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547843B1 - 이동통신 시스템의 송신전력 제어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이동통신 시스템의 송신전력 제어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47843B1
KR100547843B1 KR20010042312A KR20010042312A KR100547843B1 KR 100547843 B1 KR100547843 B1 KR 100547843B1 KR 20010042312 A KR20010042312 A KR 20010042312A KR 20010042312 A KR20010042312 A KR 20010042312A KR 100547843 B1 KR100547843 B1 KR 10054784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power
value
signals
scale valu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200100423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06512A (ko
Inventor
조성권
양상현
오정태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200100423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47843B1/ko
Priority to CNB028027132A priority patent/CN1213551C/zh
Priority to PCT/KR2002/001304 priority patent/WO2003007507A1/en
Priority to BR0205754A priority patent/BR0205754A/pt
Priority to CA002421235A priority patent/CA2421235C/en
Priority to RU2003106808A priority patent/RU2251800C2/ru
Priority to AU2002315936A priority patent/AU2002315936B2/en
Priority to JP2003513149A priority patent/JP3908732B2/ja
Priority to GB0216065A priority patent/GB2381396B/en
Priority to DE2002624242 priority patent/DE60224242T2/de
Priority to US10/194,692 priority patent/US6944469B2/en
Priority to EP20020015720 priority patent/EP1276233B1/en
Priority to DE20211598U priority patent/DE20211598U1/de
Priority to FR0208901A priority patent/FR2827445B1/fr
Publication of KR200300065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0651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478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47843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ransmission Power Control [TPC] or power classes
    • H04W52/04Transmission power control [TPC]
    • H04W52/52Transmission power control [TPC] using AGC [Automatic Gain Control] circuits or amplifi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02Transmitters
    • H04B1/04Circuits
    • H04B1/0475Circuits with means for limiting noise, interference or distor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ransmission Power Control [TPC] or power classes
    • H04W52/04Transmission power control [TPC]
    • H04W52/18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 H04W52/26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using transmission rate or quality of service QoS [Quality of Servi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ransmission Power Control [TPC] or power classes
    • H04W52/04Transmission power control [TPC]
    • H04W52/30Transmission power control [TPC] using constraints in the total amount of available transmission power
    • H04W52/36Transmission power control [TPC] using constraints in the total amount of available transmission power with a discrete range or set of values, e.g. step size, ramping or offse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0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 H04W72/04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based on the type of the allocated resource
    • H04W72/0453Resources in frequency domain, e.g. a carrier in FDMA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Amplifiers (AREA)
  • Transmitter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Digital Transmission Methods That Use Modulated Carrier Wav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송신전력의 평균전력 대 최대전력 비를 감소시켜 전력증폭기의 효율을 증대시키기 위한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I채널 및 Q채널 펄스정형필터와 주파수 변환기 사이에 구비되는 전력조절블럭은, 매 샘플링 주기마다 평균전력 대 최대전력 비를 상승시키는 신호펄스에 대하여 제거신호들을 계산하며 계산된 제거신호들 중에서 최대크기를 가지는 제거신호만을 펄스정형필터링하여 원래신호와 합산함으로써 주파수 대역폭 밖에서의 전력상승을 억제한다. 또한 다중 FA를 지원하는 시스템에서 서비스 등급에 따라 각 FA별로 평균전력 대 최대전력 비를 조절함으로써 시스템의 최소성능을 보장하면서 전력의 사용 효율을 증가시킨다. 이로써 본 발명은 전력증폭기의 비효율적 동작에 의한 문제점을 해소하여 시스템의 전체 비용을 감소시킨다.
baseband, power amplifier, PAR, CF

