치가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광디스크(100)는 디스크·커버 접촉 개시 시점(나)과 디스크·커버 접촉 해제 시점(마) 사이의 기간[접촉 기간(t1)]에 있어서는 커버 부재(6)의 평면(6c)에 대해 접촉 상태가 되고, 상기 커버 부재(6)의 평면(6c)으로부터 반력을 받아 지지된 상태가 되어 기록면(100a)이 높이(ZB1)의 위치로 보유 지지되도록 규제된다. 또한, 디스크·커버 접촉 해제 시점(마)과 디스크 회전 가능 시점(사) 사이의 기간[비접촉 기간(t2)]에 있어서는, 광디스크(100)는 커버 부재(6)의 평면(6c)으로부터 이격된 비접촉 상태가 되어 상기 상태에서 척킹도 행해진다. 광디스크(100)가 장치로부터 배출되는 경우에도, 상기 광디스크(100)가 커버 부재(6)의 평면(6c)에 대해 접촉 상태가 되는 기간이 형성되어, 상기 기간에서는 기록면(100a)의 높이 위치가 확보되도록 규제된다.
도6은 커버 부재(6)를 승강 변위시키는 제2 승강 기구의 부분이며 도2에 있어서의 G의 부분의 확대도, 도7은 그 동작 설명도이다.
도6 및 도7에 있어서, 부호 90은 캠 부재, 90a는 캠 부재(90)의 캠부, 90b는 캠 부재(90)의 회전 지지점, 90c는 커버 부재(6)에 걸어 맞추어지는 캠 부재(90)의 걸어 맞춤부, 95는 캠 부재(90)를 경사각(θ)(도4)을 증대시키는 방향으로 압박하는 탄성 부재, 32a는 캠 부재(90)의 캠부(90a)에 걸어 맞추는 레버(32)의 대(對)캠 걸어 맞춤부이다. 캠 부재(90), 탄성 부재(95) 및 레버(32)의 대캠 걸어 맞춤부(32a)는 제2 승강 기구를 구성한다. 커버 부재(6)의 회전 변위의 지지점(6a, 6b)은, 본 실시예 구성에 있어서는 유닛 메카 데크 부재(12) 상에 마련된다.
레버(32)는 광디스크가 장치 내에 있어서의 삽입 도중 위치에 있을 때, 전달 기구(21)(도2)측으로부터 전달된 힘에 의해 작동하여 제2 승강 기구를 구동한다. 즉, 레버(32)는 화살표 K의 방향으로 이동 변위하여[도7의 (a)] 그 선단부의 대캠 걸어 맞춤부(32a)가 캠 부재(90)의 캠부(90a)에 걸어 맞추어지고, 상기 캠 부재(90)를 탄성 부재(95)에 의한 탄성 복원력에 저항하여 회전 지지점(90b)의 주위로 회전시켜 화살표 L의 방향으로 변위시킨다. 상기 캠 부재(90)의 화살표 L 방향의 변위는, 걸어 맞춤부(90c)에 걸어 맞추어져 있는 커버 부재(6)를 화살표 J1의 방향으로 변위시킨다[도7의 (b)]. 레버(32)가 또한 화살표 K의 방향으로 이동 변위하면, 레버(32)의 대캠 걸어 맞춤부(32a)는 캠 부재(90)의 캠부(90a)의 걸어 맞춤로 곡선의 극대부(90a1)를 타고 넘어 안정적인 위치에 안정된다. 캠 부재(90)는, 상기 대캠 걸어 맞춤부(32a)의 상기 타고 넘는 동작에 대응하여 회전 변위하고, 커버 부재(6)를 변위시켜 보유 지지한다[도7의 (c)].
도8은 도1의 광디스크 장치에 있어서의 디스크 척킹시의 설명도이다. 도8은 광디스크(100)의 기록면(100a)이 높이 위치(ZB2)(도5)에 있고, 이미 척킹된 상태를 도시한다.
도8에 있어서, 부호 100은 광디스크, 8c1은 상부 커버 부재(8)의 오목부(8c)의 광디스크(100)측과 반대측의 면[이하, 상부 커버 부재(8)의 오목부(8c)의 외측 평면이라 함], 8c2는 상부 커버 부재(8)의 오목부(8c)의 광디스크(100)측의 대향면[이하, 상부 커버 부재(8)의 오목부(8c)의 내측 평면이라 함], 85는 전방면 패널(7)측에 마련된 광디스크(100)의 삽입·배출구, 화살표 F1은 유닛 메카 데크 부재(12)가 상승 변위할 때의 회전 방향, 화살표 F2는 유닛 메카 데크 부재(12)가 하강 변위할 때의 회전 방향, 화살표 F1'는 이송 모터(60)가 유닛 메카 데크 부재(12)와 함께 상승 변위할 때의 회전 방향, 화살표 F2'는 이송 모터(60)가 유닛 메카 데크 부재(12)와 함께 하강 변위할 때의 회전 방향, h1은 지지점(25, 26)측의 상부 커버 부재(8)의 외측 평면부(8a) 내의 디스크 투영 영역 내에 있어서의 평면부의 높이 위치와 클램퍼부(3)의 선단부면 사이의 거리[= 클램퍼부(3)의 선단부면의 외측 평면부(8a)로부터의 돌출량], h2는 지지점(25, 26)측과는 반대측, 즉 승강 기구(22)측의 상부 커버 부재(8)의 외측 평면부(8a) 내의 디스크 투영 영역 내에 있어서의 평면부의 높이 위치와 클램퍼부(3)의 선단부면 사이의 거리[= 클램퍼부(3)의 선단부면의 외측 평면부(8a)로부터의 돌출량]이다(h2 > h1이라 함).
유닛 메카 데크 부재(12)가 승강 기구(22)에 의해 상승 변위되고, 광디스크(100)가 상부 커버 부재(8)의 오목부(8c)의 내측 평면(8c2)에 접촉하고, 상기 내측 평면(8c2)으로부터의 반력에 의해 클램퍼부(3)가 거의 완전하게 상기 광디스크(100)의 중심 구멍 내에 들어가, 디스크 모터(2)의 회전부 상의 디스크 평면 지지부(2a)(도3에는 도시하지 않음)도 예를 들어 그 전체 둘레의 부분에서 광디스크(100)의 중심 구멍 주위의 평면부에 접촉한 상태가 되어 상기 광디스크(100)가 척킹될 때, 클램퍼부(3)의 선단부면은 상부 커버 부재(8)의 관통 구멍(8b)으로부터 외측 평면(8c1)의 높이 위치를 넘어 돌출하고, 또한 상기 상부 커버 부재(8)의 외측 평면부(8a)의 디스크 투영 영역 내에 있어서의 평면부의 높이 위치보다도 h1 내지 h2 높은 위치가 된다. 광디스크(100)가 척킹된 후에는, 유닛 메카 데크 부재(12)가 화살표 F2의 방향으로 하강 변위하여 클램퍼부(3)도 하강 변위한다. 상기 하강 변위 후의 소정의 높이 위치에서 광디스크(100)는 기록이나 재생을 위해 회전 가능한 상태가 된다. 이와 같이, 척킹시에 클램퍼부(3)의 선단부면을 상부 커버 부재(8)의 외측 평면부(8a)의 높이 위치 이상으로 돌출시키는 구성은, 상기한 바와 같이 이송 모터(60)를 광디스크(100)의 외주측의 위치나 지지점(25, 26)측의 위치에 배치한 구성과 더불어, 상기 상부 커버 부재(8)의 외측 평면부(8a)의 높이 위치를 클램퍼부(3)의 선단부면의 높이 위치에 대해 낮게 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여 상부 커버 부재(8)의 높이 치수를 줄인다. 이에 의해, 광디스크 장치(1)의 소형화, 특히 박형화를 가능하게 한다. 상기 도1 내지 도4에서 설명한 구성을 갖는 본 실시 형태의 광디스크 장치(1)에 있어서, h1 및 h2를 각각 예를 들어 0.5 × 10-3 m 이하로 하였을 때에는 디스크 척킹 후의 클램퍼부(3)의 하강 변위에 의해 상기 클램퍼부(3)의 선단부면을 상부 커버 부재(8)의 외측 평면부(8a)의 높이 위치보다도 낮은 위치로 할 수 있어, 광디스크 장치(1) 전체의 두께 치수를 9.5 × 10-3 m 이하로 하는 것도 가능해진다.