Description

이동통신 시스템의 송신전력 제어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ING TRANSMISSION POWER IN MOBILE TELECOMMUNICATIONS SYSTEM}
도 1은 통상적인 이동통신 시스템의 송신경로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일 FA 이동통신 시스템의 송신경로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3은 도 2에서 전력조절블럭의 상세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4는 도 3의 전력조절블럭에서 제거신호 계산부의 동작원리를 설명하는 도면.
도 5는 도 3에서 펄스정형필터 구성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전력조절 동작을 나타낸 흐름도.
도 7은 도 3의 스케일 값 결정부로 입력되는 원래신호들을 도시한 도면.
도 8은 도 3의 스케일 값 결정부에서 결정된 신호들을 도시한 도면.
도 9는 도 3의 제거신호 계산부에서 계산된 목표신호들을 도시한 도면.
도 10은 도 3에서 제거신호 계산부에서 생성된 제거신호들을 도시한 도면.
도 11은 도 3의 최대크기 판단부에서 선택된 최대크기 제거신호들을 도시한 도면.
도 12는 도 3에서 원래신호와 제거신호 및 전력 조절된 신호를 도시한 도면.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중 FA 이동통신 시스템의 송신경로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14는 도 13에서 다중 FA 전력조절블럭 13-3의 상세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15는 다중 FA 전력조절블럭 13-3에서 각 FA별 전력특성을 도시한 도면.
도 16은 도 14에서 스케일 값 계산기 14-2가 동등한 우선도를 가지는 복수의 FA들에 대하여 스케일 값을 계산하는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
도 17은 도 14에서 스케일 값 계산기 14-2가 서로 다른 우선도를 가지는 복수의 FA들에 대하여 스케일 값을 계산하는 첫 번째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
도 18의 다중 FA 전력조절블럭 13-3에서 서로 다른 등급으로 구별되는 각 FA별 전력특성을 도시한 도면.
도 19는 도 14에서 스케일 값 계산기 14-2가 서로 다른 등급으로 구별되는 복수의 FA들에 대하여 스케일 값을 계산하는 두 번째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
본 발명은 이동통신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송신전력의 평균전력 대 최대전력 비를 감소시키기 위한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알려진 바와 같이 이동통신 기지국 시스템은 단말기로 전송할 음성 및 데이터를 가지는 RF(Radio Frequency) 신호를 증폭하기 위하여 RF 전력증폭기(Power Amplifier)를 사용한다. RF 전력증폭기는 전체 시스템에서 가장 고가의 장치이며 시스템 가격을 줄이는 데 있어서 중요한 구성요소로서 다음의 두 가지 요구사항에 따라서 설계되어야 한다. 첫 번째 요구사항으로 RF 전력증폭기는 기지국 셀 영역의 모든 단말기에게 전송하기에 충분한 RF 전력을 출력하여야 한다. 두 번째 요구사항으로 RF 전력증폭기의 출력신호에 대한 인접채널전력(Adjacent Channel Power : ACP) 간섭은 요구되는 수준 이하로 유지되어야 한다.
그런데, 충분한 RF 출력전력을 보장하는 입력신호 전력이 전력증폭기의 선형증폭 영역내에 있지 않으면, 전력증폭기의 출력신호는 비선형 증폭으로 인하여 신호 주파수 대역 밖에서의 신호왜곡성분을 가지게 된다. 주파수 차원에서 다시 말하면 신호 주파수 대역폭 밖에서의 전력상승(Spectral Regrowth)에 의하여 인접 채널 전력간섭이 야기된다. 즉, 첫 번째 요구사항을 만족시키기 위해서는 높은 입력전력이 요구되며 두 번째 요구사항을 만족시키기 위해서는 낮은 입력전력이 요구된다는 설계상의 어려움이 발생하게 된다.
특히,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기지국 시스템과 같이 높은 평균전력 대 최대전력 비(Peak-to-Average Ratio: PAR 또는 Crest Factor: CF) 특성을 갖는 시스템에서는, 전력증폭기가 선형증폭 영역에서 동작할 수 있도록 입력전력을 제어하여야 한다. 또는, 신호의 최대 입력전력을 수용할 수 있을 정도의 선형성을 갖는 고가의 전력증폭기가 사용되어야 한다. 이러한 측면에서 CDMA 시스템은 신호의 왜곡을 억제하기 위해서 평균 입력전력에 비해 10dB이상의 최대 입력전력을 수용할 수 있는 고가의 전력증폭기를 필요로 한다. 그런데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높은 입력전력을 수용할 수 있는 전력증폭기는 전력 효율성을 감소시키고 전력 소모, 시스템 부피, 가격 등을 증가시킨다. 게다가 통상적으로 이동통신 기지국 시스템은 복수의 할당주파수(Frequency Allocation : FA)들을 사용하여 동시에 각 FA의 신호들을 보내며, 각각의 FA에 대하여 전력증폭기를 사용하여야 하기 때문에 가격 부담이 더욱 증가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이유로 인하여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전력증폭기를 효율적으로 배치하고 설계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안정적으로 전력증폭기를 동작시키기 위한 하나의 방법으로, 높은 평균전력 대 최대전력 비 특성을 갖는 시스템은 최대전력 입력 시에 사전왜곡 조정회로를 사용한다. 사전왜곡 조정회로는 전력증폭기에서 발생하는 왜곡신호 정보를 측정하고 측정된 정보를 고려하여 전력증폭기의 입력신호를 제어한다. 제어된 입력신호는 전력증폭기의 동작에 의하여 왜곡신호를 상쇄시키면서 원래 입력신호의 증폭된 신호를 발생한다.
이러한 왜곡신호를 결정하기 위해서는 변조와 복조, 표본화, 양자화, 동기화 그리고 입력과 출력신호의 비교의 복잡한 과정이 필요하다. 또한, 사전왜곡 조정회로는 시스템 구현을 위한 표준에서 요구하는 인접 채널 전력 특성을 만족시키기 위하여 사전왜곡 조정회로의 입력신호, 출력신호 및 표준 ACP 특성을 이용한다. 이러한 사전왜곡 조정회로는 효율성, 속도, 복잡성 등의 문제로 인하여 최적의 왜곡 조 정 값을 얻기에는 힘들다.
안정적으로 전력증폭기를 동작시키기 위한 다른 방법으로, 전력증폭기의 최대 입력신호와 전력증폭기의 선형증폭 특성을 통하여 신호의 크기를 일정한 비율로 줄이면 전력증폭기 입력신호의 평균전력 대 최대전력 비를 줄일 수 있다. 전력증폭기의 모든 입력신호는 전력증폭기의 선형증폭 특성을 고려하여 구해진 스케일 값(Scale Factor)과 곱해져서 전력증폭기의 선형증폭 영역에서 동작할 수 있도록 하는 낮은 신호전력이 된다. 또는, 원하는 전력 값 이상의 입력신호에 대해서 시스템에서 요구하는 전력을 갖도록 신호를 강제적으로 낮추어 주는 방식으로 평균전력 대 최대전력 비를 감소시킬 수 있다. 그런데, 이와 같이 모든 신호크기를 전체적으로 일정한 비율로 줄이거나 원하는 전력 값 이상의 신호를 일정한 신호크기로 자르는 방법은 신호의 급격한 변화를 초래하게 되고 신호의 주파수 대역 밖에서 전력상승을 일으키기 때문에 전체 시스템 성능의 열화를 가져온다.
또 다른 해결 방법은 입력신호의 동위상 신호성분(In-phase: I)과 직교위상 신호성분(Quadrature-phase: Q)의 크기와 전력을 계산하고 요구되는 임계전력 이상의 신호에 대해서 제거신호를 발생시키는 것이다. 그리고, 동일한 시간에서 원래 신호와 제거신호를 더해주는 과정으로 신호의 크기를 원하는 수준으로 낮추어 준다. 이러한 방식의 송신경로 구조를 도 1에 나타내었다.
도 1을 참조하면, CDMA 시스템의 경우 채널소자군 1-1내의 채널소자들 1-2는 각각 입력된 채널 데이터에 대해 적합한 부호화, 변조, 채널구분 등의 과정을 수행함으로써 기저대역 신호들을 생성한다. 상기 기저대역 신호들은 동위상(I) 채널 및 직교위상(Q) 채널 별로 더해진다. 프로세서 1-5에서는 상기 더해진 I채널 및 Q채널 신호에 대하여 그 크기를 측정하고 전력을 계산하여, 원하는 수준의 전력을 만들기 위하여 제거될 신호의 크기를 결정하고 각 채널에 대하여 출력한다. I채널 및 Q채널 기저대역 결합기들 1-3, 1-4는 상기 채널소자군 1-1로부터 입력된 I채널 및 Q채널 신호를 상기 프로세서 1-5의 처리시간만큼 지연시킨 후, CDMA 칩 단위에서 상기 프로세서 1-5에서 출력된 제거신호와 더함으로써 원하는 수준의 전력을 가지는 신호를 출력한다. I채널 및 Q채널 기저대역 결합기들 1-3과 1-4의 출력신호는 펄스정형필터들 1-6, 1-7에 의해서 대역폭 제한되고, 주파수 변환기 1-8, 전력증폭기 1-9를 통해 안테나로 전송된다. 안테나는 기지국 송신전력을 해당하는 셀 내의 단말기들에게 방사한다.
상기한 도 1의 구조에서, 상기 I 채널 및 Q채널 기저대역 결합기들 1-3, 1-4에서 출력된 신호의 평균전력 대 최대전력 비는 원하는 수준으로 조정된다. 하지만 상기 조정된 신호가 상기 펄스정형필터들 1-6, 1-7을 통과하면서 평균전력 대 최대전력 비는 다시 증가되고 결과적으로 전력증폭기 1-9에 의하여 주파수 대역 밖에서 전력상승을 일으켜서 ACP 간섭이 야기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상기한 바와 같이 동작되는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된 본 발명의 목적은, 안정적이고 적합한 이동통신 시스템을 구현하기 위해서는 더욱 효율적인 RF 전력증폭기를 사용할 수 있는 향상된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높은 평균전력 대 최대전력 비를 갖는 시스템에서 전력증폭기가 선형화증폭 영역에서 안정적으로 동작하도록 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전체 시스템 성능에 영향을 주지 않으면서 전력증폭기 입력신호의 평균전력 대 최대전력 비를 줄일 수 있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이동통신 시스템의 전송 시에 전력증폭기의 효율을 극대화 할 수 있도록 평균전력 대 최대전력 비를 줄이며 신호 주파수 대역 밖에서 전력상승을 최대한 억제할 수 있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복수의 할당주파수(FA)들에 대하여 신호를 동시에 전송할 때 전력증폭기를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I채널 및 Q채널 펄스정형필터와 주파수 변환기 사이에 구비되는 전력조절기를 이용하여 전력증폭기 입력신호를 제어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창안된 본 발명의 실시예는, 단일 할당 주파수(FA)를 지원하는 이동통신 시스템의 송신전력 제어장치에 있어서,
각각의 채널별로 전송을 위한 채널 데이터를 동위상(I) 신호성분과 직교위상(Q) 신호성분으로 구분하여 기저대역의 신호를 생성하는 채널소자군과,
상기 기저대역의 신호를 펄스정형필터링하는 펄스정형필터와,
선형화된 전력증폭을 위하여 설정된 임계전력에 따라 상기 펄스정형필터링된 신호의 평균전력 대 최대전력 비를 조절한 후 출력하는 전력조절블럭과,
상기 전력조절된 신호를 무선주파수 대역의 신호로 상승변환하여 출력하는 주파수 변환기를 포함한다.
삭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단일 할당 주파수(FA)를 지원하는 이동통신 시스템의 송신전력 제어방법에 있어서,
각각의 채널별로 전송을 위한 채널 데이터를 동위상(I) 신호성분과 직교위상(Q) 신호성분으로 구분하여 기저대역의 신호를 생성하는 제1 과정과,
상기 기저대역의 신호를 펄스정형필터링하는 제2 과정과,
선형화된 전력증폭을 위하여 설정된 임계전력에 따라 상기 펄스정형필터링된 신호의 평균전력 대 최대전력 비를 조절한 후 출력하는 제3 과정과,
상기 전력조절된 신호를 무선주파수 대역의 신호로 상승변환하여 출력하는 제4 과정을 포함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다중 할당 주파수(FA)를 지원하는 이동통신 시스 템의 송신전력 제어장치에 있어서,
각각의 채널별로 전송을 위한 채널 데이터를 동위상(I) 신호성분과 직교위상(Q) 신호성분으로 구분하여 복수의 FA들을 위한 기저대역의 신호들을 생성하는 상기 복수의 FA들에 대응하는 복수의 채널소자군들과,
상기 복수의 채널소자군들에 연결되어 상기 기저대역의 신호들을 펄스정형필터링하는 상기 복수의 FA들에 대응하는 복수의 펄스정형필터들과,
선형화된 전력증폭을 위하여 설정된 임계전력에 따라 상기 펄스정형필터링된 신호들의 평균전력 대 최대전력 비를 조절한 후 해당하는 무선주파수 대역에서 출력하는 다중 FA 전력조절블럭을 포함한다.
삭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다중 할당 주파수(FA)를 지원하는 이동통신 시스템의 송신전력 제어방법에 있어서,
각각의 채널별로 전송을 위한 채널 데이터를 동위상(I) 신호성분과 직교위상(Q) 신호성분으로 구분하여 복수의 FA들을 위한 기저대역의 신호들을 생성하는 제1 과정과,
상기 기저대역의 신호들을 펄스정형필터링하는 제2 과정과,
선형화된 전력증폭을 위하여 설정된 임계전력에 따라 상기 펄스정형필터링된 신호들의 평균전력 대 최대전력 비를 조절한 후 해당하는 무선주파수 대역에서 출력하는 제3 과정을 포함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동작 원리를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먼저, 본 발명의 명확한 설명을 위하여 사용하는 여러 가지 용어에 대하여 정의하고자 한다. 본 발명에서 PAR(Peak-to-Average Ratio) 또는 CF(Crest Factor)란 통신 시스템에서 신호의 전력 특성을 나타내는 것으로 평균전력에 대한 최대전력의 비를 나타내는 것이다. 이와 같은 전력 특성은 다중 사용자가 공통된 주파수 자원을 공유하는 CDMA 시스템의 전력증폭기 설계에 매우 중요한 요소로 작용한다. CFR(Crest Factor Reduction) 알고리즘이란 본 발명에 따라 평균전력 대 최대전력 비를 줄일 수 있는 알고리즘을 말하는 것으로서 전력조절블럭에 의하여 수행된다. 백오프(BACKOFF)란 전력증폭기가 선형적으로 동작하는 영역을 나타내기 위한 것으로, 평균전력에 대하여 선형증폭 영역에서 동작할 수 있는 최대전력의 비를 가리킨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에서 도 2 내지 도 12는 단일 FA에서 적용 가능한 제1 실시예에 대하여 나타낸 것이고, 도 13 내지 도 19는 다중 FA의 전송에 적용되는 제2 실시예에 대하여 나타낸 것이다.
<<제1 실시예>>
먼저, 단일 FA를 지원하는 이동통신 기지국 시스템에 대하여 적용되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단일 FA 이동통신 기지국 시스템의 송신경로 구성을 도시한 것으로서, 도시한 바와 같이 기지국 시스템의 송신경로는 하나 이상의 채널소자들 2-2를 포함하는 채널소자군 2-1, I채널 및 Q채널 펄스정형필터 2-3 및 2-4, 주파수 변환기 2-5, 전력증폭기 2-6을 포함한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CFR 알고리즘을 수행하는 전력조절블럭 2-8은 펄스정형필터 2-3, 2-4와 상기 주파수 변환기 2-5 사이에 위치한다.
도 2를 참조하면, 하나 이상의 채널소자들 2-2를 포함하는 채널소자군 2-1은 각각의 채널 데이터에 대하여 부호화, 변조, 채널 구분 등의 동작을 수행하여 기저대역의 동위상(I) 채널 및 직교위상(Q) 채널의 신호를 생성한다. 특히 CDMA 시스템의 경우, 채널소자군 2-1로부터의 I 채널 및 Q 채널 신호는 각각의 채널에서 공통 제어신호를 위한 부가 채널 신호들과 다중 사용자 신호들의 CDMA칩 단위의 합을 나타낸다.
앞에서 언급한 것과 같이 CDMA시스템과 같이 여러 채널 신호들의 합을 동시에 전송하는 시스템에서는 심한 출력신호 전력변화가 나타나므로, 상기 I채널 펄스정형필터 2-3과 상기 Q채널 펄스정형필터 2-4는 각 채널 신호의 주파수 대역을 제한하여 인접채널에 주는 간섭을 감소시킨다. 상기 주파수 변환기 2-5는 상기 전력증폭기 2-6의 전단에 위치하여 중간주파수(Intermediate Frequency: IF) 레벨에서 입력된 상기 펄스정형필터 2-3과 2-4의 출력신호를 디지털/아날로그 변환한 후 무선주파수(Radio Frequency: RF) 대역으로 상승 변환한다.
상기 전력증폭기 2-6은 안테나(도시하지 않음)의 전단에 위치하여 상기 주파수 변환된 신호를 기지국 셀 영역의 모든 사용자들에게 충분한 출력전력을 가지고 전송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입력신호의 전력증폭을 수행한다. 상기 안테나는 전력증폭기 2-6에서 증폭된 신호를 받아 기지국에 의하여 서비스되는 셀 안의 단말기들에게 전송한다.
본 발명에 따른 CFR 알고리즘을 수행하는 상기 전력조절블럭 2-8은 시스템에서 전력증폭기의 가격부담을 줄이기 위하여 입력신호의 평균전력 대 최대전력 비를 줄이며, 주파수 대역 밖에서의 전력상승(Spectral Regrowth)을 억제함으로써 시스템 성능의 열화를 막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전력조절블럭 2-8은 상기 펄스정형필터 2-3, 2-4의 후단에 배치됨으로써 상기 펄스정형필터 2-3, 2-4를 통과하면서 야기되는 평균전력 대 최대전력 비의 증가를 방지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전력조절블럭 2-8의 상세 구성을 나타낸 도면으로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전력조절블럭 2-8은 스케일 값 결정부 3-1과, 제거신호 계산부 3-2와, I채널과 Q채널 최대크기 판단부 3-10, 3-11과, I채널과 Q채널 최대크기 펄스정형필터 3-12, 3-13과, I채널과 Q채널 신호 지연부 3-14와 3-15와, I 채널과 Q 채널 합산부 3-16, 3-17을 포함하고 있다.
상기 I채널 펄스정형필터 2-3과 상기 Q채널 펄스정형필터 2-4의 출력신호 I,Q는 상기 스케일 값 결정부 3-1과, 상기 신호 지연부들 3-14, 3-15와 상기 제거신호 계산부 3-2의 입력이 된다. 또한 상기 I 최대크기 펄스정형필터 3-12의 출력신호 I2와 상기 I채널 신호 지연부3-14의 출력신호 I3은 상기 합산부 3-16에서 더해져서 I'이 되며, 또한 도 2의 상기 주파수 변환기 2-5의 입력이 된다. 동일한 방법으로 상기 Q 최대크기 펄스정형필터 3-13의 출력신호 Q2와 상기 Q채널 신호 지연부 3-15의 출력신호 Q3은 상기 합산기 3-17에서 더해져서 Q'가 되며, 또한 도 2의 상기 주파수 변환기 2-5의 입력이 된다.
상기 펄스정형필터 2-3, 2-4의 출력신호 I,Q는 상기 전력조절블럭 2-8에 의하여 상기 전력증폭기 2-6의 선형화를 위해 요구되는 수준의 평균전력 대 최대전력 비를 가지게 되며, 이로써 주파수 대역 밖에서의 전력상승(Spectral Regrowth)을 억제할 수 있다.
이하 도 3을 참조하여 상기 전력조절블럭 2-8의 동작원리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상기 스케일 값 결정부 3-1은 상기 I채널 펄스정형필터 2-3의 출력신호 I와 상기 Q채널 펄스정형필터 2-4의 출력신호 Q(이하 원래신호 I, Q라 한다.)를 I채널 신호크기 제곱기 3-3과 Q채널 신호크기 제곱기 3-4로 각각 입력받아 미리 정해지는 샘플링 주기마다 샘플링하여 신호 크기를 각각 측정한다. 상기 I채널 신호크기 제곱기 3-3의 출력과 상기 Q채널 신호크기 제곱기 3-4의 출력의 합에 의하여 각 샘플링 주기에서 순간전력 값 P(=I2 + Q2)가 구해진다. 스케일 값 계산기 3-5는 상기 순간전력 값과 미리 정해지는 임계전력 값 Pth를 이용하여 스케일 값을 계산한다. 상기 스케일 값 계산기 3-5에서 스케일 값을 계산하는 과정은 하기와 같다.
먼저, 상기 순간전력 값은 상기 임계전력 값 Pth와 비교된다. 여기서 상기 임계전력 값 Pth는 시스템의 평균전력 Paverage와 상기 전력증폭기 2-6의 백오프(즉 시스템의 평균전력에 대하여 선형증폭을 위해 요구되는 최대전력의 비)에 의하여 하기의 <수학식 1>과 같이 정해진다.
Pth = 평균전력(Paverage)×10(백오프/10)
상기 비교결과, 상기 순간전력 값이 상기 임계전력 값보다 작거나 같다면 각 I, Q채널에 곱해지는 스케일 값은 1로 결정된다. 즉, 상기 제거신호 계산부 3-2의 출력신호 I1, Q1은 0이 되고 결과적으로 상기 원래신호의 전력은 조절되지 않는다. 반면 상기 순간전력 값이 상기 임계전력 값보다 크다면, 상기 스케일 값은 평균전력 대 최대전력 비를 낮추기 위하여 상기 원래신호 전력을 조정할 수 있도록 정해져야 한다. 이러한 스케일 값은 상기 임계전력 값을 상기 순간전력 값으로 나누어 제곱근을 취함으로써 구할 수 있다. 즉, 하기의 <수학식 2>에 의해 구할 수 있다.
Figure 112001017319321-pat00001
스케일 값 =
다른 예로서, 상기 스케일 값은 기억장치(도시하지 않음)에 저장된 스케일 테이블을 통하여 구해질 수 있다. 이렇게 결정된 상기 스케일 값은 상기 제거신호 계산부 3-2로 전달된다.
상기 스케일 값은 상기 제거신호 계산부 3-2내의 승산기 3-6, 3-7로 입력되어 상기 원래신호 I, Q와 곱하여 진다. 상기 승산기 3-6, 3-7의 출력은 상기 전력증폭기 2-6의 선형화를 위해 요구되는 각 채널의 목표신호가 된다. 즉, 순간전력 값이 임계전력 값보다 큰 경우, 상기 스케일 값을 곱하여 주는 과정을 통하여 원래의 I,Q 신호와 동일한 위상을 유지하면서 임계전력 값을 가지는 I,Q 채널 각각의 목표신호를 구할 수 있다. 차등기 3-8, 3-9는 각 채널의 목표신호에서 상기 원래신호 I, Q를 감산하는 과정을 수행하여 각 채널의 제거신호 I1, Q1을 발생시킨다.
상기 제거신호 계산부 3-2의 동작원리는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다.
도 4를 참조하면, 원래신호 벡터 4-1은 상기 펄스정형필터 2-3, 2-4의 출력인 원래신호 I,Q를 벡터형태로 표시한 것이며, 목표신호 벡터 4-2는 상기 원래신호 벡터 4-1과 동일한 위상을 가지며 임계전력 값과 동일한 전력을 가지는 목표신호를 벡터형태로 표시한 것이다. 제거신호 벡터 4-3은 상기 제거신호 계산부 3-2의 출력인 제거신호 I1, Q1을 벡터형태로 나타낸 것이다. 외부의 실선 원은 상기 임계신호의 순간전력을 나타낸 것이고 내부의 점선 원은 평균전력을 나타낸 것이다. 상기 제거신호 벡터 4-3은 상기 목표신호 벡터 4-2에서 상기 원래신호 벡터 4-1을 감산함으로써 구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목표신호의 위상을 원래신호의 위상과 동일하게 만들어 주는 과정을 통하여 생성된 제거신호는 원래신호 전력의 평균전력 대 최대전력 비를 낮추기 위하여 생성된 제거신호들 중에서 최소의 전력을 갖게 된다.
상기 제거신호 계산부 3-2에서 생성된 상기 제거신호 I1, Q1은 상기 I채널, Q채널 최대크기 판단부 3-10, 3-11로 전달된다.
만약 상기 최대크기 펄스정형필터 3-12, 3-13로 입력된 펄스들이 동일한 극성을 가지면서 매 샘플링 주기마다 0이 아닌 연속된 값을 갖는다면, 상기 펄스들은 상기 펄스정형필터 3-12, 3-13을 통과하면서 서로간에 중첩되어 제거신호보다 더 큰 크기를 갖게 된다. 시간차원에서 중첩된 상기 최대크기 펄스정형필터 3-10, 3-11의 출력신호 I2, Q2와 상기 신호 지연부 3-14, 3-15를 통과한 신호 I3,Q3이 상기 합산부 3-16, 3-17에서 합산된다면 결과적으로 또 다른 신호의 왜곡이 유도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상기 최대크기 판단부 3-10, 3-11은 매 샘플링 주기마다 전달된 제거신호들 중 0과 0 사이에서 동일한 극성을 가지고 연속되는 제거신호들 중 최대크기를 가지는 제거신호 펄스만을 유지하고 나머지 제거신호들은 모두 0으로 조정한다.
즉, 상기 I채널, Q채널 최대크기 판단부 3-10, 3-11은 매 샘플링 주기마다 제거신호 I1, Q1을 계속해서 입력받아 가장 큰 크기를 가지는 제거신호를 선택한다. 상기 최대크기 판단부 3-10, 3-11에서 각 채널에 대해 선택된 최대크기의 I채널 및 Q채널 제거신호는 상기 최대크기 펄스정형필터 3-12, 3-13의 입력이 된다. 상기 최대크기 펄스정형필터 3-12, 3-13은 상기 최대크기 제거신호를 원하는 주파수 대역폭으로 제한한다.
이와 같이 상기 최대크기 펄스정형필터 3-12, 3-13의 기능은 입력된 신호의 주파수 대역을 원하는 대역폭으로 제한하여 인접 채널의 전력상승 또는 주파수 대역 밖에서의 왜곡을 억제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최대크기 펄스정형필터 3-12, 3-13은 입력된 신호를 상기 시간 지연부 3-14의 출력신호 I3의 주파수 대역폭과 동일한 대역폭으로 제한하기 위하여 FIR(Finite Impulse Response) 또는 IIR(Infinite Impulse Response) 필터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도 5는 FIR 필터를 적용한 상기 최대크기 펄스정형필터 3-12, 3-13의 구조를 보인 것이다. 도 5를 상세히 설명하면, 입력신호 A는 상기 최대크기 판단부 3-10으로부터 제공되며 샘플링 주기만큼의 지연 값을 갖는 시간 지연기들 5-1 내지 5-4를 통과한다. 또한 상기 시간 지연기들 5-1 내지 5-4 각각의 입력단과 출력단의 신호들은 각각의 승산기들 5-5 내지 5-8에서 제한하고자 하는 주파수 대역에 맞게 설계된 계수 c0, c1, c2, ... cn과 곱해지고, 상기 승산기들 5-5 내지 5-8의 출력들은 합산기 5-9에서 합산되어 출력신호 B가 된다. 상기 I채널 및 Q채널 최대크기 펄스정형필터 3-12, 3-13 각각의 출력신호 B는 상기 전력조절블럭 2-8에서 요구하는 주파수 대역폭을 충족하는 신호 I2, Q2가 된다.
한편, 상기 시간 지연부 3-14, 3-15는 상기 원래신호 I, Q를 소정의 시간만큼 지연시킨다. 여기서 상기 소정의 시간은 상기 원래신호 I,Q가 상기 스케일 값 결정부 3-1로부터 상기 최대크기 펄스정형필터 3-12, 3-13까지를 통과하는데 걸리는 시간이 된다.