상기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르면, 광디스크(100)의 높이 위치의 확보를, 가이드 샤프트(150)(도9) 등의 전용 부재를 설치하는 일 없이 커버 부재(6)를 이용하여 행할 수 있어 장치의 소형화, 특히 박형화를 한층 도모할 수 있어, 예를 들어 슬롯 인 타입의 광디스크 장치에 있어서 상부 커버 부재(8)의 외면과 하부 커버 부재(10)의 외면 사이의 거리를 9.5 × 10-3 m 이하로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이송 모터(60)를 광디스크(100)의 투영 영역 내에서 상기 광디스크(100)의 외주측의 위치 또는 상기 광디스크(100)의 외주측에 배치된 지지점(25, 26)[또는 지지점선(P-P')]측의 위치에 설치하는 구성이나, 클램퍼부(3)의 선단부면을 상부 커버 부재(8)의 관통 구멍(8b)으로부터 외측 평면부(8a)의 높이 이상으로 돌출시키는 구성과 병행함으로써 장치의 소형화, 특히 박형화가 한층 더 가능해진다.
또한,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유닛 메카 데크 부재(12)가, 커버 부재(6)가 제2 승강 기구에 의해 회전 변위를 개시하는 데 앞서, 승강 기구(제1 승강 기구)(22)에 의해 상승 변위를 개시하는 것으로 하였지만(도5),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커버 부재(5, 6) 중 커버 부재(6)만을 가동시키는 구성으로 하였지만, 이것에도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탄성 부재를 이용하여, 상기 커버 부재가 커버 부재의 평면의 광디스크 평면에 대한 경사가 증대되는 방향의 상기 탄성 부재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압박되는 구성으로 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도 한정되지 않으며, 이 밖에 예를 들어 탄성 부재를 이용하지 않고 커버 부재 자체 등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압박되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또한,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슬롯 인 타입의 광디스크 장치의 경우에 대해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도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은, 그 정신 또는 주요한 특징으로부터 일탈되는 일 없이 상기 실시 형태의 다른 형태로도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상기 실시 형태는 모든 점에서 본 발명의 단순한 1 예시에 불과하며, 한정적으로 해결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범위는 특허청구의 범위(클레임)에 의해 나타나 있다. 또한, 이 특허청구의 범위의 균등 범위에 속하는 변형이나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범위 내의 것이다.
본 발명은 예를 들어 슬롯 인 타입, 즉 기록 매체로서의 디스크 단일 부재를 트레이나 케이스 등을 이용하지 않고 직접 장치 내에 삽입하는 타입, 특히 슬림 슬롯 타입 등의 광디스크 장치에 있어서, 광디스크의 장치로의 삽입시나 배출시에도 디스크면의 높이 위치를 확보하여, 디스크면을 손상시키지 않는 안전한 구조하에서 장치의 소형화, 특히 박형화를 한층 도모하여, 예를 들어 장치 두께가 9.5 × 10-3 m 이하인 광디스크 장치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1은 본 발명의 일실시 형태로서의 광디스크 장치의 구성예를 도시한 도면.
도2는 도1의 광디스크 장치의 내부 구성의 평면도.
도3은 도1의 광디스크 장치의 유닛 메카부의 구성을 도시한 평면도.
도4는 도1의 광디스크 장치에 있어서의 디스크 삽입시의 설명도.
도5는 도4의 디스크 삽입 동작에 있어서의 각부의 높이 관계를 나타낸 도면.
도6은 도1의 광디스크 장치에 있어서 유닛 메카부를 덮는 커버 부재를 승강 변위시키는 승강 기구의 확대도.
도7은 도6의 승강 기구의 동작 설명도.
도8은 도1의 광디스크 장치에 있어서의 디스크 척킹시의 설명도.
도9는 종래 기술예를 도시한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광디스크 장치
2 : 디스크 모터
2a : 디스크 평면 지지부
3 : 클램퍼부
4 : 광픽업
4a : 대물 렌즈
4b : 래크부
5, 6 : 커버 부재
6a, 6b, 25, 26 : 지지점
7 : 전방면 패널
8 : 상부 커버 부재
10 : 하부 커버 부재
11 : 베이스 부재
12 : 유닛 메카 데크 부재
21 : 전달 기구
22 : 승강 기구
31, 32, 33 : 레버
31a : 지지점 부재
41, 42 : 롤러
43 : 아암
50 : 스위치
60 : 이송 모터
71 : 리드 스크류 부재
72, 73 : 가이드 부재
80 : 모터
90 : 캠 부재
90a : 캠부
90b : 회전 지지점
90c : 걸어 맞춤부
95 : 탄성 부재
100 : 광디스크

Claims (17)

  1. 광픽업을 광디스크의 대략 반경 방향으로 이동시켜 정보의 기록 또는 재생을 행하는 광디스크 장치이며,
    상기 광디스크를 회전 구동하는 디스크 모터와, 상기 광픽업과, 상기 광픽업을 상기 광디스크의 대략 반경 방향으로 안내하면서 이동시키는 이동·안내 기구와, 상기 이동·안내 기구를 구동하는 이송 모터가 탑재되어 이루어지는 유닛 메카부와,
    지지점 주위로 변위 가능한 구성을 갖고, 상기 유닛 메카부를 덮는 커버 부재를 구비하여 구성되고,
    상기 광디스크가 장치 내에 삽입될 때에 상기 광디스크의 평면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경사진 상기 커버 부재의 평면에 상기 광디스크의 선단부를 접촉시키고, 상기 커버 부재를 변위시키는 동시에 그 반력을 기초로 하여 상기 광디스크의 기록면의 높이 위치를 규제하는 구성으로 되는 광디스크 장치.