상기 결합부 3-16, 3-17은 상기 시간 지연부 3-14, 3-15의 출력신호 I3, Q3과 상기 최대크기 펄스정형필터 3-12, 3-13의 출력신호 I2, Q2를 더한다. 여기서 상기 I2, Q2는 높은 평균전력 대 최대전력 비를 갖는 신호에 대해 펄스정형필터링된 최대크기 제거신호를 나타낸다. 따라서 상기 결합부 3-16, 3-17의 출력신호는 상기 전력증폭기 2-6의 선형화를 위해 요구되는 전력수준으로 보상된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전력조절블럭 2-8의 전체적인 동작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스케일 값 결정부 3-1은 상기 I채널 및 Q채널 펄스정형필터 2-3, 2-4로부터 제공된 원래신호 I, Q의 크기를 측정하여 순간전력 P(=I2+Q2)를 계산한 후,(6-1) 상기 순간전력 값 P와 미리 정해지는 임계전력 값 Pth를 비교하고,(6-2) 상기 비교결과에 따라 스케일 값을 결정한다. 즉, 상기 순간전력 P가 상기 임계전력 Pth보다 작거나 같으면 상기 스케일 값은 1로 결정되고,(6-9) 상기 순간전력 P가 상기 임계전력 Pth보다 크면 상기 스케일 값은 미리 저장된 스케일 테이블 또는 상기 <수학식 2>의 계산에 의해서 결정된다.(6-3)
상기 제거신호 계산부 3-2는 상기 원래신호 I, Q와 상기 결정된 스케일 값을 곱함으로써 상기 원래신호 I, Q와 동일한 위상을 가지며 상기 임계전력 값과 동일한 전력 값을 가지는 목표신호를 구한 후,(6-4) 상기 목표신호로부터 상기 원래신호 I, Q를 감산하여 제거신호 I1, Q1을 계산한다.(6-5) 상기 제거신호 I1, Q1은 시스템에서 요구하는 평균전력 대 최대전력 비를 맞추기 위한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최대크기 판단부 3-10, 3-11은 매 샘플링 주기마다 상기 단계(6-1) 내지 단계(6-5)를 반복함으로써 계산된 제거신호들 중에서 최대크기의 제거신호를 결정하고,(6-6) 상기 최대크기 펄스정형필터 3-12, 3-13은 상기 결정된 최대크기 제거신호를 펄스정형필터링한다.(6-7)
상기 결합부 3-16, 3-17은 상기 단계(6-7)에서 펄스정형필터링된 신호를 상기 신호 지연부 3-14, 3-15에 의해 소정의 시간 지연 값만큼 시간 지연된 상기 원래신호와 결합한다.(6-8) 결과적으로 최종 결합된 신호의 평균전력 대 최대전력 비는 원하는 수준으로 보상된다.
도 7 내지 도 12는 상기 전력조절블럭 2-8에 의하여 조절되는 전력의 변화를 보인 것이다.
도 7은 I채널 및 Q채널 원래 신호 펄스들을 보인 것이다. 즉, 도 7은 각 샘플링 주기에서 상기 I채널 펄스정형필터 2-3의 출력에 대한 신호크기를 측정한 I 채널의 값들과, 각 샘플링 주기에서 상기 Q채널 펄스정형필터 2-4의 출력에 대한 신호크기를 측정한 Q 채널의 값들을 보인 것이다. 도 8은 각 샘플링 주기에서 상기 도 7에 나타낸 값들에 대한 순간전력 값들을 측정한 결과를 보여주는 것으로서 각 샘플링 주기에서 순간전력 값 P는 I2+Q2로 계산된다.
도 9는 각 샘플링 주기에서 계산된 스케일 값을 임계전력 값보다 큰 순간전력 값을 가지는 원래신호들에 곱하여 계산된 I채널 및 Q채널 목표신호 펄스들을 나타낸 것이고, 도 10은 각 샘플링 주기마다 도 9에 나타낸 상기 목표신호 펄스들에서 도 7에 나타낸 상기 원래신호 펄스들을 감산함으로써 구해진 I채널 및 Q채널 제거신호 펄스들을 보인 것이다. 여기서 도 10에 나타낸 상기 제거신호 펄스들은 상기 원래신호나 상기 목표신호와는 반대의 위상을 가짐에 유의하여야 한다.
도 11은 도 10에 나타낸 상기 제거신호 펄스들 중 0과 0 사이에서 최대크기를 가지는 I채널 및 Q채널 제거신호 펄스들을 선택한 예를 보인 것이다. 도 12는 도 11에 나타낸 상기 최대크기 I채널 및 Q채널 제거신호를 펄스정형필터링한 결과와 그 전력 값을 보인 것이다. 도 12에 나타낸 I, Q는 상기 결합부들 3-16, 3-17에서 상기 도 7에 나타낸 상기 I채널 및 Q채널 원래신호와 결합되며, 결과적으로 상기 결합부들 3-16, 3-17의 출력들은 상기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전력증폭기 2-6을 위해 요구된 평균전력 대 최대전력 비를 가지도록 조절된다.
<<제2 실시예>>
이하, 다중 FA를 지원하는 이동통신 기지국 시스템에 대하여 적용되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중 FA 이동통신 기지국 시스템의 송신경로 구성을 도시한 것으로서, 도시한 바와 같이 송신경로는, 채널소자단 13-1, 펄스정형필터단 13-2, 전력증폭기 13-4를 포함한다. 특히 모든 FA들에 대해 원래신호의 평균전력 대 최대전력 비를 조절하기 위한 다중 FA 전력조절블럭 13-3은 상기 펄스정형필터단 13-2와 상기 전력증폭기 13-4 사이에 위치한다.
도 13을 참조하면, 복수의 FA들에 대응하는 복수의 채널소자군들을 구비하는 채널소자단 13-1은 기저대역에서 채널 데이터의 부호화, 변조, 채널 구분 등의 역할을 수행하는 채널소자들을 포함하며 각각의 FA에 대하여 독립적으로 제어를 수행한다. 상기 채널소자군들 각각은 도 2에 도시한 채널소자군 2-1과 동일하게 구성된다. 상기 채널소자단 13-1에 의해 생성된 I채널 및 Q채널 신호는, 각각의 FA에 대하여 신호의 주파수 대역폭을 제한하기 위하여 복수의 FA에 대응하는 복수의 I채널 및 Q채널 펄스정형필터들을 구비하는 상기 펄스정형필터단 13-2의 입력이 된다. 제한된 주파수 대역폭을 갖도록 필터링된 상기 펄스정형필터단 13-2의 출력은 상기 다중 FA 전력조절블럭 13-3의 입력이 된다.
도 13에서 다중 FA 각각에 대응하는 신호 흐름은 도 2와 유사하다. 즉, 상기 다중 FA 전력조절블럭 13-3은 상기 전력증폭기 13-4에서의 안정된 동작을 보장하기 위하여 높은 평균전력 대 최대전력 비를 갖는 입력신호에 대해 전력 조절된 신호를 출력한다. 상기 다중 FA 전력조절블럭 13-3의 출력은 상기 전력증폭기 13-4로 전달되어, 해당 기지국에 의해 서비스되는 셀 내의 모든 단말기에게 충분한 전력으로 신호를 전송할 수 있도록 한다.
도 14는 도 13에서 상기 다중 FA 전력조절블럭 13-3의 상세 구성을 도시한 것이다.
도 14를 참조하면, 상기 다중 FA 전력조절블럭 13-3은 복수의 FA들 각각에 대하여 스케일 값을 결정하는 스케일 값 결정부 14-1과, 상기 복수의 FA들에 대응하는 복수의 전력조절부 14-3, 14-10 내지 14-11과, 결합부 14-12를 포함한다. 상기 복수의 FA들에 대응하는 전력조절부들 14-3, 14-10 내지 14-11은 각각 도 3과 도 6에서 이미 설명한 바와 유사하게 각 FA에 대하여 평균전력 대 최대전력 비 조절 동작을 수행한다. 단지, 스케일 값을 계산함에 있어서 다중 FA를 위한 원래신호 I, Q가 독립적으로 이용되지 않고 연관을 갖게 된다.
이하 도 14의 동작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스케일 값 결정부 14-1은 다중 FA에 대한 원래신호들 I1, Q1, I2, Q2, , IN, QN를 각각 해당하는 제곱기로 입력받아 매 샘플링 주기마다 그 신호 크기(즉 순간전력 값)를 계산한다. 스케일 값 계산기 14-2는 상기 계산된 신호 크기들을 이용하여 다중 FA들에 대한 스케일 값들을 결정한다. 상기 스케일 값들은 미리 저장되는 스케일 표에 의하여 결정되거나 또는 후술되는 수학식들에 의하여 계산된다.
상기 스케일 값 결정부 14-2에서 결정된 상기 스케일 값들은 복수의 FA들에 대응하는 복수의 전력조절부들 14-3, 14-10 내지 14-11로 입력된다. 상기 전력조절부들 14-3, 14-10 내지 14-11 각각은 해당하는 FA에 대하여, 단일 FA에 적용되는 상기 전력조절블럭 2-8과 동일하게 도 6에 나타낸 절차를 수행한다. 이하에서 사익 전력조절부 14-3을 예를 들어 그 상세한 동작절차를 설명할 것이나 다른 전력조절부들 14-10 내지 14-11도 동일하게 동작함은 물론이다.
상기 스케일 값 결정부 14-1에서 구해진 스케일 값들 중 해당하는 FA의 스케일 값 S1은 상기 전력조절부 14-3의 제거신호 계산기 14-4로 제공된다. 상기 제거신호 계산기 14-4는 원래신호 I1, Q1에 상기 스케일 값 S1을 곱하여 I채널 및 Q채널 목표신호를 구하고 상기 목표신호에서 상기 원래신호 I1, Q1을 감산함으로써 제거신호를 계산한다. 최대크기 판단기 14-5는 매 샘플링 주기마다 상기 제거신호 계산기 14-4로부터 전달되는 상기 제거신호들 중 0과 0 사이에서 최대크기를 가지는 제거신호를 선택하여 유지하고 나머지 제거신호들은 0으로 조정한다. 상기 최대크기 판단기 14-5에 의해 선택된 상기 최대크기 제거신호는 시스템에서 요구하는 주파수 대역폭으로 제한하기 위하여 최대크기 펄스정형필터 14-6의 입력이 된다.
한편, 상기 원래신호 I1, Q1은 시간 지연기 14-7에 의하여 시간 지연된 후, 합산기 14-8에 의하여 상기 최대크기 펄스정형필터 14-6의 출력과 합산됨으로써 전력 조절된 신호를 생성한다. 상기 합산기 14-8의 출력은 주파수 변환기 14-9로 입력되어 각각 다른 중심 주파수를 사용하여 해당하는 FA(1)의 무선주파수(RF) 대역으로 주파수 상승 변환된다.
마찬가지로 다른 전력조절부들 14-10 내지 14-11도 동일한 동작을 수행하여 FA(2) 내지 FA(N) 대역의 신호들을 각각 출력한다. 다중 FA에 대한 상기 전력조절부들 14-3, 14-10 내지 14-11의 출력들은 상기 결합부 14-12에 의해 결합되어 상기 전력증폭기 13-4의 입력이 된다.
도 15는 3개의 FA를 지원하는 시스템에서 다중 FA 대역의 신호들이 결합된 상기 결합부 14-12의 출력을 보인 것이다.
상기 도 15를 참조하면, 15-1, 15-2, 15-3은 서로 다른 주파수 대역 FA(1), FA(2), FA(3) 각각을 위한 원래신호의 크기를 반지름으로 하는 원들이고, 15-5는 전력증폭기 13-4를 위해 요구된 평균전력 대 최대전력 비를 보장하도록 미리 정해지는 임계 신호크기(즉 임계전력)와 같은 반지름을 가지는 원이다. 여기서 원래신호들의 주파수들은 FA(1) < FA(2) < FA(3)의 관계를 가진다. 이러한 주파수 대역의 차이로 인하여, 상기 원 15-1을 형성하는 벡터와 상기 원 15-2를 형성하는 벡터의 결합은 상기 원 15-1상의 한 점을 중심으로 하는 상기 원 15-2를 형성하게 되고, 마찬가지로 상기 원 15-1을 형성하는 벡터와 상기 원 15-2를 형성하는 벡터 및 상기 원 15-3을 형성하는 벡터의 결합은 상기 원 15-2상의 한 점을 중심으로 하는 상기 원 15-3을 형성하게 된다.
상기 주파수들 사이의 관계에 따르면 FA(1)의 신호변화보다는 FA(2) 신호변화가 더 빠르게 일어나고, FA(2)의 신호변화보다는 FA(3)의 신호변화가 더 빠르게 일어난다. 따라서 각 FA에서 순간 신호크기의 일정하지 않고 해당하는 원을 따라 주기적으로 변화한다. 결과적으로 상기 결합부 14-12 출력의 최대값은 점 15-4로 나타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최대값은 모든 FA에 대한 순간 신호크기들의 합과 동일하다. 상기 순간 신호크기의 합이 상기 임계 신호크기보다 작아야 한다는 조건을 만족시키기 위해서는 상기 결합부 14-12의 출력이 상기 원 15-5의 안쪽에 위치하도록 하는 스케일 값이 결정되어야 한다.
상기와 같은 조건을 만족시키기 위해 상기 다중 FA 전력조절블럭 13-3이 다중 FA에 대한 스케일 값들을 계산함에 있어서, 각 FA마다 입력된 원래신호들의 순간 신호크기들의 합이 미리 정해지는 임계 신호크기보다 작거나 같은 경우에는 다중 FA를 위한 스케일 값들은 모두 1로 정해진다. 반면 원래신호의 순간 신호크기들의 합이 임계 신호크기보다 큰 경우에는 적절한 스케일 값들이 계산되어야 한다. 이때 모든 FA들은 동일한 스케일 값을 공유하거나 또는 서로 다른 스케일 값을 가질 수 있다.
여기서 FA들이 서로 다른 스케일 값들을 가지는 경우는 FA들이 서로 다른 서비스 등급, 즉 우선도(priority)를 가지는 경우이다. 즉 발전된 기지국 시스템은 FA들마다 서로 다른 우선도를 부여할 수 있다. 실제로 CDMA2000 EV DO(EVolution Data Only) 시스템은 CDMA 1세대 서비스를 제공하는 FA와 고속의 데이터 서비스(High speed Data Rate Service)를 제공하는 FA를 구별한다. 고속의 데이터 서비스만을 제공하는 FA는 서비스의 특성상 송신신호의 품질에 민감하기 때문에 CDMA 1세대 서비스를 지원하는 FA에 비하여 더 높은 우선도를 가질 필요가 있다.
도 16을 참조하여 상기 스케일 값 계산기 14-2가 동등한 우선도를 가지는 N개의 FA들에 대하여 적용될 하나의 스케일 값을 계산하는 절차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6을 참조하면, 먼저 도 14에서 FA(1)의 순간 신호크기
Figure 112002022600006-pat00036
가 원래신호 I1의 제곱 값과 원래신호 Q1의 제곱 값의 합의 제곱근에 의하여 구해진다.(
Figure 112002022600006-pat00094
) 동일한 방법으로 각 FA의 순간 신호크기
Figure 112002022600006-pat00037
(여기서 i는 1, 2, ... N)이 구해지면, 상기 결합부 14-12 출력의 최대값을 구하기 위해서 모든 FA들의 순간 신호크기들의 합
Figure 112002022600006-pat00002
이 계산된다.(16-1)
상기 계산된 순간 신호크기들의 합
Figure 112002022600006-pat00003
은 미리 정해지는 임계 신호크기
Figure 112002022600006-pat00038
와 비교된다.(16-2) 상기 순간 신호크기들의 합
Figure 112002022600006-pat00004
이 상기 임계 신호크기
Figure 112002022600006-pat00039
보다 작거나 같은 경우 모든 FA들의 스케일 값은 1로 정해진다.(16-3) 그렇지 않은 경우, 상기 모든 FA들의 스케일 값 S는 하기의 <수학식 3>과 같이 상기 임계 신호크기를 상기 순간 신호크기들의 합으로 나누어서 구할 수 있다.(16-4)
Figure 112001017319321-pat00005
상기와 같은 절차에 따라 구해진 스케일 값은 다중 FA를 위한 제거신호 계산기들 14-4로 제공되어, 원래신호가 가능한 최대의 신호크기를 가지는 경우를 위한 제거신호를 발생시키는데 이용된다.
한편, 서로 다른 우선도를 가지는 N개의 FA들에 대한 스케일 값들을 계산하는 방법으로는 가중치를 이용하는 첫 번째 방법과 등급별 임계 신호크기를 이용하는 두 번째 방법이 있다.
먼저, 도 17을 참조하여 상기 스케일 값 계산기 14-2가 가중치를 사용하여 FA들에 대한 스케일 값들을 계산하는 첫 번째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 방법은 FA들을 위한 신호들에 대하여 서로 다른 가중치를 부여함으로써 각 FA에 대한 스케일 값을 계산한다.
도 17을 참조하면, 도 14에서 FA(1)의 순간 신호크기
Figure 112002022600006-pat00040
는 원래신호 I1의 제곱 값과 원래신호 Q1의 제곱 값의 합의 제곱근에 의하여 구해진다.(
Figure 112002022600006-pat00095
) 이와 유사하게 각 FA의 순간 신호크기
Figure 112002022600006-pat00041
(여기서 i는 1, 2, ... N)이 구해지면, 상기 결합부 14-12 출력의 최대값을 구하기 위해서 모든 FA들의 순간 신호크기들의 합
Figure 112002022600006-pat00006
이 계산된다.(17-1)
상기 계산된 순간 신호크기들의 합
Figure 112002022600006-pat00007
은 미리 정해지는 임계 신호크기
Figure 112002022600006-pat00042
와 비교된다.(17-2) 상기 순간 신호크기들의 합
Figure 112002022600006-pat00008
이 상기 임계 신호크기
Figure 112002022600006-pat00043
보다 작거나 같은 경우 모든 FA들의 스케일 값들은 1로 정해진다.(17-3) 그렇지 않은 경우, 각 FA에 대하여 해당하는 서비스 등급에 따라 결정되는 가중치
Figure 112002022600006-pat00044
를 설정한다.(17-4) 여기서 가중치
Figure 112002022600006-pat00045
는 i번째 FA를 위한 가중치를 의미한다.
우선도에 따라 가중된 각 FA를 위한 원래 신호크기는
Figure 112002022600006-pat00046
,
Figure 112002022600006-pat00047
...
Figure 112002022600006-pat00048
로 나타낼 수 있다. 여기서 높은 우선도를 가지는 FA일수록 더 큰 가중치를 가져야 한다. 하나의 예로서 가중치는 해당 FA에 부여된 우선도의 비율로서 정해질 수 있다. 즉, 예를들면 모든 FA는 서비스 등급 1 또는 서비스 등급 2에 속하고, 서비스 등급 1이 서비스 등급 2보다 높은 우선도를 가지는 경우 서비스 등급 1을 위한 가중치는 2, 서비스 등급 2를 위한 가중치는 1로 정해질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가중치들이 정해지면, FA들의 스케일 값들을 구하기 위해서 먼저 공통 스케일 값(Global Scale Value)
Figure 112002022600006-pat00049
을 계산한다.(17-5) 상기 공통 스케일 값
Figure 112002022600006-pat00050
은 하기의 <수학식 4>에 의하여 계산된다.
Figure 112001017319321-pat00009
Figure 112001017319321-pat00010
i번째 FA에 대한 스케일 값 Si는 상기 공통 스케일 값 Sglobal과 해당하는 FA에 대해 설정된 가중치
Figure 112002022600006-pat00051
의 곱으로써 하기의 <수학식 5>와 같이 계산된다.(17-6)
Figure 112001017319321-pat00011
Figure 112001017319321-pat00012
상기와 같은 절차에 따라 구해진 FA들에 대한 스케일 값들은 해당하는 FA를 위한 제거신호 계산기로 제공된다. 이와 같이 계산되는 가중치들은 FA들별로 스케일 값을 결정하는데 영향을 주게 된다. 게다가 높은 우선권을 가지는 FA는 송신전력의 제한을 적게 받기 때문에 사용 가능한 송신전력의 효율을 극대화 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18과 도 19를 참조하여 상기 스케일 값 계산기 14-2가 임계 신호크기를 조절하여 FA들에 대한 스케일 값들을 계산하는 두 번째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 방법은 다중 FA를 우선도가 높은 순으로 서비스 등급 1, 서비스 등급 2, ..., 서비스 등급 k로 분류하고 각각의 서비스 등급마다 등급별 임계 신호크기
Figure 112002022600006-pat00052
,
Figure 112002022600006-pat00053
, ...
Figure 112002022600006-pat00054
을 미리 결정한다. 여기서
Figure 112002022600006-pat00055
는 i번째 서비스 등급에 대한 등급별 임계 신호크기를 나타내며 우선도가 높은 등급일수록 더 큰 등급별 임계 신호크기를 가진다. 즉,
Figure 112002022600006-pat00056
>
Figure 112002022600006-pat00057
> ... >
Figure 112002022600006-pat00058
의 관계를 가진다. 이때, 모든 등급별 임계 신호크기들의 합
Figure 112002022600006-pat00059
+
Figure 112002022600006-pat00060
+ ... +
Figure 112002022600006-pat00061
은 시스템에서 요구하는 전체 임계 신호크기
Figure 112002022600006-pat00062
보다 클 수 없다.
실제로 CDMA2000 EV DO 시스템의 경우 고속 데이터 서비스를 위한 FA들을 서비스 등급 1로 정하고, CDMA 1세대 서비스를 위한 FA들을 서비스 등급 2로 정할 수 있다. 도 18을 참조하면 서비스 등급 1을 위한 임계 신호크기는 원 18-1로 나타낼 수 있으며 서비스 등급 2를 위한 임계 신호크기는 원 18-2로 나타낼 수 있다. 따라서 도 18에 나타낸 바깥쪽의 원은 전체 임계 신호크기
Figure 112002022600006-pat00063
을 의미한다.
도 19를 참조하여 임계 신호크기를 조절하여 각 FA에 대한 스케일 값을 계산하는 절차에 대하여 설명하면, 먼저 도 14에서 FA(1)의 순간 신호크기
Figure 112002022600006-pat00064
는 I1의 제곱 값과 Q1의 제곱 값의 합에 의하여 구해진다.(
Figure 112002022600006-pat00096
) 동일한 방법으로 각 FA의 순간 신호크기
Figure 112002022600006-pat00065
(여기서 i는 1, 2, ... N)이 구해지면, 상기 결합부 14-12 출력의 최대값을 구하기 위해서 모든 FA들의 순간 신호크기들의 합
Figure 112002022600006-pat00013
이 계산된다.(19-1)
상기 계산된 순간 신호크기들의 합
Figure 112002022600006-pat00014
은 미리 정해지는 전체 임계 신호크기
Figure 112002022600006-pat00066
와 비교된다.(19-2) 상기 순간 신호크기들의 합
Figure 112002022600006-pat00015
이 상기 전체 임계 신호크기
Figure 112002022600006-pat00067
보다 작거나 같은 경우 모든 FA들의 스케일 값들은 1로 정해진다.(19-3) 그렇지 않은 경우, 우선도가 높은 순서대로 각 FA에 대한 스케일 값을 계산해 나간다.
먼저, 가장 높은 우선도를 가지는 서비스 등급 1인 FA들의 평균 순간 신호크기
Figure 112002022600006-pat00068
은 미리 정해진 서비스 등급 1의 임계 신호크기
Figure 112002022600006-pat00069
과 비교된다.(19-4) 상기
Figure 112002022600006-pat00070
이 상기
Figure 112002022600006-pat00071
보다 크면, 서비스 등급 1인 FA들에 대한 스케일 값은
Figure 112002022600006-pat00072
/
Figure 112002022600006-pat00073
로 계산된다.(19-5) 반면에 상기
Figure 112002022600006-pat00074
이 상기
Figure 112002022600006-pat00075
보다 작거나 같으면 서비스 등급 1인 FA들에 대한 스케일 값은 1로 정해지고, 동시에 서비스 등급 2인 FA들을 위한 새로운
Figure 112002022600006-pat00076
가 서비스 등급 2인 FA들을 위하여 미리 정해진
Figure 112002022600006-pat00077
Figure 112002022600006-pat00078
-
Figure 112002022600006-pat00079
을 합산함으로써 계산된다.(new
Figure 112002022600006-pat00097
=
Figure 112002022600006-pat00098
+
Figure 112002022600006-pat00099
)(19-6) 이는 서비스 등급 1인 FA들에서 사용되지 않고 남겨지는 여분의 전력(
Figure 112002022600006-pat00080
-
Figure 112002022600006-pat00081
)을 서비스 등급 2인 FA에게 할당함으로써 전력 사용의 효율을 높이기 위함이다.
마찬가지로 서비스 등급 2인 FA들의 평균 순간 신호크기
Figure 112002022600006-pat00082
은 상기 단계(19-6)에서 계산된 서비스 등급 2의 새로운
Figure 112002022600006-pat00083
과 비교된다.(19-7) 상기
Figure 112002022600006-pat00084
가 상기 새로운
Figure 112002022600006-pat00085
보다 크면, 서비스 등급 2인 FA들에 대한 스케일 값은
Figure 112002022600006-pat00086
/
Figure 112002022600006-pat00087
로 계산된다.(19-8) 반면에 상기
Figure 112002022600006-pat00088
가 상기 새로운
Figure 112002022600006-pat00089
보다 작거나 같으면 서비스 등급 2인 FA들에 대한 스케일 값은 1로 정해지고, 동시에 서비스 등급 3인 FA들을 위한 새로운
Figure 112002022600006-pat00090
가 서비스 등급 3인 FA들을 위해 미리 정해진
Figure 112002022600006-pat00091
Figure 112002022600006-pat00092
-
Figure 112002022600006-pat00093
을 합산함으로써 계산된다.(new
Figure 112002022600006-pat00100
=
Figure 112002022600006-pat00101
+
Figure 112002022600006-pat00102
)(19-9)
이와 같은 식으로 가장 낮은 서비스 등급 k인 FA들을 위한 스케일 값들까지 결정되면,(19-10 내지 19-12) 각 FA에 대한 스케일 값들은 해당하는 FA를 위한 제거신호 계산기로 제공된다. 이와 같은 임계 신호크기의 조절을 통하여 각 FA의 특성에 따라서 최소한의 성능을 보장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지 않으며, 후술되는 특허청구의 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동작하는 본 발명에 있어서, 개시되는 발 명중 대표적인 것에 의하여 얻어지는 효과를 간단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전력조절블럭은 DS-CDMA, W-CDMA, MC-CDMA 등 다양한 시스템에서 사용될 수 있으며 간단하게 구현할 수 있다. 또한 종래의 사전왜곡 조정회로와 함께 사용될 수 있고, 전체 시스템의 성능에 영향을 주지 않으면서, CDMA 시스템과 같이 다중 사용자와 부가채널 신호 합에 의한 신호에서 발생하게 되는 높은 평균전력 대 최대전력 비에 따른 전력증폭기의 비효율적 동작에 의한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다. 게다가 고가의 전력증폭기를 사용하지 않고도 성능 열화를 최소화할 수 있으므로 시스템의 전체 비용이 감소된다.
특히 다중 FA를 지원하는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각각의 FA에 대하여 스케일 값을 제어하는 과정을 통하여 다중 FA 전송 시에 각 FA 신호의 특성에 따라서 최소한의 성능을 보장해 줄 수 있고 전체 사용 전력의 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다.