  2. 광픽업을 광디스크의 대략 반경 방향으로 이동시켜 정보의 기록 또는 재생을 행하는 광디스크 장치이며,
    상기 광디스크를 회전 구동하는 디스크 모터와, 상기 광픽업과, 상기 광픽업을 상기 광디스크의 대략 반경 방향으로 안내하면서 이동시키는 이동·안내 기구와, 상기 이동·안내 기구를 구동하는 이송 모터가 탑재되어 이루어지는 유닛 메카부와,
    지지점 주위로 변위 가능한 구성을 갖고, 상기 유닛 메카부를 덮는 커버 부재와,
    상기 광디스크의 척킹에 앞서 상기 광디스크가 장치 내의 소정의 삽입 도중 위치에 있을 때에, 상기 커버 부재에 힘을 부여하여 상기 커버 부재를 상기 지지점 주위로 변위시키는 승강 기구를 구비하여 구성되고,
    상기 광디스크가 장치 내에 삽입될 때, 상기 광디스크의 평면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경사진 상기 커버 부재의 평면에 상기 삽입되는 광디스크의 선단부를 접촉시키고, 상기 광디스크의 기록면의 높이 위치를 규제하는 동시에 상기 광디스크가 소정의 삽입 위치에 있을 때 상기 승강 기구에 의해 상기 커버 부재를 상기 광디스크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변위시키는 구성으로 되는 광디스크 장치.
  3. 광픽업을 광디스크의 대략 반경 방향으로 이동시켜 정보의 기록 또는 재생을 행하는 광디스크 장치이며,
    장치 내의 소정 위치에 척킹된 상기 광디스크를 회전 구동하는 디스크 모터와,
    장치 기반으로서의 제1 베이스와,
    상기 광픽업을 상기 광디스크의 대략 반경 방향으로 안내하여 이동시키는 이동·안내 기구와,
    상기 광픽업, 상기 이동·안내 기구 및 상기 디스크 모터가 탑재되고, 상기 제1 베이스에 대해 상기 척킹된 광디스크의 반경 방향의 중점 위치보다도 외주측의 위치에 배치된 제1 지지점의 주위로 회전하는 제2 베이스와,
    상기 디스크 모터의 중심축 위치보다도 상기 제1 지지점측의 위치에 배치된 제2 지지점의 주위로 변위하는 구성을 갖고 상기 이동·안내 기구를 덮는 커버 부재와,
    상기 제1 베이스측에 설치되고, 상기 척킹시 상기 광디스크가 장치 내의 소정 위치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제2 베이스에 회전력을 부여하여 상기 제2 베이스를 상기 제1 지지점의 주위로 승강 변위시키는 제1 승강 기구와,
    상기 척킹에 앞서, 상기 광디스크가 장치 내의 소정의 삽입 도중 위치에 있을 때, 상기 커버 부재에 힘을 작용시켜 상기 커버 부재를 상기 제2 지지점의 주위로 변위시키는 제2 승강 기구와,
    상기 제1 승강 기구 및 상기 제2 승강 기구를 구동하는 승강용 모터와,
    상기 승강용 모터의 구동을 온·오프하는 스위치 수단과,
    변위에 의해 상기 스위치 수단의 작동을 온·오프하는 변위 부재를 구비하여 구성되고,
    상기 광디스크가 장치 내에 삽입될 때, 상기 광디스크의 평면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경사진 상기 커버 부재의 평면에 상기 광디스크의 선단부를 접촉시키고 상기 광디스크의 기록면의 높이 위치를 규제하여 상기 광디스크가 소정의 삽입 위치에 도달하였을 때 상기 변위 부재에 의해 상기 스위치 수단을 온 상태로 하여 상기 승강용 모터의 구동을 온 상태로 하고, 상기 제1 승강 기구에 의해 상기 제2 베이스를 상기 광디스크측으로 회전 변위시키는 동시에 상기 제2 승강 기구에 의해 상기 커버 부재를 상기 광디스크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변위시키는 구성으로 되는 광디스크 장치.