Claims (36)

  1. 단일 할당 주파수(FA)를 지원하는 이동통신 기지국 시스템의 송신전력 제어장치에 있어서,
    각각의 채널별로 전송을 위한 채널 데이터를 동위상(I) 신호성분과 직교위상(Q) 신호성분으로 구분하여 기저대역의 신호를 생성하는 채널소자군과,
    상기 기저대역의 신호를 펄스정형필터링하는 펄스정형필터와,
    선형화된 전력증폭을 위하여 설정된 임계전력에 따라 상기 펄스정형필터링된 신호의 평균전력 대 최대전력 비를 조절한 후 출력하는 전력조절블럭과,
    상기 전력조절된 신호를 무선주파수 대역의 신호로 상승변환하여 출력하는 주파수 변환기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조절블럭은,
    상기 펄스정형필터에 의해 필터링된 결과인 원래신호를 제공받아 매 샘플링 주기마다 순간전력 값을 측정하여 상기 임계전력 값과 비교하고, 상기 비교결과에 따라 스케일 값을 결정하는 스케일 값 결정부와,
    상기 원래신호에 상기 결정된 스케일 값을 곱함으로써 목표신호를 구하고 상기 목표신호에서 상기 원래신호를 감산함으로써 제거신호를 계산하는 제거신호 계산부와,
    상기 원래신호를 상기 스케일 값 결정부와 상기 제거신호 계산부에 의한 전체 시간지연만큼 지연시키는 신호 지연부와,
    상기 지연된 신호와 상기 제거신호를 결합하여 출력하는 결합부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장치.
  3. 단일 할당 주파수(FA)를 지원하는 이동통신 기지국 시스템의 송신전력 제어방법에 있어서,
    각각의 채널별로 전송을 위한 채널 데이터를 동위상(I) 신호성분과 직교위상(Q) 신호성분으로 구분하여 기저대역의 원래신호를 생성하는 제1 과정과,
    상기 기저대역의 신호를 펄스정형필터링하는 제2 과정과,
    선형화된 전력증폭을 위하여 설정된 임계전력에 따라 상기 펄스정형필터링된 신호의 평균전력 대 최대전력 비를 조절한 후 출력하는 제3 과정과,
    상기 전력조절된 신호를 무선주파수 대역의 신호로 상승변환하여 출력하는 제4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3 과정은,
    상기 펄스정형필터링된 결과인 원래신호를 제공받아 매 샘플링 주기마다 순간전력 값을 측정하여 상기 임계전력 값과 비교하고, 상기 비교결과에 따라 스케일 값을 설정하는 제1 단계와,
    상기 원래신호에 상기 결정된 스케일 값을 곱함으로써 목표신호를 구하고 상기 목표신호에서 상기 원래신호를 감산함으로써 제거신호를 계산하는 제2 단계와,
    상기 계산된 제거신호를 상기 원래신호와 결합하여 출력하는 제3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방법.
  5. 다중 할당 주파수(FA)를 지원하는 이동통신 기지국 시스템의 송신전력 제어장치에 있어서,
    각각의 채널별로 전송을 위한 채널 데이터를 동위상(I) 신호성분과 직교위상(Q) 신호성분으로 구분하여 복수의 FA들을 위한 기저대역의 신호들을 생성하는 상기 복수의 FA들에 대응하는 복수의 채널소자군들과,
    상기 복수의 채널소자군들에 연결되어 상기 기저대역의 신호들을 펄스정형필터링하는 상기 복수의 FA들에 대응하는 복수의 펄스정형필터들과,
    선형화된 전력증폭을 위하여 설정된 임계전력에 따라 상기 펄스정형필터링된 신호들의 평균전력 대 최대전력 비를 조절한 후 해당하는 무선주파수 대역에서 출력하는 다중 FA 전력조절블럭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다중 FA 전력조절블럭은,
    상기 복수의 펄스정형필터들에 의해 필터링된 결과인 각 FA의 원래신호들을 제공받아 매 샘플링 주기마다 순간전력 값들을 측정하여 상기 임계전력 값과 비교하고, 상기 비교결과에 따라 각 FA별 스케일 값을 결정하는 스케일 값 결정부와,
    상기 각 FA의 원래신호들을 각각 입력받아 상기 스케일 값을 이용하여 평균전력 대 최대전력 비를 조절한 후 출력하는 상기 복수의 FA들에 대응하는 복수의 전력조절부들과,
    상기 복수의 전력조절부들의 출력들을 결합하여 출력하는 결합부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전력조절부들 각각은,
    상기 복수의 펄스정형필터들 중 해당하는 FA의 펄스정형필터로부터 제공된 원래신호에 상기 스케일 값 결정부로부터 제공된 해당하는 스케일 값을 곱함으로써 목표신호를 구하고 상기 목표신호로부터 상기 원래신호를 감산함으로써 제거신호를 계산하는 제거신호 계산기와,
    상기 원래신호를 상기 스케일 값 결정부와 상기 제거신호 계산기에 의한 전체 시간지연만큼 지연시키는 신호 지연기와,
    상기 지연된 신호와 상기 계산된 제거신호를 합산하여 출력하는 합산기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장치.
  8. 다중 할당 주파수(FA)를 지원하는 이동통신 기지국 시스템의 송신전력 제어방법에 있어서,
    각각의 채널별로 전송을 위한 채널 데이터를 동위상(I) 신호성분과 직교위상(Q) 신호성분으로 구분하여 복수의 FA들을 위한 기저대역 신호들을 생성하는 제1 과정과,
    상기 기저대역의 신호들을 펄스정형필터링하는 제2 과정과,
    선형화된 전력증폭을 위하여 설정된 임계전력에 따라 상기 펄스정형필터링된 신호들의 평균전력 대 최대전력 비를 조절한 후 해당하는 무선주파수 대역에서 출력하는 제3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3 과정은,
    상기 펄스정형필터링된 결과인 각 FA의 원래신호들을 제공받아 매 샘플링 주기마다 순간전력 값들을 측정하여 상기 임계전력 값과 비교하고, 상기 비교결과에 따라 각 FA별 스케일 값을 결정하는 제1 단계와,
    상기 각 FA의 원래신호들을 각각 입력받아 상기 스케일 값을 이용하여 평균전력 대 최대전력 비를 조절하는 제2 단계와,
    상기 전력조절된 신호들을 결합하여 출력하는 제3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방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FA들이 동등한 서비스 등급인 경우, 상기 스케일 값은 하기의 <수학식 6>에 의하여 계산됨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방법.
    Figure 112002022600006-pat00103
    if , then S=1
    if
    Figure 112002022600006-pat00104
    , then S=
    Figure 112002022600006-pat00105
    Pi : i번째 FA에 대한 순간전력 값, 여기서 i는 1, 2, ... , N.
    Pth : 임계전력 값
    S : 복수의 FA에 대한 스케일 값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FA들이 서로 다른 서비스 등급으로 분류되는 경우 상기 복수의 FA들에 대한 상기 스케일 값은 하기의 <수학식 7>에 의하여 계산됨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방법.
    Figure 112002022600006-pat00106
    Si : i번째 FA에 대한 스케일 값, 여기서 i는 1, 2, ..., N
    Figure 112002022600006-pat00107
    : i번째 FA에 대해 할당된 가중치
    Pth : 임계전력 값
    Pi : i번째 FA에 대한 순간전력 값.
  12.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FA들이 서로 다른 서비스 등급으로 분류되는 경우, 상기 복수의 FA들에 대한 스케일 값은 하기의 <수학식 8>에 의하여 계산됨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방법.
    Figure 112002022600006-pat00108
    if , then Si=1

    if
    Figure 112002022600006-pat00109
    , then Si=
    Figure 112002022600006-pat00110

    Pi : i번째 FA에 대한 순간전력 값, 여기서 i는 1, 2, ... , N.
    Pth-i : i번째 FA에 대해 서비스 등급에 따라 설정된 임계전력 값
    Si : i번째 FA에 대한 스케일 값.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i번째 FA에 대한 임계전력 값은, 보다 높은 서비스 등급을 가지는 FA에 대한 스케일 값이 1로 결정될 때, 상기 보다 높은 서비스 등급을 가지는 FA에 대해 설정된 임계전력 중 남겨진 여분의 전력과 합산되어 갱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방법.
  1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조절블럭은,
    매 샘플링 주기마다 상기 제거신호 계산부에 의하여 계산된 제거신호들을 입력받아, 상기 제거신호들 중 최대크기를 가지는 제거신호를 선택하는 최대크기 판단부와,
    상기 선택된 제거신호를 상기 지연된 신호와 결합하기 이전에 펄스정형필터링하는 최대크기 펄스정형필터를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장치.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최대크기 판단부는,
    0이 아닌 연속되는 제거신호들 중 최대크기를 가지는 제거신호를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장치.
  16.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스케일 값은, 하기의 <수학식 9>에 의하여 계산됨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장치.
    if 순간전력 값 ≤ 임계전력 값, then 스케일 값 =1
    if 순간전력 값 > 임계전력 값, then 스케일 값 =
    Figure 112002022600006-pat00111
  17.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임계전력 값은 하기의 <수학식 10>에 의하여 계산됨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장치.
    Pth = Paverage ×10(백오프/10)
    Pth : 임계전력 값
    Paverage : 상기 이동통신 시스템의 평균전력 값
    백오프 : 상기 이동통신 시스템의 평균전력에 대해 선형증폭을 위하여 요구되는 최대전력의 비.
  18. 제 4 항에 있어서, 매 샘플링 주기마다 상기 계산된 제거신호들을 입력받아, 상기 제거신호들 중 최대크기를 가지는 제거신호를 선택하는 제4 단계와,
    상기 선택된 제거신호를 상기 원래신호와 결합하기 이전에 펄스정형 필터링하는 제5 단계를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방법.
  19. 제 18 에 있어서, 상기 제4 단계는,
    0이 아닌 연속되는 제거신호들 중 최대크기를 가지는 제거신호를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방법.
  20.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원래신호를 상기 선택된 제거신호와 결합하기 이전에 상기 선택된 제거신호와 동위상이 되도록 소정 시간만큼 지연시키는 제6단계를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방법.
  21.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스케일 값은, 하기의 <수학식 11>에 의하여 계산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if 순간전력 값 ≤ 임계전력 값, then 스케일 값 =1
    if 순간전력 값 > 임계전력 값, then 스케일 값 =
    Figure 112002022600006-pat00112
  22.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임계전력 값은 하기의 <수학식 12>에 의하여 계산됨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방법.
    Pth = Paverage ×10(백오프/10)
    Pth : 임계전력 값
    Paverage : 상기 이동통신 시스템의 평균전력 값
    백오프 : 상기 이동통신 시스템의 평균전력에 대해 선형증폭을 위하여 요구되는 최대전력의 비.
  23.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전력조절부들 각각은,
    매 샘플링 주기마다 상기 계산된 제거신호들을 입력받아, 상기 제거신호들 중 최대크기를 가지는 제거신호를 선택하는 최대크기 판단기와,
    상기 선택된 제거신호를 상기 지연된 신호와 합산하기 이전에 펄스정형필터링하는 최대크기 펄스정형필터를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장치.
  24.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최대크기 판단기는,
    0이 아닌 연속되는 제거신호들 중 최대크기를 가지는 제거신호를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장치.
  25.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FA가 동등한 서비스 등급인 경우 상기 스케일 값은, 하기의 <수학식 13>에 의하여 계산됨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장치.
    Figure 112002022600006-pat00113
    if , then Si =1

    if
    Figure 112002022600006-pat00114
    , then Si =
    Figure 112002022600006-pat00115
    Pi : i번째 FA에 대한 순간전력 값, 여기서 i는 1, 2, ... N
    Pth : 임계전력 값
    Si : i번째 FA에 대한 스케일 값.
  26.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FA가 서로 다른 서비스 등급으로 분류되는 경우 상기 복수의 FA들에 대한 상기 스케일 값은, 하기의 <수학식 14>에 의하여 계산됨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장치.
    Figure 112002022600006-pat00116

    Si : i번째 FA에 대한 스케일 값, 여기서 i는 1, 2, ... N
    Figure 112002022600006-pat00117
    : i번째 FA에 대하여 할당된 가중치
    Pth : 임계전력 값
    Pi : i번째 FA에 대한 순간전력 값.
  2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FA가 서로 다른 서비스 등급으로 분류되는 경우 상기 복수의 FA들 각각에 대한 스케일 값은, 하기의 <수학식 15>에 의하여 계산됨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장치.
    Figure 112002022600006-pat00118
    if , then Si =1

    if
    Figure 112002022600006-pat00119
    , then Si =
    Figure 112002022600006-pat00120
    Pi : i번째 FA에 대한 순간전력 값, 여기서 i는 1, 2, ... N
    Pth-i : i번째 FA에 대해 서비스 등급에 따라 설정된 임계전력 값
    Si : i번째 FA에 대한 스케일 값.
  28. 제 27 항에 있어서, 상기 i번째 FA에 대한 임계전력 값은, 보다 높은 서비스 등급을 가지는 FA에 대한 스케일 값이 1로 결정될 때, 상기 보다 높은 서비스 등급을 가지는 FA에 대해 설정된 임계전력 중 남겨진 여분의 전력과 합산되어 갱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장치.
  29. 제 28 항에 있어서, 상기 여분의 전력은 상기 보다 높은 서비스 등급을 가지는 FA에 대해 설정된 임계전력과 해당하는 순간전력의 차이임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장치.
  30.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임계전력 값은 하기의 <수학식 16>에 의하여 계산됨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장치.
    Pth = Paverage ×10(백오프/10)
    Pth : 상기 임계전력 값
    Paverage : 상기 이동통신 시스템의 평균전력 값
    백오프 : 상기 이동통신 시스템의 평균전력에 대해 선형증폭을 위하여 요구되는 최대전력의 비.
  3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단계는,
    해당하는 FA에 대한 원래신호에, 해당하는 스케일 값을 곱함으로써 목표신호를 구하고 상기 목표신호로부터 상기 원래신호를 감산함으로써 제거신호를 계산하는 제1 서브단계와,
    상기 계산된 제거신호를 상기 원래신호와 합산하여 출력하는 제2 서브단계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방법.
  32. 제 31 항에 있어서, 매 샘플링 주기마다 계산된 제거신호들을 입력받아 상기 제거신호들 중 최대크기를 가지는 제거신호를 선택하는 제3 서브단계와,
    상기 선택된 제거신호를 상기 원래신호와 합산하기 이전에 펄스정형필터링하는 제4 서브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방법.
  33. 제 32 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서브단계는,
    0이 아닌 연속되는 제거신호들 중 최대크기를 가지는 제거신호를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방법
  34. 제 31 항에 있어서, 상기 원래신호를 상기 계산된 제거신호와 합산하기 이전에 상기 계산된 제거신호와 동위상이 되도록 소정 시간만큼 지연시키는 제3 서브단계를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방법.
  35.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여분의 전력은 상기 보다 높은 서비스 등급을 가지는 FA에 대해 설정된 임계전력과 해당하는 순간전력의 차이임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방법.
  36.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임계전력 값은 하기의 <수학식 17>에 의하여 계산됨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방법.
    Pth = Paverage ×10(백오프/10)
    Pth : 상기 임계전력 값
    Paverage : 상기 이동통신 시스템의 평균전력 값
    백오프 : 상기 이동통신 시스템의 평균전력에 대해 선형증폭을 위하여 요구되는 최대전력의 비.
KR20010042312A 2001-07-13 2001-07-13 이동통신 시스템의 송신전력 제어장치 및 방법 Expired - Fee Related KR10054784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10042312A KR100547843B1 (ko) 2001-07-13 2001-07-13 이동통신 시스템의 송신전력 제어장치 및 방법
PCT/KR2002/001304 WO2003007507A1 (en) 2001-07-13 2002-07-10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ransmission power in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BR0205754A BR0205754A (pt) 2001-07-13 2002-07-10 Aparelho e método para controle de potência de transmissão em um sistema de comunicação móvel
CA002421235A CA2421235C (en) 2001-07-13 2002-07-10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ransmission power in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RU2003106808A RU2251800C2 (ru) 2001-07-13 2002-07-10 Устройство и способ управления мощностью передачи в системе мобильной связи
AU2002315936A AU2002315936B2 (en) 2001-07-13 2002-07-10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ransmission power in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JP2003513149A JP3908732B2 (ja) 2001-07-13 2002-07-10 移動通信システムの送信電力制御装置及び方法
CNB028027132A CN1213551C (zh) 2001-07-13 2002-07-10 移动通信系统中用于控制发送功率的装置和方法
GB0216065A GB2381396B (en) 2001-07-13 2002-07-11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ransmission power in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DE2002624242 DE60224242T2 (de) 2001-07-13 2002-07-12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Regelung der Sendeleistung in einem mobilen Kommunikationssystem
US10/194,692 US6944469B2 (en) 2001-07-13 2002-07-12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ransmission power in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EP20020015720 EP1276233B1 (en) 2001-07-13 2002-07-12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ransmission power in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DE20211598U DE20211598U1 (de) 2001-07-13 2002-07-15 Apparat für die Steuerung der Übertragungsleistung in einem Kommunikationssystem
FR0208901A FR2827445B1 (fr) 2001-07-13 2002-07-15 Dispositif et procede pour maximiser le rendement d'un amplificateur de puissance d'une station de base dans un systeme de communication mobi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10042312A KR100547843B1 (ko) 2001-07-13 2001-07-13 이동통신 시스템의 송신전력 제어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06512A KR20030006512A (ko) 2003-01-23
KR100547843B1 true KR100547843B1 (ko) 2006-02-01

Family

ID=197121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10042312A Expired - Fee Related KR100547843B1 (ko) 2001-07-13 2001-07-13 이동통신 시스템의 송신전력 제어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3)