  4. 광디스크를 디스크 모터의 회전축에 동심 형상으로 척킹하여 회전시키고, 광픽업을 상기 광디스크의 대략 반경 방향으로 이동시켜 정보의 기록 또는 재생을 행하는 광디스크 장치이며,
    상기 디스크 모터의 회전부 상에 배치되고, 상기 광디스크의 척킹시 상기 광디스크의 중심 구멍 내에 삽입되어 상기 광디스크를 반경 방향으로 지지하는 볼록 형상의 클램퍼부와,
    상기 디스크 모터의 회전부 상에 있고 상기 클램퍼부와 동심 형상으로 배치되고, 상기 클램퍼부가 상기 광디스크의 중심 구멍 내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광디스크의 평면부를 지지하는 디스크 평면 지지부와,
    상기 클램퍼부의 상방에 배치되고, 상기 클램퍼부의 대향 위치에 관통 구멍을 갖고 장치의 표면측을 덮는 상부 커버 부재와,
    장치의 이면측을 덮는 하부 커버 부재와,
    상기 광디스크를 회전 구동하는 디스크 모터와, 상기 광픽업과, 상기 광픽업을 상기 광디스크의 대략 반경 방향으로 안내하면서 이동시키는 이동·안내 기구와, 상기 이동·안내 기구를 구동하는 이송 모터가 탑재되어 이루어지고, 제1 지지점의 주위로 회전 변위하는 유닛 메카부와,
    상기 유닛 메카부를 상기 제1 지지점의 주위로 회전 변위시키는 제1 승강 기구와,
    제2 지지점의 주위로 변위하는 구성을 갖고 상기 유닛 메카부를 덮는 커버 부재와,
    상기 척킹에 앞서, 상기 광디스크가 장치 내의 소정의 삽입 도중 위치에 있을 때, 상기 커버 부재에 힘을 작용시켜 상기 커버 부재를 상기 제2 지지점의 주위로 변위시키는 제2 승강 기구를 구비하여 구성되고,
    상기 광디스크가 장치 내에 삽입될 때, 상기 광디스크의 평면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경사진 상기 커버 부재의 평면에 상기 광디스크의 선단부를 접촉시키고, 상기 광디스크의 기록면의 높이 위치를 규제하는 동시에 상기 광디스크가 소정의 삽입 위치에 도달하였을 때, 상기 제2 승강 기구에 의해 상기 커버 부재를 상기 광디스크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변위시키고, 또한 상기 제1 승강 기구가 상기 유닛 메카부를 상승시켜 상기 광디스크를 상기 상부 커버 부재의 대향면에 접촉시킨 상태에서, 상기 클램퍼부의 선단부면을 상기 상부 커버 부재의 관통 구멍으로부터 돌출시켜, 디스크 투영 영역 내에 있어서의 평면부의 높이 위치 이상으로 높게 하는 구성으로 되는 광디스크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닛 메카부는 상기 이송 모터가 상기 척킹된 광디스크의 투영 영역 내에 있고 상기 광디스크의 반경 방향의 중점 위치보다도 외주측의 위치에 배치되어 있는 광디스크 장치.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유닛 메카부는 상기 이송 모터가 상기 척킹된 광디스크의 투영 영역 내에 있고 상기 광디스크의 반경 방향의 중점 위치보다도 외주측의 위치에 배치되어 있는 광디스크 장치.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유닛 메카부는 상기 이송 모터가 상기 척킹된 광디스크의 투영 영역 내에 있고 상기 광디스크의 반경 방향의 중점 위치보다도 외주측의 위치에 배치되어 있는 광디스크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닛 메카부는 상기 이송 모터가 상기 척킹된 광디스크의 투영 영역 내에 있고 상기 광디스크의 반경 방향의 중점 위치보다도 외주측의 위치에 배치되어 있는 광디스크 장치.