Country Link
US (1) US6944469B2 (ko)
EP (1) EP1276233B1 (ko)
JP (1) JP3908732B2 (ko)
KR (1) KR100547843B1 (ko)
CN (1) CN1213551C (ko)
AU (1) AU2002315936B2 (ko)
BR (1) BR0205754A (ko)
CA (1) CA2421235C (ko)
DE (2) DE60224242T2 (ko)
FR (1) FR2827445B1 (ko)
GB (1) GB2381396B (ko)
RU (1) RU2251800C2 (ko)
WO (1) WO200300750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U2001273402A1 (en) 2000-07-26 2002-02-05 Interdigital Technology Corporation Fast adaptive power control for a variable multirate communications system
DE10206966B4 (de) * 2002-02-19 2011-08-11 Rohde & Schwarz GmbH & Co. KG, 81671 Verfahren zum Schätzen von Verstärkungsfaktoren eines CDMA-Signals
JP4152205B2 (ja) * 2003-01-29 2008-09-17 富士通株式会社 ディジタルベースバンド変/復調装置
JP4099086B2 (ja) * 2003-02-28 2008-06-11 株式会社エヌ・ティ・ティ・ドコモ 移動通信システム、無線制御装置、基地局及び送信電力制御方法
GB2402308B (en) * 2003-05-28 2006-01-04 Nokia Corp Par reduction for edge clipper
US7808944B2 (en) * 2003-11-21 2010-10-05 Interdigital Technology Corporation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the transmission power of downlink and uplink coded composite transport channels based on discontinuous transmission state values
US7142831B2 (en) * 2003-12-18 2006-11-28 Kiomars Anvari Crest factor reduction and amplitude pre-distortion for multi-carrier signals
KR20050087893A (ko) * 2004-02-27 2005-09-01 삼성전자주식회사 코드분할 다중접속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피크 전력 대평균전력 비 감소 장치 및 방법
US20050195916A1 (en) * 2004-03-04 2005-09-08 Kiomars Anvari Clipping technique for bursty complex and real signal
US7676247B2 (en) * 2004-03-04 2010-03-09 St-Ericsson Sa Baseband processor and a method of transmitting commands to a radio-frequency subsystem and radio telecommunication apparatus incorporating the baseband processor
KR100606358B1 (ko) * 2004-09-10 2006-07-28 엘지노텔 주식회사 이동통신 시스템의 다중 에프에이용 송신기 및 그 제어방법
WO2006040388A1 (en) * 2004-10-12 2006-04-20 Nokia Corporation Power control
KR100882529B1 (ko) * 2005-04-20 2009-02-06 삼성전자주식회사 광대역 무선통신시스템에서 피크 전력 대 평균 전력비를감소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CN100527602C (zh) * 2005-06-06 2009-08-12 株式会社Ntt都科摩 多频带用型幂级数型前置补偿器
EP1763146A1 (en) * 2005-09-12 2007-03-14 Sigma Designs, Inc. Ultra wideband baseband chip with intelligent array radio and method of use thereof
US7330070B2 (en) * 2005-11-10 2008-02-12 Nokia Corporation Method and arrangement for optimizing efficiency of a power amplifier
US7583583B2 (en) * 2005-12-15 2009-09-01 Nortel Networks Limited System and method for reducing peak-to-average power ratio in 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signals using reserved spectrum
US8315226B2 (en) * 2006-01-05 2012-11-20 Qualcomm Incorporated Power control and handoff with power control commands and erasure indications
US7596183B2 (en) * 2006-03-29 2009-09-29 Provigent Ltd. Joint optimization of transmitter and receiver pulse-shaping filters
RU2417522C2 (ru) * 2006-11-03 2011-04-27 Квэлкомм Инкорпорейтед Способ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динамической регулировки спектральной плотности мощности передачи пилот символов и символов данных
US8064537B2 (en) 2006-11-03 2011-11-22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dynamically adjusting a transmission power spectral density of pilot and data symbols
KR100986936B1 (ko) * 2007-03-21 2010-10-12 삼성전자주식회사 다중 에프에이를 사용하는 광대역 무선통신 시스템에서서비스품질을 지원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US8548383B2 (en) 2008-08-27 2013-10-01 Qualcomm Incorporated Power spectrum density control for wireless communications
US8068558B2 (en) * 2008-12-17 2011-11-29 Nortel Networks Limited Selective peak power reduction
WO2010124433A1 (zh) 2009-04-27 2010-11-04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功率控制方法及装置
JP5784588B2 (ja) * 2009-05-07 2015-09-24 テレフオンアクチーボラゲット エル エム エリクソン(パブル) 移動通信デバイスの電力消費管理
JP5212402B2 (ja) * 2010-02-24 2013-06-19 住友電気工業株式会社 ピーク電力抑制回路とこの回路を有する通信装置
US9198133B2 (en) 2010-03-12 2015-11-24 Sunrise Micro Devices, Inc. Power efficient communications
US8416884B2 (en) * 2010-08-18 2013-04-09 Panasonic Corporation Digital RF transmitter optimized for linear quantized IQ up conversion
US8731027B2 (en) * 2011-12-05 2014-05-20 Battelle Energy Alliance, Llc Methods and apparatuses using filter banks for multi-carrier spread-spectrum signals
US9497058B2 (en) * 2012-11-26 2016-11-15 Aviacomm Inc. High efficiency adaptive RF transmitter
US10205617B2 (en) * 2013-07-24 2019-02-12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Circuits and methods for reducing the amplitude of complex signals
CN104954051A (zh) * 2014-03-31 2015-09-30 富士通株式会社 脉冲成型滤波器的优化装置、发射机及方法
US10581481B1 (en) 2018-09-18 2020-03-03 Battelle Energy Alliance, Llc Communication device, spread-spectrum receiver, and related method using normalized matched filter for improving signal-to-noise ratio in harsh environments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95015037A1 (en) * 1993-11-22 1995-06-01 Nokia Telecommunications Oy A method for adjusting transmission power, and a base station
KR19990084970A (ko) * 1998-05-12 1999-12-06 윤종용 단말기의 송신전력에서 피크전력 대 평균전력비를 줄이기 위한확산변조방법 및 장치
KR20010094871A (ko) * 2000-04-07 2001-11-03 윤종용 이동 통신시스템의 기지국의 송신전력 제어장치 및 방법
KR20020071417A (ko) * 2001-03-06 2002-09-12 정영교 이동 통신 시스템의 기지국 송신 전력 제어 시스템 및방법
KR20020093352A (ko) * 2001-06-08 2002-12-16 엘지전자 주식회사 송신전력 제어회로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302914A (en) * 1992-10-20 1994-04-12 At&T Bell Laboratories Method and apparatus for reducing the peak-to-average power in multi-carrier RF communication systems
US5452473A (en) * 1994-02-28 1995-09-19 Qualcomm Incorporated Reverse link, transmit power correction and limitation in a radiotelephone system
US5838732A (en) * 1994-10-31 1998-11-17 Airnet Communications Corp. Reducing peak-to-average variance of a composite transmitted signal generated by a digital combiner via carrier phase offset
US5930299A (en) * 1996-08-08 1999-07-27 Motorola, Inc. Digital modulator with compensation and method therefor
US5991262A (en) * 1997-03-31 1999-11-23 Motorola,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reducing peak-to-average power ratio of a composite carrier signal
US6266320B1 (en) * 1998-04-08 2001-07-24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Amplitude limitation in CDMA system
KR100357619B1 (ko) * 1998-06-23 2003-01-15 삼성전자 주식회사 이동 통신단말기의 출력전력 제어장치 및 방법
US6366619B1 (en) * 1998-08-28 2002-04-02 Sicom, Inc. Constrained-envelope transmitter and method therefor
US6236864B1 (en) * 1998-11-27 2001-05-22 Nortel Networks Limited CDMA transmit peak power reduction
US6931053B2 (en) * 1998-11-27 2005-08-16 Nortel Networks Limited Peak power and envelope magnitude regulators and CDMA transmitters featuring such regulators
JP3877937B2 (ja) * 2000-05-18 2007-02-07 株式会社エヌ・ティ・ティ・ドコモ フィードフォワード増幅器
US6407634B1 (en) * 2000-06-16 2002-06-18 Motorola, Inc. Linear envelope tracking RF power amplifier with adaptive analog signal processing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95015037A1 (en) * 1993-11-22 1995-06-01 Nokia Telecommunications Oy A method for adjusting transmission power, and a base station
KR19990084970A (ko) * 1998-05-12 1999-12-06 윤종용 단말기의 송신전력에서 피크전력 대 평균전력비를 줄이기 위한확산변조방법 및 장치
KR20010094871A (ko) * 2000-04-07 2001-11-03 윤종용 이동 통신시스템의 기지국의 송신전력 제어장치 및 방법
KR20020071417A (ko) * 2001-03-06 2002-09-12 정영교 이동 통신 시스템의 기지국 송신 전력 제어 시스템 및방법
KR20020093352A (ko) * 2001-06-08 2002-12-16 엘지전자 주식회사 송신전력 제어회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06512A (ko) 2003-01-23
GB2381396A (en) 2003-04-30
CA2421235C (en) 2008-01-22
AU2002315936B2 (en) 2004-05-06
GB2381396B (en) 2003-11-19
GB0216065D0 (en) 2002-08-21
FR2827445B1 (fr) 2005-11-04
EP1276233B1 (en) 2007-12-26
WO2003007507A1 (en) 2003-01-23
CN1213551C (zh) 2005-08-03
US6944469B2 (en) 2005-09-13
DE60224242D1 (de) 2008-02-07
RU2251800C2 (ru) 2005-05-10
CN1466826A (zh) 2004-01-07
EP1276233A3 (en) 2005-11-30
DE60224242T2 (de) 2008-05-08
US20030054851A1 (en) 2003-03-20
BR0205754A (pt) 2005-02-15
CA2421235A1 (en) 2003-01-23
DE20211598U1 (de) 2003-01-23
FR2827445A1 (fr) 2003-01-17
JP2004522374A (ja) 2004-07-22
EP1276233A2 (en) 2003-01-15
JP3908732B2 (ja) 2007-04-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47843B1 (ko) 이동통신 시스템의 송신전력 제어장치 및 방법
JP4224168B2 (ja) 基地局装置及びピーク電力抑圧方法
AU2002315936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ransmission power in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EP1415448B1 (en) System and method for post filtering peak power reduction in multi-carrier communications systems
US7489907B2 (en) Transmitter for suppressing a variation in input level of a multicarrier signal
JP2001145147A (ja) 総和過負荷を制御するためのシステムおよび方法
JP2000252868A (ja) Cdma通信装置とその自動利得制御回路
US7031289B1 (en) Control of amplitude level of baseband signal to be transmitted on the basis of the number of transmission codes
US8948303B1 (en) Communication device and method of crest factor reduction using amplitude compression
US6118987A (en) Radio transmitting apparatus and gain control method for the same based on complex weight coefficients and modulation precision characteristics
JP4318253B2 (ja) 送信機
JP2002305489A (ja) 符号多重信号送信装置
US7251463B2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signals
EP1185016A1 (en) Multiplex 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 of signal processing
US7577183B2 (en) Transmission apparatus and peak reduction method
JP2001119371A (ja) Cdma送信機
JP2013062732A (ja) ピークファクタ低減装置および基地局、無線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10713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020716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010713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5013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50712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51226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60123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60123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90102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91224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1230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1226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28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1228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30

Year of fee payment: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1230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23

Year of fee payment: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1223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29

Year of fee payment: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1229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8

Year of fee payment: 12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1228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81103