  9.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유닛 메카부는 상기 이송 모터가 상기 척킹된 광디스크의 투영 영역 내에 있고 상기 광디스크의 반경 방향의 중점 위치보다도 외주측의 위치에 배치되는 광디스크 장치.
  10.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유닛 메카부는 상기 이송 모터가 상기 척킹된 광디스크의 투영 영역 내에 있고 상기 광디스크의 반경 방향의 중점 위치보다도 외주측의 위치에 배치되어 있는 광디스크 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 부재는 상기 지지점이, 상기 척킹된 광디스크의 반경 방향의 중점 위치보다도 외주측의 위치에 배치되어 있는 광디스크 장치.
  12.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 부재는 상기 지지점이, 상기 척킹된 광디스크의 반경 방향의 중점 위치보다도 외주측의 위치에 배치되어 있는 광디스크 장치.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 부재는 상기 경사가 증대되는 방향으로 탄성 복원력에 의해 압박되는 구성인 광디스크 장치.
  1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 부재는 상기 경사가 증대되는 방향으로 탄성 복원력에 의해 압박되는 구성인 광디스크 장치.
  1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 부재는 상기 경사가 증대되는 방향으로 탄성 복원력에 의해 압박되는 구성인 광디스크 장치.
  1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 부재는 상기 경사가 증대되는 방향으로 탄성 복원력에 의해 압박되는 구성인 광디스크 장치.
  1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커버 부재의 외면과 상기 하부 커버 부재의 외면 사이의 거리는 9.5 × 10-3 m 이하로 되는 광디스크 장치.
KR1020050086637A 2005-03-18 2005-09-16 광디스크 장치 Expired - Fee Related KR10064270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5079688A JP2006260719A (ja) 2005-03-18 2005-03-18 光ディスク装置
JPJP-P-2005-00079688 2005-03-1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01383A KR20060101383A (ko) 2006-09-22
KR100642707B1 true KR100642707B1 (ko) 2006-11-13

Family

ID=370028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86637A Expired - Fee Related KR100642707B1 (ko) 2005-03-18 2005-09-16 광디스크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060212885A1 (ko)
JP (1) JP2006260719A (ko)
KR (1) KR100642707B1 (ko)
CN (1) CN1835094A (ko)
TW (1) TW200634732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882547B2 (ja) * 2006-06-29 2012-02-22 ティアック株式会社 ディスク装置
TWI364750B (en) * 2007-11-23 2012-05-21 Quanta Storage Inc Restrained device of optical disk drive
CN101894571B (zh) * 2009-05-21 2012-07-04 飞利浦建兴数位科技股份有限公司 吸入式光驱的载片装置
KR200484574Y1 (ko) * 2016-01-29 2017-10-24 주식회사 아스트로캠프 혜성 시뮬레이션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69840838D1 (de) * 1997-01-31 2009-06-25 Clarion Co Ltd Plattengerät und Plattenhalterung dafü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01383A (ko) 2006-09-22
TW200634732A (en) 2006-10-01
US20060212885A1 (en) 2006-09-21
CN1835094A (zh) 2006-09-20
JP2006260719A (ja) 2006-09-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944069A1 (en) Apparatus for reproducing an optical disc
KR100642707B1 (ko) 광디스크 장치
CN100481231C (zh) 盘装置
EP0951017B1 (en) Disc changer for a disc player
US6438095B1 (en) Disc clamp mechanism for disc apparatus
KR100383109B1 (ko) 디스크 장치의 디스크 클램프 기구
EP0962925A2 (en) Disc reproducing device
KR100188950B1 (ko) 디스크 플레이어
JP3624687B2 (ja) ディスク再生装置
CN100511450C (zh) 光盘装置
KR100628858B1 (ko) 광디스크 장치
US7418724B2 (en) Apparatus for changing multiple media disks
KR100710794B1 (ko) 광디스크 장치
JP2009245531A (ja) 光ディスク装置
JPS649675B2 (ko)
JP2006344340A (ja) スロットイン型ディスク装置
EP1321935B1 (en) Loading mechanism of disk player
KR20030006536A (ko) 스큐 조정기능을 갖춘 광디스크 드라이브
CN100501851C (zh) 光盘装置
JP3948467B2 (ja) ディスク装置
JP3760381B2 (ja) ディスククランプ装置
JP3802636B2 (ja) 情報再生装置
JP2001176159A (ja) ディスクプレーヤ
JP2008165889A (ja) 光ディスク装置
JP2001176171A (ja) ディスク記録再生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50916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60926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61030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6103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